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 사회과 교과서 대외 관계 역사 서술의 내용 분석 : 6학년 1학기 고려시대 국난 극복 과정을 중심으로

        박홍민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학교 교육에 있어 교과서는 교과가 지닌, 경험 체계를 쉽고 명확하게 편집해서 학습의 기본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교재이기 때문에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가장 기본적이며 중요도가 높은 교수 학습 도구이다. 이는 초등학교 사회과의 역사 교육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초등학교 사회과의 역사 학습을 통해 학습자는 자기 나라와 역사적으로 관계가 깊었던 외국에 대하여 기초적인 지식을 얻게 되며 이를 바탕으로 외국에 대한 일정한 인식의 틀을 마련하게 된다. 그렇기에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는 초등학생들에게 올바른 역사관을 정립시켜 주어야 하는 의무가 있다. 이 때, 역사적 사실이 부적절하게 서술된 교과서로 학습하게 되면 학생 자신의 역사 인식 수준의 퇴보를 가져오게 된다. 이에 본 논문은 초등 사회과 교과서의 대외 관계 역사 서술의 내용 가운데 역사적 사실이 부적절하게 서술된 사례를 살펴보았고, 이에 앞서 고려시대의 대외 관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10~14세기에 걸친 5세기 간의 고려시대는 대륙의 정세 변동이 특히 유동적이었던 시대였다. 한족 왕조의 성립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응되는 유목문화에 기초한 거란, 여진, 몽골 등 북방 민족의 흥기가 연이어졌던 시기였으며 특히 몽골에 의한 미증유의 군사적 정복활동은 동아시아의 국제구조를 재편하는 커다란 계기를 조성하기도 하였다. 대륙에서 한족왕조와 북방 민족의 부침이 거듭되며 주도권 장악을 위한 갈등의 전개는 종종 고려의 외교적 선택을 요구하였으며, 그 결과가 고려에 대한 군사적 압력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고려전기(10~11세기)에는 거란족의 요가 흥기하고 이들이 한족 왕조인 송과 쟁패를 겨루는 과정에서, 그리고 중기(12세기)에는 여진족의 금과의 관계가 거란을 대신함으로써 고려-송-거란, 또는 고려-송-금의 관계가 동아시아 대외 관계의 중심축이 되었다. 후기(13세기)에는 몽골족의 원의 발흥으로 대륙의 정세가 몽골에 의하여 일원화되는 미증유의 세력 개편을 경험하게 되는데, 고려는 몽골의 정복 국가 구축에 대하여 정면 대결함으로써 40여 년에 걸친 장기적인 항전이 전개되었다. 이후 1세기에 걸친 몽골 간섭기의 고려는 이 시기의 구조상 매우 특수한 형태의 대외 관계와 대외 항쟁의 현실에 접맥되었다. 고려는 이러한 동아시아 주변제국의 유동적 국제정세 속에서 군사적 압력 혹은 정치적 환경의 문제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문화적인 발전을 이룩하였고 14세기 후반 원 · 명 교체의 대륙 정세 변동기에 정치, 경제의 개혁을 통한 새로운 왕조 건설로 역사를 진전시켰다. 고려시대의 대외 관계에 대한 고찰 후 제 7차 초등학교 사회과 6학년 1학기 교과서에 서술되어 있는 고려시대 국난 극복 과정에 대한 내용을 거란의 침략에 관한 서술, 동북 9성에 관한 서술, 삼별초의 대몽 항쟁에 관한 서술, 동녕부 · 쌍성총관부에 관한 서술의 네 가지 소재를 선정하여 내용을 분석하였고 본 연구 과정에서 발견된 부적절한 서술에 대한 지적과 함께 나름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국난 극복의 역사적 사실을 소재로 하여 교과서를 서술함에 있어 생활사를 중심으로 임금으로부터 일반 백성에 이르기까지 서로 다른 환경에서 외세의 침략에 맞서 싸운 우리 조상들의 활약상이 아동의 흥미를 끌 수 있는 여러 가지 관련 삽화나 당시의 상황을 엿볼 수 있는 유적지 사진 등의 시각 자료와 함께 집필되어 초등 수준에서 보다 구체적이고 심도 있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This paper is written to examine inappropriate explanation about the Koryo Dynasty in the seventh edition of the first semester national sixth grade social studies textbook. Moreover, this paper shows problems with inappropriate explanation and a way to improve. To this end, this paper presents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study cleary. First of all, that this paper analyzes theoretical background through leading research make know role and meaning of the curriculum. And this paper studies historic relationship between Koryo and Kitan, Jurchens, Mongolia within the 10th to 13th centuries. And then, through contents analysis of history unit in textbook, This paper explains how these events and person are taught within the social studies department and what is an effectiveness of the narrative content of the history textbook and the pattern of historic description in a textbook. Based on these studies, this paper try to analyze process of how to overcome a national crisis in the Koryo Dynasty. This paper shows inappropriate points and improvement direction about the following. First, about Kitan invasion. Secondly, about 'The Northeast Nine Castles'. Thirdly, about resistance of 'Sambyeolcho' against Mongolia. Finally, about 'Dongnyeongbu' and 'Ssangseongchonggwanbu'. Now, I want to make an end of an abstract informing that this paper is written for adding tiny help to making better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 장편 입체영화 <물고기> 제작보고서 : 입체영화 연출을 중심으로

        박홍민 동국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After a huge success of <Avatar> released in 2009, the Hollywood has dedicated itself on the stereoscopic 3D film. It is reasonable to say that the most of films so-called blockbuster currently hit the market are stereoscopic 3D films. Of course, a stereoscopic 3D film was introduced before <Avatar>. Even the history of a stereoscopic 3D film is almost as long as of the 2D film. Nevertheless, <Avatar> is a definite starting point in the stereoscopic 3D film history since it was a major hit throughout the world. After <Avatar>, films like <Alice in Wonderland> and <Wrath of Titans> were released to follow its footstep for the increased demands for the stereoscopic 3D film, and as of today, from an animation film to blockbusters, most of films are produced as the stereoscopic 3D film. Just for 2012, a number of films including <Wrath of Titans 2>, <Avengers>, <Men In Black 3D>, <Star Wars Episode 1 3D>, and <Amazing Spider Man 3D> have been either released or in process. An animation film is not an exception. <How to Train Your Dragon> and <Lion King 3D>, a 3D converted version of the <Lion King> have made impressive records, and that has led another legendary films like <The Beauty and The Beast> and <Finding Nemo> to be converted to 3D and they are ready for the release. In order to cope with such trend, the film industry of South Korea has been exercising a few efforts as well. In the summer of 2009, before the release of Avatar, the Korea Film Council conducted a stereoscopic 3D film test bed. Also, with support of the council, <Mot, 2009>,a short 3D film, was produced. Not only that, various conferences have been held for supporting the film industry to go with the main stream. Amid these interests, a few stereoscopic 3D films have been produced in South Korea and hit the market. <Natalie> and <Sector 7> were released in 2010 and 2011 respectively. Also, <Monster> by Bong Joon Ho, a producer, in 2006, was converted to 3D and presented on the screen. Despite of such efforts, still most of stereoscopic 3D films produced in South Korea have failed to attract attentions of viewers. Even in the film industry, many people concerned about the future of stereoscopic 3D films with a low return rate, and fever over stereoscopic 3D films is quickly dwindling. Despite that, the Hollywood is still continuously producing stereoscopic 3D films and its scope has been widened as well. At this point of time, <A Fish/2011>, a stereoscopic 3D feature film, was produced. This film was invited to the vision entry for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nd received the Civil Critics Award, and made a competitive entry to th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of Rotterdam. Also it was invited as the front runner for Copenhagen Film Festival and proven its cinematic quality. It is scheduled to be released in late 2012. (Distributor/ MiroVision> At Copenhagen Film Festival, this film was assessed as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3D technique, which has been applied with strong artistic deliberation' and 'also shows us that art film and 3D are not necessarily a contradiction'. <A Fish> takes the whole different approach to stereoscopic 3D films from the hollywood. This paper is focusing on a new and alternative path for stereoscopic 3D films through this film. In fact, there is almost no study or conference emphasizing directing and aesthetical factors of the stereoscopic 3D film, which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of the film, rather techniques. In this paper, technical points are included but at the minimum degree, but an esthetical approach to the direction in depth. I wish this report can widen a viewpoint on the stereoscopic 3D film. 2009년에 개봉한 <아바타>의 대성공 이후, 헐리우드에서는 수많은 입체영화들을 쏟아내고 있다. 2012년 현재, 블록버스터라 불리는 거의 대부분의 영화들이 입체영화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개봉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물론 <아바타>이전에도 많은 입체영화가 있었다. 역사적으로 보더라도 입체영화는 2D영화의 역사만큼이나 오래되었다. 하지만 그럼에도 <아바타>가 의미가 있었던 이유는 전 세계적으로 큰 흥행을 했기 때문이다. <아바타>의 흥행 이후, 헐리우드에서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타이탄> 같이 2D 영화를 입체영화로 컨버팅한 영화들을 내놓으면서 초기 관객들의 요구에 대응을 했고 현재는 애니메이션부터 블록버스터급 영화들의 대부분이 3D로 제작 되고 있다. 2012년만 하더라도 <타이탄 2>, <어벤져스>, <타이타닉 3D>, <맨인블랙3D>, <스타워즈 에피소드 1 3D>,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3D> 등 수많은 영화들이 개봉을 했거나 준비 중에 있다. 이는 애니메이션도 예외가 아니다. <드래곤 길들이기 3D>, 기존의 애니메이션을 입체영화로 컨버팅한 <라이온킹 3D> 등이 흥행을 기록하자 <미녀와 야수>, <니모를 찾아서> 등의 애니메이션도 3D로 재개봉을 준비 중에 있다. 바야흐로 입체영화 붐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한국에서도 다양한 시도들이 있었다. 2009년, <아바타>가 개봉하기 전에 영화진흥위원회에서도 이러한 움직임을 감지하고 2009년 여름 입체영화 테스트베드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영화진흥위원회의 지원으로 입체단편영화 <못, 2009>이 제작 되었다. 또한 다양한 컨퍼런스를 개최함으로서 입체영화 진흥에 불을 지폈다. 이러한 관심에 발맞춰 한국에서도 몇 편의 입체영화가 개봉되었다. 2010년도에 <나탈리>가 개봉되었고 2011년도에는 <제7광구>가 개봉하였다. 또한 2006년도에 개봉되었던 봉준호 감독의 <괴물>을 컨버팅하여 부산국제영화제에서 <괴물3D>가 상영되었다. 이러한 다양한 시도가 있었지만 대부분의 한국 입체영화들은 국내 관객들에게 외면 받았다. 영화계에서도 투자 대비 반응이 저조하자 많은 영화인들이 입체영화에 대하여 자조 섞인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고 입체영화제작 열기도 시들해졌다. 하지만 여전히 헐리우드에서는 끊임없이 입체영화를 제작하고 있고 그 가짓수가 점점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물고기/A Fish, 2011>라는 입체장편영화가 제작되었다. <물고기>는 부산국제영화제 비젼 부분에 초청이 되어 시민 평론가 상을 받았고 로테르담 영화제 경쟁부분에 초청 되었다. 그리고 코펜하겐 영화제 프론트 러너 부분에 초청이 되어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또한 2012년도 하반기에 개봉 예정이다. (배급사/미로비젼) 코펜하겐 영화제에서는 ‘이 데뷔작은 아트필름과 3D필름이 어울리지 않는다는 장벽을 허물어줬다’고 평가했다. <물고기>는 사실 일반적인 헐리우드 시스템에서 제작된 입체영화와는 접근법 자체가 다른 영화이다. 본 보고서는 입체장편영화<물고기>를 통해 입체영화의 새로운 접근법과 대안에 대해서 이야기 하려한다. 사실 기존의 컨퍼런스나 논문에서는 기술적인 부분을 중점적으로 다룬 경우가 많았다. 그러면서 오히려 영화에서 가장 중요한 미학적, 연출적 부분에 대해서는 배제가 된 경우가 많았다. 본 보고서에서는 기술적인 부분을 아우르되 최소화하고 연출 미학에 관하여 조금 더 심도 있게 접근해보려 한다. 이를 통해 입체영화에 대한 시각을 넓히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한국 초·중·고 역사 교과서의 고려-몽골관계 서술 연구

        박홍민 韓國學大學院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spite of many efforts to make better textbook whenever curriculum is revised and textbooks are revised, besides, studies on textbooks become more activated recently, it seems that there is still a lack of the studies on comparing and analyzing each contents of description by level of schools based on revised textbooks and that there is still a bunch of things to complement the textbooks. Especially Korea has a high level of dependence on textbooks, so that I think studies on textbooks are more important. To provide an implication and suggest an alternative for solving this problem, this paper examines learning issues and content structure of the all 20 history textbooks of Elementary / Middle / High school and compares and analyzes them by level of schools. Prior to this, historical sources and preceding research data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Koryo Dynasty and Mongolia were examined in detail to consider their relationship carefully. Koryo military regime was consistent in Anti-Mongolia. It was admittable for historical perspectives. However, it could not get off the appraisals of its rigidity generally as they stayed in power covering up domestic contradiction of the nature of regime forcibly. On the other hand, Koryo monarchy tried to be recovered by depending on Mongolia, the foreign power. Therefore, recovery of Koryo monarchy by the miliary regime’s downfall was concluded by more negative historical bond. After considering relationship between Koryo Dynasty and Mongolia, this paper examines description of relationship between Koryo Dynasty and Mongolia in textbooks of each level of schools by separating 3 steps, the early 13th century(1231~1270), the middle and late 13th century and the early 14th century(1270~1351) and the middle 14th century(1351~1374). Then, this paper examines whether the description is true or false by comparing and examining them with preceding research data about Koryo Dynasty in the academic world of history. Also, this paper reviews compliance with the criteria of writing textbooks and suggests an alternative to complement the inadequate contents of description. A history textbook is not a just textbook with past fact simply but a strong media teaching future generation based on the value from past fact and its strict appraisal. Therefore, a history textbook is under obligation to make learners set up proper historical views. Most importantly, the role of a history textbook is to help learners set up a balanced historical view by guiding them with objective and empirical historical facts. I think that role is the biggest duty of history textbooks and the ultimate goal of history education. 2009년에 개정된 사회과 교과서는 그 편찬의 방향으로 ‘창의와 인성을 고려한 재미있는 교과서’, ‘학습자의 능력과 적성을 고려한 수준별 학습이 가능한 교과서’,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가능한 교과서’를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현 사회과 교과서가 상술한 편찬의 방향처럼 다양한 학습 자료를 활용한 재미있는 구성및 학습자의 능력과 적성을 고려한 수준별 학습과 아울러 역사의식 및 역사적 사고력을 배양하고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가능한 교과서인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교육과정이 개정되고 역사 교과서가 개편될 때마다 이전에 비해 더 나은 역사 교과서를 편찬하기 위한 집필진의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근래 들어 역사 교과서와 관련된 연구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지만, 교과서 내용 분석과 관련된 선행 연구물들 가운데 초, 중, 고등학교 역사 교과서의 서술 내용을 각 학교 급별 역사 교육의 목표 및 계열성에 의거하여 비교, 분석한 연구물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좀 더 재미있고 친절하면서도 각 학교 급별로 역사 서술의 맥락이 서로 유기적으로 이어지는, 더욱 유익한 교과서를 집필하기 위해 우리나라 초, 중, 고등학교의 역사 교과서를 각 학교 급별로 각각 비교, 분석해 시사점을 찾는다면 향후 더욱 유익한 교과서를 편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학교의 수업 및 여타의 학습에서 교과서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교과서에 대한 연구는 무엇보다 중요하며, 더욱이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는 현재 국정(國定) 으로 발행되고 있기 때문에 교과서 그 자체가 학습의 주된 목적이 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평가의 영역에 이르기까지 절대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가능한 교과서를 지향하며, 이러한 교과서의 집필을 목적으로 현행 교과서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 초·중·고 역사 교과서의 고려-몽골관계 서술 내용을 분석하기에 앞서, 고려-몽골관계에 대한 이론적인 배경들을 고찰하기 위해『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동국통감(東國通鑑)』,『원고려기사(元高麗紀事)』등제 사료들과 그간 역사학계에서 연구되어왔던 고려-몽골관계에 대한 선행 연구물 들을 바탕으로 역사학계의 최근 연구 성과까지 포함하여 심도 있게 고찰해보았다. 고려-몽골관계에 대한 고찰 후, 각 학교 급별 교과서의 고려-몽골관계에 해당 하는 서술에 대해 13세기 전반부(1231~1270), 13세기 중후반 및 14세기 전반부 (1270~1351) 그리고 14세기 중반부 이후(1351~1374)의 세 단계로 나누어 국내 역사 교과서의 역사 시기별 교과서 서술 내용에 대해 고려-몽골관계에 대한 선행 연구물들과 비교, 검토해보고 사실 관계에 대해 고찰해본 뒤, 역사적 사실 및 용어가 부적절하게 서술된 사례를 살펴보았으며, 각 학교 급별 계열성의 준수 여부도 함께 살펴보았다. 그 결과 특정 사실을 누락하였거나 다소 소략한 분량의 서술및 부적절하거나 오해의 소지가 있는 서술, 각 학교 급별 계열성에 부합하지 않는 서술 등이 발견되었고, 이에 해당 서술 내용을 보완할 대안까지 함께 제시하였다. 역사 교과서는 역사학에서 다루는 역사 지식을 교육적 배려를 위하여 변환한 내용을 담고 있다. 즉, 교과서의 내용은 역사학계의 연구 성과가 공적인 영역으로 전환된 것이며 이에 교과서에 제시된 지식은 ‘지식의 표준(標準)’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위상과 가치를 바탕으로 한 역사 교과서는 단순히 과거의 사실을 담고 있는 평범한 교재가 아닌, 과거에 대한 엄밀한 평가를 통해 획득한 교훈을 은감불원(殷鑑不遠)의 가치로 삼아 미래의 세대를 가르치기 위한 강력한 미디어인 것이다. 따라서 역사 교과서가 미래의 세대인 학습자에게 역사를 단순히 전달하는 수준을 넘어 다양한 관점에서 역사를 비판해보는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로 하여금 역사를 해석하는 다양한 시각을 틔워주어, 그 시대를 이해하는 다양한 안목을 기를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는 것이야말로 역사 교과서의 가장큰 소임(所任)이자 역사 교육이 나아가야 할 궁극적인 지향점이라고 할 수 있다.

      • 경상남도 고성군 마동호의 식물상과 귀화식물에 관한 연구

        박홍민 경상국립대학교 산업복지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distribution of fl ora and the introduc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Lake Madong, Goseong-gun. Vascular plants were investigated a total of 487 taxa including 104 families, 298 genera, 439 species, 3 sub-species, 36 varieties, and 9 forms. It accou nted for 9.98% of vascular plants(4,881 species) in Korea. Asteraceae was t he most abundant as 60 taxa, followed by Poaceae as 56 taxa, Leguminosae as 33 taxa, Rosaceae as 20 taxa. The survey showed 6 taxa of rare plants s uch as Acorus calamus , Campanula takesimana, Aristolochia contorta etc. T he endemic plants were 7 taxa including 6 families, 7 genera, 7 species. The floristic special plants were 47 taxa including 35 families, 46 genera, 46 spe cies, and 1 varieties. Naturalized plant species were 67 taxa including 20 fa milies, 53 genera, 66 species, and 1 varieties. The naturalization rate and th e urbanization index were 13.8% and 18.4%, respectively. The survey indicat -v-- vi - ed 32 taxa of Halophytes such as Lactuca scariola, Ambrosia artemisiifolia v ar. elatior, Solidago altissima, Humulus japonicus etc. Ecological disturbance species were 4 taxa. Salt plants are 32 taxa of 14 families, 26 genera, 30 species, and 2 varieties, such as Silene aprica var. oldhamiana, Dianthus japo nicus, Salsola komarovii, Raphanus sativus var. hortensis f. raphanistroides, Lathyrus japonicus etc, which account for 21.6% of salt plants in Korea.

      • 크롬 첨가에 의한 텅스텐 분말의 고상소결 및 기계적 특성

        박홍민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고상소결공정을 이용하여 텅스텐 분말을 가압소 결한 텅스텐 소결재료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텅스텐 소결재료는 평균 입경이 약 3 μm인 텅스텐 분말에 소결조제로서 크롬 (Chromium)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텅스텐 분말의 소결온 도는 1400 ℃, 1500 ℃ 및 1600 ℃로 하였으며 크롬 첨가제의 함 량은 3 wt%, 5 wt% 및 7 wt%로 하였다. 텅스텐 소결재료의 소 결온도와 크롬 함량의 변화에 따른 텅스텐 소결재료의 미세조직, 굽힘강도, 경도 등의 특성을 평가하여 치밀화를 위한 소결조건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텅스텐 소결재료의 미세조직과 기계적 특성은 소결온도와 크롬 첨가량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시 말하면, 소결 온도가 높을수록 텅스텐 소결재료의 소결특성은 점점 향상되는 경 향을 보였으며 크롬의 첨가량에 따라 소결특성이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텅스텐 소결재료의 미세조직은 소결온도가 증가함 에 따라 충분한 입자성장을 유발하며 입자들 사이에 미세한 기공 들이 감소하였다. 또한 소결온도의 증가에 비해 크롬 첨가량의 영 향은 상대적으로 적었지만 크롬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치밀한 미세조직을 형성하였다. 1600 ℃의 소결온도에서 7 wt%의 크롬 분말 을 첨가한 경우에 텅스텐 소결재료는 이론 밀도의 약 92.3 %에 해 당하는 우수한 소결밀도(약 17.04 g/cm3)를 나타내었으며 미세조직 은 입자 성장을 동반하면서 약 6 μm의 평균 입경을 나타내었다. 텅스텐 소결재료의 굽힘강도와 비커스 경도는 소결온도와 크롬 첨 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특히, 텅스텐 소결재료는 1600 ℃의 소결온도에서 7 wt%의 크롬 분말을 첨가한 경우에 약 580 MPa의 굽힘강도와 약 470 Hv의 비커스 경도를 나타내었다. 이것 은 미세조직의 치밀화에 따른 소결밀도의 향상뿐만 아니라 결정립 의 평균 크기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텅스텐 소결재료의 굽 힘강도와 비커스 경도는 미세조직에 형성된 결정립의 크기에 의존 하였다. 텅스텐 소결재료의 평균입경이 증가할수록 굽힘강도와 비 커스 경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This thesis deal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sintered tungsten materials, which were fabricated by a pressure-assisted sintering in the solid state using tungsten powders. The sintered tungsten material was prepared by the addition of chromium (Cr) powder as a sintering aid using tungsten powders with an average particle size of about 3 μm. The sintering temperature of tungsten powder was selected as 1400 ℃, 1500 ℃ and 1600 ℃. The contents of Cr additive into the ungsten powder were 3 wt%, 5 wt% and 7 wt%, respectively. The sintering conditions for the densification of tungsten materials were investigated by evaluating microstructure, bending strength, and hardness of the sintered tungsten material for the variation of sintering temperature and Cr content. Both microstructure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intered tungsten material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sintering temperature and the amount of Cr additive. In other words, the sintering characteristics of sintered tungsten material tende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sintering temperature and were chang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Cr additive. The microstructure of sintered tungsten materials decreased the fine pores between the particles accompanying a sufficient grain growth as the sintering temperature increased. In addition, the effect of Cr addition wa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hat at the increase of sintering temperature. However, a dense microstructure for sintered tungsten materials was formed with increasing amount of Cr additive. The sintered tungsten materials possessed an excellent sintering density of about 17.04 g/cm3 corresponding to about 92.3% of the theoretical density, when the Cr powder was added as 7 wt% at sintering temperature of 1600 ℃. These materials also showed an average particle size of about 6 μm in the microstructure. Both flexural strength and Vicker’s hardness of sintered tungsten materials increased with increasing sintering temperature and Cr content. In particular, the sintered tungsten material exhibited a flexural strength of about 580 MPa and a Vicker’s hardness of about 470 Hv at the 7 wt% of Cr powder and a sintering temperature of 1600 ℃. It can be considered that this is due to the average size of grains as well as the improvement of sintering density associated with the densification of microstructure. The flexural strength and Vicker’s hardness of the sintered tungsten material were dependent on the size of the grain formed in the microstructure. In other words, the flexural strength and Vicker’s hardness of these materials tended to increase, as the average grain size increased in the microstructure.

      • 유체소음기의 흡음재 배치 전역 최적화 적용 및 음향-구조 연성을 고려한 메쉬 크기 영향성 검토

        박홍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5 국내석사

        RANK : 247631

        해군 함정에서 발생하는 수중방사소음(URN)은 생존성과 직결되기에 굉장히 중요하다. 특히 잠수함의 경우 은밀함 및 정숙성을 유지하기 위해 URN을 줄이는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오고 있다. 대표적으로 기계류 소음 중 가장 큰 소음원으로 꼽히는 ‘고압 냉각 해수펌프’ 부분의 소음을 줄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배관에 설치되는 ‘흡음형 유체소음기’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유한요소법(FEM) 기반 수치해석 프로그램(COMSOL)을 사용하여 음향투과손실(TL)을 계산하였고, 해석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음향-구조연성을 고려한 ‘메쉬 크기’를 상세하게 검토하였다. 또한 관심주파수 대역에서 균일하면서 우수한 TL을 구하기 위해 ‘최적화 목적함수’를 개선하였으며, COMSOL과 매트랩(MATLAB)을 연동함으로써 ‘전역 최적화 기법(GA, SA)’을 적용하였다. 흡음재는 다공탄성 물질인 폴리우레탄을 사용하였고, 실제 제작 가능한 흡음재 5가지를 선정하여 각 층에 배치 및 두께를 최적화하였으며, 전수조사 알고리즘(BF)을 통해 전역 최적화 기법의 신뢰성을 입증하였다. 또한, 고층(10층 이상)에서도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최적해를 찾을 수 있는 ‘전역 최적화 활용기법’을 제시하였다. Underwater Radiated Noise (URN) generated by naval vessels is critically important as it directly affects survivability. For submarines in particular,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reduce URN to maintain stealth and quietness. This study focuses on the "absorptive fluid silencer," installed in piping systems, to mitigate noise from high-pressure seawater cooling pumps, identified as one of the largest noise sources among onboard machinery.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FEM)-based numerical analysis software COMSOL, the transmission loss (TL) was calculated, with detailed reviews of mesh size considering acoustic-structural coupling to enhance the reliability of the analysis. To achieve superior and uniform TL performance across the target frequency range, the optimization objective function was improved. By integrating COMSOL with MATLAB, global optimization techniques, such as Genetic Algorithm (GA) and Simulated Annealing (SA), were applied. Polyurethane, a porous elastic material, was selected as the absorptive material, and five practical absorptive materials were identified for optimization. The arrangement and thickness of these materials in each layer were optimized, and the reliability of global optimization techniques was verified using a brute-force algorithm (BF). Furthermore, a global optimization approach capable of efficiently identifying optimal solutions for high-layer configurations (10 or more layers) within a short timeframe was proposed.

      • Bisphosphonates 유도 골괴사의 고찰

        박홍민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Bisphosphonates는 골밀도를 증가시키며, 골전이로 인한 통증 완화 및 병적 골절을 방지하는 약으로써 임상에서는 Paget's disease, 종양, 골다공증 등 다양한 질병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Bisphosphonates를 투여한 환자 중 부작용으로써 골괴사가 관찰되면서 골괴사와의 연관성에 대한 의문이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2003년 최초로 Bisphosphonates에 의한 악골괴사가 보고된 이후, 지속적으로 이와 관련된 증례 연구와 고찰 연구가 발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Bisphosphonates 유도 악골괴사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현재 이 현상에 대해 다양한 가능성이 연구되고 있다. 유력한 원인으로는 Bisphosphonates에 의한 골교체의 과도한 억제, Bisphosphonates의 신생혈관 능력에의 영향, Bisphosphonates에 의한 pH의 변화 등이 거론되고 있다. Bisphosphonates에 의한 골괴사는 사용한 약의 종류 및 기간, 치조 관련 수술이나 해부학적 구조와 같은 국소적인 요인 및 연령, 전신인자와 같은 전신적인 요인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골괴사는 치료가 쉽지 않고 환자의 통증이 심하기 때문에 예방과 조기 진단이 중요하며, 발병 시 합리적인 치료를 통해 환자의 통증을 최소화 해주어야 한다. Bisphosphonates 유도 골괴사에 관한 지속적인 증례 보고의 증가는 더 이상 이 질병이 임상에서 어렵게 관찰되는 특이한 질병이 아님을 의미한다. 치과의사들은 이 질병의 특성에 대해 숙지하여 환자 내원 시, 적절한 진단 및 처치를 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현재까지도 명확하지 않은 질병의 기전과 환자에 관한 체계적인 관리 방법의 부재는 이와 관련하여 향 후 지속적인 연구를 요구한다.

      • 지역 IT 및 SW 산업육성을 위한 성공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박홍민 부경대학교 산업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소프트웨어(SW)산업은 제조, 서비스등 주요산업의 고부가 가치화에 기여하는 국가기반산업이며, SW산업은 이미 지역기반 제조업 분야에서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지역 중심의 SW융합을 통한 산업육성을 위한 지원정책이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지역SW산업육성을 위해 기존에 시행되는 지역SW산업육성을 PDT(Performance Driver Tree)를 통해 모델 및 성과동인(Drivers)을 도출하고, 지역 SW산업육성을 위한 성공요인을 도출하고자 한다. 성공요인으로는 지역별 특화분야 선정기획, 인프라, 지역경제 파급효과 및 기술전파효과이며, 이를 지속 성장하기 위한 육성정책을 통해 지역 소프트웨어 산업 및 경쟁력은 더욱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 GDPR 기반의 정보주체·아동 권리 강화 개선 연구

        박홍민 숭실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럽 개인정보보호 규정(GDPR) 시행은 EU 회원국 외에도 국내의 많은 사업자에게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GDPR은 정보주체의 권리 강화를 중요하게 다루고 있으나, 국내의 법령과 그 법령을 토대로 운영되고 있는 ISMS-P는 아직 GDPR의 요구사항들을 만족시키기에 부족한 부분이 있다. 특히 아동의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내용이 ISMS-P에서는 한 개의 통제항목만 존재하고 있어 미흡한 수준인 것으로 연구되었다. 이에 GDPR의 요구사항에 맞추어 전반적인 영역에서 아동의 권리보장을 위한 통제항목을 추가하고, 이렇게 개선된 ISMS-P 인증 취득을 통해 GDPR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implementation of the European Privacy Act (GDPR) has a great impact on many domestic operators in addition to the EU member states. Although the GDPR emphasizes the strengthening of the rights of information entities, the ISMS-P, which is operated on the basis of domestic laws and regulations, still lacks some of the requirements of the GDPR. Particularly, ISMS-P has only one control item for the processing of personal information of children, which is studied as insufficient level. Therefore, we will add control items to guarantee the rights of children in the overall area in accordance with the requirements of GDPR, and expect to be able to respond to GDPR through the acquisition of the improved ISMS-P certif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