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현대미술과 테크놀로지와의 관계에 대한 이해 : 키네틱아트를 중심으로

        박형규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We live in the ages of science and information. We can't already express the present society without the power of science technique. Also, we have been recognized for a long time that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modern art and technology are needed. What the writer wants to note is to examine that what problems by the acceptance the technology of modern art are and that what conditions needed for right understanding about these each relation are. For this, some problems are produced by using directly a great deal of science technique at that time to solve problems named virtual and visible movements centering around kinetic art, the start point of modem technology art. That is, the problems arising from the change of position of artists combining role of engineer by introduction of science technique and from adding meanings beyond materials or the medium of presentation in studying and accepting science technique have been presented. Next, we have checked necessary conditions to keep the appropriatenes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odern art and technology by examining aspects of various movements appearing from modern typical technology art deriving from the influence of kinetic art, namely, a video, a laser, a computer, and holography art. The things to be done first to set the upright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technology are that we accept each part of art as one type of independent activities of social ones, not subjective and extreme, lexical classification based on the objectivity of science. As a result, the change of recognition called reciprocal relationship, not subordinate one should be made. And, it is thought that the awakening of artists is necessary to control themselves the vast addition of meanings beyond materials or the medium of presentation when modern art accepts science technique. Most of all, it is thought that the shift of formal mannerism roaring in the modern art should be preferential

      • 심혈관 질환에서 EDTA 킬레이션 요법 : 문헌고찰

        박형규 차의과학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EDTA( Ethylenediamine tetraacetic acid)는 납 같은 독성 금속 이온들의 제거를 위해 FDA에서 승인한 합성 아미노산이다. EDTA는 중금속 중독에 국한되어 사용하였다. 그러나 정맥 내 EDTA킬레이션 치료를 하는 의사들의 대다수는 동맥경화증과 다른 만성 퇴행성 질환들을 위한 종합치료 프로그램의 일부분으로 사용하였다. EDTA는 중금속뿐만 아니라 혈관의 칼슘,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등을 감소시키고 혈소판의 응고작용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들이 있으며, 심혈관질환의 치료와 예방에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 치료의 유용성에 대한 증거는 제한적이고 일치하지 않으며 고식적인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들을 포함한 연구시험의 한 방편으로만 사용되어져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이러한 상반된 연구들을 좀 더 계통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최근 20년간 발표된 관련 논문들을 검색하여 고찰하였다. Ethylenediamine tetraacetic acid, EDTA, is a synthetic amino acid approved by the FDA for the removal of toxic metal ions such as lead. EDTA is used in isolation for heavy metal poisoning; however, the vast majority of practioners who offer intravenous EDTA treatments utilize it as a part of a comprehensive therapy program for treating atherosclerosis and other chronic degenerative diseases. According to many studies, EDTA reduce not only heavy metal but also calcium,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in blood vessels. EDTA is also known to effectively inhibit platelet aggregation. EDTA chelation therapy is a widely practised mode of treatment for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s all over the world. However, evidence for the utility of this therapy is limited and conflicting. Considering the public interest and controversies related the therapy, we did a systemic review of the scientific evidence on the effectiveness of EDTA chelation therapy in cardiovascular diseases on the related articles for 20 years. keywords: EDTA, chelation therapy, cardiovascular disease

      •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임종교육서비스‧사회적 지지‧자아통합감에 따른 태도 분석

        박형규 강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and suggest social welfare for elders who are facing their last moment of life, considering what affects their attitude towards death. This study, based on other studies of Death Education Services, social support, Ego Integrity, and sociology of population as variables to positively analyses them how they affect elder's death attitude. The subject covers 550 senior citizens from age 60 to 90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ho have been educated death attitude and those who haven't. The survey was held by using a questionnaire from 4th to 15th of May 2009 while a preliminary one has been carried out from 27th April to 2nd May 2009. 485 out of 550 collected copies excluding 65 in appropriate copies have been used for statistics as following. First of all, there are some general characteristics on the respondent group. The respondents include more women which shows the sex ratio is quite similar to senior citizen ratio of Korea. Age group shows 46.78% for 60 to 70, 44.85% for 71 to 80, and 8.37% for over 80, proving the population of senior citizen has decreased as age increases. Educational level varies from 50.11% of respondents under middle school, 18.14% for high school graduated, and 18.79% with college degree, which shows their educational level mainly stays under middle school, yet many others have completed higher education than before. Regarding marital status, 63.56% live together with their spouses showing that the average span of life has been lengthened. 9.92% is under very unhealthy condition, and 33.97% is not in good condition while the rest 39.24% is normal. 62.32% earns income by themselves or their spouses, however 33.76% of their income is less than 1 million Korean Won and only 23.47% earns between a million and two, which means it is not so easy to enhance their quality of life with the current financial state. Secondly, people who have had participated in the death attitude education service tend to be more positive about death attitude rather than those who have not been educated. A correlation between time amount of the education and death attitude is positive showing that these variables is meaningful in affecting death attitude, which means the more they participate in the education, the more they are positive towards death. The influence of these variables are time amount of the education and participation in sequence. Thirdly, the result of how much they are satisfied with the education could be written down as death understanding education, importance of social welfare expert's role, meditation and writing a will, education of overcoming death anxiety, and preparing death with dignity in sequence. The expert here refers to the social welfare specialist both programme teachers and administrators. The above-mentioned result suggests positive possibility of these supporters participating in the field of death education service. The satisfaction of the program is relatively high. Also,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death attitude shows both variables have positive numbers but statistically not meaningful. After a regression analysis has been carried out to judge how social support affects death attitude, it appears that cause and effect of independent variable and dependent variable are not meaningful. On the other hand, Ego Integrity and death attitude came out to be positively correlated. As shown above, Ego Integrity of people in declining years helps them to successfully adjust to their death-facing, self-realising, life satisfaction, mental health and peac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eath attitude on sociology of population variable, men came out to be more positive towards facing their death than women. On the other hand, the more they get older, the more negative tendency they have. This tendency appeared the same in the result of age correlation, which means they get more anxious as they get closer to death. Regarding their income, death attitude tends to be positive as their income is higher, also showing the same results of income correlation investigation. Correlation of academic attainment shows people with higher scholarship are more positive. The anxiety of death can be more flexible for those who have higher scholarship statistically. In connection with marital status correlation, people with their spouses are more positive. Subjective recognition of correlation on their health state shows they are more positive who estimate themselves to be healthy. Lastly, united regression analysis of death education service, social support, Ego Integrity, and sociology of population variables appears to be meaningful. Those who have higher Ego Integrity, younger, and men tend to be more positive towards death attitude. Different from the investigator's view, the result shows internal and subjective variables affect more on senior citizens' death attitude rather than external ones. In conclusion, we should observe that anxiety of death appears to be higher as Korea is now entering an aging society. The study of overcoming death attitude and anxiety should be actively progressed whe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country that the population rate of women is higher. Also, they need more variable programme as their attainment of academy is getting higher. That is, the study of social welfare is highly important in terms of how we should solve the problem that all the elder people are commonly being afraid and trying to avoid facing their death. Therefore, the study on policy of social welfare to support the senior citizens' death and drawing out the implication of primary factors which affects death attitude should be strongly advanced. Death education Services in daily life helps them to live successful and happy years mitigating their fright and anxiety, especially the death education services provided by experts is supposed to help their last moment of life to recognize it positively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죽음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고찰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임종을 준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사회복지적 지원의 방향을 탐색하고 제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근거로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을 임종교육서비스, 사회적 지지, 자아 통합감 및 인구사회학적 변수 등으로 설정하여, 각 변수가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경기지역에 거주하는 60세~90세 노인으로 임종교육서비스를 받은 노인과 임종교육서비스를 받지 않은 노인 55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이용한 조사방법을 사용하였다. 예비조사는 2009년 4월 27일부터 5월 2일까지 실시하였고, 본 조사는 2009년 5월 4일부터 5월 15일까지 실시하였다. 총 550부의 질문지 중 분석에 부적절한 65부를 제외한 485부가 통계처리에 사용되었으며,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들의 일반적 특성은 성별로는 여성 노인들의 응답자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 노인 인구비율과 유사한 비율로 표집이 이루어 졌음을 알 수 있었다. 연령대는 60세에서 70세가 46.78%, 71세에서 80세가 44.85%, 80세 이상이 8.37%로 나타났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노인 인구수가 감소되고 있음이 나타났다. 학력은 중졸 이하의 학력을 가진 응답자들이 50.11%, 고등학교 졸업 18.14%, 대학교 졸업 18.79%, 대학원 이상이 12.96%로 나타나, 이는 중졸이하의 학력이 많은 것 못지않게 한편으로는 고졸이상의 학력수준으로 많이 향상된 현재 우리나라 노인 인구의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혼인상태는 배우자와 함께 동거하는 노인이 63.56%로 나타나 평균수명 연장으로 인해 노후를 배우자와 함께 하고 있는 노인들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건강상태는 매우 나쁘다 9.92%, 나쁘다 33.97%, 보통이다 39.24%로 나타났다. 주 수입원은 본인과 배우자의 경제활동으로 인한 수입원의 비율이 62.32%로 나타났다. 월 소득은 100만원미만이 33.76%, 100만원대가 23.47%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배우자와 함께 동거하고 있는 노인들이 63.56%로 나타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나라 노인들의 경제 수준은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일상생활을 하기에는 매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둘째, 임종교육서비스 참여 유무와 참여시간에 따른 죽음태도의 차이에서 임종교육서비스에 참가한 응답자가 그렇지 않은 응답자에 비해 죽음태도에 대해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임종교육서비스 참가 시간과 죽음태도의 상관관계에서 교육 참가 시간과 죽음태도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참가 유무, 교육 참가 시간이 노인들의 죽음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교육 참가 경험이 있고, 교육 참가 시간이 길수록 죽음태도가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죽음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변수의 영향력은 교육 참가시간, 교육 참가유무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임종교육서비스 개별 프로그램 만족도는 죽음 이해 교육, 전문가(강사, 사회복지사) 역할의 중요성, 명상·유언장 쓰기, 죽음 불안 극복 교육, 존엄한 죽음 준비 교육 등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여기에서 전문가는 프로그램 강사와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행정적인 지원자 즉, 사회복지사 등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결과는 임종교육서비스 실천 현장에서 임종교육서비스를 전문적으로 전달하는 사회복지사 개입의 당위성을 보여주는 것이라 판단된다. 임종교육서비스 프로그램 전체 만족도에서는 비교적 높은 만족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지지와 죽음태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두 변수의 상관계수는 양의 값을 가졌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가 노인들의 죽음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해본 결과,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간의 원인과 결과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아통합감과 죽음태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자아통합과 죽음태도는 정적 상관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 통합감의 수준이 높을수록 긍정적 죽음태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또한 자아통합감과 죽음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통합감의 각 하위차원을 독립변수로 투입한 모형 역시 유의미하였다. 이 모형의 설명력은 43.7%였으며, 생에 대한 태도와 지나온 일생 수용이 죽음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즉, 본 연구에서 설정한 죽음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서 자아통합감의 생에 대한 태도가 매우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효과적인 임종교육서비스 프로그램의 개발에 있어서, 자아 통합감의 하위차원 중 생에 대한 태도를 증진시키는 중요한 고려사항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 판단된다. 여섯째, 인구사회학적 변수에 따른 죽음태도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른 죽음태도에서, 남성이 여성

      • 지적장애 아동의 어휘이해 특성 분석

        박형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지적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간의 어휘이해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품사별 어휘이해 특성의 차이는 무엇인가? 둘째, 지적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어종별 어휘이해 특성의 차이는 무엇인가? 셋째, 지적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어구조별 어휘이해 특성의 차이는 무엇인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임의적으로 충북, 대구, 서울, 경남 지역의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아동 1~6학년 46명과 일반학급에 재학 중인 2~5학년 아동 42명, 그리고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3~5세 유아 43명을 합해 모두 131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어휘이해 그림검사’는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초등학교 1, 2학년 국어 읽기 교과서의 본문에서 선정한 어휘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가 구안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어휘이해 그림검사의 평균점수와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지적장애 아동의 어휘이해 특성을 동일한 생활연령의 일반 아동과 동일한 정신연령의 일반 아동과 비교하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 아동의 품사별 어휘이해력은 동일한 생활연령의 일반 아동보다 발달이 지체되고, 동일한 정신연령의 일반 아동보다는 조금 더 발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지적장애 아동의 이러한 품사별 어휘 이해 특성은 지능적 요인의 정신연령에 의한 영향이 결정적으로 작용하지만, 지능 외적요인의 생활연령에 따라서도 발달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지적장애 아동의 어종별 어휘이해력은 동일한 생활연령인 일반 아동보다 발달이 지체되고, 동일한 정신연령의 일반 아동보다는 조금 더 발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지적장애 아동의 어종별 어휘 이해 특성은 주로 지능적 요인의 정신연령에 의해 결정되지만, 지능 외적요인의 생활연령에 따른 발달도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지적장애 아동의 어구조별 어휘이해력은 동일한 생활연령인 일반 아동보다 발달이 지체되고, 동일한 정신연령의 일반 아동보다는 조금 더 발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지적장애 아동의 어구조별 어휘 이해 특성은 지능적 요인의 정신연령에 의한 영향이 결정적으로 작용하지만, 지능 외적요인의 생활연령에 따라서도 발달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지적장애 아동의 어휘이해 특성이 위와 같이 동일한 생활연령의 일반 아동에 비해 낮게 나타난 원인은 낮은 지적 능력이 주요 요인이지만, 동일한 정신연령의 일반 아동보다 높게 나온 이유는 생활연령의 증가에 따른 사회적 경험과 어휘적 경험이 동일 정신연령의 일반 아동보다 풍부했기 때문이며 이는 지적장애 아동에게 적합한 어휘교육 방안을 모색하는데 중요한 시사점이 되고 있다.

      • 국가중요시설 경비원의 직무태도에 관한 연구

        박형규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가중요시설은 전통적으로 청원경찰을 배치하여 경비를 실시하여 왔으며, 경찰력이 부족한 현실 하에서 상당한 효과를 거두어 왔다. 그러나 IMF 관리체제 이후 국가중요시설 경비의 효율화 차원에서 민간경비회사의 경비원에 의한 중요시설 경비를 도입하도록 정책이 결정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국가중요시설 경비원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무엇이며, 그 영향 정도는 어떤지를 밝혀내는 데 있다. 김포공항, MBC, 한국전력공사의 경비원 312명으로부터 수집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국가중요시설 경비원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가중요시설 경비원의 직무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직업관, 전문성, 인간관계, 의사소통, 보수, 근무여건 등을 선정하였다. 조사결과 직업관, 인간관계, 의사소통, 보수 등은 직무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나, 전문성과 근무여건은 직무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경비원의 직무태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보수였으며, 다음으로 인간관계, 의사소통, 직업관의 순으로 밝혀졌다. 이는 국가중요시설에서 근무하는 경비원에게 요구되는 투철한 직업관이나 인간관계 등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요소보다는 자신들에게 직접적으로 이해관계가 있는 보수 요인이 직무태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경비원의 직무태도에 대한 집단별 차이를 알아본 결과 직업관에 대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가 나타났으며, 전문성, 인간관계, 의사소통, 보수, 근무여건, 직무태도에 대한 분석결과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관에 대한 집단별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은 것은 국가중요시설에서 근무하는 경비원들에게는 그 임무의 중요성이 명확하게 인식되어 있어서 집단별로 그 차이를 느낄 수 없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국가중요시설 경비원의 직무태도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얻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중요시설에서 근무하는 경비원의 직무태도에 관해 단편적으로 연구되었던 직업관, 전문성, 인간관계, 의사소통, 보수, 근무여건에 관한 연구 외에도 집단별 직무태도의 차이와 영향력의 정도를 나타내 보였다. 둘째, 보수는 선행연구에서처럼 경비원의 직무태도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변수로 나타남으로써 국가중요시설에서 근무하는 경비원에게는 보수체계 등을 개선하기 위한 제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Traditionally, the security of National Critical Facilities has been conducted by private policeman, the reality under the lack of policeman has gathered a considerable effect. But under the IMF management system, the security of National Critical Facilities conducted by the private security company, it was decided to adopt of the efficiency lev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what factors affect on the job attitudes of security guard in National Critical Facilities, and the effect is to what extent. Through a survey collected from 312 security guards, Gimpo Airport, MBC,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s security guard, To effecting factors on the job attitudes of the security guard in National Critical Facilities were able to identify. Job attitudes of the security guard in National Critical Facilities affecting the occupational sense, professionalism, human relations, communication, compensation, working conditions, and was chosen survey occupational sense, relationships, communication, compensation, etc. Affect the job attitudes Factors were significance level, professionalism and working conditions that affect the job attitude factor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 greatest impact on job attitudes of the security guard is a compensation factor, the human relations, communication, and order was found in the occupational sense. A security guard working at the National Critical Facilities that require a thorough occupational sense, or human relationships, generally thought to themselves, rather than an element of interest directly factor in compensation job on the biggest influence attitudes can be understood. In addition, the job attitude of the security guard on duty each facilities examined the differenc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ccupational sense of the results were not, professionalism, human relations, communication, compensation, working conditions, results of the job attitude analysis for All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ach facilities for occupational sense it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National Critical Facilities for the security guards who work clearl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mission by the group would not feel the difference can be seen. A study on the job attitudes of Security Guard in National Critical Facilities obtained from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security guard working in National Critical Facilities on the job attitude research has been fragmented occupational sense, professionalism, human relations, communication, compensation, working conditions in addition to the study of job attitudes each facilities and influence the degree of difference was obtained. Second, the compensation of security guard as in the previous studies on the key variables affecting job attitudes as appears to the guards who work in National Critical Facilities and to improve the compensation system, efforts are needed.

      • 항공기 소음 모니터링을 위한 자동측정망 지점 선정에 관한 연구

        박형규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has been researched how to select automatic measurement netting of the airplane noise installed around an airport. On purpose of a study, after measuring preparation spots as a previous method, from the method to measure 10 spots again, I would like to propose the method different from previous one in order to piece out problems of a limitation caused by climate condition when measuring. The research target area has been considered to select the airport operating both civil aviation and military aviation located in a local area. It`s a area that civil aviation is small, but damage is large because of military aviation. As a reseach method, after selecting mesurement spots using the map of expectation noise level among multiple preparation spots. I would like to propose the method to piece out a various of limitations caused by multiple measurement spots as a defect of previous method. The order of this study is largely to target as reducing the number of spots to measure using expectation noise level of a target area in front of a scene measurement first of all. As a result of this study, when selecting measurement spots, before a actual measurement, catching on expectation noise level of a target area, if had measured actually, I would have known reductions of time and expense produced by multiple expectation spots. Proposing the criteria of selection through actual measurement value from this study, no differing noise spots except a target noise, the spot that people live in area which suffer damage actually different from wide farmland, the spot to correspond with a aviation course away from a distance same to a criteria side of an airstrip. it`s evaluated that the airplane noise in both sides edge is larger than spots of a criteria side of an airstrip. Getting the most out of a various of items upper when installing airplane noise automatic netting, it would be considered what to select the spot which represents well the noise of a target area. 본 연구는 공항주변에 설치되는 항공기 소음 자동측정망 지점 선정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의 목적으로는 기존의 측정망 지점 선정방법인 예비지점 실측 후 다시 10개 지점 정도를 실측하는 방법에서 나타나는 단점들인 비용과 시간, 측정 당시의 기후조건으로 인한 제약등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기존의 방법과 다른 방법을 제시한다. 연구 대상 지역은 지방에 위치한 민간 · 군사 공항을 같이 운영하는 공항을 선정하여 연구를 하였고, 민간 항공기의 운항은 적지만, 군용 항공기로 인해 피해가 많은 지역이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다수의 예비 지점중 예상소음도 지도를 이용하여 측정 지점을 선별 후, 10개 지점을 실제 측정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방법의 단점인 다수의 측정지점으로 인해 발생되는 여러 제약들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순서는 우선 현장에서의 측정에 앞서 대상지역 예상 소음도를 이용하여 실측을 하는 지점의 수를 선별하고, 선별된 지점을 실제 측정하는 단계를 거치면서 측정망지점을 선정하는 방법과 일정한 선정 기준을 연구해보고, 예상 소음도와 실측을 통한 소음도의 비교를 통해 이 방법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측정지점의 선정시 실제측정을 하기 전에 대상지역의 예상 소음도를 파악하고, 실제 측정을 한다면 다수의 예비지점의 측정으로 발생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소음의 크기가 중복되는 지역의 측정을 중복되게 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실제 측정값을 통해 지점 선정시 기준을 제시하면, 대상소음을 제외한 이상소음이 없는 지점, 개활한 농경지가 아닌 실제 피해를 입고 있는 주민들이 거주하는 지점, 활주로 기준 같은 이격거리를 가지고 있어도 운항경로와 일치하는 지점, 활주로 기준 측면의 지점보다는 양쪽 끝 지점에서 항공기 소음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위의 여러 사항을 항공기 소음 자동 측정망의 설치시 활용한다면 대상지역의 소음을 잘 나타낼 수 있는 지점을 선정 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지연된 안와파열골절 정복술의 안구돌출도 및 안와용적 변화 분석 비교

        박형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retrospective study, we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rbital volume changes and clinical outcome by computer based volume measurement in the early and delayed surgical treatment groups The patients who received operation of reduction of blowout fractures (BOF) were divided to 2 groups according to within 2 weeks and 4 weeks later . Total orbital volume and exophthalmometric value was measured and compare with 2 groups. The Scion image program was used to measure the orbital volume. The sound eye was used control. The early surgical group has 16 patients(A group) otherwise delayed group has 18 patients(B group). Computed tomographic(CT) scan was use to measure total orbital volume and Hertel exophthalmometry was used for measurement of early and late enophthalmo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acture size, location of fractured wall and degree of enophthalmos was evaluated by statistic analysis. The preoperative exophthalmic difference between affected eye and sound eye(D1) was 0.5 ± 1.10 mm in the A group and 1.14 ± 1.82 mm in the B group. The exophthalmometric difference between affected eyes and sound eye after 6th month(D3) was 0.75 ± 0.44 mm in the A group, and 1.11 ± 0.96 mm in the B group. The recovery rate of orbital volume was 95.12 ± 6.10 % in the A group and 93.35 ± 5.96 % in the B group.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A and B group. In conclusion, Thr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arly surgical group and delayed surgical group in the aspect of total orbital volume changes after surgery and clinical exophthalmometric val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