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LPGA 1세대 골퍼'의 삶과 정체성 : 박세리, 김미현, 박지은을 중심으로

        이지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741

        The South Korean female professional golfers made brilliant achievement so the US LPGA Tour, the world's biggest arena. The golden age began when the ‘first-generation LPGA golfers’ made their debut on the tour around the year of 2000, including Mihyun Kim, Grace Park, first being started with Seri Pak, who won the US Women’s Open with her signature barefoot shot from the water hazard in 1998. Korean women’s golf has become a popular sport in the country for the past two decades, with the emergence of the so-called as ‘Seri kids’, a junior golfer who started golf influenced by Pak’s success, and their success has received many spotlights. Meanwhile, the success of Korean women’s golf has exposed not a few problems, like double-edged swords. Other problems such as culture, conflicts with their own fathers, excessive rivalry spirit and slumps were also come to the surface.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aims at identifying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Seri Pak, Mihyun Kim and Grace Park among the ‘first-generation LPGA golfers’ by interpreting their lives and identities in-depth.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how has the life and identity of the ‘first-generation LPGA golfer’ been taken shape and changed? Seri Pak’s life journey was a process of forming an ‘achievement-oriented identity.’ She was obsessed with golf more than anyone else with her strong tenacity, she felt a desire to achieve, and a keen sense of competition laid the foundation for her success. Mihyun Kim’s life is summarized as a process of forming a ‘relation-oriented identity.’ She started playing golf under her father's influence, and her relationship with my father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her golf. Grace Park’s life can be summed up as her ‘self-directed identity.’ She has enjoyed competition since her childhood, and through her self-driven way of golf, she constantly appeared to seek to find her goals and pleasures out of golf. Second, what is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life and identity-building process of the ‘first-generation LPGA golfer’? First, the ‘first generation of LPGA golfers’ experienced an ‘unlimited competitive life’ to build competitiveness when they first grabbed the golf club. Such an atmosphere where rivalry is over-emphasized can turn players into ‘a ball-hitting machine.’ However, as for as the sport is concerned, even the best player cannot win all the time. Therefore, it should be recognized achieving successful outcomes should not be the only emphasis but the various immanent values gained in the process. Second, the ‘first-generation LPGA golfers’ was greatly influenced by ‘golf daddy’ from their start of golf career. ‘Golf Daddy’ was usually a ‘friendly daddy’, but he became a very strict ‘cruel father’, when dealing with their athletic daughters. He is a ‘father who tries hard for his daughter’, and a father who plays a ‘superman daddy’ as a manager, driver and coach, being fully committed to taking care of his daughter. While this culture of golf has had a huge impact on bringing the ‘first-generation LPGA golfers’ to the top of the world, but the ‘shadowing’ of parents’ excessive expectations, enthusiasm for education and strict education has become a source of conflict with their father. Since golf is an important sport of fighting for him/herself in the end, and fathers should be wait and faithful to the role of a ‘strong helper.’ Third, ‘first-generation LPGA golfers’ experienced a slump, both large and small, due to many reasons such as financial problems, psychological problems, social-politic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crisis management abilities, injuries, lack motivation, and suffered symptoms of yips, negative thoughts, complex thought, loss of confidence, etc. Because most every athlete goes through a slump, what players in the slump, what players in the slump need is to accept that they are in a slump. It is very difficult to admit that one is in a slump, but understanding that they are in a slump is the first step to overcome the hard times, looking back at oneself to find their weakness, and the time and effort to overcome must follow. The key to overcoming slump is accepting and reflecting, and life after overcoming this phase can change as well. Keywords : ‘first-generation LPGA golfers’, LPGA tour, life, identity, life history research, Seri Pak, Mihyun Kim, Grace Park, ‘achievement-oriented identity’, ‘relation-oriented identity’, ‘self-directed identity’, ‘Seri kids’, ‘golf daddy’, educational significance 한국 여자골프는 1998년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메이저 대회인 US여자오픈에서 맨발의 해저드 샷으로 우승을 차지한 박세리를 시작으로 김미현, 박지은 등 ‘LPGA 1세대 골퍼’가 2000년을 전후해 투어에 데뷔하면서 황금기를 맞았다. 박세리의 성공에 영향을 받아 골프를 시작한 주니어 골퍼들, 이른바 ‘세리 키즈’가 출현하면서 지난 20년 동안 국내에서 인기 스포츠로 자리매김하였으며, 이들의 성공 요인은 많은 스포트라이트를 받았다. 반면 한국 여자골프의 성공에는 양날의 검처럼 골프에 올인해야 하는 문화, 지나친 경쟁의식, 아버지와의 갈등, 슬럼프 등의 문제점들이 표출됐다. 이에 본 연구는 ‘LPGA 1세대 골퍼’ 중 박세리, 김미현, 박지은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생애사 연구 방법을 통해 이들의 삶과 정체성을 심층적으로 해석하면서 그 교육적 의미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결과 박세리의 삶의 여정은 ‘성취 지향적 정체성’ 형성의 과정으로 드러났다. 누구보다 성공에 대한 강한 집념으로 골프에 올인하였으며, 도전을 통해 자신감을 얻었고, 치열한 경쟁의식은 성공의 밑받침이 됐다. 김미현의 삶은 ‘관계 지향적 정체성’ 형성의 과정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영향 아래 골프를 시작하였으며, 아버지, 스폰서와의 관계 등은 김미현의 골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소였다. 박지은의 삶은 ‘자기 주도적 정체성’ 형성의 과정임을 도출하였다. 어린 시절부터 경쟁을 즐겼으며, 누구에게도 지기 싫어하는 근성으로 두각을 보였고 자기 주도적 골프를 통해 끊임없이 골프에 대한 목표와 즐거움을 찾으려 했다. ‘LPGA 1세대 골퍼’의 삶과 정체성 형성에 따른 교육적 의미는 ‘경쟁을 통한 내적 가치 추구’, ‘기다려주는 아버지’, ‘피할 수 없는 슬럼프’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LPGA 1세대 골퍼’는 골프 클럽을 잡은 순간부터 경쟁력을 기르기 위한 ‘무한 경쟁의 삶’을 살았고 ‘승리지상주의’, ‘다른 선수와의 비교’에 빠지기도 했다. 그러나 최정상에 있는 선수라도 늘 우승할 수 없는 게 골프이기 때문에 결과로써의 성취만을 강조할 게 아니라 그 과정에서 얻을 수 있는 다양한 내재적 가치를 추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LPGA 1세대 골퍼’는 골프를 시작했을 때부터 ‘골프 대디’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골프 대디’는 평상시엔 ‘다정한 친구 같은 아빠’였고, 딸을 위해 모든 것을 올인하면서 매니저, 운전기사, 코치 역할을 해내는 ‘노력하고 헌신하는 아빠’였다. 운동선수인 딸을 대할 때는 매우 엄격한 ‘무서운 아빠’의 모습도 보였다. 이런 ‘골프 대디’ 문화는 ‘LPGA 1세대 골퍼’를 세계 정상으로 올려놓는 데 큰 영향을 미쳤으나, 지나친 기대와 뜨거운 교육열, 엄격한 교육 방식과 같은 ‘그림자 뒷바라지’는 갈등을 낳는 요소가 되었다. 그러나 골프는 결국 선수 스스로가 해야 하는 운동이기에 아버지는 ‘믿고 기다려주는’ 든든한 조력자가 되어야 한다. 셋째, ‘LPGA 1세대 골퍼’는 금전적 문제, 사회⋅환경적 문제와 위기관리 능력 상실, 부상, 동기 부재 등으로 인해 크고 작은 슬럼프에 빠졌으며, 입스, 부정적 사고, 복잡한 생각, 자신감 상실 등을 겪었다. 선수들이 스스로 슬럼프를 인정한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러나 슬럼프는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일이기 때문에 그것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대처하느냐가 매우 중요하다. 슬럼프 극복은 슬럼프에 대한 이해로부터 시작되며, 스스로를 돌아보는 성찰 같은 노력을 기울이는 데에 슬럼프 극복의 열쇠가 있다. 주제어 : ‘LPGA 1세대 골퍼’, 박세리, 김미현, 박지은, 삶, 생애사 연구, 정체성, ‘성취 지향적 정체성’, ‘관계 지향적 정체성’, ‘자기 주도적 정체성’, ‘골프 대디’, ‘세리 키즈’, 교육적 의미

      • 박지은의 작품 연구 : 1. 바이올린, Bb클라리넷, 첼로, 피아노를 위한 <이끌림 그리고 움직임, 생(生)>(2012) ;2. 피아노 솔로를 위한 <바다를 꿈꾸다>(2012) ;3. 현악 사중주를 위한 <흐름>(2012) ;4. 플루트, Bb클라리넷, 바이올린, 첼로, 피

        박지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95

        본 논문은 박지은의 네 개의 작품 바이올린, Bb클라리넷, 첼로, 피아노를 위한 <이끌림 그리고 움직임, 생(生)>(2012), 피아노 솔로를 위한 <바다를 꿈꾸다>(2012), 현악 사중주를 위한 <흐름>(2012), 플루트, Bb클라리넷, 바이올린, 첼로, 피아노, 타악기를 위한 <양극화>(2012)에 대한 분석 연구이다. 이 네 작품은 석사학위 이수를 위한 졸업연주회에서 연주된 작품으로, 2012년 12월 6일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국악연주홀에서 초연되었다. 이 논문은 각 작품의 작곡 배경과 주로 사용된 전개 기법상의 특징에 대해 연구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먼저 네 작품 전체의 작곡 의도와 음악적 아이디어로의 전환 방법에 대해서 살펴본다. 그리고 작품의 형식과 주요 음정구조를 살펴 본 후 그 음정구조를 바탕으로 한 화성의 활용에 대해서 집합이론을 통해 분석한다. 그리고 각 곡마다 집중적으로 사용된 전개 기법상의 특징에 대해 세부적으로 설명한다. 바이올린, Bb클라리넷, 첼로, 피아노를 위한 <이끌림 그리고 움직임, 생(生)>에서는 4도 구성의 화음의 변형을 사용하였고, 이끌림과 움직임에 대한 사고를 주선율과 대선율이 담당하며 점묘적 기법을 통해 음색변주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사용하였다. 피아노 솔로를 위한 <바다를 꿈꾸다>에서는 타케미츠의 SEA모티브와 관련된 7음군을 사용하는데, 이 7음군에서 생성된 동기를 수평적, 수직적으로 활용하였다. 현악 사중주를 위한 <흐름>은 총 세 개의 악장으로 구성되었는데, 세 악장 모두 주요 주제들의 변용을 통한 대위적 진행을 활용하였고 곡의 발전방식으로 스트레토 기법을 활용해 절정을 형성하였다. 플루트, Bb클라리넷, 바이올린, 첼로, 피아노, 타악기를 위한 <양극화>는 C-C#-D-F#-G-G#의 6음군이 순차적으로 이도되며 활용되고 있는데, 음역의 대비를 활용하여 양극화를 표현하였고 동음의 사용으로 화합에 대한 음악적인 표현을 시도하였다. 이와 같이 네 개의 작품은 모두 작곡가가 작품을 작곡하게 된 의도를 표현하기 위해 적절한 음악적 아이디어를 사용했으며, 각 곡마다 사용한 주요 음소재와 전개 기법상의 특징은 전체적으로 짜임새 있는 구조를 이루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This thesis is an analytical study of the compositional techniques, configuration, and pitch materials of Ji-eun Park's four works which were performed on her graduate recital, December 6, 2012 at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usic Recital Hall: Desire, Motion and Existence for violin, Bb clarinet, cello and piano; Dream of the Sea for piano; Flows for string quartet; and Polarization for flute, Bb clarinet, violin, cello, piano, and percussion. For this thesis, set theory is applied to understand the pitch materials at both the linear and horizontal levels. Also included, is a study of the development method of each pieces compositional techniques. Desire, Motion and Existence for violin, Bb clarinet, cello and piano, is a variant of rondo form within a single movement, and consistent with the circular structure of A-B-A’- C-A-B’. This composition is unified by quartal harmonies of Set-Types [015], [016], [026], [027]. These tones are varied through both horizontal motion and klangfarbenmelodie in the main and counter lines of the development and as a representation of the idea: Desire, Motion and Existence. Dream of the Sea for piano is a single movement piece consisting of an arch-shaped structure of A-B-A’-C-A’expressing the waves of the sea. The primary pitch collection of the work uses from the heptachord G-Ab-A-Bb-Db-D-Eb. This harmonic material is thematically varied by octave displacement and registral contrast. The collection is expanded monophonic to polyphonic, and developed to emphasize the Set-Types [016], [0127] and [0137] to provide harmonic unity throughout the piece. Flows for string quartet (in three movements,) is an intervallic exploration of the second. Beginni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 minor 7th, it is later reduced to a minor 2nd as an evolution of musical space to emphasize interval class <01>, followed by its compound (the minor 9th.) This expansion is meant to show a symmetrical pitch transition to express flowing cycles. Among this expansion, is a polyphonic development that progresses from modified canonic forms into stretto within a climatic fugal structure, along with timbral contrast of the central pitches. Lastly, Polarization for flute, Bb clarinet, violin, cello, piano and percussion, is a single movement piece that utilizes a variant of ternary form with a highly expanded B section: A-B-B’-B”-A'. Its hexachord, C-C#-D-F#-G-G#, is rotated gradually through the B sections, forming a unified sonority of [012678]. As a musical expression for polarization, it makes use of registral, trimbral and dynamic contrast of the central pitches, and is brought together by a concordance of the octave. In conclusion, this analysis discusses the various types of music compositional techniques used in four works of Ji-eun Park. These techniques include tone variation through klangfarbenmelodie, registral and timbral contrast, and both vertical and polyphonic progression. Through structural, harmonic (such as set-theory), registral, and timbral analysis, this thesis demonstrates the unifying factors of the music. Emerging from traditional forms, these techniques are used express the composer’s personal viewpoint and inclinations.

      • 한국미학의 미적 범주 연구

        박지은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47

        Since Korean aesthetics was formed, the aesthetic categories of the discipline has been being discussed. Firstly created by Yanagi Muneyoshi and Koh Yu-seop, the theory of Korean aesthetic categories was gradually expanded to different arguments that were subjective and independent. Recently, there have been increased demands for integrating those arguments. However, there’s still little or no research to meet the deman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categories of Korean aesthetics in more probable and systematic ways by comprehensively researching them and comparing between Western and East Asian aesthetics. So far, the categories of Korean aesthetics have been researched in a variety of disciplines including art, bibliography, religious science and cultural studies. However, such prior research have limitations in that they are inconsistent depending on their author or they deal with only some particular categories. Of course, no prior research on correlations between aesthetic categories of the East and the West is found. This study wasdesigned to investigate aesthetic categories of three East Asian countries, especially focusing on Korean aesthetics, and then compare them with those of the West. For this, the study borrowed Dessoir’s circular categorical system based on which this research could analyze categories of which aesthetics of each East Asian nation consists. The analysis found that Chinese aesthetics has yet to be categorically systematic, reflecting Chinese scholastic trends of orienting being non-systematic. Chinese aesthetic categories greatly vary depending on period and scholar. In contrast, Japanese aesthetics has its categories systematized under the early introduction of Western disciplines. Aesthetic categories have no boundaries to make them clearly separate from one another. They are, rather, correlated or interactively influential. Mutual development under confrontation is a relationship found between the categories of Korean aesthetics like Han(恨), Heung(興), Sinmyung(神命) and Meot(멋). Such relationship may be the case for the categories of Chinese aesthetics like vigorousness, daam, jaryeon, jangmi, biheung and goa and those of Japanese aesthetics like yooukeng, aware, okashi, sabi and wabi. These aesthetic categories of the three East Asian nations all orient harmony under diversity. However, the extent of the orientation is different among the three countries. From the view of Dessoir’s circular categorical system, Chinese aesthetic categories have lack of tragic or comic beauty, but put more emphasis on harmony with the universe that dwells in life. They don’t separate between man and nature, but admire the sublimity of nature, pursuing a moderate beauty of elegance. From the perspective of Dessoir’s framework like above, Japanese aesthetic categories put much more importance on elegant or tragic beauty. This is true to all of the Japanese categories like yooukeng, aware, wabi and sabi, except okashi that focuses on comic beauty. Considered from the view of Dessoir’s circular categorial system, aesthetic categories of the three East Asian countries have elegant beauty in common. The categories of Korean aesthetics cover from elegant beauty, which is based on naturalism, to comic beauty. They pursue balance and harmony under coexistence of the extreme opposites. In Korean aesthetics, it’s not that negative categories unilaterally lead positive ones and vice versa, but that the opposite categories interact in balance between synchronization and non-synchronization. All things exist and move together, according to Korean aesthetics. Both outer coexistence centering around taste and inner combination or harmony are found in the categories of Korean aesthetics, where if one category becomes extremely negative, it gives way to another category that is positive and vice versa. Korean aesthetics is so unique that it allows opposite aesthetic emotions to get along and mix with each other in discussing Korean beauty. That such opposite emotions mix together into new aesthetic categories represents how dynamic Korean aesthetic categories are. Taste is, from an aesthetic view, life of the universe itself that is not artificial but natural. It can exist only when having natural balance of itself. In Korea, taste has been highly recognized as an aesthetic category into which possible sub-categories like truth, good and beauty are integrated. It deserves to keep remaining as a key characteristic of Korean culture. Today, conflict and harmony are important issues in relationships between humans as well as between man and nature. Amid a rapid Westernization of our society, we haven’t had time to properly learn the principles of Yi and Yang with the spirit of balance and harmony. In association with this,Korean aesthetics has so far failed to make its confronting categories balanced and harmonized with one another. Now it’s time to try converting the categories of Korean aesthetics into those closer to daily life by applying taste as the very core of the aesthetic categories in practical ways. From the perspective of aesthetics, taste is like sort of simplicity that results not from the instant explosion of pain and distress we human beings have inside, but from the final discharge of power that we have long accumulated and finely nurtured. Taste seeks to harmonize itself with each aesthetic category. Aesthetically, taste keep reminding us of the facts that every environment around us is natural vitality itself and that the vitality is with us as it is always available in our life. 한국미학의 형성 이후 미적 범주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었다.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와 고유섭으로부터 시작한 범주론은 주관적이고 개별적인 형태로 이어지다 최근에 이르러 이를 종합해야 한다는 요구가 커졌다. 그럼에도 이러한 요구를 충족할 연구는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한국미학의 미적 범주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서양과 동아시아 미학의 상호 비교를 통해 가능한 미적 범주의 체계를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미학의 미적 범주 연구는 그 동안 예술장르뿐만 아니라 문헌학, 종교학, 문화연구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 진행되어 왔다. 그럼에도 논자에 따라 체계 없이 기술되거나 개별 범주에 집중하여 한계를 보였다. 더불어 서구와 동아시아의 미적 범주들이 가지는 상관관계를 논의한 연구는 찾기 어렵다. 본 연구는 한국미학의 미적 범주를 중심에 두면서 동아시아 삼국의 미적 범주를 연관시키고 서양의 체계와 비교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데스와르의 원환적 체계를 원용하였는데 이는 동아시아 미적 범주의 분포를 살펴볼 수 있는 계기를 부여하였다. 그런데 중국의 미적 범주는 아직 체계를 형성하고 있지 못하다. 비체계의 체계를 지향하는 중국의 학적 경향을 반영하는가 하면 시대와 학자에 따라 광범위하게 나열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비하여 일본은 서양 학문의 수용으로 미적 범주가 일정한 체계를 형성하고 있다. 미적 범주들은 분명한 경계를 지니면서 분리되지 않는다. 오히려 상호 연관되거나 영향을 주고받는 운동성을 지닌다. 한국의 미적 범주인 한, 흥, 신명, 멋은 상반상성의 관계 속에서 길항한다. 이는 기운생동, 담(淡), 자련, 장미, 비흥, 고아 등의 중국 미적 범주와 유우겡, 아와레, 오카시, 사비, 와비 등의 일본 미적 범주와 겹쳐 읽을 수 있다. 동아시아 삼국은 모두 화해(和諧)를 지향하면서 그 지향과 운동에서 차이를 드러낸다. 이를 데스와르의 원환적 체계 위에서 고찰하면 중국의 미적 범주는 비장미와 골계미가 약화된 경향을 보이면서 생명 내부에 깃든 우주와의 화해를 강조한다. 인간과 자연을 나누지 않고 자연의 숭고함을 경배하는 가운데 절제된 우아미를 추구한다고 볼 수 있다. 일본의 미적 범주는 데스와르의 도식에 따를 때 우아미와 비장미 쪽으로 치우쳐 있다. 골계미에 속하는 오카시를 제외하고 유우겡, 아와레,와비, 사비는 비슷한 분포를 가진다. 데스와르의 원환 체계에 준하여 살펴보았을 때 동아시아 세 나라의 공통 범주는 우아미에 해당하며, 한국은 자연주의를 기본으로 이러한 우아에서 골계에 이르는 영역의 진폭을 보인다. 한국 미학의 미적 범주 체계는 극과 극의 상생하는 움직임 속에서 균형과 조화의 화해를 추구한다. 하나의 음의 범주와 하나의 양의 범주는 어느 한쪽이 일방적으로 주도하는 불균형적인 것이 아닌 비동시적인 동시성을 가진다. 일체의 사물은 모두 같이 공존하거나 운동성을 가진다. 한국의 미적 범주는 멋을 중심으로 바깥으로 상생하고 안쪽으로 상반되는 범주들이 교합하면서 조화를 이룬다. 한국의 미적 범주는 하나의 범주가 음이 극에 달하면 양을 위해 물러가고 양이 극에 치달으면 음이 물러가는 것으로 움직인다. 한국미를 논할 때 서로 반대가 되는 정서가 어울려서 뒤섞일 수 있는 미적 감정은 아주 특별하다. 반대편의 감정들이 한곳에 뒤섞여서 새로운 미적 범주를 만들어낸다는 것은 한국의 미적 범주가 역동적인 운동성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이다. 멋은 인공적이지 않은 자연스러운 우주 생명의 자체로서 나타나며, 그 자체로 자연스러운 균형을 이룰 때 비로소 멋이 존재하게 된다. 한국의 멋은 진·선·미를 아우르는 한국의 미적 범주로서 가치를 지녀왔으며 앞으로도 한국문화의 특징이 되어야 함이 분명하다. 오늘날 사람과 사람, 인간과 자연의 관계 속에서 갈등과 화합이 중요시 되고 있다. 그 동안 사회는 급속도로 서구화되어 가는 가운데 균형과 조화의 마음으로 음양의 이치를 제대로 익힐 시간을 갖지 못했다. 미적 범주의 차원에서 한국 사회는 각각의 범주들이 조화를 이루면서 화합하는, 서로 반대되는 범주들 간의 적절한 균형을 잃었다. 한국 미학의 미적 범주의 중심에 있는 멋을 실용주의 미학으로 전환하여 일상미학의 토대로 만들어가야 할 시점이다. 우리 안에 있는 고단함과 힘듦을 즉시 폭발해 내는 것이 아니라, 쌓은 것을 갈고 닦아서 마지막 순간에 그 힘을 응축시켜서 터져 나오는 담담함이 멋이다. 이는 또한 각각의 미적 범주들과의 어울림을 지향한다. 멋은 우리 주변의 모든 환경들이 자연의 생명력 그 자체이며, 우리의 삶 속에 꿈틀거리는 자연의 생명력이 우리와 함께 존재한다는 의미를 지속적으로 발산한다.

      • 중·고등학교 교사의 비대면 원격 수업 현황 및 인식

        박지은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 원격수업에서 교사의 비대면 원격수업에서의 활용 현황 및 인식을 연구하여 교사가 비대면 원격수업을 활용하면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분석하고, 성공적이고 효율적인 비대면 원격수업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비대면 원격수업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중 고등학교에서 교과 수업 진행하고 있는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중학교 교사 7명과 고등학교 교사 1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서울(1), 경기도(3), 충청도(2), 전라도(1), 경상도(8), 대구(3), 부산(1), 광주(1) 지역의 다양한 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교사의 지도과목으로는 영어(9), 국어(3), 수학(2), 한문(1), 가정(1), 중국어(1), 전문상담(1), 진로와 직업(1), 특수교사(1)로 구성되었다. 인터뷰는 인터뷰 내용을 전사한 후 유사한 의견을 중심으로 코딩하여, 상위 범주를 도출하는 방식으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대면 원격수업의 활용 현황을 살펴보면, 쌍방향 수업의 활용도가 75%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콘텐츠 수업이 20% 였으며, 마지막으로 과제 수행 중심수업으로 5%로 가장 낮았다. 비대면 원격수업의 활용 초기와 현재의 차이로는 디지털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부분이나 영상 제작 능력이 향상되었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둘째, 비대면 원격수업에 대한 초기 시점에서 교사의 인식으로는 긍정적 의견(2)보다 부정적 의견(8)이 많았다. 부정적 의견으로는 기계 결함이나 인터넷 오류에 대한 걱정(6)이 가장 많았으며, 긍정적 의견으로는 변화하는 교육여건에 적응할 필요성이 있다(2)는 의견이 있었다. 교사들이 인식하는 비대면 원격수업의 장점으로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다(5)는 의견이 가장 많았으며, 단점으로는 학습자의 이해도나 참여도에 대한 세밀한 파악이 어렵다(5)는 의견이 많았다. 교사들은 비대면 수업보다 대면수업을 선호하고 있었으며, 대면 수업을 선호하는 이유로는 상호작용의 용이성(6)이 가장 많았다. 동료교사에게 추천하거나 공유하고 싶은 수업방법으로는 프로그램 측면에서 띵커벨, 유튜브, 카카오톡, 패들랫, 아이패드 등을 활용하는 것을 추천하였다. 교수방법으로는 학생들 이름 자주 불러주기, 문답 및 토론 형식의 수업 방식 추천의 의견이 있었다. 이상적인 비대면 원격수업으로는 상호작용이 활발한 수업(5)과 학습자의 흥미를 반영한 수업(3)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비대면 원격수업을 블렌디드러닝 형식으로 지속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의견으로는 찬성(12)하는 의견이 반대(8)하는 의견보다 다소 많았다. 찬성하는 의견으로는 사회적 변화에 따른 교육 방식의 변화에 대한 필요성을 느낀다(4)는 의견이 많았다. 또한, 역동적인 수업이 가능하고, 오프라인 수업의 단점의 보완이 가능하며, 영어쓰기수업에서 개별적 피드백이 용이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수 현장에서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비대면 원격수업 활용에서 학습자가 정해진 시간에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 쌍방향 수업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측면에서, 디지털 능력에 관한 연수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교육이나 연수는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의 비대면 원격 우수 수업에 관한 정보를 풍부하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 유명 유튜버와의 직접적인 만남을 통한 교육도 유용할 것이다. 교수 방법 측면에서, 비대면 원격수업에서 상호작용을 활발히 하기 위해서, 학습자 중심의 그룹활동을 활발하게 진행할 필요가 있다. 교사는 쌍방향 수업에서의 그룹화 기능과 채팅, 손들기, 질문하기 등의 기능을 필수적으로 숙지하여 디지털 기기 활용에서의 능숙함으로 학습자에게 신속한 피드백을 제공한다면, 더 활발하게 소통하는 수업이 될 것이다. 수업 자료 활용 측면에서, 교사들이 비대면 원격수업에 대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네트워크 활성화와 참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몸이 불편한 학습자가 비대면 원격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 도우미나 멘토 및 학습 도구의 제공이 필요하다. 비대면 원격수업에서 교사는 쌍방향 수업으로 수업을 진행하면서, 학습자의 학습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풍부한 학습 자료를 제공하고, 학습자 중심의 토론 위주의 학습으로 수업을 진행할 때, 보다 성공적인 비대면 원격수업이 될 것이다. After COVID-19 occurred unexpectedly, there was a dramatic shift in the education system. In order to protect the spread of COVID-19, student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as well as university had to attend the distance learning. The ministry of education tried to offer the equipment for students to attend the distance class without physical difficulty. Despite of the effort, teachers and students had lots of concerns regarding the distance class. One of the serious problems during the COVID-19 period is about the educational gap. This study focuses on finding specific difficulties of distance learning and solu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s teachers’ current use and perception of distance learning.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20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the individual interview. The results based on the frequency analyses are as following: Above of all, the distance learning type used in the distance learning most was interactive class.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beginning period and current period in using the distance class was the teachers’ digital literacy. The teachers were able to improve their digital literacy a lot. Next, most teachers’ perception about distance learning was negative in the beginning. They were worried about the connection of the internet and mechanical errors. On the other hand, some teachers with positive view of distance learning thought it is a proper time for teachers to be ready for distance learning along the flow of rapidly changing world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perception of the teachers, the advantage of distance learning was that it is possible to use distance learning regardless of the certain time or place. On the other hand, the disadvantage of distance learning was that teachers are not able to recognize students’ understanding and participation closely. Teachers preferred face-to-face class to non face-to-face class. The reason is based on the ease of interaction. It was recommend for teachers to use various programs such as Tinkerbell, Padlet, iPad, YouTube, Kakaotalk. In the aspect of teacher strategy, it was recommend to call students’ name often or lead group activities not teacher-centered class. To be an ideal distance class, active interaction was the most important. It is considered good to use the distance class continuously like the blended learning for the future. According to these analyses, several suggestions can be discussed. First, in the type of distance learning, it would be ideal to use distance learning not content learning and homework-oriented learning. Second, in the aspect of digital literacy, it is recommended to hold digital education continuously for teachers. Famous youtubers can be invited as an instructor. Foreign excellent class can be introduced to teachers. In the aspect of teaching, it is recommended to use group activities in order to enhance the amount of interaction. In the aspect of material, it is recommend for teachers to participate in the teacher community actively in which they can share abundant helpful information and share their high-quality materials used in the distance learning. Finally, it is recommended to send disable students learning assistants so that they can participate in distance class comfortably.

      • 슐만의 교수내용지식: 의의와 한계

        박지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슐만(L. S. Shulman)이 교사 전문성의 핵심 개념으로 제시한 교수내용지식(PCK,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의 의의와 한계를 알아보고 이 한계를 극복하려면, 교사의 이해를 오우크쇼트(M. Oakeshott)가 제시한 실제적 지식(practical knowledge)의 관점에서 바라보아야 함을 주장한다. 슐만은 ‘교과 지식은 어째서 학생에게 이해되는가’라는 근원적 물음을 제기하며, 교수내용지식을 개념화한다. 교과서에 적 힌 지식을 읽고 쓰게 하는 것으로는 학생에게 그 지식을 이해시킬 수 없다. 교사는 교과서에 적힌 지식에 관한 자신의 이해를 학생이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전환한다. 가르칠 수 있는 형태로 전환된 교사의 이해가 바로, 교수내용지식이다. 교수내용지식은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그간 철저하게 외면받았던 교사의 이해를 교사 전문성 논의의 중심으로 되가져왔다. 둘째, 교사가 다양한 지식기반을 바탕으로 복잡한 인지적 판단 과정을 거쳐 수업을 수행함을 드러냈다. 셋째, 그간 철저히 분리된 채 다루어져 온 교육 내용과 교육 방법 사이의 분리를 극복하고자 했다. 슐만은 교과에 관한 교사의 이해를 수업 전에 이미 완료된 것으로 본 결과, 교수내용지식을 표현 기법에 관한 지식으로 축소 해석한다. 표현 방법으로서의 교수내용지식은 교사의 이해가 결과적으로 어떻게 표현되는지만 문제 삼음으로써 교사의 의도나 사고를 여전히 도외시하며, 교육 내용과 교사의 삶을 분리한다는 한계를 갖는다. 표현 방법으로서의 교수내용지식이 갖는 한계는 교사의 이해를 실제적 지식의 관점에서 이해함으로써 극복할 수 있다. 실제적 지식은 그것이 발휘되는 실제를 통해서만 전형적으로 표현되는 지식이다. 흔히, 교사는 수업 전에 교과 지식에 관한 이해를 완료한 상태로, 완료한 이해를 학생에게 설명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수업 전에 교사가 갖춘 이해는 불완전한 이해이다. 교과 지식에 관한 이해(교과에 표현된 인간의 마음을 이해하는 일)는 오직 구체적 교과 지식을 다루는 과정에서만 그 모습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실제적 지식의 성격을 갖는다. 수업에서 교사가 교과 지식을 설명하는 일은 교사의 입장에서는, 그 지식에 담긴 인간의 이해를 자신의 이해로 만드는 과정으로 수업 전에는 불완전했던 이해가 점진적으로 완성되어가는 과정이다. 교사가 자신의 이해를 완성해 나가는 모습은, 학생의 입장에서 보면, 교사가 가진 이해가 학생에게 전달되는 과정이다. 학생이 교과 지식을 이해할 수 있는 이유는, 교사의 이해가 전달되었기 때문이다. 학생에게 전달된 지식이 교사의 이해라는 점에서 교수내용지식은 곧 교사의 이해라 할 수 있다. 이해로서의 교수내용지식은 교육 내용과 교육 방법 사이의 떼려야 뗄 수 없는 관련을 드러낸다. 첫째로, 교사의 이해는 오직 가르치는 활동에서만 그 모습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교사의 이해(교육 내용)와 수업(교육 방법)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련을 맺는다. 두 번째로, 교사의 이해로 말미암아 학생이 교과 지식을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사의 이해와 학생의 이해 사이의 긴밀한 관련을 드러낸다. 뿐만 아니라, 교과 지식을 가르치는 일은 곧 교과에 표현된 인간의 이해를 자신의 이해로 삼는, 심성 함양의 과정이라는 점에서 교육 내용은 교사의 삶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요컨대, 교사의 이해를 실제적 지식의 관점에서 보면, 슐만이 극복하고자 한, 교육 내용과 교육 방법 사이의 분리뿐만이 아니라 교육활동과 교사의 삶의 분리도 극복할 수 있다. 교사의 이해를 바라보는 두 관점의 차이는, 교과 지식의 가치에 관한 인식의 차이에서 비롯된다. 교과 지식은 수단이 아니라, 인간이 자신의 심성을 함양할 수 있는 유일한 방편으로, 그 자체로 추구되어야 할 목표다. 수업은 표현 기법의 적용을 기다리는 문제상황이 아니라, 교사의 이해가 완성되는 유일한 통로다. 또한 교사는 교수법의 적용가가 아니라, ‘문명의 대리인’으로 심성 함양의 모습을 보이는 자이다. 의사나 변호사 등 다른 여타 전문직은 자신들의 지식을 실제에 적용하는 일을 하지, 상대방에게 그 지식을 이해시키는 일을 하지 않는다. 반면, 교사는 교과 지식을 학생들에게 설득하는 일, 즉 이해시키는 일을 한다. 교사가, 교과에 표현된 인간의 마음을 자신의 마음으로 함양하는 과정을 직접 보임으로써만 학생에게 교과에 표현된 인간의 마음을 이해시킬 수 있다. 교사는 수업에서 그의 학생과 같이 교과를 이해하는 일, 다시 말해 심성을 함양하는 일을 하는 것이다. 교사가 심성을 함양한 자의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점은 교사의 전문성은 최종적으로 마음 상태, 즉 인간성 획득에 있음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L. S. Shulman's PCK were dealt with. PCK was intended to overcome the separation of content and pedagogy. But as a result of viewing the teacher's understanding as completed prior to class, PCK was interpreted as knowledge of expression techniques. This perspective not only separates content and pedagogy, but also separates subject knowledge and teacher life. This limitation can be overcome only by interpreting understanding of content knowledge from the point of view of ‘practical knowledge’ which is proposed by M. Oakeshott. Understanding subject knowledge, which means understanding the human mind expressed in subject matter, has the character of ‘practical knowledge’ in that it only appears in the process of dealing the specific subject knowledge. From the view point of ‘practical knowledge’, a teacher's understanding is only completed ‘in the course of instruction’. The teacher's explanation of subject knowledge in class is a process of making the human understanding contained in that knowledge into his or her own understanding, and the understanding that was incomplete before the class is gradually being completed. From the student's point of view, the teacher's way of completing his or her understanding is the process in which the teacher's understanding is transmitted to them. The reason that students can understand subject knowledge is because the teacher's understanding is communicated to them. In the sense that the knowledge delivered to the students is the teacher's understanding, the PCK can be said as the teacher's understanding. PCK as understanding reveals the inseparable link between the content and pedagogy. First, teacher's understanding and instruction are inextricably linked in that the understanding of teachers is revealed only in teaching activities. Second, in that the student can understand subject knowledge through the teacher's understanding reveals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understanding and the student's understanding. In addition, teaching subject knowledge and teaching activiti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life of a teacher in that teaching subject knowledge is a process of cultivating the mind, taking the human understanding expressed in the subject as one's own. If we look at the teacher's understanding from the view point of the ‘practical knowledge’,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separation between the educational activity and the teacher's life as well as content and pedagogy which Shulman tried to overcom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perspectives on the teacher's understanding stems from the difference in perspective on the value of subject knowledge. Subject knowledge is not a means, but a goal in itself to be pursued. Subject knowledge is the only way for human beings to cultivate their own mentality. Class is not a problem situation waiting for the application of expression techniques, but is the only path through which the teacher's understanding is completed. Also, the teacher is not an applicator of teaching, but a person who shows the image of cultivating the mind as an agent of civilization. Other professions, such as doctors and lawyers, apply their knowledge to practice, not persuade others. On the other hand, the teacher works to persuade, that is, to make their student understand the subject knowledge. Understanding the human mind expressed in the subject is possible only by directly showing the process of cultivating the human mind expressed in the subject into one's own mind. The teacher and the student do the same thing in class, that is they are doing self-cultivation together. The fact that a teacher should show the image of a person who has cultivated the mentality through subjects suggests that the professionalism of the teacher is ultimately in the state of mind, that is, the acquisition of humanity.

      • 신플라톤주의적 관점으로 본 산드로 보티첼리(Sandro Botticelli)의 여인상 연구 : 성모와 비너스를 중심으로

        박지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15세기와 16세기에 걸쳐 피렌쩨에서 활동했던 화가인 산드로 보티첼리의 여인상을 성모와 비너스상을 중심으로 신플라톤주의적 관점에서 연구한 것이다. 신비스러운 분위기와 양식적인 화려함을 통해 아름다움의 대명사로 일컬어지고 있는 보티첼리의 여인상에 대한 기존의 연구가 그의 신화화의 여인들, 특히 비너스에 집중되어 있는 것과 달리, 그 관심의 영역을 성모상에까지 확장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새로운 의의를 가진다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의 틀이 되는 15세기 신플라톤주의 철학은 당시 피렌쩨를 실질적으로 통치하였으며, 보티첼리의 가장 강력한 후원자였던 메디치 가의 후원 하에 마르실리오 피치노에 의해 주도된 것이었다. 이 철학의 중심축을 이루는 개념은 사랑과 미의 개념이었는데, 이는 인문주의자들의 열광적인 호응과 함께 당대 문학과 예술에 적극적으로 반영되었다. 특히 이 사랑과 미의 개념이 회화예술에서 일반적으로 여인의 이미지를 통해 표현된다는 사실과 신플라톤주의자들의 중대한 과업중의 하나가 그들의 철학을 통해 기독교 신앙을 강화하고자 함이었음을 고려해 볼 때, 보티첼리의 회화에 나타난 성모와 비너스의 이미지가 가지는 유사성은 양식적인 차원을 넘어선 사회, 문화적 의미를 가지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성모가 가지는 두 가지 속성, 즉 인간 예수의 어머니로서의 지위와 신의 어머니(천상의 여왕)로서의 지위는 신플라톤주의의 쌍둥이 비너스가 지니는 천상적 속성과 지상적 속성에 직접적으로 부합할 수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작업 초기부터 성모와 여러 도덕적 개념을 표상하는 여인들의 표현에서 많은 특징들을 공유하였던 보티첼리가 성기에 이르러 성모와 비너스를 당대 피렌쩨라는 현세적 공간에 위치시키면서도 이들을 현세를 덧없는 것으로 여기는 듯한 표정으로 묘사한 것은 인간의 형상으로 지상에 거주하나 본질적으로 인간과는 다른 속성을 지닌 성모와 '신적 선의 광휘'로서의 미를 표상하는 비너스를 동일한 맥락에서 파악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화가의 성모상에 일관되게 나타나는 '담으로 둘러싸인 정원'과 '책'의 모티브는 이 두 여인의 개념을 연관지을 수 있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담으로 둘러싸인 정원에 의해 속세의 죄로부터 보호되는 성모의 순결성은 신플라톤주의 철학에서 자연계를 넘어선 위계에서 유출되는 미를 의미하는 비너스의 초현세성과 부합할 수 있다. 특히 보티첼리는 이 모티브를 통해 성모와 비너스를 '봄'이라는 동일한 시간에 위치시키고 있는데, 이는 봄의 이교 신화적 의미를 예수 부활과 세례를 통한 영신적 재생이라는 기독교적 의미로 치환하고자 했던 신플라톤주의적 시도의 회화적 증거라 하겠다. 또한 활자인쇄술의 발명으로 책의 대량생산이 가능해진 시대적 배경을 통해 더욱 정교한 형상으로 화가의 성모화에 등장하는 '책' 모티브는 당시 피렌쩨에서 활발하게 전개되었던 학문연구의 풍토를 반영하며, 성모를 신플라톤주의에서 지성을 가진 존재로 간주되는 비너스와 연관짓는 역할을 한다. 후기 여인상 표현에 있어서 보티첼리는 성기 회화의 장식적인 요소를 배제하고 종교적 회개에 기반한 내면적 정서표현에 주력하였는데, 이러한 변화는 1492년 로렌쪼 데 메디치의 사망 이후의 사회적 혼란과, 같은 시기에 피렌쩨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기 시작한 사보나롤라의 개혁적 종교운동과 깊은 관련을 가진다. 그러나 성기와 후기 여인상 사이의 양식적 상이성은 보티첼리와 신플라톤주의 사상의 결별을 의미한다기보다, 화가가 전 생애에 걸쳐 구현하고자 했던 '신적 선의 광휘'로서의 미 개념을 기독교적으로 승화시킨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woman images of Sandro Botticelli, a Florentine artist of the 15th and 16th century, from a Neoplatonistic point of view with emphasis on Virgin Mary and Venus. Through the mysterious atmosphere and magnificent style in his work, his woman images have through time become a synonym for Beauty. While the existing established research on his works until now has put too much importance on Venus and other pagan godesse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widen the academic interest for Botticelli's woman images, and to focus on the philosophical and religious meaning in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Virgin's and the Venus' figures in his paintings. There has been very little research done on this aspect, therefore this study is both original and of significance. Quattrocento Neoplatonism in Florence, which constitutes the framework for this study, was lead by Marsilio Ficino with the patronage of the Medici family who was practically dominating Florence at the time. The notions of Love and Beauty were the main components of this philosophy, which influenced contemporary literature and art with enthusiastic response from the Medici Humanists. Most importantly, considering that the concept of Love and Beauty in visual arts is generally represented by woman figures, and the fact that Neoplatonists tried to strengthen Christianity through their philosophy, Botticelli's Virgin and Venus figures are possibly not only similar in style, but also in sociocultural context. The two natures of Virgin Mary, i.e., as the human Christ's mother and as the mother of God (Regina Coeli) correspond well with the two natures of the Twin Venuses in Neoplatonism. Even though Botticelli, who had used many similar elemental styles when presenting the Virgin Mary and other women who were the personifications of virtues in his early period (1465-1477), set both the Virgin and Venus in 15th century Florence in his mature period (1477-1490), he depicted the two women as if they would not have any interest in this natural world. The reason for this could be that although he regarded the Virgin Mary as a human being who habitates on earth, she is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human beings in the same way Venus represents 'the splendor of God's Good' in Neoplatonism. The repetitive use of the enclosed garden (Hortus Conclusus) and the book motif offer significant clues to connect the painter's Venus and Virgin Mary. The chastity of the Virgin which is protected in the enclosed garden from the sins of the mundane world corresponds to the transcendental characteristic of Venus in Neoplatonism. Especially by this motif, Botticelli places both Venus and the Virgin in the same season, Spring. This can be a pictorial proof of Neoplatonists substituting the resurrection of Christ or the spiritual rebirth by Baptism for the allegorical meaning of Spring in pagan mythology. The book motif in his paintings for the Virgin also inflects the vigorous academic emphasis in Quattrocento Florence and relates the Virgin Mary to Venus who is considered as having Intellect in Neoplatonism. In the representation of woman in his late period (1490-1510), Botticelli tended to get rid of the decorative elements from his mature period and concentrated on the expression of inner emotion. This was in accordance with the social unrest after Lorenzo il Magnifico's death and the powerful and influential reformist religious movement of Savonarola in the late 15th century Florence. However, the distinction in style between the woman images of his mature and late period does not imply a separation from Neoplatonism. It should rather be regarded as the Christian sublimation of the depiction of Beauty as 'non so che divino' which the painter had eagered to represent all his life.

      • 독신가구를 위한 오피스텔 건축계획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박지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보통신의 발달로 야기된 사회의 급변화는 인구의 증가와 발달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다. 특히, 성공을 중시하는 세계적인 풍조는 젊은 세대에게 결혼이라는 제도에 대한 반감을 일으키게 되었고, 물질의 풍요로움과 다양한 기술의 개발 등으로 인한 생활의 편리함은 점차 독신자의 증가추이를 가져오게 되었다. 이에 2007다보스포럼(WEF)에서는 ‘싱글 이코노미’라는 용어가 의제가 되어 논의되었으며, 미국의 경우 독신인구가 인구의 약 50%에 달하며, 프랑스 파리는 2가구당 1가구가 독신가구라고 전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와 가까운 곳에 위치한 중국과 일본도 늘어나는 독신가구로 인해 사회경제적으로 다양한 제도와 대비책을 마련하고자 하는 등 독신가구의 급증은 이제 세계적인 사회현상이 되었다.이처럼 전 세계의 가장 큰 변화 중 하나로 손꼽히고 있는 독신가구의 증가는 하루아침에 일어난 일이 아니다. 그러나, 워낙에 급하게 전개된 현상이기에 모든 사회전반 분야에서 이들을 위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특히, 사회적인 변화와 수요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여야 하는 건축분야는 그 어떤 분야보다도 시급히 독신가구를 위한 주거공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이 사실이다.이에 본 논문은 독신가구를 위한 주거공간으로서 오피스텔이 가장 적합한 건축적인 대안이라고 제시하며, 독신가구를 위한 오피스텔 건축계획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문헌고찰, 오피스텔 실태조사, 수요자 설문조사 및 전문가의 면담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종합하여 결론으로 제시하였다.먼저 ‘독신가구’와 ‘오피스텔’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서 각각에 대해 다양한 유형을 정리하고 그 특성을 이해하였다. 그 결과 독신가구의 증가는 세계적인 추세이며 사회문화적인 변화와 맞물려 향후 더욱 가속화될 것이고, 독신가구를 이루는 독신자는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지만, 그 중에서 사회적으로 영향이 가장 크게 나타날 수 있는 유형은 자발적 독신인 ‘콘트라섹슈얼’이라 불리는 유형으로 주거를 포함하여 이들을 위한 사회전반적인 기반산업의 육성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오피스텔은 우리 사회의 도시문제에 대한 건축적인 대안으로 사회적인 요구와 의미가 강하게 함축되어 출현된 주거유형으로서, 그 특성상 업무시설로 분류되어 건축법의 적용을 받고 있지만, 현재 업무와 주거의 겸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점차 도시생활 거주자들을 위한 주거유형의 대안으로 인식되고 있고, 이에 독신가구를 위한 주거유형의 대안으로서 오피스텔이 높은 적합성을 가지고 있으나, 독신가구의 다양한 요구사항에는 현재의 오피스텔의 계획이 만족스럽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3장에서는 현재 공급되고 있는 오피스텔의 실태조사를 통하여 문헌고찰에서는 살펴볼 수 없었던 건축계획적인 다양한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실태조사시 사용된 틀은 건축계획각론에 의거하여 오피스텔의 기능을 고려하여 오피스와 주거공간 등에 대한 이론을 근거로 재구성되어 건축계획적인 요소로서 배치계획, 공용공간, 주변입지, 내부설비와 단위실 공간구성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틀을 근거로 조사분석한 결과 몇 가지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었는데, 구체적으로 살펴보자면 단위실의 인접과 오피스텔의 특성상 도심에 입지하게 되는 지리적인 특성으로 인해 야기되는 다양한 소음과 환기, 일조 및 채광, 통풍 등의 환경계획적 문제점과 방음계획·기준층계획의 미비 등으로 야기되는 프라이버시의 침해 및 일반인들의 빈번한 출입으로 인해 비롯되는 다양한 범죄문제 등의 사회심리적 문제점, 주거와 업무 기능의 혼재로 일어나는 공간특성화의 부재로 인한 공간계획적인 문제점 등을 도출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오피스텔의 다양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건축계획적으로 다양한 방안을 연구하고 모색함과 동시에 오피스텔의 거주자들의 의견을 우선적으로 수렴하여 연관시켜 계획하여야 할 것이다.4장에서는 개선방안의 제시단계에서 실태조사에서 도출된 문제점과 더불어서 참고요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요자의 주거선호도와 전문가의 주거요소 중요도를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와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수요자들에게서는 30평형 이상의 중형이상 평형의 선호와 다양한 공간에 대한 계획, 방음설비 시스템 등의 최첨단 설비시스템의 선호, 건강을 위한 부대시설의 계획 등과 더불어서 교통과 공공시설의 이용이 편리한 입지적인 환경을 매우 선호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맥락으로 전문가들도 오피스텔의 입지적인 환경을 매우 중요시여기고 있었으며, 최첨단 설비시스템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었다. 그러나, 부대시설에 대한 계획의 집중으로 인해 단위실이나 단위실이 위치한 기에 대한 계획이 중요하지 않게 다루어지고 있어 수요자들의 요구에 부합하지 못함고 있음을알 수 있었다. 따라서, 오피스텔 건축계획시에는 입지환경적인 측면이 개발 계획시부터 심도 있게 다루어져야 할 것이며, 독신가구의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하여 각종 최첨단 시스템의 확충 및 다양한 부대시설에 대한 계획, 건물 내외부의 휴게공간 등의 조성 계획이 필요하다. 또한, 단위실 평면의 다양화와 더불어서 방음설비가 갖추어진 취미공간 등의 새로운 공간의 제시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이상의 연구를 종합 분석하여 독신가구를 위한 오피스텔 건축계획의 개선방안을 배치계획, 공용공간, 내부설비, 주변입지환경, 단위실 등의 5부분으로 나누어 제안하였다.먼저, 배치계획에 있어서는 다양한 기능을 가진 오피스텔의 특성상 그 이용자가 많으므로 중정형을 이용한 건물배치로 이용자들의 공간활용도를 높여주며, 입주자의 프라이버시를 고려하여 저층부의 일반인과의 출입구의 차별화 등을 계획하도록 제시하였다. 공용공간에 있어서는 이용자가 많으므로 주변도로환경과 연계하여 주차시설의 편리와 주차동선에 대한 고려, 입주민들의 편의를 위한 업무전용공간의 설치와 공동의 커뮤니티를 위한 휴게공간의 확보, 웰빙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선호를 감안하여 건강유지형 부대시설에 대한 계획이 이루어져야 함을 명시하였다. 이와 더불어서 초고속 정보통신망 및 방음설비 시스템 등의 최첨단 설비시스템에 대한 적절한 계획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오피스텔의 다양한 기능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주변입지환경이 매우 중요하므로 개발계획 수립시부터 주변입지에 대한 깊은 고려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마지막으로 단위실에 있어서는 20~30평형대의 중형이상의 다양한 평면개발이 필요하며, 프라이버시를 위한 기능별 실의 분리와 더불어서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반영으로서 취미활동 등을 위한 실의 계획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 속에서는 다양한 활동이 전개될 수 있으므로 방음에 대한 고려가 필수적임을 명시하였다.

      • 뮤지컬을 활용한 음악교과와 역사교과 통합수업 지도방안 연구 : 뮤지컬《영웅》을 중심으로

        박지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wentieth century's education field has been interested in empathizing academic achievements throughout competition between students, causing inhumane educational environments for students. Due to current situation, educators, including researchers and the conductors, came to construct similar goal: a way to foster the holistic person, individual not only with higher intellectual level but also with better mind. Following current spectrum of education, this study demonstrated integrated educational curriculum of music and history based on 2009 revised secondary curriculum and Fogarty's integrated education model with analysis of musical <Hero>. Throughout analyzing musical <Hero>, integration of music and history curriculum on Japanese colonial era was demonstrated in this study. With analysis of musical, musical relevance to historical fact were identified and used to demonstrate integrative educational curriculum. Appreciating and analyzing relevant music to the historical facts were used to enhance understanding of certain historical events. Education curriculum constructed in this study is consisted with 45 minute of two consecutive sessions of classes and targeted middle school students. In this study, characteristics o relevant music from <Hero> were appreciated and analyzed to easier understanding of historical facts throughout this integrated curriculum. In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conducting the integrative curriculum constructed in this study might cause meaningful and effective educational outcome not only for the students but also the educators. 20세기 근대화, 산업화 시대를 거치는 동안 교육현장에서는 경쟁을 토대로 이루어낸 학업성취로 지적인 성장만 강조하는 비인간적인 교육현실을 맞이하게 되었기에 현재의 교육자들은 지적, 정의적, 신체적 및 사회적 특성 등을 고루 다 갖춘 창의융합 인재인‘전인적(全人的) 인간’을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발맞춰 본 연구에서는 2009개정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근거로 하여, 포가티의 통합유형의 모형을 기초로 뮤지컬《영웅》을 활용한 음악교과와 역사교과와의 연관성을 통한 통합수업 교수학습-지도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제강점기’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음악교과와 역사교과를 통합하며, 뮤지컬《영웅》에서는 역사적 사건들이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아리아, 레치타티보, 합창의 음악적 특징 잘 나타나 있는 제재곡을 선정하여 악보를 분석하였으며, 분석을 통하여 각 장면에 해당하는 역사적 사실과의 음악적 관련성을 찾아 역사교과와의 통합수업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수-학습지도안은 총 2차시로 구성하였으며, 주 1회 45분 수업의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다. 수업을 통하여 뮤지컬의 장르적 특성을 이해할 수 있으며,‘당신을 기억합니다 황후마마여’와‘장부가’‘누가 죄인인가’각 장면에 쓰인 곡의 음악적 특징들을 파악하여 뮤지컬 넘버와 역사적 사실들을 관련지어 감상함으로써, 역사적인 사건을 텍스트로 받아들이는 것보다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음악교과와 역사교과 주제 중심 통합수업을 통하여 학습자들은 물론, 교수자에게도 효과적이고 의미 있는 교육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