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깃요소 운동량 이론, 실험유체 및 전산유체해석 기법을 이용한 저 레이놀즈 수 프로펠러 성능 해석

        박지원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order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propellers operating at low Reynolds numbers, wind-tunnel tests, CFD computations, and blade element momentum theory have been carried out for a range of advance ratio. The wind-tunnel test of the propeller designed for high altitude solar UAV application was conducted at fixed rpm, in a suction-type subsonic low-speed wind tunnel of Sejong University. Thrust and torque data of the propeller were acquired using a thrust load cell and a torque sensor. Each test was repeated five times and averaged for a preset time period, to assure reliability and repeatability of the experiments CFD simulations of the flow-fields around propellers have been carried out for the same propeller design, by using Moving Reference Frame (MRF) method. The computations grid system of the flow field was generated using Fluent Meshing V17.2. The boundary layer thickness was calculated by assuming flat plate flow at the Reynolds number of 75% radius section, and grid independency was determined according to boundary first layer thickness using grid resolution study. The Y+ was selected so that the thrust change was below 1e-03. The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was performed by using Fluent V17.2 and RANS governing equation set. The rotating zone and stationary zone were separated in the MRF method, and the discontinuous grids of the planes between the two separated zones were set to be continuous by using mesh interface function. The thrust and torque of propeller were also calculated by blade element momentum theory. The aerodynamics of propeller airfoil was calculated by a modeling program, which adjusts aerodynamic data of the airfoil to accommodate the change in induced velocity of the propeller. The propeller efficiency was predicted over a range of advance ratio using calculated thrust and power. Each three analysis results was analyzed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result of UIUC propeller wind tunnel test. From the results of wind-tunnel test, the thrust and torque were predicted about 0.4N, 0.01Nm less than BEMT results at the operating condition because of the errors of pressure sensor and torque sensor. The efficiency of propeller was measured 5% less than BEMT result. From the results of MRF simulations, induced velocity distribution generated by the propeller has been observed and confirmed the propeller-blade surface pressure and skin friction distributions at design point and off design points. The change of flow field velocity around the propeller and pressure were also analyzed for a preset range of advance ratio. The thrust was predicted about 0.1N bigger than UIUC test result, and the efficiency of the propeller was also measured about 2% bigger than UIUC test result. From the results of BEMT simulations, because the drag of aerodynamics modeling was predicted little less, the torque estimated less than others. As a results, the efficiency of propeller measured bigger than others. The thrust distribution according to propeller radius were observed of the BEMT and MRF. After propeller radius 75%, the thrust of MRF predicted bigger than BEMT, as a results, the total efficiency of MRF measured bigger than BEMT results. 저 레이놀즈 수 프로펠러 성능해석을 수행하기 위해 풍동시험, 전산유체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전진비에 따른 깃요소 운동량 이론 해석을 수행하였다. 풍동시험을 위해 고고도 태양광 무인기용 프로펠러를 설계 및 제작하였으며, 풍동시험은 세종대학교에서 보유하고 있는 흡입식 아음속 풍동시험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프로펠러의 추력 및 토크는 로드셀과 토크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풍동시험의 신뢰성을 위해 5회 반복 시험 후 결과를 평균 산출하였다. 풍동시험과 동일한 프로펠러를 사용하여 CFD해석을 수행하였으며, 프로펠러 주위 유동을 관찰하기 위하여 MRF(Moving Reference Frame)기법을 사용하였다. 전산유체해석을 위해 Fluent Meshing V18.0을 사용하여 격자를 생성하였다. 평판 이론을 적용하여 프로펠러 반경 75% 구간의 경계층을 계산하였으며, 격자 해상도 연구를 통하여 격자의 독립성을 판단하였다. 경계층 첫 번째 격자의 두께를 결정하기 위하여 추력의 오차가 0.1%이하로 수렴하는 Y+를 선정하였다. 전산유체해석은 Fluent V18.0을 사용하였으며, RANS 지배 방정식을 적용하였다. MRF 기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회전 영역과 비회전 영역을 분리하였으며, 두 영역 사이 불연속적인 격자는 격자 인터페이스 기능을 사용하여 격자가 연속되도록 설정하였다. 깃요소 운동량 이론을 이용하여 프로펠러 추력 및 토크 특성을 분석하였다. 유도 속도를 고려한 프로펠러 익형의 공력 데이터를 모델링하기 위하여 Matlab을 이용하여 공력 모델링을 설계하였다. 계산된 추력 및 토크를 이용하여 전진비에 따른 프로펠러 효율을 예측하였다. 3가지 기법에 대한 프로펠러 추력 및 토크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UIUC 풍동시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운용 유속 조건 12.8m/s에서 풍동시험 결과, 유속 측정 및 토크 센서의 오차로 인해 추력 및 토크가 깃요소 운동량 이론 대비 약 0.4N, 0.01Nm 낮게 예측되었으며, 효율 측면에서도 약 5% 낮게 측정되었다. MRF 해석 결과, 프로펠러의 의해 발생하는 유도속도를 관찰하였으며, 운용, 비운용 유속 조건에서 프로펠러 표면 압력 및 표면 마찰 분포를 확인하였다. 또한, 전진비에 따른 프로펠러 주위 유속 및 압력을 분석하였다. MRF 해석 결과, 추력이 UIUC 시험 결과 대비 약 0.1N 정도 높게 예측함에 따라 MRF 효율이 UIUC 시험 결과 보다 약 2% 높게 측정되었다. 깃요소 운동량 이론 해석 결과, 운용 레이놀즈 수에서 공력 모델링의 항력이 다소 낮게 예측되었기 토크가 다른 기법 대비 낮게 측정되었으며, 이에 따라 효율이 다른 기법에 비해 약 1~5% 높게 예측됨을 확인하였다. 프로펠러의 반경에 따른 추력 특성을 관찰하였다. 프로펠러 반경 75%이후부터 MRF 해석 결과가 깃요소 운동량 이론 해석 결과보다 더 높게 예측되었으며, 결론적으로 프로펠러 전체 추력이 더 높게 측정되었다.

      • 자외선(UV-B) 처리에 따른 식용화 팬지의 생장과 항산화물질 변화

        박지원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식용화 팬지(Viola ×wittrockiana ‘Rose’와 ‘Yellow’, Viola cornuta ‘Purple’)를 대상으로 실내 조건에서 자외선 처리에 따른 생장반응과 꽃잎의 항산화물질 변화를 조사하였다. 실내 광량은 LED 광원(백색)을 이용해 100μmol·m-2·s-1(PAR)로 설정하였고 아침 8시부터 저녁 10까지 14시간 보광하였다. UV-B 처리는 보광 중간(7시간 경과 시)에 10분(UVB-10), 20분(UVB-20), 30분(UVB-30)간 실시하였다. 그 결과, ‘Purple’, ‘Rose’ 품종은 자외선 처리시간이 길어질수록 생체중과 꽃 수확량 등 생장이 감소하였고 ‘Yellow’ 품종의 경우 생체중 감소와 달리 수확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 때 ‘Rose’ 품종은 UVB-30 처리에서 개화되지 않았다. 엽록소 형광 반응 지수인 Fv/Fm 역시 감소하였고, 부적정한 광조건 스트레스 지수인 NPQ는 증가하여 자외선 처리가 생장 및 광합성 효율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외선 처리로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세 품종 모두 증가하였고, ‘Yellow’ 품종의 경우 UVB-10 처리에서 65.18mgㆍg–1FW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화색소는 안토시아닌이 구성된 ‘Purple’, ‘Rose’ 품종에서는 자외선 노출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안토시아닌 함량이 증가하였고, 화색소가 카로티노이드로 구성된 ‘Yellow’ 품종에서는 카로티노이드 함량이 증가하였다. 한편 페놀 함량과 DPPH 라디컬 소거능력은 처리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팬지 생장과 식용꽃 수확량 그리고 항산화 물질 축적과 관련하여 자외선(UV-B) 조사 효과는 10-20분 정도의 수준에서 인정되었다.

      • 히어리의 鎭痛 效能

        박지원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Anti-nociceptive activity of Corylopsis gotoana Park, Zi Won Dept. of Oriental Pharmacy College of Pharmacy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Directed by Prof. Jeon, Hoon, Ph.D.) Corylopsis gotoana has been widely used as a traditional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lots of disease including cold, edema and vomiting. However pharmacological and phytochemical studies on the C. gotoana are extremely limited. Here in this study, the author investigated the anti-nociceptive effects of the methanolic extract of Corylopsis gotoana (MCG) using various pain models. In the present study, MCG exhibited strong and dose-dependent anti-nociceptive activities on various experimental pain models including thermal nociception and chemical nociception, compared to positive control such as tramadol and indomethacin. In addition, the result from combination test using naloxone, analgesic activity of MCG was slightly reduced, indicating that MCG acts as a partial opioid receptor agonist.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MCG has potent analgesic potential and thus it may be possibly used as a valuable anti-nociceptive agent.

      • 燕巖 朴趾源의 實學的 敎育思想 硏究

        박태영 全南大學校 1989 국내석사

        RANK : 247646

        Park Chi-Won (1737 A. D. -1805 A. D.), one of the most erudite scholars of the Silhak school (neo-confucianism), established a practical and positive school tradition in order to build up a better society. He also criticized severely the corruption in the feudal regime during the Yi dynasty in the 18th century. His though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is Silhak thought was based on Confucianism, and he made much of seeking for the realization of true virtue. Second, as a scholar of the Pukhak school which laid great emphasis on the concept that welfare is gained after utilization, Park Chi-Won maintained that the school and economic organization of his time had to be reformed by means of receiving and absorbing the advanced foreign civilization. Third, his interest in astronomy and geography as an essential part of Western natural science led his way of thinking to become rational and scientific. Fourth, even though he was born in the aristocratic class (the Korean nobility), he not only criticized severely the corruption of the nobility society, but also attempted to enlighten the people. Park's educational theory, which he contributed to Silhak though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f we judge his educational theory from the view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systems, his view of evaluating the person is based on the Silhak thought of the truth studied from substance, which gave birth to his educational idea of 'Improving living conditions and increasing the wealth at the people and his educational objective of 'realization of true virtue' . He sought for such types of the educated person as an economical capable person possessing morality as well as the rational and scientific way of thinking, a humanist who attaches great importance to human equality, and a nationalist who holds the consciousness of his national identity. He also stressed that a regional education should be fostered through his 'theory of flourishing local schools' and that the curriculum was important. Second, he emphasized transforming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past into those at Silhak thought, thereupon formulating a theory of reforming the educational curriculum through such a transformation. Even Korea was importing the revised civilization at the Ch`ing(淸) dynasty, he paid much attention to Korea's' uniqueness based on its educational system along with the consciousness of its national identity. Nearly 200 years ago he accused the Sungri scholars(性理, who studied Chinese Confucianism) of reading impracticable books such as Yulha-ilgi, Kwanong-socho and claiming to develop hundreds of new technological ideas. In conclusion, a connection of Park's educational thought to modern education is attempted with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Korea must do away with its sense of reliance upon the 'great', but on the other hand restore self-identity and objectivity to educational study so to promote a consciousness of Korea's national identity. Second, Korea must discover again the 'image of the refined soˇnbi' who holds virtue and sincerity, considering that there are not a few moderns who are egoistic, opportunistic, and hasty in their decisions. Third, education for the pursuit of knowledge must be transformed into education for the pursuit of wisdom. In other words, we must eliminate dehumanization from the cramming system of education aiming at entrance examination and develop an ideal system of education which enables us to respect our personalities individually. Here comes the historical lesson that the failure of education causes the destruction of a country while a sound system brings about the development of the country.

      • 경력정체와 LMX,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 간 관계성 연구 : -외식기업 종사자를 중심으로-

        박지원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외식기업 종사자를 중심으로 경력정체와 LMX,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의 관계성을 연구하여 외식기업의 고질적인 문제인 효율적인 인력운영과 성과 창출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국가표준산업분류 음식점, 주점업으로 분류된 기업과 그 기업에 인력을 파견하는 인력공급업 기업의 종사원 중 외식업장 점장 이하 직원을 (2018년 기준 매출 100억, 종업원 1,000명 이상, NICE기업정보)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00부의 실증 자료를 확보하였다. 빈도분석을 통한 대상자의 일반적인 유형에 대해 파악하였으며, 요인 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 분석을 실시하여 타당성과 신뢰성을 화보하였다. 가설들의 검증을 위하여 다중회귀분석, 단순회귀분석,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1에서 경력정체는 직무스트레스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요인인 구조적 경력정체와 내용적 경력정체 모두 직무 스트레스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데, 내용적 경력정체와 구조적 경력정체가 높을수록 직무 스트레스가 높아진다. 둘째, 가설2에서는 LMX의 질이 높으면 직무스트레스에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리더-부하 간 교환관계의 질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낮아진다. 셋째, 가설3에서는 직무스트레스는 이직의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많은 연구의 결과와 같이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높아진다. 넷째, 가설4에서 경력정체는 이직의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요인인 구조적 경력정체와 내용적 경력정체 역시 이직의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이 가운데 직무스트레스는 경력정체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가설5에서 LMX의 질이 높으면 이직의도에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리더-부하간 관계의 질이 높을수록 이직의도는 낮아진다. 또한 LMX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는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어 : 경력정체, LMX,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 외식 This study was pursued with the purposes of analy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lateau, LMX,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focusing on employees who are working in food service company. Through those analyses tried to offer to the efficient management of human resources and the creation of performance, which is a persistent problem of the food service industry.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targeting employees who classified food companies based on food and beverage service activities in Korean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and provision of human resources. It has total 205 samples, after deleting unfaithful reply were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general types of subjects. To verify hypotheses was used for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on effect analysis. Following i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accordingly. Firstly, career plateau gave significant and positive(+) influence on job stress. both structural career plateau and contextual career plateau gave significant and positive(+) influence on job stress. Secondly, it was proved that getting higher LMX gave significant and negative(-) influence on job stress. Thirdly, it was proved that job stress gave significant and positive(+)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As with many other studies, the higher the job stress, the higher the turnover intention. Fourthly, career plateau gave significant and positive(+)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Both structural career plateau and contextual career plateau gave significant and positive(+)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Job stress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lateau and turnover intention. Fifthly, it was proved that getting higher LMX gave significant and negative(-)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The higher the LMX, the lower the turnover intention. In addition Job stress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MX and job stress. Keywords : Career Platau, LMX, Job Stress, Turnover Intention, Food Service

      • 교통약자 이동권 관리를 위한 특별교통수단 분산배치 효과에 관한 연구 : 남양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박지원 한국교통대학교 교통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특별교통수단의 비용적, 시․공간적인 운영효율 극대화를 위한 차고지 분산배치 시행으로 인해 발생하는 개선 효과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첫 번째로 수도권 내 지방자치단체의 특별교통수단 차고지 분산배치 현황 특성을 검토하였다. 인구 및 면적 등 도시 규모가 크고 생활권역이 분산되어 있는 도시의 분산배치 비율이 높으며, 도시면적이 작고 시가화 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분산배치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특별교통수단을 20대 미만으로 보유한 도시의 분산배치 사례는 없으며, 공사 및 공단 등 공공위탁 운영이 79%로 높았다. 특별교통수단을 공공위탁 운영할 경우 차고지, 휴게공간으로 공공시설을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실제로 주차시설이나 문화체육시설, 관공서 등을 차고지로 활용하는 비율이 91%로 높았다. 두 번째로 남양주시의 특별교통수단 분산배치 시범 운영 기간(3개월) 동안 수집된 통행자료를 분석하여 분산배치로 인해 발생하는 정량적 개선 효과를 도출하였다. 특별교통수단 차고지 분산배치의 시행은 신속한 차량의 입․출고를 통한 보다 빠른 이용수요 대처가 가능하므로 분석 기간인 3개월 동안 총 이동시간이 약 350시간(–8.1%), 총 이동 거리가 1만5백㎞(–5.5%) 감소된 것으로 출력되었다. 이는 3개월간 약 2.7대의 특별교통수단 증차 및 1,015건의 콜 수행 증가 등 공급의 확대 효과를 유발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3개월간 170만 원의 유류비 절감, 1억 1천만 원의 차량 구입비 절감, 107만 원의 STS 이용료 수입증가 효과 및 연간 1억 9천만 원의 센터 운영예산 절감을 예상할 수 있는 수치로도 평가할 수 있다.

      • 연어 지식과 한국어 쓰기 평가 구인 간의 상관성 연구 :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박지원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lexical collocation knowledge in Korean writing ability by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collocation knowledge and test construct of Korean writing test.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collocation knowledge on the writing test construct for Korean intermediate learners. Based on the findings, it aims to provide the groundwork for the prospect of collocation teaching within the writing education. For it, this study set three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llocation knowledge and the content knowledge, organization, accuracy, diversity, and appropriateness of writing test construct for Korean intermediate learners? Second,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writing score depending on the lexical collocation knowledge score? Third, what is the effect of the collocation knowledge on the content knowledge, organization, accuracy, diversity, and appropriateness of writing test construct for Korean intermediate learners?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questions, 41 intermediate Korean learners participated in the evaluation on the collocation knowledge and writing ability, and they were then asked to answer the given survey questions. Next, correlation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25.0.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the collocation knowledge and writing ability. Also, the writing test construct have a significant statistical correlation with collocation knowledge in the order of diversity, organization, accuracy, content knowledge, and appropriateness. The result shows that the collocation knowledge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writing ability. Second, this study engaged in the examin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collocation knowledge, writing ability and writing test construct by dividing the participants into higher-collocation knowledge and lower-collocation knowledge groups according to their average evaluation score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llocation knowledge and the organization construct of writing test had shown a low and yet significant values. However, in case of lower-collocation knowledge group, neither the writing ability nor any of the test constructs of Korean writing test were prove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the collocation knowledge based on their low correlation values. Thir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evaluation scores of the collocation knowledge, writing ability, and the test constructs between the higher and the lower-collocation knowledge groups. Both the higher and lower-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collocation knowledge and writing ability evaluation scores. Furthermore, statistical significance has been observed in the differences in content knowledge, organization, accuracy, and diversity of the writing test constructs between higher and lower groups. The findings confirmed that learners with high collocation knowledge have a higher level of writing ability. Fourth, looking at the effect of collocation knowledge on writing ability and writing test constructs, collocation knowledge has a significant static effect on writing test constructs in the order of diversity, organization, accuracy, content knowledge, and appropriateness, as well as on one’s writing ability. This shows that learners with high collocation knowledge have a higher capacity of writing in Korean along with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ubcategories of writing. It concludes that developing collocation knowledge can improve their writing ability. Finally, according to the survey on Korean writing and collocation learning, learners responded that it is difficult to write in Korean since they are not used to the formation(structure) of Korean collocation, and that collocation learning would help improve their Korean writing ability. Therefore, these findings raise the importance of collocation learning and the necessity of teaching Korean vocabulary through collocations. Taken as a whole,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collocation can enhance learners' writing ability, thereby improving their fluent and accurate communication competence, which is the ultimate purpose of language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중급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연어 지식과 쓰기 평가 구인의 상관성과 연어 지식이 쓰기 평가 구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쓰기 능력에 있어 연어 지식의 중요성을 밝히고, 그에 따라 쓰기 교육 시 연어 교수 및 학습이 쓰기에 대해 가져야 할 방향성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첫째, 한국어 중급 학습자들의 연어 지식과 쓰기 평가 구인 ‘내용 지식, 조직성, 정확성, 다양성, 적절성’ 간 상관관계, 둘째, 연어 지식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에 따른 쓰기 평가 점수의 차이, 셋째, 한국어 중급 학습자들의 연어 지식과 쓰기 평가 구인 ‘내용 지식, 조직성, 정확성, 다양성, 적절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한국어 중급 학습자 41명을 대상으로 연어 지식 평가, 쓰기 평가, 설문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통계 프로그램 SPSS 25.0을 이용하여 상관관계 분석, 독립표본 t-검정, 단순회귀분석,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어 지식과 쓰기 능력은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쓰기 평가 구인은 다양성, 조직성, 정확성, 내용 지식, 적절성 순으로 모두 연어 지식과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연어 지식이 쓰기 능력에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연어 지식 평가 평균 점수에 따라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으로 구분하여 연어 지식과 쓰기 능력 및 쓰기 평가 구인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상위 집단의 연어 지식과 쓰기 평가 구인 중 조직성만 낮지만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집단의 경우에는 연어 지식이 쓰기 능력 및 쓰기 평가 구인과 상관관계가 매우 낮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하위집단별 연어 지식 평가 점수와 쓰기 능력 및 쓰기 평가 구인별 점수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은 연어 지식 평가와 쓰기 능력 평가의 경우 모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쓰기 평가 구인 내용 지식, 조직성, 정확성, 다양성 모두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 간의 차이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연어 지식이 높은 학습자들은 높은 쓰기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연어 지식이 쓰기 능력과 쓰기 평가 구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연어 지식은 쓰기 능력과 다양성, 조직성, 정확성, 내용 지식, 적절성 순으로 쓰기 평가 구인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연어 지식이 높은 학습자는 쓰기 능력과 모든 쓰기 능력의 하위영역에 대한 능력도 높으며 연어 지식을 기르는 것이 쓰기 능력을 향상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쓰기와 연어 학습에 관한 설문 분석 결과, 연어 관계를 잘 몰라서 학습자들은 한국어 쓰기가 어려우며, 연어 학습이 한국어 쓰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어휘 지도 시 연어 관계를 통한 어휘 지도를 통해 연어 사용 능력을 길러야 한다. 이상의 결과는 연어의 교수 및 학습이 학습자의 쓰기 능력을 신장시켜 언어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인 유창하고 정확한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그림책 활용 초등영어 수준별 리터러시 학습 양상 탐구를 위한 실행 연구

        박지원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초등영어 수준별 리터러시 수업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세 개의 사이클로 이루어진 실행 과정을 탐구하고 학습자의 읽기와 쓰기의 양상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즉, 그림책을 기반으로 한 기초 및 심화 수준의 리터러시 활동을 통해 학급 내 다양한 수준의 아동들이 모두 참여할 수 있는 문자학습 방안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그림책 활용 초등영어 수준별 리터러시 지도를 위한 실행 연구는 어떠한 사이클로 진행될 수 있는가? 둘째, 그림책 활용 초등영어 수준별 리터러시 수업에 나타난 아동들의 읽기와 쓰기의 양상은 어떠한가? 연구 참여자는 S시 소재의 M 초등학교 5학년 한 학급 아동들 21명(남 8명, 여 13명)이며, 사전 읽기·쓰기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하위 5명, 중위 10명, 상위 6명으로 구분하였다. 수업을 위한 텍스트로 사이클Ⅰ, 사이클Ⅱ, 사이클Ⅲ에서 각운이 있는 그림책, 패턴이 있는 그림책, 정보가 있는 그림책을 각각 두 권씩 총 여섯 권을 활용하였다. 수업은 총 17주로 한 주에 약 90분을 수업하였으며, 수업의 절차는 크게 읽기와 공유의 두 단계로 나누고, 읽기를 다시 읽기 전, 읽기 중, 읽기 후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이때 읽기 후 단계에서는 기초와 심화 수준으로 세분화한 수준별 리터러시 활동을 제시하였다. 수업의 과정에서 아동들의 활동 작품, 사전·사후 검사지, 사전‧사후 설문지, 수업 소감문, 면담, 교사 일지, 수업 녹음 자료와 같은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고 부호화 및 범주화하여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초등영어 수준별 리터러시 수업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사이클로 완성할 수 있었다. 먼저, 사이클Ⅰ에서 아동들은 각운 기반 단어 해독을 통해 읽기의 발판을 마련하였다. 즉, 각운이 있는 어휘를 포함한 그림책을 읽고 각운을 중심으로 단어의 해독을 연습할 수 있는 기초활동을 수행하며 하위 수준의 아동들은 읽기를 시작할 수 있었으며, 중‧상위 수준의 아동들은 기존의 해독 지식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사이클Ⅱ에서 아동들은 문자언어에 자신감을 가지고 문장을 읽기 시작하였으며 쓰기를 시도하였다. 즉, 패턴북을 읽고 하위 수준 아동들은 기초활동을 수행하며 단어 또는 문장 수준의 쓰기를, 중·상위 수준 아동들은 심화활동을 통해 텍스트를 소재로 한 글쓰기로 나아갈 수 있었다. 셋째, 정보 읽기를 통해 통합적 리터러시로 발전할 수 있었다. 즉, 5학년 아동들의 인지 수준에 적합한 주제의 정보책을 통해 아동들은 영어로 된 정보를 파악하고 활용하는 능력까지 함양할 수 있었다. 이때, 앞선 두 사이클에서의 문자학습이 기틀이 되어 하위 수준의 아동들도 심화활동에 도전하는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둘째, 그림책 활용 초등영어 수준별 리터러시 수업에서 나타난 아동들의 수준에 따른 읽기와 쓰기의 양상을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먼저, 하위 수준 아동들은 단어 해독에서 시작하여 문장 읽기 및 쓰기가 가능한 수준으로 발전하며 리터러시 기반을 구축하였다. 하위 수준 아동들은 각운 기반 기초활동을 통해 단어의 해독에 익숙해질 수 있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패턴북을 읽고 텍스트를 활용하여 문장을 쓰는 수준까지 도달하였다. 둘째, 중위 수준 아동들은 경험을 반영한 의미 있는 쓰기를 시도하였으며, 영어로 정보를 처리할 수 있었다. 즉, 중위 수준 아동들은 심화활동에 참여하여 텍스트 소재와 관련된 자신의 경험, 생각 등을 표현하였으며, 텍스트 속의 정보를 이해하고 쓰기에 활용하며 정보를 적극적으로 처리하였다. 셋째, 상위 수준 아동들은 텍스트에 대한 반응의 심화 및 정보를 재생산하는 양상을 보였다. 상위 수준 아동들은 텍스트의 등장인물, 플롯 등의 문학적 요소에 심층적으로 반응하여, 중·하위 수준의 아동들과 같은 텍스트를 읽었지만 다양한 유형의 쓰기와 수준 있는 발화를 하였다. 또한, 텍스트 속의 정보와 자신의 지식 및 의견을 종합적으로 활용하며 재구성하는 쓰기를 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가 초등영어 읽기, 쓰기 교육에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기반으로 수준별 리터러시 활동을 제시함으로써 학급 내 다양한 수준의 아동들이 각자의 수준에 따라 리터러시 학습을 할 수 있다. 즉, 같은 그림책을 기반으로 하여 영어 학습 부진 아동들도 흥미를 가지고 참여할 수 있는 기초활동과, 중위 수준 이상의 아동들이 읽기와 쓰기를 확장할 수 있는 심화활동을 제시하여 학급 아동들의 수준차를 고려한 문자학습을 구현할 수 있다. 둘째, 다양한 유형의 텍스트를 활용하여 리터러시의 단계적 발달을 실현할 수 있다. 즉, 각운이 있는 그림책, 패턴이 있는 그림책, 정보가 있는 그림책을 순차적으로 도입함으로써 해독 중심의 초기 리터러시부터 문장 수준의 읽기와 쓰기, 그리고 영어로 된 정보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통합적 리터러시까지 나아가도록 할 수 있다.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를 5학년 1개 학급의 21명 아동들로 하여 참여자의 학년 및 인원 제한이 있었다. 따라서, 후속 연구를 통해 더욱 다양한 배경을 가진 아동들을 대상으로 그림책 활용 초등영어 수준별 리터러시 수업을 실행하고 발생하는 문제점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세 사이클에 걸친 수준별 리터러시 수업의 과정에서 아동들의 읽기와 쓰기가 발달하였음을 질적으로 분석하여 보고하였다. 수준에 따른 아동들의 읽기와 쓰기의 향상 정도를 보다 객관적이고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서는 사전 및 사후 읽기·쓰기 평가의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양적 분석도 시도해볼 필요가 있다.

      • 단일 구동 3축 MEMS 자이로스코프의 타축 감도 저감 설계 기법에 관한 연구

        박지원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MEMS gyroscopes are used in aircraft flight systems and space industries that require precise location control. MEMS gyroscopes are utilized for precise position control, requiring a higher level of accuracy for application in each field. This has developed into a lot of studies on reducing the Quadrature error and the Cross-axis sensitivity for reducing the error of the gyroscope. This paper focuses on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corresponded model based on previous research on reducing the Quadrature error and the Cross-axis sensitivity of a single-drive three-axis MEMS gyroscope. In this study, structural design and analysis were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reducing the Quadrature error of the structure presented in the previous study, and based on the structure, the previous theory to reduce the Cross-axis sensitivity was re-establish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reducing the Quadrature error, the z-axis Quadrature error, which is the limit of previous studies, was reduced by about 66% through the new mesh application method and structural approach method. Based on the structure, in order to reduce the Cross-axis sensitivity which is the final goal, the ratio matching method applied only to the two axes in the previous study was reestablished and expanded to the three axes. As a result of applying the methodology, the average Cross-axis sensitivity was improved by about 76%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The structural design was conducted by applying the finite element analysis technique based on COMSOL, and it is believed that the comparative analysis study will be needed later through the actual production of the proposed model. MEMS 자이로스코프는 항공기 비행 시스템이나 정밀한 위치 제어가 필요한 우주 산업 등에서 활용되고 있다. MEMS 자이로스코프는 정밀한 위치 제어를 위해 활용되므로 각 분야에서의 적용을 위해 더 높은 수준의 정확도를 필요로 한다. 이를 통해 자이로의 동적 성능 개선을 위해 구적 오차 (Quadrature error) 및 타축 감도(Cross-axis sensitivity) 저감에 관 한 연구로 발전했다. 본 논문은 단일 구동 3축 MEMS 자이로스코프의 구 적 오차 및 타축 감도 개선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해당 모델의 성 능 개선에 초점을 둔다. 본 연구에서 먼저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구조의 구적 오차 개선을 목적 으로 이에 대한 구조 설계 및 분석을 진행했으며, 해당 구조를 바탕으로 타축 감도 저감을 위한 선행연구 이론을 재정립 후 해당 내용을 적용하여 분석했다. 구적 오차 개선 결과 메시 적용 방식 및 구조적 접근을 통해 선행 연구의 한계인 z축 구적 오차를 약 66 % 감소시켰다. 이를 바탕으 로 최종 목표인 타축 감도 저감을 위해 선행연구에서 2축에만 적용되는 비율 일치 방법을 재정립하여 3축으로 확대시켰다. 해당 방법론을 적용한 결과 선행연구보다 타축 감도 평균 약 76 %가 개선됐다. 구조 설계는 COMSOL을 바탕으로 유한요소 해석 기법을 적용하여 진 행됐으며, 본 연구에서는 제시한 모델의 실제 제작을 통해 유한요소 해석 방법의 비교 분석 연구가 추후 보완될 필요성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