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서울시 도심거주자의 주거 선택요인 및 주거만족도 분석 : 도시환경정비구역 주상복합건물을 중심으로

        박정훈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started from the question if the residents who moved to urban regions lately live well in respect of urban revitalization along the prevention of decline in urban center & policy of securing residential population in urban region that are being progressed as a part of urban revitalization and restoration of Cheonggyecheon in satisfaction with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urban regions of Seoul city that has the structure the multipurpose buildings of high density have to be built due to high price of land as commercial area and housing policy that reflects the urban characteristics, the multipurpose buildings take their places as main houses in urban area owing to high quality and safety and it is expected that the construction of multipurpose buildings increases steadily at urban environmental renewal districts and Sewoon regeneration promotion district, etc. in urban regions even hereafter through urban environmental renewal project. This study was willing to reflect it to the suggestion of direction regarding urban housing policy of Seoul city & improvement of urban residential environment of project operators by grasping the causes of moving to urban regions & further moving plan and analyzing satisfaction with residence they feel while they live & the influential factors on residential satisfaction of them with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the residents who actually reside in the multipurpose buildings at the initial period when moving population entered to urban regions of Seoul for multipurpose building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m are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auses of moving to urban regions, it appeared that No. 1 is the advantage from job-housing proximity, No. 2 is traffic convenience of running in all directions and No. 3 is various convenience facilities & affluent cultural facilities. Second, as the results of grasping residential satisfaction the urban residents feel during their residence, overall satisfaction with urban residence appeared very high, and as the results of classifying it to indoor residential environmental factor, outdoor complex environmental factor, location environmental factor, social factor & economic factor and analyzing them, the satisfaction with indoor residential environmental factor appeared highest and the satisfaction with social factors such as interchange with relatives & neighboring residents and economic factors such as investment value & the level of rent appeared relatively lower. It is judged that it reflects the merits of multipurpose buildings such as high quality & safety and demerits such as expensive rent & poor interchange with neighbors and it showed current situation of real estate recession as well. Third, a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influence on residential satisfaction of urban residents by regression analysis, it appeared that indoor residential environmental factor influences most on the satisfaction of urban residents and economic factor does as the next one. As the results of analyzing detailed factors, it appeared that the satisfaction with interior/exterior design of buildings, indoor safety & residential comfort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in sequential order as the indoor residential environmental factor. And, the satisfaction with green tract of land & landscape architecture, satisfaction with protection of privacy and satisfaction with view & securement of view in sequential order as the outdoor complex environmental factor. Regarding location environmental factor, it appeared as clean street environment, affluent urban culture/convenience facilitie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in sequential order. Regarding social factor, it appeared that the interchange with neighbors influences much on the satisfaction and investment value, brand of apartment & rent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in sequential order as economic factor. It appeared that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that the residents of urban multipurpose buildings in Seoul feel were considerably high in general and it seems to need to increase the value of real estate by raising quality of interior/exterior design of buildings, improving indoor safety & comfort and maximizing the urban attraction such as traffic convenience of running in all directions, advantage from job-housing proximity, affluent urban convenience facilities, affluent parks & resting space like Namsan, Cheonggyecheon & old palace. Key word : Decline in urban center, Gentrification, Urban environment renewal project, multipurpose building, Housing selection, Residential satisfaction, influential factor 본 연구는 서울시 도심재생의 일환으로 추진 중에 있는 도심공동화 방지 및 도심 주거인구 확보정책과 청계천 복원에 따른 도심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으로 최근 도심으로 이주하고 있는 거주자들이 주거환경에 만족하며 살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서울시 도심은 상업지로 높은 지가와 도심의 특성을 반영한 주거정책으로 고밀도의 주상복합건물이 입지할 수 밖에 없는 구조로서, 고급성과 안전성을 장점으로 주상복합건물은 도심에 주된 주택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으며, 앞으로도 도심에는 도시환경정비구역 및 세운재정비촉진지구 등에서 도시환경정비사업을 통하여 주상복합건물의 건축이 꾸준히 증가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서울 도심에 주상복합건물을 통하여 주거인구가 유입되기 시작하는 초기에 주상복합건물에 실지 거주하고 있는 입주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의 방법으로 도심으로의 이주요인과 향후 이주계획을 파악하고, 거주하면서 느끼는 주거만족도와 이들의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므로써, 향후 서울시 도심 주거정책에 대한 방향제시 및 사업시행자들의 도심 주거환경 개선에 반영토록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심으로의 이주요인을 분석한 결과, 1순위는 직주근접에 따른 이로움, 2순위는 사통팔달 발달된 교통의 편리성, 3순위는 각종 편의시설과 문화시설의 풍부함 때문으로 나타났다. 둘째, 도심 거주자들이 거주하면서 느끼는 주거만족도를 파악한 결과, 도심거주 전체 만족도는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실내 주거환경요인, 실외 단지환경요인, 입지환경요인, 사회적요인, 경제적요인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실내 주거환경요인에 따른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친지 및 이웃 주민들과의 교류 등 사회적 요인과 투자가치 및 임대료 수준에 따른 경제적 요인에 대한 만족도는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이는 주상복합건물의 고급성과 안전성에 대한 장점과 높은 임대료 및 이웃과의 교류가 잘 안되는 단점이 반영된 것으로 보여지며, 또한 최근 부동산 불경기의 시대적 상황을 보여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도심 거주자들의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실내 주거환경요인이 도심거주자들의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경제적 요인이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요인별 분석결과, 실내 주거환경 요인에서는 건물 내·외관 디자인의 만족도, 실내 안전성, 주거의 쾌적성 순으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외 단지환경 요인에서는 녹지 및 조경에 대한 만족도, 사생활보호에 대한 만족도, 조망 및 시야확보에 대한 만족도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지환경 요인에서는 깨끗한 거리환경, 풍부한 도시 문화·편의시설, 교육환경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요인으로는 이웃간의 교류가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적 요인에서는 투자가치, 아파트 브랜드, 임대료 순으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도심 주상복합건물 거주자들이 느끼는 주거만족도는 전반적으로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내 주거환경요인과 경제적요인이 도심거주자들의 주거만족도에 큰 영향력을 지녔으므로, 건물 내·외관 디자인과 거주 유닛을 개선하고, 실내 안전성 및 쾌적성을 향상시켜야 하며, 부동산 가치를 증대시키기 위해 사통팔달 발달된 교통 및 직주근접, 풍부한 도시 편의시설, 남산과 청계천, 고궁 등 풍부한 공원 및 휴식공간 등 도심이 주는 매력을 극대화하고, TOD와 같이 도심부 역세권 지역에 주거기능을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주요어 : 도심공동화, 도심회귀, 도시환경정비사업, 주상복합건물, 주거선택, 주거만족도, 주거만족도 영향요인

      •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OgChitIV and OgChitIVa derived from wild rice(Oryza graniglumis)

        박정훈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야생벼의 내병충성, 수량성, 스트레스 저항성 관련 유전자는 재배 벼의 형질개선을 위한 새로운 유전자원 Pool로 사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육종 가들에 의해서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남미 원산지인 Oryza grandiglumis (CCDD, 2n=48)의 계통을 이용하여 병저항성 유전자로 알려져 있는 PR-protein (Pathogenesis-related protein)을 얻기 위해 GenomeWalker PCR과 RT-PCR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이용하여 PR 유전자를 확보하였다. 야생벼에서 병저항성과 관련된 유전자로 보이는 PR3 (OgChitIV 와 OgChitIVa) 유전자를 확보하였다. 그리고 두 유전자의 분자적 특성과 기능을 규명하였다. GeneBank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homology 분석을 한 결과 이 야생벼 유래 OgChitIV 와 OgChitIVa 유전자는 재배 벼의 OsChitIV 와 OsChitIVa에 각각 95%와 96%의 상동 성을 나타내었다. Southern 분석 결과 야생벼 genome상에 두 copy수 이상을 가지고 있는 multigene family로 판명되었다. 단 자엽 식물에서 중요한 signal 분자인 jasmonic acid (JA), salicylic acid (SA)와 단백질 인산의 가수분해 효소 억제제인 cantharidin (CN), endothall (EN)과 elicitor인 Yeast extract를 야생벼에 처리하였다. 그 결과 OgChitIV 와 OgChitIVa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OgChitIV 와 OgChitIVa 유전자의 병저항성 기능을 구명하기 위하여 모델 식물인 애기 장대 (Arabidopsis)에 형질전환을 실시하였다. 항생제 처리로 선발된 10개체의 형질전환 식물 각각에 대하여 GFP로 형질전환 식물체를 확인하였다. 잿빛곰팡이병을 유발하는 Botrytis cinerea를 형질전환 체에 점 접종한 결과, wild- type 식물체에서 보다 형질전환체에서 병의 정도가 더 적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야생벼에서 클로닝한 OgChitIV 와 OgChitIVa 유전자는 Botrytis cinerea에 저항성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유전자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GFP-fusion vector에 두 유전자를 construct하여 GFP의 발현 위치를 확인해 보았다. 그 결과 보고된 이전의 결과와 비슷하게 세포내에서 숨겨져 있거나 세포외부에 존재할 것이라는 예측을 할 수 있었다.

      • 콘크리트 전과정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프로그램 개발

        박정훈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건설 산업의 온실가스 배출 저감을 위한 국제적인 노력이 지속됨에 따라 건설재료 및 건설제품의 제조특성을 고려한 탄소저감형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콘크리트제품의 경우 사용목적별·제조업체별 다양한 배합설계를 바탕으로 기존의 일반콘크리트를 비롯하여 고성능, 탄소저감형 특수콘크리트가 개발되고 있으며, 콘크리트를 대상으로 전과정평가기법을 적용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정량적으로 산정하고 이를 저감 및 관리하기 위한 평가기술 및 평가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콘크리트 전과정 온실가스 배출 평가기술은 부산물의 생산내역 및 재료의 회수, 재사용과정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량이 평가에 고려되지 않아 전과정평가가 국제적·표준적인 수준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콘크리트의 종류 및 제조특성에 따른 에너지사용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는데 있어서 제조현장데이터의 체계적인 할당방법이 부재하며 평가자별로 할당방법이 상이함에 따라 평가사례를 비교 및 분석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의 제조특성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정량적으로 평가를 위해 표준적인 전과정평가 시스템을 제안하였으며, 세부 평가단계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특히, 배합설계단계, 제조공정단계의 제조현장데이터가 체계적으로 할당이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이를 통해 콘크리트 전용 전과정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범위를 전과정 평가기법 및 평가프로그램 분석, 시스템 프로세스 구축, 요소기술 개발, 전과정 평가프로그램 개발로 설정하였다. 전과정 평가기법 분석 및 전과정 평가프로그램의 분석에서는 국내·외에서 시행되고 있는 건설재료부문의 전과정 평가프로그램을 목적, 범위, 방법, 요소기술에 따라 분석하였다. 시스템 프로세스 구축에서는 평가프로그램의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개선사항을 도출하였다. 요소기술 개발에서는 도출된 개선사항을 바탕으로 데이터할당 기술, 전과정평가자동화 기술, 평가분석·관리 시스템을 제안하였으며 관련된 세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데이터할당 기술은 제조현장데이터를 평가범주에 부합하도록 평가프로그램 내 적절하게 분배 및 배치시키는 작업을 의미한다. 전과정평가 자동화 기술은 평가단계별 세부절차를 평가프로그램을 통해 체계적·자동으로 수행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평가분석·관리 시스템은 평가프로그램을 통해 도출된 평가결과를 재료사용측면, 에너지사용측면, 폐기물·부산물배출측면에 따라 분석하고 이를 타 평가사례와 비교를 통해 온실가스 배출 저감방안 수립 등에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이와 같이 구축된 요소기술을 콘크리트 전과정평가기법에 적용하였으며, visual basic 소프트웨어 개발도구를 활용하여 콘크리트 전과정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사례분석을 통해 기술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콘크리트 전용의 전과정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와 물질목록의 영향평가를 통한 비교분석이 가능한 평가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하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콘크리트 전용 전과정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 프로그램을 평가요소기술인 데이터 할당 기술, 전과정평가 자동화 기술, 결과분석 및 관리기술을 통해 개발하였다. 2) 데이터 할당 기술은 현장수집데이터들의 평가단계별 자동 분배 및 배치를 목적으로 개발하였으며, 이를 위해 부산물에서 자원을 회수하여 재사용하는 공정과 콘크리트 종류별 제조설비의 가동시간의 차이를 고려한 투입물질 산정시스템을 구축하였다. 3) 전과정평가 자동화기술은 평가결과데이터들의 비교분석 활용성을 위해 표준적인 평가체계의 개발을 목적으로 개발하였으며, 이를 위해 공정흐름도작성, 물질흐름정보입력, 목록분석, 영향평가단계를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4) 결과분석 및 관리기술은 평가결과를 온실가스 배출, 자원 재활용, 에너지 효율에 대한 영향분석과 타 프로젝트 평가결과와 상호비교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5) 사례분석의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결과는 본 연구 프로그램의 결과값과 탄소성적표지프로그램의 결과값이 매우 근접하게 나타났으며 오차율은 0.4 % 미만을 나타내었다. 회수재료 사용율 평가결과는 A 업체의 Case1, 2 에서 각각 5%, 5.22%를 나타내었고 그 외의 콘크리트는 모두 2%를 나타내었다. 에너지 사용량 평가결과는 본 연구 프로그램은 Case3 의 고강도 콘크리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탄소성적표지프로그램은 모두 동일한 결과값을 나타내었다.

      •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기의 최적 형상 설계에 관한 연구

        박정훈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환경에 대한 관심이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석유를 포함한 각종 연료비의 상승으로 에너지 문제 또한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신재생 에너지의 개발이 전 세계적으로 화두가 되고 있던 중 2011년 3월 11일 대지진에 의해 발생된 쓰나미로 인해 일본 후쿠시마에 위치한 원자력발전소가 침수되어 다량의 방사성 물질이 누출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바람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풍력발전기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지게 되었다. 그러나 육상에 풍력발전기를 설치하게 될 경우 설치 공간의 제약과 소음 공해 등으로 인해 설치에 제약을 받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풍력 발전기를 점차 해상으로 설치하게 되었다. 최근 건조·개발되고 있는 해상 풍력 발전기는 대형화, 대수심화 되어가고 있다. 따라서 연근해에서 설치하는 해상 풍력 발전기가 아닌 바다에 띄우는 형식의 부유식 해상풍력발전기(Floating Offshore Wind Turbine)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유식 해상풍력발전기 중 반잠수식(Semi-submergible type)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기의 하부구조물에 대한 최적설계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설계 대안을 설정하고 운동성능 해석 수행을 위해 UOU-in house code와 UOU-FAST를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그 후 도출된 RAO(Response Amplitude Operator)를 Head sea, Oblique sea, 그리고 Beam sea에 대해 비교·분석한 후 최적 설계 대안을 선택하였다.

      • 분말슬러지에 의한 구리(II)이온 및 염료의 생물흡착

        박정훈 東亞大學校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축산, 하수 및 염색폐수 처리공정에서 배출되는 슬러지를 물리화학적인 방법으로 처리하여 분말슬러지(powdered waste sludge, PWS)를 제조한 후 흡착제 관련 특성을 검토하고 수용액 중에서 구리이온 및 반응성 흑색 5 염료(reactive black 5, RB5)의 생물흡착에 대한 실험내용을 토대로 하여 흡착제로서 분말슬러지의 활용가능성을 기술하였다. PWS-NS는 요오드가 372.2 mg/g, 메틸렌블루 탈색력 57.56 mL/g, 비표면적 204 ㎡/g, 미세세공 표면적 142 ㎡/g, 중간세공 표면적 62 ㎡/g 및 평균 세공크기 44.049 Å이었다. PWS-CS는 요오드가 451.33 mg/g, 메틸렌블루 탈색력 57.97 mL/g, 비표면적 353 ㎡/g, 미세세공 표면적 254 ㎡/g, 중간세공 표면적 99 ㎡/g 및 평균 세공크기 33.008 Å이었다. PWS-AL은 요오드가 468.40 mg/g, 메틸렌블루 탈색력 62.60 mL/g, 비표면적 371 ㎡/g, 미세세공 표면적 273 ㎡/g, 중간세공 표면적 98 ㎡/g 및 평균 세공크기 31.033 Å이었다. 회분흡착 실험결과 구리이온은 pH 5에서 제거효율이 우수하였고 평형흡착량은 3.04 mg․Cu/g․SGW-200, 2.45 mg․Cu/g․PWS-NS, 2.82 mg․Cu/g․PWS-CS 및 2.83 mg․Cu/g․PWS-AL이었다. 구리이온의 흡착 속도상수(k1)는 SGW-200 3.0745 h-1, PWS-NS 1.6977 h-1, PWS-CS 1.7951 h-1 및 PWS-AL 2.6355 h-1이었으며 Freundlich 지수 1/n 값은 SGW-200 1.3375, PWS-NS 1.2024, PWS-CS 1.2427 및 PWS-AL 1.2751이었고 K 값은 SGW-200 0.2281, PWS-NS 0.1554, PWS-CS 0.2076 및 PWS-AL 0.2072이었다. 반응성 흑색 5 염료는 pH 7에서 제거효율이 우수하였고 평형흡착량은 0.96 mg․RB5/g․SGW-200, 0.84 mg․RB5/g․PWS-NS, 0.87 mg․RB5/g․PWS-CS 및 0.91 mg․RB5/g․PWS-AL이었다. 반응성 흑색 5 염료의 흡착 속도상수(k1)는 SGW-200 5.1655 h-1, PWS-NS 3.7121 h-1, PWS-CS 4.5739 h-1 및 PWS-AL 4.8146 h-1이었으며 Freundlich 지수 1/n 값은 SGW-200 0.5774, PWS-NS 0.5288, PWS-CS 0.5543 및 PWS-AL 0.5685이었고 K 값은 SGW-200 0.0758, PWS-NS 0.0016, PWS-CS 0.0366 및 PWS-AL 0.0602이었다. 연속흡착 실험결과 수리학적 체류시간이 120분 일 때 구리이온의 평형흡착량은 2.66 mg․Cu/g․SGW-200, 2.10 mg․Cu/g․PWS-NS, 2.42 mg․Cu/g․PWS-CS 및 2.45 mg․Cu/g․PWS-AL이었고 구리이온의 파과 속도상수(k2)는 SGW-200 1.0644 g/mg․h-1, PWS-NS 1.4544 g/mg․h-1, PWS-CS 1.2869 g/mg․h-1 및 PWS-AL 1.1469 g/mg․h-1이었다. 수리학적 체류시간이 60분 일 때 반응성 흑색 5 염료의 평형흡착량은 0.92 mg․RB5/g․SGW-200, 0.71 mg․RB5/g․PWS-NS, 0.82 mg․RB5/g․PWS-CS 및 0.84 mg․RB5/g․PWS-AL이었고 반응성 흑색 5 염료의 파과 속도상수(k2)는 SGW-200 1.2640 g/mg․h-1, PWS-NS 2.3125 g/mg․h-1, PWS-CS 1.4517 g/mg․h-1 및 PWS-AL 1.4333 g/mg․h-1이었다.

      • 한국과 일본에서 분리되어진 Megalocytivirus의 유전학적 다양성

        박정훈 여수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viruses belonging to the genus Megalocytivirus in the family Iridoviridae, have caused mass mortalities to various marine and freshwater fish species in many Asian countries. However, the genetic diversity of megalocytiviruses isolated from different fish species and geographical regions is unclear. In this study, nucleotide sequences of major capsid protein (MCP) gene in fourteen Korean and Japanese isolates of megalocytiviruses were performed and compared with known other iridoviruses to evaluate genetic relationships among them. From the result of phylogenetic analyses, four major clusters appeared; the first cluster consisted of the genus Lymphocystivirus, the second cluster consisted of the genus Iridovirus, the third cluster consisted of the genus Ranavirus, and the remaining cluster consisted of the genus Megalocytivirus. The fourteen new isolates used in this study appeared in the genus Megalocytivirus. The sequence identities among megalocytivirus isolates were more than 93.0 % and 89.2 % at nucleotide and amino acid levels, respectively. Moreover, the genus Megalocytivirus was subdivided into three minor clusters (subgroup I; Korean strains eighteen, Chinese strain one, subgroup Ⅱ; malaysia strain one, Chinese strain one, Indonesia strain one, subgroup Ⅲ; Korean strains fifteen, Japanese strains eight, Chinese strains two, Thailand strain one). This suggests that viruses belonging to the subgroup Ⅲ widely distribute in various fish species in many Asian countries. Conversely, the viruses belonging to subgroup Ⅰ and Ⅱ may be still locally spreading and correlated with host fish species, i.e., viruses belonging subgroup Ⅰ mainly distribute in flatfish species in Korea and China whereas those of subgroup Ⅱ distribute in freshwater fish in mainly Southeast Asian countries. Genus Megalocytivirus는 family Iridoviridae에 속하는 바이러스로 최근에 양식어류에서 생태학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많은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또한 이 바이러스는 해산어와 담수어에 감염되며 숙주의 범위가 넓고 당년생뿐만 아니라 2~3년생의 어류에도 폐사를 유발시킨다. family Iridoviridae에 속해 있는 genus Megalocytivirus는 여러 종류의 어류에서 분리되고 있지만 이 바이러스의 다양성은 밝혀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양식장에서 서로 다른 어종(red seabream, Pagrus major; rock bream, Oplegnathus fasciatus; turbot, Scophthalmus maximus; sea bass, Lateolabrax sp; mackerel, Scomber japonicus; yellowtail, Seriola quinqueradiata; gold striped amberjack, Seriola lalandi; striped jack, Pseudocaranx dentex), 지역 (한국의 남해, 진주, 고창, 여수 그리고 일본의 미에현, 오이타현) 그리고 시기 (1997~2004년)에 걸쳐 시료를 채집하여 분리한 14종의 이리도바이러스의 major capsid protein(MCP) gene에 대하여 sequences를 분석하고 Genbank에 등재되어있는 49종의 reference strains의 sequences와 비교하여 유전학적인 관계를 밝히기 위해 실시하였다. 한국과 일본에서 분리한 14종의 strains은 family Iridoviridae 내의 genus Megalocytivirus에 분류되었다. 그리고 the genus Megalocytivirus은 다시 3개의 subgroup (subgroupⅠ; Korea type, subgroupⅡ; ISKNV type, subgroupⅢ; RSIV type)으로 분류되는데 14종의 strains은 2개의 subgroup(subgroupⅠ, subgroupⅢ)에 위치하였다. 또한 genus Megalocytivirus에 포함되어있는 모든 megalocytiviruses의 유전학적인 비교에서는 nucleotide sequences가 93.0~100%, amino acid sequences가 89.2~100%의 유사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genus Megalocytivirus로 분류되는 바이러스들은 숙주어종들 사이에서 교차감염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또한 megalocytiviruses의 경우 subgroupⅠ은 한국과 중국의 산둥지역, subgroupⅡ는 중국의 광동지역, 말레이지아 및 인도네시아, subgroupⅢ는 한국, 일본, 남중국해 및 태국에서 분리되는 것으로 보아 지역에 따른 차이로 인해 유전적으로 다른 형태의 변종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진다.

      • 신경망을 이용한 사용자 기반 예정가격 산정 시스템에 관한 연구

        박정훈 蔚山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프로젝트 초기단계에서의 정확한 건설공사비 예측은 사업의 규모와 타당성을 검토하고 합리적인 자금 투자계획을 세울 수 있게 해주는 등 발주자의 초기 업무에 대한히 중요한 문제이다. 특히 경제성 및 이윤추구가 프로젝트의 주요목적인 상업건축에 있어서는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에 국내외의 많은 연구자들은 프로젝트 초기단계 사업비 예측을 위하여 많은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그 방법 중에서도 실적자료에 의한 회귀식(regression equation)을 바탕으로 공사비를 예측하는 통계적 코스트 모델링(statistical cost modeling)기법이 유용한 것으로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공사비 변동요인이 많고 프로젝트에 따라 특성이 다양한 상업건물의 경우 통계모델을 만드는 절차가 매우 복잡해지며 정확도가 낮아지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최근 코스트 모델리의 특징은 설계초기단계에서 품빌/성능 측면을 고려하고, 코스트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발주자의 가치체계를 이해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최근까지 연구된 모델이나 시스템들을 최종사용자인 발주자의 지식범위를 고려하지 않음으로 인해 개발자와 사용자간의 의사소통차이로 인해 효용성을 가지지 못하고 시장되거나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이러한 회귀식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 중 신경망(neural network)이론을 이용하여 공사비를 예측하려는 시도가 나타나고 있다. 신경망 이론은 회귀식보다 수학적인 제약점이 적고, 건설프로젝트에 존재하는 수많은 상호관계들과 프로젝트의 특성에 따라 변화하는 요인들을 비교적 정확하게 규명할 수 있으며, 적은 수의 자료만으로도 예측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외에도 생산성예측, 공사방법 선정, 원가흐름 예측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신경망 이론과 최종사용자의 지식영역을 고려한 코스트 모델을 제시하고 사용자들이 접근하기 용이한 인터넷을 이용한 예가 산정 시스템의 원형을 개발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한 성과 및 의의는 다음과 같다. 1) 프로젝트의 특성상 사업비의 예측이 어려운 상업건축의 공사빕예측에 신경망을 이용한 모델을 제시하고 그 방법론과 문제점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는 신경망기법을 이용하여 비교적 적은 데이터로도 정밀성을 가지면서도 일반화된 결과값을 도출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2) 공사비에 영향을 주는 가격 결정요인을 비전문가의 지식영역과 전문가의 지식영역으로 분류해 가격결정요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 입출력변수를 결정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적 시스템에 대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3) 실제 자료수집의 어려움과 비확정성으로 인하여 수집자료의 신뢰도가 떨어진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GIS의 개발, 실적자료의 체계화와 정보화가 이루어짐으로써 충분히 해결될 것으로 예상된다. 4) 신경망모델의 학습시간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 연산속도를 단축시킬 수 있다면 좀더 효과적인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correct estimation of cost for feasibility and planning phas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the client's initial task, such as decision making of project's size, feasibility study, or investment planning, especially in commercial building which of purpose is a profit acquisition. Statistical cost models have known as very useful method with little information of a project description at the initial planning phase. However, the regression based techniques have some disadvantages. First of all, it is difficult to analyze the cost when they have relatively more variable than the number of cost data. Second, it requires a defined mathematical form for the cost function that best fits the available historical data. Recent studies of cost modeling have been considered about value for clients' profit; however, the recent systems have insufficiently worked because of the use-designer communication gab, caused by ignorance of end-users' knowledge a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totype of cost estimation for Feasibility and Planning Phases using Neural Networks(NN) and User- oriented interface. This study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1) Neural network concept is proposed to estimated the construction cost of commercial building at the early planning phase. 2) It shows the perspective of the use- oriented system in a cost modeling through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ts' and clients' knowledge areas.

      • 美國 都市計劃法制에 관한 硏究 : Zoning과 Master Plan을 中心으로

        박정훈 慶熙大學校 大學院 2000 국내박사

        RANK : 247631

        (1) In the highly urbanized contemporary industrial society, a diversity of politics, including formation, maintenance, preservation, development, adjustment in the urban area, and the relevant law systems are developed, which is commonly noted by any country. Though this phenomenon has accompanied with the expansion of the economic growth in today's cities, this process for them is far from dependent upon its own capital growth by virtue of the market theory in practical. In addition, with a certain aim suggested in terms of the public and society in the contents and usage of the urban space formed thereby, the political and legal intervention is indispensable in its conscious control. This is true of cities in our country. In particular, the brief and marked economic growth in Korea has led to a lot of problems in the relevant law, and in practical, different from the advanced countries whose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have been done in a long time. Hereby, in this study, the United States is sam pled because of the necessity of studying and examining the urban planning law in the advanced countries. (2) The system of the urban planning law in the United States includes the master plan within the constitution of the State and the statute from the top of the Federal Constitution, and the land use regulation system (zoning, subdivision control, official mapping, etc.), which is cros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expanding structure of zoning, subdivision control, official mapping centered on master pla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the master plan as in the urban planning of the United States, has the characteristic of the constitution and provides guidelines to all land use regulations by pointing to the direction. This systematic urban planning law began to be formed after the end of 1960s, combined with the contemporary urban planning in the United States, slow and steady. In the early 20C, when the history of the urban planning nearly emerged in the United States, zoning, a kind of regulation system made the core of the urban planning. Especially, even as the model Act, the Standard State Zoning Enabling Act concerning zoning enhanced by the Federal Government in 1924 is marked 「……shall be made in accordance with a comprehensive plan」in its relation with master plan. However, in 1928,‘master plan’took the place of comprehensive plan in the Standard Planning Enabling Act, and regulated the decision of master plan as in itself, which brought about the long argument centered around the interpretation of consistency requirement in the relation between zoning and master plan. In addition, it is common that zoning ordinance existed in the practical modern urban planning of the United States instead of master plan. So to speak, the modern urban planning features the prominence of master plan in zoning. In this regard, the Court separated zoning from master plan, and decided the satisfaction of consistency requirement depending upon whether its ordinance was comprehensive. On the other hand, in 1926, the United States Supreme Court declared zoning to be constitutional at Village of Euclid v. Ambler Realty Co., and it was introduced rapidly throughout the country. Then, zoning was generally formed cumulative zoning, disputed at the Euclid judgment, which specializes in protecting the owners housing area and the pre-confirmative regulations. This Euclidian Zoning became the model in the United States later then. However, at the end of 1960s, meantime, the rapid development in the suburbs caused the phenomenon of sprawl, and scarcity of public facilities, diminished open space, the environmental preservation in nature and history, etc. were elevated to surface. So, the recent pursuit of growth became followed by the necessity of growth management. With this regard, various methods such as cluster zoning, PUD, floating zoning, incentive zoning, TDR, etc. to which flexibility was added out of the zoning descriptive of rigidity in the type of zoning. This Non-Euclidian Zoning requ ired the master plan for the comprehensive management of the urban land use. In addition, as the growth management policy started in order after the late 1970s, the basis got to derive from master plan. Hereby, I'll say that master plan cemented the position as the constitution of land use regulations. That is, one major streamline is that the present urban planning in the United States seeks the consistency based on master plan. (3) So far, we have covered the relevant system and cases along with the whole streamline centered on zoning and master plan within the great frame of the urban planning law in the United States. From this examination, the features of the urban planning law in this countr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existence of strong master plan independent of the regulations and businesses, 2) the existence of detailed and strong regulations focused on zoning 3) the preparation of various methods beyond uniformity in the pre-confirmative regulations; zoning, and its basis is found in master plan 4) the frequent use of discretion. As for the measure, in the sense of procedure, the system given centered on the public hearing is made up to work 5) the legislature in charge of deciding the planning and the regulations, the executive in which the planning and the regulation, the executive in which the planning and the regulations are put into practice, and the judicature section which sets up the specific standards of the urban planning by virtue of judgment, where respective independent of the three branches of government produces the principle of mutual control and balance. (4) The deregulation and the growth management which the United States shows us cannot be inconsistency in its glanced picture, but merely two complementary sides in a system; the fair procedure is required in a part of the strict regulations, and the various methods whose regulations are changeable are prepared. In a word, it can be considered the land use planning and regulations, which is detailed, strict and flexible. On the contrary, the urban planning in Korea is slow and rigid. As for the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n case of the latter, the procedure of permit is done through the relation of ordinance in the historical procedure surrounding zoning, the statue, and the local government, and centered on the public hearing. Our problems are responsible for this matter. After all, our urban planning has been exercised a form to confine the land ownership by government as our history indicates, while the urban planning in the United States has minimized the negative sides of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and accepted increasingly the principle of mutual adjustment in the ownership to establish the prosperous living conditions. Furthermore, our urban planning law was introduced at the dawn of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In this point, its background is different from the modern urban planning in the United States. The executive action on the basis and dependence of the central government has been taken for granted instead of deciding and managing the principle of regulations adjusted by the local government on the whole. (5) In the end, the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lies in their own democratic creeds; the urban planning system between both countries shows a notable discrimination. But, This Amendment Urban Planning Act admits the value of self-regulation and decentralization of power, transfers the statuary urban planning and decision right to a local autonomous entity, takes the flexible and exceptional special permit system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of zoning which features the confirmation in advance, and regulates the consistency requirements for the master plan in the statuary urban planning, practicing the systematic urban planning, things like this, which means our new step into the contemporary urban planning; in this, we should not end up keeping our eyes open to the urban planning system in the United States, in spite of her different cultural and social background. To conclude, through our positive survey and study of the urban planning law system in the United States, we should analyze her success and faults seriously into good references to the urban planning in our country.

      • 土地에 대한 公法的 규제에 관한 연구 : 토지이용계획과 국민의 권리보호를 중심으로

        박정훈 경희대학교 대학원 1995 국내석사

        RANK : 247631

        1. Background of this study. As the hotel industry has developed and extended in a large Volume, it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point at issue that its operating results be a sound one with financial structure to contribute to the national economy. At the same time, there are too many instances where given the capital costs, the physical design of the facilities, and prevailing market conditions, hotels cannot be viable however expert or skill full the management responsible for their operation both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Therefore, for the sake of attaining fair management resultsg it is desirahle that management has a through knowledge about hotel management method including marketing planning in Hotel planning but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for him to have had such a knowledge because of the following reasons: (1) Hotel marketing in hotel Planning have made minimum advances. (2) It is a multi-disciplinary subject involving a very wide range of different special sration (3) Consequently, decision theories and other practice on hotel planning have become developed and changed. (4) Lack of feasible guidelines needed far the purpose of utilizing more efficient management methods. (5) As a result of these management environment, most hotel operation plan and manage their business by rule of thumb, not the scientific management methods essential to long range growth. In view of those reasons mentioned, the above,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various methods far a technical approach in hotel marketing on the project and with evaluation of the hotel planning project and feasibility. 2. Nethodology in this study (1) This study uas done by adapting descriptive approach describing various hotel project without giving any satisfactory background as to how or why decisions were made in particular way. (2) Quotations from the arcades, works and writings of others on practical data or theories in the field of hotel management have been widely used inevitably to develop my study because of the limited resources of time and information available (3) Personne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following specialist (a) hotel planning specialists (b) hotel managers (c) pre-opening specialists (d) professors 3. Scope and procedures of this study. The scope and procedures of this study can be well explained by presenting the composition of the thesis: (1) Chatpter I. Introduction (2) Chapter 2. Hate I Market (3) chapter 3. Customer motivating forces in relations to the market package (4) Chapter 4. Considering an individual project. (a) Amarket feasibility study for an individual hotel project (b) Life cycle and obsolescence (c) Market testing 4. Expected Contribution to the industry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far those who attempt to formulate an approach to the task of hotel planning, more or less, net in saying how an hotel management decision should be made in detail but indicating that factors need to be added, cons adored and examined. It is also expected that it uill be of assistance in the analysis of hotels currently opera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