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유학기제 음악프로그램의 경험과 진로성숙도의 관계

        박은정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유학기제 음악프로그램을 참여한 학생들의 자유학기제 음악프로그램의 만족도와 진로성숙도 영향 및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청소년 교육의 첫 단계인 중학교 교육에서는 진로 성숙도의 향상이 중요하다. 그 이유는 이 시기의 청소년들은 신체적, 정신으로 큰 변화가 시작되기 때문이다. 그 중 자신의 성향과 자아정체성, 사회적 위치에 대한 호기심으로 진로에 큰 관심을 가지게 되는 시기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중학생 스스로의 자아탐색, 진로 탐색, 자신의 잠재력 향상을 위하여 2016년부터 자유학기제라는 새로운 교육방안을 시행하였다, 4가지의 자유학기제 활동 중 에서 예술·체육활동, 동아리 활동을 참여한 학생들의학교생활 만족도가 높았으며 음악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은 교사, 교우와의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학교생활 만족도가 높아지고 자기조절학습, 학습동기, 학습 성취도 또한 높아졌다. 즉 학교생활 만족도가 높은 학생들은 진로성숙도가 높다는 것이다. 연구의 방법은 자유학기제 음악프로그램 만족도, 진로성숙도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연구 대상은 광주의 s중학교 1학년과 전남의 y중학교 1,2학년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IBM SPSS 프로그램을 통하여 t-test, 상관분석을 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자유학기제 음악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and effects of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progress maturity of the free semester music program of participating students in the free semester music program. In middle school education, which is the first stage of Juvenile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maturity of the course, because young people at this time start to undergo a great change both physically and mentally, This is the period when we will be interested in our own propensity, self identity, and curiosity about social position. In Korea, a new education program called free school term was implemented from 2016 for the purpose of self exploration, career search and impro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rts, sports, and club activities had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nd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music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friends. As a result, student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school life, self-regulated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achievement. In other words, students with school life satisfaction have high career maturity. The method of the study was the free semester music program satisfaction career maturity questionnaire. The Research analyze the data of this study by t-test, correlation analysis through IBM SPSS program and examined the effects of free semester music program on students' career maturity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irst grader is school life satisfaction level was higher than the second grader that free semester music experience. Second, it is possible to know that interaction between the free-term music program and the students' maturity level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by performing a correlation analysis, whereas in the course navigation program and preparatory action factors. As a result, students should continue to work on the improvement of the free semester music program and the lecture course and experiential learning related to the course in the student's progress course. The lecture should be conducted in the lecture course of the lecturer Next, students will be able to self-form through free semester music programs, and their maturation will help to improve the degree of satisfac- tion of their academic life and academic performance, and to adapt them to new environments By improving the problem-solving ability that can be achieved, it is possible to live a happy and fulfilling life through music.

      • 존경하는 사람, 존경의 이유와 영향 : 중학생과 부모집단 중심으로

        박은정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중학생과 부모집단의 존경하는 사람, 존경의 이유와 영향을 분석하여, 존경에 대한 한국인의 토착심리를 분석하는 데 있다. 분석대상은 중학생 108명(남: 54, 여: 54)과 부모 132명(부: 55, 모: 77)이었다. 측정도구는 박영신(2008)이 제작한 자유 반응형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첫째, 중학생과 부모집단 모두 존경하는 사람으로 부모를 가장 많이 응답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가족, 위인, 성공한 사람, 교사의 순서로 나타났다. 존경하는 이유에 대해, 희생하심이 가장 높은 반응율을 보였고, 그 다음으로 혈연관계, 성실함, 모범이 됨을 지적하였다. 존경심의 표현방법에 대해, 표현하지 못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다정한 표현, 본받으려 함, 대화함, 예의를 갖춤이 지적되었다. 존경하는 마음이 주는 영향에 대해, 중학생 집단은 본받으려 함, 열심히 노력하게 됨과 같은 반응이 가장 높은 반면에, 부모집단은 마음의 안정이 가장 높은 반응율을 보인 점에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아버지를 존경하는 중요한 이유로, 헌신적임이 가장 높은 반응율을 보였고, 그 다음으로 혈연관계, 성실함, 의지가 됨, 유능함이 지적되었다. 어머니를 존경하는 중요한 이유로는 희생하심이 가장 대표적이었고, 그 다음으로 혈연관계, 의지가 됨, 성실함과 같은 반응이 나타났다. 셋째, 할아버지를 존경하는 이유로서, 중학생은 자상함, 모범이 됨을 대표적으로 지적하였고, 부모는 모름과 혈연관계를 대표적으로 지적하는 차이가 있었다. 할머니를 존경하는 이유로 중학생은 자상함, 희생하심이 대표적이었고, 부모집단은 희생하심, 혈연관계, 모름이 대표적인 차이가 있었다. 넷째, 학교 선생님을 존경하는 이유로, 중학생은 가르침이라는 응답을 가장 많이 한 반면에, 부모는 교육자라는 반응을 가장 많이 하는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한국 중학생과 부모 세대가 지각하는 존경의 토착심리의 유사점과 차이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유아특수교사의 가족지원 인식과 요구에 관한 질적 연구

        박은정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단설유치원, 국·공립(병설)유치원, 장애통합 어린이집, 유아특수학교, 복지관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특수교사 5명을 대상으로 가족지원 인식과 요구에 대해 심층면담을 통해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유아특수교사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실제 교육현장에서 가족지원을 이해하고 진행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으며, 실제 적용가능한 가족지원 개발의 필요성 및 실천방향을 제시하여 효과적인 가족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돕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의 심층면담을 통한 수집 자료는 연속적 비교법(constant comparison method)의 질적 분석 방법에 따라 부호화(coding)하여 분석되었으며 그 결과 3개의 주제 및 12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주제로는 가족지원에 대한 필요성 및 효과, 가족지원의 어려움, 가족지원에 대한 요구이며 세 가지의 주제에 따른 연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특수교사의 가족지원에 대한 필요성 및 효과로는 현장에서의 다양한 긍정적 효과의 경험을 토대로 가족지원의 중요성 및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었으며 특히, 가족지원을 진행하고 있는 유아특수교사들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둘째, 가족지원의 어려움으로는 지역사회의 홍보부족 및 부모와의 면담에 대한 부담감으로 인한 가족지원의 안내에 대한 어려움, 다양한 부모의 상황과 태도로 인한 참여 및 지속성에 대한 어려움, 교사의 과중된 업무 및 부모와의 신뢰형성을 통한 진행의 어려움, 기관별 특성에 따른 유아특수교사에 대한 편견 및 재정지원의 차별성, 정보공유의 적절한 연계부족에 대한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지원의 요구로는 다양한 인력 지원과 비 장애 형제지원 관련요구, 다양한 정보력과 교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현장 적용 가능한 교사교육의 필요, 특수교사 인력확충 및 교육기관의 확대, 체계적인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부분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제언을 하면 유아특수교사의 가족지원 인식과 요구에 대해 더욱 다양하게 알아보기 위해 연구 대상자를 초임 교사 및 경력 교사로 폭 넓게 선정하고 대상자의 인원이 확장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교육경력 차이에 따른 유아특수교사의 의견을 비교분석하여 보다 다양한 내용이 도출 될 수 있도록 진행되는 후속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교육현장실제에 적용될 수 있는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 관련 연구가 지속되어 가족지원의 발전에 도움이 되어야 할 것이다.

      • 고등학생의 접선과 미분계수에 대한 이해 사례 분석

        박은정 전남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학교 수학의 개념들 중에는 학년이 높아지면서 정의가 확장되는 개념들이 있는데 그것의 대표적인 예가 접선의 개념이다. 중학교 과정에서 원에 대한 접선으로 시작하여 포물선에 대한 접선, 원과 포물선에서 판별식을 이용한 접선의 정의를 배우고 고등학교 미적분Ⅰ의 미분계수를 배우면서 미분계수의 기하학적 의미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접선의 개념을 완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역사적으로도 접선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나온 개념이 미분계수이기 때문에 미분계수를 배우면서 미분계수와 접선의 개념이 동시에 정확하게 확립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미분계수를 배운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미분계수와 접선의 이해도를 조사, 분석한 후 그 문제점을 교과서 내용 분석을 통해 찾고자 하였다. 조사를 위해서 수학 성적이 상위권인 광주광역시 소재 인문계 고등학교 2학년학생 3명과 3학년 학생 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접선에 관한 이해도 조사, 미분계수에 관한 이해도 조사, 접선의 존재성과 미분가능성의 관계에 관한 이해도 조사, 이 세 가지 부분에 대한 검사지를 풀게 하고 개별 면담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든 학생이 미분계수에 대한 이해도는 좋은 편이었다. 미분계수의 해석적 의미나 기하학적 의미 모두 잘 이해하고 있었다. 하지만 접선의 개념은 고등학교 2학년, 3학년 학생 모두 정확하게 알고 있는 학생이 없었다.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은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접선의 개념 정의를 사용하기 보다는 접선은 스쳐 지나가는 직선이라는 개념 이미지만을 가지고 문제를 해결하는 모습을 많이 보였다. 반면에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 중 수학 성적이 상위권인 학생들은 접선을 그리거나 판단할 때 거의 미분계수를 이용해 문제를 해결하는 모습을 보였다. 즉, 그 점에서의 접선을 그릴 때, 좌미분계수와 우미분계수를 계산하여 그 값이 서로 같으면 그 값을 기울기로 가지는 직선을 그 점에서의 접선으로 그리거나 식이 주어지지 않은 그래프에서는 좌미분계수와 우미분계수의 기하하적 의미를 떠올려서 접선인지를 판단하였다. 마지막으로 미분가능성이 접선의 존재성의 충분조건이라는 것을 알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는데 대부분의 학생들이 미분가능성과 접선의 존재성을 필요충분조건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것은 고등학교 수학에서 접선 관련문제를 풀 때 학생들이 기계적으로 미분을 하고 문제를 푸는 것이 습관화 되어버려서 접선과 미분을 동일한 개념으로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연구자는 이와 같은 학생들의 미분계수와 접선 개념 이해에 관한 문제점이 교과서에 제시된 구체적이지 못한 설명에 원인이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현행 미적분Ⅰ 교과서들의 미분계수와 접선에 대한 설명에서 문제점과 보완점을 찾아보았다. 그 결과 미분계수의 기하학적 의미를 설명하는 부분에서 접선이 할선의 극한이라는 것을 간접적으로 설명해 주고 있지만 그것을 보고 학생들 스스로 그 결론을 유도해 내기가 힘들고 교과서에 주어진 그림에서 또한 접선이 스쳐 지나가는 직선으로 표현되어 있어서 기존의 접선에 대한 개념 이미지를 바꾸기가 쉽지 않다. 9종의 교과서 중 한 교과서만이 접선과 미분계수 개념을 정확하게 알 수 있도록 추가내용을 넣었고 나머지는 접선 개념보다는 미분계수에 초점을 맞추어서 교과서 내용을 구성해 놓았다. 그렇기 때문에 대부분의 고등학생들이 미분계수와 관련된 것은 잘 이해하고 있지만 접선의 개념 정의는 정확하게 이해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접선 개념과 관련된 내용을 추가할 필요가 있다.

      • 결혼이주여성의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박은정 숙명여자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지구촌 인력의 국제적인 이동과 교류가 증가하고 한국사회의 국제결혼에 대한 태도나 가치관도 변화하면서 한국에서의 국제결혼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국제결혼을 통한 외국 여성의 증가로 우리 사회에 새롭게 편입하게 된 이들 즉, 결혼이주여성들은 개인적,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으로 적응해야 하는 많은 과제를 안고 있다. 낯선 한국에서 가정생활 스타일에 적응하고 문화적 차이를 극복하면서 결혼이주여성들이 우리 사회 안에서 한 명의 구성원으로 연착륙하기 위한 문제는 중앙정부나 지방정부 그리고 민간에 이르기까지 커다란 관심을 가질 사안이다. 그리고 결혼이주여성들이 한국 사회에 성공적인 적응과 통합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정책적인 연구와 방법을 모색하는 노력은 끊임없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기존 연구에서는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가족관계 스트레스 그리고 사회적 지지 등 다양한 요인이 사회통합 영향요인으로 다루어지고 있었으나 사회통합의 통합적 관점에서 작용하고 있음은 간과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의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로서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이들이 결혼 이주 이후의 한국 사회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겪는 문화적응 스트레스, 가족관계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가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그리고 사회통합을 주관적 사회통합인 삶의 만족도와 객관적 사회통합인 지역사회 참여로 구분하여 각각의 영향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화적응 스트레스, 가족관계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주관적 사회통합인 삶의 만족도와 객관적 사회통합인 지역사회 참여 차원의 변인들을 포괄적으로 선정하여 결혼이주여성의 사회통합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사회통합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 346명을 추출하여 설문 조사를 하였으며 설문 조사 분석결과를 토대로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객관적 사회통합인 지역사회통합을 살펴보면 국적을 취득한 경우와 소득이 높은 경우 지역사회 참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적응 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지각된 차별감은 지역사회참여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지역사회에 참여하더라고 외국인으로서 느끼는 차별과 편견은 이들의 삶을 어렵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관계 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시부모 관계 스트레스와 남편 관계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지역사회 참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는 지역사회 참여를 높이는 가장 강력한 요인으로 나타났는데 그 중 정서적 지지와 도구적 지지가 높을수록 지역사회 참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관적 사회통합인 삶의 만족도를 살펴보면 소득이 높고 한국어 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았다. 한국 거주기간과 시부모 관계 스트레스는 삶의 만족도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적응 스트레스 중 향수병과 지각된 차별감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지구촌 인력의 국제적인 이동과 교류가 증가하고 한국사회의 국제결혼에 대한 태도나 가치관도 변화하면서 한국에서의 국제결혼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국제결혼을 통한 외국 여성의 증가로 우리 사회에 새롭게 편입하게 된 이들 즉, 결혼이주여성들은 개인적,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으로 적응해야 하는 많은 과제를 안고 있다. 낯선 한국에서 가정생활 스타일에 적응하고 문화적 차이를 극복하면서 결혼이주여성들이 우리 사회 안에서 한 명의 구성원으로 연착륙하기 위한 문제는 중앙정부나 지방정부 그리고 민간에 이르기까지 커다란 관심을 가질 사안이다. 그리고 결혼이주여성들이 한국 사회에 성공적인 적응과 통합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정책적인 연구와 방법을 모색하는 노력은 끊임없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기존 연구에서는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가족관계 스트레스 그리고 사회적 지지 등 다양한 요인이 사회통합 영향요인으로 다루어지고 있었으나 사회통합의 통합적 관점에서 작용하고 있음은 간과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의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로서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이들이 결혼 이주 이후의 한국 사회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겪는 문화적응 스트레스, 가족관계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가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그리고 사회통합을 주관적 사회통합인 삶의 만족도와 객관적 사회통합인 지역사회 참여로 구분하여 각각의 영향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화적응 스트레스, 가족관계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주관적 사회통합인 삶의 만족도와 객관적 사회통합인 지역사회 참여 차원의 변인들을 포괄적으로 선정하여 결혼이주여성의 사회통합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사회통합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 346명을 추출하여 설문 조사를 하였으며 설문 조사 분석결과를 토대로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객관적 사회통합인 지역사회통합을 살펴보면 국적을 취득한 경우와 소득이 높은 경우 지역사회 참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적응 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지각된 차별감은 지역사회참여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지역사회에 참여하더라고 외국인으로서 느끼는 차별과 편견은 이들의 삶을 어렵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관계 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시부모 관계 스트레스와 남편 관계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지역사회 참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는 지역사회 참여를 높이는 가장 강력한 요인으로 나타났는데 그 중 정서적 지지와 도구적 지지가 높을수록 지역사회 참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관적 사회통합인 삶의 만족도를 살펴보면 소득이 높고 한국어 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았다. 한국 거주기간과 시부모 관계 스트레스는 삶의 만족도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적응 스트레스 중 향수병과 지각된 차별감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International marriages in Korea are increasing rapidly as the global movement and exchange of global workforces increase, and the attitudes and values ​​of international marriages in Korean society change. The increase in foreign women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s of our society, namely, immigrant women, face many challenges to adapt personally, socially, culturally and economically. Adapting to family life styles and overcoming cultural differences in an unfamiliar South Korea, marriage migrant women are a member of our society. Efforts should be made to find ways of policy research and methods that can help marriage immigrant women to be successful in adaptation and integration into Korean society. In the previous research, various factors such as acculturative stress, family relationship stress, and social support were considered as influential factors in social integration, but they are overlooked that they are working in an integrated perspective of social integ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factors affecting the social integra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The acculturative stress, family relationship stress, and social support of married immigrant women during their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after marriage migration. It is to verify the impact on social integ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social integration into life satisfaction as subjective social integration and community participation as objective social integr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ocial integration of marriage immigrant women by comprehensively selecting the variables of life satisfaction, which are acculturative stress, family relationship stress, social support, and subjective social integration, and community participation, which is objective social integration. In addition, we will explore ways to improve social integr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46 married immigrant women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The survey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community integration, which is an objective social integration, community participation is high when the citizenship is acquired and the income is high. Among the sub-factors of acculturative stress, perceived discrimin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community participation.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felt as foreigners, even though they participated in the community, made their lives difficult. The higher ‘husband's parents-related stress’ and husband-related stress among family stress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community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was the most powerful factor in increasing community participation, with higher emotional and instrumental support indicating higher community participation. Second, in terms of life satisfaction, which is a subjective social integration, the higher the income and the higher the Korean level, the higher the life satisfaction. Korean residence period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stress had a nega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Homesickness and perceived discrimination among cultural adaptation stress were found to be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 중학생이 인식한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심리적 통제의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 : 이중과정모델의 적용

        박은정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친사회적행동과 공격성을 이해하는데 있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중요성을 파악하기 위해 Dual process 모형을 적용하여 연구하였다. 요인들은 서로 독립적이고 상반된 요인으로 긍정관계와 부정관계에 있는 요인들의 관계와 부정요인이 긍정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이 인식한 교사의 자율성지지와 심리적 통제, 기본심리욕구, 긍정적 정서조절전략과 부정적 정서조절전략, 친사회적 행동과 공격성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여 청소년의 긍정적 행동 표현에 교육적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 및 관련이론 등을 참고하여 변인간 관련성에 대한 2개 모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G지역에 소재하는 2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472명이다. 상관분석, 구조모형 검증, 각 요인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SPSS 21, Amos 22.0, MPLUS 7.0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와 교육실천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자율성지지를 인식한 중학생은 기본심리욕구의 만족을 매개로 긍정적 정서조절전략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교사의 심리적 통제를 인식한 중학생은 기본심리욕구의 좌절을 매개로 부정적 정서조절전략에 영향을 미쳤다. 즉, 교사가 자율성을 지지하는 환경일수록 기본심리욕구가 만족되고 이는 스트레스 상황을 맞더라도 긍정적 정서조절전략을 많이 사용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의 생각과 상황을 인정하고 학생의 의견을 존중하는 자율적인 교실상황을 제공해야 하며 제도적인 측면에서 또한 교사의 자율성지지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해야 함을 시사한다. 둘째, 기본심리욕구의 만족은 긍정적 정서조절전략을 매개로 친사회적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기본심리욕구가 만족되면 스트레스 상황을 맞더라도 긍정적 정서조절전략을 사용하여 친사회적 행동을 유발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결과는 중학생의 친사회적 행동을 유발시키고 공격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중요성이 검증되었다. 따라서 중학생의 긍정적 행동유발을 위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발달시킬 수 있는 교육적 방법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중학생이 인식한 교사의 자율성지지는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만족과 긍정적 정서조절전략의 이중매개효과가 있음을 나타냈다. 중학생이 교사의 자율성지지를 인식할수록 기본심리욕구의 만족이 높아지고,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긍정적 정서조절전략을 많이 사용하게 되어 공격적인 행동보다 긍정적인 친사회적 행동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교사의 자율성지지적인 환경과 기본심리욕구 만족의 개인적 요인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으로 인해 친사회적 행동과 공격적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즉, 중학생의 인지능력 발달 단계에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친사회적 행동과 공격성에 영향을 주고 있음은 교육적 의의가 있다. 넷째, 보호요인은 긍정요인을 위험요인은 부정요인을 더욱더 잘 설명하고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에서 보면 교사의 심리적 통제를 인식한 학생은 기본심리욕구의 만족을 매개로 긍정적 정서조절전략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과를 나타냈다. 즉, 보호요인, 위험요인을 긍정적 발달을 위해 좀 더 효과적인 방안의 제안이며 위험요인 또한 긍정적 요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을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for understand prosocial behavior and aggress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dual process research model. The factors have established to independent of each other and contrary to each other. Also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tective factor to positive, risk factor to negative and negative factor to positive factor.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recognized by middle school students of teacher autonomy support, teacher psychological control, Basic psychological nee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prosocial behavior and aggression. And this study was to analyze two research models abou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or reference prior research and related theory.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472 middle school students and average age was 14.5. They were recruited from two middle schools in Gyeongbook province. Pearson’s correlation, effect of cod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ootstrapping for mediation effect were performed using SPSS 21, AMOS 22.0, MPLUS 7.0. The major finding of this research and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ractice were as follows:: First,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had mediating effect between recognized by middle school students of teacher autonomy support and positive cognitive emotional control strategy. Also frustra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 had mediating effect between recognized by middle school students of teacher psychological control and negative cognitive emotional control strategy. In other words, teacher autonomy supportive environment has basic psychological need being satisfied and this use a lot positive cognitive emotional control strategy in stressful situation. Therefore teacher have to accept of student’s thinking, situation, opinion, autonomous class support and consist of curriculum from an institutional perspective to teachers provide an autonomous environment. Second, posi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had mediating effect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prosocial behavior. This is means when basic psychological needs are satisfied to induce prosocial behavior using to posi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in stressful situation. The result was proved importance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for causing prosocial behavior and decrease aggression. Therefore student should be applied educational methods of develop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for increase positive behavior. Third,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posi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had mediating effect between teacher autonomy support and prosocial behavior. This is means when the higher a teacher’s support for autonomy is recognized increase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increase more prosocial behavior than aggression by using a lot posi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in stressful situation. Looking at the results of this study, environment that supports teacher autonomy and personal factors of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suggest to can affect prosocial and aggression by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In other words,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cognitive ability development stage has effect to prosocial behavior and aggression by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this have educational significance. Forth, protective factor was explain well about positive factor and risk factor was explain well about negative factor. Howeve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had mediating effect between teacher psychological control and posi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lso teacher psychological control had taken negative effect to positive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This is means protective factor and risk factor were to make a suggestion effective method for student of positive development and should consider it what possibility risk factor was negative effect to positive factor. Finally,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based on limitations of this study.

      • 온라인 기반 파닉스 교사교육의 효과 및 개선 방안

        박은정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기반 파닉스 교사교육의 효과 및 개선 방안을 탐구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교육에서 사교육이 차지하는 비중이 큰 만큼, 사교육 교사의 전문성이 교육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연구자의 사교육 교사 대상 교사교육의 경험을 바탕으로 온라인 기반 파닉스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체계적으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여 그 효과 및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과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파닉스 교사교육을 통한 교사의 전문성 향상 양상을 살펴본다. 둘째, 온라인 기반 교사교육의 장⋅단점을 파악하여 발전 방향을 모색한다. 이러한 연구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파닉스 지도에 관심 있는 교사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11주에 걸쳐 온라인 플랫폼 줌(zoom)을 사용하여 실시간 비대면 교사교육을 진행하였다. 교사교육 프로그램은 연구자가 기존에 Y교사교육 기관에서 대면, 비대면 온라인 강의 시 활용했던 파닉스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였다. 파닉스 사전 지식 테스트, 사전 설문, 두 차례에 걸친 사후 설문과 면담, 연구자 일지 등의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여 범주화하였고, 질적으로 분석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온라인 기반 파닉스 교사교육은 이론 지식의 체계적 확립과 각운의 이해와 활용을 통한 교수법 향상을 통해 교사 전문성을 높이는데 영향을 미쳤다. 파닉스 이론 지식의 부재 및 부족으로 파닉스 지도와 학원 운영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던 교사와 학부모들이 교사교육을 통해 파닉스의 정의, 파닉스를 지도하는 올바른 순서, 영어의 자음과 모음에 대한 이해 등의 체계적인 이론 지식을 습득하였다. 습득된 파닉스 이론 지식을 통해 학원 운영 및 학생 지도, 구체적인 수업 운영에 있어 교사 전문성을 갖춘 문제해결력을 가지게 되었음을 이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함께, 교사교육을 통해 파닉스 지도 시 각운의 중요성과 활용을 이해한 교사들이 각운 활용 교수법을 적용하여 파닉스 수업을 진행하면서 일반적인 교수 상황에서뿐만 아니라 사교육을 받기 어려운 시골지역의 학생들, 중학생 영어 학습 부진아들을 지도할 때도 각운 활용의 효과가 뛰어났음을 볼 수 있었다. 파닉스 지도에 효과적으로 사용 가능한 활동에 대한 조사에서도 모두 각운을 활용한 활동이 선택된 점에서 각운 활용이 파닉스 지도에 효과적인 교수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온라인 기반 교사교육 과정을 통해 파악한 온라인 교육의 장⋅단점을 기반으로 상호작용 향상을 위한 기술 지원과 교수자 역할의 재조명이라는 온라인 교사교육 개선 방안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11주 동안 진행된 온라인 교육을 통해 참여자들이 직접 느낀 온라인 교사교육의 장점은 시공간의 제약 극복, 높은 집중도, 파일 공유의 편리성 등이었으며, 교수-학습자간 그리고 학습자들간 상호작용의 어려움으로 인한 참여자들의 수동적인 참여, 교수자의 온라인 플랫폼 활용 기술에 대한 숙련도 부족에서 오는 온라인 교육의 불편함 등이 단점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제시한 본 연구의 결과가 온라인 기반 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교사교육의 교사 전문성 향상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교사교육, 특히 사교육 교사를 위한 다양한 교사교육 제공과 관련 연구가 필요하다. 파닉스뿐만 아니라 영어 교육의 다른 영역, 예를 들어,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언어 4기능 영역과 어휘, 문법의 영역을 어떻게 잘 지도할 수 있을지에 관한 사교육 교사를 위한 다양한 교육 제공의 필요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교사교육은 참여자들에게 교과목 관련 이론 지식의 체계적 확립과 효과적인 교수법의 습득을 가능하게 하며, 이는 교사 전문성을 향상 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다양한 사교육 교사교육 제공과 함께 관련 연구의 필요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사교육 교사교육에 관한 지속적 연구는 사교육 교사를 위한 교육의 효율성을 높일 것이며 이는 교육의 질과 직접적으로 연결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온라인 교사교육의 장⋅단점을 기반으로 앞으로 온라인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면대면 교육에서 온라인 교육으로의 변화는 온라인 교육의 과도기적 문제점을 드러낼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온라인 교육의 장점을 최대한 살려 기존 면대면 교육과 혼합 형태의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으로 미래 교육의 방향을 잡아 나가면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에 온라인 기반 교사교육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가 위와 같이 온라인 기반 교사교육에 긍정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할지라도 몇 가지 제한점을 가지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파닉스라는 특정 영역에 국한되어 있어 후속 연구를 통해 영어의 다른 영역 관련 교사교육의 효과, 교사교육이 교과내용의 전문적 이해와 교수방법 이외의 다른 교사 전문성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밝힐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는 온라인 교사교육의 장⋅단점을 파악하여, 이를 기반으로 앞으로 온라인 교사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위한 두 가지 제언을 하였다. 하지만, 면대면 교육의 효과와 온라인 교육의 효과를 비교 분석하는 연구를 통해 온라인 교사교육의 효과를 심도 있게 논의하지 못하였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온라인 교사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위한 두 가지 제언을 하였다. 첫째, 교수-참여자, 참여자들간의 상호작용을 높이기 위한 기술적 지원이 필요하다. 줌 플랫폼에서는 소그룹 회의 기능, 채팅 기능 등이 상호작용 증진을 위해 구현되는 기술이지만, 기존의 면대면 교육에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는 기술력은 아니다. 이에 온라인 교사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상호작용을 최대한 끌어낼 수 있는 기술 개발과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온라인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교수자의 역할이 재조명될 필요가 있다. 온라인 교사교육에서 교수자에게 요구되는 중요한 역할은 온라인 플랫폼 관련 기술 습득이다. 플랫폼에서 구현되는 기술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때 교육의 효율성이 높아질 수 있을 것이며, 이에 교수자들의 온라인 플랫폼 기술 습득을 위한 교육이 충분히 제공되어지길 바란다.

      • 성격 요인이 영어 학습 책략에 미치는 영향

        박은정 단국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교육 분야에 ‘학습자 중심’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더불어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학습 책략 또는 의사 소통 책략과 관련된 선행 연구들이 최근의 ‘학습자 중심’에 대한 높은 관심을 반영하고는 있으나 제한적인 언급에 그칠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다양성과 개별성, 특히 정의적 요인인 성격적 측면에 대한 고려가 아직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학습자들의 성격 유형에 따라서 적절한 영어 학습 책략이 시도될 수 있다는 전제 아래, 성격 유형이 학습자들의 영어 학습 책략 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학습자 성격 유형의 4 가지 지표, 4 가지 기질, 4 가지 기능 및 성별에 따른 영어 학습 책략 선호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남녀 고등학생 각 109명과 75명으로 총 184명이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연구 도구는 MBTI 성격 유형 검사와 맞춤 학습법, 학습 습관, 영어 학습 책략, 뇌의 발달 유형에 관한 설문이며, 본 연구에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Package for Social Science)/win Version 1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격의 4 가지 지표에 따라서 학습자가 선호하는 영어 학습 방식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본 결과, 외향적(E)인 학생들이 내향적(I)인 학생들보다, 사고형(T)의 학생들은 감정형(F)의 학생들보다 회화, 읽기, 쓰기와 같은 영어 학습 활동에 적극적으로 임하고 흥미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판단형(J)의 학생들은 인식형(P)의 학생들과 비교할 때 별 어려움 없이 영어 읽기와 쓰기 활동을 진행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각형(S)의 학생들과 직관형(N)의 학생들은 학습 방식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로, 성격 유형의 4 가지 기질적 특성에 따라 학습자가 사용하는 책략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NT(직관-사고)형은 인지 책략을, SJ(감각-판단)형은 보상 책략을 많이 사용했다. 그리고, 성격 유형의 4 가지 기능적 특성에 따라 학습자가 적용하는 영어 학습 책략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사회적 책략은 SF(감각-감정)형이 다른 유형에 비해서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습자의 성별에 따라 영어 학습 책략을 사용함에 있어서 차이를 나타내는지 알아본 결과,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상위 인지 책략과 보상 책략에 관련된 활동에 더 적극적이었으며 흥미를 드러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시사점을 찾을 수 있었다. 첫째, Oxford의 지적처럼 다양한 학습 책략이 존재하며, 학습자들의 다양한 성격 유형은 거기에 적합한 여러 가지 영어 학습 책략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둘째로, 자신의 성격을 보다 잘 이해함으로써 영어 학습에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임할 수 있으며, 다양한 성격 유형이 갖고 있는 기능에 의해 알아낸 모든 책략들을 통합해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들의 다양성과 개별성을 고려하면서 각 학습자들에게 효율적인 영어 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교사들이 학습자들의 특성에 따른 다양한 영어 교육 방법을 연구 하여 직접 교육 현장에 적용해 본다면 보다 나은 교육적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본 논문은 성격 유형과 영어 학습 책략의 연관성에 비추어 본 영어 교육의 재조명을 통하여 실제로 교육 현장에서 적용해 볼 수 있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제시하는 데까지 연구 영역을 확대하지 못했다는 아쉬움이 있다. 그러므로, 성격 유형과 영어 학습 책략의 연관성에 의한 보다 구체적이고 영어 교육 현장에 적용이 가능한 프로그램을 다루는 후속 연구가 계속 되기를 기대해본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1) to identify various kinds of person -alities, and (2)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person -ality and learning strategies. Therefore, on the assumption that proper choice of learning strategies according to learners' various personalities should be tried, this study depends on various materials collection through literature analysis with some questionnaires and investigation of the difference in preference for choosing their learning strategies based on personality types by each 4 kinds of index(guide line), temperament, function and the distinc- tion of sex to get the influence of the type on the preference. 109 boys and 75 girls of high school students were made an object of this study and this questionnaire is related to the test of personality type of MBTI and their choice of learning strategies. For analysis of all the collected materials, SPSS(Statistics Package for Social Science/win Version 10.0 program) was applied. The main result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hecking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 preference by the above indexes, extrovert students show positive manner in class more than introvert ones, and thinking ones are interested in reading and writing more than feeling ones. Judgmatic ones show the same response as extrovert students,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sensitive and intuitive ones. Secondly, NT ones prefer cognitive strategies and SJ ones do compensa- tion strategies much to other types. Next, SF ones prefer socio-affective strategies to others. Besides ST ones are more active than other types. Finally, checking by the distinction of sex, girl students prefer meta -cognitive and compensation strategies. In conclusion, some suggestive matters can be derived from this study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are various strategies as Oxford pointed out. Secondly, appropriate strategies are necessary for learners' various types of personalities. Third, learners can show active attitude in class by understanding their own personalities and integrate every learning strategies. Fourth, teachers had better search for many methods according to learn -ers' characteristics and apply to education. In closing, it is a pity that this dissertation can't be expended to the extend of showing any concrete program applicable to the field of English education referring to th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ities and English learning strategies. Then may following studies dealing with prac -tical program of English education by the correlation keep 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