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Immunoaffinity-HPLC를 이용한 수산자원의 미량비타민 비오틴(vitamin B7)과 코발라민류(vitamin B12)의 동시분석 유효성 검증

        박은영 순천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Vitamins are essential micronutrients for the normal functioning of the human body. Since vitamins are not synthesized in the human body, they must be consumed daily as food or supplements. Among vitamins, in particular, water-soluble vitamin B7 (biotin) and B12(cobalmins) are present at a trace level. In this study, simultaneous extraction, immunoaffinity clean-up and HPLC was applied for determination of vitamin B7 and B12 in seafood and validated. Sodium phosphate buffer (0.15 M, pH 7.0) and sodium acetate trihydrate buffer (0.2 M, pH 4.0) were tested for simultaneous extraction of vitamin B7 and B12,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including enzymatic extraction, ultra-sonication (none, 10 min at room temp., 30 min at 50℃) and heating (30 min at 100℃ and 121℃) were tested for simultaneous extraction of vitamin B7 and B12, The biotin and cobalamin contents of the standard reference material (SRM 3280-multi vitamin) were simultaneously analyzed under the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ultra-sonication treatment, temperature and pH). Recovery of biotin (96.2%) and cyanocobalamin (83.9%) were within the acceptable range in heat treated (100°C) extraction followed by ultra-sonication (10 min at room temperature) using 0.2 M sodium acetate trihydrate buffer(pH 4.0) extraction solution. Recovery of biotin (96.9%) and cyanocobalamin from SRM 1849a by simultaneous analysis were (97.0%) were within the acceptable range. The coefficient variations (CV) of 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 of biotin analysis were 4.7% and 4.0%, respectively. The CVs for 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 of cyanocobalamin analysis were 4.8% and 5.2%, respectively. Extraction efficiencies of individual and simultaneous analyses for biotin and cobalamins were compared from 5 kinds of seafood (Japanese-Spanish mackerel, squid, ark shell, Japanese squillid mantis shrimp, and common sea squirt). Percent recovery of biotin and cyanocobalamin by simultaneous analysis were 71.4~129.0% and 63.6~103.0%, respectively. In this study, a simple and rapid simultaneous extraction and immunoaffinity-HPLC analysis for biotin and cobalamins was developed and validated, which was efficient for the determination of biotin and cobalamins in seafood.

      • 유아교사의 놀이치료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박은영 광신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국국문문문초초초록록록 유유유아아아교교교사사사의의의 놀놀놀이이이치치치료료료 경경경험험험에에에 관관관한한한 질질질적적적연연연구구구 박은영 지도교수:김 현 진 철학박사 광신대학교 상담치료대학원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놀이치료 경험과 그 경험의 의미를 질적으로 분석하고 해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이러한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유아교사의 놀이치료 경험은 어떠한가? 둘째,유아교사의 놀이치료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 연구 참여자는 병설유치원에 근무하는 두 유아교사이며,연구진행은 대학원 입 학 전부터 졸업이후 현재까지 두 교사의 놀이치료 경험과 의미 탐색으로 이루어 졌다.연구절차는 질적연구의 순환적 연구 과정을 토대로 진행되었으며,참여관찰, 심층면담,연구일지,연구자 일기,기타 면담 및 협의,문서 자료를 수집하여 자료 의 분석과 해석에 활용하였다. 자료의 분석 및 해석 결과 첫째,두 유아교사의 놀이치료 경험은 놀이치료 경험 전,놀이치료Ⅰ,공백기,인터넷 강좌,놀이치료Ⅱ,인턴쉽,현재 일곱 단계로 나누 어 분석과 해석되었다.놀이치료를 경험한 두 교사는 놀이치료 이론이 실제가 되 어 자신의 삶과 유아교육현장에서 실천적 지식으로 자리매김 되어가는 다양한 경험을 하게 되었고,놀이치료 경험 전보다 놀이치료 경험 후 인격적으로 더욱 성숙 해 졌다. 둘째,두 유아교사의 놀이치료 경험의 의미는 개인사적인 의미와 유아교사로서 의 의미로 분석과 해석되었다.두 교사는 놀이치료를 반성적 사고와 실천적 지식 형성을 통해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용하며,현재 진심어린 교사로 살아가게 되었다. 두 유아교사의 놀이치료 경험과 그 경험의 의미를 탐색한 본 연구가 놀이치료 의 유아교육현장 적용에 관한 연구와 놀이치료사를 훈련하는 수퍼바이저,교수, 놀이치료 관련 대학과 유아교사 양성대학들을 위한 놀이치료 교육에 도움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 조혈모세포 이식을 받은 소아의 최종 신장

        박은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목적: 성장 장애는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환아에게서 발견되는 흔한 합병증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기에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환아들의 최종 신장을 분석하여 장기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남대학교 병원에서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 받은 환아 중 이식 당시 연령이 사춘기 이전이면서 추적 관찰이 최종 신장에 도달할 때까지 이루어진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식 후 신장 감소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이식시와 최종 신장의 표준편차점수(standard deviation score, SDS)를 이용하였다. 결과: 대상 환아는 남아 7명, 여아 8명이었다. 조혈모세포 이식시 평균 연령은 12.8±2.4세(범위, 6.3-14.7세)로 최종 신장은 18.1±1.5(범위, 16.0-21.8세)에 측정되었다. 최종 신장의 표준편차점수는 2례를 제외하고는 모두 정상 범위였다. 최종 신장의 표준편차점수는 -0.5±1.2로서 이식시 신장의 표준편차점수 -0.8±0.8과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식시 연령이 적은 군(6.1-10.0 세, 5명)에서 이식시 연령이 많은 군(10.1-15.0세, 10명)에 비해 의미있게 최종 신장의 표준편차점수가 낮았고(-1.5±0.6 vs -0.1±1.1, P< .05), 표준편차점수 변이값(Δ SDS)도 차이를 보였다(-1.2±0.7 vs 0.5±0.8, P < .05). 또한, 이식 전처치에 방사선 조사가 포함된 군(6명)에서 포함되지 않은 군에 비해 최종 신장의 표준편차점수가 감소를 보였다(-1.4±0.8 vs 0.0±1.1, P< .05). 하지만, 성별, 질병의 종류, 이식의 종류, 이식편대 숙주병의 유무 등은 최종 신장 감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 받은 환아는 이에 대한 장기 합병증으로 2차 성장 장애가 발생 가능하나, 본 연구의 대부분 환아(13/15)에서는 정상 최종 신장을 획득하였다. 성장 장애와 연관된 인자는 이식 당시 연령이 어린 경우와 방사선 조사가 포함된 치료를 받은 경우로 확인되었다.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 받은 환아에서 정기적인 신체계측과 이의 결과에 따른 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은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47

        유아는 인간관계를 비롯한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달하고 성장한다. 본 연구는 유아가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반응적 상호작용을 통해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소양과 정서 발달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효과는 어떠한가? [2-1]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음악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2]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음악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3]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 지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의 절차와 방법을 연구문제별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에서는 프로그램 개발에 앞서 전문가와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면담 및 음악활동 관찰을 순환적 과정을 통해 실시하여 유아 음악활동의 실태 및 요구를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유아 음악활동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점 및 시사점을 추출하였고,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수립한 프로그램 개발 방향과 문헌고찰을 토대로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구성은 목적 및 목표, 내용, 교수&#8729;학습 방법, 평가, 교사 역할로 구분하였으며, 선정 과정에서 전문가 자문과 교사 협의를 통해 수정&#8228;보완하였고 타당도 검증 과정을 거쳤다. [연구문제 2]는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음악적 태도, 음악적 능력, 정서 지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에 소재한 I유치원 2학급 만 4세 유아 51명(실험집단: 25명, 통제집단: 26명)이다. 연구도구는 박은영(2011)이 제작한 교사용 유아 음악적 태도, 한국가이던스(2000)의 유아 음악 적성을 통해 유아의 음악적 능력, 김경회(1998)가 개발한 교사용 유아 정서 지능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기간은 2010년 12월 22일~2011년 2월 18일까지 주 3회씩 7주 동안 총 21차시이며, 실험집단은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음악활동을 하였고 통제집단은 일반 음악활동을 하였다. 실험 처치 후 유아의 음악적 태도, 음악적 능력, 정서 지능 점수에 대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공변량분석(ANCOVA)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7.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연구문제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의 목적은 유아가 음악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음악의 아름다움을 경험하고, 민감하고 수용적인 반응적 상호작용을 통해 음악적 능력을 신장시키며, 정서 발달과 음악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여 음악을 즐기고 생활화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다. 목표는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을 통해 음악에 대한 심미적 경험과 긍정적인 태도 형성, 음악적 능력과 정서 지능 증진이다. 내용은 활동 영역, 이해 영역, 제재곡을 구성하였다. 활동 영역은 듣기와 음악 감상하기, 노래 부르기, 악기 연주하기, 음악 만들기, 신체 표현하기이다. 이해 영역은 강약, 고저, 리듬, 빠르기, 음색, 화성이다. 제재곡은 감상곡과 노래이다. 교수&#8729;학습 방법은 교수&#8729;학습 원리, 교수&#8729;학습 과정, 교수&#8729;학습 전략, 교수&#8729;학습 매체로 구분하였다. 교수&#8729;학습 원리는 교사-유아 상호주도, 반응적 소통, 생활주제 연계, 유아의 발달 수준과 흥미 고려, 융통성, 활동 중심이다. 교수&#8729;학습 과정은 도입 단계(주의 집중하기, 주제 관련 활동하기), 전개 단계(탐색하기, 반응적 표현하기), 마무리 단계(평가, 마침 노래, 차시 예고)이다. 교수&#8729;학습 전략은 교류하기, 리더하기, 단서주기, 반응하기, 집중하기이다. 교수&#8729;학습 매체는 악기와 활동 자료이다. 평가는 음악활동에 대한 교사의 자기 평가, 유아에 대한 교사 평가, 유아의 자기 평가, 유아의 또래 평가이다. 교사 역할은 민감한 반응자, 비평가적 수용자, 비형식적 안내자, 상호작용 촉진자, 환경 구성자이다. 둘째,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유아의 음악적 태도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을 살펴보면, 개방성과 표현력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난 반면, 적극성, 주의집중, 호기심, 흥미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유아의 음악적 능력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을 살펴보면, 화성과 감상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난 반면, 강약, 고저, 리듬, 음색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유아의 정서 지능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을 살펴보면, 감정조절 및 충동억제, 타인정서 인식 및 배려, 또래와의 관계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난 반면, 자기 정서 인식 및 표현, 자기 정서 이용, 교사와의 관계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태도, 음악적 능력, 정서 지능을 증진하는 데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유아가 음악활동에서 음악적, 비언어적, 정서적 행위를 주고받는 반응적 상호작용을 통해 음악적 소양과 정서 발달에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은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천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으로서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입술선 경사가 있는 자의 교정치료시 소구치 발치 여부가 입술선 경사 개선에 미치는 영향

        박은영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들어 교정치료 결과 평가시 치열이나 교합의 개선 외에도 정면에서 바라 본 입술선 경사 등 안모 심미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입술선 경사가 있는 자의 교정치료시 소구치 발치 여부가 입술선 경사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교정치료 환자 중 좌우 동공 연결선을 기준으로 2° 이상의 입술선 경사가 있는 자를 선정한 후 소구치 발치군과 비발치군으로 나눈 다음 교정치료 전후 정면얼굴사진을 통하여 입술선 경사 변화를 측정하는 한편, 치료 전후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통하여 양 군의 치아골격 구조 및 이의 변화를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소구치 발치군의 경우 치료전 입술선 경사도가 2.6°에서 1.3°로 변화되어 교정치료에 의해 1.3°의 개선을 보였다. 2. 비발치군의 경우 치료전후 입술선 경사도가 각각 2.7°, 2.3°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3. 발치군과 비발치군간 치료전 두부방사선사진 계측치를 비교한 결과 발치군은 비발치군에 비하여 전치가 돌출된 양상을 보였다. 4. 발치군과 비발치군간 치료 전후 두부방사선사진 계측치 변화량을 비교한 결과 발치군은 비발치군에 비하여 상악 및 하악 전치 후방이동 양이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입술선 경사를 보이는 자의 교정치료시 소구치 발치를 시행할 경우 입술선 경사의 개선이 나타남을, 그리고 이러한 개선은 전치의 후방이동과 관련 있음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impact of premolar extraction and non-extraction orthodontic treatment on the change of lip line cant(LLC) in the individuals with lip line cant. A study was made of 35 patients who presented LLC more than 2° before the treatment. Twenty three patients underwent extraction of four premolars, while 12 did not undergo extraction of teeth. LLC was measured in the pre- and post-treatment frontal photographs and cephalometric measurements were obtained from the corresponding lateral cephalograms both before and after orthodontic treatment.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While the subjects treated with extraction of premolar showed 2.6° of LLC on average before treatment, LLC improved to 1.3° after treatment and the change(1.3°)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2. While the subjects treated without extraction showed 2.7° of LLC on average before treatment, LLC improved to 2.3° after treatment and the change(0.4°)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3. Before treatment, the extraction group showed more protruded position of incisors than the non-extraction group. 4. In comparison of the change of cephalometric measurements before and after treatment, the extraction group showed more retruded upper and lower incisors than non-extraction group.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LLC can be improved considerably by orthodontic treatment with premolar extraction and its change might be correlated with incisor retrusion.

      • 고등학생들의 기술관련 진로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박은영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기술관련 진로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 이러한 요인들이 기술관련 진로 선택에 어떠한 관계가 있었는지, 또 성별에 따른 기술 관련 진로 선택과 관련된 요인에 있어 어떤 차이가 있는지 조사,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기술관련 진로교육의 계획과 구성 등을 새로이 하여 학생들이 기술 관련 진로에 대해 흥미와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교수, 학습 방법을 개발하고,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으며,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대부분이 기술관련 진로를 기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에게 기술관련 진로에 대한 인식을 바꾸기 위해 올바른 정보와 체계적인 지도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성별 차이에서 보면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기술 관련 진로를 더 많이 희망하였다. 분석 결과에서 보면 성별에 따라 여학생들은 기술 교사의 영향과 기술관련 경험에 있어 많은 영향을 받지 못하고 있다. 셋째, 기술 관련 진로를 희망하는 학생들은 정보산업분야와 건축, 의료분야를 대부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학생들이 기술관련 진로를 긍정적으로 생각도록 감응을 주고, 올바른 진로지도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진로 지도 방법을 개발하는 데 중요한 기본 자료가 될 것이다. This research analyzes what influences students' decisions with regards to which courses to take and how those courses relate to future workplace technology. The research also looks at how gender influences the jobs, and hence the courses chose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offer students the right information, and to develop a course of study for students with a new career counseling program.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we set up a number of issues to focus on. First of all, most students evade courses which are related to technology. So, we need to find correct information about which courses are related to technologies specific to students' desired career goals in order to provide systematic guidance. Next, male students tend to prefer courses which are connected to technology more than female students tend to prefer them. According to the analysis, female students tend not to accumulate a lot of experience related to technology. Moreover technical teachers often think that female students are not good with technology. Therefore, female students are negatively influenced by these teachers. Finally, the majority of students who wish to find a job which is related to technology tend to prefer IT, architecture, or medical services. This research will provide important standard data that will give students accurate, and positive information about technologically related courses, and it will also help to improve the course guidance system.

      • 과학관련 사회적 문제(SSI)를 이용한 과학의 본성 이해 및 도덕적 민감성 발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박은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관련 사회적 문제들(SSI)을 소재로 초등학생들의 과학의 본성 이해 및 도덕적 민감성을 발달시켜줄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SSI에 관한 주제들의 교육적 도입 적절성 및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SSI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 포함된 SSI 소재를 추출하여 과학의 본성 요소와 도덕적 민감성 요소에 따라 SSI 소재를 유목화하였고, 논증생성수업모형을 적용하여 구체적인 교수학습 전략을 구성하였다. 이 프로그램의 내용 타당도는 과학교육전문가를 통해 확보하였다. SSI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효과 분석을 하기 위해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 이해 변화를 알아보았다. 6가지의 과학의 본성 요소로 구성된 SUSSI 검사를 이용하였고, 결과는 SPSSWIN 20.0을 활용하여 사전과 사후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SSI 프로그램 적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도덕적 민감성 정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각 주제별로 최종 논증을 정리한 활동지를 TESS 분석틀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주제별 TESS 분석 기준틀에 대한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SSI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효과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과학의 본성 이해를 알아보기 위한 SUSSI 검사를 한 결과, 폐쇄형 문항 점수에서는 사전 검사보다 사후 검사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왔으며, 과학 탐구의 방법 요소에서 가장 큰 변화를 보였다. 하지만 개방형 문항 점수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생들이 응답한 개방형 문항의 답변 내용과 폐쇄형 문항 점수 결과를 살펴보았을 때, SSI 프로그램은 과학의 본성 이해 발달에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학생들의 도덕적 민감성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비교적 SSI 소재가 속한 영역이 유사한 1회차와 5회차의 도덕적 민감성 수준을 비교하였을 때, 5회차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SI 프로그램을 투입하는 동안 주제별로 학생들이 보인 도덕적 민감성 정도가 각각 다르게 나타났고 5개의 주제 중에서 생명 영역에 포함되는 동물 실험에 대해 도덕적 민감성 정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개발한 SSI 프로그램이 과학의 본성 이해와 도덕적 민감성 발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학교 현장에서의 SSI 수업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구체적인 교수‧학습 자료 제공함으로써 교사의 교수 활동에 실질적 도움의 기회가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공법상 개인 식별 및 인증 방식에 관한 법제도적 연구

        박은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personal iden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methods in Korean public law, overseas cases and technical platform, and to propose more advanced methods. The methods about personal iden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is necessary for own existence, self-management in the overflowed era of data and using administrative and legal services. Because of importance of personal iden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methods, it is a meaningful task to plan the methods about personal iden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for systematic and stable operation. As for the personal identification methods, the status of the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based on the RESIDENT REGISTRATION ACT is examined, and various problem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are found. And as for the personal authentication methods, the status of ID based on the RESIDENT REGISTRATION ACT, personal seal ver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CERTIFICATION OF SEAL IMPRINT ACT, personal identity ver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VERIFICATION OF PERSONAL SIGNATURE ACT, certified digital signature based on the DIGITAL SIGNATURE ACT, I-PIN and MY-PIN, and various problems are found. Related overseas cases in Estonia and the Japanese is examined. Through this, clues to improve our system are sought. And BLOCKCHAIN technology, which has recently been attracting attention due to its high level of security, is investigated how combine it with personal iden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methods. Finally, it proposes to make a law that integrates personal iden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methods in order to improve system. The efficiency of the operation can be increased through the integrated system construction. The main contents of the law are as follows. First, it covers all matters related to the iden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method. Second, the essential elements of the system are defined in the law so as not to be in conflict with the principle of statutory reservation(Vorbehalt des Gesetzes). Third, distributed protection regulations about personal iden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rd gathered in the law. Fourth, a permanent organization should be established to manage the personal identification and certification methods. Fifth, it is obligatory to leave all records about using of personal iden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methods. Sixth, it includes reinforcement of sanctions in case of leakage, embezzlement and breach of various kinds of duty. And with respect to the personal identification methods, it should be made the random code and could be changed optionally. In the personal authentication methods, it is proposed to introduce an electronic ID card using IC card. Through such improvement direction, it is expected that the personal iden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methods will be constructed in the public law that can guarantee the convenience and security of the information without hindering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공법상 개인 식별 및 인증 방식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외 사례와 기술안 검토를 하면서, 보다 발전된 개인 식별 및 인증 방식의 방향을 제시하려는데 있다. 공법상 개인 식별 및 인증 방식은 한 개인의 사회적 활동을 위한 존재와 행정·법률 서비스의 이용을 위해, 데이터 사회에서 자신의 정보를 스스로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제도이다. 개인 식별 및 인증 방식의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과 안정적 운영을 위한 방안을 검토하는 것은 개인 식별 및 인증 방식의 중요성에 비추어 의미 있는 작업이다. 개인 식별 방식으로는 「주민등록법」에 근거한 주민등록번호의 현황을 검토하며, 특징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살펴본다. 그리고 개인 인증 방식으로는 「주민등록법」에 근거한 '주민등록증', 「인감증명법」에 근거한 '인감 제도', 「본인서명사실 확인 등에 관한 법률」에 근거한 '본인서명사실 확인 제도', 「전자서명법」에 근거한 '공인인증서', 주민등록번호 법정주의에 따라 정부에서 만든 '아이핀'과 '마이핀' 제도의 현황을 검토하며, 문제점을 살펴본다. 관련 해외 사례로는 에스토니아의 IT기술을 접목한 개인 식별 및 인증 방식 시스템과 최근 일본에서 도입한 '마이넘버' 제도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우리의 제도를 개선하기 위한 실마리를 찾고자 한다. 또한 높은 보안 수준으로 최근 관심을 받고 있는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공법상 개인 식별 및 인증 방식과의 접목가능성을 찾아본다. 최종적으로 공법상 개인 식별 및 인증 방식의 개선을 위해 관련 내용들을 통합하여 법률을 제정할 것을 제안한다. 통합적 체계 구축을 통해 운영의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다. 법률의 주요 내용으로 우선 법률 전반적 내용으로는 첫째, 개인 식별 및 인증 방식과 관련되는 모든 사항들을 총괄한다. 둘째, 법률유보 원칙에 어긋나지 않도록 제도의 근본 사항들을 법률에 규정한다. 셋째, 분산되어 있는 개인 식별 및 인증 정보의 보호 의무 사항 및 처리 제한에 관한 내용을 동일 법률로 흡수한다. 넷째, 개인 식별 및 인증 제도를 총괄 운영하는 상설 기구를 설치한다. 다섯째, 개인 식별 및 인증 방식의 처리 시 의무적으로 모든 기록을 남기도록 한다. 여섯째, 유출·도용 및 각종 의무 위반 시 제재를 강화하는 내용을 포함한다. 개인 식별 방식과 관련한 내용으로는 난수 코드 형태로 구성하고 유효 기간 적용 및 자율적 변경 가능성을 부여하여야 한다. 개인 인증 방식에 있어서는 IC 카드를 이용한 전자 신분증을 도입하기를 제안한다. 이와 같은 개선 방향을 통해 기술 발전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보다 사용하기 편리하고 정보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는 공법상 개인 식별 및 인증 방식이 구축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