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박세희의 졸업작품 'Seasons'해설

        박세희 동덕여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 소논문은 졸업공연에서 연주된 4곡의 창작 배경을 설명하고 편곡 특성, 선율 등을 해설한 것이다.

      • 대수층함양관리에서의 산화기반 전처리 방법 및 함양기간에 따른 수질 개선 연구

        박세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evaluated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effect of the artificial recharge, which is one of a solution to prevent water pollution and drought due to climate changes.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artificial recharge sand columns. The pre-treatment methods were O3 oxidation and O3 + H2O2 oxidation, and the chosen retention times were 1, 5, 15 and 30 days. To evaluate the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this study observed the fate of organic matters, microbials, disinfection byproducts formation potentials(DBPFPs) and pharmaceutically active compounds(PhACs). We checked the reduction of the Specific UV Absorbance(SUVA) value by oxidation influence, and decrease of humic area and increase in the Low molecular weights(LMWs) area in the Liquid Chromatography-Organic Carbon Detection(LC-OCD) by oxidation influence. O3 oxidation and O3 + H2O2 oxidation pre-treatment in source water showed destruction of aromatic materials and transfer of polymer substance fractions to low molecular weight fraction. As a result, Biodegradable dissolved organic carbon(BDOC) and Assimilable organic carbon(AOC), which are indicators of biodegradablity, increased by about 1.9 times for O3 treated water and about 1.4 times for O3 + H2O2 treated water. It was confirmed that O3 treated water showed higher biodegradability due to the low molecular weight of the polymer substance by O3 oxidation. The result also showed that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with regard to the period of retention time after pre-treatment, DOC decreased 50% in O3 treated water and 47.9% in O3 + H2O2 treated water within 5 days, and the reduction rate greatly decreased afterwards.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majority of organic matters decompositable by microorganisms were reduced within the first 5 days, and O3 treated water was more effective in DOC reduction because O3 treated water has higher initial biodegradability. In 30 days retention time, the BDOC and AOC, which is a biological stability index, showed a reduction of 94% in O3 treated water and 88.1% in O3 + H2O2 treated water (p < 0.005) in BDOC.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reduction of 94% in O3 treated water and reduction of 86.2% in O3 + H2O2 treated water (p < 0.002) in AOC. As the retention time in the columns prolonged, microbials transferd from the High nucleic acid(HNA) region that includes activated and grown cells, to the Low nucleic acid(LNA) region because the water within had a low nutrient environment due to micobial decompositions. ATP, an indicator for the activity of microorganisms, also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with prolonged retention time in columns. It was judged due to the reduction of HNA region microorganisms, which have a high correlation with ATP. In the results for DBPFPs, it was observed that CHCl3 in THMs was reduced by 45.6% for O3 treated water and 26.8% for O3 + H2O2 treated water, due to the reduction of humic substances, which are well known as a DBP precursor compound for O3 oxidation and O3 + H2O2 oxidation methods. In the columns, after 5 days retention time, CHCl3 decreased 12.8% for O3 treated water and 9.9% for O3 + H2O2 treated water, due to reduction of acidic organic matters that contributes to DBPFPs. In 30 days retention time, CHCl3 decreased 75.5% for O3 treated water and 57.4% for O3 + H2O2 treated water. Because the environment inside the columns are anoxic in this retention time, the humics were easily biodegradable by anoxic microbes. Also, PhACs were also observed by O3 oxidation and O3 + H2O2 oxidation method to 35 ~ 100% reduction of 11 kinds. In the 1 day artificial rejuvenation process without oxidation treatment, 10 kinds of medicines except carbamazepine It was confirmed that a high removal rate of 71 to 100% was observed in the material. In this study, O3 treatment showed high efficiencies in reducing organic compounds, DBPFPs and PhACs. O3 + H2O2 treatment showed high efficiency in reducing organic matter, DBPFPs and PhACs, but dissatisfied AOC and BDOC guidelines. Also, it was seen that biodegradable organic materials were degraded at the early stage of artificial recharge and decomposition of relatively undegradable organic materials proceeded after anoxic conditions. Therefore, this study will be a basic research that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select the retention time considering the target water qual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by using O3 and O3 + H2O2 method for artificial recharge.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수질악화문제 및 가뭄발생 등에 대비하기 위한 방안인 지하저수지 인공함양에 있어 전처리 및 함양기간에 따른 수질 개선효과를 관찰하였다. 실험은 인공함양 모사 컬럼으로 진행하였으며, 전처리 방법으로는 O3 산화와 O3 + H2O2 산화방법에 따라 함양기간은 1, 5, 15, 30일에 따라 비교를 진행하였다. 수질개선능 파악을 위하여 유기물 거동 분석, 미생물 거동 분석, 소독부산물 생성능 및 잔류의약물질 저감에 대하여 관찰하였다. O3 산화 및 O3 + H2O2 산화방법에 따른 유기물 분석 결과 산화 공정에 의해 Specific UV Absorbance(SUVA) 값의 감소 및 Liquid Chromatography-Organic Carbon Detection(LC-OCD) 내 Humic 영역의 저감 과 Low molecular weights(LMWs) 영역의 증가를 통하여 방향족 물질의 분해 및 고분자 물질의 저분자화가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생분해성 지표인 Biodegradable dissolved organic carbon(BDOC)결과 및 미생물 재성장 지표인 Assimilable organic carbon(AOC) 결과에서 O3 처리수의 경우 약 1.9배 , O3 + H2O2 처리 수는 약 1.4배 원수 대비 증가하였다. 이는 O3 산화에 의한 고분자 물질의 저분자화가 나타남에 따라 O3 처리 수에서 더 높은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처리 공정이후 함양기간에 따른 수질특성 결과에서는 함양기간 5일 이내에 DOC가 O3 처리 수에서는 50% , O3 + H2O2 처리 수에서는 47.9%의 저감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5일 이후로는 DOC 저감 속도가 크게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함양 초기 5일 이내에 미생물이 분해 가능한 유기물의 대다수가 저감되는 영향으로 판단되었다. 생물학적 안정성 지표인 BDOC, AOC 결과 함양기간 30일에서는 유입수의 BDOC 기준 O3 처리 수에서는 94%, O3 + H2O2 처리 수에서는 88.1%의 저감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p < 0.05). 또한 유입수 AOC 기준 O3 처리 수에서는 94% , O3 + H2O2 처리 수에서는 86.2%의 저감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p < 0.05). 이를 통해 O3 처리수가 생물학적 안정성 측면에서도 더 유리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미생물의 거동에서 보면 함양이 장기화됨에 따라 활성 및 성장 세포인 High nucleic acid(HNA) 영역의 미생물 감소 및 Low nucleic acid(LNA) 영역의 미생물 우점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하였으며, 이는 유입수가 모래컬럼을 통과하면서 미생물들의 유기물 소비에 의해 빈 영향 환경이 조성되어지면서 HNA 미생물이 비활성, 휴면, 손상 세포로 알려진 LNA 미생물 그룹으로 이동해 간 영향으로 판단되었다. 소독부산물 생성능 결과에서는 O3 산화 및 O3 + H2O2 산화방법에 따른 Humic 물질의 저감에 의해 THMs 종중 CHCl3가 각각 45.6%, 26.8% 저감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p < 0.05), 함양기간에 따라서는 함양 5일에서는 소독부산물생성에 기여하는 acidic한 유기물의 저감에 의해 O3 처리 수에서는 12.8% O3 + H2O2 처리 수에서는 9.9%의 CHCl3의 저감이 나타났다(p < 0.05). 함양 30일에서는 컬럼 내 무산소 환경의 조성으로 인한 방향족 물질 저감이 용이해진 영향으로 인하여 소독부산물 생성의 전구물질인 Humic 부분이 저감이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그 영향으로 CHCl3는 O3 처리 수에서는 75.5% O3 + H2O2 처리 수에서는 57.4%의 저감이 나타났다(p < 0.05). 또한 잔류의약물질 역시 O3 산화 및 O3 + H2O2 산화방법에 의하여 11종의 잔류의약물질에서 35∼100% 저감이 나타났으며, 산화공정의 전처리 없이 1일간의 인공함양 공정에서도 Carbamazepine을 제외한 10 종의 의약물질에서 71∼100%의 높은 제거율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O3 처리를 통한 함양에서 유기물, 소독부산물 생성능, 잔류의약물질 저감에 있어 더 높은 효율을 나타냈으며, O3 + H2O2 처리를 통한 함양에서도 높은 유기물, 소독부산물 생성능, 잔류의약물질 저감을 보였다. 그러나 생물학적 안정성 지표 측면에서 BDOC의 기준인 0.2 mg/L 이하의 가이드라인(Servais et al., 1992)과 AOC의 기준인 50 ㎍/L 이하의 농도를 O3 처리 수에서는 만족하였지만, O3 + H2O2 처리수의 경우 만족하지 못하는 결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지하저수지 함양초기에서 생물학적으로 분해 가능한 유기물질들이 대다수 분해가 되며 함양이 장기화됨에 따라 무산소 조건 이후 상대적 분해속도가 느린 유기물질들의 분해도 진행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수도사업자들이 지하저수지 인공함양 기술을 적용함에 있어, O3, O3 + H2O2 방법을 이용하여 목표 수질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함양기간을 선정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기초연구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 경직형 편마비 뇌성마비 아동들의 마비측 체중지지 향상을 위한 체중유도 전략

        박세희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position of cane use affects distribution of weight bearing on both feet of children with hemiplegic cerebral palsy in standing posture. Twenty participants with cerebral palsy were recruited as volunteers for this study. Weight bearing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method of using cane under three conditions were measured using an Zebris FDM-System. Each subject was assessed under the following three conditions in randomized order: (1) standing unaided (no cane); (2) standing with affected side using cane; and (3) standing with non-affected side using cane. The cane was matched by measuring length from floor to the greater trochanter of subject and was placed 15cm outward from the little toe on supporting side. According to the method of using cane under three conditions, the pressure of foot on affected side was higher in the order of standing with affected side using cane, standing unaided (no cane), standing with non-affected side using cane (p<0.05). In the post-hoc analysis resul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condition of standing unaide(no cane) and standing with affected side using cane, and between the condition of standing with affected side using cane and standing with non-affected side using cane (p<0.05). This study suggests that induced weight bearing method using a cane on affected side could be increased the weight bearing on affected side in children with spastic hemiplegic cerebral palsy, which has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asymmetry weight suppo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cranial cervical rotation on affected side in the standing position on weight bearing distribution in children with spastic hemiplegic cerebral palsy. Secondly, this study confirmed the effects of induced cranial-cervical rotation training to the affected side using Audio-Visual Aids on weight bearing distribution and balance in children with spastic hemiplegic cerebral palsy. Sixteen children with spastic hemiplegic cerebral palsy were recruited as volunteers for this study and the change in weight bearing distribution on both feet was measured in the standing position according to the cranial cervical position using the Zebris FDM-System. The measurement condition according to the cranial cervical position consisted of two types: measurement in a standing posture looking at the front side and in a standing posture looking at 45° of affected side. Among 16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he experimental group (n=8) performed induced cranial-cervical rotation training to the 45° of affected side, and the control group (n=8) performed induced cranial-cervical rotation training to the front side for three times a week for 4 weeks, 40 min a day. After a 6-week break, the crossover training was conducted. Weight bearing distribution was measured using the FDM-System, and LRT (Lateral Reach Test) and TUG (Timed Up and Go) tests were used for for measuring balance. According to the cranial cervical position, the pressure of foot on affected side was higher in a standing posture looking at 45° of affected side than standing posture looking at the front side(p<.05). After the 4-week induced cranial-cervical rotation training, the weight bearing distribution to the affected side improved significantly in both groups, and both groups also exhibited improvement LRT and TUG test. In particular, it was shown that the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more than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nduced cranial-cervical rotation training to the affected Side using Audio-Visual Aids can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y for improving the weight bearing distribution and balance to the affected side in children with spastic hemiplegic cerebral palsy. 본 연구는 지팡이 적용 위치에 따라 편마비 뇌성마비 아동의 선자세에서 양발 체중지지율 변화에 미치는지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경직형 편마비 뇌성마비 아동 20명으로 선정하였으며, Zebris FDM-System을 이용하여 3가지 조건에서 지팡이 적용에 따른 편마비 뇌성마비 아동들의 선자세에서 양발 체중지지율 변화를 측정하였다. 지팡이 적용 위치에 따른 측정자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팡이 없이 선자세에서 측정하게 하였다. 둘째, 마비측으로 지팡이 지지하고 선자세에서 측정하게 하였다. 세 번째, 비마비측으로 지팡이를 지지하고 선자세에서 측정하게 하였다. 연구에 사용되어진 지팡이의 길이는 바닥에서부터 대상자의 넙다리뼈 큰돌기까지의 길이를 측정하여 일치시켰다. 지팡이의 위치는 지팡이를 지지하는 쪽 새끼발가락에서 외측으로 15cm 지점에 위치시켰다. 측정 결과 3가지 지팡이 적용 조건에 따른 마비측 발의 압력은 마비측으로 지팡이를 지지하고 선 자세, 지팡이 없이 선 자세, 비마비측으로 지팡이를 지지하고 선 자세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3가지 조건 사이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사후분석을 통해 지팡이의 적용 조건에 따라 비교 분석한 결과 지팡이 없이 선 자세와 지팡이를 마비측으로 지지하고 선 자세, 지팡이를 마비측으로 지지하고 선 자세와 비마비측으로 지지하고 선 자세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마비측에 지팡이를 적용한 체중유도방법이 경직형 편마비 뇌성마비 아동들의 마비측 체중지지율을 증가시켜 좌우 비대칭성 감소에 긍적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선 자세에서 마비측 방향으로의 머리-목 영역 수평돌림(rotation in vertical plane)이 경직형 편마비 뇌성마비 아동의 하지 체중지지율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두 번째로, 시청각 유도매개체를 이용하여 선자세에서 마비측으로 머리-목 회전을 유도한 훈련이 뇌성마비 아동의 체중지지율과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경직형 편마비 뇌성마비 아동 16명으로 선정하였으며, Zebris FDM-System을 이용하여 머리-목 위치에 따른 편마비 뇌성마비 아동들의 선자세에서 양발 체중지지율 변화를 측정하였다. 머리-목 위치에 따른 측정 조건은 정면을 보고 선자세에서 측정, 마비측으로 45。 를 보고 선자세에서 측정하는 2가지로 구성되었다. 시청각 유도매개체를 이용하여 선자세에서 마비측으로 머리-목 회전을 유도한 훈련은 경직형 편마비 뇌성마비 아동 16명을 선정하여, 정면에서 동영상을 시청하는 훈련군 8명, 마비측 머리-목 수평돌림 45°방향에서 동영상을 시청하는 훈련군 8명으로 무작위 배치하였다. 두 집단 모두 하루 40분씩 주 3회 실시하였고, 6주간의 휴식 후 교차적용 (Crossover)하여 다시 동일한 방법으로 훈련을 진행하였다. 체중지지율은 FDM-System을 이용하여 측정되었으며, Lateral Reach Test(LRT), Timed Up and Go(TUG)테스트는 임상적인 균형 측정에 사용되었다. 선자세에서 머리-목 위치에 따른 편마비 뇌성마비 아동들의 양발 체중지지율 측정 결과, 정면을 보았을 때보다 마비측 45°를 보았을 때 마비측의 체중지지율이 유의하게 증가했음을 보였다. 시청각 유도매개체를 이용한 선자세에서 머리-목 회전 유도 훈련 후 두 집단 모두 마비측으로의 체중지지율이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균형평가인 LRT, TUG는 두집단 모두 훈련 전보다 훈련 후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특히, 마비측 머리-목 수평돌림 45° 방향에서 동영상을 시청하는 훈련군이 정면에서 동영상을 시청하는 훈련군에 비해 더 증가했음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마비측 방향으로 머리-목 영역의 수평돌림 자세에서 시청각 유도매개체를 이용해 중재하는 것이 경직형 편마비 뇌성마비 아동의 마비측으로의 체중지지율 향상과 균형 향상에 효과적인 중재전략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K-MOOC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학습만족도, 인지된 성취도와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의 관계

        박세희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 of digital literacy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K-MOOC, one of the non-regular distance education,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distance education, which is emerging as an important alternative in the rapidly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in the COVID-19 sit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rner's digital literacy level and learning satisfaction, perceived achievement and cognitive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Specific research problems to achieve this purpose are as follows. 1. Do K-MOOC learners' digital literacy, cognitive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predict learning satisfaction? 2. Do K-MOOC learners' digital literacy, cognitive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predict perceived achievement? 3. Does K-MOOC learners' cognitive and social presence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learning satisfaction, and perceived achievement? In order to identify the research problem, a survey was conducted on learners who took 19 K-MOOC courses opened at A Women's University in Seoul, and a total of 325 responses were analyzed to verify the research proble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follow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medi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the conclusions based on this are as follows. Fir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input method was conducted to confirm whether K-MOOC learners' digital literacy level, cognitive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predict learning satisfac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learners' digital literacy, cognitive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significantly predicted learning satisfaction. Seco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input method was conducted to confirm whether K-MOOC learners' digital literacy level, cognitive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predict perceived achievemen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learners' digital literacy, cognitive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significantly predicted perceived achievement.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digital literacy and learning satisfaction, and as a result,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um of cognitive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was significant, but when examining individual mediating effects, only cognitive presence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This is interpreted as having a strong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presence and affecting the mediating effect of total sum. Four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digital literacy and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similarly, only cognitive presenc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digital literacy has a great influence on academic achievement such as learning satisfaction and perceived achievement in a distance education, and it was argued that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cognitive reality that showed mediating effects. 본 연구는 코로나 19 상황에서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는 교육 환경에서 중요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원격수업의 효과성 제고를 위해, 비정규 원격수업의 하나인 K-MOOC의 학업성취에 디지털 리터러시가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과 학습만족도, 인지된 성취도와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사이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K-MOOC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은 학습만족도를 예측하는가? 2. K-MOOC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은 인지된 학업성취도를 예측하는가? 3. K-MOOC 학습자의 인지적 실재감과 사회적 실재감은 디지털 리터러시와 학습만족도와 인지된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가?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서울 소재 A 여대에서 개설한 19개의 K-MOOC 강좌를 수강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총 325개의 응답을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여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한 뒤, 다중회귀분석과 다중매개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이를 토대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K-MOOC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과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만족도를 예측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입력(enter)방식의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은 학습만족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K-MOOC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과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이 인지된 성취도를 예측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입력(enter)방식의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은 인지된 성취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학습만족도의 관계에서 인지적 실재감과 사회적 실재감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고, 결과적으로 인지적 실재감과 사회적 실재감의 총합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으나, 개별적인 매개효과를 살펴보았을 때, 사회적 실재감은 유의하지 않고 인지적 실재감만이 부분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지적 실재감의 매개효과가 강하게 나타나 총합의 매개효과에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된다. 넷째,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인지된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인지적 실재감과 사회적 실재감의 매개 효과를 검증한 결과, 학습만족도와 마찬가지로 인지적 실재감만이 부분매개 효과를 가지는 결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원격수업 환경에서 학습만족도와 인지된 성취도 등 학업 성취에 디지털 리터러시의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디지털 리터러시와 원격수업 학습만족도, 인지된 성취도 간의 영향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낸 인지적 실재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 MBTI 성격유형과 수학 학업성취도 및 수학 선호도와의 관계에 관한 조사 연구

        박세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들어 많은 교육적 연구 결과와 교과 지도 방안이 학교 교육에서 개인차를 통한 학습의 효율성 증대가 많이 소개되고 있다. 또한 교육연구와 교육 프로그램의 초점 역시 개인의 차이를 어떻게 교육의 장에서 보완 활용할 것인가에 맞추어져 가고 있다. 개인의 차를 가장 두드러지게 알 수 있는 것 중에 하나가 성격이다. 이에 본 연구는 Jung의 이론을 근거로 표준화 되어진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성격유형을 사용하기로 하였고 이로써 학업성취도와 수학선호도를 검증해보고 유형별 지도방안을 모색함과 동시에 선호도가 높은 유형의 학생들을 어릴때 부터 또는 나아가 적업의 장에 까지 영향을 미치게끔 긍정적인 효과를 이끌어 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검증하였다. 첫째, 중학교 1학년 3개 학급을 대상으로 MBTI 성격검사를 실시하여 학업성취도 및 수학선호도와 MBTI 성격유형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둘째, MBTI 성격검사를 한 학생들에게 수학선호도 설문지 검사를 실시하여 MBTI 성격유형과 수학선호도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수행하기 위하며 본 연구는 경기도 성남지역에 소재 한 S중학교 1학년 3개반 (8,11,14반)을 검사 대상으로 하였다. 회수된 검사지 122부 중에서, 성의 없이 응답한 설문지와 전학간 학생 등을 제외하고, 100부를 본 연구의 분석대상으로 하여, 연구 대상자들의 성격유형과 선호도를 분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성격유형의 기본유형과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보면 사고형(T)이 감정형(F)에 비해 학업성취도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지만 통상적 평균을 비교하면 사고형(T), 내향형(I), 인식형(P), 판단형(J)순으로 학업성취도의 평균이 높았다. 둘째, 중학생들의 MBTI 16가지 성격유형별 수학선호도에는 전체적으로 보면 사고형(T)와 감정형(F)간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사실을 통하여 성격이 분명히 학업성취도와 선호도에 영향을 준 다는 것으로 보여 진다. 따라서 보다 체계적인 연구를 통하여 미래의 직장에서 성격과 수학을 적절히 활용하여 직업상에 선택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연구해야하는 과제가 남아있다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BTI personality types on mathematics preference and its academic achievement. Nowadays a lot of educational research result and guidance programs on each course are introduced to improve each student's academic efficiency in school education. Also educational research and programs are focused on how to completement and apply personal differences to educational area. Characteristic type is one of those which we found personal difference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academic achievements and mathematics preference using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test which was standardized based on Carl Jung The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each pattern's guidance programs and help the students of high mathematic preference reach to favorable effect. Research process for the verification of this influence was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ree classe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 of MBTI test on these students were furnished data to get the relation among academic achievements, mathematics preference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atterns. Second, the survey of mathematics preference was carried out on the students to know the relation between MBTI personality types and mathematics prefer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ree classes(8th, 11th, 14th, total 122 students) of the 7th grade students in S middle school in Seungnam, Kyunggido.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personality types and preference tendency from 100 sets, except 22 sets estimated to be false or transferred students'. The main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 between personality types and academic achievement, Thinking(T) types had much better academic achievement than Feeling(F). Although there was no meaningful statistical relation among other types, Thinking(T) was the first, followed by Introverted(I), Perceiving(P), Sensing(S) in the order of the average score for academic achievement. Second, the survey showed that there were big differences between Thinking(T) types and Feeling(F) types of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result above, this study implicated that personality types evidently influence on academic achievement and preferenc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more systematic studies should be considered to help to choose appropriate careers considering personality types and mathematics.

      • 노인 일자리사업 유형에 따른 실무자의 직무만족도 비교 연구 : 서울.경기지역을 중심으로

        박세희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노인 일자리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기관의 효율적인 운영과 노인 일자리사업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노인 일자리사업을 담당하는 실무자들의 직무만족을 연구하였다. 노인 일자리사업은 6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각각의 사업은 고유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업유형에 따라 실무자의 직무만족을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경기지역 노인 일자리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실무자 143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와 면접방법을 사용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09년 10월 12일부터 11월 13일까지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근무요인에 따라 직무만족도에 차이가 있었다. 근무요인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는 고용형태가 정규직인 집단과 노인 일자리사업 경력이 높은 집단이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담당유형에 따라 직무만족도에 차이가 있었다. 담당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는 복지형이 직무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인력파견형, 시장형, 교육형, 공익형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인 일반직무 요인, 임금 및 승진 요인, 동료 및 시설 요인 가운데 일반직무 요인과 임금 및 승진 요인은 담당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직무 요인과 임금 및 승진 요인 역시 복지형이 가장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인력파견형, 시장형, 교육형, 공익형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제언으로는 첫째, 노인 일자리사업 실무자의 근무조건을 개선해야 하며 고용안정성을 보장해야 한다. 실무자들의 인건비 급여수준의 개선과 함께 전담인력의 계약기간을 늘리고, 실무자들의 계약직 채용보다 정규직 채용이 요구된다. 둘째, 노인 일자리사업 유형 중 공익형 일자리사업의 개선이 요구되어진다. 공익형 실무자들의 고용안정 보장과 전문성을 높여야 하며, 공익형 사업 개선을 위해 중앙기관 차원에서 일괄적인 참여자 선정기준의 제시와 사업량에 따른 적절한 실무자 배치가 필요하다. 셋째, 노인 일자리사업 실무자의 사업량 조정이 요구되어진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노인 일자리사업의 사업량과 현장에서 실무자가 느끼는 적정 사업량과는 큰 차이가 있다. 또한 담당유형에 따라 실무자들이 느끼는 사업량도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담당유형에 따라 적정한 사업량 조정이 요구되어진다. 넷째, 노인 일자리사업 실무자들의 업무 집중화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향후 노인 일자리사업 실무자의 타 업무 병행을 실제적으로 제한하여 실무자가 본연의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제반 행정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examined that the authority which is in charge of the project of creating Job Opportunities for the Elderly is operated effectively and that is job satisfaction of a staff in charge of the Project of creating Job Opportunities for the Elderly to develop the Project of creating Job Opportunities. It is classified them into 6types, each business has own characteristic.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at the job satisfaction of a staff in charge compares with types of business, and that whether is a difference. The subject was 143 of staffs in charge of the project of creating Job opportunity for the Elderly in the area of Seoul and Gyeonggi, sand the study used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an interview. It was conducted from 12th of October to 13th of November, 2009. In summery of the result of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of job satisfaction accordance with the working factors. It presented that the difference of job satisfaction accordance with working factors is higher in the group which hired the group of regular job and the group of higher career for the project of creating job opportunities for the Elderly.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of job satisfaction accordance with the charge types. It presented that the job satisfaction of welfare type is higher in the difference of job satisfaction with charge types, next in order of the out sourcing, a market, an education and the public interest. It showed that the general business factor, the wage and promotion factor of which the subfactor of job satisfaction is the general business factor, the wage and promotion factor and the facility factor has a difference with the charge types. It displayed that the general job factor, the wage and promotion factor also is high in the welfare, next in order of the out sourcing, a market, an education and the public interest. This study suggested that first; it has to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 of a staff in charge for the project of creating job opportunity for the Elderly and to ensure security of work. It needs to get the requirement that to improve the level of labor wages for a staff in charge as well as to extend the term of a contract for a dedicated staff and to hire a regular employee rather than fixed-term contracts. Second, it needs to improve the project of creating job opportunities for the public interest among the types of the project of job opportunities for the elderly. It needs to ensure security of work and to increase the expertise, furthermore to suggest the criteria for selecting collectively a participant in terms of a central institution for improve a public interest business and to place a staff in charge adequately in according with the amount of business. Third, it needs to control the amount of a business for a staff in charge of the project of creating job opportunities for an elderly.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amount of a business of the project of creating job opportunities for an elderly that is performing in this present and the amount of a business that a staff in charge feels in the field. Also it represented that the amount of a business a staff in charge felt is difference in according with the types of charge. Therefore, it needs to settle the adequate amount of a business in according with the types of charge. Fourth, it requires that a staff of in charge of the project of creating job opportunities for an elderly has to concentrate their job. For the future, it has to limit actually that a staff of in charge of the project of creating job opportunities for en elderly carries out other business, and it has to be supported that a staff of in charge can concentrate their own job with supporting in administration.

      • 한국산 민들레속(국화과)의 분류학적 연구

        박세희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A study was carried out the taxonomic identities by reviewing the morphological, anatomical, palynological and cytological characters of 7 taxa (T. coreanum Nakai, T. formosanum Kitamura, T. hallaisanense Nakai, T. laevigatum (Willd.) DC., T. mongolicum H. Mazz., T. officinale Wigg. and T. ohwianum Kitamura) of Genus Taraxacum in South of Korea. As a result of morphological character studies, the habitat, trichome of scape surface, type of outer phyllaries, series of outer phyllaries, shape of outer phyllaries, shape of outer phyllaries apex, shape of inner phyllaries apex, shape of ray florets lobe, color of ray florets, outside striped color of ray florets, shape and color of achene were useful characters. But the shape and margin of the leaf were sligh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ings of taxon, although no useful characters were found among the taxa. As a result of anatomical studies, petiole shape of cross section, groove of adaxial, middle of petiole, leaf abaxial midvein, leaf epidermis of adaxial surface and abaxial surface shape were useful characters. But the scape, ovary and achene were not found useful characters among the taxa. According to palynological studies, the pollen grain of all taxa were confirmed monad, oblate-spheroidal to subprolate and the size of the pollen was a slight difference on the small to medium, but it were not found useful characters among the taxa. As a result of cytological character studies, most taxa were 2n = 24 as triploid of x = 8 and T. coreanum, T. formosanm were 2n = 32 as tetraploid of x = 8, but T. hallaisanense was diploid as 2n = 18 of x = 8. In this study, the original descriptions and type specimens of T. platycarpum and T. mongolicum were check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diameter of the capitulums and the arrangement of the inner phyllaries were different. Therefore, what has been known to distribute in korea T. platycarpum be misidentified as T. mongolicum, T. formosanumm, T. ohwianum and the other specimens. As a result of spcies identification, T. platycarpum was unable to confirm the distribution in Korea. Based 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The Taraxacum distributed in South Korea were classified into seven taxa and the keys and descriptions were provided.

      • 자기비난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반추의 매개효과

        박세희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자기비난과 이상섭식행동 간의 관계에 있어서 반추가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였다. 대학생 489명에게 자기비난, 반추(K-RRS), 이상섭식행동(KEAT-26)에 대한 질문지를 실시하고, 이 변인들 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 접근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자기비난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를 반추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가적으로 반추의 하위요인 별로 나누어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수심과 숙고 모두 완전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비난적인 태도를 가진 사람들이 반추 사고를 많이 하면 이상섭식행동을 보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