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合板積層技法을 이용한 木造形 가구디자인 연구

        박성열 광주대학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생활에 있어서 가구는 그 시대의 문호와 생활 감정이 가장 잘 반영되어 있는 것 가운데 하나이며, 실내 환경 구성의 중요한 요소로써 인간의 의·식·주생활과 더불어 실내공간에서 차지하는 역할이 높아짐에 따라 단순한 기능적인 형태에서 벗어나 예술성을 겸한 새로운 조형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형태들은 자연에 대한 동경이나 산업문명에 대응하는 인간성 회복과 함께 가구에 대한 부동적 고정관념에서 가변적인 창조적 매개체로서, 그 조형의식과 선호경향이 바뀌어 가고 있는 것이라 볼 수 있다. 가구의 재료에 있어서도 종래의 원목 일변도에서 탈피하여 대체 재료와 신소재 등의 내구성이 강하고 값이 싼 재료들이 개발되어 널리 보급되면서 그 활용방법과 표현방법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가구는 원래 공리적이며 실용적인 조형체로서 미학적 가치체계의 이원적 구조를 가지고 생활 속에서 조화를 이루어온 만큼 그 본래의 기능을 이탈해서는 존재의미가 없다. 현대의 조형가구는 '예술'과 '공업' 사이에서 기존의 고정관념을 탈피하여 오브제(Object), 조각 같은 오브제(Object as sculpture), 기능이 있는 조각(Functional sculpture), 부드러운 조각(Soft sculpture) 등 다양한 각도로 새로운 조형을 창출하고자 끊임없이 탐구되고 있고, 가구 본래의 성립요소인 재료의 원 기능성을 개발하여 재료가 내포하고 있는 무하한 잠재적 물성을 표출해 내기도 하며, 수준 높은 기술로서 이미지를 제고시키고자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기능을 수반한 조각의 경향을 띤 저항 위주의 현대 조형가구는 오랜 생활 습관에서 형성되어 온 고정 관념적인 가구형태에서 벗어나 창조적인 조형체로 관심을 끌고 있으며 또한 가구에 대한 오랜 향수와 호기심을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이미지 자체를 중요시함과 동시에 기능도 충실해 새로운 경향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값이 저렴하면서도 손쉽게 구할 수 있는 합판 (Plywood)를 이용하여 자연재료인 원목과의 콤비네이션으로 현대 가구의 무한한 조형성과 기능성 및 재료수용에 따른 표현을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기법적으로는 합판을 쌓아 올려 부착하는 적층(Laminated)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외형은 곡면 및 다면체로 형상화하여 작품전체의 이미지 포인트를 주었고, 적절한 비례미에 의한 안정적인 구조미와 조형성을 살리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전반적인 조형 형태는 나뭇잎 형상과 물고기 등의 자연적 유선 형태를 응용하였으며, 주재료는 부빙가(bubinga)와 부분적으로 흑단, 단풍나무, 돌 등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대 조형가구의 전개 양상과 경향에 부응하여 합판 적층기법을 이용한 새로운 기능과 형태의 현대적인 조형각의 영역을 창출하고자 하였으며 앞으로도 끊임없는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urniture is one of the things to reflect the culture and life of it's age, and it is highlightened as a new form of formative design which has not only funtional property but also artisic property, according as the role of the interior space becomes more important along with clothes, food and shelter of human being. It is thought that the sense and preference on the formative design is changing from immobile and fixed furniture to variable and creative medium owing to the recovery of humanity and admiration of nature against the industrial civilization. Regarding the material of furfniture, as the more durable and cheaper material like substitute material and new material are now developed and distributed widely. the methods of use and expression are becoming various to get away from using only log exclusivity. Because the furniture has originally been in harmony with life as the utilitarian and practical form with two dimensional system of aesthetic value, it has no meaning by seperating from the original it's function. Modern formative furniture is being studied contiruously in various part like 'object', 'object as sculpture', 'functional sculpture' and 'soft sculture', with avoiding the former fixed idea between 'art' and 'manufacturing'. Besides, it could be expressed out it's infinite potential properties of matter included in the material by developing the function. and it is continuously improved to make the image as the high quality technology. As you see, modern furniture with a aggressive tendency of the sculpture accompaning the function attracts as creative formative form avoiding the fixed idea of furniture, which has been build up from the old custom, and besides accepted as new fashion to satisfy the nostalgia and curiosity of furniture as well as to regard the image itself and also the function as of importance. Therefor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ormative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modern furniture and the expression according to the material and plywood which is easy to get and cheap. Reagarding the mathod, we used the laminating method to attach plywood to be piled up, and we emphasized the image for the work itself by formating the external form as curved and manysided facts. Abd we focused to highlight the stable structure and formative property by the proportionality.' The shape of leaves and fishes were applied to general form, and bubinga was used for main material and ebony, maple tree and stons used partially. According, this study is to create the modern and formative furniture with new function and form using plywood laminating method and it is required to research and deveop this area continuously.

      • 옻칠 협탁의 연구

        박성열 배재대학교 국제통상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a modern society that puts a great value on environment friendly, lacquered furniture is invaluable. Besides, as living standard has improved as a result of economic growth, there is a growing demand among modern people for the housing environment that reflects their characters, provides more comport and becomes a space of their own that preserves their privacy. Therefore, the researcher created and researched a lacquered side table among various types of furniture,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of the housing environment often used by us. In an attempt to create Korea's peculiar traditional beauty that goes well with Western culture, the researcher created the side table using traditional material, lacquer.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way. First, the concept, kinds and features of side table were examined theoretically. Through research on lacquered side tables, various expression techniques involving lacquer were explored and experimented and then applied to art works. Second, with regard to the design of lacquered side table, the shape of hexahedron was transformed, combined or repeatedly arranged to create various types of side table. Besides, five colors which represent the five directions and well reflect Korean sentiments were used to apply color to the side able, making the table look more comfortable and friendly. Third, although the researcher applied lacquering techniques, he tried to well express the peculiar texture and color which can be created only by lacquering. In a world where globalization is so pervasive that traditional colors and patterns often looked strange, the research have combined a traditional material, lacquer, and modern design. Lacquered works turned out to have far better texture and colors than works created using other painting materials. In addition, the distortion of furniture and lacquer adhesion failure significantly decreased when furniture made of plywood was lacquered than when furniture was made of other types of wood. In conclusion, this study tried to show we can create modern style furniture using our traditional materials. In addition, it tried to open a new chapter in the housing culture by raising the value of life with the use of side table which is both functional and decorative.

      • Mg(OH)₂/유기 나노복합체 및 생분해성 고분자의 나노입자 제조

        박성열 부경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실험을 통해 초임계 이산화탄소 내에서 PMBA (poly methacryloyl β-alanine) 나노입자를 성공적으로 얻을 수 있었고, 입자의 크기를 온도 및 압력 변화 따라 조절할 수 있었다. 또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용매로 사용하여 환경적인 이점과 함께 고분자 입자로부터 용매를 쉽게 분리 할 수 있었다. β-알라닌(β-alanine)과 염화 메타크릴로일(methacryloyl chloride)을 이용하여 제조한 MBA를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PMBA를 중합하였다. 개시제의 첨가량이 전환율에 상당한 영향을 주는 것이 확인 되었고, 고압에서의 온도의 변화는 전환율에는 어느정도 영향을 미치나 PMBA 입자의 크기 변화에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중합이 진행되는 조건의 온도에서 압력의 변화는 입자의 크기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많은 고분자화합물들은 생체적합성 및 생분해성의 특성을 나타내고. 이런 고분자화합물을 나노 입자크기의 파우더 형태로 제조함으로서 보다 넓은 응용 분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물질은 약물조성의 생기능성 물질과 약물전달 방법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Recently, there has been a lot of work on the elaboration of nanocomposite systems by embedding of inorganic particles into polymeric matrices. These materials represent a new class of polymeric materials which combine the unique physical properties of the inorganic particles with the processability and the flexibility of the organic polymer matrix. Among them, the preparation of core-shell composite particles has received particular attention due to their great potential applications. While various techniques were used to synthesize the core-shell polymer particles, a traditional method has been the emulsion polymerization with inorganic seed particles. Inorganic/organic core-shell nanocomposites were prepared by the emulsion polymerization of styrene (St) in the presence of surface-functionalized inorganic nano particles (Mg(OH)₂). Nano-sized inorganic particles were previously functionalized with a silane coupling agent, 3-(trimethoxysilyl) propyl methacrylate (γ-MPS), which was confirmed by FT-IR, and BET analysis. The average size of inorganic seed particles were around 80nm (Mg(OH)₂). The ratio of the inorganic seed particles to organic monomers, St, showed a strong influence on the stability of latex as well as the morphology of composites. Mg(OH)₂/PS core-shell nanocomposites were produced with stable latex emulsion when the weight ratio of Mg(OH)₂ to St is below 30. With the ratio increased to as high as 40, however, the latexes became less stable with aggregation and the morphology changed to irregular spherical shape. The dispersion polymerization in scCO₂ has been extensively studied since CO₂ was widely recognized as an interesting alternative to conventional organic solvent. The advantages of scCO₂ as a solvent include liquid-like density, low viscosity, high diffusivity, zero surface tension, fast mass-transfer and tunable solvent power. Moreover it is non-toxic, non-flammable, inexpensive, recyclable, and environmentally sound. It also offers advantages of easy separation of products and resolves problems related to solvent removal. In this paper, we report the preparation of amino acids based polymer in scCO₂. The PMBA (poly methacryloyl β-alanine) nanoparticles were successfully produced from the dispersion polymerization in scCO₂. This new environmentally benign process offers advantage of easy separation of composite particles from solvent.

      • 마이크로그리드에서 에너지저장시스템 용 비상전원 기능을 갖는 계통연계 인버터의 제어기법

        박성열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the micro-grid, the grid-connected inverter for the energy storage system must be able to perform the role of emergency power in the grid fault and must be able to continuously supply stable voltage to critical loads sensitive to voltage fluctuations. In this case, an automatic and seamless mode transfer method plays an important role when the grid fault occurs, and an anti-islanding method that can quickly detect unintentional islanding is requir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de transfer method for grid-connected inverters with critical loads. The proposed method integrates a current control loop for grid-connected mode and a voltage control loop for stand-alone mode into one controller using limiters. The controller is composed of a dual loop structure, so only the internal current controller operates during grid-connected mode. When the islanding occurs, the outer voltage control loop is automatically activated and operated. Therefore, when the islanding occurs, the proposed inverter based on the proposed mode transfer method can supply a stable voltage to critical loads and can reduce transients that occur during mode transfers. In addition, in this paper, a mode transfer method that can be applied to the droop control-based parallel inverter is additionally proposed, considering that the inverter is modularized due to its capacity expansion. In this paper, before introducing the mode transfer method, an anti-islanding method that is essential for the grid-connected inverter was also proposed. Conventional anti-islanding methods detect the islanding by inducing the magnitude and frequency of voltage to deviate from NDZ during the islanding. However, in an inverter based on the mode transfer method,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conventional anti-islanding methods because the voltage always operates within the NDZ even if the islanding occurs. Therefore, the proposed reactive power P&O islanding detection method generates a small variation in reactive power in the inverter output, measures the output reactive power to check whether the reactive power is well following the command value, and determines that the reactive power is inconsistent with unintentional islanding. So, if the proposed method is used, the inverter based on the mode transfer method can quickly detect the islanding while supplying high-quality power without generating a transient state to the critical loads during islanding mode. Finally, two prototypes of 1kW 3-phase inverters were manufactured and tested in order to verify the proposed methods in this paper, and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ethods was verified through this. 마이크로그리드에서 에너지저장시스템용 계통연계 인버터는 계통사고 시 비상전원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하며 전압 변동에 민감한 중요부하에 안정적인 전압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 여기서 인버터는 계통사고 시에도 자동적이고 끊김없는 모드전환기법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또한 단독운전을 신속하게 검출 할 수 있는 단독운전 검출 기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중요부하를 갖는 계통연계 형 인버터의 모드전환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모드전환 기법은 리미터를 이용하여 계통연계 운전을 위한 전류 제어기와 독립 운전을 위한 전압 제어기를 하나의 제어기로 통합하였으며, 제어기가 이중 구조로 구성되어 계통연계 시에는 내부 전류 제어기만 동작하고, 단독운전 시 자동으로 외부 전압 제어기가 활성화되어 동작한다. 따라서 제안하는 모드전환 기법 기반 인버터는 모든 계통 조건에서 중요부하에 항상 안정적인 전압을 공급할 수 있고 모드전환 시 발생하는 과도상태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인버터가 용량의 확장성으로 모듈화 되는 것을 고려하여 Droop 제어 기반 병렬 인버터에 적용할 수 있는 모드전환 기법도 추가적으로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모드전환 기법을 소개하기에 앞서서 모드전환 기법 기반 계통연계 인버터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단독운전 검출 기법도 제안하였다. 기존 단독운전 검출 기법들은 단독운전 시 전압의 크기와 주파수가 NDZ을 벗어나도록 유도하여 단독운전을 검출한다. 하지만 모드전환 기법 기반 인버터에서는 단독운전이 발생하더라도 항상 전압이 NDZ내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기존 단독운전 검출기법을 적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제안하는 무효전력 P&O 단독운전 검출 기법은 인버터 출력에 작은 무효 전력 변동분을발생시키고, 출력 무효전력을 측정하여 무효전력이 지령치를 잘 추종하고 있는지를 확인하여 무효 전력 불일치가 되면 단독운전으로 판단한다. 그래서 제안된 방법을 사용하면 모드전환 기법 기반 인버터는 단독운전 시 중요 부하에 과도상태를 발생시키지 않고 고품질 전력을 공급하면서도 단독운전을 신속하게 검출 할 수 있다. 끝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제어 기법을 검증하기 위해 1kW 3상 인버터 시작품 2대 를 제작하여 실험하였고, 이것을 통해서 제안하는 제어 기법의 타당성을 증명하였다.

      • FOXO3a is involved in CK2 inhibition-mediated cellular senescence : CK2 저해에 의한 세포노화와 FOXO3a의 관련성

        박성열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FOXO3a는 forkhead DNA 결합 도메인을 갖는 전사인자로 세포사멸, 자가포식, 산화 스트레스 반응, 세포 주기 조절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한다. FOXO3a의 조절은 인산화와 아세틸화 등의 번역 후 수식에 의해 조절 되며 대표적으로 FOXO3a의 세포내 위치를 조절하는 AKT에 의한 인산화가 있다. FOXO3a와 노화의 연관성은 Caenorhabditis elegans의 수명 조절에 핵심적인 인슐린 경로 연구에서 밝혀졌다. CK2는 Ser/Thr 단백질 인산화효소로서 복제, 전사, 신호전달 등에 관여하는 단백질을 인산화시킴으로써 여러 단백질의 활성 조절을 통해 세포의 성장과 분화, 증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전 연구에서 PI3K-AKT 경로가 CK2 저해시 활성화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FOXO3a가 CK2 저해에 의한 노화 경로의 하위에 존재하는 지를 확인하였다. 먼저 CK2 저해에 의해 유도되는 ROS 생성 및 노화과정에 FOXO3a가 관여하는지를 조사하였다. CK2 저해에 의해 증가된 ROS가 FOXO3a의 과발현에 의해 감소됨을 확인하였으며, ROS에 의한 p53 단백질의 증가 역시 FOXO3a의 과발현에 의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CK2 저해 시 FOXO3a의 핵 외 이동이 증가하였으며 이 현상은 AKT 억제제인 triciribine 처리로 상쇄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CK2 저해 시 AKT에 의한 FOXO3a의 인산화가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렇게 증가한 인산화가 triciribine 처리 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대로 CK2α를 과발현 하였을 때 FOXO3a의 핵 안으로의 이동이 증가하였고 AKT에 의한 FOXO3a의 인산화가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CK2 저해 시, FOXO3a에 의해 발현이 조절되는 항산화 효소인 Cu/ZnSOD, MnSOD, catalase의 발현이 전사 단계에서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반대로 CK2α를 과발현 하였을 때, 이들 항산화 효소의 전사가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들을 종합하였을 때 FOXO3a가 CK2 저해에 의한 세포노화에 관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FOXO3a의 조절은 AKT에 의한 인산화뿐만 아니라 Sirt1에 의한 탈아세틸화 역시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기존 연구에서 CK2 저해시 Sirt1의 활성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CK2 저해에 의해 세포 노화가 유도되는 동안 Sirt1에 의한 FOXO3a의 탈아세틸화 조절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교통환승센터 사례분석 및 효율성 평가

        박성열 亞洲大學校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경기도내 환승주차장은 구도심부에 설치된 시설의 경우 연계교통수단과의 환승체계를 고려하지 않고 환승주차장 부지 확보가 가능한 곳에 설치, 운영함으로 인하여 환승주차장과 도시철도간의 환승거리 과다로 이용자들의 연계교통수단간 연계불편을 초래하고 있었다. 또한, 주차장 주진출입구가 교차로와 인접해 있거나 간선도로상에 설치되어 있어 주변가로 혼잡시 차량 진출입이 어렵고, 주차장 주변의 불법 주정차와 택시,버스 정류장의 정비가 미비하여 차량 소통에 방해가 되며, 유출입구가 대부분 분리되지 않아 차량 상충이 자주 발생하는 등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원인분석 및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도시철도 정거장 및 환승ㆍ편의시설 보완 설계 지침』상의 권고사항 및 기준사항 등의 주요 항목들을 특성별로 구분, 평가지표로 선정하여 이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하였고, 교통전문가 등을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각 항목별 중요도에 대한 가중치를 산정한 후 각각의 환승주차장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해보면 환승센터 평가영역 중 권고사항, 기준사항, 기타사항의 순으로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도출되었다. 권고사항에서는 환승거리가, 기준사항에서는 계획주차면수가, 기타사항에서는 안내정보제공 등의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도출되었다. 평가가 상대적으로 미흡한 환승센터에 대해서는 문제점 분석 및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여 환승센터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 북한 상하수도 개선을 위한 국제 협력 방안 연구

        박성열 성공회대학교 NGO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남북의 경제협력에 따른 북한의 상하수도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 협력 방안을 제시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또한 남북 경제협력 이전에 미국 및 유엔 제재를 받지 않고 우선적으로 협력을 할 수 있는 상하수도 관련 사업도 살펴봤다. 북한이 개방될 경우 정책적 지원을 2가지 방향에서 이뤄져야 한다고 제시했다. 첫 번째는 북한의 하천과 경제특구 및 경제개발구를 연계한 개발이다. 경제 특구 및 개발구를 개발할 때 수돗물로 사용할 수 있는 충분한 원수의 확보와 인근 도시까지 보급할 수 있도록 설계할 것을 제안했다. 산업시설이 들어 설 경우 물은 필수 요소이다. 다행히 북한은 많은 하천을 보유하고 있고 강수량이 풍부해 물 수량 확보는 큰 문제가 없다. 경제 특구 및 경제 개발구와 도시들은 하천 주변에 인접하여 있다. 따라서 경제 특구 및 개발구를 개발할 경우 하천과 연계하여 상하수도 문제를 해결하도록 주문했다. 개성공단의 경우에서 알 수 있듯이 경제협력을 통해 개발될 경우 인근 지역 주민들까지 안전한 상하수도를 보급 받을 수 있다. 개발된 산업단지 배후도시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일자리를 갖게 되고 다양한 시설들이 들어서 안정적인 수익이 보장되기 때문에 상하수도 비용을 부담할 능력이 생긴다. 두 번째로, 경제특구 및 경제개발구에 혜택을 볼 수 없거나 시급한 상하수도 문제는 국제협력이나 NGO등을 통해 이뤄져야 한다고 제안했다. 우물물, 지하수 등 소규모 상수도 보급시설, 소독약 보급, 정화조의 분리 등이 이에 해당된다. 북한이 개방될 경우 중국이나 러시아, 미국, 일본이 적극적으로 개발에 참여하여 남한을 밀어내고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할 가능성이 크다. 세계적인 물기업들도 북한에 진출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할 것이다. 때문에 유엔 제재 이전 즉 북한과의 경제협력이 본격화되기 이전의 협력은 남한에게 좋은 기회이다. 유엔 제재가 풀리기 전에 남북한 공유하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 남북의 공유하천인 북한강과 임진강을 남북의 수자원 전문가들이 정보를 공유하고 공동으로 연구할 것을 제안했다. 또한, 남북한 공동연구를 통해 서로의 신뢰를 확보하고 나아가 북한의 상하수도 현황과 자료를 파악하는데 남북의 전문가들을 협력하는 형식으로 협력을 넓혀 나갈 것을 제안했다. 중국 등 국경지대의 공유하천의 현황 및 오염에 대한 연구도 함께 진행할 것을 촉구했다. 두만강과 압록강은 개발로 인한 오염이 심각한 곳이 많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에 접경지대에 위치한 공유하천의 오염에 대한 남북중의 전문가들의 공동 연구가 필요하다. 북한 상하수도분야의 협력은 북한에도 많은 이익이 되지만 남한의 중소기업들이 강소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기도 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