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교육기관의 질적 환경에 따른 부모 참여

        김혜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부모참여 계획과 활동이 기관의 질적 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부모참여 계획은 기관의 질적 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부모참여 활동은 기관의 질적 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위치한 유치원 23곳을 1차로 선정하여 교육환경의 질적 수준을 측정한 후, 총점 범위를 기준으로 상위 30% 이상의 점수를 받은 기관인 상 집단과 하위 30% 이하의 점수를 받은 기관인 하 집단을 연구대상으로 최종 선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선정된 연구 대상은 17곳의 유치원과, 이 기관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 17명, 그리고 이 기관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부모 425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기관의 전반적인 질적 환경을 평가하기 위하여 Harms와 Clifford(1980)가 제작한 유아교육환경 평가척도(Early Childhood Environment Rating Scale: ECERS)를 임재택(1983)이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부모참여에 대한 기관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기관용 질문지는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유아교육과 BK21 핵심사업팀(2002)이 개발한 「유아교육기관 인정기준」 중 '가정 및 지역사회' 영역을 수정, 보완하였다. 부모참여에 대한 부모 인식과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한 부모용 질문지 또한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유아교육과 BK21 핵심사업팀(2002)이 개발한 「유아교육기관 인정기준」 중 '가정 및 지역사회' 영역을 수정, 보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관에서의 부모참여 계획과 활동 실태에 대한 기관과 부모 인식이 기관의 질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χ²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계획과 활동 효과에 대한 기관 인식과 부모 만족도가 기관의 질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는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부모참여 계획이 기관의 질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의 효율적인 연계를 위한 계획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계획 수립 여부는 기관과 부모 모두 기관의 질에 관계없이 세우고 있다고 인식하였으나, 연계 계획 효과에 대해서는 기관 인식과 부모 만족도 모두 기관의 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부모가 기관에 개별적인 요구나 건의사항을 이야기할 수 있는 방법의 가짓 수는 기관과 부모 인식 모두 기관의 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구체적인 효과에 대해서는 부모면담, 전화에 대한 기관 인식과, 전화, 교사 e-mail 및 유치원 홈페이지, 알림장 및 쪽지편지, 부모면담에 대한 부모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가정의 배경이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에 대해서는 기관과 부모 모두 기관의 질에 관계없이 실시하고 있다고 인식하였으나, 파악한 내용이 실제 활동에 반영되는지는 기관 인식과 부모 만족도 모두에서 기관의 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부모참여 활동의 희망 내용이나 일시 조사에 대해서는 부모 인식에서만 기관의 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파악한 내용이 실제 활동에 반영되는지에 대해서는 기관 인식과 부모 만족도 모두에서 기관의 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가정과의 연계를 위한 조직 및 지원방안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가정과의 연계 담당 교직원에 대해서, 기관은 기관의 질에 관계없이 원장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 부모는 교사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질이 낮은 기관의 부모들에서 이러한 인식은 더욱 두드러졌다. 부모회 및 임원회 구성 여부는 기관과 부모 인식 모두 기관의 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부모회 및 임원회 활동 효과에 대해서는 부모 만족도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부모참여 활동의 참여 및 협조 요청에 대해서는 부모 인식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요청의 효과에 대해서는 기관 인식과 부모 만족도 모두 기관의 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적극적인 부모 참여를 위한 기관의 도움 제공에 대해서는 부모 인식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도움의 효과에 대해서는 기관 인식과 부모 만족도 모두 기관의 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부모참여 활동이 기관의 질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관에서 다양한 내용과 방법으로 가정을 지원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교육내용과 활동에 대한 정보는 기관과 부모 모두 기관의 질에 관계없이 제공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정보의 효과에 대해서도 기관 인식과 부모 만족도 모두 기관의 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양육정보는 기관과 부모 모두 기관의 질에 관계없이 제공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정보의 효과에 대해서는 기관 인식과 부모 만족도 모두 기관의 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기관에서의 유아 행동이나 생활, 건상상태 등에 대한 정보는 기관과 부모 모두 기관의 질에 관계없이 제공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정보의 효과에 대해서는 부모 만족도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기관과 가정이 상호작용 할 수 있는 방법의 가짓 수는 기관과 부모 인식 모두 기관의 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구체적인 효과에 대해서는 어머니(아버지)참여수업, 수업참관, 인쇄자료에 대한 기관 인식과, 어머니(아버지)참여수업, 부모 면담, 수업참관에 대한 부모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가정에서 다양한 내용과 방법으로 기관을 지원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가정에서의 정보 제공에 대해서는 기관 인식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정보의 효과에 대해서는 기관 인식과 부모 만족도 모두 기관의 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기관의 교육활동에 부모가 적극적으로 참여하는지에 대해서는 기관 인식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부모가 기관의 교육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의 가짓 수는 기관과 부모 모두 기관의 질에 따라 유의한 인식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구체적인 효과에 대해서는 견학·행사 도우미, 학습자료 제공에 대한 기관 인식과, 보조교사에 대한 부모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유아의 가족들에게 반응적이고 따뜻하게 상호작용 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교사가 부모의 의견을 주의깊게 듣고 실제 교육활동에 반영하는지는 기관 인식과 부모 만족도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교사가 유아의 가족을 존중하고 따뜻하게 대하는지는 부모 만족도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 parent involvement planning and activity according to the quality of kindergarten environment. The followings are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e purpose. 1. Is there a difference of parent involvement planning according to the quality of kindergarten's environment? 2. Is there a difference of parent involvement activity according to the quality of kindergarten's environment? In this study, 23 kindergartens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have been selected first. After examin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s quality level, the kindergartens that received grades in the high 30% were selected as the high group and the kindergartens that received grades in the low 30% were selected as the low group based on the total score range. The final selected research subjects are 17 kindergartens and the teachers and also the 425 parents who send their children here. In this study, the tool that Im Jei Tec (1983) modified was us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kindergarten’s environment. He modified the Early Childhood Environment Rating Scale made by Clifford and Harms(1980) so it was right with our countrie's situation. The kindergarten questionnaire made to examine the kindergarten's recognition of parent involvement was adjusted and supplemented by the 'Family and Local Community' area which is from the 「Accreditation criteria for early childhood program」, developed by the Brain Korea 21 Project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department at Ewha Womans University. To find out parents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about Parent Involvement the questionnaire for the parents were made in the same way. In this study, the χ²verification was enforced to find out if there was a difference of kindergarten and parent's recognition about parent involvement planning and activity conditions according to the quality of kindergarten's environment. Also the t verification was enforced to find out the if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kindergarten and parent's recognition about parent involvement planning and activity effects according to the quality of kindergarten's environment. The followings are the epitome of the study conclusion. The followings are the conclusion to see if there is a difference of the planning linkage with family according to the quality of kindergarten's environment. First, I examined the plan for efficiently linking with the family. The parents and the kindergarten recognized that the success and failure of establishing the plan had nothing to do with the quality of kindergarten's environment. But the kindergarten's recognition and parent's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 planning linkage effect. The number of ways that parents could converse about proposals and requests to the kindergarten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quality of kindergarten's environment. On the other hand, about specified effects, kindergarten's recognition showed differences in parent counseling, phone counseling and parent's satisfaction showed differences in phone counseling, e-mail connection, kindergarten homepage, letters, and parent counseling. The research to understand the family's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 was recognized to be done regardless of the quality of kindergarten's environment but to see if the researched contents would reflect to real activity. There onl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 parents recognition about expectation on parent involvement activity and one time verification but both the kindergarten's recognition and parent's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o see if the researched contents would reflect to real activity. Second, I examined the organization and support plan for the linkage with the family. The faculty, dealing with family linkage, recognized the manager as the kindergarten regardless of the quality of kindergarten's environment. In the other hand the parent was recognized as the teacher and this showed more conspicuously in low quality kindergarten's parents. The success and failure of the parent's association and board committee form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quality of kindergarten's environment to both the kindergarten and parent's recognition,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 satisfaction about the organization's activity. The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 recognition about parent involvement activity and assistance request an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quest effects that relates to the kindergarten's recognition and parents satisfaction. There onl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 recognition about the kindergarten's aid offer for positive parent involvement and the kindergarten's recognition and parent's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quality of kindergarten's environment dealing with the aid's effect. The followings are the conclusion to see if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activity linking with the family according to the quality of kindergarten's environment. First, I examined to see if the kindergarten supported the family with various contents and ways. The information about educational contents and activities was recognized to be offered with no connection with the quality of kindergarten's environment by the kindergarten and the parents and also both the kindergarten's recognition and parent's satisfac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formation's effect according to the quality of kindergarten's environment. Fostering information were recognized to be offered with no relations with the quality of kindergarten's environment by both the kindergarten and parent but the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bout the information effects on the kindergarten's recognition and the parent's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quality of kindergarten's environment. The information about children behavior, life, and health conditions in kindergarten was recognized that it had nothing to do with the quality of kindergarten's environment but the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s satisfaction about the information's effects. There showed regarding difference in the number of ways the kindergarten and family could interact according to the quality of kindergarten's environment. Also, in specified effects, kindergarten recogni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mother(father) involvement class, class observation, print data, and parent's satisfaction showed difference in mother(father) involvement class, parent counseling, and class observation. Second, I examined if the family supported the kindergarten with various contents and ways. There onl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kindergarten recognition about information offer in the family and kindergarten recognition and parent satisfaction bot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bout information effects according to the quality of kindergarten's environment. There onl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kindergarten recognition about parents positively participation in educational activities. Ther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ways parents could participate in educational activities according to the quality of kindergarten's environment but the kindergarten's recogni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field trip, event helper, study data offer and parent's satisfaction showed difference in classroom assistance. Third, I examined to see if it interacted nicely with the children's family. The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the kindergarten's recognition and parent's satisfaction dealing with whether or not the teacher listen carefully to the parent's opinion and reflect it to the actual activity. There onl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rent's satisfaction on whether the teacher acted friendly and respected the child's family.

      • 1972년 헌법의 불법성과 불법청산의 헌법문제 : 대법원 판결·헌법재판소 결정을 중심으로

        김혜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1972년 헌법의 배경과 성격을 연구하고 1972년 헌법에 의하여 발동되었던 9차례의 긴급조치에 관하여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972년 헌법은 그 성립 당시 종전 헌법인 제 6차 개정헌법의 절차를 따르지 아니하였고 독자적이고 자의적인 절차에 따라 개정이 이루어졌다. 그렇기 때문에 그 성립의 정당성에 의문의 여지가 많다. 박정희 정권이 1972년 헌법의 성립 직전 발하였던 ‘10·17비상조치’는 헌법의 일부 조항을 정지시키고 국회를 해산하였으며, 정치활동을 금지하였다. 비정상적인 헌정질서 속에서 인격화된 권력에 의하여 성립된 1972년 헌법은 자유민주주의에 반하며 법치주의의 기본 이념에 반하는 성격을 가졌다. 국민의 기본권에 있어서 그 본질적 내용은 제한할 수 없다는 조항을 삭제하고, 기본권 제한에 대하여 법률에 유보하는 등 국민의 기본권 보호에 있어서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켰으며, 이미 위헌판결을 받은 내용의 조항(국가배상법상 이중배상금지)을 헌법에 삽입하였다. 또 긴급조치에 대한 사법심사를 배제하는 내용(제53조 제4항)을 담는 등 정상적인 헌정질서를 파괴하는 내용들을 포함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1972년 헌법의 성립에 관하여 그 배경과 성격을 연구한다. 또 과거청산의 의미와 의의를 밝히고 본고에서 다루게 될 과거청산의 범위를 한정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1972년 헌법을 바탕으로 발동된 긴급조치의 성격을 파악하고 그와 관련된 대법원과 헌법재판소의 판결과 결정을 검토한다. 대법원의 판결에 있어 긴급조치에 대한 입장과 긴급조치 발동에 의한 국가배상책임의 인정여부를 파악하고 긴급조치의 위헌성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입장을 통해 긴급조치 심사의 기준이 되는 헌법을 어디에 두는 것이 합당한지에 대하여 논의하도록 한다. 또 긴급조치에 대한 사법심사를 배제하였던 1972년 헌법 제53조 제4항의 적용을 배제하는 여러 견해를 검토함으로써 헌법조항의 심사가능성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한다. 또 세계 각국의 불법적이고 권위적 조치들에 의한 국민의 손해에 대하여 국가의 배상책임 인정과 그 정도에 대한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우리 법제의 현실을 파악하고 비교연구를 함으로써 본고를 마치고자 한다. This paper discusses the background and character of the Constitutional Law of 1972 and the nine times that its emergency measures were invoked. The Constitutional Law of 1972 was not revis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mandated by the 6th Constitutional Law. The Constitutional Law of 1972 was amended by independent and arbitrary procedures which is why it was difficult to justify its establishment. Just before the Constitutional Law of 1972 was established,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issued the ‘10/17 Emergency Measures’, suspending some Constitutional provisions, dissolving the National Assembly, and banning political activities. The Constitutional Law of 1972, which was established by powerful individuals under an abnormal constitutional order, amended the constitution, undercutting liberal democracy, the rule of law, and constitutionalism. It has caused serious problems in the protection of the basic rights of the people in various ways, such as by removing the clause that states that the essential elements of basic rights cannot be restricted and entrusting any restriction s of basic rights to legal processes. It also included a clause prohibiting double indemnity in the Constitution that had already been found unconstitutional and upended the normal constitutional order, including limiting judicial review of legislative measures(53; 4). This paper discusses the background and character of the Constitutional Law of 1972. It also discusses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the settlement of the past and limits the scope of this. Next, it identifies the nature of the emergency measures invoked under the Constitutional Law of 1972 and reviews related rulings and decisions of the Supreme Court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This discussion covers the Supreme Court’s position on emergency measures and whether people are entitled to compensation from the state for harms suffered as a result of the invoking of emergency measures. The Constitutional Court’s position on the unconstitutionality of emergency measures should discuss where it is reasonable to place the Constitution, which is the basis for reviewing emergency measures. Various perspectives should be examined, excluding those about the application of article 53; 4 which prohibits the judicial review of emergency measures, to determine the feasibility of the judicial review of Constitutional provisions. Finally, this paper comparatively examines the state’s recognition of its liability for damages caused by illegal and authoritarian actions taken around the world to identify the reality of our legislation.

      •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에 대한 유아 교사의 인식 : 중요도-실행도 분석(IPA)을 중심으로

        김혜린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가 갖는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행도 인식은 어떠한지 살펴보고, 이들 간의 차이는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해 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에 대한 유아 교사의 중요도 인식과 실행도 인식은 어떠한가? 1-1.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은 어떠한가? 1-2.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에 대한 하위 영역별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의 차이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남부 지역 내에 소재한 광명시, 수원시, 시흥시, 안산시에서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143명으로,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육부·보건복지부(2019) 2019 개정누리과정 해설서, 김미은(2012), 김태희(2009), 차인숙(2017)의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에 대한 교사 인식 관련 선행연구, 박미현(2019), 원주율(2018)의 자연친화적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관련 선행연구, 유혜숙(2015)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 개발연구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질문 문항을 추출하였다. 질문지는 본 연구의 목적과 의도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교사용 질문지로 사용하였다. 질문지는 2020년 7월 27일부터 2020년 8월 31일까지 연구자가 직접 방문 및 우편을 통해서 배부 및 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의 일반적 배경을 살펴보기 위해서 기술통계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에 대한 유아 교사의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서 중요도와 실행도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또한, 중요도와 실행도 간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t-검증과 IPA 매트리스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에 대한 유아 교사의 인식을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의 교육내용’,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의 교사역할’,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의 목적 및 목표’,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의 평가’ 모든 영역에서 중요도에 대한 인식이 실행도에 대한 인식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이들 간 평균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의 교육내용’,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의 교사역할’,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의 목적 및 목표’,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의 평가’ 모든 영역에서 중요도에 대한 인식이 실행도에 대한 인식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에 대하여 유아 교사들은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에 실행은 잘 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에 대한 유아 교사의 중요도 인식과 실행도 인식 간 차이를 바탕으로 영역별 IPA 매트리스 분석을 실시한 결과 2사분면에 위치하여 집중투자해야 하는 영역은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의 교육내용’ 1개 영역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에 대한 정보 부족과 안전사고에 대한 두려움 때문이라고 유추해 볼 수 있다. 따라서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에 대해 교사가 먼저 자연에 대한 의미와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에 대한 유아 교사의 인식에 대한 하위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의 목적 및 목표 영역에 대한 문항에서 중요도와 실행도 간의 차이가 가장 큰 문항은 ‘유아는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을 통해 자연에 대한 공감 능력을 기른다.’로 나타났고,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의 교육내용 영역에 대한 문항에서 중요도와 실행도 간의 차이가 가장 큰 문항은 ‘유아는 동물이나 곤충을 실제로 보살피고 길러보는 경험을 한다.’로 나타났다.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의 교사역할영역에 대한 문항에서 중요도와 실행도 간의 차이가 가장 큰 문항은 ‘교사는 유아의 사고를 확장할 수 있는 개방적 질문을 한다.’로 나타났으며,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의 평가영역에 대한 문항에서 중요도와 실행도 간의 차이가 가장 큰 문항은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이 유아의 호기심과 흥미를 자극하였는지 평가한다.’영역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에 대한 유아 교사의 중요도 인식과 실행도 인식 간 차이를 바탕으로 세부 항목별 IPA 매트리스 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의 교사 역할영역에서 ‘교사는 유아들이 자연을 스스로 탐색 및 관찰해볼 수 있도록 환경을 구성한다.’, ‘교사는 유아의 사고를 확장할 수 있는 개방적 질문을 한다.’, ‘교사는 유아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탐색 및 관찰을 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교사는 유아들이 활동을 직접 주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4개의 문항과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의 평가영역에서 ‘유아가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에 관심을 가졌는지 평가한다.’,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이 유아의 호기심과 흥미를 자극하였는지 평가한다.’ 2개의 문항 2사분면에 위치하여 중요도는 높지만 실행도가 낮아 우선지원이 필요한 문항으로 도출되었다.

      • 한국 농식품 브랜드이미지 선호유형에 따른 구매행동이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혜린 숙명여자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purchasing behaviors, shaped by different preferences for brand images of agri-food products, affect repurchase intention. To achieve this objectiv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mong 118 foreigners who live or have lived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using an online questionnaire from February 1 to 25, 2021 (25 days),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four factors related to the type of preference for brand images of Korean agri-food products - traditional, trendy, modern, and healthy/eco-friendly and two purchasing behavior factors - symbolic and functional. To examine the effect of these factors on repurchase intention, hypotheses were formulated and tested. As a result, the "trendy" preference for the brand imag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ymbolic" purchase behavior, and the "trendy" and "healthy/eco-friendly" preferences for brand image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functional" purchasing behavior. The "modern" preference for the brand imag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repurchase intention. In analysis results of the mediating effect of purchasing behaviors in relation to Korean agri-food products, the mediating effects of all the pathways were found to be insignificant, indicating that the only direct effects of preferences for the brand image on repurchase intention are significant when it comes to Korean agri-food products. The moderating effect of nationality (Asian/wester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ference type of Korean agri-food brand image, purchasing behavior, and repurchase intention was also individually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Asian origin groups showed that healthy/eco-friendly preference for the brand imag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both symbolic and functional purchasing behavior, while the Western origin group exhibited that their "traditional" and "trendy" preferences for the brand imag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symbolic purchasing behavior and that their "trendy" "modern," "health/eco-friendly" preferences for brand imag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functional purchasing behavior. Therefore, this study confirms the need for marketing strategies to highlight contemporary images beyond traditional images when promoting Korean agri-food products to non-Korean consumers. That is, Korean agri-food products need to refresh their brands to successfully make inroads into global markets. Specifically, marketing strategies focused on creating brand images that meet "modern," "trendy" and "healthy/eco-friendly" preferences in line with the global food market trend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expanding the global presence of Korean agri-food products. 본 연구는 한국 농식품 브랜드이미지 선호유형에 따른 구매행동이 재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현재 한국에 거주하고 있거나 과거 거주 경험이 있는 외국인 11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2021년 2월 1일부터 2021년 2월 25일(총 25일간)까지 온라인 설문을 이용하여 나온 응답 결과를 통해 통계 분석을 실행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한국 농식품 브랜드이미지 선호유형은 전통적, 유행 트렌드, 현대적, 건강 친환경적 선호유형의 4가지 요인으로, 구매행동은 상징적, 기능적의 2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고 이를 통해 한국 농식품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가설을 설정하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기본가설 검증 결과, 유행트렌드 브랜드이미지 선호유형은 상징적 구매행동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유행트렌드, 현대적, 건강친환경 브랜드이미지 선호유형은 기능적 구매행동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적 브랜드이미지 선호유형은 재구매의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국 농식품 구매행동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모든 경로가 (+)의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한국 농식품 브랜드이미지 선호유형과 재구매의도간에 직접 효과만 유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국 농식품 브랜드이미지 선호유형, 구매행동, 재구매의도 간의 관계에서 국적(동양/서양)의 조절효과 개별 분석 결과, 동양인의 경우, 건강 친환경 브랜드이미지 선호유형은 상징적, 기능적 구매행동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서양인의 경우는 전통적과 유행트렌드 브랜드이미지 선호유형은 상징적 구매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유행트렌드, 현대적, 건강친환경 브랜드이미지 선호 유형은 기능적 구매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 해외 소비층을 위하여 기존 전통적인 이미지에서 벗어난 현대적 이미지의 한국 농식품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한국 농식품의 성공적인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브랜드이미지 재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보여진다. 특히 글로벌 식품 시장의 흐름에 따라 현대적, 유행 트렌드적, 건강 친환경적 이미지를 충족시키는 명확한 브랜드이미지 구축을 통해 한국 농식품을 홍보한다면 성공적인 해외 진출 및 수출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 된다.

      • 수원지역 로컬리티 기록화를 위한 민간기록물 관리 방안 연구

        김혜린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로컬리티 기록화는 지역의 고유함이나 특수성을 바탕으로 지역주민들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작업이다. 그러나 공공기록으로 지역의 내적․외적 모습을 담기에는 많은 한계를 가진다. 이러한 맥락에서 공공기록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기록관리 환경에서 민간영역에 대한 기록관리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다. 공공기록이라는 엘리트적 기록관리가 아닌 민간영역의 기록으로 하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민간기록물은 가치를 평가받기 이전에 소실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민간영역의 기록은 공공기록물 기록하지 못하는 부분까지 다루는 가장 기초적이며 광범위한 1차적 자료이다. 그만큼 현재 지역의 모습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자료이기도 하다. 또한 공공기록물의 성격과 달리 민간기록물은 태생부터 지역 주민 스스로의 본인의 손에서 생산되거나 수집되었기 때문에 가장 그들을 잘 대변할 수 있으며 나아가 모두의 공감을 이끌어 낼 수 있다. 따라서 민간기록물은 중요하게 평가되고 관리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렇게 쉽게 소실되는 민간기록물을 지역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특히 역사적인 문화도시로서의 고유한 특성을 간직하고 있는 수원 지역을 사례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원은 서울과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여 위성도시로써 개발과 변화라는 시대적 흐름에 잘 따라왔다. 그러나 내면으로는 수원 화성이라는 문화유산을 통해 전통을 지키고자 노력하였다. 개발과 보존이 공존하면서 발생하는 수원지역의 고유한 모습을 기록화하기 위해서는 공공기록이 아닌 지역주민이 스스로 생산하여 남긴 기록물이야 말로 지역의 모습을 대변한다고 할 수 있다. 즉 민간기록물이야말로 지역성을 잘 나타내는 요소인 것이다. 역사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수원지역의 민간기록물 역시 개인이나 단체가 생산한 기록에 대하여 개인적인 것 혹은 사소한 것으로 여겨져 대부분이 생산자의 손에서 폐기되어졌다. 이러한 민간기록물에 대한 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먼저 수원지역의 민간영역의 기록관리 현황 조사를 진행하고 그에 따른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원지역 민간영역 기록관리의 문제점을 크게 제도적 한계, 기록관리에 대한 인식부족과 프로세스의 미비 그리고 기록관리 시스템의 부재로 정리하였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검토하였다. 그러나 인식부족의 경우는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요소로 다른 환경이 갖추어졌을 때 상호작용하여 개선이 가능한 요소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직접 다루지 않았다. 민간기록의 관리방안으로는 크게 제도적 지침 마련, 프로세스 설계, 시스템 구축 등의 방법을 찾아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수원지역에서 민간기록물의 관리를 위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 제안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로컬리티 기록화를 위해 기초자료가 되는 민간기록물이 체계적인 틀 안에서 안전하게 관리되어 지역 아카이빙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하여 본다. Locality archiving i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identity for local residents, based on the uniqueness and specialty of the local community. General public records have limits to encompass internal and external local characteristics. In this context,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the records management in private sector is increasing in the environment where the main focus has been on public records management. The focus of records management is moving slowly toward to the private sector rather than elite-oriented public records management. But, so far, most of the private records have been lost before the value was recognized. Records in private sector is mostly basic and primary source, therefore they are most suitable source to show the local images. Also, the private records were produced or collected by the local residents, they represent the locality and local residents best and bring out the empathy, unlike the public records. Therefore private records have to be well evaluated and managed. This study tried to seek the systematic process to manage fragile private records that reflec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ity of the area. Especially, this study examined historical and cultural Suwon city, which have its own cultural characteristic. Suwon is located near Seoul, and as a satellite city, it has been developed and changed well following the stream of times. But, they have tried to protect the tradition internally based on the cultural heritage of Suwon Hwaseong. It was considered that the private records reflects the locality best in documenting the inherited characteristics of the Suwon area, which has special feature of coexistence in development and protection of tradition, Despite the historical importance, private records private records were discarded by creators, since they were considered to be too private or minor thing.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private records management in Suwon, to suggest the strategy in private records management. As a result, the problems were identified, which include limitation in institutional systems, lack of awareness on records management, incompleteness of process, and the absence of the records management system, and the solution were examined. The lack of awareness can be improved when other factors are resolve, thus this study does not deal with it directly. Some strategies and directions for Suwon area's local private records management were suggested, which include preparing institutional guidelines, designing management process, and establishing records management system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ontribute to activate local archiving in the systematic framework.

      • 행동 및 비 행동 언어를 형상화한 유리 조형 연구

        김혜린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social animals, humans have the instinct to communicate and share feelings, will, and knowledge with others. A baby who does not know how to communicate delivers intention through gesture or eye contact. However, one who can write and speak expresses oneself through written texts or verbal language. Sign language or braille communication would be suitable if someone has a hearing or visual impairment. Things mentioned above, such as gestures, eye contact, texts, sign language, and braille, are all means of communication. Humans communicate through language in an orderly, systematic, and refined way. When talking linguistics, one can think of 'words', and communication is done through hearing. However, various methods of language are formed visually, often dissected as behavioral and non-behavioral language. The present study is conducted to divide language into two main aspects: behavioral and non-behavioral language, and to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by embodying characteristics, forms, and meanings of language by expressing them in the form of glass sculpture. Behavioral language is a non-verbal communication method, including physical gestures and glances and referring to body language based on culture and society. Non-behavioral language is a verbal communication method comprising written language, spoken language, and special characters such as sign language and Braille. All systematic and symbolic signs created under social promise are categorized as non-behavioral. Among various means of communication, physical gestures were carefully selected as a subject of study in behavioral language and finger spelling in non-behavioral language. Since the human body is shaped for expressions, there is no insignificant part. However, among body the hand is a basic tool for production and a mean of establishing relationships with members of society. Finger language, or Korean finger spelling, is a sign language that uses hands. Finger language breaks the boundaries of communication between disabled and non-disabled people by transforming it into a beautiful act of lingual expression with limited use of fingers. The study has been carried out carefully with interest in behavioral and non-behavioral language because of its usefulness for visual communication over vocal ones. Furthermore, the study was analyzed to visually materialize the uncomfortable reality of communication as there is an actual language. To express both neutral meanings in behavioral and non-behavioral language, glass sculptures were created into variations of productions, in non-biased forms. The best communication tool to convey the message is, of course, glass. Unlike other materials such as wood, metal, and clay, glass keeps duality in its characteristic transforming its state from solid to liquid, and back and forth. As a researcher, I believed adding various techniques to glass seemed adequate to capture the duality in language, as Finger language communicates vocally and visually. In this study, glass, which carries various physical properties, serves as a new medium for language communication. Similar to the process of hardening fluid glass in a liquid state and molding it into a solid state, just like glass, words that are destined to be lost and absorbed, are often inscribed in letters. Realizing similarities in the function of solidifying, the meaning was given to glass formation. In addition, the researcher expressed the appearance of the human body that conveys a feeling of discomfort in the middle of oppression and coercion in society. Also, the way of communicating an implicit message through eye contact is expressed through glass sculpture. Personal experience of the researcher, words related to background, situation, and photography were used in many parts of imagery. By the end of the process, I had experienced self-reflection and learned how to artistically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by unraveling stories from personal to social meanings. The researcher will continue to study in-depth the function of language and beauty in structure. Through ceaseless expression in glass work, stories will be carried and shared amongst others, not just a few but with a broader audience. 사회적 동물인 인간은 자신의 감정이나 의지, 지식 등을 타인과 나누고 소통하려는 본능을 가지고 있다. 말을 모르는 아기는 몸짓이나 눈빛을 통해 자기 의사를 전달한다. 글을 쓰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은 문자나 말을 통해 표현한다. 청각이나 시각 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수화, 점자 등을 통해 소통한다. 몸짓, 눈빛, 문자, 수화, 점자 등은 모두 언어이며, 인간은 이처럼 체계적이고 정제된 기호인 언어를 통해 의사소통한다. 언어라고 하면 음성 기호인 ‘말(言)’을 먼저 연상하며, 주로 청각 기능을 사용한다고 인식하지만 행동 언어와 비 행동 언어 등 시각 기능을 활용하는 다양한 방식 또한 존재한다. 본 연구자는 언어를 크게 행동 언어와 비 행동 언어로 나누고 각 언어가 지닌 특성, 형태와 의미를 유리 조형물로 구현하여 관람자와 소통하고자 작품 제작을 하였다. 행동 언어는 몸짓, 손짓, 발짓, 눈빛과 같은 비 언어적 소통방식으로 문화와 사회에 기반한 몸짓언어이다. 비 행동 언어는 체계적 상징기호를 표현형식으로 사용하는 언어로 문어와 구어, 수화와 점자가 이에 속한다. 연구자는 행동 언어에서 몸짓과 손짓을 비 행동 언어에서는 지화(指話)를 선택하였다. 인체는 인간 그 자체를 표현하는 형상으로 그중 손은 무언가를 생산하는 기본적인 도구일 뿐만 아니라 사회 구성원과의 관계 구축을 이루는 수단이 되기도 하기에 중요하다. 본 연구자의 작품에서 지화는 장애인의 언어라는 한정된 사용에서 벗어나 언어를 표현하는 아름다운 행위로 접근하여 장애인과 비장애인 모두가 소통할 수 있는 이미지로 풀어내었다. 연구자가 행동 언어와 비 행동 언어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언어를 청각이 아닌 시각으로 풀어내 소통의 도구로 삼을 수 있다는 점과 언어가 있음에도 소통과 불통을 오가는 불편한 현실을 몸짓이나 손짓, 지화 등을 통해 시각적으로 구체화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연구자는 행동 언어와 비 행동 언어의 이중적이며 다채로운 의미를 표현하기 위해 유리 조형물 작품을 어떠한 하나의 형태에 치우치지 않은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하였다. 이러한 메시지를 전달할 소통 도구로 유리를 선택한 이유는 재료의 이중적 특성 때문이다. 유리는 나무, 금속, 흙 등 일반적인 재료와 달리 고체와 액체 사이를 오가며 형태를 구현하는 유동적이고 이중적인 물성을 지닌 재료이다. 청각적 도구인 듯 보이지만 시각으로도 소통하는 언어의 이중성을 담아내기에 적합할 것으로 보았다. 다양한 형태로 형상화되는 물성을 지닌 유리는 언어 소통의 새로운 매개체 역할을 한다. 액체 상태의 유동성 있는 유리를 굳혀 고체 상태의 유리 조형물로 완성하는 과정은 액체처럼 어디론가 흡수되거나 흘러가 소실될 운명인 말을 문자로 기록하여 보존하는 언어의 기능과 유사하다고 해석하였다. 이러한 해석을 유리 조형물에 부여하였다. 더불어 사회 속에서 느끼는 억압과 강요 등의 불편한 상황에 맞닥뜨리는 인체의 모습을 표현하였으며, 눈빛과 같은 통념을 통한 암묵적인 약속의 의사소통 방식을 유리 조형물로 담아내었다. 작품의 많은 부분에는 연구자 본인의 경험, 배경과 관련한 단어, 상황, 사진 등이 활용되었다. 작품 제작을 통해 개인적으로는 자아 성찰의 경험을 하였다. 사적인 이야기를 사회적 의미로 풀어내 관람자와는 예술적으로 소통하는 방법을 배웠다. 본 연구는 언어의 기능과 구조적인 아름다움 등을 깊이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방식의 유리 조형물로 표현하여 많은 이들과 함께 소통할 수 있는 이야기를 만들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숲> 프로젝트 활동을 통한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 및 자연탐구의 이해

        김혜린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숲> 프로젝트 활동을 통한 유아들의 자연친화적 태도 및 자연탐구의 이해에 대해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질적 연구인 문화 기술적 연구이다. A시에 소재한 Y초등학교병설유치원 만5세반 22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숲> 프로젝트 활동을 2016년 3월부터 2017년 6월까지 수행하였다. 프로젝트 활동 과정에서 참여관찰, 심층면담, 프로젝트 활동 결과물, 교사 수업일지, 학부모 상담일지 등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와 자연탐구의 이해에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숲> 프로젝트 활동을 통하여 유아들은 생명체에 관심을 가지고 탐구함으로써 숲과 생명체가 더불어 살아가는 공생관계를 이해하고, 숲을 생명체가 살아 숨 쉬는 공간으로 인식한다. 또, 숲을 자유로운 놀이 공간으로 인식함으로써 다양한 자연 놀이를 발견하고 놀이에 자연물을 활용한다. 또한 다양한 숲 놀이를 즐기게 됨으로써 숲을 아끼고 보호하는 마음을 가지게 된다. 둘째, <숲> 프로젝트 활동을 통하여 유아들은 계절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동ㆍ식물의 생태를 관찰하고 탐구함으로써 자연세계에 대한 이해가 증진된다. 또한 오감을 활용하여 자연을 관찰하고 탐색함으로써 자연의 특성에 대해 알게 된다. 뿐만 아니라 지속, 반복적으로 자연현상을 관찰하고 경험함으로써 자연현상의 변화와 규칙성을 발견한다. 결론적으로 <숲> 프로젝트 활동은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 및 자연탐구의 이해에 효과적인 활동이다.

      • 기술의 사회적 가치와 의미를 탐색하는 매개로서 디자인 픽션 연구

        김혜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Design has the power to fundamentally innovate society; further, designing predicts the future. That is, there is power in critically viewing the status quo and drawing challenging and provocative pictures about the future. However, in a technology-oriented society, design has played the role of producing objects that must be recognized socially in order to conform to the utopian values pursued in reality. Therefore, many people have perceived designers as focusing on external beauty to promot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r as creating products and services to make technology more user-friendly. At a time whe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s heading in an unknown direc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role of design. It is also necessary to visualize a diverse future and present the potential for lifestyle changes with the inherent power of design. This researcher focused on design fiction as a design area with such power. Design fiction is not an entirely new concept in the field of design research. Formal aspects are similar to scenario-based design and conceptual design research, or approaches using fictional artifacts and stories. This approach is usually used in the design research process to implement functions that meet objectives and ultimately produce results. Design fiction uses design to estimate the potential impact of technology and the accompanying changed society; moreover, it creates an artifact to describe the fictional society. Therefore, the scenarios and prototypes of design fiction are not the means for development but the results themselves. Design fiction is an early stage in the field of design research. Despite the fact that design fiction differs from design methodology, differentiation from previous methodologies is difficult to distinguish. In particular, its position is unclear compared to forward-looking design research methods and technology vision scenarios. Furthermore, design fiction research—conducted primarily in Europe and the Americas—reflects slightly different views depending on the social and cultural perspectives of the various regions. Therefore, aims of this study are to reveal the differences and positions in design research areas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 fiction. The researcher initially identified the origin of the concept of design fiction as an approach to this study. The next step was analyzing the formation of the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design fiction. In addition, design fiction cas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 and their features were ascertained. Design fiction cas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r features of design fiction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following order. First, we determined how the concept of design fiction emerged. Through this process, we noted that science fiction is a fusion of scientific fact and critical design. Then, to clarify how each area is foundational to design fiction, the theoretical thesis of design fiction was compared with therelevant literature. As a result, design fiction was described using the concept of alternative worlds in science fiction and the strategy of speculative design (critical design) under the theme of science technology and social change. Second, to understand the key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design fiction, contents were examined based on the previous theory regarding alternative worlds in science fiction, as well as critical thinking and critical design strategies. The main elements of design fiction were identified in a "what if" assumption in terms of an alternative world and a diegetic prototype for visualizing the assumptions. Accordingly, design fiction can be described as a writing activity that conveys a message with design, using speculation and imagination as clues to current technology and social phenomena. Thus, designers perform as artists. Third, the types of research cases related to design fiction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Design fiction studies have three purposes: (1) to create a fictional experience for the public through the design outcome and conduct a preliminary experiment wit h technology that is not yet functional; (2) to visualize and appraise the other side of a user's experience wit h the design, which is difficult to think about in a corporate or technological research process when applying prior technology; and (3)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echnical responses to social issues. All three of these goals are aimed at allowing the public to experience new technologies before they intervene in their lives, leading changes in thought, and revolutionizing the present. It serves as a mediator to convey messages that enable designers to understand and discuss the value and meaning of technology in their lives through design outcomes, as if a writer is delivering a message to the public through a novel or fil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larifies the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design fiction beginning with its origin. It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associated with design fiction and its possible uses. Considering that research regarding design fiction has not been conducted in Korea, findings from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establishing a knowledge base on the subject. 디자인이란 미래를 예측하는 행위로서 사회를 혁신할 수 있는 힘이 있다. 다시 말해 현재의 상황(Status quo)을 비판적으로 보고 미래에 대해 도전적이 고 자극적인 그림을 그릴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그동안 기술 중 심의 사회에서 디자인이란 사회적으로 인정받아야 하며 현실에서 추구하는 유 토피아적 가치를 따르는 물건을 생산하는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 이 디자인을 생산과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외형적인 아름다움에 치중하거나 기술을 사용자가 소비하기 쉽도록 제품과 서비스를 고안해 내는 행위로 인식 해 왔다. 하지만 기술의 발달이 그 결과가 알 수 없는 방향으로 향하는 이때, 디자인이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또한 디자인이 가진 본연의 힘으로 미래의 다양성을 가시화하고 삶의 변화의 가능성을 제시 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힘을 가진 디자인 영역으로 디자인 픽션에 주목하였 다. 디자인 연구 분야에서 디자인 픽션은 완전히 낯선 개념은 아니다. 시나리 오 기반 디자인, 개념적 디자인 연구와 같이 허구의 이야기나 인공물을 이용 한 디자인 연구 방법과 일면 유사하다. 이러한 연구 방법은 디자이너들이 제 품이나 서비스로 발전시키기 위한 과정으로 수행한다. 하지만 디자인 픽션은 기술의 예상하지 못했던 잠재된 영향력에 의해 변화된 세상을 추측하고 그 허 구의 세상을 이야기하기 위한 인공물(Artifact)을 만들어 내기 위해 디자인을 사용한다. 따라서 디자인 픽션의 시나리오와 프로토타입은 개발 과정을 위한 수단이라기보다는 그 자체가 결과이다. 디자인 픽션은 디자인 연구 분야에서 초기 단계이다. 디자인 픽션이 디자 인 방법론과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에서 그러한 차이점을 밝힌 부분은 모호하다. 특히 미래지향적 디자인 연구 방법 내에서 그 위치는 불명 확하다. 게다가 주로 유럽과 미주지역 중심으로 수행되는 디자인 픽션 연구는 해당 지역의 사회나 문화적 배경에 따라 바라보는 관점도 조금씩 다르다. 따 라서 본 연구는 디자인 픽션의 특성을 알아내는 과정을 통해 디자인 연구 영역 내에서 위치를 밝히고 활용을 위한 토대를 만들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이 에 대한 접근 방법으로 디자인 픽션이 무엇인지 그 개념이 발원한 영역을 파 악하였다. 그리고 그 영역들의 어떠한 부분이 디자인 픽션의 요소와 특성을 형성하였는가를 분석하였다. 또한 디자인 픽션의 특성을 기반으로 디자인 픽 션 사례들을 선별하여 연구의 목적에 따른 유형을 분류하였다. 본 연구는 다 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되었다. 첫째, 디자인 픽션의 개념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파악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사이언스 픽션과 과학 기술, 비평적 디자인이 융합한 개념임을 알 수 있 었다. 그런 다음 각각의 영역이 어떻게 디자인 픽션을 구성하는지 밝히기 위 해 디자인 픽션의 이론 논문과 세 가지 영역의 주요 문헌을 비교하며 고찰하 였다. 그 결과 디자인 픽션이 과학기술과 사회의 변화를 주제로 사이언스 픽 션의 대안적 세상의 가정과 비평적 디자인의 추측적(Speculative) 디자인의 전 략을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디자인 픽션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와 특성, 그리고 관계를 도출하였 다. 앞서 밝힌 사이언스 픽션의 대안적 세상의 구성과 과학적 상상력, 비평적 디자인의 비평적 사고와 디자인 전략을 중심으로 내용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 해 디자인 픽션의 주요 요소는 대안적 세상을 가정하는 What if와 그 가정을 물리적으로 구체화하는 Diegetic prototype이 있음을 파악하였고 이 요소들의 관계와 구조를 도출하였다. 따라서 디자인 픽션은 현재의 기술과 사회적 현상 을 단서로 추측과 상상력을 활용하여 디자인하며 그 결과물로 메시지를 전달 하는 저작 활동이다. 셋째, 디자인 픽션을 통한 연구 사례들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디자인 픽션 연구들은 다음의 세 가지 방향으로 나눌 수 있었다. (1) 아직 적용되지 않은 기술의 선행적 실험을 위해 디자인 결과물을 이용한 가상목격, (2) 기술 연구 과정이나 디자인 과정에서 간과하기 쉬운 이면을 드러내고 비평, (3) 사회적 이슈에 대한 기술적 대응의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한다. 이러한 세 가지 방향 모두 대중에게 새로운 기술이 삶에 개입할 때 그 결과를 미리 경험하게 하고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생각의 변화와 행동을 이끌어 내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마치 작가가 소설이나 영화를 통해 대중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 처럼 디자인 결과물을 통해 그들의 삶에 있어 발전하는 기술의 가치와 의미를 이해하고 논의할 수 있도록 하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매개의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디자인 픽션의 모호함을 그 근원으로부터 시작해 그 요소와 특 성을 규명하고 디자인 픽션을 통한 연구의 특성과 그 활용의 가능성을 제안한 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더불어 그동안 국내에서 디자인 픽션에 대 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향후 디자인 픽션 연 구의 지식적 토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