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수원지역 로컬리티 기록화를 위한 민간기록물 관리 방안 연구

        김혜린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로컬리티 기록화는 지역의 고유함이나 특수성을 바탕으로 지역주민들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작업이다. 그러나 공공기록으로 지역의 내적․외적 모습을 담기에는 많은 한계를 가진다. 이러한 맥락에서 공공기록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기록관리 환경에서 민간영역에 대한 기록관리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다. 공공기록이라는 엘리트적 기록관리가 아닌 민간영역의 기록으로 하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민간기록물은 가치를 평가받기 이전에 소실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민간영역의 기록은 공공기록물 기록하지 못하는 부분까지 다루는 가장 기초적이며 광범위한 1차적 자료이다. 그만큼 현재 지역의 모습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자료이기도 하다. 또한 공공기록물의 성격과 달리 민간기록물은 태생부터 지역 주민 스스로의 본인의 손에서 생산되거나 수집되었기 때문에 가장 그들을 잘 대변할 수 있으며 나아가 모두의 공감을 이끌어 낼 수 있다. 따라서 민간기록물은 중요하게 평가되고 관리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렇게 쉽게 소실되는 민간기록물을 지역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특히 역사적인 문화도시로서의 고유한 특성을 간직하고 있는 수원 지역을 사례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원은 서울과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여 위성도시로써 개발과 변화라는 시대적 흐름에 잘 따라왔다. 그러나 내면으로는 수원 화성이라는 문화유산을 통해 전통을 지키고자 노력하였다. 개발과 보존이 공존하면서 발생하는 수원지역의 고유한 모습을 기록화하기 위해서는 공공기록이 아닌 지역주민이 스스로 생산하여 남긴 기록물이야 말로 지역의 모습을 대변한다고 할 수 있다. 즉 민간기록물이야말로 지역성을 잘 나타내는 요소인 것이다. 역사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수원지역의 민간기록물 역시 개인이나 단체가 생산한 기록에 대하여 개인적인 것 혹은 사소한 것으로 여겨져 대부분이 생산자의 손에서 폐기되어졌다. 이러한 민간기록물에 대한 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먼저 수원지역의 민간영역의 기록관리 현황 조사를 진행하고 그에 따른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원지역 민간영역 기록관리의 문제점을 크게 제도적 한계, 기록관리에 대한 인식부족과 프로세스의 미비 그리고 기록관리 시스템의 부재로 정리하였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검토하였다. 그러나 인식부족의 경우는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요소로 다른 환경이 갖추어졌을 때 상호작용하여 개선이 가능한 요소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직접 다루지 않았다. 민간기록의 관리방안으로는 크게 제도적 지침 마련, 프로세스 설계, 시스템 구축 등의 방법을 찾아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수원지역에서 민간기록물의 관리를 위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 제안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로컬리티 기록화를 위해 기초자료가 되는 민간기록물이 체계적인 틀 안에서 안전하게 관리되어 지역 아카이빙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하여 본다. Locality archiving i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identity for local residents, based on the uniqueness and specialty of the local community. General public records have limits to encompass internal and external local characteristics. In this context,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the records management in private sector is increasing in the environment where the main focus has been on public records management. The focus of records management is moving slowly toward to the private sector rather than elite-oriented public records management. But, so far, most of the private records have been lost before the value was recognized. Records in private sector is mostly basic and primary source, therefore they are most suitable source to show the local images. Also, the private records were produced or collected by the local residents, they represent the locality and local residents best and bring out the empathy, unlike the public records. Therefore private records have to be well evaluated and managed. This study tried to seek the systematic process to manage fragile private records that reflec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ity of the area. Especially, this study examined historical and cultural Suwon city, which have its own cultural characteristic. Suwon is located near Seoul, and as a satellite city, it has been developed and changed well following the stream of times. But, they have tried to protect the tradition internally based on the cultural heritage of Suwon Hwaseong. It was considered that the private records reflects the locality best in documenting the inherited characteristics of the Suwon area, which has special feature of coexistence in development and protection of tradition, Despite the historical importance, private records private records were discarded by creators, since they were considered to be too private or minor thing.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private records management in Suwon, to suggest the strategy in private records management. As a result, the problems were identified, which include limitation in institutional systems, lack of awareness on records management, incompleteness of process, and the absence of the records management system, and the solution were examined. The lack of awareness can be improved when other factors are resolve, thus this study does not deal with it directly. Some strategies and directions for Suwon area's local private records management were suggested, which include preparing institutional guidelines, designing management process, and establishing records management system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ontribute to activate local archiving in the systematic framework.

      • 기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일-가정 역할갈등의 매개효과

        김혜린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기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일-가정 역할갈등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기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 일-가정 역할갈등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기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기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가정 역할갈등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조사가 진행된 시기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으로 대면 조사에 제약이 있었기 때문에 모든 수집 절차는 보육교사 교육 웹 사이트로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다. 기혼보육교사 272명을 대상으로 임의표집과 눈덩이 표집을 동시에 진행하였다. 기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Moracco, Danford와 D'Arienzo(1982)의 측정도구를 권기태(1990)가 번안하였고, 신혜영(2004)이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직의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Allen과 Meyer(1990)가 개발하고 김명수(2012)가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일-가정 역할갈등을 측정하기 위해 Carlson, Kacmar, Williams(2000)이 개발하고 일-가정 갈등 척도를 참고하여 김은석(2018)이 제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기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 일-가정 역할갈등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일-가정 역할갈등이 직무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기 위해서 회귀분석과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가정 역할갈등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직무스트레스의 모든 하위요인은 일-가정 역할갈등의 각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수준의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기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일-가정 역할갈등도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기혼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와 일-가정 역할갈등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이직의도의 모든 하위요인은 일-가정 역할갈등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로써 기혼 보육교사가 일-가정 역할갈등이 증가할수록 이직의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기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따라서 기혼 보육교사는 일-가정 역할갈등이 매개하고 직무스트레스가 증가하면 이직의도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기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직무스트레스는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혼 보육교사가 장기적으로 보육기관에 근무할 수 있도록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개입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대한 영향에서 일-가정 역할갈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면 1단계 분석에서는 독립변수인 직무스트레스가 높아지면 매개변수인 일-가정 역할갈등도 높아짐을 보였고, 2단계 분석에서 독립변수인 직무스트레스가 높아지면 종속변수인 이직의도가 높아짐을 보였다. 3단계 분석에서는 직무스트레스와 일-가정 역할갈등을 동시에 투입했을 때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표준화 계수가 감소하여 부분매개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혼 보육교사가 일-가정 역할갈등을 매개효과로 직무스트레스를 받았을 경우 이직의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론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기혼 보육교사의 일-가정 역할갈등이 매개하고 직무스트레스가 증가할 경우 이직의도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기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는 영유아의 심리적인 불안감을 가지게 하고 교사와 영유아의 애착관계 훼손시키는 등 여러 가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기혼 보육교사의 이직을 예방하기 위해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일과 가정을 양립 할 수 있는 제도적인 보완이 필요한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제언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질적 연구를 통해 기혼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구체적인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일-가정 역할갈등을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양적 연구로 파악하기 어려운 기혼 보육교사의 구체적인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일-가정 역할갈등에 대한 질적 연구를 수행할 것을 제안한다. 둘째, 기혼 보육교사의 자녀 유무에 따른 변인들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미혼 교사와 기혼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변인들이 다르듯이 자녀가 있는 기혼 보육교사와 자녀가 없는 기혼 보육교사의 변인들의 경험 차이가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자녀 유무에 따라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기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이직의도를 가지게 하고 이러한 이직은 영유아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직장 동료, 학부모에게 까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보육기관 종사자들의 과도한 업무와 같은 요인들을 감소시키기 위해 보육기관의 종사자를 증원해야 한다. 넷째, 기혼 보육교사가 일과 가정을 양립 할 수 있도록 정부에서는 실질적인 지원과 환경을 마련해야 한다. 이상으로 본 연구를 종합해 보면 기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그 과정에서 일-가정 역할갈등이 부분 매개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개별 어린이집은 물론 국가 차원에서 기혼 보육교사가 겪고 있는 어려움에 대해 분석하고 긍정적인 근무 환경을 제공해 준다면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among married childcare teachers and mediating effects of work-family role conflict. The research questions selected for this purpose are as follows. 1. What are relationships among job stress, turnover intention, and work-family role conflict among married teachers? 2. What are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among married childcare teachers? 3. What are mediating effects of work-family role conflict on the effect of job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among married childcare teachers? Because of the COVID-19 pandemic, face-to-face surveys were not possible at the time of this study. Data collection procedures were conducted online through a survey on a childcare teacher education website. A total of 272 married teachers were surveyed using both random and snowball sampling. To measure job stress of married teachers, Moracco, Danford, and D'Arienzo(1982) instrument was adapted by Ki-Tae Kwon(1990) and reformulated for teachers by Hye-Young Shin(2004). To measure turnover intention, we used an instrument developed by Allen and Meyer(1990) and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Myungsoo Kim(2012) for childcare teachers. To measure work-family role conflict, a scale developed by Carlson, Kacmar, and Williams(2000) and adapted from the work-family conflict scale by Kim(2018) was used. In this study,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turnover intention, and work-family role conflict. Regression analysis and post hoc test were conducted to verify how work-family role conflict affects job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job stress and work-family role conflict among married teachers. All sub-factors of job stress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each sub-factor of work-family role conflict. This suggested that as the job stress of married teachers increases, so does their work-family role conflict. When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urnover intention and work-family role conflict among married teachers, we found that all subfactors of turnover intention were positively related to work-family role conflict. This indicates that turnover intention among married teachers increases as work-family role conflict increases.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married teachers were positively related.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urnover intentions among married teachers are mediated by work-family role conflict and increases when job stress increases. Second, the research examined effects of job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among married teachers and found that job str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terventions to address job stress are important to help married teachers stay in child care organizations for the long term. Third, when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work-family role conflict on the effects of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the first step analysis showed that when the independent variable, job stress, increased, the mediating variable, work-family role conflict, also increased, and the second step analysis showed that when the independent variable, job stress, increased, the dependent variable, turnover intention, increased. In the third stage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both job stress and work-family role conflict had an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when entered together, but the standardized coefficient decreased, indicating a partial mediation effe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urnover intention of married teachers increases when they experience job stress through mediating effects of work-family role conflict.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Turnover intention among married teachers increased as job stress increased, mediated by work-family role conflict.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s among married teachers had a number of negative effects on infants and toddlers, including increased psychological anxiety and impaired attachment between teachers and infants and toddler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re is a need for institutional support to reduce job stress and promote work-family balance in order to prevent turnover among married teachers. The recommendations of this study or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specific job stress, turnover intentions, and work-family role conflicts experienced by married teacher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We suggest conducting a qualitative study on the specific job stress, turnover intentions, and work-family role conflict of married teachers, which are difficult to identify in quantitative studies. Second,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variables of married teachers according to whether they have children or not. Just as the variables experienced by single teachers are different from those experienced by married teachers, the variables experienced by married teachers with children are likely to be different from those experienced by married teachers without childre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effects of having children and not having children. Third, job stress among married teachers can lead to turnover intentions, which not only has negative impacts on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 but also has negative impacts on coworkers and parents. In order to reduce factors such as overwork among teachers, the increased number of teachers will be essential. Fourth,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practical support and enabling environments for married teachers to balance work and family. In summar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s effects of job stress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married teachers and verifies that work-family role conflict is partially mediated in the process. It appears that analyzing the difficulties faced by married teachers and providing a positive working environment at the national level as well as at individual centers may help overcome these difficulties.

      • 유아교육기관의 질적 환경에 따른 부모 참여

        김혜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부모참여 계획과 활동이 기관의 질적 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부모참여 계획은 기관의 질적 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부모참여 활동은 기관의 질적 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위치한 유치원 23곳을 1차로 선정하여 교육환경의 질적 수준을 측정한 후, 총점 범위를 기준으로 상위 30% 이상의 점수를 받은 기관인 상 집단과 하위 30% 이하의 점수를 받은 기관인 하 집단을 연구대상으로 최종 선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선정된 연구 대상은 17곳의 유치원과, 이 기관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 17명, 그리고 이 기관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부모 425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기관의 전반적인 질적 환경을 평가하기 위하여 Harms와 Clifford(1980)가 제작한 유아교육환경 평가척도(Early Childhood Environment Rating Scale: ECERS)를 임재택(1983)이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부모참여에 대한 기관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기관용 질문지는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유아교육과 BK21 핵심사업팀(2002)이 개발한 「유아교육기관 인정기준」 중 '가정 및 지역사회' 영역을 수정, 보완하였다. 부모참여에 대한 부모 인식과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한 부모용 질문지 또한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유아교육과 BK21 핵심사업팀(2002)이 개발한 「유아교육기관 인정기준」 중 '가정 및 지역사회' 영역을 수정, 보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관에서의 부모참여 계획과 활동 실태에 대한 기관과 부모 인식이 기관의 질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χ²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계획과 활동 효과에 대한 기관 인식과 부모 만족도가 기관의 질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는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부모참여 계획이 기관의 질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의 효율적인 연계를 위한 계획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계획 수립 여부는 기관과 부모 모두 기관의 질에 관계없이 세우고 있다고 인식하였으나, 연계 계획 효과에 대해서는 기관 인식과 부모 만족도 모두 기관의 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부모가 기관에 개별적인 요구나 건의사항을 이야기할 수 있는 방법의 가짓 수는 기관과 부모 인식 모두 기관의 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구체적인 효과에 대해서는 부모면담, 전화에 대한 기관 인식과, 전화, 교사 e-mail 및 유치원 홈페이지, 알림장 및 쪽지편지, 부모면담에 대한 부모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가정의 배경이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에 대해서는 기관과 부모 모두 기관의 질에 관계없이 실시하고 있다고 인식하였으나, 파악한 내용이 실제 활동에 반영되는지는 기관 인식과 부모 만족도 모두에서 기관의 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부모참여 활동의 희망 내용이나 일시 조사에 대해서는 부모 인식에서만 기관의 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파악한 내용이 실제 활동에 반영되는지에 대해서는 기관 인식과 부모 만족도 모두에서 기관의 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가정과의 연계를 위한 조직 및 지원방안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가정과의 연계 담당 교직원에 대해서, 기관은 기관의 질에 관계없이 원장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 부모는 교사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질이 낮은 기관의 부모들에서 이러한 인식은 더욱 두드러졌다. 부모회 및 임원회 구성 여부는 기관과 부모 인식 모두 기관의 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부모회 및 임원회 활동 효과에 대해서는 부모 만족도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부모참여 활동의 참여 및 협조 요청에 대해서는 부모 인식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요청의 효과에 대해서는 기관 인식과 부모 만족도 모두 기관의 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적극적인 부모 참여를 위한 기관의 도움 제공에 대해서는 부모 인식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도움의 효과에 대해서는 기관 인식과 부모 만족도 모두 기관의 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부모참여 활동이 기관의 질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관에서 다양한 내용과 방법으로 가정을 지원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교육내용과 활동에 대한 정보는 기관과 부모 모두 기관의 질에 관계없이 제공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정보의 효과에 대해서도 기관 인식과 부모 만족도 모두 기관의 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양육정보는 기관과 부모 모두 기관의 질에 관계없이 제공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정보의 효과에 대해서는 기관 인식과 부모 만족도 모두 기관의 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기관에서의 유아 행동이나 생활, 건상상태 등에 대한 정보는 기관과 부모 모두 기관의 질에 관계없이 제공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정보의 효과에 대해서는 부모 만족도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기관과 가정이 상호작용 할 수 있는 방법의 가짓 수는 기관과 부모 인식 모두 기관의 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구체적인 효과에 대해서는 어머니(아버지)참여수업, 수업참관, 인쇄자료에 대한 기관 인식과, 어머니(아버지)참여수업, 부모 면담, 수업참관에 대한 부모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가정에서 다양한 내용과 방법으로 기관을 지원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가정에서의 정보 제공에 대해서는 기관 인식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정보의 효과에 대해서는 기관 인식과 부모 만족도 모두 기관의 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기관의 교육활동에 부모가 적극적으로 참여하는지에 대해서는 기관 인식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부모가 기관의 교육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의 가짓 수는 기관과 부모 모두 기관의 질에 따라 유의한 인식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구체적인 효과에 대해서는 견학·행사 도우미, 학습자료 제공에 대한 기관 인식과, 보조교사에 대한 부모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유아의 가족들에게 반응적이고 따뜻하게 상호작용 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교사가 부모의 의견을 주의깊게 듣고 실제 교육활동에 반영하는지는 기관 인식과 부모 만족도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교사가 유아의 가족을 존중하고 따뜻하게 대하는지는 부모 만족도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 parent involvement planning and activity according to the quality of kindergarten environment. The followings are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e purpose. 1. Is there a difference of parent involvement planning according to the quality of kindergarten's environment? 2. Is there a difference of parent involvement activity according to the quality of kindergarten's environment? In this study, 23 kindergartens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have been selected first. After examin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s quality level, the kindergartens that received grades in the high 30% were selected as the high group and the kindergartens that received grades in the low 30% were selected as the low group based on the total score range. The final selected research subjects are 17 kindergartens and the teachers and also the 425 parents who send their children here. In this study, the tool that Im Jei Tec (1983) modified was us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kindergarten’s environment. He modified the Early Childhood Environment Rating Scale made by Clifford and Harms(1980) so it was right with our countrie's situation. The kindergarten questionnaire made to examine the kindergarten's recognition of parent involvement was adjusted and supplemented by the 'Family and Local Community' area which is from the 「Accreditation criteria for early childhood program」, developed by the Brain Korea 21 Project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department at Ewha Womans University. To find out parents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about Parent Involvement the questionnaire for the parents were made in the same way. In this study, the χ²verification was enforced to find out if there was a difference of kindergarten and parent's recognition about parent involvement planning and activity conditions according to the quality of kindergarten's environment. Also the t verification was enforced to find out the if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kindergarten and parent's recognition about parent involvement planning and activity effects according to the quality of kindergarten's environment. The followings are the epitome of the study conclusion. The followings are the conclusion to see if there is a difference of the planning linkage with family according to the quality of kindergarten's environment. First, I examined the plan for efficiently linking with the family. The parents and the kindergarten recognized that the success and failure of establishing the plan had nothing to do with the quality of kindergarten's environment. But the kindergarten's recognition and parent's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 planning linkage effect. The number of ways that parents could converse about proposals and requests to the kindergarten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quality of kindergarten's environment. On the other hand, about specified effects, kindergarten's recognition showed differences in parent counseling, phone counseling and parent's satisfaction showed differences in phone counseling, e-mail connection, kindergarten homepage, letters, and parent counseling. The research to understand the family's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 was recognized to be done regardless of the quality of kindergarten's environment but to see if the researched contents would reflect to real activity. There onl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 parents recognition about expectation on parent involvement activity and one time verification but both the kindergarten's recognition and parent's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o see if the researched contents would reflect to real activity. Second, I examined the organization and support plan for the linkage with the family. The faculty, dealing with family linkage, recognized the manager as the kindergarten regardless of the quality of kindergarten's environment. In the other hand the parent was recognized as the teacher and this showed more conspicuously in low quality kindergarten's parents. The success and failure of the parent's association and board committee form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quality of kindergarten's environment to both the kindergarten and parent's recognition,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 satisfaction about the organization's activity. The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 recognition about parent involvement activity and assistance request an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quest effects that relates to the kindergarten's recognition and parents satisfaction. There onl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 recognition about the kindergarten's aid offer for positive parent involvement and the kindergarten's recognition and parent's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quality of kindergarten's environment dealing with the aid's effect. The followings are the conclusion to see if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activity linking with the family according to the quality of kindergarten's environment. First, I examined to see if the kindergarten supported the family with various contents and ways. The information about educational contents and activities was recognized to be offered with no connection with the quality of kindergarten's environment by the kindergarten and the parents and also both the kindergarten's recognition and parent's satisfac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formation's effect according to the quality of kindergarten's environment. Fostering information were recognized to be offered with no relations with the quality of kindergarten's environment by both the kindergarten and parent but the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bout the information effects on the kindergarten's recognition and the parent's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quality of kindergarten's environment. The information about children behavior, life, and health conditions in kindergarten was recognized that it had nothing to do with the quality of kindergarten's environment but the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s satisfaction about the information's effects. There showed regarding difference in the number of ways the kindergarten and family could interact according to the quality of kindergarten's environment. Also, in specified effects, kindergarten recogni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mother(father) involvement class, class observation, print data, and parent's satisfaction showed difference in mother(father) involvement class, parent counseling, and class observation. Second, I examined if the family supported the kindergarten with various contents and ways. There onl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kindergarten recognition about information offer in the family and kindergarten recognition and parent satisfaction bot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bout information effects according to the quality of kindergarten's environment. There onl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kindergarten recognition about parents positively participation in educational activities. Ther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ways parents could participate in educational activities according to the quality of kindergarten's environment but the kindergarten's recogni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field trip, event helper, study data offer and parent's satisfaction showed difference in classroom assistance. Third, I examined to see if it interacted nicely with the children's family. The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the kindergarten's recognition and parent's satisfaction dealing with whether or not the teacher listen carefully to the parent's opinion and reflect it to the actual activity. There onl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rent's satisfaction on whether the teacher acted friendly and respected the child's family.

      • 1972년 헌법의 불법성과 불법청산의 헌법문제 : 대법원 판결·헌법재판소 결정을 중심으로

        김혜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1972년 헌법의 배경과 성격을 연구하고 1972년 헌법에 의하여 발동되었던 9차례의 긴급조치에 관하여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972년 헌법은 그 성립 당시 종전 헌법인 제 6차 개정헌법의 절차를 따르지 아니하였고 독자적이고 자의적인 절차에 따라 개정이 이루어졌다. 그렇기 때문에 그 성립의 정당성에 의문의 여지가 많다. 박정희 정권이 1972년 헌법의 성립 직전 발하였던 ‘10·17비상조치’는 헌법의 일부 조항을 정지시키고 국회를 해산하였으며, 정치활동을 금지하였다. 비정상적인 헌정질서 속에서 인격화된 권력에 의하여 성립된 1972년 헌법은 자유민주주의에 반하며 법치주의의 기본 이념에 반하는 성격을 가졌다. 국민의 기본권에 있어서 그 본질적 내용은 제한할 수 없다는 조항을 삭제하고, 기본권 제한에 대하여 법률에 유보하는 등 국민의 기본권 보호에 있어서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켰으며, 이미 위헌판결을 받은 내용의 조항(국가배상법상 이중배상금지)을 헌법에 삽입하였다. 또 긴급조치에 대한 사법심사를 배제하는 내용(제53조 제4항)을 담는 등 정상적인 헌정질서를 파괴하는 내용들을 포함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1972년 헌법의 성립에 관하여 그 배경과 성격을 연구한다. 또 과거청산의 의미와 의의를 밝히고 본고에서 다루게 될 과거청산의 범위를 한정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1972년 헌법을 바탕으로 발동된 긴급조치의 성격을 파악하고 그와 관련된 대법원과 헌법재판소의 판결과 결정을 검토한다. 대법원의 판결에 있어 긴급조치에 대한 입장과 긴급조치 발동에 의한 국가배상책임의 인정여부를 파악하고 긴급조치의 위헌성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입장을 통해 긴급조치 심사의 기준이 되는 헌법을 어디에 두는 것이 합당한지에 대하여 논의하도록 한다. 또 긴급조치에 대한 사법심사를 배제하였던 1972년 헌법 제53조 제4항의 적용을 배제하는 여러 견해를 검토함으로써 헌법조항의 심사가능성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한다. 또 세계 각국의 불법적이고 권위적 조치들에 의한 국민의 손해에 대하여 국가의 배상책임 인정과 그 정도에 대한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우리 법제의 현실을 파악하고 비교연구를 함으로써 본고를 마치고자 한다. This paper discusses the background and character of the Constitutional Law of 1972 and the nine times that its emergency measures were invoked. The Constitutional Law of 1972 was not revis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mandated by the 6th Constitutional Law. The Constitutional Law of 1972 was amended by independent and arbitrary procedures which is why it was difficult to justify its establishment. Just before the Constitutional Law of 1972 was established,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issued the ‘10/17 Emergency Measures’, suspending some Constitutional provisions, dissolving the National Assembly, and banning political activities. The Constitutional Law of 1972, which was established by powerful individuals under an abnormal constitutional order, amended the constitution, undercutting liberal democracy, the rule of law, and constitutionalism. It has caused serious problems in the protection of the basic rights of the people in various ways, such as by removing the clause that states that the essential elements of basic rights cannot be restricted and entrusting any restriction s of basic rights to legal processes. It also included a clause prohibiting double indemnity in the Constitution that had already been found unconstitutional and upended the normal constitutional order, including limiting judicial review of legislative measures(53; 4). This paper discusses the background and character of the Constitutional Law of 1972. It also discusses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the settlement of the past and limits the scope of this. Next, it identifies the nature of the emergency measures invoked under the Constitutional Law of 1972 and reviews related rulings and decisions of the Supreme Court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This discussion covers the Supreme Court’s position on emergency measures and whether people are entitled to compensation from the state for harms suffered as a result of the invoking of emergency measures. The Constitutional Court’s position on the unconstitutionality of emergency measures should discuss where it is reasonable to place the Constitution, which is the basis for reviewing emergency measures. Various perspectives should be examined, excluding those about the application of article 53; 4 which prohibits the judicial review of emergency measures, to determine the feasibility of the judicial review of Constitutional provisions. Finally, this paper comparatively examines the state’s recognition of its liability for damages caused by illegal and authoritarian actions taken around the world to identify the reality of our legislation.

      • 조름나물의 생식시스템및 세포유전학적 연구

        김혜린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Menyanthes trifoliata L. is an endemic perennial aquatic plant of Korea. This species is a monotypic genus that belongs to Menyanthaceae and has distylous flowers, which are visited by short-tongued insects. The basic chromosome number in Menyanthes is x = 9. In this study, the embry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ollen morphology of Menyanthes trifoliata L. were described. The anther is tetrasporangiate, cytokinesis of microspore mother cell is successive type and the tapetum is glandular type. The anther wall structure composed of five cell layers which conformes to the basic type. The shape of tetrahedral pollen grains are two-celled at the time of shedding. The ovule is anatropous and tenuinucellate. Meosis undergoes in the megaspore mother cell to form a tetrad of megaspores. The chalazal megaspore functions and the remaining three cells would be degenerated. Through nuclear division, megasporocyte develops into 2 to 4, and 8 nucleate embryo sac. Consequently, organized embryo sac is composed of seven cells and eight nucleate. Therefore, the embryo sac development is of the polygonum type. The ovule has an unitegmic, and integumentary tapetum. Path of pollen tube is porogamy. The mature seed is rounded and discoid, has no appendages such as wings or arils. Seed surface is smooth and waterproof, and floating in the water. The seed coat of Menyanthes is exotestal type. Based on the observation with SEM, pin type(p-type) and thrum type(t-type) pollen showed different pollen sizes and shapes. P-type pollen showed average of 30μm and t-type showed average of 35μm in diameter, and both belong to medium category in size. The shape of p-type pollen is triangular and t-type is convex-triangular. Other pollen characteristics are the same each other. Pollen unit was monad and pollen polarity was iso-polar and pollen symmetry was radio-symmetric. Pollen surface was tectate and striate. The number of chromosomes are 2n = 54. The chromosome length was 1.52 to 3.37㎛, and the average chromosome length was 2.34㎛. Chromosomes were observed as metacentric chromosomes. In the FISH, M. trifoliata represent two pairs of 45S rDNA signals. These results w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genetic diversity and the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endangered species. 조름나물(Menyanthes trifoliata L.)은 조름나물과(Menyanthaceae)에 속하는 1속 1종의 식물로, 우리나라에는 대암산 용늪을 포함한 고성, 태백 등 일부 지역에서만 자생하며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식물 II급 및 국가적색목록 취약(VU)종으로서 자생지 보호 및 보존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조름나물에 대한 생식시스템과 염색체의 배수성에 관한 연구는 연구된 바 없다. 생식시스템 실험을 위한 조름나물의 생체 표본은 선유담을 포함한 3개의 지역에서 채집하였고, F.A.A.에 고정한 뒤 technovit 7100을 사용하여 resin block을 제작 후 slide를 만들어 관찰하였다. 화분의 경우는 각각 pin type과 thrum type으로 구분하여 이형화주에 따른 화분 크기 및 형태에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조름나물의 생식시스템 중 특이한 구조로는 integumentary tapetum이 발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정양식은 주공수정이었고, 대포자 발달은 마디풀형으로 확인되었다. 화분의 경우, pin type이 thrum type보다 화분의 크기가 약간 큰 것을 확인하였으며, 종자의 경우에는 뚜렷한 분류학적 특징이 관찰되지 않았다. 조름나물의 염색체 수는 2n = 54로 나타났다. 염색체 길이는 1.52 ∼ 3.37 ㎛이며, 염색체 평균 길이는 2.34 ㎛로 나타났다. 염색체는 대부분 중부동원체형 염색체(metacentric chromosome, m)로 관찰되었다. FISH 결과, 4개의 signal을 확인했으며, 이는 기존연구와 달리 조름나물이 2배체 혹은 4배체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조름나물에 대한 생식시스템 및 세포유전학 연구를 수행하여 멸종위기종의 종 보존과 자생지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에 대한 유아 교사의 인식 : 중요도-실행도 분석(IPA)을 중심으로

        김혜린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가 갖는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행도 인식은 어떠한지 살펴보고, 이들 간의 차이는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해 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에 대한 유아 교사의 중요도 인식과 실행도 인식은 어떠한가? 1-1.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은 어떠한가? 1-2.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에 대한 하위 영역별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의 차이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남부 지역 내에 소재한 광명시, 수원시, 시흥시, 안산시에서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143명으로,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육부·보건복지부(2019) 2019 개정누리과정 해설서, 김미은(2012), 김태희(2009), 차인숙(2017)의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에 대한 교사 인식 관련 선행연구, 박미현(2019), 원주율(2018)의 자연친화적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관련 선행연구, 유혜숙(2015)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 개발연구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질문 문항을 추출하였다. 질문지는 본 연구의 목적과 의도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교사용 질문지로 사용하였다. 질문지는 2020년 7월 27일부터 2020년 8월 31일까지 연구자가 직접 방문 및 우편을 통해서 배부 및 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의 일반적 배경을 살펴보기 위해서 기술통계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에 대한 유아 교사의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서 중요도와 실행도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또한, 중요도와 실행도 간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t-검증과 IPA 매트리스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에 대한 유아 교사의 인식을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의 교육내용’,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의 교사역할’,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의 목적 및 목표’,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의 평가’ 모든 영역에서 중요도에 대한 인식이 실행도에 대한 인식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이들 간 평균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의 교육내용’,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의 교사역할’,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의 목적 및 목표’,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의 평가’ 모든 영역에서 중요도에 대한 인식이 실행도에 대한 인식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에 대하여 유아 교사들은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에 실행은 잘 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에 대한 유아 교사의 중요도 인식과 실행도 인식 간 차이를 바탕으로 영역별 IPA 매트리스 분석을 실시한 결과 2사분면에 위치하여 집중투자해야 하는 영역은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의 교육내용’ 1개 영역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에 대한 정보 부족과 안전사고에 대한 두려움 때문이라고 유추해 볼 수 있다. 따라서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에 대해 교사가 먼저 자연에 대한 의미와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에 대한 유아 교사의 인식에 대한 하위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의 목적 및 목표 영역에 대한 문항에서 중요도와 실행도 간의 차이가 가장 큰 문항은 ‘유아는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을 통해 자연에 대한 공감 능력을 기른다.’로 나타났고,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의 교육내용 영역에 대한 문항에서 중요도와 실행도 간의 차이가 가장 큰 문항은 ‘유아는 동물이나 곤충을 실제로 보살피고 길러보는 경험을 한다.’로 나타났다.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의 교사역할영역에 대한 문항에서 중요도와 실행도 간의 차이가 가장 큰 문항은 ‘교사는 유아의 사고를 확장할 수 있는 개방적 질문을 한다.’로 나타났으며,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의 평가영역에 대한 문항에서 중요도와 실행도 간의 차이가 가장 큰 문항은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이 유아의 호기심과 흥미를 자극하였는지 평가한다.’영역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에 대한 유아 교사의 중요도 인식과 실행도 인식 간 차이를 바탕으로 세부 항목별 IPA 매트리스 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의 교사 역할영역에서 ‘교사는 유아들이 자연을 스스로 탐색 및 관찰해볼 수 있도록 환경을 구성한다.’, ‘교사는 유아의 사고를 확장할 수 있는 개방적 질문을 한다.’, ‘교사는 유아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탐색 및 관찰을 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교사는 유아들이 활동을 직접 주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4개의 문항과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의 평가영역에서 ‘유아가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에 관심을 가졌는지 평가한다.’,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이 유아의 호기심과 흥미를 자극하였는지 평가한다.’ 2개의 문항 2사분면에 위치하여 중요도는 높지만 실행도가 낮아 우선지원이 필요한 문항으로 도출되었다.

      • 인진쑥 수용성추출물인 AIP1에 의한 아토피성 피부염의 억제기작

        김혜린 창원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아토피성 피부염은 수지상세포 아군집들에 의해 제시되는 알러겐 (allergen)에 민감한 보조 T림프구들의 독특한 아군집의 비정상적 활성과 증식에 연관되어 있는 만성적이 염증성 피부 질환이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발병율은 진행 중점적 조사에도 불구하고 증가한다. 인진쑥은 국화과의 한 식물로써 한국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다년생 초본이고, 간질환의 전통적인 항염증약제로 사용되어져 왔다. 이 논문에서는 BALB/c의 OVA 유도성 아토피성 피부염에서 인진쑥의 수용성 탄화수소 분액인 AIP1의 억제효과를 조사하였으며 AIP1이 항알레르기성 활성을 가능하게 하는 기작을 연구하였다. AIP1은 OVA에 노출된 생쥐의 표피와 진피의 두께, 피부에서 Th2 사이토카인 발현, 혈청 IgE 농도를 두드러지게 감소시켰다. 또한 생체 외에서 LPS/IL-4로 자극시킨 비세포로 부터의 IgE 생성 또한 감소 시켰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IFN-γ에 의하여 isotype switching이 촉진되는 IgG3 생산의 경우에는 in vivo와 in vitro실험에서 IgE 생성과는 대조적인 양상을 보였다. 피부에 있는 세 유형의 골수성 수지상 세포 (랑게르한스세포, 염증성 수지상 표피세포, 혈액원형질 수지상세포)들은 아토피 피부염의 병인에 관련이 있고, 생쥐의 피부에서 얻은 수지상 세포를 유세포 분석한 결과 OVA에 노출시킨 경우 CD11c-MHCII+ 군집이 증가함을 보였다. 하지만 혈청 IgE와 IL-4의 생성을 억제시키는 AIP1의 처리에도 불구하고 CD11c-MHCII+ 군집에서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인진쑥의 많은 구성성분 중 scoparone, chlorogenic aicd (CGA), scopoletin을 LPS/IL-4로 자극시킨 비세포에 처리함으로써 IgE 생성에 대한 효과를 살펴보았고, 그 결과 CGA와 scopoletin이 IgE (immunoglobulin E)의 생성을 억제함을 밝혔다.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IgG3의 생성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였고, IgE 생성의 결과와 동일하게 IgG3의 생성은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인진쑥의 구성성분의 면역글로불린 isotype switching에 있어서 근본적 억제기작을 밝히기 위하여 Cε 배선 전사체의 발현을 RNA 수준에서 조사하였고, 그 결과 CGA와 scopoletin의 처리시 그 발현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Cε 배선 전사체의 발현 억제가 어떠한 신호전달경로를 통해 일어나는지 밝히기 위하여 단백질 수준에서 조사 하였을 때 CGA 처리시 STAT-6와 JNK의 발현이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 행동 및 비 행동 언어를 형상화한 유리 조형 연구

        김혜린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social animals, humans have the instinct to communicate and share feelings, will, and knowledge with others. A baby who does not know how to communicate delivers intention through gesture or eye contact. However, one who can write and speak expresses oneself through written texts or verbal language. Sign language or braille communication would be suitable if someone has a hearing or visual impairment. Things mentioned above, such as gestures, eye contact, texts, sign language, and braille, are all means of communication. Humans communicate through language in an orderly, systematic, and refined way. When talking linguistics, one can think of 'words', and communication is done through hearing. However, various methods of language are formed visually, often dissected as behavioral and non-behavioral language. The present study is conducted to divide language into two main aspects: behavioral and non-behavioral language, and to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by embodying characteristics, forms, and meanings of language by expressing them in the form of glass sculpture. Behavioral language is a non-verbal communication method, including physical gestures and glances and referring to body language based on culture and society. Non-behavioral language is a verbal communication method comprising written language, spoken language, and special characters such as sign language and Braille. All systematic and symbolic signs created under social promise are categorized as non-behavioral. Among various means of communication, physical gestures were carefully selected as a subject of study in behavioral language and finger spelling in non-behavioral language. Since the human body is shaped for expressions, there is no insignificant part. However, among body the hand is a basic tool for production and a mean of establishing relationships with members of society. Finger language, or Korean finger spelling, is a sign language that uses hands. Finger language breaks the boundaries of communication between disabled and non-disabled people by transforming it into a beautiful act of lingual expression with limited use of fingers. The study has been carried out carefully with interest in behavioral and non-behavioral language because of its usefulness for visual communication over vocal ones. Furthermore, the study was analyzed to visually materialize the uncomfortable reality of communication as there is an actual language. To express both neutral meanings in behavioral and non-behavioral language, glass sculptures were created into variations of productions, in non-biased forms. The best communication tool to convey the message is, of course, glass. Unlike other materials such as wood, metal, and clay, glass keeps duality in its characteristic transforming its state from solid to liquid, and back and forth. As a researcher, I believed adding various techniques to glass seemed adequate to capture the duality in language, as Finger language communicates vocally and visually. In this study, glass, which carries various physical properties, serves as a new medium for language communication. Similar to the process of hardening fluid glass in a liquid state and molding it into a solid state, just like glass, words that are destined to be lost and absorbed, are often inscribed in letters. Realizing similarities in the function of solidifying, the meaning was given to glass formation. In addition, the researcher expressed the appearance of the human body that conveys a feeling of discomfort in the middle of oppression and coercion in society. Also, the way of communicating an implicit message through eye contact is expressed through glass sculpture. Personal experience of the researcher, words related to background, situation, and photography were used in many parts of imagery. By the end of the process, I had experienced self-reflection and learned how to artistically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by unraveling stories from personal to social meanings. The researcher will continue to study in-depth the function of language and beauty in structure. Through ceaseless expression in glass work, stories will be carried and shared amongst others, not just a few but with a broader audience. 사회적 동물인 인간은 자신의 감정이나 의지, 지식 등을 타인과 나누고 소통하려는 본능을 가지고 있다. 말을 모르는 아기는 몸짓이나 눈빛을 통해 자기 의사를 전달한다. 글을 쓰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은 문자나 말을 통해 표현한다. 청각이나 시각 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수화, 점자 등을 통해 소통한다. 몸짓, 눈빛, 문자, 수화, 점자 등은 모두 언어이며, 인간은 이처럼 체계적이고 정제된 기호인 언어를 통해 의사소통한다. 언어라고 하면 음성 기호인 ‘말(言)’을 먼저 연상하며, 주로 청각 기능을 사용한다고 인식하지만 행동 언어와 비 행동 언어 등 시각 기능을 활용하는 다양한 방식 또한 존재한다. 본 연구자는 언어를 크게 행동 언어와 비 행동 언어로 나누고 각 언어가 지닌 특성, 형태와 의미를 유리 조형물로 구현하여 관람자와 소통하고자 작품 제작을 하였다. 행동 언어는 몸짓, 손짓, 발짓, 눈빛과 같은 비 언어적 소통방식으로 문화와 사회에 기반한 몸짓언어이다. 비 행동 언어는 체계적 상징기호를 표현형식으로 사용하는 언어로 문어와 구어, 수화와 점자가 이에 속한다. 연구자는 행동 언어에서 몸짓과 손짓을 비 행동 언어에서는 지화(指話)를 선택하였다. 인체는 인간 그 자체를 표현하는 형상으로 그중 손은 무언가를 생산하는 기본적인 도구일 뿐만 아니라 사회 구성원과의 관계 구축을 이루는 수단이 되기도 하기에 중요하다. 본 연구자의 작품에서 지화는 장애인의 언어라는 한정된 사용에서 벗어나 언어를 표현하는 아름다운 행위로 접근하여 장애인과 비장애인 모두가 소통할 수 있는 이미지로 풀어내었다. 연구자가 행동 언어와 비 행동 언어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언어를 청각이 아닌 시각으로 풀어내 소통의 도구로 삼을 수 있다는 점과 언어가 있음에도 소통과 불통을 오가는 불편한 현실을 몸짓이나 손짓, 지화 등을 통해 시각적으로 구체화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연구자는 행동 언어와 비 행동 언어의 이중적이며 다채로운 의미를 표현하기 위해 유리 조형물 작품을 어떠한 하나의 형태에 치우치지 않은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하였다. 이러한 메시지를 전달할 소통 도구로 유리를 선택한 이유는 재료의 이중적 특성 때문이다. 유리는 나무, 금속, 흙 등 일반적인 재료와 달리 고체와 액체 사이를 오가며 형태를 구현하는 유동적이고 이중적인 물성을 지닌 재료이다. 청각적 도구인 듯 보이지만 시각으로도 소통하는 언어의 이중성을 담아내기에 적합할 것으로 보았다. 다양한 형태로 형상화되는 물성을 지닌 유리는 언어 소통의 새로운 매개체 역할을 한다. 액체 상태의 유동성 있는 유리를 굳혀 고체 상태의 유리 조형물로 완성하는 과정은 액체처럼 어디론가 흡수되거나 흘러가 소실될 운명인 말을 문자로 기록하여 보존하는 언어의 기능과 유사하다고 해석하였다. 이러한 해석을 유리 조형물에 부여하였다. 더불어 사회 속에서 느끼는 억압과 강요 등의 불편한 상황에 맞닥뜨리는 인체의 모습을 표현하였으며, 눈빛과 같은 통념을 통한 암묵적인 약속의 의사소통 방식을 유리 조형물로 담아내었다. 작품의 많은 부분에는 연구자 본인의 경험, 배경과 관련한 단어, 상황, 사진 등이 활용되었다. 작품 제작을 통해 개인적으로는 자아 성찰의 경험을 하였다. 사적인 이야기를 사회적 의미로 풀어내 관람자와는 예술적으로 소통하는 방법을 배웠다. 본 연구는 언어의 기능과 구조적인 아름다움 등을 깊이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방식의 유리 조형물로 표현하여 많은 이들과 함께 소통할 수 있는 이야기를 만들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