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추상표현주의 회화에 있어서 자연 표현 연구

        김형자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추상표현주의(Abstract Expressionism)는 2차 세계대전 직후 뉴욕에서 본격적으로 전개되기 시작하여 1950년대 후반 내지 1960년대 초까지 미국미술계를 지배했던 미국적인 미술운동이다. 그러나 추상표현주의는 미국적인 미술운동에만 머무르지 않고 유럽과 남미등으로 까지 확산되어 세계미술계의 큰 변화를 가져왔다. 추상표현주의는 두 차례에 걸친 세계대전을 경험하면서 기존의 미학을 다양하게 변모시켰고, 예술 행위에 있어서 화가의 주관성이 강조됨으로서 작가의 내적 직관에 의한 감성적 표출행위가 기본틀로 삼았다. 추상표현주의자들은 초현실주의와 다다이즘의 새로운 조형기술과 이론을 통해 회화에 있어서 절대적 자유를 향유하기를 원했고, 인위적인 구상적 태도를 취하지 않았다. 추상표현주의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앵포르멜(Informel)은 그 표현상의 특징으로 보아 미국의 액션 페인팅(Action Painting)에 대응하는 유럽의 추상표현주의이므로 같이 연구해보는 것이 당연하다 할 수 있겠다. 그러므로 전체적인 개념을 액션 페인팅과 앵포르멜로 나누어 조사해 보았다. 액션 페인팅의 대표 주자인, 잭슨 폴록(Jackson Pollock)에 대해 먼저 기술하였고, 미국의 추상표현주의에서의 액션 페인팅과는 다른 엄숙한 경건미를 보여주는 색면 추상미술의 대표화가중의 한 사람인 마크 로드코(Mark Rothko)를 조사 하였다. 또한, 드로잉자체가 하나의 주제가 되어 내면의 정신세계를 그렸던 사이 톰블리(Cy Twombly)와 엥포르멜의 장 뒤뷔페(Jean Dubuffet)를 연구함으로서 추상표현주의 화가들이 어떤 조형 형태로 그들의 내면의 정서를 표출해 내었는지 알아보았다. 본인은 작품을 전개해 나가는데 있어서 자연에서 느껴지는 감흥을 주제로 하였다. 본인의 작품에서 표현된 자연은 자연재현의 형태가 아니고 내면에 투영된 자연의 형상이다. 자연의 형태에서 이미지를 가져와서 해체시키거나 변형시키는 것을 기본으로 하였다. 자동기술법(Automatism)에 의한 드로잉기법과 우연성의 효과를 창출하기 위하여 흘리기등으로 내적인 감정과 직관을 표현하기 위한 정서적 접근을 보여주려 하였다. 마티에르를 사용하여 꺼칠함과 부드러움, 속도감, 투박함등으로 본인이 정서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직관들과 경험들을 좀 더 정신적으로 깊이감있게 표현함으로 내면의 세계를 자연의 이미지에 실어 표현해 내려는 시도인것이다. 본인의 작품은 비정형의 형상과 화면이 무한히 확장되는 All-Over적인 경향을 보인다. 그러므로 추상표현주의의 조형적인 특성 안에서 형식적인 측면과 내용적인 측면으로 연관성을 찾고자하며, 앞으로 작업해 나갈 방향을 찾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Abstract Expressionism is movement of abstract painting that emerged in New York City after World War II and attained singular prominence in American art from the end of 1950s to the beginning of 1960s. However Abstract Expressionism brought about changes in art scene worldwide such as in Europe and South America, as well as in America. Through World War I and II, Abstract Expressionism transformed the concept of aesthetic by making painters express their own emotion based on intuition, which emphasized glorification of the act of painting itself Abstract Expressionists wanted absolute freedom in painting through brand new technique and theories adopted from surrealism and dadaism, and abandoned figurative approach which is artificial. In reviewing Abstract Expressionism, action-painting and informel were conceptually discussed in this study because, from a view point of characteristic in expression, action-painting in America is a counterpart of informel, i. e. European Expressionism. Firstly, Jackson Pollock, one of the most recognized Abstract Expressionists, was reviewed, and then Mark Rothko who also one of them though, marked the opposite end of the pole from Pollock, with the simple, quiescent images and the serenely shimmering blocks of colour in his work In addition, this study tried to figure out how Abstract Expressionists attempted to transfer pure emotion directly onto the canvas, through form, line and color. For the purpose, two painters were mentioned; Cy Twombly, who painted inner mind employing a subject of drawing, by itself; Jean Dubuffet, who developed "raw art". My theme in work is how I feel from nature. The nature represented in my work is not anything that imitates the nature. Instead, it is something that was mirrored form reflected in my mind Firstly, I adopted images from the nature, however, dismantled or transformed them definitely. And technically, I employed automatism drawing and dripping paint which dramatized coincidental effect, to express my own emotion and intuition. With the matiere that represented toughness, softness, speed and thickness, I tried to materialize my inner mind through images of nature to better express my experiences and intuition. My work is based on atypical forms and "all-over" approach, in which all areas of the canvas are treated to expand limitlessly. In conclusion, with the work, I keep searching my next approach by interwinding the form and contents characterized in Abstract Expressionism.

      • 초등학교 사회과 학습에서 독서전략 활용이 학업성취도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형자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사회과 학습에서 독서전략 활용이 학업성취도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과 학습에서 독서전략 활용이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둘째, 사회과 학습에서 독서전략 활용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셋째, 독서전략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은 어떠한가? 연구 대상은 인천광역시 B구에 소재한 B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 48명의 학생이었다. 처치 기간은 2010년 3월 3일부터 4월 28일까지 총20회 실시하였으며 매회 40분이 소요되었다. 독서전략 활용 프로그램을 실시 한 후 그 효과는 학업성취도 검사지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측정하는 검사도구로 실시하고 평균의 차이를 t검증하였다. 한편 실험집단의 학생들에게 독서전략 효과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고 그 내용에 대한 질적 분석도 같이 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과 학습에서 독서전략 활용은 학업 성취도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사회과 학습에서 독서전략 활용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자기주도적 정보탐색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자기주도적 정보처리기술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80% 이상의 학생들이 독서전략 활용이 사회과 학습에 도움이 된다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주요어 : 독서전략, 학업성취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사회과 학습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reading strategy in social studies on the elementary students' achievement and self-directed learning. The study was conducted in two classes of 48 fifth grade elementary students. The time for treatment was 7 weeks and each 40 minutes. The effects of reading strategy in social studies has been proved by achievement test and self-directed learning test before and after treatment. In addition, the response of the experimental group for reading strategy was analyzed.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ading strategy in social studies is brought out positive effect on elementary students' achievement. Second, reading strategy in social studies is brought out positive effect on elementary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It effected in aspect of searching information Third, over 80% students thought that the reading strategy was helpful in sociology studies.

      • 맞벌이가정 자녀의 자아개념, 애착, 진로성숙에 관한 연구

        김형자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self-concept, attachment, career maturity of double-income children differ from children of single-income and also whether gender affect or not. And we are looking for whether children of double-income family are affected by their parent's job, their grade, their parent's academic background, their parent's job satisfaction.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collected material from 381 elementary school student in Seoul. Result of this study can conclude following conclusion. Firstly, although the average of self-concept, attachment, career maturity is somewhat higher in children of double-income family, single-income family and children of double-income family are not much different from each other, even from subordinate conception. Secondly, the average of self-concept, attachment, career maturity of male in double income family is the highest according to gender, but are not totally associated with gender between single-income family and double-income family. Thirdly, in double-income family, there is some difference in self-concept, attachment,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their parent's job, grade, academic background, job satisfaction. Finally, this study discussed implication and limitation based on study. 본 연구는 맞벌이 가정의 자녀들이 가지고 있는 자아개념, 애착, 진로성숙의 수준을 홑벌이 가정과 비교 분석하여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고자 한다. 또한 맞벌이 가정 안에서도 자아개념, 애착, 진로성숙의 수준들이 부모의 직업유형, 성적, 부모의 학력, 부모의 직업만족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울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5, 6학년 38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검사 도구는자아개념을알아보기위하여김희수(2003)가 재구성한 검사지를, 진로성숙을 알아보기위하여 강원도 교육연구원(1993)에서 개발한 진로성숙도 검사도구(권현경,2007)를,또한아동의부모애착을측정하기 위해 최정욱(2000)의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2.0 for Window를 사용하였으며 각 변인간의 빈도,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집단 간의 차이는 t-검증과 일변량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홑벌이 가정 자녀와 맞벌이 가정 자녀는 자아개념, 애착, 진로성숙에서 맞벌이가 홑벌이보다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각각의 하위개념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성별에 따른 홑벌이 가정 자녀와 맞벌이 가정 자녀 간에는 자아개념, 애착, 진로성숙에 맞벌이가정 남자 집단의 평균이 가장 높았으나 네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맞벌이 가정 안에서도 자아개념, 애착, 진로성숙의 수준들이 부모의 직업 유형, 자녀의 성적, 부모의 학력, 부모의 직업 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 교육행정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심리지원서비스 요구 분석

        김형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경상남도교육청 교육행정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얼마나 높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유형별 수준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 이러한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유형별 적절한 심리지원서비스의 요구는 어떠한지를 분석하여 직무스트레스 유형에 맞는 체계화된 심리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심리지원서비스의 도입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정책적인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대상자인 경상남도교육청 교육행정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얼마나 높은지에 대해 일반적 특성에 따른 평균을 조사한 결과 직무요구로 인한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직무자율, 조직체계, 직장문화, 보상부적절, 관계갈등, 직무불안정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 경찰직, 소방직렬 등 다른 직종과 마찬가지로 직무요구에서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상대적으로 직무불안정 스트레스는 가장 낮아 공무원이라는 안정적 신분의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직무요구로 인한 스트레스는 업무특성 설문조사 결과와 선행연구 검토에서의 직무스트레스 영향 요인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업무 예측이 불가능하거나 기존 직무상황의 변화, 업무 절대량의 과중함 등이 직무스트레스를 더 많이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일상생활스트레스는 직무스트레스 대부분의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어 매우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직무요구영역에서는 일상생활스트레스가 낮은 집단뿐만 아니라 높은 집단도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어 일상생활스트레스는 여유 없는 직장 생활과 직무에 대한 피로도를 가중 시킨다고 해석 할 수 있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유형별 수준을 살펴보면 직무요구영역에서는 경력 5-10년 미만이, 직급에서는 7급의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다. 5-10년의 경력은 8급에서 7급으로 승진하여 학교나 교육청에서는 주요 실무자로 업무처리량이 많아 업무비중이 높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업무를 처리해야 하는 등 과도한 직무부담이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으며 또한 가정에서는 10세 미만의 자녀 양육이 필요한 나이로 육아스트레스가 높아 직무스트레스가 과중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는 직급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분석결과에서 다른 직급보다 상대적으로 7급의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결과와 전반적으로 유사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교육행정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유형별 적절한 심리지원서비스 요구는 어떠한지를 살펴본 결과 스트레스 수준이 낮은 집단뿐만 아니라 높은 집단도 업무관련 서비스 요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직무 수행능력 향상 프로그램이나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 시간 관리 프로그램의 운영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5급 이상에서 업무관련서비스 요구도가 가장 높아 중견관리자에게 필요한 문제해결능력이나 논리적인 사고역량을 함양 할 수 있는 업무관련서비스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직무요구 영역의 심리지원서비스 요구도는 업무관련서비스, 건강관련서비스, 정서조절서비스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직무요구 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경력 5-10년 미만의 요구도는 업무관련서비스 요구도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 순으로 건강관련서비스 요구도가 높았다. 넷째 심리지원서비스 도입 관련 인식에 있어 심리지원서비스의 도입 필요성을 살펴보면 심리지원서비스의 도입 필요성, 전문기관의 필요성, 주기적인 직무스트레스 정도 측정의 필요성, 전문가 도움의 필요성에 대한 분석 결과 심리지원서비스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높게 나타났다. 기관 차원에서 필요한 심리지원서비스 영역은 대인관계서비스가 32%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은 업무관련 서비스 26.6%로 나타났다. 교육청(연수원 등)이나 학교에서 심리지원서비스를 제공 받는 정도는 전혀 제공 받지 못하거나 대체로 제공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공받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로 교육청이나 학교의 프로그램 지원 부족으로 나타나 프로그램 개발이나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심리지원서비스를 제공받을 시 적합한 운영방식은 외부위탁 전문기관 지정이 83%를 차지하였으며, 심리전문가에게 주1회, 1회당 적정시간은 1시간∼1시간 30분으로 심리지원서비스를 받아보고 싶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심리치료 및 상담연수 내용의 비밀보장이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심리지원서비스에 있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지원서비스 도입은 업무 효과 향상, 구성원 상호간의 신뢰성 증대, 구성원 상호간의 정보 유용성 증가, 교육수요자에 대한 서비스 질이 향상되는 기대성과가 나타날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심리지원 서비스 필요시 비용 부담은 국가가 전액 부담하고 주관기관은 외부전문기관 위탁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심리지원서비스를 실시하기 위한 요건으로는 심리지원 전문기관의 확보와 심리지원 관련 예산 지원이 심리지원 체계수립이나 전담인력 배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형제개입 요리활동이 다운증후군 아동의 화용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형자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형제개입 요리활동이 다운증후군 아동의 화용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연구대상은 다운증후군 아동 3명과 그들의 비장애 형제 3명이다. 중재는 한 회기 당 50분으로 5가지 요리를 순차적으로 진행하였으며, 1회기에 실시한 요리 활동을 2회기에 한 번 더 실시하였다. 1회기는 연구자와 비장애 형제, 장애아동이 함께 하는 활동으로 진행하였으며, 2회기는 연구자와 장애아동이 1:1로 진행하여 실시하였다. 5가지의 요리가 2회기씩 모두 진행되면 다시 10회기를 반복하여 총 20회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요리활동을 이용한 평가와 설문지를 이용한 평가로 나누어지며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여 평가하였다. 요리활동을 이용한 평가는 요리활동 과정에서의 형제간 의사소통 빈도와 형제간 의사소통 행동의 변화, 그리고 형제간 의사소통 기능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설문지를 이용한 평가는 어머니와 비장애 형제에게 실시하였다. 어머니에게는 비장애 형제의 장애아동에 대한 의사소통 태도를 평가하였고, 비장애 형제에게는 장애아동에 대한 의사소통 태도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형제개입 요리활동은 다운증후군 아동의 의사소통 빈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형제개입 요리활동은 다운증후군 아동의 의사소통 행동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형제개입 요리활동은 다운증후군 아동의 의사소통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넷째, 형제개입 요리활동은 가족의 의사소통 태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형제개입 요리활동이 다운증후군 아동의 의사소통 빈도 및 의사소통 행동 변화, 그리고 의사소통 기능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가족의 의사소통 태도의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결론 내릴 수 있다.

      • 창의적 과학글쓰기를 활용한 수업이 생물에 대한 흥미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김형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 과학글쓰기를 활용한 수업이 고등학생들의 생물에 대한 흥미와 과학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창의적 과학글쓰기는 학습 내용을 바탕으로 일상생활 속에서 과학의 원리를 찾아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글쓰기이다. 생물교과 내용 중 순환과 호흡단원을 선정하여 창의적 과학글쓰기를 활용한 수업안을 개발하였고, 전라남도 순천시 소재 인문계 고등학교 2학년 자연계열 학생 148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검사 통제집단 설계방법을 사용하였다. 148명의 학생들을 통제집단 74명과 실험집단 74명으로 분류하여 총 7차시로 개발한 창의적 과학글쓰기 수업안을 6주 동안 적용하였다. 학생들의 생물에 대한 흥미의 향상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생물에 대한 흥미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과학적 태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과학적 태도 검사지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집단은 수업을 처치한 후 창의적 과학글쓰기를 활용한 수업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적 과학글쓰기를 활용한 수업은 고등학생들의 생물에 대한 흥미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으며, 특히 생물에 대한 관심과 생물 학습에 대한 흥미, 생물과 관련된 활동에 대한 흥미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이는 창의적 과학글쓰기를 활용한 수업이 학생들에게 기존 수업과는 달리 새로운 수업방법으로 다가가 학습한 내용을 단순히 암기하는데 그치지 않고 자신의 일상생활에 적용하여 자유롭게 글로 표현함으로써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었고, 여러 가지 유형의 글쓰기를 통해 학습내용을 실생활에 다양하게 적용해 봄으로써 일상생활 속에서 생물학 원리를 스스로 찾을 수 있게 해주어 생물에 대한 흥미를 향상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창의적 과학글쓰기를 활용한 수업은 고등학생들의 과학적 태도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창의적 과학글쓰기가 학습 내용을 바탕으로 폭넓은 사고를 통해 자신의 생각을 써나가는 글쓰기이므로 글을 쓰는 동안 자신의 사고 과정을 정리하면서 과학적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되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할 때 창의적 과학글쓰기를 활용한 수업이 고등학생들의 생물에 대한 흥미를 향상시키고, 과학적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효과적인 수업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따라서 고등학생들에게 적합한 창의적 과학글쓰기 유형을 주제별로 개발하여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기하학적 추상을 응용한 장신구 연구 : 몬드리안의 작품 세계를 중심으로

        김형자 숙명여자대학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20세기 전반에 걸쳐 새로운 형태의 조형예술을 정립시키려는 운동은 끊임없이 이루어져 왔으며, 금속 공예 분야에서도 시각적으로 다양한 변화를 유도하여 감정의 표현을 극대화하는 형태와 색채의 디자인 개발이 꾸준히 향상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오늘날의 새로운 소비경향은 장신구가 부의 축적이나 신분과시 등의 권위적인 가치로써 보다는 제작자나 착용자의 자기 표현을 구체화하는 매개체로써 존재한다. 현대 장신구의 성격을 한마디로 표현하기는 어려운 일이지만 대체로 다양한 재료의 사용과 개성표현이 강조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작품 연구에서 다루어진 주제 역시 색에 대한 많은 연구를 한 현대 추상회화의 아버지로 일컬어지는 몬드리안의 ‘신조형주의’를 기본으로 삼았으며 이러한 양상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금속의 은근한 고유색에 의한 한계적 색감에서 벗어나 풍요로운 색채를 얻을 수 있는 색 아크릴과 준보석을 재료로 선택하여 장신구에서 다양한 색상을 구사하려 하였다. 작품 형태면에서는 매우 절제되고 정제된 선, 엄격하고 확실한 조형질서와 형태의 단순미를 표현하고자, 기하학적 형태를 조형표현의 수단으로 삼아, 형태의 단순한 표현방식 속에서 인간의 존엄성, 도덕성, 정결성 등의 질서를 추구하였다. 기하학적 형태는 객관화될 수 있는 형태로서 재현이 가능하며 극도로 단순화 되어진 형태이기 때문에 시각적인 전달이 가장 빠른 조형표현이다. 또한 형태를 새롭게 창조하는 데 있어 매우 편리하고 합리적인 형태로도 사용된다. 여기에서의 ‘기하학적 형태’는 몬드리안의 평면적인 작품을 소재로 하여 입체적으로 표현하는데 의미를 둔다. 이로써 주된 품목을 신변 장신구 중 평면적 형태를 갖는 Brooch로 하고, 장신구의 기능으로서만이 아닌 금속 벽걸이로써 활용 방법을 확대하여 알루미늄 틀을 끼우므로써 입체적 오브제의 역할을 함께 하도록 하였다. 주된 재료로는 몬드리안의 삼원색과 흡사한 색의 표현을 위해 아크릴과 무채색의 표현을 위해 값이 비교적 경제적인 준보석을 사용하였다. 그 연구를 통해 고찰된 내용을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몬드리안의 미학 이론 및 예술 이념을 회화적 실제인 작품을 고찰함으로써 그의 예술의 근원이 무엇이며 어떠한 단계의 추상 작품으로 이행하여 갔는가를 연구하였다. 둘째, 독창적이고 뚜렷한 회화 세계를 완성시킨 몬드리안의 주된 형태인 기하학의 연구를 통하여 예술과 문화의 모든 영역에 걸쳐 기능주의적 공간을 제시해주며, 현대의 무질서한 혼돈 상태를 엄격한 균형으로 조화시켜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다양한 재료를 추구하는 현대 장신구의 성격에 맞추어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온 귀금속 재료에 독창적인 색의 표현수단으로 아크릴, 준보석을 함께 사용하여 색채의 다양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만족시켰다. 넷째, 장신구의 기능으로서만 그치는 것이 아닌 몬드리안이라는 회화 작가를 연구함으로써 장신구 벽걸이로 활용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 틀을 짜 맞추어 작은 오브제로써의 기능으로 확대 해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모든 표현 수단을 추상 몬드리안의 기하학적 형태의 새로운 인식과 색상을 기초로 신변 장신구인 Brooch(26점)을 제작하였고 현대적 장신구 디자인의 이미지에 적합토록 구성과 색에 관심을 두고 디자인하여 장신구 디자인의 개발과 경제적 재료의 활용 등으로 창작 장신구의 저변확대에 일익이 되도록 제시하고자 하였다. Through the early of 20th century, it has been continuously endeavored to establish a new form of the formative arts. And it could be seen that in the metalic arts, various changes have been made virtually, so that the development of design of forms and colors has improved constantly, maximizing the expression of feelings. In terms of the propensity of consume nowadays, personal ornaments are considered as media that embody a producer's or a consumer's self-expression rather than as valuable things for showing off wealth or a high social position. It is difficult to say the features of modern personal ornaments in short but it can be said that the features have a tendency to emphasize the use of various materials and expression of individualities. This study is based on 'Neo-plasticism' of Piet Mondrian, called the father of modern abstract art, who had researched colors so much. So in this study, colored-aeryl and semi-jewels having rich and various colors are selected as materials to free from the limited color sense of metal so that various colors are researched on personal ornaments. In the form of these works, to express very temperate and fined lines, strict and concrete formative order and the beauty of formal simplicity the geopmetrical figures are taken as a way of the formative expression. By the way of the expression, the human values such as dignity, morality, purity, etc. are pursuited in the simple way of the formative expression. Geometrical figures can be revived in the form of objective things, and being extremely simplified forms, they are the formative expressions which are the most available to transmit forms virtually. And they can be used to creat new forms very conveviently and reasonably. Here, 'the geometrical figures' have the meaning that Mondrian's works having plane forms are used to express them in three dimensions. From this meaning, Brooch are selectd as main items, which have the plane forms, among the personal ornaments at hand. To expand their application not only as just personal ornaments but also as metalic wall tapestries, they have the fuctions of three-dimensional objects by letting them have aluminum frames. For the expression of colors similar to the Mondrian's sense of color for the three primary colors, the colored-acryl is used as main materials and for the expression of achromatic colors, the semi-jewels are used, which are rather ecomonical. The synthetic fac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I. By researching Mondrian' s works with his art theory or concept, it is studied that what his artistic base was and what phase of art he took to express abstract works. II. By reaearcing the main artistic form, geometry, of Mondrian, who established the creative and outstanding artistic world, it can be seen that his artistic works suggest a functional space all over the range of art and culture and that he turned the modern chaotic situation into strictly balanced situation in harmony in his geometrical art. III.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personal ornaments produced from various materials, not only the jewels used as usual but also acryl and semi-jewels are used to express the creative colors. IV. The works in this study have not only the function as personal ornaments but also the extended function as small objects with the aluminum frames which can be hanged on wall from the study of Mondrian. in the researching proccesses above, all the methods for the expression are based on the new understanding and new colors of the geometrical figures of Mondrian, an abstract artist. By these methods for the expression, the Brooches(26 pieces) are produced and the constructions and colors are considered carefully to keep pace with the design of modern ornaments. And they are intended to be suggested as a support for expanding the base of the creative personal ornaments through developing the design of the ornaments and using some economical materials.

      • 싱글사회를 위한 공유주거공간에 관한 연구

        김형자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우리나라는 통계청에 따르면 2010년 기준 1인가구의 인구비중이 총인구의 24%를 차지하고 있으며 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35년 전체인구의 34.3%를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는 ‘싱글사회’로 진입하였다. 싱글사회는 고령사회와 더불어 가장 급격한 변화를 보이는 현대사회의 현상 중 하나다. 이는 저출산, 고령화 및 혼인감소, 이혼증가, 비 혈연 가족 등과 같이 전통적 가족의 형태가 해체되어 가족 유형이 다양화되고 있으며, 저성장 선진경제 구조로의 전환과 여성의 사회참여,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와 맞물려 연령, 장소, 정치적 신념과는 무관한 ‘혼자 사는 사람’인 싱글턴이 늘어나는 경향이 두드러진 것이다. 싱글사회는 가족과 고향의 개념을 상실한 혼자 사는 사람의 고독과 불안함, 높은 거주 비용과 그에 따른 삶의 질 저하 등 복합적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문제점의 해결 방안으로 ‘혼자이면서 함께 사는 집’이라는 공유주거공간의 필요성이 증가되며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공유주거공간의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공유주거공간에서 다양한 싱글턴의 라이프스타일을 수용하면서도 개인의 프라이버시와 구성원들의 관계가 친밀한 정서적 지지가 이루어 질 수 있는 ‘사회적 가족’을 위해 공간의 가변성이 중요한 해결 방안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가변성 있는 공간계획은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공간의 효율성 증대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정서적, 심리적 안정감과 소속감을 충족 시켜 줄 수 있는 싱글턴을 위한 공유주거공간의 가변 특성 연구를 통하여 ‘사회적 가족’의 의미를 담는 공유주거공간을 제안하는데 의의가 있다. According to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in Korea, single households occupied 24 percent of the total the proportion in 2010 and they have been increasing continuously since 2000. This means that Korea has entered ‘single society' which is anticipated to have single households to reach 34.3 percent of the total population in 2035. Single society is one of the phenomena of modern society that is showing the most rapid changes along with aging society. Due to the disorganization of the forms of traditional family caused by the low birthrate, aging and reduction of marriage, increase of divorce and families with no blood ties, the forms of family are diversifying and along with the conversion into the low-growth and advanced-economy structure, social participation of women and changes of lifestyle, singletons who live alone, regardless of age, place and political belief, are markedly increasing. Single society has complex problems like loneliness and anxiety of people that live along forgetting the concept of family and hometown, high housing costs and decline of life quality. To solve these social problems, the necessity of communal residential space, as a ‘house to live alone and together' is rising, but despite the importance,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communal residential spaces. In communal residential space, spatial variability is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solution for ‘social families' to accept diverse lifestyles of singletons, protect privacy and form a close emotional support among members. This variable spatial planning can meet the needs of users and increase spatial efficiency. Therefor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by analyzing variable characteristics of communal residential space for singletons to give an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ense of stability and a sense of belonging and suggesting a communal residential space for ‘social families'.

      • 職住近接 地域社會圈의 共有空間化 特性에 관한 연구

        김형자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French philosopher André Gorz states in his book "Ecologica" that the territory must first be a good place to live in, not a place to pass by, in order to love the territory. That is the portrait of ideal urban community where the people in the neighborhoods or villages work, reside, communicate and manage primarily on the basis of local activities. However, contemporary cities are made up of heterogeneous people and activity units, and the residents live collectively at specific places in the city. Nonetheless, residing in a particular area is to satisfy the needs for certain purposes in the course of daily life within the limited confines of the city while fulfilling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life outside the residence. Thus, members in the residential space have become unable to constantly discuss and resolve the problems facing their neighbors and community. The dismantling of urban community has been deepened, making it impossible to create traditional village community where geographical life and social life are consistent. Meanwhil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the work paradigm of the Internet-based connector, and the work space is a space of flow, and the position of the working person(subject) soon becomes the place of work.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direction of the urban community space that can bring balance to work and life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paradigm of change of the work-housing proximity in the 4th industry and urban space. This study began with a question about the direction of community residence space for human existence while understanding of the change of the times. First, we conceptualize community that can enable physical and social proximity of space centered on a certain area, such as housing, production, consumption, and leisure space, as ‘local community area’ and derive the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forming the local community area. Second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hared space characteristics of local community area by systematizing the system of shared space with the aim of creating the social space of various relations.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six stages as below: First, we considered David Harvey’s theory of residential differentiation based on the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and looked into the correlation between residential differentiation and dismantling of community, and identified the need for work-housing proximity. Second, the need for redefining the concept was identified th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concept of community. The concept of community was redefined as local ‘community area’ based on the perspective of researcher. Third, the upper-level concept of local community area components were classified into Humanware(personal element), Software(social element), and Hardware(physical element) on the basis of preceding studies and preceding studies, and furthermore, specific sub-components were derived. Fourth,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community area were identified and the system was illustrat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interconnectivity of local community area components derived by the researcher and urban community characteristics of MVRDV. Fifth, the system of shared space characteristics of local community area was illustrated by analyzing the shared space system of Riken Yamamoto based on the system of local community area characteristics. Sixth, we applied the system of local community area shared space characteristics which was derived before as a framework of analysis, and performed comprehensive analyses by analyzing current cases of local community area and experimental model cases. This study, which investigated the direction of the urban community, was conducted in 6 stages in connection with the shared space, the social space of community that had a decisive influence on the way that human beings co-exist socially and encounter one ano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local community area’ is a community that brings balance to works and life with the space of residence, production, consumption and leisure connected proximately based on the mode of collective residence accommodating to the diversity of residents by looking into the essence of the way of the residence that should be pursued by the residence of city where people gather and live, and was redefined as the ‘collective housing community ‘local community area’ with high utilization of shared space where various social activities occur within the boundaries of ‘local community area’.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community area, derived from the local community area components, can be divided into the Humanware(personal element) characteristics encompassing the critical mass, diversity(social mixing) and publicness, and the Software(social element) characteristics encompassing the flexibility, collectivity, growth through evolution, diversity(lifestyle), publicness, atypicality, and identity, and finally, the Hardware(physical element) characteristics comprised of density, individuality, flexibility, diversity(function), and human style.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community area derived from the case analysis of the present situation were classified into Humanware(personal element) characteristics consisting of diversity(social mixing), the Software(social element) characteristics comprised of diversity(lifestyle), publicness, and identity, and Hardware(physical element) characteristics consisting primarily of density, individuality, and diversity(function). The results of analysis on experimental model case show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community area were classified into Humanware(personal element) characteristics comprised of critical mass and publicness, the Software(social element) characteristics consisting of collectivity, growth through evolution, diversity(lifestyle), and publicness, and the Hardware(physical element) characteristics consisting primarily of flexibility, diversity(function), and human scale in terms of the community characteristics. Space is not merely empty as social product but is produced socially in order to dominate and control the human beings as a means for people ‘s thinking and action. From a sociological standpoint, space exists in various contexts and many different relations. Today, the gated community, symbolizing the dismantling of the urban community, is the result of a social product arising from human beings practice called ‘labor’ contributing to the production of the space and from separation of jobs and housing, separation of functions, and separation of hierarchy, which is attributable to the capitalist mode of production. The changes in the mode of labor, which are brought about by the 4th industry, explore the changes in various residential space and can combine the work, life, and leisure based on the local community area, thus leading to promotion of community as suggested by relevant cases, and were preconditioned on the proximity of social activities(residence, labor, production, consumption) for social interaction of urban community. Specific findings, which are related to the component and characteristics of local community area shared space systemized by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frame for analysis for examining the variability in utilization of community space and identify current problems, and hopefully, developed into a structuralized study on ‘local community area shared space ‘ in the succeeding studies. 프랑스의 철학자 앙드레 고르(André Gorz)는 저서 「에콜로지카(Ecologica)」에서 “자기 영토를 사랑할 수 있으려면 우선 그 영토가 ‘살만한 곳’이 되어야지 ‘지나다닐만한 곳’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서술한다. 이는 동네나 마을이 예전처럼 지역적 활동을 중심으로 일하고 거주하고 소통하며 함께 관리하는 작은 마을(동네)로 이루어진 이상적인 도시공동체의 모습을 의미하는 것이다. 하지만 현대 도시는 이질적인 사람과 활동 단위로 구성되어 있으며 거주자는 도시의 특정 장소에서 집단으로 생활한다. 특정 지역에 거주하는 것은 도시적 삶에서 제한되거나 목적에 의한 필요만 해결하고 나머지 삶의 충족은 거주하는 장소 밖에서 더욱 의미 있는 관계를 통해 이루는 것이다. 이 때문에 거주하는 장소 공간 내에서 구성원들은 이웃과 공동체 일상의 문제를 지속적인 방식으로 논의하고 해결할 수 없게 되었으며 도시 공동체의 해체는 심화되어 지리적 삶과 사회적 삶이 통일된 전통적인 마을 공동체가 만들어질 수 없게 되었다. 반면 4차 산업혁명은 인터넷 기반 커넥터의 업무 패러다임으로 업무공간은 유동적(space of flow)이며 노동하는 나(주체)의 위치가 곧 일터가 되고 있다. 이러한 4차 산업과 도시 공간의 직주근접한 변화의 패러다임을 배경으로 일과 삶의 균형이 가능한 도시 공동체 공간의 방향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시대적 변화를 이해하고 인간 실존을 위한 공동체 거주공간의 방향성에 대한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이에 1차적으로 주거, 생산, 소비, 여가 공간이 일정 지역을 중심으로 공간의 물리적 ・ 사회적 근접성이 가능한 공동체를 ‘지역사회권’으로 개념화하고 지역사회권을 구성하는 요소와 특성을 도출한다. 2차적으로 다양한 관계의 사회적 공간을 위해 공유공간의 시스템을 체계화하며 지역사회권의 공유공간화 특성을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는 다음의 여섯 단계로 진행되었다. 첫째, 데이비드 하비의 거주분화 이론을 문헌 및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고찰하여 공동체의 거주분화와 공동체 해체의 상관성을 고찰하고 직주근접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둘째, 공동체 개념의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개념의 재정의 필요성을 도출하였으며 연구자의 관점 중심으로 공동체 개념을 ‘지역사회권’으로 재정의 하였다. 셋째, 선행연구와 사례 연구를 통해 지역사회권 구성 요소의 상위 개념을 Humanware(인적 요소), Software(사회적 요소), Hardware(물리적 요소)로 분류하고 세부적인 하위 구성 요소를 도출하였다. 넷째, MVRDV의 도시 공동체 특성과 연구자가 도출한 지역사회권 구성 요소의 상호연결성을 분석하여 지역사회권의 특성 도출 및 체계를 도식화 하였다. 다섯째, 지역사회권 특성의 체계를 기준으로 야마모토 리켄의 공유공간 시스템을 분석하여 지역사회권의 공유공간화 특성의 체계를 도식화 하였다. 여섯째, 앞서 연구된 지역사회권 공유공간화 특성 체계를 분석의 틀로 적용하여 지역사회권의 현황 사례와 실험 모델 사례를 분석하고 그 내용을 종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도시 공동체의 방향성에 관한 연구로 인간이 사회적으로 공존하고 조우하는 방식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공동체의 사회적 공간인 공유공간에 관하여 위의 여섯 단계의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지역사회권’은 사람이 모여 사는 도시의 주거가 추구해야 할 거주 방식의 본질을 고민하여 거주자의 다양성을 수용하는 집합적 거주의 방식을 중심으로 주거, 생산, 소비, 여가 공간의 거리가 근접하게 연결된 일과 삶의 균형이 이루어지는 공동체이다. ‘지역사회권’ 안에서 다양한 사회적 활동이 발생하는 공유공간의 활용도가 높은 집합주거공동체를 ‘지역사회권’으로 개념을 재정의 하였다. 둘째, 지역사회권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도출된 지역사회권의 특성은 Humanware(인적 요소)적 특성으로 크리티컬 매스, 다양성(사회적 혼합), 공공성이 있고 Software(사회적 요소)적 특성으로 유연성, 집합성, 진화를 통한 성장, 다양성(라이프스타일), 공공성, 비정형성, 정체성이 있으며 Hardware(물리적 요소)적 특성으로 밀도, 개성, 유연성, 다양성(기능), 휴먼스케일로 분석되었다. 셋째, 현황 사례 분석을 통해 도출된 지역사회권의 특성은 Humanware(인적 요소)적 특성으로는 다양성(사회적 혼합)이 Software(사회적 요소)적 특성으로는 다양성(라이프스타일), 공공성, 정체성이 Hardware(물리적 요소)적 특성으로는 밀도, 개성, 다양성(기능) 중심으로 특성이 높게 나타났다. 실험 모델 사례 분석의 결과 지역사회권의 특성은 Humanware(인적 요소)적 특성으로 크리티컬 매스, 공공성이 Software(사회적 요소)적 특성으로 집합성, 진화를 통한 성장, 다양성(라이프스타일), 공공성이 Hardware(물리적 요소)적 특성으로 유연성, 다양성(기능), 휴먼스케일의 구성이 높은 공동체 특성으로 도출되었다. 공간은 사회적 생산물로 인간의 사고와 행동의 수단으로 인간을 지배, 통제하기 위해 사회적으로 생산된다. 사회학적 관점에서 공간은 특정한 맥락의 조건과 다양한 관계 속에서 존재한다. 즉 오늘날의 공동체의 해체는 공간 생산에 기여하는 노동이라는 인간의 실천 행위와 자본주의 생산양식으로 기인된 직주의 분리, 공간 기능의 분리, 계층의 분리로 발생된 사회적 생산물이다. 4차 산업으로 발생하는 노동 방식의 변화는 다양한 거주공간의 변화를 모색할 수 있으며 지역사회권을 중심으로 일과 생활, 여가를 함께 할 수 있어 공동체가 활성화될 수 있음을 사례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도시 공동체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해 사회적 활동(거주, 노동, 생산, 소비)의 근접성이 전제되었다. 이는 공동체 안에서 이웃과 공생하는 방식이 경제 순환과 함께 공존하는 생활문화의 순환이며 이러한 공동체의 방향성은 ‘출입통제 공동체와 슬럼’이라는 현대의 분극적인 공간 형태의 해체를 통해 가능하다. 복잡하게 얽힌 이익과 가치관의 다양성을 인정하면서 직주근접한 생활권의 풍요로움은 결국 공유 가치를 통한 집단과 거주자의 상호 호혜적인 관계이며 이는 궁극적으로 인간성 회복을 위함이다. 본 연구로 체계화한 지역사회권 공유공간화 특성과 세부 구성 요소의 내용을 기반으로 공동체 공간의 다양한 변용의 가능성과 공동체의 현황을 체크 할 수 있는 분석의 프레임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