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영어 유음의 인지와 발화 - 능숙도, 위치, 맥락 유무를 중심으로 -

        김윤희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investigates Korean learners’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English liquids /l/ and /r/, attempting to find which of them is perceptually similar to the Korean liquid /ㄹ/. It has been proposed by the Speech Learning Model that the more distant an L2 sound is from the closest L1 speech sound, the more learnable the L2 sound will be. This hypothesis was evaluated in this study by investigating whether Korean speakers will have more success acquiring English /l/ or /r/ because it has been assumed from a theoretical perspective that the Korean liquid is phonemecally /l/. Korean learners’ proficiency, speech context, and three different word position are accounted as factors affecting the perception and production. Three experiments are conducted. The first experiment examines the foreign accent of Korean participants. The second one is perception experiment with two different Korean groups and the last one is production experiment with the same Korean groups. The total experiment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unlike the experiment with Japanese listeners(Aoyama et al., 2004), the results showed that Korean learners’ accuracy of English liquids perception and produc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l/ and /r/. This suggests that Korean liquid /ㄹ/ is not similar /l/ or /r/. Second, word position was important factor for Korean learners to perceive /l/ and /r/ but this factor was not significant factor for production /l/ and /r/. For both perception and production experiment, context and proficiency factors were important for Korean learners. Two experiments found that both groups of Korean learners performed better in word context than in segment and the higher proficiency was, the higher accuracy was in both contexts. * Keyword: L2, Speech Learning Model, liquid, proficiency, word position, context. 본 논문은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영어 유음 /l/과 /r/의 인지와 발화 실험을 통해 한국어의 /ㄹ/이 영어의 /l/과 /r/중 어떤 소리와 인지적으로 더 유사한 소리인지 밝히고자 한다. 영어 유음을 인지하고 발화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외국어투 측정 실험을 통해 분류된 학습자의 능숙도와 단어 내 /l/과 /r/의 위치, 그리고 문맥의 유무가 사용될 것이다. 총 세 번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첫 번째는 학습자의 능숙도를 구분하기 위한 외국어투 측정(foreign accent rating) 실험을 하였다.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3명의 원어민이 40명의 한국인 학습자의 발화를 듣고 외국어투 정도를 측정하였다. 3명의 원어민이 판단한 외국어투 정도에 따라 학습자들의 능숙도를 고급(10명)과 초급(10명)으로 나누었다. 두 번째는 원어민의 발화를 고급과 초급 수준의 학습자가 듣고 판단하는 인지 실험을 하였다. 실험은 /l/과 /r/이 포함된 단어를 듣는 단어 인지 실험과 /l/과 /r/의 분절음만 듣는 분절음 인지 실험으로 나누어서 진행하였다. 결과는 학습자의 능숙도에 따라 유음의 인지 정확도의 차이가 있었고 위치에 따라서도 인지 정확도의 차이가 있었으며 문맥의 유무에 따라서도 인지 정확도의 차이가 발생했기 때문에 능숙도, 위치, 문맥의 세 요인이 학습자들의 인지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l/과 /r/의 인지 정확도 차이는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에 한국어의 /ㄹ/이 영어의 /l/과 /r/ 중 어떤 소리와 인지적으로 더 유사한지는 결론 내릴 수 없다. 세 번째는 한국인의 발화 정확도를 분석하기 위한 발화 실험을 하였다. 실험은 한국인 학습자들이 발화한 /l/과 /r/이 포함된 단어와 /l/과 /r/의 분절음을 원어민 청자에게 들려주는 인지 실험으로 나누어서 진행하였다. 결과는 학습자의 능숙도에 따라 유음의 발화 정확도의 차이가 있었고 문맥의 유무에 따라서도 발화 정확도의 차이가 발생했기 때문에 능숙도와 문맥 요인이 학습자들의 발화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위치에 따른 발화 정확도 차이와 /l/과 /r/의 발화 정확도 차이는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에 인지 실험 결과와 달리 위치 요인이 학습자들의 발화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결론 지을 수 있다. *주요어: L2, Speech Learning Model, 유음, 능숙도, 단어 내 위치, 문맥

      • 대절 처리가 이태리포플러(Populus euramericana) 식재 후 바이오매스, 맹아발생 및 목재특성에 미치는 영향

        김윤희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초기 식재 시 높이를 3가지로 다르게 대절 처리(무대절, 1m 대절, 지제부 대절)하여 식재한 이태리포플러(Populus euramericana) 묘목의 식재 2년 후 바이오매스 생산량, 맹아발생, 목재펠릿으로서의 가능성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처리구별로 수고와 흉고직경의 변화를 비교하고, 지상부 바이오매스 생산량을 조사하였다. 또한, 2013년에 수확된 개체에 대해서는 맹아발생에 따른 가지 수, 건중량 등을 조사하였다. 이와 함께 바이오매스 생산량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원인으로 6월과 10월에 수목의 적응능력(수관활력도, 잎피해도, 적응지수), 7월과 9월에 생리적 특성(광합성, 엽온, 광색소함량)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향후 목재펠릿으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서 기초자료를 구축하였다. 수고 및 흉고직경 생장량, 연간 바이오매스 생산량은 무대절, 1m 대절, 지제부 대절 처리구 순으로 높게 나타냈다. 지제부 대절 처리구는 무대절과 1m 대절 처리구의 값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값들을 보였다. 수확 후 1년 동안 생장한 포플러의 맹아발생은 1m 대절 처리구에서 가장 활발하고, 무대절 처리구에서 가장 저조하였다. 처리구별로 잎피해도는 10월의 경우 거의 비슷하고 수관활력도는 1m 대절 처리구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지제부 대절 처리구는 6월과 10월 두 시기에 잎피해도와 수관활력도 모두 높은 값을 나타내어 생장여건이 상대적으로 불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적응지수 또한 무대절, 1m 대절, 지제부 대절 처리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엽록소 함량은 광합성률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며 7월에 1m 대절, 무대절, 지제부 대절 처리구 순으로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9월에 무대절, 1m 대절, 지제부 대절 처리구 순으로 높은 값을 나타냈다. 카로테노이드 함량은 엽록소 함량과 유사한 경향을 보이며 엽록소의 함량이 낮아지는 9월에 카로테노이드 함량이 대체로 많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처리구별 이태리포플러의 함수율과 발열량은 대부분 1급 기준을 만족하며, 무대절 처리구의 수목이 1m 대절 처리구 수목에 비해 함수율이 낮고, 발열량이 높아 연료로 쓰기에 더 좋은 조건임을 알 수 있었다. 포플러의 회분과 질소 함량은 수목 부위별로 큰 차이를 나타냈으며, 주가지의 경우 상대적으로 수피를 많이 함유하고 있어 회분과 질소 함량이 높았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1) to identify the biomass production 2) to investigate the sprout production and 3) to provide the basic wood pellet quality information of Populus euramericana. This study had three different cutting sizes treatments (Un-coppiced, 1m height-coppiced and ground coppiced seedlings). The Populus euramericana plantation had been established in Saemangeum, Gimje, Korea which is reclaimed coastal area. Height, DBH (Diameter at Breast Height), biomass, capacity of adaption (leaf and crown damage), adaptation index,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photosynthesis, leaf temperature and chlorophyll content), number of sprout, moisture content and net calorific value had been investigated. The order of height, DBH, biomass and annual biomass growth were as follow: un-coppiced > 1m height-coppiced > ground coppiced seedlings. The highest production of number of sprout production had been shown in the 1m height-coppiced treatment. On the contrast, Un-coppiced seedlings showed the lowest number of sprout production. Leaf damage showed the similar score on the all the treatments. Crown damage was the best in the 1m height-coppiced seedlings in October. However, ground coppiced seedlings showed the highest leaf and crown damage both in June and October measurements. The order of the adaptation index were as follow: un-coppiced > 1m height-coppiced > ground coppiced seedlings. Photosynthetic rates and chlorophyll content showed different trends both in July and September measurements. In July, the highest photosynthetic rate showed on the 1m height-coppiced seedlings. Moisture content and net calorific value of Populus euramericana qualified class 1 of the standard for wood pellet. Especially, un-coppiced seedlings showed the best quality, highest net calorific value and lowest moisture content for the wood pellet. Ash and nitrogen content showed large variation on the part of tree body. Main branch showed the highest ash and nitrogen content.

      • 구화와 수화사용 청각장애중등학생의 자아정체감,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 비교

        김윤희 우석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A Comparison of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Sign Language and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Oral Language in Self-Identity,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Written by Kim, Yun-hui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Directed by Prof. Bang, Myong-Ye, Ph. D.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sign language and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oral language in self-identity,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self-identity between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sign language and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oral language?;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self-efficacy between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sign language and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oral language?; (3) Is there any difference in quality of life between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sign language and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oral language? One hundred questionnaires were sent to 5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and 6 special classes located in Seoul, Daegu, Chungbuk, and Jeonbuk. Data collected from 46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sign language and 36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oral language were analyzed.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f identity of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sign language was statistically more positive than that of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oral language. Second, the self-efficacy of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sign language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of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oral language. Thir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sign language and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oral language.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setting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Key words : hearing disabilities, oral language, quality of life, self-efficacy, self-identity, sign language, special classes, special schools

      • Chlorhexidine 적용이 근관와동내 axial dentin에 대한 resin core의 미세인장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김윤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근관치료한 치아에서 부적절한 수복은 근관계의 재감염을 일으켜 예후를 감소시키게된다. 근관치료한 치아를 컴포짓 레진으로 수복시 상아질에 접착하고 파절저항성을 증가시키는 장점은 있지만 시간에 따라 결합력이 약화내어 지속성이 제한되는 것이 문제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최근 Chlorhexidine은 레진-상아질 결합 감소를 억제하여 결합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근관와동 내에서 Chlorhexidine 적용여부가 미세인장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발거된 대구치를 대상으로 치수강이 노출될 때까지 치관부를 제거하고 백악-상아질 경계에서 2mm 하방으로 치근부위를 제거한 후 치수조직을 제거하고 치수강벽을 편평하게 삭제하였다. NaOCl을 40분간 치수강 내에 적용한 후 Chlorhexidine 적용 유무와 bonding system에 따라 다음의 4개군으로 분류하였다. (1) Priming; (2) CHX15sec+rinsing+priming; (3) Etching; (4) Etching+CHX15sec+rinsing 처리를 하였다.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그룹1과 2는 Conxtax (DMG, USA)를, 그룹 3과 4는 Adper Single Bond 2 (3M ESPE, USA) 도포 후 Luxacore (DMG, USA) 를 사용하여 근관와동을 충전하였다. 각 실험군의 절반은 즉시 미세인장강도 시험을 , 나머지 절반은 10,000회 열순환 후 미세인장강도 시험을 시행하였다. Three-way ANOVA, Two-way ANOVA, One-way ANOVA, Independent t-test 이용하여 95% 유의 수준으로 통계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열순환 전 미적용군과 비교시 Chlorhexidine 처리시 상아질과의 미세인장결합강도의 차이는 없었다. 2. Chlorhexidine 적용시 열순환 후 미적용군에 비해 상아질과의 미세인장결합강도의 감소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각기 다른 Bonding system을 적용하였을 때, 두 system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본 실험 결과를 토대로 했을 때 근관와동에 CHX(15sec)을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으며 Bonding system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아직 pulpal wall에 산부식 접착시스템과 자가 부식 접착시스템간의 미세인장결합강도가 비슷한 이유를 증명할 수 없었다. 따라서 CHX 적용 후 산부식 접착시스템과 자가 부식 접착시스템을 사용하였을 때 형태학적 변화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in vitro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chlorhexidine with different resin systems on microtensile bonds strength (μTBS) to dentin in endodontic cavities. Flat dentinal surfaces with endodontic cavities in 40 molar teeth were bonded with self-etch adhesive system, Contax and total-etch adhesive system, Adper Single Bond 2 after: (1) Priming(Contax); (2) Chlorhexidine(CHX) 15sec + rinsing + priming + (Contax); (3) Etching(Adper Single Bond 2); (4) Etching + CHX 15sec + rinsing(Adper Single Bond 2). Resin composite build-ups were constructed with Luxacore(DMG, USA) using a bulk method and polymerized for 40s. For each condition, half of the specimens was immediately submitted to microtensile bond strength and half of them was submitted to thermocycling of 10,000 cycles between 5°C and 55°C before testing.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ree-way ANOVA test, two-way ANOVA test, one-way ANOVA test, Independent t-test at a siginificance level of 95%. Chlorhexidine pre-treatment did not affect the bond strength of specimens tested at the immediate testing period, regardless of resin categories. However, after 10,000 thermocycling significant bond strength reduction was found in no CHX treatment group, both self-etch adhesive system and total-etch adhesive system.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in vitro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1. 2% chlorhexidine 15s application proved to preserve the durability of hybrid layer and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dentin bonding systems 2. No significant difference is shown in microtensile bond strength between total-etching system and self-etching system when they are applied to pulpal wall dentin

      • 지역경관 아이덴티티를 위한 환경색채 가이드라인 개발에 관한 연구

        김윤희 동서대학교 디자인&IT 전문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색채는 한 도시의 인상과 이미지를 결정짓는 중요한 경관요소 중 하나이다. 도시의 경관은 오랜 시간에 걸쳐 수많은 복합적 요인이 작용하여 형성되므로, 색채를 통한 지역 아이덴티티(identity)는 그 지역의 문화를 온전히 보여주는 종합적인 이미지 자원이다. 최근 서울시를 비롯한 여러 지자체에서 색채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저마다 도시의 색을 만들어가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그러나 현재까지 이루어진 색채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는 아직 시작 단계라 볼 수 있으며, 색채가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과 중요성을 고려할 때 보다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매우 절실하다. 거제시는 천혜의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바탕으로 세계적으로 우수한 도시환경을 창출할 수 있는 무한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도시의 급성장으로 인한 색채의 오․남용은 오늘 날의 현란하고 무질서한 색채환경에 이르게 되었다. 이는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고려한 색채 가이드라인이 마련되지 않아 나타난 자연스런 결과로서, 거제시의 우수한 경관을 더욱 아름답게 가꾸고 보전하는 노력이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경관을 인식하는 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색채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으로, 지역의 색채현황을 정량적ㆍ객관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거제시의 환경색채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보다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프로세스를 통한 환경색채 가이드라인을 제시함으로써 지역경관의 아이덴티티를 형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배경과 목적에 따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체계로 이루어져 있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을 서술하고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공간적․시간적․내용적 범위를 통하여 거제시의 색채조사 지역과 조사기간을 정하였다. 색채계획을 위한 연구방법은 이론적으로는 문헌조사와 사례조사로, 공간적․지리적으로는 거제시의 자연색과 인공색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시간적으로는 1년(2008.9.1~2009.8.31) 동안의 실태조사, 인문적․사회적 조사로는 설문조사와 주민인터뷰, 색채선호도 조사 등으로 분류하였다. 전체적인 논문의 진행흐름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연구의 구성도를 작성하였으며, 본 연구과 관련된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본 논문에 적용할 시사점과 본 연구가 갖는 타 논문과의 차별성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도시환경을 인식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환경색채의 중요성을 언급하고, 지역경관의 색채 아이덴티티가 단순히 보이는 심미적인 가치뿐만 아니라 지역자원으로서의 유효한 가치가 있음을 서술하였다. 그리고 물리적․사회적․심리적 환경요소들 간에는 서로 긴밀한 상호관계가 존재함을 이론적 배경으로, 경관과 환경․환경과 색채에 내재되어 있는 여러 가치의 복합적․종합적인 관계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제3장은 연구의 대상지인 거제시의 현황조사를 크게 자연․지리적, 인문․사회적, 지역의 자원현황과 거제시의 도시이미지 등을 문헌조사․현장조사․통계조사 등을 통해 실시하였다. 또한 도시형성과 경관골격 조사, 관련법규와 계획 검토 등을 근거로 거제시 색채계획 적용을 위한 여건을 파악하고, 도시를 4권역별(시가지, 자연녹지, 해안, 산업)로 분류하였다. 거제시의 일반 현황은 주로 거제시 시정백서․통계연보 등 문헌조사를 중심으로 하였으며, 인문적 자료는 지역주민들의 구술을 중심으로 사회적 현황을 전개하였다. 위의 검토 결과 거제시는 2010년 경관조례의 시행 예정 등 경관에 대한 기본적 인식변화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경관행정 도입의 초기단계에 머물고 있다. 이에 무엇보다 중요한 경관계획 수립과 색채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이를 토대로 경관사업의 구체적 실천방안을 도출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제4장에서는 국내외 도시경관 형성의 유형별 사례와 지역성을 고려한 색채 가이드라인에 의한 경관형성 사례를 통하여, 색채경관이 우수한 도시의 성공요인을 분석하고 거제시의 색채 아이덴티티 확보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해외 선진사례에 나타나는 경관계획은 특정지역에 치우친 단편적인 가이드라인 마련이나 관광산업을 위한 개발계획보다는, 지역실정에 맞추어 전체적인 구성을 고려한 개발계획 틀 속에서 추진됨을 잘 보여 주었다. 색채계획의 추진방향 또한 지역을 방문하는 외부인의 미적대상이나 관광요소를 정비하기보다는 지역주민의 쾌적한 정주환경을 도모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점은 지역경관의 통일성이나 정체성의 형성은 단기간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지역주민․행정기관․개발업자 간의 대화와 합의를 통하여 이루어 나가야함을 이러한 사례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제5장에서는 거제시의 자연환경색채, 인공환경색채, 시민의식 조사를 통한 종합적인 분석결과로, 지역의 색채계획 방향과 콘셉트를 설정하였다. 자연환경색채는 지역풍토색, 내륙부와 해안부의 색채특성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인 Color is one of the important scenic elements that determines impression and image of a city. Since scenery of a city has been formed with a number of complex factors for a long time, a local community's identity through colors is a comprehensive image resource showing local culture completely. Recently several local self-governing bodies including Seoul are active in preparing color guidelines to have their own colors. However, studies on guidelines of colors so far are only the beginning and more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studies are urgent considering the impact and significance of colors on human beings. Geoje city has infinite potential that can create the world's top urban environment based on beautiful natural views, a gift of nature. However abuse and misuse of colors because of the rapid growth of the city led to today's spectacular and chaotic color environment. This is a natural consequence of no preparation of color guideline considering the beautiful natural views, it is a time when efforts to take care of and preserve the excellent views of Geoje city more beautifully is necessary than ever before. Thus, this study tries to present a direction for environmental color of Geoje city by analyzing color situation of the area quantitatively and objectively as an effort to improve the color that acts as an important element through which people recognize city views. It purposes to form a community identity by presenting environmental color guideline through more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process. For this background and purpose, this study is structured as follows: Chapter 1 described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research and presented the necessity of study. Through the spatial and temporal ranges and content, Geoje city's color survey areas and period were decided. For research method for color plan, theoretically, bibliographical survey and case study were carried out while spatially and geographically, on-site survey on natural and artificial colors of Geoje city was carried out, temporally, survey on actual conditions for 1 year(Sep. 1, 2008~Aug. 31, 2009), and humanistic and sociological surveys were divided into questionnaires, residents interview and color preference survey. The formation map was drawn out to allow one to grasp the overall process of thesis at a glance, and through examination on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this study, it suggested implications to be applied to this paper and differentiations from other papers this study had. Chapter 2 commented on the significance of environmental color as a new paradigm to recognize urban environment, and described that community color identity has not simply aesthetic value but also valid value as local resource. And, baed on the theorerical background that there is an intimate correlations among physical, social, psychological environmental elements, it tried to prove complex and comprehensive relationship among various values implied in view, environment and environmental color. Chapter 3 carried out survey on actual conditions of Geoje city, target of this study broadly through bibliographical, on-site and statistical researches on natural, geographical, humanist, sociological, local resources and city image of Geoje city. Also, based on survey on city formation and view structure, review on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and plans, conditions for application of Geoje city color plan was grasped, and the city was divided into 4 regions(town, natural greens, seashore and industry). The general conditions of Geoje city were centered around bibliographical researches mainly Geoje city's White Paper and Statistical Yearbook, and for humanistic data, social conditions was developed centering around oral statement of the local residents.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above, Geoje city still remains at the beginning stage of introduction of view administration despite the fundamental change in recognition of view e.g. expected execution of an ordinance on views in 2010. So preparing most important establishment of view plan and color guideline, based on this, it presented that drawing of concrete practice plan of view project would be necessary. Chapter 4 analyzed the factors of success in the cities with excellent color views through cases of home and abroad city views for each type and cases of formation of views by color guideline considering local characteristics, and suggestions for securing color identity of Geoje city were drawn out. Scene plans shown in overseas advanced cases showed well that they were promoted in the frame of development plan considering the overall formation according to local situations rather than the preparation of fragmented guideline inclined to a certain area or development plan for tourism industry. The direction of promotion of color plan also focused on promoting fresh settlement environment of local residents rather than maintaining aesthetic target or tourism elements for outsiders visiting the area. The most important point was confirmed that unity of local view or formation of identity is not made in a short period of time but has to be made through conversation and discussion among local residents, administration and developers. Chapter 5 set directions for and concept of local color plan of through a comprehensive survey on Geoje city's natural environmental color, artificial environmental color, and awareness of the citizens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citizen awareness. The natural environmental color was surveyed dividing into local natural features color, inland and coastal color characteristics. The artificial environmental color was analyzed dividing artificial elements into point, line, and area elements while buildings close range medium view and distant view, and the colors of those with a high nomadic properties were measured. Through this, the direction of basic colors in each region, the ratios of formation and size between the basic color and e

      • 실재와 변용을 통해 재현된 풍경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김윤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가가 가지고 있는 문화적 배경은 그 속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생활환경에 영향을 주고, 그들만의 독특한 풍경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사람들이 거주하는 공간인 동네는 장소에 따라 각기 다른 모습을 하고 있으며, 동네마다 갖고 있는 색다른 풍경의 모습에서 찾아낸 자취의 흔적은 고스란히 화면안에 담겨진다. 화면밖 실제의 친숙하거나 낯선 풍경은 타자에 의해 보여짐으로써 더 이상 객관적 대상의 존재가 될 수 없으며, 보는 주체의 성향에 따라 상대적 실재의 대상이 된다. 실재의 대상 속에서 일반인이 느끼지 못하는 확장된 감각을 찾는 일은 화가들의 다양한 감각기관을 통해 예술작품으로 보여지고, 본인의 작품에서 보여지는 풍경에 대한 첫인상 또한 예술가의 독창적인 시각이미지를 만들어내고 있다. 본 연구는 본인만의 개성적 표현방식으로 기존의 산수화에서 찾아보기 드물었던 자연속에 존재하는 인간의 흔적을 어떻게 재현해 낼 것인가에 대해서 고찰한다. 또한, 체험을 통한 화가의 시선이 회화의 감각적 확장으로 어디까지 넓어 질수 있는지 알아본다. 기존의 산수풍경과의 차별적 요소를 보이고 있는 본 연구는 작품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작품 분석을 통해 그 차이를 살펴본다. 외형적 ‘닮음’ 이라는 전통적인 재현방식으로 풍경을 바라본 화가들의 시선은 자기의 감각과 기질에 따라 달라진다. 화가들의 변화된 사고가 이전의 재현방식과 미학적인 측면에서 기법을 바꾸게 된다. 초현실주의 대표작가인 마그리트의 작품들과 조선 초 안견의 몽유도원도에서 볼 수 있듯 화가는 대상이 원래 가지고 있는 본질적인 느낌안에 자신만의 기질과 감각, 그리고 신념을 가지고 대상을 통해 ‘나’를 드러내는 일을 한다. ‘나’를 드러내는 일은 칸트가 주장하는 숭고라는 개념 속에서 크기와 위력에 대한 숭고함이 아닌 예술가가 체험해서 터득되어진 ‘앎’ 속에서 느껴지는 숭고함을 통해 작품에 보여진다. 겸재 정선은 닮게 그리기보다는 대상이 가지고 있는 성질을 그대로 보여 질 수 있는 자신만의 독특한 필법으로 그리기를 한다. 그의 그리기 방식이 가지고 있는 독창성과 대상에 대한 특색을 파악해내는 눈처럼 본 연구에서도 체험을 통한 ‘앎’과 대상을 그려내는 개성적 필치, 풍경을 보는 본인만의 개성적 시선을 표현한다. 본인에게 체험된 풍경은 보여지는 대상 이상의 감성적 지각대상이 되고, 화면속에 옮겨진 모습에서는 이성과 감성이 혼용된 이미지를 만들어 낸다. 혼용된 이미지는 본인만의 나름의 규칙을 통해 어떻게 시각화 되었는지 연구한다. 실제 풍경에서 보여지는 대상에 대한 객관적 표현과 풍경을 대면하는 작가의 감성적 느낌이 한 화면에 동시에 보여지는 것은 본 연구에 중요한 조형언어이다. 공간이 가지고 있는 이질적 요소 즉, 관조되어진 풍경에 대한 아름다움과 그 속에 존재하는 인공의 흔적들을 그려진 연한 먹빛과 채색되어진 알록달록한 색의 조화로 보여주고, 공간구성에 있어서 화가가 재구성하는 부분을 통해 실제와 가상의 조합된 이미지를 동시에 보여준다. 본인은 본 논문에서 대립되는 두 이미지를 작품 안에서 보다 부드럽고 조화스럽게 표현하려고 연구하였다. 조용한 충돌을 보여주는 풍경의 이미지에서 실제의 공간에서 일어나는 문명의 흔적을 찾아냄으로써 낯설고 생둥맞은 이질적 화면을 구성하고 그것을 자연스럽게 표현하기위한 여러 조형적 실험들을 통해 새로운 산수풍경화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