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관상동맥 질환 환자에서 1세대 약물용출 스텐트 삽입 환자의 이제-항혈소판 치료 장기 효과

        김용권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배경 및 목적: 약물용출 스텐트 삽입 후 스텐트 혈전증 발생 위험성을 최소화 하기 위해 이제-항혈소판 치료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장기 이제-항혈소판 치료의 유지 기간과 안전한 종료 시점은 명확하지 않다. 그래서 본 저자는 관상동맥 질환 환자에서 1세대 약물용출 스텐트 삽입 환자의 이제-항혈소판 치료 장기 효과에 대하여 연구 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총 5년간 이제-항혈소판 치료를 시행한 환자 총 44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는 아스피린과 클로피도그렐 이제-항혈소판 치료 1년 시행 후 이제-항혈소판 요법으로 아스피린과 함께 클로피도그렐 사용한 군 (클로피도그렐 군, n=204)과 아스피린과 함께 실로스타졸 사용한 군 (실로스타졸군, n=237)으로 분류하였다. 일차 목표는 5년째 스텐트 혈전증 발생률이며, 이차 목표는 스텐트 혈전증을 포함한, 전체 사망률, 표적병변 재시술률, 전체혈관 재시술률, 심근경색증, 뇌경색증등의 주요 심혈관 사건과 출혈률을 평가하였다. 결과: 일차 목표인 5년째 스텐트 혈전증은 전체 1.85%에서 발생하였으며 클로피도그렐군에서 1.52%, 실로스타졸군에서 2.14%로 두 군간에 차이는 없었다 (p=0.413). 전체 사망률, 표적병변 재시술률, 전체혈관 재시술률, 심근경색증, 뇌경색증 발생률은 두 군 간의 의미 있는 차이 보이지 않았다. 출혈률은 장기 이제-항혈소판 치료시 증가하였으며, 클로피도그렐군에서 실로스타졸군에 비해 5년째 의미 있게 높았다 (11.11% vs 5.56%, p<0.05). 결론: 장기적인 이제-항혈소판 치료는 후기 스텐트 혈전증의 예방을 완전히 못하는 반면에 출혈이 증가하는 소견을 보였으며, 특히 클로피도그렐은 실로스타졸에 비해 의미 있게 높은 출혈률을 보였다. 색인 단어: 실로스타졸, 클로피도그렐, 약물용출 스텐트, 혈전 Background and Objectives: Dual-antiplatelet therapy was used to minimize the risk of stent thrombosis after implantation of drug-eluting stent (DES). However, it is still unclear how long dual antiplatelet therapy is needed and when the antiplatelet therapy can be safely stopped. So, we evaluated the long-term effects of dual-antiplatelet therapy after implantation of first generation DES in patients with coranary artery disease. Subjects and Methods: A total of 441 patients who treated completely the dual-antiplatelet therapy for 5 years were enrolled. The patients were randomized to aspirin and clopidogrel (Clopidogrel group, n=204) vs aspirin and cilostazol (Cilostazol group, n=237) after 1 year of aspirin and clopidogrel combination therapy. Primary end-point was the incidence of stent thrombosis after 5 years. Secondary end-point were the major adverse cardiac events (MACE), including stent thrombosis, all cause mortality, target lesion revascularization, any revascularization, non-fatal myocardial infarction (MI), non-fatal stroke, and the incidence of bleeding. Results: The incidence of stent thrombosis between 1 year and 5 years was the 1.85% in the all patients and stent thrombosis occurred 1.52% with clopidogrel group, as compared with 2.14% with cilostazol group (p=0.41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cause mortality, target lesion revascularization, any revascularization, non-fatal MI, and non-fatal stroke in the two groups. There was an increased risk of bleeding with long-term dual-antiplatelet therapy, and the risk of bleeding between 1 year and 5 years was higher in clopidogrel group than cilostazol (11.11% vs 5.56%, p<0.05). Conclusion: The long-term dual-antiplatelet therapy could not prevent the occurring of stent thrombosis completely. Inversely, the risk of bleeding was increased with long-term dual-antiplatelet therapy, and the clopidogrel group was higher compared with cilostazol group. Key word: Cilostazol, Clopidogrel, Drug-eluting stent, Thrombosis

      • 정량적 영상측정법에 의한 폴리이미드 필름의 표면성질에 대한 연구

        김용권 大邱大學校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Polyimide는 유전유이 낮으며, 열팽창 계수도 작고 다른 물질과 쉽게 복합 및 접착이 되는 고분자 전자재료이다. 이러한 좋은 물성에도 불구하고 Polyimide의 응용에는 아직 문제점이 많은데, 그 중 잘 알려진 것이 흡습성(water sorption)이다. 이 습기는 절연체의 전도도를 증가시키고, 접착력을 감소시키며, 부식을 초래하기 때문에, 집접회로의 신뢰도에 문제를 야기시킨다. Polyimide의 표면화학 및 습윤성과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므로서, 유전 물질(dielectric material)의 거동과 Polyimide의 제조공정을 최적화할 수 있다. Polyimide와 같은 고분자 film의 습윤성을 예측하기 위한 일반적이고 유용한 방법은 접촉각(contact angle)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 접촉각 측정은 폴리이미드 표면의 표면장력과 표면형태, 표면의 불균일성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Polyimide의 화학구조에 따른 표면성질을 살펴보고자 네 종류의 폴리이미드를 합성하였고, 합성된 Polyimide film 들의 접촉각을 정량적 영상시스템을 사용하여 해석하였다. 비극성(D), 극성(P), 수소결합(H) 액체들을 사용하여 Polyimide film의 접촉각을 측정하였다. alkane 계열의 비극성 액체는 폴리이미드 표면에서 쉽게 퍼지는 현상을 보였다. 한편, 극성 또는 수소결합 액체들은 폴리이미드 필름과 일정한 접촉각을 이루었다. 측정된 접촉각으로부터 BPDA/MDA, BPDA/EDA, BPDA/BAPE와 BPDA/BAPP의 임계표면장력은 Zisman plot, Young-Dupre-Good-Girifalco plot, log(1+cosθ)대 log(r_L) plot으로 평가하였다. 이 접촉각 data의 Zisman plot으로부터 계산된 네 종류의 Polyimide film들에 대한 임계표면장력 r_c 값은 1+cosθ 대 1/r_L^0.5plot 또는 log (1+cosθ) 대 logr_L plot으로부터 계산된 임계 표면장력 r_c값보다 작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Zisman plot에서, 접촉각 측정에 사용된 액체들의 r_L이 r_c의 부근에 있을 때 cosθ와 r_L사이의 관계는 적합한 직선으로 나타내지만, 특정한 상호작용(수소결합)을 가지는 액체를 사용하여 접촉각을 측정할 때는 r_L이 r_c보다 더 큰 값을 가지므로 아래로 볼록한 곡선으로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BPDA/MDA, BPDA/EDA, BPDA/BAPE와 BPDA/BAPP polyimide 고분자의 표면장력(r_S)은 기하평균식으로부터 결정하였다. 폴리이미드 고분자의 표면장력(r_S)은 구조에 따라 35.1 dynes/cm에서 43.1 dynes/cm의 값을 가졌으며, BPDA/EDA < BPDA/MDA < BPDA/BAPP < BPDA/BAPE 순서로 증가하였다.

      • 하프변환을 이용한 윤곽선 검출

        김용권 朝鮮大學校 産業大學院 1995 국내석사

        RANK : 247631

        One of the important computer applications is image understanding which is a little different from image processing Image understanding is the explict description of image, while image processing is the study of image to image transforms Image understanding is the technique which is more necessary to practical engineering application than image processing The latter however is a prerequisite for the former The image which is the substitution of an object is usually recognized by the differences in the intensity of brigtness Intensity discontinuities in an image appear to the human eyes as boundaries of edges of objects, which are the fundamentals of recognition The edge detection is the first step to image understanding Various methods for edge detection have been reported and are being extensively studied Edge represented by binary value have the shape of line or curve many of which can be expressed with analytic geometry Hough transform which is well known as a robust method for line detection has gradually extended it's application to the detection of circle, ellipse and other curves And yet, the usage of Hough transform as the detector of circle and ellipse has been limited by slow speed and excessive memory since the calculation and memory requirement exponentially increases as the number of parameters to be determined increases

      •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수학적 언어 사용수준에 관한 분석 : 고등학교 극한, 미분, 적분 영역 중심으로

        김용권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계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수학Ⅱ 내용 중 극한, 미분, 적분영역에서의 기본적인 수학적 용어 · 기호의 사용수준에 관한 분석을 통하여 수학적 언어 사용의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교수·학습지도 방향에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수학Ⅱ 내용 중 극한, 미분, 적분영역에 제시된 수학적 용어 · 기호에 대한 수학적 언어 사용수준은 어느 정도 인가? 1) 명시적 언어의 사용수준은 어느 정도 인가? 2) 관계적 상징의 사용수준은 어느 정도 인가? 3) 분석적 언어의 사용수준은 어느 정도 인가? 4) 관계적 언어의 사용수준은 어느 정도 인가? 2.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극한, 미분, 적분영역의 수학적 용어 · 기호 사용에서의 오류가 있는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경기도 의왕시에 위치한 이용 가능한 집단 인문계 B고등학교 3학년 자연계 학생 142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지필검사를 통한 조사연구 방법을 실시하였다. 지필검사는 극한, 미분, 적분에 관한 수학적 용어․기호 사용 수준 검사지를 통해 조사연구를 실시하였고, 검사지는 명시적 언어의 사용수준과 관계적 상징의 사용수준 검사지와 분석적 언어 사용수준과 관계적 언어의 사용수준 검사지로 나누어 검사를 실시하고, 검사지는 연구목적에 맞도록 현행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맞추어 수학적 언어 사용에 관해 각 10문항씩 총 4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검사결과를 토대로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수학Ⅱ 내용 중 극한, 미분, 적분영역에 제시된 수학적 용어 · 기호에 대한 수학적 언어 사용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또 극한, 미분, 적분영역에서의 기호와 용어사용에서의 오류가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수학Ⅱ 내용 중 극한, 미분, 적분영역에 제시된 수학적 용어․기호에 대한 수학적 언어 사용수준에 있어서, 극한, 미분, 적분에 관한 명시적 언어 사용수준은 전체 학생 중 74.6%의 학생이 잘 알고 있었고, 기호적 표현인 관계적 상징의 사용수준도 51.8%의 학생이 극한, 미분, 적분에 대한 기호를 잘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극한, 미분, 적분에 관한 수학적 용어와 기호의 정의나 의미를 설명하는 것 즉, 분석적 언어의 사용 수준은 전체 학생의 37.9% 학생들만이 수학적 용어와 기호의 정의나 의미에 대해서 잘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학적 용어와 기호의 설명이 무엇인지를 아는 관계적 언어의 사용수준은 전체의 42.7%의 학생들이 잘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극한, 미분, 적분에 대한 분석적 언어의 사용수준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이 입시 위주의 교육으로, 수학적 용어와 기호에 대해 문제를 푸는 방법에만 익숙해져 있을 뿐 그것이 나타내는 정의나 의미를 잘 알지 못하는 것을 보여 준다. 이에 교사는 극한, 미분, 적분의 수학학습을 전개함에 있어서 수학적 용어와 기호의 정의나 의미를 쓰고 말하게 하는 수학적 의사소통의 시간을 충분히 가져야 한다. 둘째, 학생들은 극한, 미분, 적분에서의 수학에 대한 용어적 표현보다는 기호적 표현이 더 우호적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사실이다. 위에서와 마찬가지로 극한, 미분, 적분에서의 수학적 언어 사용수준에 있어서 학생들은 보편적으로 수학적 용어 · 기호가 무엇인지를 말하고 기호로 잘 표현하나 그 수학적 용어 · 기호가 나타내는 정의나 의미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대부분의 학생들이 학원이나 과외로 인한 선수학습으로 문제를 푸는데 필요한 수학적 기호사용을 먼저하고 나중에 학교에서 그 의미를 배우고 이해하는 데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보여 지며 수학적 기호에 맞는 정의나 의미를 좀 더 확실히 이해하도록 하는 교사의 세심한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교사는 학생들에게 극한, 미분, 적분영역을 지도함에 있어서 제시되는 수학적 기호나 용어의 정의, 그리고 그 의미에 대해서 학생들이 확실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활동 즉, 학생들에게 수학적 기호와 용어에 대해 읽고 쓰게 하는 기회를 여러 번 제공함으로써 바른 수학적 용어와 기호의 사용을 유도하여야 한다. 이것이 수학적 의사소통을 위한 가장 기본이 되는 활동이 될 것이다. 셋째, 학생들이 극한, 미분, 적분영역에서의 오류를 범하는 수학적 용어와 기호가 있다는 사실이다. 대표적으로 극한에서 우극한과 좌극한 용어의 의미와 기호사용, 미분에서는 미분계수의 기하학적 의미에 대해 잘 알지 못했으며, 또한 미분가능과 연속의 기호사용과 용어의 사용에서의 혼동이 있었으며, 정적분의 기호사용과 “아래끝”과 “위끝”의 용어 사용에 대한 오류들을 범하는 학생들이 많았다. 이것은 수학 학습 과정에서 학생들에게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문제이다. 교사는 수학적 용어와 기호를 설명하는데 있어 학생들이 다른 용어로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에 기본적인 수학적 용어나 기호의 정의와 의미를 설명할 때, 수학적 용어와 기호의 정의 및 의미를 명확히 설명하고 학생들이 오류를 범하지 않도록 직접 쓰고 말할 수 있는 기회를 충분히 제공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 유도 초음파의 모드 식별을 위한 시간-주파수 해석과 실험적 검증

        김용권 서울産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도 초음파는 독특한 특성인 주파수와 모드에 따라 음속이 변화하는 분산성을 가지므로 실제 유도초음파를 적용할 때, 결함의 위치와 크기를 측정하기 위해서 시간 영역의 파형으로부터 모드 전파를 식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모드 식별은 시간 영역의 파형에서 군속도의 측정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단일 모드 또는 분산성이 적은 모드를 선택해야 한다. 하지만, 많은 경우 시간 영역에서 다양한 모드의 중첩과 변환에 의해서 모드를 정확히 식별하기란 어렵다. 시간-주파수 해석은 파형의 에너지 분포에 의해서 모드를 식별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comb transducer를 이용하여 발생되어진 다양한 유도초음파 모드와 선단부에서 반사되어 일어나는 모드 변환을 시간-주파수해석을 통하여 인공결함의 위치 평가에 대한 최적의 모드를 선정하였다. 시간-주파수해석과 이론적 해석 방법인 분산 곡선을 비교한 결과 잘 일치함을 알 수 있었으며, 배관 라인에서 일어나는 모드변환을 확인하기 위해 pitch-catch 법을 이용하여 얻어진 신호와 선단부로부터 반사된 신호를 시간-주파수해석을 통해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L(0,1) 모드가 다른 모드[L(0,2~4)]에 비해 모드변환에 의한 영향이 적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배관 표면에 존재하는 결함평가에 L(0,1)모드를 최적의 모드로 선정하고, 결함위치를 추정한 결과 표면결함의 위치를 평가하는데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One of unique characteristics of guided wave is a dispersive behavior that guided wave velocity changes with an excitation frequency and mode. In practical applications of guided wave techniques, it is very important to identify propagating modes in a time-domain waveform for determination of defect location and size. Mode identification can be done by measurement of group velocity in a time-domain waveform. Thus, it is preferred to generate a single or less dispersive mode. But in many cases,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a mode clearly in a time-domain waveform because of superposition of multi modes and mode conversion phenomena. Time-frequency analysis is used as efficient methods to identify modes by presenting wave energy distribution in a time-frequency. In this study, guided wave mode identifcation is experimentally carried out in a pipe using time-frequency analysis methods such as wavelet transform(WT) and short time Fourier transform (STPT), compared with theoretically calculated group velocity dispersion curves. It is found that Longitudinal mode(0,1) is affected by mode conversion less than the other modes. Therefore, L(0,1) mode is suitable for evaluating location of the surface defect in pipe. The results are in good agreement with analytical predictions of group velocity dispersive curves and show that the time-frequency analysis(WT, STFT) is effective to identify the guided wave modes.

      • 押海島 沿岸의 現生 堆積物에 關한 硏究

        김용권 全南大學校 198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twenty nine sample, which were collected around coast of Aphae-do island, were studied on the texture of the sediment. The results of study on the sediments around coast of Aphae-do island are follows: 1.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grain size, sediments range from medium sand to medium silt in the size. 2. In general, the sediments are shown poorly sorted and extremely poorly sorted and its average is the very poorly sorted. 3. The skewness of the sediments is mainly belonged to nearly symmetrical and strongly fine skewed and its average is the nearly symmetrical. 4. The kurtosis of the sediments are shown that it ranges from very platy kurtic to extremely Lepto-kurtic and its average is Lepto-kurtic. 5.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mineral, the percentage of quartz is 90.44 % and feldsfar 1.92 % and mica 3.44 %, and other minerals are 4.2% 6. Organic matter ranges from 1.0% to 20.0% and its average is 6.07%.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