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예혼합 합성가스 충돌 제트 화염에서 열음향 불안정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김슬기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Experiments on thermoacoustic instabilities were conducted in premixedimpinging jet configuration for premixed syngas-air mixtures with the volume ratio of 10% and 90% for H2 and CO respectively, by varying equivalence ratio Ф and global velocity gradient C g. The main concerns are focused on clarifying the mechanisms for an oscillation generated in noisy flame and an instability driven via flame-vortex interaction. The result shows that the non-reacting flow field presented divergent flow shape, while the reacting flow field showed an “S”shape. The FFT frequencies of flame and vortex were acquired and analyzed to obtain the frequency. The frequency of non-reacting flow vortex (V N·R·V=140 Hz) was different from natural frequency of burner itself (60 Hz). The frequencies of vortex and pressure perturbation were similar to flame frequency. Thus, the oscillation was caused by flame not flow and the flame-vortex interaction was associated with self-excited instabilities as comparison of frequency, pressure perturbation and vortex.

      • 미용 면허제도에 대한 국제 비교 연구

        김슬기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미용 면허제도에 대한 국제 비교 연구 김슬기 지도교수: 김춘득 교육대학원 미용교육전공 남부대학교 세계화 시대에 미용사 면허제도에 관한 국제비교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우리나라 미용사 면허제도가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과 비교해 볼 때 매우 불안정한 상태에 머물러 있음은 여러 선행연구에서 이미 지적된 바 있다. 심지어 일각에서 면허제도의 폐지론까지 언급되고 있는 혼란한 상황은, 결과적으로 미용사 면허제도의 존재 가치를 흔들이 놓는 결과를 낳고 있다. 이러한 상황의 원인 중 하나로 면허제도 존치의 정당성에 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는 학문 활동이 대체적으로 미약했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나아가 입법자들과 정책입안자들이 참고해야 할 외국의 미용사 면허제도에 관한 연구 활동이 미진했었다는 점도 그 이유가 되기에 충분하다(이한웅, 2008). 본 논문은 우리나라와 외국의 미용사 면허제도 및 입법에 관한 다양한 종류의 문헌과 연구물들을 분석, 검토하는 비교 논문이다. 우리나라와 주요 외국의 미용사면허제도와 관련 법령에 대한 체계적 분석, 비교 연구 등을 고찰함으로써 한국 면허제도의 미비점을 발견하고 이를 보안하여 우리나라의 미용사 면허 제도의 발전을 위한 입법 방향의 시사점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첫째, 미용사 자격시험과 면허시험을 구분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교육과학부에서 인정한 교육기관에서 일정 시간을 이수 하면 무시험으로 면허를 취득하거나 미용사자격증 시험을 치러 자격증 발급과 동시에 면허를 취득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다른 나라들은 자격증 시험을 먼저 통과해야 면허시험을 볼 수 있게 되어있다. 둘째, 면허를 취득할 때 이수시간을 정해야 한다. 무시험으로 면허를 부여해서는 안 된다. 셋째, 면허를 취득할 수 있는 자들의 연령과 학력을 제한해야 한다. 무시험 면허 제도를 폐지하고 관련 학과를 졸업하고 시험을 볼 수 있는 제도가 생긴다면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무시험 면허제도가 폐지 되지 않는다면 적어도 면허를 취득할 수 있는 자들이 의무교육은 마친 나이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넷째, 미용고등학교, 2년제 대학, 4년제 대학의 차이점을 두어야 한다. 고등학교를 졸업하나 대학교를 졸업하나 면허증을 취득하는 건 동일하다. 미용고등학교나 2년제 대학의 경우 일정 시간의 실무경험을 인정 후 면허증시험을 치룰 수 있게 해야 한다.

      • 국내 차(茶)브랜드 플래그십 스토어의 체험 마케팅 전략 연구

        김슬기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As economic growth and advancements in science and technology diversify consumer needs and emphasize individuality, businesses are moving beyond traditional marketing approaches to provide consumers with various experiences. They operate flagship stores that highlight the brand’s identity and individuality. In particular, recently recognized tea brands are actively adopting a flagship store strategy, prioritizing experiences in offline spaces to align with these trends. In this study, three flagship stores of domestic tea brands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visi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Five Strategic Experience Module” by Bernd Schmitt and the “Experience Provider” to implement the module. Through this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ore were identified, and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strategic experience modules for domestic tea flagship stores were deriv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methods for experiential marketing strategies needed for the launch and operation of tea flagship stores were proposed and presented as guidelines. The guidelines include the following: First, a proposal was made to provide consumers with emotional experiences by emphasizing natural elements through the development of commercial areas that offer relaxation and a sense of stability. Second, it was suggested to design distinctive external and internal spaces reflecting nature-friendly elements and the brand’s values to emphasize sensory, emotional, and relational experiences. Third, the recommendation was to emphasize the brand’s expertise through specialized products unique to flagship stores, forming brand recognition as a differentiated space. Fourth, a proposal was made for a digital enhancement strategy using various electronic media such as applications and membership programs to strengthen interaction between the brand’s flagship space and consumers. Last, it was emphasized that consumer communi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Offline, communication revolves around emotional and relational experiences, facilitated by tools like informational cards and tea classes. Online, the focus is on intensifying interaction with a diverse consumer base through the utilization of SNS channels. Hopefully, based on the proposed guidelines and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Strategic Experience Module, the findings will serve as valuable insight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experiential marketing strategies for tea brands’ flagship stores. 국내 차(茶)브랜드 플래그십 스토어의 체험 마케팅 전략 연구 김슬기 시각디자인전공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경제적 성장과 과학 기술의 발전으로 소비자 니즈가 다양화되고 개성이 강조되면서 기업들은 전통적인 마케팅 방식을 벗어나 소비자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고 브랜드의 정체성과 개성을 강조하는 플래그십 스토어를 운영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 주목받는 차(茶) 브랜드들도 이러한 트렌드에 부응하기 위해 오프라인 공간에서의 경험을 중시하며 플래그십 스토어 전략을 적극적으로 채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차 브랜드 중 수도권에 위치한 3개의 플래그십 스토어를 방문하여 번 슈미트의 ‘5가지 체험 모듈’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체험제공수단’을 기반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각 스토어의 특성을 파악하고, 국내 차 플래그십 스토어의 전략적 체험 모듈별 장단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차 플래그십 스토어의 론칭과 운영에 필요한 체험 마케팅 전략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하였다. 이 가이드라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휴식과 안정감을 제공하며 자연적인 요소가 강조된 상권 개발을 통해 소비자에게 감성적 체험을 제공하도록 제안하였다. 둘째, 자연 친화적인 요소와 브랜드의 가치를 반영한 특색 있는 외부 및 내부 공간을 설계하여 감각, 감성, 관계, 행동 체험 강조를 제안하였다. 셋째, 플래그십 스토어만의 특화된 상품을 통해 브랜드의 전문성을 강조하고 차별화된 공간으로서의 인지를 형성하도록 제안하였다. 넷째, 브랜드의 플래그십 공간과 소비자와의 상호 작용 강화를 위해 애플리케이션, 멤버십 운영 등 다양한 전자 매체를 통한 디지털 강화 전략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소비자의 커뮤니케이션을 강화를 위해, 오프라인에서는 안내 설명 카드, 티 클래스 등을 통한 소비자와의 감성, 관계, 행동 체험 중심의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며 온라인에서는 SNS 채널을 활용하여 브랜드와 다양한 소비자층 간의 상호 작용 강화를 강조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가이드라인과 전략적 체험 모듈 별 장단점을 토대로 향후 차 브랜드 플래그십 스토어의 체험 마케팅 전략을 구축함에 있어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 활성산소 민감형 탄소나노양자점 기반 암세포의 형광/전기화학적 진단 및 치료기술

        김슬기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Here, we designed a ROS- and GSH-responsive diselenide polymer dot-based drug delivery system and electrochemical sensor capable of cancer diagnosis and treatment. First, diselenide bonds cross-linked PD-TPP allowed PTX to be stably loaded, and in the presence of H2O2 and GSH, the PTX was released from the matrices due to controlled cleavage of the diselenide bond. Furthermore, conjugated TPP may potentially enhance the therapeutic efficacy of the anticancer drugs and minimize the side effects, owing to its specific targeting to the mitochondria of cancer cells. Moreover, we invented a real-time electrochemical sensor based on diselenide polymer dot nanoparticles coated on a substrate, proficient in selectively detecting tumors. Due to the high amount of ROS in cancer conditions, the surface morphology was altered, cleaving the diselenide bonds (-Se-Se-) and forming Se-OH/-Se-OOH, which simultaneously affected the electrical resistance of the sensor. In the end, the developed drug delivery and sensor could become a breakthrough for biomedical applications, notably for cancer detection and medication.

      • 수술실 간호사의 조직몰입, 팀워크인식 및 간호전문직관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김슬기 남부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conducted to examine the ext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recognition on teamwork, nursing professional value,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of scrub nurses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ir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September 26, 2022 to October 8, 2022.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143 scrub nurses who were working at the hospitals with over 100 beds located in G Metropolitan City and J-do, and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In terms of the study tools,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measured using a tool that was developed by Mowday et al. (1979) and modified by Yoon Gye-sook (2010) in accordance with the situation of an operation room. Recognition on teamwork was measured with a tool that was developed by the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AHRQ) and modified by Ahn Shin-ae and Lee Nam-ju (2016) to be suitable to be used for an operation room in Korea. Nursing professional value was measured using a tool developed by Yoon Eun-ja, Kwon Ok-hee, Ahn Young-mi et al. (2005),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was measured using a tool developed by Song Mi-ok (2015).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a total of 112 questions with 9 questions for general characteristics, 14 for organizational commitment (5-Point Likert Scale), 35 for recognition on teamwork (5-Point Likert Scale), 29 for nursing professional value (5-Point Likert Scale), and 25 for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5-Point Likert Scal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Kruskal-Wallis test, Scheffe's test, Dunn’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 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WIN 22.0.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age of the participants was 33.14 years with those over 30 years of age taking up 53.6%, and 93.6% of the participants were female. The proportion of those who had a bachelor’s degree was 85.0%, and 44.3% of the participants had over 10 years of clinical career. Those who had been working at an operation room for more than 10 years accounted for 39.3%, whereas 77.1% of the participants were general nurses. Among the participants, 87.9% had experienced patient safety management education while 68.6% had taken a test for accreditation. Fifty-eight percent of the participants were working at a hospital with over 300 beds. 2. The ext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participants scored an average of 3.27±0.55 out of 5, and the average score of recognition on teamwork was 3.69±0.63 out of 5. The extent of nursing professional value scored an average of 3.49±0.56 out of 5, and the average score of the extent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was 4.15±0.69 out of 5. 3.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t=-3.01, p=.003), clinical career (F=6.59, p=.002), work experience at an operation room (F=4.34, p=.015), position (F=4.56, p<.001), and experience of taking a test for accreditation (t=2.05, p=.042). Recognition on teamwork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beds (t=-2.15, p=.033) and position (t=2.12, p=.037). Nursing professional valu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ition (t=2.19, p=.030).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ition (t=2.57, p=.011) and experience of taking a test for accreditation (t=2.03, p=.044). 4. The relations between the variables of the participants were analyzed and the result showed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recognition on teamwork (r=.58, p<.001), nursing professional value (r=.53, p<.001),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r=.49, p<.001). Recognition on teamwork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nursing professional value (r=.60, p<.001)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r=.57, p<.001). Nursing professional valu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r=.62, p<.001). 5. The factors affecting the participants’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were found to be in the order of nursing professional value (β=.43, p<.001), recognition on teamwork (β=.31, p<.001), and experience of taking a test for accreditation (β=.16, p=.008),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46.9%. In conclusion, experience of taking a test for accreditation, nursing professional value, and recognition on teamwork of scrub nurses were identified to be the factors affecting their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intervention programs to enhance nursing professional value and recognition on teamwork. 국문초록 수술실 간호사의 조직몰입, 팀워크인식 및 간호전문직관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김슬기 지도교수 : 오윤정 간호학과 남부대학교 대학원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조직몰입, 팀워크인식, 간호전문직관 및 환자안전관리활동의 정도를 파악하고,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2년 9월 26일부터 2022년 10월 08일까지이며, 연구 대상자는 G 광역시, J 도 소재의 100병상 이상 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수술실 간호사 143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연구 도구는 조직몰입은 Mowday 등(1979)이 개발하고 윤계숙(2010)이 수술실 상황에 맞게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팀워크인식은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AHRQ)에서 개발한 도구를 안신애, 이남주(2016)가 한국 수술실 상황에 맞게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간호전문직관은 윤은자, 권옥희, 안영미 등(2005)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환자안전관리활동은 송미옥(2015)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설문지는 총 112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일반적 특성 9문항, 조직몰입 14문항(Likert 5점 척도), 팀워크인식 35문항(Likert 5점 척도), 간호전문직관 29문항(Likert 5점 척도), 환자안전관리활동 25문항(Likert 5점 척도) 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Kruskal-Wallis test, Scheffe's test, Dunn’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 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연령은 평균 33.14세로 30세 이상이 53.6%, 여자가 93.6%, 학사가 85.0%. 총 임상경력은 10년 이상 44.3%, 수술실 경력은 10년 이상 39.3%, 일반간호사가 77.1%, 환자안전교육을 경험한 대상자가 87.9% 이었고, 인증평가를 경험한 대상자가 68.6% 이었다. 병상 규모는 300병상 이상이 58% 이었다. 2. 대상자의 조직몰입의 정도는 평균 3.27±0.55점(5점 만점), 팀워크인식은 평균 3.69±0.63점(5점 만점), 간호전문직관의 정도는 평균 3.49±0.56점(5점 만점), 환자안전관리활동의 정도는 평균 4.15±0.69점(5점 만점)이었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직몰입은 연령(t=-3.01, p=.003), 총 임상경력(F=6.59, p=.002), 수술실 경력(F=4.34, p=.015), 직위((F=4.56, p<.001), 인증평가 경험유무(t=2.05, p=.04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팀워크인식은 병상 규모(t=-2.15, p=.033), 직위(t=2.12, p=.037)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간호전문직관은 직위(t=2.19, p=.03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환자안전관리활동은 직위(t=2.57, p=.011), 인증평가 경험유무(t=2.03, p=.044)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대상자의 변수 간의 관계 분석을 한 결과, 조직몰입은 팀워크인식(r=.58, p<.001), 간호전문직관(r=.53, p<.001), 환자안전관리활동(r=.49,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팀워크인식은 간호전문직관(r=.60, p<.001), 환자안전관리활동(r=.57,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간호전문직관은 환자안전관리활동(r=.62,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5. 대상자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간호전문직관(β=.43, p<.001), 팀워크인식(β=.31, p<.001), 인증평가 경험(β=.16, p=.008) 순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46.9% 이었다. 본 연구 결과, 수술실 간호사의 인증평가 경험, 간호전문직관과 팀워크인식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간호전문직관 및 팀워크인식을 높이는 다양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주요용어 : 수술실 간호사, 조직몰입, 팀워크인식, 간호전문직관, 환자안전관리활동

      • (The) role of tumor necrosis factor-like weak inducer of apoptosis (TWEAK) and fibroblast growth factor-inducible-14 (Fn14) in IgA nephropathy

        김슬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배 경: 종양괴사 인자(TNF)양 세포 사멸의 약한 유도(TWEAK)는 만성 염증 과 의 중재자로서 여겨져 왔다. TWEAK는 표적 세포의 섬유 아세포 성장 인자 유도-14 (Fn14) 수용체에 결합하여 기능을 조정한다. 최근에는 TWEAK가 신장 손상의 발병 기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 IgA 신증에 있어서 TWEAK와 Fn14의 역할을 연 구하였다. 방 법: 42 명의 조직 검사에서 입증 된 IgA 신 병증을 가진 환자와 10 명의 MGN (막성신증), 6 명의 MPGN (막증식 성 신증) 환자, 15 명의 건강한 지원자에서 소변 TWEAK (uTWEAK) 및 혈청 TWEAK (sTWEAK) 수준을 측정하였다. 혈청 TWEAK, 소변 KIM-1, 소변 NGAL을 인간 ELISA 키트로 측정 하였다. 21 명의 IgA 신증을 가진 환자들의 신생검 에서 면역 조직 화학염색 으로 TWEAK, Fn14 발현을 조사 하였다. TWEAK 및 Fn14의 발현 정도는 한 명의 병리과의사와 한 명의 신장내과 전문의에 의해 Allred 채점 시스 템을 사용하여 평가 하였다. 결 과: IgA 신증을 가진 환자는 대조군에 비해 더 높은 소변TWEAK 수준 (61.23 ± 80.49 대 8.41 ±2.71pg/mgCr,p<0.01) 을 보였다. 두 그룹 사이의 혈청 TWEAK 수준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97.40 ± 148.91 대 393.27 ± 103.22 pg/mQ, p=O‘91). IgA 신증 환자에서 소변 TWEAK 수준은 소변 단백질 / 크레아티닌 비율(PCR) (r= 0.347, p= 0.03)과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다. IgA 신증 환자에서 소변 TWEAK 수준은 크게 조직학적 등급 (p = 0.267)과 상관 관계가 없었다. TWEAK와 Fn14 발현은 대조군의 신장 조직에서 관잘되지 않았다. 대조적으로1 TWEAK 및 Fn14 는 IgA 신증 환자 의 세뇨관 세포에서 명확히 발현되었다. 혈청 TWEAK 또는 소변 TWEAK의 수준과 신장 조직의 TWEAK (p= 0.496) 또는 Fn14 (p = 0.440) 면역 염색 징수 사이에는 상관 관계가 없었다. 면역 염색 점수는 단백뇨 또는 조직한 적 변화의 정도와 상관 관계가 없었다. 그러나 IgA 신증 환자에서 Fn14 면역 염색 접수는 eGFR (p = 0.03)과 상당히 연관성을 보였다. IgA 신증 외에f MGN (막성신증)과 MPGN (막증식성 신증) 환자의 소번 TWEAK 수준 또한 대조군 그룹보다 의미 있게 높았다(p<0.05 vs 대조군). 그리고 소변 TWEAK 값과 소변 NGAL 또는 KIM-1과 같은 다른 바이오마 커 사이의 상관 관계를 평가 하였을 때 ,TWEAK의 혈청 수준은 혈정 NGAL 및 KIMl (p <0.01, p = 0.04 각각)과 음의 상관 관계가 있고, 소변 TWEAK는 소변 NGAL 및 KIMl (p <0.01, 모두)과 양의 상관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결 론: lgA 신증 환자에서 소변 TWEAK 값이 대조군에 비해 높았으며, 소변 TWEAK 수준은 뇨단백과 양의 상관 관계가 있었다. lgA 신증 환자에서 IHC(면역조직화학 염색)에 의해 측정한 TWEAK 와 Fn14 단백질의 발현이 신장 기능과 의미 있는 상관 관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TWEAK와 Fn14 사이의 상호 작용이 lgA 신증의 발병 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고 제안하 는 바이다. Background: Tumor necrosis factor (TNF)-like weak inducer of apoptosis (TWEAK) has been implicated as a mediator of chronic inflammatory processes. TWEAK functions by binding to the fibroblast growth factor-inducible-14 (Fn 14) receptor in target cells. Recently, it was reported that TWEAK migh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ogenesis of kidney damage. In the present study, I investigated the role of TWEAK and Fn14 in IgA nephropathy (IgAN). Methods: I measured urinary TWEAK (uTWEAK) and serum TWEAK (sTWEAK) levels in 42 patients with biopsy-proven IgAN and 10 patients with MGN, 6 patients with MPGN and 15 healthy volunteers. Soluble TWEAK, urinary KIM- I and urinary NGAL were measured by a human ELISA kit. I examined TWEAK and Fn l 4 expression by IHC in 21 patients with biopsy-provεn IgAN. The expressions of TWEAK and Fn 14 werw assessed by one pathologist and one nephrologist using the Allred scoring system. Results: Patients with IgAN had higher levels of uTWEA K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61.23 ± 80.49 vs. 8.41 ± 2.71 pg/mgCr, p<0.01). The difference in the sTWEAK levels between the two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397.40 士 148.91 vs 393.27 士 103.22 pg/m L, p=0.91 ). Urinary TWEAK levels in patients with IgAN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urinary protein/creatinine ratio (PCR)(r=0.347, p=0.03).Urinary TWEAK levels in patients with IgAN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athologic grade (p=0.267). TWEAK and Fn 14 expression were not observed in control human kidney tissues. In contrast, TWEAK and Fn 14 were clearly expressed in the tubular cells of IgAN patients.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s of sTWEAK or uTW EAK and the TWEA K (p=0.496) or Fn 14 (p=0.440) immunostaining scores. The immunostaining scores did not correlate with proteinuria or the degree of histological change. Fnl 4 immunostaining scores in patients with IgAN did, however, correlate significantly with the eGFR (P=0.03). Urinary TWEAK level in MGN and MPGN patients were significantly elevated than contol group.(p<0.05 vs control). And I evaluated the correlation between uTWEAK and other biomarkers such as urinary NGAL or KIM-1. Serum level of TWEAK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sNGAL and KIM l (P<0.01, P=0.04 respectively), and uTWEAK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uNGAL and KIM I (P<0.01 , both). Conclusions: Urinary TWEAK in patients with IgAN was higher than in control patients, and urinary TWEAK level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urinary PCR. Expression of TWEAK and Fn 14 protein measured by IHC in patients with IgA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renal function. I suggest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TWEAK and Fn 14 has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ogenesis of lgAN.

      • 간호관리역량 강화 하이업(High-Up)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평가

        김슬기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의료조직은 인력에 의해 서비스가 제공되고, 전체운영비 중 인건비의 비율이 약 50%를 차지하고 있어 체계적인 인적자원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보건의료인력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간호인력을 관리 및 감독하는 관리자의 역할이 중요시 되고 있으며, 간호조직은 리더십과 관리역량을 모두 갖춘 관리자가 요구되고 있다. 새로운 간호관리자는 이 전과 다른 역할로 인해 괴리감을 느끼며, 두려움과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 그러나 간호관리자로서의 임상현장의 훈련은 불충분하므로, 이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필요성을 가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의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해 두 가지의 학습 방법을 통합한 블랜디드 러닝을 교수학습방법으로 적용하여 간호관리역량 강화 하이업(High-Up)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3단계 연구로 1단계 분석 단계에서는 국내 간호사 승진체계 및 교육 과정의 실태를 파악하고,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중심으로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FSNM (Fundamental Skills for Nurse Managers) 컨텐츠의 내용분석을 시행하여 간호관리역량 강화 하이업(High-Up)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구성요소를 추출하였다. 2단계 프로그램 설계 및 타당도 조사에서는 HLA (Healthcare Leadership Alliance) model을 기반으로 체계적 문헌고찰 및 FSNM 내용분석에서 도출된 내용으로 간호관리역량 강화 하이업(High-Up)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프로그램은 온라인 강의교육과 e-PBL (Problem Based Learning)을 혼합한 블랜디드 러닝의 형태로 구성하였으며, 전문가 집단 15인과 사용자 집단 15인을 대상에게 내용타당도 평가하였다. 마지막 3단계에서는 적용 및 평가 단계로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개발된 간호관리역량 강화 하이업(High-Up) 프로그램을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유사실험설계를 이용하여 실험군 22명, 대조군 20명의 종합병원 3~5년차 간호사를 대상으로 5주간 적용하여 셀프리더십, 의사소통능력, 비판적사고 성향, 문제해결능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단계 경력간호사를 위한 간호관리역량 강화를 위한 주제는 소수에 불과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 종합병원의 실태조사, 국내·외 문헌의 체계적 고찰, FSNM의 내용분석을 통하여 간호관리역량 강화 관련 핵심개념을 도출하였다. 2) 2단계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선택된 최종 12편의 문헌과 FSNM 내용분석에서 도출된 내용을 HLA model의 5개 하위영역에 기반하여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문제중심학습에서 필요한 사례를 개발하였으며, 주차 별 학습목표, 학습내용, 시간, 진행방법 등을 구성하여 내용타당도 검증하였다. 이에 전문가 집단과 사용자 집단 모두 CVI .8 이상으로 프로그램의 내용이 타당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3) 3단계 간호관리역량 강화 하이업(High-Up) 프로그램이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 셀프리더십,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비판적사고 성향은 일부 시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현재까지 진행된 중재 연구에서는 간호관리역량만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하는데 한계점을 가졌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컨텐츠 주제를 선정하는데 있어 HLA model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체계적 문헌고찰과 FSNM의 강의 내용을 간호관리역량에 따라 분석하였다. 근거에 기반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한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신종 감염병 코로나19로 온라인 원격교육이 활성화됨에 따라 학습 성과, 교수자-학습자 상호작용 등의 문제제기가 다수 이루어지고 있으며, 효과적·효율적인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논의와 검토가 되고 있다. 이를 위해 2가지 교육방법 혼용하여 각 교육의 단점을 상호 보완하고자 하였으며,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팀 학습법을 활용하였다. 이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간호사를 위한 비대면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검증하는 연구의 토대가 될 것이다. 또한 문제중심학습 사례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간호관리역량에 대한 실제적인 이해를 도모했다는 점에서 이후 간호리더로서 조직의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간호사의 온·오프라인 직무교육에 모두 활용할 수 있어 간호실무에 대한 기여도가 높을 것이다. Medical organizations require a systematic human resource management since their service is served by the people working there and their labor cost takes up about 50% of total operation cost. Accordingly, the role of supervisors managing and monitoring nursing staff who take up the biggest weight amongst medical service workforce is getting more important, and nursing organizations are in need of having managers whose leadership and management competency is excellent. A new nursing manager would feel a sense of gab for a different role from previous roles and experience anxiety and stress. However, insufficient clinical site training as a nursing manager constitutes the necessity for the education program in this area. Consequently, this research tried to assess the effect of High-up program which is a nursing management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 by applying blended learning that combines two learning methods as teaching method to maximize the effect of the education. This research has 3 steps. In the 1st step of analysis, this research analyzes the current situation of promotion system and education courses for domestic nurses and conducted literature review, focusing on the articles published in journals. Through contents analysis for FSNM (Fundamental Skills for Nurse Managers), the elements for the development of the nursing management competency enhancement High-up program are extracted. In the 2nd step of the analysis on the program design and the validity, the nursing management competency enhancement High-up program has been designed by applying the contents derived from systematic review and the contents analysis for FSNM based on HLA (Healthcare Leadership Alliance) model. The program built in the form of blended learning which combines online lecture educations and e-PBL (Problem Based Learning), its contents validity was assessed by a group of 15 professionals and a group of 15 users. The last 3rd step is for applying and evaluation. The nursing management competency enhancement High-up program developed through contents validity test was evaluated after applying program for 5weeks to 22 nurses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20 nurses as a control group in their 3rd to 5th year in the general hospital, using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in terms of self-leadership, communication ability, critical thinking tendency, and problem-solving ability. The result summarized is as below. 1) 1st step Although the few subjects has been researched on the enhancement of nursing management competency for experienced nurses, this research derived the core notion related to the enhancement of nursing management competency through analyzing the current situation of domestic general hospitals, systematic review for domestic and overseas papers, and contents analysis for FSNM. 2) 2nd step The program has been designed based on HLA model with the contents derived from 12 papers selected through systematic review and the result of the contents analysis for FSNM. The examples that problem-based learning needs have been developed and validity test was conducted by building learning goals for each week, learning contents, time, and the method for progress. For this, both professional group and user group determined with above CVI .8 that the contents of the program is valid. 3) 3rd step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effect of the nursing management competency enhancement High-Up program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terms of self-leadership, communication abil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However, critical thinking tendency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t some points in time. Arbitrational researches which has been conducted until now have their limitation on just reflecting the unique properties of nursing management competency. Program contents subject was selected based on HLA model, and systematic review and the lecture contents of FSNM was analyzed along with nursing management competency. Developing an arbitration program based on reasoning is meaningful. As online distance learning education activates due to COVID-19, a lot of problem arising in learning achievement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learner so that effective and effici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re being discussed and reviewed. In this research, we tried to make two kinds of different education method mutually complement the respective shortcomings by using them, and utilize team learning method to draw the participations of learners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This will become another base stone for the future researches on developing non face-to-face arbitration programs and testing them for the nurses in the post era of COVID-19. It is regarded that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for nursing leaders to induce the positive changes for organizations in the respect of having tried to lead practical understanding on the nursing management competency through the process of solving the cases on problem-based learning in this research. The developed program would have high contribution on the practical area of nursing since it can be used both for online and offline job training for nurses.

      •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유형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김슬기 울산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nalyzed young children’s temperament and the maternal parenting style to determine how these affected the children’s creativ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6 children (aged 3 to 5 years) from who were nine Daycare centers and one Kindergarten in U city and the corresponding 216 parents. The children’s temperament was measured using the Structural of Temperament Questionnaire(STQ) scale, adapted for Children in Korea; the mothers’ Parental Style was measured using the Parental Style Questionnaire(PSQ) scale used by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We used the children’s teachers’ assessments to measure the children’s creativity. Frequency analysis and technical statistics were used to identify general points of key variables. In addition, two-way ANOVA was conducted to determine if there was a difference in children creativity based on temperament, maternal parenting style, age, or gender. 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ren’s temperament and maternal parenting style on children's creativity,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creativity results broken down by age and gender of children. The younger age groups showed a higher prevalence of neuroticism. The male children showed higher motor Tempo than the female children, who also showed a higher prevalence of neuroticism than the male children.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age and gender was shown in the intellectual energy of STQ and unconventionality of creativity. Second, children’s creativi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otor energy, motor tempo, sensitivity to physical sensation, intellectual energy, plasticity,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impulsivity and neuroticism. In addition, widespread thinking, curiosity and immersion in children’s creativi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 warm parenting style, and unconventionali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 controlling parenting style. Finally, motor energy, intellectual energy, plastici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 warm parenting style, whereas sensitivity to physical sensation, impulsivity, and neuroticism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 warm parenting style. Motor energy and intellectual energ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to controlling parenting style. Third, in analyz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children’s temperament and parenting style on the sub–factor of children’s creativity, we found that widespread thinking in children’s creativity correlated with a total of 8% of the motor energy and warm parenting style, and curiosity in children’s creativity was explained by a total of 17% of the warm parenting style, motor energy, neuroticism, sensitivity to physical sensation, immersion in children’s creativity was explained by a total of 10% of the intellectual energy, neuroticism. unconventionality in children’s creativity was explained by a total of 11% of the motor tempo, controlling parenting style, independence in children’s creativity was explained by a total of 6% of the motor tempo. Overall, an analysis of the variables of children’s temperament and maternal parenting styles revealed children’s temperament had more influence on the children’s creativity than did their mothers’ parenting style. In addition, a warm maternal parenting style showed a higher correlation with children’s creativity than did a controlling parnting style.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suggested guidelines for guiding creativity in the home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유형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여 유아의 창의성을 고양시키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먼저 유아의 연령과 성에 따른 유아의 창의성,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유형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으며, 나아가 변인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유형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U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9곳과 유치원 1곳에 재원중인 만 3, 4, 5세 유아와 부모 각 216명이다. 유아의 부모를 대상으로 한 유아의 기질 측정을 위하여 STQ(Structure of Temperament Questionnaire)척도를 한국 유아에 맞게 번안하여 사용하였고, 어머니의 양육유형 측정에는 한국아동패널에서 사용한 양육스타일(The Parental Style Questionnaire, PSQ)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유아의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한 유아의 창의성 측정에는 교사용 유아 창의성 평정 척도를 사용하였다. 주요 변인들의 일반적 사항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이용하였다. 또한 유아의 연령 및 성에 따라 유아 창의성,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유형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고, 유아의 창의성,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유형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유형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목적에 기초하여 연구결과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연령 및 성에 따른 변인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연령에 따른 연구 변인 차이를 본 결과, 기질 중 신경증에서 연령이 낮은 연령이 높은 연령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성에 따른 연구 변인 차이를 본 결과, 기질 중 운동 템포에서 남아가 여아보다 높고, 신경증에서 여아가 남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과 성의 상호작용에서는 창의성 중 탈 규범성과 기질 중 지적 에너지에서 연령과 성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창의성,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유형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아의 창의성은 유아의 기질 중 운동 에너지, 운동 템포, 감각적 추구, 지적 에너지, 유연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충동성, 신경증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유아의 창의성 중 확산적사고, 호기심, 몰입은 어머니의 양육유형 중 온정적 양육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유아의 창의성 중 탈 규범성은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통제적 양육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기질 중 운동 에너지, 지적 에너지, 유연성은 어머니의 양육유형 중 온정적 양육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감각적 추구, 충동성, 신경증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유아의 기질 중 운동 에너지, 지적 에너지는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연령과 성에 따른 변인간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연령이 커질수록 창의성 중 몰입이 더 높은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이 더 높은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아일수록 확산적 사고와 온정적 양육이 더 높은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 창의성의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유형에 대한 상대적인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유아의 창의성 중 확산적 사고는 유아의 기질 중 운동 에너지와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에 의해 총 8%의 변량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창의성 중 호기심은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과 유아의 기질 중 운동 에너지, 신경증, 감각적 추구에 의해 총 17%의 변량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창의성 중 몰입은 유아의 기질 중 지적 에너지와 신경증에 의해 총 10%의 변량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창의성 중 탈 규범성은 유아의 기질 중 운동 템포와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에 의해 총 11%의 변량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창의성 중 독립성은 유아의 기질 중 운동 템포에 의해 총 6%의 변량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창의성이 활발하게 발달할 시기인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의 개인 내적 변인인 기질과 외적 변인인 어머니의 양육유형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것으로 의의가 있다. 전체적으로 창의성의 하위영역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기질의 하위영역과 어머니의 양육유형이 달랐으며, 유아의 기질이 어머니의 양육유형보다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육유형 중 온정적 양육이 통제적 양육보다 창의성의 하위요인과 상관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각 양육유형이 미치는 창의성의 하위영역 또한 달랐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창의성 지도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임상시험 코디네이터로 근무하는 간호사의 근무환경, 직무만족,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슬기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임상시험 코디네이터로 근무하는 간호사의 근무환경, 직무만족,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임상시험코디네이터 간호사를 대상으로 근무환경, 직무만족,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인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대상은 임상시험코디네이터로 1개월 이상 근무한 간호사 113명을 대상으로 2017년 9월 4일부터 10월 26일까지 자료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로 근무환경 측정을 위해 K-PES-NWI를 임상시험코디네이터 실정에 맞게 수정 보완한 24문항, 직무만족은 The Index of Work Satisfaction를 수정 보완한 21문항, 조직몰입은 Organizational Commitment Questionnaire를 번역한 15문항, 이직의도는 이기효[39]가 개발한 도구 5문항을 이용해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사후분석으로 Scheffe test, 각 요인 간의 관계 파악에 상관계수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근무환경은 4점 만점에 평균 2.96점, 영역별로는 간호사와 의사의 협력관계 3.27점, 연구책임자의 능력과 리더십, 간호사에 대한 지지가 3.24점, 양질의 간호를 위한 기반 3.18점, 충분한 인력과 물질적 지원 2.62점, 병원운영에 간호사의 참여는 2.36점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상자의 직무만족은 5점 만점에 평균 3.26점, 영역별로는 업무요구 3.76점, 상호작용 3.70점, 전문직 수준 3.55점, 행정 3.20점, 자율성 2.68점, 보수 2.43점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상자의 조직몰입은 7점 만점에 평균 4.25점, 영역별로는 근속 4.48점, 애착 4.20점, 동일시 3.86점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상자의 이직의도는 5점 만점에 평균 2.89점이었다. 다섯째, 변수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근무환경은 직무만족(r=.632, p<.001), 조직몰입(r=.465,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 이직의도(r=-.301, p<.001)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직무만족은 조직몰입(r=.641,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 이직의도(r=-.473, p<.001)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조직몰입은 이직의도(r=-.655, p<.001)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여섯째,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한 결과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F=4.807, p<.001), 모형 설명력은 54%이었다. 임상시험코디네이터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조직몰입(β=-0.537, p<0.001)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임상시험코디네이터의 근무환경, 직무만족,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영향력이 있는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근무환경 개선,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 증진, 이직의도 감소를 위한 중재방안이 필요하겠다. 임상시험코디네이터 간호사의 병원 운영 및 행정에 대한 참여 기회 증가, 소속감 향상을 위한 소속기관 확립과 같은 제도적인 조치가 병원 차원에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주요어: 임상시험코디네이터, 간호사, 근무환경,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