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포항공단 근로자의 산업안전교육 실태분석

        김도희 영남대학교 공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63

        포항공단 근로자의 산업안전 교육실태분석 金 度 希 嶺南大學校 工學大學院 産業安全學科 産業安全 專攻 要 約 본 논문은 포항지역 공단 근로자 150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안전의식 수준과 실태를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산업현장 근로자들의 안전에 관한 의식 수준, 안전교육의 실태 및 필요성, 안전교육의 법적, 제도적 문제점 등 다양한 각도에서 산업안전보건 교육에 대한 현 실태와 문제점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안전교육이 안전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는 하지만 실효성에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따라서 교육방법을 강의식 보다는 시청각교육과 경험담 위주의 교육으로 변화를 주어 더욱 실효성 있는 교육방법을 도입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그리고 안전의식 강화를 위한 사업주의 마인드가 무엇보다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같은 개선방법을 제시하였다. 첫째, 산업안전 보건교육관련 법적 제도적 정비를 통해 근로자 모두가 교육을 이수하여 산업재해를 당하는 일이 없도록 하여야 하며, 둘째, 산업안전 보건교육 및 작업환경 개선을 통해 효과적인 시청각교육과 재해를 방지할 수 있는 작업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결론을 도출 하였다. 셋째, 산업안전 보건교육 방법론의 변화이다. 피교육자가 스스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연령, 학력, 근무연수등을 고려한 경험과 사례발표 위주의 교육과 시청각을 활용한 교육을 도입하자는 것이다. 재해예방을 위해서는 관계부처, 전문가, 사업주, 근로자들의 공동의 노력과 효과적인 교육시스템 개발을 통해 현재 산업안전교육의 이론교육과 현장실무의 차이를 줄여나간다면 형식적인 업무상 절차가 아닌 안전을 위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산업안전보건교육이 가능할 것이다.

      • 전국체전 개최에 따른 경기장시설의 적정수요에 대한 연구

        김도희 동신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 문 초 록 전국체육대회 개최에 따른 경기장시설의 적정수요에 대한 연구 김도희 동신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지도교수 : 정성필) 이 연구는 전국체육대회의 개최에 따른 대회시설의 종목별 규모에 대해 살펴보고, 전국체전을 준비하는데 필요시설의 규모를 분석하며, 적정한 추가 시설의 수요를 검토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으로 전국체전을 준비하고 있는 목포시의 지역 내 생활체육시설, 전문체육시설, 학교체육시설 등을 단위 공간으로 변수화하고 전국체육대회를 개최하기 위한 각 종목별 경기장의 규모와 이용수요에 대한 실증조사를 수행하였다. 또한, 전국체전 종목의 경기장 규격을 기준으로 전국체육대회가 열리는 지역의 실태조사를 통해 실증분석을 위하여 활용이 가능하거나 신축(증설) 또는 리모델링이 필요한 시설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목적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그 결과 리모델링 또는 신축이 필요할 것으로 검토된 시설의 필요 면적 합계는 약 521,925㎡으로 조사되었으며, 신축되어야 할 종목에 대한 필요면적은 약 6,167㎡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기존 체육시설의 안정성, 노후도, 생활체육시설의 미래상 등을 고려하면 노후도가 심한 경기장의 이전 신축(증설)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트랙 종합경기장 1개소, 실내 종합경기장 1∼2개소가 신설될 경우 대회 개최가 안정적일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체육시설의 규모 선정과 효율적 체육시설의 설치에 대한 결과 값 비교 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가 전국체육대회를 개최함에 있어 상대적으로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다는 점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에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단순한 지역 논리에 의해 체육시설을 신설 또는 개보수 하기 보다는 다양한 지역 여건을 고려하여 지역에 맞는 맞춤형 정책으로 변화를 시도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전국체육대회가 개최되는 지역을 공간적 범위로 선정하여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수요정책을 시행함으로써 각 실제 지역의 시설물의 활용 가능성과 효율적 관리의 방안을 미시적으로 분석하고 정책의 순기능을 극대화하는데 기여하며 정책 신뢰도를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빛과 공간의 표현 특성을 활용한 미디어 퍼포먼스 공간연출 효과

        김도희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빛을 활용한 공간 연출은 극적으로 공간에 생명력과 역동성을 불어 넣는다. 공간에서 빛의 중요성은 "공간을 디자인한다는 것은 빛을 디자인하는 것이다."라는 칸의 말을 통해서도 확인 할 수 있다. 빛과 공간예술(Light and Space Art)은 빛 자체에 집중하여 빛을 독립적 매체로 인식하였고, 빛의 특성을 살려 시각적 이미지와 새로운 공간을 창조하였다. 빛과 공간예술과 미디어 퍼포먼스는 다른 예술장르이지만 관람자에게 시각적 경험을 제공하고 관객의 몰입을 유도하는 점에서 빛과 공간의 본질적인 역할이 서로 통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빛 자체가 독립 매체로서 작품의 재료로 사용되기 시작한 배경을 라이트아트(Light Art)와 빛과 공간예술(Light and Space Art)을 통해 기술하고, 아돌프 아피아(Adolphe Appia)와 로버트 윌슨(Robert Wilson)의 조명 미학을 통하여 미디어 퍼포먼스에서 독립된 매체로서의 빛(조명) 활용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빛과 공간의 표현 특성 연구를 바탕으로 빛과 공간을 표현 수단으로 하는 제임스 터렐(James Turrell)과 올라퍼 앨리아슨(Olafur Eliasson), 앤소니 맥콜(Antony McCall)의 작품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빛이 작품과 관객의 소통을 연결하는 수단으로 활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빛이 독립된 표현 매체로서 활용 되었을 때 미디어 퍼포먼스 공간 연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해석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빛을 무대를 비추는 보조수단이 아닌 독립된 매체로 활용하고 있는 미디어 퍼포먼스, 제니퍼 로페즈(Jennifer Lopez)의 'Feel the Light'과 비의 '최고의 선물' 그리고 본 연구자가 참여한 작품 '겨울의 사랑'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빛과 공간의 표현적 특성을 활용한 미디어 퍼포먼스의 공간연출 효과를 현장감, 관객과의 소통 그리고 몰입, 세 가지 요소로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퍼포먼스를 연출함에 있어 조명 즉, 빛을 다른 대상을 비추기 위해 사용되는 보조수단이 아닌 독립된 매체로서 활용 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자 함이며, 빛을 통한 무대공간의 확장이 공간의 변화, 창조 가능성을 풍부하게 하여 퍼포먼스의 발전에 많은 영향 줄 것이라 기대하는 바이다. Creation of space using light gives life and dynamics to space dramatically. As Louis Kahn said ""Designing a space is designing a light." , light accounts for a great part of space. Light and Space Art recognized a light as an independent medium, focusing on the light itself and created visual images and new spaces, making the best use of its characteristics. Light and Space Art and media performance are different genres but they have in common in that they provide viewers with visual experience and induce them to be immersed.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described the background in which the light itself began to be used as an independent medium and a material for a work through Light Art and Light and Space Art and proposed a direction of the utilization of lighting as an independent medium through the lighting aesthetics of Adolphe Appia and Robert Wilson. In addition, based on the studie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isting expressions of light and space, this study analyzed the works produced by James Turrell, Olafur Eliasson and Antony McCall, which use the light and space as a means of expression.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the light could be utilized as a means to connec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work and the audience, and it was interpreted that the utilization of the light as an independent medium of expression could bring about a positive effect on the production of a media performance space. In order to ascertain the aforementioned argument, a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media performances that utilize the light as an independent medium, instead of an aid that shines the stage, Jennifer Lopez’s Feel the Light, Pop Singer Rain's The Best Present and the work in which this researcher participated, Winter Love. Based on this, the effect of media performances utilizing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light and space on the space production was classified into three elements, including the sense of realism,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and immersion.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at lighting, that is, the light can be utilized as an independent medium, instead of an aid used to shine other objects in directing a performance, and it is expected that the expansion of the stage space through the light will enrich the possibility of creation and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the performance.

      • 클릭 반응을 통한 64Cu 표지 엑소좀의 림프절 이미징 연구

        김도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Exosomes are double-layered lipid vesicles which are generated from endosomes and released outside cells. Recently, drug delivery and development of biomarker using exosomes are actively studied by many researchers. Although establishment of biodistribution of exosomes is required for clinical use of exosomes, difficulty in bioimaging of exosomes and damage to exosome viability remain challenges in pharmacokinetic evaluation of exosomes. For biomedical application of exosomes, we need safer and more accurate method monitoring biodistribution of exosomes. Meanwhile, tumor-derived exosomes can present antigen to immune cells, which are localized to lymph node. Dendritic cells are activated to antigen-presenting cells, when they meet tumor-associated antigens. Antigen-presenting cells induce formation of cytotoxic CD8+ T cells. Thus, visualizing distribution of exosomes to lymphatic system is important to research on immunotherapy. In this study, we performed lymph node imaging using exosomes labeled with radioisotope via click reaction in mouse. 엑소좀은 세포의 엔도좀에서 기원하여 세포 밖으로 분비되는 지질 이중층 막 소포체이다. 최근 나노 수송체로서의 엑소좀을 활용한 약물 전달 연구와 엑소좀의 특정 단백질 또는 유전자를 질병 진단을 위한 생체지표로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엑소좀이 임상에서 활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엑소좀의 생체 내 거동 평가법의 확립이 필요하다. 그러나, 영상화의 어려움과 시각화를 위한 표지 과정에서의 엑소좀 활성 손상 등 엑소좀의 체내 동태 파악에 있어 아직 해결해야 할 난제들이 남아 있다. 엑소좀의 생의학적 응용을 위해서는 엑소좀의 효능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엑소좀의 체내 분포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비침습적이고 정확한 방법이 필요하다. 한편, 종양 세포 유래 엑소좀은 항원 제시 기능을 할 수 있으며, 다수의 면역세포들이 폐색되어 있는 림프로 이행 가능하다. 수지상세포는 종양 관련 항원을 만나면 항원을 T세포에 교차 제시할 수 있는 항원제공세포로 활성화되며, 항원제공세포는 종양 세포를 죽일 수 있는 종양 항원 특이성 CD8+ T세포의 생성을 유도한다. 따라서 종양 세포 유래 엑소좀의 림프 이행을 시각화하는 일은 면역 요법 연구에 있어서도 중요성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클릭 화학을 통하여 엑소좀에 방사성동위원소를 표지한 후 마우스 체내에 주입하였을 때 림프 이행 여부를 PET/CT로 모니터링하였다.

      • 호두 및 과·채수를 첨가한 기능성 강화 된장 개발 및 제품화 연구

        김도희 호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된장을 제조할 때 호두, 채수 및 과채수를 첨가하여 기능성 강화 된장을 개발하였다. 이의 이화학적 및 항산화 효과를 분석하여 채수 및 과채수가 된장의 기능성 강화에 영향을 끼치는지 탐색하고, 제품화하였다. 물 대신 사용할 채수 및 과채수를 3종씩 제조하여 항산화 활성 측정 실험을 통해 기능성이 높은 채수 및 과채수의 제조비율을 확립하였다. 또한, 지방산 분석과 관능평가로 메주와 호두의 혼합비율을 설정하였다. 채수(VCE: Vegetable complex extract)는 무, 당근, 대파, 양파, 건 표고버섯 5가지 채소의 비율을 달리하여 3종의 VCE1, VCE2, VCE3으로 하였고, 과채수(FVCE: Fruit and Vegetable complex extract)는 사과, 비트, 당근 3가지 과일 및 채소의 비율을 달리하여 3종의 FVCE1, FVCE2, FVCE3으로 제조하였다. 채수에서는 VCE3이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5.47±0.00 mgRE/g, ABTs radical 소거활성 25.74±0.79%으로 항산화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과채수에서는 FVCE2가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1.27±0.00 mgCE/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1.31±0.00 mgRE/g, SOD 유사활성 45.19±0.16%, 환원력 1.32±0.00 mgBHT/g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VCE3과 FVCE2를 물 대신 염수 제조에 사용할 추출물로 각각 선발하였다. 메주·호두 혼합 발효물의 지방산 분석 결과, 호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지방산 함량이 높았고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호두 30%첨가군은 향, 고소한 맛, 기호도에서 좋게 나타나 이를 호두 첨가량으로 확립하였다. 메주에 호두 30%를 첨가하여 40℃에서 48시간 발효한 것과 선정된 채수(VCE3: 무·당근·대파·양파 각 22%, 건 표고버섯 11.2%)와 과채수(FVCE2: 사과·비트 각 40%, 당근 20%)에 천일염을 첨가하여 16%의 염수로 된장을 제조하였다. 된장은 40℃에서 5일, 상온과 냉장온도를 반복하여 25일간 발효·숙성시켜 완성하였다. 된장은 수분 함량 약 60% 이상, 조단백질 함량 4∼10%, 조지방 함량 1∼2%, 조회분 함량 10∼11%, 총 탄수화물 함량 8∼17%, pH 4.9의 약산성, 당도 3°Brix, 염도 2%로 나타났다. 식염 함량은 약 80% 이상, 총당은 50% 이상, 아미노태 질소는 6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정확한 실험을 위하여 모든 된장을 균질화하여 측정한 색도는 명도, 적색도, 황색도 값이 대체로 비슷하였다.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13∼14 mgTA/g,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9∼10 mgQE/g, DPPH radical 소거능과 Hydroxyl radical 소거능은 10∼20%, SOD 유사활성과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30∼50%, 환원력과 FRAP은 9∼11 mgTE/g로 나타났다. 호두의 첨가는 기존 메주에 함유된 불포화지방산 함량을 더욱 증가시켰고, 된장의 기능성이 강화되는 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채수 및 과채수도 기능성 강화 된장 개발에 영향을 미쳤고, 염수 제조 시 물을 대신하여 사용할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In this study, functional-enhanced Doenjang was developed by adding walnuts, vegetable complex extracts, fruit·vegetable complex extracts when making Doenjang. By analyzing its chemical and antioxidant effects, it was searched and commercialized to see if vegetable complex extracts and fruit·vegetable complex extracts affect the functional enhancement of Doenjang. Three types of vegetable complex extracts and fruit·vegetable complex extracts to be used instead of water were prepared, and the production ratio of high functional vegetable complex extracts and fruit·vegetable complex extracts was selected through an antioxidant activity measurement experiment. In addition, fatty acid analysis and sensual evaluation were performed to select the mixing ratio of fermented Doenjang and walnuts. In the vegetable complex extracts, VCE3 showed high antioxidant effect with a total flavonoid contents of 5.47±0.00 mgRE/g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25.74±0.79%. In the fruit·vegetable complex extracts, the total phenolic acid contents of 1.27±0.00 mgCE/g, the total flavonoid contents of 1.31±0.00 mgRE/g, SOD-like activity of 45.19±0.16%, and the reducing power of 1.32±0.00 mgBHT/g were high. Therefore, VCE3 and FFCE2 were selected as extracts to be used in the preparation of brine instead of water. As a result of fatty acid analysis, the content of fatty acid was high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lnut added, and the content of unsaturated fatty acid was increased. The sensory characteristics showed good flavor, savory taste, and preference in the 30% walnut-added group. Therefore, the amount of walnut added was selected as 30%. 30% of walnuts were added to the meju and fermented at 40°C for 48 hours, and Doenjang was prepared with salinity of 16% using selected vegetable complex extracts and fruit·vegetable complex extracts, respectively. Doenjang was completed by fermenting and aging at 40°C for 5 days and repeating room temperature and refrigerating temperature for 25 days. Doenjang was found to have a moisture content of more than 60%, a crude protein content of 4∼10%, a crude fat content of 1∼2%, a inquiry content of 10∼11%, a total carbohydrate content of 8∼17, a pH of 4.9, a sugar content of 3°Brix, and a salinity of 2%. The sodium chloride contents was higher than about 80%, total sugar contents was higher than 50%, and amino nitrogen contents was higher than 60%. Since all Doenjang was homogenized for accurate experiments, the lightness, redness, and yellowness values were generally similar. The total phenolic contents were 13∼14 mgTA/g,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9∼10 mgQE/g,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10∼20%, SOD-liked activity and AB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30∼50%, and reducing power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were 9∼11 mgTE/g. The addition of walnuts maximized the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of existing meju and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strengthening the function of Doenjang. Coloring and fruit trees also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function-enhancing Doenjang, and it judged to be suitable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brine and Doenjang as it is used instead of water and shows the possibility of use as brine and Doenjang development.

      • Phytoncide 처리가 신선편이 양상추의 갈변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김도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effect of phytoncide solution treatment on the browning and quality of fresh-cut iceburg lettuce during storage was studied. The treatments were applied as 4 solutions adjusted at 10℃: distilled water (DW) as control; edible ethanol (EE); 1% (v/v) phytoncide essential oil from pine needle diluted with distilled water (DP); 1% (v/v) phytoncide essential oil diluted with edible ethanol (EP). Fresh-cut lettuce were dipped in the each solutions for 60 seconds and rinsed with distilled water and then packaged with OPP film bag, stored at 4℃ for 12 days. EP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 L* values and low a*, ∆E values, browning index, total phenolic compounds, activity of enzymes related to browning (PPO, POD, PAL) and total number of aerobic bacteria. It means that EP treatment is effective to inhibit the browning. Total number of aerobic bacteria increased over 5.0 log CFU/g, the general acceptance standard of food tolerance limit, in DW and DP group. The number in EP group kept under 5.0 log CFU/g until 9 days of storage. It suggest that EP treatment is effective in control of microbial growth. Sensory score of color in EP group recorded high value, but the group of EE and EP recorded low scores in aroma and taste as the storage period. Alcohol and phytoncide was vaporized by opening the package for 2 hours, the score of aroma and taste of EP showed no differences with any other groups. Monoterpenes and sesquiterpenes were major volatile compound, and the content of dl-limonene was the highest (34.58%). The enzyme activities of polyphenol oxidase (PPO), peroxidase (POD) and phenylalanine ammonia lyase (PAL) which are strongly involved in the browning of fresh-cut lettuce were measured. Among the 4 treatments, all the enzyme activity in EP group was the lowest. Through the above results, the phytoncide essential oil diluted in edible alcohol with 1% solution inhibited the browning and microbial growth in fresh-cut lettuce and it will be useful natural compound in maintaining the quality of fresh-cut produces.

      • 여고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및 희망과 역기능적 진로사고의 관계

        김도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여고생을 대상으로 여고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및 희망과 역기능적 진로사고의 관계를 분석하고, 부모의 양육태도와 희망이 여고생들의 역기능적 진로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진로상담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여고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및 희망과 역기능적 진로사고 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나. 여고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및 희망과 역기능적 진로사고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다. 여고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및 희망은 역기능적 진로사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농어촌에 접경한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전문계 여자고등학교 1, 2학년 학생 28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다음과 같다. 지각된 부모양육태도 조사를 위해 오성심과 이종승(1982)이 제작한 부모의 양육태도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희망척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강이영(2002)이 번안한 Snyder(1991)의 특성희망척도와 Snyder 등(1996)의 상태희망척도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역기능적 진로사고 척도는 Sampson, Peterson, Lentz, Reardon 및 Saunders(1996)에 의해 개발된 진로사고검사(Career Thought Inventory:CTI)를 이재창·최인화·박미진(2003)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모든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차이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고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희망은 역기능적 진로사고에 유의미한 부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고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긍정적일수록, 희망 수준이 높을수록 여고생의 역기능적 진로사고는 감소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여고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역기능적 진로사고는 양육태도 하위요인인 애정-적대, 자율-통제, 성취-비성취, 합리-비합리 모두 역기능적 진로사고전체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여고생이 부모의 양육태도를 애정, 자율, 성취, 합리적으로 지각할수록 역기능적 진로사고를 적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여고생의 희망수준에 따른 역기능적 진로사고의 차이는, 전체적인 희망의 정도가 높을수록 여고생들이 역기능적 진로사고를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고생이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태도의 하위요인들 중 자율-통제가 역기능적 진로사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나머지 하위요인들은 역기능적 진로사고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역기능적 진로사고의 하위요인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의사결정혼란에서는 자율-통제, 외적갈등에서는 합리-비합리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행불안에서는 4가지 차원의 하위요인 모두 역기능적 진로사고에 대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여고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역기능적 진로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하위요인들 중 자율-통제, 성취-비성취 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의 하위요인인 애정-적대, 합리-비합리의 경우 역기능적 진로사고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역기능적 진로사고의 하위요인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의사결정혼란에서 애정-적대, 자율-통제, 성취-비성취가 각각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적갈등에서는 자율-통제, 합리-비합리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행불안에서는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마찬가지로 4가지 차원의 하위요인 모두 역기능적 진로사고에 대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희망이 역기능적 진로사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희망의 하위요인중 주도사고가 역기능적 진로사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로사고의 경우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nalyzing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al rearing attitude, hope and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perceived by high school girls, and providing basic information of effective career consultation by understanding how influence parental rearing attitude and hop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A. What relationships are there among parental rearing attitude, hope and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B. What are the differences among parental rearing attitude, hope and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c. What are the influences of parental rearing attitude and hope for the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The research data was collected from 2rd graders from a girls' high school on the outskirts of Seoul.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parental rearing attitude scale」(Oh, Sung-Sim and Lee, Jong-Seung, 1982),「State Hope Scale and Trait Hope Scale」(Kang, Yi-Young, 2002),「Career thoughts Inventory : CTI」(Lee Jeachang, Choi Inhaw and Park Mijin, 2003). The data was analyzed by difference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WIN 12.0 program packag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mong parental rearing attitude and hope for the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it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in parental career attitudes and hope for the girl. Secon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by parental rearing attitudes, both parents(mother and father)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disfunctional career thoughts by sub-factors, and in affection vs hostility, self-control vs regulation, achievement vs nonachievement, rational vs irrational each. According to the result of disfunctional career thoughts by Hope Scale of the girl, it showed that the more she has high grade of hope, the less she has disfuctional career thoughts. Third, According to the influences of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by parental rearing attitudes, self-control and regulation have influence on the sub-factors of father's rearing attitude, but other sub-factors don't. According to father’s rearing attitude influenced on sub-factors of career thoughts, self-control vs regulation affects decision making confusion and rationality vs irrationality affects external conflict. And, It is shown that mother’s rearing attitude influenced on sub-factors of self-control vs regulation and achievement vs nonachievement, however it doesn’t affect other sub-factors such as affection vs hostility and rationality vs irrationality. According to mother’s rearing attitude influenced on sub-factors of career thoughts, self-control vs regulation, affection vs hostility, achievement vs nonachievement, affects decision making confusion and rationality vs irrationality affects external conflict. And, according to the influences of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by hope, agent thinking have influence on the sub-factors of hope, but other sub-factors don't.

      • PDGF-AB가 성인 중간엽 줄기세포의 성장인자 조절 및 증식에 미치는 영향

        김도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배아줄기세포(Embryonic Stem Cell, ES Cell)는 무한증식이 가능하고, 다양한 조직의 세포로도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세포로서,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임상적인 치료에 이용하려는 연구가 많이 수행되고 있다. 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에 있어 자가재생이 불가능하다고 알려진 심장질환의 치료를 위해 줄기세포의 심근세포로의 분화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사람의 성인 중간엽 줄기세포를 이용한 연구에서 5''-azacytidine을 제외한 분화유도 물질이나 관련 성장인자들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져 있지 않다. 최근 유사분열 인자로만 알려진 PDGF-AB가 중간엽 줄기세포의 이식에서 심근세포로의 분화에 연관되어 있음이 밝혀졌으나, 사람의 성인 중간엽 줄기세포를 이용한 심근세포로의 분화에 있어서는 그 영향이나 기전에 대해 알려진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사람의 성인 중간엽 줄기세포가 심근세포로 분화하는데 있어 PDGF-AB가 5‘-azacytidine에 의한 심근세포로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어떠한 신호전달기작을 통하여 PDGF-AB의 신호를 세포내로 전달하는가를 확인코자 하였다. 사람의 성인 중간엽 줄기세포를 심근세포로 분화시키기 위하여 5''-azacytidine을 처리하였으며, 심근세포 분화에 관한 PDGF-AB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5''-azacytidine, 5''-azacytidine 및 PDGF-AB 그리고 PDGF-AB 와 heparin 처리구의 세 처리구로 나누어 2주간 실험을 실시하였다. 심근세포로의 분화유도 후 심근 특이적 표지인자인 troponin-I를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 5''-azacytidine 처리구와 5''-azacytidine 및 PDGF-AB 처리구에서 심근세포로의 분화를 확인하였다. PDGF-A의 발현은 모든 처리구에서 확인되었으며, 이는 PDGF-A의 발현이 PDGF-AB 처리에 의한 영향 뿐 아니라 5‘-azacytidine에 의한 심근세포 분화유도에 의해서도 유도되고, PDGF-AB 처리 및 심근세포 분화에 따라 PDGF-A의 발현에 부가적 영향(additive effect)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PDGF-B의 발현은 모든 처리구에서 분화유도 후기에 확인되었으며, VEGF의 발현은 5''-azacytidine과 PDGF-AB를 동시에 처리해 준 처리구에서만 확인되었다. 한편 TGF-β의 발현은 모든 처리구에서 일정하게 나타남으로써 심근세포로의 분화에 있어 직접적인 작용보다는 paracrine을 통해 분화에 관여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심근세포로의 분화에 의해 조성되는 환경은 명확히 규명되어 있지 않으나, 5’-azacytidine을 이용한 심근세포로의 분화에 있어 PDGF-AB의 처리는 PDGF-A의 발현을 조절하고, 이는 혈관신생에 필수적 성장인자인 VEGF의 발현을 유도하였다. 특히 PDGF-AB와 heparin 처리구에서 troponin-I의 발현은 확인되지 않았으나, PDGF-A, -B 및 β-actin의 발현은 확인 되었으며, 이는 성인 중간엽 줄기세포가 heparin과 PDGF-AB에 의해 근세포로 분화하였을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PDGF-AB의 영향은 성인 중간엽 줄기세포에서 주로 PI3K와 MAPK 신호전달기작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JAK-STAT 신호전달기작에 의한 영향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PDGF-AB는 심근세포로의 분화를 직접적으로 유도할 수는 없으나 심혈관계 세포로의 분화에 있어 성장인자의 발현을 조절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Mesenchymal stem cells (MSCs) have practical benefits with respect to immune rejection and teratogenesis. Due to these characteristics, many researches have utilized MSCs in stem cell therapy to cure cardiac diseases. However, because of limited self-regenerative capability of cardiomyocytes in vivo, there were very few reports on the differentiation of MSCs to cardiomyocytes using growth factors and other chemicals. Very recently, there was a report that PDGF-AB was involved in cardiomyocyte differentiation when mouse MSCs were transplanted into cardiac tissues in mouse. But, there was no trial report using a human origin. In this study, therefore, the effects of PDGF-AB on cardiomyocyte differentiation and its signal transduction in human MSCs (hMSCs) were investigated. Human MSCs were treated with 5''-azacytidine only, 5''-azacytidine+PDGF-AB, and PDGF-AB+heparin, respectively. After 2-weeks of treatment, cardiomyogenic differentiation of hMSCs was analyzed by RT-PCR using PDGF-A, PDGF-B, VEGF and TGF-β primers and immunocytochemistry using cardiac specific troponin-I antibody. The expression of PDGF-A was regulated by both PDGF-AB and 5''-azacytidine treatment, and their effects were additive. In contrast, PDGF-B expression was confirmed in all treatment groups. VEGF was only expressed in 5''-azacytidine+PDGF-AB treated group, whereas TGF-β was expressed analogously in all treatment groups, which was thought to be related to differentiation via paracrine effect. Although the microenvironment induced by differentiated cardiomyocytes was not precisely characterized, addition of PDGF-AB to differentiated cardiomyocytes by 5''-azacytidine induced the expression of PDGF-A and VEGF, implying the indirect involvement of PDGF-AB in angiogenesis. Especially, PDGF-AB+heparin treated group showed expression of PDGF-A, -B, and β-actin except troponin-I, indicating that PDGF-AB+heparin treatment might induce myocyte differentiation. Furthermore, PDGF-AB stimulated the proliferation of hMSCs mainly through PI3K and MAPK signal pathways (P<0.05) but not through JAK-STAT signaling route. Taken together, PDGF-AB did not directly induce cardiomyogenic differentiation of hMSCs but regulate the expression of growth factors during cardiomyocyte differentiation.

      • 임신부의 영양섭취상태 및 건강위험요인이 임신 결과에 미치는 영향

        김도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서울 지역 임신부들의 영양 섭취 실태와 건강 위험 인자를 조사하고, 임신부의 영양 상태와 건강 위험인자가 임신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조사 대상자는 서울 소재 3개의 종합병원을 내원한 평균 연령 30.1±3.5세의 임신부 564명이었다. 조사 대상 임신부의 일반사항, 신체 계측치, 과거 임신 결과, 식습관 등은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고, 영양소 섭취량은 반정량식품섭취빈도법(semiquantified food frequency questionnaire)을 이용하였으며, 임신 결과는 병원의 의료기록을 통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 대상 임신부의 에너지와 단백질 섭취량은 각각 2519.7±804.8kcal와 98.2±38.8g이었으며, 칼슘과 철분을 제외한 모든 영양소의 섭취량이 권장량을 상회하고 있었다. 신생아 Apgar score를 7점 미만과 7점 이상의 두 군으로 나누어 조사 대상 임신부의 영양소 섭취량을 비교한 결과, 5분에 측정한 Apgar score가 높은 군의 비타민 B_(2) 섭취량이 점수가 낮은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본 조사 대상자의 신체 계측치가 임신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신생아 출생 체중은 임신부의 신장(p<0.05), 임신 전 체중(p<0.001), 임신 중 총 체중 증가량(p<0.001)과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임신부의 임신 전 BMI는 임신 중 총 체중증가량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p<0.01), 신생아 출생 체중과는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p<0.05). 본 연구에서 임신 전 BMI로 조사 대상자를 저체중군(<18.5), 정상체중군 (18.5∼22.9), 과체중군(≥23)으로 분류하여 과거 임신 결과를 비교한 결과, 저체중군의 자연 유산 경험이 정상체중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OR 0.43, Cl 0.22∼0.82). 과체중군에서는 사산 경험(OR 4.21, Cl 1.19∼14.93), 저체중아 출산 경험(OR 6.24, Cl 1.03∼38.00)이 정상체중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과체중군은 재태기간도 유의적으로 짧았다(p<0.01). 또한 과체중군은 정상체중군보다 제왕절개수술 방법으로 분만하는 경우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OR 1.80, Cl 1.13∼l,89), 과체중군의 반 이상인 52% 제왕절개수술 방법으로 분만하고 있었다. 흡연이 임신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흡연군의 제왕절개수술 대응비가 비흡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OR 1.80, Cl 1.02∼3.17), 다른 임신결과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음주 경험이 있는 임신부가 출산한 신생아의 1분에서 측정한 Apgar score는 음주 경험이 없는 임신부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본 연구 결과 서울 지역 임신부는 영양상태가 비교적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과체중 ·저체중과 같은 부적절한 임신 전 BMI와 음주, 흡연 등과 같은 건강 위험 요인이 임신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 나타났다. 따라서 유산, 사산, 낮은 Apgar 점수와 같이 좋지 않은 임신 결과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임신 전부터 체중관리를 하고, 술과 담배와 같은 건강 위험 요인들은 피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effects of maternal nutritional status and risk factors on pregnancy outcome. The subjects were 564 pregnant women aged 30.1±3.5 years in Seoul from 2001 through 2002. General and obstetric characteristics,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eating habits were surveyed by trained interviewers. Nutrient intakes were collected using the method of semiquantified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Pregnancy outcome collected after delivery. The mean energy and protein intakes of pregnant women were 2519.7±804.8kcal and 98.2±38.8g, respectively. Mean intakes of all nutrients except calcium and iron exceeded 100% of RDA for pregnant women. And the positive association has been found between vitamin B_(2) intake and Apgar score at 5 minutes (p<0.05). Pregnant total weight gain was 14.4±4.4kg, which was showed normal weight gain. The mean birth weight of neonates was 3.25±0.46kg. Infant weight at birth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aternal height (p<0.05), pre-gravid weight(p<0.001), and total weight gain(p<0.001) of pregnant women. Maternal pre-gravid BMI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otal weight gain(p<0.01), and pre-gravid BMI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fant birth weight(p<0.05).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on pre-gravid BMI: low weight(pre-gravid BMI≤18.5), normal weight(18.5<pre-gravid BMI<23.0),over weight(pre-gravid BMI≥23.0). Maternal overweight was a higher risk of sitll birth(OR 4.21, CI 1.19∼14.93), low birth weight(OR 0.43, CI 0.22∼0.82) and cesarean deliveries(OR 1.80, CI 1.13∼1.89). Smoking and alcohol consumption during pregnancy were associated with adverse outcomes. Smoking experience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cesarean deliveries (OR 1.80, CI 1.02∼3.17). And alcohol consumption group showed lower Apgar scores at Imin than control (p<0.05).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nutritional status of pregnant women was adequate to support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fetus. Pre-gravid counseling about reducing smoking or alcohol consumption, and optimizing maternal weight is needed to decrease adverse outco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