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생의 스포츠 활동 참가와 자기효능감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곽지영 서울시립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중학생의 스포츠활동 참가와 자기효능감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학과 곽지영 지도교수 김설향 이 연구는 중학생의 스포츠 참여정도와 자기효능감 및 자아존중감의 관계를 분석하여 청소년기의 스포츠 활동의 중요성을 재 규명하고, 그 결과 활용 및 학생들의 체육활동 동기유발을 하며, 체육학의 지식체 형성 및 체육수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중계동에 위치한 B중학교 학생 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표집 하였다. 자료 표집 후 불성실하다고 판단되는 자료는 분석에서 제외하였고, 최종적으로 291부의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사전검사를 통하여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총 44문항의 설문지를 통하여 표집 된 자료를 처리하기 위해 SPSSWIN Version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일원변량분석, 중다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주관적 건강에 따른 자기효능감(자기효능감 p=.011; 과제난이도 p=.043)과 자아존중감(자기비하 p=.006)은 차이가 있었다. 둘째, 스포츠 활동 참가는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었다. 셋째, 스포츠 활동 참가는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었다. 넷째, 자기효능감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었다. 다섯째, 스포츠 활동 참가와 자기효능감 및 자아존중감은 인과적 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스포츠 활동 참가는 중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에 직ㆍ간접적으로 인과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스포츠 활동 참가는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The Relationship between Sport Participation, Self-Efficacy, and Self-Esteem i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t University of Seoul Kwak, Ji-young, Advisor: Kim, Seol-hyang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sport participation, self-efficacy and self-esteem i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order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sport activities in adolescence, utilize the results of it and motivate their physical activities, and establish a body of knowledge in physical education and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is research has as its subjects 300 students from B Junior High School located in Junggye-dong in Seoul. It conducted a survey to collect the data. After the data collection, it excluded the results that seemed unreliable from analysis. The data used for the final analysis were 291 questionnaire sheets. Through the pre-te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tems were inspected, and a total of 44 items were used in the questionnaire. To process the data collected, this paper performed path analysis through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WIN Version 15.0 program. Using the methods and procedures described above, this article g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students' self-efficacy(self-efficacy p=.011;difficulty of task p=.043) and self-esteem(self-abasement p=.006) differed based on their subjective judgment on their health. Second, their sport participation affected their self-efficacy. Third, their sport participation influenced their self-esteem. Fourth, their self-efficacy affected their self-esteem. Fifth, this suggests that sport participation correlates to self-efficacy and self-esteem. In conclusion, there was either direct or indirect correlation between junior high school students’sport participation and their self-efficacy and self-esteem.

      • 미국 영어와 한국어에서의 공손성 비교 연구 : 대학생들의 칭찬과 칭찬 반응 화행을 중심으로

        곽지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와 미국 영어에서 공손성(politeness)의 실현 양상을 비교·분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한국 대학생과 미국 대학생의 칭찬(compliment) 및 칭찬 반응(compliment response) 화행에서의 공손 전략 사용을, Brown과 Levinson(1987)의 체면 유지 이론에 근거하여 비교함으로써 두 언어의 사회언어학적 유사성과 차이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것은 본 연구의 목적이 두 집단의 언어 사용을 비교하는 것이므로 사용 언어를 제외한 연령, 교육 수준 등을 유사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공손은 그 개념이나 구현 방식이 문화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모국어 화자간의 상호작용뿐만 아니라 문화 간 상호작용 모두에서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 칭찬은 대화 참여자간의 유대감을 형성, 유지하고 청자의 적극적 체면을 보호하는 적극적 공손 전략의 하나이나 화자와 청자의 체면 손상을 다 각도에서 야기할 수 있는 일종의 체면 위협 행위가 될 수 있다. 대화 참여자들의 체면이 위협받게 되는 상황에서 이 위협을 최소화하고 서로의 체면을 지키기 위해 사용하는 전략이 공손 전략인데 적절한 전략 선택은 언어와 문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는 두 집단 화자들의 칭찬과 칭찬 반응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서 문어 DCT와 개방형 설문을 사용하였으며 전략 분석의 틀은 Chen(1993)의 방식을 보완한 이원표(1996)의 분류법에 일부 수정을 가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두 언어 화자들의 칭찬과 칭찬 반응 자료는 각각 칭찬의 주제에 따라서, 그리고 대화 참여 상대방과의 사회적 관계에 따라서 전략 사용의 양상을 살펴본다. 각 집단의 화자들이 전략 선택을 할 때 상대방에 따라, 칭찬의 주제에 따라 어떠한 방식으로 자신과 상대방의 체면을 유지하며 공손성을 실현하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손 현상을 설명하는 사회 규범론, 대화 격률에 근거한 화용 규칙론, 대화 계약론, 체면 유지론 중 체면 유지론이, 다수의 격률을 설정할 필요없이 화자와 청자의 소극적, 적극적 체면이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공손 전략 사용의 양상을 원리적으로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이론 틀이라는 것이다. 둘째, 두 집단은 칭찬의 제 1 전략이 동일하고, 칭찬 반응의 최상위 전략의 선호 순서가 대부분 동일하며 부담스러운 주제나 기분 좋은 주제로 칭찬을 받았을 때의 대응 양상이 유사함을 보인다. 셋째, 미국 대학생들이 칭찬의 대상과 주제에 따른 전략 사용의 변화가 적은, 매우 정형화된 전략 사용의 패턴을 보이는 데 반해 한국 대학생들은 상황적 요인의 영향에 따라 전략 사용이 다양해지고 변화의 폭이 크다는 차이점을 보인다. 넷째, 한국 대학생들은 이원표(1996)에서의 결과와 비교했을 때 칭찬 화행에 있어 서구화되고 있는 변화의 모습을 보이는데 이런 변화는 남학생보다 여학생 집단에서 더 크게 나타나며 이는 사회언어학적으로 여성의 지위와 그로 인해 갖게 되는 사회적 열망의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다. 체면 유지의 관점에서 공손 전략을 사용하는 데 변화가 있다는 것은 곧 체면의 개념에 변화가 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두 언어에서 칭찬 화행을 통해 실현되는 공손의 양상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고 동일한 실험 도구를 시차를 두고 적용함으로써 사회문화적인 변화가 언어 사용에 나타나는 양상을 아울러 고찰할 수 있으며 화행의 문화 간 비교 연구라는 점에서 제 2 언어 학습에 기여하는 바가 있다.

      • 성인진입기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진로모색 과정에 관한 질적연구

        곽지영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성인진입기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진로모색 과정을 설명하는 실체이론을 제시하는 것이다. 성인진입기 상담전공 대학원생들이 진로모색 과정에서 무엇을 경험하고, 진로모색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성인진입기 상담전공 대학원생 13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고, Strauss & Corbin(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개방코딩에서 89개의 개념과 39개의 하위범주, 1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고, 중심현상은 ‘현실과 내적 가치 사이의 불균형’으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의 원인이 된 인과적 조건은 ‘내적 가치에 이끌려 상담의 길에 들어섬’으로 나타났으며, 중심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 조건은 ‘사회적 기대와 시선의 인식’, ‘독립이라는 발달과업’, ‘기대와는 다른 상담자의 현실’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에 대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조절하는 중재적 조건은 ‘상담자에 대한 부모의 태도’, ‘주변의 정서적 지지’로 나타났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모호함을 홀로 감내하기’, ‘진로를 고민하며 결정을 망설이기’, ‘내적 진로동기를 강화하기’, ‘패기 있게 도전하기’, ‘현실적인 제약을 극복해 나가기’, ‘상담자 상에 대한 인식을 제고 하기’, ‘상담자의 길에 한 걸음 다가서기’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결과는 ‘현실을 마주하고 진로를 모색해감’, ‘상담공부를 통해 정체감을 형성해감’, ‘진로에 대한 확신을 갖게 됨’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시간의 흐름에 따른 성인진입기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진로모색 과정은 ‘갈등 및 혼란 단계’, ‘불안정 단계’, ‘시도 단계’, ‘명료화 단계’의 4단계로 나타났으며, 선택코딩 절차를 통해 핵심범주는 ‘현실과 내적 가치 사이의 불균형 속에서 현실을 마주하고 내적 동기와 가치를 기억하며 진로를 모색해 나아감’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성인진입기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진로모색 과정을 이해하고, 그들이 진로를 모색하는 데 필요한 실질적인 방안 및 지원책 마련을 위한 경험적 근거자료를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substantive theory that explains the career exploration process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in their emerging adulthood. Apply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this study examines what these students experience throughout their career exploration process, and what elements they are affected by. Total 13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in their emerging adulthood were interviewed, in which its result was analyzed based on the ground theory suggested by Strauss & Corbin(1998). The analysis resulted in 89 concepts, 39 sub-categories, and 17 categories, in which the central phenomenon was identified as ‘the discrepancy between reality and internal value’. The causal condition of the central phenomenon was identified as ‘entering the counseling field driven by internal value’, while the contextual condition that affects the central phenomenon was identified as ‘recognizing social expectations and perspectives’, ‘independence as a developmental task’, and ‘the discrepancy between expectation and reality as a counselor’. The intervening conditions that controls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y for the central phenomenon were seen as ‘Parents’ attitude towards counselors’, and ‘emotional support from surroundings’.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tolerating the ambiguity alone’, ‘hesitating to make a career choice’, ‘reinforcing internal career motivation’, ‘taking on bold challenges’, ‘overcoming practical constraints’, ‘an improved perception of the counselor image’, and ‘taking a step forward to become a counselor’. Their following results were ‘facing the reality and proceeding to career exploration’, ‘forming a sense of self identity by studying counseling’, and ‘becoming certain about the career path’. The chronological process of career exploration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in their emerging adulthood derived from this study is presented in four stages, ‘Conflict and Confusion’, ‘Instability’, ‘Attempt’, and ‘Clarification’. The core category examined by the optional coding process is found as ‘Facing the reality and proceeding towards career exploration, reminding oneself of the internal motivation amid the discrepancy between reality and internal valu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is understands the career exploration experience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in their emerging adulthood and provides an experiential evidence for future development of necessary practical support.

      • 여성장애인의 임파워먼트 과정에 관한 연구 : 지체 및 뇌병변 여성장애인을 중심으로

        곽지영 연세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 a substantive theory defining and explaining the empowerment process of disabled women. This study was executed by apply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of Strauss and Corbin(2001). The research question was what kinds of experience disabled women go through the empowerment process.The total participants were 14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recruited from ''Women with Disabilities Empathy'', ''Malgeunteo'',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 ''DPI'', and introduction from some participants. They gave full consent to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with in-depth interview and the process of data analysis was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procedures set out in the grounded theory method. The data were analyzed into concepts, sub-categories, and categories with open coding process. The axial coding was done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oncepts and categories, and process analysis. Selective coding was done to develop the core strategy and the storyline, to classify the types, and to establish the conditional matrix.There were 163 concepts, 62 sub-categories, and 21 categories revealed by open cod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ategories by the paradigm in axial coding, the causal conditions of the empowerment process of disabled women were ''awareness of her wretched condition'' and ''interests to communities for the disabled ''. The central phenomenon was ''try to overcome her own bondage'' and the corresponding the contextual conditions were ''awareness of her own bondage'', ''awareness of the interrelationship in family of origin'', and ''awareness of the functional disability''.Strategies to manage those phenomenon were ''acceptance of the reality'', ''improvement of her capacity'', ''fight against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self-reliance'', and ''self-supporting''. The intervening conditions which affect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self-examination of herself'', ''coping with barriers'', ''social recognition'', and ''psycho-social suppor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empowerment process, 6 sub-categories were derived: shift in perception, confrontation, challenge, acceptance, living by herself, being positive beyond her own bondage.The core category of selective coding was ''being positive beyond her own bondage''. Other categories were examined to find the relation with the core category, and 3 types of the empowerment process were obtained: individual change type, relation change type, and structure change type.The results of integrating all types and processes in ''being positive beyond her own bondage'' are following.First, in the stage of ''shift in perception'', people in ''individual change type'' think they have to take care of themselves because of their families'' denial, and they seek welfare institutions for help. People in ''relation change type'' become interested in communities for the disabled by chance while they are recognizing the hapless future being a burden of the family. People in ''structure change type'' become to know communities for the disabled while they are voluntarily looking for those communities since they see their future as desolated.Second, the ''confrontation'' stage refers to the step which people start to recognize their bondage, their changing relationship with families, and their functional disabilities(restraint). People in ''individual change type'' believe their families'' attitude toward their disability as denial, and they feel they are excluded from their family and are worthless. And they become to confront the personal meaning of physical constraint. People in ''relation change type'' believe their families'' attitude as isolation, and they adapt themselves to environment. And they become to confront the social meaning of physical constraint. People in ''structural change type'' believe their families'' attitude as involvement, and think they are involved in the process being marginal men. And they become to confront physical constraint which they have yet denied. Third, the ''challenge'' stage is the step people practice the insight of self-bondage acquiring in the ''confrontation'' stage. People in ''individual change type'' try to overcome their self-bondage through entering a welfare-related institution for the living. People in ''relation change type'' try to overcome it through participating in community meetings for the disabled, and people in ''structure change type'' are to do so through changing their community which they had been belonged.Fourth, the ''acceptance'' stage is the step overcoming various difficulties and trial and errors of the ''challenge'' stage, and starting to accept themselves as they are. People in ''individual change type'' gain some recognition from their newly participating group and find their valuable selves. They also build up self-reliance through achieving social norms such as a marriage, an education, or an economic status. People in ''relation change type'' accept themselves as they are while self-examining of being independent. After gaining some recognition from their newly participating group, they separate themselves from their families by means of both physical and economical independence. People in ''structural change type'' accept themselves while accepting their disability which were denied before. They finally build up self-reliance through successfully achieving an independent member of the society.Fifth, the ''living by herself'' stage is the step to become independent based on the belief toward herself. People in ''individual change type'' are trying to be independent by actively coping with difficulties, trying to be alone through a marriage or the economic independence, and developing their capacity to achieve social norms. However, they are passively confronting with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People in ''relation change type'' are also trying to be independent by actively coping with difficulties, trying to be alone through physical and economic independence, and developing their capacity to be independent. They are actively confronting with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not like people in ''individual change type''. Finally, people in ''structure change type'' are trying to do everything referred(being independent by actively coping with difficulties, trying to be alone or be a leader in the newly participating group, actively confronting with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and moreover they are tying to be realistic.Finally, the ''being positive beyond her own bondage'' stage is the step to have positive influence on the society through learning and developing unique lifestyle which is gained from the stage of ''living by herself''. In this stage, people in ''individual change type'' free themselves from their bondage, appreciate and satisfy with their self-determined life, find an invaluable self in the society, and understand families who deny their disabilities. With all of theses they can share their resources with others and finally have positive influences on the society as well as other people. People in ''relation change type'' also free themselves from their bondage, expand their social relationship, find an invaluable self in the society, and understand families who deny their disabilities. They are more interested in shift in social perception, become influential, and finally have positive influences. People in ''structure change type'' free themselves from their bondage, and appreciate their self-determined life. They see marriage as a choice or define their gender with the recognition as a daughter-in-law or a mother. They compromise expectation level with families, try to expand social awareness level, and even represent the life in the disabled women. They also present the competent figure in general firms. Those lead the disabled women to have collective influences.This study generates a substantive theory integrating all processes and types which were discussed above. Further discussion, implications, and needs for following researches are also presented. 본 연구는 여성장애인의 임파워먼트 과정을 규명하고 설명하는 실체이론을 개발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임파워먼트 과정에서 여성장애인은 어떤 경험을 하는가?”로 Strauss와 Corbin(2001)의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하여 수행되었다.본 연구의 참여자는 지체여성장애인 14명으로, 장애여성 공감, 맑음터,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DPI, 연구참여자의 소개를 통해 본 연구자와 연결되었고, 본 연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한 설명을 듣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사람들이다. 자료는 심층면접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자료의 분석과정은 근거이론 접근방법의 절차를 따르고 있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분석 결과, 개방 코딩에서는 163개의 개념, 62개의 하위범주, 21개의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축 코딩에서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분석 결과, 여성장애인 임파워먼트 과정에서 인과적 조건은 ‘비참한 자기 현실 자각’, ‘장애인 모임에 대해 관심이 생김’이었으며, 중심현상은 ‘자기 굴레에서 벗어나고자 도전하기’였고, 이 현상의 맥락적 조건은 ‘자기 굴레에 대한 인식’, ‘원가족과의 상호관계 인식’, ‘기능적 제약에 대한 인식’이었다. 현상을 관리하고 수행하기 위한 전략은 ‘현실을 수용하기’, ‘자기를 신뢰하기’, ‘홀로 서기를 위해 시도하기’, ‘자기 능력을 개발하기’, ‘차별과 편견에 맞서기’로 나타났으며, ‘자기 존재에 대해 성찰’, ‘장벽에 대한 대처’, ‘사회적 인정’과 ‘심리·사회적 지지’가 작용상호작용 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중재 조건으로 나타났다.참여자의 임파워먼트 과정을 분석한 결과, ‘인식의 전환’, ‘직면하기’, ‘도전하기’, ‘수용하기’, ‘홀로 서기’, ‘자기 굴레에서 벗어나 긍정적 영향력 가지기’ 등 6개의 하위과정이 나타났다. 선택 코딩에서 핵심범주는 ‘자기 굴레에서 벗어나 긍정적 영향력 가지기’로 나타났으며,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범주들 간에 있을 수 있는 관련성을 확인한 결과 여성장애인의 임파워먼트 과정의 유형은 가족과의 상호작용 양식을 기준으로 ‘개인 변화 추구형’, ‘관계 변화 추구형’과 ‘구조 변화 추구형’으로 나타났다.‘자기 굴레를 벗어나 긍정적 영향력 행사하기’ 유형과 과정의 통합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 번째, ‘인식의 전환’ 과정에서 ‘개인 변화 추구형’은 장애에 대한 가족의 거부로 인하여 내 인생은 내가 책임져야 한다고 생각하고, 가족에 의해 사회 속에 내몰려지면서 복지관련 기관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 ‘관계 변화 추구형’은 고립시키는 가족 속에서 가족의 짐이 되는 불확실한 미래에 대해서 자각하게 되면서 우연히 알게 된 장애인 모임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 ‘구조 변화 추구형’은 미래에 대한 막막함 때문에 의도적으로 장애인 모임을 알아보게 되면서 관심을 가지게 된다.두 번째, ‘직면하기’ 과정은 ‘인식의 전환’을 통해 생긴 자각을 통해 자기 굴레, 자신의 원가족과의 상호관계, 기능적 제약에 대해 인식하기 시작하는 과정이다. ‘개인 변화 추구형’은 원가족의 태도를 거부로 받아들이면서 자기 자신이 배제된다고 생각하면서 무가치한 자기를 인식하고, 기능적 제약의 개인적 의미에 대해 직면하기 시작한다. ‘관계 변화 추구형’은 원가족의 태도를 고립으로 받아들이면서 자기 자신이 순응하고 있다고 생각하면서 비가시적인 자기를 인식하고, 기능적 제약의 사회적 의미에 대해 직면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구조 변화 추구형’은 원가족의 태도를 개입으로 받아들이면서 자기 자신이 참여하고 있다고 생각하면서 주변인으로 자기를 인식하고, 자기가 부정해 왔던 기능적 제약을 의식하게 된다.세 번째, ‘도전하기’ 과정은 ‘인식하기’ 과정을 통해 생긴 ‘자기 굴레’에 대한 통찰을 행동으로 실천하기 시작하는 과정이다. ‘개인 변화 추구형’은 생계를 위하여 복지관련 기관에 들어가는 것을 통하여 자기 굴레에서 벗어나고자 도전하며, ‘관계 변화 추구형’은 장애인 모임에 참여해 봄으로 자기 굴레에서 벗어나고자 도전하고, ‘구조 변화 추구형’은 소속 집단을 바꿔 봄으로써 자기 굴레에서 벗어나고자 도전한다.네 번째, ‘수용하기’ 과정은 ‘도전하기’ 과정의 다양한 시행착오와 어려움들을 극복하면서 자기 자신을 수용하고 신뢰해 나가는 과정으로, ‘개인 변화 추구형’은 자기가 새롭게 속한 집단의 인정을 통해 자신이 존재 자체로 소중함을 발견하면서 자기를 수용하고, 사회에서 요구하는 조건을 - 예를 들어 결혼·학력·경제적 능력 등 - 구비함으로써 자신에 대한 신뢰를 쌓아간다. ‘관계 변화 추구형’은 독립적인 존재의 의미에 대해 성찰하면서 자기가 새롭게 속한 집단의 인정을 통해 자기를 수용하고, 물리적·경제적 자립을 통해 원가족과 됨으로써 자기를 신뢰해 나간다. 마지막으로 ‘구조 변화 추구형’은 사회적인 존재의 의미에 대해서 성찰하면서 새롭게 소속된 사회에서 자기가 부정해 왔던 장애를 인정하며 자기를 수용하게 되고, 사회 속에서 주체적인 역할을 수행하면서 자신에 대한 신뢰를 쌓아간다.다섯 번째, ‘홀로 서기’ 과정은 자기 자신에 대해 싹튼 믿음을 기초로 사회 속에서 자기 자신을 드러내며 독립해나가는 과정이다. ‘개인 변화 추구형’은 장벽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개인적인 심리·사회적 지지를 받으면서 결혼이나 경제적 자립을 통한 홀로 서기를 시도하고, 사회적 조건을 갖추기 위해 자기 능력을 개발하고, 차별과 편견에 소극적으로 대응함으로써 홀로 서기를 시도한다. ‘관계 변화 추구형’은 장벽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사회적인 심리·사회적 지지를 받으면서 경제적·물리적 자립을 통해 홀로 서기를 시도하며, 자립 능력을 가지기 위해 자기 능력을 개발하며, 차별과 편견에 적극적으로 대응함으로써 홀로 서기를 시도한다. ‘구조 변화 추구형’은 장벽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사회적인 심리·사회적 지지를 받으면서, 새로운 준거집단에 뛰어들어 홀로 서기를 시도하며, 새로운 준거집단에서 주인이 되기 위해 자기를 개발하며, 차별과 편견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현실적인 인식을 가짐으로써 홀로 서기를 시도한다.마지막으로, ‘자기 굴레에서 벗어나 긍정적 영향력 가지기’ 과정은 ‘홀로 서기’ 과정을 통해 사회 속에서 자기 자신만의 고유한 생활양식을 개발하고 배워감으로써 사회 속에서 참여자의 힘을 나타내며, 사회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력을 가지게 되는 과정이다. ‘개인 변화 추구형’은 자기 굴레에서 벗어남으로써 책임지는 삶에 감사하고 만족하며, 사회 속에서 가치 있는 자아를 발견하고, 거부하는 가족을 이해하고 포용함으로써 가족관계가 성숙해지는 변화가 나타나고, 나 외의 다른 사람을 포용함으로써 의식이 확대되고, 자기가 가진 자원을 나눔으로써 긍정적 영향력을 가지게 된다. ‘관계 변화 추구형’은 자기 굴레에서 벗어남으로써 타인에 대한 관계가 확대되고, 사회 속에서 가시적인 존재감을 느끼고, 고립시키는 가족에게 독립적 존재로 인정받음으로써 가족관계가 성숙해지는 변화가 나타나고, 사회인식 변화까지 관심을 두어 사회에 대한 영향력을 창출하면서 긍정적 영향력을 가지게 된다. ‘구조 변화 추구형’은 자기 굴레를 벗어남으로써 주체적인 삶에 감사하고 만족하며, 사회 속에서 내 삶의 주체로서 나를 확인하고, 결혼은 선택이라고 생각하거나 며느리·어머니로서 인정받으면서 여성성을 확인한다. 그리고 통제하는 가족과 기대수준을 절충함을 통해 가족관계가 성숙해지는 변화가 나타나고, 사회인식 변화까지 의식이 확대되고, 여성장애인의 생활을 대변하거나 일반 직장에서 역량있는 여성장애인의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집합적인 영향력을 가지게 된다.이상의 결과와 같이 과정과 유형을 통합하여 구축한 이론을 제시하였다.본 연구에서 발견한 사항에 대한 논의 사항과 이론 부문, 연구 부문 및 실천 부문에서의 함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덧붙였다.

      • 내러티브를 중점으로 한 인포그래픽스 사례 분석 연구 : 미 대선 인포그래픽스 중심으로

        곽지영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oday,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ies, the values contained in information, ranging from producing to supplying and utilizing it, are being holistically transformed. Furthermore, recipients who used to passively accept information are also being transfigured into active ones who search for and select more accurate and well-coordinat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ir own interest and purpose. In the past, when disclosure and access to information were restricted, it was of paramount concern for the media to provide huge amounts of diverse information rapidly. However, in this era of Big Data and overflowing information, everyone can readily and rapidly access the extensive information so that they now put more emphasis on the accuracy and implications of comprehensive and optimized information through sorting out and processing the information. The social flow of evolving information and changes in the needs of recipients led to dramatic surge in the attention to the necessity of a narrative which is easy to select information. In terms of information design, a narrative constitutes contents only with objective data and facts, and by selecting, processing and reconstructing the information, it enables the contents provider to effectively express the message without showing it outright. Then, recipients unconsciously learn induced information as intended by the contents producer and provider. As a strategy to deliver the inform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more attention is being paid to infographics, which is an efficient method to strengthen the intended message based on the objective but well-organized induced information. Infographics help the recipients to raise their concentration by attractively laying out and organizing each part of information, and to easily understand and remember complicated and difficult part of the contents by directing information with Clarity and simplicity. However, in this ever-changing era,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narrative infographics connoting the intention of a producer are emerging, deviating from the conventional list-up infographics which aim just to give information. This is because narrative infographics are very effective to clearly deliver typical message that a provider intends to recipients by forming a flow of consciousness after selecting and processing objective information in terms of providing purposeful contents while the recipients are unconscious. This thesis is a study on information design research focusing on narrative. It investigates how elements are gathered in Infographic to form a desired message, and understand the message and intention to convey through the narrator of content creator. After conducting a series of analysis processes, I established layouts and planning to use the important major factors when grasping the narratives, and suggested some effective and optimized designs for an example. By doing so, I would think about the meaning and utilizing plans of information design that suits this era, and the importance of narratives as a strategy to deliver intended information through effectively selecting and processing it. In addition, I would explain the most efficient way to carry out this strategy through narratives infographics. This paper specifies the infographics regarding the U.S presidential election, and holistically comprehends multi-directional values such as presidential campaigns, policies, leadership, personality, incomes and the religion of each candidate. This subject is very easy and useful to study the strategic information design used by a contents producer because it can deliver amicable images and message of a candidate to the public, just by constituting and processing relevant information with narratives based on the objective facts without revealing the personal political orientation. This paper proved the Connectivity and mutual values between narratives and infographics, and suggested some ways to utilize them by setting the subject as the U.S presidential election which can best illustrate the traits of narratives and infographics among various contents. By analyzing the infographics of the 44th U.S presidential candidates, Barak Obama and Mitt Romney, in 2012, and the 45th candidates, Hillary Clinton and Donald J. Trump, in 2016, I could figure out that each candidate chose relevant and suitable information among their values and effectively organized, processed and delivered the message to their own advantage. In addition, I could also learn the differences determined by whether they utilized the narratives properly, the types of information that Americans prefer and comprehensive inclination of each candidate. Furthermore, extracting some common factors of the generalized information allowed me to find out the most frequently used and advantageous design method in the certain situation such as the U.S presidential campaign to sort out and deal with certain information. It turned out that, in the U.S presidential election, the more characteristics and emotional information were delivered, the more positive effects the candidates got. I could also measure which candidate used the most optimized method that suits their interest through various analyzing criteria. With this analytic information, I could narrow down the common types and factors of information design used by the presidents-elect. It is expected that the information design with the optimized narratives about the presidential candidates hugely impacts the election and will be predictable in the future. As demanded by the times, the key role of delivering information is transformed, so it is hard to expect more effects from list-up infographics which relentlessly list up information. As we usher in the new era that absolutely requires infographics to be operated with narratives inducing the judgement of recipients with the objective information and accurate intention, more attention is paid to the function and value of infographics with narratives. I’d like to contribute to the academic and practical discussion suggesting 21st century version of information design solution by enlarging the understanding and sympathies for delivering message through infographics based on strategically intended narratives. 오늘날 디지털 기술이 진화함에 따라 정보의 생산에서부터 공급 및 활용에 이르기까지 정보에 담는 가치가 전체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정보를 피동적으로 받아들이던 수용자 역시 과거의 수동적 수용자에서 벗어나 개인의 선호와 목적에 맞는 정확하고 잘 가꾸어진 정보를 찾고 선택하는 능동적 수용자로 변모하고 있다. 정보의 노출과 접근이 다소 힘들었던 과거에는 매체와 미디어가 수용자에게 최대한 빠르고 다양하며 대량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최대관건이었으나, 현재 정보 과잉의 빅 데이터 시대에서는 누구나 손쉽고 빠르게 방대한 정보를 접할 수 있으므로 오히려 정보의 적절한 선별과 가공을 통한 통합적이고 최적화된 정보의 정확성과 함축성을 중요하게 여기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정보 진화의 흐름과 수용자 니즈의 변화로 정보선별 용이한 내러티브의 필요성에 대해 관심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었다. 정보디자인에 있어서 내러티브는 객관적인 데이터와 사실적 내용만으로 콘텐츠를 구성하되, 선택적으로 정보를 선별하고 가공하여 재구성함으로서 콘텐츠를 제공하는 측의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노골적으로 드러내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으로 표현 할 수 있으며, 콘텐츠 제작자와 제공자의 유도대로 무의식중에 유도된 정보를 체득하게 만든다. 이러한 목적을 구현하는 내러티브함유 정보전달 전략으로서, 객관적이지만 잘 기획된 유도정보를 바탕으로 의도된 메시지를 더욱 강화 시킬 수 있는 연출방식의 뛰어난 효율성을 가진 인포그래픽스가 부각되고 있다. 인포그래픽스는 정보의 요소 각각을 시각적으로 보다 매력적이게 배치하고 구성하여 수용자의 집중도를 높여주며, 정보를 간결하고도 명료한 구성으로 연출하여 복잡하고 어려운 내용도 쉽게 이해하고 기억할 수 있게 돕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급변하는 이 시대에는 기존방식처럼 정보를 단순히 알려주는 일반적 나열형 인포그래픽스가 아닌, 제작자의 내포된 의도가 담긴 내러티브형 인포그래픽스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고 있다. 이는 방대한 빅 데이터 시대에 목적을 가진 콘텐츠를 제공함에 있어서 객관적 정보의 선별 및 가공을 통해 의식의 흐름을 형성하여 수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무의식의 상태에서 콘텐츠 제공자가 유도하는 특정 의도의 메시지를 명료하게 전달할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내러티브를 중점으로 한 정보디자인 연구에 관한 논문으로서 인포그래픽스 내에서 어떤 요소들이 모여 목적된 메시지를 형성하는지를 연구하고, 콘텐츠 제작자의 유도된 내러티브를 통해 전달하고자하는 메시지와 의도를 이해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자는 일련의 분석 과정을 거쳐 내러티브를 파악할 때 중요한 대표요소와 세부요소의 구성과 활용방안을 정립하고 이에 따른 효과적이고 최적화된 디자인을 예시로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이 시대가 가지는 정보디자인의 의미와 운용방안을 되짚어 보고 효과적인 선별과 가공을 통한 목적된 정보를 전달하는 전략인 내러티브의 중요성과, 이러한 전략을 어떻게 잘 풀어내어야 가장 효율적인 전술인지를 내러티브를 가진 인포그래픽스를 통하여 풀어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세부 주제로 선정한 미 대선관련 인포그래픽스는 대통령 후보자 각 인물의 유세과정, 정책, 리더십, 인간성, 소득, 종교 등 다방면적 가치를 통합, 통찰적으로 파악하는 주제이다. 개인의 주관적인 정치성향을 드러내지 않으면서, 객관적 사실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내러티브를 활용한 적절한 정보의 구성과 가공만으로도 특정 후보자의 우호적 이미지와 메세지를 대중에게 전달할 수 있어서, 콘텐츠 제작자의 전략적 정보디자인을 연구하기에 매우 용이한 주제이다. 다양한 콘텐츠 중 내러티브와 인포그래픽스의 특성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미 대선 관련 주제를 통하여, 본 연구는 내러티브와 인포그래픽스의 개연성과 상호적 가치를 증명하고 그에 따른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2012년 버락 오바마, 밋 롬니 후보의 제44대 미 대선과 2016년 힐러리 클링턴, 도널드 트럼프의 제45대 미 대선 인포그래픽스의 분석을 통해, 각 후보자가 자신의 다양한 가치 중 적절한 정보를 선택해 본인에게 유리하고 효과적으로 구성하고 가공하여 메세지를 전달한 점, 이러한 내러티브의 적절한 활용유무에 따른 차이점, 미국 시민들이 선호하는 정보의 유형 및 대통령 후보의 통합적 성향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나아가 일반화된 정보의 공통점을 추출해 미 대선과 같은 상황에서 정보를 선별하고 다룰 시 어떠한 디자인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유리한 표현방법인지 알 수 있었다. 미 대선의 경우,후보자의 캐릭터성을 잘 부각시키고 감성적 정보를 많이 다룰수록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다양한 분석 잣대를 활용해 어떤 후보가 가장 본인에게 맞는 최적의 방법을 사용하였는지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적 정보를 통해, 미국 대선 당선자의 공통된 정보디자인 유형과 요소 등을 파악 할 수 있었으며, 다가오는 미래의 대선 후보에 관한 최적화된 내러티브를 가진 정보디자인은 당선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며 당선에 대한 예측 또한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시대의 요구에 따라, 정보전달의 핵심이 변화함으로써 무분별한 정보의 나열형 인포그래픽스는 이제 더 이상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객관적 정보와 정확한 의도의 구성으로 자연스럽게 수용자의 판단을 유도하는 내러티브를 가진 인포그래픽스의 운용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시기가 도래하였으며, 내러티브를 가진 인포그래픽스의 역할에 대한 기능과 가치가 주목된다. 전략적으로 내포된 의도가 담긴 내러티브기반 인포그래픽스를 통한 메시지 전달에 대한 이해와 공감의 폭을 넓혀 이 시대에 맞는 21세기형 정보디자인 솔루션으로 학문적, 실천적 논의를 기여하고자한다.

      • 有機塗膜시스템을 利用한 리블렛 形成과 塗膜의 物性, 耐朽性 評價

        곽지영 부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Organic coating system has barrier property to protect substrate from using environment. Many kind of functional paints like optical, electronically, non-toxic rise in paint industry as new field. Riblet is a part of biomimetic engineering; it is referred to as a rip tip of lamp in lexical meaning. In mechanical engineering riblet means tiny projection on the surface. These tiny projections on the surface reduce air-drag friction. It is riblet effect. Current studies have been released that riblet reduce air-drag friction. When vehicle runs, many kind of resistance are made like aerodynamic drag, rolling resistance, and brake drag. Riblet coating lessen aerodynamic drag. RIBLET coating make rugged surface, micro pool formed between risings provide air from exterior to above surface. This demanded air makes a layer act like a bearing between atmosphere and car’s surface. In this study, I make riblet coating using organic coating and bead and evaluate properties and accelerate weathering resistance. This study focus on evaluation of riblet coating as automotive coating and of retention in accelerate environment. Test item is in accordance with KS R 0014 specifically adhesion, impact resistance, warm-water resistance, gasoline resistance, acid resistance, chipping resistance, accelerate weathering test, salt spray test.

      • 십장생도의 이미지를 차용한 이상세계의 표현에 관한 연구 :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곽지영 동덕여자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신낙원(新樂園)’을 테마로 하여 석사학위청구전(2022년 9월 21일∼9월 26일)에 전시하였던 연구자의 작품을 “십장생도의 이미지를 차용한 이상세계의 표현”이라는 주제로 분석 연구한 결과이다. 과거에는 질병 없이 오래 사는 무병장수(無病長壽)가 모든 사람들의 맹목적인 바람이었다면 현대에는 백세시대라 불릴 만큼 인간의 평균수명이 늘어나고 장수의 보편화가 이루어지는 시대로 변모하였다. 늘어난 수명만큼 건강한 삶과 장수의 가치가 더 중요한 시대가 되었다. 십장생도는 불로장생을 바라는 소망과 염원이 담긴 길상화이며 이상향의 세계에서 살고자 하는 인간의 욕망이 담겨져 있는 그림이다. 본 연구에서는 십장생도 소재의 이미지와 상징성이 연구자의 이상세계, 작품에 어떻게 반영되고 표현되었는지를 연구 분석하였다. 연구자의 작품 인 ‘낙원 시리즈’에 담긴 이야기와 표현 방식이 어떻게 표출 되었는지에 초점을 두어 주제와 조형성을 분석하였다. 연구자는 본 논문을 통해 과거와 현대인이 지향하는 이상세계의 의미와 가치가 변모됨을 알 수 있었고, 현대에 와서는 점점 작지만 진정한 행복을 꿈꾼다는 것도 인식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십장생도의 개념과 연원에 대한 학문적 이론과 연구 성과를 살펴보았으며, 공간구성의 표현형식과 유형별 특징을 대표적인 도판과 표로 분석, 정리하였다. 또한 십장생도의 소재가 가지고 있는 의미와 상징성을 바탕으로 도상적 형태와 조형성을 연구 분석하였다. 십장생도의 현대적 해석을 통해 십장생도의 모티브로 작업하는 현대 작가들의 작품 경향에 대해 검토하였고, 아울러 민화가 현대미술과 어떻게 융합되고 나아가야 할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화려면서도 섬세한 묘사와 장중한 구도의 조형성을 지닌 궁중양식의 병풍과 궁중양식에서 민간양식으로 변모하는 과정을 살필 수 있는 분폭(分幅)의 병풍형식을 모사(模寫)의 대상으로 선정하여 모사의 과정과 모사작이 주는 의미에 대해서도 인식을 새롭게 하였다. 모사는 앞 시기 화가들의 회화양식을 체득하는 기회이자 창작을 위한 밑바탕이 되는 중요한 학습 과정임을 알 수 있었다. 연구자는 본 논문을 통하여 우리 민화의 주요 주제인 십장생도의 전통을 돌아보고, 십장생도에 깃든 해학미와 전통미 등 다양한 미적 요소들을 현대적으로 해석하고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기반이 되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더 나아가 21세기 민화가 지향해야 할 예술적 가치와 현대미술로서의 새로운 창작세계를 지속적으로 고민하고 전망하면서 민화의 계승과 발전에 많은 기여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Abstract>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the Ideal World Using the Image of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 Focused on researcher’s artworks - Prof. Song, Changsoo Kwak, Jiyoung Academic Adviser Department of Korean folk painting major This study focused on researcher’s work under the theme of “Expressing the Ideal World Using the Image of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The work was exhibited at the Master’s Degree Exhibition (September 21-26, 2022) with the theme ‘New Paradise’. If disease-free longevity was the blind desire of everyone in the past, it has been transformed into an era where the average life expectancy of humans is increased. Also longevity is universalized enough to be called the 'Hundred Years' Age. It has become an era which the value of a healthy life and longevity are more important as the life span extended.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is a picture of good fortune that contains the desire for eternal life, and is a painting that contains human desire to live in a world of utopia.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studied and analyzed how the images and symbolism of the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were reflected and expressed in the researcher's work. Then analyzed the theme and formality by focusing on the researcher's story and expression methods in the Paradise Series.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learned that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ideal world that people aim, transformed from the past and modern, and recognized that in modern times, they gradually dream of small but true happiness in their daily lives. Therefore, in this study, academic theories and research achievements on the concept and origin of the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were researched, and the expression form of spatial composition and chacteristics of each types were analyzed and summarized in representative plates and tables. In addition, based on the meaning and symbolism of the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the iconographic form and formality were studied and analyzed. Through the modern interpretation of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the researcher reviewed the trends of modern artists working with the motif of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and also examined how Minhwa should be fused with modern art. A royal folding screen with delicate description and formality of a solemn composition was selected as the objects of imitation. Also a folding screen type that can examine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from the royal style to the civilian style, were selected too. The researcher renewed the process of imitation and the meaning of imitation work. The researcher could learn that imitation is an opportunity to learn the painting style of artists in the previous period, and an important learning process that underlies creation.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looked back on the tradition of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the main theme of Minhwa. It also aimed to provide a basis for modern interpretation and creative expression of various aesthetic elements, such as the beauty of humor and the traditional beauty, in the painting. Furthermore, the researcher let this study to contribute a lot to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Minhwa by continuously considering and predicting the artistic value that Minhwa in the 21st century should pursue, and also the new creative world as modern art.

      • 청소년기 스트레스 요인별 범불안장애와의 연관성 : GAD-7을 활용하여

        곽지영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청소년의 스트레스 요인과 범불안장애의 연관성 초초, 긴장, 걱정, 불안 등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는 불안과 함께 살아간다. 하지만 과도한 걱정과 불안증상을 스스로 조절하지 못하는 증상이6개월 이상 지속되는 범불안장애(Generalized Anxiety Disorder; 일반화된 불안장애)의 경우 정신과적 진단 및 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임에도 일상생활에서의 불안과 구분이 힘들고 성격적 특성 중 하나로 치부되며 그동안 진단 및 치료에 관한 연구가 미진했다. 특히 청소년의 경우 성인에 비해 범불안장애를 포함한 불안장애에 대한 유병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2020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에 범불안장애 자가보고척도인GAD-7이 포함되기 전까지 국내 청소년 대상 범불안장애관련 조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한편 스트레스는 다양한 선행연구를 통해 정신질환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며, 특히 청소년은 학업, 가정, 신체 및 외모 등 다양한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이 경험하고 있는 다양한 스트레스 요인에 따른 범불안장애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했다. 이 연구는 질병관리청의2020년 청소년 건강행태조사 자료를 사용했고, 총48,116명의 남녀 청소년을 대상으로 했다. 이 연구의 종속변수는 범불안장애이며 주요 흥미 변수는 스트레스 요인이다. 대상자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인구 사회학적 요인(8개), 건강행태 관련 요인(2개), 심리사회학적 요인(3개) 등 총13개의 설명변수를 선택했다. 모든 결과는 남성과 여성을 나눠서 분석했다. 먼저 카이제곱 검정을 통해 연구 대상자의 특성을 확인했다. 둘째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연구대상자의 스트레스 요인과 범불안장애와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특성을 하위 분석해 스트레스 요인별 범불안장애 발생 위험의 특징 및 경향성을 확인했다. 넷째, 스트레스 세부 요인별 범불안장애 관련성을 추가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해 범불안장애 중증도에 따른 스트레스 요인과의 범불안장애와의 관련성을 확인했다. 모든 분석 결과는 오즈비와95% 신뢰구간으로 산출했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청소년의 스트레스 요인별 범불안장애 발생위험이 다르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남녀 청소년 모두 스트레스 없는 청소년에 비해 친구·선후배 관계로 스트레스를 받는 청소년에서 범불안장애 발생위험이 가장 높았고, 특히 남성 청소년이 또래 관계로 스트레스를 받으면 범불안장애 발생위험이 스트레스 없는 남성 청소년에 비해3.71배(95% CI=2.49-5.53) 높아졌다. 또한 전체 남녀 청소년의 절반 이상이 학업 성적 및 진로 부담으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는데, 해당 요인으로 스트레스를 받을 경우 스트레스가 없는 그룹에 비해 범불안장애 발생 오즈는 남녀 각각2.56배(95% CI=1.77-3.70), 2.41배(95% CI=1.39-4.18) 높아졌다. 반면 선생님 혹은 부모님과의 갈등으로 스트레스를 받는 청소년의 범불안장애 발생위험은 다른 스트레스 요인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남성과 여성청소년에서 범불안장애 발생 오즈비의 차이는 친구·선후배 관계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 다른 스트레스 요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한편 남녀 청소년 모두 대도시에 살수록 남학교 및 여학교에 다닐수록 스트레스가 없는 청소년들에 비해 범불안장애 발생위험이 높아졌고, 나이(학년)는 유의미한 경향성을 보이지 않았다. 학업 성적으로 스트레스를 받는 청소년의 경우 스트레스가 없는 청소년에 비해 학업 성적인 상인 그룹에서 가장 높은 범불안장애 발생위험을 보였다. 가정환경으로 스트레스를 받는 남녀 청소년은 각각 거주 형태, 가정형편 등에서 다른 양상을 보여 가정환경으로 인한 스트레스라는 다소 포괄적인 변수 안에 경제적 이유, 부모의 불화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범불안장애 발생 위험이 다르게 유발될 가능성을 보였다. 다만 이러한 스트레스 요인별 범불안장애의 연관성은 범불안장애 정도가 경증인 대상에 대해서만 유의하며, 범불안장애 정도가 중증 이상의 경우 서로 독립적이었다. 인으로 인해 범불안장애 발생 위험이 다르게 유발될 가능성을 보였다. 다만 이러한 스트레스 요인별 범불안장애의 연관성은 범불안장애 정도가 경증인 대상에 대해서만 유의하며, 범불안장애 정도가 중증 이상의 경우 서로 독립적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