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생의 수업행동과 생활행동에 대한 교사 스트레스 분석

        강주희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교사들이 초등학생의 어떤 행동에서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지 알아보고, 아동의 행동에 따라 교사가 스트레스를 느끼는 정도가 교사의 성별, 담임담당, 담당학년, 재직경력, 근무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하여 충청남도와 서울ㆍ대전 내 공립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200명을 임의로 표집하여 설문지를 배부ㆍ응답하도록 하였다.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먼저 20명의 교사에게 스트레스를 느끼는 아동의 행동목록을 개방형으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응답 결과 중복되거나 비슷한 유형을 간추려 5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측정도구는 총 92문항으로 구성되었고, 각 문항마다 스트레스의 지각 정도를 Likert식 5단계 평정법으로 측정하는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교사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아동 행동의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기술하고 순위를 산출하여 영역별로 의미 있는 행동을 분석하였다. 교사의 스트레스가 교사의 변인(성별, 담임담당, 담당학년, 재직경력, 근무지역)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과 F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는 아동 행동 중 생활 행동에서 수업 행동보다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고 있다. 그리고 생활 행동에서는 ‘친구를 대하는 태도’, ‘규칙 준수 및 행사 참여 태도’, ‘교사를 대하는 태도’ 순으로 높은 스트레스를 받고, 수업 행동에서는 ‘수업 준비 및 집중’에서 ‘모둠ㆍ전체 활동’보다 더 높은 스트레스를 받는다. 둘째, 교사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수업 행동은 ‘수업 준비 및 집중’에서는 수업 중에 소리를 내어 수업을 방해하는 행동, 수업 중에 일어나서 돌아다니는 행동, 수업 중에 핸드폰을 만지거나 수업 중에 학원 문제집을 푸는 행동이다. 수업의 ‘모둠ㆍ전체 활동’에서는 방금 해 준 말을 자꾸 묻는 행동, 모둠 활동시 다른 모둠원에게 피해를 주는 행동, 교사가 내준 학습 활동을 안 하거나 대충하는 행동이다. 셋째, 교사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생활 행동은 ‘친구를 대하는 태도’에서는 무리 지어 다니며 하는 불량한 행동, 친구를 따돌리는 행동, 친구의 물건이나 돈을 가져가는 행동이다. ‘규칙 준수 및 행사 참여 태도’에서는 교실, 복도, 급식실 등에서 큰 소리로 떠들거나 뛰어다니는 행동, 학습 규칙이나 약속을 지키지 않는 행동, 자신의 일을 남에게 미루는 행동이다. ‘교사를 대하는 태도’에서는 교사에게 대드는 행동, 교사의 욕을 하는 행동, 교사에게 거짓말을 하는 행동, 자기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 행동, 벌을 받으면서 장난치는 행동이다. 넷째, 여자 교사가 남자 교사보다 수업 행동과 생활 행동에서 더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다. 다섯째, 담임 교사가 교과전담 교사보다 수업 행동과 생활 행동에서 스트레스를 더 받는다. 여섯째, 담임을 맡은 학년이 낮은 교사일수록 수업 행동과 생활 행동에서 스트레스를 더 받는다. 일곱째, 경력이 20년 이상인 교사들은 수업 행동에 스트레스를 더 받고, 경력이 10년 미만인 교사들은 생활 행동에서 스트레스를 더 받는다. 여덟째, 대도시에 근무하는 교사와 중소도시에서 근무하는 교사가 수업 행동과 생활 행동에서 받는 스트레스는 차이가 없다. 위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전체 교사들은 생활 행동에서 높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므로 교사들이 받는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대 교육과정에서 아동의 생활 지도에 대한 교육을 현장과 연계하여 시행하는 방안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직 교사의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서는 교사의 연수를 통해 계속적인 피드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 교사에게 높은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집단 따돌림이나 학교 폭력 등의 아동 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상담 프로그램이 계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사에게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행동들에 대한 더 세분화 광범위한 조사가 필요하며, 아동의 성별과 교사의 스트레스의 관계에 대한 연구와 교사의 변인을 학교 규모, 학급당 학생 수 등에 따라 나누거나 근무 지역을 도시와 농어촌 등으로 나누어 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교사들의 경험하는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방법과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in what behaviors of the children the teachers take the stress, and to analyze what differences the degree of the teacher's stress by children behavior are produced according to gender, responsible grade, responsible class, career and working region.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randomly selected 200 public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Chungcheongnamdo, Seoul and Daejeon. To develop the measurement tool, 20 teachers are supposed to answer the lists of the children behaviors that the teachers feel the stress through the open questions. Repeated and similar types of answers are classified into 5 types. The measurement tool consists of 92 questions, and in each of questions, the questionnaire that measures a degree of perception on the basis of Rate Scale Method of Likert 5 stages. The collected data obtained by using SPSSWIN 12.0 Program is used to analyze the meaningful behaviors in each of scopes by describing Mean(M) and Standard Deviation(SD) in order to know Children behaviors that give the stress to the teachers and t-test and F-test was conducted to know what difference the teachers's stress show according to teacher's variables(gender, responsible grade, responsible class, career, working region).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the teacher take more stress from extra-class behavior than class behavior of the children. Teacher take high stress from 'attitude toward the friends', 'rule observance and attitude of participating in the event' and 'attitude toward the teachers' in class behavior scope, and take more stress from 'class preparation, concentration' than 'group and class activity' in the class behavior scope. Second, class behaviors that give the stress to the teachers are composed of a behavior of disturbing teaching by making noise in a class, standing and running in a class, touching mobile phone and taking question books of private institution in the 'class preparation and concentration scope'. And asking same questions, harming other members at the time of group activity, disturbing a class by interfering teacher's word and fighting with other members at the time of group activity in the 'group and class activity scope'. Third, extra-class behaviors that give the stress to the teachers are composed of a behavior of disturbing teaching by doing bad behaviors done in a mob, leaving the friends in the cold, blackmailing friend's belonging and money in the scope of 'attitude over the friends' who give the stress to the teachers. Children behaviors in 'rule observance and participation attitude scope' are composed of the behavior of loudly speaking and running at the classroom, corridor and dinning room, not keeping promise and study rule and passing works to others. Behaviors that give the stress to the teachers in 'attitude scope toward the teachers' are composed of the behavior of turning on the teachers, heaping abuses on the teachers, telling a lie to the teacher, not admitting a mistake and playing at the time of punishment. Fourth, woman teachers feel more stress in class behavior and extra-class behavior than man teachers. Fifth, the class responsible teachers feel more stress in class behavior and extra-class behavior than the subject responsible teachers. Sixth, the class responsible teachers with less grade feel more stress in class behavior and extra-class behavior. Seventh, the teachers with over 20 years in career feel more stress in children class behavior. The teachers with under 10 years in career feel more stress in children extra-class behavior. Eighth,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big city, and middle and small city in class behavior and extra-class behavior. On the basis of above results, the teachers take high stress in extra-class behavior and to reduce teacher's stress, an education over children life guidance in university education will be well linked to the field. And the continuous feedback will be made through teacher's training. In particular, the consult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to reduce children behaviors such as being left out in the cold by group and school violence that causes high stress of the teachers. Besides, more detailed and wide investigation over the behaviors causing the stress of the teachers will be necessary. The continuous study on a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gender and teacher's stress should be conducted by preparing the teacher's variable such as school size and number of students in a class and working region such as city, and farm and fishing village. A study on a method of stress relief and dealing with the stress experienced by the teachers should be required.

      • 유기용제가 헤어 매니큐어 內 Silicone oil의 용해와 퍼머넌트웨이브에 미치는 영향

        강주희 건국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글초록:본 실험은 hair manicure 內 silicone oil로 인하여 알칼리 perm제의 침투를 막는다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유기용제를 이용하여 큐티클에 흡착된 silicone oil막을 용해하는 실험을 했다.1차 실험인 silicone oil막과 알칼리 perm제 침투에 관한실험 에서는 hair manicure 內 silicone oil이 알칼리 perm제 침투를 방해하여 curl의 형성은 물로 탄력성도 떨어졌다(Fig. 2). 2차 실험인 유기용제를 통한 silicone oil막 용해실험에서는 알칼리 perm제의 침투를 방해하는 silicone oil을 유기용제(methanol, ethanol, acetone, toluen, benzen)를 이용하여 용해하는 실험으로서 nape와 top부분으로 나누어 유기용제에 시간별(10, 20, 30, 60분)로 나누어 처리한 결과 솔벤트류의 toluen - 60분경과시에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모발 큐티클 외벽에 흡착된 silicone oil은 toluen, 적어도 60분경과시에 가장 잘 용해되었다(Fig. 22). 3차 실험인 Silicone oil막 용해와 알칼리 perm제 침투 확인실험 에서는 유기용제 toluen을 이용하여 silicone oil막이 어느정도 제거 되었는지를 알칼리 perm제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알칼리 perm제는 toluen을 처리한 Fig. 30이 Fig. 29에 비해 curl이 잘 형성되었다 영문초록:In this experiment, an organic solvent was used to dissolve the silicone oil membrane adsorbed on hair cuticle layer, which was to overcome a limitation that the silicone oil in hair manicure prevents alkali perm product from permeating into hair.The first experiment about silicone oil membrane and the permeation of alkali perm product was carried out. In the experiment, the hair manicure was followed by the permanent wave. The experiment result showed that the silicone oil in hair manicure prevents alkali perm product from permeating into hair. As a result, the forming and flexibility of hair curl were weakened(Fig. 2). The second experiment was to dissolve the silicone oil, which prevents the alkali perm product from permeating into hair, with the organic solvents (methanols, ethanol, acetone, toluene and benzene). In the experiment, the organic solvents were treated to a nape part of neck and a top part of hair by the time (10, 20, 30 and 60 minuets) and consequently, there was the biggest difference in the treatment of toluene-when 60 minuets passed. Accordingly, silicone oil adsorbed on hair cuticle layer was best dissolved when it was treated by toluene and when at least 60 minuets passed(Fig. 22). The third experiment verified whether the silicone oil membrane had been dissolved and alkali perm product had been permeated. In other words, it checked whether the silicone oil membrane formed on the hair cuticle layer had been removed by the organic solvent, toluene, using alkali perm product. Unlike Fig. 29, Fig. 30 showed that the silicone membrane had been dissolved by toluene, which made the alkali perm product permeate into hair and hair curl form flexibly

      • 국내 인적자원개발(HRD) 연구 동향분석 :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강주희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최근 15년(2003년~2018년)동안의 학위자료(280건), 도서자료(119건), 정책자료(283건)를 대상으로 HRD동향과 주요 이슈 등 연구의 흐름을 파악하고, 최근 3년간(2015년~2018년)의 동향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기업교육의 추진방향을 조망하는 한편 기업교육 현장 HRD담당자들이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과제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국회전자도서관내 『HRD(인적자원개발)』관련 자료 682건을 수집하고 주제어들을 유목화 작업 후 빈도분석과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HRD분야의 변화하는 패러다임에 따라 HRD에 관한 연구에서 다루는 연구 자료와 주제영역도 점점 더 다양해지고 있다. 둘째, 학위자료와 도서자료는 기존 정보와 연계된 깊이 있는 연구와 학문적 가치제시 측면에서 의미가 있으며, 정책자료는 최근 동향이나 현장의 이슈 등을 신속하게 반영하여 연구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셋째, HRD담당자는 기업환경과 HRD의 변화속도에 따른 파급효과가 점점 더 가속화되고 있기에 HRD담당자나 현장전문가들은 이론적인 연구를 통하여 개념적 틀을 제시하는 학위자료와 도서자료 그리고, 현상을 즉각 반영하는 정책자료를 종합적으로 참고하여 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HRD변화에 대비해야 한다. 이에, HRD 전문가들은 미래 HRD발전에 토대가 될 수 있도록 향후 대응 방안과 관련하여 학위자료와 도서자료 뿐만 아니라 정책자료까지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보다 다양한 관점의 연구시도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또한, HRD를 직접 주관하는 담당자들에게 정체성 정립과 미래 HRD 연구의 방향에 대한 관점의 전환을 제안한다.

      • 학교도서관의 역사중심 독서교육이 초등학생의 역사흥미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강주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lement history centered reading education in school libraries and examine the effects of history centered reading educati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est in history in order to provide children with opportunities to cultivate the attitude to properly look at history. To this end, history centered reading education on two classes of third-year students of K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wangmyeong-si, Gyeonggi-do from November 2013 to February 2014 in the school library. A pretest of interest in history was conducted in November 2013 and a post test of interest in history conducted in February 2014. The effects of the history centered reading education in the school library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est in history were analyzed by measuring changes in interest in history i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which the history centered reading education program was implemented and in the control group with which the program was not implemen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history centered reading education on interest in history were analyzed and according to the results, in the case of the entire level of interest in history, the average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ince the post test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hown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history centered reading education can be considered to affect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est in history. Second, differences in interest in history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examined an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experiment became higher than the score before the experiment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differences in interest in history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in the control group were examined an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score of the control group after the experiment became lower than the score before the experiment and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ince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history centered reading education in the school library implemented on third-year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affected the students' interest in history, history reading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expanded to all elementary school years. The role of school libraries that help youths to have interest in history from when they are young can be considered to be very important. Through experience in history centered reading education, children should be able to be equipped with proper values regarding history. A proposal for follow-up stud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history centered reading education on students' interest in history were analyzed with third-year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Therefore, expanding the targets of education not only to low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but also to middle/high school students to educate youths in Korea to have higher interest in history and proper values regarding history is considered very important. 이 연구에서는 어린이들에게 역사를 올바르게 바라보는 자세를 함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하여 학교도서관에서 역사중심의 독서교육을 실시하고 역사중심 독서교육이 초등학생의 역사흥미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광명시에 소재한 K초등학교 3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2013년 11월부터 2014년 2월까지 학교도서관에서 역사중심 독서교육을 실시하였다. 역사흥미 검사는 11월에 사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2월에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역사중심 독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역사중심 독서교육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역사흥미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학교도서관의 역사중심 독서교육이 초등학생의 역사흥미에 주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중심 독서교육이 역사흥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역사 흥미도 전체의 경우,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평균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사후점수는 통제집단의 사후점수보다 높게 나타났으므로 역사중심 독서교육이 초등학생들의 역사 흥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실험집단 사전․사후 역사흥미 차이를 검증한 결과, 실험집단의 사후점수는 사전점수보다 높아졌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역사흥미 차이를 검증한 결과 통제집단의 사후점수는 사전점수보다 낮아졌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연구를 분석한 결과, 초등학생 3학년을 대상으로 학교도서관의 역사중심 독서교육이 역사흥미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앞으로 역사 독서교육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전체 학년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청소년들이 어렸을 때부터 역사에 대한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학교도서관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역사중심 독서교육의 경험을 통하여 어린이들은 올바른 역사 가치관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역사중심 독서교육이 역사흥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따라서 앞으로 초등학교 저학년뿐만 아니라 중고등학생으로 교육대상을 확대하여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역사흥미를 높이고 역사에 대한 올바른 역사 가치관을 갖도록 교육시키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사업 실무자의 운영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강주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2020년 국민 참여 예산으로 처음 시작된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사업 운영을 담당한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사업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20년부터 2021년도 사이에 국립특수교육원 국가장애인평생교육진흥센터에서 공모한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운영사업에 선정되어 사업을 담당하여 운영한 24개 지자체 중 5개 지자체 실무자 5인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in-depth interview)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22년 2월부터 3월까지이며,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상황과 연구 참여자 개인의 사정에 따라 대면, 비대면(온라인 면담(ZOOM)), 전화로 1:1 심층 면담를 진행하였다. 이들의 자료를 전사하고 코딩 과정을 거쳐 의미를 찾고, 주제를 정리해 가면서 범주화하여 연구문제와 관련된 3개의 연구결과와 7개의 상위범주, 17개의 하위범주로 엮어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업 실무자가 인식하는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사업은 장애인 당사자가 교육의 주체로서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해주고 그들의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사업을 통해 장애인을 직접 만나면서 장애친화적 관점이 생겨나 장애인에 초점을 맞춘 사업을 운영하게 되는 등 실무자들의 인식이 변화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사업 실무자가 인식하는 사업 운영의 어려움으로 장애인 당사자가 평생교육을 복지의 개념으로 지원받기 원해서 오는 어려움과 장애인과 비장애인 서로에 대한 이해 부족,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사업 운영 실무자의 장애 전문 역량 부족으로 오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충분한 준비 기간 없이 진행된 사업 운영으로 사업 체계가 구체적으로 잡혀있지 않음에서 오는 현장에서의 어려움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사업 실무자의 인식을 통해 나타난 사업 활성화 방안으로는 다양한 장애인 평생교육 사업을 개발과 장애인 평생교육 전문기관 및 전문가와 함께하는 사업 운영, 관계자의 장애인 평생교육 역량강화 교육 운영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협력적 네트워크 구성으로 장애인 평생교육 관련 기관과 실무자들의 네트워크 활성화로 양질의 장애인 평생교육이 운영될 수 있는 기반조성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였다. 장애인 평생교육을 운영하여 민간에서 할 수 없는 사업들을 공적인 영역에서 수행해야 하고,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사업의 예산과 구체적 지원 기준을 마련으로 정책적인 장애인과 비장애인 모두가 함께할 수 있는 통합적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사업운영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사업이 장애인에게 교육적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실무자들은 인식하였고, 더 발전된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사업 운영을 위해서는 국가의 체계적 기반 구축과 예산 지원이 필요하고 관계자의 전문성을 높일 수 있어야 하며, 협력적 네트워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쌓기놀이 활동이 시각장애유아의 수세기능력 및 공간능력에 미치는 영향

        강주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지식정보화 시대에는 개인이 정보를 올바르게 분석·판단하고, 자신의 역할을 능동적으로 수행하기위해 필요한 수학적 능력이 강조된다. 수학적 능력의 기초는 유아기 일상적인 경험들을 통해 형성되는데, 유아가 일상에서 직접 사물을 조작해보는 등의 수량과 관련된 경험을 통해 형성되는 지식을 일상적 수학 지식이라고 한다. 그런데 시각장애유아들은 실명으로 인해 경험의 범위와 다양성, 보행능력의 발달, 환경과의 상호작용, 모방학습에 어려움을 겪게 되고, 이것으로 인해 일상적 수학 지식을 포함한 다양한 개념 발달에 지체를 경험하게 된다. 하지만 시각장애유아들에게 다양한 구체물을 활용하여 충분히 탐색할 수 있는 적절한 수학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수학 능력 발달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이 다양한 연구들을 통해 증명되어왔다. 학습에 대한 구성주의 모델은 놀이활동이 유아들이 능동적으로 자신의 경험을 기초로 지식을 형성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기 때문에, 놀이가 유아교육 및 발달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고 하였다. 또한, 최근 유아 수학교육에서는 놀이가 수학적 개념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을 밝히는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어 놀이활동에 대한 구성주의 모델의 주장을 지지하고 있다. 유치원에서 놀이 활동이 주로 이루어지는 자유선택활동의 다양한 영역 중 수학활동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 영역은 쌓기놀이 영역이며, 쌓기놀이가 유아들의 수학능력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다양한 연구를 통해 증명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쌓기놀이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이것이 실험에 참여한 시각장애유아의 수세기능력과 공간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A맹학교 유치부 교실에서 이루어졌으며, 이 학교 유치부에 재학 중인 만 4~5세 시각장애유아 3명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시각장애 외의 다른 장애를 수반하지 않고, 유치원 교육 이외에 별도의 수학교육을 받지 않으며, 사전검사를 통해서 또래에 비해 수학적 기본개념 습득이 지체되고 있음이 확인된 유아들이었다. 실험은 유치원 일과 중 개별지도 시간에 이루어졌다. 실험설계로는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고, 실험 과정은 기초선, 중재, 유지의 단계로 이루어졌다. 자료 수집을 위해 모든 회기에 해당하는 평가 과정을 비디오로 촬영하여 녹화하였다. 기초선 단계에서는 10분간 대상유아들의 수세기능력과 공간능력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중재단계에서는 매 회기에 이루어지는 중재의 단발성 효과가 평가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기초선과 같은 조건에서 실험에 참여한 유아들의 수학능력을 먼저 평가한 후, 쌓기놀이 중재를 실시하였다. 중재 종료 4주 후에 기초선과 같은 조건에서 유지 관찰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쌓기놀이 활동을 중재로 적용함을 통해 시각장애유아의 수세기능력이 향상되었고, 향상된 수세기능력은 중재 종료 4주 후에도 중재 종료시점과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둘째, 쌓기놀이 활동을 중재로 적용함을 통해 시각장애유아의 공간능력이 향상되었고, 향상된 공간능력은 중재 종료 4주 후에도 중재 종료시점과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쌓기놀이활동 프로그램이 시각장애유아들의 수세기능력과 공간능력을 향상시키고, 향상된 수세기능력과 공간능력을 유지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놀이가 시각장애유아의 수학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유용한 학습 수단이 됨을 증명하였고, 개별화된 교수 전략이 시각장애 유아의 수학능력 향상에 기여하는 방법임을 입증하였으며, 일반유아를 대상으로 이루어지던 수학능력 관련 연구를 시각장애 유아에게까지 확대했다는 의의를 지닌다. In this study,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is used in order to analyze the intervention effects. Participants are three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and blindness aged 4-5 years. All children are learned math which is in general kindergarten curriculum and did not receive advanced math curriculum. The result of pretests on participants confirmed that their development of basic math concepts have been delayed compared to peer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hrough following procedure: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sequences. The evaluations of each session were videotaped for collecting data. During the baseline period, participating children were evaluated by their counting skills and spatial abilities for 10 minutes, and no intervention was provided. During the intervention period, counting skill and spatial abilities of children were initially evaluated. After then, the children participated in fourteen sessions of block play program which was designed for the intervention. Four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finished, maintenance period was start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baseline period.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counting skills of young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and blindness were improved through the block play program. And improved counting skills were maintained tantamount to the level of last session of the intervention after the intervention was finished. Second, spatial abilities of young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and blindness were improved through the block play program. And improved counting skills were maintained tantamount to the level of last session of the intervention after the intervention was finished. This study clearly verifies that the block play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and maintaining of counting skills & spatial abilities of young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and blindness.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that play is useful method for enhancing mathematical abilities of young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and blindness, and expands the range of researches about mathematical abilities of young children to whom with visual impairment and blindness.

      • 이온전도성 고체전해질의 설계 합성과 응용소자의 전기화학 특성 평가

        강주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체산화물연료전지(SOFC, Solid Oxide Fuel Cell)는 고체산화물, 즉 세라믹 전해질을 사용하는 연료전지로 고온작동 특성으로 발전 효율이 높고 탄화수소계 연료의 직접 사용이 가능 하여 고효율 융합 발전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 친환경 발전 시스템이다. 그러나 실용화 측면에서 고온 작동(1000℃)은 셀 내부 각 전극간의 계면 반응 및 미세구조 제어 등의 문제로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고체산화물연료전지의 실용화 및 수요 확대를 위해 중․저온(600 ~ 800℃)에서 운전 가능한 셀 소재를 개발함으로서 연료전지 시스템의 내구성 향상 및 비용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저온에서 높은 이온전도성을 갖는 ScSZ계 고체 전해질을 저가 고수율의 공침법에 의해 제조하고, 테이프 캐스팅 공법에 의해 박막 전해질 필름 및 SOFC 단위셀의 제조에 의해 전기화학적 특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합성된 전해질 분말은 열처리 온도에 따라 결정 구조, 결정의 상변의 및 비표면적 등 물성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비표면적 5m2/g, 결정화 크기 28nm의 나노 수준의 분말 입자가 얻어졌으며, 이러한 소재는 약 750℃에서 0.07S/cm의 높은 이온전도도가 확인되고 있다. 또한 전기화학적 성능평가 결과, 운전온도 750℃, 전류밀도 1.5A/cm2에서 약 0.9W/cm2의 높은 출력밀도가 얻어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