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시공원에서의 도덕적 가치에 따른 공원관리 참여유형 연구 : Kohlberg의 도덕발달이론 적용을 중심으로

        강은지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47

        2014년 공원․녹지 정책은 공원을 도시 전체로 확대하고 시민을 공원관리에 참여시키는 인간 중심의 정책으로 변화하고 있다. 시민참여를 통한 공원관리는 사회심리학의 친사회적 행동이론을 접목한 도시공원 이용자관리 기법 중 하나로 이용자의 내재된 규범을 자극하여 스스로 훼손행위를 줄이고, 공원관리에 참여시키는 기법이다. 이에 도시공원에서는 공원에 대한 홍보, 교육, 프로그램 활용 등 다양한 기법을 활용하여 이용자의 훼손행위를 줄이고 자발적 참여를 독려하고자 하였으나 여전히 이용자들은 훼손행위를 유발하고 있으며, 이용자의 소수만이 공원관리에 참여하고 있다. 이는 공급자 위주의 방식으로 이용자의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관리 방법에서 기인되었다. 인간은 개인마다 내재된 가치체계가 다르며, 그에 따라 발현되는 행동이 또한 다르다. 따라서 이용자관리에서도 이용자의 가치 수준을 파악하여 그에 따른 적절한 공원관리 방안이 필요하다. 내재적 가치란 도덕적 가치를 말하며, 인지발달론 학자인 Kohlberg는 도덕적 가치를 도덕발달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마다 도덕적 가치를 분류하였다. 도덕발달단계는 3수준 6단계로 본 연구는 일반인이 도달하기 어려운 6단계를 제외하고 총 5단계의 도덕 단계별 가치에 따라 연구를 진행하였다. 인습이전수준에는 1단계인 타율적 도덕성, 2단계인 개인주의적 가치가 있으며, 인습수준에는 3단계인 대인간 규준적 가치, 4단계의 법치주의적 가치가 있다. 마지막으로 인습이후수준에는 5단계의 공리주의가 속한다. 이에 본 연구는 Kohlberg의 도덕발달단계에 따른 5단계, 즉 타율적 도덕성, 개인주의, 대인간 규준적, 법치주의, 그리고 공리주의를 활용하여 도시공원에서의 도덕적 가치에 따른 공원 훼손행위 경험과 공원관리 유형별 참여의향을 밝혀 이용자 특성을 고려한 공원관리 방안의 기초가 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인습이전수준에는 응답자의 24.5%가 속하였으며, 인습수준에는 54.6%, 인습이후 수준에는 20.9%의 분포를 보였다. 인습이전수준의 경우 타율적 도덕성, 개인주의 등 도덕단계가 매우 낮은 단계로 일반적인 도덕적 가치로는 12세 이하의 아동에게 나타나는 도덕단계가 도시공원에서의 도덕적 가치로 표출되고 있음을 확인되었다. 이는 일반적 도덕적 가치와 도시공원에서의 도덕적 가치가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시공원에서의 도덕적 가치에 따른 훼손행위 경험을 분석한 결과, 자원훼손, 쓰레기투기, 음주 후 고성방가 등의 세 가지 유형에서 집단 간 경험 차이가 나타났다. 도덕단계 3단계인 대인간 규준적 가치를 가진 응답자의 훼손 경험이 가장 높았으며, 법치주의와 공리주의를 가진 응답자의 경험이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도덕 단계가 낮은 타율적 도덕성과 개인주의가 더 높은 경험을 나타낼 것이라는 예상을 벗어나 도덕적 가치별로 훼손경험이 달라 질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도시공원에서의 도덕적 가치에 따른 공원관리 참여유형은 크게 의견제시를 통한 관리와 직접 참여를 통한 관리로 구분된다. 의견제시를 통한 관리는 문제의견 제시, 불법행위 신고, 발전방안 제시로 분류되며, 이 중 불법행위 신고에서만 도덕적 가치에 따라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불법행위 신고에 대해 개인주의적 가치가 낮은 참여의향을 보인반면, 대인간 규준적 가치의 응답자는 비교적 높은 참여의향을 보였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세 유형 모두 참여의향이 낮게 나타나 공원관리와 관련한 원활한 의사소통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직접 참여하여 공원을 관리하는 유형은 수목관리, 환경정비, 시설관리, 안내 도우미, 프로그램 도우미, 기금 및 기증 등 총 6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이 중 수목관리, 환경정비, 기금 및 기증 등 세 유형에서 도덕적 가치에 따라 참여의향 차이가 나타났다. 수목관리 참여의향에는 개인주의 가치의 응답자와 법치주의 응답자 간 차이를 나타냈으며, 환경정비와 기금 및 기증 참여의향에는 타율적 도덕성과 법치주의 응답자 간 참여의향 차이를 나타냈다. 세 유형 모두에서 법치주의적 가치의 응답자가 참여의향이 높게 나타났으며, 개인주의와 타율적 도덕성을 가진 응답자의 참여의향이 낮게 나타났다. 집단 간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안내 도우미의 경우 대인간 규준적 가치의 참여의향이 가장 낮았고, 프로그램 도우미는 공리주의 가치를 가진 응답자의 참여의향이 가장 낮고, 타율적 도덕성을 가진 응답자의 참여의향이 가장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도덕 단계가 낮다고 공원관리의 참여의향이 낮으며, 반대로 도덕 단계가 높다고 공원관리의 참여의향이 높지 않음을 시사하고 있다. 즉, 훼손행위와 마찬가지로 도덕적 가치에 따라 참여하고 싶은 공원관리의 유형이 다를 뿐, 그것이 도덕 단계에 따라 참여의향이 높고 낮음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각 도덕적 가치에 따라 참여하고 싶은 공원관리 유형을 정리한 결과, 타율적 도덕성과 개인주의적 가치의 응답자는 도덕 단계가 높은 응답자들의 비해 프로그램 도우미로서 공원관리 참여의향이 높았다. 그리고 대인간 규준적, 법치주의, 공리주의의 경우 도덕 단계가 낮은 응답자에 비해 기금 및 기증 등의 관리참여 의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 시민 참여를 통한 공원관리 방안을 제시할 시, 공급자 위주의 관리방안 제시가 아닌 공원 이용자의 특성을 반영한 공원관리 기법 등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일반 이용자들의 도덕적 가치 특성을 모두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도덕적 가치와 관계된 연령과의 특성을 고려해 그와 관련한 도덕적 가치별 공원관리 기법이 제시 될 수도 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개인의 차를 설명하지 못했던 훼손행위 원인을 도덕적 가치로 구분함으로써 개인 행위 원인을 찾았다는데 그 의의가 있으며, 자유와 생명사상을 다루는 일반적 도덕적 가치와는 달리 도시공원에서의 공원 훼손행위 상황을 설정하여 보다 현실적이고 도시공원과 연계한 도덕적 가치를 도출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시민참여를 통한 공원관리 프로그램은 참여대상이 명확하지 않아 일률적인 수준의 프로그램이 제시되어 왔으나, 본 연구를 통해 도덕적 가치에 따라 관리 유형별로 참여유형을 구분해 그에 따라 적절한 참여 프로그램 수준이 구체화 된다면 효율적인 공원관리를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 국내 힙합뮤지션의 패션스타일 유형별특징

        강은지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과거의 하위문화에서 발전해온 힙합뮤지션들의 패션스타일의 변화 과정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그 특징을 알아봄으로써 힙합패션에 담긴 정신문화와 상징성을 이해하고 새로운 스타일을 제시 하고자 한다. 연구범위는 힙합음악이 국내에 도입된 1990년부터 2008년까지로 한정하였으며 연구대상은 지명도 높은 국내 음악시상식 ‘Mnet KM Music Festival’에서의 힙합 부문 후보작 및 수상작을 기준으로 1차 선정하고 힙합음악 전문 사이트(www.hiphopplaya.com)의 음반판매 순위를 참고하여 최종 선정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힙합뮤지션을 데뷔시기를 기준으로 도입기의 3팀, 성장기의 7팀, 정착기의 3팀, 총 13팀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힙합뮤지션들의 의상, 헤어스타일, 메이크업, 소품 및 악세서리를 포함한 토탈 패션스타일을 분석한 결과, 정통 힙합스타일, 세미 힙합스타일, 스포츠 힙합스타일, 믹스 앤 매치 힙합스타일, 정장 힙합 스타일의 5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통 힙합 스타일’은 상,하의를 자신의 사이즈보다 크고 과장되게 입는 힙합 패션 중 가장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패션스타일로서 통이 넓은 바지에 다양한 색상의 후드티나 점퍼 등을 입고 레게머리와 문신, 피어싱 등으로 강한 개성을 표출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세미 힙합 스타일’은 정통 힙합 스타일보다 활동적이고 실용적인 측면이 강한 스타일로 편안한 캐주얼 느낌의 청바지와 적당한 피트감이 있는 티셔츠로 코디하여 한층 간소화되고 세련된 스타일을 보여주었다. 다양해진 패션스타일만큼 레게머리, 스크래치 등의 다양한 헤어스타일을 연출하였고, 이전 힙합스타일에서 보여지지 않았던 콧수염과 턱수염을 길러 힙합뮤지션들의 특징적인 메이크업적인 요소를 가미하였다. 셋째, ‘스포츠 힙합 스타일’은 비보이들의 격렬하고 활동적인 브레이크 댄스를 할 때 입었던 스타일이 유래된 것으로 이후 NBA농구가 유행하게 되면서 활동성 좋은 트레이닝복이나 무릎까지 오는 팬츠, 빅사이즈의 티셔츠, 프로구단의 이름이 새겨진 점퍼와 모자 등으로 연출하였다. 헤어스타일은 주로 짧거나 내추럴한 스타일로 모자나 두건을 활용하여 활동적인 면을 강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넷째, ‘믹스 앤 매치 힙합 스타일’은 서로 다른 요소들이 하나의 룩 안에서 공존하는 스타일로 힙합 패션에서는 정장재킷에 청바지를 함께 매치한 스타일이 대표적이다. 와이셔츠, 넥타이, 구제 청바지, 스니커즈 운동화로 코디하고 콧수염과 턱수염으로 스타일을 완성하였다. 다섯 번째, ‘정장 힙합 스타일’은 흑인들이 백인과 유사한 외모를 표출하고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한 노력으로 인해 정착된 스타일로 무채색 계열의 블랙 수트와 구두, 중절모, 선글라스로 코디하여 격식 있고 고급스러운 느낌을 연출하였다. 이상의 연구에서 같은 힙합음악의 장르 안에서도 다양한 유형의 힙합 패션스타일이 나타나고, 다른 장르의 음악적 요소 가미에 따라 즉, 뮤지션의 음악적 성향에 따라서도 패션스타일이 변화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앞으로 더 발전되어 갈 한국 힙합문화에서 다양하고 창의적인 힙합 패션스타일을 연출하는 데에 하나의 선행이 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make an effective Hip Hop fashion style and suggest a new style direction in classifying the types of fashion styles of the Hip Hop musicians and studying their features. From 1990 to 2008 the nominated Hip Hop musicians in Mnet KM Music Festival are selected and then the ranks of their record sale in Hip Hop internet site are helped. There are 13 groups, 3 groups are new, 3 groups are popular, and 7 groups are between two classes. They are surveyed in stage costumes, hair styles, make-ups, accessaries, and total fashion styles, and then classified into Normal Hip Hop Style, Casual Hip Hop Style, Sporty Hip Hop Style, Mix & Match Hip Hop Style, and Classical Hip Hop Styl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Normal Hip Hop Style is the most general and universal Hip Hop fashion type. They wear clothes in bigger sizes and exaggeratively. The features of this style are too large pants, colorful T-shirts with a hood & jumpers. And also a cornrow hair style, a tattoo, and a piercing represent marked individualities. Second, Casual Hip Hop Style is more active and practical than Normal Hip Hop Style. Their blue jeans and T-shirts express more simple and polished style. And also they make variable fashion styles and hair styles such as a cornrow hair and a buzz cut. Especially they wear a beard and a moustache to add a characteristic make-up of Hip Hop musicians. Third, Sporty Hip Hop Style is from B-boy's clothes when they do active and violent break dancing. As NBA basketball games are popular, they wear training clothes, breeches, big T-shirts, and jumpers & caps on embroidered sport team's names. Their hair style is short or natural and also they have caps or hoods to present active mood. Fourth, Mix & Match Hip Hop Style is existed variable elements in one style. The typical type of this style is jacket & blue jean. It is characterized by dress shirts, neck ties, blue jeans, sneakers, beards, and moustaches. Fifth, Classical Hip Hop Style is from African Americans. They try to express assimilated appearance of Anglo-Saxons. They wear black suits, shoes, hats, and sunglasses to represent formality and elegance. In the above results, there are variable fashion styles in one Hip Hop music genre and also fashion style is changed with musical inclination. This thesis is an important guide to produce variable and creative Hip Hop fashion styles in Korean Hip Hop culture.

      • 포화된 이온 투과 담체를 가지는 나노 피펫을 이용한 Na+ 와 K+ 이온의 선택적 측정법

        강은지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Ion-selective electrode (ISE)는 나트륨(Na+)이나 칼륨(K+) 등의 타겟 이온을 검출할 수 있는 방법으로 현재까지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다. 나노피펫을 이용하여 국소지역을 측정하는 방법의 응용은 다른 검출 시스템이 요구된다. DC voltage의 기전력을 측정하는 검출 시스템은 나노피펫을 사용했을 경우 작동이 잘 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피펫 내벽의 표면 전하 효과에 의해 발생한 양이온 부유층의 존재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AC와 DC 두 가지를 응용한 lock-in amplifier를 이용하여 AC 시그널을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이 방법을 선택적 이온 측정이 가능한 scanning ion conductance microscopy 장비로의 응용을 위해 더욱 안정적이고 재현 가능한(reproducible) 검출법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bis(benzo-15-crown-5)와 bis(12-crown-4) 등의 이온 투과 담체를 포함하고 있는 PVC 막이 장착된 나노피펫을 제조하는 새로운 방법을 설명하였다. 피펫 내부의 막은 피펫의 가장 뾰족한 부분에 자리 잡고 있으며, 이는 이전연구에서 수행된 피펫 내부의 중간 위치의 막보다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Ion-selective electrode (ISE) is widely used to detect the targeted ions such as sodium and potassium in aqueous solution selectively. Application of this method to small area detection with nanopipette requires different detection system since the detection system measuring electromotive force with DC voltage does not work well in the case of using nanopipette due to the existence of cation-rich layer caused by inner wall surface charge effect. In my study, I developed a method to detect alternate current signal with a lock-in amplifier by applying both alternate and direct voltages. However, the more stable and reproducible detection method is preferred in order to apply this method to the applications such as ion-selective scanning ion conductance microscopy. Here, I describe a novel method to fabricate ion-selective nanopipette based on a poly(vinyl chloride) membrane containing ionophores such as bis(benzo-15-crown-5) and bis(12-crown-4). The membrane is at the conical shank in the nanopipette, which exhibits better results compared with the previous method in which the membrane is at the middle of the nanopipette.

      • 인공지능 반려동물을 학대해도 처벌받아야 할까? : 인공지능 반려동물과 가축·반려동물 비교를 중심으로

        강은지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동물 학대의 대상인 인공지능 반려동물, 가축동물, 반려동물에 따라 가해자에 대한 도덕 판단, 비난 판단, 처벌 판단 차이를 살펴보았다. 실험은 심리학 교양과목을 수강하는 대학(원)생 79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먼저 연구 참여자들에게 동물 학대 대상을 제시하고 마음지각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동물 학대 시나리오를 제시한 후, 동물 학대 가해자에 대한 도덕 판단, 비난 판단, 처벌 판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동물 학대 대상 중 반려동물의 마음지각 경험성이 척도 상 가장 높은 위치에 나타났으며 가해자에 대한 도덕 판단, 비난 판단, 처벌 판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즉, 동물 학대 대상 중 마음지각 경험성이 척도 상 가장 높게 나타난 대상을 학대할 때, 동물 학대 가해자를 도덕적으로 가장 옳지 않고, 가장 비난받아야 하고, 가장 강하게 처벌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게 만든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in moral judgment, criticism judgment, and punishment judgment of the perpetrator according to the subject of animal abuse. In study,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3 different animal abuse conditions 3 (artificial intelligence pets vs. livestocks vs. pets). To this end, the subject of animal abuse was explained and the mind perception was measured. Then, after presenting the animal abuse scenario, moral judgment, criticism judgment, and punishment judgment against the animal abuse perpetrator were measured. As a result, among the subjects of animal abuse, pets had the highest perceived experience, and moral judgment, criticism judgment, and punishment judgment against the perpetrator were the highest.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ey Words : animal abuse, mind percetion, moral judgment, criticism judgment, punishment judgment

      • 인성교육을 위한 현대시교육 방안 연구

        강은지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인성은 인간만이 가지는 성질, 성품이라 할 수 있다. 인성교육은 인간이 인간답게 살기 위한 교육이다. 그러므로 인성교육은 오래전부터 가장 중요한 교육이었고 지금도 여전히 그러하다. 국어교과는 인성교육을 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인간은 언어를 통해 의사소통을 하고 생각을 표현한다. 그리고 문학은 이러한 언어를 통해 인간의 삶을 기록한 것이다. 문학은 인생의 체험적 기록이며 그 안에는 인간답게 살아가기 위한 방법이 담겨져 있다. 문학은 인간다운 삶의 일을 이야기하고 인성교육은 인간답게 살기 위한 교육이기에 문학을 통한 인성교육은 꼭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 가운데에서도 시는 정신활동을 지혜의 운율로 표현한 것이기 때문에 인성교육을 하는데 매우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인성요소(덕목)를 중심으로 한 활동중심의 현대시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활동(상호텍스트성을 활용, 협동학습(토의하기, 모둠창작물 만들기))을 통해서 시의 주제와 관련한 인성요소와 더불어 공감과 협동의 인성요소도 배울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현대시교육 방안은 학생들이 시와 활동을 통해 인성요소를 배울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배운 내용을 자신의 삶과 연결하여 새로운 의미를 생산해 낼 수 있도록 도와 줄 것이다. 그리고 학생들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생산한 의미들을 자신의 삶 속에서 적용하고 실천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안도현의 ‘연탄 한 장’의 시를 통해 인성요소를 중심 한 활동중심의 현대시교육 방안을 구체화하여 현장에 적용해 보았다. 그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은 이번 수업을 통해 배려, 공감, 협동의 인성요소를 을 배울 수 있었다. 설문의 결과 학생들은 이번 수업이 자신의 인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하였으며 활동 중 상호텍스트성의 활용과 협동학습(토의하기, 실천방안 만들기, 모둠창작물 제작하기))등이 인성교육에 도움이 되었다는 결과도 얻을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인성요소를 중심으로 한 활동중심의 현대시교육 방안은 학생들의 인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인성교육에도 효과가 있었다. 그러므로 인성요소를 중심으로 한 활동중심의 현대시교육 방안은 인성교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제공할 것이다. 주제어 : 인성, 인성교육, 인성요소, 현대시, 활동중심, 상호텍스트성, 협동학습, 안도현, ‘연탄 한 장’.

      • 열 펌 시술시 아마란스 추출물을 첨가한 앰플이 모발손상완화에 미치는 영향

        강은지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Digital perm is a type of heat perm that uses thermic physical and chemical processes, and the level of preference is high for minor damage on hair but cannot exclude damages from high temperature. For this reason, this study intended to identify the difference of the damage degree between general ample and Amaranthus spp. L. ample by experimenting the time of ample application with added Amaranthus spp. L. ample different to increase the perm effectiveness while minimizing the degree of hair damage. The group was classified into the Group G, which used general ample, the Group GB, who applied before softening, the Group GM, which applied by stirring it into a reducing agent at the time of softening, and the Group GW, which applied before winding. For group which processed the Amaranthus spp. L. ample were classified into Group A, the Group AB which applied before the softening, the Group AM which applied by stirring it into a reducing agent at the time of softening, and group AW which applied before winding. When the wave efficiency was measured, the Group AW which applied the Amaranthus spp. L. ample before winding showed the highest efficiency with 26.00%, and for the Group G which processed general ample, the Group GW which applied general ample before winding showed 20.64% of efficiency. When hair thickness was measured, the Group AW which applied the Amaranthus spp. L. ample before winding showed the most similar thickness as the normal hair as they showed 0.0435 ± 0.0026 ㎜ of thickness from Group A, and from Group G, the group GM which applied by stirring the reducing agent at the time of softening the general ample showed the thickest hair with 0.0400 ± 0.0053 ㎜ among the general ample group. When amount of moisture contained in hair was measured from Group A, the Group AM which stirred the Amaranthus spp. L. ample in the reducing agent at the time of Amaranthus spp. L. ample application showed 8.10 ± 1.16%, and from Group G, the Group GB which applied general ample before the softening process showed the highest amount of moisture contained in hair with 6.39 ± 1.01%. When tensile strength was measured, the Group AW which applied Amaranthus spp. L. ample on hair before winding showed the highest value of tensile strength with 128.70 ± 15.34 gf/㎜2 among Group A, and the GW which applied general ample on hair before winding also showed the highest value of tensile strength with 105.79 ± 22.38 gf/㎜2. When elongation percentage was measure, the Group AW which applied Amaranthus spp. L. ample on hair before winding showed the highest elongation percentage with 240.26 ± 17.89% from Group A, and from Group G, the Group GB which applied general ample before softening showed 225.51 ± 16.13%. When the degree of hair damage was measured through the methylene blue experiment, the Group AW which applied Amaranthus spp. L. ample on hair before winding showed the least damage in Group A as the O.D value was 0.4970 that shows 84.02% of the MB absorption rate, and from Group G, the Group GW which applied general ample on hair before winding showed least damage as it showed 84.40% of the MB absorption rate with 0.4992 of the O.D value. Whe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hair surface was observed, undamaged hair of the Group AW which applied Amaranthus spp. L. ample before winding showed similar form as the undamaged hair of virgin hair, and the interval was regular. By comparison, it was difficult to observe the scale for the Group G which processed general ample as the undamaged hair got absorbed. When microstructure of hair of each group was observed, the thickness of cuticle of normal hair was measured to 369.27 ± 27.32 ㎚. From Group A which process the Amaranthus spp. L. ample, the Group AW which applied the ample before winding showed the thickest hair with 385.51 ± 10.14 ㎚, and from Group G which processed general ample, the Group GB who applied general ample on hair before softening showed thickest hair with 339.07 ± 14.26 ㎚. When surface element was analyzed, 8 elements were detect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ulfur content within cortex, the Group A which applied Amaranthus spp. L. ample showed greater sulfur content compare to the Group G which applied general ample, and specially, the Group AW which applied Amaranthus spp. L. ample before winding showed least damage as the sulfur content was 12.84%.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identified that the hair damage gets eas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Amaranthus spp. L. ample, but as when applied after stirring the ample in the reducing agent at the time of softening showed relatively low wave efficiency, it is considered that research on the types of chemical action that is produced at the time of stirring ample and reducing agent take place need to be conducted continuously. 디지털 펌은 열에 의한 물리?화학적 작용으로 이루어지는 열 펌의 종류 중 하나로 손상이 적은 장점으로 선호도는 높으나 높은 온도로 인한 손상을 배제할 수 없다. 이에 모발손상을 최소화 하면서 펌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천연 추출물인 아마란스를 첨가한 앰플(이하 아마란스 앰플)의 적용시점을 달리하여 실험한 후 일반 앰플 과의 모발 손상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일반 앰플을 처리한 군을 G군으로 구분하였으며 연화 전에 도포한 군(GB), 연화 시 환원제에 교반하여 도포한 군(GM), 와인딩 전에 도포한 군(GW)으로 설정하였다. 아마란스 앰플을 처리한 군을 A군으로 구분하였으며 연화 전 도포한 군(AB), 연화 시 환원제에 교반하여 도포한 군(AM), 와인딩 전 도포한 군(AW)으로 설정하여 실험을 진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웨이브 효율성을 측정결과 A군은 와인딩 전 아마란스 앰플을 도포한 AW가 26.00%로 가장 높은 효율성을 나타냈으며 일반 앰플을 처리한 G군은 와인딩 전 일반 앰플을 도포한 GW가 20.64%의 효율성을 나타냈다. 모발 굵기를 측정한 결과 A군은 와인딩 전 아마란스 앰플을 모발에 도포한 AW가 0.0435 ± 0.0026 ㎜의 두께를 보여 정상모와 가장 유사한 두께로 나타났으며, G군은 연화 시 일반 앰플을 환원제에 교반하여 도포한 GM이 0.0400 ± 0.0053 ㎜로 일반 앰플군 중 가장 두꺼운 모발 굵기를 나타냈다. 모발이 함유하고 있는 수분 량을 측정한 결과 A군은 연화 시 아마란스 앰플을 환원제에 교반하여 도포한 AM이 8.10 ± 1.16%로 나타났고 G군은 연화 전 일반 앰플을 모발에 도포한 GB가 6.39 ± 1.01%로 가장 높은 수분 함유량을 나타냈다. 모발의 인장강도를 측정한 결과 A군은 와인딩 전 아마란스 앰플을 모발에 도포한 AW가 128.70 ± 15.34 gf/㎜2로 가장 높은 인장강도 값을 보였으며 G군은 와인딩 전 일반 앰플을 도포한 GW가 105.79 ± 22.38 gf/㎜2로 가장 높은 인장강도 값을 보였다. 연신율을 측정한 결과 A군은 와인딩 전 아마란스 앰플을 도포한 AW가 240.26 ± 17.89%로 높은 연신율을 보였으며 G군은 연화 전 일반 앰플을 도포한 GB가 225.51 ± 16.13%로 나타났다. methylene blue 실험을 통해 모발의 손상정도를 측정한 결과 A군은 와인딩 전 아마란스 앰플을 모발에 도포한 AW가 O.D값 0.4970으로 84.02%의 MB 흡착률을 보여 가장 손상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G군은 와인딩 전 일반 앰플을 모발에 도포한 GW가 O.D값 0.4992로 나타나 84.40%의 MB 흡착률을 보여 손상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발 표면의 형태학적 특성을 관찰한 결과 와인딩 전 아마란스 앰플을 모발에 도포한 AW의 모표피가 virgin hair의 모표피와 유사한 형태를 보였으며 스케일이 뚜렷하고 그 간격이 일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에 비해 일반 앰플을 처리한 G군은 모표피가 흡착되어 스케일을 관찰하기에 어려웠다. 각 군의 모발 미세구조 관찰 결과 정상모의 큐티클 굵기는 369.27 ± 27.32 ㎚로 측정되었다. 아마란스 앰플 처리한 A군은 와인딩 전 아마란스 앰플을 모발에 도포한 AW가 385.51 ± 10.14 ㎚로 나타나 가장 두꺼운 굵기를 나타냈으며 일반 앰플을 처리한 G군은 연화 전 일반 앰플을 모발에 도포한 GB가 339.07 ± 14.26 ㎚로 가장 두꺼운 굵기를 나타내었다. 표면원소를 분석한 결과 여덟 종류의 원소가 검출되었으며 모피질 내 황 함유량을 살펴본 결과 아마란스 앰플을 도포한 A군이 일반 앰플을 도포한 G군에 비해 황 함유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와인딩 전 아마란스 앰플을 모발에 도포한 AW가 12.84%의 황 함유량을 보여 가장 손상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아 아마란스 앰플의 적용으로 인해 모발손상이 완화되는 효과를 확인하였으나 연화 시 환원제에 앰플을 교반 후 도포하였을 때 웨이브 효율성이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나 앰플과 환원제의 교반 시 어떠한 작용이 일어나는지에 대한 화학적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농촌 노인의 사회적 자본과 주관적 연령의 관계: 정신건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강은지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지역사회 농촌 노인을 대상으로 사회적 자본과 주관적 연령 지각 차이의 관계를 살펴보고, 사회적 자본이 주관적 연령 지각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사회적 자본, 노년기 정신건강, 그리고 주관적 연령 지각 차이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사회적 자본이 주관적 연령 지각 차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노년기 정신건강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사회적 삶, 건강한 노화(Korean Social Life, Health and Aging Project, 이하 KSHAP)‘의 5차 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조사에 참여한 지역사회 노인 총 494명의 자료가 최종 연구에 사용되었다. 설문지에는 Westerhof & Barrett(2005)이 개발한 주관적 연령 측정 문항, KSHAP 연구팀에서 개발한 사회적 자본 척도, 한국판 역학연구센터 우울척도(The Korean version of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한국판 치매 선별용 간이정신상태검사(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for Dementia Screening; MMSE-DS)가 사용됐다. SPSS를 이용해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적 자본은 노년기 정신건강 증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노년기 정신건강은 주관적 연령 지각 차이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를 통해 노년기 정신건강이 좋을수록 주관적 연령을 어리게 지각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노년기 정신건강은 사회적 자본과 주관적 연령 지각 차이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사회적 자본이 노년기 정신건강의 경로를 통해 주관적 연령을 젊게 지각하는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이 시사된다. 반면, 사회적 자본과 주관적 연령 사이의 직접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즉, 사회적 자본이 노년기 정신건강 증진에 기여할 때에만 주관적 연령 지각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이 확인됐다. 본 연구는 노년기의 전반적인 적응의 지표인 주관적 연령이 지각되는 기제를 사회적 자본과 노년기 정신건강을 통해 알아보았으며, 성공적인 노화에 있어 노년기 정신건강의 중요성을 확인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