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특성화고등학교 미용교사의 NCS 기반 교육과정 인식 조사

        강다인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전국 미용고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현재 실행되고 있는 NCS 기반 교육과정 운영현황을 조사하고 활용정도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미용고등학교 NCS 기반 교육과정 운영시 효과적인 수업이 될 수 있도록 발전방향 수립하고자 한다. 또한 교육과정이 개정되면서 현 NCS 교육과정에 대한 미용고등학교 교사의 전반적인 인식수준을 파악하고 교육과정에 맞게 수업이 편성․운영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미용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여 총 150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이를 위해 수집된 데이터는 SPSS WIN 21.0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t-test, 일원분산분석(ANOVA), 사후검정(Duncan test)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NCS에 대한 인식도 차이에서 학교는 국․공립보다 사립이 전반적인 NCS에 대한 인식도가 높았으며, 담당교과는 피부미용, 네일미용보다 헤어미용, 메이크업이 전반적으로 인식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운영방법의 경우 일학습병행제(도제), 과정형 평가는 수업 적용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식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NCS기반 학습모듈에 대한 인식도 차이는 사립의 경우 국․공립에 비해 전반적인 NCS기반 학습모듈에 대한 인식도가 높았으며, 담당교과는 메이크업, 네일미용보다 헤어미용, 피부미용이 전반적으로 인식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영방법의 경우 과정형 평가, 수업적용이 일학습병행제(도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식도가 높았다. 셋째,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NCS기반 학습모듈에 대한 활용도 차이는 사립의 경우 국․공립에 비해 전반적인 NCS기반 학습모듈에 대한 활용도가 높았으며, 담당교과는 헤어미용, 네일미용보다 피부미용, 메이크업이 전반적으로 수업지도에 대한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운영방법의 경우 과정형 평가, 수업적용이 일학습병행제(도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NCS기반 학습모듈 인식도가 활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NCS기반 학습모듈 인식도(β=.773, p<.001)는 활용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NCS와 학습모듈이 학교 교육과정에 효과적으로 편성 및 활용될 수 있도록 NCS와 학습모듈을 지속적인 보완과 개발이 필요하며, 특히 단위학교에서 NCS기반 직업교육과정의 편성 및 운영에 대한 국가수준의 구체적인 지침과 더불어 NCS기반 국가수준 교육과정 해설서, NCS 활용 가이드 등을 제공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학교 현장 교원의 현장성 높은 의견을 반영해야 한다. 또한 교사의 연령, 교육경력에 따른 관심수준에 차이가 있으므로 교사 배경 변인에 따른 차별화된 NCS 교육 과정 연수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고 본다.

      • 세안제의 종류와 세안 방법이 안면 피부의 클렌징 효과와 유·수분에 미치는 영향

        강다인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세안제의 종류와 세안 방법에 따른 안면 피부의 클렌징 효과와 유·수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검증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20∼30대 여성 9명을 대상으로 하여, 본 연구의 목적인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폼클렌저로 1차 세안한 것을 기준으로 하여, 딥클렌징 기능이 강화된 폼타입 딥클렌저, 스크럽타입 딥클렌저로 1차 세안을 한 것과 2가지의 이중세안법으로 세안을 달리 했을 때 안면 피부의 클렌징 효과와 유·수분량이 얼마만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험 전과 후의 모공의 수와 유·수분 값을 비교 측정하였다. 모공의 수는 눈에 띄는 모공 수, 크게 열린 모공 수, 블랙헤드 모공 수로 세분화해서 비교 검증하였으며, 안면이 깨끗하게 세안되어 모공이 많이 노출될수록 모공 수의 측정값은 높게 나타나므로, 모공 수의 측정값이 높게 나타날수록 클렌징 효과 또한 우수하다고 판단하였다. 실험 전 연구 대상자의 안면에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인 CC크림을 균일하게 도포하여 모공의 상태를 커버하였고 실험 후 그룹별로 폼클렌저를 기준으로 한 모공 수의 변화량을 통계 분석한 결과, 실험 그룹 중 이중세안만이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냈으며, 세안제의 강도를 달리하여 수성세안을 2차례에 걸쳐서 하는 이중세안이 가장 높은 통계적 유의성을 띄었다. 피부의 유·수분량은 실험 후 그룹별 비교 시 모든 그룹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베이스 메이크업을 한 후 안면의 클렌징 시, 이중세안이 딥클렌징 기능이 강화된 1차 세안제만을 이용한 세안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클렌징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일반적인 이중세안인 유성세안제와 수성세안제를 차례대로 이용한 방법 보다 1차 수성세안 후 딥클렌징 기능을 가진 2차 수성세안제를 차례로 이용한 이중세안법이 클렌징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이중세안법의 클렌징 효과 외의 피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양한 실증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and verify the impact of cleansers and cleansing methods on facial cleansing effects and skin sebum and moisture. Nine women in their 20s and 30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 number of pores and the level of sebum and moisture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were measured and compared to know differences in cleansing effects of facial skin and the quantity of sebum and moisture when cleansing the face once using a foam-type deep cleanser and a scrub-type deep cleanser whose deep cleansing function is strengthened and when doing double facial cleansing, compared with cleansing the face once using a foam cleanser that is generally used, which is a purpose of this study. Pores were broken down to visible pores, widely opened pores and black head pores. When more pores were seen after cleansing the face cleanly the measurement of the number of pores became higher, so it was thought that the higher measurement of the number of pores meant better cleansing effects. Before the experiment, CC cream, one of base makeup items, was evenly applied to faces of participants to cover the state of pores and changes in the number of pores were analyzed by group after the experiment based on foam cleansers. According to the experiment, a group of women doing double facial cleansing showed significant changes and only double cleansing about washing using water-based cleansers twice with different intensity showed the highest statistical significance. There was comparison of the quantity of skin sebum and moisture after the experiment and all groups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According to the study, double facial cleansing after base makeup had better cleansing effects than washing the face using the first cleanser whose deep cleansing function was strengthened. In particular, double cleansing using the first water-based cleanser and then the second water-based cleanser with deep cleansing function was more effective than adopting a general double cleansing method using an oil-based cleanser and then a water-based cleanser. There should be various empirical studies on cleansing effects of double cleansing and its impact on skin.

      • 고위험 임부의 태교실천, 자존감 및 사회적 지지가 태아애착에 미치는 영향

        강다인 부경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1855

        Purpose The current study aims to explore Taegyo practice,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degree of maternal fetal attachment in women with high-risk pregnanc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and the factors that affect maternal fetal attachment, as part of effort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that can serve as a theoretical basis for future directions and development of a systematic and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 for women with high-risk pregnancy. Method The participants included women with high-risk pregnancy receiving inpatient treatment at four hospitals—a general hospital and three women's hospitals—located in metropolitan city “B,” who were diagnosed with 19 conditions related to high-risk pregnancy. Subsequently, 226 women, who provided informed consent for participating in the study after understanding its purpose and aim, were included. Data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1– 28, 2022. Data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SPSS/WIN 26.0 software. The general and obstetric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Taegyo practice,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degree of maternal fetal attachment were analyzed with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one-factor ANOVA were used for the differences in maternal fetal attachment due to general and obstetric characteristics, with the post-hoc Scheffé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ur variables were analyzed with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 factors influencing maternal fetal attachment were analyzed usin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aternal fetal attachment of women with high-risk pregnancy owing to their general and obstetric characteristics, for the following factors: marital satisfaction (F=31.78, <.01), physical conditions (F=12.61, <.01), and whether the pregnancy was planned or unplanned (t=2.98, <.01). Maternal fetal attachmen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aegyo practice (r=0.70, <.01), self-esteem (r=0.53, <.01), social support (r=0.60, <.01), all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aegyo practice (β=0.50, <.01) and social support (β=0.17, <.05) were considered as factors influencing the maternal fetal attachment of women with high-risk pregnancy, with Taegyo practice having the maximum influence between them. These influencing factors explained 53% of the total variation of outcomes, regarding the maternal fetal attachment of women with high-risk pregnanc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indicate that maternal fetal attachment increases with higher Taegyo practice and greater social support.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imperative to use interventions that can promote Taegyo practice and enhance the social support of women with high-risk pregnancy, in order to increase the maternal fetal attachment of women with high-risk pregnancy.

      • 북한산국립공원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관리개선방안 연구

        강다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북한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탐방객의 연차별 증가 추세와 자연자원의 훼손 및 생물다양성 감소추세분석, 현장조사를 통해 탐방객과 훼손 및 생물다양성 감소와의 관계성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공원탐방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현재의 관리방안을 검토해 북한산국립공원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관리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탐방객과 훼손 및 생물다양성 감소와의 관계성 분석 결과, 탐방객 수의 증가는 북한산국립공원의 훼손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탐방객 수의 증가는 자연자원의 과도한 이용으로 이어져 탐방로의 훼손 정도와 탐방로의 노선 수, 탐방로의 연장, 외래 식물 종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유지되거나 증가해야 할 조류의 종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다. 설악산국립공원과의 비교 결과, 북한산국립공원의 면적은 5배 작으나 탐방로의 길이와 훼손 탐방로가 2배나 길어 물리적 훼손의 정도가 심각하였고 파편화가 심각하여 생태적 가치도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조사 결과 탐방객 다 구간, 탐방객 소 구간, 우이령길(실명예약제 구간)에 차이를 보였다. 탐방객 다 구간의 경우 탐방로 자체의 훼손이 주로 진행되고 있었으며, 일부 탐방객들의 탐방 행위에 관한 문제점도 나타났다. 탐방객 소 구간의 경우 탐방로 자체 훼손 보다는 탐방로 주변 수목의 훼손이 진행 중이었다. 실명예약제를 시행하는 우이령길은 탐방로가 넓고 평평한 특징을 가져 세굴 및 수로화가 진행된 곳이 많이 발견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개선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전문가와 일반 탐방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두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전문가집단이 일반 탐방객집단보다 북한산국립공원의 훼손을 더 심각하게 그리고 탐방객의 밀도를 더 높게 체감하고 있었으며, 전문가집단이 관리목표와 탐방객 정책을 조금 더 친환경적이고 생태계의 보호를 위한 목표를 세워야 하며 탐방객의 규제와 이용이 적절히 조화되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북한산국립공원의 관리방안 분석 결과, 현재 드러나 있는 문제에 대한 중장기적인 대응전략 위주로 구성되어있어 장기적인 목표와 전략수립이 필요하였다. 북한산국립공원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관리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관리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다양한 항목의 모니터링이 시행되어야 하며 모니터링을 통해 얻은 자료의 분석을 위한 데이터의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탐방객들에 대한 규제로는 이미 시행되고 있는 샛길탐방규제를 강화하고 탐방객에 민감한 종들의 번식기에 서식처 근처 탐방로를 우회하는 등 과도한 규제보다는 자연생태계를 보호하기위한 적절한 규제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과도한 압력으로 인해 탐방로의 훼손이 시작된 구간은 탐방객의 분산, 우회를 통해 훼손을 막아야 하며 건전하며 생태적으로 중요한 탐방로는 실명예약제를 실시하면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국립공원의 관리를 위해 관리자의 노력도 중요하지만 교육이나 홍보를 통한 탐방객들의 인식 재고가 매우 중요하며 환경에 대한 중요성, 친환경적인 탐방방법 등에 대한 이해를 높여야 한다. 환경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게 된 탐방객들은 자발적으로 친환경적 탐방이 가능해 훼손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isitors and the deterioration and the decrease of biological diversity through an analysis of the increasing trend of the number of visitors by year, an analysis of the tendency of the deterioration of natural resources and the decrease of biological diversity and a field survey with Bukhansan National Park, and based on this, by reviewing the survey with the park visitors and the current management method, management improvement methods were proposed for a sustainable use of the Bukhansan National Park.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visitors and deterioration and decrease of biological diversity,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visitors had direct and indirect impacts on the deterioration of the Bukhansan National Park.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visitors led to an excessive use of natural resources, and the level of the deterioration of the trails, the number of the trail routes, the extension of trails, the number of foreign plant species tended to consistently increase. In addition, the number of bird species that should be maintained or increased tended to decrease consistently. As a result of a comparison with Seoraksan National Park, the area of the Bukhansan National Park is five times smaller, but the lengths of its trails and deteriorated trails are two times longer, so the degree of physical deterioration was serious. Also, there was severe fragmentation, so its ecological value was lower. In the result of a field survey, there were differences in sections with many visitors, sections with fewer visitors and Uiryeong-gil (the section in which the real-name reservation system is carried out). In the sections with many visitors, the deterioration of the trails themselves was in progress while there was a problem with the act of visit in some visitors. In the sections with fewer visitors, rather than the deterioration of the trails themselves, the deterioration of plants near the trails was in progress. In the Uiryeong-gil where the real-name reservation system is carried out, the trails were spacious and flat, so many places in which erosion and canalization had been in progress were found. Based on thi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specialists and general visitors in order to propose measures for improvement, and as a resul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expert group felt the deterioration of the Bukhansan National Park more seriously and felt the density of visitors higher than the general visitor groups did. The expert group responded that an eco-friendlier management goal, a policy on visitors and a goal for the protection of the ecosystem should be set up, and the regulation on visitors should match up properly with their use.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the method for the management of the Bukhansan National Park, the method was constructed focusing on the mid- and long-term response strategy for the current problems, and it would be necessary to establish a long-term goal and strategy. Management improvement methods proposed for a sustainable use of the Bukhansan National Park are as follows: It is necessary to monitor various items to set up a direction of management, and systematic management of data for an analysis of materials obtained through the monitoring is required. As a regulation of visitors, the regulation on a side-road visit already in force should be improved, and rather than excessive regulation, an appropriate regulation should be implemented to protect natural ecosystems, like the visitors' detour off the trail near habitats in breeding seasons of sensitive species. In addition, for the sections in which the deterioration of the trails has begun due to excessive pressure, the deterioration should be prevented through the split and detour of visitors, and sound and ecologically important trails can be effectively managed by the real-name reservation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the National Park, the manager's efforts are important, but the promotion of visitors' awareness through education or public relations is much more important, an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about the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 and eco-friendly method of visit. Visitors with an increased understanding about the environment can voluntarily make eco-friendly visits, so the deterioration can be reduced.

      • 코로나 19 기간 중 여교사가 지각하는 일-가정 양립갈등과 직업평판이 소명의식에 미치는 영향 : 괜찮은 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강다인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 19 기간 동안 유자녀 여교사들을 대상으로 일-가정 양립갈등, 직업평판, 소명의식, 괜찮은 일의 관계를 확인하여 구조방정식 모형과 일-가정 양립갈등, 직업평판과 소명의식의 관계에서 괜찮은 일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온라인으로 전국의 유자녀 여교사 286명을 대상으로 일-가정 양립갈등, 직업평판, 소명의식, 괜찮은 일을 측정하는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고, 응답자료 중 최종 249개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과 AMOS 26.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일-가정 양립갈등과 직업평판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가정 양립 갈등과 괜찮은 일은 상관관계분석 실시 결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최종 모형에서도 일-가정 양립갈등은 괜찮은 일을 정적으로 예측한다는 결과가 지지되었다. 셋째, 코로나 19 기간 동안 일-가정 양립 갈등과 여교사가 인식하는 직업평판이 소명의식에 이르는 경로에서 괜찮은 일의 매개효과에 대한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괜찮은 일이 일-가정 양립갈등과 직업평판을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비추어 보면 일-가정 양립갈등과 직업평판이 각각 괜찮은 일을 매개로 소명의식에, 소명의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가정 양립갈등, 직업평판과 소명의식의 관계에서 괜찮은 일은 완전매개효과의 영향을 주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코로나19 기간 동안 여교사가 자신이 경험하는 일-가정 양립갈등과 직업평판이 소명의식으로 향하는 경로에서 괜찮은 일의 매개효과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봄으로서 소명의식의 선행기제를 파악하고 상담 개입방법의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balance conflict, job reputation, sense of calling, and decent work was checked for female teachers with children during the COVID-19 perio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work-family coexistence conflict,job reputation and sense of calling was posi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work. For this purpose, an online questionnaire consisting of scales measuring work-family balance conflict, job reputation, sense of calling, and decent work was conducted for 286 female teachers with children across the country, and the final 249 respons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SPSS20.0 and AMOS26.0. The main results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major variables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work-family balance conflict and job reputation. Second,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work-family balance conflict and decent work, and the final model also supported the result that work-family balance conflict positively predicts decent work.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of decent work on the path from work-family balance conflict and female teachers' perceived job reputation to a sense of vocation during the COVID-19 period, decent work is associated with work-family balance conflict and job reputation. appeared to be completely mediated. In the light of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found that work-family balance conflict and job reputation influence the sense of calling and calling through good work, respectively,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balance conflict/professional reputation and the sense of calling It can be said that good work is influencing the perfectly mediating effect. Conclusions By examining whether the mediating effect of a decent job appears on the path that female teachers experience during the COVID-19 period, the work-family reconciliation conflict and professional reputation on the path toward the sense of vocation,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preceding mechanism for carrying out the vocation and the basis of the counseling intervention method. It was intended to provide relevant data.

      • 최적화된 두께의 MoO3 컨택 접합을 통한 일관된 p-type 특성의 WSe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제작

        강다인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55

        저차원 층상구조를 가지고 있는 WSe2(Tungsten diselenide)를 채널로 하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제작하여 소스/드레인(S/D)과 채널의 Contact 특성이 MoO3(Molybdenum trioxide)를 삽입함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관측하였다. MoO3는 많은 산소정공을 가지고 있으면 매우 큰 일함수를 가지는 물질로써 반도체 위에 증착하는 경우 홀도핑을 크게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는 여기서 MoO3 산화막을 채널 영역이 아니라 WSe2와 S/D 사이에만 국부적으로 증착하여 특성 변화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WSe2/MoO3/Au S/D 전극을 가진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는 WSe2/Au S/D 전극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와 달리 p-type 특성을 보인다. MoO3의 큰 일함수는 WSe2와 Au의 페르미 레벨 피닝 위치와 관계 없는 Contact을 형성하여 Contact의 페르미 레벨이 원자가띠에 가까이 위치하게 함으로써 홀의 쇼트키 배리어에 의한 Contact 저항을 크게 감소시킨다. WSe2 트랜지스터의 채널 전류는 삽입된 MoO3 두께(2–20 nm)에 따라 Contact에서의 배리어 height와 MoO3 두께 변화에 따른 터널링의 두 가지 전도 메커니즘에 의해 동시에 주도됨을 확인하였다. 채널이 형성된 후 트랜지스터의 채널 전류가 드레인 전압에 따라 보이는 선형, 비선형, Saturation 등의 다양한 특성을 이용하여 두 전도 메커니즘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MoO3가 Contact 영역에만 삽입되어 채널의 도핑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Blank 형의 Back-Gate 구조를 가지는 소자구조에서는 변형된 Contact 영역이 트랜지스터의 Subthreshold와 Threshold 전압에도 크게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게이트 전압에 따른 전류밀도 특성을 통하여 MoO3 접합층이 5 nm일 때, 홀 캐리어 On-current와 홀 전계효과 이동도의 최댓값, 홀 Contact 저항의 최솟값을 얻었다.

      • 파운데이션 제형과 메이크업 도구 사용에 따른 파운데이션 사용 양과 피부 보습 상태에 관한 연구

        강다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23

        세계메이크업 시장의 판도는 피부표현에 주목하고 있다. 기존의 매트 한 느낌의 메이크업에서 보다 내추럴(natural) 한 느낌의 피부표현 메이크업이 1990년대 후반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내추럴(natural)은 인위적으로 만든 것이 아닌 자연의 것을 말한다. 이처럼 인위적이 아닌 시대의 흐름에 따라 미의 변화도 다양해졌다. 메이크업의 방법, 도구 또한 다양해졌다. 계속해 인기를 몰고 있는 물(水)광, 윤광 메이크업에 이어 꿀 광에 결광이라는 메이크업까지 다양한 메이크업 스타일들이 계속해 쏟아져 나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트렌드로 자리 잡은 광이 나며 촉촉한 메이크업이 눈으로만 보이는 촉촉함인지 실제로도 수분 유지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피부에 도포하여 피부의 수분 양 측정을 통해 알아보았다. 또한 그 수분유지 효과가 메이크업 도구와 메이크업에 사용된 파운데이션의 제형 그리고 사용된 양에 따라서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 연관 지어 살펴보았다. 실험군은 서울 경기대학교 연기학과 20대 여학생 16명 중 중도탈락자 6명을 제외한 10명을 대상으로 메이크업 도구와 메이크업 제품의 제형, 사용 양에 따라서 메이크업 전, 직 후, 1시간, 2시간, 4시간, 8시간 시간차를 두고 수분 양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스펀지, 파운데이션 브러시, 핑거 터치 세 가지 도구의 실험 결과 스펀지는 메이크업 직전과 메이크업 8시간 후의 수분양이 43.1에서 40.6로 6.15% 감소되었으며, 파운데이션 브러시는 메이크업 직전과 메이크업 8시간 후의 결과가 43.6에서 43.27로 0.76% 증가하여 스펀지 보다는 감소율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핑거 터치는 메이크업 직전과 메이크업 8시간 후의 결과가 50.67에서 52.53로 1.55% 상승 되어 핑거터치가 8시간 후에 수분 유지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핑거 터치의 방법으로 메이크업에 이용된 파운데이션의 제형에 따라 O/W제형과 W/O제형의 제품으로 수분유지 효과를 실험한 결과 W/O 제형의 파운데이션이 메이크업 후 8시간 후 8.7%상승, O/W제형이 1.55% 상승하여 O/W 제형 보다는 W/O제형의 파운데이션이 수분 유지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메이크업 도구에 따라 사용된 파운데이션의 양을 측정한 결과 스펀지는 얼굴에 94.9%가 도포 되었고, 파운데이션 브러시는 92.9%가 도포 되었으며, 핑거 터치는 98.7%가 얼굴에 도포되어 핑거터치를 사용하여 도포하였을 때 파운데이션의 양이 피부에 가장 많이 남아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위 실험들의 결과를 보면 W/O제형의 파운데이션을 핑거터치로 메이크업을 할 시에 수분 유지 효과가 가장 좋았는데 이는 제형적인 측면에서는 O/W제형보다는 외상이 오일인 W/O제형이 보습의 효과가 더 좋고 핑거터치 방법은 메이크업 도구 사용에 따른 파운데이션의 사용 양을 비교하여 보았을 때 스펀지나 파운데이션이 파운데이션 브러시에 비해 얼굴에 도포되는 양이 많기 때문에 수분 유지 효과와 연관 지어 생각해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