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음악교육학 석사학위 논문 경향 분석 연구 : 국내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중심으로

        채규조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는 문헌 정보의 홍수 속에서 음악학도들에게 필요한 자료를 신속 정확하게 찾는데 느끼는 곤란함과 자료검색을 위한 2차 자료의 필요성에 부응하여 음악교육 연구의 정보자료로서 음악교육 문헌관계 석사학위 논문의 총람을 작성하고 이를 장르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1993년부터 2002년 2월까지 제출된 국내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333편의 논문 총람과 내용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333편의 장르별 연구경향은 14개의 장르 중에서 음악교육론 영역과 국악교육영역에 각각 67편(20.1%)으로 가장 많은 연구를 보였다. 이는 본 연구의 대상 논문 작성자들 대부분이 초등교육에 몸담고 있는 교사로서 좀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음악교육을 하기 위한 노력의 표출로서 음악교육학적 측면에서 음악교육방법을 연구해 보려는 시도를 엿볼 수 있다. 또한 최근 들어 서양식의 음악교육을 답습해온 이제까지의 교육에서 탈피해 우리의 것을 바로 알고자 하는 국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기조를 반영하여 국악교육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장르별-연도별 연구경향의 전체적인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전국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논문이 발표되기 전인 1998년까지의 장르별 연구 비중을 살펴보면 음악교육론(28편), 성악교육(14편), 국악교육(14편), 작곡교육(11편), 교육과정(10편)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국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논문이 발표되는 1999년에는 국악교육 9편, 성악교육 7편, 음악교육론 3편으로 국악교육이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이후 2002년까지의 장르별 연구 비중을 살펴보면 국악교육(49편), 음악교육론(39편), 성악교육(30편), 교육과정(23편), 감상교육(19편)의 순으로 나타났다. 1999년 이후 국악교육의 연구논문이 가장 많이 발표된 데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연구논문의 연구대상 시기인 6차 교육과정 때부터 국악교육에 많은 관심과 영역이 할애되었고 7차에 이르러 초등음악의 50%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어 국악교육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여진다. 1992년부터 1998년까지 1편도 제출되지 않았던 피아노 교육관련 논문과 불과 2편만이 제출되었던 음악 교육 평가 영역이 1999년 이후 피아노 교육이 총 7편, 음악 교육 평가 영역이 11편으로 많이 증가되었다. 또한 어느 영역에도 소속되지 않는 새로운 영역의 논문들도 1999년 이후 10편이 발표되었다. 셋째, 장르별-학교별 연구경향의 전체적인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음악교육론 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부산교육대학교, 서울교육대학교, 인천교육대학교, 청주교육대학교였으며, 음악재능교육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진주교육대학교였다. 성악교육 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공주교육대학교, 전주교육대학교였으며, 작곡교육 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대구교육대학교였다. 국악교육 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광주교육대학교, 부산교육대학교, 인천교육대학교, 춘천교육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였다. 이를 토대로 살펴보면 학교에 따라서 장르별로 비중을 두어 연구하는 영역이 다름을 알 수 있다. 또한 서울교육대학교와 한국교원대학교의 경우는 14개 영역 중 종교음악교육, 유아교육, 특수교육의 특수한 영역을 제외하고는 고른 연구의 경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교원대학교에서 처음으로 초등음악교육전공의 연구 논문이 발표된 이래 전국의 11개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에 초등음악교육전공이 개설되고 논문이 발표되면서 양적, 질적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essay is to provide a general view of master's theses related to music education as a valuable source of music research and to analyze it according to the music genre. It is helpful for music researchers to find necessary information easily in the plethora of music materials and to resolve the difficulty of information searching. This research investigated a total number of 333 master's theses related to music subjects in elementary school, which was published in Korea from 1993 to February 2002.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research trend by a genre showed that 14 categories among 333 thesis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music education and traditional Korean music that were composed of 67 thesis(21.1 %). This revealed that most research was done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t can be a good indication that teachers attempt to do systematic and scientific research of music education. It can be interpreted as a trend of avoiding imitating Western style of music education and higher interests in traditional Korean music. Second, the general analysis according to the genre and annual publication showed that 28 thesis were about special areas of music education with 14 being about vocal music, 11 about writing music, and 10 about music curricula before theses of music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were published in 1998. The theses relevant to music educ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at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started to be published in 1999. Nine theses were about traditional Korean music, seven on vocal music and three on music education. The trend of genre from 1999 to 2002 showed that 49 theses were made in the area of traditional Korean music, 39 about music education, 30 on vocal music, 23 about music education, and 19 concerning how to listen to music. It is believed that much interests in Korean music started at the 6th music curriculum contributed to the abundance of theses related to traditional Korean music, which comprised of roughly 50 % of 7th music curriculum. There was no thesis at the area of piano education from 1992 to 1998 and only two thesis at the area of music evaluation. However, since 1999 seven theses of piano education were published and eleven on music evaluation. Third, general analysis of this research proved that Busan, Seoul, Inchon, and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shed most theses of music education, and Ji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shed a lot of theses related to talented music education. Gongju and Je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shed most theses associated with vocal music. T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had most theses about writing music. Kwangju, Busan, Incheon, Chunche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order had more theses connected with traditional Korean music. This result illustrated the fact that different college explored different genre of music. Seoul and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had a tendency of studying a variety of spheres among fourteen areas except fields of religion, kindergarden, and special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thesis demonstrated that the amount of research exploring elementary school music was increased in the aspect of quality and quality at the eleve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inc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shed their first master thesis.

      • 한 초임교사의 교육대학원에서의 학습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김은지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95

        이 연구의 목적은 초임교사였던 연구자가 한 교육대학원에서의 학습경험을 자문화기술지를 통해 서술함으로써 교사 재교육기관의 교육을 통한 초임교사의 전문성 발달과 그 의미를 해석하는 데 있다. 연구결과 및 결론을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초등학교 초임교사였던 연구자가 교육대학원에 진학한 동기는 첫째, 교사 전문성의 신장과 학문적 욕구 해소라는 내재적 가치 실현 둘째, 자격증 취득 등을 위한 발령대기 상황의 대비책이라는 외재적 가치 실현을 위함이었다. 다음으로 한 교육대학원에서의 학습경험이 초등학교 초임교사였던 연구자의 전문성 발달에 미친 영향과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초임교사였던 연구자는 교육대학원 학습경험을 통해 교육적 경험을 하고 교육자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초임교사였던 연구자는 반성적 실천가로서의 교수 전문성을 발달시킬 수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초임교사였던 연구자는 교육대학원 학습경험을 통해 학교교육에 대한 가치 변화가 일어났고, 초등학교 초임교사로서의 정체성과 역할에 대한 성찰을 하였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초임교사였던 연구자는 의미관점의 발달을 겪을 수 있었다. 셋째, 초등학교 초임교사였던 연구자에게 교육대학원은 전문적 자본 발달의 장(場)이었다. 또한 연구자는 교육대학원에서 동료교사와 함께 학습하는 과정을 통해 동료교사에 대한 인식이 “함께 수업을 듣는 사람”에서 “교육에 관하여 함께 고민하고 성장하는 사람”으로 전환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육대학원의 구성원들은 현장교사들이 교육대학원에서 전문적 자본을 개발 및 확장할 수 있도록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대학원은 현장교사들의 학습경험이 그저 ‘학위 취득을 위한 시간 때우기’에 머물지 않도록 교사 재교육 목적과 기능에 충실한 교육과정과 수업을 전개해야 한다. 셋째, 교육대학원은 단위학교나 지역교육청의 인적 및 물적 자원을 보다 적극적으로 공유하여 교육대학원 교육프로그램의 학문성과 현장전문성을 확대 및 심화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한 교육대학원에서의 학습경험을 초임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연결함으로써 교육대학원의 교사 재교육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연구의 결과는 교수 전문성 신장을 위해 교육대학원에 수학 중이거나 진학을 희망하는 현장교사들에게 교육대학원에서의 학습경험을 이해하고, 성찰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써 기여할 있을 것이다.

      •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의 초등음악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경향 분석

        권미경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의 석사학위 논문의 총람을 작성하고 각 학교별로 논문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석사학위 논문의 경향을 학교별로 파악하여 음악교육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최종적으로는 국내 초등음악교육계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국의 11개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의 2005년 8월부터 2008년 2월까지 석사학위논문 248개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논문을 연구영역과 연구방법을 기준으로 각 학교별 논문의 경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영역의 분류기준은 음악교육역사, 음악교육철학, 음악미학, 음악심리, 음악교육과정, 음악교재, 음악교수?학습방법, 음악교육공학, 음악교육평가, 음악교사교육, 음악특기적성, 국악, 다문화음악, 기타의 14개 영역이다. 그리고 연구방법은 역사연구, 기술연구, 실험연구, 문헌연구의 4가지를 기준으로 하였다. 학교별 논문을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은 논문을 발표한 학교는 53편의 논문을 발표한 경인교대였으며, 모든 영역을 연구한 학교는 없었으나 11개 영역을 연구한 학교로 경인교대가 해당되었다. 연구방법에서는 경인교대, 부산교대, 청주교대에서 네 가지 연구방법을 모두 사용하였고, 나머지 학교들은 2개 이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가장 많이 연구된 연구영역은 음악교수?학습방법이며 가장 많이 사용된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의 방법이다. 대다수의 논문들이 교육적 아이디어를 적용하여 지도안을 구안하는 형식을 취하였다. 저조한 연구를 보이는 영역으로는 음악교육역사, 음악교육철학, 음악미학, 음악교육평가의 영역이다. 그리고 역사연구의 방법이 가장 적게 사용된 연구방법이었다. 따라서 초등교육음악계의 발전을 위해서라도 저조한 연구를 보이는 영역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며, 논문들의 흐름을 전체적으로 볼 수 있는 체계적인 분류기준의 정립이 필요하다. 그리고 지속적인 연구를 위해서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자료를 공개적으로 제시하는 각 교육대학교의 교육적 아량이 요구된다. This study makes pandect of master these in the field of the music education of the graduated school in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analyzes them.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understanding the tendency of theses in a master degree according to the national universities, showing useful data to the music education researchers and eventually contributing to internal elementary music education development. This thesis is based on 248 theses of the graduate schools in 11 national universities which were written from August, 2005 to January, 2008. It focuses on the theses trend in each university, using the criteria of the study scope and the study method. The study scopes use 14 areas: history of the music education,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music aesthetics, music psychology, processes of music education, music textbooks, music teaching methods, learning methods, engineering of music education, evaluation of music education, education of music teachers, the special ability of music, Korean classical music, multi-cultural music and other areas. The study method uses 4 kinds: history study, skill study, experiment study and documentary records study. Findings on analysis reveals that Kyengin Education University has published the highest amount of theses. It also shows that there is no university which has a thesis covering the 14 areas. However, Kyengin Education University has the theses which cover 11 areas. Some these of the Education University of Kyengin, Busan and Cheungju use 4 study methods and the others use at least 2 and more study methods. The most popular study scopes are music teaching methods and learning methods and the highest used study method is the documentary records. Most of the these use the study method using educational ideas and making a guidance plan. The least study scopes are history of the music education, philosophy of the music education, music aesthetics and evaluation of the music education. The least study method is history study. All in all, the research of the least study scopes should be progressed for the purpose of the development in the field of the elementary music. It is also essential to set the systematic classified criteria in order to understand the tendency of theses. It is, moreover, required that each university shows broad mind to allow researchers to access useful materials openly.

      • 학교평가에 대한 초등학교 교원의 인식

        이경혜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학교평가에 대한 초등학교 교원의 인식 이경혜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지도교수 홍광식 오늘날 교육의 질 향상 및 교육에 대한 책무성 제고를 위한 학교교육의 중요성이 심각하게 대두되면서 실효성있는 학교평가를 통해 단위학교의 자율성과 교육 경쟁력 강화에 노력하여야 한다. 그래서 단위학교에 대한 평가가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학교의 구성원인 교사들이 평가과정에 참여하고 평가를 통하여 실질적인 교단 개혁을 선도해 나갈 교사의 준비된 의식을 전제로 할 때에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학교의 중요한 구성원인 교사의 의식이 변화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교사의 학교평가에 대한 인식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 평가에 대한 초등학교 교원의 인식을 조사·분석하여 문제점을 알아보고 학교교육력 제고 방안을 탐색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교평가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와 인지도는 어떠한가? 둘째, 학교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참여도는 어떠한가? 셋째, 학교평가의 결과활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넷째, 학교평가의 분석결과 교육력 제고 방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를 위하여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 14개 시·군지역의 초등학교 교사를 모집단으로 하여 교사 426명을 무선 표집하여 실시하였다. 연구의 도구로는 김순남(2003), 김명애(2002), 이건식(1999)이 개발한 설문지를 연구에 적합하도록 재구성하여 본 연구에 사용하였으며 학교평가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x²(Chi-square) 검증을 하였다. 학교평가에 대한 초등학교 교원의 인식 조사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학교평가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와 인지도는 전반적으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나, 아직도 학교평가의 가치와 평가 기준의 객관성에 대해서는 부정적 인식이 많았다. 따라서 지역·학교·학생의 특성과 여건을 고려한 평가기준을 재개발하여 학교평가의 가치와 평가기준의 객관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둘째, 학교평가를 위한 자료 준비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업무경감이 필요성, 학교평가 영역 및 기준의 모호함, 획일적인 평가로 인한 학교의 자율성 제한에 대한 의견 등이 많아 학교평가에 의욕적으로 참여하고자 하는 의지는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학교평가 기준을 대도시, 중·소도시, 농산어촌 지역 등 학교의 지역 여건을 고려하고, 학교 규모 등을 고려한 학교평가로 학교경영의 자율성을 높여 학교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참여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셋째, 학교평가 결과를 교육과정 및 방법, 교육 경영에 주로 활용해야 한다는 인식도는 높으나, 학교평가에 대한 부적 인식이 많아 실제로 학교평가 결과를 학교간 선의의 경쟁 유도와 교육의 질 개선 등에 교육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교사들이 많았다. 이것은 학교평가이후 시·도교육청 및 지역교육청에서 해당학교에게 학교평가 결과를 구체적으로 안내하고 교육과정 편성·운영 및 학교경영에 어떻게 반영할 것인지 적극적인 지도와 점검을 해야 할 것이다. 그래서 학교평가 결과가 효율적으로 반영됨으로써 교사들의 학교평가 결과 활용 의지를 높여야 할 것이다. 넷째, 학교평가단의 구성이나 학교평가의 주도 기관은 외부기관에 용역을 의뢰하는 것보다 교육행정 기관과 교육계 종사자가 주축이 되어 실시하는 학교평가를 대부분 선호하고 있었다. 학교교육력 제고를 위해 학교평가가 앞으로 수업지도, 학생지도, 교육과정 운영 및 학교 경영관리의 문제점 보완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대다수였다. 이것은 교사들이 학교평가를 통해 학교 교육의 책무성을 높여 학교교육력을 제고해야 한다는 인식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교사들이 학교평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참여의지는 높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학교평가의 목적 달성을 위해서는 교육과학기술부, 시·도교육청, 지역교육청 및 학교에서 지금까지의 학교평가에 대한 종합적인 피드백을 통해 지역과 학교와 학생의 특성과 여건을 고려한 평가기준 및 결과활용 방안에 대해 재조명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교육력을 제고하는 경쟁력있는 단위학교 육성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 원주율과 원의 넓이에 대한 초등학교 6학년의 이해 분석

        임훈택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원주율과 원의 넓이에 대한 초등학교 6학년의 이해 분석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수학교육 전공 임 훈 택 지도교수 고 은 성 학생들은 원주율과 원의 넓이를 학습하는데 많은 인지적 어려움을 겪는다. 하지만, 기존의 원주율과 원의 넓이 지도 방식으로 학생의 어려움을 해소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1차 초등수학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초등수학 교육과정까지의 수학교과서의 원주율과 원의 넓이의 지도 내용과 방법을 분석하고 6학년 학생들의 원주율과 원의 넓이의 이해정도를 분석하여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초등 수학 교육과정별 원주율과 원의 넓이 지도 내용과 지도 방법은 어떠한가? 2. 원주율과 원의 넓이에 대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이해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전라북도에 소재한 시 단위 소재의 N 초등학교 6학년 33명(남 20명, 여 13명)과 Y 초등학교 6학년 45명(남 19명, 여 26명)을 대상으로 1차 초등수학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초등수학 교육과정까지의 수학 교과서의 원주율과 원의 넓이의 지도 내용과 방법의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한 교수실험을 실행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의 이해정도를 원주율의 속성과 원의 넓이의 측정의 개념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1차 초등수학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초등수학 교육과정까지의 수학 교과서의 원주율의 지도 내용과 방법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주율의 어림 지도가 각 교육과정별로 차이를 보였다. 4차 교육과정, 5차 교육과정, 6차 교육과정, 2007 개정 교육과정,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원주율의 어림을 다루고 있지 않았다. 둘째, 교육과정별로 원주율의 각 속성 제시 방법에 차이가 있었다. 비율 속성의 경우 2차 교육과정, 3차 교육과정, 5차 교육과정, 6차 교육과정, 7차 교육과정, 2007 개정 교육과정,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비율’의 용어를 사용했다. 측정 속성의 경우 1차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모두 나타났다. 상수 속성 활동은 1차, 4차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나타났다. 몫 속성에 해당하는 부분은 3차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나타났으며, 무한 속성은 1차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모두 나타났으며 특히, 1차 교육과정, 4차 교육과정, 5차 교육과정, 7차 교육과정, 2007 개정 교육과정, 2009 개정 교육과정,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무한소수로 언급하였다. 셋째, (원주)÷(지름)을 계산하여 원주율을 도출하는 방법에서 각 교육과정별로 차이를 보였다. 교육과정별로 직접 측정한 값을 이용하는 방법과 주어진 값을 이용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1차 초등수학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초등수학 교육과정까지의 수학 교과서의 원의 넓이의 지도 내용과 방법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의 넓이의 어림 지도가 각 교육과정별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교육과정별로 원의 넓이의 측정의 기본 개념의 제시에 차이를 보였다. 4, 5, 6차 교과서는 단위 반복 개념이 적용되어 있지 않다. 셋째, 원의 넓이의 계산 방법에서 각 교육과정별로 차이를 보였다.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원주율 속성에 대한 이해 정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원주율의 속성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지 못하였다. 둘째, 학생들은 원주율을 단순하게 ‘(원주)(지름)’의 대수적인 식으로 이해하는 경향이 강하다. 셋째, 원주율의 상수성과 무한성을 이해하는 것을 어려워했다.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원의 넓이 측정 개념에 대한 이해정도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의 넓이를 단위의 개수로 생각하지 못하는 학생이 많았다. 둘째,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은 단위반복, 배열구조라는 원의 넓이 측정의 기본 개념에 대해서 불완전한 이해를 보였다. 셋째, 학생들에게 곡선이라는 원 고유의 속성을 반영한 단위반복에 이해가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주요어 : 원주율, 원의 넓이, 측정의 개념

      • 점토를 이용한 미술지도 방법연구 : 초등학교 저학년을 중심으로

        류정은 全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9663

        미술교육은 자아표현의 방법을 제공하고 자유로운 활동을 통해 개성과 창의성을 육성하며, 아동 자신의 자유로운 사고와 독창성을 발휘하여 아름다움과 즐거움을 누리게 할 수 있다. 미술교과 내용은 미적 체험, 표현, 감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독립적으로 교육되어지는 것이 아니라 서로 함께 통합적으로 교육될 때 더 높은 가치가 발휘된다. 그러나 미술이 시각적 조형언어로 표현된다는 점에서 표현영역에 더 중점을 두지 않을 수 없다. 초등학교 미술교육에서 저학년의 다양한 표현활동을 위한 재료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아동들의 생각과 느낌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재료로는 점토가 적합하다. 초등학교 미술교과서에 점토를 이용한 표현은 점토(粘土)판에 그리거나 붙이기, 그릇 만들기, 동물이나 인물 만들기 등에 한정되어 있어 아동들의 독창적인 사고와 자유로운 사고를 표현할 만한 소재가 소개되지 못하고 있다. 점토가 가지는 교육적 효과를 생각해 볼 때 이를 이용한 다양한 조형표현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점토 재료를 통한 아동의 내면 표출의 활동으로서 그 교육적 가치와 성장발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은 점토에 관한 선행연구 및 관련도서를 참고하여 점토의 개념과 특징을 알아보았다. 현행되고 있는 점토교육은 교사들의 뒤처리와 소성시 드는 비용과 시간 등으로 수업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어서 자주 수업을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이런 점을 보완하여 시간과 비용을 줄이고 아동들이 더욱 다양한 조형입체 표현을 할 수 있도록 점토교육을 위한 교수 · 수업 지도안을 제시하였고, 아동들의 점토에 대한 이해도와 호응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전주시내에 있는 인후초등학교 저학년 90명과 인봉 초등학교 6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조사를 해 보았다. 점토학습 지도안을 실제 적용하고 설문지를 통하여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한 점토를 이용한 미술교육의 교육적 가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점토를 이용한 미술교육이 그동안 해보았던 다양한 재료보다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고 표현제약을 주지 않아 표현욕구를 자극할 수 있는 재료이다. 둘째, 점토와 다양한 재료를 같이 활용하고 아동 스스로 구상하고 표현하면서 상상력과 창의력을 키워줄 수 있다. 셋째, 점토를 만들고 건조시키고 굽는 기다림의 과정에서 인내심을 기르고 아동들의 정서순화에 도움이 된다. 이러한 장점을 지닌 점토는 교육현장에서 미술수업에 다양한 재료들과 함께 사용하고 그 특성으로 다양한 표현을 접해봄으로써 아동들에게 유익한 재료로 활용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점토를 이용한 미술교육은 소재를 선택하고 조형성을 탐구하여 작업과정 증 서로 협동하고 인내하며 이웃을 배려하고 인간이 지니는 모든 바람직한 심성에 도움이 된다. Fine arts education can provide the method of self-expression, and foster personality and creativity through free activities, and produce the free thinking and originality of children, so that children can enjoy beauty and pleasure. The contents of fine arts curiculum are composed of esthetic experienc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When these contents are educated synthetically rather than independently, they can generate the higher value. However, because fine arts are the visual formative arts, the field of expression should be emphasized more. In the fine arts education of primary schools, among the various materials for the diverse expression activities of the lower grades, clay is appropriate for expressing freely the thinking and feeling of children. In the fine arts textbook of primary schools, the clay expression is limited to drawing and attaching on clay plates, making vessels, and making animals or figures, so that children can not express their original and free thinking. Considering the educational effects of clay, the study on the diverse formative expression thorough using clay.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ducational value of inner expression activities through clay materials for the lower grades of primary schools, and their effect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clay by referring to the preceding studies and the related books. The current clay education is difficult for class owing to the cost and time for sintering and teachers' after-measures. Hence, in order to complement this difficulty, and reduce the cost and the time, and strenEthen the diverse formative expression, this study proposed the teaching/class guidance plan for clay education. Also, in order to measure children's understanding and preference on clay, this study executed the survey research through research questionnaire over 90 lower grade students of Inhu Primary School and 60 lower grade students of Inbong Primary School, in Jeonju C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pplying the clay learning guidance plan and research questionnaire to those lower grade students of primary schools, the educational values of fine arts education through using clay are as follows. 1. In comparison with the other past diverse materials, the fine arts education through using clay can arouse curiosity, and avoid the expression constraint, so that it can stimulate the expression desire. 2. By combining clay with other diverse materials, the clay education enables children to produce their plan and expression for themselves and develop their imagination and creativity. 3. In the waiting process of shaping, drying, and burning clay, the clay education can help to foster the perseverance and emotion refinement of children. So, this useful clay should be used together with other diverse materials in the fine arts class, and should provide its diverse expression according to its characteristics, and should be utilized as the profitable materials for children.

      • 중학생에 대한 대중음악의 교육적 활용 방향에 관한 연구 : 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김신숙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목적은 중학생에 대한 대중음악의 교육적 활용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육학의 중요 이론인 김호권·김종서의 '교육과정 개념모형'의 세 수준을 중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에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진행은 먼저 제 1수준에서는 중학교 음악 9종의 교과서에 수록 된 대중음악들을 분석해 보았고, 제 2수준에서는 음악교사들의 대중음악 활용실태를 파악했다. 그리고 제 3수준에서는 학생들의 입장을 중심으로 세분된 환경·정서적인 측면, 수업적 측면, 교육 과정적 측면에서 전주시내 남, 여 중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분석하였다. 대중음악의 활용실태를 음악교과서로 분석한 결과, 현행 음악교과서에서 다루는 대중음악의 내용은 중학생들의 음악환경에서 쉽게 접하고 있는 대중음악의 성격과 많은 차이가 있음이 문제점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문제점과 대중음악에 관한 청소년들의 설문지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대중음악의 교육적 활용방향을 제시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환경 정서적 측면의 설문분석 결과, 대중음악 중 대중가요를 선호하는 이유인 '리듬'과 '가락'의 활용도를 높여서 음악수업에 흥미를 느끼게 해야 한다. 특히 음악특별활동에서 '리듬의 표현력'과 '가락, 가사간의 미적 흐름'을 심도 있게 다루어 주어 음악을 즐기고 생활화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학교적 차원에서 학생들에게 클래식 연주회 참석만을 고집하기보다는 교사 동반 하에 대중가요 콘서트도 관람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수업적 측면의 설문분석 결과, 시험을 위한 이론위주와 수행평가를 위한 가창 위주의 수업보다는 대중음악과 클래식을 접목시킨 곡의 '감상'하게 하여 편안한 음악수업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그 동안 등안시하였던 락, 째즈 등의 다양한 리듬을 활용한 '기악수업', 다양 한 장르에 표현의 자유를 부여해 주는 '창작수업'으로 참여 학습을 실현해 나가도록 해야 한다. 셋째, 교육과정적 측면의 설문분석 결과, 음악교과서에 고정된 대중음악이 진부하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의 음악환경을 교사의 이해와 관심으로 수용해야 한다. 이상과 같이 제시된 대중음악의 교육적 활용방향을 향후 음악교과서 편찬 시에 참고해 주길 바란다. 그리고 음악교사들이 학교음악수업에서 학생들에게 대중음악 선정기준을 제시해 주고, 대중음악을 교육적으로 활용하여 수업할 수 있게 보다 많은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educational method utilizing popular music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it reviewed the curriculum of the music in the middle school adopting the three parts of the "The conceptual model of education curriculum(Kim Ho Kwan and Kim Jong Seo)" which is an important principle in the pedagogy. In the first part, it reviewed the popular music collected in the 9 text books of the music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second part, it studied the music teachers' actual condition about using popular music. In the third part, it surveyed 200 boy and girl students who lives in Jeon Ju city to grasp the classified environmental and emotional effect, studying effect, and curricular effect mainly based on the students' view. As results of this study, it showed that the contents of the popular music in the text books are different from the popular musics that are familiar with the middle school students. So, in this study,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survey about the popular musics, it presents the educational method of popular musics as following.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nvironmental and emotional effect, the musical education has the students interested in the musical class using the rhythm and melody more which are the main causes why the students like the popular music. Especially, extra musical activity has to deal with "the expression ability of rhythm" and "aesthetic following between the melody and word" and help the middle school students enjoy and exist with the music. And the school provides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the popular music concert to students rather than insists that the students participate in the classical music concer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udying effect, the test has to focus on appreciating the music that is mixed with the popular and classical music more than singing a song to evaluate theoretical test so that the musical class is to be easy class. And, the musical class has to provide the participating class to students using instrumental class which uses a variety of rhythms such as rock, jazz, and so on and creation class which provides the freedom of expression in a variety of genre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curricular effect, teachers have to accept the students' musical understanding that the popular musics which are included in the text books are old-fashioned with understand and interest. It suggested that the presented educational methods of popular musics above are considered in the procedure of editing the music text books next. And more studies are required to use the popular musics as learning materials and provide the selection standards to the middle school students.

      • 중학교 미술교육과정의 전통회화 연구 : 조선시대 회화를 중심으로

        이홍규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중학교 미술교육과정의 전통회화 연구 (조선시대 회화를 중심으로) 성 명 이 홍 규 전 공 미술교육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지도 교수 김 문 철 우리의 전통문화는 오랜 기간 동안 주체적이고 능동적으로 주변 국가들의 다양한 문화를 흡수하며 우리 민족의 독특한 문화로 발전해 왔다. 전통문화에는 그 민족의 미적 감각과 정신이 담겨 있다. 이러한 문화는 다음 세대의 가치 창조의 원동력이자 전통이 되어 민족의 정체성을 일깨우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런 의미에서 한국의 전통회화란 우리나라의 동양적 자연관과 가치관, 그리고 민족혼의 정수를 한국의 전통적이고 고유한 양식으로 표현한 것이다. 전통회화는 조선시대에 접어들면서 다양한 문화적 특징과 시대적 배경을 바탕으로 수많은 대가들을 배출하며 독특한 조선 풍의 고전적 조형성을 완성하였고 우리 민족 미술 특유의 민족적 형식미와 독창성을 이끌어 냈다. 또한, 조선시대는 전대에 비하여 가장 많은 미술 유적을 남기고 있어 전통회화 연구의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 그러므로 조선시대 회화는 한국회화사에서 가장 중요한 시대이며 그 교육적 가치는 크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중학교 제1차 미술교육 과정부터 보안과 수정을 거쳐 현행 제7차 교육과정까지 나타난 전통미술교육은 그 영역이 차츰 확대되고는 있으나 형식적인 수업과 교사 중심의 설명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적절한 자료나 교육 프로그램 또한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이로 인해 학생들은 전통미술을 낯설거나 어려운 것으로 여겨 친근감을 상실해 가고 있다. 이에 학생들이 선조들의 아름다운 문화와 미적 감각이 배여 있는 전통회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미술지도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본 연구를 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 및 자료를 기초로 하여 전통회화의 의미와 역사적 흐름을 서술하고, 특히 현행 학교교육에서 실시되고 있는 한국 전통미술의 교육에 비교적 다양한 작품이 반영되어 있고 또한 현대미술의 흐름과 가깝게 맞닿아 있는 조선시대의 문화적 특징과 회화의 양상을 살펴본 후, 제1차 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부터 현행 제7차 교육과정까지 나타난 전통회화교육의 양상을 살펴본다. 또한 전통회화교육은 재료나 기법을 통한 재현이나 표현보다는 이해와 감상이 함께 어우러지는 교육이어야 하며 전문가를 길러 내기 위한 교육이 아닌 필수적 교양교육으로서 인성과 정서, 미적체험, 조형 예술의 교육으로써 그 의미를 가지고 한국인으로서의 고유한 미의식을 회복하고 전통미술 문화에 자긍심을 갖는 데 초점이 모아져야 한다. 그럼으로써 자라나는 세대에게 한국인 고유의 미적 감각을 풍부하게 하여 우리 조상이 남긴 미술문화의 독창성과 우월성을 발견하고 이를 계승, 발전시키는 원동력으로 삼는 데 그 의의가 있다. Our unique traditional culture was developed by absorbing surrounding nations’ culture. Our culture has aesthetic sense and represents the spirit of the nation. This culture became tradition and the motivation of the nation's values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reating the identity of the nation. In that sense, Korea's traditional pictures are something that expresses the nation's oriental view of country and values and the essence of the nation's spirit. Traditional pictures have produced many masters based on various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eras, completing unique classical forms of Joseon's style that led to our nation's own artistic originality and beauty of form. Also, the age of Joseon has the most art remains compared with previous ages so there are infinite opportunities of study. Therefore, the Joseon dynasty is the most important era for pictures and the educational value of those are enormous. Traditional art education is expanding its area gradually from middle school. Although the first art curriculum to the present 7th curriculum is going through regulation and repletion, there is still formal teaching and explanations with the teacher as the center. Appropriate data and education programs are also absolutely insufficient. Therefore students consider traditional art as a strange, difficult thing and do not hold any esteem for it.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raditional pictures with our ancestor's beautiful culture and aesthetic sense, we search for a desirable art teaching direction through this study. This study describes the meaning of traditional pictures and historical currents based on documents and data, especially focusing on the aspect of pictures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Joseon which has enforced various works studied as part of Korea's traditional art education in the present curriculum, touched with the current of modern art. After that is the examination of an aspect of traditional picture education starting from middle school’s first art curriculum to the present 7th curriculum. Also traditional picture education should be an education harmonizing comprehension and appreciation rather than expression and reappearance through technique and material. It should also focus on recovering Koreans' own esthetic spirit and raise self-esteem about traditional art culture to an essential general education that focuses on an education of formative arts, esthetic experiences, emotions and humanity, not producing masters. So what is meaningful is enriching Korean' own esthetic sense to new generations to find the originality and superiority of the art culture bestowed upon us by our ancestors and to cultivate motivation to take over and develop it.

      • 즐거운 생활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연구

        한송이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63

        현행의 7차 교육과정에서는 지역적 특성이나 교사의 판단, 아동의 요구에 따라 교육 내용의 구성과 운영에 융통성을 부여하고 있는 것이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교사가 교육 과정을 재구성하여 사용하기에는 많은 시간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재구성하여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나 재구성되어 활용할 수 있는 교육 과정의 예시 자료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7차 교육과정 ‘즐거운 생활’ 교과와 관련하여 통합 교과 취지에 부합할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다양한 지도 예시 자료를 제공해 주어 교사들이 선택에 의해 다양한 교수 학습 활동을 재구성 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지도 계획을 구안하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1, 2학년은 발달 단계상 아직 미분화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고, 다양한 학습 경험의 제공과 즐거운 활동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통합 교육이 더욱 필요한 시기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초등학교 2학년 통합교과 ‘즐거운 생활’에서 3개의 주제를 선정하였다. 단원의 주제 선정은 김재복 저서에서 발췌한 45개의 항목을 바탕으로 아동과 교사 대상으로 설문을 조사한 결과와 현행 교과서의 단원 주제들 간의 공통적인 요소를 분석하여 동물, 계절(봄), 상상에 관한 것으로 주제를 선정하였다. 또한 주제와 관련하여 단원별로 8-10차시 정도 분량의 지도 내용을 구성하였으며, 각 단원별로 단원의 개관, 목표, 지도 계획을 세우고 차시별로 구체적인 지도 계획을 제시하였다. 지도 내용은 차시별로 체육 활동, 미술 활동, 음악 활동 3개 교과의 영역간 통합이 유기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전체적으로는 단원별 대주제 통합이 이루어지도록 계획하였고 단원 내의 차시 계획은 단원 주제와 유기적으로 연관시켜 구성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주시 k초등학교의 2학년 1개 학급의 3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03년 3월부터 7월에 걸쳐 지도 내용을 계획하여 실제로 적용하여 보았다. 봄과 동물 주제에 관련된 단원의 수업을 진행할 때에는 아이들이 모둠별로 생각하고 표현하는 활동이 많기 때문에 적게는 2차시, 많게는 4차시를 한꺼번에 묶어서 탄력 있게 시간을 운영하였다. 본 연구는 주제 중심의 통합을 2학년‘즐거운 생활’교과 영역에 적용하여 지도 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재구성의 예시 자료로서 적절히 활용하여 앞으로 더 많은 교육 과정을 재구성한 연구와 자료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는 매개체 역할을 하고자 하였다. The characteristic of the 7th curriculum is the adaptability of the framework of contents and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regional trait, teachers' judgment and students' request. But teachers don't have enough time to reconstruct the curriculum and have materials to apply.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e for the detailed and various teaching-learning materials to teach the "pleasant life". According to the child development, the first and second grade students, have incomplete characteristics so that they need the various experiences of learning and the pleasant activity. In this respect, the scope of the study was limited to the second grade in the " pleasant life " subject and the selected three topics - animal, season(spring), imagination. The unit of the topic was selected based on the surveys of the children and teachers and the analysis of the current teachers' edition for "Pleasant Life.". Each unit consists of 8 to 10 lessons and has the summary, the purposes and the teaching contents. The teaching contents were integrated with physical, art and music activities. Each lesson of the unit has a relation to the topic of the unit organical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34 second grade students at a public elementary school in Jeonju from March to July. A part of two topics - animal, season(spring)-had two lessons or four lessons successively because children took part in a lot of thinking and acting in each group. This study focused on providing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the second grade in the "pleasant life" and helping teachers to reconstruct the integrated curriculum.

      • RPG 메이커를 활용한 게임기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박지훈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63

        논 문 요 약 서 RPG 메이커를 활용한 게임기반 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박 지 훈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컴퓨터교육전공 (지도교수 유 정 수) 학교 현장에서 아이들을 만나보면 스마트폰과 컴퓨터 등 인터넷을 활용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대중화로 게임을 하지 않는 학생은 찾아보기 어렵다. 게임은 어느덧 학생 세대의 대중적인 취미활동이 되었다. 그러나 학부모들을 포함한 기성세대들은 물론 교육현장에서도 게임을 하고 있는 학생들의 미래에 부정적인 시선을 보내고 있다. 마치 맛은 있지만 우리 몸에는 아주 해로운 불량식품을 보는 것처럼 게임을 경계하며 게임이라는 매체에 대해 접근하려는 시도조차 하지 않고 있다. 하지만 게임은 이미 세계적으로 거대한 산업이 되었다. 미디어의 발전과 새로움에 대한 인간의 욕망은 이러한 흐름을 이끌었고, 앞으로 등장할 새로운 기술들은 게임과 접목되어 우리의 미래를 변화시킬 것이다.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 게임을 진지하게 공부해야 할 날이 왔다. 자연스럽게 일상에서 게임의 요소들을 접하고 있는 현실에서 게임을 모르게 하고 못하게 하는 것은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는 것과 다르지 않다. 이제 우리는 학생들에게 이 게임을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교육해야 한다. 기성세대가 게임에 담긴 탐험, 의사소통, 꿈을 보고 있지 못할 뿐 게임은 더 넓은 세상을 탐험하도록 학생들을 인도해주고, 더 다양한 사람들과 의사소통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주며, 더 많은 꿈을 꾸도록 학생들을 자극해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게임 제작프로그램인 RPG 메이커를 활용한 게임기반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여 학습흥미,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를 위해 게임을 제작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탐색하여 RPG 메이커 MV를 선정해서 교육용 게임을 제작했다. 또한 ADDIE 모형을 토대로 게임기반 학습 교수·학습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약 4주 간 학생들에게 교육용 게임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후 교육용 게임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학업흥미 검사지’, ‘사전지식 및 학업 성취도 검사지’, ‘교육용 게임 만족도 검사지’를 활용하여 교육용 게임이 역사학습에 대한 즐거움, 자부심, 불안함, 화, 지루함에 미치는 영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엑셀프로그램을 통해 t-검정으로 분석하고, 본 연구에 사용된 교육용 게임에 대한 만족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게임기반 학습 프로그램이 학습흥미 영역 중 즐거움, 불안함, 화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자부심과 지루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게임기반 학습 프로그램이 학업성취도에는 유의미한 정도의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교육용 역사 게임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매우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여러 연령대의 학생들에 대해 연구하고 관련 커뮤니티를 개설하여 다양한 학생들을 통해 피드백을 받아 역사학습을 위한 게임기반 학습에 대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한국사 전반에 걸친 교육용 역사 게임을 만들어 학생들의 역사학습에 대한 학습흥미와 학업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생들의 역사학습에 대한 학습흥미 및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위해 여러 장르의 게임을 제작하여 역사학습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