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고학년의 또래관계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자녀관계와 사회불안

        고은아 대구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의 또래관계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자녀관계와 사회불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대구광역시와 경상도에 위치한 초등학교 4학년, 5학년, 6학년 351명을 선정하였고, 연구 도구는 한국형 부모-자녀관계 척도, 한국판 아동·청소년용 사회불안 척도, 또래관계기술 척도를 사용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검사,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의 성별에 대한 차이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어머니를 더 친밀하게 지각하고 아버지를 엄격하게 지각하였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또래관계기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차이는 4학년이 부모-자녀관계를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5학년에서 6학년으로 연령이 증가할 때 사회불안을 더 느낀다고 나타났다. 또한 출생순위에 따른 차이는 막내가 어머니를 더 친밀하게 지각하였고, 또래관계기술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이 지각한 부모-자녀관계가 긍정적일수록 사회불안이 낮고, 부모-자녀관계가 긍정적일수록 또래관계기술이 높았다. 또한 사회불안이 높을수록 또래관계기술이 낮고, 사회불안이 낮을수록 또래관계기술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아동의 성별에 따라 또래관계기술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아동이 어머니와 친밀한 관계를 가지고 아버지를 존경하고 헌신적으로 지각할수록 또래관계기술이 높았다. 그러나 아동이 사회상황에서 회피하거나 불안이 높을 땐 또래관계기술이 낮아졌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긍정적인 부모-자녀관계와 낮은 사회불안이 또래관계기술의 향상의 토대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social anxiety that affect elementary school upper graders’ peer relational skills. For the research subjects, 351 4th, 5th and 6th graders from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aegu and Gyeongsang-do were recruited. As for research tools, Korean version of Parent-Child Relationship scale, Korean social anxiety scal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peer relational skill scale were employe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1.0, and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redibility 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difference by gender, female students felt friendlier with mother, and considered father strict more than their counterpart did. Girls were revealed to have higher peer relational skills than boys. When it comes to the difference by grade, 4th graders perceived parent-child relationship positively, and students felt more social anxiety when going from 5th to 6th grade. The difference by birth order showed that the youngest felt mother friendlier and had higher peer relational skills. Second, the more positive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the lower the social anxiety and the higher the peer relational skills. It was also revealed that those with higher social anxiety showed lower peer relational skills, while children showing lower social anxiety had higher peer relational skills. Third, there was difference in peer relational skills according to gender. Children who had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mother and who respect father and consider him devoted showed higher peer relational skills. However, when children avoided social situations or showed high anxiety, their peer relational skills decreased. In conclusion, this research implies that positive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low social anxiety can improve peer relational skills.

      • 뇌졸중 환자가 지각한 가족 지지, 우울, 자아존중감의 관계

        윤경옥 대구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가족 지지, 우울과 자아존중감의 수준과 이들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는 신체적 장애를 안고 살아가야 하는 뇌졸중환자에게 심리적 특성을 파악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하도록 하며, 나아가 그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자는 대구와 일산 지역 재활병원에서 뇌졸중 진단을 받고 입원하여 치료를 받고 있는 뇌졸중 환자 91명으로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2년 3월 21일부터 2012년 4월 21일 까지였다. 자료 수집은 일대일 면접방법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연구도구는 우울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Beck(1967)의 BDI(Beck depression inventory)를, 가족지지는 Cobb(1976)가 개발한 도구를, 자아존중감은 Rosenberg(1965)가 개발한 자아존중감 측정도구(Self-Esteem Scale)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뇌졸중 환자의 75%가 우울 증상을 호소하였고, 30% 정도의 환자들은 우울 증의 적절한 치료가 필요한 것으로 볼 수 있다.일반적 특성 중에서는 연령 (F=5.539), p<.01), 학력(F=4.781, p<.01), 가족 전체 수입상태(F=4.722, p<.01)가 우울에 영향을 미쳤으며, 질병 관련 특성으로는 일상생활 동작 수행정도(F=4.022, p<.05)가 영향을 미쳤다. 2. 뇌졸중환자의 가족지지 점수의 평균은 48.07점이고, 표준편차는 10.31점 이 었다. 일반적 특성 중에서 학력(F=5.586, p<.001)과 결혼 상태(F=3.200, p<.05), 가족전체 수입상태(F=8.200,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질병 관련 특성 중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 다. 3. 뇌졸중환자의 자아존중감 점수의 평균은 22.20점이고, 표준편차는 3.61점 이 었다. 요인으로는 연령과 가족의 경제적 수준,발병후 기간등으로 나타났다. 뇌졸중환자들은 전반적으로 보통 수준이하의 자아존중감을 가지고 있었다. 4. 뇌졸중환자의 우울과 가족지지 정도는 음의 상관관계(r=-.422, p<.001)가 있었다. 뇌졸중환자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의 정도는 음의 상관관계(r=-.375, p<.001)를 보였다. 뇌졸중환자의 가족지지와 자아존중감 정도는 양의 상관 관계(r=.233, p<.05)를 보였다.

      • ACT 기반 가치명료화 집단 프로그램이 중년 여성의 화병 증상, 분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김수희 대구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ACT를 기반으로 한 가치 명료화 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화병 증상, 분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입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참가자들은 화병 증상을 호소하는 40세 이상의 여성들로 실험집단 10명과 통제 집단 10명으로 구성되었으며 ACT 기반 가치명료화 집단은 8주 동안 주 1회, 2시간 씩 참여 하였다. 프로그램 시작 전과 종료 후 화병 증상 척도, 상태-특성 분노표현 척도, 심리적 안녕감, 가치로운 삶의 지수 척도를 사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에게 사전/사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추후 8주가 지난 시점에서 효과의 지속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에 한하여 추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ACT 기반 가치 명료화 집단은 화병 증상, 상태분노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추후 평가에서도 효과가 유지되었다. 분노억제, 심리적 안녕감 및 가치로운 삶의 지수는 평균의 변화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특성 분노는 평균과 통계적 효과에서 모두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ACT 기반 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은 중년 여성들의 화병증상과 상태분노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이 연구의 논의 부분에서는 ACT 기반 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연구의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주요용어: 화병, 분노, 삶의 질, ACT 기반가치 명료화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CT-baced value clarification group program on Hwa-Byung symptoms, anger, and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 aged women.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0 middle aged women with Hwa-Byung symptoms and they were divided treatment group and control group with each 10 person. ACT-baced value clarification group program was conducted for 8 weeks which consists of once a week two hour session on treatment group.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CT-baced value clarification group program, the Hwa-Byung symptom scale, the STAXI-K, the PWBS, and the VLQ were administered(pre/post) to treatment group and control group. After 8-weeks the follow-up assessment were administered only to treatment group to examine if the effect persis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Hwa-Byung symptoms and state anger scores of treatment group were reduc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s chang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were maintained at 8-week follow-up. The scores of suppressoin of ange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VLQ were chang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There was no change in the level of trait anger This study showed that ACT-baced value clarification group program produced significant reductions in Hwa-Byung symptom and state anger. The usefulness of ACT-baced value clarification group program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고등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과 자기조절학습 전략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유다겸 대구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과 자기조절학습 전략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대구·경북 및 제주도 소재에 재학 중인 일반계 고등학생 41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미래지향 시간관, 자기조절학습 전략, 성취동기 검사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 차이검증, 상관관계, 영향검증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고등학생의 학년, 성적에 따라 미래지향시간관과 자기조절학습 전략 및 성취동기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미래지향시간관과 자기조절학습 전략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미래지향시간관과 자기조절학습 전략, 성취동기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래지향시간관과 자기조절학습 전략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미래지향시간관과 자기조절학습 전략은 모두 성취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지향시간관의 하위요인과 자기조절학습 전략의 하위요인 또한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미래지향 시간관의 가치와 수단성의 점수가 높아질수록 성취동기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조절학습 전략의 하위요인 성취가치, 행동통제, 학업시간 관리의 점수가 높아질수록 성취동기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래지향시간관과 자기조절학습 전략은 모두 성취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impact of future time perspective and self-adjustment learning strategies of high school students on their achievement motiv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on 417 ordinary high school students in Daegu, Gyeongsangbuk-do Province and Jeju Island. The tools used in the study are future time perspective, self-adjustment learning strategies, and achievement motivation tests. Collected materials analyzed technical statistics, difference verification, correlation, and impact verification of key variables using the SPSS 19.0 program.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uture time perspective and self-adjustment learning strategies and achievement motivation based on grade and year of high school students, an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uture time perspective and self-adjustment learning strategies. Also, looking at the impact of future time perspective and self-adjustment learning strategies on the motivation for achievement, we found that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future time perspective and self-adjustment learning strategies all affect the achievement motivation. As a result, looking at impact of the subfactor of future time perspective and the subfactor of self-adjustment learning strategies on the achievement motivation, it was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we found that the higher the value of future time perspective and instrumentality, the higher the achievement motivation, and the higher the score of achievement value, behavioral control, and study time management, which are sub-factors of self-adjustment learning strategies, the higher the achievement motivation. Therefore, it was found that future time perspective and self-adjustment learning strategies all affect the achievement motivation.

      • 장애아동 어머니의 장애수용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고일영 대구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장애아동에 대한 어머니의 수용 정도를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선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 개관 등을 통해 장애아동 어머니의 장애수용 요인을 규명한다. 둘째, 장애아동 어머니의 장애수용 척도를 개발하고, 척도의 통계적 적합도를 규명한다. 셋째, 장애아동 및 어머니의 개인적 특성이 장애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다. 넷째, 장애아동 어머니의 장애수용 정도에 따라 양육스트레스 및 삶의 질에 차이가 있는지 규명한다. 척도 개발을 위한 절차는 다음과 같았다. 처음에 장애아동 어머니의 장애수용과 관련된 194개의 후보예비문항을 제작하였다. 장애아동 어머니 17명, 시설종사자 32명, 관련 전문가 4명 등 총 53명이 참여하였으며, 이론적으로는 장애수용 과정 및 하위요인들에 근거하여 개방형 문항을 제작하였다. 다음으로 194개의 후보예비문항에 대한 내용타당도 검증 과정을 통해 총 67개의 예비문항을 선정하였다. 이는 관련 전문가 4명과 본 연구자 등 총 5명에 의해 실시되었고, 중복문항이나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장애수용 단계 및 과정에 기초하여 적절하지 못한 문항들을 삭제하는 작업을 통해 선정되었다. 그리고 척도제작을 위해 전국의 장애아동 어머니 755명을 대상으로 예비문항을 실시하였고, 회수된 454부 중 412부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 및 내용분석을 통해 8개 요인의 36개 문항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8개 요인들은 충격, 수치, 수용, 부인, 과잉보호, 반동형성, 죄책감, 의심이었고, 모든 요인의 Cronbach의 α 는 .64(반동형성)에서 .93(충격) 사이로 비교적 양호하였다. 다음으로 추출된 8개 요인의 36문항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위하여 전국의 장애아동 어머니 125명을 대상으로 2차 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107부 중 95부를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8개 요인의 부합지수들은 무난하게 최적모형의 적합수준에 가까운 수치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장애아동 어머니의 장애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과 장애수용 수준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와 가족 삶의 질에서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관련 척도와의 동시타당도 검증 결과, 장애아동 어머니의 장애수용 척도의 구성개념들이 이론적 및 경험적으로 타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장애아동 어머니의 장애수용척도는 충격, 수치, 수용, 부인, 과잉보호, 반동형성, 죄책감, 의심의 8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36개 문항으로 제작되었다. 둘째, 확인적 요인분석과 동시타당도 검증을 통해 장애아동 어머니의 장애수용 척도는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아동 어머니의 장애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아동의 장애유형, 장애아동 어머니의 지각된 경제수준과 행복정도, 자아탄력성 및 상태불안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장애수용 정도에 따라서 양육스트레스와 가족 삶의 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장애아동 어머니의 장애수용이 양육스트레스와 가족 삶의 질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시사해 준다. 연구의 의의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장애아동 어머니의 장애수용 척도가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심리적 안녕감, 가족 삶의 질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장애아동 어머니의 장애수용을 평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가 장애수용 정도를 측정하여 평가함으로써 장애아동 어머니 개인의 적응과 건강을 위한 대책을 계획함에 있어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장애아동을 둔 가족 구성원의 기능을 강화하고 가족의 건강한 사회통합을 위한 기초를 마련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cale of disability acceptance of mother to child with disability for evaluate a level of acceptance of disabilities of their child with disability. The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w is the disability acceptance of mother to child with disability constructed? 2. How is the reliability and validation of the scale of disability acceptance of mother to child with disability? 3.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child with disability and his/her mother, what variables influence disability acceptance of mother? 4. How are the eff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child with disability and his/her mother on disability acceptance of mother to child with disability? The scale of disability acceptance of mother to child with disability is base on the process and stages of the disability acceptance of mother to child with disability. The procedures are follows in order to develop the scale of disability acceptance of mother to child with disability. First, 194 preliminary items were made by 17 mothers of child with disability, 32 person who work on day-care centers, and 4 professionals in rehabilitation or special education. Second, based on that 194 items, 67 items were selected through content validity procedures by 4 professionals in rehabilitation or special education. Third, to validity of the scale of disability acceptance of mother to child with disability as proper pool, 755 mother of child with disability participated in a survey. 454 copies collected, and 412 copies were analyzed through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EFA), reliability test, and content analysis. Through these procedures, 8 subordinate factors with 36 items were sampled. These 8 subordinate factor was consist of shock, shame, acceptance, denial, overprotection, reaction formation, guilty, doubt. The factors' Cronbach’ α was satisfactory relatively from .64 to .93. Fourth, in order to verify structure of subordinate factors, 2ed field test conducted a survey on 125 mothers of child with disability with 36 items. Fifth, 95 copies were analyzed through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In result of CFA, the scale of disability acceptance of mother to child with disability was developed as an validated assessment tool on disability acceptance of mother to child with disability, consisting of 36 items and 8 subordinate factors. Sixth,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variables on influence disability acceptance of mother. And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verify the difference on level of disability acceptance of mothers of child with disability. The main finding in this study through these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disability acceptance of mothers of child with disability consisted of 8 subordinate factors(shock, shame, acceptance, denial, overprotection, reaction formation, guilty, doubt). Second,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scale of disability acceptance of mother to child with disability was reliable and validated scale by content validity, construct validity, and concurrent validity. Third, in result of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disability acceptance of mother to child with disability was influenced by type of child's disability, perceived economical and happiness level of mother, self-resiliency, and anxiety of mother of child with disability. Fourth, in accordance with difference test, there was a significant meaningful difference among three group(high level disability acceptance, moderate level disability acceptance, and low level disability acceptance) on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 and quality of family life.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scale of disability acceptance of mother to child with disability developed in this study can evaluate disability acceptance of mother to child with disability which is important to a their psychological and physical health. And it can utilize this scale as a measure of rehabilitation of mothers and family with disability child.

      • 중년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손지원 대구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초 록)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D광역시와, 경북 Y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40세에서 64세까지의 중년여성 429명을 대상으로 생활스트레스척도, 사회적 지지척도, 심리적 안녕감척도를 각각 사용하여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학력과 월소득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년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심리적 안녕감 간의 상관관계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년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생활 스트레스의 하위변인 중 경제문제, 가족관계문제가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 지지의 하위변인들 중 도구적 지지, 평가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활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를 독립변수로 동시에 고려하였을 때 생활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하위요인들 가운데 경제 문제와 평가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사회적 지지와 생활스트레스는 중년여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하여 긍정적 요인인 사회적 지지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중년여성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주요어: 중년여성, 생활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심리적 안녕감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survey on 429 middle aged women ranging from 40 to 64 years old residing in D metropolitan city and Gyeongbuk Y region. This used the life stress criteria, social support criteria, and psychological well-being criteria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ife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 aged women, and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Among the demographic features, level of education and monthly income were shown to influenc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 aged women appeared to be significant. Moreover,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effect of life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 aged women, it was shown that among the lower factors of life stress, economic problem, and family relationship problem affecte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mong the lower factors of social support, instrument support and evaluative support affected psychological well-being. Also, considering as both independent variables, among the lower factors of life stress and social support, economic problem and evaluative support appeared to affect psychological well-being. Such study result indicates that social support and life stress are important factors in increasing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 aged women, and is thought to be used as basic data in the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that can satisfy social support, the positive factor for the increase of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 aged women in the future. Moreover, various researches that can increas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 aged women should be achieved continuously. Keywords: middle aged women, life stress, social support, psychological well-being

      • 사회극놀이가 자폐성 장애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향상에 미치는 효과

        천승욱 대구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또래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결핍을 보이는 자폐성 장애유아에게 유아들의 사회성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인 놀이의 형태인 사회극놀이 개입을 통하여 자폐성 장애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발달영역에서 전반적인 지체를 보이고 자폐 성향으로 인하여 낮은 사회성을 지닌 장애전담어린이집 자폐성 장애유아 3명이 연구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이 연구는 대상유아가 속한 교실에서 약 2개월 동안 실시되었다. 이 연구는 3명의 자폐성 장애유아에게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연구방법으로 사용하였다. 기초선의 관찰은 자유선택활동 시간 동안 자유놀이를 하는 대상 유아들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기초선 관찰 후 자폐성 장애유아에게 일반또래유아와 함께 사회극놀이를 진행하는 중재를 실시하였고 중재과정에서 교사는 사회극놀이를 유지하고 증진시켜주려는 목적으로 계획, 놀이, 평가 단계에서 개입이 이루어졌다. 중재 종료 1주일 후에는 중재의 유지 효과를 측정하였다. 이 연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명의 대상유아들은 자유선택활동 중 사회적 상호작용 발생빈도는 기초선에서 낮은 발생빈도를 보였으나, 사회극놀이 중재가 시작된 후 증가하였다. 둘째, 대상유아 모두 사회극놀이를 통해 증가된 사회적 상호작용 발생빈도가 유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자폐성 장애유아의 사회극놀이 중재가 자유선택활동 시간 동안 자폐성 장애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발생빈도를 증가시키고, 유지 시키는데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자유선택활동 시간과 같은 놀이 환경에서 중재를 제공함으로서 사회적 상호작용 중재들의 한계점인 일반화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교사가 놀이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활용 가능한 중재법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갖는다. This research studied how sociodramatic play between children can affect a child with autism's social interactions based on the importance of the interactions. This experimentfollowed 3 subjects whom have a low ability of social skills in a disabilty specialized daycare during a 2 month period.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3 children who have autism by observing multiple baseline subjects. First, information was collected about the children playing by themselves in a freetime environment. After that, soociodramatic play with normal children was observed, while the teacher was present. Concomittantly, the teacher enacted and helped actualize the plan, play, and evaluation time to promote and contain the sociodramatic play. One week after arbitration, the effects of the arbitraiton were observed.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 firstresult is that the children who were observed for research with apparent low social interaction at the beginning of survey had increased social interaction after arbitration. A second result was that the children’s social interaction improvement which increased after arbitration continued. According to this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sociodramatic play can help children who have autism increase thier social interaction and continue to improve. This research proved that the structuring and monitoringof freetime activities can improve children with autism’s social interactions with a teacher’s arbitration during thier sociodramatic play, and this study suggests the methods that they can use for playing.

      • 기독교인의 종교활동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이주현 대구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기독교인의 종교활동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기독교인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구 및 경북에 소재한 교회에 다니는 성인 30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첫째, 자아탄력성은 기독교인의 종교활동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독교인이 교활동을 많이 할수록 자아탄력성이 높아지고, 높아진 자아탄력성은 심리적 안녕감을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제성은 기독교인의 종교활동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독교인이 종교활동을 많이 할수록 통제성이 높아지고, 높아진 통제성은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긍정성은 기독교인의 종교활동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독교인이 종교활동을 많이 할수록 통제성이 높아지고, 높아진 통제성은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 별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사회성은 기독교인의 종교활동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독교인이 종교활동을 많이 할수록 사회성이 높아지고, 높아진 사회성은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과 추후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주요어 : 종교활동, 심리적 안녕감, 자아탄력성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n effective method to increase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ristian by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s of ego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activit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ristian. For this study, 302 adults who attended churches in Daegu and Gyeongbuk were studied. First, ego resilience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activit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ristian, The higher the religious activities, the higher the ego resilience, and the higher the ego resilience, the higher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controllability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activit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ristian, The higher the religious activities, the higher the controllability, and the higher the controllability, the higher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positivity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activit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ristian, The higher the religious activities, the higher the positivity, and the higher the positivity, the higher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Fourth, sociality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activit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ristian, The higher the religious activities, the higher the sociality, and the higher the sociality, the higher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Based on these results, the meaning,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Religious activities, Psychological well-being, Ego resilience

      • 모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정서조절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박희진 대구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attitude on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nd self-esteem. To this end, the researcher distributed 200 questionnaires to the mothers of four-to-seven-year-old children who attend kindergartens or day care centers in Busan and Gyeongsang Province. 149 questionnaires were selected to be analyzed.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arenting attitude and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nd/or self-esteem; whil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to determine whether maternal parenting attitude has effects on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nd/or self-esteem. The results are drawn using SPSS 24.0.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analyses. Firstl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ub-factors of maternal parenting attitude and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Secondl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ub-factors of maternal parenting attitude and children’s self-esteem. Thirdly, maternal parenting attitude affects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mong the sub-factors of maternal parenting, affective attitude and rejective attitude affect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Fourthly, maternal parenting attitude affects children’s self-esteem. Among the sub-factors of maternal parenting, affective attitude and autonomous attitude affect children’s self-esteem. 본 연구는 모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정서조절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 및 경상도에 소재한 6개의 유치원 및 보육관련기관을 다니고 있는 만 3~5세 유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200부 배부하여 분석 가능한 149부 질문지를 선정하였다. 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정서조절,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모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정서조절,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SPS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결과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정서조절은 하위요인 간 통제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자아존중감은 하위요인 간 통제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의 양육태도는 유아의 정서조절에 영향을 미친다. 유아의 정서조절에 양육태도의 하위영역 중 애정적 태도, 거부적 태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모의 양육태도는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친다.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양육태도의 하위영역 중 애정적 태도, 자율적 태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