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현채의 저술과 시대의식-『유년필독』과 『신찬초등소학』을 중심으로

        백태희 숙명여자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599

        19세기 후반 문호개방이후 우리나라는 봉건잔재의 청산과 제국주의 침략이라는 이중적 모순에 직면하게 되었으며 1905년 을사조약의 체결로 일본의 보호국이 되어 외교권을 상실하게 되었다. 이러한 국가의 위기앞에서 우리에게는 국권회복이 가장 시급한 과제가 되었고 국권회복의 수단으로 교육이 중요시되었다. 그래서 민족운동가들에 의해 사립학교가 세워지고 또, 교과서가 편찬되어 민족의식 고취에 큰 역할을 담당하였다. 교과서는 국민교육의 내용이며 학교교육의 중요한 도구이다. 따라서 우리는 교과서를 통해서 그 시대의 역사의식 및 문화의 수준을 알 수 있다. 특히 개인에 의한 자유발행일 경우에는 그 시기의 시대적 과제 및 편찬자의 저술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당시에 편찬된 교과서와 그 저자들을 살펴본다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玄采는 이 시기의 대표적인 교과서 편찬자이자 번역가, 계몽서적의 저자이다. 그는 역관출신으로 학부에 근무하면서 도서번역 및 교과서편찬에 종사하여 20여권의 著書와 譯書들을 남겼다. 그 중에서 1909년 출판법 발표시 그의 저서들이 4종류의 4,564권으로, 전체의 79.1%나 압수 당하였는데, 이는 그의 대중성과 영향력을 짐작하게 하는 부분이다. 지금까지의 현채에 대한 연구는 1907년 이전의 시기를 주로 다루고 있어서 그의 전체적인 면모를 파악하기 어렵다. 이것은 자료의 부족과 그의 친일행적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현채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위해 『유년필독』과 『신찬초등소학』을 선정하여 체제와 저술목적, 그리고 서술내용을 비교해 보고, 그것을 통해서 현채의 시대의식을 종 합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아울러 계몽운동에 사상적인 영향을 주었던 현채의 의식과 행적을 통해서 당시 계몽운동의 성격과 한계 및 애국계몽가들의 의식을 살펴볼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幼年必讀』은 을사조약 체결이후 국민들에게 애국심 고취와 국가관의 확립을 목적으로 쓰여졌다. 또, 이 책은 보통학교용 국어교과서이자 전 국민들에게 널리 읽힌 계몽서적으로 출판법 발효시에 37.4%로 가장 많은 부수를 압수 당하였다. 그리고 『新纂初等小學』은 그보다 2년 후인 1909년 9월에 간행된, 보통학교용 국어교과서이다. 그러나 일본에 의해 교과용도서검정규정 과 출판법이 발표된 이후에 간행되었기 때문에 『유년필독』과는 달리 한계를 지닌 책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찰한 현채의 시대관은 첫째, 그의 일본관은 근대화추구라는 명분 때문에 그 침략성을 보지 못하는 시대적 한계를 가진다. 둘째, 국권회복을 위한 자강론은 철저한 근대화 지향논리로 패배주의로 흐를 위험을 가지고 있는데, 결국 현채는 1910년 국권상실이후 친일의 길을 걷게 된다. 셋째, 교과서 편찬자로서의 현채의 교육론은 국권회복의 주체로 기대를 걸었던 학생들에게 주어진 환경에서 열심히 노력하여 성공할 것을 강조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두 권의 책만을 중심으로 고찰하다 보니 현채의 나머지 서적들을 살펴볼 수 있는 기회를 갖지 못한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그리고 앞으로 현채의 생애전반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국권회복 운동의 중심인물이었던 현채가 국권상실 이후 친일의 길을 걷게 되는 과정에 대한 총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길 바란다. After the late 19th century when our country was opened to foreign nations, it came to face the duplicate contradiction that it had to liquidate the vestiges of the feudal regime and prevent the imperialistic invasion. Also in 1905 it concluded a treaty, Eulsajoyak with Japan and Japan robbed it of its diplomacy and it came to be a protected-nation by Japan. In the face of such kind of crisis, the regain of national rights came to be a most pressing problem to be solved and education became more and more important as a way of the regain of national rights. Textbooks is the contents of the national education and is an important tool of the school education. So textbooks enable people to make known about the consciousness on the history and the level of the culture of a certain period. Especially in the case that a textbook was published by the free will of a specific person, the periodic problem to be solved and the intention of publishing the book can be caught. So in order to catch the periodic problem of the closing days of Chosun Dynasty and understand what intention and what periodic consciousness the writer of textbooks had, textbooks of those days and their writers were analysed. Hyunchai was the representative textbook-writer, interpreter, and writer of books for enlightening. While he was working in the Ministry of Education as an interpreter, he interpreted books and wrote and edited textbooks. He published about 20 his writings and interpreted books. When The Law on Publishing was established in 1909, 4 kinds of 4,564 books which was 79.1% of his books were confiscated. This fact told about his popularity and influence. With the studies on Hyunchai which has done so far,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his whole thoughts because they were mainly covered with his writings before 1907. This is because of the lack of the materials and his pro-Japanese doings. So to understand Hyunchai collectively,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ystems, intention of writing, and contents of his writings, 『Unyunpildok (『幼年必讀』)』 - The things which young people have to read, 『Sinchanchodeungsohak (『新纂初等小學』)』 - New edition of introduction to the elementary learning. Through this, the Hyunchais periodic consciousness is studied. Because Hyunchai had an influence on the thoughts of the enlightening movement, this study enables to grasp the features and limitations of enlightening movement of those days and the consciousness of people who did campaigns for patriotic enlightening. 『Unyunpildok』was written with the purpose of inspiration patriotism into people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spirit of nationalism after Eulsajoyak was concluded. This book was a book for enlightening which was Korean Textbook for elementary schools and was read by the whole nation. When the law on publishing was enacted, the most number of copies of this book(37.4%) was confiscated.『Sinchanchodeungsohak』was published in September, 1909 when was two years later than 『Unyunpildok』and was also a Korean Textbook for elemantary schools. But because this was published after the regulations on giving official approval to textbooks and the law on publishing were enacted, it has a little limitation different from 『Unyunpildok』. On the basis of studying these two Hyunchais writings, his view of the times is like this; First, his view on Japan had limitation that didnt realize its aggressive intention because of his justification of the pursuit of modernizing. Second, his theory about the self-strengthening for the regain of national rights had a possibility to be inclined to the defeatism and finally Hyunchai came to follow the pro-Japanese after the complete lose of national rights in 1910. Third, as a writer and editor of textbooks, Hyunchais pedagogy was to emphasize the success after working hard under the given environment to the students who were expected as a main group for the regain of national rights. But because the two of Hyunchais books were studied, this study is needed for studying the rest of his writings. It is hoped that when the life of Hyunchai is studied collectively, the process that he became pro-Japanese after the lose of national rights will be studied clearly.

      • 성종 초 덕종의 追尊 과정과 그 의미

        이혜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thesis considers the 'Chujon' process of Deokjong and its significance. Through 'Chujon,' Seongjong could set up the ancestral tablet of his biological father at Jongmyo Shrine, who was called 'Ui-Gyeong Seja' before and now called Deokjong. Seongjong was the first king in Joseon whose father didn't sit on the throne(Ipseungdaetong, 入承大統). It obscured the rule of royal succession from father to son. So the man who became a king from collateral branches had to confer a title of king on his biological father to solve this problem. 'Chujon' is a kind of political action contains specific intention, to obtain one's royal authority. 'Chujon' of Deokjong was executed in the early years of Seongjong's reign when Queen Jeonghui ruled as regent(sooryeomcheongjeong, regency behind the veil). It contains some steps of discussion; 'Chujon' at the local level, international recognition and setting ancestral tablet up at Jongmyo Shrine. The first step was a 'Chujon' at the local level. After considerable debate, Seongjong's biological father, 'Ui-Gyeong Seja' was raised on 'Ui-Gyeong Wang.' In the light of clan rules(Jongbeop), their relationship was redefined as uncle and nephew. The Second step was international recognition. Madam Han, the concubine of Xuande Emperor(Seondeok Emperor) at Ming first raised this issue. She is a maternal relative of Seongjong, so it means 'Chujon' is a staple way to establish prestige of King and his biological mother, Queen Insoo. Some of his subjects opposed it, but he fulfilled under the approval of Shin Suk-Ju, an authority of the time. Ui-Gyeong Wang's posthumous name is 'Hoegan'. The Third step was setting ancestral tablet up at Jongmyo Shrine(Bumyo, 祔廟). Despite the opposition, Seongjong push ahead with it. With the support of Queen Jeonghui, he honored his father as a Deokjong and enshrined him at Jongmyo. There are three meaning in 'Chujon' of Deokjong. One, it becomes a precedent for posterior kings. Another, it strengthens royal authority reinforcing the power of Seongjong and Queen Insoo. In connection with it, the fact that enshrinement at Jongmyo and stepping down of Queen Jeonghui happened at the same time has the significant implication. The other, It shows a general tendency about ritual. When considering the result, this event indicates that there is no fierce confrontation on formality in early Joseon. 본고는 조선 제9대 국왕인 성종이 사친 의경세자를 덕종으로 추존하여 종묘에까지 부묘한 과정과 그것이 갖는 의미를 검토한 글이다. 성종은 조선왕조에서 최초로 숙부인 예종의 뒤를 잇는 입승대통(入承大統)한 국왕이었다. 역사 상 입승대통은 왕위 계승상의 정통(正統)과 사친(私親)의 불일치를 만들어냈다. 그리하여 방계(傍系)로 계승한 국왕들은 필연적으로 사친을 추존하려는 전례 논쟁을 겪어왔다. 사친 추존은 추존하려는 쪽의 특정 의도와 이해관계가 반영된 정치적 사건이었다. 조선에서 성종도 마찬가지였다. 정통으로 이어지는 의리 상 아버지는 예종(睿宗)이었으나, 성종은 자신의 사친인 의경세자(懿敬世子)를 국왕으로 추존하고자 하였다. 이 사건은 입승대통한 성종의 국왕권 확보와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정치적 사안이었다. 덕종 추존은 성종 초 정희왕후의 수렴청정기(성종 즉위년~성종 7년)에 3단계 논의과정을 거쳐 이루어졌다. 1단계는 국내 차원의 추존으로, 대신들의 논의를 거쳐 의경세자를 의경왕(懿敬王)으로 추존하였다. 이때 추존된 의경왕과 성종의 관계는 종법에 맞게 숙부-조카 관계로 설정하였다. 추존은 하되, 실제 부자(父子)인 두 사람의 관계를 종법에 맞게 설정한 것은 ‘예(禮)’의 규범적 측면을 고려한 결정이었다. 2단계는 국외 차원의 추존으로, 의경왕 추존을 명 황실에 알려 시호를 청하자는 추봉 주청 논의였다. 논의의 발의는 성종의 외척세력이었던 명 황제의 후궁 공신부인 한씨에 의해 제기되었다. 이는 이 사건이 성종의 친모인 인수왕비의 위상 강화와도 밀접히 연결됨을 보여준다. 추봉 주청에 대해서 일부 원상들과 예문관은 예문(禮文) 상의 불가를 들어 반대하였다. 그러나 예제 권위자로 큰 영향력을 발휘하였던 신숙주가 왕실의 의도에 따라 찬성하면서 명에 의경왕의 시호를 요청할 수 있었다. 의경왕의 시호는 ‘회간(懷簡)’이었다. 3단계는 회간대왕을 종묘에 부묘(祔廟)하려는 논의였다. 부묘 논의에는 총 156명의 신료들이 참여하였다. 부묘를 추진하기에 유리한 상황을 만들기 위한 성종의 전략적 계획이었다. 부묘론은 찬반으로 나뉘어 대립하였다. 특히 이때 원상과 대간, 예문관이 모두 부묘에 대해 반대하였으나, 성종은 자신의 의지대로 부묘를 추진해 나갔다. 결국 성종은 수렴청정하는 정희왕후의 지원 하에 생부(生父) 회간대왕을 ‘덕종(德宗)’으로 올려 종묘에 부묘하였다. 성종 즉위 초 국왕권 확보와 관련하여 중대한 사안이었던 덕종 추존과 부묘 사건은 크게 3가지 의미를 가진다. 첫 번째는 조선왕조에서 발생한 최초의 사친 추존으로 이후 국왕들이 사친을 추존할 때 전례가 되었다는 점이다. 두 번째는 정치적 의미이다. 덕종의 추존은 성종의 친모인 인수왕대비의 위상을 높이고 그 연장선상에서 성종의 국왕권을 강화하고자 시작되었다. 덕종의 부묘와 동시에 정희왕후가 철렴(撤簾)을 선언하는 모습은 이와 관련하여 시사하는 바가 크다. 세 번째는 예제적 의미이다. 6여 년의 논의 과정의 핵심은 국왕의 사친에 대하여 예(禮)를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라는 문제의식이었다. 이에 대하여 고례(古禮)에 의한 예의 규범적 적용을 중시한 측과 인정(人情)에 따른 예의 현실적 적용을 중시한 측이 대립하였다. 결과는 양자를 절충하는 것이었다. 이 사건은 아직까지 예법에 있어서 치열한 대립이 나타나지 않았던 조선 초기의 시대 분위기를 잘 보여준다.

      • 18세기 成均館 儒生의 생활과 활동 : 『泮中雜詠』과 『太學志』를 중심으로

        김보영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ntents related to daily life of Confucian scholar in SungKyunKwan in the end of Chosun Dynasty, 18 century. And it paid attention to the educational meaning in Chosun Dynasty and Confucian scholar in SungKyunKwan who was unnoticed in the process that the position of SungKyunKwan was weakened relating to situation in 18 century, and its educational function was changed.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composition, the organization of self-administration, activity centering on true-life of Confucian scholars within the jurisdiction, and their unique regulations of life and the culture of students with the jurisdiction, and it intended to clarify what the life within the jurisdiction meaned to Confucian scholars in SungKyunKwan at that time, how they created the unique culture within the educational change at that time, and what meaning it had. Confucian scholars in SungKyunKwan lived within the jurisdiction. Most of their living within GeoKwan were accomplished in Jaesil and dining room. Both the life within Jaesil and dining room were regularized by procedures and fixed regulations of living, and there was difference in the feeling of Confucian scholar as the class of Confucian scholar who were members of SungKyunKwan had been various from children of rich family to provincial Confucian scholar since 18century. In particular, some of children of rich family shunned to enter the SungKyunKwan because the living within Jaesil and dining room were considerably interior to the level of their house living. However, the meaning of living within the jurisdiction to Confucian scholar in SungKyunKwan generally was to produce and share their own community culture, not only simple question such like solving borad and lodging. Thanks to this consciousness of kind, despite government tried to control Confucian scholar in SungKyunKwan through the living with Jaesil and dining room, Confucian scholars internally formed self-regulating culture through this. Furthermore they could raised the superiority of dominating group consciousness, and make secure the differentiative socialization of 'etiquette' by make group regulations consciousness. Confucian scholar in SungKyunKwan in 18 century developed the self-administrating activity and group behavior actively through the organization of self-administration. As experienced disorder of the state examination and social change at the end of 18 century, students' cognition also developed, and this development had influence on students' activity of participating in society. Students within jurisdiction actively participated in society as one of the means to protect their own rights and interests, and express intention aggressively. These self-administrating activities satisfied the desire of preserving own group of Confucian scholar in SungKyunKwan, and became the passage to express the resistance against criticism and suppression. Confucian scholar in SungKyunKwan in Chosun Dynasty had not only upright activities following regulations and procedure by rules within the jurisdiction and the organization of self-administration, but also created non-scholastic and semi-governmental culture as their own customs. That is to say, these were cheating and group fight caused from disordered the state examination, luxury and disorder, sex crimes, tendency of disregarding instructors, and so on. The deviation-oriented culture of Confucian scholar in SungKyunKwan in the end of Chosun Dynas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problems occurred in modern educational place, and high relations of cultural tradition was achieved. In conclusion, as considered contents related to daily life of Confucian scholar in SungKyunKwan in 18 century, SungKyunKwan was not controlled by government like the beginning of Chosun Dynasty, and it was not the basis to reproduce the culture of special class. Because Confucian scholar in SungKyunKwan expanded the opportunity of participating in society through their own the self-administrating organization and regulations, and they could secure the self-control and originality of Confucian scholar in SungKyunKwan through these aggressive activities. Securing the self-control and originality of Confucian scholar in SungKyunKwan had influence on functions of SungKyunKwan. 본고는 18세기의 성균관 유생들의 일상생활과 그와 관련된 사실들을 고찰한 것이다. 따라서 조선에서의 교육이 가지는 의미와 18세기의 상황과 관련하여 관학으로서의 성균관의 입지가 약화되고, 그 교육기능이 변질되는 과정 속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성균관 유생들에게 주목하였다. 18세기 유생들의 관내에서의 생활상을 중심으로 그 구성과 거관생활 및 자치조직과 활동, 그들의 독자적인 생활규칙과 관생문화를 살펴보고, 당시의 성균관 유생들에게 관내생활이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 그리고 당시의 교육 변화 속에서 성균관 유생들은 어떻게 독자적인 문화를 창출해 갔고, 그것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밝히고자 하였다. 성균관 유생들은 관내에서 생활하였다. 그들의 거관생활은 대부분이 재실과 식당이라는 공간에서 이루어졌다. 재실생활과 식당생활 모두 절차와 정해진 생활규칙에 따라 정례화되어 있었고, 18세기 이후 성균관의 구성원인 유생층이 경화자제에서부터 지방유생에 이르기까지 다양해지면서 유생들이 느끼는 바는 차이가 있었다. 특히 경화자제들에게 있어 재실생활과 식당생활은 그들의 집안 생활수준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이어서 성균관 입학을 꺼리는 자도 있었다. 그렇지만 일반적으로 성균관 유생들에게 관내생활이 주는 의미는 숙식의 해결이라는 단순문제가 아니라 그들만의 공동체 문화 양산과 공유라는 보다 높은 차원의 것이었다. 이러한 동류의식 덕분에 국가가 재실생활과 식당생활을 통해 성균관 유생들을 규제하고자 했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관생들은 이를 통해 내부적으로 자율적인 문화를 형성하였다. 나아가 지배 집단의식의 우월성을 제고하고, 단체 규율을 의식화시켜, '예'의 차별적 사회화를 공고화시킬 수 있었다. 18세기 성균관 유생들은 齋會라는 자치조직을 통해 자치활동 및 儒疏, 捲堂, 空館 등의 집단행동을 활발히 전개해나갔다. 18세기 말 과거제의 문란과 사회변동을 겪으면서 학생들의 의식도 따라서 발전하였고, 이러한 발전 양상이 관생들의 사회참여 활동에도 영향을 끼쳤다. 관생들은 자신들의 권익을 보호하고, 의사를 적극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서 사회참여 활동을 활발히 했다. 이러한 자치활동들이 성균관 유생들에게는 자기 집단을 보존하려는 욕구를 충족시켰고, 비판과 억압에 대한 저항을 표출하는 통로가 되어주었다. 조선시대 성균관 유생들은 관내수칙과 자치조직에 의한 규칙과 절차에 의해 바람직한 활동만 한 것이 아니라 그들만의 풍속으로서 비학구적 ? 반관적인 문화를 만들어내기도 하였다. 즉 문란해진 과거제에 따른 시험부정 행위와 집단싸움, 사치와 문란, 성범죄, 그리고 스승인 교관에 대한 천시풍조 등이 그것들이다. 조선시대 성균관 유생들은 교칙과 질서를 지키지 못해 일탈적인 문화를 만들었고, 이는 국가와 사회의 큰 우려를 낳았기 때문에 백성과 조정으로부터 비난받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조선후기 성균관 유생들의 이러한 일탈적인 성향의 문화는 현대의 교육현장에서 일어나는 문제들과 크게 다르지 않으며 높은 문화적 전승관계가 이루어졌다. 18세기 성균관 유생들의 일상생활과 관련된 내용들을 통해 알 수 있었던 것은 당시의 과거제 문란과 정치?사회적 변동에 의해 성균관이 조선초기와 같이 국가에 의해 통제되거나, 특권층의 문화를 재생산하는 기반이 되질 못했다는 것이다. 이것은 성균관 유생들이 그들만의 자치적인 조직과 규칙을 통해 사회참여 기회를 더욱더 확충해 나갔고, 그러한 적극적인 활동을 통해 성균관 유생들의 자율성과 독자성을 확보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성균관 유생들의 자율성과 독자성의 확보는 관내에서의 적극적인 활동으로 통해 자신들의 입지를 공고히 하고 성균관의 기능적 측면에도 영향을 미쳤다.

      • 조선후기 閔鎭遠의 정치활동

        유수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thesis thoroughly examines Min, Jinwon who was a prominent figure of noron, leading the change of the political situation during the period from Sookjong to Youngjo. It is assumable that Min, Jinwon was an important figure of the day from the fact that he was at the center of a substantial political affair like Samunsibi (斯文是非) during Sookjong generation and Chungyuksibi (忠逆是非) from Gyoungjong to Youngjo generation. Another supporting fact of his importance is that his political opinion and activities are considerably mentioned in the study investigating this time period. Accordingly, this thesis sheds new light on Min, jinwon, the central figure of political realization of noron during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by exploring his lineage, study, and political activities. Min, Jinwon was born the son of Min, Youjoong who was from the best ancestry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the family of Min from Yeoheung. This family of Min got Seoin-noron (西人老論) characteristics as Min, Youjoong and Min, Jinwon's uncle Min, Jungjoong studied under Song, Siyeol and Song, Joonkil, the leading figures of Seoin and worked as Seoin government official during Hyojong-Sookjong generation. This family emerged as a core family of noron as Min, Youjoong became Sookjong's father-in-law in the seventh year of Sookjong's service. Later, the family of Min solidified its political foundation by forming multistoried structure consisting of political, school, and kinship with noron power of Song, Joonkil from the family of Song from Eunjin, Kim, Soohang from the family of Kim from Andong, and Lee, Manchang from the family of Lee from Ubong. As Min, Jinwon's family was at the center of the noron influence, his base of study is relevant to it. Through his uncle Min, Jungjoong, and Song, Siyeol, the chief of seoin, Min, Jinwon studied Song's study of loyalty, integrated as absolutization of Juja (朱子絶對化) and the distinction theory between right and wrong (是非明辨). With the social figures he associated with, Min, Jinwon tried to reflect Song's theory of loyalty to the real field of politics and his social companions inherited politically noron and academically Song, Siyeol. This familial and academic background was a base of his political activities as a noron official government. Min, Jin-won reached to the point of chief of noron after entering government service in the twenty first year of Sookjong's service as Yemoongwangumyeol (藝文館檢閱) and lasted his public service more than forty years until Youngjo generation. He showed great interested in stabilization of public welfare and military defense while he was working as a rising bureaucrat in the position of Ungwan and other positions during Sookjong generation. He also exposed his political color as noron, insisting punishment of Jang, Heebin and namin for calumniating queen Inhyun. It was after the publication of Garyewolyu (家禮源流) that he reaffirmed his noron disposition. When the noron scholars Jung, ho and Kwon, Sangha were punished for repulsing a leading figure of soron, Yun, Jeung in a preface and postface of Garyewolyu, Min, Jinwon notified the fact that Yun, Jeung betrayed his teacher Song, Siyeol and he criticized Sookjong's disposal of supporting Yun, Jeung's righteousness. It is significant in that Min's opinion notifying the righteousness of Song, Siyeol's loyalty justifies insuring dominant position of noron's ideology. After Sookjong supported noron's loyalty through Byungsin disposition (丙申處分) Min, Jinwon more developed in a political sense. At this time, he grasped the enthronement of Crown Prince supported by soron and namin as an insecurity factor of noron' power taking, and he suggested succession to the throne with Yeoninggoon (延礽君) as the central figure, who was the offspring of SookbinChoi. His suggestion was accepted in noron and was realized through appointing the brother of Crown Prince as the princely heir and attending on the general affairs instead of the King after the enthronement of Gyoungjong. However, soron opposed noron's actions and this led to the stagnation of noron' influence. For this reason Min, Jinwon, who came back to politics after the enthronement of Youngjo, gave legitimacy on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of Youngjo by raising Banjilon, making Gyoungjong's disease public, and strived to rationalize this propulsion by noron. In the meantime, Youngjo, who ascended the throne in the middle of unstable political situation, tried to strengthen the royal authority and stable the political setting through joje-TangPyung policy (調劑蕩平), appointing without the distinction of cliques. Thereupon, Min, Jinwon opposed Youngjo's TangPyung policy, insisting impartial appointing after calling soron to account. But at the same time he suggested an adaptable governing of political situation, clarifying that when noron secures their justification through discussing the rights and wrongs, they could work together with soron. On this account, after the Gyoungsin disposition (庚申處分), the leading power of noron was unfolded centering around Min, Jinwon party instead of Hoseo party noron, asserting a tough line. 본고는 숙종~영조대 노론의 중진으로 활동하며 정국의 변화를 주도하였던 민진원에 대한 글이다. 민진원이 당대에 중요한 인물이었던 점은 그가 숙종대 사문시비(斯文是非)와 경종~영조대 충역시비(忠逆是非) 등 중요한 정치적 사건의 중심에 있다는 사실과 이 시기 정치를 다룬 연구에서 그의 주장과 정치적 활동이 적지 않게 언급된다는 점에서도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는 17~18세기 노론 정치구현의 중심인물이었던 민진원의 가계․학문 그리고 정치활동을 살펴봄으로써 민진원을 재조명하고자 한다. 민진원은 조선 후기 최고의 명문가인 여흥민씨 가문의 민유중의 아들로 태어났다. 여흥민씨 가문은 아버지 민유중과 숙부 민정중이 서인의 종주인 송시열․송준길 문하에서 수학하고 효종~숙종 연간 서인 관료로써 활동함에 따라 서인-노론 가문의 성격을 가지게 되었으며, 숙종 7년 민유중이 숙종의 장인이 됨에 따라 노론 핵심 가문으로 부상하였다. 이후 여흥민씨 가문은 은진송씨 송준길 가문․안동김씨 김수항 가문․우봉이씨 이만창 가문 등 노론 세력과 정치․학문․혈연의 중층구조를 형성하며 정치적 기반을 확고히 하였다. 이처럼 가문이 노론 세력의 중심에 있던 만큼 민진원의 학문 기반은 이와 무관치 않았다. 민진원은 서인 영수인 송시열과 숙부 민정중을 통해 주자절대화(朱子絶對化)와 시비명변(是非明辨)으로 집약되는 노론의리를 수학하였다. 민진원은 교유인사들과 함께 노론 의리를 현실 정치에 반영하고자 하였는데 이들은 민진원과 비슷한 정치․학문적 기반을 가졌다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가문과 학문의 배경은 민진원이 노론 관료로써 활동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 민진원은 숙종 21년 예문관검열(藝文館檢閱)로 벼슬에 나간 이후 영조대까지 40년 이상 관직생활을 하면서 노론의 영수로 성장하였다. 그는 신진관료로 활동하던 숙종대에 언관직과 여러 외직에 종사하면서 민생안정과 군사 방어에 상당한 관심을 보이는 한편 인현왕후를 무함한 장희빈과 남인을 처벌할 것을 주장하면서 노론으로써 정치적 성향을 드러내기 시작하였다. 그가 노론인사로써의 성향을 보다 확실히 드러내는 시기는 ‘가례원류(家禮源流)’ 간행 사건 이후이다. 민진원은 노론 학자인 정호(鄭澔)와 권상하(權尙夏)가 가례원류의 서문과 발문에서 소론의 거두인 윤증(尹拯)을 논척한 혐의로 처벌되자 상소를 통해 윤증이 스승인 송시열을 배반한 실정을 알렸으며 윤증의 의리를 지지한 숙종의 처분을 비판하였다. 이와 같은 민진원의 주장은 그가 송시열의 의리가 옳음을 알림으로써 노론의 이념 우위 확보에 정당성을 부여하고자 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숙종이 병신처분(丙申處分)을 통해 노론의 의리를 지지한 이후 민진원은 정치적으로 더욱 성장하였다. 이때 그는 소론과 남인을 지지세력으로 삼고 있던 세자의 즉위를 노론 집권의 불안 요소로 파악하고 숙빈 최씨의 소생인 연잉군(延礽君)을 중심으로 하는 왕위계승론을 제시하였다. 민진원이 제시한 왕위계승론은 노론 내부에서 수용되었고 경종 즉위 후 세제 건저와 대리청정의 실현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소론은 노론의 행동에 반발하였고 이는 옥사로 이어져 노론의 침체를 가져왔다. 때문에 영조 즉위 후 정계에 복귀한 민진원은 경종의 병을 밝히는 반질론 제기를 통해 영조의 왕위계승에 정통성을 부여하고 이를 추진한 노론의 행동을 합리화시키고자 하였다. 한편 혼란한 정국 속에서 즉위한 영조는 붕당의 구분 없이 등용을 하는 조제탕평(調劑蕩平)을 통해 정국을 안정시키고 왕권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해 민진원은 시비명변에 따라 소론을 토죄하고 난후에 탕평할 것을 주장하며 영조의 탕평책에 반대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시비를 통해 노론의 명분이 확보되면 소론과 동사할 수 있음을 밝히며 나름 융통성 있는 정국운영론을 제시하였다. 때문에 경신처분(庚申處分)이후 노론계의 주도권은 강경한 노선을 주장했던 호서계열 노론대신 민진원 계열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 조선 인조대의 瀋陽館

        이은영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It was the time for the ruler of the mainland China to be changed from Ming Dynasty to Qing Dynasty. Qing Dynasty started the war between Chosun Kingdom and Qing Dynasty in 1636 to block off the coalition between Chosun Kingdom and Ming Dynasty and to have the resources and military supports for their war with Ming Dynasty before they mainly addressed the invasion into the mainland. After winning the war in 1636, Qing Dynasty put the pressure to Chosun Kingdom using hostages including the Crown Prince Sohyun instead of their direct rule over Chosun Kingdom. Qing Dynasty chose this way because it was a relatively efficient method for them to reduce the resistance of people in Chosun Kingdom while they were focusing on the war with Ming Dynasty. Accordingly, the Crown Prince Sohyun and his accompanying subordinates had to stay in 'Shenyangguan' for about eight years from April in the 15th year of King Injo (1637) to February in the 23rd year of King Injo (1645) when they could return to their homeland. Although it has not known what Shenyangguan was like as it does not remain now, certain portion about the building can be confirmed through records. About 500 accompanying subordinates lived in Shenyangguan. They could be divided largely into hostages and accompanying subordinates. Among them, hostages could be divided into 'hostages from the royal family' and 'hostages from three noble families and six official families'. Accompanying subordinates could be divided into 'officials to serve the Crown Prince' and 'other lower servants'. These various subordinates were organized in Shenyangguan, and their activities became the driving force to maximize the diplomatic capabilities in Shenyangguan. In Shenyangguan, the Crown Prince Sohyun carried out various activities to return people of Chosun Kingdom, to represent the positions of Chosun Kingdom over the excessive requests from Qing Dynasty, and to collect and deliver information. Activities of each member in Shenyangguan were underlying those activities. The status of Shenyangguan was increasingly highlighted as time flew due to the strategies of Qing Dynasty and those activities of each member as such, which resulted in conflicts between King Injo and the Crown Prince Sohyun in the end. The status of Shenyangguan was perceived differently by Qing Dynasty and Chosun Kingdom respectively. Qing Dynasty first made efforts to recognize Shenyangguan as a diplomatic organization of Chosun Kingdom and to increase its status. Qing Dynasty utilized Shenyangguan to deliver their requirements to Chosun Kingdom, to advertise their status to Chosun Kingdom, and to collect information. In the meantime, Qing Dynasty took their stance as if they had wanted to increase the status of Shenyangguan to the extent that they could hardly expect even in Chosun Kingdom, such as allowing Shenyangguan to have activities at their own discretion, leading the Crown Prince to participate in matters that should not be dealt with by him, treating the status of the Crown Prince to the level of kings and lords or asking Chosun Kingdom to send higher ranking officers town discretion, leose attedits to increase the status of Shenyangguan by Qing Dynasty aimed at the theerningsplits of Chosun Kingdom as they made King Injo recognize the Crown Prince Sohyun as his competitor from the highlighted status of Shenyangguan. They considered such strategies would make Chosun Kingdom relatively adaptive to them with no resistance to Qing Dynasty as Chosun Kingdom was being aware of the Crown Prince. These strategies consisted of the core in their policies on Chosun Kingdom, which could be called "soliciting enemies to control enemies" as part of their strategies. On the other hand, Chosun Kingdom seemingly evaluated the status of Shenyangguan as being lower. King Injo did not want Shenyangguan to be anything but 'a place for hostages'. Hence, he kept busy himself controlling its roles rather than utilizing Shenyangguan as the instrument of politics and diplomacy. This could also evidence that the strategy of Qing Dynasty "soliciting enemies to control enemies" was relatively successful. Such containing activities of King Injo to Shenyangguan were more strengthened in link with the decreasing status of King Injo's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17세기는 중국 대륙의 지배자가 明에서 淸으로 교체되던 시기이다. 청은 대륙정벌을 본격적으로 단행하기 이전, 조선과 명의 연합을 저지하고, 전쟁에 필요한 물자와 군사적인 원조를 받기 위해 丙子胡亂을 일으켰다. 이 전쟁에서 승리한 청은 조선을 직접 지배하는 대신에 昭顯世子를 비롯한 質子들을 이용해 조선을 압박하고자 했다. 청이 이러한 방법을 선택한 것은 이것이 조선인의 저항을 줄이면서도 對明征伐에 집중할 수 있는 비교적 효율적인 방법이었기 때문이다. 이에 소현세자와 그 이하 배종원역들은 인조 15년(1637) 4월부터 본국으로 귀환하는 인조 23년(1645) 2월까지 약 8년여의 기간 동안 ‘瀋陽館’에 머물러야 했다. 심양관은 현재 남아있지 않아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기록을 통해 일정부분 확인 할 수 있다. 심양관에는 약 500여명 정도의 원역이 생활하였다. 이들은 크게 질자와 배종원역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에서 질자는 왕실의 질자와 三公六卿의 질자로 나눌 수 있으며, 배종원역은 세자시위관원과 기타하급원역으로 나눌 수 있다. 심양관은 다양한 원역들로 구성되어 있었고, 이들의 활동은 심양관의 외교적 역량을 극대화시키는 원동력이 되었다. 소현세자는 심양관에서 조선인을 쇄환하고, 청의 무리한 요구에 조선의 입장을 대변하며,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본국에 전달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하였는데, 심양관 각 구성원들의 활동이 그것을 뒷받침 한 것이다. 심양관의 위상은 이러한 각 구성원들의 활동과 청측의 전략에 힘입어 시간이 지날수록 상승했고, 이것이 결국 인조와 소현세자의 갈등을 야기했다. 심양관의 위상과 관련해서는 청과 조선이 각기 다르게 인식하고 있었다. 먼저 청은 심양관을 조선의 외교기구로서 인정해 주고 그 위상을 높여주기 위해 노력했다. 청은 자신들의 요구사항을 심양관을 통해 조선에 전달하는 일, 세자와 대군을 공식적인 행사에 참여시킴으로써 자신들의 위상을 조선에 선전하는 일, 정보를 수집하는 일 등에 활용하였다. 그러면서 청은 심양관이 자체적으로 재량권을 가지고 활동하도록 하거나, 세자가 간여할 사안이 아닌 일에 참여시킨다거나, 세자의 位次를 諸王과 같은 반열에 올려주거나 혹은 심양관 관원들을 품계가 높은 사람으로 보내도록 하는 등 조선에서조차도 예상하지 못할 정도로 그 위상을 높여 주려는 듯한 태도를 취하였다. 청에서 이렇게 심양관의 위상을 높여주려 한 것은, 심양관의 위상을 높여 인조로 하여금 소현세자를 경쟁자로 인식하게 하고, 이를 통해 조선을 내부적으로 분열시키기 위함이었다. 그렇게 해야만 조선에서 세자를 의식해 그들에게 대항하지 않고, 비교적 순응적으로 나올 것이라 여겼기 때문이었다. 이는 청의 대조선정책의 핵심으로, 이른바 ‘以夷制夷’ 전략의 일환이었다. 반면에 조선에서는 심양관의 위상을 낮게 평가하고자 했다. 인조는 심양관을 볼모들이 머무르던 ‘볼모처’ 이상으로 인정하지 않으려 했고, 그렇기에 심양관을 정치․외교적으로 활용하기 보다는 그 역할을 제재하기에 바빴다. 이는 청의 ‘이이제이’ 전략이 비교적 성공적이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인조의 심양관에 대한 이러한 견제는 인조 자신의 대내외적인 위상 하락과 맞물려 더욱 강화되었다.

      • 端宗代 政局動向-癸酉靖難 前後의 議政府·臺諫 活動 分析

        임수미 숙명여자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7599

        端宗의 즉위는 조선왕조에서 처음으로 어린 왕이 즉위한 것이어서 대내적 으로 위기상황이었다. 그리고 同王 원년의 癸酉靖難은 이후 정국 운영에 많은 변화를 야기한 커다란 사건이다. 때문에 조선초기 정치사에서 단종대가 차지하 는 비중은 매우 크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아직까지 단종대에 관한 연구는 별로 행해지지 않고 있다. 이는 단종의 재위기간이 짧았고 강력한 臣權의 부상으로 왕권이 유명무실했다고 인식되어왔기 때문이다. 단종대 정국을 정확하게 이해 하기 위해서는 계유정난 前後 시기의 의정부와 대간을 중심으로 한 官署의 운 영실태, 여러 관서의 활동 분석과 인사이동을 통한 각 관원들의 분석 등이 종 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고는 이러한 목적에서 시도되었다. 단종 초기에는 즉위교서를 통해 의정부대신들의 권한이 인사권을 중심으로 확대되었다. 議政府暑事制의 실시로 六曹의 활동은 약화되었고, 承政院은 왕명 출납의 고유 職掌으로 그 역할이 중요시되었다. 의정대신들은 어린 왕을 보좌 하여 정국을 안정되게 운영하였는데, 이들은 대부분 세종의 重臣들로 政事 경 험이 풍부한 老成한 臣僚들이었다. 이러한 정사 보좌는 단종 원년에 접어들면 서 왕의 親政 시도와 함께 2월 顯陵의 沙土가 무너지는 사건으로 조금 약화되 었다. 이는 즉위 직후부터 사용된 黃標政事가 시행되지 않는 등 人事에서의 영 향력이 줄어든 것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단종 초기 臺諫의 언론활동은 비교적 활발하였다. 그 활동은 彈劾과 人事문 제에 집중되었고, 의정대신과 종친들에 대한 것이었다. 언론의 주 내용은 의정 대신들의 兼職과 인사에서의 문제점, 종친에 의한 인물의 薦擧와 賞爵에 관한 것이었다. 대간들은 간혹 강한 언론으로 左遷되기도 하였지만 의정대신들이 政 事를 볼 수 없을 정도로 견제 효과가 있었다. 首陽大君은 세종대부터 明使臣 접대, 집현전학사들과 찬술활동, 승지와 같 은 역할을 하였고, 여러 관서의 提調를 역임하였다. 이러한 활동들은 政事에의 경험을 쌓을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단종 즉위 후 수양대군은 왕실관련 문제 들 뿐 아니라 다른 여러 가지 문제에도 관여하였다. 특히 여러 대신들의 반대 에도 이루어진 誥命謝恩使行으로 朝鮮에서나 明에서나 그 위상을 한층 높이게 되었다. 이후 수양대군은 사은사 隨從官들과 兵要 修撰者들에게 加資해 줄 것 을 요청하는 등 賞爵에까지 영향력을 미치게 되었다. 한편 수양대군은 단종 즉위 직후부터 자신의 세력을 모으고 있으며, 北京에 다녀온 후 본격적으로 세력을 규합하였다. 결국 정난은 수양대군이 오랜 기간 동안 치밀하게 계획한 모의였고, 그 성공을 확신했던 것으로 보인다. 정난에 참여한 사람들은 대부분 당시 정국에 불만을 가진 사람들로서 이러한 점은 수 양대군의 이해와 일치되는 면을 가지고 있었다. 정난 이후에는 수양대군의 攝政이 행해졌다. 수양대군은 여러 관직을 통해 인사권과 兵權을 장악하였고, 계속 그 권한이 확대되었다. 정국 운영에 있어서 수양대군 1人의 영향력은 이전 시기 의정부보다 더 확대된 것이었으며, 반면 다른 관서들의 활동은 더욱 침체되었다. 이 시기 의정부와 승정원에는 靖難功 臣인 수양대군 측근세력들이 대거 기용되었고, 육조판서에는 집현전학사 출신 의 중도적 성향의 인물들이 등용되었다. 정난 이후 대간의 활동은 원년까지는 靖難被禍人들의 처벌과 공신책봉문제 등과 관련하여 활발하게 행해졌다. 또한 정난 직후 대간에는 집현전학사 출신 의 강경한 인물들이 등용되어 논리적이고 구체적인 언론을 주도하였다. 그러나 단종 2년에 접어들면서 대간의 활동은 위축되었다. 이는 王妃를 맞이한 후 吉 服을 입는 문제로 수양대군과 대립하면서 더욱 심화되었다. 이후 대간은 사소 한 일로 좌천이 빈번하였고, 언론활동은 敎旨를 받은 후 劾問하게 되어 사실상 활동이 불가능하였다. 정난피화인에 대한 처벌은 정난 발생일 이후 약 1년 동안 계속되었다. 그리 고 단종 3년 2월 錦城大君, 和義君 및 宦官, 武人에 대한 처벌로 이어졌다. 이 두 사건은 모두 수양대군에게 존재 자체가 위협적이었던 자신의 동생들을 제 거한 것으로 각각 수양대군의 집권과 즉위를 가능하게 하였다. 정난 이후 정국 을 주도한 수양대군은 단종을 보호하던 왕실세력을 제거함으로써 더 이상 단 종을 더 이상 왕위에 있을 수 없게 만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단종대 정국은 계유정난으로 크게 변질되었다. 각 관서들 이 제 역할을 행하지 못하게 되었고, 합의가 아닌 독단에 의한 정사가 행해졌 다. 그리고 자신의 측근세력을 주요 관서에 배치하여 소수인물 중심으로 정국 을 운영하였다. 즉 정국운영에서 私的인 측면이 강화되었다. 이는 수양대군의 즉위 이후에도 계속되어 비정상적인 정국 운영의 형태를 야기하였다. Because Danjong was the youngest king ever to ascend to the throne in the Chosun Dynasty, the situation was critical both inside and out. Besides, the Kye-yoo-jung-nan(癸酉靖難) of Danjongs first year is a big event that brought many changes to the political administration thereafter.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reign of Danjong is very important to the early periods of the Chosun politics. However, up until now, little research about Danjong has been made. This is because the reign of Danjong was so short, but also because it had traditionally been thought that the powerful rise of the subjects outcast the royal authority. To fully understand the Danjong administration, we must first do a composite study of how the government offices were managed, an analysis of what they did, and also an analysis of the government officials through changes of rank before and after the Kye-yoo-jung-nan. To achieve these studies is the purpose of this paper. In the early Danjong years, as had been stated in the message upon accession to the throne, the authorities of Oey-jung officials were centered and expanded around the power to promote and demote officials. The enforcement of the Oey-jung-bu-seo-sa-jae(議政府暑事制) weakened the activities of the Yook-jo(六曹), and Seung-jung-one(承政院) was granted its importance as the sole post dealing in the incomings and outgoings of royal commands. Most of the Oey-jung officials that were counselling the young king had been important subjects since Sejongs reign, and therefore had great experience in governmental affairs. Then there came two events that reduced the counsel. One was when Danjong attempted to rule the country himself, and the other was the event of soil collapse on Hyun-rung in February. This can also be inferred through the fact that the Hwang-pyo-jung-sa(黃標政事) was no longer as activated and that the counsels influence on promotion and demotion had decreased. The function of the Dae-kan(臺諫) was also quite active in the early Danjong years. Their work consisted mainly of impeachment, promotion, and matters regarding Oey-jung officials and royal families. Principle examples of their work would be to discuss whether Oey-jung officials were allowed to have additional posts, or whether there were any flaws in the promotion. It would also include matters such as recommendation of certain people through royal kin, or how to reward and issue titles. Officials of the Dae-kan were sometimes relegated, but their influence was enough to restrain the overpowering of the Oey-jung officials. Since Sejongs reign, Soo-yang-dae-kun had had many chances to accumulate experience in political and governmental work. He took charge of the reception of envoys from Myung(明), participated in literary work with scholars at Jip-hyun-jeon(集賢殿), took part in the Seung-jung-one, and led many other government offices. After Danjongs accession to the throne, Soo-yang began to take part in issues other than royal. The Ko-myung-sa-eun-sa -hang(誥命謝恩使), especially, which had been formerly opposed by many subjects, acted to heighten his status both within Chosun and in Myung. Soo-yang acquired so much power that he could influence decisions concerning rewards. For instance, he would request that more means be provided to Sa-eun-sa functionaries, and the Byung-yo writers. Meanwhile, Soo-yang had also been rounding up his own people after Danjong became king. This became much more precise after his return from Beijing. In short, the coup was a scheme that had been carefully planned for a long time, and it appears that Soo-yang was confident of its success. Those who had took Soo-yangs side in the coup were people who were discontent with the current administration, and to an extent, this complied with much of Soo-yangs views. After the coup, Soo-yang began to act as regent. He seized control of post appointment and the military, and continued to expand his authority. In making decisions, the sole influence of Soo-yang exceeded what influence Oey-jung-bu had had before, and consequently, other government offices became more downcast. Soo-yang stationed his entourages in key posts of the Oey-jung-bu and Seung-jung-one, and in Yook-jo-pan-seu, scholars from Jip-hyun-jeon were appointed, for they were well renowned for their more neutral political views. After the coup on through the end of the first year, the Dae-kan focused largely on issues concerning the punishments of those who had managed to dodge the coup, and rewards for the meritorious retainers. Also, immediately after the coup, men of integrity from the Jip-hyun-jeon were put to the post where they carried out logical and specified actions. However, the activities of the Dae-kan cowered somewhat in Danjongs second year. This was further depend by the conflict between Soo-yang over what costume to wear upon the accession of the new queen. After this, relegations became frequent over trivial matters, and the Dae-kan became virtually obsolete when the king ordered tenets and required them to be questioned. Penalties for the escapees continued for a year after the actual outbreak of the coup. Then in February of Danjongs third year of rule, Kum-sung-dae-kun, Hwa-oey-kun, eunuchs, and military leaders were castigated. Each of these events served as the elimination of direct forces of threat to Soo-yang - especially his brothers - thereby allowing him to acquire absolute control and become king. With the eradication of court powers protecting the king, Soo-yang forced Danjong off the throne. As has been discussed above, the political situation of Danjong was drastically changed by the Kye-yoo-jung-nan. The government offices were no longer able to do their job, and policies were made not through negotiation, but by dogmatism. Moreover, by ruling with a small group of people and appointing entourages to key posts, Soo-yang brought the government down to a personal level. This continued after Soo-yangs succession to the throne, and ultimately caused abnormality in political management.

      • 朝鮮後期 政治上의 是非明辨論 硏究

        한지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theory of distinguishing between right and wrong refers to rationale of teaching by distinguishing right from wrong. This theory also puts emphasis on fidelity and right and wrong among the Bungdang. Through this, it claims to advocate politics of public consensus, which regards the right as public consensus, and turns it into the foundation of political situation management. At the moment, fight of fidelity and right and wrong was based on theory of a superior man and a mean man, and by advancing superior men and weeding out mean men, it aimed at politics by only superior men's group. When viewing in light of Bungdang politics trait that public consensus and fidelity fight is proper function, the theory of distinguishing between right and wrong is the Bungdang theory that explains well even of the history trait of Bungdang and Tangpyeong politics of 17~18th centuries as well as characteristics of Neo-confucianism political theory. In Bungdang politics, if the theory of compound made co-existence among Bungdangs possible, criticism and check were done by The theory of distinguish between right and wrong. The theory of distinguish between right and wrong is Bungdang theory focused on the Seoin and the Nolon, and was raised at the level of the theory of fidelity and justification theory in teachings of Chu-tzu. Whereas theory of Namin and Solon was about arguing directly of political events and phenomenons, Seoin-Nolon raised the theory of distinguish between right and wrong by insisting on great causes, and substituting political issues to the matter of fidelity. Unlike the theory of compound and the theory of mediation raised aiming at sorting out right and wrong fight among Bungdangs, The theory of distinguish between right and wrong was political reasoning that nation's affairs should be determined though weeding out mean men by distinction of right and wrong. In the king Hyojong era, Gyeogtag-Yangcheong theory of Nakdang faction with Song, Si-yeol and Song, Jun-gil as the center. About the punishment of Confucian scholar of Yeongnam against to be enshrined at the Confucian shrine of Yi, I and Seong, Hon, in the responding process of king and higher ministers‘ theory of compound, The theory of distinguish between right and wrong became main political reasoning of Seoin Sandang faction. In the King HyeonJong era, Song, Si-yeol and Song, Jun-gil led the theory as Seoin's main advocator. In the situation king unfolded adjustment and compound policy, and did not accept the request of Seoin's The theory of distinguish between right and wrong, Seoin’s Sanrim took the leadership. By the chance of GihaeYesong, Seoin started insisting to mean men against Namin, and hereafter, The theory of distinguish between right and wrong began to have effect as strong grounds for argument. Sandang faction used the theory of distinguish between right and wrong as reasoning to attack opposition party, and as reasoning to object co-existence theory of superior men party and mean men party led by king. In Sukjong era, with Noron ministers strengthening of the theory of distinguish between right and wrong of Kyongshin Uprising Song, Si-yeol, confliction between Nolon and solon was provoked. In the process of strengthening the theory of distinguish between right and wrong, Geongeuk theory was stressed at the level of standard establishment. At this time, Hwanggeuk was the standard of the theory of distinguish between right and wrong, in short, establishment of ruling philosophy, and should have had principle of unbiased view. Therefore, king's authority and decision making became more important. Particularly, as Geongeuk method or king's establishing of law, Park, Se-chae insisted co-existence theory of superior men party and mean men party among Nolon, Solon and some Namin, and establishment of Hwanggeuk as criteria of distinguish between right and wrong. This lays emphasis that king has final say in right and wrong judgment about distinguishing competent persons or disputes among Bungdangs. It contributed to turn Liege oriented theory of distinguishing right from wrong into king oriented political theory. Eventually, Sukjong accepted Park, Se-chae‘s Tangpyeong theory of Geongeuk method or king's establishing of law after Kapsul uprising, and took over leadership of The theory of distinguish between right and wrong based on Hwanggeuk theory while unfolding the theory of compound. This had influence on political situation of Tangpyeong in Yeongjo and Jeongjo era. Like people insisting the theory of mediation, Seoin-Nolon longed for Tangpyeong, but made the argument that Tangpyeong should be realized through The theory of distinguish between right and wrong rather than co-existence theory of superior men party and mean men party. Geongeuk or King's establishing law claimed by Nolon was Tangpyeong through The theory of distinguish between right and wrong not compound or balanced Tangpyeong. Thus, in order to realize Geongeuk Tangpyeong successfully, harmony between balance and The theory of distinguish between right and wrong came to be an important issue. In Kyeongjong era, with undergoing Shinimoksa, trait of the theory of distinguish between right and wrong was intensified to loyalists and traitors. In Yeongjo era, Nolon strengthened the theory of distinguish between right and wrong on traitor suppression basis, and opposed to compound Tangpyeong with Solon. However, Yeongjo opposed to Nolon's loyalists and traitors theory, and strengthen Tangpyeong politics based on compromising right and wrong, and accepting compound theory. While Yeongjo has forbidden liege's distinguishing on right and wrong strictly, he established only king's Hwanggeuk, lighted up great cause, and made his determining national policy as Hwanggeuk Tangpyeong. And Yeongjo approved Nolon's fidelity gradually after Eulhae measure. However it actually had effect of strengthening king's power with laying emphasis on king's public fidelity as a result. This led to fidelity Tangpyeong in Jeongjo time, and more importance was laid on king's public fidelity. Through above details, evaluation that theory of distinguish between right and wrong of latter Joseon era brought out partisan theory, should be reconsidered. Especially, with right and wrong judgment was based on king's public fidelity being carried out in Geongeuk Tangpyeong philosophy, national affairs were set with private fidelity of Bungdang being converged in public fidelity, and harmony of personal view and stable political situation were possible. Therefore, in the process of making compromised politics of Gunshingongchi or power balance between king and liege, the theory of distinguish between right and wrong based on principle of unbiased view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olitics of latter Joseon era. 본 연구는 조선후기 정치론인 시비명변론의 전개와 특징을 통해 인조~영ㆍ정조대에 이르는 정국의 추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붕당정치기의 시비명변론은 붕당간 의리와 시비 대결을 중요시하며, 이를 통해 옳은 것을 公論으로 결정하여 정국운영의 근간으로 삼는 공론정치를 표방하였다. 붕당정치에서 조제론이 붕당간의 ‘공존’을 가능하게 했다면, ‘비판ㆍ견제’는 시비명변론에 의해 이루어졌다. 인조대 이후 金尙憲ㆍ金集ㆍ宋時烈ㆍ宋浚吉 등에 의해 시비명변론은 서인의 대표적인 붕당론이 되었다. 이들은 주자학적 의리론ㆍ명분론에 근거하여 정치 쟁점을 의리문제로 치환시켜 ‘義理의 시비’를 주장하였다. 또한 국왕에게 君子小人論에 근거한 철저한 시비명변과 그에 따른 處分 및 國是 확정을 요구함으로써, 一君子黨에 의한 정치체제를 목표로 하였다. 己亥禮訟 이후 개인 간의 시비가 점차 붕당 차원으로 확대되기 시작하였다. 시비명변론은 보다 전면적이며, 강력한 정치논리가 되었고, 서인은 ‘南人=小人黨’이라는 인식을 굳혀 남인을 배척해야 할 대상으로 여겼다. 庚申換局 이후 서인은 逆黨인 남인을 제거하기 위해 임술고변사건을 일으켰고, 그 수습과정에서 노ㆍ소론이 분열하였다. 노론은 남인과 보합, 탕평의 의리를 논할 수 없다고 여겼고, 소론은 淸南 계열에 대해서는 조제수용이 가능하다고 주장하여 노ㆍ소간에 견해 차이를 나타냈다. 그리고 尹宣擧의 묘비명 찬술 문제에서 비롯된 송시열과 윤증 사이의 懷尼是非는 師生의 의리 문제로 치환되어 노ㆍ소 각 붕당의 의리가 되었다. 甲戌換局 이후 숙종은 박세채의 建極蕩平論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황극을 세워 인재를 선별하고 이들을 통해 조제보합을 이루어갈 것을 선포하였다. 鄭澔 등의 노론은 의리론적 지향의 시비명변론을 주장하여, 實際에 대해 事理의 시비를 논하는 소론ㆍ남인과는 구별되었다. ‘義理의 是非’는 명분을 찾고 의리를 회복하기 위해 조제ㆍ절충을 거부하며, 자파의 의리를 공론과 국시로 확정지음으로써 君子黨으로 인정받기 위한 목적이 있었다. 따라서 붕당정치기 시비명변론은 대부분 노론에게서 제기되었으며, 상대적으로 소론과 남인은 조제 또는 절충론에 대해서도 유연한 입장을 가졌다. 이때 三司의 당론 시비가 과열되어 공론정치의 근간이 무너지면서 국왕의 시비판정 및 처분의 권한이 더욱 중요해졌다. 建極論의 제기로 왕의 시비판정의 기준이 ‘公論’에서 점차 ‘皇極’으로 바뀌는 논의가 전개되었다. 왕의 大中至正한 도리, 즉 公的 義理[公義]가 되는 ‘황극’이 시비판정을 위한 기준이자 전제로 강조되었다. 박세채의 皇極說의 정치적 효용성을 인식한 숙종은 시비명변론을 신료 중심의 붕당론에서 국왕 중심의 정치론으로 변용시키고자 하였다. 즉 조정의 시비에서 황극에 입각한 판정 권한을 자신에게 귀속시키고자 하였다. 노론은 황극사상을 통해 시비명변론을 논리적으로 보완하였다. 군자소인론 중심의 주자붕당론에서 더 나아가 조선 정치상황에 맞게 시비명변론을 변용시킨 것으로, 붕당간 의리와 시비를 가리되 왕에게 그 판정을 일임하여 국시를 확정하고 世道를 바로잡겠다는 의도였다. 노론이 기대하는 건극탕평은 ‘조제탕평’이 아니라 ‘시비명변에 의한 탕평’이었으며, 붕당간의 의리와 시비를 가리는 일 역시 건극탕평을 이루는 하나의 방도가 되었다. 그러나 숙종이 노론의 붕당론을 수용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적은 없었다. 조제탕평론과 마찬가지로 시비명변론 역시 건극탕평의 이념 안에서 국왕의 통치철학으로 표방되어야 했기 때문이다. 丙申處分은 시비명변론이 국왕 중심의 정치논리로 전환되어, 왕이 황극[공의]에 입각한 시비판정의 주체로서 붕당정치에 영향력을 강화시킨 중요한 사건이었다. 왕에 의한 大處分은 국시로서의 권위와 규정력을 갖게 되었다. 영조대는 경종 연간의 辛壬獄事를 계기로 忠逆과 의리의 차원에서 시비명변론이 더욱 격화되었다. 이때부터 충역을 둘러싸고 붕당의 의리와 시비가 서로 명확히 나뉘기 시작하였는데, 乙巳處分과 丁未處分에서 충역과 시비가 서로 충돌하였다. 戊申亂 이후 영조 및 탕평파가 ‘조제에 의한 탕평’을 건극의 근본으로 생각한 반면, 노론은 신임의리와 관련하여 충역과 시비를 명변하는 것을 건극으로 여겨 ‘시비명변에 의한 탕평’과 소론에 대한 토역을 주장하였다. 영조의 조제탕평은 왕이 황극을 세워 붕당의 의리와 시비를 조제하고, 각 붕당의 인재를 보합하여 탕평을 이루겠다는 것이었다. 영조의 己酉處分은 ‘半伸半逆’의 논리로, 신축옥사는 영조에 대한 노론의 의리를, 임인옥사는 경종에 대한 소론의 의리를 조제ㆍ절충한 것으로, 노론에 반발에도 불구하고 이는 국시가 되었다. 노론준론계는 是非不分, 雙擧互對의 노ㆍ소 병용은 선악ㆍ忠邪가 뒤섞인 조정책에 불과하여 탕평의 근본이 될 수 없다고 하였다. 영조는 기유처분―混沌之說 지지―十九하교―주자의 시비명변론 반대―混沌開闢 유시 등 일련의 정치적 행동과 발언을 통해, 노론의 시비명변론에 반대하며 시비절충과 인재보합에 의한 황극탕평의 정치를 강화시켜갔다. 건극탕평의 이념 안에서 국왕의 의리와 붕당의 의리가 구분되기 시작하였고, 국왕의 의리는 공적 의리이자 국시의 지위를 갖기 시작하였다. 집권 후반기에도 庚申處分―辛酉大訓―乙亥處分을 거치면서 표면적으로 노론의 의리를 승인해주었지만, 결과적으로는 영조 자신이 붕당의 의리를 조정하고 국왕의 공적 의리를 강조하는 전제권 강화의 기회를 마련하였다. 을해처분으로 인한 건극탕평의 완성은 《闡義昭鑑》의 편찬과 영조의 ‘體天建極聖功神化’라는 존호의 가상으로 나타났다. 영조대의 탕평정치가 조제탕평을 극복하고, 국왕이 충역과 의리를 판단하는 주체로서 ‘建極의 義理’를 주도하는 속에 ‘시비명변에 의한 탕평’을 실현시킨 것이었다. 신유대훈 이후에 대탕평이 표방되었고, 을해처분 이후에는 국왕 주도의 의리ㆍ시비명변에 의한 탕평이 이루어졌으며, 임오화변 이후에는 세손의 효장세자 후사 입적과 박세채의 문묘 종향, 그리고 《嚴?防裕昆錄》의 편찬이 이어졌다. 이는 영조 후반기 국왕이 의리와 시비를 주도해 정국을 장악해가는 새로운 건극탕평의 모습이었다. 정조대는 영조 연간의 탕평책을 비판적으로 계승하며, 각 정파의 준론계를 중심으로 의리를 조제하고 인재를 보합하려는 義理蕩平의 시대를 열었다. 정조는 노론, 소론, 남인의 청류계를 중심으로 단계적인 조제보합을 시도했으며, 특히 世臣保合이라는 명분 아래 이를 추진하였다. 또한 大臣責任論을 주장하여 재상권을 강화시키고 세신보합의 책임과 각종 개혁을 총괄하게 하였다. 정조는 국왕의 의리를 강조하며, 의리ㆍ충역ㆍ시비는 신하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국왕이 수립하는 황극에 근거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정조의 의리의 기준은 ‘영조의 대의리’와 자신의 《明義錄》의리에 있었다. 정조는 영조의 임오의리를 훼손하지 않으면서 思悼世子의 實德과 誠孝를 현양하는 것으로 임오의리의 미진한 점을 일부 수정하여, 신임의리―임오의리―《명의록》의리를 국왕이 주도하는 공적 의리의 차원에서 하나로 일치시키고자 하였다. 이는 곧 국왕이 주재하는 공적 의리를 정국운영의 원칙으로 제시한 뒤 각 정파의 의리적 합의를 이끌어내고자 하는, 의리탕평의 실현이었다.

      • 여말선초 對明 外交儀禮 연구

        윤승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plomat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plomatic protocol that Goryeo(高麗) and Joseon(朝鮮) held when receiving orders from the Ming(明) emperor during the period from the late Goryeo Dynasty to the early Joseon Dynasty. Ming established protocols for neighboring countries(蕃國) outside the Chinese territory that are not under the direct control of the emperor to receive the emperor's orders. These protocols contained diplomatic order set for unspecified neighboring countries, so did not reflect the different situations and positions of individual countries, namely Goryeo and Joseon. Thus, Goryeo and Joseon had no choice but to accept the relationship the Ming unilaterally imposed on them or to reorganize the protocols to reflect their own situations and positions on diplomatic relations with Ming. In Goryeo, ‘Beongukuiju’(‘蕃國儀注’) made by Ming were accepted and reorganized as 「Yeong-daemyeong-josaui」(「迎大明詔使儀」) and 「Yeong-daemyeong-sarosaui」(「迎大明賜勞使儀」). In addition, 「Yeong-daemyeong- mujochiksaui」(「迎大明無詔勅使儀」) was uniquely created based on the actual situation of Goryeo. These protocols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 precedent and basis for holding of diplomatic protocols in Joseon. Diplomatic protocols in Joseon began to be reorganized in earnest manner during the reign of King Taejong(太宗). New diplomatic protocols were introduced in various fields as the strained Joseon-Ming relationship was restored. For instance, they were applied to ceremonies related to the investiture, funeral of the King and receiving chikseo(勅書).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世宗), the diplomatic protocols came to be diversified to accommodate various exceptional circumstances. At the beginning of King Sejong's ascension, the predecessor King Taejong, actively participated and was involved in the process of holding protocols such as receiving envoys. In the early days of King Sejong, basic framework of protocols for receiving emperor's orders was established and accordingly Joseon was able to quickly respond to various circumstances. At the end of King Sejong's reign, almost all diplomatic protocols were conducted by the crown prince as an interim overseer of dynastic governance(代理聽政). Thus, the role and prestige of crown prince were enhanced. The reorganization of diplomatic protocols during the reign of King Taejong and King Sejong was concentrated on the publication of Five Rites of Sejong Chronicles(『世宗實錄』 五禮) followed by the compilation of National Five Rites(『國朝五禮儀』). These books contained nine diplomatic protocols with Ming. The Congratulatory Rites(嘉禮) included 「Yeong-joseoui」(「迎詔書儀」) and 「Yeong-chikseoui」(「迎勅書儀」) to deal with receiving general orders from the Emperor. The Hosting Rites(賓禮) contained 「Yeon-jojeongsaui」(「宴朝廷使儀」), 「Wangseja-yeon-jojeongsaui」(「王世子宴朝廷使儀」) and 「Jongchin-yeon-jojeongsaui」(「宗親宴朝廷使儀」) in which the king, crown prince, and royal family held banquets to welcome envoys. The Inauspicious Rites(凶禮) included the relevant protocols to treat condolence envoys, such as 「Yeong-Sasijegeupjobuui」(「迎賜諡祭及弔賻儀」), 「Sabuui」(「賜賻儀」), 「Sasiui」(「賜諡儀」) and 「Sajeui」(「賜祭儀」). In conclusion, Joseon's diplomatic protocols with Ming were elaborately adapted to suit the situation of Joseon beyond the level of ‘Beongukuiju’(‘蕃國儀注’) made by the Ming. The characteristics analyzed during the reorganization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Joseon reorganized and held its diplomatic protocols based on the protocol made by the Ming. However, the protocol of the Ming contained elements that began with the Yuan(元). Thus, Joseon's diplomatic protocols were not only a relationship with the Ming, but also a result of earlier years preceding the Ming. Second, Joseon voluntarily reorganized the diplomatic protocols without the coercion or criticism of the Ming. The reorganization of diplomatic protocols in Joseon could be carried out more actively due to two significant changes of situations. Most envoys were from eunuch, who were less interested in protocols. And no criticism were made on the part of the Ming, because few envoys visited since the enthronment of The Xuande Emperor(宣德帝). Third, Joseon's diplomatic protocols which underwent a hundred-year old reorganization process was never completed as the government-approved authentic ones. These protocols served as a mere basic model manuals that could be used flexibly at any time depending on various internal and external situations or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본고는 고려와 조선에서 明 황제의 명령을 맞이할 때 어떠한 의례를 거행하였고, 그 과정에서 明禮와의 합의는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또는 합의되지 않은 고려·조선만의 독자적인 의례 요소는 무엇이고, 그것은 어떠한 의미에서 창안되었는지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명은 중국왕조 가운데 처음으로, 황제의 실질적 지배가 미치지 않는 영토 밖 蕃國에서 皇命을 맞이하는 의례를 제정하였다. 여기에는 불특정 번국을 대상으로 설정한 양국 질서가 내포되어 있었지만, 특정 번국 고려·조선의 상황도, 양국 관계에 대한 고려·조선의 입장도 반영되어 있지 않았다. 이는 곧 명에서 일방적으로 설정한 번국과의 관계성에 대해 고려·조선이 절대적으로 수용하거나 내부의 판단과 해석을 반영하여 소극적 또는 적극적인 수정 작업을 진행해야 함을 의미하였다. 고려에서는 명에서 제정한 ‘蕃國儀注’를 수용하여 「迎大明詔使儀」와 「迎大明賜勞使儀」로 재정비하고, 현실 상황에 맞추어 「迎大明無詔勅使儀」를 독자적으로 詳定하였다. 이들 의주는 조선 대명 외교의례 거행의 전례이자 정비의 근거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조선의 대명 외교의례는 태종대에 들어와 본격적으로 정비되기 시작하였다. 태종대에는 경색되었던 양국 관계가 회복되면서 새로운 외교의례를 다양하게 경험하였다. 조선국왕의 책봉과 사망, 그리고 勅書의 영접이었다. 그 과정에서 국왕이 책봉고명을 받은 뒤에 일상복인 便服에서 大禮服인 冕服으로 갈아입는 책봉의례의 절차가 성립되었고, 국왕은 영조의례와의 차등을 위해 時服 차림으로 迎勅儀禮에 임하였으며, 명에서 보낸 의주를 준용하되 조선의 영칙의례 정비내용을 반영하여 賜祭·賜賻·賜諡儀注가 제정되었다. 한편, 세종대에는 시기적 특성에 따라 예외적 상황을 의례에 반영하여 여러 의주가 상정되었다. 세종 즉위 초에는 上王 태종이 명과의 외교 안건을 조율하고 직접 사신을 맞이하는 일에 적극적으로 참여·개입하였다. 세종대 초반에는 황제의 명령문서를 맞이하는 의례의 큰 틀이 갖춰지면서,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변수에 신속하게 대처하는 모습을 보였다. 세종대 후반에는 세자가 대리청정을 시작한 이후 거의 모든 외교의례를 주관하였고, 국왕을 대신하는 의례 공간 속에서의 세자의 위상도 정립되었다. 세종대 외교의례의 정비는 『世宗實錄』 五禮의 편찬으로 수렴되어, 『國朝五禮儀』로 이어졌다. 조선의 儀禮書에는 嘉禮와 賓禮, 凶禮에 나뉘어 총 아홉가지의 대명 외교의례가 편제되었다. 가례에는 「迎詔書儀」와 「迎勅書儀」 등 황제의 일반적 명령문서인 詔勅을 맞이하고 받는 의례가 수록되었다. 􋺷세종실록􋺸 오례 및 􋺷국조오례의􋺸의 迎詔勅禮는 사실상 같은 구조의 의례 공간과 절차로 구성되었으나, 영조의례에 임하는 세자의 복식과 영칙의례에서의 국왕의 이동수단에 변화가 있었다. 빈례에는 「宴朝廷使儀」와 「王世子宴朝廷使儀」, 「宗親宴朝廷使儀」 등 국왕·세자·종친이 사신에게 베푸는 연회 의주가 실렸다. 이들 의주는 『세종실록』 오례 편찬 이전의 연대기 자료에서 구체적인 정비과정을 확인할 수 없어, 五禮儀 의주를 통해서만 완성된 규정 및 절차를 검토할 수 있었다. 『세종실록』 오례 및 『국조오례의』의 연회 의주는 거의 동일하였으나, 한 차례의 행주에서 마지막 술잔을 돌리는 주체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왕세자연조정사의」와 「종친연조정사의」는 「연조정사의」와 비교하여 공간구성 및 절차에 차등을 두고 상정되었다. 마지막으로 흉례에는 「迎賜諡祭及弔賻儀」와 「賜賻儀」, 「賜諡儀」, 「賜祭儀」 등 弔問 사신 관련 의례가 편제되었다. 「영사시제급조부의」는 영조칙례의 절차를 준용하되, 국내의 朝賀儀禮에서 행하는 拜禮와 같이 태평관에서 행례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賜賻儀」·「賜諡儀」·「賜祭儀」는 황제가 보낸 의물 및 사신이 喪家에 도착한 순간부터 시작되는 명 의주의 소략함을 극복하며, 사부·사시·사제의 핵심 절차가 진행되기 이전의 준비과정을 구체화하여 완성된 특징을 보였다. 이상 조선 오례의의 외교의례 의주 편제 방식은 같은 시기에 편찬된 『高麗史』 禮志와 큰 차이를 보인다. 『고려사』 예지는 외교의례를 빈례에 수록하였으나, 조선에서는 같은 목적의 迎詔勅禮를 가례에 수록하고, 빈례에는 사신에게 宴饗하는 의주를 두었다. 이는 君臣 관계를 바탕으로 한 의례가 수록된 가례에 영조칙례를 두어 명 황제 중심의 동아시아 세계 질서를 인정하는 구조를 취하고, 빈례에는 국왕이 절차 진행에 주도권을 가진 의례를 편제하여 조선이 나름의 중심으로 상정된 외교질서를 구현하고자 한 의도였다. 『국조오례의』의 편찬으로 정비가 일단락된 조선 대명 외교의례는 명에서 불특정 번국을 대상으로 제정한 ‘번국의주’를 넘어 특정 번국 조선의 상황에 맞도록 정교하고 치밀하게 구성되었다. 그 과정에서 보인 조선 외교의례 정비의 특징은 다음의 세 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조선에서는 명례를 바탕으로 외교의례를 정비·거행하였다. 이때의 명례는 명에서 고려에 내린 ‘번국의주’와 조선에 내린 흉례 관련 의주를 말한다. ‘번국의주’의 제정 그리고 명 국내의 흉례의주를 번국에 頒降한 명의 태도는 원에서 자국 내 지방의 의례를 고려에 적용한 유산이었다. 조선의 외교의례는 고려-원 관계로부터 비롯된 적지 않은 요소로 구성되었기에, 단순히 명과의 관계뿐만 아니라 그보다 더 앞선 시기부터 축적된 결과물이었다. 둘째, 조선에서는 후일 같은 상황이 발생할 것에 대비하여 예비적으로 의주를 상정하고, 명의 강요나 지적과 관계없이 자발적으로 의례를 정비하였다. 조선으로 파견된 사신의 대부분이 예제에 관심이 적은 환관 출신이었다는 점, 그리고 선덕제 이후 사신이 거의 방문하지 않았다는 상황으로 인해 조선의 외교의례 정비는 더욱 적극적으로 진행될 수 있었다. 셋째, 백여 년의 정비 끝에 완성된 五禮儀의 의주는 반드시 따라야 한다는 의미에서의 완성이 아니었다. 이들 의주는 일반적이고 기본적인 상황을 전제한 의례 절차의 표준을 보여주는 매뉴얼이었을 뿐, 대내외적 상황이나 의례 참여자들의 성격에 따라 언제든 수정되며 유연하게 이용되었다.

      • 17세기 조선과 프랑스의 후궁과 책봉정부의 생애 비교 : 희빈 장씨와 몽테스팡 부인을 중심으로

        가향스 가샤르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고에서는 17세기 조선과 프랑스 왕실의 후궁(後宮)과 '책봉정부(情婦)'였던 희빈 장씨(禧嬪 張氏)와 몽테스팡 부인(Madame de Montespan)의 생애를 집중적으로 고찰하면서 두 나라 왕실 여성의 삶을 비교해 보았다. 희빈 장씨와 몽테스팡 부인은 각각 한국과 프랑스의 연구자뿐 아니라 대중들 사이에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두 여성의 역할은 무엇이었는지, 어떤 영향력이 있었는지에 대한 논의는 많지 않다. 조선사나 프랑스사 또는 여성사 연구를 보면 두 인물을 다룬 내용이 있긴 하지만, 프랑스에서는 희빈 장씨에 대한 연구가 없고, 한국에서는 몽테스팡 부인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다. 나아가 이 두 여성을 비교하거나, 둘의 생애를 출생부터 죽음까지 다룬 논문은 없다. 이에 조선과 프랑스 왕실의 두 여성의 삶을 비교하여 비슷한 점과 다른 점을 살펴보았다. 17세기 조선과 프랑스는 서로 다른 정치·사회적 배경을 지녔다. 이 시기에 양국의 통치자는 모두 강력한 왕권강화를 꾀했고, 그 과정에서 정치적·문화적·경제적 변화 양상을 보였다. 국정 변화를 겪는 와중에 왕실 여성들은 국가 운영에 큰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이들 왕실 여성들 중에 희빈 장씨와 몽테스팡 부인이 있었다. 본문에서는 먼저, 왕실 여성 범주 안에 후궁과 책봉정부라는 품계와 명칭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봤다. 조선에서는 후궁제도를 통해 후궁의 품계와 명칭을 합법화했던 반면, 프랑스에서는 왕의 정부들이 있었지만, 루이 14세 시기에 와서 책봉정부라는 작위와 명칭이 만들어졌다. 후궁과 책봉정부가 합법화된 방식은 서로 다르지만, 희빈 장씨와 몽테스팡 부인 둘 다 왕의 선택을 받은 여인이자, 다른 왕실 여성들과 달리 자기가 맡은 임무 이외에도 새로운 활동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다는 공통점이 있다. 둘 다 처음에는 궁녀, 시녀의 신분으로 입궁했으나, 이후 승진 과정은 매우 특별하였다. 희빈 장씨는 1680년(숙종 6)에 궁녀로 입궁했고, 몽테스팡 부인은 1661년에 시녀로 입궁했다. 둘의 가문은 정치세력의 후원을 받거나 막강한 정치세력을 가졌을 뿐 아니라 왕족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입궁하는 것은 쉬웠다. 입궁한 목적은 달랐지만, 결국, 둘 다 왕과 가까운 관계를 맺었다. 왕의 총애가 더 깊어지자 희빈 장씨는 1686년(숙종 12)에 후궁 자리에, 몽테스팡 부인은 1674년에 책봉정부 자리에 오르게 되었다. 이 두 여성은 왕의 곁에 있으면서 왕권 강화의 핵심적 역할을 했고, 한 나라의 역사에서 주요한 인물로 강한 인상을 남겼다. 이 두 여성은 조선사와 프랑스사에서 매우 중요한 인물이었다. 특히, 희빈 장씨는 조선 시대를 통틀어서 궁녀로 시작해 중전 자리까지 올랐다가 다시 후궁으로 강등됐던 유일한 인물이자, 왕(경종)의 어머니였다. 몽테스팡 부인은 기혼자로서 왕의 정부가 되어 책봉된 다음 왕실의 안주인과 같은 지위를 가졌고, 실질적으로 왕비는 되지 못했으나, 왕비 못지않은 막강한 영향력을 미쳤다. 또한, 그녀는 왕의 자녀를 낳아서 그 5대 후손이 왕이 되기도 했다. 두 여성 모두 왕의 통치에 영향을 줬을 뿐 아니라, 가문·정치세력·왕실 여성 등에 관심을 가지고 관련 일에 큰 영향을 끼쳤다. 이 두 여성이 받았던 대우와 안타까운 죽음까지도 특별한 형상이 있다. 두 여성이 높은 자리까지 오른 과정과 궁녀(시녀) 시절부터 왕비가 되거나 왕비와 비슷한 지위가 되어 왕에게 특별한 대우를 받았다는 점은 비슷하다. 다른 왕실 여성들보다 왕의 총애를 더 많이 받았고, 다양한 방면에서 더 좋은 대우를 받았다. 그러나 희빈 장씨와 몽테스팡 부인은 결국 왕에게 버림을 받고 죽었다. 장씨는 사약을 받고 죽었고, 몽테스팡 부인은 수녀원에 들어가 혼자 쓸쓸히 죽었다. 두 여성은 각각 다른 역사적 상황 속에서 왕실 여성으로 큰 역사적 의미를 남겼지만, 결국 여성으로서 왕의 첩이라는 신분적 한계를 벗어나기는 매우 어려웠다. Ce mémoire est une étude comparée de la vie et du rôle des concubines et favorites royales au XVIIème siècle à travers les vies de Huibin Jang et de Madame de Montespan. À cette époque, à Joseon comme en France, les concubines et les favorites royales étaient enfermées dans un carcan spécifique aux femmes du XVIIème siècle. Étant également des femmes de la royauté, on leur attribue souvent un rôle prédéfini et limité qui tourne uniquement autour du fait d’être l’amante du roi. Pourtant, dans le cas de Huibin Jang et de Madame de Montespan, ces femmes ont réussi à se détacher de ce statut de « seconde femme du roi » pour obtenir un statut plus élevé ainsi que plus de pouvoir et d’influence. Ce mémoire a donc non seulement pour but de faire une étude historique comparative de la vie et du rôle de ces femmes, mais aussi celui de créer un pont entre la France et la Corée dans un nouveau champ d’études. L’étude présentée ici se penche sur la condition des femmes de la royauté, plus spécifiquement sur les concubines et les favorites royales à travers les personnes de Huibin Jang et Madame de Montespan. En effet, malgré une différence de politique, de religion et de culture, ces sociétés et les femmes qui en font partie présentent des similitudes. Ce mémoire s’interroge donc sur ces similitudes et différences en examinant leur vie ainsi que l’influence exercée par les concubines et favorites royales du XVIIème siècle, en se focalisant sur le parcours de Huibin Jang et de Madame de Montespan. Dans la première partie, nous aborderons les bornes chronologiques et présenterons de manière succincte le système politique et économique de la dynastie Joseon et de la monarchie absolue française au XVIIème siècle. Nous décrirons la place de la femme dans cette société puis celle de la femme de la royauté en développant un panorama d’études sur leur titre, leur statut et leur place au sein du royaume ; de la reine mère aux maîtresses et favorites royales en passant par la reine et les dauphines. Nous développerons l’évolution du statut, rang et rôle des concubines et des maîtresses devenues favorites royales au XVIIe siècle, ce qui nous permettra d’appréhender les bases de ce qui caractérise le rang et le statut de Huibin Jang et de Madame de Montespan. Dans la deuxième partie, nous aborderons la vie de ces deux femmes depuis leur naissance, leurs origines familiales, leur entrée au palais en tant que dame de la cour et le début de leur relation avec le roi. Nous nous pencherons sur le type de faveurs qu’elles ont obtenu non seulement du roi, mais aussi dans d’autres domaines. Dans la troisième et dernière partie, nous aborderons de manière plus spécifique la comparaison entre leur vie en tant que concubine et favorite royale, leur influence et leur rôle à la cour, auprès du roi, de leur famille, dans la politique, la culture etc... Nous découvrirons comment leur ascension fulgurante a eu lieu et comment leurs enfants respectifs en ont bénéficié. Pour finir, nous analyserons la fin de leur vie à la cour, en particulier la perte de la faveur du roi et leur mort dans la désuétude. Dans cette étude, nous tenterons de démontrer que bien que la dynastie Joseon et que la France du XVIIème siècle diffèrent du fait de leur culture, leur politique et leur religion, leur société, les vies de Huibin Jang et Madame de Montespan ont eu un développement similaire. Toutes deux issues de famille noble, elles sont rentrées au palais en tant que dame de la cour, Huibin Jang en 1680 (6e année du règne de Sukjong) et Madame de Montespan en 1661. L’une et l’autre sont devenues les amantes du roi et ont gravi les échelons pour devenir respectivement concubine et favorite royale. Mais leur ascension respective ne s’est pas arrêtée là, car Huibin Jang est devenue reine et par la suite son fils Gyeongjong est monté sur le trône. Quant à Madame de Montespan, même si elle n’est jamais devenue reine, elle a eu la main mise sur Versailles et joué ce rôle jusque dans une certaine mesure. Ces enfants, faisant partie de la famille royale, lui a permis d’avoir l’un de ses petits-enfants, Louis-Philippe Ier de monter sur le trône. Nous verrons ainsi que l’influence de Huibin Jang comme celle de Madame de Montespan se retrouve donc à plusieurs niveaux. Huibin Jang a exercé une influence plutôt politique tandis que Madame de Montespan a exercé une influence à caractère plutôt culturelle. Ainsi, ce mémoire s’attache à comparer l’existence des concubines et favorites royales à travers les cas particuliers de Huibin Jang et de Madame de Montespan. Malgré certaines dissemblances, l’une sous Joseon et l’autre en France au XVIIe siècle, toutes deux sont tout de même parvenues au plus haut rang malgré des conditions qui ne se prêtaient pas à pareille évolution sociale.

      • 조선초 對日賓禮의 정비 : 受隣國書幣儀를 중심으로

        윤승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aimed to consider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Japan in early Chosun dynasty within the framework of the rites and the consequential establishment of the rite of a courtesy call (賓禮) from Japan with special reference to ‘Suringukseopyeui’(受隣國書幣儀). At the beginning of the dynasty, Chosun sought the rites for Japanese envoys in regard to invasion by Japanese pirates that had lasted since the end of Goryeo dynasty. The Japanese envoys who were sent by a Shogun in 1399 were located on 4th officers position as special treatment based on the expectation of Chosun that Shogunate might suppress Japanese pirates. However they, in 1405, were owngraded to 5th officers position even although Japan had been under the imperial tributary system of China since 1404. It is because, at the time, there was no need to treat them specially as a result of active suppression by Chosun itself. Also Chosun had not yet recognized how the rites between the two countries which have been in the tributary state should be taken place. However Japanese envoys had been located on 3th officers position from the early Sejong period, which was quiet a upgraded treatment compared to earlier one. It is supposed that Chosun might consider that the envoys were from Japan which was in the tributary state, and then decide their reasonable position while examining old chinese rites. ‘A Procedure to Bow of the J apanese Envoys’(倭使肅拜節次) established in 1425 was based on the foregoing perception, and it is significant that the king of Chosun intended to welcome them in the separate place and time, not in a court rite(朝會). But this procedure was pretty similar to a court rite’s one that all the Chosun’s officers bow to a king at the same time. It means that ‘A Procedure to Bow of the Japanese Envoys’ was actually not a special treatment, and the perception of Japan had not remarkably changed since the beginning of the dynasty. The rite of a courtesy call from Japan changed a lot in the late of Sejong period. ‘A Rite to Bow of the Japanese Envoys’(日本國使肅拜儀) established in 1448 was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a king of Chosun should receive a king of Japan's message through a formal rite. At this rite, the Japanese envoys were believed to be located on 2nd or upper officers position who were treated specially in the bureaucracy of Chosun. Also they bowed separately from Chosun's officers, which means that the upgraded perception of Japan was applied to the rite. The upgraded treatment for Japanese envoys led to the establishment of ‘Suringukseopyeui’ in Sejong Annals(世宗實錄) Five Rites(五禮儀, Oryeeui ) .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this rite, the 3th or lower Chosun's officers do not participate in the rite. So that the Japanese envoys located on 2nd position are able to stand out at the place without and obstacles. This structure and procedure of the rite was very similar to ‘Suringukseopyeui’ in National Five Rites(國朝五禮儀, Gukjooryeui). There are, however, some differences in the rite of National Five Rites included modifications to the incomplete rite of Sejong Annals Five Rites during the Sejo or early Seongjong period. At first, the Chosun's officers position to bow a king was the structure to face each other in Sejong Annals Five Rites , but it modified persuasively the position to face north where a king was in National Five Rites. Therefore the bow procedure was changed. The rite of Sejong Annals Five Rites ended without the Chosun's officers bow after Japanese envoys had performed given procedures, but the rite of National Five Rites created the hoeban(回班) so that the rite was formed into the complete structure 본고는 의례라는 틀을 통해 조선초 대일인식의 변화를 살피고, 그에 따른 對日賓禮의 정비과정 및 특징을 ‘受隣國書幣儀’를 중심으로 검토한 글이다. 조선 건국초의 對日儀禮는 고려말부터 계속된 왜구문제와 관련하여 모색되었다. 정종 1년(1399)의 막부사신은 막부의 왜구금압 약속에 대한 조선의 기대감을 바탕으로 4품의 위차에서 행례하도록 우대받았다. 그러나 태종 4년(1404) 일본이 책봉을 받으며 명의 외교질서 안으로 편입되었음에도, 이듬해 방문한 日本國王使의 위차는 5품으로 격하되었다. 이는 태종대에 들어와 조선 스스로가 왜구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며 더 이상 막부에서 보내온 사신을 우대할 필요가 없었기 때문이고, 동시에 피책봉국 간의 의례가 어떠한 수준에서 이루어져야 하는지 조선이 아직 인지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일본사신을 다소 낮게 평가했던 건국초의 분위기는 세종대에 들어와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세종대 초반 일본국왕사의 위차는 3품으로 격상되었는데, 이는 중국 고제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사신의 파견주체가 피책봉국이라는 점을 의식해 그에 맞는 배위를 설정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마련된 세종 7년(1425) ‘倭使肅拜節次’는 일본국왕사를 朝會가 아닌 별도의 시공간에서 인견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그러나 그 의식구조는 일상적인 조회의식과 다를 바 없이 오로지 세종에 대한 숙배만을 강조하고 있어, 아직 건국초의 대일인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였음을 보여준다. 조선의 대일의례는 세종대 후반에 이르러 상당히 변화하였다. 세종 30년(1448), 일본국왕의 국서는 공식적인 의식을 통해 조선국왕이 받아야 한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日本國使肅拜儀’가 상정되었다. 이 의주에서 일본국왕사의 위차는 조선의 국가의례에서 특별히 우대받는 2품 이상이었을 것으로 추측되며, 배례절차도 조선국왕의 위로에 감사하는 사배만 설정되어 있어 숙배를 강조하던 세종대 초반에 비해 높아진 대일인식을 의례적으로 반영하였음을 보여준다. 세종대 후반 격상된 대일 외교의례는 『세종실록』 「오례의」 ‘受隣國書幣儀’에 그대로 수렴되었고, 일본국왕사의 위차는 종2품으로 확인된다. 더욱이 이 의식에 참여하는 조선관원이 3품 이하인 侍臣으로 제한됨으로써, 일본국왕사는 의식 참여자 중 가장 높은 위차에서 아무런 장애물 없이 조선국왕의 시선에 노출될 수 있었다. 이러한 구조는 『국조오례의』 ‘受隣國書幣儀’도 동일하며 대략적인 절차도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세종실록』 「오례의」은 불완전한 의식구조를 갖고 있어, 이를 채용한 『국조오례의』 의주상에는 세조대 또는 성종대 초반의 정비가 반영되어 나타난 차이점이 존재한다. 먼저 국왕에게 사배할 때 시신이 위치하는 拜位가 『세종실록』 「오례의」에서는 시신끼리 마주보는 相向으로 설정되어 있어 이해하기 어려웠던 반면, 『국조오례의』에서는 국왕을 향한 北向으로 설득력 있게 수정되었다. 이에 따라 배례절차도 합리적으로 변화하였는데, 『세종실록』 「오례의」에서 일본국왕사의 행례 후 시신의 배례 없이 의식이 종료되었던 것과 달리 『국조오례의』에서는 回班절차를 통해 ‘사배-행례-사배’의 의식구조가 완전히 이루어지게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