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폭력 피해 아내의 적응과정 : 기독교인 재혼가정 중심으로

        김성환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practical help for pastoral counseling by building a theory of the process in which wives that were victims to domestic violence adapted to remarried Christian families. For that purpose, the investigator applied the Grounded Theory by Strauss and Corbin(2001) of qualitative methods and set out to develop a substantial theory about the adaptation process of wives that were victims to domestic violence. The research lasted from June to September, 2008, and the subjects were 17 women that were victimized by violent husbands or had such an experience in remarried Christian families. Data gathering was done through in-depth interviews. As a result, there were total 121 concepts including 'harsh life,' 'fortune left,' 'determination to raise the children well' and 'escaping from the title of divorcee.' There were total 49 subcategories including 'desire to escape from harsh life,' 'missing,' 'feeling of being happy,' 'economic stability,' 'shock from no faith,' And there were total 18 categories; 'getting remarried with expectations,' 'different from expectations,' 'conflicts and confrontations,' 'heavier burden,' 'damage expanded to other family members,' 'losing hope again,' 'fear for social judgment,' 'providing causes for violence,' 'discarding hope for change,' 'recognition and encouragement of supporters,' 'conscience,' 'children's comfort and begging,' 'trying to find solutions,' 'finding a mission,' 'preparation for standing independent,' 'postponing a decision,' 'overcoming-mission given to me,' and 'divorce-searching for freedom.' In the adaptation processes of all the participants, the causes were 'getting remarried with expectations,' 'different from expectations,' 'conflicts and confrontations,' 'heavy burden,' and 'damage expanded to other family members.' Then they "lost hope again" through such factors as 'fear for social judgments,' 'providing causes for violence,' and 'discarding expectations for change.' They also went through 'a process of finding hope in despair' through the actions/interactions strategy over time and adopted such strategies as 'trying to solve problems,' 'finding my mission,' and 'preparation for standing independent.' Their actions/interactions strategy proceeded under the influence of 'recognition and encouragement of supporters,' 'conscience,' and 'begging of children.' There were eight hypothetical statements about relationships based on the consequences of each strategy around the core categories and the possible relationships between the categories. By comparing the statements about relationships and grounds on an ongoing basis, repetitive relationships between categories were identified. As a result, there were three types of postponing decisions, overcoming, and divorcing. In short, the wives that were victims to domestic violence in remarried Christian families adopted the adaptation process of "searching for hope in despair and divided into three types of postponing decisions, overcoming and divorcing according to the degrees of getting remarried with expectations, different from expectations, conflicts and confrontations, heavy burden, damage expanded to other family members, recognition and encouragement of supporters, conscience, begging of children, fear for social judgments, providing causes for violence, discarding expectations for change, trying to solve problems, finding my mission, and difficulty of preparing for standing independent. Thus the research findings can contribute to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pastoral counseling by promoting a profound understanding of the adaptation process of wives that ar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in remarried Christian families. They will offer a framework for growth counseling that focuses on counseling strategies to utilize strengths and the faith to affect the adaptation process by helping to convert the perspective of wives that ar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in remarried Christian families into that of "hope." By becoming a model to help them with their adaptation processes and minimize their failure experiences, they can also help the church and community understand their adaptation processes and provide proper service for their adaptation processes with an open attitude to remarriage. It is in those aspects that the study claims its significance.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인 재혼가정의 폭력피해 아내의 적응과정을 이론화함으로서 목회현장에서 상담의 실천적인 도움을 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질적연구 방법 중 Strauss 외(2001)가 제시한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폭력피해 아내의 적응과정에 관한 실체이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기간은 2008년 6월부터 9월까지였으며, 연구 참여자는 기독교인 재혼가정 중 남편의 폭력으로 피해를 당하고 있거나 폭력피해 경험이 있었던 여성 17명이었다. 자료수집은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 개념은 ‘힘든 삶’, ‘남아있는 복’, ‘자식을 잘 키우려는 마음’, ‘이혼녀 벗어나기’ 등 총 121개로 나타났다. 하위범주로는 ‘고된 삶에서 벗어나고 싶은 욕망’, ‘그리움’, ‘행복할 것 같은 느낌’, ‘경제적 안정’, ‘신앙이 없음에 충격’, ‘경제적 안정의 거짓’, 등 총 49가지로 나타났다. 범주로는 ‘기대를 갖고 재혼’, ‘기대와 다름’, ‘갈등과 대립’, ‘더 무거운 짐’, ‘가족에게 피해 확대’, ‘다시 희망을 잃음’, ‘사회적 시선의 두려움’, ‘폭력원인 제공’, ‘변화의 기대를 저버림’, ‘지지자들의 인정과 권면’, ‘양심’, ‘아이들의 위로와 간청’, ‘문제해결 노력’, ‘사명 찾기’, ‘홀로서기 준비’, ‘결정유보’, ‘극복-내게 맡겨진 사명’, ‘이혼-자유을 찾아 나섬’으로 총 18가지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모든 참여자들은 적응과정에서 ‘기대를 갖고 재혼’, ‘기대와 다름’, ‘갈등과 대립’, ‘무거운 짐’, ‘가족피해 확산’이 원인이 되어 ‘사회적 시선의 두려움’, ‘폭력원인 제공’, ‘변화의 기대를 저버림’이라는 요인을 통해 ‘다시 희망을 잃음’의 현상이 나타났으며, 적응이 되는 과정은 ‘절망에서 희망을 찾는 과정’으로 나타났다. 또한 참여자는 현재까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통하여 ‘절망에서 희망을 찾는 과정’을 분석한 결과, ‘문제해결 노력’, ‘내가 해야 할 사명 찾기’, 그리고 ‘홀로서기 준비’ 전략이 도출되었다. 그리고 이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지지자들의 인정과 권면’, ‘양심’, ‘아이들의 간청’의 영향을 받으며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각 전략과 결과의 범주 간에 있을 수 있는 관계를 기반으로 해서 진술문을 전개한 결과 8개의 가설적 관계 진술문을 전개하였다. 이러한 관계진술문을 근거자료와 지속적으로 비교해 보면서 범주 간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관계에 대해 확인한 결과 3개의 가설을 도출할 수 있었고, 결정유보형, 극복형, 이혼형의 3가지 유형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목회 상담실천현장에서 기독교 재혼가정 폭력피해 아내들의 적응과정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높여 효과적인 목회상담 적용에 기여할 수 있다. 먼저, 목회상담자들로 하여금 기독교 재혼가정 폭력피해 아내들에 대한 관점을 ‘희망’의 관점으로 전환하도록 도움으로서 강점을 활용한 상담전략과 적응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신앙에 초점을 맞춘 성장상담을 위한 기틀을 제공해 준다. 또, 기독교 재혼가정 폭력피해 아내들의 적응과정을 도울 수 있는 모델링이 되어 실패경험을 최소화하여 아내의 적응과정에 대한 교회와 지역사회의 이해를 도움으로서 재혼에 대한 개방적인 태도를 가지고 적응과정에서 필요한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는데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신학대학교 학생과 일반대학교 학생의 수치심 경향성, 자기불일치, 우울,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비교 분석

        박미하 한영신학대학교 상담복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degrees of shame-proneness, self-discrepancy,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etween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s and general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hame-proneness and self-discrepancy on university students'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preliminary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way that questionnaire tests were administered to 227 students from theological universities and general universities. The test results were analyzed by means of SPSS 10.0 program,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s show higher degrees of mental stability than general university students in the actual self, the ideal self, the ideal/othe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the survey on gender difference shows that, in theological universities, female students have higher degree of shame-proneness than male students. In general universities, female students show higher degrees of shame-proneness, the ideal/other, and self-discrepancy than their male colleagues. In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school, the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s who feel less satisfied with their school have higher degree of shame-proneness, self-discrepancy, and depression. The general university students who feel satisfied with their school show higher degree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urvey on the majors of the theological students reveals that those who major in theology have higher degree of mental stability in the real self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hereas those who major in general subjects have higher degrees of shame-proneness, self-discrepancy, other discrepancy, general discrepancies, and depression. In general universities, the Christian students have higher degree of mental stability in the ideal self and the ideal/other than non-Christian students. Third, the comparative analyses between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s, Christian students in general universities, and non-Christian students in general universities show the following results.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s, general university Christian students, and general university non-Christian students prove to have the degree of the real self in increasing order from the lowest to the highest. General university Christian students,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 and general university non-Christian students show an increasing order of the degree in the ideal self and the ideal/other.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s, general university Christian students, and general university non-Christian students show a decreasing order of psychological well-being. Lastly, the final test has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groups and the variables in the degree of the ideal self and the deal/other. Fourth, depression has positive correlations with shame-proneness, self-discrepancy, and other discrepancy,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actual/own discrepancy. Psychological well-being show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ctual/own discrepancy, while having negative correlations with depression, shame-proneness, self-discrepancy, other discrepancy. Shame-proneness and self-discrepancy prove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depression by 43% of accountability, while shame-proneness have a higher degree of influence on depression. Shame-proneness and the actual/own discrepancy wiel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by 44% of accountability. Shame-proneness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In conclusion, shame-proneness and the real self operate as important variables in reducing depression and improving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make practical programs to deal with shame-proneness and the real self in cultivating the students' positive selves in the school atmosphere. 본 연구는 신학대학교 학생과 일반대학교 학생의 수치심 경향성, 자기불일치, 우울,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를 알아보고, 자기(self)관련 변인인 수치심 경향성과 자기불일치가 대학생의 우울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신학대학교와 일반대학교에 재학 중인 227명의 학생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1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 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학대학교 학생이 일반대학교 학생보다 실제 자기, 이상 자기, 이상/타인, 심리적 안녕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서는 신학대학교는 수치심 경향성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일반대학교는 수치심 경향성, 이상/타인, 자신불일치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학교만족도에서는 신학대학교의 경우 학교에 불만족하는 학생들이 수치심 경향성, 자신불일치, 우울이 높게 나타났고, 일반대학교는 학교에 만족하는 학생들이 심리적 안녕감이 높았다. 신학대학교 학생의 전공에 있어서는 신학전공 학생이 실제자기, 심리적 안녕감이 높게 나타났고, 일반전공학생은 수치심 경향성, 자신불일치, 타인불일치, 전체불일치, 우울이 높게 나타났다. 일반대학교 학생의 기독교 신앙유무에 있어서는 이상 자기, 이상/타인에서 기독교 신앙을 가진 학생들이 기독교 신앙을 가지지 않은 학생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신학대학교 학생, 일반대학교 기독학생, 일반대학교 비기독학생의 세 집단간을 분석한 결과는, 실제 자기는 신학대학교 학생, 일반대학교 기독학생, 일반대학교 비기독학생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이상 자기와 이상/타인에서는 일반대학교 기독학생, 신학대학교 학생, 일반대학교 비기독학생 순으로 높았으며, 심리적 안녕감에서는 신학대학교 학생, 일반대학교 기독학생, 일반대학교 비기독학생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사후검정 결과, 이상 자기와 이상/타인에서 세 집단과 변인간에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우울은 수치심 경향성, 자신불일치, 타인불일치와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었고, 실제 자기와 부적상관을 나타내었다. 심리적 안녕감은 실제 자기와 정적상관을 나타내었고, 우울, 수치심 경향성, 자신불일치, 타인불일치와 부적상관을 나타내었다. 수치심 경향성, 자신불일치가 우울에 유의하게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설명력은 43%였고, 수치심 경향성이 우울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수치심 경향성, 실제 자기가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하게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설명력은 44%였다. 수치심 경향성은 심리적 안녕감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에 대학생의 우울을 감소시키고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키는데 있어서 수치심 경향성과 실제 자기가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므로, 대학생의 긍정적인 자기(self)형성을 위한 대학환경 구성에 있어서 수치심 경향성과 실제 자기에 대한 구체적인 접근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 목회자사모의 인지행동 스트레스관리프로그램과 그 효과성 검증

        변정숙 한영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examining the effect of the cognitive behavioral stress management program on improving the anger control, the self-expression and the ego-identity of a pastor's wife. The concrete subj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variables in comparison with th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applies the cognitive behavioral stress management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to which doesn't apply the program? Second, is there a correlation between the anger control, the self-expression and the ego-identity of a paster's wife? Third, how is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improving the anger control, the self-expression and the ego-identity of a pastor's wife? Fourth,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anger control, the self-expression and the ego-identity by the characteristics of a pastor's wife (age, year of marriage, pastoral career, educational level, church size)? Fifth, does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program demonstrate the effect of the program?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20 persons living in Seoul and the Gyeonggi area out of randomly selected pastors' wives belonging to the General Assembly of the Presbyterian Church; they were randomly classifi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en by ten. The program was run 6 times in total, once a week for 90 minutes; the contents were the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a pastor's wife and stress, the understanding of cognitive theory, cognitive restructuring, relaxation training and problem solving skills, anger control and self-talk training, and self-expression and effective communication training.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study revised and used the Social Readjustment Rating Scale, the Symptom Checklist-90 Revision, the Stress Copying Strategy Scale, the Irrational Belief Test, the Multi-dimensional Anger Inventory, the Assertive Behavior Scale, and the Ego-Identity Tes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methods such as frequency, percentage,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independent-samples t-test and paired-sample t-test, through application of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Win 12.0.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was mor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effective to the stress level, stress symptom, irrational belief, stress copying ability, anger controling ability, self-expression ability and ego-identity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anger controling ability has a significant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elf-expression ability(r=.723, p<.001), but it rather has a positive and in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ego-identity(r=.289, p>.05).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 higher the anger control ability of a pastor's wife, the higher the self-expression.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for the ability to the control their anger. The mean of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from 41.90 in pre-test to 50.60 in post-test, whic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6.050, p<.001). For the self-expression ability,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The mean of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from 55.30 in pre-test to 70.10 in post-test, whic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5.552, p<.001). For the improvement of the ego-identity,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The mean of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from 160.60 in pre-test to 173.60 in post-test, whic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5.408, p<.001). The result showed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improving the anger control, the self-expression and the ego-identity of a pastor's wife. Four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nger control, the self-expression and the ego-identity by the characteristics of a pastor's wife (age, year of marriage, pastoral career, educational level, church size). According to the age, the self-expression ability and the ego-identity for the ages from 41 to 50, and the irrational belief and the anger controling ability for the ages under 40 were somewhat high.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nger control, the self-expression and the ego-identity by age (p>.05). Fifth, the qualitative analysis based on the discussions and observation, interview, and questionnaires in the group processes tends toward a significant change identical with the quantitative analysis. In conclusion, it is identified that the program has an effect on improving the anger control, the self-expression and the ego-identity of a pastor's wife. Subsequently,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a theoretical basis in developing and applying various programs so that pastors' wives can control their anger from their stress in order to properly express the repressed feelings, improve their ego-identity, and furthermore, fulfill their healthy pastoral duties. Key Words: cognitive-behavior and stress-management program, pastor's wife, stress copying ability, anger control, self-expression, ego-identity.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행동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이 목회자 사모의 분노조절과 자기표현능력을 향상시키고 이로 인해 자아정체감을 향상시키는지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행동 스트레스관리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프로그램을 적용하지 않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변인간 차이가 있는가? 둘째, 목회자사모의 분노조절, 자기표현, 자아정체감 간에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셋째, 인지행동 스트레스관리프로그램이 목회자사모의 분노조절, 자기표현,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넷째, 목회자사모의 특성(연령, 결혼연수, 목회경력, 교육정도, 교회규모)에 따라 목회자사모의 분노조절, 자기표현, 자아정체감에는 차이가 있는가? 다섯째, 인지행동 스트레스관리프로그램의 효과성은 질적 분석을 통해 입증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대한예수교 장로회에 소속된 목회자사모 중에 서울,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20명이었으며, 이들은 무작위로 10명씩 나뉘어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배정되었다. 인지행동 스트레스관리프로그램은 주 1회기씩, 총 6회기가 실시되었고 각 회기의 소요시간은 90분이었으며, 프로그램의 내용은 목회자사모의 역할과 스트레스에 대한 이해, 인지이론의 이해, 인지재구성, 이완훈련과 문제해결기술훈련, 분노조절훈련과 자기대화훈련, 자기표현훈련과 의사소통 훈련 등을 포함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재적응평정척도, 간이정신진단검사, 스트레스대처방식척도, 개인 신념검사, 다면적 분노검사, 주장행동척도, 자아정체감검사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Win 1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빈도, 백분율, 적률상관계수, 독립표본 t-test, 대응표본 t-test 등의 통계방법이 적용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스트레스 정도, 스트레스 증상, 비합리적 신념, 스트레스 대처능력, 분노조절능력, 자기표현 능력, 자아정체감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증가 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목회자사모의 분노조절, 자기표현, 자아정체감 간의 상호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분노조절능력은 자기표현 능력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r=0.723, p<0.001). 자아정체감은 분노조절능력이나(r=0.289, p>0.05) 자기표현능력과 낮은 정적 상관관계(r=0.246, p>0.05)를 보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목회자사모의 분노조절능력이 높을수록 자기표현능력도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셋째, 분노조절능력에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분노조절능력이 높았으며, 실험집단의 평균은 사전검사에서 41.90, 사후검사에서 50.60으로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6.050, p<.001). 자기표현 능력에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표현 능력이 높았으며, 실험집단의 평균은 사전검사에서 55.30, 사후검사에서 70.10으로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5.552, p<.001). 자아정체감 향상에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아정체감이 높았으며, 실험집단의 평균은 사전검사에서 160.60, 사후검사에서 173.60으로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5.408, p<.001). 넷째, 목회자사모들의 특성(연령, 결혼연수, 목회경력, 교육정도, 교회규모)에 따라 목회자사모의 분노조절, 자기표현, 자아정체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중 자기표현능력, 자아정체감은 41-50세에서, 비합리적 신념, 분노조절능력은 40세 이하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연령에 따른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은 아니었다(p>.05). 다섯째, 집단과정에서 나타난 토의내용 및 관찰, 면담, 질문지결과를 근거로 한 질적 분석에서도 양적 분석과 동일하게 유의미한 변화경향이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인지행동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은 목회자사모의 분노조절과 자기표현능력, 자아정체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목회자사모가 자신의 스트레스로부터 오는 분노를 조절하고 억압된 감정을 적절히 표현할 수 있으며 자아정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돕고, 나아가 밝고 건강하게 사역을 감당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을 위해 하나의 이론적 기초가 될 것이다. 키워드: 인지행동 스트레스관리프로그램, 목회자사모, 스트레스 대처능력, 분노조절, 자기표현, 자아정체감

      • 한국 다문화 가정에 대한 기독교 상담 접근 방안

        박영희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상담복지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증가하고 있는 다문화 가정에 대하여 기독교 상담적 방안을 제안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첫째, 다문화 가정의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다문화 가정에 대한 성경적 관점은 어떠한가, 셋째, 다문화 가정에 대한 효율적인 기독교 상담의 방안은 무엇인가에 대한 것이다. 한국의 다문화 가정은 한국인과 다른 민족 또는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포함된 모든 가정, 국제결혼 가정, 외국인 근로자 가정, 북한이탈주민 가정, 외국인 유학생 가정을 총칭한다. 한국의 총 외국인의 수는 120만명에 이르며 부부간의 이혼, 자녀 양육의 어려움, 의사소통의 어려움, 경제적인 문제와 한국인 구성원들간의 갈등, 한국 사회에서 편견과 선입견 등의 어려움 속에 쌓여 있다. 기독교 상담자는 한국의 다문화 가정이 “모든 민족에게 가서 제자를 삼으라(마28:18)”는 말씀에 따라 다문화 가정이 하나님 나라를 향한 복음 전파의 대상임을 깨닫고 기독교 상담을 통하여 그들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예수 그리스도께로 인도받아 하나님과의 관계를 회복하도록 돕는다. 이를 위한 기독교 상담 방안으로서, 첫째, 기독교 상담자의 정체성을 유지할 것, 둘째, 다문화에 대한 열린 마음을 가지고 있을 것, 셋째, 다문화 가정을 위한 상담 및 가족 관계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 할 것, 넷째, 프로그램 구성시 쉽고 간결하게 구성하며 한국인 구성원들의 어려움을 반영하는 태도를 취할 것, 다섯째, 다문화 가정의 자녀들을 위한 언어, 문화, 기독교 세계관 교육을 할 것, 여섯째, 전문 기관과의 연계 체계를 구축할 것, 일곱째, 체계적인 기독교 다문화 전문 상담사의 훈련과 교육, 자격증 제도 등을 설립 할 것이 제시되었다. 기독교 상담은 다문화 가정이 기독교 상담 방안을 통하여 하나님과의 관계를 회복하고 그들의 어려움이 축소되어지며 그들이 한국의 국제적 선교적 재원이 되도록 도울 수 있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 Christian counseling approach to multicultural families that are increasing in the Korean society.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is first to find out how the actual condi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is. Second, how is the Bible-based viewpoint on multicultural families? Third, what is a way of efficient Christian counseling for multicultural families?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generally designate all families that include people different from Korean people or persons who have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 and the number of total foreigners in Korea amounts to 1.2 million.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are surrounded with the difficulties because of divorce, raising children, communication, economic problems, conflict between Korean family members and foreign family members, and prejudice and preconception in Korean society. Christian counselors realize that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are a target of the Gospel's spread toward the kingdom of God according to words that "disciple people in all nations, baptizing them in the name of the Father, and the Son, and the Holy Spirit (Matthew 28:29)”, solve their difficulties through Christian counseling and help them recover a relationship with the God by being guided to Jesus Christ. By the literature review, the following approach was suggested. First, the identity of Christian counselors should be kept. Second, Christian counselors should have an open mind on multiple cultures. Third, Christian counselors should develop programs for improving family relationships of multicultural families. Fourth, Christian counselors should take an attitude that reflects difficulties of Korean family members by composing it easily and simply in case of developing a program. Fifth, Christian counselors should educate language, culture and Christian world view for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Sixth, it is necessary for Christian counselors to construct a linkage system with specialized institutions for multicultural families. Seventh, also needed for Christian counselors are specialized education, training, supervision, and certification programs that which set them apart from general counselors. Christian counseling should help multicultural families recover a relationship with the God, make their difficulties reduced, and help them become international Christian missionary resources.

      • 기독청년을 위한 결혼예비지원그룹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박경옥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marriage preparation support group program for Christian young adults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in helping them to establish a Biblical outlook on marriage, enhance self-respect, and lower co-dependency. The three concrete questions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re: 1)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outlook on marriage, self-respect, and co-dependency among Christian young adults; 2) what influence does the marriage preparation support group program have on the outlook on marriage, self-respect, and co-dependency among Christian young adults; and 3) what changes do Christian young adults experience through the marriage preparation support group progra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ingle Christian young adults with no potential spouses.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ten young adults from Church “E” in Seoul, associated with The General Assembly of Korea Evangelical Holiness Church, and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ten young adults from Church “N” in Seoul, associated with The General Assembly of Presbyterian Church. The design of this research was pretest-posttest, experimental group-control group design, and tools used were marriage outlook questionnaire, self-respect questionnaire, and co-dependency questionnaire, which were existing tests modified and supplemented for this research. Tools for content analysis include self-monitoring report, program evaluation, and follow-up interview evaluation. For this study, the marriage preparation support group program was held once a week, 150 minutes per session, and a total of 5 sessions. The contents of the program are as follows: 1) understanding the Biblical outlook on marriage, 2) recovering self-respect, 3) discovering dysfunctional families, 4) understanding co-dependency, and 5) recovering spirituality, based on the premise of leaving the paren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 analysis of marriage outlook, self-respect, and co-dependency showed that marriage outlook and co-dependency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hile self-respect and co-dependency have a negative correlation. Therefore, as self-respect increases, co-dependency decreases, and values in the appropriateness and necessity of marriage increases. Second, with regard to the impact of marriage preparation programs on Christian young adults’ marriage outlook, self-respect, and co-dependency, in marriage outlook test, the control group had a pretest average of 61.10 and posttest average of 62.40,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pretest average of 58.50 and a posttest average of 54.60, and this lower posttest averag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This shows the enhancement of a Biblical marriage outlook based on the appropriateness and necessity of marriage. In the self-respect test,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averages, but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pretest average of 146.00 and a posttest average of 152.40, having a significant higher posttest average (p<0.05). This shows that the marriage prepara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self-respect for Christian young adults. In the co-dependency test,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averages.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pretest average of 31.30 and a posttest average of 27.70, with a lower posttest score (p<0.05), and these results show that the marriage prepara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lowering co-dependency among Christian young adults. Third, the results of the content analysis on the changes that the participants reveal to have experienced through the marriage preparation program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rough the pretest-posttest self-monitoring report, program evaluation, follow-up interview evaluation, participants reported that in preparing for marriage and the premise of leaving one’s parents, through the guidance of Jesus Christ, they were able to re-establish their vague outlook on marriage into a Biblical outlook of marriage as not a contract, but a promise. They also reported that this program was helpful in recovering self-respect by building a relationship with God, understanding disfunctional families and co-dependency, and receiving practical help in redefining family relationships. Finally, the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 support group format helped them to change their attitude of suppressing anger, embarrassment, sadness, guilt, or hurt under the frame of faith, but helped them to express their feelings. In conclusion, this program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helping young Christians establish a Biblical outlook on marriage, understand leaving their parents, recover self-respect, and lower co-depend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empirical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arriage preparation programs that will guide the marriage and life of Christian young adults.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청년을 대상으로 결혼예비지원그룹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결혼예비지원그룹 프로그램이 기독청년의 성경적 결혼관을 확립하도록 돕고, 자존감을 향상시키며, 동반의존을 낮추는지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첫째, 기독청년의 결혼관, 자존감, 동반의존 간에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둘째, 결혼예비지원그룹 프로그램이 기독청년의 결혼관, 자존감, 동반의존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셋째, 결혼예비지원그룹 프로그램을 통한 기독청년의 변화경험은 무엇인가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결혼배우자가 정해지지 않은 미혼기독청년들로 실험집단은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총회에 소속되어 있는 서울 E교회 청년부 10명이고, 통제집단은 대한예수교장로회 노회에 소속되어 있는 서울 N교회 청년부 10명이다. 본 연구의 설계는 사전사후 실험집단 통제집단 설계이고,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기존의 검사를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한 결혼관 검사지, 자존감 검사지, 동반의존 검사지이다. 내용분석을 위한 측정도구는 셀프 모니터링지, 프로그램평가서, 추수면담평가서이다. 본 연구에서 결혼예비지원그룹 프로그램은 주 1회기, 한 회기에 150분씩, 총 5회기가 실시되었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1회기는 성경적인 결혼관 이해하기, 2회기는 자존감 회복하기, 3회기는 가족의 역기능성 발견하기, 4회기는 동반의존 이해하기, 5회기는 부모 떠남을 전제한 영성 회복하기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관, 자존감, 동반의존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결혼관과 동반의존은 정적상관이 있었고, 자존감과 동반의존은 부적상관이 있었다. 따라서 자존감이 높으면 동반의존이 낮고, 결혼의 당위성과 필요성에 대한 가치관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둘째, 결혼예비지원그룹 프로그램이 기독청년의 결혼관, 자존감, 동반의존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결혼관검사에서 통제집단은 사전 평균 61.10, 사후 평균 62.40으로 사전과 사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실험집단은 사전 평균 58.50, 사후 평균 54.60으로 사후의 경우에 결혼관에서 낮은 점수를 보였고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으며(p<0.01), 이러한 결과는 결혼의 당위성과 필요성에 의한 성경적 결혼관이 향상되었음을 나타낸다. 기독청년들의 자존감검사에서 통제집단은 사전과 사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실험집단은 사전 평균 146.00, 사후 평균 152.40으로 사후평균이 높게 나타났고(p<0.05), 이러한 결과는 결혼예비지원그룹 프로그램이 기독청년들의 자존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기독청년들의 동반의존검사에서, 통제집단은 사전평균과 사후평균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실험집단은 사전 평균 31.30, 사후 평균 27.70으로 사후 평균이 낮게 나타났고(p<0.05), 이러한 결과는 결혼예비지원그룹 프로그램이 기독청년들의 동반의존을 낮추는데 효과가 있었음을 나타낸다. 셋째, 결혼예비지원그룹 프로그램에서 참가자들의 고백을 통한 변화경험에 대한 내용분석 결과는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사전 사후 셀프 모니터링지, 프로그램평가서, 추수면담 평가서에서 기독청년들은 부모 떠남을 전제한 결혼준비를 위해 예수 그리스도의 인도를 받으며 막연했던 결혼관을 결혼은 계약이 아닌 언약관계라는 성경적으로 결혼관을 다시 세울 수 있었고, 하나님과의 관계에 따른 자존감을 회복하며, 역기능가정과 동반의존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통해 가족 관계의 재정립을 이루는 현실적인 도움을 얻는데 본 프로그램이 유용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참가자들은 지원그룹 진행방법이 그동안 믿음이라는 틀 안에서 분노나 수치심, 슬픔, 죄책감, 상처 등의 감정을 표현하지 못하고 억압하던 자신들의 태도를 바꾸어 감정을 표현하도록 도왔다고 보고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프로그램은 기독청년이 결혼을 위해 성경적인 결혼관을 세우고, 부모 떠남에 대해 이해하며, 자존감을 회복하고, 동반의존을 낮추는 데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독청년의 결혼과 삶을 도와줄 수 있는 결혼예비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을 위한 하나의 실증적인 자료가 될 것이다.

      • 제임스 스마트(James D. Smart)의 교육사상 틀에서 이해한 김기동의 기독교교육사상

        한미란 베뢰아국제대학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제임스 스마트(James D. Smart)의 교육사상을 고찰하고, 스마트의 교육사상 틀에서 김기동의 교육사상의 특징을 탐색하여, 성경 안에서기독교교육의 정체성을 찾고, 예수그리스도와 초대교회의 교육의 원형으로 되돌아가야할 필요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신정통주의 신학에 기초하여 교육이론을 펼쳐나간 스마트는 예수 그리스도와 초대교회가 가졌던 교육목적에 근거하여, 복음과 말씀의 증언자가 되는 제자직(discipleship)으로의 참여를 교육목적으로 설정한다. 스마트는 이와 같은 교육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은 성경에 기초를 두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성경교육을 위한 일곱 가지 적용내용을 제시하고, 기독교교육의 이론적 기초로서 신학이 중요하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가정과 교회 그리고 공교육을 시행하는 교육기관을 스마트는 기독교교육의 현장으로 제시하고 있다. 김기동은 교회의 교육적 기능을 논증하고, 예수 그리스도와 신약교회에 근거하여 예수의 증인, 영적 지도자를 양성하는 것을 교육목적으로 설정한다. 그는 교육목적을 구현하기위해 교육내용의 중심은 성경이어야 함을 주장하고, 말씀에의 순종과 말씀의 체험, 그리고 성경이 바탕이 된 신학을 강조하면서 이를 평신도가 겸비해야할 요건으로 제시하고 있다. 김기동은 가정과 교회를 기독교교육의 현장으로 인식하고 있다. 스마트와 김기동의 교육사상을 고찰한 결과, 스마트의 교육사상 체계 안에서 김기동의 기독교교육사상은 충분히 설명되어진다. 스마트와 김기동의 교육사상은 교회와 교육의 유기적 관계를 강조하는 교회중심적인 특징을 보여 준다. 스마트가 고안한 교육프로그램의 근거는 하나님의 말씀으로서의 그리스도의 사건이며, 이것을 증거하는 성경이다. 김기동의 교육사상도 성 경중심 정신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 교육내용뿐만 아니라 교육목적의 설정에 있어서도 성경 특히 신약교회에 준거하고 있다. 스마트와 김기동은 예수그리스도와 신약교회 교육으로의 복귀를 주장하며, 예수의 제자로의 초대 혹은 예수의 증인 양성에 교육목적을 두고 있음이 발견된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의 교육사상 체계 안에서 김기동의 교육사상이 충분히 조망될 수 있다는 사실은 김기동을 기독교교육학자로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제공해 준다. 둘째, 스마트와 김기동은 성경으로 돌아가 성경 안에서 기독교교육의 정체성을 찾아야 된다는 강한 메시지를 제시하고 있다.

      • 기독 청소년의 부모애착이 하나님애착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임영순 베뢰아국제대학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의 목적은 기독 청소년을 대상으로 부모애착이 하나님 애착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에 소재하는 교회에 출석하고 있는 청소년 3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회수한 연구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1.0을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고, 부모애착을 독립변인, 하나님 애착을 종속변인, 인지적 정서조절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한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부모 애착이 하나님 애착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부모애착이 하나님 애착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을 거쳐 하나님 애착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는 것을 의미하다. 이는 부모와 안정애착을 형성하면,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을 더 잘 사용할 수 있게 되어 하나님과도 긍정적 관계를 경험할 수 있다는 의미를 가진다. 부모가 안전기지로서의 기능이 가능할 때, 자녀는 자신의 부정적 정서를 내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발달시키게 되어 하나님 애착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것이다. 반대로 불안애착 청소년은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고 조절하는데 지속적으로 어려움을 느끼고, 효과적인 적응전략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면서 하나님과의 애착을 어렵게 하게 된다. 이 연구는 초기 부모애착을 통해 형성된 애착유형이 전생애를 걸쳐 지속적인 영향을 주지만, 인지적 정서조절을 통해 새로운 애착대상인 하나님과의 애착이 변화될 수 도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특히 정서적, 인지적 발달적 특징과 그에 따른 급격한 변화를 겪는 청소년기의 기독 청소년들 역시 부모애착은 새로운 애착 대상인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중요한 영향을 받는다. 이때 부모와의 관계에서 입은 상처와 부정적 경험이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따라 하나님과의 관계형성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는 하나님과의 친밀한 관계를 위한 기독교 상담에 중요한 의미를 부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on-emotion regulation on the impact of parent-child attachment on God attachment in Christian youth. To this end, online and offline surveys were conducted on 350 youths attending church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SPSS 21.0 was used for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with parent-child attachment as an independent variable, God attachment as a dependent variable, and cognition-emotion regulation as a mediating variable. In the effect of parent-child attachment to God attachment, it was found that maladaptive cognition-emotion regulation was partly mediated. This means that parent-child attachment directly affects God attachment, but also affects God attachment through maladaptive cognition-emotion regulation. This means that if you establish a stable attachment with your parents, you will be able to better use your adaptive cognitive and emotional control strategy and experienc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God. In other words, when parents are able to function as a safety base, their children develop the internal control of their negative emotions, which also affects their attachment to God. On the contrary, adolescents who develop anxiety attachments have a difficult time experiencing and controlling negative emotions and are unable to use effective adaptation strategie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attach to God.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confirms the possibility of the attachment type formed through early parent-child attachment has a lasting effect throughout life, but the cognition-emotion regulation may change the attachment to God as a new subject of attachment. In particular, Christian youths in adolescence who experience emotional and cognitiv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rapid changes are also greatly influenced by their relationship with God, which is the subject of new attachment. Hence, the study results that the wounds and negative experiences in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influence the formation of a relationship with God according to the cognition-emotion control strategy, which gives Christian counselling an essential meaning for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G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