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거제 포로수용소의 다크 투어리즘 활성화 방안

        김명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다크 투어리즘은 해외에서 시작된 개념으로 해외에서는 1990년대부터 다크 투어리즘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한국에서는 2000년대 제주 4․3사건의 활성화를 계기로 다크 투어리즘의 개념이 도입되었다. 이 중 제주 4․3기념재단 및 기념공원, 5․18기념재단은 지자체의 관련 조례를 통하여 재단의 운영체계를 마련하고 관련 유적지의 보존 및 활용에 관하여 지자체 조례를 통한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각 재단은 워싱턴 홀로코스트 기념관, 폴란드 아우슈비츠 수용소와 마찬가지로 자료의 수집 및 활용, 기념사업 등을 담당하고 있었으며, 한국의 재단들은 사건 관련 유족이나 당사자에 관한 지원 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거제 포로수용소는 6.25전쟁당시 거제에 있던 포로수용소를 대상으로 하고 있어 유산관광의 대상지가 되며, 6.25전쟁이라는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크 투어리즘의 대상지가 된다. 뿐만 아니라 거제시는 거제 포로수용소 관련 기록물을 세계기록유산에 등재하기 위해 관련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거제시는 관광정책 활성화를 시작하면서 시립박물관, 미술관의 건립, 정글돔 개관, 둔덕기성 활성화 사업 등 각종 문화시설 및 문화유산에 관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거제 포로수용소 평화파크 조성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거제시는 거제 포로수용소 평화파크 조성사업을 진행하면서 스토리텔링을 통한 콘텐츠 발굴과, 포로수용소라는 어두운 이미지에서 탈피하여 포로들이 음악회, 운동회, 취미생활 등 국제 협약에 의해 자유와 평화를 누렸던 포로수용소라는 세계 유일의 특화된 콘텐츠를 발굴하는 것을 목표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거제 포로수용소의 다크 투어리즘 활성화 방안에 그 목적을 두고 국내외 다크 투어리즘 유산에 대하여 분석하고 거제시와 거제 포로수용소 사례를 통해 거제시의 관광환경 분석과 거제 포로수용소의 현황을 분석하고, 거제 포로수용소의 활성화를 위한 국내외 사례 분석을 통하여 거제 포로수용소의 다크 투어리즘적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고자 했다.

      • 성곽 보호·활용을 위한 시민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 낙안읍성, 고창읍성, 해미읍성을 중심으로

        최수현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유네스코와 이코모스에서 문화유산 보호를 위해 최근 발표한 문서들을 살펴보면 문화유산 보호를 위해서는 지역 주민과 공동체의 참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언급하고 있다. 세계유산을 보호하고 관리하는데 있어 정부나 전문기관 외에도 지역 공동체의 역할을 증대시켜 유산이 위치한 마을과 도시의 공동체가 훼손되지 않도록 주의하라는 뜻으로 볼 수 있다. 유산과 공동체를 함께 보호함으로 지속가능한 발전을 꾀할 수도 있으며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거버넌스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으로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국내 성곽유산의 보호를 위한 법령 개정안과 지역자치단체의 조례 제정안에 대해 살펴보며, 현재 주요 성곽유산들의 보호에 있어 시민들이 어떻게 참여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했다. 먼저 성곽유산 보호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고 문화재보호법 및 관련 법령들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성곽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문헌조사, 측량조사, 종합정비계획 수립 등을 들 수 있으며 모두 원형 보존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관리 운영 방식으로는 직영관리, 민간위탁, 부분위탁, 시민참여형 관리 등을 들 수 있다. 관련 법령들로는 가장 큰 법률인 문화재보호법부터 시작해서 매장문화재 보호 및 조사에 관한 법률, 문화재수리 등에 관한 법률, 고도 보존 및 육성에 관한 특별법이 있었으며, 성곽의 보존과 관리에 관한 일반지침을 따로 두어 성곽을 집중적으로 보존하고자 했다. 지자체에서는 서울 한양도성과 수원 화성, 순천 낙안읍성을 비롯하여 여러 곳에서 성곽유산 보호를 위한 조례를 만들어 시행하고 있다. 이들 법령 중에는 시민참여라는 것에 대해서 모호하게 규정하거나 아예 보이지 않는 경우가 있었고, 지방자치단체의 조례에서는 시민참여를 규정한 사항을 찾을 수 있었지만 그마저도 많지 않았다. 성곽의 보호에 있어서도 시민의 참여가 이루어져야 한다. 종합정비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일반적인 정책수립을 담당하는 문화재청과 기본계획을 수립하는 지방자치단체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원활한 종합정비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해당 지역의 개인과 단체의 참여가 요구된다. 순천 낙안읍성, 고창 고창읍성, 서산 해미읍성은 현재까지도 보호의 사례가 우수하여 선정했다. 해당 성곽유산들에서는 시민들이 활발한 보호활동을 하고 있었다. 시민들이 직접 단체를 조직해 성곽유산의 보호에 앞장서며 지킴이 활동을 하고 있고 자체적으로 축제추진위원회를 결성해 지역의 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또한 지역의 여러 단체들이나 기업이 성곽의 보호를 위한 모니터링, 환경 정화 활동과 같은 지킴이 운동을 한 사례도 발견할 수 있었다. 성곽의 보호를 위해 시민참여를 법령에 명시해야 한다. 문화재보호법 제4조처럼 “국민은 문화재의 보존ㆍ관리를 위하여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시책에 적극 협조하여야 한다.”라고 간단히 명시할 것이 아니라 시민이 어떤 분야에서 할 수 있는 역할에 대해 분명히 규정할 필요가 있다. 특히 법률의 시행령과 규칙 등에 주민참여와 민관의 협력에 관한 별도의 사항을 규정할 필요가 있으며 주민참여 활성화를 위한 제도의 인프라를 개선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 더불어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성곽 보호조례를 제정할 필요가 있으며 지역 주민이 성곽의 주인으로써 적극적으로 보호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성곽보호를 위해 시민들이 할 수 있는 역할은 매우 많다. 먼저 지역주민들에게 성곽을 이해하도록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 문화재지킴이 같은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해 성곽 주변의 환경 정화 활동이나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것도 좋다. 해당 지역의 성곽의 가치와 중요성을 적극적으로 홍보할 문화관광해설사를 육성하고, 영국의 내셔널 트러스트 운동처럼 문화유산의 목록화, 협약 체결, 기부금모금과 같은 국민신탁 활동에 참여하는 방법도 있다. 지역에서 성곽유산을 효과적인 보호를 위해 방법을 의논할 심포지엄, 포럼 같은 회의에 참석하거나 지역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성곽 보존회를 결성해 활동하는 방법, 그리고 SNS나 모바일 앱을 활용한 홍보 또한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According to recent documents released by UNESCO and ICOMOS for the protection of cultural heritage, th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and communities is essential for the protection of cultural heritage. This can be seen as a sign of increasing the role of the local community in protecting and managing world heritage, in addition to the government and specialized agencies, so that communities in the villages and cities where the heritage is located are not damaged. It may seek sustainable development by protecting heritage and communities together, and can be understood b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active participation of citizens and governance. Thus, in this paper, the author looked at the revision of the Act for the Protection of the National Fortress Heritage and the enactment of the Ordinance of Local Autonomy, and tried to analyze how citizens participate in the protection of the major fortress heritage at present. First, the author looked at the theory of the protection of the fortress heritage and looked at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and related statutes. Methods to protect the fortress include literature survey, measurement, and comprehensive readjustment plan, all of which are based on the principle of circular preservation. Management operation methods include direct management, private sponsorship, partial referral, and citizen participation type management. Starting with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ct, which is the largest of the related statutes, there were laws on the protection and investigation of burial cultural assets, the Act on the repair of cultural assets, and the Special Act on the Conservation and Promotion of the ancient fortresses, and the general guidelines on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fortress were set aside to focus on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fortresses. Local governments have established and implemented ordinances to protect the fortress' heritage in various places, including Seoul City Wall, Suwon Hwaseong Fortress and Suncheon Nakan-eupseong. Some of these laws were vaguely defined or completely invisible about civic participation, while local government ordinances were able to find things that stipulated citizen participation, but not much of them. Citizens should also participate in the protection of the fortress. The role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which is in charge of general policy-making, and local governments that establish basic plans are also important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readjustment plan, but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in the area are required to participate. Suncheon Nakan-eupseong, Gochang Gochang-eupseong and Seosan Haemi-eupseong Fortress were selected because they still had excellent examples of protection. Citizens were active in protecting the fortress. Citizens have organized their own organizations to take the lead in the protection of the fortress' heritage, and they have formed their own festival promotion committee to hold local festivals. In addition, several local organizations and businesses could find examples of protective activities such as monitoring for the protection of the fortress and environmental cleanup activities. Civil participation should be specified in the decree for the protection of the fortress. As Article 4 of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ct, it is necessary to clearly define the roles citizens can play in certain areas, rather than simply stating, “The people should fully cooperate with the policies of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for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cultural assets.” In particular, the enforcement ordinance and rules of the law need to stipulate separate matters concerning cooperation between residents and the public and the private sector, and seek ways to improve the system's infrastructure for revitalizing residents' participation. In addition, local governments also need to enact a ordinance on the protection of the fortress and allow local resi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rotection as owners of the fortress. There are many roles of citizens to protect the fortress. First of all, we should run an education program to get local residents to understand the fortress. It is also recommended that cultural asset managers participate in the same volunteer activities to carry out environmental cleanup activities or monitoring around the fortress. There are also ways to foster cultural and cultural explanations that will actively promote the value and importance of the fortresses in the region, and participate in national trust activities such as listing cultural assets, signing agreements and raising donations, like the National Trust in the U.K. Attending symposiums, forums and other meetings where local residents will discuss ways to effectively protect the fortress' heritage in the region, or voluntarily form and operate a fortress preservation society, and promoting the use of SNS or mobile applications can also be one option.

      • 지속가능한 역사문화도시 조성을 위한 역사문화자원 활용 방안 : 경주 역사문화도시를 중심으로

        이주영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문화도시 조성 사업은 도시재생 및 지역 활성화를 할 수 있는 효율적인 정책 사업 중 하나이다. 특히, 역사문화도시 조성 사업은 보편성 및 고유성을 지니고 있는 역사문화자원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도시 조성 사업으로서,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하기에 효율적인 사업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역사문화도시 조성 사업에 있어서 효율적인 역사문화자원 활용 방안을 제고하고자 한다. 역사문화도시 조성 관련 정책이 생겨난 배경은 서구의 탈공업화에 따라 기존 공업도시들의 재생의 방법으로 문화에 주목한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정책적인 차원에서 처음 등장한 것은 1985년 EU의 유럽 문화수도가 시작이다. 이후 문화를 기반으로 하는 도시재생은 유럽 전역 및 미주를 거쳐 아시아까지 그 영향을 끼치게 된다. 한편, 국내에서는 1990년대 중반 정착된 지방자치제의 영향 아래, 「도시계획법(현,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5조 제1항에서 문화도시를 시범도시 유형의 하나로 규정하면서 시작되었다. 본격적인 문화도시 조성 사업은 참여정부시기 ‘문화중심도시 사업’으로 시작되었다. 국내 역사문화도시 조성 사업의 대표적인 사례인 경주역사문화도시이다. 하지만 하드웨어 기반 조성 중심의 사업, 체계화되지 못한 행정 및 제도 시스템, 지역민 및 민간 참여의 부족이라는 한계점이 있었다. 이와 함께 활용 프로그램 또한 유사한 프로그램의 중복, 관광객에게만 국한되어 있는 프로그램, 인지도가 낮은 점 등의 문제점이 생겼다. 이에 대한 첫 번째 대안 사례는 일본의 가나자와이다. 가나자와는 일본의 역사문화도시 조성에 있어서 중심이 되는 「역사문화도시만들기법」이 제정되면서 구체적인 도시 조성과 더불어 민간 참여를 유도하는 조항을 두어 민간이 역사문화도시 조성에 있어서 큰 역할을 하고 있었다. 두 번째 대안 사례인 볼로냐는 관련 법제도를 변화하는 사회적 여건에 맞추어 기민하게 대응하는 등 유연한 행정 및 법제도 체계를 보여주었으며, 정책 사업에 적극적으로 민간이 참여하여 다양한 활용프로그램을 조성하는 모습을 보여주던 사례였다. 효율적인 역사문화자원의 활용을 위해 본고에서 제안한 방안은 관련 행정 및 법제도 체계 개선, 민간전문기관 및 지역민 참여의 증진으로 크게 3가지로 제시하였다. 관련 행정 및 법제도 체계 개선에는 공공부처의 기능이 애매모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사업 중복 등 행정인력의 낭비를 방지하기 위하여 공공 부처의 기능을 체계화해야 한다. 또한 관련 부처 및 지역 간의 협업 시스템을 구축하여 복합적이면서 광범위한 활용 사업을 달성해야 할 것이다. 관련 법제도는 규제 중심의 법체계를 완화 하면서도 급변하는 사회·경제적 여건에 맞출 수 있도록 유연성 또한 확보해야 한다. 민간전문기관 및 지역민의 참여 증진에는 역사문화자원 활용의 특성상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유기적으로 협력하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은 필수이다. 이 체계는 단순한 자문기관에 그치는 것이 아닌, 실질적인 권한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 방안이 필요하다. 이들은 사업에 있어서 전문적인 분야로서 지속적인 학술연구와 조사를 통해 역사문화가치를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활용 방안을 강구하는 등의 실질적인 역할을 맡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를 지속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의 육성과 이후 현장과의 연계성을 확보하여 전문인력 네트워크 또한 구축해야 할 것이다. 지역민 또한 정책 조성에 참여하는 직접적인 방법이나 사업의 수혜자로서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간접적인 방법으로 활용 사업에 참여하도록 유도하여야 한다. 사업에 있어서 지역민들의 주체적인 참여는 지속적인 사업을 운영하는 데에 큰 동기가 될 것이며, 이는 곧 지역의 내재적 발전에 기여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를 토대로 각각의 이해관계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문화공동체 거버넌스 구축을 제안한다. 문화공동체 거버넌스는 문화·예술 종사자와 시민이 서로의 이해관계를 충족시키며 사업에 직접적으로 참여하는 가운데 전문가 및 전문기관이 매개체 및 지원 주체로 역할을 담당하며 공공기관은 전체적인 체계를 지원 및 모니터링하는 것이다.

      • 프로젝션 매핑 기반의 문화관광자원 활용 사례연구

        송초롱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presents several examples of the cultural tourism resources based on projection mapping which was utilized very often recently. In this study, I have taken the approach of researching and analyzing the various illustrations to look for suggestion. The Technique of Projection Mapping using a projector for projecting images or videos onto the surface of an object or a facade. This could be used in various ways, already firmly established in the contemporary art scene includes commercial marketing. A combination of the technology and the cultural tourism resources expand science and art fields as a part of the convergence that could be met with a new experience to all of us. From the beginning of the abroad cases, also in Korea, there has been a remarkable increase in the number of cases in which cultural tourism resources applied projection mapping technique. However, such researches and discourses are hard to find out neither still limited in this country so that have to deal with this kind of a subject to improve outcome. According to this study, I tried to find out what needs to be improved, what direction should be taken for continuous management in this field. Through a wide range of foreign and domestic cases, highlighted some of the cases in which visible results were coming out. For instance, certain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in France used Projection mapping technology also Berlin and Sydney are well-known for lights festival in the world where diverse works conducted by Projection mapping. In addition to this, Japanese famous landmarks using Projection mapping technology to attract a lot of tourists as a cultural tourism resource. Especially in France, the technology of ‘Son et Lumière’, which means sound and light, it expands all of the world in the show business, this could be revealed what is the intense power of when technology combined with art. Like the ‘La nuit Blanche’(White Night) festivals are spreading so fast in many cities, and Projection mapp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rogram’s content. These festivals have some benefits in various ways not only for tourists also many others. One of is invest relevant industry to boost profits that could make a virtuous circle in the site. Besides, many artists who worked with newest technology came from all of the world they present their works and share with others. In this research, I analyzed the examples of cultural properties, contemporary art and architecture in detail. Although Projection mapping technology utilizes quite later than abroad, but now, includes cultural tourism resources, many other fields are being used very commonly. In the context of cultural tourism, some of region actively applied it to local resources that draw so many tourists towards the site. In particular, a local government of Jeonju city tried to set up a favorable environment for development contents which based on Projection mapping through institutional strategy. Nowadays, a number of Projection mapping art works introduced in contemporary art, sometimes those works showing at the media festival. Some of those added interactive effect, so that could be make communicate directly with audiences and possibly create meaning by audience themselves. Most of a familiar type to ours, it would be projected onto the facade of the building. But recently, it began to develop to apply the technique to the contents of the performances like musicals as a means of visual effect. As a result, Projection mapping technology which combined with cultural tourism resources make gradual progress through institutional support. This direction could be ongoing, cause of the Korean government recognized the content industry as a high-value-added industry and strive to enhance competitiveness in related fields comparability to other country’s level. In this study, I delve into the background of some examples to carry out the purpose. The following points were proposed for long-term management and development in the context of utilized Projection mapping which combined with cultural tourism resources. First of all, It can be pointed out that the role of Private sector should be expanded. Second, Set out a clear objective for a long term continuity. Next, Make efforts to develop creative programs. A new technology could be applied to the programs or events.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into expand to various fields through technology development. Hopefully, the things I suggested in this research can be actively used and developed into a new stage of this field. 본 연구는 프로젝션 매핑 기술을 기반으로 한 문화관광자원의 활용 사례를 분석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프로젝션 매핑 기술을 접목한 다양한 활용의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프로젝션 매핑 기술은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물체의 표면에 영상이나 이미지를 투사하는 기법으로, 새로운 예술의 형식으로 자리를 잡았으며 최근에는 마케팅을 포함하여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기술과 문화관광자원의 결합은 새롭게 등장한 융합의 형태로 과학과 예술의 지변을 확대하는 동시에 타 분야를 넘나드는 시도를 통해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경험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특히 본고에서는 산업의 규모가 점차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많은 콘텐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문화관광자원에 주목하였다. 국외를 시작으로 국내에서도 지속적으로 문화관광자원에 프로젝션 매핑 기술을 접목한 사례가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는 반면, 아직 국내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나 논의가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이번 연구를 통해 관련 주제에 접근하여 현재 어떤 방식으로 프로젝션 매핑 기술을 이용하고 있으며 개선해야 할 점이나 지속적인 운영을 위해 나아가야 할 방향이 무엇일지 고민하며 현 상황을 점검하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국내와 국외 사례를 폭넓게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난 경우를 집중적으로 조명하였다. 국내와 국외의 사례를 종합하여 문화관광자원 중 세부적으로 유형을 나누어 축제, 문화유산, 현대미술 그리고 건축물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국내는 해외보다 뒤늦게 프로젝션 매핑 기술이 보급되었지만 현재는 다양한 분야에서 여러 활용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몇몇 지역의 경우에는 프로젝션 매핑 기술을 지역의 문화관광자원에 적용하여 많은 관광객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전주의 경우에는 정책적인 지원을 통해 여러 콘텐츠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현대미술에서는 여러 미디어축제를 통해 프로젝션 매핑 기술을 이용한 작품이 소개되며, 작업의 방식으로 사용되어 관람객들에게 공개되고 있다. 이러한 작품은 인터랙티브한 형식으로 발전되기도 하는데 관람객들이 수동적인 입장에서 작품 감상을 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개입하는 것으로 작품의 의미를 만들어가고 있다. 이밖에도 건축물의 파사드에 적용되어 사람들의 눈길을 사로잡는 홍보의 수단이 되기도 하며 뮤지컬과 같은 공연콘텐츠에 기술을 적용하여 이전과는 다른 차원의 시각적인 효과를 전달한다. 문화관광자원과 접목한 프로젝션 매핑 기술은 정책적인 지원을 통해 다양한 기술의 개발과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바탕에는 콘텐츠 산업이 고부가 가치 산업으로 인식이 되고 있기 때문이며 관련 분야의 경쟁력을 키우기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 관련 정책적인 지원과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역할이 주도적인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국외의 경우, 프로젝션 매핑 기술을 적용한 프랑스의 고성과 같은 역사문화유산의 사례와 빛을 주제로 한 베를린과 호주의 축제, 그리고 일본의 랜드마크 활용 방식을 통해 적용된 기술의 형태를 조사하였다. 이러한 사례에서 나타나는 활용 방식은 많은 관광객을 끌어당기는 요인이자 경제적인 효과와 더불어 산업의 가치를 창출하는 성공적인 결과물을 가져오는데, 이와 같은 바탕에는 기술과 문화관광자원의 단순한 접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여러 필수적인 요소가 뒷받침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다. 프랑스의 경우에는 장소나 건축물에 대한 재발견을 통해 침체된 공간을 탈바꿈하거나 역사적인 스토리텔링을 적용해 기술과 결합하여 많은 관광객들을 이끌고 있다. 특히, 소리와 빛을 의미하는 ‘송에뤼미에르’(Son et Lumière)라는 기술로 여러 쇼를 제작하여 전 세계적으로 확산된 파급력을 보여주었다. 또한 백야축제와 같이 야간을 이용하여 새로운 볼거리를 제공하는 형식의 축제는 많은 도시에서 유행처럼 번지고 있으며, 콘텐츠를 구성하는데 있어 프로젝션 매핑 기술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다. 베를린과 시드니 같은 도시에서도 빛 축제를 통해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고 있으며 도시를 활성화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축제는 관련 분야의 산업을 지원하여 경제적인 투자가 이루어지는 순환적인 구조를 가져온다. 또한, 축제에서 지역의 아티스트와 전 세계의 아티스트가 모여 작업을 소개하는 장을 만들어 문화적 교류를 형성하며, 멀리서 온 관광객뿐만 아니라 지역주민에게 도시의 재발견을 통해 새로운 문화적 경험을 제공한다. 국외와 국내 사례연구를 통해 프로젝션 매핑 기술 기반의 문화관광자원의 여러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그 내용을 토대로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운영과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고려해야할 부분들을 결론적으로 정리하였다. 우선적으로 민간 부분의 참여 영역에 관한 문제를 살펴봤으며 활용에 있어서의 뚜렷한 목적성에 대한 고민, 독창적인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신기술과의 융합 가능성, 마지막으로 국내 활용에 있어서의 의미 있는 변화에 대해 주목하였다.

      • 유산의 지속가능한 보호를 위한 다양성 중심 접근 연구 : 박물관 전시에서 적용 방안

        이시원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21세기 인류는 지속가능성과 다양성에 관한 의제의 홍수 속 살아가고 있다. 특히 팬데믹과 기후위기(혹은 기후재앙) 등의 문제를 겪으며, 그 논의는 계속해서 성장을 거듭하였다. 물리적 측면에서 훼손이나 소실의 위협이 증가하기도 하였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문제는 사회가 점점 더 다양한 관점과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방향, 즉 다양성을 존중하고 이해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것이다. 사회적 합의이자 정치적·행정적·정책적 성격이 강한 유산 보호는 보호 행위나 조치를 지속하기 위해 사회가 바라고 요구하는 바를 지속적으로 추적 관찰해야 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지속가능성과 다양성 개념은 박물관 활동을 포함한 유산 보호의 영역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고 여전히 많은 변화를 주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그러한 분석을 기반으로 다양성 중심 접근(diversity-centred approaches)이란 새로운 접근법을 도출 및 제언하였다. 여기서 다양성 중심 접근이란 다양한 유산 맥락, 사람(인종, 성별, 나이, 장애인, 비장애인, 전문가, 비전문가, 소수민족, 원주민, 현재 세대, 미래 세대)을 포함한 생명체들의 권리, 그들의 내러티브, 그들의 해석, 그것들이 표출되는 방식 등, 모든 행위와 프로세스 전반에 공시적·통시적 다양성을 인정하고 존중하고 받아들이는 것을 중점으로 두는 접근법을 의미한다. 박물관은 다양한 유산, 사람, 생각과 견해가 모이는 박물관은 다양성의 총체로서, 다양성 중심 접근법을 실현하기에 적절하다고 판단되었다. 따라서 박물관 활동 중에서도 가장 기본적인 단계이며 관람객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는 전시를 중심으로 다양성 촉진과 연관된 논의를 파악하였고, 거시적 차원과 미시적 차원에서 구체적 적용 방안을 탐구해보았다. 이후 반성적 성찰의 차원에서 박물관 유산 전시 내 다양성 중심 접근이 실현되었을 때 발생가능한 쟁점을 미리 진단하였고, 전문가 및 일반대중의 인터뷰를 통해, 다양성 중심 접근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을지, 박물관 전시에서 다양성 중심 접근은 어떤 노력을 전제로 해야 할지, 접근법을 적용하였을 때 효과성과 한계로는 어떤 것들이 있을지, 문답을 통해 취합된 내용을 정리·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다양성을 존중하고 이해하는 방향으로 변화하는 유산과 박물관 분야의 담론에 주목하여, 그간의 다양한 연구 성과를 다양성 촉진 측면에서 파악하고 정리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다양성 중심이라는 새로운 접근법으로의 전환이 필요함을 제안하고 구체화 한 것이 방법론의 개발ㆍ적용 측면에서 명확한 학술적 기여이다. In the 21st century, people live in a flood of agendas on sustainability and diversity. In particular, the discussion continued to grow fast through problems such as the pandemic and climate crisis - or climate catastrophe. There is also a problem with the threat of destruction on the physical side, but more importantly, society is moving toward an increasingly diverse direction of listening to the various perspectives and voices: respecting and understanding diversity. Safeguarding heritage, which is a social consensus and has a strong political, policy, and administrative nature, needs to continuously follow up on what the society wants and demands to continue the actions or measures. It was confirmed that sustainability and diversity had a profound effect on the area of safeguarding heritage, including museum activities, and are still leading many changes. I, therefore, derived and suggested a new idea called diversity-centred approaches, based on such analysis. Diversity-centred approaches mean recognizing and respecting synchronic and diachronic diversity throughout all actions and processes, including various heritage contexts, people coming up with any race, gender, age, disabled, non-disabled, professionals, non-professionals, minorities, indigenous people, their interpretations, the way they are expressed, and rights of living things. I judged the museum, where various artifacts, people, and ideas gather as a total of diversity, to be suitable for realizing diversity-centred approaches. I, therefore, identified discussions related to fostering diversity, focusing on museum exhibitions which is the foundational step and communicating with visitors most actively among museum activities, and explored specific ideas to realize at the macroscopic and microscopic levels. I investigated the issues that may arise when diversity-centred approaches are realized in heritage exhibitions, and the contents collected were summarized through questions and answers about whether consensus on diversity-centred approaches can be formed in the communities through interviews with experts and the public.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identified and organized various research achievements in terms of fostering diversity, focusing on discourses in the field of heritage and museums that change the direction of respecting and understanding diversity. Also, it is a certain academic contribution from the perspectives o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that it suggested and embodied the need for transition to the new approaches.

      • 소스 커뮤니티 관점에서 유형·무형유산 연계교육 방안 : 국립부여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김채원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As the number of domestic museums gradually increases,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museums to enhance local access and expand opportunities for cultural enjoyment is also on the rise. The preexisting museums that are in operation are striving to come up with better services, having acknowledged this particular policy direction. Also, museums are attempting to set forth various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based on the new paradigm shift.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museum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ource community, discuss educational measures, facilitate their roles, and diversify participation. Source community refers to the original owners or their ancestors of the artifacts displayed in museums. It is the idea that claims all duties regarding museum artifacts must be carried out from their perspectives. Based on this theory, this paper sought ways to collaborate with the source community by linking tangible and intangible heritage as a space for dialogue to build up various discourses, rather than relying on tangible heritage-based museum education developed and operated focusing on museum artifacts. In order to provide the source community that could collaborate with the Buyeo National Museum, a tangible asset-based museum, this paper suggests the following theoretical arguments. First of all, as a theoretical review of the concept and background of source communities, the paper attempted to grasp the flow and changing trends the source communities are formed in. Furthermore, to apply the concept to Korea, it organized the key points required for active source communities by clarifying the premises needed to build source communities from a new governance perspective. Secondly, the research conducted case studies for collaboration with source communities in domestic museum education fields, focusing on comparison between the educational programs of the research subjects Buyeo National Museum and Jeju National Museum. Jeju National Museum’s operation was focused on telling the stories of the lifestyles of the local elderly while developing education for them. It was considered a model example in source communication-based museum education process, as the collaboration with the source community was seen in all processes of educational development including casting, pre-interview, creation of educational materials, and learning. Thirdly, the scope of source communities that could collaborate with the Buyeo National Museum was categorized into village units exhibiting community cultures, preservation groups that protect the Baekje culture through research, restoration and reenactment, and institutional units including intangible cultural assets. Each case was researched to seek measures to apply to the Buyeo National Museum education. Fourthly, the research suggested an educational plan and development measure to link tangible artifacts to transmitting culture of source communities and researched methods to further facilitate them. Improving the awareness of educational experts, preparing specialized educational means for each museum, and actualizing unique plans turned out to be the necessary steps. The paper emphasized that forming a cooperative network of experts over various fields could help activate the planning, developing, and learning of the source community-based education.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participation and roles of source communities in museum education for intangible and tangible asset-linked education and to suggest ways to activate them. The paper attempted to envision a future pathway for museum education by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this dialogu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local networks from the standpoint of museums and source communities as local-specific educational institutes, and persuading building a collaborative system. 국내 박물관 건립 수가 점차 증가하는 현재의 추세에서 지역접근성을 높이고 문화향유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노력에 따라 박물관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기존에 설립·운영되고 있는 박물관은 이러한 정책적 방향을 인식하고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박물관은 새로운 패러다임 변화에 입각하여 박물관학의 학제 간 다각적인 접근을 도모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흐름 속에서 생성된 개념인 소스 커뮤니티(source community) 관점에서 박물관 교육을 분석하고 학습 방안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이들의 역할과 참여방안을 활성화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소스 커뮤니티란 박물관에 소장된 유물의 원래 주인 또는 해당 집단의 후손들을 뜻하며, 이들의 관점에서 박물관의 소장품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해야 함을 주장하는 개념이다. 이와 같은 이론을 토대로 박물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개발·운영되는 유형유산 기반의 박물관 교육을 지양하고, 다양한 담론을 형성할 수 있는 대화의 장으로서 유형·무형유산의 연계성을 통해 소스 커뮤니티와의 협력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형유산 중심의 국립부여박물관과 협력할 수 있는 소스 커뮤니티를 제시하고 박물관 교육과정에서 적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논지를 전개하였다. 첫 번째는 소스 커뮤니티의 개념과 등장배경에 대한 이론적 고찰로 박물관의 변화 양상에서 어떠한 흐름 속에서 생성되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해당 개념을 국내에 적용하기 위하여 뉴거버넌스 관점에서 소스 커뮤니티 구축을 위한 관계를 정리하여 소스 커뮤니티가 활성화되기 위한 핵심적 사항에 대한 논의를 정리하였다. 두 번째는 국내의 박물관 교육에서 소스 커뮤니티와의 협력을 위한 사례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적용 대상인 국립부여박물관과 국립제주박물관의 교육프로그램을 비교 연구하였다. 국립제주박물관의 경우는 지역의 어르신의 생활문화와 관련된 교육을 개발하는데 그들의 관점에서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또한 교수학습 개발의 과정에서 소스 커뮤니티와의 협력으로 섭외, 사전 인터뷰, 교육자료 제작, 학습 과정의 전 단계에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소스 커뮤니티 관점에서 박물관 교수학습 과정의 모범적 사례로 연구하였다. 세 번째는 국립부여박물관과 협력할 수 있는 소스 커뮤니티의 범위를 마을단위의 공동체 문화를 가지고 있는 집단, 연구·복원·재현을 통해 백제문화를 정비하고 있는 보존회와 같은 소스 커뮤니티, 그리고 무형문화재 보유자와 같이 제도적인 차원에 속하는 소스 커뮤니티로 구분하여 각 사례를 조사하였고, 이를 통해 국립부여박물관 교육에 적용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네 번째로 박물관에서 유형의 소장품과 소스 커뮤니티의 전승문화를 연계하기 위한 교육 계획(안) 및 교육개발 방안을 제시하였고, 이에 따라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연구하였다. 교육관련 전문가 집단의 인식 개선과 박물관의 특화된 교수학습방안을 마련하고 특성있는 계획을 구체화하는 것이 필요하며 각계 종사자들이 협력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한다면 소스 커뮤니티 기반의 교육 개발·계획, 학습과정에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는 박물관의 유형·무형유산 연계 교육을 위한 박물관 교육에서 소스 커뮤니티의 참여와 역할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통해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논의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지역의 특성을 살린 특화된 교육기관으로서 박물관과 소스 커뮤니티 관점에서 지역 네트워크의 중요성, 그리고 협력적 체계 구축을 통한 박물관 교육의 발전적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세계유산 해석에 관한 비판적 연구 : 한·중·일의 세계유산 갈등 사례를 중심으로

        이나연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Humanity has long created cultural heritage. Although the definition, category, and role of cultural heritage change with the times, it remains unchanged that cultural heritage is a product of the community. As unspecified artifacts and natural objects are designated as cultural heritage, the cultural heritage goes through a social process to contain the social members' values. After World War II, the spread of "globalization" created the concept of "World Heritage": multiple countries united to preserve cultural heritage with universal value. Since its adoption in 1972, the UNESCO World Heritage Convention has led the globa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and extended its role from the national level to the level as "cultural heritage for all around the world." World Heritage has "Outstanding Universal Value" that is universally recognized. The party to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should describe and be recognized for outstanding universal value of the nation's cultural heritage, based on the World Heritage value suggested by the UNESCO. Once it is listed on the World Heritage List in recognition of its World Heritage value, its value is unchanged and fixed. Taking advantage of this, some countries move to formalize certain memories of the country through the listing, which, in particular, has escalated conflict over World Heritage in East Asia. As Sites of Japan's Meiji Industrial Revolution: Iron and Steel, Shipbuilding and Coal Mining was recently listed as a World Heritage Site, the conflict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has become a diplomatic issue. In addition, the Hiroshima Peace Memorial (Atomic Bomb Dome) and the Capital Cities and Tombs of the Ancient Koguryo Kingdom have prolonged the conflict in East Asia in a "war of memory" to officially preoccupy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memories and symbols contained in cultural heritage. This paper seeks to resolve constant conflict related to the World Heritage listing in East Asia, and analyzes whether the UNESCO World Heritage Convention truly creates cultural heritage practices for all of the world. For the two purposes, the concept of 'cultural heritage interpretation' is used as a research methodology. From a macro perspective, cultural heritage interpretation is included in all activities of attaching value to heritage. Although it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as a detailed research field in Korea, cultural heritage interpretation has steadily developed since the 1950s. Cultural heritage interpretation related to symbols and ideologies in cultural heritage has also changed its direction as society changes. As the distinction is not clear and the boundaries of the concept are ambiguous, this paper analyzes its clearer characteristics and presents the two major directions of cultural heritage interpretation. First, the initial cultural heritage interpretation is 'modern heritage interpretation', which is a communication process that conveys to the public the intentions and symbols of the subject group of valuing cultural heritage. The subject group mainly refers to the state or cultural heritage experts, and,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relative organizations such as the UNESCO creating cultural heritage discourse. Modern heritage interpretation mostly involves cultural heritage education and analysis of cultural heritage users. The researcher's main point of view is how to make the public understand and convey to them the value of cultural heritage including its beauty and grandeur. Second, "inclusive heritage interpretation" actively studied recently is intended to criticize the values, symbols, and representativeness of cultural heritage created by modern heritage interpretation and seek to derive the value of cultural heritage from a new perspective. The researchers criticize modern heritage interpretation while analyzing the nature of heritage that inherently has different values for different groups; seek consensus among groups by finding the value recognized by all stakeholders involved in heritage; and ultimately seek ways to resolve conflict and reconcile. Through this methodology, this paper analyzes the limitations of the approximately 50-year-old Convention and discusses the causes of three representative World Heritage conflicts in East Asia and the conflict situations at the time of listing. The UNESCO World Heritage Convention creates an internationally "authorized heritage discourse"; the World Heritage List tends to neglect the narratives of minorities in the process of valuing cultural heritage. This tendency appears during the preparation for the World Heritage listing as the process is led by the state. From a broader perspective, it is maximized by several dominant nations that lead public opinion in the UNESCO by establishing the criteria for value, that is universality and representativeness. The Convention, which has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heritage interpretation, has pursued inclusive heritage interpretation through a global strategy to overcome its limitations. While it has attempted to recover confidence in the World Heritage Listing through various improvements, it has a decisive inherent limitation that World Heritage value cannot encompass many conflicting narratives of a single heritage. In this sense, the conflicts caused by the World Heritage listing cannot be resolved in the regions including East Asia where the war of memory on historical facts has not ended. To address this in the context of East Asia, this paper conducted a Focus Group Interview (FGI) with World Heritage experts in Korea, China, and Japan. The interview has found the three countries have different degrees of awareness of the World Heritage conflict. Korean experts take the issue seriously due to the conflict arising in 2015 over Sites of Japan's Meiji Industrial Revolution: Iron and Steel, Shipbuilding and Coal Mining. On the other hand, Chinese experts do not feel the urgency to resolve the issue because their country has continuous conflicts with other countries; China appears to be watching as an observer the recent conflict over World Heritage in the region. Japanese experts show an objective view of the conflict caused by Japan's history revisionism and memory creation: cultural heritage is essentially the object of conflict, and it is not a special situation compared to other countries. However, all three countries more or less feel the need to resolve the conflict. For subject groups needed to deal with the conflict, it is difficult that the same groups engage together in a different situation in each country; it is necessary for a third party with no interest in the three countries to intervene and establish a solid cooperative relationship. The integrated regional identity peculiar to East Asia should be created to interpret the cultural heritage of East Asia in an inclusive way and settle the conflict. In order to form a new cultural heritage discourse in the regional context based on the identity and communicate to the public and establish the discourse, strategies for expressing cultural heritage should be developed in museum exhibitions and tourism industry. Conflict with other groups cannot be avoided as cultural heritage is created around the community. However, by understanding others from cosmopolitanism and increasing our tolerance toward cultural heritage through the inclusive approach, cultural heritage conflict not only in East Asia as but also around the world can be peacefully resolved. 인류는 오래 전부터 문화유산을 창출해왔다. 문화유산의 정의나 범주, 역할이 시대별로 변화하고 있지만, 문화유산이 공동체의 산물이라는 특성은 변함이 없다. 이미 불특정 인공물과 자연물이 문화유산으로 지정되는 과정에서 문화유산이 사회적 과정을 거치면서 사회구성원의 가치가 담긴 것이다. 그러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화’가 확산되면서 다수 국가가 연합하여 인류보편적 가치를 지닌 문화유산을 함께 보존하는 ‘세계유산’의 개념이 창출되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협약은 1972년 협약이 채택된 이래 지금까지 문화유산의 세계화를 주도하면서, 문화유산은 한 국가 차원에서 ‘전 세계 모두를 위한 문화유산’으로써의 역할로 확장되었다. 세계유산은 인류보편적으로 인정되는 ‘탁월한 보편적 가치(Outstanding Universal Value)’를 가진다. 세계유산협약 당사국은 유네스코에서 제시한 세계유산적 가치를 기준으로 국가의 문화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기술하고 그 가치를 인정받아야 한다. 하지만 일단 세계유산적 가치를 인정받아 세계유산목록에 등재되면, 그 가치는 변하지 않고 고정된다. 이러한 특성을 활용하여 몇몇 국가에서는 세계유산 등재를 통해 국가의 특정 기억을 공식화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난다. 동아시아에서는 특히 이러한 양상으로 인해 세계유산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최근 일본의 ‘일본의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 철강·조선·석탄산업’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되면서 한국과 일본의 갈등양상은 외교적 문제로까지 확장되었다. 그 뿐만 아니라 ‘히로시마 평화 기념관(원폭 돔)’ 그리고 ‘고대 고구려 왕국 수도와 묘지’는 문화유산에 내포된 기억과 상징을 국제사회에 공식적으로 선점하기 위한 ‘기억전쟁’으로 오랜 시간동안 동아시아의 갈등을 지속시켰다. 이에 본 연구는 동아시아 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세계유산 등재 관련 갈등 해결책을 모색하고, 그 과정에서 유네스코 세계유산협약이 진정으로 세계 모두를 위한 문화유산 관행을 창출하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두 가지 연구목적을 위해 연구방법론으로서 ‘문화유산 해석’의 개념을 활용하였다. 거시적 관점에서 보았을 때, 문화유산 해석은 문화유산에 가치를 부여하는 과정 속 모든 활동에 포함된다. 국내에서는 아직 세부 연구분야로 정립되지 않았지만, 문화유산 해석연구는 1950년대부터 지금까지 꾸준히 발전해왔다. 문화유산에 담긴 상징이나 이념 등이 연관되어 있는 문화유산 해석은 사회가 변화함에 따라 그 지향점도 함께 변화하였다. 하지만 그 구분이 뚜렷하지 않고 개념의 경계가 모호하여 본 논문에서는 보다 명확한 특성을 분석하고 크게 두 가지 문화유산 해석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첫째, 초기 문화유산 해석은 ‘근대적 문화유산 해석(modern heritage interpretation)’으로, 문화유산 가치화 작업의 주체 집단의 의도와 상징을 대중에 전달하는 커뮤니케이션 과정이다. 여기서 주체 집단은 주로 국가나 문화유산 전문가이며, 국제사회에서는 유네스코 등 문화유산 담론을 창출하는 관련 기관이 속한다. 따라서 근대적 문화유산 해석 연구는 주로 문화유산 교육이나 문화유산 소비자(user)에 대한 분석 등으로 진행되었다. 연구자의 주 관점은 문화유산의 아름다움이나 웅장함 등 그 가치를 어떻게 대중에게 이해시키고 전달하는지에 대한 것이었다. 둘째, 최근에 들어서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포용적 문화유산 해석(inclusive heritage interpretation)’ 연구는 근대적 문화유산 해석에서 창출된 문화유산의 가치, 상징과 대표성 등에 대해 비판하고 새로운 관점으로 문화유산의 가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포용적 문화유산 해석 연구자는 특히 문화유산이 본질적으로 여러 집단마다 다른 가치를 갖는 특성을 분석하면서 근대적 문화유산 해석을 비판하고, 문화유산에 연관된 모든 이해관계자들이 인정할 수 있는 가치를 찾아 집단 간 합의를 추구하며, 이를 통해 갈등을 해소하고, 화해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이러한 연구방법론을 통해 본 연구는 약 50년이 된 유네스코 세계유산협약의 한계점을 분석하고, 동아시아의 대표적인 세계유산 갈등 세 가지 사례의 원인 및 등재 당시의 갈등상황에 대해 논의하였다. 유네스코 세계유산협약은 국제적으로 ‘공인된 문화유산 담론(authorized heritage discourse)’을 창출하는 기관으로, 세계유산목록은 문화유산 가치화 과정에서 소수집단의 내러티브를 경시하게 되는 경향을 갖는다. 이러한 특성은 세계유산 등재가 국가 주도 하에 이루어지면서 등재 준비 과정에서부터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는 인류보편성과 대표성이라는 가치의 기준을 설정하여 유네스코 내 여론을 주도하는 몇몇 패권국가들에 의해 더욱 넓은 관점에서 극대화된다. 근대적 문화유산 해석적 특성을 가지는 세계유산협약은 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글로벌 전략을 통해 포용적 문화유산 해석을 지향하고자 하였다. 여러 개선을 통해 세계유산목록에 대한 신뢰성을 극복하고자 하였지만, 세계유산협약은 본질적 특성 상 단일 문화유산이 가지는 다수 내러티브의 대립을 세계유산적 가치에 모두 포함할 수 없다는 결정적인 한계를 가진다. 그래서 동아시아와 같은 역사적 사실에 대한 기억전쟁이 끝나지 않은 지역에서 세계유산 등재로 인해 발생하는 갈등을 해결할 수 없다. 동아시아 지역적 맥락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중국, 일본의 세계유산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분석 결과 3국은 세계유산 갈등에 대한 인식도의 정도가 달랐다. 한국 전문가들은 2015년부터 불거진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 갈등 등의 영향으로 동아시아 내 세계유산 갈등에 대해 매우 심각하게 느끼고 있었다. 반면에 중국 전문가들은 국가 내 타국과의 갈등이 끊임없이 생기는 국가적 특성에 따라 상대적으로 동아시아의 세계유산 갈등에 대해 문제해결의 시급성을 느끼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근의 동아시아 세계유산 갈등에 중국은 관찰자 입장으로 관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일본 전문가는 일본의 역사수정주의나 기억창출로 인해 벌어진 갈등에 대해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입장을 보였다. 특히 문화유산은 본질적으로 갈등이 생길 수 밖에 없는 대상이며, 다른 국가들과 비교하였을 때 특수한 상황이 아니라는 태도를 보였다. 하지만 정도의 차이일 뿐 3국 모두 갈등을 해결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주력 집단은 각국의 상황이 모두 달라 동일한 주체 집단이 함께 참여하는 것이 어려우며, 3국에 이해관계가 없는 제3의 집단이 개입하여 단단한 협력관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동아시아의 문화유산을 포용적으로 해석하고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동아시아만의 통합적 지역 정체성을 창출해야 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적 맥락에서 새로운 문화유산 담론을 형성하고, 이를 대중에게 전달하고 정립하기 위해 박물관 전시 및 관광 산업 등에서 문화유산 표출 전략을 구축해야할 것이다. 문화유산이 공동체 중심으로 그 가치가 창출됨에 따라 타집단 간의 갈등을 피할 수는 없다. 하지만 세계시민주의적 관점에서 타인을 이해하고 범공동체적 접근을 통해 문화유산에 대한 포용력을 높이므로써 동아시아뿐 아니라 지금도 세계 곳곳에서 일어난 문화유산 갈등이 평화적으로 해소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지방자치단체의 문화재 활용 사업 활성화 방안 연구 : 대전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이승오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문재인 정부는 2017년 10월 지방분권 공화국을 국정목표로 삼겠다고 발표하였다. 지방분권을 위해 지방분권 개헌 추진과 4대 자치권(입법, 행정, 재정, 복지)의 부여와 지방정부로의 명칭 변경을 헌법에 명문화하자는 주장을 하였다. 이후「중앙행정권한 및 사무 등의 지방 일괄 이양을 위한 물가안정에 관한 법률 등 66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 일명 ‘지방이양일괄법’이 통과되었다. 지방이양일괄법은 중앙정부의 사무권한을 지방자치단체(이하 지자체)로 이양하기 위해 필요한 법률의 개정사항에 대해 하나의 법률에 모아 일괄적으로 이양하는 방식으로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중앙정부의 권한을 지자체로의 이양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지방분권으로 인한 정치적, 행정적인 관심과 확대, 변화는 문화재 행정과 정책에 있어서도 기존의 패러다임에 변화를 불러온다. 지방분권은 이러한 위임사무를 지자체 사무로 변경하고 중앙정부와의 사무를 명확히 구분되게 할 것이며, 이는 문화재 행정과 정책에 새로운 체계 정립의 필요를 요구하게 한다. 이런 측면에서 본 논문은 앞으로 지방자치단체의 문화재 활용 사업에 대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논지를 전개하였다. 첫 번째, 문화재 활용의 개념과 범주, 문화재 보존과 활용에 관한 법령과 제도, 정부의 정책에 대해 고찰하였다. 두 번째, 지방자치단체 중 대전광역시의 문화재 활용 사업을 분석하였다. 2018~2021년 동안 추진된 문화재 활용 사업을 국고 보조금 사업과 자체사업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대전광역시는 국고 보조금 사업 외에 4개의 자체 사업을 공약 및 조례 마련을 통해 추진 중에 있다. 세 번째, 지방자치단체의 문화재 활용 사업 개선 및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지방자치단체의 정책과 예산 지원의 근거인 조례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새로운 조례의 제정보다는 기존의 유사한 조례를 개정함으로써 문화재 활용 사업의 추진 및 예산 근거를 마련토록 하였다. 다음으로 문화재 활용 사업의 지원을 위한 관련 기관의 연계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문화재단, 박물관, 문화원과 같은 기관과 연계를 통해 문화재 활용 사업을 활성화 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 수 있도록 하였다. 네 번째, 문화재 활용 사업의 기초 조사와 연구 및 개발을 위해 지역학 연구와 지역의 역사편찬위원회와 문화재 부서, 박물관의 역할 분담을 나누고, 다양한 문화재와 수요계층에 적합한 맞춤형 콘텐츠 개발과 지원 등의 수립의 필요가 있음을 언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재 활용 지원 근거 조례 개정, 지원을 위한 관련기관 연계 운영, 콘텐츠 개발 관련 기초 조사 연구 및 개발 등을 통한 지방자치단체의 문화재 활용 사업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In October, 2017, the Moon Jae-in government announced that one of its goals for state affairs would be to build a decentralized republic, arguing for a constitutional amendment for decentralization, four autonomous rights(legislation, administration, finance, and welfare), and stipulation of a name change to local government in the Constitution. Later, the "Legislative Bill for the Partial Revision of 66 Acts including Act on Price Stabilization for the Collective Local Transfer of Central Administrative Rights and Clerical Work" or "Collective Local Transfer Act" was passed. The Collective Local Transfer Act proposes an approach to gather revisions needed to transfer the clerical authority of the central government to a local government into a single act for collective transfer. Its goal is to promote the fast and effective transfer of rights from the central government to a local government.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interest, expansion, and changes due to decentralization also bring changes to the old paradigms of cultural properties administrations and policies. Decentralization will change such commissioned work to local government work and distinguish clerical work clearly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a local government, raising a need to establish a new system for cultural properties administrations and policies. In this aspect, the present study developed the following points of argument to propose plans to vitalize cultural property utilization projects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Firstly, it examined the concept and scope of cultural property utilization, laws and systems about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cultural properties, and government policies. Secondly, it analyzed cultural property utilization projects by Daejeon Metropolitan City, one of the local governments in the Republic of Korea. Its cultural property utilization projects of 2018~2021 were divided into those that received national funds and those that were supported by the Daejeon government for analysis. The Daejeon government are implementing four projects in addition to those supported by national funds by making a pledge and establishing an ordinance. Thirdly, it proposed plans to improve and develop cultural property utilization projects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It mentioned a need for ordinances as grounds for policy and budget supports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The revision of old similar ordinances is preferred to the enactment of new ones to push forward cultural property utilization projects and establish grounds for their budgets. The study also proposed management plans to connect with related agencies to support cultural property utilization projects so that conditions could be created to vitalize cultural property utilization projects based on their connections with such institutions as cultural foundations, museums, and cultural centers. Finally, it raised a need to divide roles among Locality Studies, local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s, cultural asset departments, and museums for the basic survey, research, and development of cultural property utilization projects and also develop and support custom content fit for various cultural assets and users. The present study proposed a set of plans to vitalize cultural property utilization projects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by improving the ordinances as grounds to support the utilization of cultural properties, connecting their management to related agencies for further supports, and carrying out basic survey, research, and development to develop content.

      •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최적설계에 관한 연구

        김동건 경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Recently, climate change issues such as sea level rise and climate change are gaining momentum. 195 countries around the world, including Korea, are making efforts to jointly respond to climate change by adopting the Paris Agreement. The government has set a high goal of increasing renewable energy by 20% by 2030. It aims to be carbon neutral by 2050. As a result of continuous efforts to realize the goals of the government's energy policy, the share of new and renewable energy generation has increased by 4 times compared to 10 years ago, and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ies have exceeded 19 times. As such,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acilities can be said to be the most popular renewable energy source because they have the highest potential and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supply as a clean energy source among new and renewable energy.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mount of power generation in a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because its efficiency is greatly influenced by natural conditions, azimuth angle, inclination angle, shadow influence, system configuration module, and inverter. Through this study, we analyzed the influence of azimuth, inclination, etc., which exert the maximum efficiency of the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at a specific place, and conducted research to help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y to be installed later. In this paper, the simulator of the PVsyst program developed by the University of Geneva, Switzerland, a powerhouse in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ies, was used for simulation analysis of solar power generation. One year of data and simulation data of existing solar power plants were compared. Data of 5.4 errors in annual power generation were obtained. In addition, design elements of currently operating solar power plants were changed. As a result of the simul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direction of the sun was biased toward the east at the simulation loc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maximum power generation was generated when the design elements were changed to azimuth angle -1.7˚~ -1.8˚ and inclination angle 29.7˚~ 30.0˚. In addition, the error between the commonly used separation distance formula and the simulation data was confirmed. It was confirmed that the maximum amount of power generation can be generated by applying a margin factor of about 1.14 in the formula.

      • 한국민속촌의 전통문화 콘텐츠 발굴 및 활용 증대 방안

        이현주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Since the emergence of cultural contents in the 1990s, Korea has established th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and carried out a “Digitalization of Cultural Archetype”, and policy moves have begun to excavate cultural contents. As research on cultural content gradually progressed, and the concept and scope of cultural content changed, cultural content became an inseparable part of daily life. In addition, due to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and technology, the implementation methods of cultural content continue to diversify and expand. Traditional culture is a cultural archetype that becomes the creative material of these cultural contents. In cultural contents research and various projects, traditional culture was noted as the cultural archetype of cultural contents. Traditional culture is an important part of the cultural archetype of cultural contents, and cultural contents is created in various forms and contents based on traditional culture. In particular, as cultural contents is a term that emerged with the spread of the Korean Wave, various projects of cultural contents in the early days focused on traditional culture. Traditional culture is a tangible and intangible product that has been transmitted for a long time in the community, and it forms our identity and life and is an important part that sometimes distinguishes us from others, so we must preserve and transmit this traditional culture. The most important part of transmission traditional culture is that people living in this era should have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and come into contact with it. The reality is that some parts of traditional culture are separated from everyday life and are gradually disappear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ut traditional culture into daily life so that people can come in contact with it, and at this time, cultural contents can play such a role. Due to the expansion of transmission, excavation, and utilization of traditional culture, various utilization sites have appeared in Korea for cultural heritage, such as regional festivals, Royal Culture Festival, Saengsaeng Cultural Properties, and Cultural Heritage Night. In addition, the number of theme parks in Korea is increasing recently through the opening of new theme parks based on history and culture or the expansion of existing tourist attractions. However, although numerous festivals across the country name local traditional culture and specialties, there are limitations in properly promoting their value. Representative problems include overly biased tourism, similarities due to similar festivals, internal stability in a hurry to show, and lack of expertise due to a serious lack of professional manpower. The Korean Folk Village provides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that are differentiated from other places in every season, solar term, and various holidays, focusing on traditional culture. Therefore, this thesis analyzed the background, transition process, and status of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over the past decade, and suggested ways to excavate and increase the use of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in the Korean Folk Village in the future. 1990년대 문화콘텐츠의 등장 이후 우리나라에서는 한국콘텐츠진흥원을 설립하고 문화원형 디지털 콘텐츠화 사업을 진행하면서 문화콘텐츠 발굴을 위한 정책적 움직임이 시작되었다. 점차 문화콘텐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문화콘텐츠의 개념 및 범위가 변화하면서 문화콘텐츠는 일상생활과 떨어트릴 수 없는 삶의 한 부분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또한 사회환경과 기술의 변화로 문화콘텐츠의 구현방식은 계속해서 다양해지고 확장되고 있다. 전통문화는 이러한 문화콘텐츠의 창작소재가 되는 문화원형이다. 문화콘텐츠 연구와 다양한 사업에서도 문화콘텐츠의 문화원형으로서 전통문화를 주목했다. 전통문화는 문화콘텐츠의 문화원형 중 중요한 부분으로서 문화콘텐츠는 전통문화를 기반으로 다양한 형태와 내용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특히 문화콘텐츠는 한류의 확산과 함께 등장한 용어인 만큼 초기 문화콘텐츠의 다양한 사업들은 전통문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전통문화는 공동체에서 오랜 시간 동안 전승되어 내려온 유·무형적인 소산으로 우리의 정체성과 삶의 모습을 형성하고 때로는 다른 사람들과 구별되게 하는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우리는 이러한 전통문화를 보존하고 전승해야만 한다. 전통문화를 전승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지금 시대를 살고 있는 사람들이 경험하고 접할 기회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전통문화 중 일부분은 일상생활과 괴리되어있고, 점차 소실되어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전통문화를 사람들이 접할 수 있도록 일상 속으로 넣어주어야 하는데 이때 문화콘텐츠가 이러한 역할을 해줄 수 있다. 전통문화의 전승과 발굴, 활용의 확대로 인하여 국내에는 전국의 지역축제와 궁중문화축전, 생생문화재, 문화재야행 등 문화유산을 대상으로 다양한 활용 현장들이 등장하였다. 또한 최근 국내에는 역사문화를 기반으로 테마파크들이 새롭게 개장하거나 기존 관광지의 확장을 통해 그 수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전국의 수많은 축제가 지역 전통문화와 특산물 등을 이름 걸고 있지만 그 가치를 제대로 알리는 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지나치게 치우쳐진 관광성, 비슷한 축제들로 인한 유사성, 보여주기에 급급한 내실성, 심각한 전문인력 부족으로 인한 전문성 부족 등이 대표적인 문제라고 할 수 있다. 한국민속촌은 전통문화를 중심으로 매 계절과 절기, 각종 공휴일 등에 다른 곳과 차별화되는 전통문화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역사문화 테마파크를 대표하는 전통문화의 활용현장으로서 한국민속촌의 전통문화 콘텐츠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한국민속촌의 건립 배경과 변천과정, 최근 10년간의 전통문화 콘텐츠 현황 실태를 분석하였고, 문제점 및 한계를 도출하여 향후 한국민속촌 전통문화 콘텐츠의 발굴 및 활용 증대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