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yclophilin B – Smad Ubiquitination Regulatory Factor2 Complex DownRegulates Casein kinase 1 alpha protein level through proteasomal degradation

        이영석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Casein Kinaes 1 alpha (CK1α) is serine/threonine-selective protein kinase that function as regulator of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CK1α is a negative regulator of Wnt/beta-catenin signaling via regulating the level of beta-catenin. CK1α is also known to phosphorylate key regulator protein involved in cell differentiation, proliferation, DNA repair and transcription. Therefore, controlling the protein level of CK1α is a critical step for regulating Wnt/betacatenin signaling. Cyclophilin B(CypB), a molecular chaperon, is involved in Smad ubiquitination regulatory factor 2(Smuf2), E3 ligase, degradation of CK1α. CypB-Smurf2 complex downregulates the protein level of CK1α through proteasomal degradation.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controlling the protein level of CK1α. Preferentially, HEK293T cells were transfected with CypB and Smurf2 for 24 h and mRNA and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CK1α was measured by RT-PCR and western blot analysis. As for CK1α, the mRNA levels were not affected by expression levels of CypB and Smurf2. However, Intersetingly, CK1 α protein level is decreased. Also, the interaction among CypB, Smurf2 and CK1α was confirmed by immunoprecitipation assay. Moreover, The ubiquitination assay show that CypB-Smurf2 complex increase the ubiquitination of CK1α. Overall, we present the novel mechanism that CypB-Smurf2 associates down-regulates the protein level of CK1α.

      • 원발성 월경통을 가진 여성에게 미세전류 전기치료가 통증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원발성 월경통에 미세전류 전기치료가 미치는 영향

        권민경 중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과정 2024 국내석사

        RANK : 247599

        원발성 월경통을 가진 여성에게 미세전류 전기치료가 통증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원발성 월경통은 월경 중 원인 없이 발생하는 고통스러운 통증을 말하며, 전 세계적으로 상당수 여성의 삶의 질을 크게 저하시킨다. 본 연구의 목적은 원발성 월경통으로 고통받는 여성에게 미세전류 전기치료가 통증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 는 원발성 월경통으로 진단받은 20∼30세 사이의 여성 40명을 모집하였고 실험군과 위약군 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실험군 참가자들은 4주 동안 매일 30분씩 저강도 미세전류 전기 치료를 적용하였고, 위약군은 실험군과 동일하게 적용하였으나 통전되지 않았다. 실험군의 미세전류 전기치료 강도는 25 μA, 주파수는 8 Hz였다. 중재는 월경 사이에 시행되었으며, 시간에 따른 통증과 삶의 질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중재 전, 4주 후, 12주 후 총 3회 평가하였다. 통증은 시각적 아날로그 척도, 통증 파국화 척도, 월경증상 측정 도구를 사용 하여 평가하였고, 삶의 질은 상태 불안 척도, 스트레스 반응 척도, 월경 곤란증 척도, 우울 측정 도구를 통해 평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 두 집단 모두 통증을 평가한 시각적 아날로그 척도, 통증 파국화 척도, 월 경증상 측정 도구의 점수가 중재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지만(p<0.017), 두 집단 간 중재 전 후 차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17). 두 집단 모두 삶의 질을 평가한 상태 불안 척 도, 스트레스 반응 척도, 월경 곤란증 척도, 우울 측정 도구의 점수가 중재 후 유의하게 감 소하였고(p<0.017), 두 집단 간 중재 전후 차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7). 따라서 미세전류 자극은 원발성 월경통을 가진 여성의 통증과 삶의 질을 개선시킬 수 있 으며, 특히 삶의 질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추후 원발성 월경통이 있는 여성의 통증 및 삶의 질에 대한 미세전류 전기치료의 최적의 적용 강도와 주파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주요어 : 월경통, 통증, 삶의 질, 미세전류, 전기자극 Primary dysmenorrhea is a painful condition that occurs without cause during menstruation and significantly reduces the quality of life of the women worldwi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microcurrent electrotherapy on pain and quality of life in women suffering from primary dysmenorrhea. This study recruited 40 women between the ages of 20 and 30 diagnosed with primary dysmenorrhea and randomized them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placebo group.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low-intensity microcurrent electrotherapy for 30 minutes daily for 4 weeks, while the placebo group received the same treatment as the experimental group, but without electricity. The microcurrent electrotherapy intens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25 μA and the frequency was 8 Hz. The intervention was performed between menstrual periods, and three assessments were conducted baseline, after 4 weeks, and after 12 weeks to evaluate changes in pain and quality of life over time. Pain was assessed using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Pain Catastrophizing Scale (PCS), and Menstrual Symptom Questionaire (MSQ), and quality of life was assessed using the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 (STAI), Stress Response Inventory (SRI), Menstrual Distress Questionaire (MDQ), and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CES-D). This study found that scores on the VAS, PCS, and MSQ which assessed pain,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intervention in both groups (p<0.017),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p>0.017). The scores of the STAI, SRI, MDQ and CES-D, which assessed quality of life,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intervention in both groups (p<0.017),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p<0.017). Therefore, microcurrent stimulation can improve pain and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primary dysmenorrhea, and it was particularly effective in improving quality of life. Future studies are needed to determine the optimal application intensity and frequency of microcurrent electrotherapy for pain and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primary dysmenorrhea. Key words: dysmenorrhea, pain, quality of life, microcurrent, electrical stimulation

      • CypB Overexpression Protects PC12 cells from Beta Amyloid Induced Apoptosis through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and Phosphoinositide 3-Kinase Pathways

        오유정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Beta amyloid(25-35) accumulation is the main cause of Alzheimer's Disease and cyclophilin B is a possible therapeutic compound. Cyclophilin B have shown protective effect of beta amyloid(25-35) compound through the MAPK and PI3-K pathways.

      • 스토리텔링과 지자체 캐릭터디자인의 상호연관성에 관한 연구 : 성남시 캐릭터디자인 개발을 중심으로

        이선화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Now when local autonomy is in the stage of settlement since it took root in Korea decades ago, economic independence and differentiated competitiveness of local autonomous governments have become an urgent problem to be solved. Thus, each local autonomous government has attempted a variety of policies and promotional strategies in order to attract more companies and make effective use of tangible and intangible assets to create added value. As part of this effort, each local autonomous government introduced symbols like CI(Corporate Identity), BI(Brand Identity), and Character. This attempt contributed to integrating local residents internally and attaining an effect of invigorating local economy externally. Unlike CI and BI, character has features as a medium of creating various kinds of added value. However, characters of so many local governments have low applicability and some limitations in terms of OSMU(One Source Multi Use). The reasons are as follows: The first reason is lack of professionalism in character planning. Most of them approached character based on the concept of ‘CI and BI’. Symbols including CI, BI, and character consist of 'visual image' (signifier) externally and 'meaning' (signified) as message intended to be delivered internally. If CI and BI are implicative visual language, ‘character’ can be seen as subjective emotional visual language. In reality, ‘CI and BI’ and 'character have quite different characteristics. However, most of local governments are developing character in the same way as CI and BI expressing local specific theme or ideology in an implicative manner. As a consequence of this approach to character planning, most characters have external properties as character, but they lack internal properties as character. Only when character has actual background and setting as well as visual image, does it become a true character with life force. The second reason for low applicability of developed characters is that most local autonomous entities prefer brand because of city brand development boom continued since 2005 (for example, Hi Seoul, BIG Chungbuk). With these problems, characters of many local governments are not now performing their own function and role as effectively as expected, indeed. Thus, this phenomenon is considered to lead to budget and manpower waste. To overcome this problem, character development should follow an approach different from CI and BI, from planning phase to promotion phase. This paper points out that storytelling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which grants a close feeling and charm to character. Storytelling, which is characterized by appealing to customers' emotion effectively in the age of new emotion, is communicating with consumers as a new strategy of digital culture through interaction with many different media on the basis of swiftness, flexibility in variation, and accessibility. Elements necessary for successful storytelling include possibility of expanding or developing a story based on local reality, active communication, etc. Character development must reflect elements necessary for successful storytelling. To represent regional features, character must be granted an image suited for the region. Thus, this study developed character of Seongnam city by applying elements necessary for successful storytelling and considerations for improving problems shown in characters of local autonomous entities in the country, and surveyed interrelations between storytelling and character of local autonomous entity with a group of experts and interested parties (citizens and public servants of Seongnam City, and character exper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 With regard to character with storytelling based on a traditional tale of the region, they showed high level of preference and satisfaction in that it is easy to remember and possible to raise the understanding about the region. - They said that character with storytell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region's image and promoting harmony and pride among residents. - They had an opinion that character of local autonomous entity characterized by OSMU(One Source Multi Use) is useful in invigorating local economy. Local autonomous entities must develop character by applying storytelling. If they develop sub-characters as well as a main character, they will be able to create varied stories. As features and a close feeling related to character are not formed in a short time, it is possible to achieve desired effects when they manage it consistently for a long time. As described above, this paper was designed to present an effective character development model, which can promote sense of pride and belonging of residents with improvement of local autonomous entity, and ultimately make contributions to local economy. Key word : local autonomous entity, storytelling, character design, brand design, OSMU 지방자치 시대가 열리고 정착함에 따라 지역의 경제자립과 차별화된 경쟁력은 가장 중요한 당면 과제가 되었다. 각 지자체들은 더 많은 기업을 유치하고 지역의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지역의 유⋅무형 자산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여러 정책수립 및 홍보 등의 방법들을 동원하였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CI(City Identity), BI(Brand Identity), 캐릭터(Character) 등의 상징물을 도입하였다. 이는 지역의 내부적으로는 지역민의 통합에 기여하고 외부적으로는 도시경제를 활성화하는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캐릭터는 CI, BI와 다르게 다양한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매체로서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각 지자체의 캐릭터들은 활용도가 낮으며 OSMU(One Source Multi Use)측면에서도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캐릭터 기획의 전문성 부족이다. ‘CI, BI’와 ‘캐릭터’를 동일한 개념과 접근방식으로 기획한 것이다. CI, BI, 캐릭터 등의 상징물은 외형적으로는 ‘시각적 이미지’(기표: 記表)와 내면적으로는 전달 하고자 하는 메세지인 ‘의미’(기의: 記意)로 구성 되어 있다. 여기서 ‘CI와 BI’를 함축적인 시각언어라고 표현한다면 ‘캐릭터’는 구체적이고 주관적인 감성적 시각 언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CI, BI’와 ‘캐릭터’는 상반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지역의 특성화된 소재와 지향하는 이념들을 함축적인 방법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CI, BI와 동일하게 함축적인 방법으로 캐릭터를 개발하고 있다. 그렇게 개발한 결과 캐릭터의 외형적인 면에서는 캐릭터의 특성을 가졌지만 내적인 면에서는 캐릭터로서의 성격을 가지지 못한 것이다. 캐릭터는 시각 이미지 이외에 메세지인 이야기가 있어야 생명력 있는 캐릭터로 거듭나게 되는 것이다. 둘째, 2005년부터 시작된 도시브랜드(예: Hi서울, BIG충북)의 개발 붐으로 인해 대부분의 지자체는 브랜드를 선호하고 있어 현재 제작되어 있는 캐릭터의 활용도가 낮은 편이다. 이와 같은 문제들로 인하여 현재 우리나라의 각 지자체 캐릭터들은 그 효과와 역할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결국 이러한 현상은 예산 낭비와 인력 낭비, 수익 손실이라는 현실적인 문제로까지 직결 되어 진다고 볼 수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먼저 캐릭터를 개발할 때에 기획과 홍보 마케팅에 이르기까지 ‘CI, BI’와는 다른 개념과 접근방식으로 개발해야 한다. 그리고 캐릭터를 친근감 있고 매력 있게 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인 스토리텔링을 적용하는 것이다. 스토리텔링은 새로운 감성의 시대에 소비자의 감정에 적극적으로 호소하는 특성을 가졌고 디지털 매체의 신속성, 변형의 유연성, 접근성을 바탕으로 여러 매체와 상호작용을 하여 디지털 문화의 새로운 전략으로 소비자와 소통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캐릭터를 개발하여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첫째,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국내외 상징디자인의 성공사례에서 추출된 스토리텔링의 성공요소들과 우리나라 지자체 캐릭터에서 나타난 문제점의 개선한 사항을 적용하여 성남시를 대상으로 캐릭터를 개발하였다. 둘째, 개발한 캐릭터를 검증하기 위해 전문가 집단 및 이해 관계자(성남시민, 성남시 공무원, 캐릭터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스토리텔링과 지자체 캐릭터의 상호연관성을 조사, 분석 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재 전국의 지자체 캐릭터의 표현 소재별 분류에서 ‘상징 동식물’과 ‘특산물’이 소재로서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본 연구의 설문조사에서는 ‘지역설화’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캐릭터의 디자인 개발 시안에서도 ‘삼천갑자 동방삭’의 설화를 활용한 캐릭터가 선정되었다. 지역의 독특한 특징과 긍정적인 인식을 부여하는 캐릭터의 소재로 지역설화의 적합성과 앞으로 지자체 캐릭터의 선정기준이 조형적 심미성보다 내용적인 면인 스토리텔링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또한 해당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바탕으로 한 스토리텔링을 적용하여 지자체 캐릭터를 개발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렇게 스토리텔링을 적용하여 개발된 캐릭터는 OSMU로서 활용면에서도 유용하며 지역이미지 개선에도 도움이 된다. 그리고 지자체 캐릭터의 홍보 방법으로 성남시민은 ‘신문과 잡지’를 선택했으며 성남시 공무원과 전문가(디자이너)는 ‘인터넷’을 선택하였다. 캐릭터를 아무리 잘 만들었어도 알려지지 않으면 소용이 없기 때문에 지자체 캐릭터의 홍보는 중요하다. 이와 같이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지자체 캐릭터가 지속적이고 장기적으로 관리될 때 캐릭터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스토리텔링을 적용하여 지자체 캐릭터를 개발함으로서 지자체의 이미지 향상과 더불어 지역 주민의 자긍심과 소속감을 높이고 궁극적으로는 지역의 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효과적인 지자체 캐릭터가 개발되야 할 것이다.

      • 인터랙티브 북디자인에 대한 개발 연구 : 기후변화를 중심으로

        손이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고의 목적은 기후 변화를 주제로 하여 인터랙티브 북 디자인을 개발하는 것이다. 인터랙티브 북 디자인은 단순한 시각 효과를 넘어 생생하고 입체적인 감각 체험을 통해 책이 드러내고자 하는 바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게 해준다. 이를 활용하여 현대에 가장 문제시되고 있는 기후 변화에 대한 문제의식을 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환경 문제가 인간 생존의 차원에서 가장 첨예하고 급한 사안이라면, 그것을 다루는 사상과 철학·과학·문학 등을 담은 책이 사회의 주요 현안으로서 기후 변화 인식과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자면 자연과 인간, 인간과 책, 책과 북 디자인이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에 놓여 있다면 ‘자연-인간-책과 북 디자인’이라는 도식화된 논리로도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오감과 상호 작용성이라는 인터랙티브 북 디자인 개념을 적극 차용한다. 이는 책 자체의 감각적 요소인 시각·촉각·청각·후각·미각 등이 책 내용과 책의 물질적 재료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에서 착안한 것이다. 또한 인간의 신체적 감각은 정서와 관계성이 깊은데, 신체적 감각의 확장으로서 디지털 미디어를 상정할 수 있다면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감각과 정서의 융합이라는 새로운 가능성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도 본 연구의 핵심 아이디어가 되었다. 이러한 논지에 따라 본고는 기후 변화 인식을 중심으로 인터랙티브 북 디자인에 대한 개발을 어떻게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실천적 연구를 진행했다. 먼저 기후와 관련된 자료를 기반으로 극지 생태계, 해양 생태계, 육지 생태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기후 변화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국가와 비정부 기구, 개인 차원의 대책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북 디자인의 역사와 현재, 미래를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북 디자인에 대한 선행 연구와 트렌드 예측을 정리하면서 독서 매체가 다양해지는 이 시대의 인터랙티브 북 디자인 개발과 연구의 가치를 재확인하였다. 인터랙티브 북 디자인을 감각적 인터랙티브 북 디자인과 새로운 기술을 차용한 뉴미디어 인터랙티브 북 디자인으로 나누었다. 감각적 인터랙티브 북 디자인은 책을 만드는 소재의 특성을 적극 활용하였다. 기후 변화의 주제를 잘 표현하기 위해 재활용 플라스틱, 의류 등으로 북 커버를 제작하였다. 일상의 친숙한 재질을 북 디자인에 활용할 수 있다는 상징성을 넘어, 기후 변화 인식을 제고할 수 있게 하였다. 뉴미디어 인터랙티브 북 디자인에서는 3차원적인 동태 일러스트레이션과 동영상을 활용하는 증강 현실 기술을 접목하였다. 이를 통해 가상 공간에서 생생한 현실감을 체험할 수 있게 했다. 이상과 같이 기후 변화, 북 디자인, 인터랙티브 북 디자인의 세 가지 개념적 측면을 설정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실제 인터랙티브 북 디자인의 컨셉·북 커버 디자인·편집·제작 등의 과정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기후 변화 인식이 반영된 5개의 감각적 인터랙티브 북 디자인과 1개의 뉴미디어 인터랙티브 북 디자인을 결과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기후 변화에 대한 현대인의 인식과 북 디자인의 개념, 디지털 미디어의 시각디자인적 활용, 디자인 인터랙티브의 관계성 등을 고찰하여 실제 인터랙티브 북 디자인을 형상화하는 데 주력하였다. 기후 변화의 인식과 관련된 실제적인 북 디자인을 통해 시각디자인의 사회적 책무까지도 고려할 수 있는 성찰적 바탕을 기대해볼 수 있을 것이다.

      • 스마트폰 환경에서 국내 주요 포털사이트 애플리케이션 UX·UI 디자인에 대한 연구

        김선형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Currently the public can easily access contact radical development of a wide variety of platforms and devices, the popularity of such devices spread of the internet environment semiconductor technology. Especially the function of the phone character transmission in the case of default by a smartphone. it is actually the highest penetration, especially in easy – to – use equipment. 2013 According to the <Mobile Use Survey> conducted by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who han been investigating the most time that you are using to search via mobile internet. Role of internet information search portal site has been carried out. with the release of the smartphone offers a portal application (application) services in the smartpgone environment. The portal service is started early and provided the services of a search engine and a personal email, in addition, proactive information about the queries scored the week, however, recent feature of the portal is gradually expanded recently, weather, online shopping, stock and mapping services, personal blogs, and also offers a variety of services. This trend demonstrates that a variety of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domestic users, User information such ad user experience reflecting mind considering efficient phones and UX design environment in order to provide a variety of forms and based on the intuitive access to the user is developed through the study design of the UI. In this study, the profiles were produced by deriving the structures and elements through a theoretical study of portal applications, UX, UI design the smartphone environment. in particular, UX design was attemptedIR analysis process to analyze th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of the portal site. Positive revenue structure for this age to the portal site, was selected in the selection and use gender session concerns of the later with the search, information retrieval process. A pilot study to each portal site, application analysis for each device on the environment to check through the gap to dividing them into Samsung Galaxy S device, the Apple iPhone 5s and 5Analyzed. But in addition to the navigation of the difference could not find a difference. Therefore, the second round of applications each portal site from the analysis ux, ui the proceeded to focus on the Analysis of design. Result analysis, design information in the design, and navigation design appears as a consequence of the same item. Color the identity of each portal site, in designing ui, graphics and typography, layout and a color except the one that the results with the same thing appeared. On the other hand, UX Providing were burnt to the information developed by its portal site NAVER in design information in the design items appeared with the DAUM with. NATE and design appears to be the same item, following informations, this part of the world-beating share appears to have contributed in NAVER. In this way, each portal site, application of the UI, UX design analysis The difference is very subtle as a studied. These results are the difference by device compatibility with portal sites and those from environment seems it applies for, the smart phone applications not discrimination in mind. The result of indiscriminate development, to be able to tell you. In this paper, organize these results presented ways to improve by item of each UI, UX. Suggestions of Improvements to show for each item at this research portal site, and increase the usability and efficiency of the application and to help to discrimination, to ensure the thing. This will be the next Web porta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application, besides UI, UX of enduring work will be necessary in design prospects. 현재 대중들은 인터넷 환경, 반도체 기술의 급진적인 발달과 그러한 기기 보급의 대중화로 다양한 플랫폼의 디바이스를 손쉽게 접하고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전화통화, 문자전송의 기능을 기본으로 한 스마트폰(Smart Phone, 이하 스마트폰)의 경우 특히 사용이 용이한 장비로, 실제로 보급률이 가장 높다. 스마트폰의 용도로는, 2013년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실시한 <모바일인터넷 이용실태조사>에 따르면 가장 많은 시간을 모바일 인터넷을 통한 정보 검색에 사용한다고 조사되었다. 인터넷 정보 검색의 역할은 포털사이트가 수행하고 있으며, 스마트폰의 출시와 더불어 스마트폰 환경에서 포털사이트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포털사이트 서비스 시작 초반에는 검색 엔진과 개인 메일 정보의 서비스를 제공했으며, 검색어에 대한 사전적인 정보가 주를 이뤘다. 그러나 최근 포털사이트의 기능은 점차 확대되어 최근에는 날씨, 온라인쇼핑, 주식과 지도서비스, 개인 블로그 등 다양한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정보의 종류가 무척 다양해졌다는 것을 반증한다. 이런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환경을 고려하여 사용자 경험을 반영한 UX(User Experience, 이하 UX)디자인과, 사용자의 직관적인 접근을 염두에 둔 UI(User Interface, 이하 UI) 디자인 연구를 통해 개발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환경에서 포털사이트 애플리케이션 UX·UI디자인의 이론 연구를 통해 각 구조와 요소를 도출하여 분석표를 제작하였다. 특히 UX디자인의 경우 포털사이트의 정보 제공방식을 분석하기 위해 정보 검색 과정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포털사이트 수익구조에 긍정적인 연령, 성별층을 선정하고 해당층의 관심사를 검색어로 선정, 정보 검색 과정에 활용하였다. 선행 연구로 각 포털사이트 애플리케이션 분석을 기기별 환경 차이를 통해 확인하기 위해 삼성 갤럭시 s5와 애플 아이폰5s 두 디바이스로 나눠 분석하였으나, 내비게이션의 차이점 외에 별다른 차이점을 찾을 수 없었다. 따라서 2차 분석에서는 각 포털사이트 애플리케이션의 UX·UI디자인 분석에 초점을 맞춰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UX디자인에서는 정보설계, 내비게이션 디자인 항목이 동일한 결과로 나타났다. UI디자인에서도 각 포털사이트의 아이덴티티 컬러를 적용한 색 항목을 제외하고 레이아웃, 그래픽, 타이포그래피 항목은 결과가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UX디자인의 정보디자인 항목에서 네이버가 자체 개발한 정보제공방식이 타 포털사이트와의 차이점으로 나타났다. 네이트와 다음의 정보디자인 항목은 동일한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 부분이 네이버의 독보적인 점유율에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각 포털사이트 애플리케이션의 UX·UI디자인 분석 결과 그 차이점이 매우 미비한 것으로 연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기별 차이에 대한 호환성은 적용된 것으로 보이나, 스마트폰 환경과 타 포털사이트 애플리케이션과의 차별성을 염두에 두지 않은 무분별한 개발의 결과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정리하여 각 UX·UI항목별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각 항목별로 제시한 개선 방안이, 포털사이트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성과 효율성을 상승시키고, 차별성을 확보하는 것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이것은 향후 포털사이트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에 기여할 것이고, 더불어 UX·UI디자인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전망한다.

      • 미국 온라인저널리즘에 나타난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과 시각적 요소 연구

        김미나 단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디지털 미디어의 발달은 웹 환경의 대중화를 이루면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게 했다. 이용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은 물론이고, 이용자와 미디어 간의 커뮤니케이션까지도 미디어를 통해 가능하게 되었다. 특히 디지털 미디어는 온라인을 통해 오프라인에서 제공할 수 없는 방대한 정보의 데이터베이스 활용·저장 능력이 극대화 되어 실시간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이용자는 직·간접적으로 정보 전달에 참여함으로써 정보전달에서 지식전달로의 인지 능력의 확대 경험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의 발달과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구조적인 특징에 따라 전달되는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유형을 연구하였다. 이에 따른 정보 콘텐츠의 요소와 시각화 유형를 분석하였다. 즉,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이 효과적으로 전달되기 위해 웹 환경에서 나타나는 디자인적 요소가 스토리 전개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시각적 요소의 관여도와 콘텐츠 스토리 유형의 유사도를 통해 분석하였다. 이때 분석대상으로 미국 온라인저널리즘을 사례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2장에서는 정보디자인과 인터랙션에 대한 이론적인 고찰을 진행한다. 이때 정보디자인의 주요 요소인 이야기 구조 즉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의 구조에 대한 특징을 정리하는 것을 선행하였다. 이는 구조적인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 정보디자인을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3장에서는 온라인저널리즘에서 나타날 수 있는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유형과 시각적 요소 그리고 시각화 유형 등을 분류하였다. 이때 시각적 요소가 구조적인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에 어떤 연관성을 가지고 표현할 수 있는지와 콘텐츠의 스토리 전개 방법으로 적절한지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본격적인 사례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때 분석 대상은 2009년 8월 뉴스 사이트 방문 순위에 따라 종합 일간지 사이트가 가장 많이 랭크된 결과로써 미국 종합일간지를 선별하게 되었고, 이에 따른 결과로 미국의 4대 저널리즘인 뉴욕타임즈·USA투데이·LA타임즈·워싱턴포스트에 수록된 인터랙티브 그래픽을 선별·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유형이 온라인저널리즘의 어떠한 콘텐츠 유형을 효과적으로 나타내고 있는지와 이에 따른 시각적 요소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온라인저널리즘에서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정보디자인 연구는 콘텐츠 개발이 시도됨으로써 적극적으로 새로운 유형을 창조해 갈 수 있을 것이다. 그 과정으로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온라인저널리즘에서 정보디자인의 효율적인 전달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brings the popularization of web environment resulting into various communications. It includes communications not only among users but between users and media. Media referred in this sense provide appropriate real time information through internet, which is vast information data base otherwise fail to be rendered offline, with the help of maximized utilizing and saving capability. Users can also expand their cognitive experience from transmission of information to that of knowledge by participating direct and/or indirect information transmiss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patterns of interactive storytelling transmitted in accordance wit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in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and online communications. Analyses are required accordingly upon factors of information contents and patterns of visualization. The emphasis is on the importance of design for effective transmission of interactive storytelling through verification analyses in maximizing effects of design on the web environment. Online journalism was chosen for analysis case. This sector of online journalism has various kinds of articles that information design using characteristics of digital media for users has, unlike offline, significant importance. Therefore the information design of online journalism is to embody the most effective way to transfer a story of contents. In chapter 2, this study inquires into theories upon information design and interaction. A research is preceded on characteristics of story structure, a structure of interactive storytelling, which is the main factor of information design. It is required because understanding its structural characteristics is for information design. Chapter 3 classifies the patterns of interactive storytelling, visual factors and visualization. Analyses are executed upon relationship between visual factors and structural interactive storytelling in its expression and upon the suitability of visual factors as a means of story development for contents. In chapter 4, case analyses are established in earnest. The objects of them are chosen from daily newspaper sites by the result of visit ranks of news sites in August, 2009 and interactive graphics are selected in the four newspaper sites, New York Times, USA Today, Los Angeles Times, and Washington Post, major journalism agencies in America according to the number of visit. Analytic methods are selected to find what types of contents are effectively displayed by interactive storytelling and its relationship with visual factors. A study on information design using interactive storytelling online is able to create a new type of contents with trials of contents development. This study, as its process, is to seek a direction of information design resulted from the advancement of media on the online journalism through case study.

      • Overexpressed Cyclophilin B Reduces beta Amyloid(25-35)-Induced Oxidative Stress in PC12 Cells

        김은영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Neuronal apoptosis is one of the pathologies of Alzheimer’s disease, and it has been suggested that beta amyloid (Aβ) peptide is one of the causes. The mechanism by which Aβ induces cell death is not clear yet. However, it has been suggested one of the mechanisms is oxidative stress. Cyclophilin B (CypB) is one of the members of cyclophilin family that belongs to protein groups that have peptidyl-prolyl cis-trans isomerase activity (PPIase). Recent studies have shown diverse functions of cyclophilin family and we suggest that CypB might play like an antioxid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whether overexpressed CypB reduces Aβ-induced oxidative stress or not. To determine the effect, we used rat pheochromovytoma (PC12) cells and Aβ25-35 fragment which has almost same as toxicity as Aβ1-42. Exposure of PC12 cells to the Aβ25-35 fragment resulted in ROS generation and apoptotic cell, while PC12 cells which are overexpressed CypB reduced ROS level, apoptotic path way and finally, cell death. Our results suggest that overexpressed CypB has a protective effect against the Aβ-induced oxidative damage and eventually inhibited apoptotic cell death. 신경세포의 자연사 (apoptosis)는 알츠하이머 질환의 증상 가운데 하나이며 베타아밀로이드는 알츠하이머 원인 중 하나로 제시되고 있다. 베타아밀로이드가 어떤 기작을 통하여 세포 사를 유도하는지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바 없지만 산화적 스트레스가 그 중 하나라고 알려져 있다. 사이클로필린 B는 peptidyl-prolyl cis-trans isomerase activity (PPIase)를 가지는 사이클로필린 군의 일원이며 최근 사이클로필린군의 다양한 역할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우리는 사이클로필린 B가 산화적 스트레스를 줄여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실험의 목적은 세포 내에 인위적으로 과 발현시켜 준 사이클로필린 B가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해 유도되는 산화적 스트레스를 줄여줄 수 있을까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사이클로필린 B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쥐 (rat)의 pheochromovytoma (PC12) 세포를 사용하였으며 베타아밀로이드 1-42 전체 펩타이드와 독성이 거의 비슷한 베타아밀로이드25-35 부분 펩타이드를 사용하였다. PC12에 베타아밀로이드25-35를 처리한 결과 활성산소의 증가와 자연사되는 세포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고 PC12에 사이클로필린 B를 과 발현 시킨 후 베타아밀로이드를 처리한 결과 상대적으로 활성산소와 자연사 세포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이클로필린 B 는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해 유도되는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여 결과적으로 세포가 자연사되는 것을 막아줌을 알 수 있었다.

      • Establishment of chimeric methyltransferase by incremental truncation for cancer prevention and cancer therapy

        이선경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DNA methyltransferase is responsible for the epigenetic control of genome, especially critical for the incidence of cancer. M.BsuRI is coded by 2808~4118 sequences of Bacillus Subtilis BsuR I restriction-modification genes and M.BsuR I is coded by 132~1406 sequence of Bacillus Sphaericus restriction-modification methylase gene. They are GGCC-specific DNA methyltransferase. The DNA (Cytosine-5) - methyltransferase (m5c-MTase), M.BspR I and M. BsuR I, are DNA modifying enqzymes that catalyze the transfer of a methylgroup from S-adenosylmethionine to cytosine base withine a specific DNA sequence. They have 10 homologous motifs which are known to play critical roles. So, we have developed combinatorial protein fragments for the cancer therapy. We established combinatorial protein fragment library of DNA methyltransferase BspR I and BsuR I. M.BsuR I and M. BspR I can be split into two individually inactive N- and C- terminal fragments that together can form an active enzyme in vivo capable of efficiently methylating DNA. We established N-terminal library of M.BsuR I and C-terminal library of M.BspR I using incremental truncation. After then, we fused N-terminal and C-terminal DNA methyltransferase library and screened for the functional pair of combinatorial protein fragment libraries in E.coli. DNA methylation in eukaryotes has a profound effect on gene regulation. Epigenetic gene silencing by methylation is inherited from mother to daughter cells. Therefore, new chimeric methyltransferase might be useful for transcriptional cancer therapy and cancer prevention. This work was supported by Grant of Seoul RNBD program (NO. 11062).

      • Reversible Solid Oxide Cell System with Thermocline-Type Thermal Energy Storage : Numerical and Techno-Economic Analysis

        황혜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roduction of green hydrogen by electrolysis using renewable power is crucial for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However, its potential is limited by the unstable nature of renewable power, resulting in low utilization rates for electrolysis devices and challenges such as limited economic viability and large water consumption. In this study, a novel system - a reversible solid oxide cell system with a thermocline-type thermal energy storage is proposed to address these issues. This system utilizes a solid oxide cell, operating selectively in both fuel cell and electrolysis modes. In the fuel cell mode, the system produces electricity and an enormous amount of heat that can be stored in thermal energy storage. Conversely, heat stored in the thermal energy storage during electrolysis produces steam and facilitates the electrolysis reaction to produce hydrogen. We conducted a numerical analysis and determined a design of thermocline-type thermal energy storage at representative driving load. Three alternative setups that operated under the same conditions were compared in this study: the reversible solid oxide cell system integrated with thermal energy storage, a stand-alone reversible solid oxide cell system, and a stand-alone solid oxide electrolysis system.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reversible solid oxide cell system with thermal energy storage outperforms the other two setups in terms of system efficiency, water consumption reduction,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The proposed system achieves a 27.5% improvement in efficiency over the solid oxide electrolysis stand-alone system. The proposed system was confirmed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4.18 kg-CO2-eq/kg-H2 to 0 kg-CO2-eq/kg-H2, by replacing the natural gas burner with a thermocline-type thermal energy storage. Furthermore, a techno-economic analysis was conducted for all three systems, confirming that the proposed system can reduce a hydrogen production cost from $5.15/kg-H2 to $3.03/kg-H2. 수소 사용을 통해 온실가스 저감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그린수소 사용이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그린수소는 재생전력의 간헐성으로 인해 장치의 이용률이 낮기 때문에 경제성이 낮고 물 소비량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열에너지저장장치를 고체산화물전지와 결합해 연료전지 모드로 동작할 때 남는 열을 저장하고, 수전해 모드로 운전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새롭게 제안한다. 특히 열에너지저장장치로 제철소에서 사용되는 열풍로 타입을 새롭게 제시하였다. 열풍로는 가스의 현열을 회수할 수 있어 시스템 효율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장점과, 저렴한 재료로 이루어져 있어 경제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체산화물전지-열에너지저장장치 연계 시스템을 제안하고 MATLAB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축하였다. 구축한 시뮬레이션 모델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운전 특성을 분석하고 시스템의 대표 운전 조건을 결정하였다. 1 MW급 고체산화물전지를 사용하는 것을 가정하여 대표 운전 조건에서 열에너지저장장치의 최적 설계안을 도출하였다. 제안한 시스템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가역고체산화물전지 단독 시스템, 고체산화물 수전해 단독 시스템과 시뮬레이션 결과를 비교 분석한 결과, 고체산화물 수전해 이용 그린수소 생산 효율 대비 물 소비량 100% 감축 가능하고 수전해 효율을 기존의 61.4%에서 88.8%로 약 27.4% 향상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 시스템에 대하여 기술경제성 분석을 진행하여 제안한 시스템이 그린수소 생산단가를 $5.15/kg-H2에서 $3.03/kg-H2로 감축할 수 있음을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