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007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활동,이해영역을 위한 지도내용연구 : -초등학교 4학년 국악곡 중심으로-

        김현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paper explored effective gukak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contents based on activities and understanding of gukak which is more promoted and emphasized in the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in 2007. The subjects were the 4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s they would be entering into higher grades, this study aimed to help these students take interest in gukak which tended to stand afar under students' duties of having to prepare for entrance into higher education. The contemporary society changes so fast and informatization and globalization are becoming even more intense. Interests of students are also changing fast in this current of time. It is necessary to explore methods to induce students' interest and promote learning of gukak by following after students' current levels.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at students' awareness of gukak is insufficient and the functions are also limited, the difficulty levels were set up from the beginning stage to improve learning effects. Based on Gaegori Gaegolcheong first introduced through the 2007 revised education plan, 4-hour-long classes were presented and studied. Contents of these four classes were connected by appropriately applying gukak activities and understanding areas. For the first class, encouragement of learning and appreciating characteristics of each local folk song based on understanding areas as well as singing practice was promoted. The second class was designed to help students understand lyrics of the title song, express Sigimsae of folk songs through Gayageum, Korea's traditional string instrument, and understand Sigimsae based on singing practices by using ribboned sticks. The third class was designed to help students to learn Jajinmori beat based on instrumental music so that the class can be connected with creative activities where students can play according to the beat and music. As for the beat, colored sticks and DDR were used to induce students' interest. The fourth class was designed to help students understand Ganggangsulae, an understanding part, and appreciate its dance and song together to be followed by students' summing up. Based on the results, students' interest in gukak increased and the classes contributed to increased creativity and application of music in students' daily lif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help teachers to plan and improve classes for gukak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tatus of gukak. Furthermore, it is much hoped that students can emphasize the importance of gukak, enjoy and apply it to use it more actively in their daily life.

      • 장월중선 가야금산조 연구

        안정은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논문의 목적은 장월중선 가야금산조를 중심으로 사승관계인 김윤덕류 및 강태홍류 가야금산조와 대비(對比)하여 음악적 상관성을 논구함으로써 장월중선 가야금산조의 구성과 음악적 특징을 고찰하는 것이다. 세 가지 산조의 비교분석을 위해 구전조명에 따른 선법과 동일‧유사‧상이 선율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장월중선 가야금산조의 구성 장단 수는 악장별로 차이가 있지만 전체적인 장단 수는 김윤덕류 및 강태홍류 가야금산조에 비해 짧다. 둘째, 악장별 구전조명에 의한 단락구분을 비교 분석한 결과, 장월중선 가야금산조의 진양조, 휘모리, 단모리의 구전조명 진행은 김윤덕류 가야금산조와 동일하지만,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등은 김윤덕류 및 강태홍류 가야금산조와 차이점이 있다. 셋째, 악장별 장월중선 가야금산조의 선법은 김윤덕류 및 강태홍류 가야금산조와 대동소이(大同小異)하다. 넷째, 동일선율을 비교분석한 결과 장월중선 가야금산조는 김윤덕류 가야금산조와 75%, 강태홍류 가야금산조와 30% 동일선율이 있다. 또한 강태홍류 가야금산조와 동일선율 중에는 김윤덕류 가야금산조에 없는 선율도 있다. 이러한 동일선율 분석에서 나타난 결과는 장월중선이 김윤덕에게 가야금산조를 사사했음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지만, 미약하나마 강태홍류 가야금산조의 직접적인 영향이 있었을 가능성이 보인다. 다섯째, 장월중선 가야금산조에서 창작선율로 볼 수 있는 상이선율은 중모리 2장단, 자진모리 1장단, 단모리 18장단 등이 추출되는데, 이는 전체 545장단 중 21장단에 불과하지만, 각 악장 선율들의 순서를 재구성하고 두 산조의 가락을 조화롭게 받아들여 순차적으로 구성하고 선율구성을 좀 더 확대하는 등 독창적으로 자신만의 연주 레퍼토리로 재탄생 시켰다. 장월중선의 음악전적을 볼 때 가야금에 보다 전력하였다면 장월중선의 가야금산조도 하나의 유파로 전승되었을 것으로 본다. 결과적으로 장월중선이 남긴 가야금산조의 음악적 특징은 김윤덕류 가야금산조의 많은 부분을 답습하였으면서도 강태홍류 가야금산조의 일부를 차용하고 있으며, 자신의 창작가락을 일부 포함하고 있다. 장월중선 가야금산조는 사승관계로 인해 김윤덕의 영향으로 성립되었을 것으로 보편적으로 알려져 있다. 정남희와 강태홍에게 가야금산조를 사사한 김윤덕은 1968년 국가무형문화재 제23호 가야금산조 및 가야금병창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고, 1968년 44세에 장월중선은 정남희와 강태홍에게 영향을 받은 김윤덕이 자신의 독자적 선율을 포함하여 완성한 김윤덕류 가야금산조를 사사받은 것이다. 장월중선이 강태홍에게 직접 사사한 기록은 없지만, 장월중선과 김윤덕, 강태홍의 사승관계를 간과할 수 없기 때문에 그 음악적 영향이 3대를 거쳐 세대 간의 음악적 교감이 있을 수 있다. 장월중선은 생애사에서 “강태홍 산조는 갑절의 겹 가락이라 아주 맛있고 가락이 독특하다"고 언급한 바 있다. 강태홍은 1911년 이후 30여 년간 대구를 근거지로 하여 경주·달성·울산·동래권번 등에서 활동하였으며, 장월중선도 1963년 39세 이후 경주를 중심으로 활발한 활동을 하였다. 그러나 강태홍에 사사했다는 사승의 기록은 없다. 장월중선이 강태홍의 음악성과 산조가락을 상당히 높이 평가하였다는 점과 김윤덕류에 없는 강태홍류 가야금산조의 선율을 차용한 점은 장월중선과 강태홍의 공연활동 및 교류의 연관성, 혹은 사사 등을 추측할 수 있는 단서이다. 장월중선 가야금 산조는 독자선율의 낮은 비율로 인해 새로운 유파로서 형성되어 전승되지는 못하였지만, 새로운 산조의 창작 가능성과 산조의 선율 재구성을 통해 자신만의 연주 레퍼토리를 구성해봄으로써 산조 모방의 단계에서 새로운 산조 창조의 매개체가 될 수 있는 중요한 가능성을 제시하여 준다. 본 연구로서 장월중선 가야금산조는 김윤덕류와 강태홍류 가야금산조의 선율들을 차용하여 구성된 산조임을 확인하였다. 장월중선 가야금산조는 그가 오랜 시간 동안 국악계의 여러 방면의 활동과 음악성을 집대성한 것이다. 장월중선은 경주에서의 공연활동과 교육활동이 활발했던 중년의 나이에도 배움의 열정으로 김윤덕에게 가야금산조를 학습하였고, 강태홍에게 사사했다는 기록이 발견되지는 않았으나, 강태홍의 가야금산조와 음악성을 높이 평가하여 동경한 적적(嫡嫡)을 찾을 수 있었다. 따라서 사사받은 김윤덕류 가야금산조에 강태홍류 가야금산조를 더하였고, 나아가 자신의 창작선율을 일부 삽입하여 자신만의 레퍼토리로 연주를 한 것이 장월중선 가야금산조로 전해진 것으로 본다. 이를 통하여 스승의 가락과 자신만의 표현이 집약된 음악성의 융합과 조화로 새로운 산조가 창작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주요어 : 가야금산조, 강태홍류 가야금산조, 김윤덕류 가야금산조, 장월중선, 장월중선 가야금산조,

      • 장단 및 국악이론 교육을 위한 수업지도법 연구

        김근형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초등학교 음악교과서를 살펴보면, 3~6학년 학년별 교과서에 있는 장단을 분석한 결과 학년별 지식습득 능력에 따른 장단 지도학습의 체계가 잡혀 있지 않고 있다. 전래동요나 국악 제재곡 외에 이론적인 부분도 다소 초등학생들이 습득하기에 어려운 내용들이 대부분이다. 이를 좀 더 학생들에게 쉽게 이해를 도울 수 있게끔 학년별 학습능력에 따른 장단 지도단계를 세워 보고, 국악이론 부분은 설명위주의 학습 지도 보다 학생들이 직접 참여하며 이론 학습의 어려움을 덜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장단 학습 지도 법으로는, 첫째, 학년별로 학습 습득 능력에 따른 장단 지도체계가 교과서에서부터 내용이 정리 되어 단계적인 장단 학습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둘째, 학년별 맞춤 지도법을 통해 기본 장단에서 변형 장단까지의 응용 법을 이해시킬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셋째, 학생들이 단순히 정간보를 보고 구음을 하며 악기로 두들기는 것 보다 장단에 맞는 노래나 율동을 표현하는 방법을 통해서 창의성도 함께 기를 수 있는 교육효과를 얻을 수 있다. 넷째, 색깔 막대나 카드섹션 교수법을 통해 교사가 학생들의 습득능력에 대해 파악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교구들을 통해 단순히 듣고 부르는 수업방식이 아닌 즐길 수 있는 수업모형이 이루어 질 것이다. 이론 학습 지도법으로는, 다섯째, 설명과 이해를 돕는 일이 어려운 국악 이론부분을 학생들이 알고 있는 동요나 민요에 맞추어 개사시킴으로써 국악이론의 학습의 어려움을 해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여섯째, 학습노래로 학생들 스스로가 율동과 몸으로 표현하며 즐기는 수업 방법으로 인해 학생들로 하여금 국악에 대한 지루함을 더는 데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국악교육은 전문 음악인 양성이 아닌 국악이라는 음악적 도구를 이용하여 좋은 사회인을 길러 내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국악에 대한 관심이 예전에 비해 점점 증가하고 교육현장에서의 지원도 늘어나고 있으나 학습 환경에 따른 여러 문제점들도 많다. 교사와 학생모두가 열정을 가지고 국악교육에 힘써 우리나라 문화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를 길러내야 할 것이다. As a result of analyzing Jangdan(rhythm) written in from 3rd to 6th school year’s text book, the Jangdan(rhythm) is not systematically arranged at each learning ability. Most of theoretical part of music is also written hard for that grade even except traditional children’s song and theme themselves. Therefore, this study will show different teaching system of Jangdan(rhythm) according to each learning level for better understanding and will show some learning songs which contain traditional music theory for being interested. The study has results as below; First, systematic learning of Jangdan(rhythm) has to be arranged in text book according to learning ability and each school year. Second, tailored teaching method at each school year should make students understand basic Jangdan(rhythm) and move up in applying transformed Jangdan(rhythm). Third, the teaching method can raise creativity through singing songs and dancing rhythmically and it would be quite effective than just making oral sound while students following Jeong-gan-bo (Korean classical music). Fourth, previous teaching was simply listening to the music, then following it, but this teaching way would give much more fun through using materials like keeping Jangdan with colored stick or card section at students level. Fifth, re-written word of children’s and folk song with music theory will help to learn it easier than just reading theory because theory itself is hard to make students understood. Sixth, enjoyable learning through dancing and moving will reduce boredom that students used to feel about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of Korean classical music has a purpose of rearing good members of society not only of raising musicians or experts. Interest in music grows and support for teaching site is in increase. However learning environment has many problems as well. Therefore, teachers and students should make an effort with passion to raise a competent person improving culture.

      • 正樂 長短에 관한 音樂的 硏究

        윤경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정악 장단의 음악적 특성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정악 장단의 특성과 음악 선율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서양음악의 오선보와 2015년 국립국악원에서 발간된 『피리정악보』를 통해 음악적 강세의 표현, 음악적 내용의 표현, 음악적 흐름의 연결로 나누어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 번째 유형은 음악적 강세를 표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첫째, <남창계면>의 ‘태평가’는 4장과 5장에서 장구의 주법을 변죽에서 복판으로 변화시켰고 둘째, <평조회상>의 ‘타령’ 4장 1각은 1박․4박․7박에서 합장단으로 연주하였다. 셋째, <천년만세>의 ‘우조가락도드리’ 5장 5각과 ‘양청도드리’ 7장 5각은 반각만 연주한 후 합장단이 나타났다. 두 번째 유형은 장단의 구조나 빠르기 등의 변화를 통해 음악적 내용을 표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첫째, <평조회상>의 ‘중령산’ 1장 1각은 ‘기덕’ 다음에 오는 ‘쿵’의 한배로 음악의 빠르기를 결정하고 있고 <남창우조>의 ‘이수대엽’ 3장 3각은 가사의 붙임새를 원만하게 하기 위해 갈라치는 주법이 사용되었다. 둘째, <남창우조>의 ‘언락’은 노래 가사보다 선율에 여유가 있어 5장 2각과 3각의 8정간을 따라 삭제하였고 반대로 <여창계면조>의 ‘평롱’은 많은 가사를 소화하기 위해 1장 1각에 3정간을 더하였다. 셋째, <평조회상>의 ‘삼현도드리’․‘하현도드리’․‘염불도드리’는 다음에 선율과 리듬이 변화를 이끌거나(A형의 변형 장단들) 항상 함께 출현하며(B형의 변형 장단들) 1박과 4박에 강세를 주어 장단을 둘로 나누거나(C-1형) 가락을 덜어내어 선율을 빠르게 연주하는(C-2형)과 같은 일련의 변형이 나타났다. 넷째, <수제천> 1장 3각은 음악 선율 진행의 변화를 표현하기 위해 반각 구조가 나타났고 다섯째, <관악영산회상>의 ‘상령산’ 1장 1각은 선율을 빠르게 진행하기 위해 2정간을 한 정간으로 묶어 연주하였다. 여섯째, <수제천> 1장 1각은 박(拍)을 줄여 연주자들이 한 장단을 한숨에 연주하도록 하였고 일곱째, <여민락> 4장 1각은 음악을 빠르게 진행하기 위해 느린 20박에서 10박으로 바꾸는 급박(急拍)이 나타났다. 세 번째 유형은 음악과 음악을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음악적 진행을 유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첫째, <평조회상>의 ‘중령산’에서는 종지에 2정 1박의 구조가 나타났고 둘째, <평조회상>의 ‘세령산’ 1장 1각은 박의 수는 변화 없이 ‘중령산’ 종지의 리듬과 동일하였고, <천년만세>의 ‘양청도드리’ 6장 종지는 다음 곡 ‘우조가락도드리’로 넘어가기 위해 4박을 12박으로 박의 수가 변형되었다. 셋째, <여창계면조>의 ‘계락’ 5장 종지는 편장단 ‘편수대엽’의 출현을 예시하기 위해 편장단 구조로 변형되었고 넷째, <취타>의 ‘길군악’ 종지는 다음 곡 ‘길타령’으로 넘어가기 위해 반각 구조가 나타났다. 다섯째, <취타>의 ‘길군악’ 4장 2각은 다음 곡 ‘길타령’으로 진행하기 위해 두 토막 형식이 나타났고 여섯째, <수제천> 전 장의 모든 각(刻)에서 연음 형식을 통해 각과 각을 연결하면서 전체 음악을 진행하고 있었다. 이상에서 볼 수 있듯이 정악에서 나타나는 음악적 특성은 음악의 선율에서 강세의 변화를 요구하기 위해서, 장단의 구조나 빠르기 등의 변화를 통해 음악적 내용을 표현하기 위해서 그리고 음악과 음악을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음악적 진행을 유도하기 위해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이 같은 장단의 음악적 특성들은 음악의 내용을 풍부하게 변화시키며 장식하는 중요한 음악의 구성요소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정악 장단의 음악적 특성을 다양하게 살펴봄으로써 정악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 정악장단을 연구하는데 있어 이론적 토대가 되기를 바란다. 아울러 향후 정악 장단 리듬형과 피리외의 다른 악기 선율과의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M.A. Thesis A Musical Study on the Jangdan of Jungak Yoon, Kyoung Hee Department of Korean Music Graduate School Yeugnam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Choi, Moon-Jin)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Jungak Jangdan (rhythm). And it found 3 musical characteristics of Jungak Jangdans (rhythms): the expression of musical accents, the expression of musical contents, and the expression of musical flow connection. The first category is the expression of musical accents. To express musical accents, the playing (beating) position of Jang gu was first shifted from the rim into the center in ‘Taepyeongga’ of Namchang Gyemyeon. Second, in ‘Taryeong’ of Pyeongjohoesang, the playing style on Kungpyun (the leather side of Jang gu) changed into Hapjangdan (simultaneous playing on Chaepyun - beating side - and Kungpyun. Third, Hapjangdan appeared in ‘Ujogarak-dodeuri’ and ‘Yangcheon-dodeuri’ of Cheonnyeonmanse. The second category is the expression of musical contents. Jungak expressed musical contents by varying the pattern and speed of rhythm. First, Hanbae (tempo) of 'Kung' following 'Kiduck' determined the tempo of music in ‘Chungryongsan’ of Pyeongjohoesang. And playing style of separate stroke was used in ‘Isudaeyop’ of Namchang Ujo in order to smooth lyric Butchimsae (rhythm). Second, as ‘Unrak’ of Namchang Ujo had room in melody rather than lyrics, so the section of 'Junggan' was deleted while ‘Pyongnong’ of Gyemyeonjo in female voice was partially added with 'Junggan' to give room fh 'mh e lyrics. Third, ‘Samhyun-dodeuri’ and ‘Hahyun-dodeuri’․‘Yeumbul-dodeuri’ of Pyeongjohoesang gave some change to following melody and rhythm or always appeared at the same time. And they gave accents to divide Jangdan (rhythm)s into two or remove Garak (tune) to play melodies faster. Fourth, Bangak pattern appeared in Sujechon to express the changes in the progression of melodies. Fifth, in 'Sanryungsan' of Gwanak Yeongsanhoesang, two Junggans was played in one Junggan to speed up melodies. Sixth, beat or time was shortened in Sujechon for players to play one Jangdan (rhythm) at a breath. And seventh, pressing time appeared in Yeominlak to advance music faster. The third category is induce musical progression to naturally bridge between music and music. First, to do this, 2-Jeong-1-Bak style appeared in the ending cadence of ‘Chungryongsan’ of Pyeongjohoesang. Second, the first gak of ‘Seryeongsan’ of Pyeongjohoesang was same as the rhythms of the ending of ‘Chungryongsan’ without change in the number of beat. However, the number beat for the ending of ‘Yangcheon-dodeuri’ of Cheonnyeonmanse changed to flow to next music ‘Ujogarak-dodeuri.’ Third, ‘Gyerak (melody)’ of Gyemyeonjo in female voice changed into Pyunjangdan (10-jeum-10-bak) to forecast the appearance of Pyunsudaeyeop. Fourth, Bangak pattern appeared in the ending of ‘Gilgunak’ of Chuita to flow to the next music ‘Giltaryeong.’ Fifth, 2 Tomak (2 parts) style appeared in ‘Gilgunak’ of Chuita to move into the next music ‘Giltaryeong’. Sixth, every gak of the previous movement in Sujechon wa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fermata and music proceeded. As found above,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Jungak Jangdan appeared to give change of accent to melody; to express musical contto exphrough changing structure and speed of Jangdan (rhythm); and to induce natural and smooth flow of music phrough connecting music and music. Therefore, it can be saient o givese musical characteristics of rhythmic patterns of Jungak are important components of music to make music rich and decorate it.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Jungak Jangdan (rhythm) to build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further study of Jungak Jangdan. With this as base, it is expected that studies are carried out on the melodies of other instruments than the rhythm types of Jungak Jangdan and a Piri.

      • <신고산타령>의 변모 양상 연구

        김윤정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신고산타령>의 기원과 생성적 변화에 대한 의의를 연구하여 <신고산타령>의 변화양상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신고산타령>의 변모양상을 통하여 향토민요 <어랑타령>이 <신고산타령>의 고형(古形)이라는 추측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첫째, 본 고에서 연구할 음원자료는 MBC 한국민요대전 북녘땅 우리소리 <어랑타령> 6곡, 유성기음반 <신고산타령> 2곡, 현행 무형문화재가창자 <신고산타령> 3곡으로 총 11곡이다. 둘째, 노랫말의 내용으로 향토민요 <어랑타령>은 강원도 북부와 함경남도, 평안남도 일대에서 많이 불렀던 것으로 전통적 노랫말 과 일본어가 담긴 노랫말이 두루 나타나고 있었다. 유성기음반 <신고산타령>은 업무를 통근하던 아녀자들의 이야기가 주된 사설로 불려, 당시 여성들의 생활상 일면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행 무형문화재 가창<신고산타령>은 신민요로서 노랫말이 정형화되었고 신고산과 구고산에 대한 내용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음악적 분석으로서 향토민요<어랑타령>은 결과 곡의 도입부에서 Re 또는 Mi 음의 지속음이 등장하고, 라와 미를 가늘게 또는 아래로 떠는 현상을 보이며, 후렴구의 두 번째 마디에서 Do→Mi 의 하행 도약진행을 보였다. 리듬 면에서는 절 첫머리에 등장하는 지속음의 길이가 3박이나 4박, 또는 페르마타로 불규칙한 현상을 보이며, 대부분의 곡에서 후렴구의 ‘어랑어랑’ 부분이 헤미올라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유성기음반<신고산타령>은 첫 프레이지의 Mi가 긴 지속음으로 끄는 현상을 볼 수 있으며, 향토민요<어랑타령>과 유사한 선율,리듬 진행을 보이나 후렴구 두 번째 마디에서 순차하향하는 선율진행을 보였다. 마디의 시작에만 헤미올라가 등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행 무형문화재 가창자<신고산타령>은 절 첫머리에서 지속음으로 Mi와 Re가 함께 쓰이고, 첫 프레이지가 6박으로 고정이 되며, 리듬적 요소에서는 후렴구의 ‘어랑어랑’부분에서 헤미올라가 등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 향토민요 <어랑타령>을 원형으로 신민요 <신고산타령>이 재구성된 것이며 향토민요<어랑타령>에 대한 북쪽지역의 전승상황을 알기가 불가하기에 이것을 추후 연구과제로 남긴다. 신고산타령에 관한 더욱 세부적인 연구가 나오기를 기대하며, 본 연구가 민요에 대한 이해를 돕고, 감상 및 창작에 도움이 되기를 소망한다.

      • <동동>의 음악분석 연구

        구슬기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동동의 음악분석 연구 본고에서는 전통음악계통에서 세 가지 갈래로 나타나고 있는 <동동>의 용어 중 ‘음악’ 부분의 <동동>을 분석하였고 그 결론은 다음과 같이 보였다. 첫째, <동동>은 16정간 1장단 1각(角)의 장단구조로 된 관악곡으로서 8각으로 이루어진 단악장(單樂章)의 단일(單一) 악곡이다. 둘째, <동동>은 黃-太-仲-林-無의 5음이 출현하는 악기군(群)에 의한 복(復)선율 2성부로 구성된 연음형식(連音形式)의 음악이다. 셋째, <동동>은 太音으로 시작하고 黃音으로 2도 하행종지(한음 아래 음)하는 음악으로 黃音이 주음(主音)이며 黃鐘淸商平調의 악조로 구성된 음악이다. 넷째, <동동>은 수제천 3장을 원형으로 하여 변주된 악곡이다. 이와 같은 내용으로 볼 때, 현행 <동동> 악보 기보에서 나타나는 18정간 구조의 악보 기록은 16정간구조의 악보 기보로 전환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그동안 나타나고 있는 <동동>과 수제천의 관계 정립도 확실하게 정리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현행 <동동> 악보의 악곡해설에 나타나는 7음 음계의 관계를 정리하여야 하며, 음악 연주도 악조에 부합하는 악보 기록에 의하여 올바르게 연주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타당한 분석을 통해 올바르게 음악을 이해하고 연주할 수 있는 노력으로써 중요하게 인식되기를 바란다. 연구자는 관악기 연주자로서 <동동>의 실체를 밝히며 이와 같은 분석적 방법과 결과는 우리 전통음악계통에서 이론적 기초 이론이 되기를 바란다.

      • 壽齊天의 音樂구조 硏究

        이현동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previously demonstrated rhythm, melody, and tone of Sujecheon(壽齊天), and set the identity of Sujechon by analysing its musical structure based on The Mode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ujecheon is composed of a total of 23 lines with one full rhythm of 18 jeonggan(井間) 1 line and half rhythm of 9 jeonggan(井間) 1 line. Second, Sujecheon is a music with the structure of multi-melody(複線律) of groups of instruments played in two melody lines. The flow of melody begins in nameum(南音) and ends in 2 degree lower limeum(㑣音). Third, Sujecheon takes the linking melody of the cadence through partial linking and melody of instruments, and thus the melody links a line with a following line and a movement with a following movement. Fourth, the dynamics of Sujecheon is expressed by the playing technique of altered rhythm performed separately in the rhythm structure of ssang(雙), pyeon(鞭), go(鼓), yo(搖). In the 3rd movement, the shortened tempo expresses the musical emotion which pursues the passionate flow of melody. Fifth, Sujecheon is a single piece of music with a complex musical structure of introduction, development, turn, and conclusion. It consists of 4 movements. The 1st and 2nd movements are composed of namryeocheongugyemyeonjo(南呂淸羽界面調) with nameum as its fundamental note, the 3rd movement consists of taejucheongsanggyemyeonjo(太簇淸商界面調) with taeeum(太音) as its fundamental note, and the 4th movement consists of limjongcheongchipyeongjo(林鐘淸徵平調) with limeum as its fundamental note.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on Sujecheon is sure to provide a basis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Sujecheon with a correct understanding of its music and playing technique. This study will prevent the misunderstanding of melodies caused by uncertainty revealed in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make the aesthetic approach to music possible. It is also expected to establish a theoretical basis for the creation and alteration of Korean music. 기존에 논증된 <수제천>의 장단구조 및 선율구조, 악조에 대하여 재검토하고『한국전통음악의 악조시론』의 이론을 토대로 연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수제천의 장단구조는 18정간(井間) 1각(角) 구조인 1장단 과 9정간 1각 구조인 반(半)장단의 두 가지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총 23각으로 구성된 음악이고, 선율은 악기군의 복선율(複線律) 2성부 구조의 음악으로 㑲音으로 시작하여 㑣音으로 종지하는 2도 하행 종지형태의 선율구조를 하고 있다. 연음형식(連音形式)의 음악으로 부분 연음과 악기의 선율을 통한 종지형의 연음선율을 갖고 있어 각과 각을 이어주고 장(章)과 장을 연결하는 선율진행을 하며 쌍, 편, 고, 요(雙, 鞭, 鼓, 搖)의 장단구조에서 갈라치는 변박(變拍)장단 주법을 도입하여 음악의 강약을 표현하고, 3장은 준박이라는 선율진행을 통하여 격정적(激情的)인 음악 정서를 나타내고 있다. 악조(樂調)는 1장은 㑲音이 根音인 㑲呂淸羽界面調, 2장은 1장과 동일한 㑲呂淸羽界面調, 3장은 太音이 근음인 太簇淸商界面調, 4장은 㑣音이 근음인 㑣鍾淸徵平調의 악조로 구성된 4악장의 음악으로 기, 승, 전, 결(起, 承, 轉, 結)의 정서가 있는 복합구조 악조로 구성된 단일(單一) 악곡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