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경력단절여성의 취업교육프로그램만족도가 재취업욕구 및 구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areer interrupted women's satisfaction with employment training programs on re-employment desire and job search efficacy. For this, study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Study subject's demographic features will have effects on satisfaction with employment training programs, re-employment desire and job search efficacy'. Second, 'Satisfaction with employment training programs is higher, re-employment desire is higher.' And third, 'Satisfaction with employment training programs is higher, job search efficacy is higher.' Study subjects were 280 career interrupted women,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one-way ANOV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0.0 program.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effects of demographic features and career interruption characteristics on satisfaction with employment training programs, re-employment desire and job search efficacy, ag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such sub-variables of satisfaction with employment training programs as satisfaction with training contents, satisfaction with teachers and satisfaction with learner support services. Regarding re-employment desire, age had significant effects on self-realization and good-use of leisure time. The highest level of schooling had significant effects on re-employment desire, self-realization, good-use of leisure time and social status. And the period of career interrupt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re-employment desire, self-realization, economic independence and social status. Regarding job search efficacy, age was younger, job search efficacy was higher. Schooling was higher, job search efficacy was higher. In addition, economic level was higher and the period of career interruption was shorter, job search efficacy was higher. These findings show that career interrupted women's demographic features and career interruption characteristic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satisfaction with employment training programs, re-employment desire and job search efficacy. Second, as for the effects of satisfaction with employment training programs on such sub-variables of re-employment desire as economic independence and social status, satisfaction with training facilities had positive (+) effects on the sub-variables of re-employment desire, except economic independence. And satisfaction with training contents had positive (+) effects on social status. These findings show that satisfaction with employment training programs increases re-employment desire. Third, as for the effects of satisfaction with employment training programs on job search efficacy, satisfaction with training contents had positive (+) effects on job search efficacy. This finding shows that satisfaction with employment training programs increases job search efficacy. In order to support career interrupted women's reentering labor market, it is necessary for employment training institutes to provide various employment training programs and develop a variety of specialized employment programs, thus carrying out such a training that satisfies career interrupted women's personal desire and is appropriate for their characteristic. In this vein, in order for excellent female labor force to enter labor market quickly, it is necessary to work out a fundamental countermeasure.
국문요약 조기위암의 근치적 절제술 후 재발에 관련된 위험인자 내 용 Background. 조기위암은 암의 크기나 림프절 전이 여부와 관계없이, 위의 점막 또는 점막하층까지의 암세포의 침윤으로 정의된다. 한국에서 위암은 2012년 기준으로 남성에서 첫 번째, 여성에서 네 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암으로, 개인 건강검진의 증가와 국가 암 조기검진 사업 등으로 인해 조기위암의 진단이 증가하고 있으며, 위암으로 진단된 총 건수들 중 조기위암의 비율이 전체 위암의 60%까지 증가하였다. 위암의 완치를 위한 유일한 치료는 수술적 절제이다. 조기위암의 근치적 절제술(R0 resection) 후 예후는 일반적으로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5년 생존율은 거의 90%에 달한다. 조기위암의 재발율은 연구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1.3%에서 13.7% 정도로 보고되고 있다. Methods. 2005년 1월부터 3년 동안, 가천대 길병원 외과에서 위암으로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받은 987명의 환자 중 조기위암 환자 34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조기위암 진단은 수술 후 pathology report에 의해 확인하였다. 재발한 군과 대조군에서 나이, 성별, BMI(Body Mass Index), 암의 크기, 암의 위치, 암의 육안적 분류, 수술 종류, 문합방법, 분화도, 침윤 깊이, 림프절 전이 여부, tumor marker(CEA, CA19-9)에 대하여 조기위암 재발과의 관련성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모든 정보는 전자의무기록에 의거하였으며, 조기위암의 재발과 관련된 위험인자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Results. 조기위암 환자 345명 중 11명(3.2%)에서 재발이 확인되었다. 재발은 Esophagus(n=5), Liver/Peritoneum(n=1), Neck Lymph Node(n=1), Stomach(n=1)에서 각각 확인되었으며, Endoscopic Biopsy 및 Abdominopelvic CT 와 Excisional Biopsy 의 진단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나이, 성별, BMI(Body Mass Index), 암의 크기, 암의 위치, 암의 육안적 분류, 수술 종류, 문합방법, 분화도, T stage, N stage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며, tumor marker 중 CA 19-9(p-value=0.006) 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Conclusions. 조기위암의 근치적 절제술 후 재발과 관련된 위험인자로 CA19-9(p-value=0.006) 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인자로 분석되었으며, 향후 임상 진료에서 활용할 가치가 있다.
성인여자대학생의 고등교육 참여 동기와 평생학습 만족도 및 삶의 질 간의 관계
This study put its purpose in researching the correlation between female university students’ motivation for participating higher education and, the quality of life and their satisfaction in lifelong study. In order that,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232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survey consisted of totally 47 questions. 5 questions asking demographic factors, 6 questions asking motivation for higher education, 16 questions asking satisfaction in lifelong study, 20 questions asking of quality of life. Through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20.0, analysis of frequency, reliability analysis(Cronbach's α), one-way analysis of variance(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for processing the data in this study. The summary of the result of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factors, there was an overall perception that motivation for higher education it has meaningful influence. Self-fulfillment was the highest, joy of learning, preparations for elder life, improving academic ability, acquiring national license, and social activities followed. Second, after researc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ng higher education and satisfaction in study, it is appeared that motivations such as joy of learning, preparations for elder life, social activities and self-fulfillment have influences on the satisfaction in study. As a result, the higher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ng higher education(joy of learning, preparations for elder life, social activities and self-fulfillment), the higher will be the satisfaction in study. Third, after researc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ng higher education and the quality of life, it is appeared that joy of learning and self-fulfillment have influences on the quality of life. As a result, the higher the joy of learning and self-fulfillment, the higher will be the quality of life. This study implies that it is needed to encourage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ng higher education to enhance the satisfaction in lifelong study and the quality of life. Also the study shows that it is needed to search plans to actively utilize the factors that can raise the satisfaction in lifelong study and the quality of life, and revise the defect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a program with differentiated intervention in accordance with female university students’ characteristics should be developed. Besides, this study suggests undertone for follow-up studies and proposals.
박미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The purpose of the treatise is to make an investigation into the reading theory of Gil-Ju, Hong who had striven to write and read a book in his whole life. I analyze and arrange his unique opinion about reading category and concept of the text that inherent in his prose literature. In order to this, first I considered an overall reading consciousness on the subject of the literature about reading among his voluminous work. After dividing into the reading concept and method, then I investigated. Hang-Hae's reading concept can be summarized that there's no boundary of a letter or a writing and that is eternally opened. Everything in the nature can be a text, even the phenomenon is very usual and minor. And he recognizes 'Reading' is all kind of looking, hearing and feeling about that. He includes the Harmony of changeable nature, hearing and looking about daily conversation into the category of reading. He affirmed that the most worthy reading is awakening from one's mentor by taking a close look under his instruction. therefore I considered Hang-Hae's opened reading concept. In the study of a reading method, he discussed about reasonable and pliable thought that has no boundary of extensive reading and intensive reading. And he emphasis on reading the scriptures and historical books, if the reader can get an awakening from that. He encouraged to choice rational reading because even a small piece of writing or despicable text can serve as a major momentum to introspect He warned thatthe reader must do not judge all writing by a small text. And he stressed that reader must perceive an intention of the writer and get his intact meaning. Lastly, I discern his opinion, the reader can follow classic literature in criticizing their imitative literary form. The reader can learn only the meaning and mind from the writer, but imitating the style or form of writings is not allowed. In the conclusion, I summarized contents of text and briefly discussed how the Hang-Hae's concept and method of reading can affect present reading education. In Hang-Hae's literature beingworthy of his peculiar idea and distinctive writing ability, I could inquire his thoughtand discussion about the Hang-Hae's reading theory. That is the meaning of this thesis 이 논문은 평생 동안 讀書之士의 삶을 살며 독서와 저술에만 매진하였던 항해 홍길주의 독서론에 대한 연구이다. 항해의 산문 작품 속에 내재된 텍스트의 개념과 독서의 범주에 대한 그만의 독특한 생각을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항해의 방대한 저술 중에서 독서에 대한 작품을 대상으로 전체적인 독서의식을 고찰하고, 크게는 항해의 독서론과 독서의 방법으로 구분하여 연구하였다. 항해의 독서론을 요약한다면, 글자와 문장에 얽매이지 않는 무한히 열려 있는 독서관이라 할 수 있다. 天地事物과 日用쇄細事務의 모든 현상들이 하나의 텍스트가 되고, 그것을 보고 듣고 느끼는 모든 행위를 ‘독서’라고 인식하는 것이다. 변화하는 자연의 조화는 물론이며, 사람들의 일상적인 대화나 행동을 듣고 보는 것도 독서라는 범주에 포함시키는 것이다. 그러므로 스승의 문하에서 스승의 일상을 보고 본받아서 깨달음을 얻는 경지에 이를 수 있다면, 이보다 훌륭한 독서는 없다고 단언하는 항해의 열린 독서의식을 살펴보았다. 독서의 방법에 대한 연구에서는 다독과 정독에 대한 제한을 두지 않은 유연하고 합리적인 사고를 논의하였으며, 경전과 역사서를 중점으로 읽되 자신에게 돌이켜 반성과 깨달음의 계기로 삼을 수 있다면 사소한 소품문이나 비루한 글들도 읽을 필요가 있다는 다양한 독서 선택을 권장하였다. 또한 지양해야할 독서의 병폐로 단장취의의 독서를 들어 일부분만으로 전체를 평가하는 오류를 범하지 말아야 함을 지적하였다. 반면 글쓴이의 작문의도를 바르게 인지하고 독자의 생각을 작자의 뜻에 맞추어, 있는 그대로의 뜻을 온전히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옛 글을 그대로 모방하는 당시의 문풍을 비판하며 옛 것을 받아들이되 그 뜻과 정신만 배우고 형식과 말을 똑같이 모방해서는 안 된다는 견해를 살펴보았다. 결론에서는 본문의 내용들을 요약정리하고 항해의 이러한 독서관과 독서방법들이 현재의 독서교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하여 간략하게 논의해 보았다. 기이한 발상과 개성 넘치는 문장력으로 주목 받는 항해의 문학 속에서 독서론에 관한 그의 생각과 논의들을 포괄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는 데 본 논문의 의의를 둔다.
본 연구는 17세기 애정 전기소설사에서 흥미로운 위치를 차지하는 「洞仙記」를 소설사적 흐름에서 검토하였다. 「周生傳」, 「韋敬天傳」, 「崔陟傳」, 「王慶龍傳」, 九雲夢을 소설사의 흐름에서 함께 놓고, 이 시기 소설사에서 통속성의 강화로 특징지워지는 전환기적 서사 양상을 몇 가지 국면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17세기 한국 고소설은 壬丙 兩亂의 격랑 속에서 큰 전변의 계기를 맞았다. 특별히 이 시기 애정 전기소설은 개별 작품을 묶은 소설집의 형태로 유통되는 등 폭넓은 독자층을 확보했다. 이 시기 소설들은 당시 전쟁 이후 정치·사회· 경제 등의 변모를 반영하고, 현실 인식을 보여준다. 「洞仙記」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배경으로 설정한 여타 작품과 달리 12세기 송나라 靖康之變을 배경으로 설정하고, 같은 시기 애정 전기 소설과 차별화되는 여러 통속화 장치를 과감히 도입함으로써 다음 시기 소설로 이어지는 발전적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소설사적 의의가 특별한 작품이다. 즉 「洞仙記」는 17세기 애정 전기 소설이 다음 시기 몽자류 소설이나 영웅소설로 넘어가는 변곡점에 위치하여, 17세기 애정 전기 소설의 문법을 비교적 충실히 따르면서도 이를 벗어나 다음 시기로 넘어가는 전환기적 양상을 보여준다. 특별히 서사 전개에서 17세기 애정 전기 소설에는 행복한 결말의 출현과 악인 형상의 도입 및 複數化, 우연성의 강화와 이적 모티프의 삽입, 전쟁 서사의 도입 양상 변화, 그리고 남녀 관계의 변모와 이데올로기의 개입 등 통속화의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는 요소들이 점차 확산되는 현상을 보여준다. 「洞仙記」는 통속성이 강화된 전환기적 성향을 한 작품이 오롯이 보여주는 유일한 예에 해당한다. 즉 「洞仙記」는 17세기 애정 전기 소설 작품군들에서 조금씩 단초를 보인 통속화의 경향을 한 자리에 모두 모은 듯한 느낌을 준다. 첫째, 남녀 주인공의 결연과정과 위상에 뚜렷한 변화가 감지되고, 처첩간의 갈등이 사라짐으로써 애정 서사를 넘어서는 낭만성을 확보하였다. 둘째, 도교의 신선 설화를 소설의 앞뒤에 액자 구성으로 삽입함으로써 작품의 주제를 확장할 수 있었다. 여기에는 謫降 모티프와 이계 체험도 포함된다. 셋째, 행복한 결말을 도입함으로써 金鰲新話 이래 17세기 애정 전기 소설들이 견지해온 낭만적 비극성의 흐름에 파란을 가져왔다. 넷째, 다른 작품에서는 볼 수 없는 악인 형상이 複數로 등장하여, 소설의 갈등 양상을 복합화하고 있다. 이는 다음 시기 九雲夢 류의 작품에서는 일반화되어 나타난다. 4장에서는 상상지리의 개념을 살피고, 실제 작품 상 설정된 공간 개념과 역사 사실과의 괴리를 검토하여, 작가층의 의식과 역사 인식을 검토하였다. 이같은 일련의 검토 과정에서 「洞仙記」가 17세기 애정 전기소설사의 마지막을 장식한 작품이며, 나아가 다음 시기 몽자류 소설 또는 영웅소설로 이어지는 새로운 소설 서사를 처음 연 의미 있는 작품임을 논의하였다.
본 논문은 동아시아의 소동파 숭배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수소회 모임의 발전 양상과 문학적 배경, 구체적 모임 형태 등을 살펴 동아시아에서 이루어진 수소회에 대해 심층 적으로 분석하고자 한 것이다. 壽蘇會는 청나라에서 성행한 蘇東坡의 생일을 기리는 제 사 활동으로, 18세기 말 조선에 전해졌으며 20세기 초 일본으로 전파되었다. 본고는 청 나라, 조선, 일본 동아시아 삼국의 수소회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현전하는 수소회 문헌 을 바탕으로 동아시아의 수소회 기원과 변천, 전파 과정, 발전 양상, 그리고 삼국 수소 회의 상호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나아가 수소회에 대한 논의를 통해 소동파 수용의 양 상도 함께 분석하였다. 총 3장으로 구성해 이러한 과제를 체계적으로 논의하였다. 제2장에서는 만명 문인들의 소동파 숭배 현상이 청나라 수소회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밝혔으며, 만명 유민들의 동파 숭배와 청나라 수소회의 경계를 명확히 구분하였 다. 이어서 동아시아 수소회와 관련된 詩의 실제 용어 변화를 고찰해 수소회 명칭의 기 원과 전개 과정을 살펴보았으며, 청나라⸱조선⸱일본 삼국 수소회 간의 내적 연관성을 발 견하였다. 제3장에서는 동아시아 삼국의 수소회 상황을 논의하였다. 청나라 수소회에 대해서는 宋犖이 주최한 수소회를 고찰하여 청나라에서의 수소회 형식을 확정하였다. 더불어 수 소회의 발전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畢沅과 翁方綱의 수소회에 대해 이들의 선후 관계, 송락 수소회와의 비교, 수소회 확산에서의 역할 등을 논의하였다. 이어 수소회와 消寒會의 융합이 수소회 문화 확산에 끼친 영향과 청나라 문인 結社 문화가 수소회 전 파의 원동력으로 작용한 양상을 살펴보았다. 조선 배파회에 대해서는 연행 사신인 申緯, 金正喜, 李祖默 등과 옹방강의 교유를 통 해 옹방강의 수소회가 조선에 전해진 과정과 세부 사항을 고찰하고, 연행 사신을 중심 으로 시작된 배파회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어 옹방강과 연행 사신의 교유에서 중요한 매개체 역할을 했으며 배파회에서 중요한 전시품으로 사용된 〈天際烏雲帖〉을 탐구하였 다. 구체적으로는 이 서첩과 조선 지식인의 관계, 그리고 조선 지식인의 소동파와 옹방 강에 대한 이중적 숭앙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어서 배파회에서 필수적으로 등장하는 〈東坡笠屐圖〉를 중심으로 그 역할 및 배파회 시에서 나타나는 형상을 분석하였다. 마지 막으로 배파회의 확산 양상을 고찰하여, 배파회가 초기 연행 사신의 소수 활동에서 계 층을 초월한 대중적 활동으로 발전해가는 과정을 살폈다. 일본 수소회의 경우, 나가오 우잔(長尾雨山)이 상하이에서 청말 문인들과 교유하며 시 사 활동에 참여한 과정을 고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나가오 우잔이 일본으로 수소회를 도입하게 된 배경을 분석하였다. 이어서 일본에서 나가오 우잔이 주최한 수소회의 구체 적인 개최 과정과 독특한 특징을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수소회를 통한 동아시아 삼국의 소동파 수용 양상을 고찰하였다. 먼저 수소회 시에서 드러난 소동파 관련 내용을 분석하여 문인들이 소동파의 이미지를 수용 하고 재구성한 양상을 탐구하였다. 이어서 수소회 시에서 소동파 시에 대한 次韻과 和 韻의 상황을 통계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문인들이 ‘和蘇詩’를 통해 소동파를 기념하 고 숭앙하는 것 외에도, 문화적 소속감과 정신적 공감을 표현했음을 논의하였다. 이상의 논의과정을 통해 수소회 활동이 청나라⸱조선⸱일본 삼국에서 공통으로 이루어졌 으며, 그 배경과 과정은 나라마다 다른 특색을 띠고 진행되었음을 밝혔다. 이를 통해 동아시아 양상으로 확장된 소동파 숭배가 일시적 흥미가 아닌 동아시아 지식인의 교류 와 접촉을 推動한 일종의 문화적 현상이었음을 확인하였다.
구직자의 취업지원프로그램 만족과 구직효능감 및 구직준비 행동과의 관계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satisfying employment support programs being developed by the Ministry of Labour and ope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the job seekers. Research issue for research purposes is as follows. 1. Should Participation in the demographic and employment support programs like? 2. Is there a program employment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efficacy,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differences in personal characteristics? 2-1.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employment support program satisfaction based on personal characteristics? 2-2. Is there a difference in efficacy according to individual job characteristics? 2-3.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personal characteristics? 3. Is there a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job search assistance program efficacy, job preparation actions? 3-1, Is there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job search assistance program efficacy? 3-2, Is there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job search assistance programs ready action? A survey of 200 people using the employment center job seekers and jobs, senior citizens center in Gwangju area to verify these studies were problems. Scale u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Continuing education and training indicators as a tool for measuring the employment support program satisfaction (ICET: Index of Continuing Education and Training), a tool for assessing the efficacy associated with job seekers job search behavior, job Efficacy Scale (JOBDS Ⅱ Survey), job seekers to measure the action was prepared using preparation scale job. This study of data processing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21.0 by using a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placed one won (One-way ANOVA),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implementation. To summarize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examining the employment support program, participating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ith the participation rate is more higher age participants in the personal background of women (140) than men (60) is 20 or less, more than 50 of the most common . The majority of the employment support program participants Motivation of employment support programs in the workplace is the most common work experienced by 57% of the recommendations of acquaintances. Second, the gender of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marital status, age, education leve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and statistical support programs. Jobs efficacy differences in personal characteristics,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differences i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difference is gender, work, work experience, according to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tha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but a spouse than no spouse behavioral factors was higher had a higher education job preparation behavioral element is higher. Third, the program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efficacy of employment shows that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 support program has an important effect on the job efficacy. Of the sub-factors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job satisfaction curriculum support program satisfaction, satisfaction with training content was found on a positive effect on job efficacy. The satisfaction of the higher education courses and training in employment support programs showed the higher efficacy of job seekers. Fourth, the program is ready to act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appears to b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 employment support programs can be seen affecting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Independent variable in the employment support program curriculum satisfaction, satisfaction with training content was found on a positive effect on the behavioral component of the job preparation actions. That i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the facilities and higher education courses and training in employment support programs prepare job seekers behavior will increase. The results, the higher the employment support program, job satisfaction participate efficacy and job seekers ready to act in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increased. Therefore recommends the promotion of an active employment support program is needed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acy and job search preparation of job seekers, there is a need to encourage can continue to participate in employment support programs tailored to job seeker needs. There is also a need to provide instructors, employment support programs as an integrated and complementary efforts are required form, can be a complementary part to the lack of facilities to enhance the satisfaction of job seekers for employment support programs. And job seekers, there is a need to raise the capacity of individuals to employment may suggest the need to support employment programs tailored to you. It is measured for the tool used for the last time this study. Because self-report studies obtained using a formula based only on the questionnaire, so that the subjective impression of the respondents at the time of the survey and thorough objectivity has limitations. In the future, therefore, to complement the more progressive objectivity about the impact on the behavior of job seekers may need to be supplemented by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a more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research results.
국문요지 본 논문은 『숙향전』과 『무정』의 서사구조 분석을 통해 두 작품의 서사구조의 동질성과 그 의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두 소설을 부분적으로나마 비교·연구한 논의는 있다. 그러나 『숙향전』과 『무정』을 직접 비교·분석한 결과는 아직 학계에 제출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숙향전』은 17세기에서 20세기까지 대중에게 널리 읽히던 고전소설이다. 몽환적이며 비현실적인 염정소설이라고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연구자들은 이러한 평가에 대하여 당대의 현실이 반영되어있는 소설이며 대중소설이라고 재해석을 하고 있다. 그러나 몽환적이라는 평가에서 다소 자유롭지 못한 것 같다. 『무정』은 20세기 대중에게 널리 읽히던 소설이다. 이전소설과는 새로운 소설이며 최초의 근대소설이라고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이 소설이 놓여 있는 위치가 고전소설과 신소설과의 접점에 놓여 있어 최초의 근대소설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어 왔다. 연구자들은 예외 없이 ‘근대’ 또는 ‘근대성’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진행해 왔다. 그러나 『무정』을 연구하는 연구자들 역시 ‘근대’에 자유롭지 못한 것 같다. 이런 점에서 연구자들은 서양의 이론으로 『무정』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해 왔다. 또 다른 논의는 고전소설 무리군과 『무정』에 대한 비교 연구이다. 『무정』을 근대소설로 볼 수 없다는 논의와 『무정』은 이전소설의 전통성을 계승했다는 논의로 대표된다. 그러나 아직도 명확하게 결론이 나지 않은 상태이다. 왜냐하면 고전소설 무리군에서 발췌된 부분의 유사성이나 주제와 사상 등이 대단히 정치한 비교가 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문제는 부분의 합은 전체가 아니다. 부분을 합친 고전소설 무리군과 『무정』의 유사성에 대한 논의는 설득력이 다소 약해 보인다. 이러한 논의에서 벗어나 『숙향전』과 『무정』을 비교 검토하고자 한다. 이에 앞서 두 소설에 대한 논의가 없었던 이유를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가장 큰 이유는 표면구조의 상이성 때문이다. 두 작품의 상동성에 대한 일부 논의가 있는 것은 표면구조에 부분적으로 드러나는 유사성 때문이다. 둘째, 새로운 세계관의 등장 때문이다. 기존의 유·불·선의 세계관이 기독교의 세계관으로 대치되었기 때문이다. 셋째, 『숙향전』을 대표하는 중세적 환상성을 『무정』에서는 근대적 환상성 즉 근대성으로 바꾸어 놓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 때문에 많은 연구자들이 소설의 표면구조에 가려진 심층구조를 보지 못한 것이다. 또한 고전문학연구자들은 고전문학만을 연구하고 현대문학연구자들은 근·현대문학만 연구하는 경향에서 파생된 결과이기도 하다. 질문의 경로를 바꾸어서 다른 관점에서 텍스트를 분석하려는 시도가 이 논문의 지점인 것이다. 근대소설이 고전소설과 같은 구조를 가졌다면 일대일의 작품으로 비교하고 분석하여 조망해야 할 것이다. 한 시야에서 조망할 수 있어야 될 것이다. 역사적으로 조선후기와 근대는 단절된 전혀 다른 시대인 것으로 보이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조선후기의 가치관과 미의식은 20세기에도 지속 유효했던 것이다. 핵심어 : 숙향전, 무정, 이광수, 여성 고난, 여성 수난담, 애정서사, 비교연구, 고전소설과 근대소설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