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교과서의 직업 내용 분석틀 개발 및 적용

        김현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nalysis framework of occupational contents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and to apply the analysis framework to the analysis of occupational contents in 6th grad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wo study contents were established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Through this study, we developed an occupational contents analysis framework for elementary school textbooks consisting of 10 indicators in five areas from the perspective of improving job understand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is characterized by the development of the occupational contents analysis framework in consideration of the ultimate direction of textbook occupational contents analysis, taking a leap forward from most prior studies that focused on identifying the number of jobs or distribution status of textbooks. In order to develop a framework for occupational contents analysis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the researcher examined career development theories relat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rior study on occupational contents analysis in textbooks, and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occupation information and "2015 School Career Education Goals and Achievement Standards." This showed that the ultimate direction of textbook occupational contents analysis and analysis framework development should be focused on enhanc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work and occupation world’. Based on this direction, five areas of analysis were established in relation to "2015 School Career Education Goals and Achievement Standards", ‘Occupation Diversity’, ‘Occupation Variability’, ‘Occupation Positiveness’, ‘Concreteness of Occupation Information’ and ‘Openness to Occupations’. In response, two analysis items and indicators were specified respectively to structure the occupational contents analysis framework. Furthermore, by preparing a draft analysis framework and applying it to three textbooks on a trial basis, the analysis framework could be modified and supplemented to finally develop an applicable occupational contents analysis framework. The occupational contents analysis framework of elementary school textbooks developed in this study was applied to 20 books on 10 subjects of 6th grad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A total of 491 occupational contents analysis data in the 6th grad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were provided, of which 420 were presented in the occupational diction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dicator in the occupational contents analysis framework, the entire occupational contents analysis data in textbooks were sometimes used, and only some were used. In order to ensur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overall analysis results, the review commissioner comprised of one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one professional professor was reviewed, amended, and supplemented in the relevant field. The main results of occupational contents analysis in the 6th grad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are presented in order according to the five areas of analysis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Occupation Diversity’, the frequency of presentation of occupational contents in textbooks was concentrated on two large occupational group(55.3%). Compared to the actual status of workers, management jobs were about 7.4 times higher and professionals 3.4 times higher, showing a tendency to discrepancy. Second, in terms of ‘Occupation Variability’, there were not many contents that past occupations(68 cases), new occupations(11 cases), and suggested changes of current occupations(8 cases). Third, in terms of ‘Occupation Positiveness’, 38 cases(7.7%) suggested the contributing value of the occupation. The case of suggesting content that could lead to positive or negative perceptions of occupation differed according to occupational groups. In particular, the ratio of positive perception of traditional professionals(39.2%) was high. Fourth, in terms of ‘Concreteness of Occupation Information’, the ratio of data containing specific occupation information such as explanation of occupation content(37.7%), attitude and posture of professionals(5.9%), qualifications and abilities(3.9%) was not high. Finally, in terms of ‘Openness to Occupations’, the presentation status of gender for men and women(63.2% for men, 36.8% for women) among the occupation data presented in the textbook showed a similar distribution to the actual gender ratio of workers. Although the number of cases is small, some cases have been presented to help resolve gender stereotypes or biases. Meanwhile, information related to overcoming physical constraints on professionals was not found in textbooks analyzed in the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meaningful as a new approach to occupational contents analysis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In particular, the result of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 occupational contents for textbooks that indirectly affect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work and occupation world’.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presentation of occupational contents in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in the fut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specifically suggested the use of the findings, the direction of career education and the direction of presentation of occupational contents in textbooks, and follow-up study.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과서의 직업 내용을 분석하기 위한 틀을 개발 및 타당화하고, 이 틀을 초등학교 6학년 교과서에 제시된 직업 내용 분석에 적용하는 데 있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두 가지의 연구 내용을 설정하여 연구를 추진하였으며, 이에 따른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이 연구를 통해 초등학생의 직업이해 제고를 위한 관점에서 5영역의 10개 지표로 구성된 초등학교 교과서의 직업 내용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이는 교과서의 직업 내용 분석에 있어서 직업의 개수나 분포 현황을 파악하는 것에 치중하였던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 한 단계 도약하여 교과서 직업 내용 분석의 궁극적인 방향성을 고려하여 직업 내용 분석틀을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자는 초등학교 교과서의 직업 내용 분석틀을 개발하기 위하여 초등학생과 관련된 진로발달 이론과 교과서 직업 내용 분석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직업 정보의 특성과 ‘2015 학교 진로교육 목표 및 성취기준’을 탐색하였다. 이를 통하여 교과서 직업 내용 분석 및 분석틀 개발의 궁극적인 방향이 학생의 ‘일과 직업세계 이해’ 제고라는 방향에 초점을 두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방향성을 토대로 ‘2015 학교 진로교육 목표 및 성취기준’과 관련지어 ‘직업의 다양성’, ‘직업의 변화성’, ‘직업의 긍정성’, ‘직업 정보의 구체성’, ‘직업에 대한 개방성’ 5가지의 분석 영역을 설정하였고, 이에 대하여 각각 2개씩의 분석 항목 및 지표를 구체화하여 직업 내용 분석틀을 구조화하였다. 또한 분석틀 초안을 마련하여 3권의 교과서에 시범 적용함으로써 분석틀을 수정 및 보완하여 실제로 적용 가능한 직업 내용 분석틀을 최종 개발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학교 교과서 직업 내용 분석틀을 초등학교 6학년 교과서 10과목 20권에 적용하여 직업 내용을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 교과서의 직업 내용 분석 자료의 수는 총 491건이었으며, 이 가운데 직업사전에 수록된 분석 자료의 수는 총 420건이었다. 직업 내용 분석틀의 각 지표의 특성에 따라 교과서의 직업 내용 분석 자료 전체가 사용되는 경우도 있었고 일부 자료만 사용되는 경우도 있었다. 전체적인 분석 결과에 대해 신뢰성 및 타당성 확보를 위하여 연구자 외에도 초등교사 1인과 관련 분야 전문가 교수 1인으로 구성된 검토 위원으로부터 검토 및 수정·보완의 과정을 거쳤다. 초등학교 6학년 교과서의 직업 내용 분석의 주요 결과를 5가지 분석 영역에 따라 순서대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의 다양성’ 면에서 교과서 직업 내용의 제시 빈도가 2개의 대분류 직업군에 편중(55.3%)되어 있었으며, 실제 종사자 현황과 비교해서도 관리직이 약 7.4배, 전문직이 약 3.4배 높게 나타나 불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직업의 변화성’ 면에서 과거 직업(68건), 신직업(11건), 현재 직업의 변화성(8건) 등 직업의 변화성을 제시하는 내용 자료는 많지 않은 편이었다. 셋째, ‘직업의 긍정성’ 면에서 직업의 기여적 가치를 제시한 경우가 38건(7.7%)으로 나타났으며, 직업에 대한 긍정 또는 부정적 인식을 불러올 수 있는 내용을 제시한 경우는 직업군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특히 전통적 전문직에 대한 긍정적 제시 비율(39.2%)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직업 정보의 구체성’ 측면에서도 전체 분석 자료 대비 직무 내용에 대한 설명(37.7%), 직업인의 태도·자세(5.9%), 자격·능력(3.9%) 등 구체적인 직업 정보를 담고 있는 자료의 비율이 높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직업에 대한 개방성’ 측면에서 교과서에 제시된 직업인 자료 중 남녀 성별 제시 현황(남성 63.2%, 여성 36.8%)이 실제 종사자의 남녀 성비 현황과 비슷한 분포를 보였으며, 사례 수가 적지만 성별 고정관념이나 편견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되는 내용을 수록한 사례가 일부 제시되었다. 한편, 직업인의 신체적 제약을 극복하는 것과 관련된 내용은 이 연구에서 분석한 교과서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교 교과서의 직업 내용 분석에 대한 새로운 접근으로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특히, 이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생들의 ‘일과 직업세계 이해’에 있어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교과서에 대하여 직업 내용을 분석하고, 또 앞으로 교과서 개발에 있어서 직업 내용의 제시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 결과의 활용 측면, 초등학교 진로교육 및 교과서의 직업 내용 제시 방향 측면, 그리고 후속 연구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제언하였다.

      • 초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과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 및 진로활동 경험의 관계

        이지영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과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 및 진로활동 경험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네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기존 중학생용 진로개발역량 검사를 활용하여 초등학생용 진로개발역량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확보하였는가? 둘째, 서울시 초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 수준과 인구통계특성에 따른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서울시 초등학생의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 및 진로활동 경험 수준은 어떠하며, 인구통계특성에 따른 차이는 어떠한가? 넷째, 초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과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 진로활동 경험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 소재 6개 초등학교의 5학년 및 6학년 학생 650명을 표집하였다. 표집은 초등학교의 소재지역(학군지 여부)과 유형(혁신학교 여부)을 고려하여, 학군지 혁신학교 1개교, 일반공립학교 2개교, 비학군지 혁신학교 1개교, 일반공립학교 2개교를 표집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한 뒤 SPSS 및 Jamovi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중학생용 선행도구를 바탕으로 제작한 초등학생용 진로개발역량(진로설계역량, 진로준비역량) 측정 도구의 구성과 내용은 신뢰할 만하고 타당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시행한 결과 적합한 신뢰도 및 타당도 지수를 확보하였다. 둘째, 초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의 수준과 인구통계특성에 따른 차이 검증을 수행한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대체적으로 진로설계역량의 수준이 높았다. 하지만, 학군지 여부, 혁신학교 여부, 학년에 따른 진로개발역량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초등학생의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 진로활동 경험의 수준에 대한 인구통계특성에 따른 차이를 살펴 본 결과, 일부 변수에 대하여 혁신학교 여부, 학년,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혁신학교가 비혁신학교에 비해 진로활동 경험의 다양성이 높게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진로활동 경험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경험의 다양성은 6학년이 5학년보다 높았지만, 경험의 만족도는 이와 반대로 5학년이 6학년보다 높았다. 성별에 따라서는 사회적지지 점수가 전체 및 하위영역 모두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고, 진로활동 경험의 만족도에 대하여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다. 넷째, 초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과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 진로활동 경험의 관계를 살펴 본 결과,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진로활동 경험 만족도 순으로 진로개발역량(진로설계역량, 진로준비역량)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적지지의 하위변수별 영향력을 살펴보면, 교사지지의 영향이 가장 큰게 나타났고, 이어서 친구지지, 가족지지 순으로 진로개발역량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진로활동 경험의 다양성은 진로개발역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적 측면의 제언 및 후속연구를 위해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교육에 있어 교사의 영향력은 물론 초등학생의 가족, 또래 등의 역할도 중요하다고 도출된 본 연구의 결과는 진로교육의 최전선에 위치하고 있는 교사의 노력은 물론, 가족과 또래를 통한 진로지도에도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점이 시사된다. 둘째, 초등학생의 일반적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내 프로그램을 통해 이들의 학교 내 생활과 사회생활에서의 의사결정에 대한 자기신뢰를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진로개발역량까지 향상시켜줄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셋째, 초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은 상대적 고학년 학생들의 진로활동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제도마련이 시급해 보인다. 6학년 학생보다 5학년 학생들의 진로활동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는 사실은 학년이 거듭해감에 따라 진로교육의 의미가 퇴색되고, 학생들의 만족도가 낮아져 자칫 형식적이고 표면적인 진로교육으로 흘러가고 있는 현실을 대변한 사실과도 맞닿아 있다. 마지막으로, 진로개발역량 및 사회적지지의 수준이 낮은 남학생들에게 적합한 진로개발역량 향상을 위한 고려가 필요하다. 남학생들의 진로개발역량과 그들에 대한 진로의 지지체계가 낮은 원인에 대하여 다양한 실증연구를 통해 파악한 뒤, 이에 기반한 현실적인 대안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학령기 아동의 마음이론과 읽기이해의 관계

        송민지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ory of mind is an essential skill that helps children to better socially interact with their peers. Since it is important to acquire appropriate social language to understand theory of mind, studies that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ory of mind and language ability are continuously being conduc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ory of mind and language can be considered not only in the pragmatic aspect but also in the learning aspect such as reading comprehension. For example, in order to understand a story, it can be said that the ability to accurately understand and infer the psychological state, such as breaking away from self-centered thinking and examining the situation and emotions of others, is required.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ory of mind and reading comprehension. In this study, school-aged children were divided into groups according to their performance in theory of mind tasks, and the characteristics of reading comprehension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groups. In this study, a total of 40 students in the lower and upper grade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high group and low group) according to the scores of the theory of mind task. And the children read various types of texts and solved the questions corresponding to factual information understanding and inferential understand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igh and low groups in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Children in the high group had higher total scores on the reading comprehension task than those in the low group.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question, children in the high group scored higher than children in the low group in both factual information understanding and inferential understanding.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ory of mind task performance and reading comprehension, it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theory of mind task performance, the higher the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Children in the lower group had difficulty understanding the factual information in the text. In addition, The children had difficulty in inferring something by integrating various information in the text. And it was difficult to connect various information with their own existing knowledge. In the case of the lower grad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 score of the reading comprehension task and the 'ambiguous situation' task was high, and the children of the lower group had difficulty in guessing the situation of the story and the thoughts and feelings of the main character. In the case of the upper grades, the highest positive correlation was shown between the total score of the reading comprehension task and the 'faux pas' task.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understanding the situation in the story well and correctly understanding the intentions of others had a great impact on reading comprehension. Through this study, the degree of theory of mind task performance was identified as a factor influencing reading comprehension, so it will be necessary to apply this to actual clinical settings. In the process of intervening in reading comprehension, children's performance in theory of mind can be confirmed, and based on this theory of mind, it will be possible to intensively intervene in reading comprehension. In addition, this study included all of the texts of the story, as well as poems and explanatory texts. Therefore, it is meaningful in that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was confirmed through various types of texts. 마음이론은 또래와 사회적 상호작용을 보다 잘할 수 있도록 돕는 필수능력이다. 마음이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사회적 언어 습득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에 마음이론과 언어능력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마음이론과 언어와의 관련성은 화용적 측면에서 더 나아가 읽기이해와 같은 학습적인 측면에서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이야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자기중심적인 사고에서 벗어나 타인의 입장과 감정을 살펴야 하는 등의 심리상태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추론하는 능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마음이론과 읽기이해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마음이론 과제 수행력에 따라 집단을 나누고, 집단에 따른 읽기이해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저학년, 고학년 각각 20명을 대상으로 마음이론 과제 점수에 따라 두 집단(고집단, 저집단)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아동은 다양한 유형의 지문을 읽고, 사실적 정보이해와 추론적 이해에 해당하는 문항을 풀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음이론 고집단과 저집단의 읽기이해 능력에서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고집단 아동은 저집단 아동에 비해 읽기이해 과제의 총점이 높았다. 또한 질문 유형에 따라 살펴보면, 사실적 정보이해와 추론적 이해 모두 고집단 아동이 저집단 아동에 비해 높은 점수를 얻었다. 둘째, 마음이론 하위과제 수행력과 읽기이해 간 상관을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마음이론 과제 수행력이 높을수록 읽기이해 능력 또한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집단에 비해 저집단 아동은 지문에 표면적으로 나타난 사실적 정보를 이해하는 것과 텍스트 내의 여러 정보들을 통합하여 추론하거나, 자신의 기존 지식과 연결하는 것을 어려워하였다. 저학년의 경우, 읽기이해 과제 총점과 ‘모호한 상황’ 과제 간 상관이 높았으며, 저집단 아동은 이야기의 상황, 주인공의 생각과 기분을 추측해보는 문항에서 어려움을 느꼈다. 고학년의 경우, 읽기이해 과제 총점과 ‘헛디딤 말’ 과제 간 가장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즉, 이야기 속 상황을 잘 파악하고 다른 사람의 의도를 바르게 이해하는 것이 읽기이해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마음이론 과제 수행의 정도는 읽기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기에 이를 실제 임상 현장에 적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읽기이해를 중재하는 과정에서 아동의 마음이론에 대한 수행 수준을 먼저 살펴볼 수 있고, 이러한 마음이론 능력에 기초하여 읽기이해를 보다 집중적으로 중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이야기 지문을 비롯해 시와 설명문까지 모두 포함하여, 다양한 유형의 텍스트를 통해 읽기이해 능력을 확인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 학령기 언어학습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속담 이해 및 표현 능력 비교

        박유진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속담은 간결하고 함축된 표현으로 삶의 지혜나 교훈을 비유적, 풍자적으로 표현한 말이며, 가장 나중에 발달한다. 국내의 초등학교 교과과정을 살펴보면 속담을 비중 있게 다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언어학습장애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함축적인 표현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것에 어려움을 보이기 때문에 교과과정 속 속담을 사용하여 다양한 활동을 함에 있어 어려움을 보일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언어학습장애 아동의 속담 친숙도와 사용 빈도, 문맥 제시 여부에 따른 속담 이해와 표현 특성을 살펴보고, 일반 아동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언어학습장애 아동의 속담 이해 능력과 표현 능력 중 어떠한 능력에서 더 쉽게 속담을 해석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10~12세 언어학습장애 아동 15명, 일반 아동 15명으로 하였다. 언어학습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속담 이해 및 표현 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아동은 연구자가 제작한 속담 이해 과제와 속담 표현 과제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학습장애 아동 집단과 일반 아동 집단 간 속담 이해 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언어학습장애 아동 집단의 문맥 제시 여부에 따른 속담 이해 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일반 아동 집단의 문맥 제시 여부에 따른 속담 이해 능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집단 간 속담 표현 능력에서 속담 표현 빈도는 언어학습장애 아동 집단이 일반 아동 집단보다 표현 빈도가 낮았으며, 언어학습장애 아동 집단의 오류 유형은 첨가, 생략, 대치, 순서 바꾸기 순으로 나타났으며, 일반 아동 집단의 오류 유형은 첨가, 대치 생략, 순서 바꾸기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두 집단 모두 집단 내에서 속담 이해 능력과 속담 표현 능력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두 집단 간 속담 이해 능력과 속담 표현 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언어학습장애 아동의 문맥 제시 여부에 따른 속담 이해 능력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두 집단 간 속담 표현 능력에서 속담 표현 빈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오류 유형 중 두 집단 모두 첨가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순서 바꾸기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두 집단 모두 집단 내에서 속담 이해 능력과 속담 표현 능력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언어학습장애 아동의 속담 이해 및 표현 향상을 위해서는 아동이 쉽게 속담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영역을 먼저 시행하는 것이 좋을 것이며, 이해 영역을 지도할 경우 우선 문맥을 제시하여 속담을 이해하고, 이후 문맥을 제시하지 않은 속담을 이해할 수 있게 하는 것이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지도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데 임상적 의의가 있다.

      • 메이커교육 활용 초등 교과연계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박용숙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메이커교육을 활용한 초등학교 교과연계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함으로써 학생의 진로발달 및 창업가정신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메이커교육을 활용한 초등학교 교과연계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운영한다. 둘째, 메이커교육을 활용한 초등학교 교과연계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발달과 창업가정신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메이커교육, 교과연계 진로교육, 진로발달 및 창업가정신 핵심역량 등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운영 및 효과성 측정을 위한 연구 방법을 설계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주요 결과를 연구 내용 순서대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이 연구에서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메이커교육을 활용하는 교과연계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14차시의 프로그램으로 개발 및 운영하였다. 이는 일명 ‘움직이는 놀잇감 제작 진로놀이연구소’라는 명칭의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하여 ‘학교 진로교육 성취기준(교육부, 2015)’을 중심으로 각 교과의 성취기준 중 진로교육 내용 요소를 추출하여 통합 학습목표를 설정하고, 메이커교육이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TMSI 모형(황중원 외, 2016)의 단계를 적용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이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진로교육 내용 측면에서는 자아이해, 일과 직업세계 이해, 진로탐색, 그리고 진로 디자인과 준비의 4단계 흐름으로 구성되며, 메이커교육 측면에서는 팅거링, 메이킹, 그리고 공유·개선의 3단계 흐름으로 구성함으로써 메이커교육과 진로교육을 유기적으로 연계하였다. 또한, 진로체험의 관점에서 사전 - 본 - 사후 활동의 단계로 구성하였다. 이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총 4주간 14차시로 운영하였으며, 코로나19로 인하여 차시에 따라 온라인, 오프라인, 그리고 온·오프라인 혼합교육 방식을 적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메이커교육 활용 교과연계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4학년 학생에게 적용한 결과 학생의 진로발달 및 창업가정신 핵심역량 측면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그룹(실험반 1학급, 대조반 1학급) 사전-사후 준실험설계를 적용한 결과 대조반에 비해 실험반 초등학생의 진로발달과 창업가정신 핵심역량이 유의미하게 높은 증가를 보였다. 또한, 통계적 방식의 보완을 위해 학생의 활동 과정 및 소감문을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초등학생의 진로발달과 창업가정신 향상 측면에 유의미한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메이커교육이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에 유의미하게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생들은 스스로 원하는 것을 만들어보고 서로 나누는 과정을 통하여 혁신성, 위험감수역량, 자율성 등 창업가정신 핵심역량이 높아졌고, 자기 자신에 대한 바른 이해와 진로 탐색 및 계획의 실천을 제고하는 진로발달에 기여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 프로그램의 교육적 활용 및 후속 연구에 관해 구체적으로 제언하였다.

      • 애니메이션 자극 제시 방법에 따른 언어학습장애 아동의 추론 능력 및 연결어미 특성

        조경하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Inference is the ability to deduce the implicit intention or information in a spoken or written language based on background knowledge. The abilities of inference in language development plays a key role in story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in children. Furthermore, the syntactic development enhances the abilities of story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and enables the children to produce syntactically correct phrases and sentences. For this, the connective endings as grammatical morphemes that connect antecedent and following clauses can be used as an indicator of the syntactic development and expressive competence in children. As the use of connective endings to express the cause-effect relation is essential in the abilities of inference, the abilities of connective ending production and inference can be applied in deter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language development in children. Children with language learning disabilities experience challenges at schools due to overall language ability problems as they face difficulties with questions regarding inference. Thu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bilities of inference in children with language learning disabilities should be identified to design interventions accordingly so as to help those children achieve successful communication experiences regarding learning scenes and peer interactions. In this study, the abilities of inference and connective ending production were characterized for children with language learning disabilities according to animation stimuli. The error types in the inference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cause of failure in inference. The study participants were children in years 1 - 3 at an elementary school in Busan. Ten children with language learning disabilities and twelve typical development children were selected. The tasks in this study consisted of one related to the abilities of inference and one related to connective ending production depending on the method of presentation (reading + animation stimuli; hearing + animation stimuli; animation stimuli only). The contents of the reading or hearing materials were in tune with the animation which vari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presentation. The results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bilities of inference was found between children with language learning disabilities and typical development children according to the presentation of animation stimuli. The abilities of inference on the whole was relatively low in children with language learning disabilities. Seco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duction of connective endings was found between children with language learning disabilities and typical development children according to the presentation of animation stimuli. However, based on the descriptive statistics, a higher level of performance upon the presentation of reading + animation stimuli was shown by children with language learning disabilities. Third, the most frequent inference error in children with language learning disabilities was ‘I don’t know’ or no response; that in typical development children was ‘incorrect reason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bilities of inference and production of connective endings in children with language learning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ation of animation stimuli.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tervention for the abilities of inference in children with language learning disabilities may apply various methods of presentation for animation stimuli. What this indicated was that, among the presentation methods, the one preferred by the children or the one where a high level of performance is shown by the children should be applied. In addition, the intervention for the connective ending production may use the method where the reading and animation stimuli are simultaneously presented. 추론 능력은 배경지식을 통해 구어나 문어 속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은 의도나 정보를 추리하는 능력이다. 추론 능력은 아동의 언어발달 과정에서 이야기 이해 및 산출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또한 구문론적인 발달은 아동의 이야기 이해와 산출 능력을 증진시키고, 문법에 맞는 구문을 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문법형태소인 연결어미는 선행절과 후행절의 접속관계를 구성하는 역할을 하여, 아동의 구문론적 발달 정도를 알아보는 요소로 활용될 수 있다. 추론 과정에서 인과관계를 나타내는 연결어미의 사용은 필수적이므로, 추론 능력과 연결어미 산출 능력은 아동의 언어발달 특성을 알아보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전반적인 언어능력의 문제로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언어학습장애 아동은 추론 질문에서도 어려움을 나타낸다. 언어학습장애 아동의 추론 능력 특성을 알아보고 그에 맞는 중재를 한다면, 학습 장면과 또래 관계에서 성공적인 의사소통 경험을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애니메이션 자극 제시 방법에 따른 언어학습장애 아동의 추론 능력과 연결어미 산출 특성을 확인하고, 추론오류유형을 분석하여 추론 실패의 원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부산 지역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1∼3학년에 재학 중인 언어학습장애 아동 10명과 일반 아동 12명을 선정하였다. 연구 과제는 자극 제시 방법(읽기+애니메이션 자극, 듣기+애니메이션 자극, 애니메이션 자극)에 따라 추론 능력 과제, 연결어미 산출 과제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읽기 또는 듣기 자극은 애니메이션과 동일한 내용으로 제시하였고, 제시 방법별로 애니메이션 내용은 달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학습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애니메이션 자극 제시 방법에 따른 추론 능력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언어학습장애 아동의 전반적인 추론 능력은 일반 아동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둘째, 언어학습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애니메이션 자극 제시 방법에 따른 연결어미 산출 능력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다만, 기술통계 상 언어학습장애 아동의 경우, 읽기+애니메이션 자극 제시 방법에서 보다 높은 수행력을 보였다. 셋째, 추론오류유형에서 언어학습장애 아동은 ‘모른다/무응답’의 유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일반 아동은 ‘틀린 추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 자극 제시 방법에 따른 언어학습장애 아동의 추론 능력 및 연결어미 특성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언어학습장애 아동의 추론 능력 중재 시, 다양한 애니메이션 자극 제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언어학습장애 아동 중재에 대상 아동이 선호하거나, 높은 수행력을 보이는 자극 제시 방법을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연결어미 산출 능력 중재 시에는 읽기 자극과 애니메이션 자극을 함께 제시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학령기 아동의 상위언어능력에 따른 읽기 유창성 특성

        김서윤 부산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상위언어능력은 언어에 대해서 생각하고 분석하는 능력으로, 학령기에 많은 발달이 이루어진다. 또한, 학령기에는 글로 구성된 교과서를 읽는데, 글을 빠르고 정확하게 읽는 읽기 유창성은 글을 이해하는 것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 언어발달의 적절성을 판단하고 중재목표를 세울 때 각 상위언어영역이 읽기 유창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은 읽기유창성 중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저학년 20명과 고학년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상위언어 과제(단어 정의하기, 문장 수정하기, 음운 수수께끼, 동음이의어) 총점에 따라 대상을 각각 두 집단(고집단, 저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아동에게 난이도가 다른 읽기자료 2가지를 읽게 한 후, 분당 정확하게 읽은 음절수와 읽기오류 유형을 통해 읽기유창성을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요약하면 다음과같다. 첫째, 초등 저학년의 상위언어 집단(고집단, 저집단)에 따른 읽기 유창성을 살펴본 결과,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상위언어 고집단이 저집단에 비해 읽기 유창성에서 높은 총점을 얻었다. 읽기오류 유형을 비교한 결과 대치, 첨가, 생략에서유의미한 차이가있었다. 둘째, 초등 고학년의 상위언어 집단(고집단, 저집단)에 따른 읽기 유창성을 살펴본 결과, 초등 저학년과 마찬가지로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지문 유형과 관계없이 고집단이 저집단에 비해 읽기 유창성의 총점이 유의하게 높았다. 읽기오류 유형을 비교한 결과 대치, 생략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상위언어 하위과제 수행력(단어 정의하기, 문장 수정하기, 음운 수수께끼, 동음이의어)과 읽기 유창성(저난이도 읽기, 고난이도 읽기, 총점) 간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저학년의 경우 읽기 유창성 총점과 상위언어 하위과제 중 ‘문장 수정하기’ 과제가 가장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고학년의경우에는 ‘단어 정의하기’ 과제가 가장높은정적상관을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상위언어능력이 읽기 유창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읽기에 어려움을 지닌 아동을 대상으로 중재를 할 때 동음이의어나 속담 등의 어휘지도, 음운처리능력, 구문의 이해및 사용과 같은상위언어적 활동을 통한 지도가 필요하다고볼 수 있다. 또한, 상위언어 고집단과 저집단의 읽기오류 유형을 비교했을 때, 고집단에 비해 저집단에서 의미나 문맥이 바뀌는 오류 유형이 많이 나타났으며, 상위언어능력이 발달할수록 읽기오류 유형에서 수정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학령기 아동의 읽기 지도 시 오류 유형에 대한 질적 분석을 통해 텍스트의 전체적인 내용에 방해가 되는 오류 위주의 중재가 필요하며, 수정을 습득할 수있도록 하여 아동의발달에맞는읽기지도가 필요함을시사한다. Metalinguistic ability is the capacity to think and analyze languages, and many developments occur during the school age. In addition, during this period, students read books in school composed of texts, and reading fluency is closely related to text comprehension. Examining how each metalinguistic area influences reading fluency when judging the appropriateness of language development and setting intervention goals can help to mediate reading fluency.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20 lower-grade and 20 higher-grade participants, categorized into two groups(high group, low group) based on the total score of metalinguistic tasks(word definition, sentence correction, phonological riddle, and homonym definition). After children read two materials with varying difficulty levels, reading fluency was assessed by the number of accurately read syllables per minute and the types of reading err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groups when examining reading fluency according to the metalinguistic group(high group, low group). The higher metalinguistic group achieved a higher total score in reading fluency compared to the lower group. When comparing types of reading error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substitution, addition, and omission. Second, in the high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metalinguistic groups(high group, low group), similar to the lower grades. Regardless of the difficulty level, the high group exhibited a significantly higher total score in reading fluency than the low group. When comparing types of reading error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substitution and omission. Third, the correlation between metalinguistic sub-task performance(word definition, sentence correction, phonological riddles, homonym definition) and reading fluency(low-level reading, high-level reading, total sco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lower grades, the 'sentence correction' task showed the highest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 metalinguistic sub-tasks, and in the higher grades, the 'word definition' task showed the highest positive correlation. The study results confirm that metalinguistic ability is a factor influencing reading fluency. Therefore, when mediating children with reading difficulties, guidance through metalinguistic activities such as vocabulary instruction(homonyms and proverbs), phonological processing ability, and comprehension and application of syntax is necessary. Additionally, compared to the high group, more error types that changed meaning or context appeared in the low group, and it was confirmed that as higher level language skills developed, the proportion of corrections among reading error types increased. This suggests the need for error-oriented interventions that analyze error types qualitatively in reading instruction for school-age children, emphasizing reading instruction suitable for their development by allowing them to learn from corre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