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람 구강암세포 KB에서 quercetin과 rutin의 항암효과

        김서윤 조선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47

        양파, 과일, 메밀 및 약초 등에서 유래한 플라보노이드의 유효성분 중 하나인 quercetin(3,5,7,3',4'-tetrahydroxyflavone)은 항염증, 항동맥경화증, 항산화 및 항암효과 등을 포함한 여러 유익한 생물학적 활성이 있다고 보고되어져 왔으며, 특히 특정 암세포 성장을 억제시킬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Rutin(quercetin-3-O-rutinoside)은 식물 이차대사물로서 quercetin의 글리코시드 유도체 중 하나이다. 그러나 구강암과 관련된 quercetin과 rutin에 관한 자료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람 구강암 세포주를 이용하여 quercetin과 rutin의 구강암세포 성장억제에 미치는 효과와 세포성장 억제기전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quercetin과 rutin에 의한 구강암세포 성장억제와 그 기전을 조사하기 위해, 사람 구강암세포 KB에서 quercetin과 rutin을 처리한 후, MTT 분석, DAPI를 이용한 세포핵 염색, immunoblotting 및 caspase 활성분석 등을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람 구강암세포 KB 세포주에서 quercetin은 KB 세포의 성장을 시간과 농도에 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나, rutin은 KB 세포의 성장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2. KB 세포에서 quercetin은 핵의 응집과 파쇄를 유도하였으나, rutin은 핵의 응집과 파쇄를 거의 유도하지 않았다. 3. KB 세포에서 quercetin은 procaspase-3의 proteolytic cleavage와 절단된 caspase-3의 증가를 촉진하였으나, rutin은 procaspase-3의 proteolytic cleavage를 촉진시키지 않았다. 4. KB 세포에 quercetin을 처리한 실험군에서 procaspase-7의 proteolytic cleavage 현상과 절단된 caspase-7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rutin을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procaspase-7의 proteolytic cleavage 현상을 볼 수 없었다. 5. Quercetin은 procaspase-9의 proteolytic cleavage와 절단된 caspase-9의 증가를 촉진하였으나, rutin은 procaspase-9의 proteolytic cleavage를 촉진시키지 않았다. 6. KB 세포에 quercetin을 처리한 실험군에서 caspase-3/-7의 활성화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rutin은 caspase-3/-7의 활성화를 유도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 quercetin은 사람 구강암세포 KB의 apoptosis를 유도하여 구강암세포 성장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로, quercetin을 이용한 구강암세포의 성장억제에 관한 하나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중심어: Quercetin, Rutin, 세포사, Apoptosis, 항암치료제, 구강암

      • 친환경 식품의 소비가치가 환경의식과 만족도에 따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서윤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빠르게 발전하는 과학기술과 이로 인해 환경오염도 점점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에 경각심을 갖는 소비자와 국가들에 의해 친환경 소비에 대한 중요성도 점점 커지고 있다. 2017년 세계 유기농 식품 및 음료 시장 규모는 970억 달러로 전년 대비 8% 증가하였다. 코로나19 팬데믹과 점점 늘어나는 기대수명, 지속 가능한 발전에 대한 관심은 향후 친환경 식품과 산업에 대한 증가로 이어질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식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시장 전체의 규모가 증대되고 친환경 식품을 이용하는 소비자와 친환경 식품을 제공하는 기업 또한 늘어난 것을 지각하고 친환경 식품의 소비가치가 환경의식과 만족도에 따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많은 선행연구에서 각각 변수들에 관한 연구는 충분히 진행되었지만 모든 변수를 동시에 분석하고자 하는 연구는 미흡하여 본 연구를 통해 친환경 식품의 소비가치와 소비자의 환경의식, 친환경 식품의 구매 만족도, 친환경 식품 구매의도 사이의 관계와 서로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실증 연구의 수행을 위해 본 연구는 전문서적, 인터넷 뉴스, 연구 보고서 등의 문헌에 대한 고찰과 선행연구에서 사용하였던 측정도구를 참고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보완하고 수정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표본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친환경 식품을 구매해 본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을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은 설문지를 회수한 후 응답의 내용이 부실하거나 낮은 신뢰성을 가졌다고 판단되는 자료가 있는지 검증하고 총 328부를 IBM SPSS Statistics 25.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다중반응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기술통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 및 단순회귀분석 등을 실시했으며 요인들 사이의 영향관계를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한 실증 분석 결과 친환경 식품의 소비가치, 환경의식, 만족도, 구매의도의 타당성과 신뢰도에 대한 검증에서 KMO 측도 값과 Bartlett 구형성 검정치와 하위요인들의 적재값 및 Cronbach’s α 값 모두가 요인분석에 적합한 타당성과 신뢰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위해 설정한 18개의 세부 가설 중 4개의 세부 가설을 제외한 14개의 세부 가설이 채택되었다. 친환경 식품의 소비가치 중에서 사회적 가치는 환경의식과 만족도, 구매의도 중 어떠한 변수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외에도 환경 식품의 소비가치 중 기능적 가치는 환경의식과는 큰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의 어떠한 소비가치가 환경의식과 만족도, 구매의도에 영향을 주었는지 확인하여 관련된 다른 연구들의 기초 자료 및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둘째, 기능적, 사회적, 환경적, 웰빙적, 윤리적 가치로 구분된 소비가치를 측정한 설문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확보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 셋째, 친환경 식품 소비자의 소비가치와 환경의식, 그리고 친환경 식품 구매 만족도와 구매의도의 4가지 요인 모두가 서로에게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넷째, 친환경 식품 소비자에 대한 마케팅 전략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실무적 의의가 있다. 다섯째, 소비자의 환경의식이 친환경 식품 구매 만족도와 친환경 식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소비자의 환경의식을 증진시킴으로써 친환경 식품의 구매의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여섯째, 현재 친환경 식품의 소비가치 중에서 사회적 가치는 아직 어느 요인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검증하여, 친환경 식품에 대한 프리미엄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여 사회적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소비자들도 친환경 식품에 대한 구매의도를 높일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일곱째, 친환경 식품의 만족도가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므로 식품 본연의 기능인 맛과 가격에 대한 경쟁력을 확보한다면 환경의식이 높지 않은 소비자도 구매의도가 충분히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런 많은 시사점에도 불구하고 연구 수행 과정에서 몇 가지 한계점을 드러내었고,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는 향후 연구의 방향성에 대해 제시하였다. 첫째, 소비자의 대다수가 친환경 식품에 대한 구매 경험이 없음을 간과하고 표본을 친환경 식품 구매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로 한정하여 연구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런 표본의 편중을 개선하여 연구해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 중 친환경 식품 소비자의 소비가치 중 사회적 가치와 친환경 식품 구매의도가 유의한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에 대한 원인이나 개선점을 도출할 수 있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셋째, 과학기술이 발전하면서 동시에 환경 파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친환경 식품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을 잊지 않고 친환경 식품의 만족도와 소비자의 환경의식, 친환경 식품의 구매의도 및 재구매의도에 대한 추가 연구를 더 해가야 할 것이다. The importance of eco-friendly consumption is growing by consumers and countries who are aware of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rapidly developing science and technology. In 2017, the size of the global organic food and beverage market was $97 billion, up 8% from the previous year. The COVID-19 pandemic, increasing life expectancy, and interest in sustainable development will lead to an increase in eco-friendly food and industry in the future. In this study, we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 of the consumption value of eco-friendly food on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environmental awareness and satisfaction, recognizing that the overall size of the market increased as the demand for eco-friendly food increased, and consumers using eco-friendly food and companies providing eco-friendly food also increased. In many previous studies, studies on each variable have been sufficiently conducted, but studies to analyze all variables at the same time are insufficient, so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umption value of eco-friendly food, the environmental consciousness of consumers, the satisfaction of purchasing eco-friendly food, and the effect on each other. To conduct empirical research, this study prepared a questionnaire by supplementing and revising it to meet the purpose of this study by referring to literature reviews such as professional books, Internet news, and research reports and measurement tools used in previous studies. In ord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sample, consumers who have purchased eco-friendly food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the study and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After collecting the questionnaire, the research method verified whether there were data judged to have poor or low reliability in the response content, and used IBM SPSS Statistics 25.0 to analyze frequency, multiple respons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for a total of 328 copie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nd the following results and implications were derived by verify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established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both the KMO measure value, Bartlett sphericity test, the load value of sub-factors, and Cronbach's α value ha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suitable for factor analysis in verify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consumption value, environmental awareness,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of eco-friendly food. Of the 18 detailed hypotheses established for the study, 14 detailed hypotheses were adopted, excluding 4 detailed hypotheses. It was found that the social value of eco-friendly food did not affect any variables among environmental consciousness, satisfaction, or purchase intention, and the functional value of environmental food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environmental consciousness.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basic data and theoretical basis for other related studies were presented by confirming which consumption values of consumers affected environmental awareness,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Second, it is of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has secur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survey measuring consumption values divided into functional values, social values, environmental values, well-being values, and ethical values. Third, it was verified that all four factors, including consumption value and environmental consciousness of eco-friendly food consumers, satisfaction with purchasing eco-friendly food, and purchase inten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ach other. Fourth, it has practical significance in that it presents the direction of marketing strategies for eco-friendly food consumers. Fifth, it was confirmed that consumer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ffects the satisfaction of purchasing eco-friendly food and the intention to purchase eco-friendly food, so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urchase intention of eco-friendly food by enhancing the consumer'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Sixth, it was verified that the social value of the current consumption value of eco-friendly food has not yet affected any factors, and by establishing a premium marketing strategy for eco-friendly food, it suggested a direction for consumers who value social value to increase their intention to purchase eco-friendly food. Seventh, since the satisfaction of eco-friendly food has a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it was confirmed that consumers with low environmental awareness can sufficiently increase their purchase intention if they secure competitiveness in taste and price, which are the natural functions of food. Despite many of these implications, several limitations were revealed in the process of conducting research,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that can compensate for these limitations was suggested. First, the study was conducted by limiting the sample to consumers with experience in purchasing eco-friendly food, overlooking the fact that the majority of consumers had no experience in purchasing eco-friendly food. In future studies, it will be necessary to improve the bias of these samples. Second, amo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social value and intention to purchase eco-friendly food among the consumption values of eco-friendly food consumers,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rive causes or improvements. Third,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growing concerns about environmental destruction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conduct additional research on the satisfaction of eco-friendly food, consumer environmental awareness, purchase inten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of eco-friendly food without forgetting the importance of research on eco-friendly food.

      • KLPGA 챔피언스 투어의 스폰서기업 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 ESG 경영활동 관점으로

        김서윤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스폰서십 참여를 통해 KLPGA 챔피언스 투어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나아가 스폰서 기업의 ESG 활동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스폰서십 활동을 통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 스폰서 기업의 마케팅 촉진활동 증대를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KLPGA 챔피언스 대회 시청을 경험한 관람자 500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조사기간은 2022년 5월에서 7월까지 3개월 간 비확률 표본추출법 중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모든 항목은 Likert 7점 척도로 구성하였다. 첫째, KLPGA 챔피언스 투어 후원 기업의 스폰서십 활동이 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폰서십 활동의 하위요인 중 이미지제고, 이벤트기여가 기업 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KLPGA 챔피언스 투어 후원 기업의 스폰서십 활동이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ESG 경영 활동인 환경(E), 사회(S), 지배구조(G)는 요인별 각각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KLPGA 챔피언스 투어 후원 기업의 스폰서십 활동이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ESG 경영활동의 전체 직렬 매개효과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KLPGA 챔피언스 투어의 스폰서십 활동과 관람객의 이용의도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진정성의 조절효과는 조건부효과를 통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KLPGA 챔피언스 투어 관람객이 지각한 기업의 스폰서십 활동을 파악하여 향후 기업의 이용의도에 긍정적 요소를 형성해야 하고, 나아가 관람객이 느끼는 후원에 대한 진정성과 ESG 경영활동의 인지화를 시킨다면, 대회를 후원하는 기업의 스폰서십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KLPGA 챔피언스 투어 메인스폰서십으로 기업참여하는 ESG 경영활동을 참고하여 고객에게 긍정적인 인지도를 높여야 한다. 스폰서십 기업이 단순히 단기적 이윤을 추구하는 것보다는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노력을 보이고, 진정성있는 메인스폰서십의 운영을 통해 장기적으로 기업 이미지를 향상시킨다면 더욱 좋은 가치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증강현실 체험요소, 실재감, 감정반응, 방문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김서윤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Augmented reality is an area that is expected to undergo the biggest changes through 5G communication technology, drawing attention as a key content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ugmented reality experience is being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education, medical care and tourism as an effective tool to arouse new imagination and curiosity and attract new users by providing fun. With the development and activation of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ttempts by companies and local governments to incorporate augmented reality are also increasing, bu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to experience augmented reality firsthand and measure its effects at a time when demand for augmented reality users is increasing and expectations for experience are rising. Based on the fact that augmented reality can deliver empirical elements to users as users download and use the augmented reality app direct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pplies the theory of experience economy of Pine and Gilmore(1998) to augmented reality to expand the scope of experience economy research through areas that were not previously covered. In addi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emotions and behaviors of users who experienced augmented reality in person, this study was actually intended to measure the persence of mobile devices after the subjects experienced augmented reality in pers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rst,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structural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four elements of experience of entertainment, education, escapism, and aesthetic, persence, emotional response, and intention of visiting. Second, after experiencing augmented reality in person, we identify whether the persence affects the intention of the visit through emotional reactions and establish a theoretical basis for it. Third, we intend to expand the scope of research related to the experience economy by verifying whether the theory of experience economy can be applied to the augmented reality experience through empirical research. Finally, based on the findings identified above, we would like to provide activation measures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inducing actual visits by users. The preliminary survey of this study was conducted on 50 students from May 1-8, 2018, and was conducted on university students in Daegu and Gyeongbuk who experienced the 'Jung-gu Tourism AR Postcard Book'. Based on the preliminary survey analysis results, the survey was conducted in the same way as the preliminary survey from May 14 to June 1, 2018. A total of 32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281 of them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39 that were inconsistent or unrespons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verifying how experience factors affect arousal, it was found that components that affect arousal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aesthetic experience, escapism experience, and entertainment experience. However, the education experience has shown no significant impact on arousal. These results show that the user's arousal in augmented reality experience is an important emotion of inducing positive behavior with curiosity about the experience. Second, after verifying how experience factors affect pleasure, it was found that the components that affect pleasure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escapism experience, aesthetic experience, and entertainment experience. However, the education experien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leasure. This suggests that the composition of various entertainment experience contents that are difficult to access in everyday life is important. Third, the persence has been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arousal and pleasure. This suppor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by stating that persence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study of augmented reality users, with the same result as the preceding study that the experience of persence such as actual visit affects the interest and positive feelings of the visiting place. Finally, arousal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pleasure, and pleasur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ntention of visitation. Through this, the follow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erived from this study. First, if most research using augmented reality was focused on technolog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wanted to understand the emotions and behaviors of users who experienced augmented reality directly using the theory of experience economy. Second, augmented reality experience, which has great visual effects, suggests that it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to improve the artistic sensibility perception that expresses tourist attractions attractively through vivid images and sounds, and that sensuous design and differentiated content should be developed. Third, augmented reality is drawing attention with technologies that create new values because of the sense of reality. A sense of reality that feels like reality is a leading factor that induces various emotions, and in order to enhance users' sense of reality, they need to secure and build a lot of experience contents that can be enjoyed. Fourth, given that joy influences the intention of the visit, it suggests the need for an interesting and exciting content that can be felt with the whole body. A sampl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only on a specific app called 'Jung-gu Tourist AR Postcard Book', which is a sample of university students in a specific area. Subsequent research is expected to re-verify the research models presented in this study using various research subjects and augmented reality apps 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develop.

      • 高麗王室 稱號의 여러 樣相

        김서윤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려 왕실 칭호의 여러 양상 김 서윤 고려왕실은 건국 초부터 황제국 체제를 지향하였고, 황제국으로서의 권위를 갖고 정국을 운영하였다. 이에 다양한 정치 제도, 사회 제도, 사회적 분위기 모두 황제국으로서의 특징을 지니고 있었으나, 이는 『고려사』의 편찬 과정에서 대부분 생략‧축약되어 그 내용을 정확히 파악하기가 힘들다. 특히 황제국으로서의 특징을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왕실 칭호의 구사에 있어서는 더더욱 그 내용에 많은 수정이 가해졌다. 이에 왕실 칭호의 다양한 양상을 정확하게 파악하기에는 큰 무리가 따른다. 고려는 다양한 특징을 미루어 살펴보았을 때 분명히 황제국으로서의 특징을 가진 황제국이었다. 건국 초부터 사용된 ‘천자’라는 칭호와 하늘로부터 큰 뜻을 받아 나라를 세웠다는 ‘천명의식’, 그리고 당나라의 제후국 체제를 모방한 제왕제(Princely Establishment), 제후들에게 토지를 분배하였던 식읍제의 구성과 그 내용이 근거이다. 또한 황제국으로서의 왕실 일원들의 칭호 사용도 그 대표적인 예가 될 수 있는데, 이는 『고려사』의 편찬 과정에서 많은 내용들이 수정되고 개서(改書)되어 상세한 양상을 살펴보아야 파악이 가능할 것이다. 이에 고려왕실 칭호의 양상을 분석해 보았다. 먼저 고려 초에는 왕위계승자를 의미했던 태자라는 칭호가 많은 왕자들에게 부여되고 있었으며, 실질적인 왕위계승자는 ‘정윤(正胤)’이라는 특이한 칭호를 지녔다. 본 글에서는 이들 왕자들의 특징을 각각 분석하여 정윤과 태자들, 또한 나머지 일반 군(君)들이 어떠한 경우에서 이런 칭호를 받게 되었는지 분석하였다. 다음으로는 초기를 제외한 전 왕대에 걸친 왕자들의 칭호를 분석하였다. 고려왕실의 왕자들은 고려로부터 봉작을 받아 각각 공(公), 후(侯), 백(伯) 등의 작위를 받았는데 이들의 구분 기준과 승진의 기준을 살펴보았다. 또한 고려왕실의 여성들 중 왕의 배필들을 분석하여 그들이 가졌던 왕비의 칭호와 후궁들의 칭호에는 어떤 것들이 있었는지 분석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조선 초기의 『고려사』편찬 과정에서 시행된 다양한 수정과 개서의 현황을 살펴보았고, 이 개서로 인해 고쳐진 왕실의 칭호와 사라진 황제국의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이들은 『고려사』에서는 삭제되어 찾아볼 수 없으므로, 당대의 금석문과 문집, 외교문서 등과의 비교를 통해 관련 자료를 추출하였다. 이에 본 글은 다양한 특징들을 종합하여 고려가 황제국 체제를 띠고 있었음을 증명하였고, 다양한 왕실 칭호의 양상들을 살펴봄으로써 고려 왕실의 특징을 간소하게나마 드러내었다. 또한 지금까지 진행되었던 다양한 연구 성과들을 종합‧정리하여 그 내용을 정돈하였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Various Patterns of Titles in the Royal Family of Goryeo Kim Seo-yun The royal family of Goryeo was oriented toward the empire system right from the foundation of the state and managed the political situations with its authority as an empire. As a result, it had characteristics as an empire across all of its diverse political systems, social systems, and social atmosphere, but most of them were omitted or abbreviated in the publication process of Goryeosa, which means it is difficult to figure out the concerned content exactly. There were particularly many revisions to the content of the royal family's titles, which would be able to reveal its characteristics as an empire best. There are thus many difficulties to figure out the various patterns of its titles accurately. Given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Goryeo, there is no doubt that it was an empire with its characteristics as one. Grounds for this argument can be found in the organization and content of the "Cheonja" title that they used from the foundation of the state, the "Cheonmyeong belief" that they founded a nation under the big will of the Heaven, the princely establishment that mimicked the imperial system of Tang, and the Sikeup system to distribute land to feudal lords. Good examples can also be found in the titles of members of the royal family as an empire. There is a need to examine their patterns closely to understand them since the many parts of Goryeosa were revised and rewritten in the publication process. This study thus set out to analyze the patterns of titles for the royal family of Goryeo. In early Goryeo, the crown prince title to refer to a successor to the throne was given to many princes. The actual successor to the throne was given a particular title "Jeongyun(正胤)." The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princes and the cases of each prince receiving a title including Jeongyun, crown prince, and general kun. The study then analyzed the titles of princes throughout the royal history of Goryeo except for its early days. In the royal family of Goryeo, the princes were invested with a title of nobility from the state and received a noble title such as Gong, Hu, and Baek. The study examined their criteria and the standards for their promotion. The study also analyzed the spouses of kings in the royal family of Goryeo and the titles of queens and royal concubines. Finally, the study looked into the various revisions and rewriting circumstances in the publication process of Goryeosa in early Joseon and also the revisions to the titles of royal family and lost characteristics of Goryeo as an empire due to rewriting. Since they were deleted from Goryeosa, the investigator collected concerned materials in the epigraphs, collections of works, and diplomatic documents of the times through comparison.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Goryeo adopted the imperial system by putting together its various characteristics and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Goryeo's royal family briefly by examining the patterns of its diverse titles. The study also put together and sorted out various findings in previous studies and arranged the content, thus holding its significance.

      •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신체화의 관계에서 신체감각 증폭지각 및 신체적 귀인의 매개효과

        김서윤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신체감각 증폭지각과 신체적 귀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부산의 4개 고등학교와 서울지역 1개 고등학교, 경기지역 1개 고등학교의 1, 2학년 학생 1,590명(남자 730명, 여자 860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수준 검사지, 한국판 아동 신체화척도, 신체감각 증폭 척도, 증상 해석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사용하여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과 신체증상별 경험 사례 빈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스트레스, 신체화, 신체감각 증폭지각, 신체적 귀인의 남녀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변인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과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스트레스와 신체화의 관계에서 신체감각 증폭지각, 신체적 귀인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검증 절차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트레스가 신체화 총점과 통증 및 허약 증상, 전환 및 유사 신경학적 증상, 소화기 증상, 시각적 증상 등 신체화의 각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였으며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신체화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신체감각 증폭지각, 신체적 귀인이 신체화 총점과 통증 및 허약 증상, 전환 및 유사 신경학적 증상, 소화기 증상, 시각적 증상 등 신체화의 각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였으며 인지 왜곡이 심할수록 신체화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스트레스와 신체화의 관계에서 신체감각 증폭지각 및 신체적 귀인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스트레스와 신체화 총점간의 관계에서 신체감각 증폭지각과 신체적 귀인 모두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스트레스와 신체화 각 하위 요인의 관계에서 신체감각 증폭지각 및 신체적 귀인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스트레스와 통증 및 허약 증상, 소화기 증상, 시각적 증상 등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에 따라 청소년기 스트레스와 신체화 관계의 중요성을 확인하였고, 스트레스와 신체화의 관계에서 신체감각 증폭지각 및 신체적 귀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omato-sensory amplification and somatic attribution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 stress and somatization. The subjects were 1,590 first and seco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Kyonggi and Busan. They were assessed by The Examination Paper of Stress Level, Korean Children's Somatization Inventory, Korean Versions of Somatosensory Amplification Scale and Symptom Interpretation Questionnaire. Using SPSS 12.0,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arson's correlation,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Lastly, Baron and Kenny's(1986) model was used to verify mediational effec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stress had a significant effects on total score of somatization, pain and weakness, conversion or pseudoneurological symptoms, gastrointestinal symptoms, and visual symptoms. It showed that the stress and somatizations had the positive correlations. Second, somato-sensory amplification and somatic attribution had a significant effects on total score of sometization, pain and weakness, conversion or pseudoneurological symptoms, gastrointestinal symptoms, and visual symptoms. It showed that somato-sensory amplification and somatic attribution had the positive correlations with somatizations. Finally, somato-sensory amplification and somatic attribu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 stress and total score of somatization. Somato-sensory amplification and somatic attribu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 stress and pain and weakness, conversion or gastrointestinal symptoms, and visual symptoms. This study confirmed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 stress and somatization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omato-sensory amplification and somatic attribution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 stress and somatization.

      • 혈액투석환자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요인

        김서윤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 본 연구는 혈액투석환자를 대상으로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고,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혈액투석환자의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효과적인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 본 연구는 U광역시 소재 4개의 인공신장실에서 혈액투석치료를 받는 만성신부전 환자들 중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서면 참여 동의서에 동의한 9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자료는 연구책임자가 속한 기관의 연구윤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승인을 받았으며(승인번호: 2-104-10240AB-N-01 ? 20130828-HR-007-02), 자료 수집은 2013년 9월 13일부터 10월 4일까지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는 혈액투석 스트레스 측정도구(Hemodialysis stress scale; HSS), 피로시각상사척도, 우울척도, 자아존중감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분산분석(ANOVA), Pearson 상관관계계수와 단계별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 대상자의 스트레스 정도는 1-5점 범위에서 3.35(±0.58)점이었으며, 신체적 스트레스는 3.18(±0.75)점, 심리사회적 스트레스는 3.40(±0.62)점이었다. 피로 정도는 0-10점 범위에서 5.53(±1.78)점이었으며, 우울 정도는 19-76점 범위에서 52.07(±10.04)점이었다. 자아존중감 정도는 10-40점 범위에서 24.71(±5.89)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질병 관련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는 연령(t=3.04, p=.033), 직업유무(t=-2.20, p=.031), 투석기간(t=2.84, p=.043), 직장변화(t=4.24, p=.008)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스트레스와 관련된 변수간의 상관관계는 우울(r=.54, p<.001), 피로(r=.53, p<.001)과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자아존중감(r=-.48, p<.001)과는 유의한 역상관관계가 있었다. 4. 혈액투석환자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우울(β=.325, p=.007)이 전체변량의 27.9%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피로(β=.313, p=.009)가 포함되어 총 설명력은 32.5%였다. 결론 : 본 연구 결과 혈액투석환자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우울, 피로였으며, 연령, 직업유무, 투석기간, 직장변화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기 위해 우울, 피로에 대한 간호중재 개발이 필요하고, 대상자 특성 및 심리사회적 요소를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결과는 혈액투석환자의 스트레스에 효과적인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함에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 카메라가 장착된 모바일 폰을 이용한 24시간 식사 회상 앱 개발 및 타당성 연구

        김서윤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Chapter I. 카메라가 장착된 모바일 폰을 이용한 24시간 식사 회상 앱 개발 및 만족도 연구 만성질환에 식이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기 위해 개인의 식이섭취를 조사 평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24시간 식사회상법은 식사조사를 위해 주로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나 이는 훈련된 면접자가 필요하고 여러 날을 조사하는 경우 여러 번 대면함에 따라 발생하는 비용이 높은 편이다. 또한, 우리나라 음식의 경우 재료가 다양하고 복잡한 혼합음식, 국물음식이 많아 국물음식의 국물섭취량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 이에 카메라가 장착된 모바일 폰으로 섭취한 식사 전, 후의 사진을 촬영하여 이를 24시간 식사회상 및 기록 시 사용하는 앱에 대한 연구가 최근 도입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는 이러한 24시간 식사회상 기록을 할 수 있는 모바일 폰 앱의 개발이 미비한 상황이고 만족도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사진을 이용하여 빠르고 편리하게 식사회상자료를 수집할 수 있는 국물섭취 행태를 반영한 24시간 식사회상 앱을 개발하고 대상자 사용 후 만족도 평가를 실시하여 앱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카메라가 장착된 모바일 폰을 이용하여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24시간 식사회상 또는 기록을 위한 앱을 개발하였다. 개발 후 10명을 대상으로 Pre-test를 하여 불편 사항 및 개선점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그를 바탕으로 앱을 수정하였다. 2015년 9월-2016년 9월에 걸쳐 남자 92명, 여자 100명의 성인을 대상자로 하여 최종적으로 개발된 식사조사 앱을 사용한 후 설문지 항목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대상자는 앱을 이용하여 그릇의 크기와 잔반량 파악을 위해 가로 5cm, 세로 5cm, 높이 2cm로 제작한 눈금 모양의 측정도구와 함께 각 식사 섭취 전, 후의 사진을 각각 45도, 90도로 촬영하여 설치한 앱에 저장한 후 사진을 보며 4일 동안 각 날짜 별로 24시간 식사회상 자료를 기록하고 완료하면 모바일 폰으로 앱에 대한 만족도 평가 설문에 응답하였다. 만족도 평가는 앱 사용자 인터페이스, 감정반응, 식행동 관련 문항이 각 12문항, 8문항, 9문항으로 구성되어 매우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까지 리커트 5점 척도로 구성하였으며 앱에 대한 불편 사항 또는 개선점에 대한 개방형 질문을 추가하여 모바일 폰으로 설문 웹페이지 링크를 전송하여 응답하도록 하였다. 통계분석방법은 SPSS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이용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문항의 평균은 2.82±1.08로 ‘보통이다’라는 응답에 가까웠다. 감정반응과 식행동 문항도 전체적으로 ‘보통이다’라는 응답에 가까웠다. 이를 통해 대상자가 개발한 앱을 이용해 스스로 24시간 식사회상 기록을 하는 데에 큰 어려움을 겪지 않았던 것을 알 수 있었고 앱의 사용이 감정과 식사 행동 변화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으나 앱이 연구자 중심으로 만들어져 좀 더 많은 대상자 중심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촬영한 사진을 인식해 음식 및 섭취량을 확인, 추정할 수 있는 기술의 도입으로 대상자가 사용하기 쉽고 대면으로 인한 비용도 줄일 수 있는 식사조사 앱을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Chapter I. Development and user satisfaction of a mobile phone application for image-based dietary assessment Evaluating individual’s dietary intake is an important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intake and chronic disease. A 24-hour dietary recall is a commonly used method for dietary assessment. However, interviewers must be adequately trained to obtain complete dietary information and if several days of dietary assessment should be collected, it results in high expense. It is important to accurately assess the amounts of liquid intake in liquid-based dishes because research shows that higher sodium intakes are linked to an increase in liquid-based Korean food. The recent development of mobile phone technology for dietary assessment has offered a promising new way to memory and record 24-hour recalls but there are few studies of development and user satisfaction of those instruments in Kore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mobile phone application for image-based dietary assessment and evaluate satisfaction regarding respondent’s use of the mobile phone application. For the preliminary study, 10 adults participated and revised the app based on their comments. We recruited 192 volunteers (92 male, 100 female) to use the mobile phone application and response satisfaction survey.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use the mobile phone application with fiducial marker five centimeter in width, length and two centimeter height at each eating occasion during designated 4 days, capturing 45° angle and 90° angle images of all food and beverage items before and after consumption. After using the mobile phone application for 4 days,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questionnaire on the satisfaction of the mobile phone app using mobile phone. User satisfaction items are composed 12 questions of application user interface, 8 questions of emotional response, 9 questions of eating behavior in 5 likert scale. Participants were also asked to provide additional open-ended comments on the use of mobile phone app.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the SPSS 23.0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As a result, the average user interface score was 2.82±1.08(unit), which is close to the 'normal' response. Responses for emotion and eating behavior also were borderline to the ‘normal’. I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mobile phone application for 24-hour dietary recall was not difficult to use and there was no major effect on change in emotional response and in eating behavior. However, there should be a need for such technology to be user-oriented instead of researcher-oriented. Also, Easy and cost-effective new technology is needed for estimating the amounts of food eaten automatically when the photos are taken. Chapter Ⅱ. 카메라가 장착된 모바일 폰을 이용한 24시간 식사 회상 앱 타당성 연구 나트륨(Sodium, Na)은 한국인이 과잉 섭취하고 있는 영양소 중 하나로 나트륨의 섭취가 과다한 경우 고혈압뿐만 아니라 위암, 골다공증, 심혈관질환, 뇌혈관질환 등을 유발 또는 악화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나트륨 섭취량을 측정하는 방법에는 소변으로 배출된 나트륨 량을 측정하여 평가하는 방법과 식이섭취조사를 통해 계산하는 방법이 있는데 식이섭취조사 방법 중 24시간 식사 회상은 대상자의 부담이 적고 시간을 적게 소요하나 좀 더 정확한 자료 수집을 위해 훈련된 면접원이 필요하고 면대면으로 실시되어 그로 인한 비용이 증가하며 대상자의 기억력에 의존하므로 부정확해 질 수 있다. 이에 앞선 연구에서 카메라가 장착된 모바일 폰을 이용해 대상자가 섭취한 음식 전, 후 사진을 촬영하고 이를 참고하여 24시간 식사 회상, 기록을 할 수 있는 앱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면대면 24시간 식사 회상, 앱을 이용한 24시간 식사 회상, 국물 섭취량을 고려한 면대면 24시간 식사 회상, 국물 섭취량을 고려한 앱을 이용한 24시간 식사 회상, 식품섭취빈도지에 의한 각 나트륨 섭취량을 24시간 소변 내 나트륨 배설량을 통해 추정한 나트륨 섭취량과 비교하여 앱을 이용한 24시간 식사 회상의 타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5년 10월-2016년 10월에 걸쳐 모집한 총 203명의 연구 대상자 중 에너지섭취량 500kcal 이하와 24시간 소변량이 500mL 이하인 대상자를 제외한 172명(남성 84명, 여성 88명)을 최종 분석 대상자로 정하여 동일한 날짜 1일 간의 24시간 소변 수집, 면대면 24시간 식사 회상, 앱을 이용한 24시간 식사 회상과 국물 섭취량을 고려한 면대면 24시간 식사 회상과 앱을 이용한 24시간 식사 회상, 음식섭취빈도지에 의한 나트륨 섭취량을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평균을 비교하였고 Pearson’s correlation을 이용해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식품섭취빈도지에 의한 섭취량을 제외하고 남녀 전체에서 면대면 24시간 식사 회상, 앱을 이용한 24시간 식사 회상, 국물 섭취량을 고려한 면대면 24시간 식사 회상과 앱을 이용한 24시간 식사 회상에 의한 나트륨 섭취량 모두 24시간 소변 분석에 의한 나트륨 섭취량과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냈고 그 중에서도 전체적으로 면대면 24시간 식사 회상에 의한 나트륨 섭취량이 가장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으나 여성의 경우 국물 섭취량을 고려한 앱을 이용한 24시간 식사 회상에 의한 나트륨 섭취량이 가장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다(p<0.05). 또한 국물 섭취량을 고려한 경우 면대면 24시간 식사 회상은 상관성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앱을 이용한 24시간 식사 회상은 국물 섭취량을 고려한 경우가 상관성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인지적 능력이 필요하고 조사자가 대상자의 기억력에 의존하는 면대면 24시간 식사 회상 보다 앱을 이용해 대상자가 촬영한 식사 섭취 전, 후 사진을 이용해 국물 음식의 건더기와 국물의 각 섭취량을 파악하여 이를 고려하는 것이 나트륨 섭취량 파악에 도움이 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비용을 절감하고 언제 어디서나 모바일 폰을 이용하여 24시간 식사 회상, 기록을 할 수 있는 24시간 식사 회상 앱을 개발하여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추후 더 많은 연구를 통해 나트륨 섭취량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도구로 개선이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Chapter Ⅱ. Validation of a mobile phone application for image-based dietary assessment Sodium(Na) is one of the nutrients that is over-consumed in korea. Excessive amount of sodium intakes is also found to be associated with elevation of blood pressure and greater risk of gastric cancer, osteoporosis, cardiovascular disease and strok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e individual sodium intakes. Currently, there are several ways of measuring dietary sodium intak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24-hour dietary recall using mobile application by comparing to the estimated sodium intake with the following methods: face-to-face 24-hour dietary recall, 24-hour dietary recall with application, face-to-face 24-hour dietary recall and 24-hour dietary recall with application considering liquid intakes in liquid-based dishes intakes, food frequency survey and 24-hour urinary sodium excretion. Two hundred three participants who were recruited from October 2015 to October 2016, 172 persons (84 males and 88 females) were se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subjects whose energy intake was less than 500 kcal and 24-hour urine was less than 500 mL. Average sodium intake from 24-hour urine excretion, face-to-face 24-hour dietary recall, 24-hour dietary recall with application, face-to-face 24-hour dietary recall and 24-hour dietary recall with application considering liquid intakes in Liquid-based dishes intakes and food frequency were compared using repeated ANOVA, and the correlation was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t sodium intakes among 24 hours dietary recall, 24 hour dietary recall using application, 24 hour dietary recall considering liquid intakes in liquid-based dishes intakes, and 24 hour dietary recall using the application considering liquid intakes in liquid-based dishes intakes, Only sodium intakes by food frequenc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when there were compared with those from sodium intakes from 24-hour urinary sodium intakes(p=0.003). Sodium intakes from all method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24-hour urine sodium intakes. This study validated sodium intake estimated by mobile phone dietary assessment comparing with sodium intakes form 24-hour urinary sodium excretion. More research is needed to improve the tools for accuracy of measuring sodium intake.

      • 한국, 싱가포르 몰입교육에 관한 연구

        김서윤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영어 학습방법의 새로운 대안 중 하나로 제시되고 있는 영어 몰입 교육에 대하여 몰입 교육의 효과를 알아보고, 영어교사, 중. 고등학생, 직장인, 영어전공자의 인식을 알아보고 그를 바탕으로 한국에서 영어 몰입 교육을 효과적으로 적용시키는 방법을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설문조사를 통해, 몰입교육의 전형적인 특징들에 관한 인식이나 효과성에 관한 인식 면에서 중·고등학생들과 영어교사, 직장인, 영어전공자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고 연구하였다. 그 결과, 몰입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관심은 높았으나 몰입교육에 대한 대부분의 지식을 TV, 라디오 등의 대중매체를 통해 접하고 있으며 몰입교육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나 정보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의 인식으로는 전문적인 교사연수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였으며 정부에서도 영어 몰입 교육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관심과 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타국가의 성공적인 도입 사례와 비교하는 한편, 국내 현실과 문화, 영어 몰입 교육에 대한 인식 등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몇 가지 개선책을 제안하고자 한다. (1) 현재 국내에는 이중 언어 구사능력이 있는 교사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영어 몰입 교육을 실시하기 전에 선행되어야 할 것은 대대적인 정부 차원의 재정적·정책적 지원을 기반으로 이중 언어 구사가 가능한 교사 양성에 힘써야 할 것이다. (2) 영어 몰입 교육의 최대 장점은 영어에 대한 많은 접촉을 통해 자연스럽게 목적어를 습득하게 하는 것이므로 초등학교 저학년부터 영어 몰입 교육을 시행하는 Early Immersion 모델을 사용하는 것이 좋은 방법으로 생각된다. (3) 현재 국내 정서 및 영어 몰입 교육 교사의 부족으로 전체 교과목에 적용하기는 힘들 것으로 예상되므로 영어 교과만을 우선 몰입 교육의 대상으로 적용하되 장기간에 걸쳐 국어와 국사를 제외한 나머지 교과로 확대 시행하는 것을 제안한다. (4) 한나라의 언어를 배운다는 것은 그 나라의 문화와 정신에 대한 이해를 동시에 요구한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영어 교과에 해당 나라의 다양한 문화와 억양, 학습 활동 등을 포함하여 해당 언어와 같이 동시에 습득하도록 하고, 언어의 4기능(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 중 어느 한 방면에 치우치지 않도록 통합적으로 습득하도록 해야 한다. (5) 공교육으로 부족한 면을 사교육으로 채우려는 경향이 있다는 문제점이 도출되었으므로, 부족한 부분을 채울 수 있는 보충 수업 방법을 다양화하여 사교육비로 낭비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게 해야 한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결론들이 바람직한 몰입 교육의 전형을 제시하기에는 부족함이 많을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토양에 맞고 일상생활의 원활한 의사소통 및 학문적 능력 배양에 몰입 교육을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