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통합문화이용권의 무동기 참가자에 관한 연구 : 몰입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유연채 추계예술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599

        오늘날 정부는 문화복지라는 정책이념을 사회복지와 동등한 영역으로 간주하고 있다. 복지차원에서 경제적 취약계층에게도 문화향유권을 보장해야 한다는 사회적 논의가 제기되면서 2005년에 문화 바우처 제도를 시범사업으로 도입하였다. 2011년에 본격적으로 시작된 문화 바우처 사업은 오늘날 문화복지의 대표적인 사업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2014년에 문화 바우처, 여행 바우처, 스포츠 바우처가 통합하여 ‘통합문화이용권’ 사업으로 운영되고 있다. ‘통합문화이용권’ 기획사업은 다양한 사업 유형과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경제적 취약계층의 문화예술프로그램 참여를 독려하고 문화예술을 항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통합문화이용권’ 사업에 대한 정부의 빈번한 정책 변경과 매해 바뀌는 사업지침은 참여자의 민원과 혼란을 야기하고 있으며, 사업을 목표인원 달성이라는 성과 위주로 진행하고 있어 무동기자가 증가하는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 지역주관처는 참여자의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개발하여야 한다는 과제를 안고 있다. 이 연구는 여가활동의 참여동기와 만족에 관한 연구에서 출발했다. 그러나 일반인을 대상으로 진행한 기존의 선행연구와 달리 문화복지 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는 ‘통합문화이용권’ 기획사업 참여자에 초점을 두었다. 즉, 경제적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참여동기가 몰입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더불어 무동기 감소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다른 연구와 차별화된다. 연구자는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통해 연구에 맞는 하위변수를 선정하였다. 참여동기는 내적동기, 외적동기, 무동기로 분류하였으며, 만족요인은 심리적 만족, 교육적 만족, 사회적 만족, 휴식적 만족, 생리적 만족, 환경적 만족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통합문화이용권’ 기획사업의 세 가지 프로그램과 세 가지 사업 유형을 통해 몰입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더불어 몰입이 매개 효과를 가지는지를 함께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가설을 크게 6개로 설정하였는데, 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프로그램 참여동기는 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문화예술프로그램 참여동기는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문화예술프로그램 몰입은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넷째,몰입은 문화예술프로그램 참여동기가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할 것이다. 다섯째, 문화예술프로그램 참여동기와 몰입 및 만족의 관계는 ‘통합문화이용권’ 기획사업 프로그램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여섯째, 문화예술프로그램 참여동기와 몰입 및 만족의 관계는 ‘통합문화이용권’ 기획사업의 사업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이상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였으며, 경기도에 거주하는 ‘통합문화이용권’ 기획사업 참여자 33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회수된 설문지(회수 설문지 333부 중 유효 설문지 328부)는 v. 18.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신뢰도 및 타당성 분석,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또한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고 실질적인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통합문화이용권 사업 실무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가설 검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프로그램 참여동기는 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한 결과, 내적동기와 외적동기가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무동기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예술프로그램 참여동기는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한 결과, 내적동기는 모든 만족요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동기로 참여한 경제적 취약계층은 교육적 만족감이 가장 높고, 외적동기로 참여한 경제적 취약계층은 심리적 만족감이 가장 높으며, 무동기의 경우는 만족요인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문화예술프로그램 몰입은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한 결과, 몰입은 만족의 하위요인 모두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몰입은 문화예술프로그램 참여동기가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한 결과, 내적동기는 몰입이 교육적 만족, 사회적 만족, 휴식적 만족에 부분매개 효과가 있으며, 외적동기는 사회적 만족, 휴식적 만족이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동기는 몰입이 부(-)의 영향을 나타내고 있는데, 심리적 만족, 교육적 만족, 휴식적 만족에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제외한 변수는 완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문화예술프로그램 참여동기와 몰입 및 만족의 관계는 ‘통합문화이용권’ 기획사업 프로그램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한 결과, 프로그램 유형의 측면에서는 모셔오는 프로그램은 내적동기에서 심리적 만족, 외적동기에서 교 Today, the government considers that a political idea of cultural welfare belongs to the same area social welfare does. With the arising social awareness that cultural welfare should be provided to people in economic difficulty as a part of welfare, the cultural voucher program system was introduced in 2005 as a demonstration project. The cultural voucher program, which has been operated in its full-scale since 2011, is regarded as the representative cultural welfare project. In 2014, cultural voucher, tourism voucher, and sports voucher were combined into the integrated cultural voucher program. The integrated cultural voucher program planning project is designed to help the socially vulnerable people to participate in arts and cultural programs and enjoy arts and culture by providing various businesses and programs. However, the government’s frequent alterations on the program policies and the yearly changes on guidelines of the projects have resulted in complaints and confusion among the participators of the programs, and the operation of the project focusing on the performance only, such as the achievement of the target number of participants, has increased the number of amotivational participators. Nevertheless, each regional management office needs to plan and develop programs appropriate for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ors. This study was initiated by the investigation of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leisure activities. However, unlike previous research that focused on the general public, this study focused on the participators of the integrated cultural voucher program which is a part of the cultural welfare project. This study is distinguishable from other research as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the financially vulnerable class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participation motive on immersion and satisfaction of the integrated cultural voucher program and proposes a plan to reduce amotivation among the participators. Appropriate sub variables for the present study were selected based on existing theories and prior research; motivation for the participation was classified into internal motivation, external motivation, or amotivation. Satisfaction was classified as psychological, educational, social, restful, physiological, or environmental satisfaction. Also, three programs and three types of the integrated cultural voucher projects were used to analyze their effects on immersion and satisfaction of programs among the participators and the possible mediating effect of immersion. The model of this study was designed with 6 hypotheses that are set up below. First, motivation of the participation in the arts and cultural programs will significantly affect immersion. Secondly, motivation of the participation in the arts and cultural programs will significantly affect satisfaction. Third, immersion of the participation in the arts and cultural programs will significantly affect satisfaction. Fourth, immersion will have a mediating effect on satisfaction. Fifth, the relationships of motivation to immersion and satisfaction will vary according to the types of programs. Sixth, the relationships of motivation to immersion and satisfaction will vary according to the types of projects. To test these hypotheses, a questionnaire was prepared based on existing theories and prior research and was distributed to 333 participators of the integrated cultural voucher program, living in Kyunggi-do. The returned questionnaires (328 out of 333 in total) were analy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v. 18.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In addition to the questionnaire, to raise the reliability of the present study and extract practical implication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onsite workers of the integrated cultural voucher program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or the first hypothesis stating that motivation of the participation in the arts and cultural programs will significantly affect immer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ternal motivation and the external motivation both have a positive (+) effect on immersion while amotivation has a negative (-) effect. Second, for the second hypothesis stating that motivation of the participation in the arts and cultural programs will significantly affect satisfa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ternal motiv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all factors of satisfaction of the financially vulnerable people; vulnerable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ith internal motivation showed the highest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people with external motivation showed the highest psychological satisfaction, while those with amotivation showed a negative(-) effect on satisfaction. Thirdly, for the third hypothesis stating that immersion of the participation in the arts and cultural programs will significantly affect satisfaction, the results showed immersion has a positive (+) effect on all sub factors of satisfaction. Fourthly, for the hypothesis stating that immersion will have a mediating effect of motivation on satisfaction, the results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immersion on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the social satisfaction for the internal motivation and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social satisfaction and the restful satisfaction for the external motivation.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amotivation has a negative effect of immersion an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immersion on psychological, educational, and restful satisfaction. It was also found that except these cases, the variables have complete mediating effect. Fifthly, for the hypothesis stating that the relationships of motivation to immersion and satisfaction will vary according to the types of programs, the results showed that, in the inviting-type programs, the internal motivation showed the highest social satisfaction while the external motivat

      • 창작공간을 활용한 시민문화예술향유 기회제고 전략 연구 : 서울시 창작공간을 중심으로

        한준욱 추계예술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As we enter the world of modern society, much research is conducted on culture and arts, as it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not only in our daily lives but also in areas such as society, economy, and science. More than any other discipline, culture and arts is what gives Korea its most competitive edge today. Therefore, the government is creating a number of planned policies in order to improve its citizens’ quality of life by increasing their opportunities to enjoy culture and arts. In France, a prodigious amount of the budget is allocated and spent on a governmental level, and equal access to education and culture is stipulated by the constitution, so that allcitizens can enjoy rich culture and arts in their daily lives. Japan is also successfully implementing policies to develop cultural intermediary spaces with long-term and continuous strategies rather than short-lived and perfunctory plans, so its citizens and artists can generate synergistic outcomes through collective interaction in culture and arts. The Korean government is also putting multilateral effort into improving its citizens’ enjoyment of culture and arts, including through the Seoul Art Space, a creative space for artists. Cultural programs implemented via the Seoul Art Space and its management status were examined, and ways to increase citizens’ cultural opportunities were investigated. First,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civil culture enjoyment were re-explored by studying earlier writings on the subject; the significance and role of creative spaces and their influence on civil culture enjoyment were investigated in various papers on the topic. The contents of citizen enjoyment programs run by Seoul Art Space were investigated in a consecutive order, and current states of civil culture enjoyment and the facility’s management were examined and analyzed – all of which were carried out to seek more progressive ways to increase the citizens’ culture enjoyment opportunities. Among the Seoul Art Spaces, the Gwanak Children’s Creativity Playground and Seoul Art and Healing Hub run various civil culture enjoyment programs while showing a relatively high budget management performance. The budget is the most crucial aspect in running civil support programs, and theSeoul Art and Healing Hub was able to run high-quality programs by receiving corporate sponsorships. Such examples should be emulated by others through interactions between creative spaces. At the Geumcheon Art Factory, civil support programs led by current artists are estimated to be the most profound and productive. In the intensive programs, designed to develop as much potential of the target citizens to the programs that allow first-hand communication with the artists, there are many aspects emulated by other creative space programs. Of the elements essential to the efficient and effective management of civil culture enjoyment programs in a creative space, the budget accounts for the largest part, which calls for a need to consider various means of securing the budget. Accordingly, additional programs should be continually developed to attract public participation and match different levels, ranging from basic to advanced. Additionally, active networking between the creative spaces should be promoted to enable the exchange of noteworthy ideas. Such adjustments should broaden the public’s opportunities to enjoy unique culture and arts first-hand through the creative spaces’ artists. 문화예술은 현대사회로 들어서면서 일상생활에서뿐만 아니라 사회, 경제, 과학 모든 분야에서 더더욱 중요하게 여겨지면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제 문화예술은 무엇보다 중요한 국가경쟁력이 되었다. 정부는 국민 의 문화예술향유 기회를 제고하여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으 로 여러 계획을 시행해 나가고 있다. 문화선진국 프랑스는 시민문화향유를 위하여 정부가 직접 막대한 예 산을 편성, 집행하여 문화예술 분야에 있어 국민 모두가 문화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헌법으로 교육과 문화에 대한 동등한 접근보장 을 명시하고 있으며, 일본의 경우도 단기적이고 표면적 보여주기가 아닌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계획을 가지고 시민문화향유 정책을 펴나 가며 문화예술을 통해 시민과 예술가가 같이 더 큰 에너지를 발산할 수 있도록 문화매개공간에 대한 정책들을 잘 펴나가고 있다. 우리나라도 시민문화예술향유를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그 중에서 예술가 창작공간인 서울시 창작공간을 통한 시민문화향유 프로그램 및 운영상황을 조사하고 더 나은 시민문화향유기회 제고를 위한 방안을 모색해보았다. 우선 선행논문을 통한 시민문화향유의 중요성과 가치에 대해 다시 한 번 재조명하였고, 여러 창작공간에 대한 논문들을 통하여 창작공 간의 중요성과 역할, 시민문화향유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하여 조사 하였으며, 서울시 창작공간의 시민향유형 프로그램 내용을 시계열별 로 조사하였고 시민문화향유현황과 운영현황을 조사,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더 적극적인 시민문화향유 기회 제고방안을 모색해보았다. 서울시 창작 공간 중 관악 어린이 창작놀이터와 서울예술치유허브의 경우 시민문화향유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었으며, 프로그 램운영예산에 있어서도 타 창작공간에 비해 비교적 높은 예산운영을 보였다. 예산은 시민프로그램을 운영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문제로 서 서울예술치유허브는 기업으로부터의 후원을 받아 일부 프로그램 을 운영함으로써 질적으로 우수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도움을 받 고 있었다. 이러한 부분은 창작 공간간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로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금천예술공장은 예술가들에 의한 시민프로그램이 가장 심도 깊고 발전적으로 평가된다. 프로그램의 대상자가 가지고 있는 능력들을 최대 한 끌어낼 수 있도록 심화된 프로그램부터 예술가들과의 현장감 넘 치는 소통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까지 내용면에서 창작 공간의 시민 대상 프로그램이 지향해야 할 부분이 많다고 평가되었다. 창작공간에서 시민문화향유 프로그램의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운영 에 있어서 중요한 몇 가지 사항이 있는데 그 중 예산은 가장 큰 부 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예산 확보를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고민해봐 야 할 것이다. 이러한 가운데 시민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기본 프로그램 개발부 터 심화형 프로그램까지 지속적으로 시민에 맞는 수준별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또한 창작 공간 간의 네트워크를 통한 우 수사항들을 교류하여야 하겠다. 이러한 보완들을 통해 시민들이 좀 더 창작 공간의 예술가에 의한 현장감 있고 독특한 문화예술향유를 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져야 하 겠다.

      • 영화제의 매력성이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제천국제음악영화제를 중심으로

        안미라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599

        Is it possible to remember Cannes Film Festival, Venic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nd Locarno Film Festival without thinkinging of Cannes, Venice and Locarno city? Will the film festivals be sustainable just for the sake of movies? We know that combining film contents with the images of Cannes, Venice and Locarno has created their own attractive local images and those cities have become branding. Jecheon city also has build a new local image from association between film contents and Jecheon city. Is it possible that the image of Jecheon formed by hosting the International Music and Film Festival, JIMFF can make it to be sustainable and become a brand?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ose questions empirically and hopes that both JIMFF and Jecheon city could continue to grow move forward in future. Accordingly, this study tried to verify what factors affected the change on the local image which was formed by hosting the film festival and to ascertain whether the changed .local image could affect the sustainability of the film festival and its sustainable development.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attractiveness could influence the local image through various prior researches related to this study, this study extracted contentsattractiveness(theme), contents attractiveness(genre fusion), place attractiveness(festivalscape) as cause variables and analyzed them with a quantitative method. In order to secure the objectivity of the analysis results and derive the policy implication the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experts who were both well known about the film festival and participated in it. In order to verify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visitors who participated In the 14th Jecheon International Music and Film Festival in 2018. A total of 306 valid sampl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hypothesis test was applied using the Baron&Kenny method and Sobel test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 of local image on attractiveness and sustainability of JIMFF. First, contents attractiveness(theme), contents attractiveness(genre fusion) and place attractiveness, all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local image of Jecheon. Among them place attractiveness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making the local image. Second contents attractiveness(theme), contents attractiveness(genre fusion), place attractiveness, all have posive effects on its sustainability. Contents attractiveness(theme) has the greates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ractiveness and sustainability. Third, it was shown that contents attractiveness(theme), contents attractiveness(genre fusion), place attractiveness and the local image all have positive effects on sustainabilit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mediation effects, contents attractiveness(theme), contents attractiveness(genre fusion) show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ustainability by partially mediating the local image and place attractiveness was shown to affect the sustainability by complete mediating the local image. Meanwhile, similar results were shown in an interview with the experts. It means that the attractiveness of JIMFF enhances the local image of Jecheon and positive local image supports the possibility of continuous hosting and development of the film festival. The contents and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JIMFF is recognized by visitors as a specialized film festival whose unique attractiveness and charicteristic of the music&film festival are differentiated from the other fiilm festivals. The visitors to JIMFF will have a more definite expectation on special contents only found at JIMFF. It is important to manage and develop ‘music movies’ and ‘music contents’ well which are attractive elements of the festival. Second, place attractiveness from JIMFF has contributed to to the creation of local Image and enhanced the placeness of Jecheon. We should not recognize the places of festivals just as phisical places but as places of cultural significance and we should rebuild them as places with images and values. The cultural environment that people can revisit after the festival should be developed and managed continuously. It is based on the creation and fostering of local cultural resources, building partnerships among stakeholders and ongoing visitor management. And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festival depends on how differentiated and creative culture is rooted well in the place of festival. Third, local image has a great influence on sightseeing, visiting, revisit intention and is an Important factor for developing local industrial potential.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positive local images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strengths and attractive elements of the place are more important factors that attract visitors than any other physical and tangible resources. In this respect, local images need to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management issue. Lastly, it seems clear that JIMFF has played a sucessful role for making a new image of Jecheon as a ‘culturral city’ and ‘film city’. But It is necessary to set precise future plans and goals and continue the successful value of JIMFF for its sustainable growth and development in future. 우리는 칸 영화제, 베니스 영화제, 로카르노 영화제를 장소 없이 기억할 수 있을까? 영화만을 위한 영화제가 지속가능할까? 우리는 영화라는 콘텐츠와 칸, 베니스, 로카르노라는 지역의 결합이 매력적인 지역 이미지를 형성하고 지역이 브랜드화 되었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제천시도 영화와 제천이 만나서 새로운 지역이미지를 창출하였다. 영화제 개최로 인해 형성된 지역이미지는 지속가능한 영화제와 제천을 브랜드화 할 수 있을까? 국제영화제를 개최하는 목적은 지역이미지 개선을 통한 지역 정체성 확립 및 지역브랜드화라고 할 수 있다. 영화제는 영화콘텐츠를 가지고 하는 축제로서 지역에 문화적인 이미지를 창출할 수 있다. 여기에 장소성을 적용시키면, 영화제가 이미지를 형성하고, 형성된 영화제의 이미지와 지역의 이미지를 결합시키면 고유한 지역만의 브랜드가 만들어진다. 궁극적으로 지역 활성화를 위해 개최되는 영화제는 차별화된 영화콘텐츠 프로그램 구성과 장기적인 장소마케팅 전략으로 지역을 브랜드화 할 수 있도록 추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와 관련한 다양한 선행연구들을 통해 매력성이 지역이미지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콘텐츠매력성(주제), 콘텐츠매력성(장르융합)과 페스티벌스케이프(festivalscape)로서의 장소매력성을 원인변수로 추출하고 정량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 결과의 객관성을 확보하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기 위해 영화제를 잘 이해하고 있는 전문가 인터뷰를 진행하여 보완하였다. 본 연구의 검증을 위해 2018년 제14회 제천국제음악영화제에 참여한 방문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총 306부의 유효 표본이 연구 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영화제매력성과 지속가능성 간에 있어서 지역이미지의 매개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Baron & Kenny가 제안한 3단계 방법과 Sobel이 제안한 Sobel Test를 이용하여 가설 검정을 실시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콘텐츠매력성(주제)과 콘텐츠매력성(장르융합), 장소매력성 모두 지역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중에서 장소 매력성이 지역이미지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콘텐츠매력성(주제)과 콘텐츠매력성(장르융합), 장소매력성 모두 지속가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력성과 지속가능성의 영향관계에서는 콘텐츠매력성(주제)가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콘텐츠매력성(주제)과 콘텐츠매력성(장르융합), 장소매력성, 지역이미지 모두 지속가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매개효과 분석 결과, 콘텐츠매력성(주제)과 콘텐츠매력성(장르융합)은 지역이미지를 부분 매개하여 지속가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소매력성은 지역이미지를 완전 매개하여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문가들의 인터뷰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확인되었다. 이는 제천국제음악영화제의 매력이 지역이미지를 제고하고, 긍정적으로 형성된 지역이미지가 영화제의 지속적 개최와 지속 발전 가능성을 지지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내용과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천국제음악영화제는 방문객들이 음악영화제라는 주제(테마)의 고유한 개성과 매력이 타 영화제와 차별화된 특성을 가진 영화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천국제음악영화제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콘텐츠에 대해 방문객들은 앞으로 더 큰 기대를 가지게 될 것이다. 영화제의 매력 요소들인 ‘음악영화’와 ‘영화음악’ 콘텐츠에 대한 매력을 잘 관리하고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제천국제음악영화제 축제장소의 매력은 지역이미지 창출에 기여하며 지역의 장소성을 강화시켰다. 장소를 단순한 물리적 공간이 아닌, 문화적 중요성을 지닌 곳으로 인식하고, 이미지와 가치를 지닌 명소로 재탄생시켜야 한다. 영화제 이후에도 사람들이 다시 찾아올 수 있도록 문화적인 환경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관리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것은 지역 문화자원의 창출과 육성, 관련주체들 간의 파트너십 구축, 그리고 지속적인 방문객관리에 기초한다. 그리고 성패의 결과는 그곳이 얼마나 독창적인 문화가 자리하고 있느냐에 달려있다. 셋째, 지역이미지는 관광과 방문, 재방문의사 등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고, 지역의 산업 잠재력을 개발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지역이 가지는 강점과 매력 요소로 형성된 긍정적 지역이미지는 그 어떤 물리적 자원보다도 방문객을 유인하는 핵심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지역이미지는 중요한 관리의 대상임을 인식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제천국제음악영화제가 제천의 새로운 문화도시·영상도시로서의 이미지 창출에 어느 정도 성공적인 역할을 한 것은 분명해 보인다. 그러나 제천국제음악영화제의 성공적 가치를 앞으로도 지속가능한 성장과 발전으로 이어가게 하기 위해서는 정밀한 비전과 목표를 수립할 필요가 있다.

      • 확장된 토폴로지가 적용된 변전소 지능형 복구지원 알고리즘 연구

        최명호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599

        컴퓨터를 활용한 변전소의 감시제어 시스템은 오래전부터 일반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고장 발생 시의 복구조작은 운용자의 전문적인 지식이나 경험적 판단에 크게 의존되어 오조작의 잠재적 요인을 안고 있으며, 고장 상황을 잘못 판단하거나 복구조작 단계에서 잘못된 조작을 수행하면 전력공급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게 되고 설비의 손상도 발생될 수 있으며, 산업적, 경제적으로 상당한 손실을 가져오게 된다. 특히 최근에 미국, 캐나다와 선진 유럽 각국에서 차례로 발생한 광역정전 사고는 신속 정확한 고장복구의 중요성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경험이 부족한 운용자가 고장을 복구할 때, 고장복구 방안을 제시하고, 제시된 방안에 따라 고장을 복구할 경우의 계통 변화를 운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고장복구 지원 시스템의 구축은 우리나라의 기술경쟁력 향상은 물론 국가적인 손실을 경감하기 위해서도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변전소에서의 돌발적인 고장발생시 고도의 신뢰성을 가지고 신속하게 지능적인 복구방안을 제시하는 지능형 복구지원시스템을 개발하였고, 이를 위하여 토폴로지의 측면에서 방사상 및 종적으로 확장된 배전모선의 다양한 변형을 수용 할 수 있는 지능형 복구지원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러한 지능형 시스템을 시험하고 평가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갖춘 모의 고장발생기와 모의 감시제어반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므로 기본적인 지능형 DB 브릿지 기능과 원격 설비들의 모의기능을 지원하는 모의 SCADA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54kV 변전소의 감시제어용 설비와 도면을 분석하기 위하여 모선연결에 의해 확장된 루우프 및 방사상 구조의 이중화 모선을 지능적으로 처리하는 범용 프레임과 확장된 프레임상에서의 제어액션을 기술하는 지식베이스 및 변전소의 지능형 모델링, 계층간 데이터 구조를 설계하였다. 그리고 지능형 복구지원 전문가 시스템의 구축을 위하여 확장된 토폴로지 프로세서와 프론트 엔드 프로세싱 알고리즘, 개방형 구조 SCADA와의 DB연계 브릿지, 확장된 모선구조상에서의 복구지식 분석 및 지식베이스, 범용 GUI Subsystem 를 개발하고 이를 통합한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또한 감시반 서버와 클라이언트 개발을 위하여 원격소 모의기능을 사용하여 시험용 SCADA 설비를 구축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지능형시스템과 감시제어반(SCADA)의 연계시스템 및 클라이언트 HMI Subsystem의 성능검증을 시행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154kV 변전소로부터 급전분소, 급전소 등의 감시제어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사고발생시 신속한 복구를 통하여 계통의 신뢰도 향상에 기여하고 현재 추진되고 있는 국내 변전소 자동화 시스템에 이식되어 쉽게 활용될 수 있으므로 전력망 지능제어기술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본 연구의 완료 후 실증시험에 필요한 프로토 타입 시스템이 개발되면 직접 현장에의 시험을 통하여 실용화 작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The monitoring and controling system of substations by computer has been generally used widely, however as the restoration operation under the fault situation mainly relies on operator’s hands-on skills and knowledges, consequently, operators often faced with mal-function problems. it has potential mal-operation cause. If operators make a mistake on decision or carry out wrong operation on restoration procedure, it brings on the disruption of power supplying and damages of facilities, affecting great damages on industrial and economic. Especially latest wide area outages occurred at U.S, Canada and E.U. are important cases show the importance and needs of speedy and accuracy on fault restoration. Thus the development of support and suggestion system which gives the operators the way of restoration and shows them the results after restoration followed by suggestion when lack experienced operators restore the fault situation is essential to persuasion of development on techniques and prevention of massive losses of nation. Hereupon, this research is for developing the intellectual restoration support system which suggests the intellectual restoration solutions fast with reliability under the sudden faults of substations, therefore sets up the algorithm accommodates the variations of extended distribution buses radial or longitudinal shapes at substations in terms of topology. So, it is needed to evaluate these intellectual systems, this research have developed the simulated SCADA system which has the basic intellectual DB bridge function and supports the simulation functions from remote facilities simulated fault generator equipped with special interface and simulated operating panel. And for this research, we have designed the general frame which intellectually calculates the extended by bus-tie and radial shaped dual buses for analysis th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and drawings at 154kV substations, the knowledge bases describe control actions on the extended frames, intellectual modeling of substations, and the structure of layer data. And we have constructed the comprehensive system on the extended topology processor for designing the intellectual restoration support expert system, front-end proceeding algorithm, the DB connected bridge linked with open structure type SCADA, the analysis of restoration knowledge and the knowledge bases on extended buses type, and general GUI subsystem. Finally, we have constructed the testing SCADA facilities using the remote simulation function for developing the control panel server and clients, implemented the performance verification of the intellectual system and the linked system of SCADA and the HMI subsystem of clients. These results of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enhancing reliability of grid system by rapid restoration under the fault cases later on th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at from 154kV substations to main load dispatching center to sub load dispatching center. Because these results can be easily utilized and implanted in domestic substations automation system, the practical utilization from direct testing at field right after finalizing this research after developing the proto-type system for the substantiation will be expected to continuously push forward as well as procure the intellectual techniques on grid operating systems.

      • 예술단체의 사회목적 가치로서의 시민지향적 활동연구 : 시립예술단을 중심으로

        김은정 추계예술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In these days of local community, the local governments focus its policy on enhancing opportunities of the cultural activities for the local people. The local governments, therefore, make the city performing arts groups provide performance service for the people and play key role on the network of cultural activities. Now the activity of the culture and arts group becomes one of the major values in the local society, and the local governments make a rule to support their continuous activities. Most of the performing arts groups attached to the local governments have made constant efforts to secure an ample budget and professionals for the performing activities, However, the circumstances in the local situation are not favorable to realize the value of the citizen-oriented activities. It is because of the lack of business mind to the groups, the insufficient cultural mind to the people, and the short of budget to the local governments. The real case says the art groups are restricted by 'the rules for establishment and operation' regulated by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inharmony between the arts groups and the local governments due to the insufficient understanding on the citizen-oriented values. This study is aimed at dealing with those practical issues in view of the citizen-orientation, and developing the practical strategy in order to realize the citizen-oriented social values. The analyzing unit setting is the networking based activity among local communities, the cultural governance activities within the local community and the citizen-oriented mind and the actual activities of the city performing arts groups. This study presents the practical measures on the base of findings explored from the survey on the experts who are active in the field. In addition, the model strategy for enhancing the citizen-orientation is suggested to be conducted by the performing art groups. This study is developed by doing followings: - analyzing the preceding studies and investigating the activity patterns including the performance program, organization charts, the budget situation, and the expert types - reviewing the factors effected to the citizen-orient activities - investigating the improved rates of the cultural governance and culture-based activities between communities by checking the education projects for culture and arts which are the mentor role in the citizen-oriented culture and arts program activities. In order to find the actual activity situation for the citizen-orientation, the existing city performing arts groups are reviewed in terms of their active types, performing orientation, organization types, financial situation, and specified experts. The citizen-oriented performance program is analyzed as follows: - The city performing arts groups have the citizen-oriented regulations and carry out their programs on it. - The groups perform the detailed program to meet the need of the community people. - The groups employ the cultural governance positively not to make the community people feel alienated from the local facilities. - The groups provide the local organizations with the relevant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culture based facilitie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s on the analyzed base of the major local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s for activating strategy of the citizen-oriented art organizations: First, present a participating program by introducing the audition system and develop a customized program to meet the audience requirements by age. Second, make a public education program sufficient for the spontaneous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among the local people. Third, secure the specific experts to meet the local requirements, such as professional managements for the creative civic culture and employ the master directors and professional staffers. Fourth, retrain the artist members of the performing groups and improve their evaluation system. Fifth, secure subsidy for continuous backing up the program on the part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local governments. The citizen-oriented performance by the arts organizations should be realistic events beyond formalities. 지방시대를 맞아 지방자치단체들은 지역주민들의 문화향유 기회를 높이는 데 정책의 초점을 모으고 있다. 자치단체들은 소속 시립예술단을 두고 수준 높은 공연을 시민들에게 서비스할 뿐만 아니라, 각종 네트워크의 중심에서 문화활동을 펼치도록 하고 있다. 문화예술단체들의 활동은 이제 지역사회의 중요한 사회목적 가치로 자리잡고 있으며, 이러한 활동이 지속적으로 이어지도록 자치단체들은 규정으로 만들어 실천하고 있다. 많은 자치단체 예술단들은 이러한 숭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활동을 오랫동안 펼쳐오고 있으며, 이를 위해 안정적인 재정확보에 노력하고, 활동인력을 전문화하고 있다. 그런데 현실적으로 지역은 이러한 시민지향적 가치를 충분히 실현할 만큼 여건이 좋지 못하다. 단체들은 창의적인 경영 마인드가 미흡하며, 시민들도 문화마인드를 충분히 갖추지 못하고, 지역제정 여건이 이를 충분히 뒷받침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실제 운영에 있어서 예술단체들은 시 지정의 ‘설치조례 및 운영시책’때문에 활동에 제약을 받고, 지자체와 시민지향적 가치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하지 못한 여건 때문에 마찰을 낳게 되는 경우까지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현실적 여건을 하나의 연구문제로 다루는 데서 출발한다. 그리하여 예술단체 운영활동을 시민지향성이라고 하는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연구의 핵심요소인 시민지향적 사회목적가치 실현을 위한 전략을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분석단위는 지역 간 네트워크 기반활동, 지역내 문화 거버넌스 활동, 시립예술단의 시민지향 마인드와 실제 운영활동 등에 두었다. 그리고 현장에서 활동 중인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보다 생생하게 대안을 개발하려고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단체들이 시민지향성을 고도화하기 위해서는 어떤 전략을 펼칠 것인가에 대하여 규범적인 전략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전개는 먼저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예술단체들의 활동유형 및 연주프로그램 형태, 조직, 재정, 인력전문화의 유형형태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 안에 시민지향적 활동의 요소들이 얼마나 반영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현재 운영 중인 시립예술단체들의 존립 유형별 활동요소들을 제시하고 운영목적과 조직, 재정, 인력전문화의 분석을 통하여 시민지향적 활동여건을 분석하려고 하였다. 또한 시민지향적 문화예술프로그램들의 활동인 멘토 성격의 문화예술교육사업에 대하여 지역 간 문화 거버넌스 및 문화기반시설 확충의 문화활동이 향상되는지 분석하였다. 아울러 연구자가 생각하는 연구문제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활동프로그램에 대한 시민지향 마인드의 활동사업과, 재정동원, 배분, 시민지향적 역점 운영을 살펴보았다. 연구자가 수집한 자체 자료를 바탕으로 시민지향적 공연프로그램들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립예술단들은 시민지향적 활동을 조례 등으로 확실하게 제시하고 활동근거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에 적극 반영하고 지속적으로 추진하며, 찾아가는 음악회를 세분화하여 시민들에게 다가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지역주민들이 소외되지 않도록 지역 관내시설들의 문화거버넌스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다른 단체들과도 연계하여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문화예술교육을 확대하여 관내 기관들에게 교육프로그램을 공급하고, 이에 걸 맞는 문화기반시설을 제공하려고 노력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주요 지역의 문화예술단체 운영실태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시민지향적 예술단 활성화 전략을 모색하였다. 첫째, 찾아가는 프로그램을 실질화 하여 오디션제 도입에 의한 참여형 공연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연령대에 알맞는 관객 맞춤형 프로그램의 개발에 주력한다. 둘째, 시민교육프로그램을 보다 내실화하여 체험과 학습이 자발적으로 일어나고 지속되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셋째, 인력의 전문화로 지역에서 자체적인 인력활용이 가능해야 한다. 특히 시민문화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창조적 전문 경영인력을 확보하고, 전문 운영감독이나 전문 스탭을 채용해야 한다. 넷째, 단원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마련해서 예술단체 예술가들을 재교육하고, 단원평가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 다섯째, 지속적인 발전에 뒷받침이 될 재원을 조성해야 한다. 중앙정부 프로그램지원과 지자체의 자체재원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역 예술단의 시민지향성 목적은 사회목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형식적인 목적을 뛰어 넘어 실질목적으로 실현되어야 한다.

      • PTDF를 이용한 전력계통 사고복구에 관한 연구

        손동성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빈발하고 있는 선진국에서의 대규모 정전사태와 한국에서 발생한 915 순환 정전사태를 볼 때 광역정전 사고로 인한 경제적, 사회적 손실은 매우 지대하며, 이러한 사고의 발생시 고 신뢰성의 복구동작은 매우 중요하다. 선진 각국에서는 다양한 계층에서의 복구지원 시스템을 개발하여 송전-변전-배전시스템에서 사용하고 있으나 한국의 상황은 배전망과 154kV급 변전소에 대한 기초연구가 수행되었으나 송전망의 경우에는 기초연구도 거의 수행된 바 없었던 바, 본 논문이 2014년부터 1년간 지능형 알고리즘을 이용한 복구지원 시스템을 한국 최초로 시도하였다. 그러나 지능형 시스템은 계통의 규모가 크고 네트워크가 단단하게 커플링되어있을 경우 효과와 적용범위가 제한되어 수치기반 알고리즘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대규모 전력계통에서 광역정전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과부하를 유발시키지 않고 안전하고 신속하게 사고구간을 제외한 정전지역을 복구할 수 있도록 최적의 복구경로를 탐색하여 제시함으로써 운영자의 복구과정을 지원하는 PTDF를 이용한 수치알고리즘을 개발한다.해외 문헌들을 수집 및 분석하고 PTDF를 이용한 복구지원 알고리즘을 도출하여 IEEE 14 BUS SYSTEM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설정된 연구 개발 목표를 충실히 수행하였다. Recently, wide-area blackouts havce frequently occurred in many countires and circular power outage occurred in Korea, 2011.9.15. These disasters lead to great socio-economic losses, so when a blackout happens in a bulk power system it is very important to provide high-quailty and reliable restorative operation. Therefore some countries had already developed the restoration guidance systems and applied them to the transmission systems, substations, and distribution systems. In Korea, basic performed but few basic researches in the level of transmission system had been executed so far. The research of power system restoration guidance system using intelligent algorithms had performed for one year from 2014. However, intelligent system itself is not easy to apply for large scale power systems especially for tightly coupled power networks. Therefore numerical restorative algorithm is proposed in this thesis. Development of a Numerical restoration guidance algorithm using PTDF to determine some reliable restoration path when a blackout happens in bulk power systems.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which are by analysis and survey of overseas research and derivation of restoration guidance algorithm using PTDF, and performing case study about IEEE 14 BUS SYSTEM to verify performance of devleoped algorithm, is successfully performed

      • 공연예술인의 심리적 소진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연극·뮤지컬 분야의 배우와 연출가를 중심으로

        김선영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공연예술인의 특정 정신적 문제가 심리학적 관점(psychological perspective)의 소진(消盡, Burnout)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고, 소진 경험을 통해 나타난 현상을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창작활동을 통해 사회적 의사소통을 돕고, 사회적 목적 가치를 실현하는 공연예술인의 소진 경험을 조사·분석했다. 연구대상은 사전 면접자를 포함하여 총 12명(예비조사 3명, 1·2차 본 조사 9명)이며, 7명에 대해서는 심층면접을 통해 사례를 분석하였다. 또한 대상자에 대해 구체적으로 검토하여 연구목적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였으며 연구절차 및 과정을 상세하게 제시하여 서술함으로 차별성을 나타냈다. 아울러 질적 연구 중 합의적 질적 연구(CQR: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방법을 채택하여 평정자와 감수자를 둠으로써 질적 연구의 신뢰도를 높였다. 본 논문은 1· 2차의 질문지를 사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소진경험을 다방면으로 조사 분석했다. 심리적 소진은 다양한 요인을 통해 나타나는 부정적 증후이다. 그러나 예술인의 성격적 · 직무적 특성 때문에 예술인의 심리적 소진에 관한 연구는 부족했다. 소진에 관한 대부분의 선행연구와 여러 문헌들을 살펴보면 주로 예술계 이외의 분야에서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알 수 있으며, 예술인의 정신적 문제를 다룬 연구에서도 우울증, 직무 스트레스, 몰입, 감정노동 등의 관점에서 주로 연구가 이뤄졌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예술인들이 겪는 다양한 심리적 소진 경험과 결과를 연구하고 공연예술인에게 있어 소진의 의미를 살펴봤다. 연구문제 1 : 공연예술인들은 어떠한 심리적 소진을 경험했는가? 연구문제 2 : 공연예술인들은 심리적 소진을 겪은 이후 어떤 증후를 경험을 했는가? 연구문제 3 : 공연예술인의 심리적 소진과 그 이후의 경험은 어떤 의미가 있는가?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서 연구자는 소진을 ‘소진 증후’, ‘소진 요인’, ‘소진 이후의 변화’, ‘결과 해석’, ‘경험 대응’의 5가지 차원으로 구분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진 증후’는 개인적, 공연 관련, 조직 내 증후로 구분되었다. ‘개인적 증후’는 부정적 정서와 신체적 이상, 일상의 제약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증후의 부정적 정서는 연구대상자들 모두에게 각각 다양하게 나타났고, 그 강도는 예민한 성격일수록 강하고 민감하게 경험되었다. 이는 연구대상자들이 답변한 부정적 정서 진술의 차이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신체적 이상 증후도 개인별로 다양하게 나타났으나 스스로 신체적 이상을 인지하지 못한 경우도 있었다. 일상의 제약은 개인적 생활에서의 다양한 어려움으로 나타났고, 자가 진단의 한계로 방치되거나 증후를 무시하는 경향도 보였다. ‘공연 관련 증후’는 공연 초기에 모든 연구대상자들에게 나타났으며 업무에 집중하여 몰입하는 모습으로 관찰되었다. 업무에서의 만족도는 공연 완성도와 비례하지 않고 오히려 직무 스트레스와 반비례 하는 모습을 보였다. ‘조직 내 증후’는 각 분야에 전문가들이 협업으로 작품을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관계성 악화로 관찰되었다. 교류·소통의 단절과 의견 불일치에서 오는 격앙된 감정 표출 과정을 지나 냉소적인 상태로 감정의 둔화를 겪기도 하였다. 또한, 구성원 간에 이기적인 행동을 감지하거나 그러한 행동을 감행하는 증후로 나타나기도 했다. 둘째, ‘소진 요인’ 역시 개인적, 공연 관련, 조직 내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개인적 요인으로는 공연의 책임감에서 비롯되어 개인적 요소로 관찰되는 정서적 고갈과 조직 위주의 업무 이행으로 인한 낮은 성취감, 그리고 미래에 대한 불안감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근본적인 요인은 높은 노동강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금전적 보상과 조직에서 소통의 부재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공연관련 요인으로는 간접 압박과 관행적 조직 하에서의 거의 규율화된 과중한 업무와 경제적 보상의 문제가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경제적 어려움에 대해서는 비교적 수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조직 내 요인으로는 조직내 구성원과의 소통의 부재가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과정보다는 결과를 중시하는 공연예술계의 특성상 개개인의 개성과 의견이 집단의 이익을 위해 희생되고, 이것이 소통의 부재를 불러일으킨 것이다. 또한 지속적인 공동체생활이나, 체계적인 조직생활의 경험 부족에서 비롯된 공연예술인의 사회성과 조직성의 부재는 소통의 어려움이라는 소진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조직성과 사회성에 적응되기 전에 소진을 경험하게 되었을 때 공연계를 아예 떠나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셋째, 소진 이후의 변화 역시 개인적, 공연 관련, 조직 내 변화로 구분되었다. 개인적 변화는 공연 후 소진의 부정적 경험을 회복하기 위한 의지적인 행동으로 나타났고, 자가 소진대응력을 체득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부정적인 감정 표출은 소진 요인을 단기간에 극복하게 하는 결과를 이끌어내기도 했다. 병리적인 증후는 공연이 종료된 후에 더욱 강하게 나타나기도 하고, 소진 재 경험의 두려움으로 발현되기도 했다. 공연 관련 변화로는 공연 후 시간이 지나면서 일부 소진 요인의 소멸이 일어나고 자연적으로 일상이 안정화되기도 했다. 그러나 공연예술 관련 업무를 차단하거나 단절하고 새로운 업무로 이행하는 모습이 보이기도 했다. 조직 내 변화는 소진 원인을 제공한 공연예술계 구성원과의 연락을 회피하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한편으로 조직구성원들과의 관계 개선이 부분적으로 일어나거나 갈등없이 개선되기도 하였고, 조직구성원을 이해하는 폭이 늘거나 수용적 의사소통능력이 향상되기도 했다. 넷째, 결과 해석은 개인적 의미, 공연 관련 의미, 사회적 의미로 구분된다. 개인적 의미에는 자가 소진대응력이 포함되며, 자가 소진대응력 안에는 내적 성숙을 통해 주체적 삶을 영위하는 것이 포함된다. ‘공연 관련 의미’로는 공연 구성원들과의 업무에서 적절한 관여를 통해 관계 형성을 도모하면서 업무의 강도를 조절하는 등 소진에 빠지지 않을 구체적인 방법을 시도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회적 의미’로는 조직 내 신뢰의 필요성과 소통의 중요성을 깨닫고, 대인관계의 회복을 위한 노력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는 것을 말한다. 아울러 소진 이후 타인을 이해하는 개방된 사고의 중요성을 깨닫는 경우도 관찰되었다. 다섯째, 소진 경험 대응은 사회·문화적 대응과 개인적 대응으로 구분된다. ‘사회·문화적 대응’은 공연예술계의 업무 체계와 조직 체계의 개선이 필요하며, 소진관리 전문가를 통해 전문적으로 정신적 관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더불어 조직구성원들과 원활한 관계성 형성과 소통을 위한 대응적 방법의 교육이 필요하며, 경제적 안정을 위한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개인적 대’응으로는 소진 경험을 통해 정서적 성장을 경험하고 개별적으로 대응적 태도가 학습되기도 하지만, 이는 개인의 의지적 개입이 있어야 가능하다. 따라서 (개인의 의지적 개입은) 자가 소진 대응력에 관심을 가지며, 정서적 치유 관점의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진 경험에서 겪은 상처를 적극적으로 치유하려는 능동적인 자세를 가질 필요가 있으며, 주체적인 삶의 태도를 통해 소진의 부정적 경험을 개선하거나 대응할 수 있다고 진술하였다. 이상에서 분석한 바와 같이 성격·직무 특성상 많은 공연예술인들은 소진에 취약하여 소진을 경험하게 되는데, 이번 연구에서 소진 경험으로 부정적 영향은 물론 긍정적 영향 또한 받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특히, 공연이 모두 마무리되어 종료되기 전까지는 소진 현상을 끝낼 수 없다는 것이 공연예술인이 겪는 소진 경험의 특징이었다. 즉, 공연예술인들은 공연 제작과정에서부터 공연이 종료되기 전까지 공연 제작 전(全)과정에서 소진의 부정적 경험과 긍정적 경험을 반복하는 연속적 경험을 겪게 된다. 또한, 소진은 하나의 요인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요인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 것으로 분석됐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정서적으로 지쳐있는 예술인들의 심리적 소진에 관한 사회적인 관심을 불러 일으키고, 소진에 대한 대응방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또한 공연예술인들을 위한 전문적인 정신건강(Mental Health for Performing Artists) 프로그램의 지원방안도 구축되기를 기대한다. 이는 공연 기획단계부터 마무리까지, 모든 과정에 참여하는 공연예술인들에게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소진에 대한 자가진단, 증후, 증상 등의 자가 대응적 방법 역시 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사회, 집단적 해결이 불가능할 경우 개인적인 치유 방안을 시도해 볼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henomena of psychological burnout with the assumption that certain mental problems in performing artists stem from burnout from a psychological perspective. In this study, performing artists are defined as those who seek social communication and make efforts to realize social end values through creative art activities, and I examined how these artists experience psychological burnout. To analyze the phenomena, I conducted interviews with 12 individuals (three for preliminary interview and nine for first and second round interviews), and selected seven out of 12 for further in-depth interviews. In this study, I explain the details of the interviewees to verify if they are fit for the purpose of my research. What differentiates my study from previous ones is that my research methodology and procedures are provided in full detail and the analysis delivers higher reliability due to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approach where multiple researchers and an auditor participated in the review process.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round interview results, I examined and analyzed how the interviewees experienced burnout in diverse aspects. Psychological burnout is a negative symptom triggered by several factors. Yet, few researchers paid attention to psychological burnout in performing artists due to the uniqueness of personal and occupational factors associated with an artistic profession. I focused on this area of subject, and conducted research on how performing artists experience specific aspects of psychological burnout and what implications it has for them. To this end, I attempted to provide answers to the following questions: [Question 1] What kind of psychological burnout do performing artists experience? [Question 2] What kind of symptoms do performing artists experience after psychological burnout? [Question 3] What implications do psychological burnout and ensuing symptoms have for performing artists? I categorized my analysis into five topics of interest: ‘symptoms of burnout,’ ‘causes of burnout,’ ‘change after burnout,’ ‘interpretation of results,’ and ‘response to burnout.’ Based on my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in this study: First, performing artists have little awareness of their own psychological burnout. Second, performing artists are highly likely to suffer psychological burnout since they are constantly exposed to burnout-prone environment where burnout may be experienced in almost all stage production projects. Third, the interviewees participating in certain remedial education and programs had awareness of psychological burnout, developed their own method to respond to burnout and knew how to apply such method. Fourth, the interviewees experienced internal growth through certain change caused by burnout. Fifth, the interviewees were in need of a professional counselor due to fear that they might experience burnout again, since a negative experience of burnout may cause serious mental problems. Sixth, directors and performers have different perspectives and stances on the end result of their stage production, and this causes communication failures and trust issues between directors and performers, resulting in psychological burnout. The research indicates that many performing artists experience burnout, which is attributable to personal and occupational factors associated with an artistic profession. In particular, performing artists face continuous experience of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burnout throughout the entire stage of a production project. Also, the research found that there is not a single cause of burnout, but burnout is the result of the interaction of multiple causes. I believe that this study will help raise our society’s awareness of psychological burnout in performing artists who are prone to mental exhaustion, and motivate people to take remedial measures for burnout. In order to help performing artists deal with burnout, our society shall consider how to support professional mental health programs for performing artists and make sure that all artists can benefit from such programs no matter what their roles in a stage production project. Also, performing artists shall be trained to identify burnout in themselves and respond to diverse symptoms and signs of burnout. In the absence of remedial solutions by the community or the society, people may try individual remedies.

      • 문화예술공동체 활동이 지역의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연구

        임환 추계예술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599

        생활수준의 향상과 이에 따른 문화적 욕구의 증대, 대중 매체의 발달과 교육여건의 강화 등으로 최근 들어 우리 사회의 문화예술 활동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문화예술 작품의 수동적인 감상에 그치지 않고 자신이 직접 각종 동아리나 모임에 참가하거나 창작 활동에 참여하는 공동체 활동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문화예술계에 종사하는 사람들이나 연구자들은 문화예술 활동이 개개인의 삶의 질을 전반적으로 높일 뿐 아니라 지역공동체 내에서 주변 사람과의 유대 관계를 강화시키고 상호 신뢰도 형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해 왔다. 하지만 이러한 주장만 풍성할 뿐, 적어도 우리나라에서는 문화예술공동체 활동이 지역의 사회적 자본 형성에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중앙정부뿐 아니라 지방자치단체에서도 문화예술공동체 활동과 사회적 자본과의 관계를 고려한 전략적 차원의 정책적 수립이나 지원활동이 필요하다는 인식 자체를 찾아볼 수 없다. 사실, 지금까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지역민의 문화 향유와 참여 욕구의 증대에 따라 문화 기반시설의 확대를 위한 예산 증대나 단순 활동지원에만 치중해왔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정부의 문화정책에 따라 문예회관과 지방문화원, 공공도서관, 등록박물관, 등록미술관 등 주요 5대 기반시설이 2010년 말 1천 979개에서 2012년 말엔 2천 182개로 증가한 사실에서 알 수 있다. 그러나 지역민의 문화예술 향유활동을 위한 공간으로서의 하드웨어 구축도 필요하지만, 이들의 문화예술활동이 가져오는 또 다른 가치인 지역사회 구성원 간 신뢰성 증대와 상호호혜성, 그리고 네트워크 구축 등 사회적 자본의 형성을 통한 지역 성장 정책도 필요하다고 하겠다. 그동안의 정부 정책이 기반확대 중심에 비중을 두는 등 너무 포괄적으로 추진돼 왔다는 점에서 앞으로 공동체와 사회적 자본간 형성요인 등을 분석해 구체화 할 필요성이 있다는 취지다. 이를 위해 선행되어야 할 것은 지역민의 문화예술공동체 활동이 지역공동체의 사회적 자본 형성을 촉진함으로써 지역 발전의 원동력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계량적으로 증명하는 일일 것이다. 문화예술공동체 활동과 지역의 사회적 자본간 영향 요인을 분석하고 확인하기 위해선 계량화된 결과를 도출해야 하며, 이를 통해 정부정책의 세분화와 구체적 추진 방법을 모색할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앞에서 언급한 문화예술공동체 활동과 사회적 자본 간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의 결여와 정부의 문화예술정책이 지닌 문제점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바탕으로, 문화예술공동체가 사회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문화예술공동체 활동 여부에 따른 참여자와 비참여자 간의 인식이 어떻게 다른가를 규명한다. 즉 문화예술공동체의 존립성, 정체성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이의 활동에 참여하는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 간의 인식 차이를 실증적으로 검토해본다. 또한 참여집단과 비 참여집단 간의 차이뿐만 아니라 인구사회학적인 배경에서 각각의 기준에 따른 인식 차이를 분석한다. 둘째, 문화예술공동체와 사회적 자본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한다. 즉 문화예술공동체의 각 구성요인과 사회적 자본 요인 간의 관계에서 문화예술공동체가 사회적 자본요인에 인과적으로 영향을 미치는가의 문제를 분석하여 이들 간의 관계를 규명 해본다. 이를 통해 사회적 자본형성에 문화예술공동체 활동의 어떠한 요인이 보다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고자 한다. 셋째, 문화예술공동체와 사회적 자본 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앞으로 보다 좋은 사회를 형성하기 위한 문화예술공동체의 활성화와 사회적 자본의 확대를 위한 과제는 무엇인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실증적 연구방법을 취했다. 문헌연구는 문화예술공동체와 사회적 자본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관련연구에 대한 이론적인 측면을 분석하였다. 실증적 연구는 필봉농악보존회와 정가보존회, 드림필하모니 오케스트라, 전북장애인미술협회 등 전북지역의 대표적인 문화예술공동체 활동그룹과 이의 대조군으로 공동체 활동 비참여그룹을 대상으로 하였고, 표본으로 추출된 총 300명을 대상으로 가설 검증을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문화예술공동체와 사회적 자본에 대한 기술통계로서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상관관계분석, T-test, ANOVA(분산분석)를 활용하였고,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문화예술공동체 의식의 하위요인인 역동성은 사회적 자본의 하위요인인 네트워크와 상호호혜성, 신뢰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공동체 의식의 하위요인인 정체성은 사회적 자본의 하위요인인 상호호혜성과 신뢰도 On the one hand, one's interest on culture arts act in our society nowadays increases quickly due to improvement of life conditions and enlargement of culture need, development of mass media and reinforcement of education conditions, etc. On the other hand, one's community acts which take directly part in each league or group or creative activities as well as appreciate passively the pieces of culture arts are spread fast out. The artists or researchers for culture arts field have insisted on strengthening the relationship and affecting positively on cooperative reliability as well as upgrading the quality of life respectively through culture arts act. But there are only such many insistences and no study through actual proof on how the culture arts act in Korea affects concretely on forming local social capital. On this conditions, there is no cognition itself that is necessary for even local autonomy as well as government to make a policy in strategical level and a support activity considering on the relationship of social capital with culture arts community act. In fact, they say that the government and local autonomy until now have focused on only budget increment or simple activity support for spreading basic facilities of the culture according to cultural enjoyment of local residents and increment of participation need. This is appeared to be increased from 1,979 places in late 2010 to 2,182 ones in late 2012 in main 5 basic facilities such as Arts hall, Local culture institute, Public library, Registration museum and Registration fine-arts museum according to culture policy of government. Bu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hardware facilities as a space for enjoying the culture arts for local residents and moreover, to make a local growth policy through forming social capital such as increment of reliability among local social members, cooperative reciprocity, establishment of network, etc. called another value from culture arts act. This says that there is the necessity to concrete as analysing the components between community and social capital forward in the point of promoting too inclusively focused on basic enlargement of government policy for those days. The pre-conditions for this is to prove measurably the fact that the culture arts community act of local residents can become the motive power of local development as promoting social capital formation of local community. It is necessary to draw out the measured result for analyzing and confirming the effect elements between culture art community act and local social capital and it is because of being able to detail government policy and try the concrete promotion method through this. Accordingly, this study will define the effect relationship on social capital formation with culture arts community based on cognizing newly on the deficiency of pre-study on culture arts community act and social capital mentioned early and the problems including in culture arts policy in the government. More concretely, this study is for the purposes of the first, showing what different cognition between participator and non-participator has according to whether is culture arts community act or not. That is, this study reviews actually the cognition difference between he who takes part in the act in the level to confirm the existence and identity of culture arts community and he who not. Also, this study analyses sociodemographic background as well as difference between participation group and non-participation group depending on each standard. The second, this study analyses the effect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rts community and social capital. That is, this study def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ose as analyzing the problems on how the culture arts community affects causally on social capital elemen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components of culture arts community and social capital elements. This study tries to show what elements of culture arts community act affect more directly on forming social capital. The third, this study represents what the assignment for activation of culture arts community and enlargement of social capital is for forming better society forward as defining the effect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rts community and social capital. The study methods for achieving these purposes were through materials-study ad actual proof study. The materials-study reviewed the pre-studies on culture arts community and social capital and analyzed the theoretical parts on related studies. The actual proof study was on representative culture arts community act groups in Jeonbuk province like Philbong farm music archive, Jeongga archive, Dream phil-harmony orchestra, The disabled fine-arts association in Jeonbuk, etc. and on community act non-participation groups to the contrary and analyzed strategically the result from Q&A research for hypo-inspection on 300 population samples. The analysis method made use of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 Valid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ANOVA, and applied Regression analysis to analysing the effect relationship. The study result is as follows. The first, the dynamic as a sub-factor of culture community consciousness is appeared 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statistically on network, cooperative reciprocity and reliability as a sub-factor of social capital. The second, the identity as a sub-factor of culture community consciousness is appeared 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statistically on cooperative reciprocity and reliability as a sub-factor of social capital. The third, the loyalty as a sub-factor of culture community consciousness is appeared 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statistically on network, cooperative reciprocity and reliability as a sub-factor of social capital.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e fact that is necessary to make and execute a policy concretely and in detail on the activity of cult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