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간대 복원이 조류의 군집구조와 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시화호를 대상으로

        박치영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6 국내박사

        RANK : 247615

        In this study, the bird fauna of Sihwa Lake in Gyeonggi Province was investigated from 2009 to 2014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restored intertidal zone on bird community. Based upon the analysis of the habitat status and distribution change of water birds in the intertidal zon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A total of 190 species and 424,403 individuals (max. total number) were observed in Sihwa Lake during the survey period. Before the restoration, from 2009 to 2011, the number of bird species observed was 170 with 260,799 individuals. After the restoration, from 2012 to 2014, 164 species and 347,158 individuals were observed. There has been no substantial change in the number of species but the number of individual has increased. The change in community indices was irregular before the restoration but it became regular after the restoration, thus showing a stable community structure. For the community characteristics by species, it was found that passerine had the largest number of species while dabbling ducks had the largest number of individuals. It was confirmed to be a transition zone with a high biodiversity where the land and ocean environments converge and interact. Upon the analysis on the before and after community of observed birds, different habitat patterns were found. Changed intertidal zone environment led herons and dabbling ducks that are sensitive to changes of water level and flow velocity to focus on the dyke region that provides more stable environment. Also, shore birds that are dependent on the mudflat environment came mainly to tideland before the restoration but after the restoration, they come to midstream that includes widened tidelan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of the community patterns by each study sites before and after the restoration, upstream that is not greatly affected by the area of tideland showed similar characteristics while most regions showed different community pattern. It was found that the widened tideland affects not only the habitat and distribution of bird species in the tideland but also the other bird communities in adjacent areas. Upon the analysis of habitat of dabbling ducks that affect the total bird communities during wintering period, it was found that they focus on wintering in dyke more than ever after the restoration. This is because dyke is not affected by tidal movement and contains various water level environment, providing a stable habitat especially to water birds. The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the extent and community indices of each study site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An extensive area like Sihwa Lake provides various habitats that are spatially connected and food source that well distributed and thus birds appear to use most areas of Sihwa Lake without partiality. Analysis on the similarity index by bird species configuration of each study site before and after the restoration showed that the bird species configuration of midstream changed to be similar with that of dyke after the restoration. It is because various water birds came in as it includes most of widened intertidal zone. The number of water bird individuals increased by approx. 40 thousand after the restoration. Most of water bird species increased but dabbling ducks decreased. In particular, pochard decreased by more than 91%. It is because they mainly used open water areas of Sihwa Lake before the restoration but after the restoration, the tide and water level change due to the twice-daily water supply affected their habitat. Meanwhile, the number of greater scaup has increased; due to their biological characteristics that help them adapt to shallow water, they were confirmed to use the wide boundary area between water and intertidal zone as their habitat and rest area. Analysis of the number of individuals of water birds before and after the intertidal zone restoration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number of shorebird individuals. There is a habitat use pattern change in southern tideland intertidal zone that includes the largest area of widened intertidal zone and the inland waters of intertidal zone. This is related to the change of benthic ecosystem which is the food source of birds. The benthic ecosystem in restored Sihwa Lake has been stabilized with decrease in opportunistic species and consistent increase in equilibrium species that are sensitive to pollution. As a result,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shorebirds have been improved. The restoration of intertidal zone affected the habitat use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water birds in a short period of time. Compared to before restoration, all the water birds now use the wide area of intertidal zone with no partiality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restoration greatly affected the distribution of shorebirds and swan & geese. This study was conduc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an artificial restoration of intertidal zone due to tidal power generation on bird species. In terms of maintaining and improving biodiversity, the intertidal zone restoration was recognized to be important and still shows positive result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 direction when an alternative is required to maintain and improve biodiversity in a similar situation in the future.

      • 한국수어의 수형 표기체계에 관한 연구

        강재희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1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reative approach to the writing system of Korean Sign Language, which will be used to reorganize the Korean Sign Language dictionary. As a result of this study, which analyzed and considered the handshape writing system from the analysis of the handshape of Korean Sign Language (Choi, 2012) and the pre-construction of Korean Sign Language dictionary (Lee et al., 2016), it was found that the current presented sequence of handshape was based on numbers, unlike that of fingerspelling characters in foreign sign language. As a result, it is evaluated that the rules of arrangement are not clear and are randomly deployed. Of course, it is understandable in terms of the convenience of classification tasks that the handshape notation easily classifies around numbers, but the biggest problem is that the limitations of notation are clearly revealed in the case of figures that are difficult to present in numerical form. Furthermore, there was a big problem that the notation was very crude when using certain words and the criteria for classification were not clear. Accordingly, an example table for the classification of the Korean Sign Language based on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was created, and the overall name of handshape and order of arrangement were clearly expressed. First, excluding the names of handshape in specific words,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can be used for basic names of hanshape such as ㄱ, ㄴ, ㄷ, ㅏ, and ㅐ, and similar forms of handshape can be named with attachment, opening, bending, folding, combination and others, respectively, depending on the basic forms. Second, in terms of the order of handshape arrangement and number of handshapes, it is possible to judge that the handshape based on Korean fingerspelling is much better than the handshape based on numbers. Third, it is possible to secure unity and consistency by presenting a systematic writing system based on the names of handshape and order of arrangement based on Korean fingerspelling. Some of the implications deriv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of practical help to completely reorganize the names of handshape and arrangement order of the Korean Sign Language dictionary in the future. Above all, in order to systematically organize the names of handshape and order of arrangements that will be used heavily in the production of Korean Sign Language dictionaries, research on similar classification tables should be preceded. As in this study, if the Korean Sign Language's similar classification table is standardized and established based on the studies on the names of handshape and order of arrangement, it will be possible to mark various names of handshape by giving certain symbols or names to the basic and similar forms of handshape based on fingerspelling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of Korean Sign Language. As a result, this classification would clarify the arrangement rules, which would be very useful in determining the order of arrangement. Therefore, in order to consistently promote follow-up researches on basic and similar classifications in the future, I would like to make suggestions for several follow-up researches at a principled level: First, a basic standard handshape (basic form) shall be prepared based on Korean fingerspelling, not numbers. As explained above, the range of fingerspelling is quite wide than numbers, and it is also convenient to apply them in combination by utilizing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Above all, since it is Korean Sign Language, it is very important to actively utilize Korean fingerspelling to maximize the linguistic value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Sign Language. As there are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due to Korean grammar, it is necessary to set a basic standard handshape (basic form) legally. Second, a system of classification should be established in classifying similar forms for basic forms. In order to set the criteria and order for classifying similar forms, it is necessary to create a system of classification in order of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in which names are given in the same order as basic forms, attachment, opening, bending, folding, and other forms, an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ttachment and opening of fingers and bending of finger joints. Third, a notation shall be prepared to indicate the names of handshape based on ease of memorization, clarity, simplicity, unity, and convenience of vision. It is necessary to avoid giving names using certain words or eliminating the names of handshape at all and writing only pictures of handshape and to make efforts to mark the names of handshape that are easy to learn.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writing system of the names of handshape and order of arrangement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Korean Sign Language dictionary, and that it will be able to operate much more efficiently by introducing it in the web dictionary.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수어사전 개편에 활용될 한국수어의 수형 표기체계에 대한 창의적 접근을 개발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수형 명칭과 배열순서를 어떻게 형성할 것인가를 고찰하고, 궁극적으로 새로운 수형 표기체계를 개발하여 제시하는 데에 있다. 한국수화언어의 수형소 분석(최상배, 2012) 및 수형 기반 한국수어사전 구축(이준우 외, 2016)에서 나온 수형 표기체계를 분석하고 고찰한 본 연구의 결과, 현행 제시된 수형 배열순서는 외국 수어에서 지문자를 기준으로 하는 것과 달리 지숫자를 기준으로 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이는 배열규칙이 명확하지 않고 임의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물론 수형 표기체계가 지숫자를 중심으로 쉽게 분류하는 것은 분류 작업의 편의성이라는 측면에서는 이해할 수 있으나 가장 큰 문제는 지숫자형으로 제시하기 어려운 수형의 경우, 표기의 한계가 극명하게 드러나는 데에 있다. 더욱이 특정 단어를 활용한 수형 명칭으로 하는 경우에는 표기 내용이 매우 조잡하고 그마저도 분류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는 커다란 문제를 갖고 있었다. 이에 한글 자음과 모음을 기준으로 한국수어의 수형 표기체계 분류 예시표를 만들고 전체적인 수형 명칭과 배열순서를 명확히 정리할 수 있다는 의견을 개진하였다. 첫째, 특정 단어로 표기한 수형 명칭을 배제하여 한글 자음과 모음을 ㄱ형, ㄴ형, ㄷ형, ㅏ형, ㅐ형 등과 같은 표기 방식으로 기본형 수형 명칭을 표기하고 이와 같은 기본형에 따라 각각 붙임형, 벌림형, 굽힘형, 접힘형, 조합형, 기타형 등으로 붙여서 유사형 수형 명칭을 표기할 수 있는 것이다. 둘째, 수형 배열순서와 수형 개수 등에 있어서 지숫자를 기준으로 정한 수형보다 한글 지문자를 기준으로 정한 수형이 훨씬 더 낫다는 판단을 내릴 수 있는 것이다. 셋째, 한글 지문자를 기준으로 정한 수형 명칭과 배열순서의 체계적인 표기체계를 제시함으로써 전체적으로 통일성과 일관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도출된 몇 가지 시사점이 향후 한국수어사전의 수형 명칭과 배열순서 전면적 개편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무엇보다도 한국수어사전 제작에 비중 있게 활용될 수형 명칭과 배열순서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유사형 분류표에 관한 연구가 선행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와 같이 수형 명칭과 배열순서에 관한 연구들을 토대로 한국수어의 유사형 분류표를 표준화하여 원칙으로 정립하게 되면 한국수어의 지문자(한글 자음 및 모음)를 기준으로 한 수형 기본형과 유사형에 특정기호나 이름을 부여하여 다양해진 수형 명칭을 표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 결과 이러한 분류에 따라 배열규칙이 명확해져서 배열순서를 정하는 데에 매우 유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향후 기본형과 유사형 분류에 대한 후속 연구를 일관성 있게 추진하기 위해 원칙적인 차원에서 다음과 같이 몇 가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지숫자가 아닌 한글 지문자를 기준으로 기본적인 표준수형(기본형)을 마련하여야 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숫자보다 지문자를 활용한 범위가 상당히 넓고 한글 자음과 모음을 활용하여 조합형으로 응용할 수 있는 편리성도 있다. 무엇보다 한국수어인 만큼 한글 지문자를 적극 활용하여 한국수어만의 언어적 가치와 특성을 최대한 살려야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렇게 한국어 문법으로 인한 한글 자음과 모음이 있듯이 법적으로 기본적인 표준수형(기본형)을 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기본형에 대한 유사형을 분류하는 데 있어서 분류법을 정하여야 한다. 유사형을 분류하는 기준과 순서를 정하기 위해서는 한글 자음과 모음 순서로 하고 기본형에서부터 붙임형, 벌림형, 굽힘형, 접힘형, 조합형, 기타형 등과 같은 순서로 이름을 부여하고 세부적으로 손가락의 붙임과 벌림, 손가락 관절의 굴곡(굽힘) 등에 따라 순서를 정하는 분류법을 만들 필요가 있다. 셋째, 암기의 용이성, 명료성, 단순성, 통일성, 시각의 편이성을 기준으로 수형 이름을 표기하는 표기법을 마련하여야 한다. 특정 단어를 이용하여 명칭을 부여하거나 아예 수형 명칭을 없애고 수형 사진만 기재하는 방법 등을 지양하고 익히기 쉬운 수형 명칭을 표기하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이에 한국수어사전에 수형 명칭과 배열순서의 표기체계를 쉽게 적용시킬 수 있으며 또한 웹사전에서도 그러한 방식으로 도입하여 훨씬 더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골프선수의 자기통제력 척도의 타당도 검증 : 라쉬 모형 적용

        정솔 호서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15

        국문초록 골프선수의 자기통제력 척도의 타당도 검증: Rasch 모형 적용 골프지도학과, 호서대학교 대학원 아산, 대한민국 (지도교수 이준우) 성공적인 골프선수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는 관리 능력이 필요하다.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자제하면서 장기적인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행동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자신을 조절하는, 즉 자기통제 능력이 요구된다. 이러한 능력은 골프선수 삶 영역에 걸쳐 중요하게 작용됨에도 불구하고 골프선수를 위한 자기통제력 척도가 존재하지 않아 골프선수의 자기통제 능력 수준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골프선수의 자기통제력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이때 문항반응이론의 Rasch 모형을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여자)프로골퍼협회에 등록된 182명(남자:85명, 여자:97명) 프로를 목적표집법을 적용시켜 자료를 수집한 후, 사전검사를 통해 5개(화 기질 및 충동성: 7문항, 자기중심 요인: 4문항, 모험추구: 4문항, 단순과제: 4문항, 신체활동: 4문항) 요인에 전체 23문항을 측정도구로 제작하여 연구문제에 맞게 자료처리를 적용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골프선수의 자기통제력 척도는 사전에 제시한 측정모형(5요인(단순과제, 자기중심, 모험추구, 신체활동, 화 기질 및 충동성), 23문항)의 적합도 지수(X2=2.019(p=.000), TLI=.889, CFI=.906, RMSEA=.075) 및 문항 모수치(단순과제: .608-.877, 자기중심: .602-.929, 모험추구: .446-.915, 신체활동: .431-.893, 화 기질 및 충동성: .432-.817)에 문제가 없어 측정모형의 요인구조에 타당성이 입증되었다. 둘째, 골프선수의 자기통제력 척도의 문항 적합도에서는 화 기질 및 충동성 요인 1개(24번)(내적합지수=1.75, 외적합지수=1.68) 문항이 적합도 기준치에 충족되지 않아 부적합한 문항으로 판정되었으며 다른 요인 관련 문항들(자기중심(내적합지수=.80-1.15, 외적합지수=.76-1.04), 모험추구(내적합지수=.80-1.27, 외적합지수=.80-1.25), 모험추구(내적합지수=.80-1.27, 외적합지수=.80-1.25), 신체활동(내적합지수=.76-1.20, 외적합지수=.75-1.15))은 기준치에 모두 충족되어 적합한 문항으로 판정되었다. 셋째, 골프선수의 자지통제력 척도의 문항 난이도에서는 하위 요인 문항별 난이도(단순과제: .608-.877, 자기중심: -.31-.42, 모험추구: -.61-.53, 신체활동: -.36-.34, 화 기질 및 충동성: -.38-.48) 수준이 쉬운 문항부터 어려운 문항까지 고르게 분포되었다. 넷째, 골프선수의 자기통제력 척도의 신뢰도에서는 단순과제 요인을 제외한 다른 요인의 분리신뢰도가 .70이상의 지수(자기중심=.84, 모험추구=.89, 신체활동: .79, 화 기질 및 충동성: .80)를 보여 정확히 변별할 수 있는 문항으로 판정되었으나 단순과제 요인은 .00으로 나타나 변별력이 없는 문항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골프선수의 자기통제 척도의 응답반응 척도는 선행연구와 동일하게 5점 응답반응 형태가 모든 하위요인에서 타당한 척도임을 규명하였다. 종합적으로 골프선수를 위한 자기통제력의 요인별 측정이 가능하고 골프선수들에게 적합한 척도로 타당화시켰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미를 둘 수 있다. 4(화 기질 및 충동성=6, 자기중심=4, 모험추구=4, 신체활동=4)개 요인, 전체 18 문항, 그리고 5점 응답반응형태로 구성된 척도가 타당하다. 따라서 골프선수들에게 본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자기통제를 평가하는 결과가 다른 자기통제 척도로 자료를 수집하여 산출된 결과에 비해 더 나은 객관적 정보를 제시할 수 있으며 자기통제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활용될 수 있음을 기대할 수 있다. 키워드 : 자기통제 척도, 골프선수, Rasch 모형, 타당도

      • 창업교육강사의 역량이 학생만족도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을 중심으로

        이홍주 한밭대학교 창업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창업교육강사의 역량이 창업교육의 만족도와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업특강, 창업캠프, 창업강좌 등의 교육을 1회 이상 수강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를 분석하고 창업교육의 학생만족도와 창업의지를 높이기 위해 창업교육강사가 갖춰야할 역량을 제시하고자 한다. 실증분석결과, 첫째로 창업교육강사의 전문성은 창업교육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교육강사의 수업방식은 창업교육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업교육강사의 인성 및 태도는 창업교육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창업교육강사의 프로그램 개발 및 수업설계는 창업교육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창업교육강사의 창업유무는 창업교육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생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학생만족도는 창업교육강사의 수업방식, 인성 및 태도, 프로그램 개발 및 수업설계를 통한 창업의지가 향상될 수 있도록 부분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창업교육강사의 전문성과 창업유무가 창업의지를 더욱 향상 시키는데 학생만족도가 매개 역할을 한다는 분석결과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창업교육강사의 역량은 창업교육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고 교육만족이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창업교육강사들은 대학생들의 창업의지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창업교육강사의 역량을 높이기 위해 전문성을 키우고 창업에 맞는 수업방식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 한국 수어통역사의 윤리의식에 대한 내러티브 분석

        박성혜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수어통역서비스 욕구는 확대되고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 질 향상에 대한 요구와 압박은 크게 늘어나는 반면 서비스 제공자인 수어통역사에 대한 처우와 지원은 개선되지 않는 상황 속에서 각종 윤리적 딜레마를 경험하는 수어통역사의 이야기를 살펴보는 일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출발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국내에서 수어통역사로 활동하고 있는 청인 수어통역사와 청각장애인 수어통역사가 실제 현장에서 겪는 윤리적 어려움들과 그에 대응하는 수어통역사의 역할과 윤리적 접근에 대한 인식을 내러티브로 도출하여 이를 분석하는 데에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 참여자인 수어통역사 곽철수, 나민지, 권형진, 임미희의 이야기들을 내러티브로 형성하여 이들이 수어통역사로서 겪었던 윤리적 차원의 경험들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역할 갈등에는 과한 업무량으로 인한 갈등, 언어통역과 사회복지실천 사이의 딜레마로 수어통역사의 직업 특수성을 고려하여 역할의 재정립이 필요하다는 내러티브가 형성되었다. 비밀 유지는 통역 현장에서 사람에게 말이나 행동으로 신체적 정신적인 피해가 야기되는 상황이나 병원 통역 현장에서 비밀 유지의 한계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관계 유지는 실질적으로 역할에 대한 정립이 미흡하기 때문에 통역 현장에서 농인에게 어느 정도로 개입을 하고 통역을 해야 하는 지에 대한 갈등이 관계를 유지하고 관리하는 데에도 연결되고 있었다. 전문성에서는 수어통역사의 자격관리 및 보수교육이 이론 중심적이며 현장에 적용할 만한 실질적 교육과 실습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수와 관련된 내러티브에서는 4명의 연구 참여자 모두 개선점을 강하게 원하고 있었으며 감당하고 있는 업무에 비해 충분히 보장받지 못하고 있음을 토로하였다. 특히 프리랜서 청인 수어통역사의 경우 음성언어통역사에 비해 수어통역사는 국가적으로 복지 차원의 사업으로 인식하여 측정하여 지급되기 때문에 언어통역사의 이미지보다 사회복지사의 이미지가 강해 인식의 개선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 나타났다. 그리고 차별금지와 관련한 내러티브도 나타났다. 청인 수어통역사와 농인 수어통역사와 상관없이 차별 없이 수행하려고 노력했으며 특별히 농인이 불법적인 행위를 한다고 하면 수어통역사는 농인에게 이후 문제의 책임에 대해 묻지 않는다는 것을 안내하여 본인을 보호하고 있었다. 또 만약 농인의 통역의뢰가 본인의 가치관과 상충되는 경우가 있다면 입사 초반에 수어통역사 본인의 가치관을 공개하여 피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바람직한 방법이라 생각하고 있었다. 사회적 책임 및 슈퍼바이저와 관련한 내러티브에서는 수어통역사를 관리하고 있는 기관 내에서 청인 수어통역사와 농인 수어통역사 모두에게 입사 이후 통역 업무, 사업기획, 보고서, 회계업무 등 업무 중간 과정 관리가 부족하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무엇보다도 농인 수어통역사의 경우 동료 수어통역사나 상사의 지도 및 관리가 필수적이며 직장생활 적응도에 영향이 미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윤리 문제 해결은 청인 수어통역사와 농인 수어통역사의 협력과 수어통역사를 보호할 수 있는 운영방식의 변화 및 실질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특히 가치관과 관련해서는 청인 수어통역사의 경우 실제로 농인에게 수어통역사로서 농인에게‘필요한 수어통역사’,‘전략적인 수어통역사’에 대한 열망과 신념을 가지고 통역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농인을 상대하려는 적극적인 마음이 내면에 있었다. 농인 수어통역사는 수어통역서비스를 제공받는 농인의 입장과 통역을 제공해주는 수어통역사의 입장을 모두 공감하고 있었으며 농인의 대변자로 수어통역사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일상을 살아갈 때 농인이 자립하고 독립적으로 살아가기 위한 수단으로 수어통역사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생각했으며 사회에서 필요한 일원으로 살아가길 원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함의와 제언을 통합적으로 제시하였다. 첫째, 수어통역사들 각 개개인은 최선을 다해 수어통역사로서의 삶을 살아가고 있었음을 파악하였다. 둘째, 국내에서 활동하고 있는 수어통역사들의 업무량이 매우 과중한 것으로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언어적인 통역 업무만이 아니라 사회복지적인 성격의 부가적 업무까지 맡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셋째, 통역 장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윤리적 이슈들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조정과 중재 센터가 있어야 한다. 넷째, 수어통역사들을 지지하고 지원하며 전문성을 지속적으로 함양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다섯째, 수어통역사의 자격관리와 보수교육에서 윤리적 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연구에 참여한 청인 수어통역사 2명과 농인 수어통역사 2명의 내러티브에 한정되었다는 점과 실질적인 윤리강령에서 활용할 수 있는 대안적 이야기들을 도출하는 데에는 다소 한계가 있었다는 것이다. 향후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많은 수어통역사들로부터 이야기를 청취할 필요가 있으며 그와 같은 질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양적 설문조사를 수행함으로써 수어통역사의 윤리의식에 관한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또한 실질적인 윤리강령의 내용들을 형성해내는 작업이 후속 연구에서 이뤄져야 할 필요도 제시하였다. The study of a sign language interpreter who experiences various ethical dilemmas in a situation where the demand for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ervice is expanding and the service provider's demand and pressure to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 is greatly increasing, while the treatment and support for the sign language interpreter, the service provider, is not improving. This study started with a critical mind that it is necessary to look into i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raw a narrative of the ethical difficulties experienced by hearing sign language interpreters and hearing-impaired sign language interpreters who are currently working as sign language interpreters in Korea, and the recognition of the role and ethical approach of sign language interpreters in response to them in the field. I was there to analyze it. For the study we reported here, the stories of sign language interpreters Kwak Chul-soo, Na Min-ji, Kwon Hyung-jin, and Lim Mi-hee, who were participants were formed into narratives to understand their ethical experiences as sign language interpreters. We found that a narrative was formed that the role conflict needs to be reestablished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al job characteristics of sign language interpreters, such as conflict due to excessive workload and dilemma between language interpretation and social welfare practice. Keep secret was found to be felt in a situation where physical and mental harm is caused by words or actions to people in the interpretation field or in the hospital interpretation field. On the other side, since the organize of the actual role of maintaining the relationship is insufficient, the conflict over how much to intervene and interpret for the deaf in the field of interpretation was also connected to maintaining and managing the relationship. from a professional point of view, qualification management and supplementary education for sign language interpreters were found to be theory-oriented, and practical education and practice applicable to the field were lack. Also, in the narrative related to reward, all four research participants wanted improvements and expressed that they were not sufficiently guaranteed compared to the work they were doing.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freelance sign language interpreters, sign language interpreters are nationally recognized and paid as welfare-level projects compared to voice language interpreters, so they have a stronger image of social workers than language interpreters, so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their perceptions. And narratives related to th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lso appeared. Regardless of sign language interpreter and deaf sign language interpreter, they tried to perform without discrimination, and especially if deaf did illegal activities, the sign language interpreter guided the deaf not to ask for responsibility for the problem later. In addition, if a deaf's request for interpretation conflicts with his or her values, it was thought that it would be a desirable way to help the sign language interpreter's own values to be disclosed and avoided at the beginning of his or her job. In the narratives related to social responsibility and supervisor, both sign language interpreters and deaf sign language interpreters within the institution that manages sign language interpreters lack interim process management such as interpretation, business planning, report, and accounting after joining the company. Above all, it was recognized that the guidance and management of fellow sign language interpreters or bosses were essential and had an effect on the adaptation to work life. It was found that solving the ethical problem requires cooperation between sign language interpreters and deaf sign language interpreters, changes in operation methods that can protect sign language interpreters, and practical education. In particular, regarding values, Sign Language Interpreter was actually a sign language interpreter to the deaf, and there was an active mind to deal with the deaf while providing interpretation services with a desire and belief in "necessary sign language interpreter" and "strategic sign language interpreter." deaf sign language interpreter sympathized with both the position of the deaf who received the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ervice and the position of the sign language interpreter who provided the interpretation, and served as a sign language interpreter as a spokesperson for the deaf. When living daily life, I thought the role of sign language interpreter was important as a means for deafs to live independently and independently, and I wanted to live as a necessary member of socie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ever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integrally presented. First, it was found that each sign language interpreter was living his life as a sign language interpreter as best he could. Second, it was found that not only the workload of sign language interpreters operating in Korea was very heavy, but also that they were in charge of additional social welfare tasks as well as verbal interpretation tasks. Third, there should be a coordination and arbitration center that comprehensively manages various ethical issues arising from the interpretation scene. Fourth, a system for supporting and supporting sign language interpreters and managing them to continuously cultivate expertise should be established. Fifth, ethical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in qualification management and conservative education of sign language interpreter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that it was limited to the narratives of two sign language interpreters and two deaf sign language interpret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re were some limitations in deriving alternative stories that could be used in the practical code of ethics.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listen to more sign language interpreters, an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ethical consciousness of sign language interpreters by conducting quantitative surveys based on such qualitative research results. It also suggested that the work to form the actual contents of the code of ethics should be carried out in subsequent studies.

      • 청각장애인을 위한 구직역량강화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김경애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청각장애인에게 필요한 구직역량으로 대인관계, 자아존중감, 진로계획능력을 핵심요소로 도출하였다. 또한 청각장애인의 특성에 맞추어 개발한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이하 KEAD) 구직역량강화 프로그램의 효과를 파악하여 이에 따른 개선점을 보완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 보급을 활성화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산 청각장애인훈련센터 기계과 훈련생 16명에게 총 3회에 걸쳐 24시간 동안 6개 모듈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문해 능력의 어려움이 있는 청각장애인 구직자들의 대인관계, 자아존중감, 진로계획능력의 변화와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질적 연구로 진행하였다. 질적 연구 방법의 하나로 프로그램이 끝난 후 30분에서 40분가량 전문수어통역사 2명의 도움을 받아 3일 동안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심층 인터뷰한 내용은 축어록으로 전사하여 귀납적 그리고 탐색적으로 자료를 연구하는데 사용되는 합의적 질적 방법론(CQR)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자와 2명의 평정자로 합의된 연구팀은 16개의 사례에서 3개의 영역, 25개의 범주로 제시되어 감수자의 피드백을 받아 최종 확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통’을 첫 모듈에 배치해 청각장애인의 관심을 집중시켜 자연스럽게 프로그램에 참여시키고 앞으로 나올 모듈에 대한 기대감을 갖게 하였고, 재미와 흥미를 느끼도록 쉽고, 편안하게 제작된 시청각자료와 청각장애인에 대해 이해하고 있는 진행자가 좋았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이 프로그램의 효과라고 볼 수 있는 변화된 점에 관해서는 대인관계가 꼭 소통의 문제만이 아니라 모두에게 어려운 문제라는 보편성에 대해 인식하게 된 점이었고 자아존중감의 변화는 나에 대한 이해를 통해 내 잘못이 아닌 의사소통의 스타일이 다르기 때문임을 알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계획능력은 나에게 맞는 직업에 대한 눈높이가 조정되었고, 직업정보를 찾는 방법 습득, 직업준비 계획능력이 생겼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에서 아쉬웠던 점 및 개선점으로는 충분한 교육시간 확보와 정기적 교육이 필요하며 그룹 특성별 교육을 별도로 진행할 수 있어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청각장애인 당사자에게 필요한 자격증 과정과 같은 전문교육, 자아존중감 향상프로그램, 청각장애인의 심리 프로그램, 경제 교육 프로그램, 개별 접근이 가능한 깊이 있는 교육 프로그램 과정 개설을 요청하였다. 또한 성공적인 직업유지를 위해서는 청각장애인 뿐만 아니라 비장애인에게도 청각장애인 이해 및 인식개선교육이 반드시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특히 직업경험이 전혀 없는 참여자 보다 직업경험이 있는 참여자에게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는 의사소통의 제한으로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겪는 청각장애인 구직자에게 직업적성을 발견하고 그에 맞는 진로계획을 수립하는 구직역량강화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파악한 연구이지만 취업 이후 의사소통으로 인해 발생하는 대인관계의 갈등을 줄일 수 있도록 돕는 이직 예방 프로그램으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함께 제시하였다는데 의의를 갖는다. Based on previous literature, this research drew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lf-esteem, and career planning as essential job competency factor for the deaf.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KEAD) vocational competency program-to provide basis for improvement, and widely disseminate. A total of 16 mechanics trainee of the Ilsan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 for the deaf participated in a program-24 hour long program which consists of 6 modules in 3 sessions.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to deaf with literacy skill problem, to examine their change of perception in vocational competency program, and essential job competency factor-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lf-esteem, and career planning. Afterwards, with the help of expert team of 2 deaf interpreters, approximately 30-40 minute in-depth interview was implemented for 3 days as part of the qualitative analysis. In-depth interview was first transferred and analyzed inductively and exploratory research was analyzed through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The result, derived from 16 cases, was supervised and finalized by the research team consisted of researcher and two inter-raters. The final result was provided in 3 areas, 25 categories. The conclusion drawn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made positive comments that arranging ‘communication’ in first module encouraged themselves to naturally engage in the program and further raise expectation on the latter modules. Furthermore, participants rated positively about the participant-friendly audiovisual material and the moderator who possessed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deaf. Second, in terms of effectiveness-regarding the change in perception after the program, participants replied that they recognized an interpersonal relationship is not merely a matter of communication, but a common issue for everyone. Also, participants responded that by understanding oneself, they were able to recognize that change in self-esteem is not their own fault but derives from different style of communication. Referring to the ability to plan a career, participants could adjust their standard suitable for their career and gained ability to find a job information and plan a career. At last, for the shortcomings and improvement of the program, participants pointed out the need of secured periodic training time and to carry out training program that matches different characteristic. In terms of a content, participants requested training program for their own needs. The program includes training on license certification, improvement in self-esteem, psychology program for the deaf, Economic education program, and individual and profound training program. Additionally, in order to successfully maintain jobs, not only deaf, but also non-disabled must receive disability sensitivity awareness program regarding the deaf. The program was notably effective to participants who had work experience, compared to those who had not.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for the deaf who have difficulty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are willing to change and seek new jobs to identify their vocational aptitude and to foster ability to plan career. Furthermore, the study provides possible prevention application to provide deaf to reduce possible conflict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at rises from communication issue.

      • 지역사회복지 활성화를 위한 교회자원 활용방안에 관한 사례연구 : 장애인복지를 중심으로

        이진완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지방화 시대를 맞이하여 지방자치단체간의 재정 격차와 사회복지 인식의 양극화 현상 등 다양한 어려움들이 발생하면서 공적복지 차원만으로는 지역사회복지의 한계가 더욱 심화되어 나타나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 특별히 여러 복지 영역 중에 장애인관련 복지예산들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역사적으로 지역사회의 중요한 사회복지사업에 자원이 되어 왔던 교회의 참여가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복지활성화를 위해서 지역사회 내에서 담임목회자의 목회철학과 비젼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지역사회복지 향상을 위한 교회자원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고, 실제적으로 지역사회 속에 교회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서 장애인복지를 담당하는 일반 교회의 장애인 전담 사역자와 장애인복지(선교)현장 및 학계 관련 전문가들에게 연구의 의도와 부합되는 교회를 추천받는 형식으로 11개 교회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선정된 11개 교회를 직접 방문하여 담임목사와 장애인부서 전담사역자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면접은 사례에 따라 1-2회 실시하였으며, 면접 시 반구조화된(semi-structured) 질문지를 사용하여 심층면접을 하였다. 연구참여자와 면접을 통해 얻은 자료로부터 지속적인 질문과 비교분석을 통해 개념을 명명하고 그 개념을 묶어 공통점을 중심으로 범주화 시켰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20개의 개념과 7개의 하위범주와 이 하위범주를 더 추상화시킨 4개의 범주(‘섬김의 이유’, ‘인적자원을 준비함’, ‘장애인복지를 실천함’, ‘복지사업의 열매를 맺음’)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첫째, 장애인복지사업을 담당함에 있어 담임목회자의 목회철학 및 비전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 참여한 모든 교회 담임목회자들의 한 가지 중요한 특징은 모든 지역사회복지사업들을 교회성장의 프로그램으로서 사회복지실천을 한 것이 아니라 순수하게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기 위해서’, ‘성경대로 행하기 위해서’ 교회가 장애인복지를 하는 것이 마땅하다는 것이다. 둘째, 장애인복지사업을 실천함에 있어 교회가 지역사회의 사각지대에 있는 이웃들을 살펴서 돌보며 교회의 필요가 아닌 지역사회의 필요에 의해 사회복지사업을 실천하고 있었으며 대부분의 교회들이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분리되지 않고 통합을 지향하고 있었다. 제언으로는 첫째, 장애인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목회적 대상으로 인식하게끔 담임목회자에 대한 계몽이 필요하다. 둘째, 장애인에 대한 인식 개선의 노력이 교회차원을 넘어 지역사회 차원에서 필요하다. 셋째, 각 교회에서 효율적인 장애인복지 사업을 위해서는 부서가 다 나뉘어서 산발적으로 하기 보다는 교회 규모 여부를 떠나서 전문가 중심의 전담 상설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넷째, 정부의 지원보다는 교회가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자체적으로 장애인복지 실천을 시도해 보려는 움직임이 필요하다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마치면서 “장애인 복지 사업을 왜 하는가?”또는 한걸음 더 나아가 교회가 “사회복지 실천을 왜 하는가?”에 대한 근본 물음에 직면해 보고 해답을 얻는 것이 전제되어야 할 것 같다. 결국은 '교회의 존재 이유가 무엇인가' 즉, 교회의 본질에 대한 대답이 장애인 복지사업의 출발점임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Localization generates difficulties such as increasing financial gap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the public attitude toward social welfare is divided into two ends. So community service cannot be performed solely by local governments or other public organs. Particularly budget for the disabled is insufficient. Therefore local churches with their resources need to participate in community welf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reference to local churches' welfare practice for the disabled. For this, the researcher examined how pastoral philosophy of ministry and vision influence on local churches' welfare practice, and explored ways of activating church resources to improve community welfare for the disabled. For this study, 11 churches were selected by recommendation from experts and pastors or ministers for the disabled department of these churches were interviewed once or twice. The in-depth interview was done with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the raw data which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of research participants, the concepts have been named through the consistent questions and comparison, and then these concepts have been organized by structuring the sub-categories and categories. As a result, 20 concepts, 7 sub-categories and 4 categories('reason to serve', 'preparing for human resources', 'practicing welfare for the disabled', 'bearing fruit of welfare practice') were induced.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pastoral philosophy of ministry and vision are important factors in churches' welfare practice for the disabled. Also all of the participants thought that it is right for church to practice community service only for the sake of God and to obey the Bible, not for the growth of church. Second, the churches which practicing welfare for the disabled aim to make the community where people live together whether they have disabilities or not, and they have practiced community welfare based on the needs of their neighbor.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four suggestions are concluded to increase churches' welfare practice: First it is need for pastors to understand the disabled as their objects of pastoral care. Second, all of the people in community need to strive to improve awareness of the disabled. Third, it would be more efficient to have set of the department for the disabled with the professionals or experts of the field. Finally, churches should try to do themselves for the welfare for the disabled without depending on the support from government. To find the answer of the question "Why churches should serve the community for the disabled?", essentials of the church should be considered first.

      • 노인복지관 사회복지사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지식·경험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이윤정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노인복지관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다양한 노인들이 자립적으로 일상생활을 영위하면서 풍요로운 삶을 살 수 있도록 상담, 사회교육, 기능회복, 주간ㆍ단기보호, 취업, 재가복지 등의 서비스를 총체적으로 제공하며, 지역사회의 인적ㆍ물적 자원의 연결ㆍ매개ㆍ조정 등의 지역노인복지 서비스망의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시설이다. 노인복지관에서 이용자들과 직접 접촉하며 이러한 종합적이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사람은 사회복지사들이다. 사회복지사들은 복지관 이용 어르신들의 문제를 사정하고 서비스를 계획, 제공, 조정, 지역사회 자원연결 등의 역할들을 수행한다. 이러한 사회복지사의 역할이 노인복지관의 서비스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노인에 대한 효과적인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사회복지사들이 노인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하고 있는지, 그리고 노인에 대해 어떠한 태도를 가지고 있는지는 중요한 일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에서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들이 갖고 있는 노인에 대한 태도․지식․경험을 파악하고, 이것이 노인복지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노인복지관 사회복지사의 노인에 대한 태도․지식․경험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경기도내 21개소 노인복지관의 사회복지사 16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주요결과는 첫째, 노인복지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들의 노인이 대한 태도는 7점 만점에 전체 평균이 4,07점으로 중간보다 긍정적인 방향으로 높게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노인에 대한 태도 차이 분석에서는 연령(p=.018)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업무 수행 관련 특성에서는 담당분야 종사기간(p=.033)과 이직횟수(p=.026)가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노인에 대한 지식 수준은 24점 만점에 15.58점으로 하위변인들은 신체적, 사회적, 심리적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노인에 대한 지식 차이 분석은 월수입(p=.009)에서 유의미하였으며, 업무 수행 관련 특성 중 현직위(p=.031)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경험 여부와 긍정적 경험의 수준도 중간보다 긍정적인 방향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긍정적 경험 정도에 따른 업무 수행 관련 특성 변인 중 이직횟수(p=.028)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노인복지관에 종사하는 서비스 질의 수준은 3.78(5점 만점)으로 나타났으며, 하위변수로 사용된 유형성, 신뢰성, 대응성, 보증성, 공감성에 있어서는 신뢰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공감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셋째, 노인복지관에 종사하는 노인에 대한 태도․지식․경험이 종속변수인 서비스의 질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는 노인에 대한 태도는 노인에 대한 지식, 긍정적 경험 정도와 서비스 질과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인에 대한 지식과 긍정적 경험 정도, 긍정적 경험 정도와 서비스의 질과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복지관 사회복지사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 노인에 대한 지식, 노인에 대한 경험 유무 및 노인에 대한 경험 정도가 서비스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긍정적인 경험이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적 개입을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복지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들을 위한 특성화된 재보수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이를 현실화시키기 위한 교과과정 구성 및 실천이 요구된다. 가령 현장에 있는 사회복지사들의 권리이자 사회복지사라면 필수적으로 교육에 참여하도록 제도화되어 있는 보수교육을 활용하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긍정적인 경험의 빈도를 높여 서비스 질의 향상을 꾀할 수 있는 역량강화의 기회를 마련하여야 한다. 노인에 대한 태도나 지식이 연계, 결합되어 실행으로 옮겨지는 과정에서 긍정적 경험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사의 경험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변화를 시도할 수 있는 힘을 가지게끔 돕는 수퍼비전이 필요하다. 이러한 수퍼비전은 내부 수퍼비전 뿐만 아니라 외부 전문가 컨설팅까지 포함해야 한다. 셋째, 서비스 질 측정에 있어 공급자 중심의 사회복지사가 인지하는 서비스 질을 측정하는 방식을 넘어설 필요가 있다. 성과주의의 의해 계량화 할 수 있는 측정 가능한 것에 대한 익숙함과 사회복지사의 기대치 수준 등 사회복지사들의 성향에 의해 측정결과가 좌우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므로 후속연구에서는 공급자 입장의 서비스 질과 이용자 입장의 서비스 질을 함께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는 것도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라 판단된다. Senior welfare center is a facility that provides total service, which includes counselling, social education, functional recovery, day and short term care, employment and home care, that encourages independent daily life of diverse old people in the community. Moreover through connecting, mediating, and coordinating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in the community senior welfare centers take on the center role in service network for local welfare for the elderly. People who have direct contact and provide such total and diverse services to users of senior welfare centers are social workers. Social workers assess the user's problems, plan, provide and coordinate services, and connect local resources. Such roles of a social worker are important factors that determine the service quality of the senior welfare center. In order to provide effective welfare services to the elderly it is essential to know whether the social worker have proper understanding of the elderly and their attitude toward the elderl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attitude, knowledge, and experience that the social workers engaged in senior welfare center have with the elderly and examine the influence of it on the service quality of the senior welfare center. In order to research such influence, survey of 161 social workers in 21 senior welfare centers within the province of Gyeonggi was carried out. Key results are first, the attitude score of the social workers employed in senior welfare centers was 4.07 out of 7 positively showing higher than the middle. Moreover, the age property(p=.018) was the only statistically significant property in the analysis of attitude difference according to general properties and with properties related to job performance job duration(p=.033) and number of turnover(p=.026) was statistically notable between groups. The level of knowledge on elderly was 15.58 out of 24 and in lower factors it scored in the oder of physical, social and psychological field. monthly income(p=.009)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analysis of knowledge difference according to general properties and with properties related to job performance current office(p=.031)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The level of with or without experience and positive experience scored positively higher than middle and the number of turnover factor(p=.028) among properties related to job performance according to positive experience lev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ly, the level of service quality in senior welfare center scored 3.78 out of 5. In lower factors materiality, reliability, responsiveness, guaranty and consensual factors reliability scored the highest while consensual scored the lowest. Thirdly, in relationships of the effect of attitude, knowledge, and experience with the elderly by workers in senior welfare center on service quality correlational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on elderly, level of positive experience and service quality, level of positive experience and knowledge on elderly, and level of positive experience and service quality was found. Fourth, through examining the influence of social worker's attitude toward the elderly, knowledge on elderly, with or without the experience and degree of experience with the elderly in senior welfare centers, influence of positive experience on service quality was found. Proposals for social welfare interven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pecialized renovation training for social workers engaged in senior welfare centers is necessary and curriculum design and practice is required to actualize it. For instance, utilizing current renovation training, which is rights and legally mandatory for field social workers to attend, could be one option. Second, chances of empowerment that improve service quality through increasing the frequency of social worker's positive experience should be arranged. In order for the attitude and knowledge on elderly to develop in to positive experience in process of connection, combination and actual practice supervision that assists the social workers to gain strength to attempt change based on analysis of worker's experience is demanded. Such supervision must include inside supervision and consulting by outside professionals. Third, regarding the measurement of service quality there is a need to transgress the provider-oriented service quality measuring method recognized by the social worker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measurement result could be influenced by social worker's tendency, such as the familiarity of quantifiable things that can be measured according to performance-based system and social worker's level of expectation. Therefore, in following studies measuring and carrying out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provider-oriented service quality and user-oriented service quality could be meaningful.

      • 사회복지 분야에서의 마케팅 적용에 관한 연구

        JI ERIC SEUNG-HOON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duce marketing approaches and their execution elements within the context of social welfare. The deduction is based on the concept of marketing mindset in the for-profit sector, which has developed and evolved over time. First, the literature review aims to derive marketing approaches and their specific execution elements in the social welfare sector. This is done by merging social welfare-related activities with types of marketing mindset in the for-profit sector. The marketing approaches and their execution elements derived from the literature review are then thoroughly reviewed and verified by a group of selected social welfare field experts. To obtain its validity, the marketing approaches in social welfare and related execution elements are evaluated and revised via two interview methods: ‘the focused group interview(FGI)’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field experts’. After thorough review, the Delphi method is used to determine the importance and urgency of each marketing execution element when actually put into practice, and to prioritize them by utilizing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ur types of marketing approaches specifically for the social welfare sectors can be deduced: ‘policy and service-oriented approach’, ‘service delivering-oriented approach’, ‘service user(client) oriented approach’, ‘network and cooperation-oriented approach’. Second, nine highly prioritized marketing execution elements among the social welfare marketing approaches can be deduced: ‘developing social welfare-related services based on new paradigms and social issues’, ‘imposing individualized policy and service based on different service areas and demographics’, ‘operating the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for the social worker’s service development and providing skills’, ‘the analysis of needs and wants of service users within local community’, ‘discovering unfound service users’, ‘expanding opportunities by providing various service selections for service users’, ‘building cooperative network and strengthening the roles of the organizations within local community’, ‘sharing an organization’s mission, vision, values and goals between departments in organizations’, and ‘creating environment for harmonious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departments within the organiz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policy recommendations can be made.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institutional framework and its support system in order to apply the four types of the social welfare marketing approaches and their nine major execution elements deduced from this study. Second, social workers must receive education and training based on the types of ‘social welfare marketing approaches’. Thir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regional cooperative network by organizing ‘association’ and ‘practice field’ among social welfare-related service organizations. Fourth, creating an evaluation system for program certification is needed in order to ‘certify’ organizations by applying marketing executive elements. Fifth, ‘a marketing support center’ must be established as part of the central or local governments by providing ‘integrated’ services for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Specifically,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can be made in regard to establishing the marketing support center: first, it is necessary to adopt ‘integrated’ consulting to strengthen a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capability and its management; second,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nd disseminate manuals based on social welfare marketing approaches for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third, execution elements based on sector, region, industry-type, and demographics need to be classified and implemented to create marketing strategies and plans.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 분야에 마케팅을 적용하기 위해서 영리부문에서 시대에 따라 서로 다른 지향성을 갖고 변화되어온 마케팅 사고방식(marketing mindset) 유형들을 토대로 사회복지실천 분야에 적합한 마케팅 접근방식과 이를 구성하는 구체적인 실행 요소들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문헌 연구를 통해서 영리를 추구하는 조직에서의 마케팅 사고방식 유형별 실행 요소와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업무와 활동을 접목시켜 사회복지 분야에 적합한 마케팅 접근방식과 구체적인 마케팅 실행 요소들을 제시하였다. 이렇게 제시한 사회복지 분야에서의 마케팅 접근방식과 구성하는 실행 요소들을 사회복지 현장 전문가들을 통해 검증하였다. 마케팅 사고방식 유형별 실행 요소에 대한 타당성을 갖고자 ‘포커스그룹인터뷰(FGI)’와 ‘전문가 대상 심층 면접’을 통해 이를 검토하고 보완하고자 하였다. 다음 단계에서는 ‘델파이(Delphi) 패널조사’를 실시하여 FGI와 심층 면접을 통해 검토한 각 마케팅 실행 요소들을 중요도와 시급도로 조사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마케팅 실행 요소들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 분야에서의 마케팅 접근방식은 네 가지 유형으로써 ‘정책 및 서비스 중심적 접근방식’, ‘서비스 제공 중심적 접근방식’, ‘서비스 이용자(클라이언트) 중심적 접근방식’, ‘네트워크 및 협력 중심적 접근방식’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사회복지 마케팅 접근방식의 실행 요소들 중 사회복지실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우선순위가 높은 상위 9개의 실행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이들은 ‘새로운 패러다임과 사회적 이슈를 고려한 서비스 개발’, ‘사업별, 대상별로 개별화된 정책 및 서비스 도입’, ‘서비스 개발과 제공을 위한 직원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운영’, ‘지역사회와 서비스 이용자의 요구ㆍ욕구조사 및 결과 분석’, ‘사각지대에 놓인 서비스 대상자 발굴’, ‘서비스 이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 선택 기회 확대’, ‘지역사회 내 기관의 역할 강화와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 ‘기관 내 부서 간의 미션, 비전, 가치 공유와 목표 제시’, ‘기관 내 부서 간의 원활한 소통과 협력’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 마케팅 접근방식 유형별 ‘주요 9개 실행 요소’를 활용하여 사회복지 서비스 현장을 지원할 수 있는 체계와 제도적 차원의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사회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사회복지 마케팅 접근방식’ 유형에 기반을 둔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해야 한다. 셋째, 사회복지 서비스 제공 기관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에서의 기관 간에 ‘연계망’ 및 ‘실천의 장’을 구성하여 지역별 협력적 네트워크를 강화해야 한다. 넷째, 사회복지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마케팅 실행 요소의 반영 여부를 ‘인증’할 수 있는 인증 평가 사업의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다섯째, 중앙정부 혹은 지자체의 부속으로 ‘통합적인(integrated)’ 사회복지시설 운영 지원을 위한 마케팅 지원센터를 설립해야 한다. 해당 마케팅 지원센터를 통해 수행해야 할 주요 업무들은 다음과 같이 보다 세부적으로 제안해 볼 수 있다. 하나, 사회복지 기관의 역량강화를 위한 ‘통합적인’ 컨설팅 지원 사업을 마련하고 실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 사회복지 마케팅 접근방식 매뉴얼을 개발하여 각 사회복지 시설들에 보급하는 일이 시급하다. 셋, 부문별, 분야별, 지역별, 사업별, 대상별 실행 요소들로 구분하여 마케팅 적용 방안에 도입하는 것이 요구된다.

      •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구조 : 개인 및 부모요인의 영향과 또래요인의 조절효과와 매개효과

        백소영 강남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을 방해하는 위험요인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러한 관계에서 청소년의 또래관계가 학교생활 적응의 보호요인으로서 갖는 조절효과와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의 중1 패널 6차년도(2015년) 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요인 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는 대부분의 변수 간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위험요인과 학교생활 적응의 경우 부적 상관을 보였다. 각 요인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인적 위험요인인 심리‧정서적 상태의 경우 모형의 적합도가 적절하게 나타났다. 종속변수인 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교우관계와 교사관계 간의 오차 상관에 대한 수정지수가 크게 나타나 오차분산을 허용하여 모형을 수정해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조절변수인 또래관계(의사소통, 신뢰)의 경우 각 하위영역을 대표하는 문항들을 결합하여 대표적 문항꾸러미를 만들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의 주요 검증주제인 위험요인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호요인의 조절효과와 매개효과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험요인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검증결과, 위험요인인 개인요인(심리‧정서적 상태)과 가정요인(부모의 양육방식과 방임, 학대)은 학교생활 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검증결과, 위험요인은 학교생활 적응을 떨어뜨리고, 보호요인인 또래관계의 조절효과 검증에서 또래관계가 높을수록 학교생활 적응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험요인인 개인요인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부적인 효과가 또래요인 즉, 또래에 대한 의사소통과 신뢰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또래관계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그러나 가정요인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는 또래에 대한 의사소통 및 신뢰의 수준에 의하여 달라지지 않았다. 셋째, 보호요인의 매개효과 검증결과, 위험요인은 학교생활 적응을 떨어뜨리고, 개인요인이 학교적응에 갖는 직접효과는 p<.001로 유의하였으나 가정요인이 학교적응에 갖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개인요인->또래요인->학교적응의 간접효과와 가정요인->또래요인->학교적응의 간접효과는 둘 다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또래요인은 개인요인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부분매개효과가 있으며, 가정요인이 학교적응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인간관계가 급격히 확대되는 청소년기에 긍정적인 또래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청소년들이 주로 생활하는 공간인 학교에서 친구들과 다양한 활동과 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학교사회복지 영역이 강화되어 심리‧정서적 또래집단 지원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도록 시스템이 구축되어야하고 지역사회 청소년 관련기관들과의 협력을 통한 인프라 구축이 체계화되어야 한다. 둘째, 부모와 교사, 청소년 당사자들이 청소년기 또래관계에 대한 중요성에 대하여 절대적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 가정에서는 자녀의 올바른 인격성장을 지원하고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기본적 인성을 갖출 수 있도록 양육하여야 한다. 학교에서도 교사들은 학업성적 위주의 경쟁구도 형성을 지양하고 학생들 간의 유대감 형성과 소통을 통한 학교 공동체 형성을 위하여 교육하여야 한다. 셋째, 학교생활 적응에 필요한 또래 공동체 문화가 구축되어야 한다. 넷째, 학교를 중심으로 또래 간 상호작용 공간과 소통 프로그램이 실시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이상과 같은 실천적 제언들이 현실화되기 위해서는 학교사회복지사 또는 지역복지전문가 등 교육복지사의 역할이 확대되어야한다. 이에 따른 교육복지 예산 확충이 시급하며, 현재 운영되고 있는 학교사회복지사, 지역복지전문가, 교육복지사 등의 학교 내 전문 인력 확충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의 중1 패널 6차년도에 해당하는 2015년 기준 고등학교 3학년 학생 대상으로 제한하여 모든 청소년을 포괄하는 연구가 되지 못하고 조사항목 구성도 자유롭지 못한 한계가 있다. 그러나 청소년의 개인요인과 가정요인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또래요인이 조절효과 및 매개효과 모두 작용한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individual and parental risk for adolescents’ low school adjustment, and to identify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 of peer relationship in predicting the association between the risk factors and school adjustment. This study used the panel data of 7th grade teenagers in 6th Korea Child and Youth Panel Survey(KCYPS) collected in 2015. The panel data was conducted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most of the factors analyzed. As hypothesized, the risk factors and school life adjustment had negative correlations. Findings from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indicated that the individual risk factor measured by aggression,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ve mood had appropriate model fit. Further,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school life adjustment had high modified index on error correl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peer relationship and teacher relationship. So, the fitness was found through modifying the model that permits error variance. The fitness of peer relationship (communication, trust) or the moderating variable was foun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by forming representative question group, which includes questions that represent each sub-domain. The test result of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protective factor regarding the influence of risk factor on school life adjustment were as followed; First, the test result on the influence of the risk factor on school life adjustment showed negative effect of personal facto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te) and family factor(parenting style, negligence and violence) on school life adjustment. Second, through testing the moderating effect of protective factor it was found that the risk factor dropped school life adjustment and stronger the peer relationship was the teenager showed better school life adjustment. Moreover, the influence of personal factor, which is one of the risk factors that had negative effect of school life adjustment, decreased as communication and trust between peers increased which proves the moderating effect of peer relationship. However, the influence of family factor on school life adjustment was not influenced by peer communication and trust level. Third, when risk factor dropped the school life adjustment, the test result of the mediating effect of protective factor showed personal factor having meaningful influence as a direct effect on school life adjustment, but the direct effect of family factor on school life adjustment did not show any significance. The peer factor had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of personal factor on school adjustment and it had full medi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of family factor on school life adjustment. Based on above test results following practical proposals could be made. First, support is needed for forming positive peer relationship in adolescence, when social relationships rapidly expands. A real-time system should be built to assist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eer group through strengthening school social work, which enables diverse activities and communication with friends in school environment, and infrastructure construction should be more systematized through cooperation of youth related institutions in the community. Second, it is necessary for the parent, teacher, and teenager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eer relationship in adolescence period. Parents must support the upright character growth of their children and teach them basic personality needed to become members of bigger community. At school teachers sublate the formation of competitive composition focused on academic grades, but educating to form a school community through strong bonding and communication between students. Third, cultivation of peer group culture for school life adjustment. Fourth, there’s a need for space and program to interact and communicate between peers within the school. Fifth, in order to actualize such practical proposals, the role of school social workers or community welfare specialist should be expanded. For this education welfare budget expansion is pressing and human resource expansion of school social worker and community welfare specialist. Lastly, this study limited its research to panel data of 7th grade teenagers in 6th Korea Child and Youth Panel Survey(KCYPS) done in 2015, therefore it’s test results does not include all teenagers and there was limitations in research item composition. However, it is meaningful in that it found the influence of personal factor and family factor on school life adjustment and the peer factor acting as both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