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중학교 중국어교재의 문화교육 고찰

        박성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경향과 달리, 고등학교가 아닌 중학교 중국어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제7차 교육교육과정에서 중시하고 있는 교과서내의 문화내용을 살펴봄으로써 미래의 중국어교육에 보탬이 되고자 하였다. 중학교시기의 외국어교육이 중요한 이유는 중학교때부터 생활외국어를 교육함으로써 학생들에게 더 나은 학습동기와 학습효과를 가져오게 할 수 있고 아울러 기초적인 의사소통과정을 미리 익혀 상급 학교에 진학해서도 계속적으로 해당외국어를 학습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함으로서 진로선택에 있어서도 도움을 줄 수 있는 중요한 시기이기 때문이다. 특히 사회적으로 중국어에 대한 관심이 점차 고조되는 상황에서, 중학교에서도 중국어에 대한 위상은 점차 높아지고 있다. 그에 비해 현재 중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중국어교육은 영어 및 기타 교과에 비해 교육환경이 많이 열악한 편이다. 우선 제1장 서론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연구방법을 밝히고, 제2장에서는 학교에서의 중학생을 위한 중국어교육현황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중국어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또한 중학교 외국어교육에 있어서 학습동기와 언어교육이 문화교육과 어떻게 관계가 있는지 살펴본다. 제3장에서는 현재 중학교에서 유일하게 공통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중학교 생활중국어교재 『?好』를 연구의 주대상으로 하되, 고등학교 교재에 나타난 문화내용을 비교하여 살펴보고, 이와 관련된 중학교 교재에 나타난 어휘를 분석한다. 제4장에서는 현재 중학교에서 중국어교육을 받고 있는 중학생들과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중국인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중학교 교과서내의 문화내용을 되짚어 본다. 또한 앞의 연구 과정속에서 드러난 특징과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는 각 장의 내용을 종합하여, 앞으로의 중학교 교재내의 문화적 내용선정과 방향에 대해 결론짓는다. 중국어 교과서를 분석해 본 결과로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제7차교육과정의 교육목적에 따라 중학교 교재에 매단원마다 실려 있는 중국이야기코너(문화이해학습란)에서는 물질문화보다는 정신문화적인 내용이 다소 많이 분포되어 있었다. 반면, 교과서내의 그림이나 사진은 대부분 물질문화에 편중되어 있다. 둘째, 교재 본문내용은 한자 대신 한어병음식 발음표기에 치중하여 학생들의 학습에 부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었다. 셋째, 단원의 제목과 본문의 내용에 있어 전체적인 연관성이 부족하였다. 넷째, 전체적으로 교과서에서 사용하고 있는 문화적인 내용과 어휘가 많이 부족하였다. 다섯째, 고등학교와 중학교 교재에서 중복되어 사용되는 문화내용이 약 65%를 차지하며, 내용과 호응도면에서 학생들의 요구를 잘 반영시키지 못하고 있다. 설문분석을 통해 본 결과로는 첫째, 학생들과 중국인들이 적절한 문화내용으로 공통적으로 꼽은 것은 중국음식과 중국의 관광지(유적지)였다. 둘째, 설문지(1) 응답자의 60~70%가 중국어와 중국문화에 관심을 갖고 있는데, 그 중요도에 비해 교육환경이나 학습조건이 잘 구비되어 있지 못하다. 셋째, 학생과 중국인들은 공통적으로 중국어학습에 있어서 재미있는 학습과 외국인과의 더 많은 직접적인 접촉을 원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 손인형을 활용한 상황이야기 활동이 자폐성 중학생의 자발적인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박성혜 용인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고, 한 개인은 개인을 둘러싼 환경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다른 사람과 서로 협력하며 지낸다. 이때 다른 사람과 관계를 형성하는 데에 있어 상호적인 의사소통은 반드시 필요하며, 의사소통을 위해 언어를 도구로 사용한다. 그러나 자폐성 아동은 의사소통 기술을 사용하려고 하는 자발성과 일반화가 부족하다. 따라서 이들의 언어교육에 있어서는 의사소통의 화용론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이에 본 연구는 자폐성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손인형을 활용한 상황이야기 활동이 자폐성 중학생의 자발적인 의사소통 수행 변화 및 유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은 행동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를 사용하였으며, 기초선, 중재, 유지 순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G시에 소재한 일반 중학교 1학년에 재학중인 자폐성 중학생 두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 도구는 음성녹음 칩을 장착한 손인형과 상황이야기 책을 활용하였다. 자발적인 의사소통 수행에 대한 측정은 연구자와 학생이 10분 동안의 놀이 활동을 하는 가운데 네 가지 의사소통 행동에 대한 학교, 가정, 지역사회의 세 가지 사회적 상황에서 학생의 자발적인 의사소통 수행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손인형을 활용한 상황이야기 활동이 자폐성 중학생의 자발적인 의사소통 수행 변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손인형을 활용한 상황이야기 활동이 자폐성 중학생의 자발적인 의사소통 수행 변화의 유지에도 계속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손인형을 활용한 상황이야기 활동이 자폐성 중학생의 자발적인 의사소통 수행 변화 및 유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그 요인은 시ㆍ청각적인 도구의 활용과 반복적인 중재 전략에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본 연구의 결과에 있어, 자폐성 중학생이 특정한 언어 표현을 자발적으로 사용하고 일정 기간 유지하였다는 것은 곧, 다른 어휘 습득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사료된다. Humans are social animals and cooperate with others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m. In forming relationships, interactive communication is necessary and language is used to communicate. But an autistic child is deficient with regards to spontaneity, generalization and using communicative skills. Thus, in language education for autistic children, the focus is the importance of pragmatic and social aspects of communication. The research conducted, examines the effects of "social story activities, using hand-puppets" to change and maintain the autistic middle school students' spontaneous communication. This experiment used multiple probe designs across behaviors, these designs were progressed in order of basis, mediation and maintenance. The examines are two autistic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first grade of a general middle school, located in G city Gyeonggi-do. The tools used in the experiment are; social story-books and hand-puppets where a voice-recording chip has been installed. The measurement of spontaneous communicative performance was done with four communicative behaviors in three social situations 1) school, 2) family and 3) local society, while the researcher(s) and students were engaged in play-activities for 10 minutes.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it shows that social story activities using hand-puppets, had a meaningful effect on the variation of autistic middle school students' spontaneous communicative performance. Secondly, it shows that these activities kept on influencing the maintenance of autistic middle school students' spontaneous communicative performance variation. The factors are the use of visual and audio tools and repeated mediation strategies. In additi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here autistic middle school students' spontaneous use and maintenance of specific language expression is considered, is that it shows the possibility of different lexical acquisitions.

      • 박완서 소설의 창작방법론 연구 : 중·단편소설의 서사화 기법을 중심으로

        박성혜 단국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tried to systemize frame of writing methodology for seeing through Park, Wan-seo's novels comprehensively. To achieve this, there are two discussing points to consider in this article. First point is which materials are oriented by motif having stimulated Park's desire to create works. Second point is which techniques and methods were used to narrate that materials and motifs to each works. The article investigated and categorized these. On one aspect, materials which Park's writing motif oriented are about trauma from experience of Korean War, discovering reality of eras, and awareness of problem in society, which Park experienced by herself. On another aspect, the materials are about existence problem in old-age and asking about feministic identity. When looking Park's novels comprehensively, we can find two narrative techniques to organize materials to works. These are "application of 'telling' point of view" and 'using narrative techniques of vitalizing stories'. Application of 'telling' point of view can be divided into telling about 'me' and telling about 'third-person character'. Telling about 'me' uses two narration viewpoints which are 'telling as first-person character subject' and 'exposing character from relationship with others'. Telling about 'third-person character' uses 'telling as first-person spokesperson' and 'using narrative situation by third-person character'. Narrative techniques of vitalizing stories are 'telling stories as like chattering delicately' and 'overlaying on typical dailiness'. By using these techniques, Park invigorated reality by experience. She also vitalized stories by comparing narrative techniques such as 'irony of characters' and 'dramatic exposure of episodes'. As mentioned in last paragraphs, Park structured themes by strategically using of narrative techniques by application of 'telling' point of view and using narrative techniques of vitalizing stories. She also used narrative technique orienting 'thematic mode' by theme-structuring methods. The practical methods are 'intimacy between author and narrator' and 'concluding with enlightenment'. 이 논문은 박완서의 소설 작품에 나타난 서사화 기법의 특질을 규명하여, 그의 소설을 전체적으로 통찰할 수 있는 창작방법의 틀을 체계화하려는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그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두 가지 논의과정을 거쳐 왔다. 첫째, 작가 박완서에게 창작의 욕구를 유발시킨 모티프가 지향한 제재들은 무엇인가. 둘째, 그러한 제재와 모티프를 각각의 작품으로 서사화하는데 어떤 기법을 어떠한 방식으로 활용하는가를 검토하여 유형별로 체계화했다. 박완서 소설의 창작방법 연구는 결국 박완서의 창작 모티프가 지향한 제재들은 무엇이며, 그러한 모티프의 지향 제재들을 작가는 어떤 방식을 통해 작품으로 서사화하여 주제를 형상하였는가를 규명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박완서의 창작 모티프가 지향한 제재들은 한편으로는 현실체험과 밀접하게 관련된 6·25 전쟁 체험의 트라우마와 시대현실의 탐색과 문제의식을 다루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노년의 실존문제와 여성의 정체성 탐구에 주목한 삶의 정체성 탐색으로서의 서사를 다루고 있다. 박완서의 소설들을 총체적으로 조망할 때, 그녀가 지향한 제재들을 작품으로 구조화하는데 활용하고 있는 서사화 기법들은 “‘말하기’ 서술시점의 변용”과 ‘이야기 활성화 전략의 모색’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말하기’ 서술시점의 변용은 ‘나’에 대해 말하기와 ‘3인칭 인물’에 대해 말하기로 나누어 검토할 수 있다. ‘나’에 대해 말하기의 경우는 또한 독자적 주체로 말하기와 관계 속의 인물로 드러내기의 서술시점을 활용하고 있다. 그리고 ‘3인칭 인물’에 대해 말하기의 경우에는 1인칭 대변자로 말하기와 3인칭 서술상황 활용하기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어서 이야기 활성화 전략으로는 ‘섬세한 수다로 이야기하기’와 ‘전형적인 일상성에 덧씌우기’ 서술방법을 통해 체험적 리얼리티를 강화하고 있으며, ‘인물구조의 아이러니’와 ‘에피소드의 극적 제시’ 같은 대조의 서사기법을 활용하여 이야기 활성화를 모색하고 있다. 이와 같이 박완서는 다양한 모티프 지향 제재들을 ‘말하기’ 서술시점의 변용과 이야기 활성화 전략의 모색을 통해 서사화 기법을 전략적으로 구사하여 주제를 형상한다. 아울러 그녀는 주제를 구축해 나가는 방식으로 ‘주제적 양식’으로 모으는 기법을 활용하고 있었으며, 그것은 두 가지의 실제적인 방법인 ’작가와 서술자의 근친성‘과 ’교시적 결말짓기‘로 구체화한다. ‘작가와 서술자의 근친성’은 ‘작가 내 서술자’를 통한 자전적 글쓰기의 형태와 ‘서술자 내 작가’를 통한 세태비판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며, 작가의 한국전쟁 체험과 현재적 삶의 현장에서 부딪치게 된 시대현실의 해부와 비판을 제재로 한 작품들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주석적 시점과 교시적 결말짓기’는 노년의 삶과 관계회복을 통한 가족공동체의 회복이라든지 에코페미니즘의 심화와 같은 작가의 주제의식이 강하게 투영된 작품들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연구는 박완서 소설의 창작 방법을 총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보편적인 논의의 틀을 마련하려는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박완서의 창작 모티프는 6·25 전쟁 체험의 트라우마, 시대현실의 탐색과 문제의식, 노년의 실상과 실존적 탐구, 여성의 정체성과 모성적 생명의식 등의 제재를 지향했다. 그리고 그녀는 그러한 모티프의 지향 제재들을 다양한 ‘말하기’ 서술시점과 이야기 활성화 전략 등의 서사화 기법들을 활용하여 작품으로 구체화했으며, 작가와 서술자의 근친성과 주석적 시점을 활용하여 ‘주제적 양식’으로 모으는 서사전략으로 주제를 구축해간 작가였다.

      •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학업적 의지전략이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성혜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학업적 의지전략이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그 상대적 기여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학업지연행동과 학업스트레스,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학업적 의지전략의 관계가 어떠한지 알아본다. 둘째, 고등학생의 학업지연행동에 영향을 주는 학업스트레스,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학업적 의지전략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지 알아본다. 연구대상은 부산에 위치한 2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학생196명, 2학년 학생 91명 , 3학년 학생 38명으로 총 327명이다. 수집된 검사 자료는 SPSS 24.0을 이용하여 학업스트레스,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학업적 의지전략, 학업지연행동의 기술통계치를 측정하고, 상관분석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스트레스 하위변인인 자기공부스트레스와 자기수업공부스트레스가 학업지연행동과 학업지연행동의 하위변인 비합리적 신념을 제외한 6가지 하위변인에서 예측력을 가지는 것으로 상대적 영향력이 가장 높았다. 둘째,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는 학업스트레스보다는 상대적 영향력 낮았으며, 학업지연행동의 하위변인인 비합리적인 신념만 학업지연행동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학업의지전략 하위변인 중 공부방법 변경전략, 행동조절 전략, 긍정미래 예측전략은 부적 예측변인이었으나, 부정미래예측전략에 있어서는 정적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고등학생의 학업지연행동을 예방과 감소를 위해 학업스트레스 중 자기공부스트레스와 자기수업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학업상담 및 프로그램 개발과 실행의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고등학생들의 학업적 의지전략이 학업지연행동을 줄일 수 있는 중요한 전략이라는 사실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ademic stres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cademic volitional strategies to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procrastination.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procrastination academic stress socially impos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will strategies of high school students is investigated. Second, the relative influence of academic stres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volitional strategies on academic procrastination is investigated. The subject for the study were 327 students of two high schools in Busan, and it consisted of 196 in 1st grade, 91 in 2nd grade and 38 in 3rd grade. The SPSS 24.0 statistic program was used for analyzing the obtained date from the research in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elf-lesson stress and self-study stress in the sub-variables of academic stress had the highest relative influence as having predictive power in six sub variables, except for irrational beliefs, which are sub-variables of academic procrastination. Seco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was less of a relative influence than academic stress and appeared to be a predictor of academic procrastination only in the irrational belief of a sub-variable of academic procrastination.Third, Among the sub-variables of academic volitional strategies that affect academic procrastination, strategies to change the studying, strategies to control the environment, and positive future prediction strategies were negative predictors, but negative future prediction strategies were positive predicto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academic counseling and programs to reduce self-study stress and self-lesson stress among academic stress to prevent and reduce academic procrastin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academic volitional strategies in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can reduce academic procrastination.

      • 전통 상용음식의 氣味 및 영양가치에 관한 연구

        박성혜 圓光大學校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수천년 전부터 한국인의 독특한 사유체계를 담아 운영되어 온 전통적인 식생활 운영방식에 대한 연구로, 전통의 식문화 이해를 기본으로 東 · 西 식품영양 분야에서 각각의 기초이론을 바탕으로 한 식품의 특성, 섭취효능 및 운영방식의 장점을 부각시키고 맹점을 보완하여 건강증진, 질병예방을 위한 올바른 식생활 문화를 정착하는데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계획 · 수행되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전통 상용음식으로 분류된 총 326종 중에서 50종(주식류 14종, 부식류 27종 및 후식류 9종)을 선정하여 구성식품의 氣, 味, 歸經 등을 통한 음식의 특성과 섭취효능을 분석하고 동시에 주요 영양소 가치를 정리하여 東 · 西 융합적 고찰을 수행하였다. 식품이나 음식의 氣, 味는 오래전부터 우리 식생활의 의식구조에 내재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식생활을 현대영양학 원리로만 접근하여 영양학적 분석에만 치중한다면 우리 고유의 식생활이 지닌 장점이 사라지면서 우리 고유의 문화는 점차 힘을 잃게 될 것이다. 향후 한국의 식생활 방식은 동양철학의 기본원리에 따라 그 효능을 판단하는 접근 방법과 현대 영양학이 접목된 융합적 시각으로 접근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식품이나 음식을 동양적 원리와 서양적 방법론이 조화된 시각으로 바라보는 연구문화가 형성될 때 국민의 건강한 식생활의 유지, 질병예방, 치료 및 치료의 보조에 기여할 수 있는 총체적인 식이관리모델이 제시될 수 있다고 본다. 또한 이러한 새로운 시각에 바탕을 두고 우리나라의 전통적 세계관과 문화 풍토에 어울리는 건강기능식품의 개발과 활용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그렇게 되기 위하여 완전히 객관화 된 증거를 토대로 그 타당성이 정착되어있는 서양의 식품영양학 연구에 비해 아직 미진한 氣味 이론을 접목한 전통적 식품섭취 효능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져야 한다. 이에 전통적 식품가치에 대해 陰陽五行에 입각한 氣, 味, 歸經 등의 관점에서 분류하고 새롭게 적용하는 시도가 우선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또한 전통음식의 가치를 이해하고 우리 전통의 문화를 계승하고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식품이나 음식을 바라보는 시각을 다양화하고 우리 전통 氣味를 고유의 기초원리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 콘텐츠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동양의 기초원리와 서양의 영양가치를 이해하여 식품의 효능이나 섭취방안에 대한 융복합적 접근에 대한 인식 전환의 필요성을 제기한 연구로 사료된다. 이런 관점에서 그 의미가 있었다고 판단되며 현대 식품영양학과의 합리적인 융 · 복합적인 접근을 통해 건강 · 영양관리의 새로운 식이섭취 방안을 구축하는데 참고자료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며 연구자들이 관심을 가지고 계속적인 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aditional dietary management method that has been operated for thousands of years ago with the unique thinking system of Korea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food culture, the characteristics of food based on each basic theory, intake efficacy and management method in east and west food food nutrition Therefore, 50 out of 326 species classified as traditional common use foods in Korea were selected (14 kinds of staple, 27 kinds of side dish and 9 kinds of dessert) and the characteristics of food and the dietary effect analysis in east and west viewpoint. Even though the Qi-flavor of food have been inherited in the structure of consciousness of our diet for a long time, if we devote our dietary life to nutritional analysis only by approaching the modern nutritional principle, our culture will gradually lose strength. In the future, food nutrition management in Korea is expected to be approached from a convergent perspective that incorporates modern nutritional approach with an to judging its efficacy according to the basic principles of oriental philosophy When a culture of research on the new paradiam of food is harmonized with oriental principles and western methodologies, a comprehensive dietary management model can be suggested that can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public immunity, disease prevention, and assistance with disease treatment. Based on these new perspectives, it is suggested that the utiliza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s should be considered in accordance with the traditional world view and cultural climate of our country In order to do so,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the traditional food intake effect that incorporates the theories of Qi-flavor, and to classify and apply the types and effects of traditional functional foods in terms of Qi-flavor theory, will be needed first.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the value of traditional food and to succeed and develop our traditional cul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al contents that diversify the viewpoint of food and make our traditional sense of taste uniq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and nutritional value of oriental food and nutrition, and to suggest the necessity of recognition change for the fusion and the approach of food. In this regard, it is considered to be meaningful, and I hope that it will be a reference material for establishing a new dietary intake plan for health and nutrition through a rational fusion approach of modern food and nutrition department and look forward to continuing.

      • 근대계몽기 단군 이야기의 양상과 의미 연구

        박성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thesis is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the compositional elements and manifestation of the Dangun(檀君) myths and discourses, collectively labelled ‘Dangun Eyagi’, that were prevalent in the years between 1895 and 1919. It also investigates the role and significance of Dangun Eyagi during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from a mythological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this paper first compiled and categorized the Dangun myths and discourses that were published during the modern enlightenment era in the form of state-commissioned history textbooks, independently published history books, Dangun-related scriptures and newspaper and magazine articles on the topic of Dangun. This research then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ngun myths and discourses contained in these sources. In Chapter 2, before analyzing the Dangun Eyagi of the modern enlightenment era, this paper first briefly summarized the two types of Dangun myth narratives that were transmitted in the late Joseon era. By this examination of the preceding history,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Dangun Eyagi of the modern enlightenment era was composed of elements rooted in earlier narrative representations of Dangun. Chapter 3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ngun myths and discourses that emerged after 1895. The first subchapter distinguished the transmission of the Dangun myth into two categories and compared the features of the Dangun myth contained in state-commissioned history textbooks with the Dangun myth contained in scriptural texts promulgated by the Baekbong(白峯) community and Original Dangunists, namely the Dangungyo-odaejongji-pyomeongseo(檀君敎五大宗旨佈明書), Dangun-pyomeongseo(檀君敎佈明書) and Samilsingo(三一神誥). The state-commissioned history textbooks expounded on Dangun’s accomplishments as founder of the nation and deduced the location of Gojoseon. Meanwhile, the Dangun myth-related scriptures portrayed Dangun as the great and holy ancestor of kings who governed heaven and earth and all living creatures, including human beings, within the context of a narrative that combined motifs such as the creation myth and flood myth. The second subchapter examined the development of Dangun discourses circulated by newspapers and magazines. Amid the expansion of Dangun denial discourse, led by Japanese scholarship, effort was made to recognize Dangun as a real historical figure by using a calendar system that started from Dangun’s founding of Korea. Dangun was portrayed as a cultural heroic figure who spread Confucian enlightenment, and growing emphasis around the year 1908 on the concept of the Korean race being the descendants of Dangun led to the birth of the Buyeo tribe(扶餘族) concept. Chapter 4 studied the Dangun myths and discourses of 1910. The first subchapter analyzed the Dangun myths contained in individually published history books and Dangun doctrine books. In the former, Dangun was characterized as a demigod rather than just the nation’s founding father. More specifically, these texts treated Dangun as a figure who had descended from Mount Taebaek rather than being born into the world, greatly diversified his accomplishments, and considered the descendants of Dangun, the ‘Baedal’(Korean, 倍達) race, to be composed of the tribes of Joseon(朝鮮族), North Buyeo(北扶餘族), Yemaek(濊貊族), Okjeo(沃阻族) and Sukshin(肅愼族). For the analysis of Dangun scripture, this paper divided the texts into that of Daejonggyo (great ancestral religion, 大倧敎) and Dangungyo(檀君敎). In Daejonggyo scripture, along with the solidifying of the trinity myth, the roles of Hwanin(桓因), Hwanung(桓雄) and Dangun were distinguished and the individual narratives about each figure were expanded. Hoonmo Jeong’s Dangungyo placed great importance on the eight moral principles based on the teachings of Dangun and deduced that Mount Myohyang was the location of Mount Taebaek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The second subchapter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ngun discourses spread by newspapers and magazines. There was a new emergence of Dangun-related portraits and relics and a discourse was formed around the idea that religion and the writing system were invented by Dangun and his men. Additionally, Dangun was presented as the foremost example of the nation’s most accomplished military leaders, with emphasis placed on Dangun and the descendants of Dangun as rulers of the entire northea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Manchuria. Newspaper coverage of Daejonggyo, Dangungyo and the Shingoongbonggyeonghwae(神宮奉敬會) led to the official establishment of Dangun worship as a religion. Based on the findings of Chapters 3 & 4, which investigated the compositional elements of Dangun Eyagi, Chapter 5 focused on the representations of Dangun. It analyzed how Dangun was represented through Dangun myth and discourse-related texts, rituals, portraits and relics. Firstly, both the history books and religious texts on Dangun structurally expanded the mythological narrative with additional narratives that gave prominence to Dangun’s record of accomplishments for the purpose of emphasizing Gojoseon’s prestige as a powerful, civilized nation. Representations of Dangun were concretized through metaphors used to explain religious doctrine as well as by newspapers and magazines to explain the abstract concepts of ‘race’ and ‘nation’. Metaphors were cognitively effective in encouraging people to accept the idea of Dangun. Certain metaphors used repeatedly in Dangun myths and discourses highlighted the differences between Joseon and Japan while eliminating differences between the diverse people of Joseon, unifying Joseon as the descendants of Dangun. Next, this thesis examined how representations of Dangun were manifested during the process of Dangun worship becoming an officially established religion. As the Baekbong community grew into Original Dangungyo and then into Daejonggyo, the barriers to participation in rituals were removed and the practice of rituals became more frequent. This allowed the participants to remember Dangun, Gojoseon and their own identity as Dangun’s descendants while confirming their shared belief in these concepts and making representations of Dangun come to mind more often. This paper also confirmed that celebrations such as the National Foundation Day of Korea(開天節) promulgated the nation’s communal identity both domestically and abroad through the giving of offerings dedicated to the heavens. Finally, the creation of Dangun portraits based on the Dangun myth, and circulations of these portraits through prints and photographs, contributed to representations of Dangun becoming fixed, allowing the people to visualize Dangun more concretely and feel a closer connection. The rise of Dangun-related relics fortified memories of Dangun and Dangun’s Joseon despite the chasm between ideal and reality, and paved the path for the justification of restoring the nation’s sovereignty. Based on these analyses, Chapter 6 examined the role and significance of Dangun Eyagi in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the modern enlightenment era from a mythological perspective. This thesis proposed the following three reasons as explanations for Dangun Eyagi’s ability to fortify nationalistic consciousness: myth’s ability to naturalize concepts, the ideological nature of the Dangun religion, and the rediscovery and reappropriation of various traditional elements that can be considered ‘history’ in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and operation of myth. This paper also shed light on how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transmission of Dangun Eyagi knitted together the expansive communal narrative of Dangun Eyagi based on myths about Dangun with a communal spirit as a way of tackling the crisis of reality. The Dangun faith-centered Eyagi community that was formed during this process was accepted by intellectuals as ‘public culture’, and as Dangun Eyagi became extended to the masses through various systems and media, the Dangun Eyagi of the modern enlightenment era provided the people with a sense of shared memory and continuity of the past. The act of transmitting Dangun Eyagi was a way of ruminating on identity as well as establishing an identity, and through this the people of the modern enlightenment era were able to form a united identity centered around Dangun. 본 논문은 1895년부터 1919년까지를 중심으로, 이 시기에 향유된 단군 신화와 단군 담론을 ‘단군 이야기’로 지칭하여 단군 이야기가 무엇을 가지고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종합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나아가 근대계몽기에 향유된 단군 이야기가 수행한 역할과 의미를 신화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근대계몽기에 편찬된 역사 교과서 및 사찬 역사서, 단군 신앙과 관련된 서적, 신문 및 잡지 등에 실린 단군 관련 기사들을 모아서 단군 신화와 단군 담론들을 정리하고, 여기에 수록된 단군 신화와 단군 담론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2장에서는 근대계몽기 단군 이야기의 분석에 앞서, 조선 후기에 전승되었던 단군 신화의 두 가지 흐름을 간략하게 정리하였다. 이는 근대계몽기의 단군 이야기의 전사를 확인하는 작업으로 단군 이야기가 기존에 전승되던 단군 신화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음을 보여준다. 3장에서는 1895년 이후 단군 신화와 단군 담론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1절에서는 단군 신화의 전승 양상을 두 갈래로 나누어 관찬 역사 교과서에 수록된 단군 신화의 양상과 백봉집단과 원단군교에서 향유했던 『단군교오대종지포명서』,『단군교포명서』, 『삼일신고』에 수록된 단군 신화의 양상을 확인하였다. 역사 교과서에서는 국조로서 단군의 업적이 구체화되고, 고조선의 위치를 구체적으로 비정하는 특징을 보였으며, 단군 신앙과 관련된 서적에서는 천지개벽의 화소와 홍수 신화 등이 결합된 서사 속에서 단군이 하늘과 땅, 생물과 사람을 주관하는 대황조성신으로 형상화되었다. 2절에서는 신문과 잡지를 중심으로 유포된 단군 담론의 전개 양상을 정리하였다. 구체적으로 일본인 학자들을 중심으로 단군부정론이 확산되는 가운데 기년을 사용하여 단군을 역사적 인물이자 실존 인물로 인식하려는 특징이 확인된다. 그리고 단군이 유교적 교화를 펼치고 문화 영웅적인 면모를 드러낸 것으로 형상화되었으며, 1908년 전후 단군을 중심으로 단군자손의 관념이 강화되며 부여족이 대두된 것을 확인하였다. 4장에서는 1910년대의 단군 신화와 단군 담론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1절에서는 사찬 역사서에 수록된 단군 신화와 대종교와 단군교의 교리서에 수록된 단군 신화를 분석하였다. 사찬 역사서에서는 단군이 국조가 아닌 신인(神人)으로 형상화되었다. 구체적으로 단군이 태어나지 않고, 태백산에 내려왔다는 화소가 다시 수용되고 있으며, 단군의 치적이 훨씬 더 다양하게 서술되며, 단군의 후예가 조선족, 북부여족, 예맥족, 옥저족, 숙신족이 포함되어 배달민족으로 지칭된 것을 확인하였다. 단군 신앙과 관련된 서적의 경우 대종교와 단군교로 구분하여 논의하였다. 대종교의 경우 삼신일체의 교리가 구체화되면서 환인, 환웅, 단군의 기능이 구별되고 각각의 서사가 확장되었다. 정훈모의 단군교는 단군의 가르침으로 도덕적 요소에 제한된 팔리를 중시하고 태백산의 위치를 묘향산으로 비정하는 특징을 보였다. 2절에서는 신문과 잡지에서 확인되는 단군 담론의 양상을 확인하였다. 단군과 관련된 영정 및 유적들이 새롭게 부각되었으며, 단군과 단군의 신하들이 문자나 종교를 만들었다는 담론이 생성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뛰어난 무공을 보인 인물들 앞에 단군이 제일 먼저 배치되어 강력한 무력을 가지고 만주를 포함한 한반도 동북부지방을 호령했던 단군과 단군의 후예들이 강조되었다. 또한 신궁봉경회나 대종교 및 단군교의 소식들이 신문을 통해 전달되면서 단군 신앙 집단들이 종교집단으로 정착하는 것도 확인하였다. 3장과 4장을 통해 단군 이야기의 구성 요소를 확인하였다면, 5장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단군 표상이 어떻게 구현되었는지를 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 단군 신화와 단군 담론과 같은 문자 텍스트와 의례, 이미지와 유적과의 관련 속에서 단군 표상이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먼저 서사 형식의 측면에서 역사서나 신앙 관련 서적 모두 고조선이 강한 문명국이었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단군의 치적을 강화시키는 방향으로 서사 단락이 추가되는 것을 지적할 수 있다. 종교적 교리를 설명하기 위해 신문이나 잡지에서는 국가나 민족과 같은 추상적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은유를 사용하여 단군 표상을 구현하고 있었다. 은유는 단군 표상을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인지적으로 효율적인 방식이었으며, 단군 신화와 단군 담론에서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특정한 은유들은 일본과는 다른 조선의 특징을 부각하고 다양한 사람들의 차이를 소거하면서 다양한 조선인들을 단군의 자손으로 묶었다. 다음으로 의례와의 관련 속에서 단군 표상이 어떻게 구현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백봉집단에서 원단군교, 원단군교에서 대종교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의례에 참여할 수 있는 장벽은 낮아지고, 의례의 빈도가 높아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의례의 참여자들에게 단군과 고조선을 비롯하여 단군의 자손이라는 관념을 기억하게 만들고, 이 메시지에 의례의 참여자 모두가 동의한다는 인식을 가능하게 하며, 단군 표상을 떠올리는 빈도를 높여준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또한 개천절과 같은 의례가 하늘에 대한 제사를 통해 대내외적으로 공동체의 정체성을 공포하는 행위였음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단군 신화를 바탕으로 단군 영정을 만들고, 이를 사진이나 인쇄물로 유포하는 것은 단군 표상을 고정시켜 사람들에게 단군에 대한 구상화를 가능하게 하고 단군과의 거리감을 좁혀주었다는 점을 밝혔다. 또한 단군과 관련된 유적들이 대두되는 것은 이상과 현실의 불일치 속에서 단군과 단군조선의 기억을 강화시키고 국권 회복의 당위성을 마련해준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상의 분석을 바탕으로 6장에서는 단군 이야기가 근대계몽기의 사회·문화적 배경 속에서 수행한 기능과 그 의미를 신화학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단군 이야기가 국수적 민족의식을 강화할 수 있었던 세 가지의 이유로 신화가 개념을 자연화하는 점, 단군 신화가 이데올로기적 성격을 갖는 점, 신화의 구성과 작용 과정에서 역사라고 부를 수 있는 여러 전통들이 재발견되고 재전유되는 점을 논의하였다. 단군 이야기를 향유하는 사람들이 공동체 의식을 가지고 현재의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단군 신화를 바탕으로 한 단군 이야기라는 공동체의 거대 서사를 만들었다는 점을 밝혔다. 또한 이 과정에서 단군 신앙을 중심으로 형성된 이야기공동체가 공공문화로서 지식인들에게 수용되고 여러 제도나 매체를 통해 단군 이야기가 일반 사람들에게 확장되면서, 근대계몽기의 단군 이야기가 사람들에게 이야기된 세계를 토대로 공통된 기억과 과거와의 연속성을 제공하였음을 밝혔다. 단군 이야기를 이야기하는 행위는 정체성을 반추하는 작업이자 동시에 정체성을 만들어가는 작업이었으며, 이를 통해 근대계몽기의 사람들이 단군을 중심으로 한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었음을 강조하였다.

      • 자의식과 정서지능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박성혜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elf-consciousness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participants were 229 undergraduate students. The instrument used for the study consisted of the Self-Consciousness Scale; SCS , The Adult Emotional Quotient Test; AEQT, Relationship Change Scale; RCS.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s were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elf-consciousness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emotional intelligence had positive effect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elf-consciousness and emotional intelligenc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others. Second, private self-consciousnes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was not related to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ocial anxiety had negative influences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ird,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a greater impact than self-consciousness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order to help student’s comfortable interpersonal relationship, we have a responsibility to give and make them a educational program which would promote emotional intelligence of university students. In addition, the way how we develop the program should consider various educational methods which can be adjusted to individual characteristic and also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to counseling for interpersonal distress,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의식과 정서지능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서울과 경기지역 5여개 대학의 남녀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최종 229명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자의식척도, 정서지능척도, 대인관계변화척도를 사용하였고, 자료 분석으로는 기초통계,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의식, 정서지능, 대인관계와의 상관분석결과 자의식은 대인관계와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정서지능과 대인관계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자의식과 정서지능의 관계는 낮은 점수로 두 변인 간에 상호관련성이 나타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자의식과 정서지능의 하위영역별 상관관계는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자의식과 정서지능의 하위영역별 상관관계에서는 사적 자의식이 정서인식, 정서표현, 감정이입, 정서조절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공적 자의식은 정서인식, 감정이입, 정서조절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불안은 정서인식, 정서표현, 정서조절, 정서활용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자의식 하위영역과 대인관계의 상관에서 사적 자의식과 대인관계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공적 자의식은 대인관계와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사회적 불안과 대인관계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정서지능의 하위영역들과 대인관계의 상관관계에서는 모두 다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정서표현이 대인관계와의 상관에서 가장 높았고 정서활용은 대인관계와 가장 낮은 상관을 보였다. 따라서 정서지능의 하위영역에서 정서조절, 정서인식, 감정이입과 대인관계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자의식과 정서지능이 대학생의 대인관계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의식과 정서지능은 대인관계를 48.9%를 설명하였으며 두 변인 중 정서지능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공헌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는 대인관계 갈등을 호소하는 내담자의 이해를 위하여 자의식과 정서지능의 개인차 변인들을 살펴보고 이를 고려한 실제적인 상담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맞춤화된 상담을 모색하도록 하는데 있다.

      • 티베트 전통극 라뫼슝계 연구

        박성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quire into characteristics of Lha-Mo''i-Gzhung-Brgyad which is the most famous drama among Tibetan traditional opera ‘Lhamo’ differentiated from traditional dramas of India and China through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literary details and the real performance conditions. ‘Lha-Mo''i-Gzhung-Brgyad’ meaning eight texts includes ?Prince Nor bzang? · ?Prince Dri med kun ldan? · ?Rgya bza bhel bza? · ?Pad ma ''od ''bar? · ?Gzugs kyi nyi ma? · ?''Gro ba bzang mo? · ?Don yod don grub? · ?Snang sa ''od ''bum? that are for putting a drama on the stage. Tibet had been deeply influenced by the cultural area of India after accepting Esoteric Buddhism, and ‘Lhamo’ is no exception to this phenomenon. ‘Lha-Mo''i-Gzhung-Brgyad’ in the origin of ancient history shows unique aspects mixing a legend and history of Tibet in the basis of a legend or a tale of India. ‘Lha-Mo''i-Gzhung-Brgyad’ is mainly formed with Buddhism in terms of contents. All of Subject(S)-Object(O), Adjuvant(A)-Opposant(OP), Destinateur(D1)-Destinataire(D2) in ‘Lha-Mo''i-Gzhung-Brgyad’ move around Buddhism, and they overcome any kind of difficulty with power of Buddhism whatever it is related to family, religion, classes, or nations. However, ‘TIPA text’ representing the exile areas faithfully follows religion-oriented construction, but, on the other hand, ‘Wang Yao(王堯) text’ which represents China becomes weakened a little in this religion-related characteristic.‘Lha-Mo''i-Gzhung-Brgyad’ reveals similar but different aspects from traditional dramas of China and India on the basis of the performance system and organization of a real play. Unique characteristics of ‘Lha-Mo''i-Gzhung-Brgyad’ are vocal solos can be sung by anyone who wants to deliver the teachings of Buddha, chants and words progressing a story, the accompaniment with two percussion instruments creating unusual delicacy in the monotonic atmosphere, and acting · dancing · masks · costume · stage properties even though they a little lack of formality compared to the cultural areas of China and India. In addition, mixture between a professional company with nomadic artistes and an amateur company with tenant farmers, the audience only concentrating in preferring parts, the big performance space having the wide range of acceptance irrespective of time and space, an interlude providing an extreme tragedy are unique factors of it as well.When arranging characteristics of ‘Lha-Mo''i-Gzhung-Brgyad’ by synthesizing contents and performance conditions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largely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which are aesthetic · constructive · religious character and politic functions. First of all, the esthetic characteristic of ‘Lha-Mo''i-Gzhung-Brgyad’ is based on symbolism and totality. ‘Lha-Mo''i-Gzhung-Brgyad’ belongs to the civilization of Sanskrit around India, but it has some differentiation from other traditional dramas of Sanskrit. For example, it does not persue for various types of ‘Lasa’, mixes and formal and informal factors, and considers such informal factors as beautiful things. Second, the constructive characteristic means formal aspects, and it shows the praying rite of ‘Thang ga’ exhibition, sacrificial rites of ‘Rngon-pa-ston’, and rites through life of ‘Gzhung’ which is the main performance. Third, the religious characteristic is based on two thoughts that have been received the great importance in Buddhism. They are ‘Shambhala’ which means anyone can accomplish supreme happiness according to own mind and ‘Bodhisattva’ meaning one should help others by overcoming oneself. Lastly, the politic characteristic deals with real aspects both in the mainland of Tibet and the exile areas using Lhamo as a politic measure, and it is differentiated from other three characteristics described earlier.Like this, Lhamo, the traditional drama in Tibet based on ‘Lha-Mo''i-Gzhungd’, is the play mode originated in the snow land and has different colors from other dramas of China and India. Also, it has been existed for about 700 hundred years since the 14th century, so it is the unique inheritance showing the cultural center of Tibet. 본고는 티베트 전통극 라모 가운데 가장 유명한 ‘라뫼슝계’의 문학적인 내용과 실제 공연 상황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인도 및 중국의 전통극과는 구분되는 특성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라뫼슝계란 ‘여덟 가지 텍스트’라는 뜻으로, ?롭상 왕자? · ?디메뀐덴? · ?갸싸배싸? · ?뻬마원빠? · ?수끼니마? · ?쪼와상모? · ?된외된둡? · ?낭싸원뿡?의 여덟 가지 극목을 말한다. 티베트는 인도 密敎의 수용과 함께 인도문화권의 영향을 깊이 받았으며, 라모 역시 예외라 할 수 없다. 고사의 연원 면에서 라뫼슝계는 인도의 전설이나 설화를 바탕으로 티베트의 전설과 역사를 혼합한 독특한 양상을 보인다.내용 면에서 라뫼슝계는 ‘佛敎’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라뫼슝계의 주체와 대상, 협조자와 반대자, 발신자와 수신자는 모두 불교를 중심축으로 움직이며, 아무리 복잡한 가정 · 종교 · 계층 · 국가의 갈등이라도 결국 불교의 힘으로 원만히 해결된다. 다만 판본상, 망명지역을 대표하는 TIPA 극본은 이러한 종교 중심의 구도를 충실히 따르고 있는데 비해, 중국을 대표하는 王堯本은 다소 약화되어 있다고 하겠다.실제 공연을 바탕으로 살펴본 라뫼슝계의 공연체제와 구성은 면에서 인도와 중국의 전통극과 비슷하면서도 다른 양상을 보인다. 감정을 드러내거나 佛法을 전하고자 하는 자는 누구든지 부를 수 있는 노래, 내용을 전개해 나가는 대사, 단조로움 속에서 색다른 섬세함을 만들어내는 두 개의 타악기 반주, 인도와 중국 두 문화권에 비해 程式性은 미약하나 상징성은 풍부한 연기 · 춤 · 가면 · 의상 · 소도구 등은 라뫼슝계의 독특한 체제이다. 또한 유랑 藝人과 소작인들로 이루어진 전문 극단과 아마추어 극단의 혼재, 자신이 선호하는 부분에서만 집중하는 관객, 언제 어디서든지 만들 수 있으며 수용의 폭이 큰 공연 공간, 절대적인 비극이나 슬픔으로 치닫는 것을 차단하는 막간극 등은 체제상 특징이라 할 수 있다.이렇게 내용과 공연 상황을 종합하여 라모의 특성을 정리해 보자면, 크게 미학적 특성 · 구조적 특성 · 종교적 특성 및 정치적 기능의 네 가지를 꼽을 수 있다. 라모의 미학적 특성은 상징성과 총체성을 기반으로 한다. 라모는 기본적으로 인도를 중심으로 한 산스끄리뜨 문명권 전통극에 속하지만, 다양한 라사를 추구하지 않는 점, 정식적 요소와 비정식적 요소들이 섞여 있는 점, 그리고 이러한 비정식적 요소들도 아름다운 것으로 여기는 점에서 여타의 산스끄리뜨 전통극들과는 다른 차별성을 띤다. 구조적인 특성은 의례적인 측면을 말하는 것인데, 극의 흐름에 따라 대형 탕카 전시의 축원의례, 개장희 온빠뙨의 제사의례, 본 공연 슝의 일생의례적 양상이 나타난다. 종교적인 특성은 티베트 불교에서 가장 중시하는 두 개의 사상을 중심으로 하는데, 하나는 마음의 상태에 따라 이 땅에서도 얼마든지 극락을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하는 샴발라 사상과 자신을 초월하여 타인의 열반을 도와야 한다는 보살 사상이다. 마지막으로 정치적인 기능은 앞의 세 가지 특성과는 구분되는 외적인 상황으로 라모를 정치적인 수단으로 사용하는 티베트 본토와 망명지역의 현실적 측면을 다루었다.이처럼 라뫼슝계를 중심으로 한 티베트 전통극 라모는 雪域高原에서 발생한 연극 양식으로 중국이나 인도의 전통극과는 사뭇 다른 색채를 지닌다. 라뫼슝계를 중심으로 한 라모는 14세기 이후 700여 년의 시간을 거쳐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는 살아있는 연극 양식으로 티베트 문화의 정수를 보여주는 독특한 窓이라 하겠다.

      • 건강운동프로그램 참가노인의 신체활동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접근

        박성혜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구의 고령화는 개인의 사회적, 경제적, 신체적, 심리적 변화를 가져오고, 이에 수반한 문제들은 각각의 노인들의 문제일 뿐만 아니라 사회 구성원 모두가 풀어야할 사회문제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실시하고 있는 건강백세운동 프로그램 참가자들의 신체활동 경험과 사회적 지지에 관하여 현상학적 접근방법을 통해 심층적으로 확인해보고자 실시하였다. 참가자는 건강백세운동에 6개월 이상 참여하고 있는 여성노인 6명과 남성노인 2명이며 심층면담은 2019년 2월부터 3월까지 이루어졌고 현상학적 접근 방법 중 Giorgi의 연구방법을 선택하여 전사, 주제별 코드화, 범주화의 3단계의 과정을 통해 연구의 내용을 정리하였다. 연구의 과정은 4단계의 분석 틀을 통해 총체적 관점에서의 텍스트 내용 파악, 의미 단위의 분절, 학문적 언어로 변형하기, 전환된 의미 단위들을 구조로 통합하는 분석과정을 실시하였으며 상황적 구조 진술과 일반적 구조 진술에서는 총 90개의 의미 단위와 17개의 하위 구성요소, 5개의 구성요소를 발견할 수 있었다. 구성요소의 유형에는 원활한 신체활동을 위한 시설, 노인에게 맞는 운동프로그램, 지도자의 의미와 관계, 가족의 지지, 친구와 동료의 지지, 지방자치단체와 정부기관의 지지 등 정서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 경제적 측면의 구성요인들이 발견되었다. 초 고령화 사회로 진행되고 있는 우리 사회는 노인의 건강 중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해결에 대해 대안을 요구하고 있다. 노년기에 직면하는 다양한 문제점들에 대해 개인적, 사회적으로 적극적인 해결방안을 모색해야 되는 시기가 된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조사한 정부 시책 프로그램인 건강백세운동 프로그램 참가자의 신체활동 경험과 사회적 지지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결과는 향후 노인 건강증진에 대한 단초를 제공하고 긍정적 사회적 관계망 형성에 관하여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것이다. The aging of population can bring about social, economic, physical, and psychological changes in individuals, and the involved problems are not only the problems of the elderly people but also the social problems that all members of society must solve. Thus,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in depth the physical activity experience and the social support of the Health‐100‐year Exercise Program participants conducted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Participants were six elderly women and two elderly men who participated in the Health‐100‐year Exercise for more than 6 month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February to March 2019. Among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es, this study chose Giorgi's research method to summarize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through three steps of transcription, theme coding, and categorization. To grasp text contents as a hollistic perspective through an analysis frame of four stages, the semantic unit segmentation, the transformation into the academic language, and the analysis process of integrating the converted semantic units into the structure were carried out. In the contextual structure statement and general structure statement, we could find a total of 90 semantic units, 17 sub-components, and 5 components. Emotional aspects such as facilities for smooth physical activity, the exercise program for the elderly, the meaning of the leader and relationship, support of family, support of friends and colleagues, support from local governments and government agencies, social aspects, and economic aspects were found in the types of components. In our society, which is undergoing a super‐aged society, the interest of the elderly in health intervention is increasing, and it is asking for alternative solutions to these problems. It is time to find solutions for various problems facing the old age personally and socially.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results of 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physical activity experience and social support of participants in the Health‐100‐year Exercise Program, a government policy program, provide a clue for the future of health promotion of the elderly, and a formation of a positive social net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