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합창과 진도 씻김굿, 국악관현악을 위한 ‘진혼(鎭魂, Requiem)’에 관한 분석연구

        이지영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합창과 진도씻김굿, 국악관현악을 위한 ‘진혼(鎭魂, Requiem)’의 주제 요소인 진도씻김굿과 서양의 레퀴엠(Requiem)이 그 음악적 본질이 서로 완전히 다름에도 불구하고 합일되어 하나의 종합예술로 창작된 곡이라는 점에 주안점을 두고, 창작 과정에 나타난 주제 요소들의 변화 양상과 그에 반영된 작곡법을 분석하는 것이다. 레퀴엠(Requiem)과 진도씻김굿은 근원부터가 서로 다른 음악이기에 이들을 구성하는 내재적 요소들(종교, 언어, 선법 및 음계, 장단과 리듬) 또한 그 색채를 달리하고 있다. 이렇게 서로 다른 성격의 요소들을 자연스럽게 융합 하여 이질감이 느껴지지 않는 하나의 작품으로 창작하는 것을 본 논문에서 ‘Synthese-Komposition (종합작곡법)’이라 정의하였다. 1971년 빈 국립음대 Georg Pirkmayer(1918-1977) 교수의 강의 제목이기도 하였던 ‘Synthese -Komposition(종합작곡법)’은 명제(命題)와 그에 대립하는 반명제(反命題)를 새로운 고차원적 전체로 합일하는 작곡법이다. 이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가능한데 이정호 작곡 ‘진혼(鎭魂, Requiem)’에 적용된 종합작곡법적 양상들을 분석하기 위한 첫 번째 순서로 국악 관현악법에 관한 고찰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한 전 단계로 국악 관현악법의 기본원리(原理)인 자연배음 (自然倍音)을 이해하고, 이 내용을 기반으로 악곡분석을 진행할 수 있었다. 분석 과정에서 살펴볼 수 있었던 다양한 융합법들은 진도씻김굿과 레퀴엠을 한 곡에 조화롭게 담아내기 위해 사용되었기에 진도씻김굿 길닦음 무가인 ‘애소리’, ‘하적소리’, ‘제화’, ‘나무아미 타불’, ‘천궁’이 합창과 함께 진행되는 부분에 집중적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이 부분들에 적용된 작곡법을 분석하기 위해 먼저 세계적인 작곡가 쇤베르그(Arnold Schönberg), 알반 베르그 (Alban Berg), 바흐(Johann Sebastian Bach), 박준상(Bahk Junsang)의 작품들을 분석해보았다. 그로부터 도출된 결과들을 토대로 이정호 작곡 ‘진혼(鎭魂, Requiem)’을 분석해본 결과 악곡의 총 다섯 부분에서 종합작곡법적 양상들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양상들은 국악관현악에도 반영되어 무가(巫歌)가 주제선율이 되는 부분과 레퀴엠이 주제선율이 되는 부분으로 구분하여 음악적 표현을 달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악곡 분석을 통해 이정호 작곡, ‘진혼(鎭魂, Requiem)’은 진도씻김굿 음악과 모차르트 레퀴엠 (Requiem)을 원형 그대로 사용한 것이 아니라, 각 음악의 일부를 선별적으로 발췌하여 악곡에 재배치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진도씻김굿 길닦음 무가(巫歌)와 레퀴엠(Requiem)의 융합 부분들에서 한국음악의 선법과 장단이 서양음악의 음계 및 리듬과 조화를 이루어가는 과정(진도 씻김굿 육자배기 선법과 4성부 합창의 조화)을 살펴볼 수 있었고, ‘중모리장단, 세마치장단, 빠른 굿거리장단’과 4성부 합창의 리듬이 어우러지는 과정도 분석해볼 수 있었다. 또한 작곡가 모국의 전통음악을 사용하여 새로운 작품을 창작했다는 점과 2개국 이상의 언어를 번역 없이 가사로 혼용한 방식도 종합작곡법적 양상으로 구분해볼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 곡이 갖는 가장 큰 의미는 종합작곡법을 통해 한국의 진혼곡과 서양의 진혼곡이 하나의 예술작품으로 조화롭게 합일되었다는 점과 세밀하고 고차원적인 융합방식이 적용된 하나의 작품으로서 한국 창작 음악의 새로운 작곡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으로 요약할 수있다. 이정호 작곡 ‘진혼(鎭魂, Requiem)’에 종합작곡법이 적용됨으로써 한국 전통문화를 재조 명하고 다국적 소통을 위한 하나의 작품으로서 이정호 작곡, ‘진혼(鎭魂, Requiem)’의 가치를 규명해볼 수 있었다.

      • Advanced nanomaterial synthesis for energy storage applications

        김동형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global energy crisis and climate issues have heightened interest in renewable energy and the use of renewable energy such as solar and wind power. However, in the case of solar and wind power, it is essential to develop an energy storage system that can store the electricity remaining due to the imbalance of energy supply and demand with other energy. The first way that electrical energy can be stored with other energy is by electrolyzing water to convert it into hydrogen as a environmentally friendly chemical energy. Second, there is a way to store electrical energy in batteries, which are electrochemical energy. For this purpose, the development of high-performance HER (Hydrogen) and OER/ORR (Zn-air battery) catalysts is essential, and based on this, the next-generation zinc-air battery was developed. Chapter 1 described the overall energy problem and the associated need for energy storage systems and working principals and improvement strategies for water splitting/zinc-air batteries. Chapter 2, we present the first demonstration of scalable synthesis of a low-cost highly-efficient CoSnSx/rGO hybrid catalyst via a facile hydrothermal approach. With highly exposed edges and excellent electrical coupling to the underlying reduced graphene oxide, the CoSnSx/rGO hybrid catalyst exhibited high HER activity with a low overpotential of 0.284 V, Tafel slope of ~80 mV dec-1 , large cathodic currents and high long-term durability in acid media. Chapter 3 demonstrates preferential in situ building of interfacial structures featuring the edge sites constituted by FeCo single/dual atoms with the integration of Co sites in the nitrogenized graphitic carbon frameworks (FeCo SAs@Co/N-GC) by electronic structure modulation approach. Compared to commercial Pt/C and RuO2, FeCo SAs@Co/N-GC reveals exceptional electrochemical performance, reversible redox kinetics, and durability toward oxygen reduction and evolution reactions under universal pH environments, i.e., alkaline, neutral, and acidic, due to synergistic effect at interfaces and preferred charge/mass transfer. Chapter 4 discusses the design of aqueous alkaline, non-alkaline and solid state electrolyte for ZACs based on developed pH-universal oxygen bifunctional electrocatalyst. The aqueous (alkaline, nonalkaline, and acidic electrolytes) ZACs constructed with a FeCo SAs@Co/N-GC cathode tolerate stable operations, have significant reversibility, and have the highest energy densities, outperforming those of noble metal counterparts and state-of-the-art ZACs in the ambient atmosphere. Additionally, flexible solid-state ZACs demonstrate excellent mechanical and electrochemical performances with a highest power density of 186 mW cm−2, specific capacity of 817 mAh gZn−1, energy density of 1017 Wh kgZn−1, and cycle life >680 cycles with extremely harsh operating conditions, which illustrates the great potential of triphasic catalyst for green energy storage technologies.

      • 교수자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학습동기와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 자격증 취득 학습자를 중심으로

        조윤진 목원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599

        급변하는 사회 환경 속에서 자격증은 현재의 사회적 위치를 유지하는 수단이며 미래 더 나은 사회적 위치를 차지하기 위한 도구로 시대를 초월해 각광받고 있다. 이런 사회적 분위기는 자격증 취득에 대한 요구수준 상승으로 이어져 다양한 자격증 교육기관의 증가를 불러일으켰고 이는 교육산업으로 불리우며 사회 발전과 함께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현상은 자격증 교육기관 서비스의 질과 기준이 점차 학습자의 관점과 가치에 의해 평가되는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고 학습자 입장에서 교육만족이 높은 자격증 교육기관을 찾게 되는 교육기관과 학습자의 역전 현상을 불러왔다. 특히 교육만족 수준은 교육기관 서비스의 질을 결정하고 교육기관 간의 경쟁우위를 확보하는 수단이 되었으며, 향후 학습자가 체감하는 교육만족 전략을 수립하고 실천해야 하는 교육 패러다임의 전환이 시급한 시점이다. 특히 교육기관은 이런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해야 하는 분야로 학습자 중심의 교육만족 전환이 필요하며 이에 교육기관은 교육서비스를 이용하는 학습자의 만족을 파악하고 이에 부응하는 교육기관 교수자의 노력이 필요하다. 이런 노력의 중심에 교육기관 교수자의 커뮤니케이션 질의 중요성은 부각되고 있으며 이는 결국 교육만족이라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교육기관 교수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은 학습자의 학습동기 부여와 교육만족 효과를 창출하는 상호소통의 수단이 된다. 이것이 학습자 교육만족으로 이어져 학습자 충성도 향상과 재교육 증가 등 학습자 교육만족 행위의 시작점이 되는 것이다. 교육기관 교수자는 학습자의 학습동기를 고취하는 교육서비스를 제공하는 접점에서 학습자의 학습동기 파악 및 이의 제시를 어떻게 제시하고 수용하느냐에 따라 유대감, 친밀감, 즐거운 관계가 형성 될 것이며 이런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은 학습자의 학습동기에 따라 다양한 학습자 교육만족 형태로 나타날 것이다. 학습자의 학습동기는 현재를 포함한 향후 미래를 위한 개인적 노력이라고 본다면 본 연구에서는 학습동기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데 교육기관 교수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을 최적화하는 노력은 교육만족을 이끌어 내는데 가장 핵심적 요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기관 교수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학습자 학습동기 에 어떤 영향을 미쳐 교육만족의 성과를 창출할 수 있을지에 대한 각 변수들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고 제시하는 일은 교육 전 분야의 발전에도 큰 도움이 되는 일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기관 학습자를 대상으로 표본을 추출하고 이를 설문조사 하였다. 이는 교육기관 현장을 이해하며 연구결과가 현장에 적용되어 발전적 교육기관 미래가 그려질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해 학습자의 학습동기와 교육기관 교수자의 의식 수준이 반영된 교육기관 교수자들만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 유형을 분석하고, 이를 학습자의 교육만족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스타일과 학습동기가 학습자 교육만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며 이런 연구과정은 학습자 및 교육기관 모두에게 적합한 교육전략을 수립하는 데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자격증을 교육하는 공공 및 사설 교육기관 교수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을 협력형, 통제형, 전문형으로 선정하고 이를 학습자의 학습동기 요인인 지적동기, 능력숙달동기, 사회적동기, 자극회피동기의 4가지 요인으로 구분하여 교육만족을 위한 요인들 간의 최적 조합을 설문 및 이의 통계처리를 통해 실증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각 변수들에 해당하는 요인들은 기존의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또한 국내 및 국외 저널 및 인터넷 출처 등을 종합적으로 연구하여 연구모형을 선정하고 이를 통계처리 하였다. 먼저 연구는 관련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 커뮤니케이션 스타일 요인으로 협력형, 통제형, 전문형을 선정하고 학습동기 요인으로 지적동기, 능력숙달동기, 사회적동기, 자극회피동기를 선정하여 이들 요인들 간의 연관성을 고찰하여 교육만족을 위한 최적의 변수들 간의 최적 조합을 연구가설로 선정하고 이를 연구모형으로 선정하여 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 구성 요인으로 취급한 3개의 요인 중 협력형은 학습동기 요인으로 선정한 지적동기, 능력숙달동기, 사회적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극회피동기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형은 학습동기 요인으로 선정한 능력숙달동기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나머지 지적동기, 사회적동기, 자극회피동기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형은 학습동기 요인으로 선정한 지적동기, 능력숙달동기, 사회적동기 및 자극회피동기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동기와 학습자 교육만족 간의 가설은 교육만족에 학습동기 요인인 지적동기, 능력숙달동기, 사회적동기 및 자극회피동기 모든 요인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산업은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해야 하는 핵심분야로 아무리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이 교육분야에 많은 변화를 가져올 지라도 결국 교육의 본질인 교수자와 학습자간의 관계는 변화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기관 교수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과 학습자의 학습동기 최적화 방안을 통해 학습자의 교육만족을 이끌어 내기 위해 준비된 연구이다.

      • 복층 오피스텔 단위세대의 평면유형 특성 및 공간활용 선호도 분석에 관한 연구 : 주거전용 오피스텔 중심으로

        허정욱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오피스텔은 급격히 증가하는 1인 가구에 대한 주택정책에 있어 매우 유용한 시설이다. 원래 오피스텔은 건축법상 업무시설에 해당되지만, 도시에서 생활하는 젊은 세대들이 오피스텔 주거를 선호함에 따라 주택의 하나의 장르로 볼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최근 주거전용 오피스텔의 공급이 활발해지고 좁은 공간을 좀 더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대책으로 복층형의 구조를 가진 오피스텔이 많이 지어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복층 오피스텔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고, 보다 많은 연구를 통해 복층 오피스텔이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하나의 주거양식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사례분석을 통해 살펴본 복층 오피스텔의 평면유형 및 공간특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복층 오피스텔을 공간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분석하여 9가지의 유형으로 분류하여 유형별 특징에 대해 분석하였고, 유형별 특징을 중심으로 ‘내실’의 유무에 따라 ‘원룸시스템형’과 ‘원룸시스템+내실형’으로 크게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원룸시스템 복층 오피스텔이 전체의 75%를 차지할 정도로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면적비와 세장비를 통해 앞서 분류한 복층 오피스텔의 유형별 공간특성을 분석하였는데, ‘욕실’, ‘입구’, ‘창고’, ‘수납공간’과 같은 기능을 가진 공간의 면적은 유형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현재 나타난 면적들이 최적의 면적임을 알 수 있었다. 원룸시스템 복층 오피스텔의 ‘거실+주방’의 경우 조사대상의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지만, 내실을 포함한 복층 오피스텔은 ‘내실’의 위치와 개수에 의해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상부층’은 유형에 따라 다양한 변화를 보이고 있었다. 세장비의 경우에는 “원룸시스템형” 복층 오피스텔의 경우 폭과 깊이의 세장비가 평균적으로 1 : 2.15의 비율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내실’을 가지는 유형의 경우 내실의 위치와 개수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공간활용 선호도분석은 전체 142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104명(73.24%)가 복층 오피스텔을 선호하였고, 연령별, 성별, 소득별, 독신거주 경험 유무별로 나누어 단층형과 복층형의 선호도 분석한 결과 ‘추가된 상부층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함’으로 나타났으며, 84명(59.16%)가 ‘독립된 공간의 필요에 의해’를 이유로 “원룸시스템+내실형” 복층 오피스텔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원룸시스템형” 복층 오피스텔의 경우 상부층을 침실과 같은 휴식공간으로 활용하기를 가장 선호하고 있으며, 하부층은 단층 오피스텔에서는 좁은 공간으로 인해 힘들었던 손님맞이 공간으로 활용하기를 선호하였다. “원룸시스템+내실형” 복층 오피스텔의 경우 상부층은 침실과 같은 휴식공간으로 하부층은 손님맞이 공간으로, 내실의 경우 드레스룸과 학습공간과 같은 구분된 공간으로 이용하기를 선호하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현재 오피스텔은 단순히 주거기능을 보완하는 대비책으로 이용되는 추세지만, 복층 오피스텔과 같이 보다 다양한 형태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복층 오피스텔의 평면유형과 유형별 특성, 그리고 공간의 활용방안에 대한 분석 연구로서, 향후 복층 오피스텔을 계획하는데 있어 실증적인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를 갖는다. Officetel is a very useful facility for housing policy for single households that are rapidly increasing. Originally, officetel belongs to a business facility according to the building law, but it has been considered as a genre of housing by the young generation who prefers living in officetels in urban life. For such reason, recently, the supply of officetels for residence has been active, and the construction of double-story officetels is increasing as a way of using narrow spaces more efficiently. However, there has been a shortage of studies on double-story officetel, so far. More studies on it would help double-story officetels established as one housing type to satisfy the needs of consumers. Based on the case analysis of this research, plan type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double-story officetel are as follows. After analyzing the double-story officetel, based on spatial composition factors, it was classified into 9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ypes were analyzed. Then, it was divided again into 'an one-room system type' and 'an one-room system+main room type',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re was 'the main room' which is one of characteristics of types. As a result, one-room system double-story officetel accounted for 75% of the whole type. When analyzing spatial properties of types of double-story officetel that were classified into, above, on the basis of area ratio and slenderness ratio, each type didn't show big difference in the area of spaces like 'bathroom', 'entrance', 'warehouse' and 'storage space'. As a result, the present areas were found to be optimal. 'Living room+kitchen' of the one-room system double-story officetel increased, as the area of the research subject increased, but there were various kinds of double-story officetel with the main room,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number of 'the main room'. Also, 'the upper story' displayed diverse changes, depending on the types of officetel. On the average, the slenderness ratio of width to depth in the 'one-room system type' double-story officetel was 1 : 2.15, and in the double-story officetel equipped with 'the main room', it varied,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number of the main room.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preference on space use which targeted 142 residents, 104 residents(73.24%) preferred the double-story officetel, and in relation to preference between a single-story officetel and a double-story officetel, depending on age, gender, income and experience in single residence, residents preferred the double-story officetel more 'to the added upper story effectively' and especially, 84 of them(59.16%) preferred the 'one-room system+main room type' double-story, because of 'the necessity for independent space'. Moreover, the majority of them preferred using the upper story in the 'one-room system type' double-story officetel as a rest area like a bedroom, and using the lower story as a space for greeting guests' that they couldn't do in the single-story officetel, due to narrow space. Overall, residents preferred using the upper story in the 'one-room system+main room type' double-story officetel as a rest area like a bedroom, and using the main room as a separate space like a dress room and a study room. The present officetel buildings are being used merely as facilities to remedy housing functions, bu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more various types can be developed like the double-story officetel.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significant by providing empirical basic data necessary for planning double-story officetels in future, as an analysis study on plan types of double-story officetel, characteristics of types and plans of space use.

      • 거주자 인식에 따른 반려견 공생 다가구 주거환경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박지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dogs has had a positive aspect. However, serious conflicts has appeared since differences of different cognitive structures was caused between the people living with pets and people who do not own pets. In order to overcome this conflict, although it is being approached through architectural and spatial study,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residential environment for breeding of companion anim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animal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dogs that was the highest proportion of companion animals. The physical environment of multi - family housing known as residential environment induced by conflicts shown between the people living with pets and people who do not own pets was analyzed by applying Q methodology *. Based on the analyzed results, this study searched for improvement direction of multi-family residential environment after surveying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awareness for symbiosis with dog. In conclusion, the improvement direction was suggested based on architectural elements (indoor elements, outdoor elements) and cognitive elements.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uncil of the Graduate School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Science in June 2019

      • 한국과 중국의 사회보장정책에 대한 비교연구 : 사회보험을 중심으로

        주호 부경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문초록> 중국은 1980년대부터 개혁개방 정책을 공식 표방한 이후 사회와 경제의 전반에 걸쳐 커다란 변화를 경험했다. 중국 사회보장의 개혁 측면에서 살펴보면, 다양한 인구 집단과 여러 상이한 욕구를 국가가 충족시킬 수 있는 수준과 사회주의 건설 및 생산성 향상이라는 목적 하에서 정치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방법의 다양성 때문에 아주 복잡하게 변화하고 있다. 특히 개혁개방과 경제성장에 따라 농촌에서 도시로 향하는 인구이동, 실업증가, 빈곤문제, 소득 계층간 불평등의 증가 등 많은 사회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결국 중국의 모든 경제ㆍ사회분야의 개혁과 발전은 각계각층에 관련되었고, 동시에 전통적 사회보장제도에도 큰 충격을 주게 되었다. 한편, 한국은 중국과 1992년 수교를 맺은 이후 많은 분야에서 교류와 협력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양국 간의 교류는 지리적 인접성과 산업간 보완 관계는 물론 중국의 WTO가입으로 더욱 활발하게 발전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시점에서 한국은 중국의 정치ㆍ경제ㆍ사회ㆍ문화 등 중국의 전반적인 분야에 대한 연구와 준비가 필요하다. 중국 사회보장제도의 건설은 일본의 경험을 본보기로 삼았고, 한국의 사회보장제도는 일본과 독일의 패턴을 모방하였다. 그러므로 양국은 비슷한 점이 많지만, 중국정부의 경우 중국 사회보장제도의 건설에 대하여 정책우선순위의 측면에서 중요성을 부여하지 않고 있으며, 합리적인 목표와 안정적이고 점진적인 추진대책이 부족한 실정이다. 그리고 정부는 사회공정의 이념으로부터 출발하여 동태적으로 사회보장의 건설문제를 고려하지 못하였다. 사회보장의 건설을 위한 투자정책이 미흡하고, 투자가 많이 부족하여 사회보장구역 간의 차이가 날이 갈수록 확대되는 것을 방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보장정책의 핵심————사회보험중심으로 문제해결을 위해 양국의 사회보험제도의 역사적 배경 속에서 어떤 모습으로 발전되고 사회보험에 대한 양로보험, 의료보험, 실업보험, 공상보험 등이 유형화되어 왔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그리고 중국사회보험제도의 부족한 점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분석하여 앞으로 중국사회보장제도 개혁방안을 모색하는데 일조하고자 한다. <Abstract> After China officially advocated the reform and opening up policy in 1980s, China has gone through great social and economic changes. In the perspective of China’s social insurance reform, despite the fact that China has a large population and different desires, in order to meet the national level, construction of socialism and also the improvement of productivity, China experienced complex changes within the politics limitation. Due to reform and opening up policy and economic growth, problems like urbanization, rising unemployment, poverty problems, inequality of incomes have greatly emerged. After all, China’s economic and social reform and development relate to all fields of society life. Meanwhile, the reform and development also influenced the traditional social insurance system. On the one hand, China and Korea positively communicate and cooperate with each other after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in 1992. What’s more, China and Korea share geographical proximity and industry complementary relationship, and especially after China’s accession to WTO, the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have developed much more actively. At this point, Korea has to do related research and preparation of China’s politics, economy, culture and other fields overall. China constructed its social insurance system by using Japan as an example, and Korea imitated the pattern of Japan and Germany. As a result, two countries share similarity; however, Chinese government didn’t put the construction of social insurance system to politics priority, and China is lack of reasonable goals and a stable and progressive development measure. Chinese government failed to consider the issue of social insurance construction from the public’s perspective dynamically. In order to achieve the construction of social insurance system, China should try to complete investment policy and investment investigation, and prevent the expanding polarization. In this paper, the core point of social insurance policy i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social insurance system in two countries from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n grasp changes in annuity insurance, medical insurance, unemployment insurance, injury insurance, etc. This paper aims to find ways to reform the social insurance system in China by analyzing and studying the problems of traditional Chinese social insurance system.

      • 장소의 맥락을 통해 구현된 쿠마 켄고 건축의 특징과 장소성 형성과정 분석

        정영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After two series of World Wars and prevalence of internationalized architecture, unified buildings were built by focusing on functionality and productivity. Such shapes of the cities did not reveal the importance and historicity of the region. Also, today’s fast globalization and borderless conditions made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each space to vanish. People are living in the era of ‘unspaceness’. The Japanese representative architect Kuma Kengo claimed that people must overcome this new era through the values of spaces piled through history, culture, trace of lives, and technologies. Kuma has been striving with his all strength for the restoration of diversity of human lives. Under such backgrou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rchitectures of Kuma Kengo to draw the architectural realization method that is appropriate for characteristics and spatial context recognized by Kuma Kengo, to analyze the process of spaceness formation through the experience of Kuma Kengo’s architecture, and to examine the method of forming spaceness through enhanced meaning of the space via the experience of architectural spaces. The Kuma Kengo’s recognition of the spatial context and characteristics of the architectural realization are as follow. When the nature and artificial elements of the space were main background, the natural environment, artificial structures storing long period of time, or elements full of cultural values showed tendency to actively accommodate the meaning and connect it to the architecture. The architecture showed attempts to remove the existence from the nature in order to prevent architecture from being expanded to more than original context or having more significant meaning. The border between space and environment as well as the borders between spaces were set to be vague which implied that Kuma Kengo treated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with a same level of view point. Whe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elements of the space were main backgrounds, the significance of history and cultural values inherent in the spaces were actively accommodated to emphasize the meaning of space and architecture abundantly. However, there are some tendencies where meanings are not accommodated through the mere shapes or aesthetic values but are reinterpreted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circumstances and architectural programs. As a means of doing so, there’s a strong characteristics of superposition of time where elements symbolizing or having metaphor of each era are overlapped with contemporary technologies and materials to let people experience the modernization of culture and tradition through human’s recognition. When the ideal elements of the space were main background, Kuma Kengo’s contempt for materials and critical attitude for the blind ideality of space with unsociable and authoritative society and architecture are actively expressed. Such expressions are the proof of Kuma Kengo’s thought about modern architecture representing the long resignation and willingness to overcome. Contrary to existing context of Kuma Kengo’s architectures, such context turned out in diverse aspects such as strong revelation of diversity and nature of the material by deforming the generally recognized materiality, staying away from the universality of concrete by structuring the whole through proliferation of single unit, and attempts to introduce new flows into the existing disconnected context by connecting the exclusive spatial flow with exterior. The method of spaceness formation through experience of Kuma Kengo’s architecture is as follow. Kuma Kengo’s architecture mainly secured symbol through metaphors and representa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elements, secured territoriality through characteristic territorialization, and secured continuity by integrating the visual continuity which was expanded to spatial continuity in the level of recognition. When the tendency to secure symbols through metaphor and representation of cultural and historical elements is examined, elements symbolizing places with reflection of diverse eras were juxtaposed or represented through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stored in the materials to enhance the meaning of the places. The result of examining the tendency to secure territoriality through characteristic territorialization showed major characteristics of extreme spatial experience through qualities of the light and material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and materials change from minute to minute due to the light flew in through the margin of porosity. The recognition of the space is activated more through such materialistic experience and affected the recognition of interiority. In the perspective of continuity, Kuma Kengo created the architecture to be visually weak in order to maintain the contextual continuity possessed by the artificial structures. His architecture showed integrated experience from space to architecture and from architecture to space by creating transparent borders between spaces and borders between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In this way Kuma Kengo has been realizing human oriented spaces based on the historicity, naturalness, and culture and his architectures can serve as a new stimulus making new progression to the solution of method of connecting contexts of space. This study intended to seek the method of integrating modern architecture with space having architect Kuma Kengo as the standard.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s arising from the difficulty of suggesting clear and integrated standard by making objective judgment on spaces which are subject of subjective recognition. Also, the characteristics drawn in this study can’t be concluded as overall characteristics of Kuma Kengo since this study limited itself to some part of Kuma Kengo’s architectures. Further researches on the aspects of changes following the eras must be conducted through diverse and extended approaches on the results of Kuma Kengo’s architectural journey over 20 years. 두 차례의 세계대전과 국제주의 건축이 성행하게 됨으로서 기능과 생산성을 중요시한 획일화된 건축물들이 지어지고 도시의 모습이 지역의 의미나 역사성을 제대로 드러내지 못하게 되었다. 또한, 오늘날 빠른 속도로 세계화가 진행 되고, 국가와 국가 간의 경계가 허물어짐으로서 각각의 장소의 고유한 특성들이 사라지고 있는 무장소성의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들에게 일본의 대표적인 건축가 쿠마 켄고는 역사와 문화, 삶의 흔적과 기술들이 층층이 쌓여있는 장소가 가진 가치를 통해 극복해 나가야 함을 주장하며, 인간 삶의 다양성 회복을 위한 노력에 온 힘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쿠마 켄고의 건축을 조사하여 쿠마 켄고가 장소의 맥락을 인식하는 특징과 장소의 맥락에 맞는 건축 구현의 방법을 도출해보고, 쿠마 켄고 건축의 체험을 통해 장소성이 형성되는 과정을 분석하여, 건축 공간의 체험을 통해 장소의 의미가 강화되어 장소성이 형성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쿠마 켄고의 장소의 맥락 인식과 건축 구현 특징은 다음과 같다. 장소의 자연과 인공적 요소를 주 배경으로 할 때는, 자연환경이나 오랜 시간이 축적이 된 인공물 혹은 문화적 가치가 충만한 요소들은 그 의미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건축과 연계를 시키려는 경향이 나타난다. 건축은 기존의 맥락 이상으로 확장되거나 보다 큰 의미를 가지지 않기 위해 존재를 환경에서 지우려는 시도가 엿보이며, 공간과 환경사이의 경계, 공간과 공간의 경계들을 모호하게 설정함으로서 건축과 환경을 동일선상의 관점으로 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장소의 역사와 문화적 요소를 주 배경으로 할 때는, 장소에 내재된 역사성과 문화적 가치를 적극 수용하여 장소와 건축의 의미를 풍부하게 다지고 있으나, 단지 형태나 미적인 가치를 통해 의미를 수용하지 않고, 현대의 상황이나 건축적 프로그램을 고려하여 재해석 하는 경향이 뚜렷이 나타난다. 그 방법으로서 시간을 중첩시키는 특성이 두드러지는데, 각 시대를 상징하거나 은유하는 요소에 현대적 기술과 재료를 겹쳐, 인간의 인식을 통해 전통과 문화가 현재화됨을 체험하게 된다. 장소의 관념적 요소를 주 배경으로 할 때는, 쿠마 켄고의 물질에 대한 경시나 폐쇄적이고 권위적인 사회와 건축에 대한 맹목적인 장소의 관념성에 대한 비판적 자세가 활발히 표출된다. 그것은 근대 건축에 대한 쿠마 켄고의 오랜 체념과 극복의 의지를 대변하는 사고의 증명으로서, 이러한 장소의 맥락에서 나타나는 쿠마 켄고의 건축은 기존의 맥락과 대비되게, 일반적으로 인식되던 물성을 변형하여 물질의 다양성과 본질을 강력히 드러낸다거나, 단위 개체를 증식시켜 전체를 구축함으로서 콘크리트의 보편성과의 거리를 두기도 하고, 폐쇄적인 공간 흐름을 외부와 연결시켜 단절된 기존의 맥락에 새로운 흐름을 삽입하려는 시도 등의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난다. 쿠마 켄고 건축의 체험을 통해 장소성이 형성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쿠마 켄고의 건축은 주로 역사·문화적 요소의 재현과 은유를 통해 상징성을, 특성 영역화를 통해 영역성을 확보하며, 시각적인 연속성을 통해 인식의 차원에서 공간적 연속성으로 확대되어 통합된 연속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사·문화적 요소의 재현과 은유를 통해 상징성을 확보하는 경향을 살펴보면, 다양한 시대성을 반영하는 장소를 상징하는 요소들을 병치시키거나, 재료나 물질이 함축하고 있는 장소의 역사와 문화적인 가치를 이용해 표현함으로서 장소의 의미를 강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성 영역화를 통해 영역성을 확보하는 경향을 살펴보면, 빛과 물질의 성질을 통한 극적인 공간 체험이 주된 특징이라고 볼 수 있는데, 다공성의 여백을 통해 유입된 빛에 의해 공간과 물질의 성격이 시시각각 변하며 이러한 즉물적 체험을 통해 공간의 인식이 보다 활성화 되어 내부성 자각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속성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쿠마 켄고는 장소의 자연과 인공물이 가진 맥락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건축을 시각적으로 미약하게 설정하거나 사라지게 하고, 공간과 공간간의 경계나 환경과 건축 간의 경계를 투명하게 처리함으로서 장소에서 건축으로, 건축에서 장소로 통합된 체험을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쿠마 켄고는 장소의 역사성, 자연성, 문화성 등을 기반으로 한 인간 중심의 공간을 구현하고 있으며, 장소의 맥락과의 연결 방식에 대한 해법으로서 한 단계 나아가게 하는 새로운 자극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쿠마 켄고’라는 건축가를 기준으로 현대 건축이 장소와 융화되는 방법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그러나 장소라는 주관적 인식의 대상을 객관적으로 판단하여 통합된 기준을 명확히 제시하기 힘들었다는 한계점이 존재하며, 쿠마 켄고 건축의 일부를 대상으로 시행된 연구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도출된 특징이 쿠마 켄고 건축의 보편적 특징이라고 단정 짓기 어렵다. 이러한 한계를 통해 20여년을 훌쩍 넘긴 쿠마 켄고 건축 여정의 결과물에 대한 다양하고 확대된 접근을 통하여 시기에 따른 변화 양상 등의 연구가 추가적으로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실내공간의 시지각‧인지 과정에 나타난 주시특성 및 시선추적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박선명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599

        A person visiting a space acquires information of surroundings through his or her eyes and visual information to know the objects, which arouse visitors' interest or curiosity in a commercial space is useful as an effective material for market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get over the limitation of the self-reported evaluation method used in the previous studies and to develop a eye-tracking device-based visual information acquisition and data analysis method as a spatial evaluation strategy for acquiring quantitative information. Analysing visual behaviors of space users can provide a strategical space design method for stimulating latent consumer confidence by constructing quantified data and this will serve as basic data helpful in strategical marketing planning to create economic profits in future space design. This study conducted an experiment, which targeted a department store space, using an eye-tracking device and three methods of analyzing observation characteristic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eye-tracking experiment; <observation characteristics in attention-concentration>, <eye movement path> and <selective attention-concentration>. The conclusions are as below. First, when the effective rates of [general observation] and [conscious observation] were compared to analyze observation characteristics that were perceived→recognized in the visual information acquisition process, the difference of effective rate in general observation wasn't big, but B image had a higher effective rate in conscious observation. This means the [conscious observation]-based analysis method can clarify the differences of space observation characteristics more. Second, the standard for patterning eye movements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of architectural spaces and components was established, by classifying eye movements revealed in the space exploration process into 6 types of observation, examining appearance characteristics with the lapse of time and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eye movements and space components. Third, the existing observation data analysis method was very hard, because it was required to set areas of objects to analyze. The selective attention-concentration analysis method suggested in this study is helpful in acquiring visual information of particular objects to analyze in spatial evaluation, as a technical analysis method to lay the foundation for remedying the existing analysis method. The relation between "space and "users", which shows if visual information of diverse design elements including lighting and colors is acquired, is very important in space marketing, but it is hard to reflect different needs of users. As one of media to connect space users to designers, analyzing visual-perceptual characteristics will contribute to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space planning process or the current design situation and this can be a successful marketing strategy. This study analyzed the limitation of the existing spatial evaluation method in space design and suggested a new analysis technique to help designers analyze evaluation elements more precisely. This method of analyzing observation characteristics in a space can clarify visual perception elements between "space and users" and this will provide the foundation for strategical design by facilitating an understanding of interaction between space and human psychology. 공간을 방문한 사람은 눈을 통해 주변의 정보를 획득하게 되는데, 상업공간의 경우, 방문자가 어떤 대상에 흥미나 관심을 가지고 보았는지에 대한 시각정보를 분석하게 되면, 마케팅 측면의 유용한 자료로 활용가능하다. 이에 기존 연구에서 사용된 자가보고법에 의한 평가 방법에 대한 한계점을 언급하고, 정량적 정보 획득이 가능한, 공간 평가 방법으로 시선추적장치를 활용한 시각정보 획득 및 데이터 분석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공간사용자의 시각행동을 파악하게 되면, 정량화된 데이터를 구축하여 잠재된 소비심리를 이끌어 내기 위한 공간을 전략적으로 디자인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향후 공간 디자인에 있어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는 전략적 마케팅 계획에 있어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선추적장치를 이용하여 백화점 공간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시선추적 실험을 통하여 주시특성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주의집중에 나타난 주시특성>, <시선의 이동경로>, <선택적 주의집중> 3가지 분석방법을 종합적으로 제시하였으며, 아래와 같이 결론을 도출 하였다. 첫째, 시각정보 획득과정에서 지각→인지되는 주시특성 분석을 위해 [일반적 주시]와 [의식적 주시] 유효율 특성을 살펴 본 결과, 일반적 주시특성에서의 유효율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의식적 주시특성에서는 B이미지가 더 높게 나타났는데, [의식적 주시]로 분석하는 것이 공간의 주시특성에 대한 차이를 보다 명료화 시킬 수 있다. 둘째, 공간의 탐색과정에서 나타나는 시선의 움직임에 대해 6가지 주사유형으로 분류 하였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른 출현특성을 파악하여, 시선의 움직임과 공간구성요소와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으로, 건축공간과 구성요소의 배치에 따른 시선의 움직임을 패턴화 시킬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하였다. 셋째, 기존 주시데이터를 분석방법에 있어 분석하고자 하는 대상에 대한 영역을 설정하여 주시데이터 분석하는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본 연구에 제시된 선택적 주의집중을 분석함으로써, 공간 평가과정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특정 대상에 대한 시선정보 획득이 가능한 측면에서 유용한 분석방법으로 기존 분석방법을 보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분석방법에 대한 기술적 방법을 제안하였다. 공간을 디자인함에 있어, 조명이나 색상이 포함된 다양한 디자인 요소에 대한 시각정보를 획득했는가 하는 “공간과 사용자”간의 관련성은 공간 마케팅 입장에서 매우 중요하지만,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시키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공간사용자와 디자이너를 연결하는 매개체의 한 방법으로 시지각 특성을 분석하게 되면 공간 계획과정에서 또는 현재 디자인된 상황에 대해 정량적 평가가 이루어 질 것이며, 이는 곧 성공적인 마케팅 전략으로 기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공간디자인에 있어서의 공간평가방법에 대해 기존 연구방법의 한계를 분석하고, 새로운 분석기법을 도입하여 제시함으로써 디자이너가 좀 더 평가하고자 하는 요소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도록 제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공간에 대한 주시특성을 분석하게 되면, “공간과 사용자”간의 시각적 인지요소를 명료화 할 수 있으며, 이는 곧 공간과 인간 심리의 상호작용에 대한 파악이 가능하여 전략적 디자인의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녹조 유발 (bloom-forming) 남조류인 Aphanizomenon 속 (Nostocales)의 분류 및 독소생성능

        류희성 대구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599

        Genus Aphanizomenon Morren ex Bornet et Flahault 1888은 전 세계적으로 담수생태계에서 널리 분포하는 사상형 남조류로서, 과다 증식하여 유해한 녹조현상 (Harmful cyanobacterial bloom)을 발생시킨다. 낙동강에서 출현하는 Aphanizomenon 속의 분류군은 Microcystis 속에 의한 녹조현상이 나타나는 하절기를 제외한 대부분의 시기에 식물플랑크톤 개체군 군집에서 높은 비율로 나타나고 있으며, 빈번하게 녹조현상을 유발한다. 그러나 국내 보고되어 있는 Aphanizomenon 속의 분류군은 극히 제한적이며, 이들 분류군에 대한 형태학 및 계통학, 생리생태학적 연구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하여 낙동강에서 발생하는 Aphanizomenon 속의 분류학적 특징과 대량증식 현상의 메커니즘에 대해 설명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본 연구는 낙동강에서 녹조현상을 유발하는 Aphanizomenon 속의 분류 및 생리생태학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낙동강에서 채집된 Aphanizomenon 속의 분류군을 기준으로 형태학적 분류 체계를 기술하고, 이들 중 낙동강에서 빈번하게 녹조현상을 유발하는 분류군의 균주를 분리하여 형태 및 계통학적 특성, 독소생성 유전자의 검출 및 독소생성능, 타감 작용 효과, 온도와 영양염에 따른 성장반응을 파악하였다. 낙동강에서 채집된 4개 분류군은 Aphanizomenon flos-aquae Ralfs ex Bornet et Flahault, Aphanizomenon klebahnii Elenkin ex Pechar, Aphanizomenon skujae Komárková-Legnerová et Cronberg, Cuspidothrix issatschenkoi (Usačev) Rajaniemi et al.으로 분류되었다 이 중 Cuspidothrix issatschenkoi는 낙동강에서 최초로 확인된 종이었으며, 특히 Aphanizomenon klebahnii와 Aphanizomenon skujae는 국내 미기록종으로 확인되었다. 독소생성 분류군의 정의는 분리균주에 의해서 동정된 후, 단일배양에 의한 독소 생성 여부 및 유전적 검토가 확인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며, 이러한 관점에서 Aphanizomenon 속의 분류군에 대한 독소생성능은 아직 논쟁의 여지가 있다. 낙동강의 보 구간을 중심으로 출현빈도가 급증하고 있는 Aphanizomenon 속의 두 개 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두 개의 균주 (자원번호: DGUC001, DGUC003)는 육안으로 관찰 가능한 크기의 다발 (fascicles)을 형성하였으며, 세포사 (trichome)가 병렬 형태로 나열되어 있고, 세포사의 양쪽 끝에 위치한 말단 세포 (terminal cell)가 거의 투명하거나 긴 끈 형태의 세포질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두 균주의 유전적 유사도는 98.4%이었으며, NCBI의 유전자은행에서 선별한 Cluster I의 Aphanizomenon flos-aquae strains과도 높은 유전적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세포독소 cylindrospermopsin의 생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 cyrA와 cyrJ는 두 균주 모두에서 확인되지 않았다. Saxitoxin의 생합성을 담당하는 유전자 중 sxtA 유전자는 두 개의 균주에서 모두 증폭되었으며, 독소 생성 균주에서만 확인되는 분자생물학적 지표인 sxtI 유전자는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낙동강에서 분리한 두 균주는 형태 및 계통학적으로 Aphanizomenon flos-aquae Ralfs ex Bornet et Flahault 1888로 확인되었으며, 유전학적으로 saxitoxin과 cylindrospermopsin을 생성할 수 없는 독소 비생성 균주로 확인되었다. ELISA (Enzyme-Linked ImmunoSolbent Assay) 실험을 통해서도, 두 균주는 세포 조체와 배양액 내에서 cylindrospermopsin과 saxitoxin의 독소가 검출되지 않아, 독소 비생성 균주로 판단되었다. 낙동강에서 분리된 Aphanizomenon flos-aquae 균주의 최적성장 온도 (Topt)는 18.3 ~ 21.2℃ (19.9℃)로 나타났으며, 성장가능 온도범위는 -0.3 ~ 34.3℃로 확인되었다. 현장 조건의 CB medium에서 비성장률(μ)은 0.10 ~ 0.16day-1의 범위를 보였으며, 최대성장률 (μmax)은 0.17day-1로 나타났다. 질소 결핍 조건에서의 성장률(μ)과 최대 세포밀도는 각각 0.09 ~ 0.14day-1, 385,826cellsmL-1로 나타나, 질소공급조건에서보다 상대적으로 성장률이 느리고, 최대 세포밀도가 낮았다. 그러나 인 결핍 조건에서는 모든 조건에서 성장이 제한되었다. 조류 성장 저해 실험은 균주의 여과액이 4개 다른 조류 균주 (Microcystis aeruginosa, Aulacoseria ambigua f. spiralis, Aphanizomenon flos-aquae, Scenedesmus obliquus)에 대하여 미치는 타감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Aphanizomenon flos-aquae 균주의 배양 여과액은 Aulacoseira ambigua f. spiralis와 동일종인 Aphanizomenon flos-aquae에게 유의미한 타감효과 및 자가 저해 현상을 유발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p<0.01). Aphanizomenon Morren ex Bornet et Flahault 1888 is a planktonic filamentous cyanobacterium that has been distributed widely in freshwater worldwide, leading to the harmful cyanobacterial bloom by over-growth. Exception for the bloom-forming period of Microcystis spp., Aphanizomenon spp. has been occupying a high proportion in phytoplankton population and frequently forming the bloom in the Nakdong River. The number of taxa in the Genus Aphanizomenon which is reported in the South Korea is extremely limited, and studies involving morphology but also ecology and physioecology on the taxa of this genus have not been conducted at all. Thus, in the Nakdong River, explaining the taxonomic criteria and the phenomenon of Aphanizomenon blooms based on previous studies is indeed difficul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understanding the taxonomy and physio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Genus Aphanizomenon which is bloom-forming cyanobacterium in the Nakdong River.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escribes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Aphanizomenon spp. and related species collected from the natural samples in the Nakdong River, investigates the morphological and phylogenetic characteristics, detects toxin-producing genes, toxin-producing ability, allelopathy effects and response of growth to varying temperatures and nutrient conditions on the strains of taxon which frequently cause bloom in the Nakdong River. The taxa from the natural samples collected in the Nakdong River were classified into 4 species under the genera Aphanizomenon Morren ex Bornet et Flahault 1888 and Cuspidothrix Rajaniemi et al. 2005 by light microscopy. The following taxa were identified: Aphanizomenon flos-aquae Ralfs ex Bornet et Flahault, Aphanizomenon klebahnii Elenkin ex Pechar, Aphanizomenon skujae Komárková-Legnerová et Cronberg, Cuspidothrix issatschenkoi (Usačev) Rajaniemi et al.. Cuspidothrix issatschenkoi are described for the first time in the Nakdong River. In addition, Aphanizomenon klebahnii and Aphanizomenon skujae are newely known to South Korea. The identity of toxin producers remains as only a hypothesis unless they were identified by strain isolation and analytical confirmation of both the cyanotoxin production and the genetic identity of the monoculture. 2 strains of genus Aphanizomenon which is increasing its frequency of appearance were isolated from the weir area of Nakdong River. Morphological features of the 2 strains (strain number: DGUC001, DGUC003) were observed (with naked eyes) as the shape of aggregated trichomes in parallel fascicles which can reach up to macroscopic size and a hyaline terminal cell without aerotope. In addition, the 16S rRNA phylogenetic analyses showed that the strains were identified as the same species with high genetic similarity of 98.4% and grouped within a monospecific and supported cluster I of Aphanizomenon flos-aquae selected from GenBank of the NCBI. The cyrA and cyrJ genes encoded for the cylindrospermopsin-biosynthesis were not detected in the present study. The sxtA gene was in amplified the two strains whereas the sxtI gene which had been suggested as a suitable molecular marker to detect saxitoxin-producing cyanobacteria was not found both strains. Thus, the two strains isolated from Nakdong River were identified as the same species of Aphanizomenon flos-aquae Ralfs ex Bornet et Flahault 1888, and the two strains were confirmed as potential non-producing strains of the saxitoxin and cylindrospermopsin. The two stains of Aphanizomenon flos-aquae were confirmed as non-toxin-producing strains because saxitoxin and cylindrospermopsin in intracellular and extracellular fraction were not detected by ELISA (Enzyme-Linked ImmunoSolbent Assay). The optimal growth temperature (Topt) of Aphanizomenon flos-aquae from the Nakdong River was 19.9℃ (18.3-21.2℃), and the temperature for growth ranged from -0.3℃ to 34.3℃. Specific growth rate (μ) in modified CB medium varied at 0.10-0.16day-1, and the maximum growth rate (μmax) was 0.17day-1. Although growth curves under N-existed and N-depleted condition were partially similar, growth under N-depleted condition indicated that there were relatively slowed specific growth rate (μ=0.09-0.14day-1) and decreased maximum cell density (385,826cells mL-1). However growth under P-depleted condition were restricted in all the temperature range. The algae inhibition tests were performed to assess the potential allelopathic effects of the strains' filtrates on the growth of 4 algae strains (Microcystis aeruginosa, Aulacoseria ambigua f. spiralis, Aphanizomenon flos-aquae, and Scenedesmus obliquus). The exudates or filtrates from the Aphanizomenon flos-aquae resulted in significant inhibition effects of algal growth on the Aulacoseira ambigua f. spiralis and Aphanizomenon flos-aquae (p<0.01).

      • A study on the role of autophagy in neuronal death by hypoxia

        Cho, Yeong Eun 을지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Stroke is also the second leading cause of death worldwide and a leading cause of disability. Although thrombolytic therapy is the only treatment currently available, many patients do not receive treatment due to time limitations. Therefore, research on the neuroprotective mechanism is urgently needed. Autophagy is an intracellular degradation mechanism that delivers cytoplasmic components to the lysosome. Autophagy is currently thought to be a cytoprotective mechanism to variety of cellular stress. Autophagy is involved in various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processes. I used cobalt chloride-induced chemical hypoxia mimicking neuronal ischemia. First, I confirmed the change of cell viability of chemical hypoxia model cells through cell-counting kit. Then I measured changes in the cell viability in cells after the cotreatment with the autophagy inhibitors bafilomycin A1 (a late-phase inhibitor) and 3-methyladenine (an early -phase inhibitor). Using rapamycin cotreatment, I confirmed the effect of autophagy induction on the cell viability of chemical-hypoxia model cells. I also measured changes in protein levels and mRNA expressions of autophagy-related genes using a real-time PCR method and western blot. Cell-counting kit assay result showed cobalt chloride treatment induced the cytotoxicity. The treatment with the combination of autophagy inhibitors (bafilomycin A1 and 3-methyladenine) further reduced cell viability in most groups. However, when I co-treated bafilomycin 100 nM to 500 μM CoCl2-treated cells for 24 h, cell viability significantly restored. The treatment of various concentrations of rapamycin decreased the cell viability of control and CoCl2 -treated cells. Then, I measured protein levels of autophagy-related genes. The ratio of phosphor-mTOR to mTOR increased when I treated 200 μM CoCl2 for 4 and 8 h. ULK1 level decreased significantly in control cells. The ratio of phospho-ULK1 to ULK1 increased when I treated 200 μM CoCl2 for 8 h. TSC1 mRNA expression increased in control cells (4, 8 h), but decreased in 1000 μM CoCl2-treated cells for 8 h. Bax mRNA expression decreased in cells treated with CoCl2 at a concentration of 1000 μM for 8 h. Caspase-3 mRNA expression increased in control cells and 500 μM CoCl2-treated cells for 8 h. BCL2 mRNA expression increased in control cells (6 h), however decreased in and 500 μM CoCl2-treated cells for 6 and 8 h. From experimental results, I can suggest that the autophagic process is an important mechanism in neuronal ischemia and can be new therapeutic targ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