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합창과 진도 씻김굿, 국악관현악을 위한 ‘진혼(鎭魂, Requiem)’에 관한 분석연구

        이지영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합창과 진도씻김굿, 국악관현악을 위한 ‘진혼(鎭魂, Requiem)’의 주제 요소인 진도씻김굿과 서양의 레퀴엠(Requiem)이 그 음악적 본질이 서로 완전히 다름에도 불구하고 합일되어 하나의 종합예술로 창작된 곡이라는 점에 주안점을 두고, 창작 과정에 나타난 주제 요소들의 변화 양상과 그에 반영된 작곡법을 분석하는 것이다. 레퀴엠(Requiem)과 진도씻김굿은 근원부터가 서로 다른 음악이기에 이들을 구성하는 내재적 요소들(종교, 언어, 선법 및 음계, 장단과 리듬) 또한 그 색채를 달리하고 있다. 이렇게 서로 다른 성격의 요소들을 자연스럽게 융합 하여 이질감이 느껴지지 않는 하나의 작품으로 창작하는 것을 본 논문에서 ‘Synthese-Komposition (종합작곡법)’이라 정의하였다. 1971년 빈 국립음대 Georg Pirkmayer(1918-1977) 교수의 강의 제목이기도 하였던 ‘Synthese -Komposition(종합작곡법)’은 명제(命題)와 그에 대립하는 반명제(反命題)를 새로운 고차원적 전체로 합일하는 작곡법이다. 이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가능한데 이정호 작곡 ‘진혼(鎭魂, Requiem)’에 적용된 종합작곡법적 양상들을 분석하기 위한 첫 번째 순서로 국악 관현악법에 관한 고찰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한 전 단계로 국악 관현악법의 기본원리(原理)인 자연배음 (自然倍音)을 이해하고, 이 내용을 기반으로 악곡분석을 진행할 수 있었다. 분석 과정에서 살펴볼 수 있었던 다양한 융합법들은 진도씻김굿과 레퀴엠을 한 곡에 조화롭게 담아내기 위해 사용되었기에 진도씻김굿 길닦음 무가인 ‘애소리’, ‘하적소리’, ‘제화’, ‘나무아미 타불’, ‘천궁’이 합창과 함께 진행되는 부분에 집중적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이 부분들에 적용된 작곡법을 분석하기 위해 먼저 세계적인 작곡가 쇤베르그(Arnold Schönberg), 알반 베르그 (Alban Berg), 바흐(Johann Sebastian Bach), 박준상(Bahk Junsang)의 작품들을 분석해보았다. 그로부터 도출된 결과들을 토대로 이정호 작곡 ‘진혼(鎭魂, Requiem)’을 분석해본 결과 악곡의 총 다섯 부분에서 종합작곡법적 양상들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양상들은 국악관현악에도 반영되어 무가(巫歌)가 주제선율이 되는 부분과 레퀴엠이 주제선율이 되는 부분으로 구분하여 음악적 표현을 달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악곡 분석을 통해 이정호 작곡, ‘진혼(鎭魂, Requiem)’은 진도씻김굿 음악과 모차르트 레퀴엠 (Requiem)을 원형 그대로 사용한 것이 아니라, 각 음악의 일부를 선별적으로 발췌하여 악곡에 재배치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진도씻김굿 길닦음 무가(巫歌)와 레퀴엠(Requiem)의 융합 부분들에서 한국음악의 선법과 장단이 서양음악의 음계 및 리듬과 조화를 이루어가는 과정(진도 씻김굿 육자배기 선법과 4성부 합창의 조화)을 살펴볼 수 있었고, ‘중모리장단, 세마치장단, 빠른 굿거리장단’과 4성부 합창의 리듬이 어우러지는 과정도 분석해볼 수 있었다. 또한 작곡가 모국의 전통음악을 사용하여 새로운 작품을 창작했다는 점과 2개국 이상의 언어를 번역 없이 가사로 혼용한 방식도 종합작곡법적 양상으로 구분해볼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 곡이 갖는 가장 큰 의미는 종합작곡법을 통해 한국의 진혼곡과 서양의 진혼곡이 하나의 예술작품으로 조화롭게 합일되었다는 점과 세밀하고 고차원적인 융합방식이 적용된 하나의 작품으로서 한국 창작 음악의 새로운 작곡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으로 요약할 수있다. 이정호 작곡 ‘진혼(鎭魂, Requiem)’에 종합작곡법이 적용됨으로써 한국 전통문화를 재조 명하고 다국적 소통을 위한 하나의 작품으로서 이정호 작곡, ‘진혼(鎭魂, Requiem)’의 가치를 규명해볼 수 있었다.

      • 이정호 작곡 가야금산조 협주곡 분석연구

        공혜영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5 국내박사

        RANK : 247775

        본 연구는 이정호의 가야금산조 협주곡을 분석하여 각 작품의 음악적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연구의 주요 목적은 가야금산조의 선율과 장단이 협주곡 내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작품 속에서 어떠한 비중과 역할을 하는지 분석하는 데 있다. <푸른 사막의 여정>은 주제 선율의 반복과 재배치를 통해 음악 전개를 풍부하고 다채롭게 구성하였다. 계면조와 아랍음계를 혼합하여 꺾는 음정을 확장하고, 리듬 변주와 나무열매쉐이커의 사용으로 광활한 사막의 이미지를 극적으로 표현하였다. 특히, Ⓐ 단락에서 관현악이 아랍음계를 활용해 사막의 풍경을 제시하며, Ⓙ 단락에서는 독주가야금이 단모리 장단과 아랍음계를 결합하여 질주하는 말의 역동적인 이미지를 묘사하였다. 독주가야금과 관현악이 균형 있는 비율로 상호작용하며 작품의 음악적 풍성함을 더한다. <시간의 흐름>은 교회 선법을 사용하여 조성의 확장과 구조적 구분을 강조하고, 주제 선율의 변형과 재현을 통해 작품 내 연결성을 부각하였다. 시작과 끝에서는 시계추를 연상시키는 빠르기(𝅘𝅥=60)와 우드블럭 소리로 시간의 흐름을 상징화하였다. 전통 산조의 다스름과 진양조가 중모리 뒤에 배치되며 시간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표현하였다. 관현악은 화음과 리듬으로 독주가야금과 대비되면서 대조적 효과를 강화하고, 음악적 긴장감을 더해 작품의 서사를 명확히 했다. <삶>은 독주가야금의 섬세한 표현과 연주자의 기량을 강조한 작품이다. B♭ minor scale의 화성 단음계와 Dorian mode를 사용하여 조성적 변화를 통해 구조적 긴장감을 형성하였다. 반음계 상·하행과 독특한 주법은 감정의 흐름과 다양한 음향 효과를 전달한다. 관현악은 복잡한 음향 속에서도 가야금의 섬세함을 뒷받침하며, 절제된 미학을 강조한다. 이정호 작곡 가야금산조 협주곡들은 독주가야금과 관현악의 상호작용을 통해, 음악적으로 작품의 주제를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했다. 예를 들어, <푸른 사막의 여정>에서는 독주가야금과 관현악의 비중이 비례적으로 구성된다. 특히 동일 선율의 유니즌, 헤테로포니적 동일 선율 구간의 비중이 높으며, 이에 선율적 유사성과 구조적 연속성을 통해 작품의 통일성을 강조했다. <시간의 흐름>에서는 관현악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크며, 화음과 음향적 조화를 통해 곡의 풍성함을 형성했다. 특히 대선율의 관악기+찰현악기와 관현악가야금과 신디사이저의 선율적 대조로 독주가야금의 선율을 부각시키며, 모방 유형의 헤테로포니적 유사선율 구간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선율 간 대조와 모방 선율기법을 통해 관현악과 독주가 대화하듯 엮이는 상호작용을 강조한 것을 알 수 있다. <삶>에서는 독주가야금의 비중이 더 크며, 관현악은 보조역할을 담당한다. 독주가야금 연주자의 해석력과 기교를 중심으로 작품이 구성된다. 관현악의 역할이 <푸른사막의 여정>, <시간의 흐름> 보다는 그 비중이 작지만, 관현악 출현 시 현대적 표현력으로 독주가야금의 선율을 부각시킨다. 이처럼, 독주가야금은 단순한 선율 악기를 넘어 관현악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작품의 음악적 다양성을 확장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정호의 가야금 산조 협주곡에서 나타나는 작곡법은 전통 산조의 구조를 현대적 언어로 재구성하여 독창성을 보여준다. 독주가야금과 관현악의 관계를 동등한 조화 또는 중심-보조 구조로 설정하며, 동일 선율, 대선율, 모방 선율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선율적 상호작용을 이끌어냈다. 관현악은 독주가야금을 화음과 장단으로 지원하며, 독주가야금의 주선율을 더욱 부각시킨다. 이러한 접근은 전통적인 선율과 장단을 새로운 방식으로 결합하여 독주가야금과 관현악 간의 음향적 변화를 극대화하며, 국악 관현악의 가능성을 확장하는 데 기여했다. 이처럼 이정호의 가야금산조 협주곡은 전통과 현대의 조화를 통해 새로운 음악적 방향성을 제시하며, 가야금산조와 관현악 간의 관계를 다채롭게 구현한 작품들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Lee Jeong-ho's Gayageum Sanjo concertos. The main object of the study was to analyze how the melody and jangdan of Gayageum Sanjo are realized within the concerto works, and what weight and role they play in the works. <The Journey of the Blue Desert> is composed of rich and colorful music progressions through repetition and rearrangement of the thematic melody. By mixing Gyemyeonjo and Arabic scale, the bending interval is expanded, and the image of the vast desert is dramatically presented by using rhythmic variations and tree nut shakers. In particular, in the Ⓐ paragraph, orchestral music uses Arab scales to present the desert landscape, and in the Ⓙ paragraph, the solo Gayageum depicts the dynamic image of a galloping horse by combining the Danmori jangdan and the Arab scale. Solo Gayageum and orchestral music interact at a balanced ratio, realizing the musical richness of the work. <The Flow of Time> emphasizes the expansion and structural distinction of key signature using church modes, and highlights the connectivity within the work through the transformation and reproduction of the thematic melody. At the beginning and end, the flow of time is symbolized through the sound of the wood block and the speed of 𝅘𝅥=60, reminiscent of a pendulum. The traditional Sanjo's Daseureum and Jinyangjo are placed behind Jungmori and effectively express the change in time. The orchestral music intensifies the distinctive effect by contrasting with the solo Gayageum through harmonies and rhythms, and clarifies the epic of the work by adding musical tension. <Life> is a work that emphasizes the delicate expression of solo Gayageum and the skill of the performer. Using the harmonic monophonic scale of the B♭ minor scale and Dorian mode, structural tension is created through key signature changes. The up and down of the chromatic scale and its unique technique convey the flow of emotions and various sound effects. The orchestral music supports the delicacy of Gayageum even in complex sounds and emphasizes the understated aesthetics. Lee Jeong-ho's Gayageum Sanjo Concertos express the theme of the work in various musical ways through the interaction of solo Gayageum and orchestral music. For example, in <The Journey of the Blue Desert>, the weight of solo Gayageum and orchestral music is proportional. In particular, the unison section of the same melody and the heterophonic section of the same melody occupy a high proportion, so the unity of the work is emphasized through melodic similarity and structural continuity. In <The Flow of Time>, the proportion of orchestral music is relatively large, and the richness of the song is formed through chord and acoustic harmony. In particular, the melody of solo Gayageum is highlighted by the melodic contrast between the wind instrument + rubbed string instrument of counter lines and the orchestral Gayageum and synthesizer, and the proportion of the imitation type heterophonic-like melody section is high. Through melodic contrasts and imitative melody techniques, the interaction between orchestral music and solo is emphasized as if talking each other. In <Life>, solo Gayageum has a greater proportion, and orchestral music plays an auxiliary role. The structure of the work focuses on the interpretation and technique of the solo Gayageum player. Compared to <The Journey of the Blue Desert> and <The Flow of Time>, the proportion of orchestral music is small, but when orchestral music is played, the melody of solo Gayageum is highlighted through a present-day expressive technique. As such, the solo Gayageum plays an important role in expanding the musical diversity of the work through interaction with orchestral music beyond its characteristic of a simple melodic instrument. The composition method embodied in Lee Jeong-ho's Gayageum Sanjo Concerto shows the originality of reorganizing the structure of traditional Sanjo into modern language. The relationship between solo Gayageum and orchestral music is set as an equal harmony or main-assistant structure, and melodic interactions are drawn in various ways, including the same melody, counter line, and imitation melody. Orchestra supports solo Gayageum with harmony and jangdan, further highlighting the main melody of solo Gayageum. This approach combines traditional melodies and jangdans in a new way to maximize the acoustic change between solo Gayageum and orchestra, and contributes to expanding the possibility of Korean traditional orchestra. In this regard, Lee Jeong-ho's Gayageum Sanjo Concerto presents a new musical direction through the harmony of tradition and modernity, and it can be said that it embo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ayageum Sanjo and orchestral music in various ways.

      • 해수면 상승을 고려한 도시 내수침수 위험도 평가

        김동준 한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12

        우수관거는 강우 발생 시 우수를 원활히 배제하여 도심지에서의 침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하지만 기후변화에 따른 평균 해수면의 상승이 방류토구를 잠식시킬 경우 우수관거의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한다. 또한 해수면의 상승은 그 영향 범위 내의 하천 수위의 상승으로 이어지며, 이는 해안 및 하천으로 방류되는 토구의 잠식에 따른 내수침수 발생 가능성을 증대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해수면 상승을 고려한 해안 방류 도시의 내수침수 피해 저감 및 홍수방어 대책 수립이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해수면 상승 영향에 의해 가중되는 내수침수 발생 위험을 사전에 인지하고, 이에 따른 도시침수 예측을 위한 새로운 경계조건의 구성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우수관망 신뢰도 이론을 바탕으로 EPA-SWMM 강우-유출 모델을 이용하여 지속시간· Case ·강우량 별 우수관거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기존의 신뢰도 인자인 월류량 발생 비율과 월류 지점 발생 개수의 인자에서 월류 발생 시간 인자를 추가하여 신뢰도를 산출하였다. 산출된 지역 별 신뢰도를 바탕으로 해수면 상승에 따른 Flood Nomograph와 방재성능목표 조정 강우량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해안지역의 지역적 특성과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고려한 Flood Nomograph 및 방재성능목표 조정 강우량을 선정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해안에 위치하고 있는 중·소 도시들에 대한 홍수 예·경보 자료로써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기후변화를 고려하여 연안 도시들에 대한 내수침수 위험도 평가 및 방재성능목표 개선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성조숙증의 진단에 있어 골반 초음파의 유용성

        한상호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성조숙증의 진단에 있어 골반 초음파의 임상적 유용성 서 론: 성조숙증은 2차 성징의 출현이 여아에서는 8세 이전에 나타나는 경우로 특발성인 경우가 가장 흔하다. 성조숙증을 진단하는 데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성선자극방출호르몬 자극검사는 시상하부-뇌하수체-생식샘 축의 활성도를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검사로 흔히 쓰이고 있지만, 민감도가 낮고 채혈과정의 번거로움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골반초음파는 비용이 저렴하고, 방사선 노출이 없으며, 비침습적으로 통증과 위험성이 없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성조숙증의 진단을 위한 골반초음파의 유용성 평가 및 성선자극방출호르몬 자극검사와 골반초음파 소견의 의미 있는 관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16년 1월부터 2021년 9월까지 순천향대학교 부속 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성장-성조숙증 클리닉을 방문한 환자들 중 성조숙증으로 진단된 여아, 총 235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골반초음파검사와 성선자극방출호르몬검사의 결과를 의무기록을 토대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성조숙증으로 진단받은 모든 환자들은 만 9세 이전에 시행한 성선자극방출호르몬 자극검사에서 황체형성 호르몬(leutenizing hormone, LH)의 최고치가 5 IU/L를 넘었다. 이들을 최고치 값에 따라 3그룹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고 10 IU//L 이상인 그룹이 85명, 7~10 IU/L의 그룹이 64명, 5~7 IU/L가 86명이었다. 10 IU/L 이상인 그룹에서 보다 낮은 두 그룹에 비해 양쪽 난소의 부피가 약 0.55 cc, 0.59 cc 유의하게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LH 최고치가 10 IU/L 이상인 그룹에서 골반초음파에서 확인된 자궁의 길이도 다른 두 그룹에 비하여 약 0.63 cm, 0.9 cm 더 유의미하게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진단 시 나이와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연령에 따른 기저여포자극호르몬(follicle stimulating hormone, FSH)과 LH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GnRH(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자극검사 결과는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자극검사 후 LH 최고값이 유의하게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기저 LH값이 높을수록 골반초음파 결과에서 양측 난소의 부피와 자궁의 길이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 론: 본 연구를 통하여 기저 LH값이 높은 경우, GnRH 자극검사에의 LH 최대값도 유의미하게 증가 되었으며, 난소의 부피와 자궁 길이가 유의하게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조숙증이 의심되는 경우 침습적이고 시간의 소요가 많은 GnRH 자극검사의 보조적인 역할로 골반초음파 검사를 시행하게 되면 성조숙증의 진단 또는 정도를 유추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중국 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차터스쿨을 중심으로

        왕맹설 대전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중국에 있어 취약 학교의 개선은 교육 균형 발전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다. 경제 발전과 국가 발전 전략의 영향을 받아 중국 남동부 해안 도시와 내륙도시, 농촌 및 도시 간의 교육 자원에는 지역적 차이가 크게 발생하고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학부모와 학생들의 학교 교육서비스 질에 대한 요구 사항이점점 더 커지고 있다. 학부모와 학생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우수한 학교가 많지 않기에 일부 학부모들은 자녀들을 우수한 학교에 보내기 위해서 많은 비용을 들이고 있다. 이로 인한 교육 비리 문제가 불거지고 있으며 교육부는 2007년부터 취약 학교 문제 개선을 교육 사업 발전의 주요 목표로 천명하고 있다. 중국 취약 학교들은 차터 스쿨 운동 전의 미국 공립학교들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현재 중국의 취약 학교들은 과거 미국의 공립학교들과 마찬가지로 학교관리의 비효율성, 운영체제의 경직성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즉 중국 취약 학교의개선과 미국의 차터 스쿨의 시행은 궁극적으로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교육 수준을 개선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인 것이다.

      • 우리나라 자동차 정비산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양진형 목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자동차 정비 산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로, 서론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목적, 방법과 구성을 다루었고, 본론에서는 국내자동차 정비사업에 대한 현황과 정비 산업의 문제점 그리고 향후 활성화 방안을 다루었으며, 결론 부분에서는 연구 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등을 제시하는 순으로 논문을 완성하였다. 정비공장에 차량의 입고에서부터 출고까지의 전 과정에 걸쳐 발생되고 있는 서비스의 형태와 질 그리고 개선되어야 할 점과 개선방향에 대하여 연구하는 과정에서 정비공장의 환경측면의 문제점과 정비 산업 기술자들의 불만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정비공장과 기술자들의 변화가 필요하며, 정비 산업 종사자들의 교육 필요성이 대두되어 CS 교육이나 기술력의 교육체계를 확립하고 주기적인 교육으로 고객의 만족을 이끌어 내고자 하였다. 또한 자동차 산업은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데 비해, 정비 산업은 근로자의 인식과 영세한 정비업자들의 경영난 악화로 휴업과 폐업이 속출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비 산업의 현황과 문제점을 통해 활성화 방안을 제시해 보고 싶었다. 문제점에서는 정비 산업의 환경측면에서의 문제와 서비스 욕구 불만 등을 다루었고, 활성화 방안에서는 자동차 정비업체 기술자의 변화, 정비 서비스 품질의 향상, 기술력 향상을 위한 교육의 필요성을 역설하였으며, 정부차원의 정비교육 확대 실시와 재정지원 등을 강조하였다.

      • 분포형 해석 기법을 이용한 우수관망 및 우수저류시설 유출 분석

        유다해 한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기후변화로 인해 우수관망의 설계빈도를 초과하는 강우사상이 잦아지고 있다. 또한 빠르게 진행된 도시화는 유역의 불투수면적을 증가시키는 한편 우수의 도달시간을 단축시킨다. 이는 유역의 유출량 중첩을 가중시키며 침수피해를 증가시킨다. 이에 대하여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최적화, LID(Low Impact Developmnet) 시설물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유량의 중첩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다양한 연구들은 학문적으로는 많은 결과들이 도출되어 왔지만 이러한 연구 결과들에 대한 실무 현장에서의 접근이나 시도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최적화, LID 해석은 물론이며 SWMM의 사용 조차도 실무 현장에서의 사용은 매우 제한적이며 이를 통한 다양한 시도는 엄두조차 못내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실무 접근성을 높이고자 SWMM 등 기존의 해석 모형보다 정밀도 면에서는 떨어지나 대략의 경향성은 유사하게 도출되며, 반면 기존 모형들보다 자료의 구축이나 사용상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간략 해석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개략적인 해석과 다양한 설계 케이스에 대한 타당성 검토가 용이한 격자기반 수리·수문 해석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형은 지표면에서의 직접유출의 해석과 관망도에 따른 관내 흐름, 그리고 우수저류시설의 개략 설정에 따른 저류 효과 등을 격자기반에서 해석하였다. 특히, 우수저류시설의 위치와 규모 결정에 있어 수문학적 해석에 사용하는 단위체계와 구조물의 크기에 대한 기준을 격자단위로 일치시킴으로써 여러 케이스의 설정 및 해석을 같은 단위 내에서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때 격자크기는 10×10m를 사용하였다. ArcGIS 10.5를 활용하여 격자단위의 지형정보를 구성하였고 VBA(Visual Basic for Applications)를 이용하여 이를 우수관망정보와 연계하였으며 강우의 지표흐름 및 관망의 흐름을 분석하였다. 산정된 유출량과 토지이용현황을 토대로 우수저류조의 위치, 규모 및 분산 정도에 따른 케이스를 격자 단위로 변화시키며 침수 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유출의 수문분석을 격자단위에서 해석하는 한편, 우수관망의 수리적 해석을 이와 연동시켜 우수저류조 등 수리구조물의 개략적 해석이 가능한 간략 해석 모형을 개발하였다. 향후 입지여건, 주민 의견 등 인문·사회적 정보를 격자단위에서 구축 및 적용하여 정책적 입장에서의 저류시설 입지 후보군을 바탕으로 본 모형을 통해 다양한 시설물 설계 케이스의 개략적인 타당성 검토가 이루어진 후 정밀 해석 모형을 통한 세부 설계가 이루어진다면, 이와 관련된 일련의 작업이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대전광역시 자치구별 주거환경격차에 관한 연구

        강희연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도시의 기능은 그 속성이 복잡 다양한 형태를 이루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는 도시가 얼마만큼의 사회적·문화적으로 국민에게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제공 능력의 유무라고 말할 수 있다. 또한 도시 기능 능력에서 멈추지 않고 발전성도 내포되어야 한다. 대전시의 총 5개 자치구를 자치구별 1995년부터 2005년까지의 재정, 산업, 주거, 도시기반시설, 문화·복지·교육시설, 환경등 총 6부문 28항목에 대하여 지표를 설정하여 지치구별 인구 또는 가구수로 대비 수치적 산술을 통하여 표준화하였으며, 자치구별 불균형 정도를 수치적 시각적으로 정형화된 자료를 산출하여 정책적 제안을 하였다. 그 결과 대전시 자치구중 서구는 인구가 가장 많은 자치구로써 인구의 증가율이 어느 정도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나 유성구는 급격한 인구증가로 인한 도시환경을 확충하고 있는 과정을 볼 수 있었다. 또한 다른 자치구들은 반대로 인구의 감소를 보여주고 있어 상반되게 다른 도시적 생활환경 조건이 좋아지는 현상을 볼 수 있었다. 지표설정에 의한 재정부문에서는 유성구가 가장 높은 수치를 보여주고 있으며 그중 1인당 지방세액이 다른 자치구보다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업부문의 사업장 수는 전반적으로 자치구들의 감소형태를 보이고 있는 반면 종사자 수는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치구들의 일반시장은 점진적으로 감소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대형판매시설은 자치구 모두 소폭 상승한 형태를 보이고 있다. 주거부문은 1인당 아파트항목은 자치구 모두 큰 폭으로 상승하였고 그중 가장 많은 수를 보유한 자치구는 유성구로써 많은 양의 아파트 량이 단기간 내에 대폭 증대된 모습도 볼 수 있었다. 도시기반시설에서는 1인당 공원면적과 1인당도로면적에서 서구가 다른 자치구들 보다 현저히 낮은 수치를 보여줘 이를 확충하는 것이 필요하고, 환경에서는 대덕구가 많은 오염물질 배출시설이 자리 잡고 있어 환경은 다른 자치구들보다 위험요소를 가진 것으로 보였다. 우선 대전시는 서구와 유성구로 유입되는 인구 편중적인 것을 막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할 것이며 이를 위해 대전시의 자치구들은 다양한 형태로 비전 및 프로젝트를 구상하고 발표하고 있으며 이를 보다 심층적이고 다각적인 방법으로 사업을 성공시켜야하는 것이 대전 도심의 균형적인 발전을 이룰 것이다. It is true that function of a city has characteristics formed with complicated and various shapes. It can be said that the city should have providing ability that can provide various functions socially and culturally to people to some extent. Also, the city has not only city function ability, but also development possibility. Each index of total five self-governing districts was set about 28 items of total six sections such as finance, industry, housing, city infrastructure, culture, welfare, education facilities and environment, etc. from 1995 to 2005 according to the self-governing district and was standardized through numeric calculation by comparing population or the number of households according to the self-governing district, and a policy proposal was made by calculating data that an unbalance degree according to self-governing district is standardized numerically and visually. As a result, the Seo-gu of the self-governing district having the most population in Daejeon city showed a stable increase rate of a population, but Yusung-gu showed expansion of city environment due to rapid population increase. Also, other self-governing districts showed decrease of a population on the contrary, so it could be shown that urban living environment conditions got better. Yusung-gu showed the highest value in a finance section by index setting and showed that a local tax per capita was much higher than other self-governing districts. It was shown that the number of a business place of the industry section was generally decreased in the self-governing districts, wheras the number of employees was increased narrowly. Also, a general market of the self-governing districts shows gradually decreasing shape, but large-scale sale facilities shows narrowly increasing shape in all self-governing districts. An apartment amount per capita in a housing section largely increased in all self-governing districts, and the self-governing district having the most number of apartments was Yusung-gu, so a large amount of apartments were largely increased in short time.Seo-gu in infrastructure showed remarkably low value in park area and road area per capita, so the infrastructure expansion is necessary. Daeduk-gu includes many contaminants discharge facilities so it appeared to have more riskful element in environment than other self-governing districts. First of all, it will be important that population concentration to Seo-gu and Yusung-gu should be prevented in Daejeon city, and the self-governing districts of Daejeon city plan vision and projects in various shapes andannounce it for that, and the project should be successful by an in-depth and diversified method, so that balanced development of the downtown ares of Daejeon city will be achieved.

      • 에어비앤비가 아파트 월세에 미치는 영향 : 서울특별시 용산구 아파트를 중심으로

        박훈정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2025 국내석사

        RANK : 247599

        한국에서도 공유경제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본 연구는 대표적인 단기 임대 플랫폼인 에어비앤비의 확산이 아파트 월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대상 지역은 서울시 용산구이며, 분석 기간은 2014년부터 2024년까지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에서 제공하는 주택 실거래가 자료와 2024년 에어비앤비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에어비앤비 리스팅 수와 월세 간의 상관관계를 정량적으로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에어비앤비 밀집도는 특정 지역 내 월세 상승과 밀접하게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 이전 500m 내 에어비앤비 리스팅 수의 회귀계수는 0.0174였으나 팬데믹 이후 0.0756으로 크게 증가하였다(P-값 &lt; 0.05). 이는 에어비앤비 확산으로 인해 단기 임대 수요가 증가하면서 해당 지역의 월세 상승 압력을 가중시켰음을 보여준다. 이와 함께 월세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분석한 결과, 팬데믹 이후 월세 결정에 중요한 변화가 나타났다. 전용면적이 클수록 월세가 높아지는 양의 관계는 팬데믹 이후 더욱 강화되었다. 코로나 이전 전용면적의 회귀계수는 0.0199였으나 팬데믹 이후 0.0234로 증가하였으며, 이는 재택근무와 원격 학습의 확산으로 넓은 주거 공간에 대한 수요가 높아졌음을 시사한다. 반면, 건축 연수가 오래될수록 월세가 낮아지는 음의 관계는 팬데믹 이후 더욱 뚜렷해졌다. 코로나 이전 건축 연수의 회귀계수는 -0.0143이었으나 팬데믹 이후 -0.0286으로 변하였으며, 이는 팬데믹 이후 신축 아파트에 대한 선호 증가를 반영한다. 또한, 건축 연수의 제곱 항은 팬데믹 이전에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팬데믹 이후 양의 값으로 전환되어, 일정 시점 이후 오래된 건물의 리모델링 또는 보존 가치가 월세 상승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보여준다. 지역적 특성도 팬데믹 이후 월세 상승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초등학교 근접성과 월세 간 양의 관계는 팬데믹 이전보다 팬데믹 이후 더 강화되었으며, 코로나 이전 회귀계수는 0.00009301에서 팬데믹 이후 0.0002로 증가하였다. 이는 가족 단위 거주자들이 교육 환경을 더 중요시하면서 초등학교 근접성이 월세 결정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음을 시사한다. 반면, 한강공원 접근성과 월세 간 음의 관계는 팬데믹 이후 다소 완화되었다. 코로나 이전 회귀계수는 -0.1162였으나 팬데믹 이후 -0.0898로 변화하였으며, 이는 팬데믹 이후 자연 환경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한강공원 접근성이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에어비앤비 확산이 아파트 월세에 미치는 영향을 거리와 시기에 따라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공유숙박 서비스가 주택 임대 시장에 미치는 구조적 변화를 실증적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지역 경제 활성화와 주거 안정성 간의 균형을 고려한 정책적 대응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공유경제 플랫폼이 지역 주택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미래 정책 수립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sharing economy has been a topic of active discussion in South Korea, and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expansion of Airbnb, a prominent short-term rental platform, on apartment rents. The study focuses on Yongsan-gu, Seoul, as the target area, covering the analysis period from 2014 to 2024. Utilizing transaction data on housing provid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long with Airbnb data collected in 2024, this research quantitatively examin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Airbnb listings and monthly rents. The analysis reveals that the density of Airbnb listings is closely associated with increases in monthly rents in specific areas. The regression coefficient for the number of Airbnb listings within 500 meters rose significantly from 0.0174 before the pandemic to 0.0756 after the pandemic (P-value &lt; 0.05), indicating that the rise in short-term rental demand driven by Airbnb has exacerbated upward pressure on rents in nearby areas. Further analysis of various factors influencing rents highlights notable changes in rent determinants after the pandemic.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partment size and monthly rent became more pronounced, with the regression coefficient increasing from 0.0199 before the pandemic to 0.0234 after the pandemic. This suggests heightened demand for larger living spaces due to the widespread adoption of remote work and online learning. Conversely,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building age and monthly rent intensified, with the regression coefficient declining from -0.0143 before the pandemic to -0.0286 after the pandemic, reflecting increased preferences for newer apartments. Additionally, the squared term of building age, which was insignificant before the pandemic, turned positive after the pandemic, indicating that older buildings may add value to rents through potential remodeling or preservation at certain points. Regional characteristics also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rent increases after the pandemic.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roximity to elementary schools and rents strengthened, with the regression coefficient rising from 0.00009301 before the pandemic to 0.0002 afterward, suggesting a growing emphasis on educational environments among family residents. On the other hand, th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roximity to Hangang Parks and rents weakened, with the regression coefficient shifting from -0.1162 before the pandemic to -0.0898 after the pandemic, potentially reflecting an increased appreciation for natural environments during the pandemic.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of the structural changes in the housing rental market caused by the expansion of Airbnb, analyzing the effects by distance and period. The findings underscore the need for policy responses that balance local economic activation with housing stability. They also offer valuable insights into the impact of sharing economy platforms on local housing markets, serving as a foundational resource for future policymaking.

      • 영유아놀이체험공간의 이미지평가를 통한 실내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 형태와 재료 특성을 중심으로

        박상수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배경은 기존의 이미지평가를 기반으로 놀이공간을 평가하는 연구들의 한계성과 감성평가부분이 공간디자인에 직접적으로 적용되지 않고 있다는 문제점에서 시작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놀이체험공간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선호도를 파악하고 감성적으로 평가되는 척도와 선호되는 공간의 요소를 분석해 봄으로써 공간적인 특성을 추출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기존 문헌조사와 현장조사를 통해 연구 과제를 설정하고 조사 범위와 표본을 설정하였다. 실증조사는 3단계 걸쳐서 진행하였다. 1단계는 이미지평가를 실시하기 위한 형용사어휘와 선호하는 공간에 대하여 30명의 전문가 설문을 2015년 8월 17일부터 8월 27일까지 설문을 실시하였다. 2단계는 공간요인을 추출하기 위하여 42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1단계에서 조사된 선호도가 가장 높은‘사례H’에 대하여 2015년 8월 30일부터 9월3일까지 설문을 진행하였다. 3단계는 이미지평가를 통한 영유아놀이체험공간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영유아 자녀가 있는 부모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기간은 2015년 9월 10일~16일까지 7일간에 걸쳐 실시하였다. 따라서 최근에 건립된 육아지원센터 내에 있는 영유아놀이체험공간을 대상으로 감성적 어휘와 공간의 요소와의 관계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영유아가 직접 만지고 몸으로 체험하는 공간인 만큼 그 공간의 재료와 재질은 중요하다. 특히 바닥과 놀이도구는 영유아의 행동 특성상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데, <표 4-3>, <표 4-5>, <표 4-7>, <표 4-9>를 통해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8개의 사례 중 공간의 재료와 재질이 안전하게 설치된 사례는 C, E, G로 조사되었다. 사례C ,E, G는 바닥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유아용 매트를 넓은 범위에 설치해 놓은 특성을 보이고 있다. 둘째, 영유아 자녀가 있는 부모를 대상으로 사례대상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표 4-11> 전체적으로는‘사례G’에 대하여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성별에 따라 남자는 ‘사례G’를 여자는 ‘사례C’를 선호하여 성별에 따른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이미지평가와 선택빈도 결과는 다음과 같이 분석되었다<표 4-30>. 8개의 사례 중 SD평가를 통한 공간비교에서 1순위 요소가 가장 많이 집약된 사례는‘사례C’로 분석되었다. ‘사례C’는 다른 사례들과 비교하여 자연성, 조형성-1, 공간성, 조형성-2, 안정성 요인들의 결과 값이 높게 나타나는 사례로 공간의 특성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선택빈도 결과에서도 자연성, 조형성-1, 공간성, 조형성-2에서 강한 선택빈도를 나타내고 있다. 즉 공간의 성격이 분명하게 나타나는 공간으로 해석 될 수 있다. 넷째, 3차 실증조사에서 나타난 남녀선호도의 결과에 따라 공간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여자가 선호한‘사례C’에서 가장 강하게 나타나는 공간요소는 창호&개구부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놀이도구의 산책놀이와 터널놀이 순으로 그 집약도를 보이고 있다(표 4-32). 분석결과 여자가 요구하는 영유아놀이체험공간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자연적이고 친환경적이며 밝게 유입되는 자연광과 안정적인 소재가 사용된 놀이도구에 대하여 영유아놀이체험공간에 구비되어야 할 요소로 보고 있다. 다섯째, 남자의 선호도에 따라 분석한‘사례G’에서 가장 강하게 나타나는 공간요소는 나무기둥상부로 조사되었다. 다음으로 공간의 바닥과 놀이도구의 터널놀이 순으로 그 집약도를 보이고 있다(표 4-33). 분석 결과 남자가 요구하는 영유아놀이체험공간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공간의 레벨차이를 두어 동적인 공간을 구성하여 변화감 있는 바닥과 개방적이고 넓은 공간을 구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친근하고 자연적인 형태의 놀이도구와 시각적으로 입체적이고 다양한 형태의 독특하고 재미있는 놀이요소를 영유아놀이체험공간에 구비되어야 할 요소로 보고 있다. 이상으로 본 연구는 ‘감성평가와 공간요소와의 상호연관성 미흡’ 이라는 문제점에 대하여 감성평가 부분이 공간디자인의 어떠한 요소들과의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여아의 영유아놀이체험 공간 계획 시 고려되어야 할 항목으로 첫째, 넓은 창문으로 들어오는 ‘자연광’ 둘째, 안정적이고 친환경소재를 사용한 바닥과 놀이도구가 필요하며,‘터널놀이’와 ‘산책놀이’가 놀이요소로 필요함을 의미한다. 남아의 영유아놀이체험 공간 계획 시 고려되어야 할 항목으로 첫째, 시각적으로 재미있고 입체적인 독특한 형태의 공간요소와 둘째, 바닥의 레벨을 둔 넓고 변화감 있는 공간의 구성 그리고 친환경소재를 사용한 입체적이고 재미있는 놀이도구로 ‘터널놀이’가 공간요소로 필요함을 의미한다. 영유아의 발달은 환경과 유아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지며, 일반적인 성인의 공간계획과는 다른 유아의 특성에 맞는 공간 계획이 필요하다. 또한 양육자와 함께 하는 공간으로써 부모의 선택과 판단에 의해 공간사용이 결정지어 진다. 최근 들어 영유아놀이체험공간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한 공적·사적기관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현시점에서 가족과 함께 즐기며 놀이할 수 있는 공간에 대한 연구는 필요하다고 본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이미지평가만으로 해결되지 않았던 공간과의 요소를 분명히 밝힘으로써 공간계획 시 보다 더 분명한 설계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started from the limitation of the existing studies, which assessed play spaces, based on image assessment and the problem that sensibility assessment is not directly applied to space design. This study aims to extract spatial characteristics by examining user preferences for play experience spaces for young children and analyzing the sensibility assessment scales and the elements of preferred spaces. Based on the existing literature reviews and field studies, research task, research scope and research sample were set. The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through 3 stages. In Stage 1, a survey with 30 experts was conducted from August 17th to 27th 2015 to investigate adjectives for image assessment and preferred spaces. In Stage 2, with regard to 'case H' that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in Stage 1, a survey with 42 experts was conducted from August 30th to September 3rd 2015 to extract spatial factors. In Stage 3, a survey with parents with young children was conducted for 7 days from September 10th to 16th 2015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play experience spaces for young children through image assessment. This study targeted play experience spaces for young children in child care centers, which have been built recently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ibility vocabularies and spatial element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ince young children touch the spaces and have physical experience, the materials and textures of the spaces are important. Especially, the floors and play tools are important for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an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in <Table 4-3>, <Table 4-5>, <Table 4-7> and <Table 4-9>, C and E and G have safe spatial materials and textures, among the 8 cases. C, E and G installed mats for children in a wide range of the spaces, in consideration of safety of the floors. Second, according to the preference survey targeting parents with young children in <Table 4-11>, overall, 'case G'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The preference varied depending on the gender, since males preferred 'case G', while females preferred 'case C'. Third, the results of image assessment and selection frequency were analyzed as follows <Table 4-30>. Among the 8 cases, 'case C' had the biggest number of first priority elements in SD assessment-based spatial comparison. 'Case C' had high values in naturalness, formativenes-1, spatiality, formativeness-2 and stability, compared to other cases. Besides, there was a strong selection frequency in naturalness, formativeness-1, spatiality and formativeness-2. This means 'case C' displays its spatial characteristics clearly. Fourth, the spaces were analyzed as follows, based on the results of male and female preferences in the third empirical study. In 'case C' preferred by females, window&opening was the strongest spatial element and it was followed by walk play and tunnel play of play tools <Table 4-32>.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y experience spaces for young children preferred by females are as follows. Females preferred spaces that were natural and eco-friendly, had good natural light and provided play tools made of stable materials. Fifth, the top of wooden post was the strongest spatial element in 'case G' preferred by males and it was followed by the floor of the space and tunnel play of play tools <Table 4-33>.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y experience spaces for young children preferred by males are as follows. Males preferred dynamic spaces with variable floors formed by the level differences of the spaces and open and wide spaces. They also preferred familiar and natural play tools and three-dimensional, different-formed, unique and interesting play tools in the play experience spaces for young children. As stated abov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ibility assesment and spatial design elements to solve the problem, 'the shortage of interconnection between sensibility assessment and spatial elements'. The items to be considered for planning a play experience space for female children are 'natural light' to come in through wide windows, the floor and play tools, which are stable and made of eco-friendly materials and 'tunnel play' and 'walk play' of play tools. The items to be considered for planning a play experience space for male children are spatial elements, which are visually interesting, three-dimensional and unique, wide and variable space formed by the level differences of the floor and 'tunnel play' as a three-dimensional and interesting play tool made of eco-friendly materials.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is influenced by an interaction between environments and young children and space planning, which considers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is required unlike general space planning for adults. Moreover, the use of space depends on parents' choice and judgment, as a space to be with care-givers. Recently, public and private institutions recognize the necessity of play experience spaces for young children and the interest in these spaces is increasing. At this point in time, a study on spaces to enjoy and play with parents is indispensable. It is considered that based on these study findings, defining spatial elements, which were not revealed in image assessment, would present a clearer design guideline for space plan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