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골프웨어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충성도의 관계 : 아마추어 골퍼의 성별에 따른 차이

        이승호 대구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63

        국내 골프웨어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해 골프웨어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충성도의 관계를 규명하였고, 이에 아마추어 골퍼의 성별에 따라 경로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아마추어 골퍼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 연령, 골프경력, 결혼유무, 구매빈도, 골프실력)에 따라 골프웨어 브랜드 이미지(대중적/감각적/건강지향적/권위적)와 브랜드 충성도의 차이, 골프웨어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충성도의 관계, 그리고 이들 관계에서 아마추어 골퍼의 성별에 따른 경로계수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골프웨어 경영자 및 관계자들에게 보다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활용되는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의 대상자는 전화응답 방식을 통해 504명을 무선적으로 표집하였다. 그리고 사전검사를 통해 조사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한 질문지를 활용하여 자기평가 기입법에 의한 전화응답 방식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는 연구의 목적에 맞게 SPSS Ver18.0을 사용하였고 이때, 사용된 통계적 기법은 기술통계,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구조방정식모형에 의한 경로계수와 더불어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골프웨어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충성도에서 성별은 남자들이 브랜드 이미지(대중적, 건강지향적, 권위적)와 브랜드 충성도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에서는 브랜드 이미지(대중적, 감각적, 건강지향적)와 브랜드 충성도에서 30대가 가장 높고 50대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결혼 유무에서는 브랜드 이미지(건강지향적, 권위적)에서 미혼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구매빈도는 많을수록 골프웨어 브랜드 이미지(대중적, 감각적, 건강지향적, 권위적)와 브랜드 충성도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골프 경력에서는 모든 요인에서 1-3년과 7년 이상이 높게 나타났으나 골프실력에서는 브랜드 이미지의 건강지향적 요인에서만 80대 수준의 아마추어 골퍼들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따라서 아마추어 골퍼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골프웨어 상품에 대한 인식과 반복적인 구매행동에 대한 의도는 상호 다르다는 결과를 얻었다. 둘째, 골프웨어 브랜드 이미지의 모든 하위요인은 브랜드 충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아마추어 골퍼들에게 다양한(기업문화, 제품의 품질, 제품의 가격 등) 브랜드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인식시크는 것이 중요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셋째, 골프웨어 브랜드 이미지에서 건강지향적 이미지(여자)와 권위적 이미지(남자)는 고객충성도에서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기 때문에 두 이미지에 대한 상품은 명확히 성별에 따라 차이를 구분시켜 제품을 생산하는 것이 경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결과를 얻었다. 결과를 종합한다면, 골프웨어의 브랜드 이미지는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브랜드 이미지를 높이는 게 중요하며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전략을 개별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특히 건강지향적 이미지와 권위적 이미지는 아마추어 골퍼의 성별에 따른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 효율성이 높을 것이라는 최종 결론을 얻어 골프웨어 경영자들은 상품을 다각적인 브랜드 이미지화 시켜 접근하는 것이 보다 기업의 이윤 창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aims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golf wear brands and brand loyalty and to analyze path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ender of amateur golfers. In other words, the differences in golf wear brand images (popular, sensuous, health-oriented, authoritative) and brand loyalty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ge, golf career, marital status, purchase frequency, golf skills) of amateur golfers were analyzed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golf wear brand images and brand loyalty were verified. And based on this, the data that concretely present the direction of establishing golf wear marketing strategies were provided through confirming the differences in path coefficients according to the gender of golfer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golf wear brand images and brand loyalt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subjects of 504 persons were randomly sampled through the telephone response method, and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completed survey tool. And to suit the research purpose, path coefficients and multigroup analysis by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SPSS Ver18.0 were conducted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in golf wear brand images and brand loyalty according to gender, males were found to be high in brand images (popular, health-oriented, and authoritative) and brand loyalty, and according to age, the respondents in their 30s were found to be highest and those in their 50s were lowest in brand images (popular, sensuous, and health-oriented) and brand loyalty. Also, in the marital status, unmarried respondents were relatively high in brand images (health-oriented, authoritative), and the higher the purchase frequency was, the higher the respondents were in brand images (popular, sensuous, health-oriented and authoritative) and brand loyalty. In golf career, those with career of 1~3 years and 7 years and above were found to be high in all factors, but in golf skills, amateur golfers with about 80 strokes were relatively high only in health-oriented factor of brand images, so the conclusion that amateur golfers’ perception of golf wear products and the intention of repeated purchase behavior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was obtained. Second, the conclusion that, since all the subordinate factors of golf wear images have positive effects on brand loyalty, it is important to make amateur golfers positively recognize diverse (corporate culture, product quality, product price, etc.) brand images, was obtained. Third, the conclusion that, since there were differences in customer loyalty in health-oriented image (females) and authoritative image (males) of golf wear brand images, it has positive effects to produce the products of both images by differentiating them according to gender, was obtained. Key word : Golf Wear, Brand Image, Brand Loyalty, Amateur Golfer

      • 사례 연구 - 온라인 마케팅 교육에AI 알고리즘 및 빅데이터 과목연계

        박준오 한국기술교육대학교 IT융합과학경영산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entry into a non-face-to-face society due to COVID-19 has now created an opportunity for platforms such as SNS, open shopping malls, delivery apps, and mobility apps to enter deeper into our lives.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platform users, there is not enough knowledge related to big data and AI algorithms, which are the basis of platform operation. Inequality information has become present between platform users and platform operators, and the gap between the information and knowledge is widening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the operation method of platform operators. In addition, the higher the age group and the more occupational activities are in an environment where there is not much exposure to the digital environment, the more serious the problems that arise from the digital competency gap are. In particular, while the concep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have been introduced and evolved dramatically on the platform, many platform users are in a hurry to adapt piecemeal to their situations, lacking learning time and educational environment. Under the above circumstances, this paper was studied as an example of limited conditions centered on the content marketing process in parallel with the 39-hour SNS core summary process, focusing on the 96-hour course of NCS-based vocational training. In particular, many adults who engage in professional activities in a platform-based ecosystem, for example, SNS content operators and open market operators who want to operate for marketing, are in a situation where they lack expertise and there is not enough marketing curriculum to learn this knowledg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NCS-based vocational training curriculum to improve the level of knowledge of online marketing class participants by linking platform-led algorithm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to vocational education. In particular, AI and big data education were classified into four parts, including big data concept introduction and experience, algorithm explanation released by SNS platform, and open platform algorithm understanding, and the opinions of professional panels were briefly evaluated. And as a result of actual class operation, by checking the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high-level exposure of content, which is important in pre-class and post-class online marketing, we checked and summarized whether AI algorithm and big data education can increase practical utilization in online marketing. Beyond the limitations of existing online content marketing education centered on SNS content development and operation, it was intended to check the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platform algorithms, and it was different from performance marketing education aimed at numerically improving ROAS (Return on Ad Spending), which is a correlation between sales conversion and advertising cost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사회 진입은 이제 SNS, 오픈 쇼핑몰, 배달 앱, 모빌리 티 앱 등 플랫폼이 우리 생활 깊숙이 들어가는 계기를 만들었다. 다만 플랫폼 사용 자 입장에서는 플랫폼 운영의 기본인 빅데이터와 AI 알고리즘 관련 지식이 부족하 다. 플랫폼 사용자와 플랫폼 사업자 간 불평등 정보가 존재하게 되었고, 기술 발전 과 플랫폼 사업자의 운영방식에 따라 정보와 지식의 격차가 확대되고 있다. 또한 디 지털 환경에 대한 노출이 많지 않은 환경에서는 연령대가 높을수록, 직업 활동이 많 을수록 디지털 역량 격차로 인한 문제가 심각하다. 특히 인공지능과 빅데이터의 개념이 플랫폼에 도입되고 급진적으로 진화한 반면, 많은 플랫폼 이용자들은 학습 시간과 교육 환경이 부족해 자신의 상황에 맞게 단편 적으로 적응하기 위해 급급한 상황에 있다. 위와 같은 상황에서 본 논문은 NCS 기반 직업훈련 96시간 과정을 중심으로 39 시간의 SNS 핵심요약 과정과 병행하여 AI알고리즘과 빅데이터 과목을 연계하는 제 한된 조건의 사례로 연구되었다. 특히, 플랫폼 기반의 생태계에서 직업 활동을 하는 성인, 예를 들어 마케팅용으로 운영하고자 하는 SNS 콘텐츠 운영자 , 오픈마켓 운영자 등의 상당수가 해당 전문지 식이 부족한 상황에 처해 있고 이러한 지식을 학습할 수 있는 마케팅 교육과정이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 주목하고 있다. 따라서 플랫폼이 일방적으로 주도하는 알고리즘과 인공지능, 빅데이터에 대한 전 문지식을 직업교육에 연계하여 각자의 분야에서 인공지능 알고리즘과 빅데이터의 이해도와 활용 가능성을 높임으로써 온라인 마케팅 수업참여자의 해당 지식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NCS기반의 직업훈련교육과정에 AI알고리즘과 빅데이터 등의 전문지식을 연계한 사례를 연구해 봄에 본 논문의 목적이 있다. 특히 NCS기반의 직업훈련 교육과정에서 운영중인 온라인마케팅 과목의 설계된 기준을 따르되,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의 교육을 빅데이터 개념소개 및 체험, 인공지 능 알고리즘원리 소개, SNS플랫폼이 공개한 알고리즘 설명, 오픈플랫폼 알고리즘 이해 등 4개의 파트 분류하여 연계하였고, 전문패널들의 의견을 취합하여 해당 과목 연계시의 난이도나 적절성을 간략하게 나마 평가받아 정리해 보았다. 그리고 실제 수업 운영의 결과로서 수업전과 수업후의 온라인 마케팅에서 중요시 하는 콘텐츠 상위노출의 이해와 활용 가능성을 체크함으로써 AI 알고리즘 및 빅데 이터의 교육이 온라인 마케팅에서 실무적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지를 설문지로서 점검하고 간략하게 정리해 보았다. SNS 콘텐츠 개발과 운영을 중심으로한 기존 온라인 콘텐츠 마케팅 교육의 한계 를 넘어, 플랫폼 알고리즘의 운영원리 이해와 활용 가능성을 점검하고자 하였으며, 매출전환과 광고비용과의 상관관계인 ROAS(Return on Ad Spending)의 수치적 향 상을 목적으로 하는 퍼포먼스 마케팅 교육 등과는 목적을 달리 하였다.

      • AR에 적용 가능한 Semantic Segmentation 기법에 관한 연구

        고태영 한밭大學校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에서는 AR에 적용 가능한 Semantic Segmentation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Semantic Segmentation 이미지 획득, Dilated Residual Network, Atrous Pyramid Pooling Module, Dilated Residual Network Backpropagation 등의 4가지 과정으로 구성된다. Semantic Segmentation 이미지 획득과정은 카메라를 통해 얻은 일반적인 이미지에서 사람이 일일이 수작업으로 객체를 분류하고 라벨링 해야 하지만, Semantic Segmentation 기법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 정규화된 2가지 표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다. Dilated Residual Network 과정은 convolution을 변형하여 공간 정보를 최대한 유지하며 특징점을 추출하는 Atrous Convolution을 이용하여 원본 이미지에서 특징점 맵을 추출한다. Atrous Pyramid Pooling Module 과정은 이미지에서 차지하는 영역이 작은 객체를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해 추출된 특징점 맵에 다양한 Atrous Convolution을 적용한다. 또한, 소요시간을 줄이기 위해 Atrous Convolution을 병렬적으로 배치하여 특징점을 추출한 후 피라미드 모양으로 특징점 맵을 쌓는다. 이 과정에서 크기가 작은 특징점 맵은 up-sampling을 통해 크기를 동일하게 맞추어 쌓는다. 다양한 특징점 맵을 피라미드 모양으로 쌓으면 1x1 convolution을 적용하여 1채널의 특징점 맵으로 만든다. Dilated Residual Network Backpropagation 과정은 최종 특징점 맵에서 convolution을 통해 얻은 Semantic Segmentation을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하는 결과 이미지와 비교하여 일정 이상 오차율이 발생하면, 두 번째 과정에서 수행하는 convolution에 적용하여 가중치를 수정하여 오차율을 줄이는 과정을 거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기법의 객관적인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해 PASCAL VOC 2012 데이터베이스와 Cityscapes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다른 논문에서 발표한 기법들과 비교 평가했다. 실험결과 PASCAL VOC 2012 데이터베이스는 정확도는 89.8(mIOU), 초당 프레임은 64.3(FPS) 등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Cityscapes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정확도는 82.8(mIOU), 초당 프레임은 61(FPS) 등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다른 논문에서 발표한 기법들보다 높은 정확도(mIOU) 나타내어 그 효율성이 입증되었다. 초당 프레임(FPS)이 60(FPS) 이상이 나타났기 때문에 사람의 움직임 속도를 따라가는 AR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semantic segmentation technique applicable to AR. The proposed method consists of four processes: Semantic Segmentation image acquisition, Dilated Residual Network, Atrous Pyramid Pooling Module, and Dilated Residual Network Backpropagation. The Semantic Segmentation Image Acquisition process involves manually classifying and labeling objects in a typical image obtained from a camera, but uses two standardized databases for objective evaluation of Semantic Segmentation techniques. The Dilated Residual Network process extracts the feature map from the original image using Atrous Convolution, which transforms the convolution to maintain spatial information as much as possible and extracts the feature points. In the Atrous Pyramid Pooling Module process, various Atrous Convolutions are applied to the extracted feature map to effectively extract the small objects occupying the area of ​​the image. In addition, to reduce the time required, Atrous Convolution is arranged in parallel to extract feature points, and then the feature maps are stacked in a pyramid shape. In this process, small feature point maps are stacked up to the same size through up-sampling. When various feature maps are stacked in a pyramid shape, 1x1 convolution is applied to make a feature map of 1 channel. The Dilated Residual Network Backpropagation process compares Semantic Segmentation obtained through convolution in the final feature point map with the result image provided by the database, and if the error rate exceeds a certain level, it applies the convolution performed in the second process to reduce the error rate by modifying the weight. Go through the process. In order to evaluate the objective relia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the PASCAL VOC 2012 database and the Cityscapes database were compared and compared with those presented in other paper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ASCAL VOC 2012 database has an accuracy of 89.8 (mIOU) and a frame of 64.3 (FPS). In the Cityscapes database, the accuracy was 82.8 (mIOU) and frames per second were 61 (FPS). These results show higher accuracy (mIOU) than the techniques presented in other papers, demonstrating their effectiveness. Since the frame rate per second (FPS) was more than 60 (FPS), it was judged that it is applicable to the AR field that follows the speed of human movement.

      • 기후가 감귤 생산량 변동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를 사례로

        강민철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기후가 감귤 생산량 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장기간의 감귤 재배면적과 생산량의 변화를 분석하고, 생육시기별로 기후요소와 생산량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기후요소의 변동이 감귤 생산량 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감귤 재배면적과 생산량의 변화는 제주와 서귀포가 같은 경향이다. 감귤 재배면적은 1990년대 중반까지 증가하였으며, 이후 감소하여 2000년대 후반부터는 큰 변화가 없다. 생산량은 1980년대까지 증가하였으며 이후에는, 뚜렷한 증감 추세가 없다. 단위면적당 생산량은 급격히 증가하다가 1990년대에는 감소하였으며 2000년대 들어 다시 증가하였다. 기후요소와 감귤 생산량 간의 관계는 생육시기별로, 지역별로 상이하다. 생리적 화아분화기에 제주의 평균기온과 최고기온이 단위면적당 생산량과 양의 관계가 있다. 서귀포에서는 평균기온, 최고기온, 최저기온이 단위면적당 생산량과 양의 관계가 있다. 형태적 화아분화기에는 서귀포의 평균기온, 최고기온, 최저기온이 단위면적당 생산량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 발아기에는 서귀포의 강수일수만이 단위면적당 생산량과 음의 관계가 있다. 개화기에는 제주에서 일조시간과 일사량이, 서귀포에서는 일조시간이 단위면적당 생산량과 양의 관계가 있다. 1차 생리낙과기에 제주의 평균기온, 최저기온, 강수량, 일조시간, 일사량이 단위면적당 생산량과 양의 관계가 있다. 강수량과 강수일수는 음의 관계가 있다. 서귀포에서 단위면적당 생산량은 강수일수와 음의 관계가, 일조시간과는 양의 관계가 있다. 2차 생리낙과기에 제주의 평균기온, 최고기온, 일사량이 단위면적당 생산량과 음의 관계가 있다. 서귀포에서는 단위면적당 생산량이 최고기온, 최저기온과 음의 관계가, 강수량과 양의 관계가 있다. 과실비대기에는 제주의 강수량이 단위면적당 생산량과 양의 관계가 있다. 제주의 평균기온, 최고기온, 일조시간, 일사량은 단위면적당 생산량과 음의 관계가 있다. 서귀포에서는 일최고기온 30℃이상일수가 단위면적당 생산량과 음의 관계가 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제주에서는 1차 생리낙과기 일조시간과 과실비대기 일조시간 변동이 생산량 변동의 68.2%를 설명할 수 있다. 서귀포에서는 발아기 강수일수와 1차 생리낙과기 일조시간 변동이 생산량 변동의 60.1%를 설명할 수 있다. 추정된 생산량과 실제 생산량의 차이가 큰 연도를 분석한 결과, 기후요소의 변동 이외에 해거리와 이상기후의 출현이 생산량 변동에 영향을 미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limate on the citrus yield variability. The changes of cultivation area, citrus production and yield in long term were investigated. Correlation between climatic factors and citrus yields by each growing season was analyzed. Citrus production variability was estimated by using climate factors. During the study period, citrus cultivation area has been increasing from 1960s to 1990s. After 2003, cultivation area decreased and stable in 2010s. Citrus production has been increased from 1960s to 1980s. After 1990s, production is slightly increasing but not obvious. Citrus yield has been increased from 1960s to 1980s, decreased 1990s and increased again after 2000s. In physiological flower bud differentiation period (previous October), mean and maximum temperature of Jeju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citrus yield. Mean,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 of Seogwipo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citrus yield. In morphological flower bud differentiation period (February to March), mean,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 of Seogwipo has a positive relation with citrus yield. In bud bursting period (April), number of days with precipitation of Seogwipo h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citrus yield. In flowering period (May), sunshine duration of Jeju and Seogwipo and solar radiation of Jeju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citrus yield. In first physiological fruit drop period (June), mean, minimum temperature, sunshine duration and solar radiation of Jeju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citrus yield. Precipitation and number of days with precipitation has a negative relationship. In Seogwipo, sunshine duration has a positive, number of days with precipitation h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citrus yield in this period. In the second physiological fruit drop period (July), mean, maximum temperature and solar radiation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citrus yield in Jeju, maximum temperature and minimum temperature has a positive, precipitation h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citrus yield in Seogwipo. In fruit enlargement period (August to October), mean, maximum temperature, sunshine duration and sunshine duration has a positive, solar radiation h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citrus yield in Jeju.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68.2% of citrus yield variability can be explained by sunshine duration of the first physiological fruit drop period and fruit enlargement period in Jeju. In Seogwipo, 60.1% of citrus yield variability can be explained by the number of precipitation days of the bud bursting period and sunshine duration of the first physiological fruit drop period. Analysis shows that abnormal climate and alternate bearing also affects on the citrus yield variability.

      • 장-흐름 분획법을 사용한 마이크로 및 나노입자의 분리 및 특성분석

        박미리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중력 장-흐름 분획법은 다양한 종류의 마이크로 크기의 입자를 분리 및 특성화을 위해 유용하다. 하지만 입자에 가해지는 외부장으로 약하고 일정한 지구의 중력을 사용하기 때문에 다른 FFF보다 덜 다용도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전에 언급되어진 여러 가지 가능성의 효과를 수행하고 조사하는 지속적인 노력으로, 채널의 각을 변화하였고, 그리고 머무름, 띠-넓어짐 그리고 분해능의 효과는 모델 입자로서 폴리스티렌 라텍스 비드를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첨가하여, 분해능에 대해 채널의 두께와 유속의 효과를 조직적으로 조사하였다. 선택성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띠-넓어짐이 증가하기 때문에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분해능이 감소하였다. 일정한 용적 측정의 유속에, 채널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띠-넓어짐과 선택성 모두 증가하였고, 결과적으로 분해능이 증가하였다. 이것은 하향 그리고 상향 이동상 흐름 조건에서 채널의 각이 증가함에 따라 머무름 시간이 감소되었다. 띠-넓어짐은 채널의 각과 함께 거의 직선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반면에 선택성은 특별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채널의 각이 증가할수록 분해능은 감소하였다. 다양한 표면 기능기와 다른 크기를 갖는 CdSe 양자점을 합성한 다음 장-흐름 분획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장-흐름 분획법은 거대 분자 혹은 미립자 종의 차이를 유발하기 위해 외부장 (예를 들면, 침강장, 횡단 유속, 온도 구배 등)를 사용하는 크로마토그래피와 유사한 분리기술이다. 흐름 장-흐름 분획법은 외부장으로서 횡단 유속을 사용하고, 물에 잘 용해되는 고분자 혹은 입자를 분리하는데 유용하다. 양자점을 분리하기 위한 최적 조건을 찾기 위해 다양한 실험 조건 (이동상 성분, 유속을 포함하는) 변화시켰다. 양자점의 유체역학적 직경은 다양한 조건에 흐름장 장-흐름 분획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DLS에서 얻어진 결과와 함께 비교하였다. 흐름장 장-분획법의 사용은 다양한 나노입자와 관련된 그리고 양자점을 분리하기 위해 유용한 도구로서 제공되었다. Gravitational field-flow fractionation (GrFFF) has been shown to be useful for s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various types of micro-sized particles. It has been recognized however that GrFFF is less versatile than other members of FFF because the external field (Earth’s gravity) in GrFFF is relatively weak and is not tunable (constant), which makes the force acting on the particles constant. In this study, as a continuing effort to implement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arious approaches mentioned above, the channel angle was varied, and its effects on retention, band-broadening and resolution were studied using polystyrene latex beads as model particles. In addition, the effects of the channel thickness and the flow rate on resolution were systematically investigated. It was found that the resolution decreases as the flow rate increases due to increased zone broadening despite of the increase in the selectivity. At a constant volumetric flow rate, both the zone broadening and the selectivity increase as the channel thickness increases, resulting in the net increase in the resolution. It was also found that the retention time decreases as the channel angle increases in both up- and down-flow positions. The zone broadening tends to increase almost linearly with the channel angle, while no particular trends were found in selectivity. As a result, the resolution decreases as the channel angle increases. CdSe quantum dots (QDs) having various surface functional groups and different sizes were synthesized, and then analyzed by field-flow fractionation (FFF). Field-Flow fractionation (FFF) is a family of chromatography-like separation techniques that use an external field (i.e., centrifugal force, cross flow, thermal gradient, etc.) to induce differential retention of macromolecular or particulate species. Flow FFF (FlFFF) uses the cross-flow as the external field, and is useful for separation of water-soluble polymers or particles. Various experimental parameters (including the carrier composition, flow rate, etc.) were varied to find an optimum condition for QD analysis. Hydrodynamic diameter (dH) of QDs were measured using Flow FFF at various condition, and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btained by DLS. It seems the use of the flow FFF provide useful tool for analysis of QDs and related various nano-particles.

      • 터널해석에서의 3차원 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이재호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우리나라는 국토가 좁고 그나마도 이용 가능한 토지가 많지 않아서 지하공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여 다양한 형태의 지하구조물 건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터널 시공이 양질의 암반 지반에서 뿐만 아니라 연약한 토사지반에서도 터널을 굴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NATM을 적용하여 터널을 보다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설계하기 위해 최근에는 많은 수치해석이 수행되어 지고 있는 실정이다. 수치해석은 터널을 설계 및 검토하는 방법으로는 2차원 수치해석의 방법이 있고, 종방향을 고려하여 실제 터널과 유사하게 해석하는 3차원 수치해석의 방법이 있다. 3차원 수치해석의 방법은 실제 터널 굴착의 시공방법과 터널의 상태를 보다 현실적으로 표현할 수 있지만 수치해석시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2차원 수치해석 방법은 2차원 수치해석만으로 3차원 수치해석을 표현하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지반조건에서 Mohr-Coulomb의 파괴규준을 이용하여 모델링한 2차원 수치해석과 3차원 수치해석의 비교를 통한 지반 및 지보재의 거동을 분석하였다.

      • 대구시 거주 여성 외상경험자의 외상회복과 심리적 안정을 위한 감각운동 심리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김윤정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대구지역에 거주하며 외상경험이 있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신체 기반 외상치료법인 감각운동 심리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외상경험자의 외상회복과 심리적 안정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감각운동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무적 내용으로 구성된 워크시트를 분석하여 집단상담 프로그램으로 재구성하였다. 재구성된 프로그램을 전문가의 내용 타당도 검증과 예비연구 실시를 통해 프로그램을 보완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확정하였다. 연구의 진행은 대구 거주 성인 여성(20세이상 65세이하) 341명에게 온라인 설문 조사로 외상경험질문지와 사건충격척도를 사용하여 외상경험자 262명을 선별하였다. 이 중 오프라인 집단 신청자 66명을 대상으로 전화면담과 초점 대면면담을 통해 실험집단(15명)과 통제집단(15명)을 구성하였다. 연구 대상자 선정기준은 사건충격척도 18점 이상이며, 외상경험질문지에 1개 이상의 외상경험을 체크한 대상자로 하였다. 이렇게 구성된 실험집단은 감각운동 심리치료 집단상담 최종 프로그램을 1회 90분씩 총 12회기(매주 2 회기씩, 6주)에 걸쳐 적용하고, 통제집단은 아무런 실험처치를 하지 않았다. 연구의 효과검증을 위해 실험집단에서 COVID-19로 중도 탈락한 2명을 제외한, 최종 인원(실험집단 13명, 통제집단 15명)인 총 28명의 자료를 근거로 외상회복과 심리적 안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외상회복 측정에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점검표(PCL-5-K)를, 심리적 안정 측정에는 간이정신진단 2(SCL-90-R)의 하위척도인 우울, 불안, 수면 문제, 대인 민감성, 낮은 조절력을 활용하였다. 그리고 SP 프로그램 적용 기간인 6주간의 변화를 효과사정척도로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연구 대상자의 검사지 반응평가에 대한 통계적 분석과 실험집단 참가자의 주관적 경험자료를 분석하고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TSD 증상과 그 하위요인(재경험, 회피, 인지 및 감정의 부정적 변화, 과각성)에서 측정 시점과 집단의 상호작용 효과 및 측정 시점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검증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그리고 실험집단 참가자의 주관적 경험 분석에서도 외상기억의 재경험, 회피, 부정적 인지 및 정서, 과각성에 대한 증상의 긍정적인 변화에 대한 나눔이 있었다. 이는 감각운동 심리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PTSD 증상개선에 효과가 있으며, 추후시점인 3개월 후에도 효과가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간이정신진단 2의 하위척도 우울, 불안, 대인 민감성, 낮은 조절력에서 측정 시점과 집단의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으며, 측정 시점에 따른 집단 간 차이검증에서는 수면 문제를 포함한 모든 하위척도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그리고 실험집단 참가자의 주관적 경험 분석에서도 우울, 불안, 수면 문제, 대인 민감성, 낮은 조절력에 대한 증상의 긍정적 변화 나눔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감각운동 심리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외상경험자의 심리적 안정에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셋째, SP 집단상담 프로그램 적용 기간인 6주간의 효과를 측정한 효과사정척도(개인생활, 대인관계, 사회생활, 전반적 행복감)에서 개인 생활은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고, 대인 민감성은 6 주차에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사회생활에서는 4 주차부터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고, 전반적인 행복감은 3 주차부터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은 본 연구에서 개발한 SP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외상경험이 있는 성인 여성의 외상회복과 심리적 안정에 타당한 프로그램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감각운동 심리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COVID-19와 같은 재난 상황에서 여성 외상경험자의 PTSD 증상감소, 우울 및 불안의 감소, 수면 문제개선, 대인 민감성 개선, 그리고 자기 조절향상으로 심리적 안정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외상치료에 언어 기반과 신체 기반의 통합적 개입방법인 감각운동 심리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최초로 검증한 국내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