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독서동기가 독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김은미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resent study analyzed differences in reading behaviour in line with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es among the 7th graders in a middle school located in Yangju City Gyeonggido through a reading motive questionnaire and a reading behaviour questionnaire. In a bid to activate reading among digital native students who find digital media more convenient and familiar than print media, an effective reading instruction is needed.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ed to provide reference data for formulating a reading plan to help students grow up into mature and life-long readers as well as to understand overall status of reading among students in light of their reading motives and behaviour. This study focused on how middle schoolers' reading behaviour would vary with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es. A questionnaire for measuring reading motives (MRQ: Motivation for Reading Questionnaire) and a reading behaviour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in Korean language classes. To find out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frequency analysis was used. To average the intrinsic and extrinsic reading motives, two-sample t-test was used. Cross-tabulation (p) was performed as a non-parametric method for categorical data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 empirical analysis in this study was verified as significant at a level of p<.05. For statistical analysis, SPSSWIN 21.0 was used. Below a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amount of reading between students of high intrinsic motives and those of high extrinsic motives. Yet, students of high intrinsic motives were found to read more. Seco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amount of time between students of high intrinsic motives and those of high extrinsic motives. Still, students of high intrinsic motives were found to spend more time on reading. Thir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reading places between student of high intrinsic motives and those of high extrinsic motives. Nevertheless, students of high intrinsic motives were found to read regardless of places, whereas those of high extrinsic motives were found to prefer reading at home or school library. Four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frequencies of reading different genres between students of high intrinsic motives and those of high extrinsic motives. High intrinsic motives were associated with martial arts/fantasy novels and cookbooks, whereas high extrinsic reading motives with sports. Fif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reading frequencies for different purposes between students of high intrinsic motives and those of high extrinsic motives. Students of high extrinsic motives were found to read for assignments and educational transition as well as future career. By contrast, those of high intrinsic motives were found to read for leisure activities. Six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hindrance factors for reading between students of high intrinsic motives and those of high extrinsic motives. Hindrance factors for extrinsic reading motives were that students did not feel like reading and that they were not in the habit of reading. Intrinsic motives were hindered by studying at school or private institutes and by using computer, internet and mobile phones. Seventh,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preference for reading activities between students of high intrinsic motives and those of high extrinsic motives. Extrinsic motives were associated with visiting or speaking activities, while intrinsic motives with writing and drawing activities. Eighth,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reading sources between students of high intrinsic motives and those of high extrinsic motives. That said, those of high extrinsic motives relied on teachers, family members, friends and relatives, whereas those of high intrinsic motives primarily used the sources at school library. The present findings will lay a foundation for further research on the effects of diverse reading programs on reading motives, which will in turn facilitate developing reading programs fit for students'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es and help formulate reading plans for students to grow up into life-long readers. 본 연구는 경기도 양주시에 위치한 D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중학생의 독서행동이 내재적․외재적 독서동기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독서 동기검사와 독서 행동 설문을 통하여 연구 분석하였다. 디지털 원주민(digital native)으로서 인쇄매체보다 디지털매체의 사용이 편리하고 친숙한 요즘 학생들에게 독서 활성화를 유도해 주기 위해서는 효과성 있는 독서 교육이 필요하다. 이에 독서동기와 독서행동을 통해 학생들의 전반적인 독서 실태를 이해하고, 성숙한 독서가가 되어 평생 독서가로 나아갈 수 있는 독서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중학생의 독서행동이 내재적 ․ 외재적 독서동기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독서동기를 측정하기 위한 독서 동기 검사지(MRQ: MotIvation for Reading Questionnaire)와 독서 행동 설문지를 국어과 수업시간을 통해 배부하여 회수하였다. 분석방법은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내재적 독서동기와 외재적 독서동기의 평균을 살펴보기 위한 평균차이 검증인 Ttest, 범주형 자료에서 비모수 기법인 경우 교차분석 (p)을 실시하여 집단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p<.05에서 검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재적 독서동기가 높은 학생과 외재적 독서동기가 높은 학생의 독서량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내재적 독서동기가 높은 학생의 독서량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내재적 독서동기가 높은 학생과 외재적 독서동기가 높은 학생의 독서시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내재적 독서동기가 높은 학생의 독서시간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내재적 독서동기가 높은 학생과 외재적 독서동기가 높은 학생의 독서장소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내재적 독서동기는 가리지 않는다가 외재적 독서동기는 집이나 학교도서관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내재적 독서동기가 높은 학생과 외재적 독서동기가 높은 학생간의 분야별 독서빈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내재적 독서동기는 무협지/판타지소설과 요리, 외재적 독서동기는 스포츠가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내재적 독서동기가 높은 학생과 외재적 독서동기가 높은 학생간의 목적별 독서빈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외재적 독서동기는 학습과제물을 해결하기 위해서와 진학 및 진로를 위해서, 내재적 독서동기는 여가활동을 위해서가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여섯째, 내재적 독서동기가 높은 학생과 외재적 독서동기가 높은 학생간의 독서방해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외재적 독서동기는 책 읽기가 싫고 습관이 들지 않아서, 내재적 독서동기는 학교나 학원 등 공부 때문에와 컴퓨터·인터넷·휴대전화 이용이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일곱째, 내재적 독서동기가 높은 학생과 외재적 독서동기가 높은 학생간의 독서활동 선호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외재적 독서동기는 탐방활동이나 말하기 활동, 내재적 독서동기는 글쓰기 활동과 그리기 활동 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여덟째, 내재적 독서동기가 높은 학생과 외재적 독서동기가 높은 학생간의 도서 정보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외재적 독서동기는 선생님·가족·친구·친척 등의 정보원, 내재적 독서동기는 학교도서관의 정보원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독서프로그램들이 독서동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학생들의 내재적 ․ 외재적 독서동기에 알맞은 독서프로그램이 개발되어, 평생 독서가로 나아갈 수 있는 독서방안 마련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中國과 韓國의 內部者去來規制에 關한 比較究

        Liu,yuan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늘 “자본시장의 꽃”이라고 부르는 증권시장은 투자자에게 투자의 수단을 제공하고 산업자본을 조달하며 재정 및 금융 정책의 목표를 실현하는 데 큰 기여를 한다고 할 수 있는 만큼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자본시장의 발 빠른 발전에 따라 내부자거래 등 불공정거래행위도 수반되어 있다. 이는 투자자의 이익을 침해할 뿐만 아니라 공정한 증권거래질서와 투자자의 자유로운 판단을 해치며 심지어 전반적인 국민경제를 위협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중국과 한국은 건전한 자본시장을 육성하기 위하여 관련 법률의 제정, 집행 등을 통해 내부자거래 등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도록 끊임없이 노력하는 보습을 보여주어 왔다. 중국은 내부자거래의 규제체계에 있어 현재에 이르기까지 상위법인 증권법과 형법을 바탕으로 하여 여러 하위법들이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시스템을 형성하였으나 이는 2009년 2월 4일에 시행한 한국 자본시장법에 비해 부족한 점이 많은 실정이다. 중국경제가 비록 비약적인 발전을 거두었지만 증권시장은 한국보다 비교적 늦게 발전하기 시작하였고 내부자거래 등 불공정거래규제의 제도도 상대적으로 낙후하는 반면에 한국은 60년의 증권시장 발전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중국보다 내부자거래규제에 관한 경험이 더 풍부하다. 따라서 앞으로 중국 증권법을 개정할 시에는 미국 등 선진국의 경험을 흡수한 한국 자본시장법을 참고할 만한 가치가 많다. 본 논문은 중국과 한국의 내부자거래규제를 비교하여 고찰함으로써 중국 내부자거래의 발생원인, 규제의 문제점, 한국 규제와의 차이점 등을 찾아내고 보다 건전한 중국 증권시장을 구축하기 위하여 향후 중국 내부자거래규제의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국 규제의 개선방안이 아래와 같다. 첫째, 한국법에 비해 중국 내부자거래규제가 여러 법령을 통해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법적용상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즉, 한국 자본시장법처럼 내부자거래 등 불공정거래에 관한 규제를 하나의 통합법으로 규정하는 것이 더 합리적일 것이다. 둘째, 내부자의 규제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내부정보의 범위를 확정함에 있어 현행규정을 수정·보완할 필요가 제기된다. 셋째, 중국 증권법은 민사적인 손해배상소송에 대해 단지 근거규정을 두는 것에 불과하는데 실무에서 다루어야 할 요소를 보완해야 실효성이 있는 법이 될 수 있다. 또한 행정제재에서는 사후적 처벌뿐만 아니라 사전적 예방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규정도 신설하여야 한다. 넷째, 자율규제기관을 공적규제기관으로부터 분리하여 독립한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 포상금제도 등과 같은 불공정거래규제수단의 활성화를 도모한 방안을 함께 도입하게 되면 중국 내부자거래규제가 보다 더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 소집단 독서토론 활동이 아동의 독서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독서능력진단평가를 중심으로

        윤희현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Abstract A study on the effects of small-group reading discussions on the enhancement of children's reading abilities - by evaluating and analyzing them around the reading diagnosis and evaluation - Yoon, Hee Hyun Major in Librarian Education Dep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aeji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small-group reading discussions on the enhancement of children's reading abilities, by evaluating and analyzing them around the reading diagnosis and evaluation. To this end, following questions can be summarized. 1. How does the small group reading discussions significant effects on the enhancement of children's reading abilities? 2. Is there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reading ability? In order to resolve these questions,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concepts and various theories of reading discussion and ability,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small group reading discussions on children's reading abilities. As the specific method, 4th(n=13), 5th(n=15) and 6th graders(n=10) enrolled in S elementary school located at Y city, Gyeonggi-do were randomly divided into small groups of 5-6 students, according to their grades. Such small groups of the same graders were gathered to read some books selected by the researcher, which were suitable for their curriculum and reading level at each grade for a certain period, and then summarize and share their thoughts and opinions in the small groups, and finally develop after-reading activities based on their summarized thoughts and opinions. This study had been conducted at two sessions a week for a total of 8 sessions by grade, from April 4 to 29, 2016. Their scores of reading diagnosis and evaluation before and after the small group reading discussions were compared to assess the effects. The books used in the small group reading discussions were selected from the book list related with Korean textbooks for 4th-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among book lists related with 2016 revised elementary curriculum selected by the Gyeonggi-do School Library Librarian Conference. And the reading evaluations before/after small group reading discussions were implemented by using the 'Reading Diagnostic Evaluation' provided by Reading Ocean (Co., Ltd.)(www.enro.co.kr), a company developing contents for reading educati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small group reading discussion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enhancement of children's reading ability. In particular, children with lower grade and reading ability benefit from higher effects. In addition, the reading discussions are found to be effective in enhancing the initiative and active reading abilities, such as inferential, critical, sentimental and creative understanding, among various reading abilities. 2. A comparison between children's reading abilities and academic achievements shows that both are at similar level. In particular, the 'higher' the children's reading abilities, the 'higher' the academic achievement of 'Korean language' subject, indicating that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m. 국문요지 소집단 독서토론 활동이 아동의 독서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독서능력진단평가를 중심으로 - 윤 희 현 교육학과 사서교육전공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본 연구는 소집단 독서토론 활동이 아동의 독서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독서능력진단평가를 중심으로 평가, 분석하여 그 효과를 파악하는 데에 연구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소집단 독서토론 활동은 아동의 독서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2. 학업성취능력과 독서능력은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독서토론과 독서능력의 개념 및 다양한 이론을 살펴보고, 소집단 독서토론이 아동의 독서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방법으로는 경기도 Y 시에 위치한 S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아동 4학년 13명, 5학년 15명, 6학년 10명을 학년별로 무작위의 5~6명의 소집단으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동일 학년으로 구성된 소집단이 함께 모여 연구자가 선정한 해당 학년의 교과학습과 독서수준에 맞는 도서를 일정 기간 동안 함께 읽고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정리한 뒤에 소집단 안에서 서로 생각과 의견을 나누고 정리된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바탕으로 독후활동을 작성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연구기간은 2016년 4월 4일부터 4월 29일까지 매주 2회, 학년별로 총 8차시로 진행하였으며 소집단 독서토론 활동 전과 후의 독서능력진단평가 점수를 비교하여 그 영향을 평가하였다. 소집단 독서토론 활동에서 활용한 도서의 선정은 경기도학교도서관사서협의회에서 선정한 2016 초등 개정교과서 연계도서목록 중 초등학교 4-6학년 ‘국어’교과연계도서목록 중에서 선정하였으며 소집단 독서토론 활동 전과 후의 독서능력평가는 독서교육 콘텐츠 개발 기업인 ㈜리딩오션(www.enro.co.kr)에서 자료 활용의 동의를 받아 제공한 ‘독서능력진단평가지’를 활용하여 시행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소집단 독서토론 활동은 아동의 독서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학년일수록, 독서능력이 ‘낮은’아동일수록 그 효과는 높게 관찰되었다. 뿐만 아니라 소집단 독서토론 활동은 다양한 독서능력 요소 가운데서 추론적 이해, 비판적 이해, 감상적 이해, 창의적 이해 등 주도적이고 능동적인 독서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2. 아동의 독서능력과 학업성취능력의 비교 결과, 독서능력과 학업성취능력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특히 독서능력이 ‘높은’ 아동일수록 ‘국어’과목의 학업성취능력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동의 독서능력이 ‘국어’과목의 학업성취능력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 장진 드라마 <박수 칠 때 떠나라>극작법 연구

        한인철 원광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1990년대 이후 한국 연극계는 연출가 중심으로 전환되면서 연극에서 희곡의 중요성이 감소된다. 연출을 겸하지 않고 희곡만 써서는 공연이 성사되기 어렵고, 공연이 된다 해도 희곡이 원래 모습대로 무대화되지 못하는 사례가 적지 않았다. 장진은 극작과 연출, 양쪽에서 능력을 보인 극작가로 동시대 한국연극은 물론 영화, TV등 다양한 매체형식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전방위 예술가이다. 본 논문은 <박수 칠 때 떠나라>가 일반적인 ‘극적 극작법’과는 다른 ‘반극적 극작법’으로 창작되었다는 관점에서 이 작품의 극작법을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반극적 극작법’의 주요 형식으로 ‘서사적 극작법’과 ‘시나리오적 극작법’을 제시하고, 이 형식이 이 작품에서 어떤 형식으로 사용되고, 그 기능은 무엇인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 논문에서의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장진의 드라마 <박수 칠 때 떠나라>는 한 여성의 죽음을 수사하는 과정을 다루고 있다. 이 작품이 특별한 것은 그 과정을 “정유정 살해사건 특집 생방송 ‘누가 그녀를 죽였는가’” 라는 방송 프로그램으로 제작하여 TV와 라디오를 통해 전국에 방송하는 것으로 설정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장진이 서사적 극작법과 시나리오적 극작법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를 플롯, 인물, 언어, 무대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서사적 극작법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박수 칠 때 떠나라>는 ‘에피소드적 플롯’과 ‘극중극’을 사용하여 관객이 극중 사건에 몰입하지 않고 거리를 두고 사건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게 한다. 두 번째로 ‘해설적 인물’과 ‘재연적 인물’을 등장시켜 관객은 결말에 대한 궁금증보다 과정에 대해 집중하게 된다. 세 번째로 ‘취조와 진술’, ‘증언’, ‘보고’, ‘해설’의 화법을 통해 관객에게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여 관객이 극중 사건을 주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네 번째로 ‘열린 무대’와 ‘다층화 무대’를 사용하여 관객을 드라마가 제시하는 극중 사건에 대해 객관적으로 인식시킨다. 시나리오적 극작법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박수 칠 때 떠나라>는 ‘미스터리와 서스펜스 형식’, ‘몽타주 기법’을 통해 관객의 심리를 조절하고, 긴장감을 유지하게 한다. 두 번째로 중개적인 기능을 하는 다수의 ‘평면적 인물’이 등장하여 관객은 극중 사건의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세 번째로 ‘영상 기술적 언어’와 ‘방송 언어’를 사용하여 시각적인 효과를 통해 관객의 호기심을 유발한다. 네 번째로 ‘다양한 무대’를 사용하여 공간의 변화를 자유롭게 한다. 이를 통해 장진은 연극에 영화적 특성을 도입하고 있다. 장진 드라마 <박수 칠 때 떠나라>의 극작법 연구는 다양한 매체환경 속에서 스토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는 이 시대에 희곡을 비롯한 시나리오, TV드라마 등 드라마 장르 전반의 작법연구 및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Since the 1990s, the theatrical circles in Korea have witnessed decreasing importance of drama due to changes of the trend into placing focus on producers. The reason is that it has become unlikely to make a performance successful by drama alone without production of drama concurrently. Even when performance is given there, it is frequently seen that a drama can not be brought to the stage as fully as it was originally intended. Jang Jin is an active playwriter and artist who is talented in both production as well as dramaturgy of contemporary Korean dramas, covering nearly all forms of media such as movies, TV, etc. The present paper tries to examine the dramaturgy of <The Big Scene> or literally from the angle that it is written by means of ‘antidramatic dramaturgy’ which is different from general ‘dramatic dramaturgy’. In this paper, therefore, attempts were made to introduce ‘epic dramaturgy’ and ‘scenario dramaturgy’ as main forms of ‘antidramatic dramaturgy’ and to investigate in what form it was employed in this work and how it functioned in it. This paper may be summed up as follows: Jang Jin's drama <The Big Scene> deals with a process of investigating an woman's death. The drama is especially unique because it sets up a situation in which a “live program titled ‘who killed her’ in the case of Jeong Yujeong's murder” is produced and broadcast through radio and TV across the country. It is tried in this study to review how Jang Jin made use of epic and scenario dramaturgy under such situation, by dividing them in plot, figures, narration and stage. In terms of epic dramaturgy, it may first of all be said that <The Big Scene> succeeded in inducing the audience to reflect on the case rather from the critical point of view with a little distance kept up from it, not by forcing the audience to directly involve in the case but by employing ‘episodic plot’ and ‘play within the play’ skills. Second, his drama didn't prompt the audience to get to know hastily about the conclusion but rather let them focus on the process by sending ‘a narrative and reproductive figure’ to the stage. Third, this drama utilized such narratives as ‘questioning and statement’, ‘testimony’, ‘report’ and ‘narration’ as a means to impart to the audience new information in order to help them judge the case inside the drama subjectively. Fourth, thanks to ‘open stage’ and ‘multi-stacked stage’ used in this drama, it was possible to support the audience to have an objective awareness of the case in the drama. From the viewpoint of scenario dramaturgy, <The Big Scene> is said, first, to control the sentiment of the audience and keep them in tight suspense through ‘format of mysteries and tensions’ and ‘montage technique’. Second, stage-on of multiple ‘one-dimensional figures’ who played the roles of mediators made the audience easily understand the context of the drama. Third, ‘screen language’ and ‘broadcasting language’ were used in the drama to excite the curiosity of the audience. Fourth, the producer Jang Jin attempted to introduce cinema characters in the drama by creating free changes of space on the ‘versatile stages’. The present study on dramaturgy of Jang Jin's drama <The Big Scene> is expected to promot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ways to create works in overall genres including plays, scenarios and TV dramas in the contemporary age when contents have become more important than ever owing to the background of various media.

      • Gage R&R을 이용한 Air Pressure Sensor 자동검사설비의 유효성 확인에 관한 연구

        정태원 서경대학교 경영문화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Air Pressure Sensor(이하 APS) 는 가정용 보일러의 연소 제어부의 공기량과 가스량을 제어하는 부품으로 가스보일러 연소제어에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고 있는 부품이다. 이 APS를 검사하는 장비인 APS 자동검사 설비는 일반적인 범용 계측기로는 검사할 수 없고, 생산자가 직접 규격을 정하고 제작하는 생산자 요구 측정(검사) 설비이다. APS 자동검사설비는 일반적인 계측기와 같이 검교정이 쉽지 않고, 검교정을 하더라도 검사설비에 부착된 일부 계측기만 가능하다. 그러나 QS 9000에서는 비교 측정기준이 검사에 사용될 경우 그것이 합격품인 것을 검증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APS 자동검사설비의 경우 APS 시료의 변동, 계측기의 변동, 센서의 변동, 입, 출력신호의 변동, 설비자체의 변동 등 여러 가지 변동을 포함하여 측정(검사)하고 있다. 그래서 APS 자동검사설비 마다 변동의 크기가 다르다. 지금까지는 측정값과 목표 값을 비교하여 그 오차범위를 정하고 그 범위 내에 있으면 합격품으로 판정하였다. 하지만, 변동의 크기가 산포가 있어 APS 자동검사설비 간 판정이 바뀌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그래서 APS 자동검사설비의 유효성을 판정하는 새로운 방안으로 Master Sample APS를 이용하여 APS 자동검사설비 Gage R&R(교차)을 통해 유효성을 확인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기존의 방법인 측정값과 목표 값을 비교 판정법 보다는 Gage R&R(교차)을 이용한 APS 자동검사설비의 유효성 검증이 검사설비의 변동 원인 파악과 변동 원인 개선에 더 유효하다고 확인하였다. The Air Pressure Sensor(APS) is a component of control air content and gas content to boiler for home use. It is important component of gas boiler combustion control. APS automatic inspection facility which is inspecting APS is unmeasurable by using a general measuring instrument, and that is manufacturer demand inspection facility that manufacturers produce and decide standard. APS automatic inspection facility meter is not easy as other measuring instrument, Also , we can use only part of attached inspection facility even if we do calibration. However, QS 9000 required to verify that the good found acceptable when comparison measurement standard is used in the test APS automatic inspection facility inspects the APS including various fluctuation, such as fluctuation of APS samples, fluctuation of measuring instruments, fluctuation of sensors, fluctuation of Input/output signals, and fluctuation of APS automatic inspection facilities. So, the size of variation is different for each APS automatic inspection facility. So far determine error range to compare between measurement value and desired value and decide the good found acceptable if it was within range. But sometimes there is an error of judgment. due to the distribution of variation. So, It suggested the new way to check the validation of APS automatic inspection facilities Gage R&R(cross check) by using a Master Sample APS and verified that by experiment.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e validation of APS automatic inspection facility by checking Gage R&R is more effective to understanding cause and improve to variation of a inspection facility than existing method.

      • 프랜차이즈 기업의 사회적 자본이 동적역량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권민희 한성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내외부의 급변하는 환경에 대하여 기업은 단순히 내부적 자원이 아닌 기업이 소속되어 있는 산업의 공급사슬 및 가치사슬 관계에 따라 외부 네트워크 자원으로부터 자원을 대체하고 이러한 변화에 대하여 유동적으로 기회를 탐색 및 자원을 획득하고 재배치한다. 국내 프랜차이즈 산업은 도입 이래로 규모의 성장을 이루고 있으나 대다수 기업이 영세하거나 중소기업의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며 프랜차이즈 비즈니스모델 특성 상 다른 산업군과는 다르게 가맹점사업자라는 독특한 사회적 자본 구조를 갖고 상호보완적인 관계로서 비즈니스가 운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프랜차이즈 기업의 가치사슬관계에서의 사회적 자본과 동적역량 및 경영성과에 대한 영향관계를 파악하여 성과창출요소를 파악하고 기업의 경쟁력 함양에 기여하고자 하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밝혀졌다. 첫째, 사회적 자본과 동적역량의 관계에 있어 구조적 자본의 강도는 동적역량 중 자원획득역량에만 유의한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회탐색역량과 자원재구성역량으로의 영향관계는 입증되지 않았다. 그러나 다중집단분석을 통해 가맹사업 및 매출 규모에 따른 조절효과가 확인되어 해당 가설이 사업 및 매출규모에 따라 영향관계가 상이함을 입증하였다. 둘째, 인지적 자본의 강도는 동적역량 구성 요소인 기회탐색역량, 자원획득역량, 자원재구성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계적 자본의 강도는 기회탐색역량, 자원획득역량, 자원재구성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동적역량 중 기회탐색역량과 자원재구성역량이 재무적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자원획득역량과 재무적 성과의 영향관계는 입증되지 않았으나 가맹사업 규모 및 매출 규모에 따른 조절효과가 검증되어 규모의 차이에 따라 영향관계가 상이함을 입증하였다. 다섯째, 동적역량 구성요소 기회탐색역량, 자원획득역량, 자원재구성역량은 비재무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비재무적 성과는 재무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프랜차이즈 기업의 사회적 자본이 동적역량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확인한 연구라는 점에서 학문적 시사점이 있다. 특히 기존 선행연구의 연구와 다른 연구결과에 따라 연구대상의 가치사슬관계의 특성이 반영된 바로, 산업군 또는 동일 산업군 내 사업규모 및 매출규모마다의 사회적 자본에 대한 영향관계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프랜차이즈 기업에게 기업경영의 전략적 접근을 제시하였다. 향후 프랜차이즈 기업의 사회적 자본을 재정의하고 개념에 대해 재접근함으로써 다양한 분야에서의 세부적인 연구가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인공지능분야 특허의 기술 파급에 관한 연구

        정다운 한성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599

        새로운 시대의 전환기를 맞이하여 전 세계 각 국가에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주요 기술인 인공지능, 자율주행차량, 빅 데이터, 사물인터넷, 로봇공학, 3D 프린팅 등의 개발 또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의 주요 기술 중 인공지능 기술은 기술 분야 간의 융합과 다양한 산업으로의 파급이 활발히 이루어져 앞으로 국가와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 미국, 유럽, 일본 등의 주요국에서는 인공지능과 관련하여 많은 R&D 정책과 투자를 지원하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인공지능 기술 개발 프로젝트를 통해 인공지능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인공지능 시장을 선점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우리나라의 인공지능 기술 수준 및 경쟁력은 선진국 대비 현저하게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서 인공지능 분야의 기술 중 타 기술 분야로 파급력이 큰 기술을 알아봄으로써 국가나 기업에서 R&D 전략 수립 및 투자 시 참고할 근거를 자료를 마련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 기술 특허의 여러 가지 특허 정보들 중 어떠한 정보들이 타 분야로의 파급되는 특허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실증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인공지능 분야의 특허 데이터를 WIPS의 WINTELIPS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미국의 특허분류코드인 USPC 706(Artificial Intelligence)을 활용하여 인공지능 분야의 특허 정보를 수집하였다. 특허 정보는 기술의 활용성과 기술의 권리성 2가지 측면으로 8개의 변수 등 특허정보를 추출하였다. 수집된 특허 정보를 활용하여 인공지능 분야에서 활발히 출원되고 있는 분야를 IPC 코드를 통해서 분석하고, 타 분야로 파급력이 큰 기술 분야를 알 수 있는 기술파급지수(CTI)를 사용하여 인공지능 분야 기술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기술파급지수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타 분야로 파급된 특허문헌수가 필요하다. 이것은 특허흐름행렬표를 참고하여 원 특허와 파급된 특허 사이의 IPC 코드를 비교하여 타 분야로 파급된 특허들의 문헌 수를 도출하여 해당 값을 사용하였다. 인공지능 분야에서 활발히 출원되고 있는 기술 분야를 IPC 코드별로 분석한 결과 1위는 G06F(전기에 의한 데이터처리장치), 2위는 G06N(특허 계산모델 방식의 컴퓨터 시스템), 3위는 G05B(제어계 또는 조정계 일반)로 나타났다. 특허 출원이 많이 되어 있으면, 이에 대한 파급력도 클 것이라 예상되지만, 기술파급지수로는 1위가 G09G(정적수단을 사용하여 가변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의 제어를 위한 장치 또는 회로), 2위가 B60Q(차량의 일반적인 신호 또는 조명장치의 배치), 3위가 G04G(전자시계)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특허가 활발히 출원되고 있는 기술 분야와 기술의 파급이 큰 기술 분야가 같지 않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업 입장에서는 특허가 많이 출원된 기술 분야에 투자하는 것 보다 타 분야로 파급이 큰 기술 분야에 투자하는 것이 다양한 분야로 사업영역을 확장하는 데 더 도움이 될 것이다. 기술파급지수를 통해서 타 분야로의 파급이 많이 되는 기술 분야를 추정해볼 수 있다. 하지만, 기술파급지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타 분야로 파급된 특허문헌수를 알아야한다. 한건의 특허에 대해서 인용한 특허들과 기술 분야를 비교해서 추출하는 데 시간이 소요되며, 인용문헌(forward reference)은 시간이 흘러야 증가되어 최근 특허에 대해서는 인용문헌이 적다. 따라서 타 분야로 파급된 특허문헌수를 예측하는 모형을 연구하였다. 우선,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타 분야로 파급된 특허문헌수와 특허 정보 간에 얼마나 상관관계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기술의 활용성(인용문헌수, 참고문헌수, 도면수, 발명자수, IPC수)과 기술의 권리성(청구항수, 출원인수, 패밀리 국가수)은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나왔고, 출원인수만 음(-)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나타났고, 나머지 변수들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나타났다. 타 분야로 파급된 특허 문헌 수와 상관관계가 있는 8개의 특허 정보 변수를 사용하여 단계적 입력 방식에 의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타 분야로 파급된 특허 문헌수를 예측하는 모형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8개의 변수 중에 4개의 변수가 타 분야로 파급된 문헌들과 가장 영향이 있는 변수로 나타났다. 선택된 변수로는 인용문헌수, 도면수, IPC수, 패밀리 국가수이며, 해당 변수들을 통해 예측 모형을 도출하고, 실제값과 예측값을 비교하였다. 모집단 외에 최근 특허의 파급에 대해서도 예측해 보기 위해서, 모집단의 예측모형의 변수들을 활용하여 설명력 있는 모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얻어진 4개의 변수를 사용하여 모집단의 특허를 연도별로 구간을 나누었다. 각 구간의 회귀식을 구하고, 해당 구간의 타 분야로 파급된 특허문헌수의 실제값과 예측값을 비교하여 보았다. 각 구간별로 변수들의 회귀계수의 변화를 측정하여 최근 연도구간의 예측모형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파급력이 큰 기술을 선점하기 위해 타 분야로 파급된 특허문헌수를 모집단 특허의 예측 모형과 최근 특허의 예측모형을 연구하였다. 해당 연구 결과를 통해서 국가 및 기업 입장에서 인공지능기술의 R&D 전략 수립 시, 기술 투자 시 기술적으로 파급 효과가 있는 기술을 판단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본다.

      • 품질경영시스템 인식수준이 구성원의 직무몰입,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자동차산업을 중심으로

        최후림 서경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study tried to suggest the way of operation of quality management system which can maximize effectiveness of an organization by suggesting the study model similar in perspective of organization behavior for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by proving through empirical research. The existing advanced studies made efforts to do individual study respectively for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organizational behavior' as separate professional area but there was few study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ubjects. By suggesting the necessity of convergent approaching to the two areas, this study tried to prove through empirical research that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organizational behavior keeps mutual complemental relationship in perspective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Besides by conceptualizing the elements which measures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by defining job involve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s 'commitment behaviors' , this study tried to derive way of operation which maximiz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empirical analysis of effect of level of awareness of quality management system toward job performance via involvement behavior of members. The result of this empirical research shows that the level of member's awareness of quality management system affect positively both involvement behavior and job performance. The hypothesis that involvement behavior affects positively job performance was chosen partially and the results of many advanced studies were followed by this study. However it proved that job involv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don't affect job performance significantly. This is the theory different from other advanced studies and the subsequent studies is probably needed. The result of study for mutual effect of elements of involvement behavior is proven to support the result of advanced studies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affects positively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e expect subsequent researches will be followed later and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a foundation for that.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이 직무수행에 임하는 심리적 상태, 즉 몰입의 정도가 조직 효과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품질경영시스템의 구축 및 운영에 대하여 조직행동론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연구모형을 제안하고 실증연구를 통하여 증명함으로써 조직효과성을 극대화하는 품질경영시스템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품질경영시스템’ 분야와 ‘조직행동’ 분야가 각각의 전문영역으로서 개별적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졌으나 두 주제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두 영역의 통섭(統攝)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기함으로써 품질경영시스템과 조직행동이 조직성과의 측면에서 상호 보완적 관계에 있음을 실증 연구하여 입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품질경영시스템과 조직 효과성을 측정하는 요소들을 개념화하고, 매개변수로서 직무몰입과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을 통칭하여 ‘몰입행동(commitment behaviors)’으로 정의하여 품질경영시스템의 인식 수준이 구성원의 몰입행동을 매개로 직무성과에 미치는 상관성을 실증 분석하여 조직 효과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품질경영시스템의 운영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실증연구의 결과로서, 조직구성원의 품질경영시스템 인식 수준이 몰입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직무성과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몰입행동이 직무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은 부분적으로 채택되었으며, 조직시민행동이 직무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많은 선행연구의 결과를 지지하였으나, 자동차산업에서는 직무몰입과 조직몰입은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많은 선행연구의 결과와는 다른 결론으로서 향후 이 부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몰입행동 구성요소간의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는 직무몰입이 조직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조직몰입이 조직시민행동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의 선행연구의 결과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후속 연구가 보다 활발하게 전개되기를 기대하며, 본 연구가 그 밑거름이 되길 희망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