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동훈의 합창곡「Joy Mass」의 분석·연구

        강금구 단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727

        이 논문에서 다루게 될 「Joy Mass」는 한국 작곡가 이동훈의 미사 통상문을 가사로 한 다섯 편의 여성 3부 합창곡이다. 「Joy Mass」를 분석함에 있어 이론적 배경으로 미사의 기원 및 종류, 각 시대별 미사곡의 특징을 알아보고 이 곡의 작곡가인 이동훈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론에서「Joy Mass」 5곡을 가사, 형식, 선율 및 화성 등을 중심으로 분석·연구하였는데 그것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1곡 Kyrie는 3개의 부분으로 되어 있다. 이 곡은 Adagio의 느린 빠르기의 곡으로 동일한 가사를 처음부터 끝까지 반복하고 있으며 전통적인 조성의 틀 안에서 G, A, B, D, E의 5음을 주로 사용하여 한국의 전통적인 음악적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제2곡 Gloria는 가사에 따라 5개의 부분으로 구분되며 이 부분들은 2/4, 6/8, 4/4, 3/4의 각기 다양한 변박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통적인 조성을 가지고 Moderato의 빠르기로 시작한 이 곡은 중간에 Andante로의 변화를 통해 음악적 흐름의 변화를 유도 하고 있으며 이 부분에서 A mixolydian- C mixolydian- A mixolydian선법 음계를 사용해 그 변화의 양상을 더욱 두드러지게 한다. 제3곡 Credo는 3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이 곡은 중세 교회음악의 오르가눔과 같은 3음이 생략된 open chord의 5도 병진행하는 반주부의 화음진행과 A dorian 음계의 사용을 통해 동양 음악적 분위기를 나타내고 있다. 제4곡 Sanctus는 가사의 내용에 따라 음악적 흐름이 바뀌는 곡으로 그 흐름과 조성, 박자의 변화에 따라 다섯 개의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A 부분에서는 소프라노-메조소프라노-알토 순으로 4도씩 하행하며 모방 진행되는 것이 특징이며, B 부분에서는 4도 도약 후 순차진행을 특징으로 하는 모티브가 변형되어 나타나며 이 곡 전체에 통일성을 주는 역할을 한다. C' 부분에서는 동일음 반복을 통한 가사의 강조와 상행하는 선율을 통한 크레센도의 악상을 통해 음악적 긴장감을 고조 시키고 있다. 제5곡 Agnus Dei는 다양한 빠르기 및 박자의 변화로 이 작품에서 변화의 양상이 가장 두드러지는 곡이다. 형식은 크게 3개의 부분으로 구분되어진다. 이 곡은 전반에 걸쳐 f# 단조의 자연단음계가 주로 사용된다. 선율진행은 동일한 합창선율이 호모포닉과 폴리포닉적으로 변화되며 진행되고 있다. 클라이막스 부분은 16분음표로 분할된 리듬의 사용, 소프라노의 성부 분할, 극단적인 다이나믹의 변화 등의 음악요소의 변화를 통해 분위기를 고조시키며 악곡의 마지막 부분은 나란한조인 A major의 으뜸화음으로 종지한다.

      • 이동훈의 여성합창을 위한「Gloria Mass」중 「Gloria」의 분석 연구

        김종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79

        미사는 고유미사와 통상미사로 나뉘는데 그 중 통상미사가 연주회용 미사로 많이 쓰인다. 통상미사는 대개 Kyrie, Gloria, Credo, Sanctus, Agnus Dei 의 여섯 악장으로 되어있다. 이 논문에서 다루게 될 「Gloria Mass」는 한국 작곡가 이동훈이 작곡한 통상미사의 하나로서 Kyrie, Gloria, Credo, Sanctus, Agnus Dei 의 다섯 악장으로 되어 있는데, 그 중 Gloria는 Gloria, Laudamus te, Gratias, Domine Deus Agnus Dei, Quoniam - Cum Sancto Spiritu 5곡으로 세분하여 Gloria를 강조하고 있다. 「Gloria Mass」를 분석함에 앞서 이론적 배경으로 미사의 기원 및 종류, 미사 의식의 순서와 종류, 미사곡의 시대별 특징을 알아보고 이 곡의 작곡가인 이동훈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론에서는 Gloria의 5곡을 가사, 형식, 선율 및 화성, 연주상의 유의점 등을 중심으로 분석·연구하였는데 그것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Gloria는 서주부, A부분, B부분으로 되어 있다. B♭Major로서 주요 3화음의 불규칙적 제2전위 사용, 보조음(neighbouring tone)과 전타음(Appoggiatura)등의 비화성음과 부속7화음 등을 자주 사용하고 있다. Laudamus te는 소프라노 아리아로 조성의 변화와 음악적인 흐름에 따라 A부분, B부분, C부분으로 나뉜다. A부분과 B부분은 4/4박자의 Andante의 빠르기로 F Major→ f minor→ A♭ Major로 전조되며, C부분에서 F Major로 돌아온다. 화성은 변성화음과 부속화음, 부감화음, 부가음 등이 사용되며, Glorificamus te 를 화려하고 다양한 선율의 변형으로 가사를 강조하고 있다. Gratias는 호모포닉(homohonic)한 A부분과, 폴리포닉(polyphonic)한 B부분으로 되어있다. C 단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끈음과 으뜸음의 관계가 정확하지 않아 에올리아의 성격을 보인다. Domine Deus, Agnus Dei는 솔로와 합창파트가 응답형식으로 노래하며, 음색의 대비와 악상의 변화로 긴장감을 주고 있다. 또한 반주부에서 옥타브 진행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동형진행이 많이 사용되어 가사를 강조하고 있다. Quoniam - Cum Sancto Spiritu는 F Major로 진행하는 호모포닉한 a부분에서는 음정과 리듬변형을 통해, 단조로워 질 수 있는 음악적 흐름에 불규칙성을 부여하여 흥미를 유발하고 있다. 폴리포닉한 b부분의 제1주제는 완전4도 도약과 단2도 하행, 장2도 상행의 특징이 있고, 제2주제(대주제)도 완전4도와 단2도, 장2도의 진행을 가지고 있어 제1주제와 통일성을 나타내고 있다. 마지막 부분에서는 모든 파트의 선율이 호모포닉하게 나오는데 소프라노 성부의 도약 음정 사용, 반주 부분에서 16분음표로 분할된 리듬의 사용, f 로 시작하여 크레센도 되는 악상 등 음악 요소의 변화를 통하여 분위기를 고조시키며 정격종지로 끝난다. Mass is divided into two parts, 'Missa Proporium' and 'Missa Ordinarium'. In these two types of mass, 'Missa Ordinarium' which is performed especially for the concert consists of five movements that are Kyrie, Gloria, Credo, Sanctus, Agnus Dei. 「Gloria Mass」which is analysed in this study is Missa Brevis composed by Dong-hoon Lee consisting of five movements 'Kyrie, Gloria, Credo, Sanctus and Agnus Dei. To look in detail, Gloria of the five movements is composed with five movements 'Gloria, Laudamus te, Gratias, Domine Deus Agnus Dei, Quoniam - Cum Sancto Spiritu' to emphasize the Gloria. Before the major analysis on Gloria Mass, theoretical background is examined in terms of origin, types, order of service and characteristic of mass in different era as well as looking into the composer, Dong-hoon Lee. In main point, the five movements of Gloria are analysed in terms of lyrics, form, melody, harmony and notice for performance. The summary is as follow. Gloria consists of three sections which are introduction, section A and B in Bb Major. There are various points of using a irregular second inversion of major triad, neighbouring tone, appoggiatura, non-harmonic tone and secondary dominant 7th chord. Laudamus te, aria for soprano is divided into section A, B and C along the changes of tonality and musical stream. There is modulation of 'F Major→ f minor→ A♭ Major' with a tempo of Andante in 4/4 time through the section A and B, followed by section C that tonality goes back to F major. There are variant chord, secondary dominant 7th chord, secondary diminished chord and added notes founded in terms of harmonization and changes of various brilliant melody line of Glorificamus te emphasize on lyrics. Gratias consists of section A which is homophonic and section B which is polyphonic. Tonality is based on C minor, but Aeolian mode is shown due to the uncertain relation between tonic and leading tone. Domine Deus, Agnus Dei is composed for solo and chorus in the form of question and answer building up the tension through the contrast of timbre and changes of theme. In accompaniment part, there is a noticeable distinction in octave progression and sequence are frequently used to emphasize the lyrics. Quoniam - Cum Sancto Spiritu consists of two section , A and B. Section A in F major is homophonic, showing a variation of tune and rhythm to create an excitement by adding an irregulation in musical flow. In section B in polyphonic texture has a distinctive features of leap of perfect 4th, descending minor 2nd and ascending major second whereas the second subject(counter subject) has a progression of 'perfect 4th-minor 2nd-major 2nd' which shows unity of the first subject. At the last part, melody of all the parts come in homophonic texture building up to a climax by a leap of soprano part, divided semi-quaver rhythm in accompaniment and crescendo started from f, followed by authentic cadence at the end.

      • 이동훈「Gloria Mass」의 분석·연구

        장동석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79

        The 「Gloria Mass」 for the mixed choir by Dong-hoon Lee was composed in 2010 because of a request from the Eujungbu Municipal boys and girls chorus. This piece comprises of the mass ordinarium, which divided into five pieces: Kyrie, Gloria, Credo, Sanctus, Agnus Dei Prior to the analytical study on the「Gloria Mass」,I surueyed the composer and his works, as well as the meaning, origin, type, and character of 20th century masses. The First piece: Kyrie is composed of three movements in F Major and appears intervals of 4th frquently with irregular time signature. The second piece: Gloria is composed of five movements: Gloria, Laudamus te, Gratias, Domine Deus Agnus Dei, and Quoniam – Cum Sancto Spiritu. In this piece, 'repeated unison' and 'intervals of 4th is importantly' used in the movement Gloria. In Laudamus te, 'intervals of 6th' and passing tone is significant. In Gratias, the tonality and modal counterpoint is used alternately with intervals of 4th. The melody used in the Domine Deus Agnus Dei, alternatively gives and receives back and forth with the solo and chorus. In Quoniam – Cum Sancto Spiritu, the characters posses a contrapuntal melody and copy, and is carried out consisting of the same sounds repeated and transferred melody forms. The third Piece: Credo, using 'intervals of 2nd 3rd' of grace notes, parallel motions of 5th, and alternately switching off between the Bb Aeolian and Bb Major emphasis Korean musical mood. The Fourth piece: Sanctus is keeps changing key signatures. Especially using of different key signatures between beginning and the end is one of the prominent and eye-catching element of this piece. The fifth piece: Agnus Dei is composed of the E Aeolian, G Aeolian, in Bb Major. Like the other pieces of the 「Gloria Mass」,it is composed importantly in 'intervals of 4th' and uses the Korean musical rhythm. The 「Gloria Mass」 for the Mixed Choir by Dong-Hoon Lee is composed mainly intervals of 4th and 6th' and grace notes of intervals of 3rd' are used to parallel harmonies which emphasis the Korean musical rhythm. These elements exemplify the various usages of harmony. Lastly, the emotion, rhythm, and character of the Korean musical melody is used which naturally and freely incorporates the Korean musical style into the mass. 이동훈의 「Gloria Mass」는 의정부시립소년소녀합창단의 위촉으로 2010년에 작곡되었다. 이 곡은 Kyrie(주여, 우리를 불쌍히 여기소서), Gloria(저 높은 곳에 영광), Credo(신앙고백), Sanctus(거룩하시다), Agnus dei(하나님의 어린 양)의 5개의 곡으로 이루어진 통상미사의 하나이다. 이동훈의 「Gloria Mass」를 분석 연구하기에 앞서 이론적 배경으로 미사의 의미와 유래, 미사의 종류, 20세기 이후 미사음악의 특징을 알아보고 작곡가에 대한 연구와 작품의 대략적인 개요를 연구하였다. 본론에서는 「Gloria Mass」총 다섯 곡을 가사, 형식 및 구조, 선율 및 리듬, 화성, 연주상의 유의점을 중심으로 분석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 1곡 Kyrie는 F Major의 조성을 중심으로 세부분으로 구성되며 6도 도약음정과 변박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제 2곡 Gloria는 Gloria, Laudamus te, Gratias, Domine Deus Agnus Dei, Quoniam - Cum Sancto Spiritu 의 5곡으로 세분화되어 구성되어 있다. Gloria에서는 동음반복과 소프라노 선율에서의 4도 도약하는 음정이 중요하게 사용되었고 Laudamus te에서는 6도 도약음정과 순차진행이 중요한 요소로 사용되었다. Gratias에서는 c minor조성과 C Aeolian선법이 교대로 사용되었고 4도 도약음정이 중요한 요소로 사용되었으며 Domine Deus Agnus Dei에서는 소프라노 독창성부와 합창성부가 서로 주고받는 선율이 중요한 요소로 사용되었다. Quoniam - Cum Sancto Spiritu에서는 동음반복으로 이루어진 선율과 모방, 변형되어 나타나는 선율의 형태가 대위법적으로 진행하는 특징을 보인다. 제 3곡 Credo는 2도와 3도음정의 꾸밈음 사용과 5도 병진행이 한국음악적인 분위기를 가지고 나타나며 Bb Aeolian 와 Bb Major의 조성이 교대로 사용되었다. 제 4곡 Sanctus는 다양한 조성으로의 전조와 선법의 사용이 나타나며 시작하는 부분의 조성과 끝나는 부분의 조성이 다른 점도 눈에 띠는 요소 중 의 하나이다. 제 5곡 Agnus dei는 E Aeolian, G Aeolian등의 선법을 사용하였고 Bb Major도 나타난다. 성부 간 선율의 4도 도약음정이 중요하게 사용되었으며 한국음악적인 특징을 지닌 리듬이 사용되었다. 이동훈의「Gloria Mass」는 전체적으로 6도와 4도 도약음정이 중요하게 사용되었고 2도와 3도음정의 꾸밈음 사용과 5도 병진행이 쓰인다. 주요3화음을 주로 사용하여 거기에 선법이 중심이 되어 나타나기도 하면서 자유롭고 다양한 화음의 사용을 보여준다. 또한 한국음악적인 특징을 지닌 선율과 리듬을 사용하여 한국적인 감성을 미사음악에 표현하였다.

      • Robust E-Mail protocols with enhanced privacy

        김범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15

        As the number of users has been explosively increased, e-mail has become one of the widely used applications on internet. However, an intrusion on the privacy of a user can happen by eavesdropping the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a sender and a recipient or hacking the e-mail account of a user. PGP is a good solution to guard the user's privacy. It conceals the communicated messages (i.e., e-mail contents) and provides authentication of an origin. However, unfortunately, PGP can not guarantee user's privacy if the private key related with the recipient's public key is exposed by hacking or system failure. Therefore, we should consider the security of the users' private keys. In this paper, we introduce new e-mail protocols which keeps the user's privacy even though his/her private key is revealed.

      • 장기 모니터링에 의한 대기 중 PCDDs/Fs 및 Dioxin-like PCBs 거동 연구

        김동기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경기도 도시 대기 환경 중 PCDDs/Fs와 dl-PCBs 화합물질의 거동을 이해하고자, 2001년부터 10년간 모니터링을 수행하고250여 건의 분석 데이터로부터 지역별 시․공간적 농도 분포특성을 평가하고, 기초 지역 대기 중 배출원 평가 및 대기 질 개선 전․후 가스-입자 분리 정량 자료를 이용하여 대기 질 개선에 따른 지역 발생원 및 거동을 해석하기 위하여 가스-입자 분배를 평가하였다. 지난 10년간 다이옥신 관리정책의 지속적 추진에 의한 대기 질 개선으로 대기 중 PCDDs/Fs 농도는 평균 0.554 pg-TEQ/㎥에서 0.129 pg-TEQ/㎥으로 77 % 감소하였고, dl-PCBs는 0.049 pg-TEQ/㎥에서 0.01 pg-TEQ/㎥으로 80 %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기 중 농도 감소에 대한 PCDDs/Fs 반감기는 평균 2.3∼3.3년, dl-PCBs는 평균 5.5∼7년 이었으며, 공업지역에서 감소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대기시료 중 PCDDs/Fs의 동질체 분포패턴은 소각시설과 그리고 dl-PCBs는 이전 사용된 PCBs 제품의 분포패턴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PCDDs/Fs은 소각시설 등 산업계 배출시설이 주요 발생원인 것으로 인식되며, 기온의 변화에 따라 주거지역에서 확인되는 계절별 농도변동(겨울 > 여름) 패턴이 발생원을 포함하는 공업지역은 비계절적 배출시설의 영향으로 계절적 농도변동 패턴이 나타나지 않았다. PCBs는 기온의 상승에 따른 휘발과 산업계 배출시설 주요 발생원인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기온 상승에 따른 가스상 농도의 증가는 여름철 농도를 증가시키며 계절적 농도변동 패턴의 원인으로 판단된다. 동질체 프로파일에 따른 요인분석 결과 PCDDs/Fs 17종과 PCB-81, PCB-126, PCB-169, PCB-189 등은 소각 등 연소요인과 높은 가지며, PCB-105, PCB-114, PCB-118, PCB-123 등은 기온 변화에 따른 휘발요인, PCB-77, -156, -157, -167 등은 연소 및 휘발의 영향을 각각 받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PCDDs/Fs 독성농도와 PCB-169 농도의 선형적 관계((R2=0.75)로 부터 대기 중 PCB-169의 농도는 PCDDs/Fs 독성농도를 효과적으로 유추 할 수 있었다. Clausius-Clapeyron 식을 이용한 dl-PCBs 농도와 대기온도의 관계로부터 주거․공업지역 dl-PCBs 농도는 장거리 이동의 영향보다는 지역 발생원의 영향이 지배적인 것으로 해석되었으며, PCDDs/Fs와 dl-PCBs의 가스-입자 분배평형을 표현하는logKP - log의 2004년과 2012년 두 기간의 기울기의 변화는 대기환경 개선과 대기 중 입자와 PCDDs/Fs과 PCBs간 흡착속도의 차이로 설명 될 수 있으며, 두 기간의 예측-실측 입자분율의 차이는 2012년 가스상의 분포 증가 때문으로, 대기 중 상대적으로 깨끗한 먼지 입자에 흡착되어 존재하고 기온이 높아지면 쉽게 탈착되어 가스상 농도 분율이 증가했기 때문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 결과는 다이옥신류의 환경 중 거동 연구, 환경 위해성평가에 기초 자료로 활용 가능하고, 잔류성유기오염물질 관리정책 추진의 평가, 스톡홀름협약의 이행 등의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다이옥신류에 대한 기초지역에 대한 평가로 배출원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정책 수립에 필요한 자료로 활용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atmospheric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and dibenzofurans (PCDDs/Fs) and dioxin-like polychlorinated biphenyls (dl-PCBs) in Gyeonggi-do for 10 years (from 2001 to 2010). To provide more details regard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PCDDs/Fs and dl-PCBs in the ambient environment, the regional, seasonal level, and gas/particle partitions at urban and industrial areas after implementation of emission reduction efforts for their sources were also investigated. As the environmental policy for the management of dioxin became more stringent over the decade,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PCDDs/Fs in the Gyeonggi-do atmosphere decreased from 0.554 pg-TEQ/m3 in 2001 to 0.129 pg-TEQ/m3in 2010, approximately a 77 % reduction rate, and those of dl-PCBs decreased from 0.049 pg-TEQ/m3in 2001 to 0.010 pg-TEQ/m3 in 2010, approximately an 80 % reduction rate. The average half-lives for PCDDs/Fs in the ambient environment ranged from 2.3 to 3.3 years, and those for dl-PCBs ranged from 5.5 to 7 years, and the average half-lives were higher at residential sites than those at industrial sites. The congeners profile of PCDDs/Fs in the ambient environment was similar to those of municipal solid waste incinerators (MSWIs), while the profile of dl-PCBs showed a similarity to the commercial fluids in PCB products such as Aroclor, Kanechlor, and Clophen. Atmospheric PCDD/F levels were mainly affected by the emissions from MSWIs and industrial facilitie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they were distinctly higher during winter than summer at residential sites; however,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seasonal averages at industrial sites owing to the direct effect of emission sources. With regard to dl-PCBs, atmospheric concentrations were higher in summer and lower in winter due to higher vapor pressure with increasing temperature. This result is because they can still be released into the atmosphere through recirculation and re-volatilization from contaminated soil and surface water. We observed a good relationship among PCDDs/Fs (17 species), PCB-81, PCB-126, PCB-169, and PCB-189, through a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of the congeners profiles. Due to these congeners being located close to each other, they were associated with thermal processes such as incinerators. PCB-105, PCB-114, PCB-118, and PCB-123 levels were affected by volatilization factors depending on the ambient temperature. PCB-77, PCB-156, PCB-157, and PCB-167 levels were related to both thermal sources and volatilization. The 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ntrations of the I-TEQ of PCDDs/Fs and PCB-169 showed good correlation, with R2=0.75, indicating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I-TEQ of PCDDs/Fs can be deduced from that of PCB-169.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dl-PCBs and the ambient temperature using the Clausius-Clapeyron equation, dl-PCB concentrations were found to be affected mainly by emission sources rather than long-range transport. The difference and variation of slope the log logKP versus log in 2004 and 2012 illustrate the improvement of ambient air quality and the difference in kinetic adsorption. The difference between predicted and measured particle-gas partition coefficients in 2004 and 2012 resulted from an increasing gas phase in 2012. And the variation of slope values may be affected by several factors, such as the gas phase of PCDDs/Fs, dl-PCB adsorption on relatively clean particles, and the easy desorption kinetic with increasing temperature over the measurement period.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comprehensive and essential information for the analysis of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 behavior in the environment, and their risk assessment. It also offers a further aid for assessing POPs management policy in order to implement the Stockholm Convention.

      • 한국의 전략환경평가와 환경영향평가에 스크리닝(Screening) 도입에 관한 연구

        이호중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환경영향평가 제도가 도입 된 지 30년이 지났으나 선진외국에서 도입되어 있는 스크리닝(Screening) 단계를 도입하지 않고 사전에 법령에 평가대상계획과 사업을 규정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어서 평가대상 선정에 있어서 지역 특성이 고려되지 못하고 있으며, 환경영향이 적은 사업에 환경영향이 큰 사업과 동일한 환경평가 절차를 적용할 수 있어 불필요한 사회적 비용과 부담을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 환경평가와 스크리닝 사례조사, 선행 연구자료 검토를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이를 토대로 환경평가 대상사업이 많은 공공기관 사업자(26명), 평가서 작성대행자(54명), 협의자(27명, 환경부와 지방환경청), 검토자(8명,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등 환경평가 4개 각 분야의 업무 담당자 총 115명에 대해 설문조사하였고, 환경평가 전문가 면담조사를 통해 스크리닝 도입의 쟁점사항, 설문조사 결과 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69%가 스크리닝 제도 도입에 매우 또는 대체로 동의한다는 의견이었으며, 응답자의 18%는 보통(중립), 응답자의 13%(15명)는 매우 또는 대체로 동의하지 않음으로 나타났다. 동의하지 않음으로 응답한 자는 주로 환경평가서 검토자와 사업자 그리고 5~10년 이상의 환경평가 경험자에게서 높게 나타났다. 스크리닝 도입 시 지역특성 반영 등 현재의 평가대상 선정방법 개선, 평가기간의 단축과 비용의 절감, 공공참여 확대를 통한 사회갈등 저감 등의 기대효과에 대해 응답자의 59~67%가 매우 또는 대체로 동의한다는 의견이었다. 스크리닝 도입시 예상되는 문제점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사업자와 작성대행자는 환경평가기간의 장기화, 비용의 증가에 동의하는 응답자가 많았으나, 반면 협의자와 검토자는 동의하지 않는다는 의견이 높게 나타나 서로 상반된 인식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업자와 작성대행자는 ‘공무원의 자의적인 판단 등 객관적인 스크리닝이 되기 어렵다’와 ‘외부의 압력으로 스크리닝 결정 왜곡’에 대해 동의하는 비율이 높았으나, 협의자와 검토자는 반대의 생각을 갖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전문가 등으로 스크리닝 위원회 구성․운영, 스크리닝 결과 공고와 의견제출 기회 부여, 스크리닝 대상사업은 환경영향 저감방안을 심의하여 ‘평가를 종료’하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외국의 스크리닝 방식 중에서 우리나라에 도입하기에 적합한 모델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의무평가 환경평가 대상’과 ‘스크리닝 대상’으로 구분하여 적용하는 유럽, 일본 방식을 선호하였다. 스크리닝 절차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승인기관의 장이 사업자의 스크리닝 요구서를 협의기관의 장에게 보내면 협의기관의 장은 스크리닝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협의의견을 송부하는 절차로 진행하는 방식을 가장 선호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문조사를 기초로 전략환경영향평가 대상 정책계획 54개를 ‘의무평가 대상’과 ‘스크리닝 대상’으로 분류하여 제시하였고, 전략환경영향평가 대상 개발기본계획, 환경영향평가 대상 사업, 소규모 환경영향평가 대상사업에 대해서스크리닝 대상을 구분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30년의 환경평가 경험을 통해 충분한 전문성이 축적되었고, 스크리닝 절차와 기법 연구를 통해 예상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므로 환경영향의 정도를 고려하여 평가대상 여부를 선정하는 스크리닝 제도가 도입되어 선진적인 환경평가 체계로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주요어 : 환경영향평가, 전략환경영향평가, 소규모 환경영향평가, 스크리닝, 평가대상 선정, 설문조사, 사례연구, 정책계획, 개발기본계획, 공공참여 More than 30 years has passed since Korea enacted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system. However, screening stage has not been part of the EIA process. We cannot consider site-specific elements when deciding whether some projects require EIA, and may have spent unnecessary social costs by conducting the same EIA for projects, which have less significant environmental impact with projects, which makes significant environmental impact. This paper aims to develop a screening model well suited for Korea, as part of the EIA and Strategic Environment Assessment (SEA) procedure, learning lessons from overseas EIA and SEA system and case studies. I recognized issues while searching through literature, and then surveyed targeting consultants, coordinators (Ministry of Environment), specialized review agency (Korea Environment Institute) staff, and project executers. Among the survey respondents, 69 percent agreed to introducing screening stage; 18 percent was neutral; 13 percent was against it. Most Respondents oppose to screening stage are reviewers, project executors and have at least 5 years of experience in EIA & SEA. About 59 - 67 percent of respondents agreed that screening would improve the current way of determining target project, save cost and time, and minimize social conflict. However, just 40 percent of respondents thought screening would increase the number of target projects. Respondents were afraid of an arbitrary screening decision. As shown in the survey, 41 percent of respondents think screening process is not easy to be objective. Thirty eight percent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introduction of screening stage would delay EIA & SEA process. Thirty three percent of respondents, especially project executers and consultants, were concerned about extra cost. However, just 27 percent of respondents thought screening stage would reduce the number of target project by exempting some projects from EIA & SEA. To relieve the concerns, European screening system can be a choice, which classifies target project into Class 1: obligatory assessment list, and Class 2: screening list. Class 1 projects do not require screening stage. Class 2 projects proceed to the next stage without screening stage if project executor wants. In addition to that, screening committee will be useful for resolving the problem. This study classified 54 SEA long-term target plans into Class 1 and Class 2 based on survey. Also proposed in this paper is how to sort SEA target plans, EIA target projects and small-scale EIA projects into two categories. It certainly is time to introduce screening stage because Korea has enough experience in EIA, and careful system design can surely prevent the anticipated concerns. Key words: EIA, SEA, Screening, Survey, Case Study, Long-term plan, Public participation

      • 수분 증발에 따른 매립지 복토토양의 메탄산화에 관한 연구

        윤종현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Methane, which is produced from the decomposition of the organic fraction of MSW,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greenhouse gas. The global warming potential of methane is 21 times greater than carbon dioxide, and 11% of the total anthropogenic greenhouse effect is contributable to methane. However, part of methane that diffuses through the landfill cover will be oxidized befor reaching the atmosphere. Methanotrophs methane oxidation thus forms an alternative to landfill gas estraction for the mitigation of the methane emission. Thereupon, We carried out an batch experiment and a continuous gas injection test using column, under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methane oxidation rate, soil moisture, effect of water evaporation on methane oxidation rate using landfill cover soil. Batch experiment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rates and the kinetic values of methane consumption in landfill cover soil and examine the effect of carbon dioxide on methane oxidation. Methanotrophs oxidized methane and converted to carbon dioxide, and methane oxidation had reaction pattern of Michaelis-Menten kinetics. The kinetic parameters of methane oxidation, the apparent Km (methane concentration at half of the maximal rate of methane oxidation) and the Vmax (the maximal rate of methane oxidation) were obtained 4,489 ppmv and 1,871 nmol/g dry soil/hr, respectively. The methane oxidation rate was 2,932 nmol/g dry soil/hr at the moisture content of 8% (by wt/wt) and this indicated 10% was the optimum moisture content. Wet conditions limited methane oxidation by restricting gas phase diffusion and dry conditions limited microbial activities due to physiological water stress. In column test, landfill gas (CH4 : CO2 = 55 : 45) was injected into the packed landfill cover soil. The methane oxidation rate was found to be low as 0.92 L-CH4/m2/hr by the initial time, and then it increased to 6.52 L-CH4/m2/hr by the elapsed time, 43 day, which was about 90% of methane flowed in the column. Cover soil column was compared with control column and which was showed about 1% lower water content than control column. Moisture content was decreased from the top soil by the water evaporation which was observed differently as soil depth. Through of This study, Landfill cover soil was changed differently as soil depth by water evaporation, so methane oxidation was considered differently as soil depth. Although moisture content was decreased from landfill cover soil by water evaporation, the moisture content supply by the rainfall will operate importantly in methane oxidation. 혐기성 조건하에서 페기물이 분해되는 과정 중에 발생되는 메탄가스(CH4)는 지구온난화를 야기 시키는 가장 주요한 기체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메탄은 GWP가 이산화탄소(CO2)에 비해 21배 큰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폐기물 매립지로부터 유출되는 메탄의 양은 전 지구적으로 총 인위적 발생원 중 11%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메탄의 일정 부분은 매립지의 복토층을 통하여 대기 중으로 발산되기 전 복토층에서의 메탄이용미생물(methanotrophs)에의해 산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methantrophs의 생물학적 반응은 매립지의 표면을 통한 메탄의 대기 발산량을 저감시키는 하나의 대안으로 고려되고 있다. 하지만, 생물학적 메탄산화는 기후조건에 많은 영향을 받으며 특히 함수율과 온도 등의 환경인자에 민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매립지 복토토양의 회분식 실험 및 연속식 컬럼실험을 수행하여 메탄산화의 속도 및 수분함량의 영향, 수분증발에 따른 매립지의 메탄산화 등의 환경인자들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복토토양의 메탄이용미생물은 메탄을 산화하여 이산화탄소로 전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반응패턴은 Michaelis-Menten kinetics의 형태를 나타내었으며, 최대메탄산화속도 Vmax와 Michelis 상수 Km은 각각 1,871 nmol/g dry soil/ hr와 4,489 ppmv로 계산되었다. 최적토양함수율은 8% (by w/w)였으며, 그때 평균 메탄산화속도는 2,932 nmol/g dry soil/hr로 측정되었다. 최적함수율에서 함수율이 높아질 때는 토양 공극내에 채워진 수분에 의해 가스상의 기질이동속도가 감소되어 미생물에 의한 기질이용도가 낮아짐으로써 메탄산화속도가 감소하였으며, 함수율이 낮아질 경우 미생물이 서식하기 위한 수분이 부족하게 되어 미생물 활성이 떨어지게 되었다. 복토토양이 충전된 컬럼에 인공 매립가스(CH4 : CO2 = 55 : 45)를 유량 10mL/nin 주입하여 수분증발에 의한 메탄산화율을 구하였는데 컬럼의 수분증발에 따른 메탄산화를 확인한 결과 초기 메탄플럭스는 0.92 L-CH4/m2/hr 였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메탄플럭스는 점차 증가하여 6.52 L-CH4/m2/hr로 조사 되었으며 유입 유량 8.76 L-CH4/m2/hr에 대하여 초기 최대 90%의 저감효과가 나타났다. 컬럼의 수분변화는 초기 복토토양의 경우 control 토양에 비해 약 1%의 낮은 수분함량을 보였으며 수분 증발산에 의해 상부에서부터 수분 감소현상이 나타나면서 깊이별로 다른 수분함량을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하였다. 본 실험을 통하여 현장의 복토토양에 있어서도 수분증발에 의해서 깊이별로 수분함량이 다르게 변하며 그로인하여 메탄산화가 깊이별로 다르게 나타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수분 증발에 의해 점차 수분함량이 감소하여도 강우에 의한 수분공급으로 인하여 복토토양의 메탄산화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판단된다.

      • 국내 준호기성 매립 기술의 도입 실태 조사 및 개선에 관한 기초연구

        김희정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폐기물 매립지는 미생물 환경에 따라 호기성, 혐기성, 혐기-무산소, 호기-혐기성, 준호기성 매립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 중 준호기성 매립은 매립지내 호기영역을 증대시켜 폐기물의 분해를 촉진시키고 메탄 발생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여 매립지를 조기 안정화 시키는 기술로서 여러 국가에서 도입되어 운영 중인 기술이다. 우리나라에서 운영 중인 대부분의 매립지는 중소규모로서 대규모 매립지에 비해 발생되는 메탄의 처리가 어려워 메탄을 이산화탄소로 전환시키는 준호기성 매립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매립지 설계나 운영 등의 명확한 기준 없이 무분별하게 사용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와 현장조사 및 관련법규의 검토를 통해 우리나라 준호기성 매립지의 개선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자료를 토대로 사용 중 매립지 183개소와 사용 종료 매립지 109개소를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 국내 매립지 중 2000년 이후에 매립이 시작된 매립지의 약 63%는 준호기성 매립 공법을 적용하고 있다고 응답하였고 그 비율은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보였다. 이들 매립지의 준호기성 매립 공법의 설계 요인으로는 약 35%가 공기 공급공 설치, 약 23%가 집배수관 설치, 약 17%가 가스배제공 설치, 약 13%가 cell 방식, 약 13%가 기타라고 응답한 반면 침출수의 수위 조절 등 운영에 관한 언급은 전무한 상황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현장 조사에서도 가스배제공과 공기공급공의 항목에서 시공상의 문제, 관리 부실 및 침출수 유입으로 인한 운영상의 문제들이 지적되었다. 관련 법규의 경우 국내 폐기물 관리법과 일본의 폐기물·리사이클 법령을 토대로 살펴본 결과 국내 및 일본의 폐기물 법규에서는 환경리스크에 따라 처분장을 분리하여 지정하고 있으므로 매립공법의 하나인 준호기성에 대한 언급이 전무하였다. 따라서 준호기 상태를 적절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각 문헌에서 제시하는 침출수 집배수관과 가스배제공 설계 및 유량조정조의 용량 등의 대한 항목에 대해 기준 값을 참고로 하여 실 매립지 설계에 사용하여야한다. Landfill techniques can be generally classified into aerobic, anaerobic, anaerobic-facultative, hybrid and semi-aerobic systems, according to the microbial make-up of the substrate. Among the landfill techniques, semi-aerobic systems induce aerobic conditions within the landfill initially, in order to stabilize landfill more effectively, and reduce the production of methane gas. Most landfills operated in Korea are small and medium scaleis size, which makes it more difficult to efficiently capture methane compared with larger ones. Therefore, such semi-aerobic landfill management techniques are highly appropriate within many sites in Korea, and can be used to lessen the environmental impact of gaseous carbon emissions. However, in the past, landfills have been used indiscreetly and without the application of clear standards relating to their design and operation. Hence,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which, through survey, on-site investigation, and review of related relations and rules, attempts to identify retrospective measures for the cleaner and more efficient operation of landfill sites within Korea. Based on a review of national waste occurrence and disposal data, we selected 185 operational landfills and 109 closed landfills. Among the landfills in use, and when questioned, about 61% responded that they applied semi-aerobic management techniques, the earliest of which was initiated in 2000. In addition, their application has gradually increased over the years. Among the positive respondents, about 35% stated that they had installed air supply pipes, 23% had installed leachate collection pipes, 17% installed gas venting pipes, 13% reported using the cell method, and about 13% reported the use of other methods. However, the main focus of these applications appears to be on the installment of leachate collection pipes or gas venting pipes, but not the operation of the system, such as the controlling the leachate levels. During on-site investigations, many problems associated with gas venting pipes and air supply pipes were observed, and were attributed to improper construction, mismanagement, and the inflow of leachate. We further examined the waste management laws of Korea, as well as Japanese laws relating to waste recycling. Under these laws, wastes must be disposed of and allocated to different sites separately, depending on the degree of environmental risk that they pose, however, there is no reference to the aeration techniques employed during the storage and biodegradation of these wastes. Thus, in order to manage semi-aerobic landfill sites properly, authorities should currently apply the standard values suggested in various research papers, as there is a clear absence of official guideline for issues such as leachate collection, gas venting, and flow capacities.

      • 국내 RDF 제조시설의 乾燥工程 평가와 개선에 관한 연구

        이승준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Recently, in Korea and outside, interest in new renewable energy is growing and facility investment have been made. Waste solid fuel facilities even receive a lot of interest and that project is going along. However, equipment that has been introduced in the country, has occurred such as a problem can not be a clear picture of the characteristics and properties of domestic waste, excess energy is turned on production yield of RDF. In particular, there is a situation in which energy costs are charged to the drying step is increased in predicting unclear water content of the waste loading. Therefore, in this study because it derives a range of representative moisture content through the Monte Carlo simulation for uncertainty of the moisture content of life waste of domestic, is planning the drying process in the future presents as a reference for evaluating the need for drying process when comparison of production yield and input energy MT facilities currently in operation, analyze, trying suggested alternatives assessment and the need for drying step. As a result of analyzing statistical data and literature search related to domestic waste, paper, plastic, etc. is analyzed high, based on such variation,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of the water content of the composition Another household waste in domestic results were analyzed by Monte Carlo simulation of the water content was analyzed as 19.4 to 46.2% with 95% confidence interval criteria. The moisture content of the waste so you can from about 20 to up to 45% change, which was able to know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risk minimization against variations in moisture content. If that take 1.68% about dry method of lines, so sorting by specific gravity is the main method of selecting domestic MT Facility, comparison result RDF production volume specific energy usage of the facility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drying process, line drying after sorting it is thought that the homogenization of water of waste is carried out from the drying method after method, are screened, and increased 27.93% about RDF production combustible content is fuels in organic screening efficiency is increased. However, because of the situation moisture content of the waste is carried actually,'s being carried up to about 45-55% higher tha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quipment planned a range of water content wider planning Property it is necessary to select. Further, it is determined so aggravate the economy of facilities fossil more energy is used to be homogenized by drying current methods, Being evaluated MBT technology advanced in the country high technical applicability to high moisture content waste and use less energy to operate a facility. Bio-drying the new homogenization method was found to necessity. we must be carried out research and introduce new homogenization measure. 최근 국내·외에서는 신·재생에너지에 관심이 증가하고 시설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폐기물 고형연료화 시설도 많은 관심이 받고 사업진행이 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 도입된 시설은 국내 폐기물 성상 및 특성을 명확히 파악하지 못하여 과도한 에너지가 투입되고, RDF 생산 수율이 떨어지는 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특히 반입폐기물의 불명확한 함수율 예측에 의하여 건조 공정에 투입되는 에너지 비용이 많이 증가하는 상황에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생활폐기물 수분함량의 불확도(Uncertainty)를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onte-Carlo Simulation)을 통해 대표 함수율 범위를 도출 하므로, 향후 건조공정 계획 시 건조공정의 필요성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으로 제시하고, 현재 가동 중인 MT시설의 투입에너지와 생산수율의 비교, 분석하여 건조공정의 필요성 평가와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국내 폐기물 관련 문헌 조사 및 통계자료를 분석한 결과 조성별 수분함량의 변동계수는 종이류, 플라스틱 등이 높게 분석되었고, 이런 변동성을 기초로 국내 생활폐기물 함수율을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하여 본 결과 신뢰구간 95% 기준으로 19.4~46.2%로 분석되었다. 이는 폐기물의 수분 함량은 약 20~45%까지 변할 수 있으므로 함수율 변동에 대한 리스크 최소화 방안을 수립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건조공정 위치에 따른 시설의 비교 결과 RDF 생산량 대비 에너지 사용량은 선 건조 방식이 1.68% 정도 많이 소요되지만, 국내 MT시설의 주된 선별 방식이 비중에 의한 선별이므로, 선 건조 후 선별 방식이 후 건조방식 보다 폐기물의 수분 균질화가 이루어져 선별되기 때문에 선별효율이 높아지고 유기물 속 가연분이 연료화 되어 RDF 생산량 27.93% 정도 많아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실제 반입되는 폐기물 수분함량은 본 연구결과 보다 높은 약 45~55%까지 반입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시설 계획 시 좀 더 넓은 함수율 범위로 계획하고 기기를 선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현재의 건조방식에 의한 균질화는 많은 화석 에너지가 사용되어 시설의 경제성을 악화시키므로, 선진 MBT 기술국에서 함수율의 변동이 심하거나 높은 폐기물에도 기술적 적용성이 높고, 적은 에너지로 폐기물의 분해, 건조, 균질화 기능을 갖출 수 있는, Bio-drying 공정 도입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