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집단미술치료가 과잉-분리가정 아동의 소외감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김영아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Human creates safe emotional bond based on family relationship and when it is not correctly experienced within the family, he or she goes through emotional disconnection. These children from excessive-separative family experience negative emotion like isolation or exclusion so they appeal the difficulty to form a friendship. Therefore, this research performs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to children from excessive-separative family to understand the effect on improvement to friendship and decrease in exclusion of the group member. This research firstly performed family aggregation measurement test to lower grade primary school students from study center of OOwelfare center local children center, located at A-dong, Geumcheon-gu, Seoul then selected 4 children from excessive-separative family with the measurement score between 10-25points. We performed 14 sessions of group art therapy for 10minutes, once per month. The group art therapy was composed with the early step (1∼4sessions) for the lapo formation and motivation, intermediate step (5∼10sessions) for emotional relief, improvement in belonging among members and interaction, completion step (11∼14sessions) for strengthening the aggregation among members of group.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before․after with Wilcoxon non-parametric test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P<.1 by using exclusion measure and friendship measure, as a quantitative analys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exclusion and friendship of children from excessive-separative family. As a qualitative analysis, it analyzed the details by dividing into each session, step, individual and performed K-HTP, KSD picture test before․after to analyze change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below. First, the score of subjects measured before․after the performance of group art therapy to reduce the exclusion of children from excessive-separative family dropped for 19points from average 77.75 to 58.75 and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reduction in statistic result. Second, the score of subjects measured before․after the performance of group art therapy to improve friendship of children from excessive-separative family increased for 11.75points from average 34.75 to 46.50 and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reduction in statistic result. Third, in consideration of qualitative analysis of reduction in exclusion and improvement in friendship confirmed the reduced exclusion through positive changes on self-recognition by expressing complaints about situation and environment in the course of understanding and searching himself or herself. Also, it confirmed improvement in friendship by the experience of positive interaction through emotional support among members and shared activities. These research result explains that the group art therapy was helpful to exclusion reduction and friendship improvement for children from excessive-separative family. Therefore, it means very much as this research informs the necessity of psychological therapeutic tools for children from excessive-separative family while encouraging the development of treatment programs in various point of views. 인간은 가족관계를 기저로 안전한 정서 유대를 형성하는데, 가족 내에서 정서적 지지나 유대감을 형성하지 못하면 정서적 단절을 경험한다. 이러한 과잉-분리가정 아동은 고립감과 소외감 같은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게 되어 또래관계에 어려움을 호소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서적 단절로 인한 과잉-분리가정 아동에게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집단원의 소외감 감소와 또래관계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시 금천구 A동에 위치한 OO복지관 지역아동센터 공부방에 다니는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가족응집력 척도검사를 실시한 후, 척도 점수가 10-25점 사이의 과잉-분리가정 아동 4명의 대상을 선정하였다. 2011년 2월부터 5월까지 주1회 60분씩, 총 14회기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라포형성 및 동기유발을 위한 초기단계(1∼4회기)와 감정해소, 집단원간의 소속감 향상과 상호작용을 위한 중기단계(5∼10회기), 집단원간의 응집력을 강화시키는 종결단계(11∼14회기)로 구성하였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과잉-분리가정 아동의 소외감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양적 분석으로는 소외감 척도와 또래관계 척도를 사용하여 유의수준 P<.1에서 Wilcoxon 비모수 검증으로 사전·사후 비교 분석 하였다. 질적 분석으로는 매 회기별, 단계별, 개인별로 나누어 내용을 분석하였고 K-HTP, KSD 그림검사를 사전·사후 실시하여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잉-분리가정 아동의 소외감을 감소를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사전·사후에 측정한 대상자들의 점수가 평균 77.75점에서 58.75점으로 19점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둘째, 과잉-분리가정 아동의 또래관계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사전·사후에 측정한 대상자들의 점수가 평균 34.75점에서 46.50점으로 11.75점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셋째, 소외감 감소와 또래관계 향상의 질적 분석을 살펴보면 자신을 탐색하고 이해하는 과정 속에서 상황과 환경에 대한 불만을 표출시켜 긍정적인 자기인식의 변화를 통해 소외감 감소를 확인하였다. 또한 집단원간의 정서적 지지와 공동 활동을 통한 긍정적인 상호작용의 경험은 또래관계 향상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집단미술치료가 과잉-분리가정 아동의 소외감 감소와 또래관계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과잉-분리가정 아동의 심리 치료적 중재의 필요성을 알리고 다양한 각도의 치료 프로그램의 개발을 유도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상호작용중심 집단미술치료가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기술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안주영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hat kind of effects interaction-Centered group art therapy has on the social skills and personal relationship of the mentally disabl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disability class 3 patients who are members of a community psychiatric rehabilitation center located in City 'S', where people who are capable of communicating were gathered and divided randomly into an experimental group of 12 people and a control group of 12 people. The study period was from September 2014 to December 2014 and there were a total of 12 sessions, which consisted of a 60 minute session per week, excluding the pre and post tests. In terms of evaluation, Social Skills Scale and Social Life Scale were used to measure the subjects' social skills, and Relationship Change Scale (RCS) and Relationship Function Scale were used to measure the change in their personal relation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there was a positive effect on the social skills of the experimental group. Among the subdomain of the Social Skill Scale,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the area of cooperation and assertiveness, but there weren't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ego control. Howeve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terms of Social Life Scale. Second, there was a positive effect on the personal relationship of the experimental group. Among the subdomain of the Relationship Change Scale,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the area of satisfaction, trust and openness, but there weren't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communication, intimacy, sensitivity, and understandability. Howeve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terms of Relationship Function Scale. This study can be used to increase the social skills and personal relationship of the mentally disabled through the interaction programs that target the mentally disabled who lack social skills. Therefore, we hope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mental health improvement program for the mentally disabled. 본 연구에서는 상호작용중심 집단미술치료가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기술과 대인관계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S시에 소재한 사회복귀시설을 이용하는 정신장애 3급으로 실험집단 12명과 통제집단 12명을 무선 배치하였다. 연구기간은 2014년 9월부터 12월까지 주 1회 60분씩 사전·사후 검사를 제외한 총 12회기를 진행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사회적 기술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사회적 기술 척도와 사회생활기술 척도, 대인관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대인관계변화 척도와 대인관계기능 척도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호작용중심 집단미술치료가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기술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자가 평정척도인 사회적 기술 척도에서는 하위 영역 가운데 협동과 자기주장은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고, 자아통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관찰자 평정척도인 사회생활기술 척도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상호작용중심 집단미술치료가 정신장애인의 대인관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자가 평정척도인 대인관계변화 척도에서는 하위 영역 가운데 만족감, 신뢰감, 개방성은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고, 의사소통, 친근감, 민감성, 이해성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관찰자 평정척도인 대인관계기능 척도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상호작용중심 집단미술치료가 정신장애인의 상호작용을 증진시켜 부족한 사회적 기술과 대인관계를 높일 수 있었다고 본다. 본 연구는 사회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정신장애인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재활 프로그램의 하나로 활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 동화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방과후학교 아동의 정서지능과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정봄 건국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동화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방과후학교 아동의 정서지능과 행복감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S시 A초등학교의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1~3학년 아동으로, 실험집단 9명과 통제집단 9명을 무선 배치하였다. 연구기간은 2015년 6월부터 9월까지로 주 1회 60분씩 사전·사후검사를 제외한 총 12회기를 진행하였으며 측정도구로는 정서지능 검사와 행복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화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방과후학교 아동의 정서지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정서지능의 하위요인인 정서인식, 정서표현, 감정이입, 정서조절의 4가지 하위영역 모두 사전점수에 비해 사후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증가하였다. 둘째, 동화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방과후학교 아동의 행복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행복감의 하위요인인 가정환경, 자아특성, 능력, 대인관계의 4가지 하위영역 모두 사전점수에 비해 사후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증가하였다. 따라서 동화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방과후학교 아동의 정서지능과 행복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예방적 치료 차원의 학교미술치료로서 의의를 가지며, 앞으로 학교현장에서 방과후학교 아동들의 건강한 정서지능 발달과 그에 따른 행복감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how and any effect of group art therapy using fairy tales on after-school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happiness. The subjects of study was after-school programs participating children 1 to 3 grade of A elementary school in S city, nine of experiment group and nine of control group were randomly assigned. The research period was from June to September 2015, 60 minutes per week, totaling 12 sessions proceeded, except for ex ante and ex post test and the measurement tools operated emotional intelligence tests and happiness tests. Summarize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as follows. First, positive effects of the group art therapy using the fairy tales on after-school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were shown. Emotional expression, emotional awareness, empathy and emotional control, those lower factors of the four sub-area of emotional intelligence were all increased as see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ing after ex ante compared to ex post. Second, positive effects of the group art therapy using the fairy tales on after-school children's happiness were shown. Home environment, personal traits, skills and personal relationships, those four lower factor of the happiness were all seemed to be increased statistically as seeing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ing after ex ante compared to ex post. Therefore, group art therapy using the fairy tales on after-school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happiness were positively effective. This study has the meaning of school art therapy as in preventive treatment level and look forward this study to be useful service and a base data for the after-school children's healthy emotional intelligence development and improving the happiness of the children in the schools.

      • 현실치료를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흡연청소년의 흡연량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이윤영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599

        ABSTRACT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applied to the Reality Therapy for Amount of Smoking and Problem Behavior with Smoking Adolescent Yun Young Le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Counseling, The Graduate School Seoul Venture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Ji Hyun Shin, Ph.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applied to the Reality Therapy for Amount of Smoking and Problem Behavior with Smoking Adolescent. The objects of study were 28 male and female students who have received disciplinary measures several times due to smoking and other behavior problems associated with smoking in ‘H’-highschool located in ‘G’ area and the 16 students selected randomly. For the study, 8 applicants were chosen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o verify the research effectiveness, 8 applicants were chosen as the control group with the same conditions. The study period was from April to the end of August, 2015 and once in a week, 90~120min, excepting the pretest and posttest, the study was proceed for 14 sessions. To confirm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applied to the Reality Therapy for Smoking and Problem Behavior with Smoking Adolescent, we conducted pre-test and post-test using NicCheck I Test Strip, PITR, K-YSR, and DAP. To verify the research effectiveness, we used ANOVA and ANCOVA with statistics analysis data SPSS 22.0(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The study result is as follow. Firstly, the Group Art Therapy applied to the Real Therapy was helpful to reduce the amount of smoking. In NicCheck I Test Strip, when the pre-test and post-test result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re compared, the experimental group’s average point decreased form 20.25 to 8.37. In PITR, the stress figure was decreased and the reaction ability was increased. Also, in PITR’s past-drawings, there were a lot of dark clouds, heavy rain, and puddles but in post-drawings, it showed more less rain, moreover, there were no dark cloud and puddle and it wore raincoat and rain boots that are coping resources. This implies that the group members realized their stressful situation and had improved their ability to decrease their stress. Secondly, the Group Art Therapy applied to the Real Therapy was helpful to reduce the problem behavior with smoking adolescent. As a result, PITR showed effectualness on the amount of smoking. In K-YSR, wh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s average difference were compared,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s total problem behaviour decreased from 69.12 to 59.12, which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addition, there are changes in the subcategory. In DAP’s past-drawing, it showed improper bodily proportions, a large head, clenched fists, and wielding a baseball bat but the post-test of DAP showed a smiling face with facing forward direction and the drawing changed to positively. As mentioned above, group art therapy applies to reality therapy was helpful in reducing the amount of smoking and proved that it can promote positive effects in behavioural problems. As a result, this study shows that the Group Art Therapy applied to the Real Therapy suggested more systematic and structured program also, for adolescent smokers, this study is useful to reduce the amount of smoking and the behavioural problems. To prevent and decrease adolescent smoking, the program should be further developed through various follow-up studies. ---------------------------------------------------- Key word: the reality therapy, the group art therapy, the smoking adolescent, amount of smoking, the problem of behavior 논 문 개 요 본 연구는 현실치료를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흡연청소년의 흡연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H 고등학교 교무주임으로부터 의뢰를 받은 남·녀학생으로 반복흡연과 문제행동으로 징계처분을 받은 경험이 있는 28명의 학생들 중 무작위로 16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8명의 실험집단과 실험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같은 조건의 8명을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기간은 2015년 4월 초에서 부터 8월 말까지 주 1회씩 약 90분에서 120분 내외로 사전·사후검사를 제외한 총 14회기를 진행하였다. 현실치료를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흡연청소년의 흡연량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닉첵척도(NicCheck I Test strips) 검사와 빗속의사람(PITR) 그림검사, 청소년 문제행동 평가척도(K-YSR) 검사, 인물화(DAP) 그림검사를 사전·사후검사로 실시하였고,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통계분석은 SPSS 22.0(Statistical Pac kage for Social Science)을 사용하여 일원배치분석(ANOVA)과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실치료를 적용한 집단미술치료는 흡연 청소년의 흡연량 감소에 효과가 있었다. 닉첵척도(NicCheck I Test strips) 검사에 의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의 평균차이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은 총 평균점수가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집단 간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빗속의사람(PITR) 그림검사에서도 스트레스가 감소하고 대처능력이 증가하여 집단 간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또한 빗속의사람(PITR) 그림검사의 사전그림에서는 스트레스를 상징하는 많은 양의 굵은 비와 구름, 웅덩이를 표현하였으나, 사후그림에서는 비의 양이 줄어들고 먹구름, 웅덩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대처자원인 우비와 장화를 착용하고 있는 모습으로 표현되었다. 이는 스트레스 상황을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적극적으로 대처자원을 활용하고 있는 모습으로 변화되어 집단원들의 스트레스 대처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현실치료를 적용한 집단미술치료는 흡연 청소년의 문제행동의 감소에 효과가 있었다. 청소년 문제행동 평가척도(K-YSR) 검사에 의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평균차이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의 총 문제행동 평균점수가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집단 간 유의한 변화를 나타냈다. 그밖에 실험집단 문제행동의 모든 하위영역에서도 집단 간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 인물화(DAP) 그림검사의 사전그림에서는 신체상이 비례가 적절하지 못하고 손은 주먹을 쥐고 있거나 야구방망이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표현되었으나 사후그림에서는 인물의 모습이 정면을 향해 활짝 웃고 있는 등 긍정적으로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현실치료를 적용한 집단미술치료는 흡연청소년의 흡연량 감소에 도움을 주고 문제행동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이는 본연구가 현실치료를 적용한 집단미술치료를 구성하여 체계적이고 구조화된 프로그램을 제시하여 흡연청소년의 흡연량과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 다양한 후속연구를 통해 청소년의 흡연량 감소와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이 개발 되어야 할 것이다. ---------------------------------------------------- 주제어 : 현실치료, 집단미술치료, 흡연청소년, 흡연량, 문제행동

      • 만다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김다희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만다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다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가? 두 번째, 만다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가?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S시와 A시에 소재한 민간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2명으로, 자발적 참여자들로서 실험 참가 동의서를 제출한 12명 중 실험집단 6명, 통제집단 6명을 무선배치하여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기간은 2017년 8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제외한 12회기를 주 1회, 매회기 각 70분씩 진행하였다.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로는 Sherer, Maddux 및 Jacobs와 Roger 등이 개발한 자기효능감 척도(Self-Efficacy Scale; SES)를 1995년 홍혜영이 번안, 보완한 것을 선정하여 재구성하여 측정하였다.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로는 C. L. Clark가 개발하고 R. V. D’Arienzo가 만든 ‘수정된 교사 직무스트레스요인’ 질문지(Modified Teacher Occupational stress Factor Questionnaire)와 기존 선행연구들(권기태, 1990; 김남희, 1992; 김영선, 1999; 김지현, 1994; 성영혜, 1994; 조성연, 2004; 이병해, 2015)에서 사용한 질문지를 참고로 선행연구자 이병해(2015)가 사용한 척도를 선정하여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만다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척도 하위영역인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둘째, 만다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하위영역인 근무환경 스트레스, 업무스트레스, 원아스트레스의 감소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만다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정서 건강을 위한 예방적 차원의 중재프로그램으로써 의의가 있으며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 향상과 직무스트레스의 감소를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ndala group art therapy on the self - efficacy and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In order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the research questions are set as follows. First, how does mandala group art therapy affect teachers’ self-efficacy? Second, how does mandala group art therapy affect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private child care center in S city and A city, and 6 of experimental group and 6 of comparative group were voluntarily arranged among volunteers. The study period was from August 2017 to December 2017, and 12 sessions were conducted once a week except for the pre - test and the post - test, each 70 minutes for each session. Self-efficacy scale (SES) developed by Sherer, Maddux, and Jacobs and Roger (translated and supplemented by Hong Hye-young in 1995) was selected and reconstructed to be used as assessment tools for measuring self-efficacy. In order to measure job stress, ‘a modified Teacher Occupational Stress Factor Questionnaire’ developed by CL Clark (revised by R.V. D'Arienzo) (adapted by a researcher Lee Byung-Hae for his study, 2015) was selected and used the scale, and I referred to the previous questionnaires used by the researchers in the previous studies (Kwon, Ki-Tae, and Kim, Nam-Hee, 1992; 1992; Kim, Young-Sun, 1999; Kim, Ji-Hyeon; 1994; Seong, Young Hye, 1994; Cho, Sung-Yeon, 2004; Lee, Byung-Hae, 2015). The SPSS PC + ver. 18.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was used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Wilcoxon Z test.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ndala group art therap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improvement of general self-efficacy and social self-efficacy, which are sub-areas of self-efficacy scale of childcare teachers. Second, mandala group art therap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working environment stress, work stress, and child stress, which are sub - areas of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Therefore, it is found that mandala group art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 - efficacy and job stress of the child care teachers. This study has meaning as a preventative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emotional health of childcare teachers, and I hope that this study can be a basic data for improvement of self - efficacy and reduction in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 인지행동 미술치료가 우울장애를 가진 성인여성의 우울과 자동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조은비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인지행동 미술치료가 우울장애를 가진 성인여성의 우울과 자동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K시 M 심리센터 치료실에서 2018년 5월 11일에 사전 면담을 통해 정보수집과 사전검사를 실시 한 후 2018년 6월 4일에 종합 심리검사를 받아 주요 우울장애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강박증을 진단받았다. 2018년 6월 21일부터 11월 2일까지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제외하고 일주일에 1~2회기씩 120분간 총 20회기로 미술치료가 진행되었다. 인지행동 미술치료가 우울장애를 가진 성인여성의 우울과 자동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BDI 우울척도와 ATQ-N 자동적 사고척도, DAS (Draw-A-Story) 그림검사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였다. 또한 내담자의 우울과 자동적 사고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회기별 미술치료과정에서 치료단계별 변화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진행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행동 미술치료가 우울장애를 가진 성인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해 BDI 우울 척도와 DAS 그림검사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여 우울의 변화를 본 결과, BDI 우울척도의 점수가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가 감소되었다. DAS 그림검사의 결과에서도 사전·사후 검사에서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의 그림평가 점수가 상승하였고, 사전검사에서 우울 정도를 나타내며 불안하고 방어적인 표현에서 사후검사에서는 현실과 가까운 주제를 다루며 편안한 심리적인 투사된 모습을 표현하였다. 내담자의 감정을 이완하고 우울한 감정을 해소되었으며, 인지행동 미술치료가 우울장애를 가진 성인여성의 우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결과를 보여준다. 둘째, 인지행동 미술치료가 우울장애를 가진 성인여성의 자동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해 ATQ-N 자동적 사고척도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여 자동적 사고의 변화를 본 결과, ATQ-N 자동적 사고척도의 점수가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가 낮게 측정되었다. 인지행동 미술치료가 우울장애를 가진 성인여성의 자동적 사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결과를 보여준다. 셋째, 인지행동 미술치료가 우울장애를 가진 성인여성의 우울과 자동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치료 회기별 작품과 상담 축어록을 통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내담자의 비합리적인 사고와 왜곡된 태도로 보이는 강박적인 증상이 완화하고, 부정적 자동적 사고를 통해 자신과 타인에 대해 부정적인 편견을 보이는 사고의 빈도가 줄어든 모습을 보였다. 치료 회기별 결과에서도 인지행동 미술치료가 우울장애를 가진 성인여성의 우울과 자동적 사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우울장애를 가진 성인여성의 인지행동 미술치료에 대한 단일사례라는 특수성을 가짐으로 상담 과정에서 유사한 경험을 가진 성인들에게 적용하여 실제 미술치료 현장에서 우울장애 성인여성을 만날 때 미술치료 기초 자료와 실습 자료로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gnitive behavioral art therapy on depression and automatic thinking of adult women with depressive disorder. The subject’s data was collected and pre-examined by an interview on May 11, 2018 at the M Psychiatric Center of K City, and then underwent a comprehensive psychiatric examination on June 4, 2018 and was diagnosed with major depressive and post - 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From June 21 to November 2, 2018, except for the pre-examination and the post–examination, the art therapy was carried out for a total of 20 sessions for 120 minutes with one or two sessions per week.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gnitive behavioral art therapy on depression and automatic thinking of adult women with depressive disorder, the BDI depression scale, the ATQ-N automatic thinking scale, and the DAS (Draw-A-Story)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In addition, we analyzed the change of the treatment stage in the art therapy course of each session qualitatively to see the change of the client 's depression and automatic think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BDI depression scale and the DAS (Draw-A-Story) before and aft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gnitive-behavioral art therapy on the depression of adult women with depressive disorder, the scores of the post–examination of the BDI depression scale were reduced compared to the pre-examination. Also, the results of the DAS painting examination showed that the picture evaluation score of the post-examination was higher than the pre-examination. In the pre-examination, depression, anxious and defensive expression were shown, and the post-examination showed a comfortable psychological projected image with the subject close to reality. The emotion of the client was relaxed and the depressed feelings were resolved, and the cognitive behavioral art therapy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 depression of the adult woman with depressive disorder. Second, as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ATQ-N automatic thinking scale before and aft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gnitive behavior art therapy on the automatic thinking of adult women with depressive disorder, the ATQ-N automatic thinking scale scores of the post-examination were lower than the pre-examination scores. The result shows that cognitive behavior art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automatic thinking of adult women with depressive disorder. Third, as a result of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work of each treatment session and the consultation verbatim recor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gnitive behavior art therapy on depression and automatic thinking of adult women with depressive disorder, the client's irrational thoughts and obsessive symptoms, which appear to be a distorted attitude, have been alleviated, and the frequency of thinking negative prejudices about themselves and others through negative automatic thinking were reduced. Results of treatment sessions also showed that cognitive behavior art therapy positively affected depression and automatic thinking of adult women with depressive disorders. This study has the specificity of being a single case of cognitive behavior art therapy for adult women with depressive disorder, and by applying it to adults with similar experiences in the counseling process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provide information as art therapy basic data and practice data when meeting women with depressive disorder.

      • 긍정심리학을 적용한 집단예술치료가 노인의 행복감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 에바알머슨 작품감상을 중심으로

        송현섭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y on group art therapy on the happiness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 people selected from people aged 65 years or older who lived in S city K district, and had scores of below average in the euphoria test and above the slight degree in the depression test. The study period is from October 2019 to February 2020, and includes pre-testing, post-testing, and 12 times of 60 minutes once a week for group arts therapy. As research tool, the Oxford Happiness Questionnaire(OHQ)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Short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SGDS-K) were used. And quantitative changes were analyzed by using the Wilcoxon signed ranks test of SPSS 25.0 statistic pack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group art therapy using positive psychology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euphoria of the elder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in all three areas of sub-factors of euphoria, 'Internal Happiness', 'External Happiness' and 'Self-regulatory Happiness'. Second, group art therapy using positive psychology was effective in reducing depression in the elderly.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Third, group art therapy using positive psychology showed an inversely proportional correlation with the euphoria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group art therapy using positive psychology was effective in the euphoria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And it is expected that this program will be widely applied as an art therapy program for the euphoria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심리학을 적용한 집단예술치료가 노인의 행복감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S시 K구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중 사전검사에서 행복감 점수가 평균 이하와 우울 점수가 경도 우울 이상의 점수를 받은 대상자 9명을 선정하였다. 연구기간은 2019년 10월부터 2020년 2월까지 주1회 60분씩 사전검사·사후검사를 제외한 12회기를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옥스퍼드행복검사(OHQ), 단축형 노인우울검사(SGDS-K)를 사용하였고 SPSS 25.0 프로그램인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 signed ranks test)을 사용하여 양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심리학을 적용한 집단예술치료는 노인의 행복감에 효과가 있었다. 실험집단은 행복감의 하위요인 3가지 내적행복, 외적행복, 자기조절 행복의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둘째, 긍정심리학을 적용한 집단예술치료는 노인의 우울 감소에 효과가 있었다. 실험집단은 우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셋째, 긍정심리학을 적용한 집단예술치료는 노인의 행복감과 우울에 반비례하는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긍정심리학을 적용한 집단예술치료가 노인의 행복감과 우울에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에 본 프로그램이 노인들의 행복감과 우울을 위한 예술치료 프로그램으로 널리 적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 명화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시설거주 성인 지적장애인의 자기표현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박하늘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명화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시설거주 성인 지적장애인의 자기표현과 사회성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S시 M동에 소재하는 M복지센터에서 만 30세 이상 50세 미만의 장애 정도가 중증인 지적장애인으로 연구에 참여하기를 원하는 14명의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그중 사전검사에서 평균 이하의 점수를 받고 프로그램 참여가 가능한 7명은 실험집단으로 7명은 통제집단으로 배치하였다. 연구기간은 2020년 7월부터 2020년 8월까지 주 2회 80분씩 사전검사·사후검사를 제외하여 총 12회기를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자기표현 평정척도 검사, 사회성 기술 평정척도 검사를 사용하였고 SPSS 24.0 프로그램에서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 signed ranks test)을 사용하여 집단 내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명화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시설거주 성인 지적장애인의 자기표현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실험집단은 자기표현 평정척도 검사의 하위요인인 3개 영역 내용적, 음성적, 비언어적 모두 유의미한 결과를 볼 수 있었다. 반면, 통제집단은 자기표현 평정척도 점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명화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시설거주 성인 지적장애인의 사회성의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실험집단은 사회성 기술 평정척도 검사의 하위요인인 3개 영역 협력, 자기주장, 자아통제 모두 유의미한 결과를 볼 수 있었다. 반면, 통제집단은 사회성 기술 평정척도 점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명화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시설거주 성인 지적장애인의 자기표현과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증명하였기에 시설거주 성인 지적장애인들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많이 적용되기를 기대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using masterpieces of painting on self-expression and sociality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residential facilities. The study was conducted on 14 participants adult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between 30 and 50 years old among the residents at M district of S City. Seven of the 14 participants who received below-average scores in the pre-test were plac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seven in the control group. From July 2020 to August 2020, the company conducted experiment twice a week for 80 minutes, a total of 12 times,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any treatment. The Self-Directed Assertiveness Scale and the Social Skills Rating System (SSRS) were used as research tools, and Wilcoxon signed ranks test of SPSS 24.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quantitative chan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roup art therapy the using masterpieces of painting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residential facilities’ self-expression and its three sub factors (content, vocal and nonverbal). On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effect in self-expression. Second, the group art therapy the using masterpieces of painting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residential facilities’ sociality and its three sub factors (cooperation, self assertion, and self control). On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effect in sociality. In conclusion, the study showed that the group art therapy using masterpieces of painting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ement of self-expression and sociality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residential facilities. In this respect, group art therapy using masterpieces of painting is expected to be widely used in programs for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residential facilities.

      • 아동기 학대 경험자의 만다라 미술치료 체험연구

        박현희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abusee as a child from Mandala art therap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tudy was processed according to the order of 'turning to the nature of lived experience'. 'investigating experience as we live it',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flection'.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aning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writing', so on by applying the research method of Max van Manen, which are one of the quality research methods of hermeneutic phenomenology. On the stage of the concentrating the nature of experiences, several phenomenological inquires were made on an abusee as a child', experiences, the phenomenological question, how are the experiences of the abusee as a child from mandala art therapy and what do they to them? is made. On the stage of the investigating experience as we live it, various kinds of materials are collected. Th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intense interviews , mandala art therapy and observations from September 2009 to June 2010.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s were tape-recorded and their essential themes were drawn by using line by line approach of reflection. At this stage, the researcher referred to the origins of the words, idioms, literary and art works, and relevant phenomenological literature to enhance the insight and understands of the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 On the stage of the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flection, I have categorized into space, body, time and the relationship, which constructed the four existentials to figure out the meaning structure of their lived experiences. I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one mother that participated in Mandala art therapy and gathered related data. The major research findings were summarized by the research questions: In the study, I interpreted the six meanings of Mandala art therapy discovered in th participants' lived experiences. The meanings were 'why not to be mother', 'I too, using the things I learned', 'evil is what stealing mind', 'no forgiveness between mother and daughter', 'relationship is bound up each other', 'no thinking in drawings, so interesting' The implications of this results and future direction for research are discussed. Child Abuse, Mandala Art Therapy,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본 연구는 van Manen의 해석학적 본 연구는 아동기 학대경험자의 만다라 미술치료 체험이 무엇이며 그것이 갖는 의미는 또한 무엇인지를 이해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의 연구방법에 따라 체험의 본질에 집중, 실존적 조사, 네 개의 실존체를 중심으로 한 해석학적 현상학의 반성과 이를 통한 해석학적 현상학의 의미: 해석, 해석학적 현상학의 글쓰기로 구성된 각 단계를 밟아 연구를 진행하였다. 체험의 본질에 집중하는 단계에서는 아동기 학대 경험자가 경험한 학대와 학대 이후 성장한 경험들이 무엇이었는지 만다라 미술치료의 체험을 따라서 현상학적 체험의 반성의 길잡이인 네 개의 실존체와 이를 통해 드러난 의미들에 문제를 제기하였다. 실존적 조사 단계에서는 아동기 학대 경험자인 참여자로부터 2009년 9월부터 2010년 6월까지 만다라 미술치료와 심층면담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자료 외에도 그 밖의 문학과 예술 작품 또한 수집되었는데 이는 아동기 학대 경험자의 만다라 미술치료 체험을 위한 통찰력과 이해를 높이고자 하는 데 있었다. 해석학적 현상학의 반성 단계에서는 아동기 학대 경험자의 만다라 미술치료와 만다라 미술치료를 통해 나온 심층면담 등을 통해 체험의 양상들이 분류되었다. 체험의 양상들은 공간, 신체, 시간, 관계인 네 가지 실존체 형식을 중심으로 나타나는데 체험적 공간에는 ‘탈피하고픈 공간’과 ‘행복한 공간’으로, 체험적 신체에는 ‘잊혀 지지 않는 신체체험’과 ‘기분 좋은 신체 체험’으로, 체험적 시간에는 ‘과거’・‘현재’ ・‘미래’의 시간으로, 체험적 관계에서는 7가지로 즉, ‘자기표현이 없고 항상 수동적인 대인관계’, ‘해를 주는 관계’, ‘부정적인 감정’, ‘피하기와 단절’, ‘공감’, ‘인정받으며 사랑받고 싶은 욕구’, ‘이제는 소통 희망’으로 분류하였다. 해석학적 현상학의 의미: 이 단계에서는 아동기 학대 경험자의 해석학적 반성에서 나온 체험의 양상들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6가지로 분류하여 해석한 것으로 즉, ‘뭐가 부족해서 엄마가 되는 게’, ‘나도 이제 배워서 하는데’, ‘악은 마음을 빼앗는 거’, ‘엄마와 딸이니까 딱히 용서가’, ‘어차피 뗄 수 없는 관계라면’, ‘그릴 땐 생각이 없어지고 그래서 재미’로 유목화 하였다. 이어서 만다라 미술치료 과정과 결과물 및 회기 분석 등에 대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해석학적 현상학의 글쓰기 단계에서는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의 최종단계로 아동기 학대 경험자가 만다라 미술치료를 통해 체험한 세계들을 더욱 분명하게 드러내게 해주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글쓰기를 통해 아동기 학대 경험자의 세계를 이해하고 반성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가지고 결론 , 논의 및 제언 등이 이어진다.

      • 섬유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중년 여성의 우울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황준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using fabric medium on the depression and self-efficacy of middle-aged women. The participants with minor depression were recruited from the cultural center located in G city for this study.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was 24 and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ith their agreement on treat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welve times from October 2021 to January 2022 weekly and each session was held for 80 minutes. The Depression test and Self-efficacy test were used as a research tool and the quantitative change was analyzed by Wilcoxon signed ranks test using SPSS 25.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 examinations of experimental participants’ emotional, motivational, and cognitive symptoms after the group art therapy using fabric medium when examined by the Depression test. However, unlike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as no notable change in the control group after the therapy. Moreo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examinations for both groups' physical symptoms. Seco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pre and post examinations of the experimental group’s self-confidence and self-efficacy after the group art therapy when sub-factors of the Self-efficacy test were analyzed. However, the group therapy seemed ineffective for the control group and resulted in unclear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iced for both participant groups. Thus, this study clarified that the group art therapy using fabric medium reduces the depression level and enhances the self-efficacy of middle-aged women by providing emotional stability and accomplishment. Based on the results stated above, this paper will further evaluate and analyse the purpos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본 연구는 섬유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중년 여성의 우울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문화센터 회원 중 공지를 통해 모집한 경미한 우울감 이상에 해당하는 24명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 12명으로 나누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에 대한 사전 동의를 얻은 후 무선 배치하였다. 연구 기간은 2021년 10월 말부터 2022년 1월 말까지 주 1회, 회기당 80분씩, 사전·사후검사를 제외하고 총 12회기로 진행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우울감 검사, 자기효능감 검사를 사용하였고, SPSS 25.0 프로그램을 통해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 signed ranks test)을 실시해 양적 변화를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섬유매체 집단미술치료는 우울감 검사의 하위요인별 분석 결과 정서적, 동기적, 인지적 증상은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통제집단은 정서적, 동기적, 인지적 증상 사전·사후 검사에서 점수 간에 유의미한 통계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우울 검사의 하위요인 중 신체적 증상은 실험집단은 물론 통제집단도 사전·사후 검사결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섬유매체 집단미술치료는 자기효능감 검사의 하위요인별 분석 결과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은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통제집단은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사전·사후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자기효능감 검사의 하위요인 중 과제난이도선호는 실험집단,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검사결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섬유매체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중년 여성의 우울감 감소와 자기효능감 증가에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