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몬순기후에 따른 한강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 변화

        윤지현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this study, the community structure of phytoplankton was investigated according to environmental factors and physicochemical factors of main stream and tributaries(Cheonggye, Seoul forest) of Han river. In addition, we were investigate the dynamics of phytoplankton through the results obtained every 4 years. Sampling was conducted 8 times in total, including 4 seasons, at 1 month interval from July 2016. A variety of leisure activities are taking place downstream and a lot of tributaries are joined in the upper stream of Han river. Rainfall was considered as an environmental factor and biomass, primary productivity, biological species composition and standing amount were observed as physicochemical factors. As a basic items of water quality survey, BOD, COD, SS and nutritive salts were also investigated to grasp the water pollution level. Species composition and standing crops of phytoplankton were observed using a microscope(Olympus BH2) and were identified through 9 references. The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in the main stream of the Han river is influenced mainly by the discharge of Paldang Lake determined by concentrate rainfall, which is a summer monsoon climatic phenomenon.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a change in the distribution pattern due to the desorption by intensive rainfall. Therefore the amount of discharge from the Paldang Lake, which is located upstream in the summer, has increased, resulting in changes in the nutrient concentration in the downstream as well as the phytoplankton community. 본 연구에서는 한강 본류 및 지류(청계천, 서울숲)의 환경요인과 이화학적 요인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를 조사하였다. 또한, 4년마다 조사된 결과를 통하여 한강의 식물플랑크톤 동태를 파악하고자 한다. 시료채취는 2016년 7월부터 약 1개월 간격으로 사계절 포함하여 총 8회 실시하였다. 한강의 하류에는 다양한 레저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한강 상류에는 많은 지천들이 합류된다. 환경 요인으로 강수량을 고려하고 이화학적 요인으로 생물량과 일차생산력 그리고 생물학적 요인으로 종조성, 현존량을 관찰하였다. 또한, 수질기본항목 BOD, COD, SS 및 영양염류를 조사하여 수질 오염도를 파악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의 종조성과 현존량은 현미경(Olympus BH2)을 이용해 관찰하였으며 정(1993) 등 9개의 참고문헌을 통해 동정하였으며 종조성과 현존량을 통해 생태지수를 파악하고 집괴분석과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군집구조를 확인했다. 한강 본류의 식물플랑크톤 분포는 대체로 여름철 몬순기후 현상인 집중강우에 의해 결정되는 팔당호의 방류량에 영향을 받음으로 인해 분포양상의 변화가 생기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몬순기후의 집중호우로 인해 여름철 상류에 위치하는 팔당호에서의 방류량이 증가해 하류의 영양염 농도를 비롯하여 식물플랑크톤의 군집에 변화가 생기고 또한, 중랑천 등의 지천에서 유입되는 생물종과 오염물질로 인해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에 영향을 미친다.

      • 우리나라 성인의 잔존치아와 일부 정신건강 지표와의 관련성

        윤지현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47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and mental health indicators among adults in local communities in South Korea. Methods: Of adults aged 50 years or older who participated in the 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16, 2018), a total of 4,324 participants who underwent the oral examination and completed the mental health questionnaire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Using dental status records from the oral examination,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in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categories: 'Good (≥20)', 'Fair (11-19)', and 'Bad (≤10)'. Differences i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oral health status, dental examination indicators, and mental health indicator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were analyzed using the chi-square test. Finally, the independent relationship between the classification of number of remaining teeth and mental health indicators (depressive symptoms, perceived stress levels, sleep duration, experience of planning suicide, psychological counseling related to planning suicide) was evaluated using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the odds ratios (ORs), and 95% confidence interval (CI) were calculated. Results:: In terms of the classification of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3,117 participants (72.1%) were classified as Good (≥20), 594 (13.7%) were classified as Fair (11-19), and 613 (14.2%) were classified as Bad (≤10). After adjusting for major variables, the odds ratio of 'high depressive symptoms’ (assessed using participants’ scores for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10 points) (OR, 1.60; 95% CI, 1.08-2.36)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whose remaining number of teeth were classified as Fair, compared to the group whose remaining number of teeth were classified as Good. In addition, the odds ratio of experience of suicide planning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classified as Fair compared to the group classified as Good (OR, 2.03; 95% CI, 1.21-3.41). On the other hand, the Poor group had a significantly lower odds ratio (OR, 0.41; 95% CI, 0.17-0.98) of' experienced in mental counseling. Furthermor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all mental health indicators between the group classified as Bad and the group classified as Good,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perceived stress levels, sleep duration,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between the group classified as Normal and the group classified as Good. Conclusion: Depressive symptoms and experience of suicide planning were significantly higher among Korean adults with a lower number of remaining teeth. Active oral health management efforts are therefore needed to prevent mental health problems through managing the number of remaining functional teeth, and to improve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Korean adults. 우리나라 성인의 잔존치아와 일부 정신건강 지표와의 관련성 윤지현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학과 (지도교수 이 영 훈)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역사회 성인을 대상으로 잔존치아 수에 따른 정신건강 지표들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방법: 제7기(2016, 2018)의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만 50세 이상 성인 중 구강검진과 정신건강 설문조사 문항에 모두 응답한 4,324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잔존치아 수는 구강검진에서 치아상태를 조사한 기록을 이용하여 ‘양호군(20개 이상)’, ‘보통군(11-19개)’, ‘불량군(10개 이하)’ 으로 분류하였다. 잔존치아 수의 분류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상태 및 건강행태, 구강건강 상태, 구강검진 지표, 정신건강 지표의 차이는 카이제곱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잔존치아 수의 분류와 정신건강 지표(우울 증상 수준, 스트레스 인지 수준, 수면시간, 자살 계획 경험, 자살 계획 정신상담)와의 독립적 관련성을 평가하여 교차비(odds ratio; OR)와 95%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 CI)을 산출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잔존치아 수 분류에 따라 양호군 3,117명(72.1%), 보통군 594명(13.7%), 불량군 613명(14.2%)이었다. 주요 변수를 보정한 후, 잔존치아 수 양호군을 기준으로 보통군인 경우의 ‘높은 우울 증상(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10점)’ 교차비(OR, 1.60; 95% CI, 1.08-2.36)가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잔존치아 수 보통군인 경우의 ‘자살 계획 유경험’ 교차비(OR, 2.03; 95% CI, 1.21-3.41)가 유의하게 높았지만, 스트레스 인지수준, 수면시간, 자살 계획 정신상담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한편 잔존치아 수 양호군에 비해 불량군은 ‘정신상담 유경험’의 교차비(OR, 0.41; 95% CI, 0.17-0.98)가 유의하게 낮았지만, 우울 증상, 자살 계획 경험, 스트레스 인지 수준, 수면시간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우리나라 성인에서 잔존치아 수가 적은 경우에 우울 증상과 자살 계획 유경험이 유의하게 높았다. 적절한 구강기능이 가능한 잔존치아의 관리를 통해 정신건강 문제를 예방하고 건강 관련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구강건강 관리 노력이 필요하겠다.

      • 구성주의 이론에 근거한 수학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윤지현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정보화 사회에서는 다양하고 창조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능력과 매일 쏟아져 나오는 엄청난 양의 정보에 압도당하지 않고 자신이 필요한 정보가 무엇인지 스스로 판단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요구한다. 이에 교육 또한 정보화 사회에 맞춰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급변하는 사회에 대처해 나갈 수 있는 인간을 육성해야 한다. 이런 교육을 뒷받침 해 줄 수 있는 이론이 바로 구성주의 이론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구성주의 이론의 바탕이 되는 배경과 유형을 살펴보고 구성주의와 수학 교수·학습론을 연계시켜 구성주의 이론에 근거한 수학 교수·학습을 고찰해 보았다. 구성주의 이론에 근거한 수학 교수·학습은 교사가 안내자가 되어 학생이 수학 지식을 스스로 구성해 나가는 것을 의미하며, 이런 구성주의에 근거한 수업이 실제 수업 현장에서도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다양한 교수·학습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 위험 거버넌스를 통한 방사성 폐기물 관리 개선에 관한 연구 : 한국원자력연구원의 방사성 폐기물 처리 갈등 사례를 중심으로

        윤지현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public administration conferred in August 2019.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through Risk Governance : Focusing on a case study about the conflicts of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at the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KAERI) Ji-hyun Yoon (尹智鉉)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Young-che Yoon Radioactive waste has become a representative issue of risk in the nuclear industry causing social conflicts. In particular, the issue of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seemed to be solved in the manner of participation. However, the conflict reemerged when the unauthorized disposal of radioactive waste was discovered in 2016, which is closely related to public safety and trust issues. Therefore, this research aimed to identify what types of governance should be applied to the conflict over the management of radioactive waste which has not been addressed in the precedent research. The current manner of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which is classified as a type of technocratic risk governance with the way of non-democratic and non-interactive, cannot become an appropriate alternative. Accordingly, a type of collaborative risk governance which is involved in the transfer of scientific knowledge with the way of civil participation and transparent information release, should be carried out since the public is classified as an object of directly exposed to the risk of radioactive waste. In particular, the issue of radioactive waste is closely related to a risk governance, so that it is also required to have a type of governance which participation-based partnerships between civil and the related institutes are included. Thus, the management of radioactive should be understood as a type of collaborative risk governance that combines civil participation with the expertise of science and technology. This study focuses on setting the model of relations among the actors in order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tors and tries to analyze it by substituting the model into the relations among the government, experts, and civic groups. Based on this method, this research identifies the relationship of actors regarding the management case of radioactive waste and the types of risk governance. In addition, this research examines why the cooperative risk governance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risky situations of radioactive waste. In this paper, the type of risk governance is presented on two criteria as participation and professionalism. The participation is divided into not only a form of civil participatory but also a government-oriented hierarchical form based o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by the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Additionally, the relations between experts and civil society are classified as expert-oriented scientific form and practical form that reflects social concerns depending on how uncertain risks are addressed within each group. Based on these types of rick governance classification, this research i that it is necessary to overcome the types of not only technocratic governance, but also instrumental governance, and should move toward gradual cooperative governance. Keywords :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Risk Governance, Collaborative Risk Governance, Risk Communication, radioactive waste, Nuclear Power, Participation 국문초록 위험 거버넌스를 통한 방사성 폐기물 관리 개선에 관한 연구 : 한국원자력연구원의 방사성 폐기물 처리 갈등 사례를 중심으로 방사성 폐기물은 대표적인 위험 문제로 그동안 사회적 갈등을 야기하였다. 그동안 방사성 폐기물 관리 문제는 참여의 방식으로 해결되는 것으로 보였다. 하지만 2016년 한국원자력연구원의 방사성 폐기물 무단 폐기 사건을 중심으로 시민 안전과 신뢰의 문제를 둘러싸고 갈등이 재현되었다. 지금까지의 선행연구에서는 대부분 방사성폐기물 처리장의 입지 선정을 다룬 갈등 내용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고, 아직까지 방사성 폐기물 관리에 대한 갈등 문제는 충분히 연구되지 않았다. 방사성 폐기물 관리 문제는 비민주적이고 소통이 없는 기술관료적 위험 거버넌스 유형으로는 적절한 대안이 되지 못했다. 참여와 투명한 정보공개, 과학 지식의 전달을 통한 협력적 위험 거버넌스의 유형이 이루어져야한다. 이는 시민은 방사성 폐기물이라는 위험에 노출된 당사자로 구분되기 때문이다. 이런 면에서 방사성 폐기물 관련 거버넌스는 위험 거버넌스로서 참여를 기반으로 한 협력 관계가 추가되어야 하는 거버넌스의 조직을 요구한다. 그렇기 때문에 방사성 폐기물 관리는 참여와 과학기술의 전문성이 결합된 협력적 위험 거버넌스 유형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 방법으로 먼저 행위자들의 관계를 보며 행위자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행위자 관계 모형을 정리한 후 그에 근거해 정부-전문가-시민단체로 대입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해 방사성 폐기물 관리 사례에 대한 행위자 관계를 파악하고, 시기별 위험 거버넌스 유형을 파악하여 방사성폐기물과 같은 위험상황에서 협력적 위험 거버넌스로 나아가야하는 이유를 살펴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참여와 전문성이라는 두가지 기준으로 위험 거버넌스 유형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는 정부와 시민사회의 참여정도를 기준으로 시민사회 중심인 참여적 양식과 정부 중심의 위계적 양식으로 구분하였다. 두 번째는 전문가와 시민사이의 관계를 기준으로는 불확실성한 위험상황을 해결하는 방식에 따라서 전문가 중심의 과학주의적 양식과 사회적 우려를 반영하는 실천적 양식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위험 거버넌스의 유형적 분류를 통해 위험 상황에서 기술관료적 거버넌스와 도구적 거버넌스 유형을 극복하고 점차 협력적 거버넌스로 나아가야 함을 밝혔다. 방사성 폐기물 문제의 갈등 전초기에서는 공릉동 연구로 해체에 따른 방사성 폐기물 유입, 월성고리에서의 폐기물 반입, 연구원 내 건물 내진 미 설계 등과 같은 문제가 정부-전문가-시민사회 간의 주요 쟁점이었다. 갈등 전초기에서는 방사성 폐기물과 관련되어 모두 전문가와 정부 주도로 결정이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으며, 특히나 상호소통이나 참여에 있어서 예견된 안전하다는 결론으로 답하였던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에 갈등 전초기는 기술관료적 위험 거버넌스 유형으로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이후 갈등 심화기에서는 이전에 의혹으로만 남아있었던 방사성 폐기물 무단 폐기 의혹에 대한 문제들이 사실로 드러나게 되었다. 갈등 심화기에서는 여러 시민단체를 구성하여 적극적으로 활동하는 것으로 보여졌고 시민들과 지역주민이 직접적 참여의 기회가 주어지는 시민검증단이 출범한 것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방사성폐기물과 관련한 문제에 있어 아직까지 시민들의 의사결정과정은 큰 영향력이 없다는 점에서 기술관료적 위험 거버넌스 유형과 도구적 위험 거버넌스 유형의 혼합적 유형으로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갈등 이후기에서는 갈등기 심화기에서 보다는 시민사회의 활발한 참여와 정부의 적극적인 감시역할과 현장 안전규제를 강화하는 모습을 보이며 점차 협력적 유형의 위험 거버넌스로 나아가고 있는 것을 보여 주었다. 하지만 여전히 직접적 정책결정에 있어서 지역주민이나 시민단체가 결정할 수 없다는 점에서 갈등 이후기 시기에서도 도구적 위험 거버넌스 유형으로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갈등 심화기와 갈등 이후기는 공통적으로 도구적 위험 거버넌스 유형에 속하지만 갈등 심화기와 갈등 이후기는 정부가 시민사회의 의견을 받아들이고 안전규제 강화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실천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핵심어 : 위험 거버넌스, 협력적 위험 거버넌스, 위험 커뮤니케이션, 방사성 폐기물, 원자력발전

      • 쓰기 모니터 전략 사용 양상이 쓰기 유창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윤지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서울 소재 K대학교 부설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재학 중인 36명의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 응답 및 응답 분석을 실시하여 고급 학습자의 쓰기 전략 모니터 양상이 쓰기 유창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점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5가지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고급 학습자의 쓰기 모니터 전략 사용 양상은 어떠한가. 둘째, 고급 학습자의 문제 인식 유형에 따른 사용 양상은 어떠한가. 셋째, 고급 학습자의 쓰기 모니터 전략의 내부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넷째, 쓰기 점수가 높은 학습자의 모니터 전략 사용 양상은 쓰기 유창성이 낮은 학습자의 모니터 전략 사용 양상과 차이가 있는가. 다섯째, 학습자의 쓰기 유창성에 영향을 미치는 전략은 무엇인가. 연구는 학습자들이 응답한 설문 결과에 SPSS 23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산분석, 회기분석을 실시하여 결과를 살피는 것으로 진행하였다. 또한 학습자가 설문을 응답할 때 학습자 개인이 전략에 대하여 인식하는 정도와 실제 사용하는 정도의 격차를 줄이기 위해 실제로 작문을 요구한 뒤 설문에 응답하도록 안배하였다. 분석 기준은 선행 연구와 이론적 배경 검토를 통해 명료화하기, 배경지식 활용하기, 수정하기로 소급하였으며 각 전략에 따른 설문 문항을 다시 두어 총 47문항에 대한 응답을 대상으로 두어 분석하였다. 더하여 연구 도구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위하여 신뢰도 검정과 타당도 검정을 실시하였는데 신뢰도와 타당도 모두 신뢰할 수 있음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3장에서는 고급 학습자의 전략 양상을 살피기 위해 기술통계를 활용하여 양상의 차이를 검정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연구에 참여한 고급 학습자의 전략 사용 양상은 명료화하기 > 배경지식 활용하기 > 수정하기로 나타났으며 학습자의 문제 인식 경향에 따른 전략 양상을 비교해본 결과 계획형 학습자와 충동형 학습자 모두 명료화하기 > 배경지식 활용하기 > 수정하기의 순서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략에 따른 차이 비교를 위해 분산분석을 통해 문제 인식을 계획적으로 하는 학습자와 문제 인식을 충동적으로 하는 학습자의 차이를 살펴보았는데 분산분석 결과 계획형 학습자가 충동형 학습자에 비해 글의 검토와 수정을 더 많이 고려하고 있었으며 전체적으로 전략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략의 양상을 다양하게 고찰해보는 취지에서 Leki(2005)의 주장을 근거로 전략 내부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 고급 학습자가 명료화하기, 배경지식 활용하기, 수정하기 내부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습자의 모니터 양상이 쓰기 유창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학습자의 집단을 세 그룹 나누어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을 중심으로 종속변수를 쓰기 점수로 두고 독립 변인으로 명료화하기, 배경지식 활용하기, 수정하기를 두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정하기 전략이 통계적으로 쓰기 유창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수정하기 전략의 내부에 구체적인 전략 확보를 위해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에 독립표본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전략은 수정하기 1, 7, 9, 10, 12, 17, 18번이었다. 따라서 학습자의 쓰기 유창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쓰기 전략은 다시 읽기, 문법을 맞게 썼는지 검토하기, 문장과 문단을 검토하기, 글의 구조를 앞에 문단이나 처음에 쓴 문장을 고려하여 짜기, 독자를 고려하고 내가 원하는 내용으로 독자에게 전달될 때 고려하기 전략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학습자의 유창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전략의 세부 목록을 제시하고 학습자의 전략 양상을 문제 인식 유형과 쓰기 점수에 따라 구분하여 살피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연구의 한계로 모집 표본이 적은 것을 들 수 있는데 문항 신뢰도와 모형 타당도에서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받았음으로 후속 연구에서 더 많은 모집단을 대상으로 연구한다면 좀 더 신뢰성 있는 분석 결과가 나타날 것으로 생각된다.

      • 셉테드(CPTED) 디자인의 효과 측정에 관한 연구

        윤지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desire for social stability grows in the rapidly changing trend of modern society, various researches and projects of crime prevention are being carried out. In this study, two of the crime prevention design projects conduct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were selected, and the two factors of informal social control, which is the core of collective efficiency, and the small group based on the five factors. Based on the theoretical discussion, the problematic situation can be solved through the collective efficiency which emphasizes active intervention of group members and informal social control in criminology theory,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direction of 3rd generation CPTED. In addition, the detailed strategy for strengthening community of 3rd generation CPTED was defined as the design principle for CPTED in response to small group theory of social psych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and effectiveness of the CPTED principles as an analytical framework. In addition, the factors applied to the target area were classified from the viewpoint of design, and it was analyzed that the same factors were applied to different reg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PTED principles on the target area in terms of two factors of informal social control (will of the local residents to intervene, community's ties) and 5 factors of small group (sense of belonging, cohesion, common goal, social interaction, bond). Questionnaires were constructed on the basis of operational definitions, and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randomly in the target are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 could confirm the degree of community consciousness between Yeomni-dong in Mapo-gu and Gasan-dong in Geumcheon-gu.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munity consciousness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detailed factors in Yeomni-dong, Mapo-gu, which was the first trial of 3rd generation CPTED, and Gasan-dong, Geumcheon-gu about 2 years later. It was revealed that there i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will of the local residents to intervene and the community ties between informal social control factors between Yeomni-dong in Mapo-gu and Gaesan-dong in Geumcheon-gu. Thus, the implementation of the 3rd generation CPTED strategy can be considered to have formed a collective efficiency similarity between the two region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ense of belonging, cohesion, common goal, social interaction, and bonding between the two groups.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two communities maintain the form of small group activities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CPTED, and the community consciousness is formed and maintained similarly by expanding the group 's cohesion and interaction. The implementation of CPTED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the informal social control and the formation of small groups of Yeomni-dong in Mapo-gu and did not feel the necessity of environmental improvement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CPTED. Therefore, after the implementation of CPTED, Mapo-gu Yeomni-dong can confirm that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has been strengthened with the aggregation and efficiency of gathering. As Yeomni-dong in Mapo-gu and Gasan-dong in Geumcheon-gu showed meaningful results in informal social control and small group formation. However, we can confirm that there is still environmental improvement in Gasan-dong in Geumcheon-gu after the implementation of CPTED. Therefore, we can confirm that the community consciousness through the bond and cohesion of the community has been strengthened by the implementation of the CPTED, and it was found that the goal of continuous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 was found. The informal social control of Yeomni-dong in Mapo-gu and Gasan-dong in Geumcheon-gu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locus of involvement between the two regions,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community's ties. Although the degree of bond formation between the two communities is similar, it can be deduced that the voluntary participation intentions of the local residents of Yeomni-dong in Mapo-gu have been strengthened. In the case of the small group, the sense of belonging and bond and the commitment to the common goal can be confirmed that the two regions are formed similarly, but the social interaction and cohesivenes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results of the specific statistics showed that social interaction was high in Yeomni-dong, but cohesive power was higher in. Therefor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formation patterns of the two community consciousness appear somewhat different. On the other hand, the need for environmental improvement showed similar tendency in both region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e 3rd generation CPTED strategy influenced collective efficiency and community awareness through the design approach to the target a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community enhancement of the 3rd generation CPTED design based on socio - psychological theories and to test the actual implementation area of CPTED. In addition, this study confirmed the level of community consciousness and collective efficiency, which is the upper concept of factors, through informal social control factors and small group facto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confirm the appropriateness of the CPTED design principles established through the theoretical review by confirm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sciousness of collective consciousness and the collective efficiency between the two target areas. Based on this, it can be suggested a concrete plan for the application of the design to strengthen the consciousness of the community of crime prevention design. 현대 사회의 급변하는 흐름 속에서 사회적 안정에 대한 욕구가 확대됨에 따라 범죄 예방의 정책 연구 및 사업도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가 처음으로 실시한 셉테드(CPTED) 사업지역 중 두 개의 대상지를 선정하여, 집합효율성의 핵심인 비공식적 사회통제의 2가지 요인과 3세대 셉테드(CPTED)의 핵심인 공동체 의식과 대응되는 소그룹의 5가지 요인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이론적 논의에 근거하면, 범죄학 이론에서 집단 구성원의 적극적 개입과 비공식적 통제를 강조하는 집합효율성을 통해 문제적 상황을 해결할 수 있으며 이는 3세대 셉테드(CPTED) 디자인의 방향과도 일치한다. 또한 3세대 셉테드(CPTED) 디자인의 공동체 강화를 위한 세부 전략을 사회·심리학의 소그룹 이론과 대응하여 셉테드(CPTED)을 위한 디자인 원칙으로 정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립한 셉테드(CPTED)디자인 원칙을 분석틀로 사용하여 대상 지역의 효과성의 유무와 정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대상 지역에 적용된 요인을 디자인적 관점에서 분류하여, 동일한 요인이 지역에 따라 적용의 차이가 있음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대상 지역을 셉테드(CPTED)디자인 원칙에 따라 분석하기 위하여 비공식적 통제 2가지 요인(지역주민의 개입의지, 지역사회의 유대)과 소그룹 5가지 요인(소속감, 응집력, 공동의 목표, 사회적 상호작용, 유대감)을 조작화 하였다. 조작화 된 정의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구성하고 연구문제를 설정 후 대상 지역 주민에 무작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마포구 염리동과 금천구 가산동의 공동체 의식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3세대 셉테드(CPTED)의 첫 시행지였던 마포구 염리동과 약 2년여 후에 시행된 금천구 가산동은 세부적 요인의 분석에 따라 공동체 의식에 차이를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포구 염리동과 금천구 가산동 사이에 비공식적 사회통제 요인인 지역주민의 개입의지와 지역사회의 유대의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3세대 셉테드(CPTED) 전략의 시행은 두 지역의 집합적 효율성을 유사하게 형성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두 지역의 소그룹 요인인 소속감과 응집력, 공동의 목표, 사회적 상호작용, 유대감 모두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두 지역이 셉테드(CPTED) 시행으로 인하여 소그룹 활동의 형태를 유지하며 그룹의 응집과 상호작용이 확대되면서 공동체 의식이 유사하게 형성되고 유지되고 있음을 추론해볼 수 있다. 셉테드(CPTED)의 시행은 마포구 염리동의 비공식적 사회통제와 소그룹의 형성에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셉테드(CPTED) 시행 후에는 환경적 개선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지는 않았다. 따라서 마포구 염리동은 셉테드(CPTED)의 시행 이후 집합의 응집과 효율성과 함께 공동체 의식이 강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금천구 가산동도 마포구 염리동과 마찬가지로 비공식적 사회통제와 소그룹의 형성에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금천구 가산동은 셉테드(CPTED) 시행 이후에도 여전히 환경적 개선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금천구 가산동은 셉테드(CPTED)의 시행으로 공동체의 유대와 응집을 통한 공동체 의식이 강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지속적인 환경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셉테드(CPTED)의 시행에 따른 마포구 염리동과 금천구 가산동의 비공식적 사회통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지역주민의 개입의지는 두 지역 간 차이가 있었으며, 지역사회의 유대감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를 통해 두 지역 사회의 유대감이 형성된 정도는 유사하나, 구체적 통계 결과를 확인해보았을 때 마포구 염리동의 지역주민들의 자발적 참여의지가 강화되었음을 추론해볼 수 있다. 소그룹의 경우에는 소속감과 유대감, 공동의 목표에 대한 몰입은 두 지역이 유사하게 형성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으나, 사회적 상호작용과 응집력은 유의미한 차이를 드러냈다. 구체적 통계 결과를 확인해보면 사회적 상호작용은 염리동이 높으나 응집력은 가산동이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두 지역 공동체 의식의 형성 양상이 다소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환경적 개선의 필요성에 대해 두 지역 모두 유사한 경향을 드러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분석의 결과를 통해 3세대 셉테드(CPTED) 전략의 시행은 대상 지역에 디자인적인 접근을 통해 집합적 효율성과 공동체 의식 함양 및 강화에 영향을 미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3세대 셉테드(CPTED) 디자인의 공동체 강화를 사회·심리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실증적 검증하였으며, 실제 셉테드(CPTED) 디자인 시행지역을 대상으로 검증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비공식적 사회통제 요인과 소그룹 요인의 검증을 통해 요인의 상위 개념인 공동체 의식과 집합효율성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두 대상지역 간 공동체 의식과 집합효율성 정도의 차이를 확인하여 이론적 고찰을 통해 수립한 셉테드(CPTED) 디자인 원칙의 적합성을 재확인하고, 다시 디자인의 관점을 통해 어떻게 공동체 의식이 구현되었는지 디자인의 연관성으로 연결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셉테드(CPTED) 디자인의 공동체 의식 강화를 위한 디자인 적용을 위해 구체적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일 종합병원 종양간호사의 항암제 안전관리지침에 대한 인지도와 이행도

        윤지현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병원에서 항암제를 주로 취급하는 종양간호사를 대상으로 항암제 안전관리지침에 대한 인지도와 자가보고 이행도를 확인하고 관찰 이행도와 비교하였으며, 이는 항암제 안전관리지침을 구체화하고 교육 프로그램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 A 상급종합병원 종양내과, 혈액내과 병동 간호사와 외래 암병원주사실 간호사 186명이며, 자료수집 방법은 자가보고에 의한 설문지 조사와 이중 일부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관찰조사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4년 10월 1일부터 2014년 11월 31일까지였으며, 연구도구는 미국의 산업안전보건연구원, 미국종양간호사회의 항암제 안전관리지침과 연구기관의 항암제 안전관리 관련 규정 및 실무환경을 고려하여 연구자가 개발하였으며, 전문가의 자문을 받았다. 항암제 안전관리지침에 대한 인지도는 항암제 준비, 투약, 폐기 과정에서의 환경관리, 노출 예방전략, 개인보호장구 착용의 16개 항목이며, 자가보고 이행도와 관찰 이행도는 항암제 준비, 투약, 폐기 과정에서의 안전관리 23개 문항이다. 수집된 자료는 Window SPSS version 22.0(IBM SPSS statistic)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Tukey 사후검정, 카이제곱 검정,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종양간호사의 항암제 안전관리지침에 대한 인지도는 평균 79.74점이며, 항암제 안전관리 대상, 항암제 노출 예방, 항암제 폐기와 관련된 문항에 대한 인지도는 90%이상으로 높았다. 개인보호를 위한 적정 개인보호 장구와 손위생 제재에 대해서는 각각 69.9%, 39.8%의 정답률을 보였으며, 오염된 린넨처리, 항암제가 남아있는 경우의 폐기 방법에 대한 환경 관리는 각각 79.6%, 29.6%로 낮은 인지도를 보였다. 2) 항암제 개인보호장구 착용에 대한 자가보고 이행도에서 장갑착용은 항암제 투약 후 폐기할 때, 정맥내 주사 또는 근육주사, 피하주사 할 때, 항암제 주입구에 수액세트를 꽂을 때, 불출된 항암제를 확인할 때 각각 평균 4.87±0.41점, 4.85±0.59점, 4.73±0.63점, 4.66±0.72점이었으며, 항암제를 경구 투약을 할 때는 3.53±1.70점으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항암제 노출 최소화를 위한 환경관리 실무는 전반적으로 높은 이행도를 보였으나, 항암제에 수액세트 꽂을 때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흡수지 사용은 3.03±1.63점으로 이행도가 낮았다. 3) 항암제 개인보호장구 착용에 대한 관찰 조사결과, 장갑착용은 불출된 항암제를 확인할 때 80.6%, 항암제에 수액세트를 꽂을 때 93.9%, 정맥 주사 또는 근육이나 피하 주사할 때 100%, 항암제를 폐기할 때 100%로 높았으나, 경구 투약에서는 40%의 이행도를 보였다. 또한, 항암제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환경관리 실무도 전반적으로 높았으나, 항암제에 수액세트 꽂을 때 흡수지를 사용하는 경우는 30.6%로 낮게 나타났다. 4) 간호사의 항암제 안전관리지침에 대한 인지도와 자가보고 이행도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25, p=.001). 5) 항암제 안전관리지침에 대한 자가보고 이행도가 높을수록 관찰 이행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항암제에 수액세트를 꽂은 후 장갑을 벗고 손위생 이행은 자가보고와 관찰조사 간 차이를 보였다(p=.001). 본 연구는 국내 의료기관 인증평가가 2차례 이상 시행된 후 항암제 안전관리에 대한 정책과 규정이 정착된 시점에서 종양간호사의 항암제 안전관리지침에 대한 인지도와 이행도를 파악한 연구로 그 의의가 있다.

      • 할랄인증제도가 수출에 미치는 영향 : 기술적조치(TBT와SPS)를 중심으로

        윤지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무슬림 경제성장과 웰빙(Well-being) 이미지로 인해 할랄 시장의 규모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할랄인증제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신보호무역주의로 인한 각국의 비관세장벽이 높아지고 있는 현실에서, 국가별로 상이한 할랄인증제도가 할랄 산업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 매우 필요한 시기이다. 본 연구는 할랄식품의 최대 수출 10개국과 수입 10개국(중동과 동남아시아)을 대상으로 2004~17년 사이를 분석기간으로 설정하여, 중력방정식에서 포아송 유사 최우추정법(PPML)을 고려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 설정한 전체 수입 10개국의 TBT와 SPS는 수입에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동도 이와 같은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동남아시아에서는 TBT와 SPS의 결과가 각각 음(-)과 양(+)의 결과로 상이하게 나타났다. 할랄 인증에 대해 동남아시아의 경우, 위생 및 검역의 성분검증은 소비자들의 제품 신뢰를 높여 수입을 오히려 증가시켰지만, 시험인증절차는 기업의 비용을 높여 무역장벽으로 작용하였다. In accordance with recent growth of Muslim population, demands for the halal products have also increased. As the impacts of non-tariff barriers on trade become significant, it is timely to analyze the effect of different halal certification system across countries that affects exports of halal product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echnical barriers to trade (TBT) and sanitary and phytosanitary measures (SPS) related to halal certifications on the bilateral trade between top ten exporting and importing countries in the Middle East and Southeast Asia over the period of 2004-2017 based on the gravity model using the PPML method.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both TBT and SPS imposed by ten importing countries were positively affected their imports, and which the same has shown to the Middle East. However, the TBT and SPS measures have different effects. The effects of TBT were negative while SPS affected positively in Southeast Asia, respectively. The halal certification for Southeast Asia helps to promote their imports through providing information to consumers, which enhances consumer confidence by ensuring the safety of Haral food ingredients and quarantine procedures. On the contrary, the test qualification procedures serve as barriers to trade as they impose higher compliance costs for fir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