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함수교수학습에서 GeoGebra의 활용 방안 연구

        김영남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중학교 1학년부터는 함수 교육이 적극적으로 시작되는 시기이다.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컴퓨터를 활용한 교육을 하도록 적극 권장하고 있다. Dienes의 수학학습원리에 따라 공학적 도구로 컴퓨터 활용을 적극 활용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이 논문을 작성했다. 연구자는 GeoGebra를 소개하고 GeoGebra를 이용하여 함수 수업에 활용한 부분을 실제 교과서와 자료를 이 논문에 제시하고 학습자의 흥미와 태도 변화에 긍정적 변화를 주는 것에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하고 있다. 그리고 교사들이 실제 수업에 적용하는 방법을 참고하여 교수학습 과정에 자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교사와 학습자의 자세가 갖추어지고 학교에 컴퓨터가 구비되어 컴퓨터를 활용한 수업을 할 여건이 갖추어 진다면 GeoGebra를 활용한 수업은 훌륭한 학습도구로 사용되어 질 것이다.

      • 융합형으로 구성한 쌍곡기하의 교수학습 지도방법 연구 : 고교 자연계열 학생을 대상으로

        이현주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고교 자연계열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비유클리드 기하학 중 쌍곡기하와 쌍곡평면에 대한 교수 학습 지도 방법을 개발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쌍곡기하와 쌍곡평면의 이론을 지도 대상에 맞게 적절한 수준으로 구성하고, 쌍곡평면의 모형 중 하나인 포엥카레 모형을 구현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인 ‘NonEuclid’ 실습을 통하여 쌍곡평면에 대한 이해를 돕고 쌍곡기하의 특징을 알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교수 학습 방법적으로는 과학사를 통해 쌍곡기하의 의미를 파악하고, 예술 작품들 속에 나타난 쌍곡기하의 아이디어를 찾아 감상함으로써 과학사, 예술, 테크놀로지와 접목한 융합형 교수학습모형을 구성하였다. 실제 수업 후에 학생들의 설문 결과와 반응을 바탕으로 교수 학습 지도 방안을 좀 더 보완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ppropriate teaching method for teaching the theory of the hyperbolic geometry and the hyperbolic plane to students of natural science in high school. To achieve this purpose, I tried to develop a lesson plan for the theory of the hyperbolic geometry and the hyperbolic plane at the proper level and teach it so that students can learn the characteristics of the hyperbolic geometry by practicing ‘NonEuclid’, a software developed for an interactive simulation of the Poincare’s Model of Hyperbolic Geometry. The methodological approach to teaching the above is based on STEAM model that combines the history of science, art, and technology. Students can learn the concepts in hyperbolic geometry and appreciate works of art containing them. After the lesson, I will revise the method through suggestions and questions from participating students.

      • 공정대표의무에 따른 소수 노동조합의 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

        변준규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2010년 1월 1일에 개정된「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에 따라 2011년 7월 1일 이후부터 복수 노동조합 및 교섭창구 단일화 제도가 실시되며 교섭대표노동조합이 각종 교섭 관련 업무를 대표하게 되었다. 그러나 한국의 교섭창구 단일화 제도는 오랜 기간 관련 논의를 거치기는 하였으나 입법하는 과정에서 교섭창구 단일화 제도와 복수 노동조합 제도가 갑자기 도입되었기 때문에 헌법소원 등 도입 초기의 진통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 또한 교섭창구 단일화를 통하여 교섭의 효율성 및 교섭비용의 절감이라는 결과를 획득하였으나 교섭 과정을 일원화시켰기 때문에, 소수 노동조합의 단체교섭권을 교섭창구 단일화라는 제도로 제한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를 극복하고자「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은 공정대표의무를 도입하여 소수 노동조합이 교섭절차 진행 및 단체협약의 내용 등 교섭관련 전반적 과정에서 단체교섭권이 제한되는 문제점을 보완하고 사용자 및 교섭대표노동조합이 소수 노동조합의 실체적·절차적 권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소수 노동조합이 점차 각종 실체적·절차적 권리를 주장하면서 사용자와 교섭대표노동조합이 이를 어느 정도까지 수용할 수 있는지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의 내용상 보호하여야 할 범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서술하지 않았는데, 이 보호의 범위를 어디까지 인정할지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와 더불어 사용자와 교섭대표노동조합은 교섭창구 단일화 절차에 참여한 노동조합 또는 그 조합원 간에 합리적 이유 없이 차별을 하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그 차별의 근거가 되는 ‘합리적 이유’가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그에 대한 논란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해 소수 노동조합이 실체적·절차적인 측면에서 권리를 보장받는 데 한계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공정대표의무에 대한 내용을 먼저 전반적으로 파악하며 그 뒤 외국 중 주요국(독일·일본·미국)의 복수 노동조합 상황을 어떻게 슬기롭게 해결하며 제도를 발전시켜왔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그 뒤 실체적 측면과 절차적 측면에서 소수 노동조합의 권리를 연구한다. 먼저 노동조합 사무실과 같은 조합 활동에 근간이 되는 ‘공간’에 대한 권리와 근로시간 면제제도와 같은 ‘시간’에 관한 권리, 그리고 그 외 조합 활동과 관련한 실체적 권리와 함께 교섭안건 설명, 의견 청취, 교섭요구안 선택권 및 협약의 인준투표제 등 절차적 권리를 연구한다. 그 뒤 소수 노동조합의 권리 보장 방안으로 먼저 실체적 권리 중 노동조합 사무실은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제29조의2 제5항의 공동교섭대표단에 참여 할 수 있을 정도의 조합원을 보유한 노동조합에 한정하여 사무실을 제공한다. 그 노동조합 사무실의 시설은 산업안전보건법상 휴게시설의 설치에서 규정하고 있는 시설 기준을 준용하여 노동조합의 조합 활동을 원활하게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근로시간 면제제도에 따른 면제시간 부여는 극소수의 인원인 노동조합이어도 최소한의 조합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면제시간을 배분하도록 한다. 또한 기타 조합 활동의 경우 조합 활동을 전개할 수 있는 최소한의 보장을 하는 형태로 실체적 권리의 보장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절차적 권리보장 방안으로는 먼저 의견수렴의 경우 근로자 과반수에 대한 대표제를 도입하여 소수 노동조합 및 노동조합원의 의견을 경청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그리고 교섭 진행과 관련하여 교섭대표노동조합과 소수 노동조합의 정보 공유 및 소수 노동조합의 의견수렴을 위하여 안건 전달 및 의견수렴과 관련하여 방안을 제시하며, 교섭대표노동조합의 교섭 행태에 문제가 있는 경우 및 공정대표위반이 발생하는 경우 교섭단위 분리를 가능하게 하여 소수 노동조합의 의견을 무시하지 않고 경청하게 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통하여 소수 노동조합의 실체적·절차적 권리를 보장하며, 교섭창구 단일화 제도의 민주적 정당성과 안정적 운영을 보장하여 원활한 노사관계를 모색하고자 한다.

      • 미디엄 필드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등방성 투명 전도성 필름 제작에 대한 연구

        박은혜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Transparent conductive films (TCF) based on indium-tin-oxide (ITO) have been widely used in various electronic applications such as displays and solar cells because of their excellent electrical conductivity and optical transparency. However, their low flexibility and high material cost have driven industries to seek for alternatives such as TCFs with metal meshes. Despite the high conductivity and durability of metal mesh-based TCFs, they are likely to have the unfavorable moiré effect, appearing when the periodic pattern of a metal mesh is superimposed on a color filter that has another periodic pattern of colorant pixels. In this study, we introduce an efficient fabrication method for TCFs with silver microfibers using medium field electrospinning. The random serpentine motion of the medium field electrospinning renders silver microfibers contact with adjacent silver microfibers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hence eliminates the necessity of double-pass printing, resulting in the increase of manufacturing productivity. Moreover, the random network formation of silver microfibers liberates TCFs from the adverse moiré effect.

      • 태양전지 전면전극용 실버 잉크에서 실버 네오테카노에이트가 접촉 비저항에 미치는 영향성

        강진수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Since the issues such as depletion of fossil fuel, environmental pollution, and dangerousness of nuclear energy are currently magnified around the world, people shed new light on new renewable energy. Among various new renewable energy, it is a solar cell using solar light that has most often been studied and has been put to practical use. Solar cell is now being provided for industrial and family use and is worldwidely getting the limelight as a substitute for nuclear energy. Electric power from solar cell is produced through a method that convert solar light into electric energy and the maximization of solar cell efficiency might be the biggest issue. In addition to overseas companies, local manufacturers and researchers are making large investments in maximization of solar cell efficiency. Among a number of factors that impede the efficiency of solar cell, front electrodes formulated in front of silicon and contact resistivity between layers of silicon emitter are one of the main reasons. In this study the selection of general materials for making silver ink for formulating front electrodes of solar cell and the influence of addition of silver neodecanoate, a kind of organic silver, on contact resistivity and efficiency were investigated. The ratio of solvent was determined by selecting BCA and terpineol through the cosolvent system and the kind and content of silver and glass frit were decided with inorganic solid content. Also, contact resistivity between electrode and wafer according to existence of organic silver was observed. It was found that the windows of firing temperature process broadened more with the addition of organic silver than those without organic silver addition, which seems to have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contact resistivity and the increase of efficiency through the increase of contact area on the interface of electrode and wafer and the increase of colloidal density inside glass frit layer.

      • 암 예방활성을 가지는 다이아인 다이올 화합물의 구조-활성 상관관계 연구

        이창용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암은 우리나라에서 사망률이 가장 높은 질병으로 그 치료법은 수술, 방사선치료, 항암제치료가 있지만 부작용과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암 연구의 새로운 전략으로 천연물을 이용하여 발암과정을 인위적으로 억제하거나, 지연 또는 역전시켜 암을 예방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는 추세이다. 하지만, 천연물로부터 해당 물질을 추출해야 하고, 추출된 항암물질이 다량 포함되어야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등의 문제가 있고, 대량 생산이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어 암 예방활성을 가지는 신규 화합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실에서는 2010년 Gymnasterkoreayne G의 구조-활성 상관관계연구를 보고한바 있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자는 구조가 간단하면서 합성하기 쉬운 다이올 구조의 다양한 유도체를 합성하여 암 예방활성을 검색하고자 하였다. 1,4-bis(trimethylsilyl)buta-1,3-diyne을 출발물질로 5단계를거쳐 다이올 유도체 51개를 합성하였으며, 암 예방활성을 검색하였다. 암 예방활성은 암 예방지표 Chemopreventive index (CI)를 계산하여 나타냈으며, 합성된 유도체들의 암 예방활성의 결론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다이올 화물에서도 암 예방활성이 있다. 2) 다이올 화합물은 비교적 독성이 낮다. 3) 카본의 개수가 3~5개의 alkyl기를 포함한 화합물의 암 예방활성이 뛰어나다. 이상의 연구결과, 천연물보다 구조가 간단하면서 합성하기 쉽고, 암 예방활성이 뛰어난 화합물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 자가면역 치료 효능을 가지는 저분자 화합물의 설계 및 합성 : Thiohydantoin 골격의 sphingosine 1-phosphate 분해효소 저해 물질 연구

        조서현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sphingosine 1-phosphate(S1P)는 인체 내에 존재하는 생리활성 신호전달 매개체이다. S1P는 세포막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수용체로써 S1P1-5가 존재한다. 이러한 수용체들은 G 단백질 결합 수용체(GPCR)로 혈관신생이나 면역, 뼈의 형성 같은 인체내 다양한 것을 조절한다. 따라서 이러한 신호체계에 문제가 생기면 자가면역질환, 암, 염증, 대사증후군 같은 다양한 질환을 발병 시킨다. 최근 연구자들은 이러한 S1P를 연구 주제로 다양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대표적으로 다국적 제약회사인 No-vartis에서 S1P 수용체를 조절하는 약물로 다발성 경화증 치료 효능을 가지는 Gilenya를 이미 시판 중에 있다. 또한 Lexicon이라는 제약회사에서는 LX2931이라는 약물을 류마티스 관절염을 적응증으로 임상2상 진행 중 이다. 본 연구에서는 S1P를 표적으로 하는 약물을 독점적인 in silico 스크리닝 프로토콜 인 Alis-Dock(Automatic pLat-form for Iterative Structure-based DOCKing)을 사용하여 Hit 화합물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Hit화합물의 합성법을 개발하고 구조-활성 관계 연구를 하기 위해서 화합물의 유도체를 설계 및 합성하여 생물학적 활성실험을 통해 자가면역질환 치료 효과를 탐색하였다.

      • 퀴놀린 골격을 갖는 PIM 키나아제 저해제의 설계, 합성 및 구조-활성관계 연구

        박성혁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암은 인체 내에서 비정상적으로 증식한 세포 또는 조직으로서 인체의 장기에 침습하여 장기의 기능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암세포로 인한 여러 화학물질에 의해서 대사항상성이 무너져 인체에 해를 가한다. 외과적 수술, 방사선 치료, 항암 화학요법등 암을 치료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 중이지만, 여러 부작용과 낮은 관해율은 암 치료법의 지속적인 연구를 요구한다. 그 중 화학요법은 과거 대형제약사에서 많은 연구를 진행하였고, 현재도 여러 타깃을 대상으로 한 화합물을 합성하여 신약을 개발하고 있다. 여러 타깃 중 PIM kinase는 쥐 급성백혈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에 존재하는 세린/트레오닌 kinase의 일종으로, 여러 사이토카인에 의해서 조혈모세포의 생존 과 분화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에 여러 논문에서 이러한 PIM kinase를 발현시키는 유전자가 oncogene으로 분류가 되었고, 인간의 상피세포암과 조혈모세포에서 PIM-kinase가 과발현 되어있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PIM kinase를 억제하여 항암활성을 갖는 항암제를 개발하려는 연구가 여러 제약회사 및 연구진들에 의해 활발히 진행중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실에서도 PIM kinase를 억제하는 초기 화합물을 찾고 그 화합물의 유도체를 합성하여 항암 활성을 갖는 선도화합물을 만들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기화합물을 찾기 위해서 컴퓨터 docking기법을 이용하여, PIM kinase-1과 결합하여 억제효과를 갖는 퀴놀린과 인돌 모핵을 제안하였고 그 중 퀴놀린 모핵을 중심으로 5가지의 다른 치환된 피페리딘과 10여 가지의 페닐 보로닉 엑시드를 가지고 친핵성 방향족 치환반응과 스즈키 반응을 이용하여 90가지의 퀴놀린 모핵의 유도체를 합성하였다. 유도체 합성을 수월하게 진행하기 위해서, 핵심중간체를 합성하는 가장 쉽고 효율적인 방법을 찾는 연구도 진행하였다. 그리고 현재까지 4번과 6번 위치가 치환된 퀴놀린 모핵을 갖는 화합물이 많이 연구되지 않았기 때문에, 핵심중간체로부터 친핵성 방향족 치환반응과 스즈키 반응에 이용할 이상적인 온도와 용매조건을 찾고자 여러 가지 온도와 용매로 실험하여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찾아내었다. 이번 연구에서 합성한 90여 가지의 유도체를 PIM-Kinase-1에 직접 처리하여 억제하는 %를 얻었고, 그 중 효소를 50%이상 저해한 화합물을 대상으로 효소 IC50을 얻었다. 그리고 유도체들의 항암효과를 검색하기 위해서 암세포를 이용한 MTT assay를 진행하여 데이터를 얻었다. 그리고 화합물 간의 효소억제데이터와 IC50을 비교분석하여 구조-활성관계를 도출하였고, 제안한 화합물보다 효과가 좋았던 화합물을 다시 컴퓨터 docking 검색하여 제안한 화합물보다 Kinase에 더 잘 결합하여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화합물 중 가장 효과가 좋았던 화합물을 가지고 PK실험을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