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종합병원 사인시스템의 정보전달 효과 연구 : 안내·유도사인의 역할과 기능을 중심으로

        홍주희 인제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15

        하루에도 수많은 이용자가 출입하는 종합병원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소로 거듭나고 있다. 이러한 공간의 특성상 내부 환경의 정보량은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고, 그로인해 정보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사인시스템 역할의 중요도가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때문에 이용자가 병원 내부 사인을 통해 인지하는 정보인식에 대한 오류를 최대한으로 줄이고 혼잡한 정보를 좀 더 쉽게 전달할 수 있는, 길찾기에 효과적인 사인시스템 체계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종합병원 내부 공간 사인시스템의 시각요소를 중심으로 현장조사를 통한 설치위치, 크기, 색채, 레이아웃, 문자 등 세부화한 분석을 통해 선행연구논문인 「공공건물 사인시스템 문자정보에 대한 이용자 지각 효과 분석(백진경, 2004)」,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에 따른 종합병원 안내․유도사인시스템의 시각요소에 관한 연구(권숙영, 2007)」에서 조사된 종합병원 사인시스템과 비교하고, 신규 사인시스템에 대해 이용자의 전반적인 인식조사를 위해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의 외래진료부의 사인을 대상으로 이용자만족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현황조사와 이용자만족도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연구논문의 실험을 참고하여 서체에 따른 자간․행간실험, 안내사인 정보의 양에 따른 실험을 실시하여 사인의 적절한 시각요소 정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세부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신규 사인시스템 현황조사대상은 서울․부산 지역에 위치하고, 2008년 이후에 개원을 하거나 다시 디자인을 한 3차 의료기관인 종합병원 8곳(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강남세브란스병원,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서울아산병원 신관, 삼성암센터,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양산부산대학교병원)을 지정하여 현장조사를 통하여 안내․유도사인, 기명사인의 시각요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보행자의 통행에 방해를 초래할 수 있는 스탠드형 사인은 많이 줄고 행거형 사인이 증가하였다. 또한 굵기가 두꺼운 제목용 서체에서 윤고딕140 정도 굵기의 서체를 주로 사용하고 있었고 청록계열 색상의 사용률이 높았던 것에 비해 회색과 난색계열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었다. 크게 2003년도, 2006년도, 2008년도를 기점으로 나누어, 2008년도 이전과 이후의 사인시스템을 비교하고 재정리하여 종합병원 사인시스템의 변화를 알아보고,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신규 사인시스템 현황분석과 이용자만족도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이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안내사인을 대상으로 서체에 따른 자간․행간실험(실험Ⅰ)과 제공하는 정보의 양에 따른 실험(실험Ⅱ)을 실시하여 세부적으로 분석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Ⅰ에서는 간격의 차이, 유목성, 가독성, 안정감, 편안함의 요인에 따라 윤고딕160-보통자간, 윤고딕140-넓은 행간 샘플이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고 실험Ⅱ에서는 각 샘플(정보의 양 7개, 12개, 17개)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정보의 양이 최대 22개인 샘플을 제시하였을 때 피험자의 지각효과가 현저하게 떨어졌다. 향후 이러한 현황조사 분석과 실험결과를 통해서 종합병원의 사인을 디자인 할 때, 고려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야식 섭취 행동 패턴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윤지 을지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대 대학생들의 경제적 상황, 학업, 취업, 식습관 문제, 대인관계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 우울의 정신건강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어지고 있다.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생활에 대한 만족도, 경제적 상황, 스트레스 정도, 비만 등의 질병 외에도 식습관 및 삶의 질에 대한 자료가 필요하다. 그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요인, 식습관 및 식생활, 야식 섭취 행동 패턴, 삶의 질의 8가지 요인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남학생과 여학생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의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분석하였으며, 연구 대상자는 19세-29세의 현재 경기도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으로 126명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식사 섭취 시간이 빠르고 주관적인 편식하는 정도가 낮았으며 남녀 모두 점심 및 저녁 식사보다 아침의 결식 이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또한 아침 식사 시 다른 두 시간대에 비해 혼자 하는 경우가 높았다. 아침 식사 빈도에 따른 삶의 질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을 시 아침 식사 빈도가 떨어질수록 삶의 질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의 야식 섭취 빈도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낮은 섭취 경향을 보였으며, 야식 섭취량을 경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섭취량이 많다는 응답을 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야식 섭취 후 취침까지의 시간을 조사하였을 때,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야식을 섭취 후에 더 일찍 잠에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인 질환 중 감염성질환 및 소화기성 질환, 신경성 질환, 피로 및 만성피로의 경우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더 높은 응답을 나타냈으며, 야식 섭취 빈도에 따른 질환 여부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연구 대상자의 삶의 질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우울, 계단오르기, 일하기 등 항목에서 여학생이 삶의 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야식 섭취 빈도가 증가할수록 삶의 질이 유의하게 떨어졌고, 성별, 연령, 체중 보정 시에도 삶의 질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설문을 통한 자가 야식 섭취량에 대한 물음에 야식 섭취량을 적게 섭취한다고 응답한 그룹에 비해 많이 섭취한다고 응답한 그룹에서 삶의 질이 유의적으로 삶의 질이 떨어졌으며, 이 또한 연령, 체중, 성별을 보정 시 삶의 질이 유의적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암 생존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건강영양상태와의 연관성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7기 2016~2018년 자료이용

        정현수 을지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우리나라 암 생존자 중 1인 가구의 전반적인 식생활과 영양, 건강 상태에 대한 자료가 필요함에 따라 1인 가구의 인구통계학적 요인, 건강행태, 식생활 요인, 영양소 섭취, 생화학적 요인에 대해서 2인 이상의 다인 가구와 비교하였다. 암 생존자의 가구원 수에 따른 비교자료로는 질병관리청에서 매년 조사하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7기 2016년∼2018년 자료를 이용하여 총 24,269명 중 390명의 대상자를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조사자 중 암을 진단받지 않은 23,725명을 제외한 544명, 본 연구에 사용되는 인구 사회학적 요인, 건강행태, 영양상태 항목 조사에 응답하지 않은 만 55세 미만을 제외하여 조사하였고, 가구원 수에 따라 1인 가구 75명, 다인 가구 315명으로 총 390명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인 가구는 2인 이상 다인 가구보다 인구통계학적으로 높은 나이와 낮은 교육 수준, 경제활동을 하고 있지만, 소득이 상대적으로 적거나, 혹은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비율이 높았다. 건강행태에서는 1인 가구와 다인 가구 모두 흡연자가 약 90%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음주자보다 음주자가 절반 이상의 비율을 나타냈다. 삶의 질 지수에서도 1인 가구가 다인 가구보다 점수가 낮게 나왔고 두 군 모두 일상생활 함에 있어서 약간의 불편함과 우울함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생활 섭취 부분에서는 1인 가구의 영양소 섭취량이 탄수화물에 치우쳐져 있고 상대적으로 단백질의 비율은 낮게 나타나 영양 섭취 불균형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 치료 후에도 지속적인 영양교육과 이차 암이나 대사증후군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생활 습관 교정을 위한 관리가 필요함을 제시한다.

      • 대학병원 입원생활 안내문의 효율적인 정보디자인을 위한 연구

        김예지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의료서비스의 주체는 의료진 중심에서 환자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고객들은 병원으로부터의 차별화된 의료서비스를 요구하고 있다. 다양한 의료서비스 중 입원생활 안내문은 낯선 병원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입원 환자에게 제공되는 간호 정보 안내 서비스이자 의료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이다. 현재 입원생활 안내문 관련 연구는 대부분 병원 내 의료 질 향상(Quality Improvement, Q.I)과 관련된 서비스 개선 또는 만족도에 관한 것으로 보건 행정과 같은 분야에서 의료진이 주축이 되어 입원환자의 불안감을 경감시키고 의료진의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측면에서만 연구되어왔다. 그러나 고객만족도향상을 위해서 입원생활 안내문은 환자 및 보호자 중심에서 정보가 선별되어야 하며 쉽고 빠르게 이해할 수 있는 시각화된 간호 정보의 형태로 제공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용자의 시각적 편의와 정보 전달의 효율성을 개선하고자 국내⋅외 입원생활 안내문의 현황을 조사하여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새로운 입원생활 안내문 디자인 개선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정보디자인과 입원생활안내문에 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고 국내⋅외 병원 16개의 입원생활 안내문의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일정한 기준이 없는 정보 선별과 불필요한 항목으로 인한 항목 수 증가, 안내문 사용상의 편의를 고려하지 않은 형태 등의 다양한 문제점을 발견하였으며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토대로 환자 및 보호자, 간호사 두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 50명씩, 총 100명에게 정보 습득의 효율성과 이해도, 항목의 수 및 중요도, 색상 및 형태에 관하여 사용자 의식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입원생활 안내문의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제작한 입원생활 안내문의 샘플을 사용하여 안내문의 형태와 색상에 대한 선호도 설문을 실시하였다. 사용자 의식조사 결과, 사용자 대부분 입원생활 안내문이 간단·명료하게 안내되길 원하였으며 10개 이상 15개미만의 항목을 표기하되, 중요한 항목만 컬러 표시된 양면 2페이지 리플렛 형태를 선호하였다. 그러나 항목의 중요도 설문 결과 각 사용자별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항목이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사례조사와 사용자 의식조사 결과를 토대로 사용자 중심의 정보를 선별하고 색, 서체, 그래픽, 레이아웃과 같은 시각적 요소들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시각적 편의와 정보전달의 효율성을 향상 시키는 입원생활 안내문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입원생활 안내문 디자인 안은 지류 형태인 리플릿과 모바일 형태인 어플리케이션의 두 가지 형태로 제안하였으며 이들 개선안의 사용성 검증을 위해 추가적으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사용성 평가 결과 대체로 기존 디자인에 비해 정보가 체계화되고 시각적 요소가 정돈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다만, 필수항목만 요약된 간호 정보 안내문의 특성상 간호사와 환자 모두 재차 구두설명은 필수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개선안은 안내문의 특성인 실용성과 간결성에 보다 초점을 맞추어 효율적인 정보 전달을 위한 안내문의 구성을 갖추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아이콘 제작에 있어서 표준 규격을 고려하지 않은 부분을 개선하고자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에서 발표한 공공안내 그래픽 심볼 가이드를 토대로 아이콘을 재정비하여 이를 적용한 최종 디자인 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사용자 의식조사 및 사용성 평가 시 설문에 응답이 용이한 환자만을 선별하여 실시하였으므로 중환자의 의견이 누락되어 입원 환자 전체의 대표성을 나타내기는 어렵다는 한계점을 가진다. 그러나 입원생활 안내문을 직접 사용하는 환자 및 보호자와 간호사의 의견을 토대로 입원생활 안내문 디자인 개선안을 제안한 연구로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입원생활 안내문과 같은 간호 정보 제공 및 의료서비스 개선에 관한 연구가 보다 사용자를 고려한 시각 정보 디자인 측면으로 개선되기를 기대한다.

      • 입원환자 식단안내문의 정보디자인 개선 연구

        천은영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대 의료기관에서는 기본적인 진료서비스 외 의료소비자에게 다방면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만족도 향상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1995년부터 시행 중인 의료기관 서비스평가 제도가 대표적인 예로써, 환자가 병원에서 겪는 불편을 개선하여 의료 이용 편이를 증진 시키고 의료기관의 서비스 향상이 목적이며, 의료기관 서비스평가 제도의 주요 평가항목은 진료서비스를 기본으로 하고 의료외적 서비스인 생활서비스, 급식서비스로 나뉜다. 이러한 의료서비스의 다양화에 따라 의료소비자들의 진료서비스와 의료외적 서비스에 대한 기대도가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입원환자들의 경우 기대치는 더욱 증대되며, 입원생활 관련 서비스의 질 향상을 기대하는 추세이다. 특히, 입원환자의 치유와 회복에 가장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급식의 품질 및 영양 서비스와 급식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 서비스 등의 식생활 관련 서비스의 품질향상은 매우 중요한 관심사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급식 정보제공 서비스에 초점을 두어, 입원환자들이 입원 중 식단정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받도록 정보접근의 용이성에 기반을 둔 식단안내문 개선안을 제안하고자 국내 500병상 이상인 대학병원을 중심으로 서울권 병원 7곳과 부산권 병원 2곳을 선정하여 병원 내 영양부서를 직접 방문, 관찰 및 자료수집을 통해 식단안내문의 종류와 구성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입원 중 환자들의 식단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것에 비해 정보의 내용 및 중요도에 따른 분류가 이루어지지 않아, 원하는 정보를 쉽고 빠르게 읽어 낼 수 없어 정보전달력이 낮은 것이 최대의 공통적 문제점으로 확인되어, 정보를 내용 및 중요도에 따라 분류하고 시각화하여 가독성을 높인 식단안내문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인쇄물 외 디지털 매체를 통한 정보 전달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반영하여 매체나 장소에 국한되지 않고 유연하게 정보를 제공받도록 식단정보를 제공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인쇄물 형태의 식단안내문과 디지털 매체인 식단정보제공서비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입원환자 25명을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최종적인 입원환자용 식단안내 가이드라인을 제안 하였다. 이를 통해 입원환자들이 입원 원하는 식단정보를 쉽고 유연하게 제공 받게 되길 기대하며, 나아가 정보전달 측면의 의료서비스 발전에 기여할 것을 기대한다.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Information Design to Explain Inpatient Diets Eunyoung Cheon Department of Design,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Contemporary medical agencies provide to medical consumers a variety of medical services in addition to basic examination and treatment services and have made diverse efforts to enhance consumers’ satisfaction with these services. A representative example is the medical agency service evaluation system, which has been implemented since 1995 and whose purpose lies in mitigating the inconvenience experienced by patients at hospitals, thus increasing convenience in the use of medical services and improving medical agencies’ services. The major evaluation categories of the medical agency service evaluation system consist of examination and treatment services as the foundation and daily life services and meal services as non-medical services. With the diversification of these medical services, medical consumers’ expectations of both examination and treatment services and non-medical services have risen. Such expectations increase even further in the case of inpatients, who tend to expect an enhancement in the quality of services related to everyday life in the hospital. In particular, improving the quality of meals, which has the most direct effect on inpatients’ healing and recovery, and of dietary life-related services such as information provision services, which provide nutritional services and meal-related information, is a very important issue of interest. Consequently, the present study aimed at proposing a menu guide improvement plan based on the ease access to information, with a focus on meal information provision services, so that inpatients could be provided with menu information more efficiently during hospitalization. To achieve this goal, with a focus on domestic university hospitals with 500 or more beds, seven hospitals in Seoul and two hospitals in Busan, respectively, were selected, nutrition departments within these hospitals were directly visited and observed, and data were collected to analyze the types and contents of menu guid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the greatest common problem was confirmed to be a low ability to convey information because although patients were highly interested in the menu during hospitalization, information was not classified according to its contents and importance so that it was difficult for patients to obtain the desired information easily and promptly. Consequently, a menu guide improvement plan that increased legibility by classifying and visualizing information according to its contents and importance was proposed. Reflecting the opinions that it was necessary to convey information through digital media in addition to printed materials, the guidelines for a mobile application that would provide menu information flexibly regardless of the medium or the location were proposed. Based on these, usability evaluation of a printed menu guide and a menu information provision service mobile application, which is a digital medium, was conducted by 25 inpatients, and the final guidelines on menu information for inpatients were proposed. It is expected that, through these, inpatients will be provided with the desired menu information easily and flexibly and, moreover, contributions to the development of medical services in terms of information conveyance will be made.

      • 우리나라 연령대별 1인 가구와 2인 이상 가구 성인의 영양소 섭취 및 대사증후군 유병율 비교 :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3-2015년) 자료 이용

        최수빈 을지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사회의 한 가구 구성원으로서 1인 가구의 전반적인 식생활과 영양, 건강에 대한 자료가 필요함에 따라 1인 가구의 인구통계학적 요인, 건강형태, 식생활요인, 영양소섭취, 생화학적 요인, 대사증후군과 관련된 5가지 위험 요인에 대해서 2인 이상 가구와 비교하였다. 비교자료로는 질병관리본부에서 매년 조사하는 국민건강영앙조사 제6기 2013-2015년 자료를 이용하여 총 22,948명 중 12,096명의 대상자를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연령대별 식생활과 건강상태, 1인 가구가 된 원인이 다르기 때문에 연령대를 20-39세 3,349명, 40-64세, 5,855명, 65세 이상 2,892명으로 나눠서 1인 가구와 2인 이상 가구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인 가구는 2인 이상 가구 보다 인구통계학적으로는 교육수준과 수입은 낮은 반면 연령과 배우자의 부재,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비율은 높았고, 구성 비율은 65세 이상 노년층이 가장 높았으며 30-64세 중년층, 20-39세 청년층 순이었다. 건강형태에서는 1인 가구가 2인 이상 가구 보다 흡연자, 체중조절 하지 않은 대상자의 비율이 높았고, 주관적 건강상태는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식생활 요인은 1인 가구가 2인 이상 가구 보다 아침결식률과 식사 시 홀로 식사, 잦은 외식 빈도가 높았고, 식품섭취불안정군과, 영양표시 미인지, 비음주자가 높았다. 영양소 섭취에서는 전체적으로 1인 가구가 2인 이상 가구 보다 섭취량이 낮았지만, 탄수화물비는 높았다. 생화학적 지표와 대사증후군 위험 요인,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20-39세 청년층 1인 가구에서는 뚜렷하지 않았지만 40-64세 중년층과 65세 이상의 노년층에서 높은 생화학적 지표 항목과 대사증후군 위험 요인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1인 가구를 대상으로 올바른 식생활 영양교육과 함께 생활습관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며, 특히 고 탄수화물 식사에 대한 적절한 탄수화물 비율에 대한 영양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만성 질환에 대한 전체적 질병 관리 보다는 세부적으로 연령에 따른 관리가 필요함을 제시한다.

      • 잣잎 분말 함유 기능성 곤약젤리스틱의 품질특성 및 감각특성

        박은빈 을지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코로나19 바이러스 전염병 발생으로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으나 바쁜 현대인들의 식습관 변화로 영양소 섭취기준 미만 섭취자가 증가하고 있다. 잣잎은 다양한 생리활성물질 및 페놀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 작용, LDL 콜레스테롤 저하, 세포 보호 효과 등의 역할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젊은 성인의 관심도에 맞춰 다양한 영양소를 보충하고 항산화 효과 기능성이 있는 잣잎 분말을 0%, 1%, 3%, 5%, 7%의 다양한 비율로 첨가하여 품질평가와 감각특성을 평가하였다. 잣잎 분말의 분석 결과 조회분 1.37%, 조단백질 1.02%, 조지방 0.08%이고, 식이섬유 2.98g/100g, 가용성 고형분 8.37° Brix, pH 4.40로 나타났으며, 수분은 4.04%, 색도는 L-value 45.82, a-value -1.27, b-value 27.89로 나타났다. 또한 나트륨 16.79 mg/100g, 칼슘 31.44 mg/100g, 칼륨 595.08 mg/100mg, 철분 0.39/100g이고, 항산화의 경우 총 플라보노이드 0.39 mg/mL, 총 폴리페놀 0.89 mg/mL, ABTS 라디칼 소거능 94.61%, DPPH 라디칼 소거능 43.56%로 나타났다. 잣잎 분말의 젤리스틱의 분석 결과 조지방(p=0.001)과 식이섬유(p=0.025)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pH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산성으로 변화하였다(p<0.001). 수분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01). 색도에서는 L-value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01), a-value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01). 조직감으로는 응집성이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01). 나트륨과 칼륨의 경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p<0.001), 항산화 분석 결과 총 플라보노이드, 총 폴리페놀, ABTS 라디칼 소거능, DPPH 라디칼 소거능 모두 대조군에 비해 높았으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01). 기호도 평가 결과 색, 맛, 전반적인 기호도에서는 각 첨가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p<0.001), 0% 첨가군이 가장 기호도가 높았다. 강도 평가 결과 색, 쓴맛, 향, 조직감 모두 0% > 1% > 3% > 5% > 7% 순으로 강도가 강하게 느껴졌음을 알 수 있고, 0% 첨가군과 7% 첨가군 간의 확연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각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01).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보았을 때, 영양 및 기능성을 고려한다면 식이섬유, 항산화 및 칼륨 등이 풍부한 7% 첨가군이 적합하나, 기호도 또한 고려한다면 1% 첨가군이 적합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잣나무의 열매인 잣뿐만 아니라 부속물인 잣잎 또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 스틱 젤리 제조에도 항산화 효과가 풍부한 잣잎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여 기능성 스틱 젤리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될 것으로 사료된다. Consumers’ interest in health is increasing due to the outbreak of the COVID-19 virus epidemic, but the number of people who eat less than the nutrient intake standard is increasing due to changes in the eating habits of busy modern people. Pins koraiensis leaves contain various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and phenolic compounds, they acts as antioxidant, LDL cholesterol reduction, and cell protection effect. Therefore, this study evaluated quality evaluation and sensory characteristics by supplementing various nutrients according to the interest of young adults and adding the antioxidant pins koraiensis leaves powder in various ratios of 0%, 1, 3, 5%, and 7%.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pins koraiensis leaves powder, crude ash was 1.37%, crude protein was 1.02%, crude fat was 0.08%, dietary fiber was 2.98 g/100g, sugar content was 8.37°Brix, pH was 4.40, moisture content was 4.04%, L-value was 45.82, a-value was -1.27, and b-value was 27.89. Also Sodium was 16.79 mg/100g, calcium was 31.44 mg/100g, potassium was 595.08 mg/100mg, iron was 0.39/100g, total flavonoid was 0.39 mg/mL, total polyphenol was 0.89 mg/mL, ABTS radical scavenging was 94.6%, and DPPH radical scavenging was 43.56%.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sticky jelly of the pins koraiensis leaves powder, crude fat(p=0.001) and dietary fiber(p=0.025)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added amount increased. The pH was significantly reduced and changed to acidic(p<0.001). The moisture content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added amount increased(p<0.001). In the color value, the L-value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amount of addition increased(p<0.001), and the a-value significantly increased(p<0.001). In the texture, the cohesiveness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amount of addition increased(p<0.001). In the sodium and potassium, the added amount increased significantly(p<0.001), and In the antioxidant, the total flavonoid, total polyphenol, ABTS radical scavenging, and DPPH radical scavenging were all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and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added amount increased(p<0.001). As a result of evaluation of prefere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ach addition group in color, taste, and overall preference(p<0.001), and the 0% addition group had the highest preference. As a result of the strength evaluation, the color, bitterness, flaver, and texture were all felt strongly in the order of 0% > 1% > 3% > 5% > 7%,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between the 0% and 7% added group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p<0.001).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f nutrition and functionality are considered, the 12% additive group rich in dietary fiber, antioxidant, and potassium is suitable. However, if the preference is also considered, the 1% additive group is suitable.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believed that not only pine nuts, which are the fruit of pine trees, but also pine needles, which are accessories, will be used, and the applicability of pins koraiensis leaves rich in antioxidant effects in the manufacture of stick jelly will be explored to provide basic data for functional stick jelly. And this study is considered that it is provided as a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sticky jelly by exploring the applicability of pins koraiensis leaves rich in antioxidant effects in the manufacture of stick jelly.

      • 노인층을 위한 근력 향상 및 유지관리 애플리케이션 디자인 연구

        조영란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Sarcopenia refers to a decrease in physical function due to the rapid decrease in muscle mass due to aging. Muscle mass begins to decrease at age 50 and almost halves at age 70. As this leads to muscle weakness,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is in advance because it can be a factor in the occurrence of chronic diseases due to a decrease in activity as well as a decrease in metabolism. Sarcopenia was assigned a disease code by the International Disease Classification System ICD-11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in 2016, and was classified as a Korean standard disease death and was recognized as an official disease by receiving a diagnostic name in South Korea (M62.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study based on the ‘muscle savings account’ a handwritten muscle exercise diary developed and distributed by the Health Life Support Center in S city in the metropolitan area for the aim of improving the muscle strength of the elderly and stimulating ongoing motivation.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participated in the design, and as a result of the satisfaction survey, most of them were satisfied with using the ‘muscle savings account’, but users expressed concern about the hassle and waste of wearing it.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n application for improving and maintaining muscle strength for the elderly who reflect their needs by applying the ‘muscle savings account’ and expanding the target to active seniors who have reduced muscle mass, reflecting their needs.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identify design elements that considered related healthcare application design studies and user characteristics. Among actual users, 50 people aged 55 to 70 were surveyed to identify user perceptions and preferences. Through this, the experience and needs of the user, such as the types and functions of frequently used healthcare applications, were determined, and based on the results, a prototype of the ‘muscle savings account’ was created. The main colors and illustrations of the application design were applied in the same way as the ‘muscle savings account’ of S city. In addition to the main functions as measurement result drawing and exercise diary writing, the number of activities measured, health information, and health management helper were configured as menus for the health management center. Besides being use in the health management center, it was intended to be used alone to help induce muscle strength and exercise motivation.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5 experts and 5 subjects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the prototyp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use around the age of 65, and corrections to the prototype of the expert were identified considering that the main target of use was the elderly. The overall font size was adjusted to reflect this result, and the final design was proposed by modifying for intuitive icon and layout consistency. This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convert handwritten ‘muscle savings account’ into an application to enhance the sustainability and utilization of users which was used at the Health and Living Support Center for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As the importance of preventing sarcopenia increases, it is hoped that it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relevant research. 근감소증은 노화로 인한 급격한 근육량 감소로 신체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의미한다. 근육량은 50대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여 70대에 들어서면 절반 가까이 줄어들게 된다. 이는 근력 약화로 이어지게 되면서 활동성 저하는 물론 대사량 감소로 인한 만성질환 발생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사전에 이를 예방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근감소증은 2016년 세계보건기구 WHO의 국제질병분류체계 ICD-11에 의해 질병코드를 부여받았고, 국내에서도 한국표준질병사인에 분류되어 진단명(M62.5)을 부여받음으로써 공식 질병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본 연구는 수도권 S시 건강생활지원센터에서 노인층의 근력강화 및 지속적인 동기유발을 목적으로 개발되어 배포한 수기형 근력 운동일지 ‘근력 저축통장’을 토대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는 본 연구자가 디자인에 참여하였으며, 사용 만족도 조사 결과, ‘근력 저축통장’ 사용에 대해서는 대부분 만족하고 있었으나 이를 가지고 다니는 것에 번거로움 및 분실에 대한 사용자들의 우려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근력 저축통장’을 애플리케이션화 하고 근육량이 감소하게 되는 액티브 시니어로 대상을 확장하여 이들의 니즈를 반영한 노인층을 대상으로 한 근력 향상 및 유지관리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제안하고자 한다. 관련 건강관리 애플리케이션 디자인 연구 및 사용자의 특성을 고려한 디자인 요소를 파악하고자 문헌 고찰을 실시하였으며, 유사한 기능을 가진 애플리케이션의 현황을 파악한 결과 젊은 연령층 대상의 미용 및 다이어트를 목적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이 대다수였고 노인층이 사용하기엔 어려움이 있어 보였다. 이에 실질적인 사용 대상자 중 55~70세의 연령, 50명을 대상으로 사용자 인식 및 선호도를 파악하고자 설문을 진행하였다. 이에 자주 사용하는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및 기능 등 사용자의 경험 및 니즈를 파악하였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근력 저축통장’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다. 애플리케이션의 주요 색상 및 일러스트는 S시의 ‘근력 저축통장’과 동일하게 적용하였으며, 주요 기능인 측정 결과 화인 및 운동일지 작성 이외에 활동 수 측정, 건강 정보, 건강관리 도우미를 메뉴로 구성하여 건강관리센터에서의 사용뿐만 아니라 혼자서도 이를 사용하여 근력 및 운동 동기 유발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이후 프로토타입에 대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고자 전문가 5인과 대상자 5인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65세를 전후로 사용 만족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주 사용 대상이 노인층임을 고려하여 전문가의 프로토타입에 대한 수정사항을 파악하였다. 이 결과를 반영하여 전반적인 글자 크기 조정이 이루어졌으며, 직관적인 아이콘 및 레이아웃 일관성을 위한 수정을 진행하여 최종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 사회 노인층을 위해 건강생활지원센터에서 사용한 수기형 ‘근력 저축통장’을 사용자의 지속성과 활용성을 높이고자 애플리케이션화 했음에 의의가 있으며, 근감소증 예방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이와 관련한 연구의 참고 자료로 이용될 수 있길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