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에 관한 문헌연구 : 한국 웩슬러 유아 및 아동 지능검사 수행 분석을 중심으로

        윤소영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literature reviewed academic publications reporting the performance measured by the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 (K-WPPSI) to investigate Korean children's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First of all, prior to analyzing Korean children's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I categorized these publications by the published year, the number of participants(n), ages of participants, and participant grouping (either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and organized them. Second, I analyzed the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K-WPPSI) (Park, Kwak, Park, 1996b),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IV (K-WPPSI-IV) (Park, Lee, Ahn, 2016), Korean-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III(K-WISC-III) (Kwak, Park, Kim, 2001b), and Korean-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IV(K-WISC-IV) (Kwak, Oh, Kim, 2011) by focusing on subtests, indexes, and the levels of IQ to analyze Korean children's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outcom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 found the total of 4 publications reporting on both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s performance among the 70 publications reporting on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WPPSI, which include 46 publications measuring performances of the general children and 20 publications measuring those of the exceptional children. The numbers of participants on the general children varied from n=1 to 360, which averaged n=64. The participants' ages ranged from 3 to 7. Among the result of performances on the subtests, the Geometric Design showed the highest scores (M=12.73(SD=3.92)) and the Vocabulary showed the lowest scores (M=9.79(SD=2.57)). By the performances of the IQ indexes, the Performance Intelligence Quotient(PIQ) (M=103.68(SD=16.53)) and Vocabulary Intelligence Quotient(VIQ) (M=103.68(SD=14.82)) showed similar scores and the mean of the Full-Scale Intelligence Quotient(FIQ) was 103.23(SD=15.06). The numbers of the exceptional children whose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WPPSI varied from n=1 to 40, and the average was n=11. The participants' ages ranged from 3 to 13. By performances of the subtests, the Information showed the highest scores (M=7.01(SD=1.73)) and the Geometric Design showed the lowest scores (M=5.50(SD=2.12)). By performances of the IQ indexes, PIQ(M=81.45(SD=14.00)) showed the higher scores than the VIQ(M=77.56(SD=12.92)), and the average of the FIQ was 82.61(SD=10.37). Finding the between-group similarity as to the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WPPSI, both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showed the higher scores on the performances of the PIQ than VIQ.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Korean children whose age ranges suitable for the K-WPPSI greatly represent the ability that is influenced by genetic and biological factors rather than experiential or learning factors. Whereas searching the between-group difference, the general children showed the highest scores on the Geographic Design, but the exceptional children showed the lowest scores on the performance of the Geographic Design. The younger general children showed the higher ability in visual memorization and visual-motor integration, yet the exceptional children showed lower abilities in these categories than the general children. Second, the number of publications reporting the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WPPSI-IV was 10 and all were subjected to the general children. The numbers of participants on the general children varied from n=36 to 148, which averaged n=88. The participants' ages were 2 to 7. By performances of the subtests, the Bug Search showed the highest scores(M=12.24(SD=2.75)) and the lowest scores(M=8.32(SD=2.51)). By performances of the basic indexes, the Processing Speed Index(PSI) showed the highest scores(M=108.65(SD=13.29)) and Verbal Comprehension Index(VCI) showed the lowest scores(M=97.44(SD=13.68)). The average performance of the FSIQ was 104.30(SD=12.85). Comparing the performance outcomes of the general children measured equally by the K-WPPSI and K-WPPSI-IV, both examinations showed the lowest scores on the VCI.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the younger general children were associated with a lack of vocabulary and language expression ability. On the other hand, the K-WPPSI showed the highest scores on the Geographic Design, and similarly, the highest scores were shown on the Bug Search that was conducted in a similar manner of measuring the Geographic Design outcomes, although I acknowledge that the Geographic Design was excluded on the K-WPPSI-IV so that it might not be possible to directly compare to one another. It could be interpreted that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the younger general children were associated with the superior ability in visual memorization, visual-motor integration. Third, among the total of 88 publications reporting the performance outcomes measured by the K-WISC-III, 14 studies examined both the general and exceptional children, 16 studies solely conducted to the general children and the rest of 58 examined the exceptional children. The numbers of the general children participants ranged from n=1 to 357, which averaged n=62. The ages of the participants were from 3 to 16. By the subtests, the Similarities showed the highest scores M=11.01(SD=2.99)) and the Digit Span resulted in the lowest scores (M=8.85(SD=2.25)). By the indexes, the VCI showed the highest scores (M=103.35(SD=12.42)), and the PSI resulted in the lowest scores(M=100.14(SD=13.50)). By performances of the IQs, VIQ(M=104.07(SD=14.84)) showed the higher scores than the PIQ(M=102.26(SD=14.87)) and the FIQ score was 102.89(SD=14.07). The numbers of participants in the studies conducting the K-WISC-III to exceptional children varied from n=1 to 297 and the average was n=38. These participants' ages were 5 to 16. Performances by the subtests showed that the Similarities was the highest(M=10.25(SD=2.71)) and the Mazes was the lowest(M=7.55(SD=2.74)). Performances by the indexes proved that the Perceptual Organization Index(POI) was the highest M=92.30(SD=15.68)), the Freedom from Distractibility Index(FDI) was the lowest(M=90.38(SD=14.75)). Performances by IQs resulted that VIQ(M=93.59(SD=13.95)) was higher than the PIQ(M=91.82(SD=14.09)) and the average performance FIQ was 90.60(SD=13.25). Looking up the between-group similarity of the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WISC-III, both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reached to the highest scores on the Similarities subtest. The Korean children whose age ranges suitable for the K-WISC-III had the superior ability in verbal conceptual formation and reasoning. Additionally, the similar outcome was also convinced that both of them performing higher VIQ scores than PIQ scores.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the older Korean children showed the advanced ability in verbal knowledge and number concepts that are influenced by experience and learning. Whereas the performance difference of the between-group was that the general children scored the lowest in the Digit Span subtest, but the exceptional children performed the lowest in the Mazes subtest.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the older general children showed limited attention, concentration, and short-term memory. Whereas the exceptional children showed the lacks of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in planning, visual-motor integration, speed, and precision. Fourth, among the 15 publications adapted the K-WISC-IV, the total of 4 publications both examined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another 5 studies conducted to the general children, and the rest of 6 studied with the exceptional children. The numbers of the participants in the studies relevant to the general children ranged from n=6 to 200, which the average was n=39. The participants' ages ranged from 4 to 16. Performances by the subtests showed that scores of the Cancellation were the highest (M=12.50(SD=5.41)) and the Coding scores were the lowest (M=9.04(SD=2.74)). Performances by the indexes showed that the PRI scored the highest (M=99.76(SD=14.19)) and the PSI scored the lowest(M=95.24(SD=14.07)). The FSIQ performance average was 97.05(SD=13.43). The numbers of participants in the studies conducting the K-WISC-IV to the exceptional children varied from n=1 to 91, which averaged n=22. The participants' ages varied from 5 to 19. Performances by the subtests showed that the Picture Completion scored the highest(M=8.63(SD=3.39)) and the Letter-Number Sequencing scored the lowest(M=6.34(SD=2.72)). Performances by the indexes showed that the PRI scored the highest (M=88.64(SD=14.82)) and the PSI scored the lowest(M=81.26(SD=12.89)). The FSIQ performance average was 79.72(SD=7.66). Looking up the commonality of the between group measured by the K-WISC-IV, both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scored the highest on the PRI and the lowest on the PSI.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Korean children whose age ranges suitable to using the K-WISC-IV showed the superior ability in perception construction, spatial perception, and reasoning, but they were relatively deficient at mental acuity, visual memorization. While the difference of the between-group was that the general children showed the lowest scores in the Coding subtest and the exceptional children scored the lowest in the Letter-Number Sequencing subtest. The older general children lacked in the mental acuity, yet the exception children showed the limited mental control and concentration. Comparing the performance outcomes of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measured by both K-WISC-III and K-WISC-IV, the general children showed the lowest scores on the PSI in the both examinations. Additionally, similar outcomes were found that the exceptional children scored higher on the performances by the factors and indexes than the FSIQ performances. The older general children showed a relatively less intellectual ability in mental acuity and short-term memory. On the other hand, I found the similar outcome that the exceptional children showed a lower ability in both examinations of the Coding subtest. This resul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older exceptional children may lack mental acuity and visual-motor integration. As comparing the outcomes of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measured by the K-WPPSI and K-WISC-III, both groups scored higher on the PIQ than the VIQ in the K-WPPSI. In particular, scores on the subtests of the Object Assembly and Picture Completion were high.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K-WISC, the PIQ scores were lower than the VIQ scores. In particular, scores on the Information, Similarities, Arithmetics, and Vocabulary were relatively high. The younger Korean children showed the superior ability in visual memorization that was greatly determined by genetic and biological factors, yet the older children gradually made an improvement in the numeric concept or verbal ability influenced by experience or learning. Comparing the K-WPPSI-IV and K-WISC-III performances of the general children, it showed that the PSI showed the highest scores in the K-WPPSI-IV and the VCI scored the lowest in the K-WISC-III. Whereas the VCI showed the highest scores in the K-WISC-III and the PSI reached to the lowest scores. The younger Korean children have gradually improved verbal ability that is influenced by experience or learning. In conclusion, this study significantly contributes to the children's intellectual characteristic research through the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of the studies relevant to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WPPSI, K-WPPSI-IV, K-WISC-III, and K-WISC-IV. Additionally, it not only provides baseline data of Korean children's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but also suggests some potential research directions for the future. Keywords: General children, Exceptional children,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K-WPPSI),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Fourth edition(K-WPPSI-IV), Korean-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Third edition(K-WISC-III), Korean-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Fourth edition(K-WISC-IV)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한국 웩슬러 유아 및 아동 지능검사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을 중심으로 문헌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을 분석하기 전에 조사대상 논문의 특성을 논문발표연도, 출처, 연구대상자 수(n), 연구대상연령, 연구대상집단(일반아동과 특수아동)으로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 웩슬러 유아지능검사(K-WPPSI)(박혜원, 곽금주, 박광배, 1996b), 한국 웩슬러 유아지능검사 4판(K-WPPSI-IV)(박혜원, 이경옥, 안동현, 2016), 한국 웩슬러 아동지능검사 3판(K-WISC-III)(곽금주, 박혜원, 김청택, 2001b)과 4판(K-WISC-IV)(곽금주, 오상우, 김청택, 2011)의 수행을 중심으로 소검사, 지표, 지능수준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 70편 중 일반아동과 특수아동을 모두 검사한 논문은 4편이었으며, 일반아동만을 검사한 논문은 46편, 특수아동만을 검사한 논문은 20편이었다. 일반아동에 대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1명에서 360명까지였고, 평균 64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3세에서 만 7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의 평균은 도형(M=12.73(SD=3.92))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어휘(M=9.79(SD=2.57))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IQ별 수행의 평균은 동작성IQ(M=103.68(SD=16.53))와 언어성IQ(M=103.68(SD=14.82))가 유사하게 나타났고, 전체IQ는 103.23(SD=15.06)이었다. 특수아동에 대한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1명에서 40명까지였고, 평균 11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3세에서 만 13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의 평균은 상식(M=7.01(SD=1.73))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도형(M=5.50(SD=2.12))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IQ별 수행의 평균은 동작성IQ(M=81.45(SD=14.00))가 언어성IQ(M=77.56(SD=12.92))보다 높게 나타났고, 전체IQ는 82.61(SD=10.37)이었다. 집단간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 수행의 공통점을 살펴보면 일반아동과 특수아동 모두에서 동작성IQ 수행이 언어성IQ 수행보다 높게 나타났다. 즉 유아용 검사의 사용연령에 해당하는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은 경험이나 학습에 의해 형성되는 능력보다 유전적ㆍ생물학적 요인의 영향을 반영하는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집단간 검사 수행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일반아동의 경우 도형 소검사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특수아동의 경우 도형 소검사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낮은 연령의 일반아동의 지적 특성은 시각적 기억 능력과 시각-운동협응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었지만, 특수아동의 경우 이러한 능력들이 일반아동에 비해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둘째,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 4판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은 10편이었고, 모두 일반아동을 검사하였다. 일반아동에 대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36명에서 148명까지였고, 평균 88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2세에서 만 7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은 동형찾기(M=12.24(SD=2.75))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어휘(M=8.32(SD=2.51))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기본지표별 수행은 처리속도(M=108.65(SD=13.29))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언어이해(M=97.44(SD=13.68))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전체IQ 수행 평균은 104.30(SD=12.85)이었다.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와 4판 모두를 통해 연구된 일반집단 아동만을 대상으로 두 검사의 수행특성을 비교해 보면 두 검사 모두에서 어휘 소검사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에 대해 낮은 연령의 일반아동의 지적 특성은 단어 지식과 언어표현 능력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한편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에서는 도형 소검사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이 소검사가 4판에서는 삭제되었기 때문에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지만 도형 소검사와 유사한 실시방법으로 측정되는 동형찾기 소검사의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는 것도 유사한 점이라 볼 수 있다. 이 점에서 낮은 연령의 일반아동의 지적 특성은 시각적 기억 능력과 시각-운동협응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셋째,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3판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 88편 중 일반아동과 특수아동을 모두 검사한 논문은 14편이었으며, 일반아동만을 검사한 논문은 16편, 특수아동만을 검사한 논문은 58편이었다. 일반아동에 대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1명에서 357명까지였고, 평균 62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3세에서 만 16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은 공통성(M=11.01(SD=2.99))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숫자(M=8.85(SD=2.25))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요인별 수행은 언어이해(M=103.35(SD=12.42))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처리속도(M=100.14(SD=13.50))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IQ별 수행은 언어성IQ(M=104.07(SD=14.84))가 동작성IQ(M=102.26(SD=14.87))보다 높게 나타났고, 전체IQ 수행 평균은 102.89(SD=14.07)로 나타났다. 특수아동에 대한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3판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1명에서 297명까지였고, 평균 38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5세에서 만 16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은 공통성(M=10.25(SD=2.71))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미로(M=7.55(SD=2.74))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요인별 수행은 지각조직(M=92.30(SD=15.68))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주의집중(M=90.38(SD=14.75))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IQ별 수행은 언어성IQ(M=93.59(SD=13.95))가 동작성IQ(M=91.82(SD=14.09))보다 높게 나타났고, 전체IQ 수행 평균은 90.60(SD=13.25)이었다. 집단간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3판 수행의 공통점을 살펴보면 일반아동과 특수아동 모두에서 공통성 소검사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점에서 아동용 검사의 사용연령에 해당하는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은 언어적 개념형성 능력과 추론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일반아동과 특수아동 모두에서 언어성IQ 수행이 동작성IQ 수행보다 높게 나타났다는 점도 유사한 점으로 볼 수 있다. 즉 높은 연령의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은 경험이나 학습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언어적 지식 및 수 개념에 대한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집단간 검사 수행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일반아동의 경우 숫자 소검사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지만, 특수아동의 경우 미로 소검사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를 살펴보면 높은 연령의 일반아동의 지적 특성은 주의력 및 집중력과 단기기억 능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고, 반면에 특수아동의 지적 특성은 계획 능력, 시각-운동협응 능력, 속도 및 정확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넷째,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4판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 15편 중 일반아동과 특수아동을 모두 검사한 논문은 4편이었으며, 일반아동만을 검사한 논문은 5편, 특수아동만을 검사한 논문은 6편이었다. 일반아동에 대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6명에서 200명까지였고, 평균 39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4세에서 만 16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은 선택(M=12.50(SD=5.41))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기호쓰기(M=9.04(SD=2.74))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지표점수별 수행은 지각추론(M=99.76(SD=14.19))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처리속도(M=95.24(SD=14.07))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전체IQ 수행 평균은 97.05(SD=13.43)로 나타났다. 특수아동에 대한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4판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1명에서 91명까지였고, 평균 22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5세에서 19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은 빠진곳찾기(M=8.63(SD=3.39))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순차연결(M=6.34(SD=2.72))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지표점수별 수행은 지각추론(M=88.64(SD=14.82))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처리속도(M=81.26(SD=12.89))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전체IQ 수행 평균은 79.72(SD=7.66)로 나타났다. 집단간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4판 수행의 공통점을 살펴보면 일반아동과 특수아동 모두에서 지각추론지표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처리속도지표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들을 해석해 볼 때, 아동용 검사의 사용연령에 해당하는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은 지각구성 능력, 공간지각 능력, 추론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었지만, 정신적 작업의 민첩성, 시각적 기억 능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집단간 검사 수행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일반아동의 경우 기호쓰기 소검사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고, 특수아동의 경우 순차연결 소검사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경우에는 높은 연령의 일반아동의 지적 특성은 정신적 작업의 민첩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고, 특수아동의 지적 특성은 정신적 통제 능력과 집중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3판과 4판 모두를 통해 연구된 일반집단과 특수집단 아동을 대상으로 두 검사의 수행특성을 비교해 보면 일반아동의 경우 두 검사 모두에서 처리속도지표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점을 통해 높은 연령의 일반아동의 지적 특성은 정신적 작업의 민첩성과 단기기억 능력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특수아동의 경우 두 검사 모두에서 기호쓰기 소검사 수행이 낮은 경향으로 나타난 것도 유사한 점이라 볼 수 있다. 이는 높은 연령의 특수아동의 지적 특성은 시각-운동협응 능력과 정신적 작업의 민첩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와 아동 지능검사 3판 모두를 통해 연구된 일반집단과 특수집단 아동을 대상으로 두 검사의 수행특성을 비교해 보면 일반아동과 특수아동 모두에서 유아용 검사의 경우 동작성IQ 수행이 언어성IQ 수행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모양맞추기, 빠진곳찾기 소검사 수행이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반면 아동용 검사의 경우 동작성IQ 수행이 언어성IQ 수행보다 낮게 나타났고, 특히 상식, 공통성, 산수, 어휘 소검사 수행이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즉 낮은 연령의 한국아동은 시각적 기억 능력과 유전적이며 생물학적 요인이 결정하는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었지만, 연령이 높아질수록 경험이나 학습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수 개념 및 언어능력이 더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음을 시사하고 있다.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 4판과 아동 지능검사 3판 모두를 통해 연구된 일반집단 아동만을 대상으로 두 검사의 수행특성을 비교해 보면 유아용 검사의 경우 처리속도지표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언어이해지표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반면 아동용 검사의 경우 언어이해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처리속도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 역시 경험이나 학습에 영향을 받는 일반아동의 언어능력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더 발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처럼 본 연구는 한국 웩슬러 유아 및 아동 지능검사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을 연구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은 물론이고, 향후 관련 연구의 방향 설정에 시사점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도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주요어: 일반아동, 특수아동, 지적 특성,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K-WPPSI),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 4판(K-WPPSI-IV),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3판(K-WISC-III),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4판(K-WISC-IV)

      •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Coglearning 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지 및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김채윤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Coglearning 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지 및 정서 발달에 미치는 영향 김채윤 유아교육전공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본 연구에서는 단일지능이 아닌 9개의 다영역 지능으로 구성된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Coglearning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와 인지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를 통해 유아의 발달적 특성을 이해하고 증진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Coglearning 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지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1-1) 유아의 주의 집중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1-2) 유아의 분석적 추론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2.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Coglearning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1) 유아의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 대상은 울산광역시에 소재한 S유치원에 재원 중인 생활환경이 비슷한 만 4, 5세의 유아 40명을 선정하였다. 이 유아를 연령별, 성별로 각각 20명씩 나눈 후 실험집단,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인지발달 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지 및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된 도구는 사전, 사후검사에서 아동의 주의집중력을 알아보기 위해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K-WISC-Ⅲ를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K-WISC-Ⅲ(곽금주, 박혜원, 김청택, 2001)의 숫자 소검사를 사용하였다. 또한 유아의 분석적 추론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Hamill, Pearson 및 Wiederholt(1997)가 개발한 비언어적 인지능력검사(Comprehensive Test of Nonverbal Intelligence 2: CTONI-2)의 도형유추, 그림유추 소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아동의 정서지능 평가척도로는 김경희(1999)가 관계 문헌들(Goleman, 1995; Mayer et al; 1990, 1991, 1993; Salovey et al; 1990, 1995, 1996)을 토대로 제작한 ‘교사용 유아 정서지능 평가척도’ 중 하위영역인 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 타인 정서의 인식 및 표현, 감정조절 및 충동억제의 문항을 사용하였다. 실험처치로는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언어지능, 논리? 수학지능, 공간지능, 음악지능, 신체? 운동지능, 대인관계지능, 자연탐구지능, 개인내적지능, 정서지능의 9개의 지능영역으로 박혜원(2009)이 개발한 Coglearning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절차는 2012년 3월 26일부터 6월22일까지 12주간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예비조사, 교사훈련, 본조사(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의 순으로 진행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모든 자료는 Windows용 통계프로그램인 SPSS/Win 12.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수준 95%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자들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M) 및 표준편차(SD)를 산출하였고, 측정도구 문항간의 내적일관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Cronbach's ?를 산출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동질적으로 배치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한 사전검사의 점수와 실험처치 결과 두 집단 간의 차이를 검증 하기 위하여 집단별 사전, 사후검사의 평균점수와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 Samples t-test)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주의집중력, 분석적 추론능력, 정서지능의 동질성 분석에서는 두 집단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유아의 집단별 주의 집중력 사전, 사후검사에 대한 수행 비교에서 하위영역의 바로 따라 외우기, 거꾸로 따라 외우기에서 실험집단의 사후검사평균이 유의미하게 높은 차이를 보여 유아의 주의집중력에 Coglearning 프로그램이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실험집단, 통제집단별 분석적 추론 능력 사전, 사후검사에 대한 수행 비교에서 하위영역 그림유추, 도형유추 검사에서 실험집단의 사후검사평균이 유의미하게 높은 차이를 보여 유아의 분석적 추론 능력에 Coglearning 프로그램이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실험집단, 통제집단별 정서지능 사전, 사후검사에 대한 수행 비교에서는 타인정서의 인식 및 표현에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정서조절의 인식 및 표현, 감정조절 및 충동억제에서는 집단 간 유의미하게 높은 차이가 있어 유아의 정서지능에 Coglearning 프로그램이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Coglearning 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지 및 정서발달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Coglearning 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지 및 정서 발달을 도모하는 대안적인 프로그램으로서 유아교육현장에 적용가능성 및 유아발달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방법임을 시사한다.

      • 부모지원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인지 및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효과

        서수미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15

        오늘날 한국사회는 다문화가정의 증가로 다문화가정 부모와 아동의 적응과 발달에 대한 문제가 부각되면서 이들을 지원하기 위한 부모지원프로그램의 요구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김남희(2016)가 개발․적용하여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특성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 부모지원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인지 및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김남희(2016)가 개발한 부모지원프로그램은 애착, 언어발달, 기질 등의 전반적인 아동발달과 발달지연․주의문제 등의 문제행동 이해 및 중재방법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있다. 다문화가정 어머니를 대상으로 총 8회기의 프로그램을 2015년 9월 3일부터 10월 2일까지 매주 2회기씩 총 4주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부모지원프로그램에 참여한 다문화가정 아동 18명을 실험집단으로, 참여하지 않은 다문화가정 아동 18명은 통제집단으로 하여 총 36명이다. 부모지원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다문화가정 어머니에게 교육을 실시하기 전 아동을 대상으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4개월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다문화가정 아동의 인지발달을 측정하기 위해 박혜원, 이경옥과 안동현(2015)이 표준화한 한국 웩슬러 유아지능검사 4판(K-WPPSI-Ⅳ)을 실시하였다. 사회․정서발달은 Burks가 문제행동을 7가지 하위요인으로 나누어 개발한 행동평정척도 2판(BBRS-Ⅱ)으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연구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해 독립 t-검증을 실시하였다. 둘째, 부모지원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인지발달 및 사회․정서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통제한 후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부모지원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인지발달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1-1. 부모지원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K-WPPSI-Ⅳ 소검사 수행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1-2. 부모지원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K-WPPSI-Ⅳ 지표 및 전체 IQ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 부모지원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에 따른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지원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인지발달에 미치는 효과 검증을 위해 K-WPPSI-Ⅳ 소검사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K-WPPSI-Ⅳ 소검사 중 4:0-7:7세의 그림명명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4:0-7:7세의 토막짜기, 상식, 위치찾기, 모양맞추기, 그림기억, 수용어휘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2:6-3:11세는 모든 소검사 수행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부모지원프로그램이 K-WPPSI-Ⅳ 지표 및 전체 IQ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4:0-7:7세의 어휘습득지표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어휘습득지표를 제외한 나머지 지표 및 전체 IQ에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2:6-3:11세는 모든 지표 및 전체 IQ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부모지원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적 위축 문제와 신체문제를 제외한 품행장애, 주의 및 충동성문제, 정서문제, 지적문제, 자신감 결여문제 모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김남희(2016)가 개발한 부모지원프로그램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 향상에만 효과적이었다. 또한 사회․정서발달은 사회적 위축 문제와 신체문제를 제외한 모든 문제행동 감소에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 인지발달보다 더 많은 효과를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에 거주한 36명의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전체 다문화가정 아동의 발달에 효과가 있다고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또한 사전․사후 검사 간격이 4개월이라는 단기간에 이루어져 부모지원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을 제외한 인지발달의 다른 영역에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점이 본 연구의 제한점이다.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을 대상으로 한 부모지원프로그램이 어머니에게 미치는 효과에만 치중되어 있는 다수의 연구와 달리 아동에게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를 본 김남희(2016)가 개발한 부모지원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인지 및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구체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아동발달을 돕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부모지원프로그램이 아동발달의 한 영역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기존 연구들과 달리 아동의 인지 및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여 앞으로의 부모지원프로그램 개발에 중요한 시사점을 줄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주요어: 다문화가정 아동, 부모지원프로그램, 인지발달, 사회․정서발달, K-WPPSI-Ⅳ, BBRS-Ⅱ

      • 유아의 지능과 문제행동간의 관계

        금잔디 울산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국 문 초 록 유아의 지능와 문제행동간의 관계 금잔디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 전공 (지도교수 박혜원)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지능과 문제행동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 웩슬러 지능검사(K-WPSSI-Ⅳ)로 유아의 지능을 검사하였고, K-CBCL로 문제행동을 조사하였다. K-WPSSI-Ⅳ 지능검사의 소검사, 기본지표척도, 전체지능은 성별과 연령의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문제행동은 성별과 연령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지능과 문제행동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소재의 A 유치원 만3∼6세 유아 82명과 B 어린이집 만3∼6세 유아 64명으로 총 146명이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아의 지능은 성별과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유아의 문제행동은 성별과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 유아의 지능과 문제행동간에는 상관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성별과 연령집단별 지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K-WPPSI-Ⅳ 검사의 각 소검사 원점수와 환산점수, 기본지표척도와 전체지능의 환산점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성별과 연령에 따른 변량분석을 하였다. 소검사 원점수 분석을 보면 15개 모든 소검사에서는 연령과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소검사 중 동형 찾기는 성별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소검사 환산점수 분석 결과는 어휘와 동물짝짓기 소검사만 연령집단간에 차이가 나타났다. 소검사 환산점수 분석에서는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기본지표척도와 전체 지능의 환산점수는 성별과 연령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환산점수는 미국규준에 따른 것으로 미국 유아의 수행과 비교를 할 수 있었다. 결과를 비교하면 언어이해나 유동적 추론은 미국유아의 수행보다 비교적 점수가 낮으나 시공간, 처리속도, 작업기억은 미국유아 평균 100(SD=15.0)보다 상당히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유아의 성별과 연령집단별 문제행동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문제행동의 하위요인인 위축, 우울/불안, 사회적 미성숙, 주의집중문제, 공격성과 문제행동합에서는 성별과 연령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과 연령집단에 따른 상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유아의 지능과 문제행동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K-WPPSI-Ⅳ의 소검사 환산점수, 기본지표척도와 전체지능의 환산점수로 나누어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지능이 높을수록 문제행동 하위요인 중 사회적미성숙, 주의집중문제, 공격성과 문제행동합이 낮아지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인다. 또한, 지능의 기본지표척도인 언어이해, 시공간, 유동적추론, 작업기억은 문제행동 하위요인인 주의집중문제와 높은 부적상관을 가지며, 처리속도는 사회적미성숙과 높은 부적상관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문제행동과 15가지 소검사로 이뤄진 웩슬러 유아지능검사의 관계를 분석하여 각 문제행동 하위요인에 미치는 인지특성을 이해하고 연구함으로써 한국 웩슬러 지능검사를 통해 유아의 문제행동을 조기에 진단하고자 한 것에 의의를 가진다. 연구의 결과 언어를 통한 인지적 중재활동은 문제행동 감소를 예견할 수 있고 주의집중 활동을 장려하는 프로그램 제공으로 문제행동이 줄어드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따라서 문제행동을 나타내는 유아들의 증가로 어려움을 겪는 교사나 연구자들에게 문제행동의 예방과 감소를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지적 수행에 미치는 영향

        이은지 울산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크게 인지적, 정서적 특성으로 나누어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지적 수행, 특히 표준화된 지능검사와의 관련성을 세부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의 월령과 성별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유아의 지적 수행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나아가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유아의 지적 수행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지적 수행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울산광역시와 부산광역시 소재 유치원에 재원 중인 유아 150명을 대상으로 지능을 측정하고자 박혜원, 이경옥, 안동현(2015)이 표준화한 한국 웩슬러 유아지능검사 4판(K-WPPSI-Ⅳ)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한국아동패널에서 사용한 양육지식척도, 양육스트레스척도를 사용하였다. 주요 변인들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이용하였다. 또한 유아의 월령과 성별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유아의 지적 수행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고,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유아의 지적 수행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Pearson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지적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목적에 기초하여 연구결과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월령과 성별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유아의 월령과 성별에 따른 유아의 지적 수행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유아의 월령에 따른 유아의 지적 수행 차이를 본 결과, 어휘 소검사에서 48∼66개월 유아가 67∼89개월 유아보다 더 높은 수행을 보였다. 유아의 성별에 따른 유아의 지적 수행 차이를 본 결과, 동형찾기, 그림기억, 선택하기, 동물짝짓기 소검사와 처리속도, 전체IQ, 비언어, 인지효율성 지표에서 여아가 남아보다 더 높은 수행을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지적 수행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유아의 지적 수행은 .16∼.18의 범위를 나타냈고, 어머니의 양육지식은 유아의 선택하기 소검사 수행, 처리속도, 인지효율성 지표 수행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지적 수행은 -.21∼-.16의 범위를 나타냈고,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유아의 토막짜기 소검사 수행, 작업기억, 전체IQ, 일반능력 지표 수행과 부적상관을 보였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지적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어머니의 양육지식은 유아의 지적 수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반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유아의 토막짜기 소검사 수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20, p<.05).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와 부산광역시의 유치원 유아를 대상으로 범위를 한정하여 진행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또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솔직한 응답보다는 방어적인 응답이 반영될 가능성이 있다. 유아의 지능 측정 시에 환경, 검사자와의 라포형성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진행하지 못하였다. 또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와 같은 어머니의 양육관련 변인 외에도 유아의 지능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들을 탐색하여 긍정적인 유아의 지능발달을 이끄는 방안들이 더욱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선행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영아가 아닌 유아를 대상으로 선정하고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유아의 지적 수행 간 유의한 상관이 있음을 확인하고,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지적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앞으로의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유아의 지적 수행에 관한 연구에 기초자료로 제공될 것이다.

      • 정서 발달 프로그램이 유아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권경아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국 문 초 록 정서 발달 프로그램이 유아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권 경 아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지도교수 박혜원) 본 연구의 목적은 정서발달프로그램이 유아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또한 정서발달프로그램이 유아의 주의 집중력과 유아의 비언어성 지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 남구 소재의 A유치원과 B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4세 27명, 5세 아동을 33명(실험집단 20명, 통제집단:40)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주의 집중력 검사(K-WISC-Ⅲ), 비언어성 지능검사(CTONI-2), 문제행동검사(K-CBCL)을 실시하였다. 첫째, 정서 발달 프로그램이 유아의 주의 집중력 수행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t=-.34(p<.05). 둘째, 정서 발달 프로그램이 유아의 비언어성 지능 수행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t=.39(p<.05). 셋째, 정서 발달 프로그램 유아의 행동문제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하위영역중 주의 집중 영역 수행차이에 있어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t=.42(p<.05). 유아의 공격성 영역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t=-2.26(p<.05). 우울/불안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t=4.85(p<.01). 행동문제 총점에서 있어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t=-2.58(p<.05). 사후검사를 통해, 정서 발달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이 참여하지 않은 집단 보다 행동문제의 증가분이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정서 발달 프로그램이 유아의 행동문제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지능의 관계에서 가족상호작용의 매개효과

        김아름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15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among maternal parenting stress, family interaction and preschool children’s intelligence, and analyzed whether family interaction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 between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preschool children’s intelligenc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general trends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family interaction, and preschool children’s intelligence? 1-1. What is the general trend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1-2. What is the general trend of family interaction? 1-3. What is the general trend of preschool children’s intelligence? 2. What is the relation among maternal parenting stress, family interaction, and preschool children’s intelligence? 3. What is the effect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on family interaction and preschool children’s intelligence? 4.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interaction on the relation between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preschool children’s intelligence? This study analyzed data from the second year in-depth survey and the sixth year general survey of 2013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Items on psychological burden of parenting from the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Kim & Kang, 1997) were used to measure maternal parenting stress levels. To measure family interaction,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Evaluation Scales Ⅳ(FACES-IV) developed by Olson(2010) were used. To measure IQ, Korea Wechsler Primary and Preschool Scale Intelligence(K-WPPSI) that was standardized by Park, Kwak, & Park(1996) was us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 25.0: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well as Sobel's Test(1982) were performed.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maternal parenting stress was moderate, and the average stress of mothers with boys tended to be higher than that of mothers with girls even 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Next, mothers reported that their feelings and thoughts on quantity of family interaction were, on average moderate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Children's average intelligence(performance IQ, verbal IQ, and full scale IQ) was in the range of average without statistically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Second, correlational analyses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maternal parenting stress, family interaction and children's intelligence(performance intelligence, verbal intelligence and full scale intelligence). More specifically, maternal parenting str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family interaction, while family interaction and children's intelligence in tur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hildren's intelligence. Third, maternal parenting str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family interaction, preschool children’s full scale intelligence, performance intelligence, and verbal intelligence. Regressional analyses showed that maternal parenting stress explained the 7 percent of variability of verbal IQ while they explained 2 percent of variability of performance IQ, and they explained the 20 percent of variability family interaction Fourth, there was a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of family interaction on the relation between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verbal intelligence. While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the family interaction on the relation between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performance intelligence. These findings replicated the previous studies that showed that parenting stress and family interaction are related to children’s intelligence and extended the previous literature by using a large scale nation-wide dataset and showed that these family factors may have more significant effect on children’s verbal IQ than their compared to performance IQ. Finally, there was a partial mediation effect of family Interaction on the relation between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verbal IQ, but no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of family interaction was observed on the relation between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performance IQ.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parenting stress may have differential effect on children’s verbal and performance IQ. Together,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programs that reduce parenting stress and promote more positive family interaction are needed to foster Korean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본 연구는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가족상호작용 및 유아지능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가족상호작용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지능의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가족상호작용, 유아지능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1-1.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1-2. 가족상호작용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1-3. 유아지능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2.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가족상호작용, 유아지능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 어머니 양육스트레스가 가족상호작용과 유아지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4.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지능 간의 관계에서 가족상호작용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 6차년도 일반조사(2013년)와 2차 심층조사(2013)에 모두 참여한 만 5세 유아와 이들의 어머니 22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김기현과 강희경(1997)이 한국형으로 개발한 양육스트레스 축약형 척도(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의 부모역할 수행에 대한 어머니의 심리적 부담감과 어머니가 인지하는 디스트레스를 반영하는 요인만 인출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가족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Olson(2010)이 개발한 가족적응·응집척도(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Evaluation Scales Ⅳ, FACES-Ⅳ)를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아지능을 측정하기 위해 박혜원, 곽금주, 박광배(1996)가 표준화한 한국 웩슬러 유아지능검사(Korea Wechsler Primary and Preschool Scale Intelligence, K-WPPSI)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5.0 프로그램에서 기술통계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지능 간의 관계에서 가족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검증절차를 사용하였다. 또한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가족상호작용, 유아지능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서는 양육스트레스로 인한 자녀양육의 어려움이 중간정도 수준으로 나타났다. 여아의 어머니보다 남아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평균점수가 높았으나 성차는 유의하지 않았다. 다음으로 가족상호작용에서 가족에 대한 평소 느낌이나 생각이 중간이상 수준(대체로 좋다)으로 나타났다. 남아의 어머니보다 여아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평균점수가 높았으나 성차는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동작성지능과 언어성지능, 전체지능은 평균지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작성지능과 언어성지능을 포함한 전체지능은 남아보다 여아가 높았으나 성차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 양육스트레스는 유아의 동작성지능, 언어성지능, 전체지능과 부적상관이 있었으며, 가족상호작용은 유아의 동작성지능, 언어성지능, 전체지능과 정적상관이 있었다. 또한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가족상호작용 간에는 부적상관이 있었다. 셋째, 어머니 양육스트레스는 가족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어머니 양육스트레스는 유아의 동작성지능, 언어성지능, 전체지능 각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지능 간의 관계에서 가족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동작성지능 간의 관계에서 가족상호작용의 매개효과는 없었으며,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언어성지능 간의 관계에서 가족상호작용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를 통하여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가족상호작용, 유아의 동작성지능과 언어성지능을 포함한 전체지능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확인하였고,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언어성지능 간의 관계에서 가족상호작용이 부분매개함을 입증하였다.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가족상호작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이러한 영향이 유아의 언어성지능 발달을 저해한다는 점에서 유아기 인지 및 언어성 지적발달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의 중요성을 검증하고 가족상호작용의 매개역할을 규명하였다.

      •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유형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권민정 울산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개인적인 변인인 기질과 가장 중요한 환경요인의 하나인 어머니의 양육유형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유아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먼저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 기질, 어머니의 양육유형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으며, 또한 변인간의 관계를 분석하였고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유형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U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9곳과 유치원 1곳에 재원중인 만 3∼5세 유아 어머니 각각 216명으로 기질과 양육유형은 어머니가 평정하였으며 문제행동은 담임교사(34명)가 측정하였다. 유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유아의 기질은 Rusalov와 Trofimova(2007)가 제작한 STQ(Structure of Temperament Questionnaire)를 한국 유아에 맞게 번안하여 측정하였고, 어머니의 양육유형 측정은 한국아동패널에서 사용한 조복희, 이진숙, 이홍숙, 권희경(1999)의 양육스타일(The Parental Style Questionnaire, PSQ)척도로 측정하였다. 또한 유아의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한 유아의 문제행동 측정은 이경옥, 박혜원(2017)의 한국 벅스 행동평가척도2(K-BBRS-2)로 측정하였다. 변인들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라 문제행동, 기질, 어머니의 양육유형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문제행동, 기질, 어머니의 양육유형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유형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유형과 유아의 문제행동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연령과 성별에 따라 유아의 기질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유아의 연령에 따른 기질의 차이를 본 결과, 연령이 증가할수록 유아의 기질 중 신경증이 낮게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성별에 따른 기질의 차이를 본 결과, 유아의 기질 중 운동 템포, 감각적 추구는 남아가 여아보다 더 높게 나타났고 지적에너지와 신경증은 여아가 남아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아의 문제행동은 유아의 기질 중 운동에너지, 운동 템포, 지적에너지, 유연성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충동성은 문제행동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문제행동 중 품행장애, 주의ㆍ충동성문제, 정서문제, 사회적 위축과 자신감문제는 온정적 양육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기질 중 운동에너지, 지적에너지, 유연성은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감각적 추구, 충동성, 신경증은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유아의 기질 중 운동에너지, 지적에너지는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유형이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문제행동 전체는 유아의 기질 중 지적에너지, 어머니 양육유형의 온정적 양육에 의해 7%의 변량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문제행동 중 품행장애는 유아의 기질 중 지적에너지에 의해 4%의 변량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의ㆍ충동성문제 또한 지적에너지에 의해 7%의 변량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문제행동 중 정서문제는 어머니의 양육유형 중 온정적 양육에 의해 4%의 변량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문제행동 중 사회적 위축은 어머니의 온정적, 통제적 양육과 유아의 기질 중 지적에너지에 의해 6%의 변량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문제행동 중 신체문제는 유아의 기질 중 충동성에 의해 4%의 변량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문제행동 중 자신감문제는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에 의해 3%의 변량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문제행동 중 지적문제는 유아의 기질 중 지적에너지와 운동 템포에 의해 11%의 변량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의 개인변인인 기질과 중요한 환경변인인 어머니의 양육유형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것으로 의의가 있다. 전반적으로 문제행동의 하위요인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유아 기질의 하위요인과 어머니의 양육유형이 달랐으며 어머니의 양육유형과 기질이 단독적으로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어머니의 양육유형과 기질이 함께 작용하여 유아의 내면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육유형 중 온정적 양육이 통제적 양육보다 문제행동의 하위요인과 상관을 보였으며 각 양육유형이 미치는 문제행동의 하위영역 또한 달랐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의 문제행동 지도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발달지연 아동의 문제행동과 실행기능 간의 관계

        이민경 울산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연령과 성별에 따른 문제행동과 실행기능의 차이 및 이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나아가 실행기능의 어떤 요인이 문제행동과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발달지연 아동의 문제행동과 실행기능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목적을 둔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발달지연 아동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문제행동의 차이는 어떠한가? 2. 발달지연 아동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실행기능의 차이는 어떠한가? 1-1. 발달지연 아동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부모평정 실행기능의 차이는 어떠한가? 1-2. 발달지연 아동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교사평정 실행기능의 차이는 어떠한가? 3. 발달지연 아동의 문제행동과 실행기능 간의 상관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 발달지연 아동의 대상을 선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준을 선정하였다. 첫째, K-WPPSI-Ⅳ 2개의 소검사 수행 중 1개가 환산점수의 평균이하이고, 둘째, 부모평정 유아모니터링 체계(K-ASQ)에서 각 영역별 절선점수가 한 영역이상 60점보다 낮은 점수의 아동을 발달지연 대상으로 선별하였다. 이에 울산광역시에 소재한 민간어린이집 4곳, 초등학교 1곳, 병설유치원 2곳 및 아동발달센터 1곳에 재원중인 만 2:6세-7:7세 발달지연 아동의 총 40명과 그들의 부모 및 교사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의 문제행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Achenbach와 Edelbrock(1983)이 개발한 행동평정척도(CBCL)를 한국적인 실정에 맞게 표준화한 오경자, 이혜련(1990)의 한국 행동평정척도(K-CBCL)를 사용하였고 교사가 평정하였다. 연구대상의 실행기능을 측정하기 위해 Gioia 등(2000)이 개발한 행동평정척도(Behavior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 BRIEF)를 사용하였고, 부모평정(BRIEF-P)과 교사평정(BRIEF-T)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자들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측정도구 문항 간의 내적일관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Cronbach'sa를 산출하였다. 또한 발달지연 아동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문제행동 및 실행기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실행기능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평정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대응표본-t검증을 실시하였다. 끝으로 문제행동과 실행기능의 각 변수 간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목적에 기초하여 연구 결과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지연 아동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문제행동 차이를 살펴보면, 문제행동의 사회적 미성숙과 주의집중문제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사회적 미성숙과 주의집중문제는 남아가 여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연령에 따른 문제행동의 경우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발달지연 아동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실행기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부모평정 실행기능과 교사평정 실행기능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교사평정 실행기능의 감정조절에서 연령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2:6-3:11세가 4:0-7:7세 보다 더 낮게 평정 받았다. 교사평정 실행기능의 감정조절, 작업기억, 억제, 주의전환, 실행기능 전체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모두 남아가 여아보다 더 낮게 평정 받았다. 즉, 낮은 연령의 발달지연 아동이 높은 연령보다 감정조절에서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감정조절, 작업기억, 억제, 주의전환, 실행기능 전체에서는 남아가 여아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모가 평정한 실행기능의 경우 연령과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행기능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평정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분석해본 결과, 실행기능의 계획조직을 제외한 감정조절, 작업기억, 억제, 주의전환, 실행기능 전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발달지연 아동의 실행기능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평정은 서로 일치하지 않고, 부모가 교사보다 전반적인 실행기능 요인에 대해 더 낮게 평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발달지연 아동의 문제행동과 실행기능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문제행동 하위요인 간 상관, 실행기능 하위요인 간 상관, 문제행동과 실행기능 간 상관으로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문제행동 하위요인 간 상관을 살펴보면, 사회적 미성숙과 위축, 사회적 미성숙과 주의집중문제에서 공통적으로 가장 높은 상관을 가졌고, 위축, 우울/불안, 사회적 미성숙. 주의집중문제, 공격성 간 모두 p<.01 수준의 높은 상관이 나타났다. 즉, 발달지연 아동의 문제행동 하위요인은 서로 밀접한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행기능 하위요인 간 상관은 부모 및 교사 평정 모두 작업기억과 계획조직에서 가장 높은 상관을 가졌고 감정조절, 작업기억, 억제, 주의전환, 계획조직 간 모두 p<.01 수준의 상관이 나타났다. 즉, 발달지연 아동의 실행기능 하위요인은 서로 밀접한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실행기능에 대한 부모평정과 교사평정 간의 상관을 살펴보면, r=.27-.47로 비교적 낮은 상관계수를 보이고 있다. 이에 발달지연 아동의 실행기능에 대한 부모 및 교사평정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으나 서로의 주관적 차이가 반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실행기능에 대한 부모 및 교사의 평정차이를 살펴본 결과에 대해서도 근거를 찾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연구의 목적인 발달지연 아동의 문제행동과 실행기능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살펴본 문제행동 전체와 부모 및 교사 평정의 실행기능 전체 간에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문제행동 하위요인과 실행기능 하위요인 간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실행기능과 문제행동의 두 가지 관점에서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문제행동의 사회적 미성숙과 주의집중문제는 실행기능의 모든 하위요인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고, 실행기능의 감정조절과 억제는 문제행동의 모든 하위요인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즉, 전두엽의 신경심리학적 기능에 기인하여 실행기능의 체계 및 경로는 문제행동 중 사회적 미성숙과 주의집중문제와 가장 밀접한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고, 문제행동은 실행기능의 감정조절과 억제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어 발달지연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보호요인으로 실행기능의 감정조절과 억제가 제기되는 바이다. 위와 같이 발달지연 아동의 문제행동과 실행기능 간 관계는 서로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실행기능의 감정조절과 억제 요인을 강화할 시 전반적인 문제행동이 개선될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발달지연 아동의 문제행동을 초래하는 실행기능 요인을 구체화 시켰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또한 본 연구에서 실행기능에 대해 부모평정과 교사평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에 기존 선행연구에서 부모평정 실행기능으로만 살펴본 제한점을 교사평정 및 두 평정 사이의 비교를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 의의를 둔다. 이후 후속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을 확대하고, 실행기능에 대한 행동관찰 등 다각적 관점의 수집방법을 활용한다면 더 정확하고 통합적인 평가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주요어: 발달지연 아동, 문제행동(K-CBCL), 실행기능(BRIEF)

      • 유아의 기질과 K-WPPSI-Ⅳ 수행 간의 관계

        지수현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월령과 성별에 따른 기질과 K-WPPSI-Ⅳ 수행의 차이 및 이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나아가 기질의 어떤 요인이 K-WPPSI-Ⅳ 수행과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유아의 기질과 지능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목적을 둔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월령과 성별에 따른 기질 차이는 어떠한가? 2. 유아의 월령과 성별에 따른 K-WPPSI-Ⅳ 수행 차이는 어떠한가? 2-1. 유아의 월령과 성별에 따른 K-WPPSI-Ⅳ 소검사 수행 차이는 어떠한가? 2-2. 유아의 월령과 성별에 따른 K-WPPSI-Ⅳ 지표 및 전체IQ 수행 차이는 어떠한가? 3. 유아의 기질과 K-WPPSI-Ⅳ 수행 간의 상관은 어떠한가? 3-1. 유아의 기질과 K-WPPSI-Ⅳ 소검사 수행 간의 상관은 어떠한가? 3-2. 유아의 기질과 K-WPPSI-Ⅳ 지표 및 전체IQ 수행 간의 상관은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울산과 부산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 2곳에 소속된 유아 148명과 해당 유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유아의 기질은 유아 기질 척도(CBQ)를 사용하여 부모가 평정하였고, 지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한국 웩슬러 유아지능검사 4판(K-WPPSI-Ⅳ)을 사용하여 검사자가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의 월령과 성별 분포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월령과 성별에 따른 기질과 K-WPPSI-Ⅳ 수행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유아의 기질과 K-WPPSI-Ⅳ 수행 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유아의 월령과 성별에 따른 기질 차이를 살펴보면, 부정적 정서 요인에서 월령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48~66개월이 67~89개월보다 높은 평정을 받았다. 외향성 요인과 주의통제 요인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외향성 요인에서는 남아가 여아보다, 주의통제 요인에서는 여아가 남아보다 높은 평정을 받았다. 즉, 낮은 월령의 유아가 부정적 정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향성은 남아가 여아보다 주의통제는 여아가 남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월령과 성별에 따른 K-WPPSI-Ⅳ 소검사 수행 차이를 살펴보면, 공통성, 어휘, 이해 수행에서 월령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48~66개월이 67~89개월보다 높게 나타났다. 동형찾기, 그림기억, 선택하기, 동물짝짓기 수행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여아가 남아보다 높게 나타났다. 즉, 유아의 월령이 낮을수록 공통성, 어휘, 이해 수행이 높았고, 여아가 남아보다 동형찾기, 그림기억, 선택하기, 동물짝짓기 수행이 높게 나타났다. 월령과 성별에 따른 K-WPPSI-Ⅳ 지표 및 전체IQ 수행 차이를 살펴보면, 월령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처리속도지표, 전체IQ, 비언어지표, 인지효율성지표 수행에서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여아가 남아보다 높게 나타났다. 즉, 처리속도지표, 전체IQ, 비언어지표, 인지효율성지표 수행에서 여아가 남아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기질과 K-WPPSI-Ⅳ 소검사 수행 간의 상관을 알아본 결과, 외향성 요인은 상식, 동형찾기, 그림기억, 공통성 수행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부정적 정서 요인은 이해 수행과 주의통제 요인은 상식, 동형찾기 수행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유아의 기질과 K-WPPSI-Ⅳ 지표 및 전체IQ 수행 간의 상관을 알아본 결과, 외향성 요인은 언어이해지표, 전체IQ, 일반능력지표 수행과 부적 상관을 보였고, 주의통제 요인은 전체IQ, 어휘습득지표, 비언어지표 수행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즉, 유아의 외향성 요인이 높을수록 상식, 동형찾기, 그림기억, 공통성과 언어이해지표, 전체IQ, 일반능력지표 수행이 낮고, 부정적 정서 요인이 높을수록 이해 수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의통제 요인이 높을수록 상식과 동형찾기, 전체IQ, 어휘습득지표, 비언어지표 수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성 및 동작성 지능과 전체지능 만을 제공하였던 기존 웩슬러 지능검사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최근 표준화된 K-WPPSI-IV를 사용하여 기질과 전체지능, 특정 인지영역의 지적능력을 나타내는 소검사 및 지표 점수 간의 관계를 제공하였다. 이를 통하여 외향성 요인과 주의통제 요인이 전반적인 지적능력을 나타내는 전체IQ뿐만 아니라 특정 소검사, 지표와 관련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외향성 요인이 높은 유아들이 지능을 의미하는 K-WPPSI-Ⅳ 전체IQ 수행 능력이 낮음을 밝히면서, 외향성 유아들이 가지는 행동 양식에 의해 지적 수행이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외향성이 높은 유아들이 감정을 조절하고, 상황에 맞게 행동할 수 있도록 일시적인 충동을 억제하는 것에서부터 인지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스스로 계획하고, 점검하고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교육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이 유아의 기질과 K-WPPSI-Ⅳ 수행 간의 상관을 밝히고 기질의 어떤 요인이 K-WPPSI-Ⅳ 수행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새롭게 표준화된 K-WPPSI-Ⅳ로 지능을 측정하여 K-WPPSI-Ⅳ 수행 특성을 이해하는데 기여한 것에 의의가 있다. 이후 후속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을 확대하고, 기질의 하위 요인을 세부적으로 나누어 K-WPPSI-Ⅳ 수행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