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D-Galactosamine 유발 간염모델계에서 민들레 열수추출물의 예방효과

        박지영 인제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63

        간 질환은 일반적으로 간염에서, 간 섬유화, 간 경변, 간암으로 진행되는 일련의 진행과정으로 이해되고 있다. 초기 진행과정의 간염유발 인자로는 간 독성물질, 간염 virus, 약물, 알코올, 자기면역 반응 등이 있으며, 이들로 인한 반복되는 염증반응이 다음단계로의 진행을 유도한다. 따라서 이들의 초기반응을 저해할 수 있는 간 보호활성물질이나 간염 치료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민들레 활성성분의 간 보호효과를 탐색하기 위하여 200g 내외의 SD Rat에게 D-galactosamineHCl을 650mg/kg 씩 복강에 투여하여 간염을 유발하고 민들레의 간기능 개선효과를 혈액과 간조직의 생화학적 변화를 통해 관찰하였다. 실험군은 정상식이군 (C), 3% 민들레 열수 추출물 식이를 먹인 후 식염수를 투여한 군 (DWE-C), 정상식이 후 갈락토사민 투여 군 (GaIN-C), 1.5% 민들레 열수 추출물 식이를 먹인 후 갈락토사민을 투여한 군 (DWE-Ⅰ), 3.0% 민들레 열수 추출물 식이를 먹인 후 갈락토사민을 투여한 군 (DWE-Ⅱ)으로 구성된 5그룹으로 분류하였다. 민들레 분쇄시료 1Kg에 10배 분량의 3차 증류수를 넣고 환류하에서 4시간 동안 열수추출하고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였으며 민들레 열수 추출물의 회수율은 30%로 실험 식이에 사용하였다. 민들레 추출물 1.5% diet와 3% diet를 제조하는데 각각 1kg당 15g과 30g의 dandelion water extract를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혈청 AST, ALT와 ALP의 활성은 GaIN-C군이 C군에 비교하여 증가하였고, DWE-Ⅰ군과 DWE-Ⅱ군은 정상식이군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였으나 GaIN-C군에 비해 유의한 개선을 보였다. 혈청에서의 TNF-α가 GaIN의 투여에 의해서 증가되었으며 DDWE-Ⅰ군, DWE-Ⅱ군에서 감소하였다. 간조직의 지질과산화 함량은 GaIN-C군이 C군에 비교하여 증가하였고 DWE-Ⅰ군, DWE-Ⅱ군은 정상식이군에는 미치지 못하였으나 GaIN-C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GSH 농도와 항산화효소계 활성은 GaIN-C군이 C군에 비해 감소하였으며 DWE-Ⅰ군, DWE-Ⅱ군은 GaIN-C군과 비교 시 증가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 보아 민들레 열수 추출물이 AST, ALT와 ALP의 활성을 감소시키고 GSH 농도를 증가시키며 활성산소 해독계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서 GaIN으로 인한 간손상에 예방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 흡연 청소년의 담뱃갑 경고메시지 위협인식, 심리적 저항이 금연의도에 미치는 영향 :

        박수현 인제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15

        국문초록 흡연 청소년의 담뱃갑 경고메시지 위협인식, 심리적 저항이 금연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수현 (간호학과 전공) (지도교수: 박지영)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흡연 청소년을 대상으로 담뱃갑 경고메시지 목격 후 그에 따른 위협인식, 심리적 저항이 금연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흡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공익광고 메시지 개발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B시, G시에 소재한 2개의 특성화 고등학교에서 현재 흡연을 지속하고 있고, 최근 30일 동안 담뱃갑 경고메시지를 목격한 경험이 있는 고등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2019년 8월 19일부터 11월 18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고, 무응답 및 불성실한 설문을 제외한 185명을 최종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window 25.0 program을 활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여학생이 51.4%(95명)를 차지하였고, 1학년이 38.9%(72명)로 가장 많았으며, 성적 수준은 중위권이 51.4%(95명)로 가장 많았다. 부모의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이하인 경우가 57.8%(107명)로 가장 많았으며, 주관적 가정의 경제적 수준은 중위층이 46.5%(86명)를 차지하였다. 2. 대상자의 흡연 특성 중 53.5%(99명)의 대상자가 중학교 때 처음 흡연을 시작하였고, 45.5%(84명)의 대상자가 4년 이상 흡연을 지속하고 있었으며, 하루 평균 6-10개피를 흡연하고 있는 대상자가 37.8%(70명)로 가장 많았다. 흡연을 습관적으로 지속하고 있는 대상자가 45.9%(85명)로 가장 많았고, 흡연을 하고 있는 친구는 9명 이상이 47.6%(88명)로 가장 많았으며, 대상자의 75.1%(139명)에서 흡연하는 가족이 있었다. 흡연의 위험성은 높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85.4%(158명)로 가장 많았고, 71.9%(133명)의 대상자는 흡연과 관련된 질병을 목격한 적이 없었다. 3. 담뱃갑 경고메시지를 목격한 후 그에 따른 대상자의 금연의도 정도는 7점 만점에 평균 4.70±1.74점으로 나타났고, 위협인식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62±0.69점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저항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2.91±1.09점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흡연 특성에 따른 금연의도는 성별(t=-3.27, p=.001), 학년(F=4.03, p=.019), 성적 수준(F=14.84, p<.001), 부모의 학력(t=-2.63, p=.009), 주관적 가정의 경제적 수준(F=7.00, p=.001), 흡연 시작 시기(F=43.51, p<.001), 흡연 기간(F=21.12, p<.001), 하루 흡연량(F=20.24, p<.001), 흡연 지속 이유(F=9.04, p<.001), 흡연 친구(F=15.53, p<.001), 흡연 가족(t=-4.25, p<.001), 흡연에 대한 위험 인지(F=8.06, p<.001)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대상자의 금연의도는 위협인식(r=-.34,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심리적 저항(r=-.45, p<.001)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위협인식과 심리적 저항(r=-.25, p=.001)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6. Model 1에서 종속변수인 금연의도에 대하여 일반적 특성을 투입하였을 때, 24.4%의 설명력을 보였고(F=7.31, p<.001), 성별 중 여자(β=.21, p=.003), 성적 수준 중 중위권(β=.28, p<001), 주관적 가정의 경제적 수준 중 상위층(β=.22, p=.015)이 금연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Model 2에서 흡연 특성을 투입하였을 때, 설명력은 23.9% 증가한 48.3%이었으며(F=8.12, p<.001), 흡연 시작 시기 중 중학교(β=.26, p=.006)와 고등학교(β=.41, p<.001), 하루 흡연량 중 1-5개피(β=.25, p=.041)가 금연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Model 3에서 위협인식이 금연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Model 2에 위협인식을 추가 투입하였을 때, 설명력은 2.0% 증가한 50.3%로(F=8.31, p<.001), 위협인식(β=.18, p=.010)이 금연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Model 4에서 심리적 저항이 금연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심리적 저항을 추가 투입하였을 때의 설명력은 53.8%로, Model 2에 비하여 3.5% 증가하였으며(F=9.03, p=<.001), 심리적 저항(β=-.23, p=.001)이 금연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담뱃갑 경고메시지 목격 후 대상자의 위협인식이 높을수록 금연의도가 높았고, 심리적 저항이 높을수록 금연의도가 낮았다. 이를 토대로 흡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공익광고 메시지 개발 시 공포감과 혐오감을 주는 메시지 개발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청소년이 메시지를 수용하는 과정에 집중하여 적응적인 반응으로 메시지를 수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모색해야 한다. 주제어: 흡연 청소년, 담뱃갑 경고메시지, 금연의도, 위협인식, 심리적 저항 Abstract Influence of Threat Perception and Psychological Reactance of Cigarette Warning Message on Intention to Quit Smoking of Smoking Adolescents by Su Hyun Park (Advisor: Prof. Ji Young Park, Ph.D., RN.) 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fundamental research data to help reducing to explore the influence of threat perception and psychological reactance of cigarette warning message by smoking adolescents on intention to quit smoking. Methods: From August 19 to November 18, 2019, attended vocational high schools from 2 located in B and G cities, and collected data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for 200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seen cigarette warning messages over the past 30 days, while 185 students, excluding non-responsive and insincere survey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nd the collected data wa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dow 25.0 software program, and the actual numbers and percentag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ltiple linear regression were analyz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51.4% of the participants was females, and 38.9% was in the 1st grade and 51.4% in the middle class on the academic performance. parental education level was the highest with 57.8% of high school graduates, the perceived economic status of middle layer with 46.5%. 2. 53.5% of the participants was first smoking age in middle school. 45.5% of the participants was smoking period than 4 years, and 37.8% said they smoking amount per day 6-10 piece. 45.9% of the participants was answered they habitually reasons for smoking. and 47.6% said they number of smoking friends more than 9 person, 75.1% of the victims were smoking of family. also, while 85.4% of the respondents said they have never seen anyone suffering from the disease due to smoking 71.9% said smoking is highly likely to cause the disease. 3. The level of threat perception was 3.62±0.69 out of 5 points. psychological reactance was 2.91±1.09 out of 5 points. and intention to quit smoking was 4.70±1.74 out of 7 points. 4. The gender(t=-3.27, p=.001), grade(F=4.03, p=.019), academic performance(F=14.84, p=<.001), parental education level(t=-2.63, p=.009), perceived economic status(F=7.00, p=.001), first smoking age(F=43.51, p=<.001), smoking period(F=21.12, p=<.001), smoking amount per day(F=20.24, p=<.001), reasons for smoking(F=9.04, p=<.001), number of smoking friend(F=15.53, p=<.001), smokers among family members(t=-4.25, p=<.001), risk perception on smoking(F=8.06, p=<.001)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moking-related characteristics showed differences on intention to quit smoking. 5.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r=-.34, p=<.001) between threat perception and intention to quit smoking and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r=-.45, p<.001) between psychological reactance and intention to quit smoking, also between threat perception and psychological reactance was a negative correlation(r=-.25, p=.001). 6. When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controlled and analyzed in order to check the effect of purely independent variable, on gender, academic performance, perceived economic statu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intention to quit smoking(F=7.31, p=<.001). In Model 2, smoking-related characteristics were introduc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explanatory power increased by 23.9% to 48.3%(F=8.12, p=<.001), first smoking age, smoking period, Smoking amount per da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intention to quit smoking. In Model 3, threat perception was introduc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explanatory power increased by 2.0% to 50.3%(F=8.31, p=<.001), threat perception have significant effects on intention to quit smoking. In Model 4, psychological reactance was introduc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explanatory power increased by 3.5% to 53.8%(F=9.03, p=<.001), psychological reactance have significant effects on intention to quit smoking. Conclussion: In this study, the higher the victim's awareness of threat perception after witnessing of cigarette warning message, the higher the intention to quit smoking rate. and the higher the psychological reactance, the lower the intention to quit smoking rate. therefore when developing public service advertising messages for smoking adolscents, should focus on the process of accepting messages and explore ways to accommodate messages in an adaptive response. Key words: Smoking Adolescents, Cigarette Warning Message, Intention to Quit Smoking, Threat Perception, Psychological Reactance

      •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 영향요인

        양선희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생태학적 모형을 활용하여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심리적, 대인관계적, 조직관리적 요인을 파악하여 개인적 차원뿐 아니라 조직적 차원에서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을 이해하고 경감시킬 수 있는 전략에 실제적인 밑거름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방법: 서울, 부산, 경기도 지역의 3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신규간호사 14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20년 9월 6일부터 10월 7일까지 32일간 시행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현실충격, 심리적 자본, 간호실무준비도, 사회적 지지, 무례함, 간호조직문화, 일터학습 총 7개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Independent t-test 및 One way ANOVA와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와 입력방식을 이용한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신규간호사의 심리적 자본은 6점 만점에 평균 3.56±.51점, 간호실무준비도는 4점 만점에 평균 2.96±.24점, 사회적 지지는 5점 만점에 평균 3.99±.49점, 무례함의 경험은 5점 만점에 평균 1.91±.55점, 간호조직문화는 5점 만점에 평균 3.24±.38점, 일터학습의 인식정도는 6점 만점에 평균 4.24±.66점 일터학습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무형식적 학습이 4.41±.68점으로 가장 높았고, 우연적 학습이 4.31±.72점, 형식적 학습이 3.96±.78점이었다. 대상자의 현실충격은 5점 만점에 평균 2.88±.59점 이었다 2.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은 일반적 특성에서 성별(t=-2.94, p=.004), 근무부서(F=3.19, p=.009), 학생시절 현재 근무하는 병원에서의 임상실습 경험(t=-2.08, p=.039), 희망부서(F=4.34, p=.015), 간호대학 재학 시 임상실습 만족도(F=12.97, p<.001), 임상경력(t=-2.71, p=.008)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3. 신규간호사의 개인심리적 요인에서 현실충격은 심리적 자본(r=-.52, p<.001), 간호실무준비도(r=-.49, p<.001)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대인관계적 요인에서 현실충격은 사회적 지지(r=-.46, p<.001)와 음의 상관관계, 무례함의 경험(r=.61, p<.001)과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조직관리적 요인에서 현실충격은 간호조직문화(r=-.45, p<.001), 일터학습(r=-.48, p<.001)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일터학습의 하부영역인 무형식적 학습(r=-.51, p<.001), 우연적 학습(r=-.49, p<.001), 형식적 학습(r=-.31, p<.001) 모두 현실충격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4.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조직관리적 요인인 일터학습의 하부요인 중 무형식적 학습(β=-.28 , p=.039), 대인관계적 요인인 무례함(β=.22, p=.009), 개인심리적 요인인 심리적 자본(β=-.18, p=.015)과 간호실무준비도(β=-.17 , p=.046), 일반적 특성 요인인 간호대학 재학 시 임상실습 만족도(β=-.19, p=.002) 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 변수들의 설명력은 61.3%였다(F=14.50, p<.001).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영향요인은 무형식적 학습으로 확인되었으며, 조직관리적 차원에서 교육훈련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교육이 실무로 적용될 수 있도록 조직이나 구성원들의 피드백이 필요하며 교육의 성과를 동료들과 공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간호관리자들은 신규간호사들의 무형식적 학습의 정도와 효과를 높이기 위한 정책 수립 및 중재 노력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Individual- psychological, interpersonal and organizational-management factors that affecting reality shock on new graduate nurses by using ecological models and practical foundation for strategies that can understand and mitigate the reality shock on new nurses not only at the individual level but also at the organizational level.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43 new graduated nurses working at three university hospitals in Busa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the nurses between September 6 and October 7, 2020. A total of seven measuring tools were used as research tools: reality shock, psychological capital(PCQ), nursing practice readiness, social support, incivility(NIS),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workplace learning. Data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 25 Program. Result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1. Mean score on psychological capital was 3.56±.51 points out of 6, mean score on nursing practice readiness was 2.96±.24 points out of 4, mean score on social support was 3.99±.49 points out of 5, mean score on the experience of incivility was 1.91±.55 points out of 5, mean score on nursing organization culture was 3.24±.38 points out of 5, and mean score on the recognition of workplace learning was 4.24±.66 points out of 6. mean score on reality shock was 2.88±.59 out of 5.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ality shock according to gender(t=-2.94, p=.004), working unit(F=3.19, p=.009), clinical practice at the hospital where you work(t=-2.08, p=.039), desired unit (F=4.34, p=.015),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while in college(F=12.97, p<.001), clinical career(t=-2.71, p=.008). 3. As the individual-psychological factors, psychological capital(r=-.52, p<.001) and nursing practice readiness(r=-.49, p<.001) were negative correlation with reality shock. As the interpersonal factors, social support(r=-.46, p<.001) was negative correlation with reality shock, and incivility(r=.61, p<.001) was positive correlation with reality shock. As the organizational-management factors,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r=-.45, p<.001) and workplace learning(r=-.48, p<.001) were negative correlation with reality shock. The subscale of workplace learning, formal, informal and incidental learning all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reality shock. 4. Factors affecting reality shock of new graduate nurses were informal learning(β=-.28 , p=.039), incivility(β=.22, p=.009),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while in college(β=-.19, p=.002), psychological capital(β=-.18, p=.015), and nursing practice readiness(β=-.17 , p=.046). These variables explained reality shock in new graduated nurses by 61.3%.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affecting reality shock of new graduate nurses have been identified as informal learning.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and training at the organizational management level, feedback from organizations or members is needed so that education can be applied in practice, and efforts are needed to share the results of education with colleagues.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influences of reality shock of new graduate nurses, nursing managers will need to make policy-making and mediation efforts to enhance the degree and effectiveness of informal learning by new graduate nurses.

      • 중국 작곡가 탄둔(Tan Dun)의 첼로 협주곡 <지도>(The Map) 연구 : 전통적 요소의 활용을 중심으로

        저우안안 호서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Along with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the “New Wave” music that emerged in the late 20th century is considered to be a symbol of the new era of modern Chinese music. With the development of the “New Wave”, composers boldly blended traditional Chinese folk instruments, musical materials from China’s ethnic minorities, and Chinese traditional cultural materials with the atmosphere of Western music and culture in their works, which made the sounds of Chinese nationalities to be heard again by many people. Among them, the most prominent ones are Tan Dun (1957-), Chen Yi (1953-), Zhou Long (1953-), Sheng Zongliang (1955-), Guo Wenjing (1956-), Chen Qigang (1951-), Ye Xiaogang (1955-) and others are the most prominent composers. Tan Dun, a renowned contemporary composer and conductor, is a representative of Chinese avant-garde and post-modernist music, as well as the most active representative of Chinese musicians in the international music scene today. He shines in the world of music with his unique creative concepts, the heritage of traditional Chinese culture and his international vision. Many of Tan Dun's musical concepts and artistic techniques are inseparable from the realm of Western classical and modern music, but also from his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Chinese music and culture. For example, he directly uses Chinese folk music materials in his works, focuses on the useof traditional instruments from China in the orchestra, and also flexibly incorporates the structure, rhythm and beat, melody and timbre of traditional Chinese opera into modern music composition, so that his works exude a strong Chinese flavor from within. “The Map” is a cello concerto composed by Tan Dun at the invitation of the Boston Symphony Orchestra, and he was invited by the American Symphony Orchestra and cellist Ma Youyou tocomplete the work in 1999 and 2001 after three years of collecting material in his hometown in the west of Hunan Province. This paper is a theoretical study of a version of a concert in the Fenghuang ancient city, Hunan province, with an overview of the work as a whole, its musical characteristics (form, theme, harmony, modern techniques, etc.), and the use of traditional musical elements. The research methods used in this thesis are documentary research and score analysis. Thedetail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it examines the background of modern music in the East and West after the 20th century. Secondly, it is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the life of composer TanDun, the creative proce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al language. Thirdly, it analyzes the background of the composition of the work “TheMap”, the origin of the names of the movements and the main materials, and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orchestra. Fourthly,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nine movements of the work“The Map” are analyzed, including musical form, theme, harmony, modern techniques, and timbre and sound etc. Fifthly, it analyzes the flexible use of traditional Chinese musical elements in the work “The Map” from three aspects: rhythm and beat, structure, and timbre. The author hopes to provide a theoretical reference for the study and creation of contemporary Chinese and Asian music through a comprehensive study of composer Tan Dun and his work “The Map”.

      • 비제의 오페라 <카르멘> 연구 : 집시음악의 구현과 후대 프랑스 작곡가들에게 끼친 영향

        판나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19세기 낭만주의 시기에 각 국가의 교류가 빈번해지고, 이 시기에 만연했던 이국주의(Exoticism)의 영향으로 집시풍뿐만 아니라 동양의 색채도 가미한 작곡가들의 작품도 있었던 것만큼 이국주의는 낭만주의 시대의 전반에 유행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스페인풍의 집시음악은 작곡가들에 의해 작곡이 되어왔고, 낭만주의 시대의 음악가들, 특히 프랑스를 중심으로 나타난 집시음악을 중점으로 알아보았다. 낭만주의 시기에의 프랑스에는 오페라가 한참 흥행을 하고 있었고, 이런 유행의 흐름에 맞춰 오페라와 이국주의의 산물인 집시음악이 합쳐져서 탄생한 것이 비제의 카르멘이다. 주인공인 카르멘이 집시여인인 만큼 그만의 특이한 색채가 작품 전반에 묻어나고, 작품 속에 나타나는 집시음악의 특징인 집시음계(증 2도의 색채)와, 그들이 주로 사용했던 음악적 어법(부점 리듬, 자유로운 선율, 반복되는 지속음, 멜리스마적 선율, 즉흥성 등)을 분석하고 또 다른 음악가들이 집시음악을 그들의 작품에 어떻게 흡수하는지 살펴보았다. 집시음악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그들의 자유로운 성격을 대변하듯 느린 악장에서 시작해서 점차 빨라지는 빠르기로 상당히 정열적인 그들의 성격을 음악에서 잘 보여주고 있다. 이 논문에서 첫 번째 장은 서론이다. 두 번째 장은 낭만주의 오페라, 집시음악의 이론적 배경과 비제의 삶과 창작 시기를 설명한다. 세 번째 장은 집시음악의 특징 분석에 초점을 맞춘 비제의 오페라 카르멘의 연구이다. 네 번째 장은 프랑스 작곡가 드뷔시, 라벨의 작품분석이다. 주로 비제의 오페라 카르멘과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반영하는 집시음악 요소를 가진다. 다섯 번째 장은 연구의 결론이다. 집시음악의 독특한 특성은 작곡가를 매료시켰고, 비제와 그 이후의 작곡가들이 작품에서 집시음악의 매력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다. 비제 《카르멘》, 드뷔시 《그라나다의 황혼》, 집시음악 요소와의 라벨 《치간느》, 《볼레로》 분석을 통해 비제의 창작이 드뷔시와 라벨에 미치는 영향과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프랑스에서 집시음악의 발전을 탐구했다. During the romantic period of the 19th century, cultural exchanges between countries around the world became more and more frequent. Especially in the later stage, European musicians often created with exotic atmospher e. Gypsy music became the favorite musical element of composers with its unique scale and rhythm characteristics.Opera flourished during this period, with different opera genres appearing in Germany, Italy, France and other countries,and the content was closer to life with the development of society and the change of people's appreciation. In France, a new form of comic opera appeared, the biggest feature is dialogue instead of traditional recitative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convenient transportation, there are also frequent exchanges between France and neighboring Spain.The Gypsies gathered in the Andalusia region of Spain, whose music spread to the rest of Spain with the music of the gathering place, and enhanced cultural and artistic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during cross-border travel or visits between the French and Spanish artists.Merimi wrote some Spanish novels in this period, in which the novella Carmen, adapted into opera, has survived in the world as opera, and is one of the most released and popular operas on stage. The opera "Carmen" created by Bizet music accurately expresses the content of the script, and is a model of the perfect integration of music and drama.This opera is a happy opera from genre and a realistic opera from t he content. The use of prominent gypsy music elements makes it a representative of exotic opera.The work failed at its premiere because of the cultural background and the appreciation and acceptance of the audience, but with the passage of time and the development of history, the long-term charm of the opera was reflected.The most impressive thing in the opera is the gypsy girl Carmen, Bizet presents Carmen with vivid gypsy music, which becomes one of the features of the opera.French composers Debussy and Rawell after Bizet also produced a lot of exotic music, and gypsy music was the main creative element. The first chapter of this article is the clue;The second theoretical background includ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Romantic opera, gypsy music, and the life and creation period of Bizet;the third chapter is the study of the Bizet’s opera "Carmen", focusing on the prominent repertoire analysis of its gypsy music;the fourth chapter is the analysis of the works of the French composers Debussy and Ravel with gypsy music elements, which mainly reflect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ith Bizet's opera Carmen.;the fifth chapter is the conclusion of the study.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gypsy music attract composers, and the great use of gypsy music elements by Bizet and subsequent composers fully reflects the charm of gypsy music.With gypsy music as the center, through the comparison of Bizet "Carmen", Debussy "ranada’s night", lavel "Tzigane" and "borero" analysis with gypsy music elements, exploring the influence of Bizet's creation on Debussy and Ravel,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gypsy music in France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 신생아 중환자실 간호사의 문화적 역량 영향요인 : 생태학적 접근의 적용

        김나래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연구목적: 최근 신생아 중환자실은 다양한 문화를 가진 간호대상자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신생아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문화적 역량 수준을 확인하고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 개인 간 요인, 조직적 요인을 파악하여 신생아 중환자실 간호사의 문화적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전략 개발에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서울, 부산, 경남 지역의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3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2년 7월 20일부터 2022년 9월 20일까지 실시하였다. 개인적 요인은 외국 방문 경험, 해외 체류 경험, 외국어 수강 경험, 외국어 능력, 다문화 관련 교육 수강 경험과 필요성, 문화적 공감으로, 개인 간 요인은 외국인 친구 및 친척 여부, 외국인 환자 및 보호자 접촉 경험, 문화 간 불안으로 측정하였다. 조직적 요인은 근무지의 통역서비스 제공 여부, 외국인 환자 및 보호자 간호 교육 프로그램 제공 여부, 외국어로 제작된 환자 및 보호자 교육자료 구비 여부, 외국인 전용 클리닉 운영 여부, 외국어로 작성된 서식지와 설명서 구비 여부, 병원의 문화역량지지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 SPSS WIN 27.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 및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과 Scheffé test,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입력방식을 이용한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성별은 여자가 100%(135명)이며 연령은 20대가 63.7%(86명)로 가장 많았으며, 종교는 무교가 73.3%(99명), 결혼 상태는 미혼이 75.6%(102명), 최종 학력은 대학 졸업이 85.9%(116명)로 가장 많았다.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74.1%(100명)로 더 많았으며 임상 근무 경력은 평균 7.28±5.62개월이며 1-3년 24.4%(33명), 4-9년 59.3%(80명), 10년 이상 16.3%(22명) 순이었다. 2. 대상자의문화적역량은7점 만점에 평균4.66±0.73점이었으며 하위 요인별로는 문화적 인식 영역 평균5.57±0.74점, 문화적 지식 평균4.48±1.10점, 문화적민감성평균4.59±0.95점, 문화적 기술 평균4.31±0.88점으로 문화적 인식 영역의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문화적공감은 5점 만점에 평균 3.08±0.32점으로 하위 요인별로 공감적 감정과 표현 3.15± 0.33점, 공감적 관점 취하기 2.96±0.43점, 문화적 차이 수용 3.24±0.48점, 공감적 인식 2.81±0.52점이었다. 문화 간 불안은 7점 만점에 평균 3.83±0.63점이었으며, 병원의 문화역량 지지는 4점 만점에 평균 2.25±0.29점이었다. 3. 대상자의 생태학적 요인(개인적, 개인 간, 조직적 요인)에 따른 문화적 역량의 차이는 개인적 요인인 다문화 관련 교육의 필요성(t=3.32,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신생아 중환자실 간호사의 문화적 역량은 개인적 요인에서 문화적 공감(r=.38, p<.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문화적 공감의 하부영역별로 는 공감적 감정과 표현(r=.41, p<.01), 공감적 관점 취하기(r=.39, p<.01), 문화적 차이 수용(r=.28, p<.01)에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조직적 요인에서 문화적 역량은 병원의 문화역량 지지(r=.26, p<.01)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5. 신생아 중환자실 간호사의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개인적 요인인 다문화 교육 필요성(β=.22, p=.006)과 문화적 공감(β=.35, p<.001), 조직적 요인인 외국어로 작성된 서식지와 설명서 구비여부(β=.16, p=.038),병원의 문화역량 지지(β=.19, p=.013)로 나타났으며 이 변수들의 설명력은 27%였다(F=9.67, p<.001).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신생아 중환자실 간호사의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개인적 요인인 다문화 교육 필요성과 문화적 공감, 조직적 요인인 외국어로 작성된 서식지와 설명서 구비 여부 및 병원의 문화역량 지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적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개인 뿐 아니라 조직적 차원에서도 문화역량 교육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이를 지지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Francis Poulenc 성악 연가곡 『Le Travail du Peintre』 연구 : 신고전주의 음악을 중심으로

        청하오 호서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19세기와 20세기 유럽을 휩쓴 산업혁명은 자본주의의 발달과 제국주의의 붕괴, 그리고 세계 1차 대전과 2차 대전을 거치면서 많은 변화가 있었다. 이러한 변화는 프랑스에서 사회, 정치뿐만 아니라 문화 예술계에까지 미쳤는데, 그 기류를 타고 나타난 것들이 기존의 낭만주의를 탈피하고 고전으로 돌아가자는 주장을 펼친 신고전주의와 미술의 초현실주의다. 신고전주의는 프랑스를 중심으로 나타난 예술 운동으로 고전으로의 회귀를 주장하며 합리주의적인 미학을 추구한다. 초현실주의는 20세기 초, 프랑스에서 일어났으며 대상을 기하학적인 형태로 분해하고 작가의 주관으로 재구성해서 여러 각도에서 본 물체를 평면적으로 표현을 하는 것이다. 풀랑크는 그 시기에 활동한 프랑스의 작곡가로 프랑스 6인조(Les Six)의 일원으로 활동하였고, 그의 음악은 지나치게 감상적이었던 낭만주의의 음악을 거부하고 간결한 고전 시대와 바로크 음악으로의 회귀를 표방한다. 그는 아마추어 시인으로도 활동했고, 미술에도 열정을 갖고 있어 엘뤼아르와 같이 당대 교류하던 시인들과 많은 공동작업을 하였다. 『화가의 작업(Le travail du peintre』은 이런 공동작업으로 당대의 시인이었던 폴 엘뤼아르(Paul Eluard)가 당대 화가의 그림을 묘사한 시를 주제로 하여 총 7개의 그림과 시에 음악을 입힌 성악 연가곡이다. 이 곡에 등장하는 화가들은 큐비즘(Cubism)-6인, 초현실주의(Surrealism)-1인의 화가들로 엘뤼아르는 그들의 미술작품을 시로 표현할 때 생생한 색채를 표현한다거나 그림의 표정과 행동들을 자세히 묘사하고 있다. 풀랑크의 이 작품은 초현실주의의 미술을 묘사한 엘뤼아르의 시에 신고전주의 음악을 지향하는 풀랑크의 음악을 입혔고 풀랑크는 리듬과 화성, 반주부의 페달 주법과 아르페지오, 레가토 주법 등을 통해 그의 독특한 음악을 드러내고 있다. From the beginning of the 19th century to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France experienced the second Industrial Revolution, the first World Warand other historic events.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situation was surging, and the economy, politics, ideology and culture all experienced great changes during this historical period. The rapid development of productive forces and the unprecedented emancipation of the mind have opened up people's vision and refreshed people's traditional ideas. People begin to use new thinking, new angle and new vision to examine this familiar and strange world. The rapid development of capitalism and the historical transition of imperialism have accelerated the diversification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n front of the world. After the French music industry embraces all kinds of philosophical and aesthetic thoughts, it also presents an extremely pros\perous scene: the inheritance and development of tradition and the break and innovation of tradition coexist. In this period, the French musicians took nourishment from the large environment of competition, showered their musical talent, endowed the soul of music works with different aesthetic ideasand creative techniques, experimented and explored various wonderful means of music presentation, and finally formed various musical schools with different styles. Neoclassical music w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schools ofmusic that emerged from many styles. Francis Jean Marcel Poulenc, one of the famous French Les six in French, was one of the important representat ive composers of French neoclassicism in this period.Francis Jean Marcel Poulenc (1899-1963) was born in Paris, France. Hewas a famous French composer and pianist in the 20th century. In 1920, at the age of 21, Poulenc joined Les six in French. Humorous, vivid music style became the Poulenc's main style, the six musicians with this style, are the most close to the great musicians, Erik Satie, in the 20th century. At the same time, from the Poulenc’s style we also can feel, he was trying to get rid of the impact of impressionism music to France. He made some efforts and contributions to the strength of neoclassicism and the formation of a unique new style of music. His works covered a wide range and a large number, including opera, dance drama, vocal music, orchestral music, instrumental music and so on. He is known as the Franz Schubert of France. "The Painter's Work" is a song cycle consisting of 7 pieces completedby Poulenc in 1956. It is a masterpiece completed by Poulenc in his later years, which brings together his musical thoughts and creative techniques. T he song cycle is accompanied by piano alone, and has its own style. In the fusion with the poetry of Paul Eluard(1895-1952), painting elements are added, and the synesthesia of music is used to interpret a series of surrealistpaintings. This interesting composition is ingenious and significant.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neoclassicism implied in it have the unity between the past and the future, and the inherent unity of the work has important practical significance and development in the way of singing and expressive force.This paper is divided into five chapters to study Poulenc's Painter's Work. The first chapter is the introduction, which summarizes the research purpose, prior research, research necessity and research methods of this study.The second chapter elaborate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birth of neoclassical music and the inevitability of its birth. The third chapter reviewsthe background of composer Poulenc's life and the characteristics of his creation period. The fourth chapter is the creation background of the work "The Painter's Work" and the creation skills and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work. The last chapter is a summary of the overall historical development and detailed analysis of the musical skills in the work.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환자를 간호한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 : 조직지원인식의 조절 및 매개효과

        이상민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COVID-19) 환자를 간호한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조직지원인식, 소진을 파악하고,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의 조절 및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방법: 본 연구는 예측적 상관관계 연구이며, 연구 대상은 전국 병원에서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환자를 간호한 간호사 16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2년 7월 20일부터 2022년 8월 20일까지로, 자료수집은 온라인(구글 폼) 설문지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 SPSS WIN 25.0을 사용하여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사후검정,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Sobel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성별은 남자가 13.0%(22명), 여자가 87.0%(147명)이며 대부분 여자였다. 연령의 평균은 30.21±3.79세였으며, 30세 미만이 46.7%(79명)로 가장 많았고, 종교는 ‘없다’가 63.3%(107명), 결혼상태는 미혼이 69.8%(118명), 최종 학력은 학사가 63.9%(108명)로 가장 많았다. 임상 근무경력은 평균 56.80±35.53개월이며 36개월 미만 26%(44명), 36개월 이상 60개월 미만 37.3%(63명), 60개월 이상 36.7%(62명)이었다. 현 부서 근무경력으로 평균 36.13±23.12개월이며 24개월 미만 29.6%(50명), 24개월 이상 48개월 미만 43.2%(73명), 48개월 이상 27.2%(46명)이었다. 현재 근무하고 있는 부서는 일반병동 66.3%(112명), 중환자실 11.2%(19명), 음압격리병실 11.2%(19명), 기타 11.2%(19명)이었다. COVID-19 관련 근무 변경 경험은 99.4%(168명)가 있다고 답하였으며 COVID-19 관련 교육훈련 경험은 97.6%(165명)가 있다고 나타났다. COVID-19 확진 경험은 62.7%(106명)가 있다고 하였다. COVID-19 검사 경험은 1회 이상 6회 미만 24.9%(42명), 6회 이상 11회 미만 29.0%(49명), 11회 이상 46.2%(78명)이었다. 2. 직무스트레스는 4점 만점에 평균 2.57±0.33점이었고, 조직지원인식은 7점 만점에 평균 4.14±0.86, 소진은 5점 만점에 평균 3.23±0.69점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진은 연령(t=5.28, p=.006), 결혼 여부(t=-4.1, p<.001), 코로나 확진 경험(t=3.4,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소진은 직무스트레스(t=.54, p<.001)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조직지원인식(t=-.38, p<.001)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직무스트레스는 조직지원인식(t=-.34, p<.001)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5. 조직지원인식은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조절 효과(β=.21, p=.001) 및 부분 매개효과(Z= 2.90, p=.003)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통해 COVID-19 확진 환자를 간호한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의 조절 및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relation of job stres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perception, and burnout of nurses who cared for COVID-19 patients, and to understand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Method: This study is a predictive correlation study, and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169 nurses who cared for COVID-19 patients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t hospitals nationwide.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conducted from July 20, 2022 to August 20, 2022, and the online (Google Form) questionnaire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pos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d Sobel test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WIN 25.0.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gender was 13.0% (n=22) for men and 87.0% (n=147) for women, and most of them were women. The average age was 30.21±3.79 years old, 46.7% (n=79) under the age of 30, 63.3% (n=107) for religion, 69.8% (n=118) for unmarried people, and 63.9% (n=108) for bachelor's degree. The average clinical work experience was 56.80±35.53 months, 26% (n=44) under 36 months, 37.3% (n=63) over 36 months and 36.7% (n=62) over 60 months. The average working experience of the current department was 36.13±23.12 months, 29.6% (n=50) under 24 months, 43.2% (n=73) over 24 months and 27.2% (n=46) over 48 months. The departments currently working were 66.3% of general wards (n=112), 11.2% of intensive care units (n=19), 11.2% of negative pressure isolation rooms (n=19), and 11.2% of others (n=19). 99.4% (n=168) said they had experience in changing work related to COVID-19, and 97.6% (n=165) said they had experience in education and training related to COVID-19. It was said that 62.7% (n=106) had been infected COVID-19. The experience of COVID-19 testing was 24.9% (n=42) with more than 1 test and less than 6 tests, 29.0% (n=49) with less than 11 tests, and 46.2% (n=78) with more than 11 tests. 2. Job stress averaged 2.57±0.33 out of 4,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veraged 4.14±0.86 out of 7, and burnout averaged 3.23±0.69 out of 5. 3.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urnou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in age(t=5.28, p=.006), marital status(t=-4.1, p<.001), and COVID-19 infection experience(t=3.4, p=.001). 4. Burnou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stress(t=.54, p<.001), and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t=-.38, p<.001). Job stress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t=-.34, p<.001). 5. The recognition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d a moderating effect(β=.21, p=.001) and a partial mediating effect(Z= 2.90, p=.003)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Conclus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oderating and partial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of nurses who cared for COVID-19 infected patients. ㅁ

      • 중환자실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조직몰입의 조절 및 매개효과

        정유리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목적: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 이직의도, 조직몰입의 정도를 파악하고, 간호근무환경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몰입의 조절 및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방법: 본 연구는 예측적 상관관계 연구로 연구 대상은 D광역시에 소재한 상급종합병원 한곳에서 근무하는 경력 6개월 이상의 중환자실 간호사 중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간호사 13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22년 7월 14일부터 2022년 7월 28일까지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5.0 Program을 사용하여 백분율, 빈도, 평균,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사후검정,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Sobel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성별은 여자 120명(88.2%), 남자 16명(11.8%)이었다. 연령은 평균 29.09±6.25세로 20대가 90명(66.2%)으로 가장 많았으며, 종교는 무 107명(78.7%), 결혼 상태는 미혼 109명(80.2%), 최종학력은 학사 졸업이 87명(64.0%)으로 가장 많았다. 주관적인 건강상태는 보통이다가 72명(52.9%)으로 가장 많았으며, 직무형태는 3교대가 135명(99.3%)으로 대부분이었다. 총 임상 근무경력은 평균 72.68±79.29개월(약 6년 1개월), 현 부서 근무경력은 평균 38.25±38.81개월(약 3년 2개월)이었다.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132명(97.1%)으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월 급여는 200만원 이상-300만원 미만이 69명(50.7%)으로 가장 많았다. 1일 평균 근무시간은 평균 514.63±34.42분(약 8시간 30분), 1일 평균 시간 외 근무시간은 평균 27.17±28.86분(약 30분)이었으며, 이직 경험은 없다가 82명(60.3%), 담당하는 평균 환자의 수는 2명 이하가 74명(54.4%)으로 가장 많았다. 2. 간호근무환경은 4점 만점에 평균 2.52±0.45점, 조직몰입은 7점 만점에 평균 3.28±0.88점, 이직의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93±0.70점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이직의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이직의도와 제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에서 이직의도는 1일 평균 근무시간(r=.20, p=.020), 1일 평균 시간 외 근무시간(r=.21, p=.012)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간호근무환경(r=-.38, p<.001), 조직몰입(r=-.48, p<.001)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간호근무환경은 조직몰입(r=.57,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5. 조직몰입은 간호근무환경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β=-.17, p=.023)가 있었다. 6. 조직몰입은 간호근무환경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Z=–3.68, p<.001)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중환자실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몰입의 조절 및 완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쉽게 변화하기 어려운 간호근무환경에서도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간호근무환경의 점진적 개선뿐 아니라, 조직몰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nursing working environment, turnover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es in the intensive care unit,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effect of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on turnover intention. Methods: This study was a predictive correlation study, and 139 nurses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agreed to participate among nurses in the intensive care unit with more than 6 months of experience working at one advanced general hospital located in D Metropolitan City.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conducted from July 14, 2022 to July 28, 2022. Analysis were conducted by SPSS WIN 25.0 progra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ercentage, frequency, mean,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os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n terms of gender, 120 nurses (88.2%) were females and 16 nurses (11.8%) were males. The average age was 29.09 ± 6.25 years old, 90 people (66.2%) were in their 20s. Non-religious was 107 people (78.7%). In terms of marital status, 109 people (80.2%) were unmarried. The 87 people (64.0%) of participants graduated from a bachelor's degree. The subjective health condition was normal with 72 people (52.9%), and the most common job type was shifts with 135 people (99.3%). The average total clinical work experience was 72.68±79.29 months (about 6 years and 1 month), and the average work experience in the current department was 38.25±38.81 months (about 3 years and 2 months). As for the position, general nurses were the most with 132 people (97.1%). The average monthly salary was more than 2 million won and less than 3 million won with 69 people (50.7%). The average working hours per day was 514.63±34.42 minutes (approximately 8 hours and 30 minutes), and the average daily overtime hours were 27.17±28.86 minutes (approximately 30 minutes), the average number of patients in charge was 2 patients or less with 74 people (54.4%). The 82 people (60.3%) of participants had no experience in changing jobs. 2. Participants’ nursing working environment was measured 4 points scale questionnaire. The average score of nursing working environment was 2.52±0.45. The average score for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3.28±0.88 out of a total of 7 points, the average score for turnover intention was 3.93±0.70 out of a total 5 points. 3.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4. In the correlation between intention to turnover and other variable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urnover and average working hours per day (r=.20, p=.020) and average overtime working hours per day (r=.21, p=.012).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nursing working environment (r=-.38, p<.001)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r=-.48, p<.001). In addition, the nursing working environ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r=.57, p<.001). 5.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a moderating effect (β=-.17, p=.023)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working environment and turnover intention. 6.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a completely mediating effect (Z=–3.68, p<.001)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rsing working environment and turnover intention. Conclus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oderating and completely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confirmed in the effect of the nursing working environment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the intensive care unit. Based on this, in order to reduce turnover intention even in a nursing working environment that is difficult to change easily,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ractical plan to impro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well as gradually improve the nursing working environment.

      •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mong Nurse Learners in Sri Lanka

        S.P. Ranjanie Chandralatha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Research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 to identify the level of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DLR), b)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general, learning, working-related factors, and SDLR, and c) to explore the influencing factors of SDLR among nurse learners in Sri Lanka. Methods: This study employed a descriptive, predictive, and non-experimental research design. The convenience sample included 180 registered nurses who participated in the nursing specialty programs at Post Basic College of Nursing supported by the Department of Health in Sri Lanka.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self-report survey including Fisher’s SDLR scale, and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ith stepwise method was conducted. Results: The mean score per item of SDLR was 4.31 out of 5. Desire for learning was the highest at 4.42, followed by 4.33 for self-control, and 4.18 for self-management. The influencing factors of SDLR were motivation for learning and self-efficacy on English language among learning-related factors, and job satisfaction among working-related factors. These variables accounted for 17.6% of the variance in SDLR. Conclusion: Most nurse learners (95%) had great readiness for Self-Directed Learning (SDL). The SDLR of nurse learners was influenced not only by learning-related factors but also by working related factors including job satisfac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rategies to increase their motivation for learning and self-efficacy on English during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In addition, employee-friendly workplace environments to strengthen their SDL skills need to be created. Further researches are required to investigate diverse organizational factors that influence SDLR among nurse lear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