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부부관계 유대감, 부모의 정서표현성 및 유아 정서행동문제 간의 관계

        최희정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만 3~5세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 60쌍과 그 자녀를 지도하고 있는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부부관계 유대감, 부모의 정서표현성 및 유아 정서행동문제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주요 변인들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부부관계 유대감이 유아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부모의 정서표현성이 유아 정서행동문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뿐만 아니라 부부관계 유대감이 유아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부모의 정서표현성이 조절하는지 고찰하였다. 이에 따라 부부관계 유대감이 유아 외현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 긍정적 정서표현의 조절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도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관계 유대감을 평정하기 위해 Krokoff와 Gottman(1984)이 개발한 Oral History Interview를 남은영(2012)이 한국어로 번안한 것을 사용해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분석하기 위해 Buehlman과 Gottman(1996)이 개발한 Oral History Interview 코딩시스템(Oral History Interview Coding System)을 남은영(2012)이 한국어로 번안한 것을 사용해 인터뷰를 코딩했다. 둘째, 부모의 정서표현성을 평정하기 위하여 Halberstadt, Cassidy, Stifter, Parke 와 Fox(1995)가 개발한 가정 내 정서표현척도(SEFQ: Self-Expressiveness in the Family Questionnaire)를 박소은과 남은영(2010)이 수정한 것을 사용했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정서행동문제는 Achenbach와 Rescorla(2000)가 개발하고 김영아 외(2011)가 한국어로 번안하고 표준화한 한국판 유아 행동평가척도 교사용(Caregiver-Teacher Report Form for Ages 2-5: C-TRF)으로 평가했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관계 유대감과 부모의 정서표현성, 그리고 유아 정서행동문제 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부부관계 유대감과 어머니 긍정적 정서표현 간에 정적인 관련성이 나타났다. 부부관계 유대감 하위요인 중 아내 호감/애정, 남편과 아내의 우리됨 대 분리, 남편과 아내의 확장 대 철회가 높을수록 어머니가 가족 내에서 긍정적인 정서를 많이 표현한 반면 남편과 아내의 배우자를 향한 부정성, 관계의 혼돈, 아내 결혼생활에 대한 실망/환멸이 높을수록 어머니의 가족 내 긍정적 정서표현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부부관계 유대감은 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와 부적인 관련성을 나타냈다. 부부관계 유대감 하위요인과 유아 정서행동문제 간의 관계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유아의 내재화 문제는 남편과 아내의 배우자를 향한 부정성, 관계의 혼돈, 남편과 아내의 결혼생활에 대한 실망/환멸과 정적인 관련성을 나타낸 반면 아내 호감/애정, 남편과 아내의 우리됨 대 분리, 아내 확장 대 철회와는 부적인 관련성을 나타냈다. 그리고 유아 외현화 문제는 남편과 아내 배우자를 향한 부정성, 관계의 혼돈, 남편과 아내의 결혼생활에 대한 실망/환멸과 정적인 관련성을 나타냈고, 아내 호감/애정, 남편과 아내의 우리됨 대 분리, 남편과 아내의 확장 대 철회와는 부적인 관련성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부모의 정서표현성과 유아 정서행동문제의 관계를 살펴보면 유아 내재화 문제는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과 부적 관련성을 나타낸 반면 어머니 부정적 정서표현과는 정적 관련성을 보였다. 또한 유아의 외현화 문제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표현과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부부관계 유대감이 유아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부부관계 유대감이 높으면 자녀의 정서행동문제가 줄어들지만 부부관계 유대감이 낮을 경우 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가 증가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부부관계 유대감 하위요인에서는 남편과 아내의 배우자를 향한 부정성, 관계의 혼돈, 아내 결혼생활에 대한 실망/환멸이 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정서표현성이 유아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아 내재화 문제는 어머니 부정적 정서표현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유아 외현화 문제는 어머니와 아버지의 긍정적, 부정적 정서표현의 영향을 모두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부관계 유대감이 유아의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 정서표현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부부관계 유대감이 아동 외현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은 부부관계 유대감 하위요인 중 아내 배우자를 향한 부정성과 관계의 혼돈이 유아 외현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에 제시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부부사이의 정서적 거리감, 부부갈등의 심각도, 부부의 갈등해결 전략 등을 살펴볼 수 있는 부부관계 유대감을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과 연결시킴으로써 유아 정서행동문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결혼생활의 특정차원을 정확하게 파악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부부관계 유대감이 유아의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 긍정적 정서표현의 조절효과를 확인했다는 의의가 있다. 셋째, 어머니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선행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아버지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주요 변인을 측정하는데 있어 인터뷰법과 교사평정을 사용함으로써 객관적이고 정확한 평정을 위해 노력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marital bond, parents’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s among the three variables. Also,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s of marital bond and parents’emotional expressiveness on children’s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Lastly,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s’emotional expressiveness in the influence of marital bond on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was investigated. 60 mother-father dyads of children aged three to five-years-old and teachers were recruited from child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Three measurements are used in this study. First, to measure marital bond, ‘Oral History Interview(OHI)’developed by Krokoff and Gottman(1984) and translated into Korean by Eunyoung Nahm(2012) was used. ‘Oral History Interview Coding System’developed by Buehlman and Gottman(1996) and translated into Korean by Eunyoung Nahm(2012) was used, too. Second, to measure parents’emotional expressiveness, Self-Expressiveness in the Family Questionnaire(SEFQ) developed by Halberstadt et al(1995) and modified by Soeun Park and Eunyoung Nahm(2010) was used. Third, to measure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Caregiver-Teacher Report Form for Ages 2-5(C-TRF) developed by Achenbach and Rescorla(2000) and adapted into Korean by Youngah Kim et al(2011) was used.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s among marital bond, parents’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First of all, marital bon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aternal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Specifically, wife’s fondness/affection, couple’s we-ness versus separateness and couple’s expansiveness versus withdraw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maternal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but couple’s negativity toward spouse, couple’s chaotic relationships and wife’s Marital Disappointment/ Disillusionment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maternal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In addition, marital bon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As to the relations between marital bond’s sub-scales and children’s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preschool children’s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uple’s negativity toward spouse, couple’s chaotic relationships, wife’s Marital Disappointment/ Disillusionment, while i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wife’s fondness/affection, couple’s we-ness versus separateness, wife’s expansiveness versus withdraw. Also,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uple’s negativity toward spouse, couple’s chaotic relationships, couple’s Marital Disappointment/ Disillusionment, while i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wife’s fondness/affection, couple’s we-ness versus separateness, couple’s expansiveness versus withdraw. Lastly, the correlation of parents’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was significant.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maternal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but i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aternal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arental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but i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arental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Second, this study was examined the influences of marital bond on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As a result,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were influenced by marital bond. As the level of marital bond was higher, the level of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was lower. Specifically, couple’s negativity toward spouse, couple’s chaotic relationships and wife’s Marital Disappointment/ Disillusionment predicted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Third,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p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on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Maternal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predicted preschooler’s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Besides, parental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influenced on preschooler’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Forth,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oderating role of parents’emotional expressiv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bond and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maternal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in the influence of marital bond on preschooler’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was significant. Moreover, maternal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moderated the influences of wife’s negativity toward spouse and couple’s chaotic relationships on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With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has several contributions. First, this study identified the cause of preschooler’s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through examining marital bond and parental emotional expressiveness. Second, this study overcame the weakness of the survey method by using the interview method and teacher reports. Lastly, this study found the moderating effect of maternal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in the influence of marital bond on preschooler’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상위정서철학 및 사이버 폭력 간의 관계

        박소영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olescent’s perceived parent-child attachment and cyberviolenc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three main variables of adolescent aged 12 to 16 year-old students (33 males, 24 females) were examined in this analysis. In addition, this study explored how the adolescent’s perceived parent-child attachment influences the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and cyberviolence, how the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influences the cyberviolence. Moreover, it was confirmed whether the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erceived parent-child attachment and cyberviolence. To research about this study, the following measures were used. First, the adolescent’s perceived parent-child attachment was measured by using only the parental attachment scale among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Revised-Version (IPPA-R)’ developed by Armsden and Greenberg (1987) and translated into Korean by Ok Jeong (1998). Next, the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was measured by using ‘Child/Adolescent Meta-Emotion Interview (CMEI)’ developed by Katz and Windecker-Nelson (2002) and translated into Korean by Nahm and Song (2013), which was developed specially to measure child and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Katz & Windecker-Nelson, 2002). The interview was coded accordingly to Nahm and Song(2013)’s translated manual, which was based on the coding system created by Katz and Windecker-Nelson (2004). Finally, the cyberviolence was measured by using only the cyberviolence perpetrator scale among ‘Cyberbullying scale’ of Na Hye Yeon’s (2015) research. It can be applied to cyberviolence using applications such as Kakao Talk, Facebook, Kakao Story, and Instagram, which were not applied to the existing cyberviolence scale. The study’s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adolescent’s perceived parent-child attachment, the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and cyberviolence. To begin with, when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the adolescent’s perceived parent-child attachment and the cyberviolence,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parent-child attachment and cyberviolence. Next, when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the adolescent’s perceived parent-child attachment and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arent-child attachment and sub-factors of the adolescent’s emotional regulation, emotional remediation in their Meta-Emotion philosophy. Finally, when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the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cyberviolence,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emotion regulation in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and cyberviolence. Second,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between the three variables of adolescent’s perceived parent-child attachment, the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and cyberviolence. To begin with, when examining the effect of the parent-child attachment on cyberviolence, the greater the level of the sense of alienation among the parent-child attachment, the greater the level of the cyberviolence. Next, when examining the effect of the parent-child attachment on the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the parent-child attachment did not directly influence the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Finally, when examining the effect of the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on cyberviolence, the emotional awareness/understanding and emotional regulation in the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influenced cyberviolence. Specifically, the greater the level of the emotional awareness/understanding, the greater the level of the cyberviolence, while the greater the level of the emotional regulation, the lower the level of the cyberviolence. Third,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the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olescent’s perceived parent-child attachment and cyberviolence. As a result, the adolescent’s emotional regulation in their Meta-Emotion philosophy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e of alienation among the parent-child attachment and cyberviolence. In other words, it shows that the more adolescents felt less alienated from their parents, the lower the level of the cyberviolence, and the more adolescents felt a sense of belonging to their parents, the lower the level of the cyberviolence by influencing their own negative emotional regulation level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follows. First, This study measures the adolescent’s perceived parent-child attachment, Meta-Emotion philosophy and cyberviol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child attachment that can solidify psychological resources and important emotions throughout their lives, and cyberviolence were examine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the parent-child attachment and cyberviolence. Through this, the direct effect of the sense of alienation in the parent-child attachment affecting cyberviolence was confirmed, and the indirect effect of the sense of alienation in the parent-child attachment affecting cyberviolence by affecting emotional regulation among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was confirmed. These results carries significance in providing information that it is important to check whether or not they feel alienated from their most basic home environment when trying to intervene and prevent cyberviolence of adolescents. Second, In a time when the severity of cyberviolence is increasing day by day due to the smartphone penetration rate of over 90% and the increased cyber life due to the recent COVID-19, we looked at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most closely related to cyberviolence. The result that the greater the level of the emotional regulation, the lower the level of the cyberviolence, basically provides information that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program to help improv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s well as preventive education when cyberviolence prevention programs. These results carries significance in providing information. Finally, In this study, an interview was conducted for ‘Child/Adolescent Meta-Emotion Interview (CMEI)’ based on the manual developed by Katz and Windecker-Nelson (2002), rather than a questionnaire to measure the Meta-Emotion philosophy of adolescents. By conducting these interviews and collecting data, We were able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emotional experiences of adolescents. Also, it was possible to reduce fragmentary or consistent responses to how they felt and thought about anger and sadness, which were negative emotions, and to derive more natural and richer responses about their beliefs or values ​​during the interview process with the researcher. In addition, it carries significance in that this study secured objectivity and validity of evaluation by analyzing them through a repeatedly verified coding system.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애착과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 및 사이버 폭력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이 애착과 사이버 폭력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서울, 경기, 전북 소재의 중학교에 재학 중인 만 12~16세 청소년 57명(남자 33명, 여자 24명)을 대상으로 애착과 상위정서철학, 그리고 사이버 폭력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주요 세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고, 애착이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과 사이버 폭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은 사이버 폭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나아가 애착과 사이버 폭력 간의 관계에서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다음과 같다. 먼저,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애착은 Armsden과 Greenberg(1987)가 수정한 부모 및 또래애착 척도 수정본(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Revised : IPPA-R)을 옥정(1998)이 한국어로 번안하여 타당화한 척도 중 부모애착 척도를 사용해 측정하였다. 역채점 문항은 역산하여 측정하는데, 특히 소외감은 모두 역체점 변인으로 소외감 점수의 증가는 소외감이 감소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다음으로 청소년 상위정서철학은 Katz와 Windecker-Nelson(2002)이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그들의 상위정서철학을 측정하기 위하여 개발한 아동/청소년 상위정서철학 인터뷰(Child/Aodolescent Meta-Emotion Interview, CMEI)를 남은영, 송수정(2013)이 한국어로 번안한 것을 사용해 측정하였다. 이후 인터뷰의 내용은 Katz와 Windecker-Nelson(2004)이 개발하고 남은영, 송수정(2013)이 한국어로 번안한 아동/청소년 상위정서철학 코딩 시스템(Child/Aodolescent Meta-Emotion Coding System, CAME)의 매뉴얼에 따라 코딩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이버 폭력은 김은경(2015) 연구의 척도를 나혜연(2015)이 기존 사이버 폭력 척도에는 적용되지 않았던 카카오톡,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인스타그램과 같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사이버 폭력을 적용할 수 있게 기존 문항을 재구성한 척도 중 사이버 폭력 가해만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가 지각한 애착, 청소년 상위정서철학, 사이버 폭력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먼저 청소년이 지각한 애착과 사이버 폭력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애착 중 신뢰감, 의사소통, 소외감과 사이버 폭력 간의 관계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다음으로 애착과 청소년 상위정서철학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애착 중 신뢰감, 의사소통, 소외감과 상위정서철학 중 정서조절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애착 중 신뢰감, 의사소통, 소외감과 상위정서철학 중 정서 회복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청소년 상위정서철학과 사이버 폭력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청소년 상위정서철학 중 정서조절은 사이버 폭력과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이 지각한 애착, 청소년 상위정서철학, 사이버 폭력의 세 변인 간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먼저 애착이 사이버 폭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한 결과, 애착의 하위유형 중 소외감을 많이 느낄수록 사이버 폭력 가해 행동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애착이 청소년 상위정서철학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한 결과, 애착은 청소년 상위정서철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청소년 상위정서철학이 사이버 폭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한 결과, 청소년 상위정서철학 하위유형 중 정서 인식과 정서조절은 사이버 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정서 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사이버 폭력 가해 행동이 높아지는 반면, 정서조절 수준이 높을수록 사이버 폭력 가해 행동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이 지각한 애착과 사이버 폭력 사이의 관계에서 청소년 상위정서철학이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애착과 사이버 폭력 간의 관계에서 청소년 상위정서철학이 부분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청소년이 부모와의 관계에서 소외감을 느끼지 않을수록 사이버 폭력 가해 행동이 낮아졌으며, 청소년이 그들의 부모에게 소속감을 느낄수록 그들 자신의 부정적 정서를 조절하는 수준에 영향을 미쳐 사이버 폭력 가해 행동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애착과 상위정서철학, 그리고 사이버 폭력에 대해 측정함으로써 심리적 자원을 공고히 할 수 있는 부모 애착과 그들의 삶의 전반에서 걸쳐 중요한 정서, 그리고 사이버 폭력과의 관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더불어 애착과 사이버 폭력 사이의 관계에서 청소년 상위정서철학이 부분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애착의 소외가 사이버 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 효과가 확인되었고, 애착의 소외가 청소년 상위정서철학 중 정서조절에 영향을 미쳐 사이버 폭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간접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사이버 폭력에 대하여 개입, 예방 방안을 마련하고자 할 때, 그들의 가장 기본이 되는 가정환경에서 소외감을 느끼고 있지 않은지의 여부를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둘째, 90%가 넘는 스마트폰 보급률과 최근 코로나19로 인하여 늘어난 사이버 생활로 인한 사이버 폭력의 심각성이 날로 높아지는 시기에 사이버 폭력에 가장 밀접한 중학생들을 살펴보았다. 이들의 정서조절 수준이 높을수록 사이버 폭력 가해 행동을 하지 않는다는 결과는 기본적으로 사이버 폭력 예방프로그램을 진행할 때 예방 교육뿐만 아니라 정서조절 능력을 향상하게 시킬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 도입이 필요하다는 정보를 제공해 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을 측정하는 데 있어 질문지가 아니고, Katz와 Windecker-Nelson(2002)이 개발한 매뉴얼에 기초한 ‘아동/청소년 상위정서철학’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인터뷰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함으로써 청소년들이 자신의 정서 경험에 대해 포괄적으로 살필 수 있었다. 또한 그들이 부정정서인 분노 및 슬픔에 대하여 어떻게 느끼고 생각하는지를 단편적이거나 일괄적인 반응을 감소시키고, 연구자와의 질의응답 과정에서 그들의 신념이나 가치관을 자연스럽고 보다 풍부한 반응을 도출할 수 있었다는 점과 이를 반복 검증된 코딩시스템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객관성과 타당성을 확보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청소년의 기본심리욕구와 상위정서철학 및 우울 간의 관계

        김사라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서울 소재의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만 15-18세 청소년 50명(여자 24명, 남자 26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기본심리욕구와 상위정서철학, 그리고 우울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고, 기본심리욕구가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과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은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더불어 기본심리욕구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청소년의 기본심리욕구와 상위정서철학, 우울을 측정하였다. 먼저 기본심리욕구는 Chen과 Vansteenkiste를 비롯한 연구진(2015)의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Scale(BPNSFS)을 이진현(2016)이 Vansteenkiste 교수의 검수 하에 한국어로 번역하고 타당화한 한국판 기본심리욕구 만족-좌절 척도(Korean verson of Basic Psychology Need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Scale, K-BPNSF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상위정서철학은 Katz와 Windecker-Nelson(2002)이 아동 청소년을 대상으로 그들의 상위정서철학을 측정하기 위하여 개발한 아동 · 청소년 상위정서철학 인터뷰(Child/Aodolescent Meta Emotion Interview, CMEI)를 남은영, 송수정(2013)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인터뷰의 내용은 Katz와 Windecker-Nelson(2004)이 개발한 아동 · 청소년 상위정서철학 코딩 시스템을 남은영, 송수정(2013)이 한국어로 번안한 것으로 매뉴얼에 따라 코딩하였다. 마지막으로 우울은 Radloff(1977)가 개발한 역학연구센터 우울척도(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CES-D)를 전겸구, 최상진, 양병창(2001)이 한국어로 번안 및 타당화한 한국판 CES-D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연구 참여자의 기본심리욕구, 상위정서철학, 우울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먼저 기본심리욕구의 만족과 기본심리욕구 좌절 간에는 부적 상관이 있었으나, 기본심리욕구의 만족과 자율성 좌절 간에는 상관이 없었다. 또한 기본심리욕구와 상위정서철학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만족 및 좌절은 청소년의 정서조절과 부적 상관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관계성은 정서 회복과, 유능성은 정서조절과 유의미한 관련이 있었는데, 관계성 만족과 유능성 만족은 각각 정서 회복, 정서조절과 정적 상관이, 반대로 관계성 좌절과 유능성 좌절은 각각 정서회복, 정서조절과 부적 상관이 있었다. 이어서 기본심리욕구와 우울 간의 관계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기본심리욕구의 만족은 부적으로, 좌절은 정적으로 우울과 관련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상위정서철학과 우울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정서조절, 정서 회복이 우울과 부적 관련성을 보였다. 둘째로 각 변인 간의 영향력에 대하여 알아보았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먼저 기본심리욕구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고, 기본심리욕구의 만족이 우울 수준을 낮추고, 기본심리욕구의 좌절이 우울 수준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능성 욕구의 만족이 우울을 낮추고, 유능성 좌절이 우울을 높이도록 영향을 미쳤다. 관계성 욕구의 좌절 또한 우울 수준을 높이도록 영향을 미쳤다. 다음으로 기본심리욕구가 상위정서철학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기본심리욕구의 만족은 정서조절 수준을 높이는 반면, 좌절은 정서조절 수준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관계성 욕구의 좌절은 정서 회복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유능성 욕구의 만족은 정서조절에 정적으로, 좌절은 부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상위정서철학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고, 부정정서에 대한 청소년의 정서조절 수준이 높을수록 우울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로 기본심리욕구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상위정서철학이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고, 그 결과 기본심리욕구의 만족 및 좌절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이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능성 만족과 우울, 그리고 유능성 좌절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이 부분적으로 매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위의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본 연구에서는 상위정서철학 인터뷰를 실시하여 청소년의 정서적 측면을 측정하였다. 측정시 질문지가 아닌 인터뷰로 자료를 수집하였기 때문에, 실제적으로 정서적 대화가 이루어지는 중에 참여자가 자신의 정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느끼는지 응답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들의 정서에 대한 보다 질적인 자료를 수집하여 이를 평가할 수 있었다. 국내에서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아직까지 그 수가 많지 않은 상황이다. 또한 현재까지 청소년 상위정서철학을 연구한 국내 문헌들은 대부분 학교폭력 피해경험이나 부모 간 폭력 노출 경험 등 외상 경험이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의 청소년 상위정서철학 연구를 일반적인 청소년들을 대상으로까지 확장하도록 기여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둘째로, 본 연구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만족은 좌절보다 우울에 대해 더 큰 설명력을 보였는데, 이는 기본심리욕구의 낮은 만족 수준과 좌절이 구별되어야 한다는 최근 연구의 동향을 따른다. 국내에서 청소년, 특히 고등학생들의 기본심리욕구를 만족의 여부가 아닌 만족과 좌절의 두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본 연구가 현재 국내에 없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본 연구는 기존의 자기결정성 및 기본심리욕구 이론과 관련된 국내 연구의 확장에 기여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셋째로, 본 연구는 청소년의 기본심리욕구, 상위정서철학, 우울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고, 기본심리욕구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의 부분 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기본심리욕구가 만족되었을 때와 좌절되었을 때 모두 그러했다. 이를 볼 때 기본심리욕구의 만족 및 좌절도 우울에 영향을 미치지만, 청소년이 자신의 정서를 잘 조절할 수 있는지, 그리고 정서에 대해서 어떤 태도와 가치관을 지녔는지도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부분임을 알 수 있다. 또한 기본심리욕구의 하위변인 중 특히 유능성 욕구의 만족과 좌절이 정서조절 및 우울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우울에 대한 예방적, 치료적 개입을 하고자 할 때, 이들의 유능성 욕구와 관련된 내적 상태와 정서조절의 측면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정보를 제공해준다. The present study recruited 15 to 18 year-old students (24 females, 26 males) attending a local high school in Seoul, South Korea, for the purpose of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meta emotion philosophy, and depression. The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in variables, the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on the adolescents’ meta emotion philosophy and depression, and the effect of the adolescents’ meta emotion philosophy on depression. Moreover, we tested whether the adolescents’ meta emotion philosoph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depression. To measure the adolesc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meta emotion philosophy, and depression, we used the following scales. First, to measure basic psychological needs, we implemented the translated and validated version of Basic Psychology Need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Scale (K-BPNSFS; Lee, 2016), based on the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Scale (BPNSFS), which was developed by Chen, Vansteenkiste, and colleagues (2015). Next, to measure meta emotion philosophy, we used the translated version of Nahm and Song (2013) of Child/Adolescent Meta Emotion Interview (CMEI), which was developed specially to measure child and adolescents’ meta emotion philosophy (Katz & Windecker-Nelson, 2002). The interview was coded accordingly to Nahm and Song (2013)’s translated manual, which was based on the coding system created by Katz and Windecker-Nelson (2004). Lastly, to measure depression, we used Chon, Choi, and Yang (2001)’s translated and validated version of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CES-D), which was originally developed by Radloff (1977). The major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rticipa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meta emotion philosophy, and depression. To begin with, though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frustration,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autonomy frustration. Furthermore, when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meta emotion philosophy,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frustration and the adolescents’ emotion regulation. Specifically,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relatedness and emotion remediation, and between competence and emotion regulation. Relatedness satisfaction and competence satisfac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emotion remediation and emotion regulation, respectively, and relatedness frustration and competence frustrat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emotion remediation and emotion regulation, respectively. Additionally,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depression. The results show that 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is negatively related to, and that the frustra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in positively related to depression. Finally, whe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 emotion philosophy and depression, the results showed that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 remediat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depression. Second,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each one of the variable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o being with, we examined the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on depression.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lowered participants’ depression level,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frustration increased the level of depression. Particularly, satisfaction of the need to be competent lowered depression, and frustration of the need to be competent increased depression. Relatedness frustration also predicted increased depression. Next, when we examined the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meta emotion philosophy, the results showed that basic psychological needs frustration lead to lowered levels of emotion regulation, while needs satisfaction raised the levels of emotion regulation. Specifically, relatedness frustration negatively affected emotion remediation. Competence satisfaction positively affected, and competence frustration negatively affected emotion regulation. Lastly, we examined the effects of meta emotion philosophy on depression, and the results showed that adolescents’ high emotion regulation when dealing with negative emotions predicted lowered depression. Third, the present study examined whether meta emotion philosoph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depression,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motion regul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frustration and depression. Specifically, emotion regul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competenc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and between competence frustration and depress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esent study measured the adolescents’ levels of emotion by using the meta emotion philosophy interview. Since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rather than through questionnaires, the participants could report their emotions and thoughts while engaging in an actual conversation. Therefore, we were able to have access to quality data on emotions. Though there has been some research done on adolescents’ meta emotion philosophy in Korea, the research is still lacking. Furthermore, the literature on adolescents’ meta emotion philosophy in Korea mainly focused on adolescents with traumatic experiences, such as exposure to school violence or parental violence. Accordingly, the present study carries significance as it expanded the research on meta emotion philosophy by using average adolescents as participants. Second, in this study, the frustra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showed a greater explanation for depression than needs satisfaction. This replicates the current research trend, which suggests a need for differentiation between low 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frustra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When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fact that there is no research in Korea that studies both the satisfaction and the frustration of adolesc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the current study contributed to the research in Korea related to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Lastly,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meta emotion philosophy and depression, confirming the partially mediating effect of emotion control on the relations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depression. The result was identical in both states of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in basic psychological needs. Hence it could be concluded that an adolescent’s ability to control the emotion of oneself and the attitude and perception against emotion heavily influences depression apart from the effect observed from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in basic psychological needs. Furthermore, the study revealed that the satisfaction or frustration of competence, one of the three sub-factor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is closely related to emotion regulation and depression. Building on from this result, it is important to inspect the adolescents’ internal, psychological states related to the need for competence when preventing or treating adolescent depression.

      •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 및 우울 간의 관계

        임지연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일반계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들 54명을 대상으로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과 이들의 상위정서철학 및 우울 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의 수준과 경향성을 살펴보고, 이후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이와 더불어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이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과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이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하였다. 이에 따라 청소년의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청소년 상위정서철학의 매개적 역할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을 측정하기 위해 정재은(2015)의 연구에서 사용된 부부폭력 목격 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 척도는 Straus(1979)가 개발한 갈등관리·행동척도인 CTS(Conflict Tactics Scale)와 CTS2(Straus, Hamby, Boney-McCoy, & Sugarman, 1996)를 장덕희(2001)가 수정·보완한 후, 이를 다시 정재은(2015)이 수정·타당화 한 척도이다. 둘째, 청소년의 우울을 측정하기 위해서 Radloff(1977)가 개발한 우울 척도(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를 전겸구, 최상진, 양병창(2001)이 타당화 한 통합적 한국판 CES-D 척도를 사용하였다. 셋째,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을 측정하기 위하여 Katz와 Windecker-Nelson(2002)이 개발한 ‘아동·청소년 상위정서인터뷰(CMEI: Child and Adolescent Meta-Emotion Interview)’를 남은영, 송수정(2013)이 한국어로 번안한 인터뷰를 사용하였다. 이후, 인터뷰를 평정하기 위해 Katz와 Windecker-Nelson(2004)의 아동 및 청소년 상위정서 코딩시스템(CAME: Child and Adolescent Meta-Emotion Coding System)을 남은영과 송수정(2013)이 한국어로 번안한 코딩시스템을 사용하여 녹음한 인터뷰 내용을 코딩·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과 우울, 청소년 상위정서철학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먼저,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과 청소년의 우울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청소년은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이 많을수록 우울 수준이 높았다. 두 번째로 청소년은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이 많을수록 상위정서철학의 하위변인 중 정서조절능력이 낮았다. 다음으로, 청소년 상위정서철학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는 청소년이 정서를 덜 민감하게 인식하고, 정서조절 능력이 높을수록 우울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청소년 상위정서철학 하위변인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청소년이 부정적인 정서를 잘 표현할수록 정서회복 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청소년이 부정적인 정서를 민감하게 인식하고 이해할수록 정서조절에서 어려움을 나타냈다. 둘째, 세 변인 간의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청소년은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이 많을수록 우울 수준이 높아졌다. 다음으로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은 청소년이 가진 정서조절 능력에 대한 신념 및 가치관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부정적인 정서를 덜 민감하게 인식하고 정서를 잘 조절하는 청소년일수록 우울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청소년 상위정서철학의 매개적 역할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이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 중 정서조절 능력에 영향을 줌으로써 정서조절 능력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 모형이 나타났다. 이는 부모 간 폭력에 노출된 청소년이 가진 정서조절 능력에 대한 상위 인지적인 신념 및 가치관이 우울에 직접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에게 심리·사회적으로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정 내 폭력 중 우리나라에서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는 부모 간 폭력에 초점을 맞추었다. 특히, 부모 간 폭력 관련 실천현장의 서비스에서 쉽게 소외될 수 있는 청소년에 중점을 두고,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의 기초자료 및 전반적인 인식 경향성을 제공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 인터뷰를 사용하여 청소년의 정서적 능력을 알아보았다. 이와 더불어 그들이 정서를 인식하고 표현하며, 조절하고 회복하는 능력에 대한 신념, 태도 및 가치관을 직접적으로 알아보았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이 청소년의 정서조절능력을 통해 간접적으로 우울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밝혔다. 즉, 청소년이 스스로 통제하거나 바꿀 수 없는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이 있더라도 현재 이들이 지닌 정서적 능력은 어느 정도 개입이 가능한 문제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이 있는 청소년의 우울을 예방하기 위해 이들의 정서조절능력을 고려한 심리개입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된다. Using the sample of 54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Gyeonggi, Incheon with first and second grade, this study examined relations between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their meta-emotion philosophy, and depression. In specific, this study examined the levels and trends of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the correlations among the three variables, and the effect of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on their meta-emotion philosophy and depression. Moreover,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effect of their meta-emotion philosophy on depression. Lastly, the mediating role of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and their depression was examined. The following measurements were used in this study: First, Witness of Interparental Violence Scale used in Jaeeun Jeong’s study was modified and used to measure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Scale used in this study was ‘CTS(Conflict Tactics Scale)’and ‘CTS2(Conflict Tactics Scale 2) modified by Jaeeun Jeong after developed by Straus(1979) and translated into Korean by Dukhee Jang(2001). Second, Integrated Korean version of CES-D(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originally developed by Radloff(1977) and later validated by Kyumkoo Chon et al(2001) was used to measure the depression. Third, ‘Child and Adolescent Meta-Emotion Interview(CMEI)’, which was developed by Katz and Windecker-Nelson(2002) and was adapted into the Korean language by Eunyoung Nahm and Soojung Song(2013) was used to measure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Moreover, in order to rate the interviews, we used ‘Child and Adolescent Meta-Emotion Coding System(CAME)’ developed by Katz and Nelson(2004) as the rating standard. The following results of this study were derived;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s among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and depression. First of all, as to relations between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and depress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level of the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depression. As to relations between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and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there existe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and emotion regulation among the meta-emotion philosophy’s sub-areas. As to relations between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and depression, there exist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emotional awareness and the level of depression. In addition, there existe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emotional regulation and the level of depression. Lastly, as to the relations among the sub-areas of the meta-emotion philosophy, there exist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expressivity and emotional remediation. Moreover, their emotional awareness and emotional regul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Second, this study exaimed how the three variables influenced each other. first of all, as to the effect of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on depress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affected the level of the depression. Next, as to the effect of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on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it was found that the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affected the level of emotional regulation. Lastly, as to the effect of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on their depress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emotional awareness positively affected the level of the depression. In addition, the emotional regulation negatively affected the level of the depression. Third,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role of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on the relations between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and depression.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re existed a complete mediation, where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indirectly influences the level of the depression through its effect on the mediator. This shows that the adolescents’ emotional regulations played an important role on reducing the level of the depression directly. The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this study focused on the interparental violence that still remains as a problem awaiting solution and can cause a serious effect on child and adolescent both psychologically and socially. Especially, this study focused on adolescent who can be neglected in the service for the scene of interparental violence and then found the overall tendency of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Second, this study examined adolescents’ emotional ability by using the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interview. Specifically, we examined that adolescents’ belief, attitude, and value of their emotional awareness, expressivity, regulation and remediation. Lastly, this study found that the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indirectly influences depression through the emotional regulation. In other words, although adolescent has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we can intervene in their emotional ability. Therefore,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the basis of the psychological intervention program, for adolescents who experienced interparental violence, focusing on their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in order to prevent depression.

      •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청소년 상위정서철학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최한울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15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 adolescent meta-emotion philosophy and school adjustment.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three variable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how the experience of violence victimization affects adolescent meta-emotion and school adjustment. Moreover,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effect of their meta-emotion philosophy on school adjustment. Lastly, the mediating role of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their school adjustment was examined. The following measurements were used in this study: First, The school violence was measured by the scale used in Do Gi-bong(1999), Lee Chun-jae, Kwak Geum-joo(2000), Youth Violence Prevention Foundation(2006) study as a measure that modified Na Hee-jung and Jang Yoon-ok(2013) to the level appropriate for middle school students. Next, 'Child and Adolescent Meta-Emotion Interview(CMEI)', which was developed by Katz and Windchecker-Nelson(2002) and was adapted into the Korean language by Eunyoung Nahm and Soojung Song(2013) was used to measure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After the interview, we coded the interview using a coding system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developed by Katz and Windcker-Nelson(2004) that was translated into Korean by Nam Soo-young and Song Soo-jung(2013). Finally, school adaptation measures were developed by Lee Kyu-mi and Kim Myung-sik(2008).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 school adaptation, and youth meta-emotion philosophy. Among the subtypes of school violence, participating adolescents suffer a lot of physical and relational violence. However, among the subtypes of school violence, cyber-bullying has turned out to be lowering the level of school adaptation, which has had a more negative impact on teacher preference than other subtypes of school adaptation. In addition, school violence victims experience showed an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expression and ability to recover emotions among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Finally, when looking at the sub-variance relationship of meta emotion philosophy of youth, the ability of perceive emotions express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ability to express emotions, and their ability to express emotions was statically related to their ability to recover emotions. Next,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emotion philosophy and school adaptation of adolescents, the ability to express and resilience of anger. emotional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sadness, control and resilience of sadness were statically related to school adaptation. Next,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influence of the three variables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level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 the more difficult to adjust at school. And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s have a negative impact on adolescents' ability to express, control, and recover their emotions. Finally, the ability to control and recover emotions among the subtypes of youth's Meta-emotion philosophy has been shown to increase the level of school adaptation. Finally,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role of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on the relations between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 and school adaptation. As a result, school violence victims' experiences indirectly influences the level of the school adaptation through its effect on the mediator. This shows that the complete intermediary of adolescents' emotional resilience.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t is important to use own overcoming skills and social support to improve the level of school adaptation, even if adolescents have experience in school violence. The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this study focused on the damage from school violence, which is now one of the serious social problems, and examined the ability to deal with the emotions of adolescents with these experiences. Adolescents with experience in school violence are found to have difficulty expressing and recovering their emotions properly,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could be used as a basis for a program that deals with their negative emotions. In particular, in this study, Meta-emotion interviews were used to examine adolescents ability to recognize and express emotions, control emotions, and recover emotions. Through this, it was able to directly identify the abilities of school violence victims to overall emotions. Lastly,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e role of a medium of emotional recovery among the subtypes of adolescents who suffered from school violence and adapted to school. This means that in order to prevent and overcome a number of negative influences on school violence victim experience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ir emotional mechanisms and to intervene properly. 본 연구는 중학교 1, 2학년 참여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교폭력 피해경험,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 학교 적응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주요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고,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과 학교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이 학교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하였다. 이에 따라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학교적응이 관계에서 청소년 상위정서철학의 매개적 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학교폭력 피해경험을 측정하기 위해 도기봉(1999), 이춘재, 곽금주(2000), 청소년폭력예방재단(2006)의 척도를 기초로 하여 나희정, 장윤옥(2013)이 중학생의 수준에 적합한 어휘 및 문장으로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을 측정하기 위해, Katz와 Windecker-Nelson(2002)이 개발한 아동·청소년 상위정서 인터뷰(CMEI: Child and Adolescent Meta-Emotion Interview)를 남은영, 송수정(2013)이 번안한 인터뷰를 사용하였다. 인터뷰 후 Katz와 Windecker-Nelson(2004)이 개발한 아동·청소년 상위정서 코딩시스템을 남은영, 송수정(2013)이 한국어로 번안한 것을 사용하여 인터뷰 내용을 코딩하였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의 학교적응은 이규미와 김명식(2008)이 개발한 학교적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학교적응, 청소년 상위정서철학 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참여 청소년들은 학교폭력 하위 유형 중 신체적 폭력과 관계적 폭력을 많이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교폭력의 하위 유형 중에서도 사이버 폭력이 학교 적응의 수준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학교 적응의 다른 하위 영역보다도 교사 호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학교폭력 피해경험은 청소년 상위정서철학의 하위 변인 중 정서 표현성 및 정서 회복 능력과 부적인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청소년 상위정서철학의 하위 변인 관계를 살펴본 결과, 청소년의 정서 인식 수준 능력은 정서 표현 능력과 정적인 관련성을 나타내었고 정서 표현 능력은 정서 회복 능력과 정적인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과 학교 적응의 관계를 살펴보면, 분노에 대한 정서 표현 능력 및 정서 회복능력과 슬픔에 대한 정서 인식 및 이해 능력, 정서 조절 및 회복 능력이 학교 적응과 정적인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세 변인 간의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학교폭력 피해경험의 수준이 높을수록 학교 적응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폭력 피해경험은 청소년의 정서 표현 능력, 정서 조절 능력 및 정서 회복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청소년 상위정서철학의 하위 요인 중 정서 조절, 정서 회복 능력은 학교 적응 수준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학교적응의 경로에서 청소년 상위정서철학의 매개적 역할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 중 정서 회복 능력에 영향을 줌으로써 정서 회복 능력이 학교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완전 매개 모형이 나타났다. 청소년의 정서 회복 능력은 부정적 상황에서 자신만의 극복 기술이 있고, 회복 자원으로 부모, 또래, 교사와 같은 주변인들을 활용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있을지라도 학교 적응 수준을 높이는데 자신의 극복 기술과 사회적 지지를 잘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위에 제시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현재 심각한 사회 문제 중 하나로 대두되고 있는 학교폭력 피해에 초점을 맞추어, 이러한 경험이 있는 청소년들의 정서를 다루는 능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있는 청소년들은 정서를 적절히 표현하고 회복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 결과는 이들의 부정 정서를 다루어주는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정서에 대한 인식 및 표현 능력과 정서 조절, 정서 회복 능력을 살펴보기 위해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 인터뷰를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학교폭력 피해 청소년들의 전반적인 정서에 대한 능력을 직접적으로 알아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학교적응 간 청소년 상위정서철학 하위변인 중 정서 회복의 매개 역할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는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에 대한 여러 부정적인 영향력을 예방 및 극복하기 위해, 이들의 정서적 기제를 파악하고 적절한 개입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 부부관계 유대감, 부모 양육효능감 및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간의 관계

        이선형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만 3~5세 유아를 자녀로 둔 부모 43쌍과 그 자녀를 지도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부부관계 유대감, 부모 양육효능감 및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세 가지 변인 및 하위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부부관계 유대감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부모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부부관계 유대감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 양육효능감의 매개적 역할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관계 유대감을 측정하기 위해 Krokoff와 Gottman(1984)이 개발하고 남은영(2012)이 한국어로 번안한 Oral History Interview를 사용하여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Buehlman과 Gottman(1996)이 개발하고 남은영(2012)이 한국어로 번안한 Oral History Interview 코딩시스템(Oral History Interview Coding System)을 사용하여 인터뷰를 코딩하였다. 둘째, 부모 양육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Sanders와 Woolley(2005)가 개발한 양육 과제 체크리스트(The Parenting Tasks Checklist: PTC)를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Shields와 Cicchetti(1997)가 개발한 정서조절 체크리스트(Emotion Regulation Checklist: ERC)를 김지윤(2008)이 번안하고 박잎새(2012)가 유아를 대상으로 수정 ‧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관계 유대감과 부모 양육효능감, 그리고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부부관계 유대감 하위요인 중 남편 결혼생활에 대한 실망/환멸은 아버지 양육효능감과 부적인 관련성을 보였다. 한편, 부부관계 유대감은 어머니 양육효능감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는데, 부부관계 유대감 하위요인 중 남편 호감/애정, 아내 호감/애정, 남편 우리됨 대 분리, 아내 우리됨 대 분리, 남편 확장 대 철회, 아내 확장 대 철회가 높을수록 어머니 양육효능감 수준이 높은 반면, 남편 결혼생활에 대한 실망/환, 아내 결혼생활에 대한 실망/환멸이 높을수록 어머니 양육효능감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부부관계 유대감은 유아의 적응적 정서조절과 유의미한 정적인 관련성을 나타냈다. 부부관계 유대감 하위요인과 적응적 정서조절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남편 호감/애정, 아내 호감/애정, 남편 우리됨 대 분리, 아내 우리됨 대 분리, 남편 확장 대 철회, 아내 확장 대 철회는 적응적 정서조절과 정적인 관련성을 나타냈고, 남편 배우자를 향한 부정성, 아내 배우자를 향한 부정성, 관계의 혼돈, 남편 결혼생활에 대한 실망/환멸, 아내 결혼생활에 대한 실망/환멸은 적응적 정서조절과 부적인 관련성을 보였다. 또한, 부부관계 유대감은 유아의 부적응적 정서조절능력과 유의미한 부적인 관련성을 보였다. 부부관계 유대감 하위요인과 부적응적 정서조절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남편 배우자를 향한 부정성, 아내 배우자를 향한 부정성, 관계혼돈, 남편 결혼생활에 대한 실망/환멸은 부적응적 정서조절과 정적인 관련성을 나타냈고, 남편 호감/애정, 아내 호감/애정, 남편 우리됨 대 분리, 아내 우리됨 대 분리, 남편 확장 대 철회, 아내 확장 대 철회는 부적응적 정서조절과 부적인 관련성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부모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아버지 양육효능감은 유아의 적응적 정서조절능력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아버지 양육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아버지 환경 관련 양육효능감은 유아의 적응적 정서조절능력과 정적인 관련성을 나타냈다. 그리고 아버지 양육효능감은 유아의 부적응적 정서조절능력과 유의미한 부적인 관련성을 나타냈고, 아버지 양육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아버지 환경 관련 양육효능감은 유아의 부적응적 정서조절능력과 부적인 관련성을 나타냈다. 또한, 어머니 양육효능감은 유아의 적응적 정서조절능력과 유의미한 정적인 관련성을 나타냈고, 어머니 양육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어머니 아동행동 관련 양육효능감과 어머니 환경 관련 양육효능감은 모두 유아의 적응적 정서조절능력과 정적인 관련성을 나타냈다. 그리고 어머니 양육효능감은 유아의 부적응적 정서조절능력과 유의미한 부적인 관련성을 나타냈다. 어머니 양육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어머니 아동행동 관련 양육효능감과 어머니 환경 관련 양육효능감은 모두 유아의 부적응적 정서조절능력과 부적인 관련성을 나타냈다. 둘째, 부부관계 유대감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부부관계 유대감이 높을수록 유아의 적응적 정서조절능력이 증가하였고, 부부관계 유대감이 낮을 경우 유아의 부적응적 정서조절능력이 증가하였다. 이와 더불어 부부관계 유대감의 하위요인에서는 남편 우리됨 대 분리가 유아의 부적응적 정서조절능력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부관계 유대감이 부모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부부관계 유대감이 높을수록 어머니 양육효능감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부관계 유대감의 하위요인인 아내 확장 대 철회가 높은 경우 어머니 양육효능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아버지 양육효능감과 어머니 양육효능감 모두 유아의 적응적이고 부적응적인 정서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부부관계 유대감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부부관계 유대감이 유아의 적응적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 양육효능감이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부부관계 유대감의 하위요인 중 남편 호감/애정, 아내 호감/애정, 남편 우리됨 대 분리, 아내 우리됨 대 분리, 남편 확장 대 철회, 아내 확장 대 철회, 남편 결혼생활에 대한 실망/환멸, 아내 결혼생활에 대한 실망/환멸이 유아의 적응적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 양육효능감이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부부관계 유대감이 유아의 부적응적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 양육효능감이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부관계 유대감의 하위요인인 남편 호감/애정, 아내 호감/애정, 아내 우리됨 대 분리, 남편 결혼생활에 대한 실망/환멸이 유아의 부적응적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 양육효능감이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위에 제시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부부관계 유대감, 부모 정서사회화 행동 및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 간의 관계를 살펴본 본 연구는 포괄적인 개념인 부부관계 유대감과 관련된 앞으로의 후속연구를 위한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부부관계 유대감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 양육효능감의 매개적 역할을 확인했다는 큰 의의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결과는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위한 심리중재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라고 기대된다. 셋째, 본 연구는 주요 변인을 측정하는데 있어 인터뷰법과 교사평정을 사용함으로써 객관적이고 정확한 평정을 위해 노력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Marital Bond, parents’Parenting Efficacy and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s among the three variables. Also,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s of marital bond and parents’parenting efficacy on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Lastly, the mediating role of parents’parenting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bond and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was examined. 43 mother-father dyads of children aged three to five-years-old and teachers were recruited from child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Three measurements are used in this study. First, to measure marital bond, ‘Oral History Interview(OHI)’developed by Krokoff and Gottman(1984) and translated into Korean by Eunyoung Nahm(2012) was used. ‘Oral History Interview Coding System’developed by Buehlman and Gottman(1996) and translated into Korean by Eunyoung Nahm(2012) was used, too. Second, to measure parents’parenting efficacy, The Parenting Tasks Checklist(PTC) developed by Sanders and Woolley(2005) and translated into Korean by Lee was used. Third, to measure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Emotion Regulation Checklist(ERC) developed by Shields and Cicchetti(1997) and adapted into Korean by Kim(2008) and modified by Park(2012) was used.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s among marital bond, parents’parenting efficacy and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First of all, husband’s Marital Disappointment and Disillusionment was negativity correlated with father's parenting efficacy. On the other hand, marital bond was significant correlated with maternal parenting efficacy. The higher the couple’s Fondness Versus Affection, couple’s We-ness/Separateness, couple’s Expansiveness Versus Withdraw, the higher the level of maternal parenting efficacy. But, the higher couple’s Marital Disappointment and Disillusionment, the lower the level of maternal parenting efficacy. Next, marital bond was significant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Couple’s Fondness Versus Affection, couple’s We-ness/Separateness, couple’s Expansiveness Versus Withdraw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eschool children’s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but couple’s negativity toward spouse, couple’s chaotic relationships and couple’s Marital Disappointment/ Disillusionment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preschool children’s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In addition, marital bond was significant negatively correlated with preschool children’s mal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Couple’s negativity toward spouse, couple’s chaotic relationships and husband’s Marital Disappointment/ Disillusionment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eschool children’s mal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but couple’s Fondness Versus Affection, couple’s We-ness/Separateness and couple’s Expansiveness Versus Withdraw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preschool children’s mal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Finally, we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parents’parenting efficacy and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Father’s parenting efficac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eschool children’s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and father’s Setting parenting efficac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eschool children’s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And father’s parenting efficacy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preschool children’s mal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and father’s Setting parenting efficac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eschool children’s mal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In addition, maternal parenting efficac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eschool children’s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and maternal setting parenting efficacy and maternal behavioral parenting efficac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eschool children’s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And maternal parenting efficacy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preschool children’s mal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and maternal setting parenting efficacy and maternal behavioral parenting efficacy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preschool children’s mal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Second, this study was examined the influences of marital bond on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s the level of marital bond was higher, the level of preschool children’s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was higher. As the level of marital bond was lower, the level of preschool children’s mal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was higher. Specifically, husband’s We-ness/Separateness predicted preschool children’s mal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Third,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marital bond on parents’parenting efficacy. As the level of marital bond was higher, the level of maternal parenting efficacy was higher. Specifically, wife’s Expansiveness Versus Withdraw predicted maternal parenting efficacy. Forth,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parents’parenting efficacy on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Parents’parenting efficacy predicted preschool children’s adaptive and mal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Fifth,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role of parents’parenting efficacy on the relations between marital bond and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mediating role of maternal parenting efficacy on the relations between marital bond and preschool children’s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Moreover,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mediating role of maternal parenting efficacy on the relations between couple’s Fondness Versus Affection, couple’s We-ness/Separateness, couple’s Expansiveness Versus Withdraw, couple’s Marital Disappointment and Disillusionment and preschool children’s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Also,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mediating role of maternal parenting efficacy on the relations between marital bond and preschool children’s mal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In addition,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mediating role of maternal parenting efficacy on the relations between couple’s Fondness Versus Affection, wife’s We-ness/Separateness, couple’s Expansiveness Versus Withdraw, husband’s Marital Disappointment and Disillusionment and preschool children’s mal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With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has several contributions.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marital bond, parent emotional socializing behaviors, and children’s psychological and social adaptation. It could serve as the cornerstone for further research related to a comprehensive concept of marital bond. Secon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e mediating role of mothers’parenting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bond and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In this regard,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identify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that affect the child's emotional regulation and provide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and execution of psychological intervention programs. Lastly,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we have tried to achieve objective and accurate assessment by using the interview method and teacher reports in measuring major variables.

      •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 정서적 학대 및 방임, 자살 사고 간의 관계

        김다람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Using the sample of 56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their meta-emotion philosophy, emotional abuse and neglect, and suicidal ideation. In specific, this study examined the levels and trends of emotional abuse and neglect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the correlations among the three variables. Lastly, this study analyzed the mediating role of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buse and neglect and their suicide ideation. The measurements used in the study are included in the following: First, to measure emotional abuse and neglect, we used the ‘Childhood Emotional Abuse Scale’, which was developed by 고성혜(1992). The scale included 24 items measuring emotional abuse by 김인혜, 송현주(2014). Also, to measure the emotional neglect, we used the scale ‘Psychological Negligence’ developed by 고성혜(1992), 채혜정(1994), 홍은주(1998), which have formulated questions based on the Psychological Maltreatment in Children, Adolescent of the American Professional Society on the Abuse of Children(1995), and the standards suggested by the International Standing Committee on Child Abuse(ISCCA). The scale was modified and translated by 송미령(2006). Second, to measure the suicide ideation, we used the scale Suicidal Ideation(SSI), which was developed by Beck, Kovacs, & Weissman(1979) and adapted into the Korean language by 박광배, 신민섭(1991). Third, to measure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we used the ‘Child and Adolescent Meta-Emotion Interview(CMEI)’, which was developed by Katz & Nelson(2002) and adapted into the Korean language by 남은영, 송수정(2013).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included in the following: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s among emotional abuse and neglect, suicide ideation, and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First of all, as to relationships among the sub-areas of the meta-emotion philosophy, this study found that the emotional expressivity and regulation of adolescen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emotional remediation. Moreover, their emotional awaren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ir emotional regulation. As to the relations between emotional abuse and neglect and suicide ideation, there exist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the emotional abuse and neglect and the level of suicide ideation. A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buse and neglect and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there existe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emotional abuse and neglect and emotional regulation. Lastly, a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and suicide ideation, their existe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the emotional regulation and the level of suicide ideation. Second, this study examined how the three variables influenced each other. First of all, as to the effect of emotional abuse and neglect on their suicide ideat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emotional abuse and neglect positively affected the level of the suicide ideation. Next, as to the effect of emotional abuse and neglect on their meta-emotion philosophy,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emotional abuse and neglect, the lower the level of emotional regulation. Lastly, as to the effect of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on their suicide ideat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emotional regulation negatively affected the level of the suicide ideation. Third,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role of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emotional abuse and neglect and suicide ideation.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re existed a complete mediation, where emotional abuse and neglect indirectly influences the level of suicide ideation through its effect on the mediator. This demonstrated that the adolescents' emotional regulations played an important role on reducing the level of suicide ideation directly. The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this study overcame the weaknesses of the survey method by utilizing the interview method when measuring the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Moreover, this study closely examined their emotional capability using ‘Child/Adolescent Meta-emotion philosophy’ developed by Katz and Nelson(2002). Second, Child abuse is a serious problem in the contemporary society that could lead one to be in detrimental situations, where involves suicidal attempts. This study found the overall tendency of emotional abuse and neglect experienced by adolescents. Lastly, this study found that the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emotional stability. In specific, the emotional regulation plays a significant role among the different areas of the meta-emotion philosophy. This means that the emotional regulation is a critical factor which can prevent adolescents' suicide ideation.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the basis of the emot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adolescents who experience emotional abuse and neglect.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 지역에 위치한 인문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 2학년 학생 56명을 대상으로 정서적 학대와 방임 및 자살 사고와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 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청소년이 지각한 정서적 학대와 방임의 수준 및 경향성을 살펴보았으며, 이후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정서적 학대 및 방임이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과 자살 사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이 자살 사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하였다. 이에 따라 정서적 학대 및 방임이 청소년의 자살 사고에 영향을 주는 경로에서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의 매개적 역할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적 학대 및 방임을 측정하기 위하여, 정서적 학대는 고성혜(1992)가 제작한 방임, 신체적 학대, 정서적 학대로 구성된 아동학대 척도로부터 김인혜, 송현주(2014)가 활용한 정서적 학대에 해당하는 24개의 문항을 사용하였다. 또한 정서적 방임은 American Professional Society on the Abuse of Children(1995)의 아동·청소년의 정서학대 측정도구(Psychological maltreatment in children and adolescent)와 아동학대국제상임위원회(International Standing Committee on Child Abuse)가 제시한 기준을 중심으로 고성혜(1992)와 채혜정(1994), 홍은주(1998)가 문항을 구성한 것을 송미령(2006)이 수정·보완하여 활용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둘째, 자살사고를 측정하기 위해서 Beck, Kovacs와 Weissman(1979)가 개발한 자살 사고 척도(Scale for Suicidal Ideation: SSI)를 박광배와 신민섭(1991)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셋째,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을 측정하기 위해서 Katz와 Windecker-Nelson(2002)의 아동·청소년 상위정서 인터뷰(CMEI: Child and Adolescent Meta-Emotion Interview)를 남은영, 송수정(2013)이 한국어로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Katz와 Windecker-Nelson(2002)이 개발한 아동·청소년 상위정서코딩시스템(CAME: Child and Adolescent Meta-Emotion Coding System)을 사용하여 인터뷰를 평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적 학대 및 방임과 자살 사고,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먼저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 하위요인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청소년이 부정 정서를 표현하는 것을 편안해하며, 정서를 조절하는 것에 능숙할수록 정서회복 능력이 뛰어났다. 또한 청소년이 부정 정서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민감하게 할수록 정서를 조절하는 것에 어려움을 보였다. 두 번째로 정서적 학대 및 방임과 자살 사고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청소년은 정서적 학대와 방임을 많이 경험 할수록 자살 사고의 수준이 높았다. 다음으로 정서적 학대와 방임을 많이 경험 할수록 청소년은 상위정서철학의 하위 변인인 정서 조절의 수준이 낮았다. 마지막으로 상위정서철학의 정서 조절 요인과 자살 사고 간의 관계에서는 청소년이 부정 정서에 대해 조절하는 것에 능숙할수록 자살 사고의 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각 변인 간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첫 번째로 정서적 학대와 방임이 자살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청소년은 정서적 학대와 방임을 많이 경험 할수록 자살 사고를 더욱 많이 가졌다. 다음으로 정서적 학대와 방임이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정서적 학대와 방임은 청소년이 가지는 정서 조절에 대한 가치관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이 자살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정서 조절에 대한 가치관이 긍정적인 청소년일수록 자살 사고의 수준을 낮게 보였다. 셋째, 정서적 학대 및 방임이 자살 사고에 미치는 영향에서 청소년 상위정서철학의 매개적 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정서적 학대와 방임이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 중, 정서 조절 요인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정서 조절 요인이 자살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의 모형을 나타냈다. 이는 청소년이 가지는 정서 조절에 대한 상위 인지적 가치관이 자살 사고에 있어서 직접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위의 기술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위정서철학 인터뷰를 이용하여 부모로부터 정서적인 학대와 방임을 경험한 청소년들의 정서적인 능력뿐만 아니라 해당 청소년들이 정서를 어떻게 이해하고 인식하는지, 정서를 어떻게 표현하는지, 정서에 대해서 조절과 회복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 등에 대한 정서 태도와 가치관을 직접적으로 살펴보았다. 둘째,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정서적 학대와 방임 경험의 전반적인 경향성을 보여주었다. 셋째,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이 자살 사고에 미치는 보호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종합하자면, 청소년의 정서조절 이 자살 사고의 예방을 위한 핵심 요소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정서적인 학대와 방임을 경험한 청소년의 정서발달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 및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유능성 간의 관계 :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비교

        염효진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경상남도 및 서울 지역에 소재한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초등학교 2, 3, 4, 5학년 아동과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 및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 간의 관계와 차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Kahen(1994)이 개발한 Kahen 정서 코딩 시스템(Kahen Affect Coding System: KACS)을 남은영(2008)이 개정・번안한 도구를 통해, 과제 상황에서의 부모와 아동의 정서적 상호작용 방식을 평가하였다. 둘째,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해 Coopersmith(1967)의 연구를 참조하여 강민아(2010)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Pease, Clark과 Crase(1979)의 ‘사회적 유능감 척도(Iowa Social Competency Scale)’를 이하경(2003)이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수집된 자료들을 바탕으로 먼저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살펴보았다.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 및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이 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으며, 각 변인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 내에서의 어머니와 자녀 간 정서적 영향력을 비롯하여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 및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에서 다문화가정의 어머니 연령이 비교적 높았으며 부모의 교육수준, 부모의 직업적 측면 뿐 아니라 경제적 수준에서 뚜렷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 하위요인, 아동의 자아존중감, 사회적 유능성 변인들의 차이를 검증해본 결과, 일반가정에 비해 다문화가정 어머니에게서 부정 정서가 더 많이 나타났으며 그 외 긍정 정서와 중립 정서는 일반가정 어머니에게서 더 많이 관찰되었다. 또한 다문화가정 아동의 경우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유능성이 일반가정 아동에 비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 및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유능성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모두에게서 어머니의 부정 정서가 높을수록, 자녀의 부정 정서가 높거나 자녀의 중립 정서가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집단 모두에게서 어머니의 긍정 정서가 높을수록 자녀의 긍정 정서가 높으며, 자녀의 부정 정서가 낮을수록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어머니의 중립 정서가 높거나 혹은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외에는 다문화가정의 경우 어머니의 부정 정서가 높을수록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이 낮으며, 어머니의 긍정 정서가 높을수록 자녀의 부정 정서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이어서 어머니의 중립 정서가 높을수록, 자녀의 부정 정서가 낮거나 자녀의 긍정 정서가 높거나 혹은 자녀의 중립 정서가 높았다. 끝으로 자녀의 부정 정서가 높을수록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낮으며, 자녀의 중립 정서가 높을수록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일반가정의 경우 어머니의 긍정 정서가 높을수록 자녀의 부정 정서가 높거나 자녀의 중립 정서가 낮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그리고 자녀가 부정 정서가 높을수록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이 낮으며, 자녀의 긍정 정서가 높을수록 자녀의 중립 정서가 낮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넷째,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 내에서 어머니 정서가 자녀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력을 집단별로 살펴본 결과, 먼저 다문화가정의 경우 어머니의 부정 정서가 정적으로, 어머니의 긍정 정서와 어머니의 중립 정서가 부적으로 자녀의 부정 정서를 예측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긍정 정서는 자녀의 긍정 정서를 정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어머니의 부정 정서는 부적으로 어머니의 중립 정서는 정적으로 자녀의 중립 정서를 예측하였다. 다음으로 일반가정의 경우 어머니의 부정 정서와 어머니의 긍정 정서가 자녀의 부정 정서를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이어서 어머니의 긍정 정서는 자녀의 긍정 정서를 정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어머니의 부정 정서와 어머니의 긍정 정서는 자녀의 중립 정서를 부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과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다문화가정의 경우 어머니의 부정 정서가 높거나 어머니의 중립 정서가 낮을 경우 혹은 자녀의 중립 정서가 낮을 경우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가정의 경우 어머니의 중립 정서가 높거나 자녀의 부정 정서가 낮을수록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두 집단 모두에게서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를 살펴보면 첫째, 다문화가정에 대한 연구가 상당수 이뤄져 왔음에도 불구하고, 어머니와 자

      • 북한이탈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과 외상 후 성장 및 우울 간의 관계

        김윤진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15

        Using the sample of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NK adolescents henceforce), with their ages ranging from 16 to 19, this research studies the relationship among their meta-emotion philosophy, posttraumatic growth, and depression. In specific, this study examines the correlations among the three variables, and the effect of meta-emotion philosophy of the NK adolescents on their posttraumatic growth and depression. Moreover,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effect of their posttraumatic growth on their depression. Lastly, this study analyzes the mediating role of posttraumatic growt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K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ir depression. Forty NK adolescents, aging from 16 to 19 and residing in Seoul, Gyeonggi-do, Incheon, and Chungcheongbuk-do,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The measurements used in the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to measure NK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we used ‘Child and Adolescent Meta-Emotion Interview(CMEI)’ which was developed by Katz and Windecker-Nelson(2002), and was adapted into the Korean language by 남은영, 송수정(2013). Moreover, in order to analyze the interviews, we used ‘Child and Adolescent Meta-Emotion Coding System(CAME),' developed by Katz and Windecker-Nelson(2004) as the rating standard. Second, to measure the posttraumatic growth of the NK adolescents, we used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K-PTGI)' originally developed by Tedeschi and Calhoun(1996), adapted into the Korean language by 송승훈(2007), and later validated by 송승훈 et al(2009). Third, to measure the depression of NK adolescents, we used Integrated Korean version of CES-D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originally developed by Radloff(1977) and later validated by 전겸구 et al(2001).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s: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s among NK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posttraumatic growth and depression. First of all, as to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ub-areas of the meta-emotion philosophy, this study found that the emotional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the NK adolescents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emotional expressivity, emotional regulation and emotional remediation. Moreover, their emotional expressivity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al regulation and emotional remediation. In addition, there exist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regulation and emotional remediation. A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NK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and posttraumatic growth, there exist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remediation and the level of posttraumatic growth. A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NK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and depression, emotional awareness and understanding, emotional expressivity, emotional regulation and emotional remediation were all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depression. Lastly, a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K adolescents' posstraumatic growth and depression, their existe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the posttraumatic growth and the level of depression. Second, this study examined how the three variables influence each other. First of all, as to the effect of NK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on their posttraumatic growth, this study found the emotional remediation positively affects the level of the posttraumatic growth. Next, as to the effect of NK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on their depression, the emotional remediation negatively affects the level of the depression. Lastly, as to the effect of NK adolescents' posttraumatic growth on their depression, the higher the level of posttraumatic growth, the lower the level of depression. Third,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role of NK adolescents' posttraumatic growt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meta-emotion philosophy and depression. The result was that there existed a partial mediation, where emotional remediation both directly influences the level of depression and indirectly influences it through its effect on the mediator. This shows that the NK adolescents' emotional remedi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on reducing the level of depression,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e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the emotional status of NK adolescents is recently getting more and more attention, and this study examines in detail their emotional capability using child/adolescent meta-emotion philosophy developed by Katz and Nelson(2002). Second, this study overcame the weaknesses of the survey method by utilizing the interview method when measuring the NK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Lastly, this study found the NK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emotional stability. In specific, the emotional remediation plays a especially significant role among the different areas of the meta-emotion philosophy. This means that the emotional remediation is a critical factor which can promote NK adolescents'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safety.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emotion programs for NK adolesc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