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어 교육학 박사 논문의 연구 유형 분류와 장르 분석 연구

        전경선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research type of Ph.D Theses in the field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written by native Korean speakers, and to analyze the introduction, literature review, research methods, conclusions, and abstracts parts of the Ph.D theses. Through this, identify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each research type by identifying the differences in the move structure of each part of the theses by research type. There are two research questions in this study. The first research question is to find out the research methods mainly used in Ph.D theses in the field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written by native Korean speake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studies.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is to find out whether the typical move structure of the introduction, literature review, research method, conclusion, and abstract and whether there are different move structures for each type of research. This study was intended to help prospective researchers, especially foreigners, prepare their theses in the field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genres of research types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To this end, all Ph.D theses in the field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written from 2004 to February 2022 were investigated, among them, the research types were classified for Ph.D theses written by Koreans. The research type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김영규(2018). Genre analysis was conducted by selecting five studies each of research type based on the thesis structure, year of writing, and research type of the theses. Genr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genre analysis studies in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nd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s a result, more primary studies were conducted than secondary studies, and among primary studies, mixed studies were conducted the most and quantitative studies were conducted the least. Most of the studies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were action studies, followed by case studies, narrative research, and studies based on grounded theory. Qualitative techniques include document analysis, interview, text analysis, corpus analysis, etc., and are often used together with various other research methods. In the case of quantitative studies, exploratory researchs have been conducted the most, and there was no (true) experimental studies. As a result of the classification of research types, many research methods were used, but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often used specific research methods, than it is necessary to use various research methods. As a result of genre analysis,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quantitative, qualitative, and mixed studies in introduction, literature review, research method, conclusion, and abstract. In introduction, the move that draws out the necessity of the research area or specifies the research area appeared the most, and in literature review, it was characteristic that it showed a circular model. The research method was where there was the least agreement in the theses. In conclusion, move which summarize and interprete the research results appear the most, and the structure of the abstract was similar to that of the entire paper. By research type, the total length of the qualitative research was short and the number of move was small, and the quantitative research was characterized in that the object of the study was written in the introduction than in the research method part. Mixed studies wrote research results longer than others, which was judged to be because there were many details to describe the research results as they used various research method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to classify research types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for Ph.D theses in the field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nd by analyzing the genre of various parts of the doctoral thesis, it can help prospective researchers write their doctoral thesis.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genre of various parts of the Ph.D thesis, it can help prospective researchers write their one. However, this study was conducted only by native Korean speakers theses, so it could not be compared with the characteristics written by foreigners one. In addition, in the case of genre analysis,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a small number of theses for each type of research, so only the possibility of the characteristics was found, but it wasn’t clear. I hope, In the future,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study will be made by classifying the research types of Ph.D theses written by foreigners, and conducting genre analysis based on more studies for each type of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모어 화자가 작성한 한국어 교육학 분야 박사 학위 논문의 연구 유형별 연구 동향과 특징을 살펴보고, 박사 학위 논문의 서론, 선행연구, 연구 방법, 결론, 초록 부분의 장르 분석을 진행한 후, 연구 유형별로 논문의 각 부분 이동마디 구조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밝혀 연구 유형별 장르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첫 번째 연구 문제는 한국어 모어 화자가 작성한 한국어 교육학 분야의 박사 학위 논문에서 주로 사용한 연구 방법과 그 연구들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고, 두 번째 연구 문제는 한국어 모어 화자가 작성한 한국어 교육학 분야의 박사 학위 논문의 서론, 선행연구, 연구 방법, 결론, 초록 부분의 전형적인 글의 구조와 연구 유형별로 서로 다른 이동마디 구조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학 분야의 연구 유형별 특징과 장르 분석을 통해 한국어 교육학 분야에서 학위 논문을 작성할 예비 연구자들, 특히 외국인들의 논문 작성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4년부터 2022년 2월까지 작성된 한국어 교육학 분야 박사 학위 논문을 전수조사하고, 이 중 한국인이 작성한 박사 학위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 유형을 분류하고 이 논문들의 특징을 살폈다. 한국어 교육학 분야 박사 학위 논문은 국립국어원의 한국어교원 자격 홈페이지와 dCollection을 통해 총 637편의 논문을 찾았고, 이 중 한국어 모어 화자가 작성한 논문 370편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연구 유형은 김영규(2018)의 기준에 따라 분류를 진행하였다. 장르 분석은 논문의 구조, 기간, 연구 유형을 기준으로 연구 유형별로 5편의 연구를 선택하여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장르 분석틀은 제2 언어 습득 분야에서 이루어진 학위 논문 장르 분석 연구와 한국어 교육학 석사 학위 논문들에 대한 장르 분석 연구들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구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어 교육학 분야에서는 일차적 연구가 이차적 연구보다 많이 이루어졌으며, 일차적 연구 중에서는 혼합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고, 양적 연구가 가장 적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질적 연구 접근법을 사용한 연구는 실행 연구를 진행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사례 연구, 내러티브 탐구 연구, 근거 이론을 바탕으로 한 연구 등이 진행되었다. 질적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은 문서 분석, 면접법, 텍스트 분석, 말뭉치 분석 등이 많이 이루어졌으며, 다른 다양한 연구 방법들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양적 연구의 경우 주로 비실험 연구 중 탐색적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진)실험 연구는 한 편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로 다양한 양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박사 학위 논문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었다. 연구 유형 분류 결과, 많은 연구 방법이 사용되고 있었으나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모두 특정 연구 방법을 사용한 경우가 많았고, 양적 연구에서는 (진)실험 연구가, 질적 연구에서는 현상학, 문화 기술지, 비판적 이론 연구가 한 번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향후 좀 더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었다. 또한 연구 방법에 대한 고찰이 부족한 연구들도 발견되고 있어 한국어 교육학 전반에서 연구 방법론에 대한 강조와 논문 작성 시 연구 설계를 보다 철처히 할 필요가 있도록 할 필요가 있었다. 장르 분석을 진행한 결과를 통해 서론, 선행연구, 연구 방법, 결론, 초록에 있어 모두 양적 연구, 질적 연구, 혼합 연구 간 차이가 나타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서론은 연구 영역의 필요성을 끌어내거나 연구 영역을 구체화하는 이동마디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선행 연구의 경우 순환형 모형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 특징적이었다. 연구 방법 부분은 작성하지 않는 논문도 있을 만큼 한국어 교육학 학위 논문에서 가장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부분이었으며, 결론 부분은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해석하는 이동마디가 주로 나타났고, 초록은 전체 논문의 구조와 흡사한 구조를 보이고 있었다. 연구 유형별로 질적 연구가 전체 길이가 짧고 이동마디 수도 적었으며, 양적 연구는 연구 대상을 연구 방법 부분에서보다 서론에서 길게 작성하고 있는 것이 특징적이었다. 혼합 연구는 연구 결과를 다른 연구 유형에 비해 길게 작성하고 있었는데 이는 다양한 연구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 만큼 연구 결과를 기술할 내용이 많았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최초로 한국어 교육학 분야 박사 학위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 유형을 분류하여 한국어 교육학 분야에서 이루어진 연구들의 특징을 살폈고, 박사 학위 논문의 다양한 부분에 대한 장르 분석을 진행하고 있어 한국어 교육학 분야의 장르 분석의 장을 넓혔으며, 향후 예비 연구자들이 박사 학위 논문을 작성하는 데에 도움을 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한국어 모어 화자의 논문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어, 외국인이 작성한 논문의 특징과 비교하지 못하고 있고, 장르 분석의 경우 연구 유형별로 제한된 편수를 선택하여 분석을 진행하여 각 연구 유형별 특성에 대한 가능성을 찾았을 뿐 명확한 특성을 밝히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향후 외국인이 작성한 한국어 교육학 분야 박사 학위 논문의 연구 유형을 분류하고, 연구 유형별로 좀 더 세분화된 연구들을 선정, 좀 더 많은 편수를 바탕으로 장르 분석을 진행하여 연구 유형별 특성을 밝히는 연구가 나오게 되기를 희망한다.

      • 유학생의 한국어 학위논문 쓰기 교육을 위한 학위논문 연구방법 부분의 장르 분석 연구

        윤여옥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이 가장 필요로 하고 어려워하는 기술이 쓰기이다(김정숙, 2000). 특히 학위 과정에서 중요한 쓰기 결과물을 산출해야 하는 한국어 학습자들은 한국어 쓰기 능력 숙달도를 높이는 한편 학위논문이라는 담화공동체의 특별한 의사소통적 목적을 충족해야하는 장르적 특징을 단시간에 익혀야 할 필요가 있어 그 어려움은 더욱 크다. 이들에게 장르 중심 쓰기 접근법을 통해 제한된 시간 내에 명시적으로 필요한 쓰기 능력을 성취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한국어 학위논문은 박은선(2006) 및 김영규와 이은하(2008)에서 서론 부분에 대한 장르 분석만이 이루어져, 학위 논문을 장르 중심 쓰기로 교수하기에 큰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다른 부분들의 장르 분석 연구가 뒤따를 필요가 있다. 연구방법(methods section)은 종종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쉽고 간단한 것으로 간주되지만(Swales, 2004), 연구 설계, 자료 수집 과정 및 자료 분석 과정을 묘사하고 신뢰성과 타당성을 입증하여 연구를 정당화하는 실제 기능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학위논문 연구방법은 실제 역할의 중요성에 비해 과소평가되고 있으며, 학습자들은 그 기능과 구조를 제대로 숙지하지 못하고 있다. 짧은 연구 보고서와는 달리 학위논문에서 연구방법의 중요성은 더 크다. 연구자로서 학습자들은 분명하고 상세하게 연구방법을 설명하고, 자신의 연구를 정당화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제 한국어 학위논문 연구방법을 분석하여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쓰기에 실제적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응용언어학 분야의 학위 논문을 장르 분석한 Bitchener(2010)의 연구방법 부분 이동마디-단계 분석 모형이 실제 한국어 교육 분야 학위논문 연구방법에 적용 가능한지 밝히고, 분석결과에 따라 일반화된 모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모국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의 학위논문 연구방법 구성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았으며, 각 이동마디-단계에 등장하는 정형화된 표현을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수도권 8개 대학의 한국어 교육관련 석사학위 논문 중 IMRD의 구조를 지닌 것으로 한국어 모어 화자의 학위논문 50편과 한국어 학습자의 논문 18편을 선정하였다. 분석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실제 자료 분석 전에 평정자 집단을 이용한 평정자 훈련과 교섭의 과정을 거쳤다. 또한 예비 분석을 통하여 예비 연구 단계를 평정할 수 있는 이동마디 P2(예비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 과정)를 포함하여 분석의 틀을 Bitchener+1 모형으로 수정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어 교육 석사학위 논문 연구방법은 Bitchener+1의 이동마디-단계 모형에 나타난 이동마디 중 이동마디 2와 3은 높은 빈도로 사용하고 있었지만 이동마디 1은 거의 사용하고 있지 않았다. 또한 Bitchener(2010)의 도구로는 평정하기 어려운 예비 연구 자료 수집 절차, 연구 절차 등의 구성요소가 분석 결과 높은 빈도로 나타나 새로운 이동마디-단계의 추가 필요성이 보였다. 이는 Bitchener(2010)의 이동마디-단계 모형이 한국어 교육 학위논문에 그대로 적용이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모든 연구방법은 몇 개의 소제목으로 절의 내용을 나누어 서술하는데, 이 때문에 Bitchener(2010)가 제시한 이동마디 1-2-3의 순서를 정확히 따르는 것은 아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석 결과에 따라 한국어 교육 학위논문 연구방법의 일반화된 모형을 따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동마디-단계의 빈도 분석 비교표를 통해 살펴 본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 간의 차이점은 거의 발견되지 않았는데, 모어 화자의 논문에서 빈도가 높게 나타난 이동마디-단계는 학습자의 논문에서도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만 학습자의 논문에서는 전혀 쓰이지 않은 이동마디-단계의 수가 모어 화자에 비해 많고, 사용 빈도가 높은 이동마디-단계에 편중이 더 높은 것으로 보아 학습자에 비해 모어 화자가 더 다양한 이동마디-단계를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모어 화자가 연구방법 정당화에 좀 더 적극적이며, 이동마디-단계의 기능을 분명하게 드러내는 소제목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이동마디-단계의 정형화된 표현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학위 논문 연구방법의 이동마디-단계 구조를 분석하는 것이지만, 분석을 하면서 각 이동마디-단계를 드러내는 정형화된 표현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정형화된 표현은 한국어 학습자가 석사학위논문 연구방법을 기술할 때 유창성과 정확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실제 한국어교육 석사학위논문의 연구방법 부분을 분석한 것으로 이 장르 분석의 자료는 한국어 교육 쓰기를 위한 자료로 쓰일 것을 기대한다. 무엇보다도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인 유학생들의 학위논문 쓰기를 위한 교육 자료 구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at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are in the rhetorical organization of methods sections of Korean thesis written by native Korean speakers and Korean learners on the basis of Bitchener's (2010) methods model with one additional move as 'pilot study of data collection procedure' and whether this Bitchener+1 model can be applied to a genre analysis of methods sections of Korean theses. Also, this study finds formulaic languages of moves which show movement of each move and step. 68 Korean master's theses which display IMRD structures were selected in the field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50 theses written by native Korean speakers and 18 theses written by Korean learners. To validate reliability, 2 raters were trained Bitchener (2010) model and discussed any disagreements, which resulted in satisfactory level of inter-rater agreement of Cohen's Kappa 1.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Bitchener+1 model didn't confirm to the methods sections in Korean theses. This result showed the im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the Bitchener+1 model to methods sections in Korean theses. And since most Korean researchers wrote methods sections according to convention of dividing the methods sections of their thesis into several sub-sections, methods sections did not follow an exact sequence of Bitchener's model. Based on the result, this study presented a generalized model of methods in Korean theses. Second, for the rhetorical organization, the differences between native Koreans and Korean learners were not found. But as for the Korean learners, the frequency of move 2- step d and move 3- step b were lower than that of native Koreans. Thir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this study presented formulaic language of methods sections in Korean the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ructure in methods sections of Korean theses and to provide the raw materials that can be utilized in the teaching of Korean writing for academic purposes.

      • 한국어 쓰기 피드백 지침서 개발 연구 : 메타 분석과 실천적 실행 연구를 바탕으로

        나원주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Korean written feedback manual for Korean teachers and to verify this manual’s educational efficacy. So far, there has been no consensus on the results of studies on written feedback effects. Additionally,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teachers’ feedback was provided without clear guidelines for error correction.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designed the written feedback manual development based on a practical action research. The contents of the feedback manual were composed of findings from literature reviews and meta-analysis studies. By using the meta-analysis method, this study verified the efficacy of Korean written feedback and feedback types and derived empirical research results applicable to the Korean education field. The overall effect size of Korean teachers’ written feedback was g = .603(95% CI = .36 ~ .846), which was considered to be large. In the context of the specific types of written feedback, direct feedback showed a large effect size(g = .617, 95% CI = .307 ~ .928), while indirect feedback did not have statistical significance. In addition, focused feedback showed a large effect size of g = .948(95% CI = .320 ~ 1.577). Teacher feedback using a computer showed a large effect size of g = 1.063(CI = .317 ~ 1.809), and teachers’ written feedback showed a medium effect size of g = .585(CI = .316 ~ .854). The number of treatment sessions(Q = 4.818, p = .028) and genres(Q = 12.243, p = .032)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as the moderator variables of Korean written feedback. The number of treatment sessions and types of genre could be explained 6.5% and 9.8% of R2, which is the proportion of variance explained by the grouping variable. The results of this meta-analysi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have proved the efficacy of feedback types by combining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n feedback effects. Additionally, the moderator variables that affect feedback effect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empirical study results were reflected in the contents of the written feedback manual in order to help Korean teachers make more informed decisions about choosing feedback types. Next,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individual differences on students’ feedback intake, a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to the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the Korean writing classroom at 00 university. The analysis of 22 questionnaires showed that learners’ proficiency and affective individual differences could influence their intake of teachers’ written feedback. This study analyzed the feedback anxiety, learning motivation, attitudes, and utilization of feedback, and found out that learners held very positive attitudes toward teachers’ written feedback(M = 36.5, SD = 5.98). The anxiety of feedback decreased as the students moved from beginner to advanced education levels. Conversely, positive attitude and learning motivation increased as students moved from beginner to advanced education levels. However, the intermediate learners tended to use teachers’ feedback to less extent than the students in the other levels. Based on the learners’ perceptions and features such as grades, learning period, nationality, proficiency, and learning styles, proficiency with utilization(F = 4.63, p = .023, η2 = .46) and duration with utilization(F = 5.08, p = .01, η2 = .33)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utilization and motivation(r = .431, p = .45), as well as between utilization and attitude(r = .802, p = .001). In other words, results showed that learners who have high motivation and positive attitudes toward feedback make good use of it.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on individual differences were added to the written feedback manual to show Korean teachers the importance of students’ positive attitudes and motivation for feedback intake. The first draft of the written feedback manual, which was written after reviewing the narrative literatures,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for application to the education fiel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meta-analysis and the questionnaire. Three Korean teachers commenced action research in their own classrooms, from beginner to advanced level ones. By repeating the process of practical action research(planning - execution - reflection – modification), the teachers’ focus on written feedback increased.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written feedback manual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awareness of feedback was enhanced. Second, teachers gained reflective knowledge regarding written feedback through the reflective process, which helped them improve their professionalism. Third, the written feedback manual positively affected teachers' self-efficacy by providing a basis for decision-making in selecting feedback types and providing feedback. After using the written feedback manual, teachers' perceptions, when providing feedback to students, shifted from being teacher-centered to learner-centered. Furthermore, teachers now consider interaction with their students to be very important for students to understand and to utilize their feedback. This is significant for developing the Korean written feedback manual, emphasizing its necessity based on empirical studies, and verifying its effects in the Korean education field. However, this study is limited in that it could not generalize the results of the survey because of its small sample size, and it did not address the sociolinguistic perspective of written feedback. I hope that the Korean written feedback manual will be useful to Korean teachers who want to learn and change.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교사를 위한 한국어 쓰기 피드백 지침서를 개발하고 피드백 지침서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한국어 쓰기 피드백 연구 분야에서는 지금까지 쓰기 피드백 유형과 효과에 대한 뚜렷한 합의점이 없었다. 그리고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도 쓰기 교육이나 피드백 제공에 대한 지침 없이 교사의 경험과 직관으로 쓰기 교육이 이루어졌다. 이에 본 연구는 실행 연구 방법을 통해 쓰기 피드백 지침서 개발을 설계하였다. 지침서의 내용 구성을 위해서 서술적 문헌 고찰과 메타 분석 연구, 그리고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그 밖에도 심층 면담, 문서 분석, 교사 일지 등의 질적 자료도 수집ㆍ분석하였고 그 내용을 토대로 쓰기 지침서를 개발하였다. 메타 분석 연구는 쓰기 피드백 연구들의 이질적인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피드백 연구 결과의 합의점을 찾고자 시행되었다. 그 결과 한국어 쓰기 피드백의 효과와 피드백 유형별 효과를 검증하고 피드백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 변수를 찾아낼 수 있었다. 메타 분석 연구를 통해 얻은 실증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어 교사의 쓰기 피드백의 전체 효과 크기는 g = .603(95% CI = .36~.846)으로 큰 효과 크기로 나타났다. 피드백의 유형별로는 직접 피드백(g = .617, 95% CI = .307~.928)이 큰 효과 크기로 나타났고 간접 피드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 밖에 초점 피드백도 g = .948(95% CI = .320~1.577)로 큰 효과 크기를 보였다. 컴퓨터를 사용한 교사의 피드백은 g = 1.063(CI = .317~1.809)으로 효과 크기가 크게 나타났고 서면 피드백은 g = .585(CI = .316~.854)로 중간 정도의 효과 크기를 보였다. 한국어 쓰기 피드백의 조절 변수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인 것은 처치 횟수(Q = 4.818, p = .028)와 장르(Q = 12.243, p = .032)였다. 처치 횟수로 설명되는 분산의 정도 R2는 6.5%이며 장르로 설명되는 실제 분산의 정도 R2는 9.8%이다. 본 메타 분석 연구 결과는 피드백 효과에 대한 상이한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피드백 유형별 효과를 입증한 것과 피드백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 변인을 밝힌 것에 의의가 있다. 이러한 실증적 연구 결과는 쓰기 피드백 제공시 한국어 교사의 의사 결정을 도울 수 있도록 쓰기 피드백 지침서의 내용에 반영되었다. 다음으로 학습자의 개인차 요인이 피드백 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00 대학의 글쓰기 수업을 듣는 학문 목적의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22편의 설문지가 분석되었다. 설문지의 분석 결과, 학습자의 능숙도와 정의적 개인차는 쓰기 피드백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피드백에 대한 불안, 학습 동기, 피드백에 대한 태도, 피드백의 활용의 네 가지 학습자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고 학습자는 쓰기 피드백에 대해 아주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M = 36.5, SD = 5.98). 피드백에 느끼는 불안은 초급에서 고급으로 갈수록 줄어들었고, 태도나 학습 동기는 초급에서 고급으로 갈수록 높아졌다. 그러나 활용에서는 중급 학습자가 초급 학습자보다도 조금 낮은 수치를 보였다. 학습자 특성과 피드백 인식에서는 능숙도와 활용(F = 4.63, p = .023, η2 = .46), 한국어 학습 기간과 활용(F = 5.08, p = .01, η2 = .33)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피드백의 인식 요인에서는 활용과 동기(r = .431, p = .45), 활용과 태도(r = .802, p = .001)간에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동기가 높고 피드백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진 학습자가 피드백의 활용도 잘할 수 있음을 알려 준다. 개인차 요인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는 쓰기 피드백 지침서에 제시하여 학습자의 긍정적인 태도와 동기가 피드백 수용에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서술적 문헌 고찰 후, 쓰기 피드백 지침서 초안을 작성하였고 메타 분석 연구와 설문 조사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의 지침서의 내용을 수정ㆍ보완하여 교육 현장에 적용하였다. 연구자를 포함한 세 명의 한국어 교사가 각각 초급, 중급, 고급별로 자신의 교실에서 교육적 실천을 시작하였다. 실행 연구 방법인 계획 – 실행 – 반성 - 수정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교사는 쓰기 피드백에 더욱 집중하게 되었다. 쓰기 피드백 지침서의 교육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쓰기 피드백을 계획ㆍ점검하고 교사 일지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피드백에 대한 교사의 의식이 고양되었다. 둘째, 교사는 반성적 성찰 과정을 통해 쓰기 피드백에 대한 반성적 지식을 얻게 되었고 이는 교사의 전문성 향상에 도움을 주었다. 셋째, 쓰기 피드백 지침서는 피드백을 선택하고 제공하는 데 의사 결정의 근거를 제공함으로써 교사의 자기 효능감(self-efficacy)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쓰기 피드백 지침서 사용 후, 교사의 인식은 교사 중심의 피드백 제공에서 학습자 중심으로 전환되었고, 교사는 쓰기 피드백 제공에 있어 학생과의 상호작용을 더욱 중요시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서 중요성이 강조되어 온 쓰기 피드백 지침서를 실증적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개발하고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한 것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피드백 인식과 개인차를 조사한 설문 조사에서 소수의 인원만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렵고 사회언어학적 관점에서 피드백 연구를 다루지 못한 한계점이 있다. 아무쪼록 한국어 쓰기 피드백 지침서가 배움과 변화를 원하는 한국어 교사들에게 유용하게 사용되길 기대해 본다.

      • 산화음이온이 페리하이드라이트 및 아카가나이트의 자로사이트 상전이에 미치는 영향

        박지연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Ferrihydrite and akaganeite are the representative precipitates found in acid mine drainage. Because of their large surface area, they can control the behaviors of pollutants including heavy metals. However, they are thermodynamically unstable, and therefore transform to goethite or hematite depending on pH and temperature. Heavy metals with oxyanion form in solution can also affect the transformation rate and product of ferrihydrite and akaganeite. Jarosite, another precipitate found in mine drainage, is formed in acidic environment with high concentration of sulfate. Because acid mine drainage produced by the oxidation of sulfide mineral such as pyrite, it shows low pH and has high concentration of sulfate. Therefore, ferrihydrite and akaganeite which precipitated in acid mine drainage can transform to jarosite according to geochemical environmental changes. The oxyanions such as arsenate, chromate, and phospahte can b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transformation of these minerals to jarosite. In this study, the changes in phase transformation products with different oxyanions and the resultant behavior of oxyanions were investigated. XRD results showed that, during the transformation of ferrihydrite to jarosite, goethite was formed in the presence of chromate. In addition, scorodite was formed at high concentration of arsenate and leucophosphite was formed at high concentration of phosphate. For arkaganeite, the transformation to jarosite was slightly different. During the transformation of akaganeite to jarosite, sorodite was formed in the presence of arsenate. For phospahte as oxyanion, phosphosiderite was formed at the low concentration of phosphate and leucophosphite was formed at the high concentration of phosphate. All three oxyanions retarded the transformation rate of ferrihydrite and akaganeite to jarosite and the transforamtion rate was slower in the presence of arsenate and phosphate than chromate. This is considered to be due to the difference in bonding strength between mineral surface and each oxyanion. The removal ratio of oxyanions and sulfate in solution by the ICP analysis result,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chromate removal ratio after 10 days because no intermediate phase was produced. However, for arsenate and phosphate, the intermediate phases was precipitated, and the removal ratio of oxyanion was greatly increased, during the transformation process and most of the oxyanions in solution were finally removed. While the surface area of ​​ferrihydrite and akaganeite is greatly decreased during the transformation to jarosite, the concentrations of oxyanions in solution did not increase. This is considered to be due to the decrease of the mobility of oxyanions by the substitution and coprecipitation of oxyanions in jarosite. In conclusion, all oxyanions in the acid mine drainage in the presence of sulfate retarded the transformation rate of ferrihydrite and akaganeite to jarosite and the transformation rate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pecies of oxyanions. The transformation of ferrihydrite and akaganeite t to jarosite can control the mobility of oxyanions by adsorption, substitution, and coprecipitation. These minerals can also be useful for the removal of arsenate and phosphate in contaminated sites, but inot for chromate.

      • 어휘 주석과 전자 사전이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옥혜정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급 한국어 학습자들의 어휘 학습 도구로서 어휘 주석과 전자 사전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최근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는 무엇보다도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이러한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기 위해 필요한 것이 바로 어휘이다. 어휘는 크게 수용적 어휘와 생산적 어휘로 나눌 수 있는데, 전자는 읽기나 듣기 상황에서 사용하는 이해적인 측면의 어휘이며, 후자는 쓰기나 말하기의 상황에서 사용하는 표현적인 측면의 어휘이다. 하나의 어휘를 제대로 안다는 것은 그 어휘에 대한 수용적 어휘 지식과 생산적 어휘 지식이 모두 갖추어진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초급 한국어 학습자들이 어휘 주석과 전자 사전을 통해 학습을 하면서 모르는 어휘가 나타났을 때, 그 어휘에 대한 수용적 어휘 지식과 생산적 어휘 지식을 모두 학습할 수 있는지에 대해 비교 연구해 보았다. 연구를 위해 총 31명의 초급 한국어 학습자가 참여하였으며, 이를 다시 통제 집단, 주석 집단, 사전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통제 집단은 읽기 텍스트만 주어진 집단으로 총 9명의 학습자로 구성되었다. 주석 집단은 읽기 텍스트와 함께 선다형 어휘 주석이 제공된 집단으로 총 11명의 학습자로 구성되었다. 사전 집단은 읽기 텍스트와 함께 전자 사전을 사용하도록 권유받은 집단으로 주석 집단과 마찬가지로 총 11명의 학습자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어휘 주석과 전자 사전은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이해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 연구 문제를 위해 읽기 텍스트를 읽은 후 읽기 이해도 평가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통제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주석 집단과 사전 집단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즉, 어휘 주석과 전자 사전이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이해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어휘 주석과 전자 사전은 초급 한국어 학습자가 수용적 어휘를 학습하는 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 연구 문제를 위해 읽기 텍스트를 읽은 후 수용적 어휘 평가가 실시되었다. 그 결과 주석 집단과 사전 집단의 점수가 통제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이는 어휘 주석과 전자 사전이 수용적 어휘를 학습하는 데 있어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뜻과 같다. 그러나 주석 집단과 사전 집단만을 놓고 평가 결과를 비교하였을 때,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므로, 어휘 주석과 전자 사전은 동일한 수준으로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수용적 어휘 학습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어휘 주석과 전자 사전은 초급 한국어 학습자가 생산적 어휘를 학습하는 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읽기 텍스트를 읽은 후 생산적 어휘 평가가 실시되었다. 생산적 어휘 평가 결과, 주석 집단과 사전 집단은 생산적 어휘를 효과적으로 학습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두 집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어휘 주석과 전자 사전이 학습자의 생산적 어휘 학습에도 동일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주로 중급 이상 학습자들의 어휘 학습 도구로 사용 되어진 어휘 주석과 어휘 학습을 하는데 오히려 방해를 일으킬 수 있다는 점 때문에 교사와 학습자들 사이에서 환영받지 못했던 사전이 초급 한국어 학습자들이 어휘 학습을 하는데 도움을 준다는 사실을 밝혀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초급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더 다양한 학습 도구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nanlyz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losses or electronic dictionary on beginning-level Korean learners. For this study, thirty-five beginning-level Chinese Korean learners are divided into three groups. First group participants read the text without any glosses or electronic dictionary, Second group participants read the text with glosses, third group participants read the text with electronic dictionary. The second group and the third group participants could find the meaning of unknown word while reading the text. Three main research questions were investigated as follows: 1. Will glosses or electronic dictionary affect reading comprehension of beginning-level Korean learners? 2. Will glosses or electronic dictionary affect acquire receptive vocabulary? 3. Will glosses or electronic dictionary affect acquire productive vocabular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the reading comprehension test verified that glosses and electronic dictionary affected reading comprehension significantly. The group with glosses and the group with electronic dictionary received higher score compared to the group with non-glosses and non-electronic dictionary.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with glosses and the group with electronic dictionary. Second, the result of receptive vocabulary test verified that glosses and electronic dictionary affected acquire receptive vocabulary.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with glosses and the group with electronic dictionary. It means glosses and electronic dictionary affect learning receptive vocabulary as same size. Third, the result of productive vocabulary test verified that glosses and electronic dictionary affected acquire productive vocabulary.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losses group and the electronic dictionary group. Throughout this study the effect of glosses or electronic dictionary has been considered, and it has been proved that glosses and electronic dictionary affect learning receptive and productive vocabulary. Based on these results, Korean learners can use glosses or electronic dictionary to acquire receptive and productive vocabulary, especially beginning-level Korean learners.

      • 한국어 교사의 읽기 교육 시 담화 표지어 교수 현황 연구

        이연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현행 읽기 교육 및 담화 표지어를 활용한 읽기 지도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읽기 교육 시 담화 표지어 교수 현황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으로 서울 및 경기도에 위치한 대학 부설 한국어 기관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한국어 기관에서 현재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는 총 78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국어 읽기 교육 및 읽기 교육 시 담화 표지어 지도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질문지는 총 3개의 영역, 즉 응답자의 기초 정보, 한국어 읽기 교육 및 담화 표지어 교수에 대한 문항에서 총 20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1장에서는 읽기 교육이 한국어 교육 내에서 갖는 의미를 조망하고, 효율적인 읽기를 위한 읽기 전략으로서 담화 표지어 교수의 필요성을 밝혔다. 1장 후반부에서는 본 연구를 위한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읽기의 개념 및 읽기 모형을 제시하였고, 담화 구조와 담화 표지어의 기능 및 분류 및 교사의 읽기 교육 및 교수 방식에 대한 인식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끝으로 EFL, 국어 교육 및 한국어 교육에서 이루어진 담화 표지어 관련 선행 연구들을 고찰하였다. 3장 연구 방법에서는 한국어 읽기 교수 현황 및 읽기 교육 시 담화 표지어 지도 현황 파악을 위한 설문조사 자료 수집 사항을 보고하였다. 4장에서는 3장의 설문조사 결과를 읽기 교육 현황 및 담화 표지어 교수 현황으로 나누어 보고·논의하였다. 5장에서는 연구 결과 요약 및 한국어 교육에의 시사점을 논의하고, 담화 표지어를 활용한 읽기 교수 모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끝으로 논문을 정리하였다.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의 이해력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다수의 응답자가 ‘글의 전체적인 맥락 및 구조에 대한 이해’를 선택한 반면, 읽기 수업의 주요 지도 방식으로 ‘내용 이해를 위한 세부 설명을 한다’고 응답했다. 이 결과를 통해 교사들의 읽기 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제 교수방법 사이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현행 읽기 교육에 대한 문제점으로 다수의 응답자가 ‘읽기 전략 교수의 부재’를 선택한 동시에 ‘읽기 전략 지도’를 읽기 수업에 대한 부담으로 여긴다고 응답했다. 이 결과를 통해 볼 때 교사들이 읽기 전략의 필요성을 인식하고는 있으나 구체적인 읽기 전략 교수법 마련에 있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담화 표지어의 교육적 효과로 ‘전체적인 글의 흐름과 맥락을 파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는 응답이 절대적으로 많았는데(78.2%), 이는 앞서 읽기의 이해도 결정 요인과 일치한다. 즉 독해력 향상에 있어서 담화 표지어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응답자들은 담화 표지어 교수의 어려움에 대하여 ‘담화 표지어 교수의 단계별 지침의 부재’ 및 ‘담화 표지어 범주의 불확실’을 들었다. 이는 담화 표지어 교수 방안 마련을 위해서 반드시 해결해야 할 점으로 여겨진다. 마지막으로, 응답자들은 담화 표지어 지도가 ‘중급단계의 읽기’에 가장 효과적이라고 응답하였으며, 초급, 중급, 고급에서 중점적으로 가르쳐야할 담화 표지어 범주에 대한 응답에서도 단계별로 차별적인 양상을 보였다. 이는 학습자의 숙달도에 따른 담화 표지어 교수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into recognition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bout current reading class and reading instruction method using teaching discourse markers, and to examine current status of the reading classes using discourse markers. This research conducted a survey about Korean reading classes using discourse markers upon 78 teachers who are teaching Korean in various Korean language institutes, including the ones attached to universitie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20 questions in 3 areas,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of respondents, Korean reading instruction and classes using discourse markers. The conten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In chapter 1, it inquires into the meaning of reading instruc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larified the necessity of teaching discourse markers as a strategy for efficient reading. In addition, research questions were suggested in the latter part of the chapter 1. In chapter 2, it argued the concept of reading and suggested reading models, as well as arranging function and classification of discourse structure and discourse markers, teachers' reading class and their recognition of instruction methods. Moreover, it also investigated into previous studies concerning classes using discourse markers in EFL, Korean or other language classes. In chapter 3, it reported the result of data collection for the survey, which is needed to understand current status of Korean reading classes using discourse markers. In chapter 4, it analyzed and discussed the result of the survey conducted in chapter 3, in terms of the status of normal reading instruction and the one with discourse markers. In chapter 5, it summarized the result, made suggestions in Korean language instruction and suggested reading instruction model using discourse markers. Finally, it mentioned the limitation of this research and made suggestions for following studie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many respondents chose "understanding about general context and structure"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determining comprehension, and many were found to "give detailed explanation for better understanding" as a major instruction method in reading class. From this result, it was implied that there is a gap between the recognition of teachers' reading instruction and their actual teaching methods. Second, a large number of respondents pointed out "lack of reading instruction method" as a problem of current reading class, as well as considering "teaching reading strategy" as a burden of reading class. The result suggested that teachers had difficulties in making appropriate and substantial strategies for reading class, although they are well aware of the need for reading strategy. Third, 78.2%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discourse markers "help students understand general flow and context of the reading more easily" and it corresponds with the aforementioned factor determining the understanding level. Thus, it is found that discourse markers are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advancing reading comprehension. Fourth, concerning the difficulty in using discourse markers in the class, most respondents pointed out "lack of guidelines in stages for discourse markers instruction" and "range uncertainty of discourse markers." It is highly required to solve these two problems when preparing discourse markers instruction guidelines. Last,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class using discourse markers is the most efficient for "intermediate reading," and they also thought that the range of discourse markers taught in class should be varied upon the level of students, from beginners to advanced. It implies that there is a difference among instruction with dicourse makers upon the proficiency of learners.

      • 호텔레스토랑의 브랜드자산이 고객만족과 신뢰 및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이시후 계명대학교 경영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 strategic implication to set up a strong image by examining the effect of hotel restaurant brand assets on customer reliability and loyalty. Specific obej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to analyse how hotel restaurant brand assets such as brand image, brand awareness, and recognized quality and brand association influence on customer satisfaction. Second, it is to study how customer satisfaction and reliability affect on customer loyalty. In order to achieve the preplanned objectives, reviewing of related literatures and empirical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establish a research model and to find out any causal relationship among hotel restaurant brand assets, customer satisfaction, reliability and customer loyalty. Research methodology adopted for this study was convenient sampling among customers who had experienced patronizing deluxe level hotels located in Daegu and Kyungjoo. Selected graduate students were carefully trained to collect the data from the respondents in a well laid out manner recommended from respected studies. Result findings and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brand awareness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influence on customer satisfaction. It would mean hotel companies had not paid too much attention and effort in promoting their brand recognition and awareness to increase customer satisfaction. It is time to put more effort to have their image easy to be reminded of and establish brand association. Second, brand image did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Hotel companies need put more effort in establishing their brand image such as distinctiveness and differentiation of their brands to increase customer satisfaction. Third, recognized quality did have a siginificant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It means, hotel companies worked hard and put lots of effort in meeting customers' wants and needs to increase customer satisfaction. Therefore, hotel companies need to put more effort to provide charming ambiance, high quality service to meet and exceed guest satisfaction. Fourth, brand associa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customers' satisfaction. Fifth, customer satisfac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reliability. Sixth, reliabilit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loyalty. Seventh, customer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s' loyalty. Hotel companies need to pay more attention and come up with diverse solution to bring in repeat customers. 본 연구는 소비자들로부터 형성되는 호텔 레스토랑의 브랜드 자산이 고객만족과 신뢰 및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강력한 이미지구축을 위한 전략적시사점을 도출하는데 그 의의와 목적이 있다. 본연구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호텔 레스토랑의 브랜드자산(브랜드 이미지, 브랜드인지, 지각된 품질, 브랜드연상)이 고객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둘째, 고객만족과 신뢰는 고객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셋째, 신뢰가 고객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적 연구와 실증연구를 토대로 연구모형을 구축하고, 호텔레스토랑 브랜드자산이 고객만족과 신뢰 및 고객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기위하여 실증적으로 연구조사 하고자 한다. 실증적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자료수집 방법으로는 연구자가 관심을 가지는 표본에 대한 행태를 이해하거나 평가를 목적으로 응답자로부터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자 설문지법을 이용하였다. 설문조사자는 사전에 교육을 받은 면접원을 이용한 면접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고, 설문 대상자는 대구, 경주의 특급호텔을 이용하고 있는 이용고객으로 한정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문제점을 실천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첫째, 브랜드 자산의 개념과 브랜드 자산, 고객만족, 신뢰, 고객충성도를 도하기 위하여 여러 차원의 속성을 탐색적으로 검토하였다. 둘째, 브랜드 자산, 고객만족, 신뢰, 고객충성도의 선행연구를 통해 개념적인 의미를 파악하고 고객이 호텔을 이용할 경우 어떤 요인이 중요하게 고려되는가를 탐색적으로 검토하였다. 셋째, 도출된 브랜드 자산의 요인을 가지고 이용 고객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여 호텔레스토랑의 브랜드 자산이 고객만족과 신뢰도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호텔의 브랜드 자산과 고객만족 마케팅 방안에 대해 탐색적으로 검토하였다. 넷째, 본 연구는 일반기업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던 브랜드 자산의 연구를 호텔기업에 적용해 연구하였다. 일반기업보다 인적서비스의 의존도가 높은 호텔기업을 대상으로 브랜드 자산에 대한 연구를 함으로써 호텔기업의 경쟁력 제고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 요약하기를 중심으로 하는 한국어 읽기 교육 방안 : 교사와 학습자 대상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이병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the Korean instruction based on summarizing as an effective reading strategy, after surveying about reading and summarizing teaching and learning status. This research conducted a survey about reading and summarizing teaching and learning status upon 45 foreign students and 30 Korean teachers in Korean language class. 45 students consist of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university in Korea, having studied in the domestic Korean language center and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university in Korea, having studied Korean in their native country. The questionnaires are for foreign students and korean teachers. The former consisted of 16 questionnaires in 3 areas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of respondents, summarizing learn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The latter consisted of 16 questionnaires in 3 areas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of respondents, reading teaching method and summarizing teaching method in Korean language class. The main results of foreign students obtained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both foreign students having studied in the domestic Korean language center and foreign students having studied Korean in their native country aren't any difference in using reading strategies and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Many chose "guessing the text with the title" as the most using reading strategies. Second, both foreign students having studied in the domestic Korean language center and foreign students having studied Korean in their native country recognize high-level process such as 'understanding about general context and structure' than lower-level process such as 'word recognition' Third, foreign students having studied in the domestic Korean language center have learned summarizing strategies, mainly in Korean writing class. Foreign students having studied Korean in their native country haven't learned summarizing strategies. Despite the difference in 2 groups, respondents answered 'understanding about general context and structure' as the most difficult to learn. Next, The main results of korean teachers obtained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ny respondents were found to "give detailed explanation for better understanding" as a major instruction method in reading class, and many respondents chose "understanding about general context and structure" as the most important factors determining comprehension, in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Many were found to "questions for checking the text" as the most in post-reading. Second, the effective level for teaching summarizing ar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because summarizing is th power method for developing ability of understanding and expressing. However, summarizing ca hardly be conducted in Korean language class because of 'lack of learning ability' such as 'lack of understanding ability about text structure' or 'focusing on 'word and grammar' and ' lack of teaching and learning conditional factor' such as absence of the teaching guidelines, lack of the text book. Third, the major instruction method in summarizing were found to 'understand whole text', followed by 'understanding about general context and structure', understanding how important the paragraph is and explaining summarizing rules. Many respondents chose 'reading text', followed by materials made by teachers and reading and wring text in the text book as summarizing teaching materials. The texts for teachers to use is the text revealing structure or theme. This study reveal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 of both the learners and the teachers that's why we can understand teaching and learning status in Korean language class. Second, Korean teachers recognize the most important strategy to develop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through summarizing using understanding of the text structure. It was concluded with this study's significance and some limitations on samples' representation and the number of subject and the necessity of the follow-up studies on more specific lesson plans. 본 연구는 읽기와 요약하기 교수․학습 상황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읽기전략으로서의 요약하기를 중심으로 하는 한국어 읽기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국내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한국어를 학습하고 국내 대학에서 수학하고 있는 외국인 학습자들과 국외에서 한국어를 전공하고 국내 대학에서 수학하고 있는 외국인 학습자로 구성된 중국인 유학생 1~2학년 45명의 학습자들과 한국어 교사 30명을 대상으로 읽기와 요약하기에 관한 교수 학습적인 요인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 자료로 사용한 설문지는 학습자용과 교사용으로 나눠지는데 학습자용은 크게 세 가지 영역 즉, 개인 정보, 요약하기 학습 정보, 읽기 이해 능력 정도에 관한 총 16문항(Likert 척도 9문항은 한 문항으로 간주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교사용도 개인 정보, 읽기 교수 방식, 요약하기 교수학습 방식 등 세 영역, 총 23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학습자에 관한 연구 분석 결과를 살펴보겠다. 첫째, 국내에서 한국어를 학습한 집단과 국외에서 한국어를 학습한 집단 모두 읽기 전략 사용과 이해 능력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이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읽기 전략은 ‘제목으로 내용을 추측하기’로 나타났다. 둘째, 국내에서 한국어를 학습한 집단과 국외에서 한국어를 학습한 집단 모두 단어 인지와 같은 하위 과정보다 전체적 글의 구조와 맥락을 통한 이해와 같은 상위 과정을 어렵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내에서 한국어를 학습한 집단은 요약하기 전략을 학습한 경험이 있으나 주로 요약하기 전략을 활용한 쓰기수업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국외에서 한국어를 학습한 집단은 요약하기 전략을 학습한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두 집단 모두 독해 과정에서 글의 구조와 맥락 이해를 가장 어렵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한국어 교사에 관한 연구 분석 결과를 살펴보겠다. 첫째, 한국어 교사들의 주요 읽기 지도 방식은 초급, 중급, 고급 모두 ‘내용 이해를 위한 세부적인 설명’으로 나타냈다. 또한 읽기 이해도를 결정짓는 주요 요인은 초급, 중급, 고급 모두 ‘글의 맥락 및 구조 지도’ 라고 답했으며 실제 읽기 후 가장 많이 하는 활동으로는 초급, 중급, 고급 모두 ‘내용 확인 질문’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어 교사들이 생각하는 효과적인 요약하기 지도 단계는 중급과 고급이라고 답했는데 이는 요약하기 활동이 이해 표현 능력 향상을 위한 적절한 활동이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글의 구조 이해 부족’이나 ‘단어와 문법에만 집중’과 같은 학습자의 학습 능력 부족과 ‘교수 지침 부재’나, ‘적절한 난이도의 교재 부족’등과 같은 교수 학습 환경적인 요인으로 인해 수업 시간에 요약하기에 관한 지도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어 교사들의 요약하기 지도방식은 주로 ‘전체 내용 이해’와 ‘전체적인 맥락과 글의 구조 파악’, ‘단락의 중요도 파악’, ‘요약하기 규칙 설명’ 순으로 나타났다. 이때 사용하는 수업 자료로는 ‘읽기 교재’, ‘교사가 준비한 자료’, ‘통합교재 내 읽기와 쓰기 텍스트’ 순이었으며 ‘구조가 명확한 텍스트’와 ‘주제가 명확한 텍스트’를 자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와 학습자 모두를 대상으로 한 연구이므로 학습자의 읽기 전략 사용 능력 파악과 요약하기에 관한 학습 상황 파악 및 실제 수업의 현장에서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는 교사의 교수 실태 파악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둘째, 한국어 교사는 텍스트 구조 파악을 활용한 요약하기가 읽기 이해도를 향상시키는 가장 중요한 전략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가 제한된 텍스트 구조만으로 진행된 점과 다양한 연구 대상의 부족 등으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시키기 어렵다는 점,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실험의 결과가 없어 실제 적용의 결과를 알기 어렵다는 점 그리고 대상에 대한 심층 면접과 같은 질적 연구가 없었던 점 등을 본 연구의 제한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후속 연구를 기대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