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스마트폰 앱(App)을 이용한 웰빙인지기법이 9급 공무원 준비생들의 우울, 상태 불안 및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영향

        송미지 德成女子大學校 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긍정심리중재법 중 하나인 웰빙인지기법을 모바일 앱(App)으로 제공하여 9급 공무원 준비생들의 우울, 불안 및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9급 공무원 준비생들 중 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하고, 우울 점수(CES-D)가 기준 이상인(>16점) 대상자를 선별하여 처치집단(=24, 평균연령 24.83세)과 대기통제집단(=24, 평균연령 26.29세)에 무선할당하였다. 처치는 4주 동안 진행되었으며 참가자들에게 매일 1회 이상 앱에 접속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 도구는 통합적 한국판 CES-D, 상태 불안(STAI-S),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The ways of coping checklist)이다. 집단과 시기 간 상호작용을 검증하기 위해 처치집단과 대기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값에 대해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대기통제집단에 비해 처치집단의 우울과 불안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스트레스 대처는 사전-사후 변화와 집단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온라인 수용전념치료(ACT)가 스마트폰 과의존 여자대학생의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 지각된 스트레스 및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에 미치는 효과

        신희지 德成女子大學校 大學院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온라인 수용전념치료가 스마트폰 과의존 여자대학생의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 지각된 스트레스 및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온라인 대학교 커뮤니티에 연구 참여 홍보물을 게시하여 참여를 희망하는 스마트폰 과의존 여자대학생을 모집했다. 참여자들은 무선할당을 통해 처치집단(n=16)과 대기통제집단(n=16)에 배정되었다. 처치집단은 온라인 화상회의 프로그램(ZOOM)을 활용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프로그램은 회기별 약 90분, 4주간 주 2회, 총 8회기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 활용된 연구 도구는 수용행동질문지(AAQ-16), 자기통제력 척도(SCS), 자아존중감 척도(RSES),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PSS), 성인용 스마트폰 중독 척도(SAPS-A)이며, 스마트폰 사용시간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스마트폰 사용시간(Screen Time)을 추가로 적어 제출하도록 했다. 참여자들은 프로그램 시작 전 사전검사, 프로그램 종료 시점에 사후검사를 실시했고, 프로그램 종료 6주 후 추후검사를 실시했다. 분석 결과, 처치집단은 대기통제집단에 비해 수용행동, 자기통제력 수준, 자아존중감 수준이 유의하게 증가했으며,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했다. 그러나, 지각된 스트레스는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 한국판 긍정정서 부정정서 경험 척도(K-SPANE)의 번안 및 타당화 연구

        한수완 徳成女子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Diner et al.(2011)의 긍정정서와 부정정서 경험 척도(Scale of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 , SPANE)를 번안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했다. 서울과 대전에 있는 대학 남녀 재학생 40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요인구조를 밝히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표준형성 적절성의 KMO(Kaiser-Meyer-Olkin) 측도는 .891로 적합한 수준이었으며, 원척도와 동일한 2개의 하위요인을 가지는 12개의 문항이 확정되었다. 최종 모형에 대한 신뢰도 분석 결과, 전체 문항 및 요인-문항 간 내적합치도는 긍정정서 문항들이 0.89, 부정정서 문항들이 0.85로 각각 양호한 것으로 확인 되었다. 다른 척도와의 수렴타당도 역시 적절하게 확보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한국판 긍정정서와 부정정서 경험 예비 척도가 비교적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및 추후연구에 대하여 논의 하였다. This research translated Scale of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 by Diner et al.(2011) to find ou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PANE. Total of 401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from Seoul and Daejon took the surve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used to figure out the factor structure. Kaiser-Meyer-Olin, measure for standard formability, resulted in appropriate level of 0.891. 12 items with two sub-factors equal to the original scale were established. As a result of the reliability analysis of the final model, the internal consistency between the total questions and between the factor and question was 0.89 for positive emotional questions and 0.85 for negative emotional questions. Convergence validity with other scale was also appropriately secu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Korean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 preliminary scale are relatively reliable and valid. Finally,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future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과 자비명상이 추가된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의 효과 : 만성근골격계 통증 환자를 중심으로

        박예나 德成女子大學校 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Choric Musculoskeletal patients often suffer from emotional distres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and also experience much discomfort in their lives. In order to help patients manage pain, it is important to deal with the emotional issues that accompany pain as well as offer them medical treatment. Even though there have been significant amount of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mindfulness meditation and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managing pain, psychological interventions are seldom applied in actual pain treatment clinics.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effects of and 7-weeks implementation of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Therapy and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Therapy Added Self-compassion Meditation on pain, quality of life, and psychological features in Chronic Musculoskeletal Pain Female patients. 18 Chronic Musculoskeletal Pain patients who were enrolled in internet participated, and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two meditation groups. The participants received 7 weekly sessions in mindfulness meditation training program, which take about 90 minutes each. Only Self-compassion Meditation group received 20 minutes added program. Measures included Visual Analog Scale(VAS), WHOQOL-BRIF, CES-D, State-Trait Anxiety Inventory-Y, Acceptance and Action Questionnaire-16 (AAQ-16), Experiences Questionnaire(EQ), Experiences scales (LSES). All the variables was measured at three time points: pre-, post-, and follow up implementation. The t-test results of the participants before and after the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ir Pain, Depression, and State Anxiety, but not in another positive psychological features. Added Self-compassion Meditation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all of measures. Added Self-compassion Meditation group had a unique effect on Acceptance, Experiences, Experiences. The follow-up implementation showed the persistence of beneficial changes. The utility of Mindfulness meditation and self-compassion meditation program, implication, and area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만성 근골격계 통증은 특별한 조직의 손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삶의 질을 낮추고 일상생활을 크게 방해하는 통증을 뜻한다. 지금까지 다분히 신체적인 것에 원인을 찾았던 만성 통증이 심리적인 것과 관련 있다는 것이 밝혀짐에 따라 만성통증을 심리적인 접근으로 치료하려는 다양한 노력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과 자비명상을 추가한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이 만성 근골격계 통증 감소 및 삶의 질 긍정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만성 근골격계 통증으로 병원에서 진단 및 치료를 받은 경험이 있는 환자를 인터넷으로 모집하여 무선 할당을 통해 마음챙김 집단에 10명 자비 명상이 추가된 마음챙김 집단에 10명으로 할당하였다. 두 집단 모두 총 7회기의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마음챙김 집단은 약 1시간 30분 과정, 자비명상을 결합한 마음챙김 집단은 약 1시간 50분 과정으로 20여분의 자비명상 교육과 실습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시각적 통증 사상 척도(VAS),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WHOQOL-BRIF), 통합적 한국판 CES-D, 상태-특성 불안검사 Y형, 탈중심화 척도(EQ), 삶의 만족예상 척도(LSES)이다. 최종적으로 마음챙김 집단 10명, 자비명상이 추가된 마음챙김 집단 8명의 데이터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마음챙김 집단은 처치 종료 2개월 후, 자비명상이 추가된 마음챙김 집단은 종료 1개월 후 각각 추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마음챙김 명상 집단은 통증, 우울, 상태불안이 유의하게 감소 하였고, 자비명상이 추가된 집단은 모든 척도에서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자비명상이 추가된 집단이 순수 마음챙김 명상 집단에 비해 더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지 확인한 결과 수용, 탈중심화, 삶의 만족 예상에서 더 큰 변화량을 보였다. 마음챙김 명상 집단은 2개월이 지난 추후 검사에서도 감소한 통증, 우울, 상태불안의 효과가 유지되었으며, 자비명상이 추가된 집단은 통증을 제외한 모든 척도에서 효과가 유지되었다.

      • 자기자비 명상이 여대생의 부정적 신체상에 미치는 효과

        김종은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부정적인 신체상을 겪고 있는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자기자비 명상이 객체화된 신체의식 수준과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및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D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대생 24명을 처치집단 13명, 대기통제 집단 11명으로 무선 할당하여 집단을 편성하였다. 처치집단을 대상으로 주 1회 50분 내외로 총 6회기의 자기자비 명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자기자비 명상 실시 전, 후에 한국판 객체화 신체의식 척도,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척도, 자기자비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를 실시하였고, 독립표본 t-검정을 사용하여 자료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두 집단은 전반적인 측정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자기자비 명상 집단에서 객체화된 신체의식인 신체 감시성 및 수치심이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내면화와 인식을 포함한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에서 전반적으로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은 자기자비 집단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mindful self-compassion on the negative body image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For the purpose, 24 female university students, suffered from the negative body image, were recruited and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n intervention group(n=13) or a control group(n=11). Then, each group was asked to assess body surveillance, body shame, and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including internalization and awareness, self-esteem at pre-test and post-test. This study found that the intervention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larger decreases in body surveillance, body shame and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including internalization and awareness, as well as a greater increase in self-esteem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mindful self-compassion could be useful for improving negative body image. Finally, limitation of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 자기자비명상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신체상 불만족, 신체 수치심, 자아존중감 및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 부정적인 신체상을 가진 여대생을 대상으로

        권예지 德成女子大學校 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자비명상 프로그램이 부정적인 신체상을 지닌 여대생의 신체상 만족도, 신체 수치심, 자아존중감 및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여대생을 대상으로 신체상 만족도를 조사하였으며, 신체상 불만족 점수가 상위 35%에 해당하며 참여를 희망하는 29명을 선별하여 무선할당을 통해 처치집단에 15명, 통제집단에 14명으로 할당하였다. 처치집단은 주 1회, 50내외로 총 6회기의 자기자비명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신체상 만족도 척도(BES), 자기자비 척도(K-SCS), 객체화된 신체의식 척도(K-OBCS)의 하위 요인인 신체 수치심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SES), 삶의 만족 척도(SWLS), 삶의 만족 예상 척도(LSES), 긍정 및 부정정서 척도(PANAS)이다. 최종적으로 처치집단 13명, 통제집단 12명의 데이터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이들은 처치 전, 후에 각각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처치 1개월 후 추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처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신체상 불만족, 신체 수치심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 및 삶의 만족 예상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긍정정서와 부정정서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처치의 효과로 감소한 신체상 불만족, 신체 수치심이 1개월이 지난 추후검사에서도 유의하게 유지되었으며, 증가한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 및 삶의 만족도 점수도 1개월이 지난 추후 검사에서 유의하게 유지되었다. 논의에서 전반적인 결론,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다루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compassion meditation program on body satisfaction, body shame, self-esteem and subjective well-being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with negative body image.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of this study were composed of upper 35%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negative body image. The 25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 6-week self-compassion meditation program group(N=13) or a control group(N=12). Measures were BES, K-SCS, K-OBCS, SES, which were measured three times: prior to intervention(pre-test), following intervention(post-test), and at one-month follow-up. Compared to control group, experimental group resulted in decreased body dissatisfaction and body shame as well as increased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and expectation of life satisfaction.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at post treatment in terms of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The one-month follow-up showed the persistence of beneficial changes. The utility of this self-compassion meditation program, implication, and area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