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원격영상교육에서 교육장소와 참여동기에 따른 학습동기유발과 학업성취도 비교연구 : 성인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신소영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급속한 과학기술문명의 발전을 토대로 새롭게 전개되고 있는 정보화사회는 정치·경제·사회·문화등 모든 분야에 걸쳐서 새로운 변화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는 인간 생활양식과 사회발전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전자 및 통신공학에 기초를 두고 정보통제 및 운용이 최고의 지배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특징을 가진 정보화사회는 산업사회와는 다른 양상을 띠는 사회임에 틀림없다. 따라서, 국가적으로나 국제적으로 정보화사회를 지향하는 노력은 이제 불가피한 추세일 뿐 아니라, 그러한 노력이 없이는 세계화를 지향하는 우리의 목표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1980년대 중반 이후 컴퓨터의 보급·이용의 확산과 함께 정부에서도 정보화사회에 대비한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사업의 일환으로 정보사회를 조기에 실현하기 위한 핵심수단인 초고속 정보 통신기반 구축 마련을 위하여 원격교육, 원격진료 시범사업 등 다양한 선행사업을 추진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원격교육을 통한 교육훈련과 학교교육으로 21세기 정보 시대에 전략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인재양성의 기반마련에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1995년 5월 31일 발표된 교육개혁방안의 비전으로 제시된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길이 활짝 열려진 열린교육사회, 평생학습사회의 건설" 과도 맥락을 같이 하고 있다. 원격 직업훈련 시스템도 정부의 열린교육사회, 평생학습사회 건설의 기반 마련을 위해 추진중인 사업의 일환으로, 현재 직업훈련을 목적으로 초고속 정보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기존의 원격교육이 인쇄매체 및 방송매체를 이용한 일 방향 교육이었다면 초고속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원격직업훈련 시스템은 교사와 학습자간에 실시간(real-time) 상호작용이 가능한 쌍방향 교육이다. 상호작용이 가능하다는 점은 기존의 원격교육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커다란 변화이기는 하나, 영상을 이용한 상호작용이라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호작용의 질적 문제로, 학습자의 학습동기유발 및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줄 수 있으리라 예상된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원격교육에 대한 연구는 원격 영상교육의 학습효과에 대한 자료제공 보다는 원격교육 사업에 대한 평가 및 발전방안, 시스템 활용방안,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등에 그쳐 원격 교육 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방향 제시가 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격직업훈련 시스템을 이용하여 직업훈련을 실시 중인 '한국산업인력공단'의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교육장소와 참여동기에 따른 학습동기유발 및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분석하여 원격교육 사업에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국과 자국에서 수업 받은 집단의 학습동기유발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참여동기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의 학습동기유발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참여동기와 교육장소는 학습동기유발에서 상호작용효과가 있는가? 넷째, 모국과 자국에서 수업 받은 집단의 학업성취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다섯째, 참여동기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의 학업성취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여섯째, 참여동기와 교육장소는 학업성취도에서 상호작용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는 1998년 4월 2일부터 5월 19일까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실시하였던 원격 직업훈련 프로그램 중 한식조리기능사 과정의 식품위생과목을 연구대상 과목으로 선정하고, 해당과목의 수강생을 연구대상 학습자로 선정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의 특성상 4회의 검사 및 평가에 참석하였던 모국인 본부의 수강생 45명과 자국인 대구기능대학의 수강생 39명의 자료만을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설문지 회수율은 1회 검사시 응답한 대상자를 기준으로 모국은 81.8%, 자국은 76.5%로 전체 79.2%의 회수율을 보였다. 학습자들의 참여 동기조사를 위해서는 Roger Boshier의 E. P .S(Educational Participation Scale)를 참고로 최운실(1985), 장영미(1985)등이 제작·사용하였던 도구를 참조하여 연구자가 작성하였고, 참여동기 측정검사지는 사회적 관계형성, 외적기대충족, 사회적 인정 및 참여, 현상의 변화와 발전, 직업적 성취 및 발전, 지적인 흥미, 자기발전·자아실현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학습자 동기유발 측정 검사지는 주의력,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의 네 가지 영역을 측정하는 Keller(1987)의 The Course Interest Survey를 번안 사용한 김서영(1996)의 검사지를 연구자가 교육특성에 맞게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학업성취도 조사를 위해서는 대상과목인 식품위생의 담당강사에게 수업시간에 다루어진 내용에 대한 검사지를 작성토록 의뢰하였으며, 한식조리 기능사 자격시험 수준에 준하여 작성된 검사지 문항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자들에게 학습 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모국과 자국 집단의 동일성 검사를 위한 사전평가와 참여동기 측정은 강의를 시작하는 첫날인 4월 2일 수업시작전에 실시하였으며, 학습동기 유발에 관한 측정과 학습 후 평가는 수업 마지막날인 4월 28일 강의 직후 실시하였다. 이렇게 이루어진 참여동기와 학습동기 측정은 리커트 척도를 점수화하여 요인별 평균 및 전체 평균점수를 활용하고 학업성취도 측정을 위한 평가는 20문항을 1문항당 5점으로 배점하여 100점 만점으로 계산하였다. 조사된 자료를 이용하여 학습자들의 배경별 빈도를 계산하여 모국과 자국의 학습자들의 특성을 분석하였고, 사전평가에 의해 모국과 자국 두집단의 동일성이 검증되어 학습 후 평가점수로 학업성취도를 비교하였다. 참여동기는 평점을 기준으로 참여동기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분류하여 교육장소와 참여동기에 따른 학습동기유발과 학업성취도에 대한 영향을 Two-Way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밖에 성별, 학력, 연령 등이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이루어진 원격영상교육에서 모국과 자국의 학습동기유발 점수를 분석한 결과 자국의 학습동기유발 점수가 모국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F=.14, df=1, p>.05) 그러나, 학습동기유발의 하위요소별로 비교해보면 만족감 (t=1.98, df=82, p>.05)은 모국과 자국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지만, 자신감(t=2.14, df=82, p<.05), 주의력(t=4.49, df=82, p<.05)에 대해서는 모국이 자국보다 높고, 관련성(t=-2.61, df=82, p<.05)은 자국이 모국보다 높았다. 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참여동기에 따른 학습동기유발에서는 유의도 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학습동기유발에서 교육장소와 참여동기의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한 결과 유의미하게 나타났다(F=4.40, df=1, p<.05).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참여동기가 낮은 집단은 자국에서의 교육이, 참여동기가 높은 집단은 모국에서의 교육이 더 학습동기유발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넷째, 모국과 자국의 학업성취도를 분석한 결과 모국이 자국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도 수준 .05에서 유의미하지 않기 때문에 모국과 자국에서의 학업성취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참여동기에 따른 학업성취도에서는 참여동기가 높은 집단이 참여도가 낮은 집단보다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F=5.03, df=1, p<.05). 여섯째, 학업성취도에서 교육장소와 참여동기의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한 결과 유의도 수준 .05에서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일곱째, 그밖에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 요인에는 연령(F=4.0, df=5, p<.05) 성별(F=7.63, df=1, p<.05)이 있으나, 성별에 의해서 학업성취도가 영향을 받은 것은 과목의 특성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사료되며, 연령에 따른 학업성취도를 살펴보면 30대 이전의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가 가장 높고, 40대 중반 이후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0대 중반 이후 40대 중반 이전의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정부에서는 21세기 정보시대에 대비한 교육개혁 방안으로. 초고속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원격교육을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이를 점진적으로 확대 실시하려고 계획 중이다. 그러나, 원격영상 교육의 학습효과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있지 않아 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되며, 이에 연구자는 원격영상교육과 면대면 교육에서의 학습동기유발 및 학업성취도에 대한 비교로 학습효과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원격영상 교육과 면대면 교육간의 학습동기유발과 학업성취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학습효과에서 원격영상 교육은 면대면 교육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원격영상 교육이 학습효과면에서 면대면 교육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면, 시·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원격영상 교육은 한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교육내용을 통신망이 연결된 모든 사이트(site)에서 공유할 수 있다는 점과 실시간 상호작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으로, 자발적이고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을 이끌어 가는 성인교육에 있어서 무한한 잠재적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원격영상 교육이 시·공간의 문제를 해결해주고 강사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는 반면, 시스템 설치 대한 막대한 비용과 유자보수 및 통신망 사용에 대한 비용 부담으로 이에 대한 국가적인 지원 없이는 원격 영상교육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가 어려울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참여동기는 성인학습자의 학습참여 뿐만 아니라, 학업성취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성인학습 프로그램 개발시 학습자들의 참여동기를 고려하도록 하고 학습자들의 참여동기가 지속될 수 있는 교육 내용구성 및 환경조성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셋째, 참여동기와 교육장소의 상호작용효과에서는 참여동기가 낮은 집단은 원격영상 교육이, 참여동기가 높은 집단은 면대면 교육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참여동기가 낮은 집단의 새로운 매체에 대한 호기심이 학습동기유발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참여동기가 낮은 집단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매체를 활용한 교수기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넷째, 그 밖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성별, 연령 등으로 나타났으며, 오히려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 학력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영향은 과목의 특성에 따른 것으로 사료되며, 연령에 따른 학습효과의 차이에서 30대 이전의 학습자와 40대 중반 이후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가 높고, 30대 중반 이후 40대 중반 이전의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 것은 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대상자의 대부분이 여성이고, 이 시기의 여성들에게는 가사 및 자녀양육에 대한 부담감으로 학업에 전념할 수 없었던 요인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에 따라 자격증 취득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대상자 선정에서 학력 및 연령을 제한할 필요는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한국산업인력공단의 원격영상교육 사례에 국한하여 분석되었기 때문에 교사변인, 학습자변인, 그리고 과목변인에 따라 다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어 본 연구결과를 모든 상황·과목에 일반화시키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학습자들의 참여동기를 참여자들의 평점을 기준으로 참여동기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분류하였으나, 학습자들의 대부분이 자격증 취득을 목표로 참여하는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어 전체적인 참여동기가 높고 개인별 참여동기의 차가 많지 않은 상태에서 분류를 하였기 때문에 이들을 엄격히 참여동기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나누는 데에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보완한 유사 연구들이 향후 수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In the present high-speed information era, dramatic development in science and technology have brought new education systems, so called distance education system. In particular, televised education employing teleconferencing system enables the educator and the learner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ime and space. Unlike the existing distance education systems, advanced distance education provides a simultaneous two-way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 however, since the system still contains the fundamental limits of an indirect medium, different results in learning achievement are expected from those produced in classroom face-to-face settings. Targeting adul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vocational training program through a Video Conferencing System provide by Korean Manpower agency, a recent study investigated the following questions : What is the main effect of media, on-site and remote-site, on student s motivation and achievement? ; what is the main effect of participation motivation on student s motivation and achievement? ; and is interaction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medium significant in terms of the student s motivation and achievement? The results revealed that an insignificant main effect of medium on student motivation and achievement, p>.05 ; an insignificant main effect of participation motivation on triggering student s motivation, p>.05 ; a significant main effect of participation motivation on student's achievement, p<.05, and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the medium in terms of not student achievement, p>.05 but student motivation, p<.05. Based up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and suggestions have been addressed. First of all, for a Video Conferencing System creates similar effects on learning as a face-to-face traditional system, the system has an unlimited potential for open and lifelong adult education, taking advantages of its capacity to transcend time and space, to increase real-time interaction with the instructor, to reduce travel time for students and teachers, and also to reduce spending for school employers and educators. However, since this technology- based, distance learning system requires tremendous cost f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maintaining high quality of distance education requires government-level support. Secondly, since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has a great impact on the adult learner s achievement level, further study is suggested to create the basic environment for an effective education, of planning, designing and implementation for a nationwide distance learning system based upon the learner's participation motivation level. Thirdly, a distance education setting is more effective in low-leveled participation motivation group; and a face-to-face education setting is more effective in high-leveled participation motivation group. Presuming that the new medium, technology-based setting triggered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of the low-leveled participation motivation group, further pedagogical study using the medium is suggested to improve the achievement of the low-leveled participation motivation group. Lastly, because this study was limited to a Video Conferencing Education Program provided by Korean Manpower Agency, it is premature to generalize from it. Therefore, similar studies are anticipated in the future to support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 사이공간의 意味와 空間的 特性에 관한 연구

        신소영 건국대학교 건축전문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에게 있어서 공간이란 더 이상 벽에 의해서 에워싸여 있는 것이 아니라 건물을 둘러싸는 공간과 그 공간을 사용하는 사용자 사이에 공간 체험에 의한 새로운 인지적 관계가 존재하고 있다는 것이다. 자연이나 자연 현상으로 만들어진 형태는 인간의 조형사고에 대하여 강한 영향력을 미친다는 것을 부정할 수 없고, 인간이 창조해낸 형태에는 자연형태와 또 자연형태와는 별도로 인간 고유의 활동, 즉 조형사고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것이 있다. 도시공공환경의 수립은 자연의 공간 생성과 변화에서 문화적 실천이 중요한 항목이 된다. 그러므로 공간의 문화적 의미변천 과정 등에 대한 연구와 자료축적이 필요하다. 또한, 도시환경과 인간이 만들어낸 형체와의 관련은 어떤 시점 특성에 의한 자연적 주변 환경에 적용되는 개념에서 '사이'의 역할을 중요하게 인식 반응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오늘날의 도시환경이 다양한 기능으로 밀집, 분화되고 혼재되어 있는 현시점에서 계속되는 무계획적인 고층 건물 군의 형성은 도시 오픈 스페이스(open space)가 도시 생활에 필수적인 사회공간으로서의 의미를 갖고 가치를 지니게 한다. 사이공간은 이러한 환경 적인 여건 하에서 인간을 향한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지원성으로 생명력 있는 유기체적 환경을 구성하여 공간의 경계를 넘어 공·사와 관계없이 도시의 기능을 체계적으로 순환하도록 한다. 이렇듯 잘 계획된 사이공간은 개인의 자율성을 제공하는 프라이버시 획득을 위한 개인적 공간과 개인, 집단에 대한 대인관계의 연결망으로서 공동체를 위한 공적기능의 기능으로 인간의 행태를 조절하는 인공환경으로 가치를 지닌다. 본 연구는 도시공공환경의 활성화 매개체로서의 사이공간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인간에게 정서적 만족과 적극적인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로서, 피상적인 개념에서 벗어나 공간의 기본요소로서의 본질을 해석함으로써, 공간 적용 시 그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1. 자료, 문헌조사방법을 통하여 사이공간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과 도시환경의 이미지를 결정하는 장소의 정체성을 설명함으로서 그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2. 공간의 이미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보완 분리의 상호 연관된 공간으로서, 기능별 영역사이의 요소로 분석하였고, 또한 전통 건축에서 사이공간의 의미를 고찰하고 공간구성의 표현요소를 제시하였다. 3. 앞서 연구한 내용들을 수용하는 국내, 국외 환경내 공간을 유형별로 나누어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디자인 문제의 해결을 위한 근거로 하였다. 4. 대상지 에서의 행태 분석과 디자인 적용사례를 통해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는 기초를 마련하고 위의 이론적 틀을 바탕으로 사이공간의 상호작용을 활성화하는 장으로서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위와 같이 본 연구는 인간과 환경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하는 연구 방법의 필요성을 강조함에 따라 사이공간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는 측면에서 사이공간의 디자인에 관한 연구의 가치와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Space is not surrounded by the wall, it has legal recognition between human who use the space and buildings. Feature is made from natural or natural phenomena which has an important effect on human modeling-thinking. Feature is made from human who has activity of human characteristics. Establishment of urban-public-environment is an important item in creation of region and variation. Then it needs investigation and research about 'Meaning development processing' of space. Also, between urban-environment and feature is made by human react recognition role of 'In-between space' as natural environment. Also, these days urban-environment is mixed and separated So, today's un-intentional establishment of high-rise building has worth as indispensable society space. In-between space is made up environment condition which are positive and activation and pass a boundary of space that systematically circulates function of urban. So, well-planned in-between space has value which is controled by public function for community as connection rule of personal relation about a group. This investigation emphasis in-between space's importance as activation intermediation of urban public environment and this investigation has an object to furnish its basic data. So, it process this investigation as next processes. 1. For the subject of research, it would be found general idea and character that decide urban environment images. 2. As in-between space is functional space and one of important element which decide space images in-between space is consider it suggest meaning of in-between space in tradition architecture and expression element of space composition. 3. In order to result, it analysis space's type in internal external element and it would be based to solve a design topic. 4. Through analyzing of the subject area and design application example, it plans basic and based up on it. In-between space designed as activation boundary reciprocal action. As a result. this investigation emphasis necessity of study method in relation ship of between human and environment. In this way, in-between space raise quality of living, therefore it has meaning and value of study about space design.

      • 어린이집 교사관련 학위논문 분석

        신소영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영․유아보육법이 제정․시행된 1991년부터 2010년까지 어린이집 교사와 관련하여 연구가 이루어진 박사학위논문 21편, 석사학위논문 519편, 총 540편의 석․박사학위 논문의 전체적인 경향과 연구내용, 연구방법을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토대로 현재까지 이루어진 어린이집 교사와 관련된 연구 경향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앞으로 이루어질 어린이집 교사 관련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어린이집 교사관련 학위논문에서 다루어진 연구내용을 알아본다. 2. 어린이집 교사관련 학위논문에서 사용한 연구방법을 알아본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논문은 영․유아보육법이 제정․시행된 1991년부터 2010년까지 발표된 어린이집 교사와 관련한 석․박사 학위논문 총 540편이다. 분석에 사용한 연구도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내용의 내용분류 기준은 고선미(2000)의 유아교사관련 동향연구와 방혜경(2008)의 유아교사 장학관련 학위논문 경향분석에서 사용된 기술적 접근법에 의한 내용분류 기준을 참조하여 본 연구자가 공통영역을 구성하고 하위영역을 다음과 같이 모두 7개 범주로 분류하여 연구내용별 분류기준을 작성하였다. ① 교사에게 영향을 주는 요인만을 연구한 연구, ② 교사교육과정만을 연구한 연구, ③ 교사의 행동만을 연구한 연구를 단일체계 연구로 분류하되 ①, ②, ③이 서로 연결된 연구, 예를 들면 ① 교사에게 영향을 주는 요인과 교사교육과정이 연결된 연구, ② 교사교육과정과 교사의 행동이 연결된 연구, ③ 교사에게 영향을 주는 요인과 교사의 행동이 연결된 연구 ④ 교사에게 영향을 주는 요인과 교사교육과정 및 교사의 행동이 연결된 연구는 연결체계 연구로 분류하였다. 둘째, 연구방법에 대한 분류기준은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양적연구, 질적연구, 양적연구와 질적 연구가 동시에 사용된 혼합연구, 기타연구(문헌연구)로 분류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수집 방법은 이문옥 외(2006)와 최미숙, 황윤세(2004)의 연구를 기초로 검사, 관찰, 면담, 질문지, 문서로 나누어 분류하였고 표집크기는 한태숙․김연․황혜정(2002)과 박희숙(2007)의 연구에서의 분류기준에 기초하여 양적 연구표집 규모로 50명 미만, 50~100명, 101~200명, 201~300명, 301명이상으로, 질적 연구표집 규모로 1~5명, 6~10명, 11~15명, 16~20명, 21명이상으로 구분, 분류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하였다. 연구절차는 다음과 같다. 동향분석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분석기준을 설정하고 논문분석기준표를 작성한 후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는 2011년 8월 30일부터 9월 2일에 걸쳐 분석대상 논문 중 단순무선표집방법으로 100개를 선정하여 분석된 내용을 논문 분석기준표에 기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분석기준을 수정․보완하였다. 본 조사는 예비조사에서 수정․보완된 연구내용 분류와 연구 방법분류 기준에 의거하여 2011년 12월 1차 분류, 2012년 2월 2차 분류를 거쳐 최종적으로 2012년 4월 23일부터 4월 30일까지 수행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자의 분류가 명확하지 않은 연구내용에 대해서는 유아교육전문가 3인에게 자문을 구하여 최종 결정을 내렸다. 자료 분석은 SPS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두 빈도와 백분율로 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대상 학위논문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보면, 시기별로는 1993년에 1편으로 시작해 1996년과 2004년에 감소한 것을 제외하고 2010년까지 매년 1-39편 사이로 증가하였고, 학위별로는 석사학위 논문의 수량이 519편(96.1%)으로 박사학위 논문 21편(3.9%)에 비해 월등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속 기관별로는 행정대학원․공공정책대학원 등 기타대학원이 241편(44.6%)으로 가장 많았다. 이를 종합해보면 어린이집 교사와 관련한 학위논문의 수는 증가추세에 있으며 행정대학원․공공정책대학원 등의 기타 대학원 석사과정에서 활발하게 연구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둘째, 어린이집 교사 관련 학위논문의 연구내용의 경향은 단일체계 연구가 연결체계 연구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일체계 내용 중에서는 교사의 행동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에 따른 하위영역의 경향을 살펴보면, 교사의 행동범주의 하위 영역에서는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태에 관한 연구가, 교사에게 영향을 주는 요인의 범주의 하위 영역에서는 정치적/사회적 상황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그러나 교사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였고 현직 연수에만 편중되게 연구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실습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셋째, 어린이집 교사와 관련하여 이루어진 연구의 연구방법 경향에서는 연구 유형에서는 양적 연구가, 자료수집 방법에서는 질문지법이, 표집크기에 있어서는 양적 표집크기는 201-300명, 질적 표집크기 1-5명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이를 종합해보면, 어린이집 교사와 관련한 국내 석․박사 논문은 증가추세에 있으며 교사의 행동에 관한 내용으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고, 교사교육과정에 관한 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and to analyze 540 master's and doctoral theses on, the daycare center teachers published in between 1991 and 2010, in order to provide some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research on this topic. Two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were the contents of theses and dissertations related to daycare center teachers about? 2. What kinds of research method were used in the theses and dissertations related to daycare center teachers? 540 master's and doctoral theses that were associated with daycare center teachers were selected, which were presented in between 1991, the year that the infant care and education act came into force, and 2001.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prepared by laying out classification criteria after common areas were selected and the subareas of the common areas were categorized into seven. The first was the studies that examined only teacher-affecting factors, and the second was the studies that examined only curriculums geared toward nurturing teachers. The third was studies that examined teacher behavior only. These three categories were defined as studies of a single approach, and there were four more categories that were defined as studies of multiple approaches. The first was the studies that examined both of teacher-affecting factors and curriculums geared toward nurturing teachers, and the second was the studies that examined both of curriculum geared toward nurturing teachers and teacher behavior. The third was the studies that examined all the teacher-affecting factors, curriculum and teacher behavior. Second, the classification criteria were prepared by modifying the criteria of earlier studies to ser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tudies were classified into four according to the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research of mixing both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and literatural e study. The methods of data collection were divided into four venues: test, observation, interview, questionnaire and documentation. As for the sampling size, the sampling size of the quantitative studies was divided into five: less than 50 subjects, between 50 and 100 subjects, between 101 and 200, between 201 and 300, and 301 or more. That of the qualitative studies was divided into five as well: between 1 and 5 subjects, between 6 and 10, between 11 and 15, between 16 and 20, and 21 or m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following procedure: After the analysis criteria were selected based on earlier studies of trend analysis, a list of the analysis criteria was made. And then a preliminary analysis was conducted to modify the analysis criteri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criteria that were finali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liminary analysis.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18.0 was employed to obtain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a pervasive trend in the theses and dissertations, there was a tendency that the number of the theses and dissertations related to daycare center teachers was on the rise. Many of the studies were conducted by those who took the master's course at graduate schools such as graduate schools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graduate schools of public policy, which were mentioned as the other sorts of graduate schools in this study. Second, regarding a trend in the content of the these and dissertations related to daycare center teachers, the studies of a single approach outnumbered the studies of multiple approaches. Among the former, the studies of teacher behavior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Among the subfactors of teacher behavior, the greatest number of the studies investigated awareness and state of education. Among the subfactors of teacher-affecting factors, the biggest numbers of the studies examined political and social circumstances. Not many research existed on the investigated curriculum geared toward nurturing teachers, and the studies leaned toward inservice education. Few studies investigated student teaching. Third, as to a trend in the research methods of the studies related to daycare center teachers, the quantitative studies were majority in number in terms of the type of research. As for the method of data collection, the questionnaire method was most prevailing. In terms of sampling size, the most common sampling size of the quantitative studies was between 201 and 300 subjects, and that of the qualitative studies was between 1 and 5.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the domestic theses and dissertations related to daycare center teachers was on an increasing trend. Many studies examined regarding teacher behavior, and there was lack of study on the curriculums geared toward nurturing teachers. In conclusion, the quantitative studies were more dominant, and the questionnaire method was most prevailing in terms of the method of 540 master's and doctoral theses published since the 1990s up to present . As for sampling size, the sampling size of the quantitative studies was between 201 and 300, and that of the qualitative studies was between 1 and 5.

      • 뮤지컬 보컬 코치 연구

        신소영 단국대학교 대중문화예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 뮤지컬(Musical) 역사가 불과 40년이라는 점에서 비추어 볼 때, 1990년대부터 공연 편수가 늘고 뮤지컬 전문 극단이 생성되었으며 해외 시장을 섭렵하는 창작 뮤지컬까지 생겨났다는 것은 놀라운 발전이다. 그러나 영국과 유럽, 미국 브로드웨이가 세계적인 뮤지컬 작품을 생산해 낼 수 있었던 기반이 작품을 위해 끊임없이 연구하는 창작자들의 노력과 그것을 뒷받침해 줄만한 사회적, 교육적 시스템이 잘 장착되었기 때문이라는 점을 조명해 볼 때 한국 뮤지컬은 여전히 많은 과제를 떠안고 있다. 이것은 뮤지컬의 발생지부터가 한국이 아니라는 점에서 현재 겪을 수밖에 없는 과도기적 현상으로 보기도 한다. 한국에서 상업적 수익을 차지하는 대부분은 여전히 라이센스 작품이고 뮤지컬 제작 여건과 무대 및 극장 환경은 크게 나아지지 않았다. 단순히 브로드웨이 공연물을 답습하고 따라잡는 공연 외적 성장에만 그칠 것이 아니라면 예술적 궤도에 올릴 수 있는 양질의 한국 뮤지컬 ‘작품 만들기’에 고심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이를 뒷받침 해줄만한 극단의 체계화된 구조와 전문화된 인력이 시급한 실정이다. 특히, 뮤지컬이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는 종합 예술인 만큼 음악, 안무, 연기 등 다양한 장르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극작가와 작곡가 그리고 탁월한 작품 해석 능력을 가진 뮤지컬 전문 연출가의 역할도 절대적인데 이 분야의 전문성이 결여되고 있으며, 배우 발성에 있어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보컬 코치의 부재도 한국 뮤지컬계가 안고 있는 문제점으로 대두된다. 보컬 훈련은 한 배우가 무대에서 관객과 함께 호흡하고 배우와 관객 사이의 의사소통 및 감정 교류를 목적으로 하는 대단히 기초적인 부분이기에 연기나 음악 부분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다. 요즘 각 대학교 마다 뮤지컬 관련 학과들이 팽창하고 최근 한국에서도 뮤지컬 전문 교육 기관이 설립되고 있는데 그러한 현상은 한국 뮤지컬의 질적 향상과 발전을 위해서 환영할 일이다. 한국 창작 뮤지컬이 발전되려면 제작 환경부터 달라져야 한다. 한국은 공연 자본이 풍부하지 않을 뿐더러 시간적 여유마저 없는 상태다. 환경상 작품의 질적 향상에 소홀할 수밖에 없으며 그 만큼 완성도가 떨어지는 작품이 양산될 수밖에 없는 결과를 초래한다. 한국 대기업들도 당장의 수익만을 보장하는 대형 뮤지컬 작품에만 투자할 것이 아니라 작품성 있는 소규모 창작 뮤지컬에까지 관심을 기울이는 거시적 관점을 가져야 할 것이다. 그리하여 한국 뮤지컬이 수입 뮤지컬에 흡수되어 일시적 유흥거리로만 남게 될 상업적 오락물이 아닌, 당당한 한국 공연 예술 문화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기를 바란다. With the fact that Korea has merely forty-year history of musicals, having increased number of performances since 1990s, established professional theater groups, and having creative-musicals performed worldwide can be considered as a significant growth. However, considering England and other countries in Europe as well as American Broadway are able to produce worldly recognized musical performances as a result of the endless efforts of the musical producers and their well established social and educational system that can support them, Korean musicals still have many problems. Since Musical was not originated from Korea, this can be thought as the period of progression we have to overcome. The profitable earnings in Korea are still mainly from licensed Musical performances, and the musical producing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for stages as well as the musical theaters didn’t get better. If our goal is not merely to follow and mimic Broadway performances which will lead us only to be good at performing techniques, we have to be serious in production of artistic musicals that are good enough to be able to compete with others. In order to do so, we urgently need well organized system of performing theaters and the professional brainpower which can help us to be better in this field. Especially, since Musical is a “synthesized art,” a combination of various genres, we need playwrights and composers who have a broad knowledge and would understand various fields such as music, dancing, and acting. We also definitely need the role of professional musical directors who have excellent talent in interpretations. However, we have lack of professionalism in this area. A shortage of vocal coach, who is very important for actors making good sounds, is also the current situation in Korean musicals. Vocal training is the fundamental part which is very important for an actor to interact, communicate, and deliver his/her feel! ings to the audience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in acting or singing. Recently, many colleges or universities expand their musical departments, and there are many professional musical institutions being established. Such a trend is a good signal because it will develop and improve the quality of musical art. For Korean creative-musicals to be improved, its working environment should be changed first. There are not enough funds for musical performances and its preparing time is very limited as well. Due to such a condition, we are more likely to fail to work on the quality of the performances, and this will lead us to produce musicals far from perfection. Large companies in Korea should not just invest in major musicals that guarantee the instant profits but also should have macroscopic insights and consider other minor musical creations that have artistic potentials. With this change, I wish Korean Musicals not be assimilated into foreign musicals to remain as an object of temporary entertainment or profit-making games but positions itself with dignity in Korea as a new culture of musical performing art.

      • 추상표현 중심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개발과 프로그램이 통합학급 장애학생의 내재화 증상에 미치는 효과

        신소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중 ? 고등학교 통합학급에 배치된 장애학생의 과반수가 내재화 증상을 보인다. 미술치료는 억압된 감정을 자연스럽고 다양하게 표출하고 승화시켜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촉진함으로써 내재화 증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미술치료는 장애학생의 특성과 문제증상에 따른 다양한 기법과 프로그램을 적절하게 적용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형태의 추상표현 중심 미술치료 방법을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에 따라 이 연구는 통합학급 장애학생의 내재화 증상 감소를 위한 추상표현 중심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는 김창대 등(2011)의 상담 프로그램 개발 모형에 근거하여 목표 수립, 프로그램 구성, 예비연구 실행 및 평가, 본 프로그램 실시와 개선 절차를 거쳐 추상표현 중심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3단계(시작, 중간, 종결)로 구성된 총 20회기의 추상표현 중심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에 적용된 주요 기법은 난화그리기, 액션페인팅, 음악 듣고 즉흥적 감정 표현하기, 색면회화의 표현과 감상 등이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10명의 통합학급 장애학생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이들은 모두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 교사용(TRF)의 내재화 증상 점수가 임상범위에 해당하였다. 10명의 연구대상자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균형집단 편성의 방법을 활용하여 무선할당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질적 자료 분석 방법과 양적자료 분석 방법을 함께 사용하였다. 질적 자료 분석에서는 HTP를 활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그림과 사후 그림에 나타난 내재화 증상 특성을 비교하였다. 양적 자료 분석에서는 프로그램 적용 전?후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TRF 내재화 증상 점수, 하위척도인 불안/우울, 위축/우울 점수에 대한 차검증(두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HTP 사전 검사에 비해 사후 검사에서 내재화 증상이 많이 감소하였다. 반면에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은 HTP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에 나타난 내재화 증상이 별 변화가 없었다. 둘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TRF 내재화 증상 점수가 의미있게 더 낮았다. 셋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TRF 불안/우울 하위척도 점수가 의미있게 더 낮았다. 넷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TRF 위축/우울 하위척도 점수가 의미있게 더 낮았다. 이렇게 볼 때, 본 추상표현 중심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향후 내재화 증상을 겪는 통합학급 장애학생들의 정서적 어려움을 완화시켜줌으로써 학교적응과 교우관계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More than half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rooms at the secondary school are showing internalizing symptoms(anxious/depressed, withdrawn/depressed, somatic complaints, and social problems). Art therapy has been an effective way to let students with disabilities express repressed emotions naturally as well as facilitate their communication, resulting in diminishing their internalizing symptoms. However, the existing art therapy has applied the same techniques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with various characteristics. Abstract expression-centered art therapy program should be developed to apply appropriate techniques for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u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bstract expression-centered art therapy program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the symptoms of internaliz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rooms. Based on the counseling program development model(Kim, et al., 2011), abstract expression-centered art therapy program was developed. The program consisted of 3 stages(beginning, intermediate, and concluding) and 20 sessions. The program’s major techniques included squiggle-drawing, action painting, spontaneous drawing while listening musics, and color painting. Based on the results of TRF, ten students with disabilities as well as internalizing symptoms in inclusive classrooms were recruited. This participants were placed by random assignment of balancing group sampling into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es were u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bstract expression-centered art therapy program on internalizing symptom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results of pre-HTP and post-HTP tests were used for qualitative analysis while the results of pre-TRF and post-TRF were used for quantitative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the followings. First,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internalizing symptoms in HTP results significantly lower than before, while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 showed no differences in internalizing symptoms. Second,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internalizing scores in TRF significantly lower than before, while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 showed no differences in internalizing symptoms. Third,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nxiety/depression scores in TRF subtest significantly lower than before, while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 showed no differences in anxiety/depression scores. Fourth,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withdrawn/depression scores in TRF subtest significantly lower than before, while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 showed no differences in withdrawn/depression scores. Based on the results, abstract expression-centered art therapy program can alleviate internalizing symptom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rooms and help them adjust school life and have good friendships. And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future study.

      • 탐구적 과학 글쓰기 수업이 중학생들의 요약 글쓰기와 논리적 사고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신소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탐구적 과학 글쓰기(SWH; Science Writing Heuristic) 수업은 논의와 글쓰기가 접목된 탐구 과학 수업이다. 본 연구는 이 수업을 학교 현장에 투입하여 SWH가 요약 글쓰기(SW; Summary Writing)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논리적 사고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학업 성취도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대도시 소재 여자 중학교 2학년 4개반을 선정하고 2개반씩 비교 집단(72명)과 실험 집단(60명)으로 임의 배치하였다. 연구 기간은 2009년 3월부터 2009년 12월까지였고 이 기간 동안 연구 대상에게 모든 처치와 검사를 실시하였다. 처치는 실험 집단에 SWH 수업 7차시를 실시하였고 비교 집단에서는 교과서 위주의 강의식 수업 및 안내된 실험 수업을 실시하였다. 두 집단 모두 수업은 연구자가 진행하였다. 결과 분석은 수업 처치에 따른 비교 집단과 실험 집단 전체를 비교·분석하고 진단 평가 점수를 구획 변인으로 각 집단을 상위권과 하위권으로 나눈 뒤 수업 처치와 상·하위권 사이의 상호작용 유무를 판단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상호작용 효과가 있을 경우 각각의 수업 처치 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은 모두 사전검사를 공변량으로 한 공분산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요약 글쓰기의 하위 영역 중 핵심 개념(big idea) 영역과 과학 개념 설명 영역에서 탐구적 과학 글쓰기 수업 처치에 의한 비교 집단과 실험 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핵심 개념 점수는 학습 목표 인식 정도와 관계가 깊고 과학 개념 설명 점수는 과학 개념의 이해 정도와 관계가 깊으므로 탐구적 과학 글쓰기 수업은 학생들의 학습 목표를 인식하는 데 도움을 주고 과학 개념의 이해를 도와준다고 볼 수 있다. 둘째, 학생들의 논리적 사고에서 탐구적 과학 글쓰기 수업 처치에 의한 비교 집단과 실험 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논리적 사고 검사는 GALT 축소본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는데 GALT 검사지는 학생들의 논리적 사고 수준을 나타내는 척도이므로 탐구적 과학 글쓰기 수업은 학생들의 논리적 사고력을 높여 준다고 볼 수 있다. 셋째,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에서 탐구적 과학 글쓰기 수업 처치에 의한 비교 집단과 실험 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또한 수업 처치와 구획 변인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도 나타났다(p<.05).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으로 나누어 공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탐구적 과학 글쓰기 수업은 하위 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학업 성취도 검사는 과학 교과서 내의 과학 개념을 평가하는 검사이므로 탐구적 과학 글쓰기 수업은 학생들의 과학 개념 이해를 높여 준다고 볼 수 있다. 이 결과는 앞서 탐구적 과학 글쓰기 수업이 요약 글쓰기의 과학 개념 설명 영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과 상통한다. 이때, 상위 집단 학생들보다 하위 집단 학생들에게 그 효과는 큰 것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탐구적 과학 글쓰기 수업은 학생들의 핵심 개념 파악 능력, 과학 개념의 이해능력, 논리적 사고 향상, 학업 성취도 향상에 유의미한 차이를 유발한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논의 과정 요소의 사용과 글쓰기 형식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왔는데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선행연구 결과를 참고할 때, 이 같은 결과의 원인 분석과 이에 대한 연구가 앞으로도 계속되어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SWH) teaching on Summary Writing, Cognitive levels and the Achivement of learning. 132 students attending to co-ed middle school were selected for the study and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 The teaching using SWH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traditional one led by teacher's lecturing was applied to the comparative group. Summary Writing test, Cognitive level test(GALT) and the Achivement of learning test were administered twice before and after the instruction peri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nd were treated with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WH teach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tudents' abilities of finding the main theme or subject and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words that be used in science. Second, SWH teach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tudents' cognitive levels. Third, SWH teach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tudents' the achivement of lear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SWH teaching was effective on abilities of finding the main theme or subject,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words that be used in science, cognitive levels and the achivement of learning. Therefore, implementation of SWH teaching will improve standard of the Science Teaching -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