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힐베르트 공간상의 트레이스류에 대한 연구

        신소영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수열 공간 의 비가환적 일반화는 트레이스류 연산자(trace-class operator)의 공간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유계인 연산자(bounded operator)의 공간은 유계인 수열의 공간 비가환 버전이고, 컴팩트 연산자(compact operator)의 공간은 0으로 수렴하는 수열의 공간 의 일반화이다. 이 세 개의 수열 공간 , , 는 쌍대 관계가 있음이 잘 알려져 있으며, 이 쌍대관계는 이 수열공간들에 대응되는 비가환 버전인 연산자 공간들의 관계로 일반화 될 수 있음을 이 논문에서 보이고자 한다. The space of trace-class operators may be considered as a noncommutative analogue of which is a space of sequences. Similarly, the space of bounded operators is a noncommutative version of the space of bounded sequences and the space of compact operators is a noncommutative generalization of the space of sequences which converge to . The above three spaces of sequences are related as is the dual of and is the dual of . In the present thesis, we show that these duality relations can be generalized to the noncommutative versions. More specifically, the space of bounded operators is shown to be the dual of the space of trace-class operators and the space of trace-class operators is the dual of the space of compact operator.

      • 강원도 내 교육부 지정 학생오케스트라 운영실태 분석 : 3년차 운영학교를 중심으로

        신소영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2011년 시작된 교육부 지원 학생오케스트라 사업의 강원도 내 중·고등학교 운영 실태를 알아보고 학생오케스트라 사업의 개선점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생오케스트라의 모델인 베네수엘라의 ‘엘 시스테마’ 사업을 살펴보고 한국의 엘 시스테마 사업인 문화체육관광부의 ‘꿈의 오케스트라’와 교육부의 ‘학생오케스트라’를 살펴보았다. 이 논문의 대상은 강원도 내 교육부지정 학생오케스트라 학교 중 2년 이상 운영 중인 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와 부합하지 않는 학교를 제외하고 춘성중학교와 진부중학교 교사 각 1명, 학생 100명에 대해 설문지 및 인터뷰를 통해 인식조사, 교육적 효과, 문제점 및 개선점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문화소외지역인 두 학교 모두 학생들의 음악적 소양이 크게 향상되었고, 지역사회의 관심도 높아 문화적양극화 해소에 효과를 나타내었음을 알 수 있었다.또한, 학교폭력 및 왕따 예방에 교사와 학생모두 긍정적인 답변을 나타내어 교육부의 학생오케스트라를 통한 기대효과에 충족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학생 및 교사, 지역사회에서 오케스트라에 대한 관심이 높고 사업의 계속성을 바라지만 교육부의 예산지원은 3년을 끝으로 중단된다. 오케스트라수업은 그 특성상 많은 강사가 필요하고 예산의 가장 큰 비중을 강사료가 차지한다. 강원도 내 학생오케스트라는 문화소외지역 선정학교로서 강사수급의 어려움이 있었으며, 재정적 지원이 중단된다면 오케스트라의 운영이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교육부 지원 이후의 운영을 위해 지자체와 해당 교육청의 지원이 절실하다. 학생오케스트라 사업은 전국적으로 400여개 학교를 지원하며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긍정적인 사례도 눈에 띈다. 사업이 4년차를 맞이하는 시점에서 학생오케스트라 사업이 더욱 내실 있게 발전하고 활성화되기 위해선 더욱 많은 학교를 신규 선정하여 지원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교육부 지원 이후의 오케스트라자립을 위해 지속적인 지원과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thesis aims for investigating operation condition of students orchestra business which is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Kang-won province and studying improvements of students orchestra business. For this, It examined 'El Sistema' of Venezuela which is a model of students orchestra, and 'Orchestra-of-Dream' ,El Sistema Korea, and 'Stdents Orchestra'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ubjects of this thesis are middle and high schools which are operating students orchestra for more than 2 years under the appointmen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Kang-won province. The investigated awareness, educational effects, problems, and improvements through survey and interview on 2 educators and 100 students from Chun-seong and Jin-bu middle school. After survey, It found even if those 2 schools are located in the area which is isolated in culture, the students' musical knowledge has been improved greatly and each community's attention also has been so increased that they could have effect on alleviating regional polarization in culture. Moreover as both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answered in a positive way about school violence and prevention of outcasts on the survey, I can see a result meeting desired effects through students orchestra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tudents, educators and communities are interested in this orchestra and hope that this business could be operated continuously. However financial support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will be stop after supporting for 3 years. The orchestra lesson needs many teachers due to its characteristics and thus this accounts for much proportion of budget. Since the students orchestras in Kang-won province belong to the schools which are located in culturally-isolated area, they have had difficulty paying for the teachers. If, therefore, financial aid would stop, it is hard to operate the orchestra. Thus, aid from local government and each education office is desperate to operate after the end of supporting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students orchestra business supports around 400 schools all over the nation and is growing gradually, and thus there have been some positive cases of it. At the time of 4th-year of this business, for making it improved and activated more, it is important not only to select and support much more schools, but also to support and pay attention after the end of the Ministry of Education's aid to make this orchestra stand on its own feet.

      • 한국어 교사용 영상 검색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자막 기반 드라마 영상 검색 소프트웨어 개발을 중심으로

        신소영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video image retrieval program for Korean teachers that can be used in the preparation of materials when using Hallyu image content. The number of foreigners who enjoy hallyu has increased rapidly in recent years. As a result, the number of Korean learners who are interested in enjoying hallyu is increasing. Their Korean language learning, which started from interest in Korean-style content and Korean stars, develops toward a deeper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owing to the desire to fully enjoy drama and K-POP. Recently, there are various ways to utilize the hallyu contents in class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Various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in the areas and methods such as presenting selection criteria for hallyu content suitable for Korean education, presenting a teaching model using specific hallyu contents, and verifying the effect of applying hallyu content for each language are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cess of modification the hallyu contents into class material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earched for way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is proce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hat can search images by Korean text content and text search. Literature research is divided into discuss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Hallyu and prior studies on image retrieval system. First, this study reviewed studies presenting Korean language teaching methods using hallyu contents and discussing the general application direction of them. In addition, it reviewed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teachers' preparation of multimedia materials, problems, and ways to improve them. Finally, the previous researches on the image retrieval system in the field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are reviewed and technical methods applicable to this program development are considered. Next, the ADDIE model and educational software development process were reviewed to define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dure of this study. The five procedure steps of planning, design, implementation, evaluation, and dissemination are decided and the details are (1) Requirements analysis (2) Development direction setting (3) Program composition presentation (4) Programming (5) User’s guide presentation (6)prototype program evaluation (7)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8) proposal of supply plan. In order to derive program evaluation criterion, the definitions and categories of educational software are examined, and based on the evaluation criteria of educational software for data presentation to which development program belongs. It was difficult to find the previous study related to program developmen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it was investigated whether education software development of Ministry of Education was applicable to this study.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42 Korean teachers who taught Korean language in Korea and abroad surveyed the contents of preparation and utilization of hallyu contents and expectation of development program and reflected this in the program development direction. The program was developed with a two-tier structure of the user screen and database. The subtitle file of the drama provided on YouTube was used as database input data and the user screen was implemented as Excel. The user screen is designed to show syllable unit word search function, combining two search words function, and image search function. Through this, the teacher can view the cap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arch term and access the corresponding image through the video URL corresponding to the caption information. After programming, a manual that details how to use the program was made. Six Korean teachers assessed the prototype program implemented in the first place, and the derived improvement requirements were evaluated and linked to the program supplement. this study finalized the procedure of implementing the image retrieval program by presenting the way of supplying the developed program. In the evaluation process, it was found that public interest and plans were needed to cope with copyright problems and to share programs. The image retrieval program propos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make it possible to prepare more efficient class materials by shortening the time for Korean teachers to search the hallyu visual content as class materials.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the application of hallyu content will be more active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죽염이 함유된 딥 클렌저와 이온 미용기기 병행시 사용의도 및 죽염 딥 클렌저 제형의 피부자극에 관한 연구

        신소영 건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 초록 죽염이 함유된 딥 클렌저와 이온 미용기기 병행시 사용의도 및 죽염 딥 클렌저 제형의 피부자극에 관한 연구 본 연구에서는 미네랄 성분이 풍부한 전해질 타입의 죽염 원료가 함유된 젤 타입 딥 클렌저와 이온 미용기기 사용의향에 대한 선호도 실태를 파악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자 30명을 대상으로 죽염 딥 클렌저의 피부 자극도를 인체적용 실험을 통해 관찰하였다. 선호도 설문으로 전국 20세 이상 딥 클렌저를 사용 중인 남.녀 31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진행되었다. 딥 클렌징 단계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조사를 시작으로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령대별 피부타입별 딥 클렌저의 사용 실태, 딥 클렌저 사용 시 기대 효과, 사용 중인 제품의 성분, 딥 클렌징 단계의 미용기기의 필요성 인식 조사, 죽염이 함유된 딥 클렌저 타입의 선호도 조사, 죽염 딥 클렌저와 이온 미용기기를 함께 사용하는 것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피부자극도 실험을 위해 연구 대상자 30명을 대상으로 Finn Chamber을 이용한 폐쇄 첩포검사가 진행되었는데 이는 시험부위를 70% 에탄올로 닦아낸 뒤 건조시킨 후 연구대상자의 등에 15㎕의 죽염 딥 클렌저 젤 제형을 도포 후 24시간 후 패치를 제거하고, 제거 30분 뒤 시험 부위를 관찰하는 형태로 도포 후 24시간, 48시간, 72시간 후의 시험 부위를 판독하는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판독의 방법은 육안평가로 패치제거 후 피부 반응이 관찰되었고,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ICDRG, 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의 판정기준과 미국화장품 협회(PCPC, Personal Care Products Council)의 안정성 평가 가이드라인을 응용한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죽염 딥 클렌저와 미용기기의 사용에 대한 사전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연구대상자 311명 중 255명(82%)가 사용의향에 긍정적인 것으로 응답하였고 사용하지 않겠다는 응답한 사람은 56명(18%)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죽염 딥 클렌저와 미용기기에 대한 선호도 여부는 20대 37명(75.5%) 30대 103명(79.8%) 40대 115명(86.5%)로 응답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피부 타입에 따른 죽염 딥 클렌저와 미용기기를 함께 사용하는 것에 대한 선호도가 모든 피부타입에 고루 높게 나타났다. 또한, 딥 클렌징 단계에 대한 필요성 인식이 높은 그룹은 죽염 딥 클렌저 사용 선호도 및 미용기기와 죽염 딥 클렌저의 사용에 대해 선호도가 높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연령별, 피부 타입별, 딥 클렌징 단계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연구대상자 모두 죽염 딥 클렌저와 미용기기 사용에 대한 조합을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죽염 딥 클렌저의 피부 자극도 실험 결과로는 패치 제거 후 24 h, 48 h, 72 h 후 피부 자극 지수를 산출한 결과 값을 0점을 얻어 무자극 물질로 판단된 실험 결과가 도출되어, 딥 클렌저 포뮬라로 사용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usage preference between a mineral-rich electrolyte bamboo salt-based deep cleanser and an ionic beauty device and to assess irritation with the use of the bamboo salt-based deep cleanser on human skin using clinical testing. An advanc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311 respondents (men 65 , women 246) aged above 20 years who were using a deep cleanser. The survey collected information on the perceived necessity of deep cleansing as a skin care treatment,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gender, jobs and living areas, expected effects of using a deep cleanser, ingredients of the product being used, preference for a bamboo salt-based deep cleanser, and preference between a bamboo salt-based deep cleaner and an ionic beauty device. To test the effects of the bamboo salt-based deep cleanser, skin irritation test was performed on 30 subjects. A Finn chamber was used to inspect papule closure. A test area was selected, wiped with 70% ethanol, dried, and applied with 15 μl of the bamboo salt-based deep cleanser gel as a patch. The patches were removed after 24 h, and the test area was observed 30 min after patch removal and subsequently evaluated at 24 h 48 h and 72 h. Evaluation involved visual inspection of the skin, and the evaluation criteria conformed to the guidelines issued by the 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ICDRG) and the Safety Evaluation Guideline of the Personal Care Products Council(PCPC). The online survey revealed that pre-preference for the bamboo salt-based deep cleanser or beauty device was 82% (255/311 respondents) and that 18% (56/311 respondents) did not use such products. Notab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usage preference for the bamboo salt-based deep cleanser and beauty device based on age preference levels were 75.5% in the 20–37-year group, 79.8% in the 30–103-year group, and 86.5% in the 40– 115-year group. Additionally, usage preference for the bamboo salt-based deep cleanser or beauty device based on skin type was high for all skin typ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usage preference between the beauty device and bamboo salt-based deep cleanser in the group with a significant need for a deep cleansing step; thus, all subjects who perceived that age, skin type, and deep cleansing step are necessary indicated that they preferred a combination of a bamboo salt-based deep cleanser and beauty device. The results of the skin irritation test evaluated at 24, 48, and 72 h after patch removal showed a skin irritation index of 0 points, implying that the bamboo salt-based deep cleanser formula appears to be suitable for human dermatological use.

      • 초현실주의 회화에 나타난 새(鳥) 이미지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신소영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5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의 회화에는 예술가의 주관에 따른 조형적인 상징과 함께 인간의 내적인 정신 세계를 표현하고자 하는 노력이 내포되어 있다. 이러한 내적인 상징성을 추구하는 가운데, 물질문명에 의해 인간이 소외되는 복잡한 현대 사회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인간은 현실을 초월하듯 자유롭게 날 수 있는 새에 인간을 비교하여 보게 된다. 새는 초월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소재로써 문학과 예술에서 이미 자유와 理想의 상징으로 자주 등장하였다. 인간 정신의 해방을 위하여 무의식의 세계에 관심을 기울이고 대상의 내적 세계를 표현하기 위해 상상력을 발휘하였던 초현실주의자들에게도 새는 매력 있는 상징물이었다. 초현실주의자들은 비실제적인 세계를 可視的으로 보여 주기 위하여 자유롭고 환상적인 방법들을 만들어 냈는데, 모순되는 요소들을 결합시키거나 대상물을 엉뚱한 환경에 換置시켜서 시각적 충격을 주는 데페이즈망(Depaysemant) 기법은 일반적인 경험의 이미지를 뒤엎고 신비감을 준다. 본 논문에서는 새나 새의 날개를 작품의 소재로 자주 등장시키면서 그것을 데페이즈망의 원리로 처리한 초현실주의적 경향의 작가들인 샤갈(Marc Chagall), 에른스트(Max Ernst), 마그리뜨(Rene Magritte)등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초현실주의의 선구자 격인 샤갈의 작품에는 동물과 인간의 온화한 조화와 함께, 특히 새와 인간 또는 새와 동물이 결합된 형상이 자주 등장한다. 새에 대한 강박 관념을 가지고 있었던 에른스트는 꼴라쥬(Collage)나 프로타쥬(Frottage) 등의 기법을 써서 새의 환각적인 이미지와 수수께끼 같은 환상을 만들어 냈다. 데페이즈망 기법의 대표적 작가라고 할 수 있는 마그리뜨 또한 그가 추구하는 자유로운 정신의 세계를 표현하는 데에 있어 새를 주요 소재로 등장시켰다. 이들의 작품을 본인의 작품과 비교 연구한 이유는 새를 통해 자신의 심상을 표출하고 현실을 상상력에 의해 재창조하여 눈에 보이지 않는 세계까지도 인식하려는 노력을 했다는 점에서 본인과의 공통점을 느꼈기 때문이다. 본인의 작품에서는 자아의 내적 갈등과 자연과의 交感의 표현으로 새와 인간과 자연의 단순화된 형상을 접목시키고 있고, 이러한 소재들의 이미지를 잘 조화시켜서 초현실적인 詩的 분위기를 만들고자 하였다. The history of modern painting has been pursued to express the human spirituality, with the tendency of formalistic simbolization depending on each artist's ideal. Men have become more isolated by the rapidly growing materialization, naturally they turned to depicting the imagery of bird since it offers a bitter comparison to human being who can not fly as freely as bird. In literature and most genres of fine art, the imagery of bird is the most commonly adapted subject which easily implies transcendency, representing freedom of all. The image of bird was also a very attractive subject to surrealists, whose main interest was concentrated on the salvation of human spirituality with an application of thr Freudian unconsciousness. Surrealists searched for imagenative, illusionistic methods to create surrealistic picture. They often applied depaysment methods which characterise a juxtaposition of irrelevent objects, it doubled and mystified the impact provided to viewers. In this essay, I studied about certain suurealists who have dealt with this depaysment method to depict the imagery of bird or its wings. Marc Chagall is often described as a pioneer of surrealist painting, he painted of a harmony between human and animal, such as birds with men or even a srrange creature of a man shaped as bird. Max Ernst supposedly had a persecution complex of bird which in return resulted in a creation of enigmatic illusion of bird. Rene Magritte also used an image of bird to inscribe the free mind of human with an adaptation of depaysment method. The reason why I daringly applied a comparison of my works to these painters lies in the realization that I believe my works are based on a similar depiction of birds to recreate a reality by using an imagination, therefore I was able to link my works to those surrealist painters. I also juxtapose the imagery of bird in the anatomy of human body to express my inner conflict which I seek a solution from a communication with the nature. This images are well harmonized in rather a poetic atmosphere of surrealism.

      • 웹기반 문제중심학습(e-PBL)에서 성취목표, 보상구조, 귀인피드백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예측력 규명

        신소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studen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reward structure and attributional feedback affect the learning achievement (understanding contents, task performance) in an e-PBL environment and to find the predictability of the factors' interaction for the achievement. For this purpose, first, I reviewe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mastery-approach, mastery-avoidance, performance-approach, and performance-avoidance), reward structures and attributional feedback. Second, I analyzed how interactions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and reward structures(individual, cooperative) affect the learning achievement. Third, effects of interactions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and attributional feedbacks(effort, ability) on the achievement are also analyzed. Lastly, I analyzed interaction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reward structures and attributional feedbacks. The subjects were 127 students participating in College Life Planning course at H University in the spring semester, 2007. They were freshmen from 4 departments of the university. I conducted investigation of all the subjec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fter dividing the students into 4 groups. During the course, I gave different combinations of reward structures and attributional feedbacks to each group. Group A (N = 28) was given individual reward structure and ability attributional feedback, group B (N = 33), individual and effort, group C (N = 29), cooperative and ability, and group D (N = 37), cooperative and effort. After 7 weeks of the e-PBL sessions, the students' learning achievements were assessed. The learning achievements included understanding contents and task performanc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predictability of each factor for learning achievement, and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for interactions among the factors. Below are the results of the analyses. For understanding contents, the results of mastery-approach goal orientation (t = 5.974, p < .001, β = .510) and attributional feedback(t = 2.577 , p < .05, β = .199)were significant. For task performance, the results of performance-avoidance goal orientation (t = -3.024 , p < .01, β = -.332) and reward structure (t = 2.936, p < .01, β = .247) were significant. The interactions (F = 9.453, p < .05, β = 1.464)of mastery-approach goal and attributional feedbacks had significant results in the area of understanding contents. The result analysis shows that the factors which influence learning achievement are mastery-approach goal and performance-avoidance goal in the goal orientations, and attributional feedbacks and reward structures. The factors which predict content understanding in the individual learning environment are mastery goal orientation and attributional feedbacks, and the interactions of these two factors also were significantly revealed. For the students with higher mastery-approach goal orientation, those provided with effort feedback got higher score than those with ability feedback. This means that effort feedback is more effective for the students with mastery-approach goal orientation. For task performance in the cooperative environment, the results show that performance-avoidance goal and reward structures have significant effects. In this environment, performance-avoidance goal has negative effects on the task performance. The students with such goal orientation do not take active engagement, which leads to negative learning outcomes.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reate a learning environment which can increase students? mastery-approach goal orientation and decrease performance-avoidance goal orientation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learning achievement. Besides, the study confirms the effectiveness of effort feedback and cooperative reward struc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sed as a fundamental resource to search for management strategies and support systems to improve the learning achievement in an e-PBL environment. 지식기반사회에서는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지식과 정보를 단순히 보유하는 것은 의미가 없으며, 이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이러한 능력의 신장을 위해서는 학습자 스스로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고, 가공하며,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자중심의 교육환경이 제공되어야 한다.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 PBL)은 문제를 중심으로 교육과정과 수업을 구조화하여 학습자가 실생활의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 속에서 비판적사고력, 협동력, 문제해결능력을 신장하도록 하는 학습형태이다. 실제적인 문제해결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지는 PBL은 전통적인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대안으로 교육적 잠재력이 매우 큰 학습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PBL이 웹에서 실현된 웹기반 문제중심학습(Electronic - Problem Based Learning : e-PBL)은 웹의 풍부한 정보와 자원을 활용할 수 있어 효과적인 PBL운영이 가능하다. 그러나 아직 e-PBL에 대한 연구는 개발 및 효과성 연구에 그치고 있어, 학습자 특성을 고려한 실제적 운영방안 제시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e-PBL에서 학업성취도(학습내용 이해도·과제수행 결과)에 대한 성취목표, 보상구조(개별·협동), 귀인피드백(능력·노력)의 예측력을 규명하여 학습자의 성취목표에 맞는 보상구조와 귀인피드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e-PBL에서 학업성취도를 예측하는 성취목표 4요인, 보상구조, 귀인피드백을 분석하였다. 둘째, 성취목표 4요인과 보상구조, 성취목표 4요인과 귀인피드백의 상호작용효과가 학업성취도를 어떻게 예측하는지 분석하였다. 셋째, 성취목표 4요인과 보상구조, 귀인피드백의 상호작용효과가 학업성취도를 어떻게 예측하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2007학년도 1학기에 H대학교의 D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1학년생 4개학과 127명을 대상으로 성취목표를 측정하였으며,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각각 보상구조와 귀인피드백을 제공하였다. 연구 집단은 모두 4개로, 개별·능력 귀인피드백 집단인 A학과는 28명, 개별·노력 귀인피드백 집단인 B학과는 33명, 협동·능력 귀인피드백 집단인 C학과는 29명, 협동·노력 귀인피드백 집단인 D학과는 37명이었다. 이들 집단에 대해 7주 동안 e-PBL을 실시한 후, 이들의 학업성취도를 측정하기 위해 학습내용 이해도와 과제수행 결과를 평가하였다. 각 변인별 학업성취도에 대한 예측력 분석을 위해서는 중다회귀분석 방법을, 변인 간 상호작용 효과분석을 위해서는 조절회귀 분석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내용 이해도에 있어서 성취목표 4요인 중 숙달접근 목표는 β = .510, t(120) = 5.974, p < .001, 귀인피드백은 β = .199, t(120) = 2.577, p < .05 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과제수행 결과에서는 성취목표의 4가지 요인 중 수행회피 목표가 β = -.332, t(120) = -3.024, p < .01, 보상구조가 β = .247, t(120) = 2.936, p < .01 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둘째, 학습내용 이해도 및 과제수행 결과에서 성취목표 4요인과 보상구조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성취목표 4요인 중 숙달접근 목표와 귀인피드백의 상호작용효과가 학습내용 이해도에서 β = 1.464, F = 9.453, p < .05 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셋째, 성취목표와 보상구조, 귀인피드백의 상호작용효과는 학습내용 이해도와 과제수행 결과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분석결과에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성취목표 4요인 중 숙달접근 목표와 수행회피 목표, 귀인피드백, 보상구조로 나타났다. 개별학습에 대한 학습내용 이해도를 예측해주는 변인은 숙달접근 목표와 귀인피드백으로 이들 변인은 상호작용효과에서도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상호작용효과에서는 숙달접근 목표 점수가 높을수록 노력피드백을 받은 학생이 능력피드백을 받은 학생들보다 높은 학습내용 이해도 점수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숙달접근 목표를 가진 학습자에게 노력 귀인피드백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나타내 주고 있다. 협동학습 기반의 과제수행 결과에서는 수행회피 목표와 보상구조가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는데, 여러 사람이 협동적으로 학습을 수행하는 학습 환경에서는 수행회피 목표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국 수행회피 목표를 가진 학습자는 학습에 적극적인 참여를 하지 않으며 이는 학습결과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e-PBL에서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해 학습자의 숙달접근 목표 지향성의 증진과 함께 수행회피 목표 지향성이 감소될 수 있도록 하는 학습 환경의 조성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으며, 노력피드백과 협동 보상구조의 효과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e-PBL에서 학업성취도를 높일 수 있는 운영전략과 지원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e-PBL의 학습 단계별로 효과적인 학습전략을 제시하기 위한 실제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e-PBL에서는 문제해결 과제수행을 위해 계획수립, 문제해결, 발표 및 평가 등의 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각 단계에서 요구되는 세부적인 전략을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 이러한 결과를 e-PBL 모형의 세부적인 운영전략을 개발하는 데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e-PBL에서의 학업성취도 측정을 위해서는 양적인 평가뿐만 아니라 질적인 평가가 함께 이루어져 e-PBL의 전체적인 학습효과가 연구결과에 포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각 성취목표 별 특성에 맞는 귀인피드백 및 보상구조를 분석하였고, 이에 대한 효과검증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성취목표는 4개의 하위요인(숙달접근, 숙달회피, 수행접근, 수행회피)을 포함하고 있어 학습자 개인별로 성취목표의 4개 하위요인이 상이하게 나타나, 연구결과를 적용하는 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예를 들면, 학습자의 숙달접근 목표와 수행접근 목표는 높게 나타나고, 숙달회피 목표와 수행회피 목표가 낮게 나타날 수 있는데 이때, 숙달접근 목표와 숙달회피 목표에 대해 상반된 연구결과가 제시되면, 어떠한 연구결과를 학습자에게 적용할지 결정하기 어렵다. 이와 같이 성취목표가 4요인으로 세분화 되어 있는 성취목표와 관련한 연구에서는 각각의 요인에 대해 제시된 연구결과를 학습자 개인에게 적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피드백과 관련하여, 귀인피드백의 유형에 한정되어 있으나 피드백의 횟수, 피드백 제공시기 등을 고려한 연구로 피드백에 대한 보다 세부적인 정보제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실제적 적용이 가능한 관련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e-PBL에서의 효과적 학습전략 제공과 이를 통한 수업의 질적 제고가 가능해질 것으로 사료된다.

      • 원격영상교육에서 교육장소와 참여동기에 따른 학습동기유발과 학업성취도 비교연구 : 성인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신소영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급속한 과학기술문명의 발전을 토대로 새롭게 전개되고 있는 정보화사회는 정치·경제·사회·문화등 모든 분야에 걸쳐서 새로운 변화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는 인간 생활양식과 사회발전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전자 및 통신공학에 기초를 두고 정보통제 및 운용이 최고의 지배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특징을 가진 정보화사회는 산업사회와는 다른 양상을 띠는 사회임에 틀림없다. 따라서, 국가적으로나 국제적으로 정보화사회를 지향하는 노력은 이제 불가피한 추세일 뿐 아니라, 그러한 노력이 없이는 세계화를 지향하는 우리의 목표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1980년대 중반 이후 컴퓨터의 보급·이용의 확산과 함께 정부에서도 정보화사회에 대비한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사업의 일환으로 정보사회를 조기에 실현하기 위한 핵심수단인 초고속 정보 통신기반 구축 마련을 위하여 원격교육, 원격진료 시범사업 등 다양한 선행사업을 추진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원격교육을 통한 교육훈련과 학교교육으로 21세기 정보 시대에 전략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인재양성의 기반마련에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1995년 5월 31일 발표된 교육개혁방안의 비전으로 제시된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길이 활짝 열려진 열린교육사회, 평생학습사회의 건설" 과도 맥락을 같이 하고 있다. 원격 직업훈련 시스템도 정부의 열린교육사회, 평생학습사회 건설의 기반 마련을 위해 추진중인 사업의 일환으로, 현재 직업훈련을 목적으로 초고속 정보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기존의 원격교육이 인쇄매체 및 방송매체를 이용한 일 방향 교육이었다면 초고속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원격직업훈련 시스템은 교사와 학습자간에 실시간(real-time) 상호작용이 가능한 쌍방향 교육이다. 상호작용이 가능하다는 점은 기존의 원격교육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커다란 변화이기는 하나, 영상을 이용한 상호작용이라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호작용의 질적 문제로, 학습자의 학습동기유발 및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줄 수 있으리라 예상된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원격교육에 대한 연구는 원격 영상교육의 학습효과에 대한 자료제공 보다는 원격교육 사업에 대한 평가 및 발전방안, 시스템 활용방안,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등에 그쳐 원격 교육 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방향 제시가 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격직업훈련 시스템을 이용하여 직업훈련을 실시 중인 '한국산업인력공단'의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교육장소와 참여동기에 따른 학습동기유발 및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분석하여 원격교육 사업에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국과 자국에서 수업 받은 집단의 학습동기유발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참여동기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의 학습동기유발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참여동기와 교육장소는 학습동기유발에서 상호작용효과가 있는가? 넷째, 모국과 자국에서 수업 받은 집단의 학업성취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다섯째, 참여동기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의 학업성취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여섯째, 참여동기와 교육장소는 학업성취도에서 상호작용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는 1998년 4월 2일부터 5월 19일까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실시하였던 원격 직업훈련 프로그램 중 한식조리기능사 과정의 식품위생과목을 연구대상 과목으로 선정하고, 해당과목의 수강생을 연구대상 학습자로 선정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의 특성상 4회의 검사 및 평가에 참석하였던 모국인 본부의 수강생 45명과 자국인 대구기능대학의 수강생 39명의 자료만을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설문지 회수율은 1회 검사시 응답한 대상자를 기준으로 모국은 81.8%, 자국은 76.5%로 전체 79.2%의 회수율을 보였다. 학습자들의 참여 동기조사를 위해서는 Roger Boshier의 E. P .S(Educational Participation Scale)를 참고로 최운실(1985), 장영미(1985)등이 제작·사용하였던 도구를 참조하여 연구자가 작성하였고, 참여동기 측정검사지는 사회적 관계형성, 외적기대충족, 사회적 인정 및 참여, 현상의 변화와 발전, 직업적 성취 및 발전, 지적인 흥미, 자기발전·자아실현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학습자 동기유발 측정 검사지는 주의력,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의 네 가지 영역을 측정하는 Keller(1987)의 The Course Interest Survey를 번안 사용한 김서영(1996)의 검사지를 연구자가 교육특성에 맞게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학업성취도 조사를 위해서는 대상과목인 식품위생의 담당강사에게 수업시간에 다루어진 내용에 대한 검사지를 작성토록 의뢰하였으며, 한식조리 기능사 자격시험 수준에 준하여 작성된 검사지 문항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자들에게 학습 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모국과 자국 집단의 동일성 검사를 위한 사전평가와 참여동기 측정은 강의를 시작하는 첫날인 4월 2일 수업시작전에 실시하였으며, 학습동기 유발에 관한 측정과 학습 후 평가는 수업 마지막날인 4월 28일 강의 직후 실시하였다. 이렇게 이루어진 참여동기와 학습동기 측정은 리커트 척도를 점수화하여 요인별 평균 및 전체 평균점수를 활용하고 학업성취도 측정을 위한 평가는 20문항을 1문항당 5점으로 배점하여 100점 만점으로 계산하였다. 조사된 자료를 이용하여 학습자들의 배경별 빈도를 계산하여 모국과 자국의 학습자들의 특성을 분석하였고, 사전평가에 의해 모국과 자국 두집단의 동일성이 검증되어 학습 후 평가점수로 학업성취도를 비교하였다. 참여동기는 평점을 기준으로 참여동기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분류하여 교육장소와 참여동기에 따른 학습동기유발과 학업성취도에 대한 영향을 Two-Way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밖에 성별, 학력, 연령 등이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이루어진 원격영상교육에서 모국과 자국의 학습동기유발 점수를 분석한 결과 자국의 학습동기유발 점수가 모국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F=.14, df=1, p>.05) 그러나, 학습동기유발의 하위요소별로 비교해보면 만족감 (t=1.98, df=82, p>.05)은 모국과 자국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지만, 자신감(t=2.14, df=82, p<.05), 주의력(t=4.49, df=82, p<.05)에 대해서는 모국이 자국보다 높고, 관련성(t=-2.61, df=82, p<.05)은 자국이 모국보다 높았다. 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참여동기에 따른 학습동기유발에서는 유의도 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학습동기유발에서 교육장소와 참여동기의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한 결과 유의미하게 나타났다(F=4.40, df=1, p<.05).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참여동기가 낮은 집단은 자국에서의 교육이, 참여동기가 높은 집단은 모국에서의 교육이 더 학습동기유발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넷째, 모국과 자국의 학업성취도를 분석한 결과 모국이 자국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도 수준 .05에서 유의미하지 않기 때문에 모국과 자국에서의 학업성취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참여동기에 따른 학업성취도에서는 참여동기가 높은 집단이 참여도가 낮은 집단보다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F=5.03, df=1, p<.05). 여섯째, 학업성취도에서 교육장소와 참여동기의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한 결과 유의도 수준 .05에서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일곱째, 그밖에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 요인에는 연령(F=4.0, df=5, p<.05) 성별(F=7.63, df=1, p<.05)이 있으나, 성별에 의해서 학업성취도가 영향을 받은 것은 과목의 특성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사료되며, 연령에 따른 학업성취도를 살펴보면 30대 이전의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가 가장 높고, 40대 중반 이후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0대 중반 이후 40대 중반 이전의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정부에서는 21세기 정보시대에 대비한 교육개혁 방안으로. 초고속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원격교육을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이를 점진적으로 확대 실시하려고 계획 중이다. 그러나, 원격영상 교육의 학습효과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있지 않아 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되며, 이에 연구자는 원격영상교육과 면대면 교육에서의 학습동기유발 및 학업성취도에 대한 비교로 학습효과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원격영상 교육과 면대면 교육간의 학습동기유발과 학업성취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학습효과에서 원격영상 교육은 면대면 교육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원격영상 교육이 학습효과면에서 면대면 교육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면, 시·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원격영상 교육은 한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교육내용을 통신망이 연결된 모든 사이트(site)에서 공유할 수 있다는 점과 실시간 상호작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으로, 자발적이고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을 이끌어 가는 성인교육에 있어서 무한한 잠재적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원격영상 교육이 시·공간의 문제를 해결해주고 강사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는 반면, 시스템 설치 대한 막대한 비용과 유자보수 및 통신망 사용에 대한 비용 부담으로 이에 대한 국가적인 지원 없이는 원격 영상교육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가 어려울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참여동기는 성인학습자의 학습참여 뿐만 아니라, 학업성취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성인학습 프로그램 개발시 학습자들의 참여동기를 고려하도록 하고 학습자들의 참여동기가 지속될 수 있는 교육 내용구성 및 환경조성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셋째, 참여동기와 교육장소의 상호작용효과에서는 참여동기가 낮은 집단은 원격영상 교육이, 참여동기가 높은 집단은 면대면 교육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참여동기가 낮은 집단의 새로운 매체에 대한 호기심이 학습동기유발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참여동기가 낮은 집단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매체를 활용한 교수기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넷째, 그 밖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성별, 연령 등으로 나타났으며, 오히려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 학력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영향은 과목의 특성에 따른 것으로 사료되며, 연령에 따른 학습효과의 차이에서 30대 이전의 학습자와 40대 중반 이후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가 높고, 30대 중반 이후 40대 중반 이전의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 것은 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대상자의 대부분이 여성이고, 이 시기의 여성들에게는 가사 및 자녀양육에 대한 부담감으로 학업에 전념할 수 없었던 요인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에 따라 자격증 취득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대상자 선정에서 학력 및 연령을 제한할 필요는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한국산업인력공단의 원격영상교육 사례에 국한하여 분석되었기 때문에 교사변인, 학습자변인, 그리고 과목변인에 따라 다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어 본 연구결과를 모든 상황·과목에 일반화시키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학습자들의 참여동기를 참여자들의 평점을 기준으로 참여동기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분류하였으나, 학습자들의 대부분이 자격증 취득을 목표로 참여하는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어 전체적인 참여동기가 높고 개인별 참여동기의 차가 많지 않은 상태에서 분류를 하였기 때문에 이들을 엄격히 참여동기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나누는 데에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보완한 유사 연구들이 향후 수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In the present high-speed information era, dramatic development in science and technology have brought new education systems, so called distance education system. In particular, televised education employing teleconferencing system enables the educator and the learner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ime and space. Unlike the existing distance education systems, advanced distance education provides a simultaneous two-way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 however, since the system still contains the fundamental limits of an indirect medium, different results in learning achievement are expected from those produced in classroom face-to-face settings. Targeting adul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vocational training program through a Video Conferencing System provide by Korean Manpower agency, a recent study investigated the following questions : What is the main effect of media, on-site and remote-site, on student s motivation and achievement? ; what is the main effect of participation motivation on student s motivation and achievement? ; and is interaction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medium significant in terms of the student s motivation and achievement? The results revealed that an insignificant main effect of medium on student motivation and achievement, p>.05 ; an insignificant main effect of participation motivation on triggering student s motivation, p>.05 ; a significant main effect of participation motivation on student's achievement, p<.05, and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the medium in terms of not student achievement, p>.05 but student motivation, p<.05. Based up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and suggestions have been addressed. First of all, for a Video Conferencing System creates similar effects on learning as a face-to-face traditional system, the system has an unlimited potential for open and lifelong adult education, taking advantages of its capacity to transcend time and space, to increase real-time interaction with the instructor, to reduce travel time for students and teachers, and also to reduce spending for school employers and educators. However, since this technology- based, distance learning system requires tremendous cost f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maintaining high quality of distance education requires government-level support. Secondly, since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has a great impact on the adult learner s achievement level, further study is suggested to create the basic environment for an effective education, of planning, designing and implementation for a nationwide distance learning system based upon the learner's participation motivation level. Thirdly, a distance education setting is more effective in low-leveled participation motivation group; and a face-to-face education setting is more effective in high-leveled participation motivation group. Presuming that the new medium, technology-based setting triggered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of the low-leveled participation motivation group, further pedagogical study using the medium is suggested to improve the achievement of the low-leveled participation motivation group. Lastly, because this study was limited to a Video Conferencing Education Program provided by Korean Manpower Agency, it is premature to generalize from it. Therefore, similar studies are anticipated in the future to support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 사이공간의 意味와 空間的 特性에 관한 연구

        신소영 건국대학교 건축전문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에게 있어서 공간이란 더 이상 벽에 의해서 에워싸여 있는 것이 아니라 건물을 둘러싸는 공간과 그 공간을 사용하는 사용자 사이에 공간 체험에 의한 새로운 인지적 관계가 존재하고 있다는 것이다. 자연이나 자연 현상으로 만들어진 형태는 인간의 조형사고에 대하여 강한 영향력을 미친다는 것을 부정할 수 없고, 인간이 창조해낸 형태에는 자연형태와 또 자연형태와는 별도로 인간 고유의 활동, 즉 조형사고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것이 있다. 도시공공환경의 수립은 자연의 공간 생성과 변화에서 문화적 실천이 중요한 항목이 된다. 그러므로 공간의 문화적 의미변천 과정 등에 대한 연구와 자료축적이 필요하다. 또한, 도시환경과 인간이 만들어낸 형체와의 관련은 어떤 시점 특성에 의한 자연적 주변 환경에 적용되는 개념에서 '사이'의 역할을 중요하게 인식 반응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오늘날의 도시환경이 다양한 기능으로 밀집, 분화되고 혼재되어 있는 현시점에서 계속되는 무계획적인 고층 건물 군의 형성은 도시 오픈 스페이스(open space)가 도시 생활에 필수적인 사회공간으로서의 의미를 갖고 가치를 지니게 한다. 사이공간은 이러한 환경 적인 여건 하에서 인간을 향한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지원성으로 생명력 있는 유기체적 환경을 구성하여 공간의 경계를 넘어 공·사와 관계없이 도시의 기능을 체계적으로 순환하도록 한다. 이렇듯 잘 계획된 사이공간은 개인의 자율성을 제공하는 프라이버시 획득을 위한 개인적 공간과 개인, 집단에 대한 대인관계의 연결망으로서 공동체를 위한 공적기능의 기능으로 인간의 행태를 조절하는 인공환경으로 가치를 지닌다. 본 연구는 도시공공환경의 활성화 매개체로서의 사이공간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인간에게 정서적 만족과 적극적인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로서, 피상적인 개념에서 벗어나 공간의 기본요소로서의 본질을 해석함으로써, 공간 적용 시 그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1. 자료, 문헌조사방법을 통하여 사이공간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과 도시환경의 이미지를 결정하는 장소의 정체성을 설명함으로서 그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2. 공간의 이미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보완 분리의 상호 연관된 공간으로서, 기능별 영역사이의 요소로 분석하였고, 또한 전통 건축에서 사이공간의 의미를 고찰하고 공간구성의 표현요소를 제시하였다. 3. 앞서 연구한 내용들을 수용하는 국내, 국외 환경내 공간을 유형별로 나누어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디자인 문제의 해결을 위한 근거로 하였다. 4. 대상지 에서의 행태 분석과 디자인 적용사례를 통해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는 기초를 마련하고 위의 이론적 틀을 바탕으로 사이공간의 상호작용을 활성화하는 장으로서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위와 같이 본 연구는 인간과 환경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하는 연구 방법의 필요성을 강조함에 따라 사이공간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는 측면에서 사이공간의 디자인에 관한 연구의 가치와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Space is not surrounded by the wall, it has legal recognition between human who use the space and buildings. Feature is made from natural or natural phenomena which has an important effect on human modeling-thinking. Feature is made from human who has activity of human characteristics. Establishment of urban-public-environment is an important item in creation of region and variation. Then it needs investigation and research about 'Meaning development processing' of space. Also, between urban-environment and feature is made by human react recognition role of 'In-between space' as natural environment. Also, these days urban-environment is mixed and separated So, today's un-intentional establishment of high-rise building has worth as indispensable society space. In-between space is made up environment condition which are positive and activation and pass a boundary of space that systematically circulates function of urban. So, well-planned in-between space has value which is controled by public function for community as connection rule of personal relation about a group. This investigation emphasis in-between space's importance as activation intermediation of urban public environment and this investigation has an object to furnish its basic data. So, it process this investigation as next processes. 1. For the subject of research, it would be found general idea and character that decide urban environment images. 2. As in-between space is functional space and one of important element which decide space images in-between space is consider it suggest meaning of in-between space in tradition architecture and expression element of space composition. 3. In order to result, it analysis space's type in internal external element and it would be based to solve a design topic. 4. Through analyzing of the subject area and design application example, it plans basic and based up on it. In-between space designed as activation boundary reciprocal action. As a result. this investigation emphasis necessity of study method in relation ship of between human and environment. In this way, in-between space raise quality of living, therefore it has meaning and value of study about space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