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동화연계 숲 미술활동이 유아 정서지능 및 공간능력에 미치는 영향

        황재숙 서울교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15

        논 문 요 약 동화연계 숲 미술활동이 유아 정서지능 및 공간능력에 미치는 영향 황 재 숙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지도교수 곽노의) 본 연구는 동화를 연계하여 실시된 숲 미술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공간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동화연계 숲 미술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치는가? 1-1. 동화연계 숲 미술활동이 정서의 인식과 표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1-2. 동화연계 숲 미술활동이 정서의 반영적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동화연계 숲 미술활동이 유아의 공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2-1. 동화연계 숲 미술활동이 눈-운동 협응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2-2. 동화연계 숲 미술활동이 형태-배경 구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2-3. 동화연계 숲 미술활동이 공간적 추리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2-4. 동화연계 숲 미술활동이 시각적 기억 및 회상능력에 영향을 미치 는가? 2-5. 동화연계 숲 미술활동이 공간의 위치지각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울시 관악구에 위치한 D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만 5세 유아 5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대상 유아는 실험집단 25명(남아 13명, 여아 12명)과 비교집단 25명(남아 14명, 여아 11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험집단은 동일 기간 동화를 읽거나 듣고 숲 미술활동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은 숲 미술활동을 활용하지 않은 누리과정 속에서 진행되는 통상적인 미술활동을 하였다. 실험처치는 2018년 3월 12일 부터 4월 20일 까지 주 2∼3회 실시하여 총 16회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유아 정서지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도구는 이영자, 이종수, 신은수(2002)가 개발한 <교사평정에 의한 유아용 정서지능 평가도구>이며, 유아 공간능력을 알아보기 위한 도구로서는 홍혜경(2001)이 개발한 유아 공간능력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두 개의 연구도구를 이용하여 비교집단과 실험집단에 각각 다른 미술활동 실시 전, 후로 동화연계 숲 미술활동의 유아 정서지능 및 공간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으며 유의도 수준은 p<.05이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화연계 숲 미술활동은 유아의 정서지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지능 하위요소인 정서인식 및 표현능력과 정서의 반영적 조절에 관한 능력 모두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쳤는데 이는 동화를 통해 미리 학습된 교훈적 내용과 감정이입이 친사회적 정서를 형성시켰고 유아들에게 친숙하고 흥미로운 소재인 자연물을 이용한 집단적 표현활동을 통해 타인의 정서를 반영하고 조절하는 즉, 이해와 양보의 협동적 정서를 발달시켰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유아 교육현장에서 동화의 적극적인 활용과 자연물을 이용한 숲 미술적 표현활동이 장려될 필요가 있다. 둘째, 동화연계 숲 미술활동은 유아의 공간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능력의 하위요소들인 눈-운동 협응 능력, 형태-배경 지각능력, 공간적 추리능력, 시각적 기억 및 회상능력, 공간적 위치지각능력도 향상 되었는데 이는 동화 속 이야기 줄거리 속에 내재된 위치나 공간, 줄거리의 시대적 배경 및 상징적 그림을 자연물로 재현해 보면서 유아들의 공간에 관한 이해력이 향상되었고 동화에 나타난 상황을 보완하려는 잠재적 감정이입을 통해 자연물을 이용한 숲 미술 표현활동에 창조적인 방법들을 동원해야 할 필요를 통해서 공간능력이 촉진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앞으로 유아 교육현장에서 유아들의 공간능력 향상을 위해 동화연계 숲 미술활동이 적극 장려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상을 정리하면, 본 연구는 동화연계 숲 미술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향상과 공간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의 숲 체험과 미술활동, 동화책을 연계한 미술활동 등이 정서지능이나 공간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각각으로 살펴본 연구들이 많았던 것인 반면, 본 연구는 동화를 숲에서 표현할 수 있는 미술과 연계하여 정서지능 및 공간능력 향상과의 관계를 살펴보았기에 융합화를 촉진하는 최근의 미래지향 교육적 조류를 반영하여 연구한 의의가 더 크다고 할 것이다. 이 같은 결과는 동화연계 숲 미술활동은 필연적으로 제공되는 자연환경에서 자연물을 이용한 대집단 활동을 필요로 한 것으로서 유아들에게는 협동심, 배려와 양보, 협력적 토의와 작업, 갈등의 조절이라는 측면에서 동화 내용을 기초로 감정 이입된 상황을 제공하여 체험할 수 있기 때문에 정서지능 발달 및 공간능력 발달에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반영하는 것이다.

      • 신체활동 중심의 전래놀이 활동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김은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신체활동 중심의 전래놀이 활동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신체활동 중심의 전래놀이 활동을 실시하고,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신체활동 중심의 전래놀이 활동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1-1. 신체활동 중심의 전래놀이 활동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달리기 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1-2. 신체활동 중심의 전래놀이 활동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운동참여 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1-3. 신체활동 중심의 전래놀이 활동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근력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1-4. 신체활동 중심의 전래놀이 활동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체형 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신체활동 중심의 전래놀이 활동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또래 유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1. 신체활동 중심의 전래놀이 활동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사교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2. 신체활동 중심의 전래놀이 활동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친사회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3. 신체활동 중심의 전래놀이 활동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주도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N초등학교 1학년 2개 학급 아동 52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인 2개 학급 중에서 1개 학급 26명은 신체활동 중심의 전래놀이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며, 나머지 한 학급은 신체활동 게임을 실시한 비교집단이다. 연구의 실험은 9월 8일부터 10월 16일까지 총 6주 동안 주 2 회씩 총 12회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석창혁(2013)이 제작한 신체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또래 유능성 측정을 위하여 박주희와 이은해(2001)가 취학 전 유아용으로 제작한 또래 유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모두에 사용하였다. 실험 효과의 검증을 위한 통계적 분석은 SPSS 20.0을 이용하여 일원공변량분석(One-way ANCOVA)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활동 중심의 전래놀이 활동이 신체적 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에게 신체활동 중심의 전래놀이 활동을 적용한 후 실시한 신체적 자기효능감 검사에 대한 평균 점수는 실험집단(M=3.95)이 비교집단(M=3.54)보다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6.922, p<.05). 둘째, 신체활동 중심의 전래놀이 활동이 또래 유능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에게 신체활동 중심의 전래놀이 활동을 적용한 후 실시한 또래 유능성 검사에 대한 평균 점수는 실험집단(M=3.97)이 비교집단(M=3.57)보다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9.011, p<.01). 이와 같이 신체활동 중심의 전래놀이 활동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또래 유능성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신체활동 중심의 전래놀이 활동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신체활동 및 놀이의 증진을 위한 기회를 제공하며, 창의적체험활동의 교수․학습 활동의 한 예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학교 현장에서 신체활동 중심의 전래놀이 활동을 활용하여 다양한 놀이를 위한 기회를 제공하려는 노력이 필요하겠다.

      • 유아숲교사와 일반유아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육신념 비교

        강정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논 문 요 약 유아숲교사와 일반유아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육신념 비교* 강 정 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초등교육학과 유아교육전공 (지도교수 곽 노 의) 본 연구는 유아숲교사와 일반유아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육신념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유아놀이와 교육신념에 대한 바른 이해와 우리나라 숲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유아숲교사와 일반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유아숲교사와 일반유아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육신념은 어떠한가? 1-1. 유아숲교사와 일반유아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육신념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2. 유아숲교사와 일반유아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육신념은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3. 유아숲교사와 일반유아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육신념은 근무기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4. 유아숲교사와 일반유아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육신념은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유아숲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육신념은 어떠한가? 2-1. 유아숲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육신념은 숲 프로그램의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2. 유아숲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육신념은 연수시간에 따라 차이 가 있는가? 2-3. 유아숲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육신념은 숲 교육기관 근무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서울시, 경기도, 경상도, 그리고 제주도 소재 유아숲교사 319명, 일반유아교사 22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는 2014년 8월 2일~8월 20일까지 실시하였으며, 본 조사는 2014년 9월 22일~10월 21일까지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유아놀이에 대한 문헌을 비교 분석하여 본 연구자가 수정・보완한 놀이에 대한 교육신념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유아숲교사와 일반유아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육신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Scheffé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유아숲교사와 일반유아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육신념은 하위요인인 ‘놀이의 중요성・교육적 가치’신념에서 유아숲교사의 평균은 44.55(SD=5.13), 일반유아교사의 평균은 43.15(SD=4.78)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F=10.26, P<.05). 둘째,유아숲교사와 일반유아교사의 연령에 따른 놀이에 대한 교육신념은 하위요인인 ‘놀이의 중요성・교육적 가치’신념에서 유아숲교사의 평균이 44.66(SD=4.83), 일반유아교사의 평균은 43.18(SD=4.78)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F=10.68, P<.01). 셋째,유아숲교사와 일반유아교사의 경력에 따른 놀이에 대한 교육신념은 하위요인인 ‘놀이의 중요성・교육적 가치’신념에서 유아숲교사의 평균이 44.70(SD=5.08), 일반유아교사의 평균은 43.33(SD=4.78)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F=9.23, P<.01). 넷째,유아숲교사와 일반유아교사의 근무기관에 따른 놀이에 대한 교육신념은 하위요인인 ‘놀이의 중요성・교육적 가치’신념에서 유아숲교사의 평균이 44.44(SD=4.99), 일반유아교사의 평균은 43.95(SD=4.64)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F=10.47, P<.05). 다섯째,유아숲교사와 일반유아교사의 학력에 따른 놀이에 대한 교육신념은 하위요인인 ‘놀이의 중요성・교육적 가치’신념에서 유아숲교사의 평균이 54.41(SD=6.01), 일반유아교사의 평균은 54.79(SD=6.02)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F=10.52, P<.01). 여섯째,유아숲교사의 숲 연수시간에 따른 놀이에 대한 교육신념은 하위요인인 ‘놀이의 중요성・교육적 가치’신념에서 숲 연수를 받지 않은 집단의 평균이 42.72(SD=4.85), 100시간 이상 집단의 평균은 46.88(SD=5.73)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F=3.24, P<.05). 일곱째,유아숲교사의 숲 연수시간에 따른 놀이에 대한 교육신념은 하위요인인 ‘놀이의 중요성・교육적 가치’신념에서 숲 연수를 받지 않은 집단의 평균이 42.72(SD=4.85), 100시간 이상 집단의 평균은 46.88(SD=5.73)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F=3.24, P<.05). 또한 유아숲교사의 숲 연수시간에 따른 놀이에 대한 교육신념은 하위요인인 ‘놀이와 교사 역할’신념에서 10시간 이하 집단의 평균이 53.77(SD=6.73), 100시간 이상 집단의 평균은 57.47(SD=5.48)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F=2.69, P<.05) 여덟째,유아숲교사의 숲 교육기관 근무경력에 따른 놀이에 대한 교육신념은 하위요인인 ‘놀이의 중요성・교육적 가치’신념에서 1년 미만 근무경력 집단의 평균이 43.29(SD=5.04), 3년~4년 경력 집단의 평균은 45.94(SD=5.47)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F=5.17, P<.01). 또한 유아숲교사의 숲 교육기관 근무경력에 따른 놀이에 대한 교육신념은 하위 A B S T R A C T The Comparison between Educational Belief on Play of Forest Kindergarten Teachers and General Kindergarten Teachers by Kang Juong A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upervised by Professor : Kwak, No Ui 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and reflective thinking about the children’s play and educational belief by looking into the different educational beliefs between forest kindergarten teachers and general kindergarten teachers about children’s play. For this, a survey is conducted targeting both forest kindergarten teachers and general kindergarten teachers. To achieve the aim of this study, research questions are set as below: Research question 1. What is educational belief of forest kindergarten teachers on play be compared with that of general kindergarten teachers? 1-1. Do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educational belief of forest kindergarten teachers on play and that of general kindergarten teachers depend on the age of teachers? 1-2. Do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educational belief of forest kindergarten teachers on play and that of general kindergarten teachers depend on the year of teacher’s work experience? 1-3. Do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educational belief of forest kindergarten teachers on play and that of general kindergarten teachers depend on the placement of where teacher works? 1-4. Do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educational belief of forest kindergarten teachers on play and that of general kindergarten teachers depend on the level of teacher’s academic background? Research question 2. What is educational belief of forest kindergarten teachers on play? 2-1. Does the educational belief of forest kindergarten teachers on play depend on the forest programme types? 2-2. Does the educational belief of forest kindergarten teachers on play depend on the length of teacher training hours? 2-3. Does the educational belief of forest kindergarten teachers on play depend on the work experience in forest institutions? This study covers 319 forest kindergarten teachers and 221 general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Gyeonggi province, Gyeongsang province and Jeju island by carrying out a survey. The pilot survey is conducted from 2014. 08. 02 to 08. 20 and then the official survey is done from 2014. 09.22 to 10. 21. The questionnaire of this study is revised and supplemented by the researcher, comparing and analysing the literature on children’s play.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educational belief on play, various test forms such as mean, standard deviation, two-way ANOVA, One-way ANOVA and Scheffé posteriori are us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looking at the educational beliefs of early childhood forest teachers and general early childhood teachers, statistically significant (F=10.26, P<.05) difference is found in a sub-domain ‘importance and educational value of play.’ The educational belief of early childhood forest teachers on play (Mean=44.55, SD=5.13) is stronger than that of general early childhood teacher’s (Mean=43.15, SD=4.78). Secondly, the educational beliefs of both groups on play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10.68, P<.01) in a sub-domain ‘importance and educational value of play’ when the age of teachers are considered. The educational belief of early childhood forest teachers (Mean=44.66, SD=4.83) is stronger than that of general early childhood teacher’s (Mean=43.18, SD=4.78). Thirdly, the educational beliefs of both groups on play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9.23, P<.01) in a sub-domain ‘importance and educational value of play’ when the work experience of teachers are considered. The educational belief of early childhood forest teachers (Mean=44.70, SD=5.08) is stronger than that of general early childhood teacher’s (Mean=43.33, SD=4.78). Fourthly, the educational beliefs of both groups on play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10.47, P<.05) in a sub-domain ‘importance and educational value of play’ depending on the institutions where they worked. Early childhood forest teachers’ educational belief (Mean=44.44, SD=4.99) is again stronger than that of general early childhood teacher’s (Mean=43.95, SD=4.64). Fifthly, the educational beliefs of both groups on play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10.52 P<.01) in a sub-domain ‘importance and educational value of play’ depending on the level of academic background. Early childhood forest teachers’ educational belief (Mean=54.41, SD=6.02) is again stronger than that of general early childhood teacher’s (Mean=54.79, SD=6.02). Sixthly, the educational belief of early childhood forest teachers on play according to the length of forest teacher training hours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3.24, P<.05) in a sub-domain ‘importance and educational value of play.’ The average score of the teachers who did not take the forest training (Mean=42.72, SD=4.85) is lower than that of the teachers who took the training for 100 hours or more (Mean=46.88, SD=5.73). Seventhly, the educational belief of early childhood forest teachers on play according to the length of forest teacher training hours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2.69, P<.05) in a sub-domain ‘teacher’s role in play.’ The average score of the teachers took the forest training for 10 hours or less (Mean=53.77, SD=6.73) is lower than that of the teachers who took the training for 100 hours or more (Mean=57.47, SD=5.48). Lastly, the educational belief of early childhood forest teachers on play according to the work experience in forest institutions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5.17, P<.01) in a sub-domain ‘importance and educational value of play.’ The average score of the teachers who worked for 1 year or less (Me

      • 인성동화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공감능력과 배려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현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만 4세 유아들을 대상으로 인성동화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을 실시하여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유아의 공감능력과 배려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인성동화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이 만 4세 유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1. 인성동화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인지적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2. 인성동화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정서적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인성동화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이 만 4세 유아의 배려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1. 인성동화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정서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2. 인성동화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능동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3. 인성동화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규범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4. 인성동화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가치부여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J어린이집과, D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4세 유아 각각 25명씩 총 5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두 집단은 사전 검사를 통해 동질집단임을 확인하였고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었다. 본 연구의 실험처치는 2017년 10월 30일부터 2017년 12월 22일까지 1주 2회씩 총 16회에 걸쳐 실시하였고, 각 1회기당 활동 시간은 40분 정도 소요되었다. 실험집단에는 인성동화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을 적용하였고, 비교집단에는 인성동화 듣고 자유화 그리기 활동을 적용하였다. 실험 수행의 효과는 인성동화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 실시 전과 후에 두 집단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검증한 연구도구는 공감능력 측정도구(최미경, 2016)와 배려행동 측정도구(한명숙, 2013)이다. 연구를 통해 수집된 자료들은 SPSS WIN 23.0을 사용하였으며,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두 집단의 동질성 및 사전·사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유의 수준은 p<0.5로 설정하고 t-검증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성동화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은 유아의 조망취하기에 영향을 미친다. 인성동화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조망취하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본 결과 인성동화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을 한 실험집단이 인성동화를 듣고 자유화 그리기 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보다 유아의 조망취하기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성동화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은 유아의 상상하기에 영향을 미친다. 인성동화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상상하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본 결과 인성동화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을 한 실험집단이 인성동화를 듣고 자유화 그리기 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보다 유아의 상상하기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성동화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은 유아의 공감적 각성에 영향을 미친다. 인성동화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공감적 각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본 결과 인성동화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을 한 실험집단이 인성동화를 듣고 자유화 그리기 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보다 유아의 공감적 각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성동화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은 유아의 공감적 관심에 영향을 미친다. 인성동화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공감적 관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본 결과 인성동화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을 한 실험집단이 인성동화를 듣고 자유화 그리기 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보다 유아의 공감적 관심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인성동화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은 유아의 정서적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인성동화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정서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인성동화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인성동화를 듣고 자유화 그리기 활동을 한 비교집단보다 유아의 정서적 행동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인성동화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은 유아의 능동적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인성동화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능동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인성동화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인성동화를 듣고 자유화 그리기 활동을 한 비교집단보다 유아의 능동적 행동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인성동화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은 유아의 규범적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인성동화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규범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인성동화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인성동화를 듣고 자유화 그리기 활동을 한 비교집단보다 유아의 규범적 행동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인성동화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은 유아의 가치부여적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인성동화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가치부여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인성동화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인성동화를 듣고 자유화 그리기 활동을 한 비교집단보다 유아의 가치부여적 행동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 유아들은 인성동화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을 통해 자신과 다른 사람의 역할을 체험해보고 미처 경험해보지 못한 세계나 가상세계를 경험하며 현실에서 접할 수 있는 행동들을 유아가 직접 상연해보는 기회를 가짐으로써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는 공감능력과 배려행동의 향상을 가져온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인성동화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은 유아의 공감능력과 배려행동 향상에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유아교육 기관에서 인성교육과 관련된 유용한 교수·학습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주요어 : 공감능력, 극놀이, 배려행동, 인성동화 * 본 논문은 2018년 8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논문임.

      • 숲유치원 아이들의 흙놀이 들여다보기

        이혜련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숲유치원 아이들의 흙놀이에 나타난 의미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자 아이들의 흙놀이 세계를 깊이 있게 들여다보기 위해 놀이 현장을 직접 참여 관찰하였으며 아이들이 흙을 어떻게 느끼며 흙놀이를 통해 드러나는 의미는 어떠한지 깊이 있게 들여다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 숲유치원 아이들의 흙놀이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W사립유치원의 숲반 아이들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 방법 중 참여관찰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자료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그 의미를 크게 다섯 가지로 정리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흙놀이는 ‘자유를 누릴 수 있게 하는 놀이’이다. 모든 아이들에게 친숙한 자연물인 흙은 아이들로 하여금 ‘우리 내일 또 흙 파자’라고 말하게 하며 흙놀이를 즐기게 하였다. 정해진 용도가 없는 흙은 아이들이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자유자재로 만들 수 있게 했다. 아이들은 흙을 곱게 거르거나 물을 섞는 등 흙을 마음껏 주무르며 놀이에 활용할 수 있었다. 둘째, 흙놀이는 ‘창의적인 생각을 무한히 펼칠 수 있게 하는 놀이’이다. 아이들은 숲에서 다양한 종류의 흙을 접하며 각각의 흙에 수많은 의미를 부여한다. 개방적인 자연물 놀잇감인 흙은 아이들의 창의적인 생각을 모두 수용해주었으며 어떤 의미라도 모두 담아내주었다. 흙놀이에는 제한이 없었다. 아이들은 흙 하나만으로도 모든 종류의 놀이를 다 할 수 있었으며 흙은 모든 아이들의 관심사를 한데 묶어 함께 어우러지게 해 주었다. 셋째, 흙놀이는 ‘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하는 놀이’이다. 매일 흙길을 걷고, 흙언덕을 오르고, 흙비탈을 내려오는 아이들은 건강한 체력과 뛰어난 운동능력을 기를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흙은 아이들의 마음도 건강하게 했다. 아이들은 흙에 누워 하늘을 보며 마음의 안정을 얻었고 흙의 따뜻함과 부드러움을 느끼며 긍정적인 정서를 형성할 수 있었다. 넷째, 흙놀이는 ‘지혜를 자라게 하는 놀이’이다. 아이들은 흙을 가지고 놀이를 하는 과정에서 흙에 대한 끊임없는 호기심을 가졌다. 나아가 아이들은 자발적으로 흙에 대해 탐구하면서 흙에 관한 이해를 넓혀나갔다. 흙을 통해 과학자적 능력을 키워나가는 아이들은 놀이 과정에서 경험하는 문제를 창의적이면서도 지혜롭게 해결하는 힘을 얻었다. 다섯째, 흙놀이는 ‘생명의 가치를 깨닫게 하는 놀이’이다. 흙을 만지며 아이들은 흙의 생명력을 느꼈으며 흙이 모든 생명의 근원임을 깨달을 수 있었다. 이러한 인식은 크고 작은 생물들도 배려하며 소중히 여기는 태도를 갖게 하였으며 나아가 사람에 대한 배려와 존중도 배울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흙놀이는 아이들을 잘 자라게 하는 놀이이다. 아이들은 흙 위를 마음껏 뛰놀며 건강한 체력과 면역력을 기르고, 흙을 만지며 건강한 정서를 획득하며, 흙을 탐구하며 작은 과학자가 된다. 흙으로 놀이를 하는 과정에서 전인적인 성장 ‧ 발달이 이루어진다. 둘째, 흙놀이는 아이들을 가장 아이답게 해주는 놀이이다. 자유로우며 창의적인 아이들의 본성은 흙 위에서 마음껏 발휘된다. 개방적인 자연물인 흙은 아이들을 놀이의 진정한 주인공이 되게 하며, 새롭고 창의적인 생각을 모두 실현할 수 있게 허락한다. 셋째, 흙놀이는 아이들을 자연과 가까워지게 하는 놀이이다. 아이들은 숲을 찾기 전부터 흙을 접해보았다. 이미 친근한 자연물인 흙은 숲을 찾은 아이들의 마음을 열게 하여 숲의 깊은 곳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도와준다. 흙놀이는 아이들이 진정 즐기는 놀이이자 아이들을 기르고 살리는 놀이이다. 우리 아이들이 흙과 더불어 건강하게 성장하며, 흙으로부터의 경험이 인식의 깊은 곳에 자리 잡아 삶의 자양분이 되길 기대한다.

      • 협동적 신체활동이 유아의 또래유능성 및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김지혜 서울교육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협동적 신체활동이 만 5세 아동의 또래유능성과 자아탄력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협동적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협동적 신체활동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1. 협동적 신체활동이 유아의 사교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2. 협동적 신체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3. 협동적 신체활동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협동적 신체활동이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1. 협동적 신체활동이 유아의 교사에 대한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2. 협동적 신체활동이 유아의 적극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3. 협동적 신체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소재 B유치원 만5세 2학급 46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인 2개 학급 중 1개 학급 23명은 협동적 신체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고, 다른 한 학급은 교육과정에 따른 개별적 신체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이다. 연구의 실험은 8주 동안 주 2회씩 총 16회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또래유능성 도구는 박주희, 이은해(2001)가 유아를 대상으로 제작하고 정세호(2010)가 사용한 또래유능성 검사 도구를 사용 하였다. 또래유능성 검사는 또래관계에서의 사교성, 친사회성, 주도성의 하위 요인을 측정하였다. 자아탄력성 도구는 Labuffe와 Naglieri(1999)가 만 2∼5세 유아를 대상으로 개발한 탄력성 검사인 DECA(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nent)를 구희정(2010)이 번안하고 사용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아탄력성 검사의 하위요인인 애착, 주도성, 자기통제를 본 연구의 맞게 전문가와 상의 후 교사에 대한 친밀감, 적극적 문제해결력, 자기조절로 수정 보완하여 측정하였다. 이 도구들은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 모두 사용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통계적 분석은 SPSS 20.0을 이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협동적 신체활동이 또래유능성 향상에 효과가 있었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에게 협동적 신체활동을 적용한 후 실시한 또래유능성 검사에 대한 결과 실험집단은 사전검사 점수가 2.87(SD-1.11)에서 4.46(SD=.29)로 증가하였으며, 비교집단은 또래유능성 사전검사 점수가 3.80(SD=1.07)에서 3.84(SD=.78)로 증가하였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F=12.537, P<.001). 둘째, 협동적 신체활동이 자아탄력성 향상에 효과가 있었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에게 협동적 신체활동을 적용한 후 실시한 자아탄력성 검사에 대한 결과 실험집단은 사전검사 점수가 3.45(SD=.58)에서 4.45(SD=.33)로 증가하였으며, 비교집단은 사전검사 점수가 3.83(SD=.52)에서 4.11(SD=.49)로 증가하였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F=15.901, P<.001). 이상의 연구 결과와 같이 협동적 신체활동이 유아의 또래유능성 및 자아탄력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협동적 신체활동은 다른 또래와 상호작용 하며 조화롭게 생활 할 수 있는 힘을 길러주며 문제적 상황에 스스로 해결해 나갈 수 있는 힘을 길러준다. 따라서 유아교육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다양한 신체활동을 협동성과 조화를 이뤄 적극 활용하고 현장에서도 협동적 신체활동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창의성 기법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석사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논 문 요 약 창의성 기법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석 사 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초등교육학과 유아교육전공 (지도교수 곽 노 의) 본 연구는 창의성 기법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만4세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만 4세 유아를 대상으로 창의성 기법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을 실시하고, 연구목적을 달성하기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창의성 기법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1-1. 창의성 기법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유창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1-2. 창의성 기법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독창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1-3. 창의성 기법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정교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1-4. 창의성 기법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제목의 추상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1-5. 창의성 기법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A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의 만4세 21명과 B초등학교 병설유치원 만4세 21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인 만4세 42명 중 A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의 21명은 창의성기법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고, B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의 21명은 누리과정지도서에 근거한 이야기나누기활동을 비교집단이다. 연구의 실험은 9월 7일~10월 30일의 8주 동안 주 3회씩 총 24회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유아의 창의성을 측정하기 위해 표준화 창의력검사 한국판 TTCT(도형) 검사(김영채, 2010)를 사용하여 창의성전체와 창의성의 하위요인인 유창성, 독창성, 정교성, 제목의 추상성,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을 측정하였다. 사전검사에서는 TTCT(도형)검사A형을 사후검사에서는 동형검사인 TTCT(도형)검사 B형을 모두 사용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통계적 분석은 SPSS 20.0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성 기법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창의성에 효과가 있는지 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 아동(M=54.80)이 비교집단의 아동(M=42.19)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F=32.50, p<.001). 둘째, 창의성의 하위 요인 중 유창성에 효과가 있는지 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 아동(M=26.24)이 비교집단의 아동(M=22.38)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F=14.50,p<.001). 셋째, 창의성의 하위 요인 중 독창성에 효과가 있는지 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 아동(M=13.34)이 비교집단의 아동(M=8.24)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F=18.11,p<.001). 넷째, 창의성의 하위 요인 중 정교성에 효과가 있는지 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 아동(M=5.38)이 비교집단의 아동(M=4.19)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F=19.01,p<.001). 다섯째, 창의성의 하위 요인 중 제목의 추상성에 효과가 있는지 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 아동(M=4.90)이 비교집단의 아동(M=3.52)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F=17.50,p<.001). 여섯째, 창의성의 하위 요인 중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에 효과가 있는지 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 아동(M=7.10)이 비교집단의 아동(M=3.86)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F=40.87,p<.001). 이상의 연구 결과와 같이 창의성 기법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만4세 유아의 창의성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창의성 기법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일반적인 이야기나누기 활동의 대안적인 교수-학습 활동의 예가 될 수 있으므로 만4세 유아의 교육활동에 있어 창의성기법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을 활용하여 유아들이 창의적 사고를 할 기회를 제공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주요어 : 창의성기법, 이야기나누기활동, 창의성 * 본 논문은 2018년 8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논문임.

      • 숲놀이 활동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윤경애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술놀이 활동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만5세 유아를 대상으로 숲놀이 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숲놀이 활동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 한가? 1-1. 숲놀이 활동이 유아의 일상적스트레스 하위 요인 중 가족문제 스트레스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가? 1-2. 숲놀이 활동이 유아의 일상적스트레스 하위 요인 중 자존심 문제 스트레스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가? 1-3. 숲놀이 활동이 유아의 일상적스트레스 하위 요인 중 학습 문제 스트레스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가? 1-4. 숲놀이 활동이 유아의 일상적스트레스 하위 요인 중 또래문제 스트레스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양주시 소재 S어린이집 만5세 37명, 서울시 소재 N어린이집 만5세 34명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 중 S어린이집 만5세 37명은 숲놀이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고, 다른 N어린이집 만5세 34명은 일반적인 유아교육과정인 누리교육과정에 따른 활동을 실시한 통제집단이다. 연구의 실험은 3월 11일~4월 23일의 7주 동안 주 2~3회씩 총 16회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염현경(1998)이 제작한 '한국 유아의 일상적인 스트레스 척도(Korean Preschool Daily Stress Scale : KPDSS)' 를, 장영화(2000)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유아의 가족문제, 자존심문제, 학습문제, 또래문제에 관한 스트레스 척도를 측정하였다. 이 도구는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 모두 사용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통계적 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숲놀이 활동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의 하위 요인 중 가족문제 스트레스 변화에 효과가 있는지 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의 가족문제 스트레스 점수의 변화는 평균 0.43(SD=.35)으로 비교집단의 가족문제 스트레스 점수의 변화 평균 0.12(SD=.22)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t=4.278, p<.001). 둘째, 숲놀이 활동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의 하위 요인 중 자존심문제 스트레스 변화에 효과가 있는지 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의 자존심 문제 스트레스 점수의 변화는 평균 0.41(SD=.25)으로 비교집단의 자존심 문제 스트레스 점수의 변화 평균 0.09(SD=.28)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t=4.854, p<.001). 셋째, 숲놀이 활동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의 하위 요인 중 학습문제 스트레스 변화에 효과가 있는지 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의 학습문제 스트레스 점수의 변화는 평균 0.29(SD=.28)으로 비교집단의 학습문제 스트레스 점수의 변화 평균 0.01(SD=.08)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t=6.071, p<.001). 넷째, 숲놀이 활동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의 하위 요인 중 또래문제 스트레스 변화에 효과가 있는지 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의 또래 문제 스트레스 점수의 변화는 평균 0.46(SD=.26)으로 비교집단의 또래 문제 스트레스 점수의 변화 평균 0.01(SD=.24)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t=7.026, p<.001). 이상의 연구 결과와 같이 숲놀이 활동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숲놀이 활동이 누리교육과정의 자연 체험 활동을 위한 대안적인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예가 될 뿐 만 아니라 유아의 정서적인 안정과 심리적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과 신체발달, 사회성 발달 등 유아의 전인적인 발달을 이루는 방안이 될 수 있다.

      • 국내 유아교육 관련 박사학위 논문의 연구동향

        이연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국내 유아교육 관련 박사학위 논문의 연구동향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 연구된 유아교육 관련 박사학위 논문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유아교육 관련 박사학위논문의 연도별 연구동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교육 관련 박사학위논문의 연구 대상별 연구동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유아교육 관련 박사학위논문의 연구 주제별 연구동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4. 유아교육 관련 박사학위논문의 연구 방법별 연구동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2000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에서 연구된 유아교육 관련 박사학위 논문으로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와 국회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사이트롤 통하여 ‘유아’, ‘영아’, ‘영유아’를 키워드로 검색한 논문 중에 중복검색 된 논문, 비관련 논문, 특수유아교육 등을 제외하여 881편의 논문으로 선정되었다. 연구절차는 연구대상 논문의 범위를 선정하여 유아교육 분야에서 이루어진 동향분석에 관한 선행연구들의 연구를 살펴보고 유아교육전문가 2인과 상의하여 본 연구에 부합하도록 분류기준을 수정· 보완하였다. 연구대상별 분류는 김선진, 최인수(2013)의 연구대상별 분류를 수정·보완하였고, 연구 대상자별 연구 주제 분석은 이병래, 박용석(2015), 마송희(2016)의 분류기준을 수정·보완하였으며, 연구방법별 분석은 최혜순(2014)과 이송희(2014)가 동향 분석을 위해 사용했던 분석기준을 토대로 하여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 관련 박사학위 논문의 연도별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2000년도부터 2016년도까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 관련 박사학위 논문은 연구 대상별로 영유아와 관련된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교사 대상 연구, 부모, 양육자 대상, 유아교육과정, 교육지원, 교육환경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육 관련 박사학위 논문의 영유아 주제별 연구는 인지영역, 사회성, 기타영역, 정서영역, 언어영역, 신체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교육 관련 박사학위 논문에서 교사의 주제별 연구는 현직 교사와 관련하여 많이 이루어졌는데, 구체적으로 교수효능감, 교수몰입정도와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영향력에 대한 연구들이 많이 다루어졌다. 다섯째, 유아교육 관련 박사학위 논문에서 부모 및 양육자의 주제별 연구는 어머니와 관련된 연구가 과반수를 차지하였으며, 최근에 아버지와 관련된 연구도 급증하였다고 나타났다. 여섯째, 유아교육 관련 박사학위 논문에서 교육환경의 주제별 연구는 전반적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운영관리와 관련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유아교육 관련 박사학위 논문에서 교육지원의 주제별 연구는 다른 대상에 대한 연구보다도 극히 드물었는데, 교육 정책, 행정, 재정과 관련된 연구가 최근 들어 증가하고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유아교육 관련 박사학위 논문에서 교육과정과 관련된 연구는 교육평가와 관련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교육활동, 교육방법, 교육철학 및 기초, 교육목표, 교육내용 순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유아교육 관련 박사학위 논문의 연구방법은 전반적으로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으며, 양적연구, 질적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따라 유아교육 분야의 박사학위 논문들은 전반적으로 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으며, 대상에 따른 주제별로 영유아의 주제별 연구는 ‘인지영역’, 교사의 주제별 연구는 ‘현직교사’, 부모 및 양육자의 주제별 연구는 ‘어머니’, 교육환경의 주제별 연구는 ‘운영관리’, 교육지원의 주제별 연구는 ‘교육 정책, 행정, 재정’, 교육과정의 주제별 연구는 ‘교육평가’와 관련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고,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연구와 관련된 연구가 다수를 차지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교육 분야에서 연구를 위한 주제 선정부터 연구 과정까지 정보를 제공해주는 선행 자료로써의 역할을 하고, 앞으로 유아교육이 발전하는 데 이바지 할 수 있는 기초자료의 역할을 할 것이며, 앞으로 다양한 대상과 주제, 방법을 사용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