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력주의가 청소년의 고교 중단과 학교 밖 진로에 미치는 영향

        박종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55

        이 연구는 청소년의 고교 중단과 대학 입시 과정을 사교육 지향, 학력주의 문화,부모 양육의 영향과 관련하여 분석함으로써 ‘학교 밖의 학업 추구’라는 현상의 함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이 연구는 학교 밖의 학업 추구가 지니는 의미의 계층화된 성격에 주목하여 중간 계층과 노동 계층 각각의 중단과 대학 입시 과정을 구분한다. 13명의 연구참여자에 대한 면담 자료를 근거이론 방법으로 분석한다. 이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교육으로서 학교 밖 경로의 수용, 학교 안팎 학력주의 문화로부터의 영향, 교육 성취를 기대하는 부모의 양육은 청소년의 고교 중단과 대학 입시 과정에 주요한 맥락으로 작용한다. 이때 중간 계층 청소년과 노동 계층 청소년의 중단 과정과 대학 입시 과정은 학교 밖 경로에 대한 인식, 학력에 대한 의미 부여, 계층에 따른 부모 양육의 경험에 있어 질적인 차이를 나타낸다. 이런 맥락에서, 이 연구는 청소년의 학교 밖 학업 추구에 있어 계층간 불평등의 경험을 논의 지형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시사한다.

      • 형태발생론의 관점에서 본 북한이탈주민의 학위 취득의 가치와 정착과정

        김경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62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how North Korean defectors interact with structures through education as social actors who use institutionally provided higher education opportunities to settle as migrants in unfamiliar South Korean society. To this end, this study analyses how North Korean defectors interpret and reconstruct their experiences of obtaining a university degree through the stages of structural conditioning, social interaction, and structural elabo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morphogenesis, and how they reproduce or change structure by accepting or rejecting the pressures of social structure and culture. It also identifies the agency that North Korean defectors manifest i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social situations through reflection, choice of higher education and attainment of a degree. It also identifies how North Korean defectors construct their ontological knowledge about the educational value and social significance of university degrees. This study uses empirical data from interviews with 16 North Korean defectors. The participants included four-year university graduates, four-year university students, students preparing to enter four-year universities, and undecided students to examine the process of accepting or resisting higher education in the process of settling into South Korean society. The analytical process was a case study method based on the stratified ontology of critical realism (real, actual and empirical). In this process, the abstract structures and mechanisms that generate the concrete events and causes of North Korean defectors' experiences of obtaining a university degree were inferred backwards in order to understand the social and educational cultures of North and South Korea as they perceive them, and to explore the mechanisms by which the empirical event of choosing higher education is manifested as an actual event in South Korean society. Retroduction reasoning is a method of reasoning in critical realism that can explain the mechanism of empirical events that generate empirical eve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of North Korean defectors' experiences of obtaining a university degree and their resettlement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participants choose university education as a strategy to realise their educational aspirations, which were denied to them in North Korea and during their defection, and to successfully integrate into South Korean society. Educational inequality due to stratification in North Korean society and the loss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due to North Korean defection were objective and structural conditions for the research participants' integration into South Korean society. Another structural condition was the academic meritocracy of South Korean society. Under these conditions, the research participants either accepted or resisted the influence of the social structure in their respective locations. After leaving North Korea, the participants were spatially separated from their existing social relationships and had to adapt to a new social structure, institutions and culture, which formed a new basis for their lives. For them,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institutional support for university enrolment acted as a structural condition for obtaining a university degree, which manifested itself in status-oriented behaviour. For the participants, building educational capital through obtaining a university degree was the basis for starting a new life. In this process, participants reflected on their social context and interests and demonstrated active agency to take control of their lives. Second, the study participants engaged in personal reflection, which is a situational logic of using their resources and choosing opportunities based on their interests in structural situations. In the process of choosing a university, they engaged in communicative reflection, in which they decided on a career path based on the recommendations of others, and autonomous reflection, in which they took the initiative to choose in-seoul and SKY universities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ir social position as North Korean defectors. They also engaged in meta-reflection on the choice of higher education in anticipation of a social role in pursuit of better life values. However, there was also a fractured reflection that resisted reality and wanted to stay in the present life. As such, reflection can manifest itself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ocio-structural conditions faced by the actors, and the reflections of the study participants suggest the possibility of reproducing or changing structures in a meaningful way, depending on the socio-structural conditions in which they are situated and the social trajectories that govern the capital they possess. In addition, the study participants showed high levels of self-reflection and meta-reflexivity in the process of choosing higher educ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articipants expressed active agency as actors in the contextual logic of life chances as they entered unpredictable South Korean society. Third, the participants' decision to go to university can be interpreted as a rational choice that takes into account opportunity costs. Just as prestigious universities symbolise competence in Korean society, degrees from In-seoul University and SKY University were status symbols for the participants. This can be seen as a coping strategy to deal with meritocracy. In addition to their personal efforts, the participants also benefited from various institutional supports in Korea, such as special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s and the government's tuition fee support system. The process of obtaining a degree by actively using these systems under different constraints showed how the participants actively interacted with the social structure. In this process, the participants' agency in pursuing a university degree was manifested in the following ways: agency as student participants, agency in reconstructing thought systems, agency in choosing to pay opportunity costs, agency as cultural bearers, and agency in shaping identity. These agencies can be interpreted as manifestations of the active agency of research participants to achieve their desired goals. Fourth, the study participants expanded their social relationships based on the relationships they formed during their studies, and these experiences allowed them to form a new value system for their social roles during and after graduation. They formed new role expectations that they should contribute to society beyond simply settling down in Korea. As a result of these influences, rather than accepting the influence of the social structure in their respective positions, the study participants expressed corporate agency, which is the ability to define their capabilities and scope and to strategically select actions to change the environment based on their situational awareness and assessment of the structural conditions. In particular, the participants' corporate agency was expressed in their hierarchical roles within the community and their selfless cooperation for shared values. Based on their roles as club presidents, the participants actively performed their roles by exercising the relational norm of solidarity to help other North Korean refugees, as well as the logic of subsidiarity by actively using their skills to help Nor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achieve academic success and social integration. This leadership-based relational meta-reflexivity demonstrated the existence of a relational reality of we-relationship in pursuit of the common good that positively influences the actors in the relationship. As such, corporate agency can contribute to reproducing or changing structures by exercising its power, status, competence, etc. in the process of social interaction to achieve common goals. Furthermore, for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obtaining a degree is seen as a mechanism for forming a sense of belonging and social identity in South Korean society. In this process, as they reflected on their university education experience, they also recreated their committed agency through relational meta-reflexivity internalising values such as commitment to the community as a social being as well as personal growth. Fifth, for the participants, their legal status as university nationals was an institutional safety net that enabled them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their lives as members of South Korean society and to access higher education. Nevertheless, rather than being recognised as full individuals in the university environment, the participants interacted with the structure as reductive beings who were objectified and fragmented as North Korean defectors. As a result, they experienced a lack of recognition in South Korean society and used the capital of their educational backgrounds to engage in behavioural strategies to counter discrimination stemming from unequal social structures. Considering that the social status of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is influenced by the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embedded in the structure apart from their agency in the environmental context, it seems necessary to build various supportive environments to alleviate structural inequality. Sixth, the study participants' pursuit of a university degree was aimed at securing socioeconomic status in addition to aspiring to live as an ontologically independent individual. Education and occupation can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social mobility, an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expressed agency in obtaining a degree to expand their career options and secure social status. Unlike migrants who stay in the country to work or study, study participants cannot return home, so achieving socioeconomic status has social significance as a social safety net and an opportunity to integrate into mainstream society. In addition, achieving socioeconomic status can be seen as particularly significant because it involves a dual ethic of responsibility, as they are expected to financially support both their family members living in South Korea and their family members living in North Korea. Ultimately, the acquisition of a job and socioeconomic status can be inferred as the mechanisms through which the empirical event of the study participants obtaining a university degree is manifested in practice. However, the social status of being a North Korean defectors a class ceiling that constrained social mobilit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ccess to resources and opportunities in the labour market operates in a way that limits access to those with certain qualifications, such as being a member of mainstream society.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faced a dual situation in which they personalised the responsibility of structural inequalities based on educational attainment in the employment process in South Korean society or polarised structural inequalities simultaneously.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explore the educational value and social significance of North Korean defectors' choice of higher education to settle in unfamiliar South Korean society, revealing their experiences of higher education and their social position in the settlement process. In particular, it is academically significant in that it explores the meaning that North Korean defectors attach to their university degrees from a morphogenetic perspective, which has not been much studied in Korea, in order to interpret their experiences from the perspective of active social agency, in contrast to previous studies that have mainly focused on their academic failure in the context of the increasing number of North Korean defectors entering university. 이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이 한국 사회의 이주자로서 낯선 사회에 정착하기 위해 제도적으로 주어진 고등교육 기회를 활용하는 사회적 행위자로서 교육을 매개로 어떻게 구조와 상호작용하는지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형태발생론(morphogenetic approach) 관점에서 구조적 조건화 – 사회적 상호작용 – 구조적 정교화의 단계에 따라 북한이탈주민이 대학의 학위 취득 경험을 어떻게 해석하고 재구성하며 사회구조와 문화의 압력을 주체적으로 수용 혹은 거부하면서 구조를 재생산하거나 변화시키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북한이탈주민이 성찰을 통해 사회적 상황을 해석하고 대학교육을 선택할 뿐만 아니라 학위를 취득하는 과정에서 발현되는 행위자성을 규명하였다. 더불어 북한이탈주민이 대학학위의 교육적 가치와 사회적 의미에 대한 실재론적 지식을 어떻게 구성하는지 파악하였다. 이 연구는 16명의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한 경험적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대상은 한국 사회 정착과정에서 고등교육을 수용하거나 저항하는 과정을 살펴보기 위하여 4년제 대학 졸업자, 4년제 대학 재학생 및 입학 준비생, 미진학자를 포함하였다. 인터뷰는 2022년 10월부터 2023년 6월까지 진행하였다. 분석과정은 비판적 실재론(critical realism)에서 전제하는 층화된 존재론(실재 영역, 현실 영역, 경험 영역)을 바탕으로 사례연구방법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북한이탈주민의 대학학위 취득 경험이 발현되는 구체적 사건과 그것을 발생시키는 원인의 추상적 구조와 메커니즘을 역행추론(retroduction)하여, 이들이 남북한의 사회 및 교육문화를 이해하는 방식과 고등교육을 선택하는 경험적 사건이 실재적으로 발현되는 메커니즘을 탐색하였다. 역행추론은 비판적 실재론의 추론방식으로 경험적 사건을 발생시키는 실재적 사건의 메커니즘을 설명할 수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북한과 탈북과정에서 박탈당했던 교육에 대한 열망을 실현하고, 한국 사회에서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한 전략으로 대학교육을 선택한다. 북한 사회에서 경험한 계층화에 따른 교육 불평등과 탈북으로 인한 교육기회 단절은 연구 참여자들이 한국 사회 정착과정에서 객관적이고 구조적인 상황이었다. 여기에 한국 사회의 학력주의는 또 다른 구조적 조건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구조적 조건하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각자의 위치에서 주어진 사회구조의 영향력을 수용하거나 저항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북한을 떠나 기존의 사회관계들과 공간적으로 단절되고 새로운 사회구조와 제도, 문화에 적응하면서 새로운 삶의 토대를 형성해야 했다. 이들에게 대학진학을 위한 한국 정부의 제도적 지원은 학위 취득을 통한 지위 지향적 행위양식을 발현시키는 기제로 작동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에게 학위 취득을 통한 학력자본 형성은 새로운 삶을 시작할 수 있는 기반을 의미하였다. 이 과정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이 처한 사회적 맥락과 관심사를 성찰하며 자신의 삶을 지배할 수 있는 적극적 행위자성을 보여주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구조적 상황에서 이해관계에 기반하여 자신의 자원을 활용하고 기회를 선택하는 상황논리를 이끌어내는 개인적 성찰을 하였다. 이들은 대학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다른 사람들의 권고에 따라 진로를 결정하는 의사소통 성찰을 하였으며, 북한이탈주민이라는 사회적 위치를 만회하고자 인서울(in-seoul) 및 SKY 대학을 주도적으로 선택하는 자율적 성찰을 하였다. 더불어 더 나은 삶의 가치를 추구하는 사회적 역할을 기대하면서 대학교육을 선택하는 메타 성찰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현실에 저항하고 현재의 삶에 머무르고자 하는 균열된 성찰도 나타났다. 이처럼 성찰은 행위자가 직면한 사회구조적 조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데, 연구 참여자들의 성찰은 이들이 위치 지어진 사회구조적 조건과 소유한 자본을 지배하는 사회적 궤적에 의존하여 의미 있는 방식으로 구조를 재생산하거나 변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뿐만 아니라 연구 참여자들이 고등교육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자율 성찰과 메타 성찰 유형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연구 참여자들이 예측 불가능한 한국 사회에 진입하면서 삶의 기회라는 상황논리를 작동시키는 행위자로서 적극적인 주체성을 발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의 대학진학은 기회비용을 감안한 합리적 선택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한국 사회에서 명문대학이 능력을 상징하는 것처럼 연구 참여자들에게도 인서울(in-seoul) 대학과 SKY 대학학위는 지위의 상징과 같은 것이었다. 이것은 학력주의에 대처하는 연구 참여자들의 대응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 참여자들의 개인적인 노력과 더불어 대학특례 입학전형과 정부의 등록금 지원제도 같이 한국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제도적 지원은 실질적으로 큰 도움을 주었다. 여러 제약 조건하에서도 이와 같은 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학위를 취득하는 과정은 연구 참여자들이 적극적으로 사회구조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대학의 학위 취득을 목표로 하는 행위자성은 학생참여자로서의 행위자성, 지식과 사고체계를 재구성하는 행위자성, 기회비용 지불을 선택하는 행위자성, 문화담지자로서의 행위자성, 정체성을 형성하는 행위자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행위자성은 연구 참여자들이 원하는 목표를 성취하기 위하여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행위 주체성이 발현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넷째, 연구 참여자들은 대학 재학 중에 형성한 인간관계를 바탕으로 사회적 관계를 확장하고 이러한 경험들은 재학 중 또는 졸업 후 자신의 사회적 역할에 대해 새로운 가치체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단지 한국 사회에 안정적으로 정착하는 것 이상으로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역할을 해야겠다는 새로운 역할기대를 형성해 나갔다. 이러한 영향으로 연구 참여자들은 각자의 위치에서 주어진 사회구조의 영향력을 그대로 수용하기보다 구조적 조건에 대한 상황인식과 판단하에서 자신들의 역량과 범위를 정하고 환경을 바꾸기 위한 행동을 전략적으로 선택하는 공동 행위자성을 발현하였다. 특히 연구 참여자들의 공동 행위자성은 공동체 내에서의 계층적(hierarchical) 역할과 이타적으로 공동의 가치를 위해 협력하는 과정에서 발현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동아리 회장이라는 역할을 기반으로 다른 북한이탈주민을 돕기 위하여 연대(solidarity)라는 관계 규범을 발휘하면서 자신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하였다. 뿐만 아니라 자신들의 역량을 발휘하여 북한이탈대학생의 학업성취와 사회적응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적극적 보조성(subsidiarity)의 논리에 기반한 행위가 발휘되었다. 이처럼 리더십에 기반한 관계적 메타 성찰은 관계를 맺는 주체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행사하는 공동선(common good)을 추구하며 우리-사이(we-relation)라는 관계적 실재가 존재함을 보여주었다. 이처럼 공동 행위자는 사회적 상호작용 과정에서 자신의 역할과 역량 등을 행사하여 공동의 목표를 성취함으로써 구조를 재생산하거나 변화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에게 학위 취득은 한국 사회에 대한 소속감과 사회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기제로 보인다. 이 과정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대학교육의 경험을 성찰하면서 개인의 성장뿐만 아니라 사회적 존재로서 공동체를 위한 헌신 같은 가치를 내면화하는 관계적 메타 성찰을 통해 헌신적 행위자성을 재창조하기도 하였다. 다섯째, 연구 참여자들에게 대한민국 국민이라는 법적 지위는 한국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삶의 기반을 마련하고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제도적 안전망이었다. 그럼에도 연구 참여자들은 대학 환경에서 온전한 개인으로 인정을 받는 것보다 북한이탈주민으로 대상화되고 파편화된 환원적 존재로서 구조와 상호작용하였다. 이러한 영향으로 한국 사회에서 다양한 인정의 부재를 경험하면서 학력이라는 자본을 활용하여 불평등한 사회구조에서 기인하는 차별에 대응하는 행위전략을 수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사회적 지위는 환경적 맥락에서 이들의 행위 주체성과 별개로 구조에 배태되어 있는 편견과 차별에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고려하여 구조적 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적 환경을 구축해 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여섯째, 연구 참여자들의 대학학위 취득은 존재론적으로 독립적인 개인으로서의 삶을 지향하는 것과 더불어 사회경제적 지위를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과 직업은 사회이동에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는데. 연구 참여자들은 학위를 취득하여 직업 선택의 기회를 넓히고 사회적 지위를 확보하려는 행위자성을 발현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취업 혹은 유학 등으로 국내에 머물고 있는 이주민과 달리 고향으로 돌아갈 수 없기 때문에 사회경제적 지위 획득은 사회적 안전망이며 주류 사회로 편입할 수 있는 기회라는 사회적 의미가 있다. 한 걸음 더 나아가 이들은 한국에 함께 거주하는 가족과 북한에 거주하는 가족을 경제적으로 돌봐야하는 이중적 책임 윤리를 수반하고 있기 때문에 사회경제적 지위 획득은 특별한 의미가 있다. 궁극적으로 직업과 사회경제적 지위 획득은 연구 참여자들이 대학학위를 취득하는 경험적 사건이 실재적으로 발현되는 메커니즘으로 추론할 수 있다. 그러나 북한이탈주민이라는 사회적 지위는 사회이동을 제약하는 계급 천장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노동시장에 대한 자원과 기회에 대한 접근이 주류 사회 일원이라는 일정한 자격을 가진 대상자로 제한하는 방식으로 작동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따라서 연구 참여자들이 한국 사회의 취업과정에서 학력에 따른 구조적 불평등의 책임을 개인화하거나 구조적 불평등의 양극화가 동시에 나타나는 이중적 상황에 직면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북한이탈주민이 낯선 한국 사회에 정착하기 위하여 고등교육을 선택하는 교육적 가치와 사회적 의미를 탐색함으로써 한국 사회에서 이들의 고등교육 경험과 정착과정에서의 사회적 위치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특히 북한이탈주민의 대학진학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주로 이들의 학업 실패에 초점을 맞춘 선행연구와 달리 그동안 국내에서 많이 연구되지 않았던 형태발생론 관점에서 북한이탈주민이 대학학위에 부여하는 의미를 탐색하여 적극적인 사회적 행위자의 관점에서 이들의 경험을 해석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

      • 불안정 노동시대의 청년세대의 대응전략 : 알바노조 사례를 중심으로

        김유진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02

        본 연구는 불안정 노동시대에 ‘무기력한’ 존재로 여겨지는 청년세대의 ‘무기력하지 만은 않은’ 다양한 삶의 전략을 포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알바노조의 20대 조합원들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알바노조 20대 조합원들은 청년세대의 지배적인 대응전략(혹독한 자기통제형 자기계발)을 거부하는 ‘비주류 행위자’들이다. 본 연구는 ‘비주류 행위자’들의 적극적인 사회참여 내지 문제해결을 위한 행동을 가능하게 하는 감정적 요인을 통해 지배적인 대응전략을 거부하는 독특한 감정적 메커니즘을 분석하였다. 불안정한 삶의 조건에 의한 공포와 불안이 지배질서에 대한 청년세대의 순응성과 감정적·심리적 위축을 야기했다는 것이 지배적 인식이다. 연구자는 ‘비주류 행위자’인 알바노조 20대 조합원들을 통해 청년세대가 가지는 다양한 감정을 포착함으로써, 오늘날의 청년세대를 보다 면밀하게 이해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자는 심층인터뷰와 참여관찰을 통해 연구참여자들의 다양한 감정상태와 대응전략을 살펴보았다. 심층인터뷰 결과, 학력위계주의에 의해 서열화 된 학력상태가 조합원들에게 권력과 지위를 차별적으로 보장했으며, 이것은 상이한 노조 가입동기, 활동방식, 감정상태로 드러났다. 또한 차별적으로 주어진 권력과 지위가 연구참여자들의 책임귀인방식에도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자는 켐퍼의 권력-지위 모델을 바탕으로 학력상태, 차별적인 권력과 지위 상태, 감정상태 등에 따라 알바노조 20대 조합원들의 특성을 세 그룹(사회비판형, 보험형, 자기구원형)으로 유형화하였다. 행위자들은 지위와 권력 수준에 따라 자신이 처한 삶의 조건을 다르게 해석하고 선택과 결정을 하게 되는데, 어떤 책임귀인 양상을 보이느냐에 따라 상이한 해석과 행위 선택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조합원 유형화 과정은 불안정 노동시대에 겪을 수밖에 없는 위험과 고통에 청년세대 내의 개별적 행위자들이 어떻게 나름의 적극적인 대응전략을 취하지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노동운동 내지 사회운동 측면에서 알바노조가 가지는 독특한 특성을 이해하는 데에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특히 조합원들이 노조 활동을 통해 ‘심리적 케어’와 ‘자기구원’을 경험한다는 점에서 조합원들의 감정상태를 살펴보는 것은 비정규 노동운동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에 매우 중요하다. This study aims to capture the “not-so-helpless” life strategies of the young generation who is usually seen as helpless in the face of the unstable labor market.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are members of the Alba labor union in their twenties. These members belong to the non-mainstream movement that refuses their peers’ mainstream coping mechanism of intense self-development. This study analyzes the distinctive emotional mechanism, where the emotional element that facilitates active social participation drives the young individuals to reject the mainstream strategy. The dominant view explains that the prospect of unstable life causes fear and anxiety, which in turn causes youth’s obedience to ruling order, and their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hrinkage. By studying the non-mainstream Alba labor union members and capturing the diverse emotions of the youth, the study hopes to contribute to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oday’s young generation. The researcher utilizes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to examine the participants’ diverse emotional states and their coping mechanisms.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show that the academic hierarchical ranking structure promised discriminatory social status, and it is consequently manifested in the participants’ varying motives of joining the labor union, the different activities they participate in, and their emotional states. Moreover, the varying power and status affect the participants’ attribution of responsibility. Based on Kemper’s power-status theory, the researcher uses level of education, differentiated power and status, and emotional state as criteria in categorizing the characteristics of Alba labor union’s members in their twenties into three groups: social criticism, insurance, and self-salvation. Social status and power play a large role in how actors view life and how they make decisions. These interpretations and decisions, however, vary depending on the level of responsibility attribution. Thus, categorization of these labor union members is significant in that it shows how the individual actors of the young generation still utilize active coping mechanism in the face of the inevitable risk and pain that comes with unstable labor market. It is also significant to examine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Alba labor union in the context of social and labor movement. The fact that the union members experienced “psychological care” and “self-salvation” through union activitie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examining the members’ emotional stat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non-regular labor movements.

      • 1960년대 중학교 입시경쟁에 관한 연구

        이현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587

        본 연구는 1960년대 중학교 입시경쟁의 실제 상황을 밝히고 각 주체별 대응을 드러냄으로써 당시의 입시경쟁 실태를 입체적으로 밝혀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방법을 택하였으며, 교육통계자료 및 주요 일간지 『조선일보』,『동아일보』,『경향신문』을 연구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입학경쟁은 서울로 대표되는 대도시에서 극심하였으며 그중에서도 일류중학교 입학을 위한 경쟁이 치열하였다. 전국 수준의 경쟁률로 보면 1960년대 중학교 입시경쟁은 결코 극심한 것으로 보기 어렵다. 일류중학교의 경쟁률은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었으나 1960년대 후반으로 갈수록 일류중학교의 경쟁률을 넘어서는 중학교가 많아졌다. 일류중학교의 입학경쟁은 우수한 학생 간의 경쟁이었기에 그 경쟁률은 지원자의 성격을 전제로 이해될 필요가 있다. 즉 당시 사회문제화되었던 중학교 입학경쟁은 일류중학교 진학을 희망한 일부 집단을 그 대상으로 한다. 둘째, 국민학교 측, 교사, 학부모, 학생 등의 주체별 대응을 분석함으로써 당시 입시경쟁의 성격을 이해할 수 있다. 먼저, 국민학교 측은 입시제도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교과 운영에서 상당히 입시 지향적인 성격을 드러낸다. 또한 국민학교는 배치고사와 진학지도를 통해 입시에 적극 관여하였다. 그 결과 중학교 진학률이 높은 일부 국민학교를 중심으로 일류국민학교군이 형성되었으며, 공립국민학교와 사립국민학교 간의 경쟁 양상이 나타나기도 했다. 다음으로 교사의 입시 대응은 대부분이 국민학교 측의 대응과 맞물린다. 교사는 교과 내용을 일방적으로 지도하는 방식을 택하였으며 지식 주입식·암기식 수업으로 입시 환경에 대응한다. 국민학교 교사는 과외 교사로 활동하기도 하면서 나름의 방식으로 중학 입시가 초래한 현실에 대응해나간다. 교사의 과외는 교내 과외와 교외 과외로 나뉘며, 당시 상당수 교사가 과외교사로 활동하였다. 교사 과외가 사회문제화되자 6학년 담임교사를 중심으로 학원정화운동이 전개되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학부모와 학생의 입시 대응은 대개 학부모의 지원 방향을 학생이 따르는 양상으로 전개된다. 따라서 이들의 입시 대응은 대부분 동질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학부모는 자녀의 입시에 적극적으로 관여하면서 지원에 충실하였고 그 대표적인 수단으로 과외를 선택하였다. 반면 일부 학부모 집단은 과외 철폐의 움직임을 전개하였으나 오랜 기간 지속되지 못하였다. 학부모의 입시 지원에는 지역차, 학교차가 존재하였는데, 이러한 차이는 일류중학교로의 진학 희망 정도 차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즉 입시에 대한 전반적인 학부모의 대응은 대개 일류중학교 진학과 관련된 것이었다. 학생들은 합격에 대한 강한 열망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입시 준비에 매진했다. 그러나 이들은 다소 기계적이고 수동적인 자세로 입시에 임하기도 했다. 이는 이들 대부분이 입시에 대해 결정권을 가지지 못하고 학부모의 대리인으로서 입시에 임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가족의 열성적인 관심과 지원은 학생들에게 심리적 부담인 동시에 입시에 몰두하게 한 동인으로 작용하였다. 위 같은 당시의 경쟁상황 및 주체별 대응을 통해, 1960년대의 입시경쟁은 서울을 중심으로 한 대도시에서 극심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경쟁은 중학교 입학을 위한 경쟁이기보다 일류중학교 입학을 위한 경쟁의 성격을 띤다. 1960년대 전반에 걸쳐 이 같은 ‘일류’에 대한 열망과 일류중학교를 둘러싼 경쟁이 극심했던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명문학교 진학 트랙 즉, ‘일류 코스’로의 진입과 이를 열망하게 한 사회 풍토이다. 둘째는 중학교 간 학교차다. 중학교 무시험제 이후 중학교 입시경쟁은 해소되었으나, 입시경쟁은 상급학교로 집중되며 재현되었다. 이는 경쟁의 원인에 대한 근본적 차원의 접근 없이는 입시경쟁이 재현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입시경쟁에 대한 접근은 입시제거나 입시제도 수정으로 대표되는 대증요법적 차원을 넘어설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의 논의는 한국의 입시경쟁에 대한 구조적 접근과 비판적 분석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This thesis aims to illuminate, with different angles, the actual condition of the competition for middle schools admission in the 1960s by analyzing each actor’s reactio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actual situation. In terms of methodological approaches, this thesis deals with statistical data in field of education and 3 major dailies; “Chosun Ilbo”, “Dong-A Ilbo” and “Kyunghyang Shinmun”. The conclusion of this thesis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mpetition for middle schools admission was only excessive in metropolitans typified by Seoul, especially for a few prestigious middle schools. Considering the average nationwide competition rate in the 1960s, the competition cannot be regarded as “excessive competition” at all. The competition rate for a few prestigious middle schools was relatively high. However, the number of middle schools, for which a competition rate was higher than that for the prestigious middle schools, increased as getting into the end of the 1960s. Also when understanding the competition rate for the prestigious middle schools, the characteristic of the applicants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because among a few excellent students occurred the competition for the prestigious middle schools. In other words, the excessive competition, which became one of the significant social issues, limitedly occurred among a few groups, who have a desire for admission of the prestigious middle schools. Second, the characteristic of the competition in the 1960s can be understood by analyzing the reaction of each actor such as Elementary schools,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on the competition. To begin with, the elementary schools were highly sensitive to changes of the entrance system. Their competition-oriented character can be identified in managing curriculum. Additionally they actively got involved with the competition for middle schools, utilizing mock tests and guidance for middle school. As a result of these practices, a group of prestigious elementary schools, which recorded a high middle school entrance rate constantly, arose and a competition between prestigious public elementary schools and private elementary schools was observed. Next, most of the teachers’ reaction went along with the that of the elementary schools. Their teaching styles were mainly unilateral, limited to knowledge delivery, and were teachings by rote. Also considerable number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layed additional roles as a tutor out of schools and as a teacher of extra-curricular inside schools. As these practices emerged as a social problem, a campaign to purify education was followed, mainly leaded by some of the class teachers of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s. Lastly, the reaction of the parents and the students were mostly similar, because the students obeyed the parents’ guidance. The parents actively got involved in their children’s competition for middle school admission and faithfully supported them by providing tutoring or extra-curricular education. Though some of the parents tried to abolish those extra education, not much later, it was discontinued. Meanwhile the extent of the supports by parents varied among parents with region or district and school. This difference was considered to originate in the difference of the extent of desire for prestigious middle schools. The students had a strong desire to put themselves into the prestigious middle school and strived to concentrate on their studies. However their attitudes were somehow mechanical and passive because each student participated in the competition as an agent of one’s parents. The enthusiastic interests and supports of family acted as a motive for being absorbed in the competition as well as emotional burden. In conclusion, it is identified that the competition for the middle schools admission in the 1960s was excessive in Seoul and other metropolitans. This competition was not for the general middle schools admission but for the prestigious middle schools admission. The 2 main causes of the competition can be pointed out as follows; First, the social climate, which facilitated the desire for the entry of so called ‘Il-lyu courses’, the tracks of prestigious schools. Second, the difference among the middle schools. After implementing new entrance system for the middle schools; abolishing entrance exam, the competition was resolved but the competition reappeared as for high schools or universities. It implies the competition for entrance exams can reappear without fundamental approaches, superior to symptomatic treatments such as the resolution of the competition and the changes of entrance system. Therefore the discussion of this thesis suggests that structural approaches and critical discussions for the competition be in great ne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