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유형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어진이 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influence of career decision-making patterns on career decision level, and also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patterns and career decision level. Especially, it aime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career decision level in accordance with career decision-making patterns. This study targeted the 3rd and 4th-year undergraduates of 4-year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region. For the data collection, total 2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3rd and 4th-year undergraduates for 14 days from April 27th 2015, and finally 191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Using SPSS 19.0,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verification, correlation analysis, one-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In the analysi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as 5%. As a survey tool, such questionnaires comprised of questions about respon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career decision-making patterns, social support and career decision level were used. As a scale of career decision-making patterns, the test of decision making patterns included in the Assessment of Career Design Making(ACDM) developed by Harren(1984), then modified/adapted suitable for Korean culture by Ko, Hyang Ja(1992) was used. The social support was measured by using the social support scale originally developed by Park, Ji Won(1985), then modified/complemented by Kim, Yeon Soo(1995). The career decision level was also measured by using the scale of career decision difficulties questionnaire developed by Sipow, Carney, Winer, Yanico와 Koschir(1976), then modified/adapted suitable for Korean culture by Ko, Hyang Ja(1993).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ike below. First,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difference in general characteristics along with career decision making patterns, only credit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according to career decision making patterns, no meaningful difference appeared in Father's academic ability, Mother's academic ability, and social-economic level. Second,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difference in social support along with career decision making patterns,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appeared in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material support, and appraisal support along with career decision making patterns. As the result of conducting post verification, rational type and intuitive type showed difference in emotional support and appraisal support than dependent type, difference was confirmed in informational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in case of intuitive type, and dependent type. Third,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difference in career decision level along with career decision making patterns,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appeared in career decision level along with career decision making patterns. As the result of conducting post verification, rational type appeared to have higher career decision level than intuitive type and dependent type. Fourth,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career decision making patterns on career decision level, rational type and dependent type appeared to have meaningful influence on career decision level. Concretely, rational type had affirmatively meaningful influence, dependent type appeared to have negatively meaningful influence on career decision level. Fifth, as the result of inspecting regul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in relation between career decision making type and career decision level, meaningful regulation effect of psychological·social support appeared in relation between rational type and career decision making type. Accordingly, rational type appeared to change along with psychological·social support level in the influence on career decision level. However, no regulation effect of psychological·social support appeared in relation between intuitive type, dependent type, and career decision level. By explaining the career decision level through the interactions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patterns and social support, contrary to other researches focusing on relations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patterns, social support and career decision level, this study made an opportunity to expand it more in the comparison with the existing study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career education and career programs that can boost the career decision level of undergraduates. 본 연구의 목적은 먼저 진로의사결정유형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과 다음으로 진로의사결정유형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특히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따른 진로결정수준에서의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경기지역에 소재하는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3, 4학년 대학생이다. 자료 수집은 2015년 4월 27일부터 14일에 걸쳐 3, 4학년 대학생을 대상으로 2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최종적으로 191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타당성 검증, 상관관계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에 있어 통계적 유의수준을 5%로 설정하여 처리하였다. 조사도구는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진로의사결정유형,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수준의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진로의사결정유형 척도는 Harren(1984)이 개발한 진로결정검사(Assessment of Career Decision Making: ACDM)에 포함되어 있는 의사결정유형검사를 고향자(1992)가 한국문화에 맞게 수정 및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사회적 지지는 박지원(1985)이 개발한 사회적 지지척도를 김연수(1995)가 수정·보안한 척도를 사용하여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진로결정수준은 Sipow, Carney, Winer, Yanico와 Koschir(1976)가 개발한 진로미결정검사(career decision difficulties questionnaire)를 고향자(1993)가 한국문화에 맞게 수정 및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따른 일반적 특성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따라 학점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아버지의 학력, 어머니의 학력, 사회경제적 수준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따른 사회적 지지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따라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따른 진로결정수준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따른 진로결정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진로의사결정유형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합리적 유형과 의존적 유형이 진로결정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합리적 유형은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의존적 유형은 부적으로 진로결정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진로의사결정유형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한 결과 합리적 유형과 진로의사결정유형의 관계에서 심리·사회적 지지의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합리적 유형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서 심리·사회적지지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직관적 유형, 의존적 유형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심리·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진로의사결정유형,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수준의 관련성에 초점을 둔 연구들과 달리 진로의사결정유형과 사회적 지지의 상호작용을 통해 진로결정수준을 설명함으로써 기존의 연구결과와 비교해보고 보다 확장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을 높이는 진로교육과 진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 기초적인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담임교사의 의사결정유형에 따른 학생의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최명시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담임교사의 의사결정유형에 따른 학생의 학교적응이 어떠한지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지각한 담임교사의 의사결정유형은 어떠한가? 둘째, 학생들의 학교적응은 어떠한가? 셋째, 담임교사의 의사결정유형에 따른 학생들의 학교적응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위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의사결정의 개념과 과정, 유형 그리고 담임교사의 의사결정유형 및 학교적응의 개념과 영역 등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조사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6학년 770명이었으며, 측정도구는 첫째, 이정애(2001)에 의해 제작된 담임교사의 의사결정유형 측정도구로 신뢰도는 Cronbach α계수로 .85였고, 둘째로는 박희자(2003)가 사용한 학교적응 측정도구로 신뢰도는 Cronbach α계수 .90이었다. 회수된 자료의 처리는 SPSS WIN 프로그램(Ver 10.0)을 이용하여, 영역별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으며, 변인별 차이검정을 위하여 교차분석을 이용하여 χ2, t-검정, F-검정으로 통계처리를 하였고, 각 집단간의 차이가 있는 부분에서는 구체적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cheffe 사후검증을 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담임교사의 의사결정유형 경향은 집단적 결정형이 가장 많았으며, 단독형, 집단 협의형, 자문적 단독형, 소수 협의형 순으로 반응하였고, 배경변인별로는 담임 교사의 교직경력과 학교급지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집단적 결정형은 교직경력이 5년 이상 10년 미만 일 경우 가장 높았고, 10년 이상의 경우 가장 낮았으며, 단독형은 10년 이상의 경우 가장 높았고, 5년 이상 10년 미만의 경우 가장 낮게 나타났다. 집단적 결정형은 학교급지가 B급지의 경우 가장 높았고, A급지의 경우 가장 낮았으며, 단독형은 A급지의 경우 가장 높았고, B급지의 경우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학생의 학교적응은 M=3.55로 나타나 학교적응을 보통(M=3)이상으로 하고 있었고, 배경변인별로는 담임교사의 교직경력, 학교급지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담임교사의 교직경력이 5년 이상 10년 미만일 때 다른 경우보다 학교적응을 더 잘한다고 나타났고, 학교급지가 A, B급지의 학생들이 C·D급지의 학생들보다 학교적응을 더 잘한다고 나타났다. 셋째, 담임교사의 의사결정유형에 따른 학생의 학교적응 차이를 분석한 결과 담임교사의 의사결정유형에 따라 학생의 학교적응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F=27.605, p<.001)가 나타났다. 학생의 학교적응은 담임교사의 의사결정유형이 집단적 결정형, 집단 협의형, 단독형, 소수 협의형, 자문적 단독형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얻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급지가 낮은 지역 학생의 학교적응도가 낮게 나타났는데 이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고, 학생들의 학교적응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겠다. 둘째, 담임교사의 의사결정유형이 집단적 결정형일 때 학생들의 학교적응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므로 학생들의 학교적응도를 높이기 위해서 교사들이 학급에서 직면하게되는 다양한 의사결정 상황에서 집단적 결정형을 높일 수 방안이 강구되어야겠다. The pro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students perceive their teacher's decision-making type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the concrete research problems are set up as follows ; First, what are the teacher's decision-making types perceived by the students? Second, what are the perceived children's school adjustment by the students? Third, what are the differences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teacher's decision-making type. The literature research and the questionnaire survey were carried to solve the problems. The literature research dealt with the process and concept, type of decision-making, also the concept and area of teacher's decision-making type and concept and area of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as belows. The subjects are 770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Busan. The first instrument for the research was teacher's decision-making Type by Lee, Jeong-ae(2001) (Cronbach a= .85). and the second instrument is the researcher used the corrected instrument (Cronbach a= .90), which founded on th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by Park, Heui Ja(2003) By using SPSS program (version 10.0), found out the obtained data produced the item of frequency and %, χ2, t-test and F-test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difference of variences. Post hoc test (Scheffe test) was used to verify the exact difference between groups. The results from this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st teacher's decision-making type tend to have collective decision type, and they prefer the followings in order: unilateral type, collective consultation type, and advisory unilateral type, finally minority consultation type.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showed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eacher's career and location of the school. And in the case of collective decision type among teacher's decision-making type, the value of mean showed most high more than 5-years to under 10-years teacher's career, but most low more than 10-years teacher's career, in the case of unilateral type, most high more than 10-years teacher's career but most low more than 5-years to under 10-years teacher's career. In the case of collective decision type, the value of mean showed most high B-location of the school, but most low A-location of the school, and in the case of unilateral type, the value of mean showed most high A-location of the school, but most low B-location of the school. Second, in the case of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e value of mean showed 3.55(M=3.55), therefore childrens were adjusted more than average(M=3). And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showed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eacher's career and location of the school, in such case the results showed that more than 5-years to under 10-years teacher's career were more adjust than the other groups and C·D-location of the school childrens were more adjust than the other groups. Third, the results of analysis about the difference on th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teacher's decision-making typ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F=27.605, p<.001). In the case of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ey prefer the followings in order: collective decision type, collective consultation type, unilateral type, and minority consultation type, finally advisory unilateral type. Therefore, suggestion from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of lower school location showed low i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erefore it needs to be create policies to rais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Second, in the case of collective decision type among teacher's decision-making type, the value of mean showed most high in th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erefore to rais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it needs to be create policies to raise collective decision type in the face of various teacher's decision-making type in the classroom.

      • 학습자의 의사결정유형에 따른 사회적 쟁점의 분석 과정 연구

        남현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ultimate goal of the social studies subject is to teach individuals as a citizen to make an informed decision on social issues and take positive actions. To achieve this goal, there have been continued efforts and studies to teach them to consider social issues important and make a reasonable decision. However, existing studies appeared to have focused their discussion on theoretical aspects, giving less attention to the decision-making process from the perspective of students. Therefore, this article aimed to find educational implications from an analysis of decision-making process and style of various students about social issues. To this end, the study tackled how students think of and analyze social issues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ree decision-making style and related characteristics. Social issues used in this study were developed by the author, and decision-making style were classified using Harren’s questionnaire about decision-making style. This study consists of four chapters. Chapter 1 introduced the need of this research, its goal and scope. chapter 2 discussed significance of decision making in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types of decision making models employed to teach decision making and thereby reviewed criticism about decision making education centered on decision making model from a theoretical perspective. In addition, the study also looked into personal differences considered important in education, and in particular, reviewed studies on types of decision making of students. Chapter 3 described research methodology and procedures. There are two methods used in this study; they are the Think-aloud method and writing about a social issue. The Think-aloud method was chosen because it helps examine what students think of without distortion, and writing about a controversial issue prevents reservation of choice. In chapter 4, based on the theoretical discussions so far and using the research method used in Chapter 3, thinking process and style of students about social issues were analyzed. Two social issues on regulations on school life and death penalty were presented, and Think-aloud method and writing were used to analyze collected data. The analytic framework is the order of decision making models which are most widely used in the social studies subject. They provide an analytic framework and help understand how current decision making models are accepted by students. From the findings from the study, the study has implications about teaching decision making skills in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reaction about decision making models used in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by decision making types, students of organized style thought the models could help their thinking and play a positive role in reasonable choice, while students of intuitive style were found to perceive the reason for the presence of the models itself in a highly negative way. Those of dependent style perceived the models as knowledge of facts, not an actual process of thinking. Second, there was a serious problem with value conflict and solution. The key to decision making education in the social studies subject is that it makes student experience value conflict and thereby analyze and justify or modify their value so that they can learn how to negotiate problems of value conflict. However, in this study, nothing relative to this was found in the process of thinking of students. Students appeared to simply present what was learned or heard from news reports from their view points, not having a deep insight into value conflict. Third, in relation to characteristics of students of dependent style, they were found to be different from original hypothesis of this study that assumed that there was no free decision making and explored what their decisions were based on. In other words, compared with other styles, a notable feature of dependent style is that they focused on ‘relationship.’ They made a decision not by relying on other’s view simply accepting it without their own thinking, but depending on their relationship with others. This does not mean that they were swayed by others without their own thinking, but that they took into consideration other’s position and value more than other styles, when making a decision. Fourth, as far as division of facts and value was concerned, previous studies on search based such division strongly doubted and criticized, but in reality these problems have almost never been accepted, arousing confusion and complaints about decision making among students. 사회과의 궁극적인 목표는 시민으로서 각 개인들이 사회적 쟁점에 관해서 지적인 의사결정을 하고, 적극적으로 행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를 위하여 사회적 쟁점을 중요시하고, 이들에 대한 합리적 의사결정을 가르치려는 노력들과 연구들이 지속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주로 이론적인 측면에 몰두하여 실제 학습자들의 입장에서 의사결정 행위를 살펴보는 노력은 미진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학습자들이 사회적 쟁점에 관하여 의사를 결정하는 과정 및 양상 등의 분석을 통하여 교육적 함의를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각 학습자들이 세 가지 의사 결정 유형에 따라 개발된 사회적 쟁점에 관하여 사고하고 분석하는 과정과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사회적 쟁점은 연구자가 개발하였으며, 의사 결정 유형의 분류는 Harren의 의사결정유형에 관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는 총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에서는 본 연구를 수행하게 된 필요성과 목적 및 연구의 내용 등을 기술하였다. 제 2장에서는 사회과교육에서 의사결정의 의의와 의사결정교육을 위해 활용되고 있는 의사결정모형의 유형 등에 관한 검토가 이루어졌다. 이를 바탕으로 의사결정모형 중심의 의사결정교육에 관한 비판들에 대하여 이론적인 논의를 하였다. 또한 교육에서 중요시 되고 있는 학습자의 개인차에 관하여 살펴보고, 특히 학습자의 의사결정 유형에 관한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제 3장에서는 연구의 방법 및 절차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Think-aloud 기법과 쟁점에 관한 글쓰기가 그것이다. Think-aloud 기법은 학습자의 사고를 비교적 왜곡 없이 살펴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쟁점에 관한 글쓰기는 선택의 보류를 방지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채택하였다. 제 4장에서는 앞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제 3장에서의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사회적 쟁점에 관한 학습자들의 사고 과정 및 양상을 분석하였다. 사회적 쟁점으로는 학교생활 규정에 관한 쟁점과 사형제도에 관한 쟁점 두 가지를 제시하고, Think-aloud 기법과 글쓰기를 활용하여 수집 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에 이용한 틀은 사회과에서 가장 대표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의사결정 모형의 순서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의사결정유형별로 사회과에서 활용하고 있는 의사결정모형에 관한 반응에 차이가 나타났다. 체계형의 경우 모형에 관하여 자신의 사고에 도움을 받을 수 있고, 합리적 선택을 위해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보았으며, 직관형의 경우는 모형의 존재 이유 자체에 관하여 매우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의존형의 경우는 의사결정모형이 실제로 사고가 작동하는 과정이 아닌 사실 지식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가치 갈등과 해결에 있어서는 심각한 문제점이 나타났다. 사회과에서 의사결정학습의 핵심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가치 갈등을 겪게 하고, 이를 통해 자신의 가치를 분석 및 정당화하거나 바꾸도록 함으로써 가치 갈등 문제에 대한 타협하는 방법을 배우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나타난 학습자들의 사고 과정에서 이러한 점들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들은 가치 갈등에 대하여 깊이 성찰하지 못하고, 수업 시간에 들었거나 언론에서 들었던 내용들을 자신의 가치에서만 제시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었다. 셋째, 의존형 학습자에게서 주목할 만한 특징이 드러났다. 의존형의 경우 결정의 주체성이 없을 것으로 예상하면서, 의사 결정의 근거를 어디에 의존하는가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연구의 원래 가설이었다. 그렇지만 연구 결과 발견된 의존형의 두드러진 특징은 ‘관계’ 중심이라는 것이었다. 이들은 결정에 있어서 다른 무엇인가에 의존해서 자신의 의견 없이 수긍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과 타인의 관계에 따라서 결정의 방향이 좌우되고 있었다. 달리 말해, 주체성 없이 타인에게 흔들리는 것이 아니라, 다른 유형에 비해 자신의 입장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상대방의 입장과 가치를 많이 고려하고 있었다. 넷째, 사실문제와 가치문제의 인위적 혹은 기계적 구분의 적절성에 관한 보다 심층적 탐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사회과 의사결정 모형이나 논리에서 사실문제와 가치문제를 정형적으로 구분하고 탐구하는 방식에 대한 회의와 비판은 이미 기존 연구들에서도 제기되어 왔다. 그렇지만 현실에서 이러한 문제는 거의 고려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이러한 정형적 구분이 자칫 학습자들에게 의사결정에 관한 혼란과 불만을 야기할 우려가 발견되었다.

      •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체계유형에 따른 자아분화 정도 및 의사결정의 관계

        김수아 전주대학교 국제상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체계유형에 따른 자아분화 정도 및 진로미결정과 의사결정 유형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해보고, 자아분화 정도와 진로미결정 및 의사결정 유형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체계유형에 따라 자아분화 정도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대학생이 지각만 가족체계유형에 따라 진로미결정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대학생이 지각만 가족체계유형에 따라 의사결정 유형에 차이가 있는가? 넷째, 대학생이 지각한 자아분화 정도와 의사결정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전주소재 2개 대학생을 성별, 계열별, 학년별로 임의 표집 하여 전체 표본수를 470명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FACES Ⅲ 척도, 자아분화 척도, 진로미결정 척도 그리고 의사결정 유형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10.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도구의 신뢰도를 파악하였고, 통계적 기초자료인 빈도, 백분율, 평균 그리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가족체계유형에 따른 변인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과 F검증을 실시하였다. 집단간 비교를 위하여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했으며, 변인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체계유형에 따라 자아분화 정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자아분화 정도는 적응집단에서 가장 높고 그 다음이 유연/유리집단, 경직/연결집단 순이며 부적응집단에서 자아분화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가족체계유형에 따라 진로미결정의 차이를 살펴보면, 진로미결정의 하위영역인 자기이해 및 정보부족요인에서는 적응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의사결정곤란요인에서는 부적응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가족체계유형에 따라 의사결정 유형의 차이를 살펴보면, 적응집단에서 합리적으로 의사결정을 하며 부적응집단에서는 직관적이거나 의존적으로 의사결정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분화 정도와 의사결정의 관계를 살펴보면, 자아분화 정도와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는 부적상관을 나타냈고, 자아분화 정도와 직관적 유형, 자아분화 정도와 의존적 유형에서도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그러나 자아분화 정도와 합리적 유형에서는 정적인 상관을 보임으로써 자아분화가 높을수록 합리적으로 의사결정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가족체계유형 중 가족응집성과 적응성이 높은 적응집단일수록 자아분화가 잘 이루어지며 진로를 결정할 때 어려움을 덜 느끼게 되고, 의사결정을 할 때에도 감정적이거나 직관적이기보다는 합리적으로 결정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 대학생의 자아분화를 높이고 진로결정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대학생 개인뿐만 아니라 가족구성원의 역동적인 관계를 파악하고 가족체계를 변화시킬 수 있는 상담 및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해 준다. The purpose this study analyses the differences and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iation of self, career indecision and decision making style according to family system types. The methodology employed in this study was to survey undergraduate students. There were four main results. First, when differentiation of self is examined according to family system types, it is highest in the Adaptation family, it is found to a lesser extent in the Flexible/Disengaged family, it is lesser in the Rigid/Connected family and it is lowest in the Inadaptation family. Second, when career indecision is evaluated according to the family system types, the adaptation family has the greatest lack of needed career information and self-knowledge, and adaptation family shows the highest level of difficulty in decision making. Further, the Inadequacy family is higher than the Adequacy family in degree of overall career indecision. Third, when decision-making style is examined according to the family system types, undergraduates who are in an Adaptation family make more rational decision than students from an Inadaptation family. In addition, undergraduates who are in an Inadaptation family tend to be intuitive or dependent on others in order to make decisions. Fourth, when differentiation of self and decision-making style is examined, there i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differentiation of self and career indecision. Likewise there i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differentiation of self and is tuitive style, career indecision. In contrast, there i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differentiation of self and rational style. By these results as undergraduates level of differentiation of self is increasing, undergraduates are making good rational decisions These results show that as family cohesion and family adaptability increase in the adaptation family, undergraduates are more progressive in terms of differentiation of self, and can decide their futures with less difficulty. Additionally, they tend to be more rational, than intuitive or emotional, in making decisions. Thus,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consultation with, and education of undergraduates. This should be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family relationships and ways to change the family system, in order to aid undergraduates in career decisions.

      • 조리전공대학생들의 의사결정유형이 진로결정도에 미치는 영향 : -직업가치의 조절효과-

        이화진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27

        외식산업의 급속한 성장으로 인한 조리 관련 학과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실제 조리전공 대학생들의 진로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많은 대학생들이 자신의 흥미와 적성을 고려하지 않고 대학과 전공을 선택한다. 그리하여 외식관광관련 대학생들의 전공-취업 일치도 역시 낮은 수준을 보이는데,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일반 대학생 중에서도 조리전공 대학생의 진로결정에 관하여 의사결정유형과 직업가치의식이 관련 있다고 판단하여 연구과제로 설계한 것은 의미가 있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의사결정유형의 4개의 하위요인인 합리적, 의존적, 즉흥적, 감정적 의사결정유형을 독립변수로 하여 진로결정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알아보고자 연구 과제를 설정하였다. 합리적 의사결정유형은 미래전망에 따라 논리적으로 의사결정을 하는 유형이고, 의존적 의사결정유형은 수동적으로 타인에 의존하고 의사결정에 따른 책임을 부정하는 유형이고, 즉흥적 의사결정유형은 신중히 고려하는 시간 없이 즉흥적으로 떠오르는 대로 의사결정을 하는 유형이며 감정적 의사결정유형은 본인의 감정과 육감에 의해 의사결정을 하는 유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조리전공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이 진로결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검증하고 진로결정도를 높이기 위한 의사결정 지도 및 진로상담을 제언하는 것이다. 조리전공 졸업예정자의 의사결정유형은 진로확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검증 결과 합리적 의사결정이 진로확신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래를 예견하며 충분한 시간을 갖고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는 합리적 의사결정유형이 진로결정에 대한 높은 확신수준을 갖게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즉 대학에서는 졸업 전 진로지도 및 상담에 있어서 학생들이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갖고 다양한 정보를 모아 진로선택 시의 결과까지 고려하여 진로결정을 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함을 시사한다. 조리전공 졸업예정자의 의사결정유형은 우유부단적 진로미결정과 미래불투명적 진로미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검증 결과 합리적 의사결정성은 우유부단적, 미래불투명적 진로미결정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의존적, 즉흥적 의사결정성은 우유부단적, 미래불투명적 진로미결정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리전공 졸업예정자의 의사결정유형은 의존적 진로미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검증을 실시한 결과 의존적, 감정적 의사결정성은 의존적 진로미결정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넓은 의미로 해석하면, 합리적 의사결정성, 의존적 의사결정성, 즉흥적 의사결정성, 감정적 의사결정성은 진로미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선행연구 결과(이종길, 2009; 박현창, 2014)와 일치하고 합리적 성향을 갖는 대학생은 본인의 진로에 대한 확신이 뚜렷하므로 이들은 진로미결정도가 낮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의존적, 즉흥적, 감정적인 성향을 갖는 대학생은 본인 스스로 진로를 결정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므로 진로결정도가 낮아 진로를 결정하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아직까지 미비하게 연구되어 온 조리 관련 전공-진로에 관해 연구함으로써 이와 관련 대학들과 외식산업에 의미가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담임교사의 의사결정 유형과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의 관계

        정민영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담임교사의 의사결정 유형과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의 관계를 구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지각한 담임교사의 의사결정 유형은 어떠한가? 둘째, 학생들의 학교적응은 어떠한가? 셋째, 담임교사의 의사결정 유형과 학생들의 학교적응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의사결정의 개념, 의사결정의 과정, 담임교사의 의사결정 유형, 적응의 개념과 학교적응의 개념, 학교적응의 영역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러한 문헌연구를 토대로 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조사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는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10개교 4~6학년 학생 60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총 60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배부하였는데 595부가 회수되었으며 유효 설문지 523부를 최종자료로 활용하였다. 사용된 측정 도구는 담임교사의 의사결정 유형 질문지와 학생의 학교적응에 관한 질문지이다. 담임교사의 의사결정 유형을 측정하기 위해 최명시(2005)가 “담임교사의 의사결정 유형에 따른 학생의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에서 사용한 질문지를 이용하였고, 학생의 학교적응을 측정하기 위해 김용래(2000)가 개발한 질문지를 이점순(2006)이 초등학생에게 적절한 내용으로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회수된 질문지는 SPSS WIN 1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먼저 담임교사의 의사결정 유형의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각 영역별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으며, 변인별 차이 검정을 위하여 교차분석을 이용하여 값을 구하였다. 그리고 학생의 학교적응 정도를 살펴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배경변인에 따른 학생의 학교적응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t검증과 F검증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담임교사의 의사결정 유형에 따른 학교적응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F검증을 하였고, 각 집단 간의 차이가 있는 부분에서는 구체적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ch- eff 사후검증 방법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담임교사의 의사결정 유형 경향을 집단적 결정형, 단독형, 집단 협의형, 소수 협의형, 자문적 단독형 순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집단적 결정형이 73.5%, 단독형이 20.1%로 93.6%를 차지하고 있어 담임교사의 의사결정 유형이 집단적 결정형과 단독형에 집중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배경별로 분석해보면 교사의 성별이나 직위에 따른 의사결정 유형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담임교사의 경력과 학교급지에 따른 의사결정 유형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학교적응에 대한 전반적인 평균이 3.41로 보통(M=3) 이상의 적응 상태를 보였다. 영역별로 살펴보면 교사적응이 3.82, 수업적응이 3.49, 생활적응이 3.36, 환경적응이 3.25, 친구적응이 3.12 순으로 나타났다. 담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학생의 학교적응을 살펴보면 교사의 성별이나 직위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교직경력과 학교급지에 따른 학교적응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교직경력이 5년 이상 10년 미만인 경우와 학교급지가 ‘가’급지인 경우에 학교적응도가 가장 높았다. 셋째, 담임교사의 의사결정 유형에 따른 학생의 학교적응 차이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집단적 결정형(M=3.53), 집단 협의형(M=3.38), 소수 협의형(M=3.31), 자문적 단독형(M=3.30), 단독형(M=3.29) 순으로 응답해 집단적 결정형, 집단 협의형에서 학교적응이 다른 의사결정 유형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담임교사의 의사결정 유형과 초등학생의 학교적응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담임교사의 의사결정 유형에 따라 학생의 학교적응이 차이가 있으며, 특히 담임교사의 의사결정 유형이 집단적 결정형일 때 학교적응을 가장 잘하고 그 다음으로 집단적 협의형일 때 학교적응을 잘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교사가 혼자서 모든 의사결정을 하는 것보다는 학급 의사결정 과정에서 허용적인 분위기를 조성하여 학급 구성원들을 의사결정에 참여시킬수록 학교적응도가 높아질 수 있다.

      • 소비자 의사결정유형이 화장품 소비가치와 광고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박현아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se days, the cosmetics industry faces fierce competition to survive in line with the era of global information. In this circumstance, it is very important for cosmetic companies to understand consumers’ decision-making behavior. In the way of experiencing dramatically increased advertisements in their everyday life, consumers can have positive or negative feelings. Types of consumers are diversified, and therefore, the mindshare to captivate consumers’ heart becomes a critical marketing strategy of companies, recently. In addition, consumers have been more interested in the eco-friendly value of cosmetics, rather than their physical value, and they began to lay stress on the social value. To maximize profits through effective marketing, many enterprises focus on finding consumers’ needs or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with the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most influential factor when consumers make a decision, to define the influence of decision-making types on cosmetics consumption values and advertising acceptance attitudes, and to provide a fundamental material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smetics advertising industry. In order to analyze the influence of consumers’ decision-making types on cosmetics consumption values and advertising acceptance attitudes, this researcher had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with a total of 420 women in their 20s to 50s living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s, from Mar. 3 to Mar. 30, 2019. The analysis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ly, with regard to the influence of consumers’ decision-making types on cosmetics consumption values, the more there were prudent and intuitive factors among the sub factors of the types, the more social, emotional, and functional values (which are sub factors of consumption values) in order were largely influenced. Secondly, with regard to the influence of consumers’ decision-making types on advertising acceptance attitudes, the more there were prudent and intuitive factors among the sub factors of the types, the more good intention of advertising, purchase stimulus, information trust, and negative recognition (which are sub factors of advertising acceptance attitudes) were greatly influenced. Thirdly, with regard to the influence of cosmetics consumption values on advertising acceptance attitudes, the more there was emotional value among the sub factors of cosmetics consumption values, the more good intention of advertising, purchase stimulus, information trust, and negative recognition (which are sub factors of advertising acceptance attitudes) were greatly influenced. As such, it was found that consumers’ decision-making types were a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cosmetics consumption values and advertising acceptance attitudes positively. To develop the cosmetics industry, it will be necessary to induce and manage consumers through systematic and differentiated advertising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decision-making types. It will be helpful to promote consumers’ purchase through the best service recognized by consumers, and to become a fundamental material of the marketing strategy for competitive cosmetics.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f consumers’ decision-making types on cosmetics consumption values and advertising acceptance attitudes was analyzed in order to find consumers’ psychology or needs. However, there was lack of direct research on consumption values and advertising acceptance attitud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dult women so that it was hard to extract samples. If the relation and influence of external variables like communication is researched, it will be meaningful. 최근 화장품 산업은 글로벌 정보화 시대에 맞춰 생존을 위한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환경에서 소비자들의 의사결정 행동을 이해하고 파악하는 것은 화장품 기업에서는 매우 중요하다. 소비자들은 일상생활에서 광고의 극적인 증가를 경험하면서 긍정적 또는 부정적 감정이 유발될 수 있다. 그로 인하여 소비자 유형은 다양화되고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는 마인드 셰어가 최근 기업의 중요한 마케팅 전략이 되었다. 또한 화장품에 대한 물질적 가치보다 친환경에 관심이 높아진 소비자들은 사회적 가치도 중시하기 시작하였으며 많은 기업은 효과적인 마케팅 활동으로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 소비자의 욕구 파악이나 관계 구축을 위한 활동에 역점을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의사결정을 할 때 어떠한 요인에 가장 영향력이 있는지 파악하여, 의사결정유형이 화장품 소비가치, 광고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화장품 광고 산업 발전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제공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의사결정유형이 화장품 소비가치, 광고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2019년 3월 6일부터 3월 30일까지 24일간 서울 및 수도권 지역의 20대-50대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총 420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 의사결정유형이 화장품 소비가치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소비자 의사결정유형의 하위요인 중 신중한, 직관적 유형의 요인들이 높을수록 소비가치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감정적, 기능적 가치 순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 의사결정유형이 광고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소비자 의사결정유형의 하위요인 중 신중한, 직관적 유형의 요인들이 높을수록 광고수용태도의 하위요인인 광고호의, 구매자극, 정보신뢰, 부정적인지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화장품 소비가치가 광고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화장품 소비가치의 하위요인 중 감정적 가치의 요인이 높을수록 광고수용태도의 하위요인인 광고호의, 구매자극, 정보신뢰, 부정적인지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소비자 의사결정유형이 화장품 소비가치와 광고수용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으며, 앞으로 화장품 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소비자 의사결정유형의 특성을 고려한 체계적이고 차별화 된 광고로 소비자를 관리하고 유도해야 할 것이다. 이는 소비자들이 인식하는 최상의 서비스로 구매촉진에 도움이 될 것이며 경쟁력 있는 화장품 마케팅 전략의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의사결정유형이 화장품 소비가치와 광고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소비자들의 심리나 욕구를 알아보는 것으로 소비가치와 광고수용태도의 직접적인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연구하였기에 표본으로 추출하기는 어려웠으며 향후 후속 연구에서는 커뮤니케이션 등의 외적변수들과의 관계와 영향에 대한 연구도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한국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과 진로결정수준의 분석 및 진로결정상담의 효과

        고향자 숙명여자대학교 1993 국내박사

        RANK : 249726

        대학생의 진로결정과정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진로발달에 대한 이론적 연구와 진로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율 규명하려는 연구, 그리고 진로결정을 촉진시키기 위한 상담프로그램의 효과등에 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최근에 와서야 진로분야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기 시작했으며, 대학생의 의사결정을 내리는 방식 즉 의사결정유형이나 현재의 진로결정수준에 대한 현상 파악, 그리고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결정상담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측정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진로결정의 문제를 지닌 대학생을 도와주기 위한 방안으로 먼저 한국 대학생의 의사결정 유형과 진로결정수준을 분석하고, 진로곁정상담을 실시하여 그 효과률 검증하려는 목적하에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1] 한국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과 진로결정수준은 성, 학년, 전공계열별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고 있는가? [연구2] 진로결정상담은 의사결정유형과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2]와 관련하여 설정된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1] 진로결정상담 후 합리적유형 점수는 높아질 것이다. [가설2] 진로결정상담 후 직관적유형 점수는 높아질 것이다. [가설3] 진로결정상담 후 의존적유형 점수는 낮아질 것이다. [가설4] 진로결정상담 후 전공선택확신 점수는 높아질 것이다. [가설5] 진로결정상담 후 직업선택확신 점수는 높아질 것이다. [가설6] 진로결정상담 후 진로미결정 점수는 낮아질 것이다. [연구1]의 피험자는 전국에서 무선표집된 1,014명의 남녀 대학생들이었으며, 사용된 검사도구는 의사결정유형검사, 전공선택확신검사, 직업선택확신검사 및 진로미결정검사였다. 통계적 분석방법으로는 t검증, ANOVA, Scheffe 검증을 사용하였다. [연구2]의 피험자는 연구에 자원한 남녀 대학생 70명이었는데, 진로결정상담을 받는 실험집단에 36명, 통제집단에 34명이 무선배당되었다. 실험집단의 피험자들은 3집단으로 나누어 1주에 2시간씩 8회의 진로결정상담을 받았으며, 사용된 진로결정상담 프로그램은 Harron이 개발한 「WPS 진로계획 프로그램」(총13회)중 8회의 내용을 선정 본 연구에 적합하도록 수정한 것이었다. 또한 양 집단의 피험자들은 모두 상담개시 1주일 전과 마지막 상담이 끝난 1주일 후에 진로상담의 효과를 측정하는 질문지를 수행하였는데 질문지의 내용은 [연구1]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했으며, 이들이 종속측정치 (사전, 사후점수)로서 결과분석에 사용되었다. 진로상담의 효과분석은 t-검증율 사용하였다. 본 [연구1, 2]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1]에서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의 성, 학년, 전공계열별 차이에 대한 분석결과, 우선 성별의 경우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의사결정을 할 때 좀 더 합리적으로 접근하며, 덜 의존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직관적으로 의사결정에 접근하는 데는 남학생과 여학생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학년별로는 의사결정율 할 때 4학년이 가장 합리적으로 접근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학년이 가장 의존적인 것으로 밝혀겼다. 전공계열별로는 의사결정유형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1]에서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을 성, 학년, 전공계열별로 살펴 본 결과, 성별로는 진로결정수준을 측정하는 3가지 검사중 직업선택확신검사에서만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하게 더 높은 점수률 보임이 밝혀졌다. 또 학년별의 경우 3검사 모두에서 일관되게 4학년, 1학년, 3학년, 2학년 순으로 높은 점수를 보이고 있었으며, 특히 4학년과 2학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전공계열별로는 대체로 예.체능계열의 학생들이 진로결정수준이 가장 높고, 자연계열의 학생들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2]의 결과들을 살펴보면 우선, 진로결정상담 후 실험집단의 경우 합리적유형 점수의 증가, 의존적유형 점수의 감소, 전공과 직업선택에 대한 확신의 증가, 진로미결정수준의 감소가 있었으며, 통제집단에서는 다른 검사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합리적유형에서 사전 - 사후점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진로결정상담 프로그램은 대학생들의 의사결정유형의 변화와 진로결정수준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볼 때, 한국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과 진로결정수준은 성, 학년, 전공계열별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진로상담에서 이와 같은 변인들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의 구성내용이 달라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진로결정상담을 통하여 의존적으로 결정하는 태도가 감소되고, 진로결정수준이 향상된 본 연구의 결과는 이러한 진로상담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진로결정의 문제로 고민하는 대학생들을 도와주는 데 효과적임율 제시해 준다. 따라서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확대 실시되어 많은 학생들이 도움 받을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Selecting one's caree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decisions for individuals because it will have a strong influence on his/her life. Especially for college students who are in the process of getting ready to step into the society after the graduation, career decision making becomes one of the most difficult tasks, and a real one. With increasing attention being paid to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of college students, extensive studies have been done on the career development paths, on the factors influencing career choices and on the effect of career counseling programs facilitating students' career decision making. However in Korea, only in recent years, have scholars paid more attention to college students' career plans. Furthermore, there is a great need of researches on college students' decision making styles, on the understanding of student's career decision making status or on the effect of career counseling programs currently used in Korean colleges and universiti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ecision making styles and career decision making progress of Korean college students, and to test hypotheses which are related to the effects of counseling programs on students' decision making styles. For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the following two major research problems were investigated: [Problem 1] What are the differences in students' decision making styles and in career decision making progresses by gender, year and a major field? [Problem 2] Does a career counseling program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students' career decision making Progress? The following are several research hypotheses generated in relation to [Problem 2]: Hypothesis 1: Rational scores will increase significantly after career decision making intervention. Hypothesis 2: Intuitive scores will increase significantly after career decision making intervention. Hypothesis 3: Dependent scores will decrease significantly after career decision making intervention. Hypothesis 4: Scores on certainty of major choice will increase significantly after career decision making intervention. Hypothesis 5: Scores on certainty of career choice will increae significantly after career decision making intervention. Hypothesis 6: Career indecision scores will decrease significantly after career decision making intervention. For investigating [Problem 1], the total of 1,014 college students were selected by a nation-wide random sampling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decision making styles scale, major choice certainty scale, career decision making certainty scale and career indecision scale. In addition, seventy male and female volunteered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career decision making interventions in order to test research hypotheses. The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different groups: 36 of them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34 of them to the control group. The material used in career decision making interventions was a modified version of "WPS career planning program", originally developed by Buck et al. (1985). For the purpose of statistical analyses, the two different sets of data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s) by giving questionnaires measuring the effect of career decision making interventions to students in both groups. Statistical techniques of ANOVA(analysis of variance), Scheffe's method for multiple comparisons and t-test were used to test the hypotheses and to examine the research problems in this study. The results from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students' decision making styles by gender, year and a major field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cision making styles by gender and by year. That is, when compared to female students, male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average rational score and a lower average dependent score. There was not a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average intuitive scores. The results revealed that seniors showed the highest average rational score and freshmen showed the lowest average dependent score, However, the resulsts also indicated that a student's college major was not strongly associated with his/her decision making style. The findings in examining the differences of students' career decision making progress by gender, year and a major field showed that only in career decision making certainty scale, men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women.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seniors have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certainty of career choice than students in other years. It was especially noticeable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score difference between seniors and sophormores. Additionally, while students in fields of music, atheletics, and find arts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certainty of career choice than others, students in natural sciences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level among all students. The results from testing the hypotheses revealed that after career decision making interventions,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increases in rational scores and in certainty of major and career choices, and decreases in dependent scores and in career indecision scores. However among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score differences between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s except in rational scores. These results clerly imply that career decision making intervention program used in this study has a positive influence on students' decision making styles and on the improvement of students' career decision making progress. In sum,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s some changes necessary in career counseling programs for Korean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better fit each student's different need. That is, based on an individual's different style of decision making and career decision making status as well as his/her gender, college year and a major field. In addition, the results strongly indicate that such a career counseling program is effective and influential in helping college students with their career decision making process.

      • 최고경영자의 의사결정 유형과 계속교육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중소건설업 CEO를 중심으로

        정희공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26

        최근에는 중소기업의 기업성과를 측정하는 변인으로 중소기업의 대외적인 변인보다는 대내적인 변인인 최고경영자의 배경 특성, 역량 특성, 심리적 특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추는 연구에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기업성과에 미치는 변인들이 매우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최고경영자의 역량 특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최고경영자의 경영마인드의 중요성과 미래의 충분한 역량 가능성을 제시해주고 있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 최고경영자들의 의사결정 유형이 무엇인지 관심을 가지고 위기에 처한 중소기업을 보호해 나가기 위하여 최고경영자 스스로 지속적인 교육을 받는 노력의 과정을 조직적으로 정의하였다. 이에 따라 먼저 중소기업의 정의와 현재 중소기업이 처한 상황에 대하여 파악을 하였다. 그리고 중소기업 최고경영자의 의사결정 유형에 따라 기업성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80명의 중소건설업 최고경영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표집하였으며 이들은 비교적 학력 수준이 높고 기업 활동을 활발히 하는 최고경영자들이 대부분이었다. 의사결정유형 관련 변인은 합리적 유형, 직관적 유형, 의존적 유형이었으며, 계속교육은 유무에 답하게 하여 계속교육을 받은 집단은 참여 동기와 만족도, 유익성을 확인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 최고경영자의 의사결정 유형의 하위변인별 평균을 비교해보면 전체적으로 중소기업 최고경영자는 의사결정을 할 때 합리적 의사결정을 특별히 중요한 결정으로 여기고 있다. 둘째, 중소기업 최고경영자의 의사결정 유형에 따른 기업성과의 차이를 보면 합리적 유형 고저집단 간과 직관적유형 고저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의존적 유형 고저집단 간 기업성과(매출액)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중소기업 최고경영자의 의사결정 유형은 대부분 합리적 유형으로 의사결정을 하며 의존적 유형이 높은 최고경영자의 회사는 기업 성과가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중소기업 최고경영자의 계속교육 여부에 따른 기업 성과의 차이를 t-값으로 검증한 결과에 의하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소기업 최고경영자의 합리적, 직관적, 의존적 의사결정유형과 계속교육 유무를 t-값으로 검증한 결과 중소기업 최고경영자의 합리적, 직관적, 의존적 의사결정유형과 계속교육 유무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계속교육을 받은 사람들은 받지 않은 사람들보다 직관적 의사결정유형의 평균이 더 높았고 의존적 의사결정유형이 낮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중소기업 최고경영자의 계속교육의 참여 동기 및 학습요구 내용과 만족도 및 유익성에 대한 상관관계를 검증하였는데 인적 네트워크를 희망하는 참여자의 만족도와 유익함은 다소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나, 업무 기술 중심의 학습동기를 가진 참여자의 만족도와 유익함은 다소 높은 부정적인 상관관계의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현재 최고경영자에게 제공되고 있는 계속교육에 있어 전문 업무 기술 중심의 교육 내용의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의의는 중소건설업 최고경영자를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의사결정 유형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였고, 이는 기업이 위기시에 합리적 의사결정 과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또한 최고경영자의 계속교육은 앞으로 중소기업 최고경영자 교육 프로그램의 핵심요소가 무엇이어야 할지 그 방향성을 제시해준다. 또한 본 연구는 앞으로 중소기업 최고경영자들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의 개념을 더욱 더 구체화시켜 나가는 과정에 기여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의사결정유형에 따른 의사결정력과 창의적 성향, 창의성 순발력 비교

        우희석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26

        이 연구에서는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의사결정유형에 따른 의사결정력과 창의적 성향, 창의성 순발력의 차이와 상호관계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인천광역시 G대학의 부설 영재교육원 초등 과학영재 5, 6학년 32명과 인천광역시 소재 A구 초등학교 일반학생 5, 6학년 37명을 대상으로 의사결정유형 검사, 의사결정력 검사, 창의적 성향 검사와 창의성 순발력 테스트를 실시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의사결정유형, 의사결정력, 창의적 성향, 창의성 순발력 비교 결과 합리적 의사결정 유형에서 초등 과학영재가 일반학생보다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의사결정력, 창의적 성향, 창의성 순발력 비교에서도 초등 과학영재가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초등 과학영재의 의사결정유형을 합리적, 직관적, 의존적 유형으로 구분하고 이 유형들을 다시 상, 중, 하로 나눴을 때, 합리적 의사결정유형의 상위 집단일수록 창의적 성향 수준이 높았고 의존적 의사결정유형의 상위 집단은 의사결정력 수준이 낮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 전반적으로 합리적 유형의 상위 집단이 의사결정력, 창의적 성향, 창의성 순발력 점수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셋째,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합리적 의사결정유형과 창의적 성향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의존적 의사결정유형과 의사결정력, 창의적 성향, 창의성 순발력의 하위요소에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회귀 분석 결과 창의적 성향과 창의성 순발력은 의사결정력 하위 요소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초등 과학영재는 일반학생에 비해 합리적 의사결정유형이 많았으며 의사결정력, 창의적 성향, 창의성 순발력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합리적 의사결정유형의 상위 집단일수록 의사결정력, 창의적 성향, 창의성 순발력 수준이 높고 의존적 의사결정유형이 강한 집단일수록 의사결정력, 창의적 성향, 창의성 순발력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합리적 의사결정유형과 창의적 성향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직관적, 의존적 의사결정유형과 의사결정력, 창의성 순발력은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